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8081B1 - 차량의 사이드 도어 보강 구조물 - Google Patents

차량의 사이드 도어 보강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8081B1
KR100228081B1 KR1019950042829A KR19950042829A KR100228081B1 KR 100228081 B1 KR100228081 B1 KR 100228081B1 KR 1019950042829 A KR1019950042829 A KR 1019950042829A KR 19950042829 A KR19950042829 A KR 19950042829A KR 100228081 B1 KR100228081 B1 KR 1002280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door
reinforcement
bent
center pillar
pillar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428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6137A (ko
Inventor
최국선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500428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8081B1/ko
Publication of KR9700261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61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80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80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2Reinforcement elements
    • B60J5/0456Behaviour during impact
    • B60J5/0458Passive coupling of the reinforcement elements to the door or to the vehicle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which protect the occupants against personal attack from the inside or the outside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02Type of accident
    • B60R2021/0006Lateral colli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사이드 도어 보강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사이드 도어 보강 구조물에 있어서, 프런트 사이드 도어에 차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되, 전방단부가 프런트 사이드 도어 인너패널에 고정되며, 센터 필러부까지 연장된 후방단부가 실내 방향으로 절곡되는 걸림 보강부재와; 리어 사이드 도어에 차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되, 후방단부가 리어 사이드 도어 인너패널에 고정되며, 센터 필러부까지 연장된 전방단부가 상기 걸림 보강부재의 절곡부분과 엇갈린 상태로 이격된 체 마주보도록 실외방향으로 절곡되는 버팀 보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사이드 도어 보강 구조물은, 측면 충돌시 한 쌍의 보강부재의 버팀력으로 인해 센터 필러부의 꺽임이 방지되고, 사이드 도어의 실내 침입이 감소되어 승탑자의 부상 및 부상정도를 경감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의 사이드 도어 보강 구조물
본 발명은 차량의 사이드 도어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프런트 및 리어 사이드 도어의 연결 부위에 보강부재를 설치하여 측면 충돌시 사이드 도어의 실내 침입을 차단하기 위한 사이드 도어 보강 구조물(structure for reinforcing the side door)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에 있어서, 사이드 도어는 본질적으로 특정 강도를 가지므로 측면 충돌시에도 어느 정도는 저항을 할 수 있게 된다. 여러 가지 시험 및 분석에 의해, 도어의 측면 강도가 여타부분에 비해 약하다는 것이 밝혀지고 있으며, 사이드 도어는 충격을 받으면 센터 필러부(center pillar)를 넘어서 차량의 실내 쪽으로 밀리게 되어 승탑자에게 치명적인 손상을 가하게 된다.
따라서, 승탑자의 상해정도를 낮추는 것이 필요하게 되었고, 이에 보조를 맞추어서, 북미나 유럽뿐만 아니라 국내에서도 측면 충돌시의 상해에 대한 기준값이 설정되었으며, 기존의 패널 강도의 적절한 배합만에 의해서도 소정 목표값에 어느 정도 근접할 수는 있었지만 도어의 구조 및 제조상의 여러 가지 난점들어 인하여 그 한계가 엄연히 존재하게 되어 충분히 만족할 만한 정도의 수치를 얻기는 어려웠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차량의 측면부에 작은 충격등에 의한 사이드 도어의 아우터패널의 굴곡방지를 위한 도어 멤버(door member)가 사이드 도어 내부 상부에 장착되고, 측면 충돌에 대한 강도를 확보하기 위한 보강재인 사이드 도어 빔(side door beam)이 사이드 도어 내부 하부에 장착된다.
그러나, 측면 충돌시 제일 중요한 버팀 역할을 해주는 센터 필터부에는 별도의 보강 구조가 제공되지 않기 때문에 그에 따른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이에 따른 종래 기술을 보면, 제1도에는 종래 기술에 따른 사이드 도어가 장착된 승용차량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제2도에는 제1도의 선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은 센터 필러부에는 사이드 도어가 개방되는 프런트 사이드 도어 아우터패널(10)과 인너패널(12)이 연결된다. 그리고, 리어 사이드 도어의 아우터패널(14)과 인너패널(16)이 연결되며,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은 힌지부가 장착되어 힌지축을 중심으로 리어 사이드 도어가 개방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에 따른 사이드 도어는, 특히 센터 필러부상에 상기한 바와 같이 별도의 보강 구조가 제공되지 않아 측면 충돌시 센터 필러부의 꺽임이 발생하고 사이드 도어가 실내로 밀려들어와 승탑자에게 치명적인 손상을 가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기술에 따른 사이드 도어에 내재되었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프런트 리어 사이드 도어에 보강부재를 설치시키므로서 측면 충돌시 센터 필러부의 꺽임과 사이드 도어의 실내로의 침입이 방지되어 승탑자의 부상을 경감시킬 수 있는 사이드 도어 보강 구조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제1도는 종래 기술에 따른 사이드 도어가 장착된 승용차량을 개랴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선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사이드 도어 보강 구조물이 장착된 승용차량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제4도는 제3도의 선 B-B를 따라 취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20 : 프런트 사이드 도어 아우터패널 12,22 : 프러트 사이드 도어 인너패널
14,24 : 리어 사이드 도어 아우터패널 16,26 : 리어 사이드 도어 인너패널
28 : 걸림 보강부재 30 : 버팀 보강부재
본 발명에 따른 사이드 도어 보강 구조물로 상기 목적은 쉽게 달성되며, 본 발명의 일면에 따라, 사이드 도어 보강 구조물에 있어서, 프런트 사이드 도어에 차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되, 전방단부가 프런트 사이드 도어 인너패널에 고정되며, 센터 필러부까지 연장된 후방단부가 실내 방향으로 절곡되는 걸림 보강부재와 : 리어 사이드 도어에 차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되, 후방단부가 리어 사이드 도어 인너패널에 고정되며, 센터 필러부까지 연장된 전방단부가 상기 걸림 보강부재의 절곡부분과 엇갈린 상태로 이격된 체 마주보도록 실외방향으로 절곡되는 버팀 보강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걸림 보강부재와 버팀 보강부재로 이루어진 상기 사이드 도어 보강 구조물이, 프런트 및 리어 사이드 도어패널의 상, 중, 하부에 각각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3쌍의 보강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한 특성들에 따라, 측면 충돌시 한쌍의 보강부재의 버팀력으로 인해 센터 필러부의 꺽임이 방지되고, 사이드 도어의 실내 침입이 감소되어 승탑자의 부상 및 부상정도를 경감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술한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사이드 도어 보강 구조물이 장착된 승용차량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제4도는 제3도의 선 B-B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사이드 도어 보강 구조물은, 센터 필러부 상에 위치한 구조물로 프런트 사이드 도어 인너패널(22)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걸림 보강부재(28)와, 리어 사이드 도어 아우패널(24)을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걸림 보강부재(28)와 협력하여 작동하는 버팀 보강부재(30)를 포함한다.
상기 걸림 보강부재(28)는, 프런트 사이드 도어에 차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빔(beam) 형상으로서, 전방단부가 프런트 사이드 도어 인너패널(22)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인너패널(22)을 관통한 후방단부가 센터 필러부 부근에서 실내 방향으로 절곡되게 형성된다.
상기 버팀 보강부재(30)는, 리어 사이드 도어에 차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빔 형상으로서, 후방단부가 리어 사이드 도어 인너패널(26)에 고정 설치되며, 리어 사이드 도어 아우터패널(28)을 관통한 전방단부가 센터 필러부 부근에서 실외 방향으로 절곡되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걸림 보강부재(28)와 상기 버팀 보강부재(30)는 동일한 높이에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보강부재(28)(30)의 절곡된 부분이 상호 엇갈린 상태에서 일정간격 이격된 체 상호 마주보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상기 차량의 측면 충돌시, 걸림 보강부재(28)가 버팀 보강부재(30)까지만 침입된 후, 걸림 보강부재(28)와 버팀 보강부재(30)의 각 절곡 부분이 상호 결합되어 차량의 프런트 및 리어 사이드 도어를 차 길이방향으로 연결하는 보강빔 역할을 하게 됨으로써 센터 필러부의 꺽임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한 쌍으로 이루어진 보강부재(28)(30)는, 필요에 따라 각기 다른 높이를 갖는 다수의 쌍으로 설치될 있으나, 도어글래스 부분을 제외한 도어부분, 즉 리어 및 프런트 사이드 도어패널을 상, 중, 하부로 각각 그 높이를 구분하고, 각 부에 각각 한쌍씩의 보강부재(28)(30)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걸림 보강부재와 버팀 보강부재로 이루어진 상기 사이드 도어 보강 구조물이, 프런트 및 리어 사이드 도어패널의 상, 중, 하부에 각각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3쌍의 보강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사이드 도어 보강 구조물.
본 발명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에 따라 측면 충돌시 한쌍의 보강부재의 버팀력으로 인해 센터 필러부의 꺽임이 방지되고, 사이드 도어의 실내 침입이 감소되어 승탑자의 부상 및 부상정도를 경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한 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다.

Claims (2)

  1. 사이드 도어 보강 구조물에 있어서, 프런트 사이드 도어에 차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되, 전방단부가 프런트 사이드 도어 인너패널에 고정되며, 센터 필러부까지 연장된 후방단부가 실내 방향으로 절곡되는 걸림 보강부재와 : 리어 사이드 도어에 차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되, 후방단부가 리어 사이드 도어 인너패널에 고정되며, 센터 필러부까지 연장된 전방단부가 상기 걸림 보강부재의 절곡부분과 엇갈린 상태로 이격된 체 마주보도록 실외방향으로 절곡되는 버팀 보강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사이드 도어 보강 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보강부재와 버팀 보강부재로 이루어진 상기 사이드 도어 보강 구조물이, 프런트 및 리어 사이드 도어패널의 상, 중, 하부에 각각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3쌍의 보강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사이드 도어 보강 구조물.
KR1019950042829A 1995-11-22 1995-11-22 차량의 사이드 도어 보강 구조물 KR1002280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42829A KR100228081B1 (ko) 1995-11-22 1995-11-22 차량의 사이드 도어 보강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42829A KR100228081B1 (ko) 1995-11-22 1995-11-22 차량의 사이드 도어 보강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6137A KR970026137A (ko) 1997-06-24
KR100228081B1 true KR100228081B1 (ko) 1999-11-01

Family

ID=19435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42829A KR100228081B1 (ko) 1995-11-22 1995-11-22 차량의 사이드 도어 보강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808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257386A1 (fr) * 2022-04-07 2023-10-11 Renault s.a.s Côté de caisse de véhicule comprenant un moyen de retenue d'une porte coulissante en cas de choc transversal depuis l habitacle vers l extérieu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257386A1 (fr) * 2022-04-07 2023-10-11 Renault s.a.s Côté de caisse de véhicule comprenant un moyen de retenue d'une porte coulissante en cas de choc transversal depuis l habitacle vers l extérieur
FR3134351A1 (fr) * 2022-04-07 2023-10-13 Renault S.A.S. Côté de caisse de véhicule comprenant un moyen de retenue d’une porte coulissante en cas de choc transversal depuis l’habitacle vers l’extérieu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6137A (ko) 1997-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20093219A1 (en) Reinforced door frame for a motor vehicle
KR100412906B1 (ko) 자동차의 프런트필러패널어셈블리 구조
KR100228081B1 (ko) 차량의 사이드 도어 보강 구조물
US6957844B2 (en) Mounting plate for vehicle door reinforcement members
KR200160051Y1 (ko) 차량의 센터필러 보강 구조물(structure for reinforcing the center pillar)
KR200161669Y1 (ko) 차량의 센터 필러 보강 구조물(structure for reinforcing the center pillar)
KR200197872Y1 (ko) 차량용 루프패널의 보강구조
KR200210033Y1 (ko) 자동차의 차체 보강용 프레임 구조
KR200158457Y1 (ko) 리어 도어의 보강구조
KR0133768B1 (ko) 자동차 전면기둥의 하부구조
KR0132549Y1 (ko) 도어 임팩트빔의 고정구조
KR0148463B1 (ko) 사이드 임팩트시 도어의 밀림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
KR100210142B1 (ko) 차량용 도어의 임팩트 빔 장착구조
KR0127088Y1 (ko) 도어 임팩트 빔 브래킷
KR0181846B1 (ko) 자동차의 측면도아 충격흡수구조
KR100208817B1 (ko) 차량 도어 임펙트빔
KR100192840B1 (ko) 자동차의 센터필러부 보강구조
KR19990021291A (ko) 자동차 사이드실 보강구조
KR100273803B1 (ko) 차량용 필라 트림 강도 보강리브
KR100383936B1 (ko) 자동차용 도어의 안전빔
KR200161057Y1 (ko) 리어도어용 글래스가이드 브라켓구조
KR19980027165A (ko) 자동차 스트레치 바디의 센터필러구조
KR0139645Y1 (ko) 자동차의 프론트필라부 바디 보강구조
KR100231560B1 (ko) 자동차용도어의보강재취부구조
KR200148035Y1 (ko) 차량도어용 임펙트바의 보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73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