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5854B1 - 자동차의 트렁크 리드 힌지아암 조립체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트렁크 리드 힌지아암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5854B1
KR100475854B1 KR10-2002-0033012A KR20020033012A KR100475854B1 KR 100475854 B1 KR100475854 B1 KR 100475854B1 KR 20020033012 A KR20020033012 A KR 20020033012A KR 100475854 B1 KR100475854 B1 KR 1004758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arm
trunk lid
slider
guide bar
torsion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30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96498A (ko
Inventor
한제선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330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5854B1/ko
Publication of KR200300964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64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58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58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B62D25/12Parts or detail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10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48Trunk l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기간 사용으로 토션 바의 탄성력이 떨어지더라도 트렁크 리드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의 트렁크 리드 힌지아암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트렁크 리드(3)를 회동시킬 수 있도록 차체패널(4)의 후면에 힌지(2a) 결합된 힌지 아암(2)과, 상기 차체패널(4)의 후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토션 바(1)와, 상기 토션 바(1)의 토션력을 상기 힌지 아암(2)에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토션 바(1)와 상기 힌지 아암(2) 사이에 설치된 링크(6)를 구비하는 자동차의 트렁크 리드 힌지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힌지 아암(2)의 중간에 슬라이더(11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더(110)의 중간에는 내부를 관통하는 관통부(111)가 형성되며, 상기 차체패널(4)의 일측에는 가이드 바(120)의 한쪽이 힌지(H)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 바(120)의 다른 쪽은 상기 슬라이더(110)의 관통부(111)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며, 상기 가이드 바(120)의 바깥면에는 상기 관통부(111)에 접촉되는 지지부(121)가 돌출 형성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트렁크 리드 힌지아암 조립체{Trunk lid hinge arm assembly of car}
본 발명은 자동차용 트렁크 리드 힌지아암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힌지아암 중간에 설치된 슬라이더와 그 슬라이더를 받쳐주는 가이드 바를 설치하여, 장기간 사용으로 토션 바의 탄성력이 떨어지더라도 트렁크 리드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의 트렁크 리드 힌지아암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트렁크 실의 상측에는 트렁크 실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트렁크 리드가 힌지아암에 의하여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트렁크 리드 힌지아암 조립체를 보인 것으로, 도 1은 트렁크 리드의 열림을 보인 것이고, 도 2는 트렁크 리드의 닫힘을 보인 종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좌우 동일 형상으로 이루어진 한 쌍의 구성부품을 설명함에 있어서 그 한쪽만을 도시하고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에 보인 바와 같이, 종래 트렁크 리드 힌지아암 조립체(10)는, 트렁크 실의 양쪽으로 한 쌍의 토션 바(1)가 서로 교차 배치되고, 힌지 아암(2)에는 토션력이 작용하여 트렁크 리드(3)를 개폐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힌지아암(2)은 그 일단이 차체패널 후면(4)의 마운팅 브래킷(5)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타단이 트렁크 리드(3) 하면에 고정됨으로써 트렁크 리드(3)와 일체로 작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힌지아암(2)에 연결된 토션 바(1)의 토션력을 힌지아암(2)에 전달하기 위하여 토션 바(1)와 힌지아암(2)의 중간에는 링크(6)가 설치된다.
토션 바(1)의 토션력이 링크(6)에 전달되면, 링크(6)가 힌지아암(2)에 힘을 가하여 힌지(2a)를 중심으로 힌지아암(2)을 회전시킴으로써 트렁크 리드(3)가 열리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트렁크 리드 힌지아암 조립체는, 토션 바가 보유한 토션력을 이용하여 작동되는 구조이지만, 그 구조상 시간이 경과하면서 토션 바의 변형 등에 의하여 탄성력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
토션 바의 탄성력이 떨어질 경우, 트렁크 리드를 열었을 때 트렁크가 완전히 열리지 못하고 트렁크 리드의 자중에 의하여 하방으로 처지기 때문에 트렁크 실에 물건을 싣고 내릴 때 매우 불편할 뿐만 아니라, 트렁크 리드가 급격히 닫혀서 트렁크 리드와 차체 사이에 사람의 목이 끼이는 안전사고를 초래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힌지 아암에는 슬라이더를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고, 그 슬라이더 내부에는 차체패널에 힌지 결합된 가이드 바의 끝부분이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트렁크 리드를 열었을 때, 트렁크 리드가 처지지 않도록 하여 안전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자동차의 트렁크 리드 힌지아암 조립체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구성은, 트렁크 리드를 회동시킬 수 있도록 차체패널의 후면에 힌지 결합된 힌지아암과, 상기 차체패널의 후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토션 바와, 상기 토션 바의 토션력을 상기 힌지아암에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토션 바와 상기 힌지아암 사이에 설치된 링크를 구비하는 자동차의 트렁크 리드 힌지아암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힌지아암의 중간에 슬라이더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더의 중간에는 내부를 관통하는 관통부가 형성되며, 상기 차체패널의 일측에는 가이드 바의 한쪽이 힌지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 바의 다른 쪽은 상기 슬라이더의 관통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며, 상기 가이드 바의 바깥면에는 상기 관통부에 접촉되는 지지부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더의 관통부는 그 양쪽부분의 폭이 중간부분의 폭 보다 넓게 형성되며, 상기 관통부를 지나가는 상기 지지부는 상기 가이드 바의 길이방향을 따라 원호형으로 형성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트렁크 리드 힌지아암 조립체를 보인 것으로, 도 3은 트렁크 리드의 열림을 보인 것이고, 도 4는 트렁크 리드의 닫힘을 보인 종단면도이며, 도 5는 도 3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6은 슬라이더의 관통부와 가이드 바의 지지부의 접촉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평단면도이다.
통상적으로 토션 바, 링크, 힌지 아암 그리고 본 발명의 슬라이더, 가이드 바 등은 좌우 동일한 형태로 설치되는 한 쌍의 구성부품으로서, 이하의 설명에서는 좌우 양쪽의 구성부품 중 한쪽만을 도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내지 도 6에 보인 바와 같이, 트렁크 리드(3)를 회동시킬 수 있도록 차체패널(4)의 후면에는 힌지아암(2)이 힌지(2a)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차체패널(4), 보다 정확하게는 트렁크 룸과 인접하는 차체패널(4)의 후면에는 토션 바(1)가 설치되는데, 토션 바(1)는 그 양쪽이 서로 엇갈리게 교차 배열된다(도시하지 않음).
토션 바(1)의 교차 배열로 인하여 트렁크 리드(3)를 열고 닫을 때 토션력이 발생하는 데, 상기 토션 바(1)의 토션력을 힌지아암(2)에 전달할 수 있도록 토션 바(1)와 힌지아암(2) 사이에는 링크(6)가 연결 설치된다.
본 발명의 특징으로 힌지아암(2)의 중간에는 슬라이더(110)가 고정 핀(P)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슬라이더(110)는 고정 핀(P)에 의해 힌지아암(2)에 설치되는 것이고, 슬라이더(110)의 중간부분에는 그 내부를 관통하는 관통부(111)가 형성되는데, 상기 관통부(111)는 그 양단에서의 직경이 중앙부분에서의 직경보다 크다. 즉, 관통부(111) 내측면의 중앙부는 돌출형성되어 있다.
차체 패널(4)의 후면 일측에는 가이드 바(120)의 일단이 힌지(H) 결합되는 바, 가이드 바(120)의 일단은 힌지(H)에 고정된 고정단이고 다른쪽은 자유단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이드 바(120)는 힌지(H)를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미 설명 부호 B는 가이드 바(120)를 설치하기 위한 마운팅 브래킷을 보인 것이다.
가이드 바(120)의 자유단 쪽은 슬라이더(110)의 관통부(111)에 끼워져 있는 데, 힌지아암(2)이 회동되면서 슬라이더(110)를 이동시킬 때 슬라이더(110)가 가이드 바(12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가이드 바(120)의 자유단 쪽(즉, 타단측)에는 그 둘레 외면에 지지부(121)가 돌출 형성된다. 지지부(121)는 가이드 바(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호형으로 성형되어 있다. 지지부(121)는 슬라이더(110)가 가이드 바(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할 때, 슬라이더(110)의 관통부(111)에 탄력적으로 접촉되도록 구성된다.
트렁크 리드(3)가 완전히 열린 후에는, 슬라이더(110)가 가이드 바(120)의 지지부(121)에 지지(접촉)되어 트렁크 리드(3)가 임의로 처지지 않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트렁크 리드가 닫힌 상태를 보인 것으로, 이 상태에서는 트렁크 리드(3)의 자중에 의해서 그리고 도시하지 않은 트렁크 리드 래치에 의해서 트렁크 리드(3)는 닫힌 상태를 유지한다.
트렁크 리드(3)가 닫힌 상태에서, 트렁크 리드 래치의 록킹을 해제하고 도 4에 보인 바와 같이, 트렁크 리드(3)를 들어 올리면 힌지 아암(2)은 힌지(2a)를 중심으로 반 시계 방향으로 회동된다.
또한, 힌지아암(2)에 핀(P) 고정된 슬라이더(110)는 힌지아암(2)의 회동 시, 힌지아암(2)과 함께 이동하는 데, 이때 슬라이더(110)의 관통부(111)에는 가이드 바(120)가 끼워져 있어, 슬라이더(110)는 가이드 바(120)를 따라 슬라이드 되면서 직선 운동을 한다.
힌지아암(2)의 회동과 동시에 토션 바(1)와 링크(6)도 회전되는 데, 힌지아암(2)이 회전되어 트렁크 리드(2)가 어느 정도 열리는 순간에 토션 바(1)의 토션력이 링크(6)를 통해 힌지아암(2)에 전달된다.
토션 바(1)의 탄성력에 의하여 트렁크 리드(3)는 완전히 열리며, 이와 동시에 슬라이더(110)는 가이드 바(120)의 지지부(121)에 접촉(저항)되면서 넘어가게 되는 데, 슬라이더(110)의 관통부(111) 내측면 중앙부가 가이드바(120)의 지지부(121)를 넘은 후, 지지부(121)는 슬라이더(110)가 후방으로 처지지 않도록 지지하게 되므로, 결과적으로 트렁크리드(2)를 다 열은 상태에서는 트렁크리드(2)가 하방으로 처지지 않고 일정하게 열림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반대로, 트렁크 리드(2)를 닫을 때에는, 힌지아암(2)과 슬라이더(110) 및 가이드 바(120) 등은 전술한 바와 같이 트렁크 리드(3)를 열 때 의 동작과 역순으로 작동된다.
도 6을 참조하여 슬라이더와 가이드 바의 슬라이드 이동 동작을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6에 실선으로 보인 바와 같이, 초기에 슬라이더(110)는 가이드 바(120)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다가, 도 6에 가상선으로 보인 바와 같이 관통부(111)가 지지부(121)에 저항을 받으며 넘어 가는 데, 이때 관통부(111)는 약간 탄성 변형된다.
트렁크 리드(3)를 열은 상태에서, 슬라이더(110)가 가이드 바(120)의 지지부(121)에 접촉(지지)되기 때문에, 토션 바의 변형 등에 의하여 토션 바(1)의 탄성력이 떨어지더라도 트렁크 리드(3)는 하방으로 처지지 않고 항상 제 위치를 유지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힌지아암에는 슬라이더를 설치하고 차체 패널 후면에는 슬라이더의 슬라이드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가이드 바를 회동 가능하게 설치하여, 트렁크 리드를 연 후에는 가이드 바가 슬라이더를 지지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장기간의 사용으로 토션 바의 탄성력이 떨어지더라도 트렁크 리드의 처짐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트렁크 실의 화물 적재를 편리하게 하고, 트렁크 리드의 갑작스런 닫힘을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트렁크 리드 힌지아암 조립체를 보인 것으로, 도 1은 트렁크 리드의 열림을 보인 것이고, 도 2는 트렁크 리드의 닫힘을 보인 종단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트렁크 리드 힌지아암 조립체를 보인 것으로, 도 3은 트렁크 리드의 열림을 보인 것이고, 도 4는 트렁크 리드의 닫힘을 보인 종단면도
도 5는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6은 슬라이더의 관통부와 가이드 바의 지지부의 접촉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평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토션 바 2 : 힌지아암
3 : 트렁크 리드 4 : 차체패널
5 : 마운팅 브래킷 6 : 링크
110 : 슬라이더 111 : 관통부
H : 힌지 B : 브래킷
120 : 가이드 바 121 : 지지부

Claims (2)

  1. 트렁크 리드(3)를 회동시킬 수 있도록 차체패널(4)의 후면에 힌지(2a) 결합된 힌지아암(2)과, 상기 힌지아암에 비틀림에 의한 토션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차체패널(4)의 후면에 설치된 토션바(1)와, 상기 토션 바(1)의 토션력을 상기 힌지아암(2)에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토션 바(1)와 상기 힌지아암(2) 사이에 설치된 링크(6)를 구비하는 자동차의 트렁크 리드 힌지아암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힌지아암(2)의 중간에 슬라이더(11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더(110)의 중간에는 내부를 관통하는 관통부(111)가 형성되며; 상기 차체패널(4)의 일측에는 가이드 바(120)의 일단이 힌지(H)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 바(120)의 타단에는 상기 슬라이더(110)가 관통부(111)를 통하여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며; 상기 가이드 바(120)의 타단부 일측의 둘레면에는,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시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방향에 대한 저항력이 제공되도록, 상기 관통부(111)에 접촉되는 지지부(12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트렁크 리드 힌지아암 조립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110)의 관통부(111)는 그 양쪽 부분의 폭이 중간부분의 폭 보다 넓게 형성되며, 상기 관통부(111)를 지나가는 상기 지지부(121)는 상기 가이드 바(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원호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트렁크 리드 힌지아암 조립체.
KR10-2002-0033012A 2002-06-12 2002-06-12 자동차의 트렁크 리드 힌지아암 조립체 KR1004758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3012A KR100475854B1 (ko) 2002-06-12 2002-06-12 자동차의 트렁크 리드 힌지아암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3012A KR100475854B1 (ko) 2002-06-12 2002-06-12 자동차의 트렁크 리드 힌지아암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6498A KR20030096498A (ko) 2003-12-31
KR100475854B1 true KR100475854B1 (ko) 2005-03-10

Family

ID=32386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3012A KR100475854B1 (ko) 2002-06-12 2002-06-12 자동차의 트렁크 리드 힌지아암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585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32168A (ja) * 1995-11-09 1997-05-20 Kanto Auto Works Ltd ラッゲージドア開閉機構
JPH10236337A (ja) * 1997-02-25 1998-09-08 Mazda Motor Corp 自動車のトランクリッド開閉構造、その組立方法及びその組立方法に使用する組立治具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32168A (ja) * 1995-11-09 1997-05-20 Kanto Auto Works Ltd ラッゲージドア開閉機構
JPH10236337A (ja) * 1997-02-25 1998-09-08 Mazda Motor Corp 自動車のトランクリッド開閉構造、その組立方法及びその組立方法に使用する組立治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6498A (ko) 2003-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82705B1 (en) Vehicle independent rear access panel with four bar hinge
KR100364271B1 (ko) 자동차의 테일게이트 절첩장치
KR100475854B1 (ko) 자동차의 트렁크 리드 힌지아암 조립체
CN114687635A (zh) 车门的两级打开结构
US3211494A (en) Hinge stop
KR960016478B1 (ko) 자동차용 도어힌지
KR100461061B1 (ko) 자동차의 테일게이트 열림각 제한장치
KR100410819B1 (ko) 자동차의 테일게이트 글래스 힌지구조.
KR200143354Y1 (ko) 자동차의 2단링크형 본네트 힌지
KR100453098B1 (ko) 자동차용 도어 체커
KR200146219Y1 (ko) 차량 트렁크 리드 힌지구조
KR100197016B1 (ko) 자동차의 도어 체크 링크
KR100320876B1 (ko) 자동차용 트렁크 리드 힌지 구조
KR200158569Y1 (ko) 도어체크링크의 유동방지구조
KR0115641Y1 (ko) 차량의 테일게이트 개폐장치
JPH0314661B2 (ko)
KR100383927B1 (ko) 자동차용 테일 게이트 풀 핸들
KR100483799B1 (ko) 자동차용 도어 체커
KR100368380B1 (ko) 자동차의 트렁크 리드 힌지아암 조립체
KR19990033760A (ko) 차량용 트렁크리드의 힌지어셈블리
KR0124044Y1 (ko) 자동차의 트렁크 리드 힌지의 링크 구조
KR0120271Y1 (ko) 힌지를 이용한 차량용 도어 체커
KR200158034Y1 (ko) 자동차용 도어 힌지
KR0118551Y1 (ko) 도어체크 기능을 갖는 자동차용 도어힌지
KR20050057779A (ko) 차량의 트렁크 리드의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0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