KR0120263Y1 - 슬라이딩 도어의 하부레일 구조 - Google Patents

슬라이딩 도어의 하부레일 구조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0263Y1
KR0120263Y1 KR2019930026522U KR930026522U KR0120263Y1 KR 0120263 Y1 KR0120263 Y1 KR 0120263Y1 KR 2019930026522 U KR2019930026522 U KR 2019930026522U KR 930026522 U KR930026522 U KR 930026522U KR 0120263 Y1 KR0120263 Y1 KR 01202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rail
vehicle body
fixed
sliding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265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7654U (ko
Inventor
권혁종
Original Assignee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성원
Priority to KR20199300265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0263Y1/ko
Publication of KR95001765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765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02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0263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05D15/066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pported at the bottom
    • E05D15/0682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pported at the bottom on sliding b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14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with movable arms situated in the plane of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1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 E05D2015/102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accessories, e.g. sliding or rolling guides, lat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 Devices For Sliding Doors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슬라이딩 도어의 레일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차의 슬라이딩 도어를 안내하는 하부레일의 구조를 변경하여 슬라이딩 도어의 유효개폐폭을 증대시킨 슬라이딩 도어의 하부레일 구조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슬라이딩 도어의 하부레일로써 차체에 고정된 고정레일 외에 차체에 설치된 힌지핀과 레버부재에 의해 차측과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는 별도의 가동레일부와 가이드레일부로 구성된 슬라이딩 도어의 하부 레일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슬라이딩 도어의 하부레일 구조
제 1 도는 종래의 보닛형 자동차를 나타내는 개략도
제 2 도는 1도의 A-A선 단면도
제 3 도는 본 고안이 장착된 레일의 평면도
제 4 도는 3 도의 Ⅰ-Ⅰ선 단면도
제 5 도는 3 도의 Ⅱ-Ⅱ선 단면도
제 6 도는 3 도의 Ⅲ-Ⅲ선 단면도
제 7 도는 3 도의 A부 상세도
제 8 도는 3 도의 Ⅳ-Ⅳ선 단면도
제 9 도는 3 도의 B부 상세도
제 10 도는 9 도의 Ⅴ-Ⅴ선 단면도
제 11 도는 9 도의 C부 상세도
제 12 도는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롤러 아암부 2a : 가이드A
2b : 안내홈 3 : 가동 레일부
4 : 가이드 레일부재 4a : 가이드 브라켓
5 : 가이드 레일 6 : 슬라이드 레일부재
6a : 소레일 7,10,13,14,26,32 : 브라켓
8, 30 : 스프링 9 : 구동링크
9a : 전동링크 12, 15, 16, 19, 22, 23, 24, 31, 35 : 핀
11, 27 : 레버 17 : 가인드 B
18 : 슬라이드 20 : 스토퍼
21 : 래칫 25 : 안내봉
50 : 록킹부
본 고안은 슬라이딩 도어의 하부 레일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차의 슬라이딩 도어를 안내하는 하부레일의 구조를 차체에 고정된 고정레일과 차측과 일정거리로 이격될 수 있는 가동레일로 구성되어 슬라이딩 도어(Sliding Door)의 유효개폐폭을 증대시킨 슬라이딩 도어의 하부레일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합자동차는 뒷문을 슬라이딩식으로 여닫는 구조로 되어 있는데 그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안정성과 견고성 및 편리성을 감안한 것이다.
이러한 자동차의 슬라이딩 도어는 화물의 수송 및 승객의 승.하차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가능한 크게 하는 것이 좋으나 자동차의 후부휠 하우징(Rear Wheel Housing)의 위치에 의해 제약을 받는다.
즉, 도면 제 1도 및 제 2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슬라이딩 도어의 상부와 중앙부에서는 크게 할 수 있으나, 하부에서는 후부 휠 하우징에 의해 증대 시킬 수 없음으로 인하여 도어의 유효 개페폭은 제한이 된다.
특히 보닛(Bonnet)형 (또는 세미보닛형)에서는 차체가 전방으로 이동되므로 운전자와 후부 휠 하우징간의 거리가 좁게 되어 사이드 도어의 유효개폐폭은 더욱 좁게되어 불리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슬라이딩 도어의 유효개폐폭을 증대시켜 화물 및 승객의 승.하차시 편의를 도모하기위한 자동차의 슬라이딩 도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에 따른 본 고안은 일측 상부에 안내 홈(2b)이 형성된 가이드A(2a)를 갖는 롤러 아암부(2)와;
차체에 고정된 고정레일부(60)와 연접되게 설치되며,일측이 차체와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타측은 가이드 레일부재(4)의 측부에 장착된 브라켓(13)에 힌지 결합된 가동레일부(3)와;
일측이 차체에 힌지결합되고 타측에는 안내봉(25)이 설치된 구동링크(9)와, 상기 구동링크(9)와 힌지 결합되고 타측은 차체에 고정된 가이드B(17)내를 다라 움직이는 슬라이드(18)와 힌지 결합된 전동링크(9a)로 구성된 링크부재와;
일정위치에서 상기 구동링크(9)를 록킹 시키기 위하여 단부에 돌기편을갖고 레버(27)의 양측에 스토퍼(20)가 래칫(21)의 일측하부를 지지하도록 차체에 고정된 브라켓(32)과 스프링(30)으로 탄력 설치된 록킹부와;
일측은 전동링크(9a)에 의해 차체에 고정된 가이드B(17) 내를 움직이는 슬라이드(18)와 힌지결합되며, 레일 내측단부에는 가이드 브라켓(4a)이 설치되고,상.하부에 가이드 홈이 형성된 가이드 레일부재(4)와, 상기 가이드 레일부재(4)내를 슬라이드 되도록 상.하에 가이드레일(5)이 장착되고 레일내 상부에는 일측이 막힌 소레일(6a)이 설치되며, 내측벽 단부에 힌지 결합되고 스프링(8)에 의해 탄력지지된 브라켓(7)이 설치된 슬라이드 레일부재(6)로 이루어진 가이드레일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3 도는 고안이 장착된 레일이 평면도를 나타내며, 제 4 도는 3도의 Ⅰ-Ⅰ선 단면도를 나타내고, 제 12 도는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다.
제 3 도 및 4 도를 참조하면, 슬라이딩 도어의 하부에 장착되고 롤러가 설치된 롤러아암의 일측에는 상부에 안내홈(2b)이 형성된 가이드A(2a)가 설치되어 있다. 차체에 고정된 고정레일부(60)의 일측단부에는 일측이 차체에 핀(23)에 의해 힌지결합되고, 타측에는 안내봉(25)이 설치된 구동링크(9)가 설치된다.
상기 구동링크(9)의 중앙부에는 전동링크(9a)의 일측이 핀(24)에 의해 힌지 결합되고, 상기 전동링크(9a)의 타측은 차체에 고정된 가이드B(17)내를 따라 움직이는 슬라이드(18)와 핀(22)에 의해 힌지결합되어 회전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롤러아암부(2)가 고정레일부(60)를 따라 슬라이딩 되면, 상기 구동링크(9)의 선단에 설치된 안내봉(25)은 롤러아암부(2)에 설치된 가이드A (2a)의 상부 안내홈(2b)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동링크(9)가 롤러아암부(2)의 이동에 따라 고정레일부(60)에 직각으로 세워지면, 상기 구동링크(9)의 중앙부에 결합된 전동링크(9a)를 전진시키게 되며, 따라서 차체에 설치된 가이드B(17)내를 슬라이드(18)가 이동하게 되도록 되어 있다. 도면 제 5 도는 3도의 Ⅱ-Ⅱ선 단면도를 나타내며, 7도는 3도의 A부 상세도를 나타낸다.
도면제 3 도 및 7도, 12도를 참조하면, 일정위치에서 상기 전동링크(9a)를 록킹시키기 위한 록킹부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 제 5 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롤러 아암부(2)의 이동에 따라 구동링크(9)가 이동하게 되면 록킹부의 래칫(21)의 일측을 밀게된다.
구동링크(9)가 고정레일부(60)에 대하여 직각상태로 되면, 래칫(21)이 핀(31)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구동링크(9)를 완전히 록킹 시킴과 동시에, 스토퍼(20)도 핀(31)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래칫(21)의 하부를 지지하게 된다.
제 3 도 및 10도를 참조하면, 양측단부에 브라켓(13)이 설치된 가동레일부(3)는 고정레일부(60)와 연접되도록 일측이 차체에 고정된 브라켓(14)과 핀(16)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은 가이드 레일부재(4)의 측면부에 장착된 브라켓(10)의 일측과 핀(16)에 의해 힌지결합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레일부재(4)는 상.하부에 가이드 홈이 형성되어 있고 레일의 내측 단부에 가이드 브라켓(4a)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레일부재(4)의 측부에 설치된 브라켓(10)은 핀(12)에 의해 레버(11)의 일측과 힌지 결합되고, 상기 레버(11)의 타측은 차체에 고정된 가이드(17)내를 움직이는 슬라이드(18)와 핀(19)에 의해 힌지결합 된다.
따라서 롤러아암부(2)의 이동에 따라 구동링크(9)가 직각으로 세워지면, 이에따라 전동링크(9a)에 의해 슬라이드(18)가 차체에 고정된 가이드B(17)내를 전진하게 된다.
슬라이드(18)의 전진에 따라, 슬라이드(18) 일측에 핀(19)에 의해 힌지결합된 레버(11)가 상승하게 되고, 이에 따라 가동레일부(3)와 가이드 레일부재(4)가 회전하여 이동하게 된다.
이때 가동레일부(3)와 가이드 레일부재(4)는 브라켓(10)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레일부재(4)내에는 상.하에 가이드 레일(5)이 장착되고 레일내 상부에는 일측이 막힌 소레일(6a)이 설치되며, 내측벽 단부에 힌지결합되고 스프링(8)에 의해 탄력지지된 브라켓(7)이 설치된 슬라이드 레일부재(6)가 설치되어 슬라이딩 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슬라이딩 도어를 열기 위하여 도어를 밀면, 롤러아암부(2)가 고정레일부(60)를 따라 전진하게 된다.
상기 롤러 아암부(2)가 전진하게 되어 고정레일부(60)의 일정 위치에 설치된 구동링크(9)의 안내봉(25)이 롤러아암의 일측에 설치된 가이드A(2a)의 안내홈(2b)을 따라 세워지게 되면, 구동링크(9)가 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구동링크(9)가 이동함에 따라 전동링크(9a)에 의해 슬라이드(18)를 전진시켜 가동레일부(3)가 회전을 하게되고, 이에 따라 가이드 레일부도 상승하게 된다.
이때 가이드 레일부는 2개의 레버(11)로 지지되므로 항상 수평을 유지하면서 상승한다.
또한 구동링크(9)가 고정레일부(60)에 수직으로 세워지면 록킹부의 래칫(21)을 밀어 구동링크(9)가 록킹되어, 가동레일부(3)의 역동작을 방지하게 된다.
도어를 계속 우측으로 밀면, 롤러아암부(2)가 가동레일부(3)를 지나 가이드 레일부에 이르면 롤러아암부(2)의 롤러가 슬라이드 레일부재(6)내에 설치된 한쪽끝이 막힌 소레일(6a)을 밀어 가이드 레일부(40)에서 슬라이드 레일부재(6)가 슬라이딩 된다.
슬라이드 레일부재(6)가 슬라이드 함에 따라 슬라이드 레일부재(6)내의 브라켓(7)이 가이드레일부재(4)의 가이드 브라켓(4a)를 빠져나와 세워지면서 롤러아암부(2)의 뒷면을 지지하게 된다.
이후 계속 도어를 밀면 슬라이드 레일부재(6)가 가이드 레일부재(4)내에서 슬라이드 운동을 계속하여 도어의 열림량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도어를 닫을 때는 브라켓트(7)가 가이드 레일부재(4)에 설치된 가이드 브라켓(4a)속으로 들어가면 롤러아암부(2)가 가이드레일부재(4)를 빠져나와서 가동레일부(3)로 이동된다.
롤러아암부(2)가 가동레일부(3)를 지나 차체에 고정된 고정레일부(60)에 이르면, 롤러 아암부(2)의 가이드(2a)에 의해 록킹부의 레버(27)를 밀어 회전하면 구동링크(9)를 지지하는 래칫(21)이 해제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동링크(9)의 록킹이 해제되면 구동링크(9)의 안내봉(25)이 롤러아암부(2) 가이드(2a)의 안내홈(2b)을 따라 이동되어 구동링크(9)가 좌측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슬라이드(18)가 좌측으로 이동되면서 가동레일부(3)와 가이드레일부(40)가 하강되어 원래의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슬라이딩 도어의 하부레일로써 차체에고정된 고정레일부외에 차체에 설치된 힌지핀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차측과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는 별도의 가동레일부와 가이드 레일부를 설치하여, 차종에 관계없이 슬라이딩 도어의 유효개폐폭을 증대시켜 화물 및 승객의 승.하차시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일측상부에 안내홈(2b)이 형성된 가이드A(2a)를 갖는 롤러아암부(2)와; 차체에 고정된 고정레일부(60)와 연접되게 설치되며, 일측이 차체와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고, 타측은 가이드 레일부재(4)의 측부에 장착된 브라켓(10)에 힌지 결합된 가동레일부(3)와 ; 일측이 차체에 힌지 결합되고 타측에는 안내봉(25)이 설치된 구동링크(9)와, 상기 구동링크(9)의 중앙부와 힌지결합되고, 타측은 차체에 고정된 가이드B(17)내를 따라 움직이는 슬라이드(18)와 힌지 결합된 전동링크(9a)로 구성된 링크부재와 ; 일정위치에서 상기 구동링크(9)를 록킹 시키기 위하여 단부에 돌기편을 갖고, 레버(27)의 양측에 스토퍼(20)가 래칫(21)의 일측 하부를 지지하도록 차체에 고정된 브라켓(32)과 스프링(30)으로 탄력설치된 록킹부와 ; 일측은 레버(11)에 의해 차체에 고정된 가이드B(17)내를 움직이는 슬라이드(18)와 힌지결합되며 레일내측 단부에는 가이드 브라켓(4a)이 설치되고, 상.하부에 가이드 홈이 형성된 가이드 레일부재(4)와, 상기 가이드 레일부재(4)내를 슬라이딩 되도록 상.하에 가이드레일(5)이 장착되고, 레일내 상부에는 일측이 막힌 소레일(6a)이 설치되며, 내측벽 단부에 힌지 결합되고 스프링(8)에 의해 탄력지지된 브라켓(7)이 설치된 슬라이드 레일부재(6)로 이루어진 가이드 레일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도어의 하부레일구조.
KR2019930026522U 1993-12-06 1993-12-06 슬라이딩 도어의 하부레일 구조 KR01202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6522U KR0120263Y1 (ko) 1993-12-06 1993-12-06 슬라이딩 도어의 하부레일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6522U KR0120263Y1 (ko) 1993-12-06 1993-12-06 슬라이딩 도어의 하부레일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7654U KR950017654U (ko) 1995-07-22
KR0120263Y1 true KR0120263Y1 (ko) 1998-07-15

Family

ID=19369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26522U KR0120263Y1 (ko) 1993-12-06 1993-12-06 슬라이딩 도어의 하부레일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026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7654U (ko) 1995-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82705B1 (en) Vehicle independent rear access panel with four bar hinge
US7950719B2 (en) Vehicle dual hinge rear door articulating and sliding system
US7798557B2 (en) Vehicle unguided four-bar rear door articulating and sliding mechanism
US6234563B1 (en) Articulation device for a hatchback mounted on a motor vehicle body
EP1336023B1 (en) Opening mechanism for the side sliding door of a motor vehicle
KR0120263Y1 (ko) 슬라이딩 도어의 하부레일 구조
JP2001047865A (ja) 乗物用オープンルーフ構造
KR100274508B1 (ko) 자동차용 콘솔의 암레스트 슬라이딩장치
JP3742016B2 (ja) 車両用スライド扉装置
JP2000103289A (ja) 自動車のコンソールボックス
GB2308399A (en) Tracked canopy door with motor driven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JPH0712789B2 (ja) 自動車のスライドドア開閉方法
JPH0952528A (ja) スイングスライドドア装置
KR0130673Y1 (ko) 자동차의 슬라이딩 도어의 가이드 레일 구조
JP2580520Y2 (ja) コンソールボックス
KR100525637B1 (ko) 리어 셀프 트림 조립체
JPS5814325B2 (ja) スライドドアのスライド係脱装置
JPS625931Y2 (ko)
JPH0314661B2 (ko)
JP3989253B2 (ja) 車両用スライド扉のアーム装置
WO2005080726A1 (en) Opening leaf for vehicle
KR100348075B1 (ko) 자동차용 도어 체커
JPH0624257Y2 (ja) スライドドアの開閉係脱機構
JPH071962A (ja) 車両用スライドドア開閉装置
KR100475854B1 (ko) 자동차의 트렁크 리드 힌지아암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40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