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7329B1 - 균사체의 함유 배지로부터 추출액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균사체의 함유 배지로부터 추출액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7329B1
KR100227329B1 KR1019960059068A KR19960059068A KR100227329B1 KR 100227329 B1 KR100227329 B1 KR 100227329B1 KR 1019960059068 A KR1019960059068 A KR 1019960059068A KR 19960059068 A KR19960059068 A KR 19960059068A KR 100227329 B1 KR100227329 B1 KR 1002273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ycelium
enzyme
cell wall
medium
so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90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43056A (ko
Inventor
히토시 나가오카
Original Assignee
히토시 나가오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토시 나가오카 filed Critical 히토시 나가오카
Publication of KR9700430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3056A/ko
Priority to KR10199900141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86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73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73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06Lysis of 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00Mixing or kneading machines for the preparation of dough
    • A21C1/14Structural elements of mixing or kneading machines; Parts; Accessories
    • A21C1/142Feeding mechanisms, e.g. skip lifting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1Mechanical treat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Vir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smetics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균사체 함유 배지로부터 유용성분의 제1추출방법에서는, 바가스(bagasse)를 기재로 하는 고체 배지상에 담자균류를 접종하고, 이어서 균사체를 증식하여 얻어지는 균사체를 함유하는 고체 배지를 압착하여 착즙액(ⅰ)을 얻는 동시에, 착즙액(ⅰ)이 분리된 균사체를 함유하는 고체 잔사 성분에 물 및 효소, 바람직하게는 물 및 균사체 세포벽 용해효소를 첨가하여 3060로 유지하면서 교반하여 균사체 세포벽을 용해시키고, 이어서 95까지 가열하여 상기 효소를 실활(deactivation)시키는 동시에 멸균하여 세포벽 용해 생성물 함유액(ⅱ)을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2방법에서는, 상기와 같이 분리하여 얻어진 균사체를 함유하는 고체 잔사 성분을 일단 해속(解束)한 후 물 및 효소, 바람직하게는 물 및 균사체 세포벽 용해효소를 첨가하여 상기 온도에서 당해 고체성분을 분쇄, 갈아서 균사체 세포벽을 용해하고, 이어서 상기와 같이 효소 실활, 멸균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3방법에서는 상기와 동일하게 하여 얻어진 균사체를 함유하는 고체 배지를 해속하고, 해속된 고체 배지를-1, 3-글루카나제 함유액(a), 바람직하게는-1, 3-글루카나제를 주성분으로 하고 키티나제, 셀룰라제를 함유하는 효소액(a)와 3060의 온도에서 165분간 접촉시켜 균사체 세포벽을 용해시키고, 이어서 얻어진 세포벽 용해 생성물 함유액을 95까지 가열하여 상기 효소를 실활시키는 동시에 멸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균사체 함유 배지로부터 유용성분을 단시간에 고수율로 얻을 수 있다. 특히 제1방법에 의하면,-글루칸 등을 고농도로 함유하고 항종양 효과가 우수한 추출액이 얻어진다. 상기 착즙액 성분에는 균사체의 대사성분과 함께 사이토키닌양 물질 등이 고농도로 함유되고 투명하여 드링크제, 식물 호르몬제, 화장품 원료 등으로 이용이 기대된다.
특히 제3방법에 의하면-글루칸과 글루코즈에 더하여 사이토키닌양 물질 등이 고농도로 함유된 추출물이 얻어져, 상기와 같은 용도로 이용이 기대된다.
[색인어]
담자균류, 균사체, 배지, 추출액, 세포벽 용해 효소, 글루카나제, 키티나제, 셀룰라제, 프로테아제

Description

균사체 함유 배지로부터 추출액의 제조방법
발명은 균사체 함유 배지로부터 추출액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담자균류 균사체(菌絲體) 및 배지로부터 유용성분을 단시간에 고수율로 얻을 수 있는, 균사체 함유 배지로부터 추출액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예로부터 표고버섯, 송이버섯, 팽이버섯 등의 담자균류 버섯은 식용으로 되어 있고, 그 중에는 담자균류 말굽버섯과에 속하는 버섯과 같이 한방약으로도 사용되고 있는 것도 있다.
한편으로는, 이와 같은 담자균류로부터 유용성분을 추출하는 여러 가지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일본 특개소54-46859호 공보에는 담자균류를 주로하여 바가스(bagasse)로 이루어지는 배지에 접종하여 균사를 번식시킨 후, 이 균사체 번식 배지를 압착하여 유용성분을 채취하는 보건식품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 방법에서 사용되는 배지에서 바가스 자체의 효용에 대해서는, 예를 들어 오까스떼미 등에 의한 논문「식물 다당의 항종양작용(바가스 다당체의 분류법(分留法)과 항종양작용), GANN 39호, 3542쪽, 1968년 2월」에 의하면, 바가스 다당체의 조말(粗末)로부터 얻어지는 분류물에는 갈락토즈, 아라비노즈, 키실로즈, 만노즈와 소량의 글루코스가 포함되는데, 당해 분류물을 정맥 주사한 결과 마우스의 피하에 이식한 Sarcoma180(육종, 악성종양)의 성장에 현저한 저해 효과를 나타낸 것이 기재되어 있어, 바가스 성분 섭취의 보건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공보에 기재된 방법에서는 분리액중 유효성분의 농도가 낮고 시간과 노력이 드는 농축조작이 필요한 것 등, 추출효율이 나쁘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예의 연구하여, 본 출원인은 먼저 「바가스를 기재로 하는 고체 배지 상에 팽이버섯균을 접종하고, 이어서 균사체를 증식하여 얻어지는 균사체 함유 고체 배지를, 12 메시 통과분이 30 중량% 이하로 되도록 해속(解束)하고, 이 해속된 고체 배지에 물 및 셀룰라제, 프로테아제 또는 글루코시다제로부터 선택되는 효소 1종 이상을 첨가하고, 또 상기 고체 배지를 효소의 존재하에서 분쇄하고 갈아서 바가스 섬유의 적어도 70 중량% 이상이 12 메시 통과분이 되도록 하고, 이어서 95까지 가열하여 효소를 실활(失活)시키면서 멸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버섯 균사체 및 바가스 배지로부터 유용성분의 추출방법」을 일본 특원소62-34123호로서 제안하였다.
그리고, 일본 특공소60-23826호 공보에서, 본 발명자 등은 접종균으로서 표고버섯균을 사용한 것 이외는 상기 특원소62-34123호의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보건음료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또한, 일본 특원소59-5355호 (특공소4-35149호 공보), 일본 특원소59-5356호(특공평4-6171호 공보)에는, 영지균을 이용한 보건음료의 제조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본원 출원인이 제안한 이들 방법에 의하면, 상기 균사체(팽이버섯 균사체, 표고버섯 균사체 또는 영지 균사체) 및 바가스 배지로부터 유용성분을 고농도로 추출할 수 있다.
그러나, 이들 방법에서는 통상 추출효율 등의 관점에서, 효소를 첨가한 고체 배지를 갈아서 교반처리하는 것은 통상 3050로 가열하여 행해지고, 효소 실활처리는 95까지의 온도로 가열하여 행해지며, 나아가 멸균처리도 가열하에 행해지는 등, 몇 번이라도 가열처리를 행하는 일 많다.
본 발명자등은 추출효율의 향상 등을 지향하여 예의 연구한 바, 증식시킨 담자균류의 균사체를 함유하는 바가스 배지를 압착하여 균사체를 함유하는 고체성분과 착즙액으로 분리한 후, 이 균사체를 함유하는 고체성분에 특정 처리를 가하거나, 또는 증식시킨 담자균류의 균사체를 함유하는 바가스 배지를 해속하고, 이 균사체를 함유하는 바가스 배지에 특정 조건하에서 특정 효소류를 접촉(작용)시키고, 이어서 얻어진 세포벽 용해 생성물 함유액을 가열하여 상기 효소류를 실활시키는 동시에 멸균하게 되면, 담자균류 균사체 및 바가스 고체 배지로부터-글루칸 등 의 유용성분을 효율좋게 추출할 수 있다는 것 등을 찾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른 것이다.
또한 「새로운 세포벽 용해효소에 대하여」(시마다신이찌로 저, New Food Industry, Vol. 28, No. 8 (1986)) 라는 제목의 논문에는, 버섯류의 평버섯, 팽이버섯을 완전배양하여 이루어진 균체를 「판세라제」(주식회사 야쿠르트 본사의 효소시약 상품명) 2% 용액(pH 5.6)으로 30의 온도조건하에서 1시간 또는 2시간 처리하여 프로토플라스트를 생성시키는 것이 기재되어 있고, 또 표고버섯 균사에서도 프로트를라스트가 생성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당해 논문에는 담자균류 균사체 및 바가스 고체 배지로부터-글루칸 등의 유용성분을 어떻게 하면 효율좋게 추출할 수 있는가의 점에 대하여는 전혀 시사하는 바 없다. 상기 조건하에서 이와 같은 장시간에 걸쳐 상기 균체와 판세라제를 접촉시키는 것으로는, 항종양작용을 갖는-글루칸 등과 같은 유용성분을 담자균류 균사체 및 바가스 고체 배지로부터 효율좋게 추출될 수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수반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 것으로, 균사체 및 배지로부터 유용성분을 단시간에 고수율로 얻을 수 있는 균사체 함유 배지로부터 추출액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균사체 함유 배지로부터 유용성분의 제1추출방법은, 바가스(bagasse)를 기재로 하는 고체 배지 상에 담자균류를 접종하고, 이어서 균사체를 증식하여 얻어진 균사체를 함유하는 고체 배지를 압착하여 맑은 착즙액(搾汁液;i)을 얻는 동시에, 당해 착즙액(ⅰ)이 분리된 균사체를 함유하는 고체 잔사 성분(고체성분)에 물 및 효소 (바람직하게는 균사체 세포벽 용해효소를 함유하는 효소류)를 첨가하여 3060로 유지하면서 교반하여 균사체 세포벽을 용해(분해)시키고, 이어서 95까지 가열하여 상기 효소를 실활시키는 동시에 멸균하여, 세포벽 용해 생성물 함유액(ⅱ)을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태양에 있어서, 상기 세포벽 용해 생성물 함유액을 더욱 고액 분리(예; 압착, 원심분리)한 후 얻어진 분리액을 상기와 같이 95까지 가열하여 상기 효소를 실활시키는 동시에 멸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제2방법에 있어서는, 바가스를 기재로 하는 고체 배지 상에 담자균류를 접종하고, 이어서 균사체를 증식하여 얻어진 균사체를 함유하는 고체 배지를 압착하여 맑은 착즙액(ⅰ)을 얻는 동시에, 당해 착즙액(i)이 분리된 균사체를 함유하는 고체 잔사 성분(고체성분)을 해속하고, 이 해속된 고체 잔사 성분(고체성분)에 물 및 효소(바람직하게는 세포벽 용해효소를 함유하는 효소류)를 첨가하여 3060로 유지하면서 상기 고체성분을 분쇄하고 갈아서 균사체 세포벽을 용해시키고, 이어서 (필요에 따라 더욱 고액분리 처리하여 얻어진 분리액을) 95까지 가열하여 상기 효소를 실활시키는 동시에 멸균하여, 세포벽 용해 생성물 함유액(ⅱ)을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3방법에 있어서는, 바가스를 기재로 하는 고체 배지 상에 담자균류를 접종하고, 이어서 균사체를 증식하여 얻어진 균사체를 함유하는 고체 배지를 해속하고, 해속된 고체 배지를-1,3-글루카나제 함유액(a)과 3060의 온도에서 165분간 접촉시켜 균사체 세포벽을 용해시키고, 이어서 얻어진 세포벽 용해 생성물 함유액을 95까지 가열하여 상기 효소류를 실활시키는 동시에 멸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제3방법에 있어서는, 고체 배지 l㎏에 대하여 농도 0.010.1중량%의 효소액(a)를 1002000㎖의 양으로 작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고체 배지와 효소액(a)의 접촉은, 상기 해속된 고체 배지를 상기 효소액(a)에 침지시켜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제3방법에 있어서는, 상기 세포벽 용해 생성물 함유액을 일단 고액분리한 후, 얻어진 분리액을 상기와 같이 95까지 가열하여 상기 효소류를 실활시키는 동시에 멸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태양에 있어서는, 상기 제1제2의 어느 방법에 있어서도, 상기 효소로서-1,3-글루카나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1,3-글루카나제 이외에 키티나제, 셀룰라제, 프로테아제 중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함유하는 것(예; 「판세라제」함유액)이 요망된다. 제3방법에 있어서도,-1,3-글루카나제 이외에 키티나제, 셀룰라제, 프로테아제 중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함유하는 것이 요망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태양에 있어서는, 상기 담자균류가 표고버섯, 팽이버섯, 영지, 춤버섯 중 어느 한 종인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 영지, 춤버섯 중 어느 한 종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3의 어느 방법에 의해서도, 담자균류 균사체 함유 배지로부터 유용성분을 단시간에 고수율로 얻을 수 있다.
상기 제1제2방법에 의하면 담자균류의 세포벽 분해물이고 항종양효과 및 항바이러스효과가 있는-글루칸 등이 고농도로 함유되어 있으며, 특히 항종양효과가 우수한 세포벽 용해 생성물 함유액(분리액)이 얻어진다. 또한 이들 방법에서는 효소의 실활, 멸균을 행하는 열처리공정이 최종공정에서의 1회 만으로 끝난다는 효과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제2의 방법에서 얻어지는 착즙액에는 균사체의 대사성분인 글루코즈 등과 함께 면역부활작용, 식물에 대한 호르몬 작용을 갖는 사이토키니(cytokinin)양 물질 등이 고농도로 함유되어 있으며, 통상 투명하여 드링크제, 식물 호르몬제, 화장품 원료 등으로 이용이 기대된다.
상기 제3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추출액에는 상기 효과가 있는-글루칸 등이 고농도로 함유되어 있으며, 또한 글루코즈 등과 함께 사이토키닌양 물질 등도 고농도로 함유되어 있으며, 또한 이들 성분이 밸런스 좋게 함유되어 있어, 상기 용도에서 이용이 기대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균사체 함유 배지로부터 유용성분의 추출방법에 대하여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 1 및 제 2 방법]
[균사체의 배양]
본 발명에 있어서 고체 배지의 기재로서는 바가스 또는 바가스에 미강을 첨가한 것이 이용된다. 바가스는 사탕수수의 압착찌꺼기인데, 바가스중에는 균사체의 영양원으로 되는 당류 및 단백질이 함유되어 있어 그대로도 고체 배지로 될 수 있지만, 바가스 100 중량부에 대하여 미강 1030 중량부를 첨가하여 고체 배지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바가스를 기재로 하는 고체 배지에 표고버섯, 팽이버섯 등 담자균류의 종균을 접종한다. 담자균류가 접종된 고체 배지를 온도 및 습도, 나아가서 조도(照度)가 조절된 배양실내에 소정기간 방치하게 되면 고체 배지중에 담자균류 균사체가 증식한다. 담자균류로서는 통상 식용되고 있는 송이버섯, 표고버섯, 팽이버섯, 평버섯, 나메고버섯, 이구치버섯, 시메지버섯, 치치다케버섯 등의 송이목의 버섯류; 한약재로서 이용되거나 식용이 되는 고후기사루노고시가께, 시가사루노고시가께, 기와버섯, 영지버섯, 춤버섯 등의 사루노고시가께 목의 버섯류; 통상 식용이 되는 기꾸라게, 시로기꾸라게 등의 기꾸라게목 또는 시로기꾸라게 목의 버섯류;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담자버섯류의 버섯 중 배양의 용이성, 영양가, 약효 등의 관점에서 표고 버섯, 팽이버섯, 평버섯, 춤버섯, 영지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압착]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와 같이 담자균류 균사체가 배지중에 충분히 만연하면, 자실체의 발생 직전·직후의 시기에 얻어진 균사체를 함유하는 바가스 배지(바가스 배지 블록, 고체 배지라고도 함)를 압착하여 착즙액(i)(1차 추출액)과, 균사체를 함유하는 고체 잔사 성분(i-a)(고체성분이라고도 함)으로 분리하고, 착즙액(i)을 얻는다. 또, 바가스 배지의 압착은 상기와 같이 자실체의 발생 직전·직후의 시기에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압착 조작은 통상 50200㎏/㎠의 가압하에서 110분 정도, 바람직하게는 80180㎏/㎠의 가압하에서 35분 정도 행한다. 또, 본 발명에서 이와 같은 압착 조작은 1회도 좋고, 동일 또는 다른 압력 조건하에서 복수회로 나누어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2회로 나누어 상기 바가스 배지의 압착 조작을 행하는 경우, 1회째는 50100㎏/㎠의 가압하에서 110분 정도, 바람직하게는 6085㎏/㎠의 가압하에서 35분 정도 행하고, 2회째는 100200㎏/㎠의 가압하에서 110분 정도, 바람직하게는 150180㎏/㎠의 가압하에서 35분 정도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복수회로 나누어 단계적으로 승압하여 가압하거나, 또는 1회로 압착하는 경우, 서서히 승압시키면 배지로부터 착즙액의 추출이 배지 표면에만 치우치는 일 없이 배지 전체에서 대략 균등하게 착즙액을 효율좋게 추출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고체 잔사 성분(i-a)에는 표고버섯 균사체 등의 균사체성분이 거의 그대로 함유되어 있다. 그리고, 착즙액(i)에는 균사체의 대사성분인 글루코즈 등과 함께, 면역 부활(賦活)작용, 식물에 대한 호르몬 작용을 갖는 사이토키닌양 물질 등이 고농도로 함유되어 있고, 통상 맑아서, 이 착즙액(i)은 드링크제, 식물 호르몬제, 화장품 원료 등으로 이용이 기대된다.
그리고 이 착즙액(i)에는 세포내 물질 유래의 자기소화효소도 함유되어 있는데, 통상 이 효소는 가열하여 실활시키면 열변성하여 침전된다. 이와 같은 침전물에 다시 프로테아제 등의 단백질 분해효소를 작용시켜 아미노산 분해를 시켜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그 착즙액(i)의 이용가치는 더욱 향상된다.
[고체성분중 균사체 세포벽 용해]
본 발명에서는, 다음에 상기와 같이 하여 얻어진 균사체를 함유하는 고체 성분(i-a)에 물 및 효소, 바람직하게는 물 및 균사체 세포벽 용해 효소를 첨가하고, 3060, 바람직하게는 3055의 온도로 유지하면서 교반하여 균사체 세포벽을 용해시킨다. 상기 교반은 s통상 1060분간, 바람직하게는 1530분간 행해진다. 물의 양은 소망에 따라 적의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얻어진 균사체를 함유하는 고체성분(i-a)를 해속하고, 이 해속된 고체성분에 물 및 효소, 바람직하게는 물 및 균사체 세포벽 용해효소(세포벽 용해효소)를 첨가하여 상기 온도로 유지하면서 상기 고체성분을 분쇄하고 갈아서 균사체 세포벽을 용해시켜도 좋다. 또, 해속은 후술하는 제3방법과 마찬가지로 행하여도 좋다.
효소로서는 셀룰라제, 프로테아제,-1,3-글루카나제, 키티나제 등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균사체 세포벽 용해효소인-1,3-글루카나제를 주성분(첨가효소중 50.0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50.090.0 중량% 함유)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1,3-글루카나제를 주성분으로 하고 키티나제, 셀룰라제를 더욱 함유하고 있는 효소류가 사용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들 효소는 1종 단독으로 사용 될 수 있고, 또 상기와 같이 2종 이상을 적의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1,3-글루카나제를 주성분[50.090.0 중량% 함유]으로 하고, 또한 키티나제, 셀룰라제를 함유하고 있는 효소류는, 예를 들어 「판세라제」라는 상품명으로 주식회사 야쿠르트 본사에 의해 시판되는데, 이 판세라제는 트리코더마비리데(Trichoderma viride)의 한 균주가 생산하는 활성효소로, 주성분인-1,3-글루카나제 외에 키티나제, 셀룰라제 등을 함유하며 버섯 등의 세포벽을 용해(분해)하여 세포벽 분해 생성물을 생성시키는 동시에, 프로토플라스트의 조제가 가능하다(시마타신이시로 저. 「새로운 세포벽 용해효소에 관하여」, New Food Industry, Vol. 28, No. 8 (1986)참조).
효소의 첨가량은 사용되는 효소의 종류 또는 균사체의 종류 등에 따라 일괄하여 결정되지 못하지만, 압착후의 바가스 배지 1㎏에 대하여 통상 0.011.0g, 바람직하게는 0.30.5g의 양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판세라제로서는 바가스 배지 1㎏에 대하여 통상 0.050.9g, 바람직하게는 0.20.3g의 양으로 하는 것이 요망된다. 또한, 물은 금속 이온 등의 이온류를 함유하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고, 바가스 배지 1㎏에 대하여 0.51.5㎏, 바람직하게는 0.71.0㎏ 첨가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첨가하는 물의 pH는 반드시 조절할 필요는 없으나, 조절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판세라제는 pH 4.07.0, 바람직하게는 pH5.06.0으로 조절하는 것이 요망된다. 또한, 효소처리 온도는 판세라제에서 4055가 바람직하다.
[가열에 의한 효소 실활·멸균]
본 발명에 있어서, 다음에는 상기와 같이 효소처리하여 얻어진 세포벽 용해 생성물 함유액(ⅱ), 바람직하게는 하기와 같이 이 세포벽 용해 생성물 함유액(ⅱ)을 다시 고액분리하여 이루어지는 분리액(ⅲ)을 95까지의 온도, 바람직하게는 7090의 온도로 가열하고, 세포벽 용해용으로 첨가한 상기 효소 또는 바가스 중에 원래 함유되어 있는 효소를 실활시키는 동시에 멸균한다. 이와 같은 온도로 가열하면 얻어지는 세포벽 용해 생성물 함유액(ⅱ)(특히, 함유되어 있는-글루칸 등)또는 상기 분리액(ⅲ)의 변질을 방지할 수 있다.
[고액분리]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세포벽 용해 생성물 함유액(ⅱ)을 가열하여 효소를 실활시키는 동시에 멸균 처리를 행한 후에 고액분리하여도 좋고, 세포벽 용해 생성물 함유액(특히, 함유되어 있는-글루칸 등)을 일단 고액분리 처리한 후에 얻어진 분리액(2차 추출액)을 상기와 같이 가열하여 효소를 실활시키는 동시에 멸균하여도 좋다. 고액분리수단으로서는 상기와 같은 조건하에서의 압착 또는 원심분리, 여과 등의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하여 얻어진 분리액은 유(乳)갈색을 하고 있으며, 액중에는 미소한 부유물이 잔존하는 일이 있다. 이 미소한 부유물은 배지의 분해물 이외에 효소반응 및 가열에 의하여 응고한 단백질 및 전분질이다. 이 미소 부유물은 방치하는 것에 의해 침전시켜 분리하거나 또는 미세한 여과포 등을 사용하는 것에 의하여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분리액(현탁액)은 필요에 따라 다시 셀라이트, 멤브레인 필터 등을 사용하여 맑게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분리액(고체성분(i-a)으로부터의 추출액)에는, 담자균류의 세포벽을 분해하여 얻어진 세포벽 분해물인-글루칸, 키틴, 글루코즈 등이 고농도로 함유되어 있어, 특히 항종양효과가 우수하다.
본 발명에서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세포벽 용해 생성물 함유액(ⅱ)[바람직하게는 다시 고액분리하여 얻어진 분리액(ⅲ)]을 상기 압착공정에서 얻어진 착즙액(i)과 합하여 상기와 같은 조건하에서 가열하여 효소를 실활시키는 동시에 멸균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세포벽 용해 생성물 함유액(ⅱ)(바람직하게는 상기 분리액(ⅲ))과 상기 착즙액(i)을 함께 가열하여 효소 실활과 멸균을 행하는 경우에는, 압착공정에서 얻어진 착즙액(i)의 가열살균과 세포벽 용해 생성물 함유액(ⅱ) 또는 상기 분리액(ⅲ)의 가열살균과 별도로 행하는 경우에 비하여, 가열살균공정을 적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 이와 같이 효소실활·멸균에 의하여 얻어진 분리액에 다시 프로테아제 등의 단백질 분해효소를 작용시켜서 아미노산을 생성시켜도 된다.
[제 3 방법]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균사가 함유 배지로부터 유용성분의 제3추출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3방법에 있어서는 바가스를 기재로 하는 고체 배지 상에 담자균류를 접종하고, 이어서 균사체를 증식하여 얻어지는 상기와 같은 「균사체를 함유하는 고체 배지」를 사용한다. 이 제3방법에서는, 이 고체 배지를 해속하고, 해속된 고체 배지를-1,3-글루카나제 함유액(a)과 3060의 온도에서 165분간 접촉시켜 균사체 세포벽을 용해시키고, 이어서 얻어진 세포벽 용해 생성물 함유액을 95까지 가열하여 상기 효소류를 실활시키는 동시에 멸균하고 있다.
이하, 이 제3추출방법에 대하여, 제1추출방법과 다른 점을 중심으로 하여 각 공정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해속]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와 같이 하여 증식시킨 담자균류 균사체가 배지중에 충분히 만연하고 자실체가 발생하기 직전·직후의 시기에, 얻어진 균사체를 함유하는 배지(바가스 배지 블록, 고체 배지라고도 함)를 해속한다.
이와 같이 균사체를 함유하는 바가스 배지의 특히 섬유소를 해속하고, 통상 12메시 통과분이 30중량%이하가 되도록 한다. 이 바가스 섬유소를 해속하는 경우, 12메시 통과분을 30중량%이상으로 하려면 특수한 분쇄기 등이 필요하게 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바꾸어 말하면, 바가스 배지를 특수한 분쇄기 등을 사용하지 않고 해속한 경우에는 통상 12메시 통과분이 30중량% 이하로 된다. 또한, 바가스 배지의 해속은 자실체의 발생 직전 시기에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균사체 세포벽 용해]
다음에, 이와 같이 해속된 고체 배지를-1,3-글루카나제를 함유하는 효액(a)과 3060, 바람직하게는 3555온도에서 165분간, 바람직하게는 1060분간 접촉시켜서 균사체 세포벽을 용해시킨다.
이와 같은 온도에서 상기 시간 고체 배지와 상기 효소액(a)을 접촉시키면, 상기 효소뿐 아니라 균사체 유래의 효소도 세포벽 용해에 이용이 되고, 또 세포 독성으로서 프로토플라스트 파괴의 진행 등이 적어진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추출액에는 항종양 효과가 있는-글루칸 등이 고농도로 함유되어 있고, 또 균사체의 대사성분인 글루코즈 등과 함께, 면역부활작용, 식물에 대한 호르몬작용을 갖는 사이토키닌양 물질 등도 고농도로 포함되는데, 더욱이 이들 성분은 밸런스 좋게 포함되어 있다.
또한, 접종 균사체의 종류 등에 의해서도 적절한 효소처리온도는 변화하고, 일괄적으로 결정되는 것이 아니지만, 일반적으로 효소처리 온도가 상기 범위내에서는 높을수록 효소 활성은 저하하는 경향이 있어, 효소처리 시간은 상기 범위내에서는 길어지는 경향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해속된 고체 배지를 상기 효소액(a)과 접촉시켜 균사체 세포벽을 용해시키려면, 해속된 고체 배지를 이 고체 배지의 전체를 동시(일회)에 침지시키는데 충분한 양의 효소액(a)중에 침지하여도 되고, 또 효소액(a)을 상기 고체 배지에 끼얹어도 되고, 또한 이보다 작은 양의 효소액(a)중에 해속된 고체 배지를 넣고 교반 또는 진탕(震蕩)하여도 된다. 요컨대, 고체 배지가 실질적으로 상기 온도 및 시간에서 효소액(a)과 접촉하는 한, 그 접촉방법은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1,3-글루카나제를 함유하는 효소액(a)으로는 분산매가 물이고 분산질이-1,3-글루카나제를 함유하는 효소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1,3-글루카나제가 사용되는 효소류 중에서 50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5090 중량%의 양으로 포함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서는 당해 효소액(ad)에는 이-1,3-글루카나제에 더하여, 키티나제, 셀룰라제, 프로테아제 등의 효소류를 더 함유하여도 좋다. 본 발명에서는-1,3-글루카나제 함유하는 효소류(A)가 효소액(a)중에 총량으로 통상 0.510 중량%의 양, 바람직하게는 15중량%의 양으로 포함되는 것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효소(효소류)로서, 이와 같이-1,3-글루카나제를 주성분으로 함유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키티나제, 셀룰라제, 프로테아제 등도 함유하는 것(A)을 사용하면 배지의 미분쇄를 필요로 하지 않고 단시간에 균사체 세포벽을 용해(분해) 할 수가 있고, 또한 배지가 미분쇄되지 않은 효소 처리물로부터의 엑기스 추출은 단시간으로 끝나기 때문에 효소의 실활과 멸균을 행하는 열처리공정을 각각 별개로 행할 필요가 없고, 추출 최종공정을 총 1회로 행하여 마치게 되어 바람직하다.
효소액(a)의 양은 사용되는 균사체의 종류, 배지와 효소액(a)의 접촉방법의 상위, 효소액(a)의 농도 등에 의하여 달라지며 일괄적으로 결정되지 못하는데, 예를 들어 배지를 효소액(a)중에 침지시키는 경우에는 효소 총량으로 환산하여 바가스 배지 1㎏에 대하여 통상 0.11g, 바람직하게는 0.30.5g의 양이면 좋다. 환언하면, 바가스 배지 1㎏에 대하여 통상 0.010.1 중량%, 바람직하게는 0.030.05 중량% 농도의 효소액(a)으로는 통상 1002000㎖, 바람직하게는 5001000㎖의 양이 사용된다.
이와 같은 농도의 효소액을 사용하면 세포벽의 용해에 의하여-글루칸의 대량 생성 만이 효율좋게 촉진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이보다 고농도(예; 23%)의 판세라제 함유액 용액을 사용하면 상기 온도 및 시간의 조건하에서는 세포벽이 완전히 용해되어 버리고-글루칸은 대량으로 얻어지지 못하는 경향이 있다.
그리고 효소액(a)에 함유되는 물은 금속 이온 등의 이온류를 함유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고, 물은 바가스 배지 1㎏에 대하여 1002000g, 바람직하게는 5001000g이 첨가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효소액(a)의 pH는 반드시 조절해야 할 필요는 없으나, 조절할 경우에는 통상 pH 4.07.0, 바람직하게는 pH 5.06.0으로 조절하는 것이 요망된다.
[가열에 의한 효소 실활·멸균]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어서 상기와 같이 효소처리하여 얻어진 세포벽 용해 생성물 함유액, 바람직하게는 전술한 바와 같이 그 세포벽 용해 생성물 함유액을 다시 고액분리하여 이루어진 분리액을, 상기와 같이 가열하여 효소를 실활시키는 동시에 멸균한다.
[고액분리]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는, 세포벽 용해 생성물 함유액을 가열하여 효소를 실활시키는 동시에 멸균처리를 행한 후에 고액분리를 하여도 좋고, 세포벽 용해 생성물 함유액을 일단 고액분리한 후에 얻어진 분리액을 상기와 같이 가열하여 효소를 실활시키는 동시에 멸균을 해도 좋다. 고액분리수단으로서는 압착, 원심분리, 여과 등의 방법을 채용 할 수 있다. 압착조작은 상기(균사체를 함유하는 바가스 배지를 압착하여 착즙액(i)과 균사체를 함유하는 고체성분(i-a)으로 분리할 때 사용 한 압착조작)와 같이 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하여 얻어진 착즙액(추출액)에는-글루칸, 단백질, 여러 가지 아미노산 류, 비타민류 등이 다량 함유되어 있고, 액중에는 상기 제1발명의 경우와 같이 미소한 부유물이 잔존하는 일이 있다. 이 미소한 부유물은 상기와 같이 하여 분리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분리액은 상기와 같이 필요에 따라 다시 셀라이트 등을 사용하여 맑게 하여도 된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와 같이 효소 실활·멸균하여 얻어진 분리액에 프로테아제 등의 단백질 분해효소를 작용시켜 아미노산을 생성시켜도 좋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분리액에는, 항종양효과를 가지며 담자균류의 세포벽을 분해하여 프로토플라스트를 생성시킬 때에 생긴 세포벽 분해물이 있고, 항종양효과를 갖는-글루칸, 균사체 대사성분의 글루코즈 등과 함께 면역부활작용, 식물에 대한 호르몬 작용을 갖는 사이토키니양 물질등이 밸런스 좋게 고농도로 함유되어 있으며, 통상 갈색 투명하여, 이 분리액은 드링크제, 식물호르몬제, 화장품 원료 등으로 이용이 기대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예에 의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하는데,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전혀 아니다.
[실시예 1]
바가스 90 중량부, 미강 10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고체 배지에 순수를 적절하게 함유시킨 후에 표고버섯 종균을 접종하고, 온도 및 습도를 조절한 배양실내에 방치하여 균사체를 증식시켰다. 균사체가 고체 배지에 만연한 후, 균사체가 증식한 고체 배지(a)를 유압 압착기[유한회사 구마가다 기계제작소 제, 형식: KS-2형]를 이용하여 게이지 지시압 85㎏/㎠에서 5분간 압착(가압)한 후, 175㎏/㎠로 다시 5분간 압착하였다(1차 추출).
그 결과 균사체가 증식한 상기 고체 배지(a)1㎏당 균사체를 함유하는 고체성분(i-a)0.55㎏과 맑은 착즙액(i)(1차 추출액) 440㎖(Brix 농도 8.0%)가 얻어졌다.
한편, 상기 균사체를 함유하는 고체성분(i-a)에 당해 고체성분(i-a)1㎏당 물 1ℓ 및 세포벽 용해효소인 「판세라제」((주)야쿠르트 본사 제)0.2g을 첨가하여 바가스 함유 혼합물로 하였다. 이 바가스 함유 혼합물을 40의 온도로 유지하면서 1시간 동안 교반기를 사용하여 교반하여 균사체 세포벽을 용해시켰다.
다음에, 얻어진 효소 처리물(세포벽 용해 생성물 함유액(ⅱ))을 압착기를 사용하여 고액분리하여, 균사체를 함유하는 고체성분(i-a)1㎏당 효소처리 추출액(A-1) 970㎖를 얻었다.
이어서, 얻어진 효소처리 추출액을 가열하여 90로 하고 30분간 방치하였다. 90로 가열하는 것에 의해 효소를 실활시키면서 살균을 시행하였다.
얻어진 살균처리 추출액을 다시 60메시 여과포를 이용하여 여과하여, 균사체가 증식한 상기 고체 배지(a)1㎏당 미소 부유물을 함유하는 추출액 950㎖(Brix 농도 2.5중량%)를 얻었다(2차 추출액).
이들 1차, 2차 추출액의 물 이외의 성분으로는 단백질, 당질 미네랄,-글루칸 등이 각각 함유되어 있으며, 이들의 함량은 표 1에 나타낸다.
한편, 고체 잔사로서는 충분히 가늘게 분쇄된 것이 얻어져, 이것을 건조한 후 소 등 가축의 사료로 제공하였다.
이 표 1에서 보면, 본 발명에 의해 얻어지는 2종류의 추출액 중에는 각각의 유효성분이 다량으로 함유되어 있으며, 1차, 2차 추출액의-글루칸 함유량에 차이가 있음이 확인된다.
[실시예 2]
[변속기 부착 기어 펌프에 의해 해속 및 갈아 으깨는 유형]
바가스 90 중량부, 미강 10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고체 배지에 순수를 적정량 함유시킨 후에 팽이버섯 종균을 접종하고, 온도 및 습도를 조절한 배양실내에 방치하여 균사체를 증식시켰다. 균사체가 고체 배지에 만연한 후, 균사체가 증식한 고체 배지(a)를 유압 압착기(유한회사 구마가다 기계 제작소 제, 형식 : KS-2형)를 사용하여 게이지 지시압 85㎏/㎠으로 5분간 압착(가압)한 후, 175㎏/㎠으로 다시 5분간 압착하였다(1차 추출).
그 결과, 균사체 증식한 상기 고체 배지(a) 1㎏당 균사체를 함유하는 고체 성분(i-a) 0.65㎏과 투명한 착즙액(i)(1차 추출액) 350㎖(Brix 농도 5.7%)가 얻어졌다.
한편, 상기 균사체를 함유하는 고체성분(i-a)을 해속하고, 12 메시 통과분이 24 중량% 이하가 되도록 하였다. 이 해속된 배지 1.0㎏에 순수 1.0ℓ 및 효소로서 정제 셀룰라제 0.2g을 가하여 바가스 함유 혼합물로 하였다.
이어서, 40의 온도로 유지된 배지 함유 혼합물을 변속부 기어 펌프에 의해 순환시키면서 기어부분에서 분쇄 및 갈아 으깨는 작용을 고체 배지에 150분간 정도 가하여, 바가스 섬유의 약 80 중량%가 12메시 통과분이 되도록 하였다.
그 후, 바가스 함유 혼합물을 가열하여 90로 하여 30분간 방치하였다. 90로 가열하는 것에 의해 효소를 실활시키면서 살균을 실시하였다.
얻어진 배지 함유 혼합액을 60 메시 여과포를 사용하여 여과하여, 균사체가 증식한 상기 고체 배지(a)1㎏당 미소 부유물을 함유하는 추출액을 950㎖(Brix 농도 1.9 중량%) 얻었다 (2차 추출액).
이들 1차, 2차 추출액의 물 이외의 성분 중에는 단백질, 당질, 미네랄,-글루칸 등이 각각 함유되어 있으며, 이들의 함유량을 표 2에 나타낸다.
한편, 고체 잔사로서는 충분히 미세하게 분쇄된 것이 얻어져, 이것을 건조한 후 소 등 가축의 사료로 제공하였다.
이 표 2에서 보면, 본 발명에 의해 얻어진 2종류의 추출액 중에는 각각의 유효성분이 다량으로 함유되어 있고, 1차, 2차 추출물이-글루칸 함유량에 차이가 있음이 확인된다.
[실시예 3]
실시예1에 있어서, 표고버섯 종균에 대신하여 영지균을 사용한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1차 추출액을 얻었다.
그 결과 균사체가 증식한 상기 고체 배지(a)1㎏당 균사체를 함유하는 고체 성분(i-a)0.6㎏과 투명한 착즙액(i)(1차 추출액)400㎖(Brix 농도 7.6%)를 얻었다.
한편, 상기 균사체를 함유하는 고체성분(i-a)에 당해 고체성분(i-a)1㎏당 물 1ℓ 및 세포벽 용해효소인 「판세라제」((주)야쿠르트 본사 제)0.15g를 가하여 바가스 함유 혼합물로 하였다. 이 바가스 함유 혼합물을 40의 온도로 유지하면서 1시간 교반기를 이용하여 교반하여 균사체 세포벽을 용해시켰다.
이어서, 얻어진 효소 처리물(세포벽 용해 생성물 함유액(ⅱ))을 압착기를 사용하여 고액분리하여, 균사체를 함유하는 고체성분(i-a)1㎏당 효소처리 추출액(A-1) 950㎖를 얻었다.
다음에, 얻어진 효소처리 추출액을 가열하여 90로 하여 30분간 방치하였다. 90로 가열하는 것에 의해 효소를 실활시키면서 살균을 실시하였다.
얻어진 살균처리 추출액을 다시 60 메시 여과포를 사용하여 여과하여, 균사체가 증식한 상기 고체 배지(a)1㎏당 미소 부유물을 함유하는 추출액을 90㎖(Brix 농도 3.2 중량%) 얻었다 (2차 추출액).
이들 1차, 2차 추출액에는 물 이외의 성분 중에는 단백질, 당질, 미네랄,-글루칸 등이 각각 함유되어 있으며, 이들의 함유량을 표 3에 나타낸다.
한편, 고체 잔사로서는 충분히 미세하게 분쇄된 것이 얻어져, 이것을 건조한 후 소 등 가축의 사료로 제공하였다.
[비교예 1]
[효소 갈아으깸법]
실시예1에서 사용한 것과 같은 고체 배지 1㎏을 해속하고, 이 해속된 배지에 셀룰라제, 프로테아제: 각 농도 0.05%로 이루어진 효소액 3ℓ를 가하여 40의 온도로 유지하고, 교반 및 기어 펌프로 갈아 으깨면서 순환시켜 1시간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후, 70의 온도로 승온시키고 30분간 유지하여 효소를 실활시켰다. 원심분리에 의해 고액분리한 바, Brix 농도 2.0 중량%의 추출액이 약 2800㎖ 추출되었다.
[비교예 2]
[정치순환법]
실시예1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고체 배지 1㎏을 파쇄한 후 여과포에 충전하고, 물을 5ℓ를 가하여 50의 온도로 유지하고, 펌프에 의해 액을 순환시키고 15시간 유지하여 고액분리한 바, Brix 농도 0.7 중량%의 추출액이 약 4400㎖ 추출되었다.
[실시예 4]
바가스 90 중량부, 미강 10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고체 배지에 순수를 적절히 포함시킨 후에 표고버섯 종균을 접종하고, 온도 및 습도를 조절한 배양실내에 방치하여 균사체를 증식시켰다. 균사체가 고체 배지에 만연한 후, 균사체가 증식한 고체 배지(i)를 1㎏당-1,3-글루카나제를 주성분으로 하고 키티나제, 셀룰라제를 함유하는 효소액(a)[효소액중 전 효소농도 0.04 중량%. 그중에서 주성분인-1,3-글루카나제의 양: 효소 총량중 50 중량%]1ℓ에 참적하고, 40의 온도로 유지하면서 교반기를 사용하여 60분간 교반하여, 균사체 세포벽을 용해시켰다.
이어서, 얻어진 효소 처리물(세포벽 용해 생성물 함유액)을 고액분리 장치인 압착기를 이용하여 고액분리하여, 효소처리 추출액(A-1) 1500g을 얻었다.
다음에, 얻어진 효소처리 추출액을 가열하여 90로 하여 30분간 방치하였다. 이와 같이 90로 가열하는 것에 의해 효소를 실활시키면서 살균을 실시하였다.
얻어진 살균처리 추출액을 다시 60 메시 여과포로 여과하여, 균사체가 증식한 상기 고체 배지(i)1㎏당 미소 부유물을 함유하는 추출액을 1400㎖(Brix 농도 4.0 중량%) 얻었다.
이 추출액에는 물 이외의 성분 중 단백질(단백질 부분 분해물인 아미노산을 포함), 당질, 미네랄,-글루칸 등이 각각 함유되어 있고, 균사체 대사성분과 균사체의 세포벽 분해물(-글루칸 등)을 밸런스 좋게 함유하고 있음을 알았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추출액 중에 포함되는 각종 유효성분의 양을 표4에 나타낸다.
한편, 고체 잔사로서는 충분히 미세하게 분쇄된 것이 얻어져, 이것을 건조한 후 소 등 가축의 사료로 제공하였다.
[실시예 5]
실시예4에 있어서, 표고버섯 종균에 대신하여 팽이버섯 종균을 사용한 이외에는 실시예1과 동일하게 하여 균사체를 배양하고, 교반기를 사용하여 균사체 세포벽을 용해시켰다.
이어서, 얻어진 효소처리 추출액을 고액분리하여 효소처리 추출액(A-1) 1300㎖을 얻었다.
다음에, 얻어진 효소 처리액을 가열하고, 효소 실활시키고 살균처리하여 얻어진 살균처리 추출액을 실시예4에서와 동일하게 여과하여, 균사체가 증식한 상기 고체 배지(i)1㎏당 미소 부유물을 함유하는 추출액을 1150㎖(Brix 농도 3.3 중량%) 얻었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추출액에는 균사체 대사 성분과 균사체의 세포벽 분해물(-글루칸 등)이 밸런스 좋게 함유하고 있음을 알았다.
당해 추출액 중에 포함되는 각종 유효성분의 양을 표 4에 나타낸다.
한편, 고체 잔사는 실시예4와 마찬가지로 가축의 사료로 제공하였다.
[실시예 6]
실시예4에 있어서, 표고버섯 종균에 대신하여 영지 종균을 사용한 이외에는 실시예4와 동일하게 하여 균사체를 배양하고, 교반기를 사용하여 균사체 세포벽을 용해시켰다.
이어서, 얻어진 효소처리 추출액을 고액분리하여 효소처리 추출액(A-1) 1450㎖를 얻었다.
다음에, 얻어진 효소 처리액을 가열하여 효소 실활시키면서 살균처리하여 얻어진 살균처리 추출액을 실시예4와 동일하게 여과하여, 균사체가 증식한 상기 고체 배지(i)1㎏당 미소 부유물을 함유하는 추출액을 1300㎖(Brix 농도 4.5 중량%) 얻었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추출액에는 균사체 대사 성분과 균사체의 세포벽 분해물(-글루칸 등)을 밸런스 좋게 함유되어 있다.
이 추출액 중에 함유된 각종 유효성분의 양을 표 4에 나타낸다.
한편, 고체 잔사는 실시예4와 마찬가지로 가축의 사료로 제공하였다.
[비교예 3]
[효소 갈아으깸법]
실시예4에서 사용한 것과 같은 고체 배지 1㎏을 해속하고, 이 해속된 배지에 셀룰라제, 프로테아제: 각 농도 0.05%롤 이루어진 효소액 3ℓ를 가하여 40의 온도로 유지하고, 교반 및 기어 펌프로 갈아 으깨면서 순환시켜 1시간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후, 70의 온도로 승온시키고, 30분간 유지하여 효소를 실활시켰다. 원심분리에 의해 고액분리한 바, Brix 농도 2.0 중량%의 추출액이 약 2800㎖ 추출되었다.
[비교예 4]
[정치 순환법]
실시예4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고체 배지 1㎏을 파쇄한 후, 여과포에 충전하고 물을 5ℓ를 가하여 50의 온도로 유지하고, 펌프에 의해 액을 순환시켜 15시간 유지한후 고액분리한 바, Brix 농도 0.7 중량%의 추출액이 약 4400㎖ 추출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균사체 함유 배지로부터 유용성분의 제1제3추출방법에 의하면 담자균류에 균사체 및 바가스 배지로부터의 유용성분을 단시간에 고수율로 얻을 수 있다.
특히 상기 제1제2 방법에 의하면, 담자균류의 세포벽 분해물이며 특히 항종양효과가 우수한 β-글루칸 등이 고농도로 함유되어 있고, 특히 항종양효과가 우수한 균사체 용해 생성물 함유액(ⅱ)(추출액)과 상기 착즙액(i)이 얻어지고, 이 착즙액(i)에는 균사체의 대사성분인 글루코즈 등과 함께 면역부활작용, 식물에 대한 호르몬 작용을 갖는 사이토키닌양 물질 등이 고농도로 함유되어 있고, 통상 투명하여, 드링크제, 식물 호르몬제, 화장품 원료등으로 이용이 기대된다. 또한 이들 균사체 용해 생성물 함유액(ⅱ)과 착즙액(i)을 같이 합해 상기 용도로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특히 제3방법에 의하면, β-글루칸 등이 고농도로 함유되어 있고, 또 글루코즈 등과 함께 사이토키닌양 물질 등도 고농도로 함유되어 있으며, 더욱이 이들 성분이 밸런스 좋게 함유된 추출액(유용성분)이 얻어진다. 이 추출액은 갈색 투명하여, 상기 제1제2방법에서 얻어진 추출액(ⅱ) 또는 착즙액(i)과 마찬가지로 드링크제, 식물 호르몬제, 화장품 원료등으로 이용이 기대된다.

Claims (2)

  1. 바가스를 기재로 하는 고채 배지 상에 담자균류를 접종하여, 균사체를 증식시키고; 증식된 균사체를 함유하는 고체 배지를 압착하여 착즙액을 얻고; 착즙액으로부터 균사체를 함유하는 고체 잔사 성분을 분리하고; 균사체를 함유하는 고체 잔사 성분에 β-1,3-글루카나제를 주성분으로 하고 프로테아제, 키티나제 및 셀룰라제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의 효소를 포함하는 효소 및 물을 첨가하여 3060로 유지하면서 교반하여 균사체 세포벽을 용해시키고; 얻어진 세포벽 용해 생성물 함유액을 95까지의 온도로 가열하여 상기 효소를 실활시키는 동시에 멸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담자균류 균사체 함유 배지로부터 착즙액 및 세포벽 용해 생성물 함유액을 포함하는 추출액의 제조방법.
  2. 바가스를 기재로 하는 고채 배지 상에 담자균류를 접종하여, 균사체를 증식시키고; 증식된 균사체를 함유하는 고체 배지를 압착하여 착즙액을 얻고; 착즙액으로부터 균사체를 함유하는 고체 잔사 성분을 분리하고; 균사체를 함유하는 고체 잔사 성분을 해속하고; 해속된 고체 잔사 성분에 β-1,3-글루카나제를 주성분으로 하고 프로테아제, 키티나제 및 셀룰라제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의 효소를 포함하는 효소 및 물을 첨가하여 3060로 유지하면서 상기 고체 잔사 성분을 분쇄하고 갈아서 균사체 세포벽을 용해시키고; 얻어진 세포벽 용해 생성물 함유액을 95까지의 온도로 가열하여 상기 효소를 실활시키는 동시에 멸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담자균류 균사체 함유 배지로부터 착즙액 및 세포벽 용해 생성물 함유액을 포함하는 추출액의 제조방법.
KR1019960059068A 1995-12-25 1996-11-28 균사체의 함유 배지로부터 추출액의 제조방법 KR1002273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4121A KR100268603B1 (ko) 1995-12-25 1999-04-21 균사체 함유 배지로부터 추출액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7-337558 1995-12-25
JP33755895 1995-12-25
JP7-337557 1995-12-25
JP33755795 1995-12-25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4121A Division KR100268603B1 (ko) 1995-12-25 1999-04-21 균사체 함유 배지로부터 추출액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3056A KR970043056A (ko) 1997-07-26
KR100227329B1 true KR100227329B1 (ko) 1999-11-01

Family

ID=26575842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9068A KR100227329B1 (ko) 1995-12-25 1996-11-28 균사체의 함유 배지로부터 추출액의 제조방법
KR1019960069130A KR100280576B1 (ko) 1995-12-25 1996-12-20 살갗용 화장재료
KR1019990014121A KR100268603B1 (ko) 1995-12-25 1999-04-21 균사체 함유 배지로부터 추출액의 제조방법
KR1019990014555A KR100311422B1 (ko) 1995-12-25 1999-04-23 살갗용 화장재료

Family Applications After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9130A KR100280576B1 (ko) 1995-12-25 1996-12-20 살갗용 화장재료
KR1019990014121A KR100268603B1 (ko) 1995-12-25 1999-04-21 균사체 함유 배지로부터 추출액의 제조방법
KR1019990014555A KR100311422B1 (ko) 1995-12-25 1999-04-23 살갗용 화장재료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090615A (ko)
KR (4) KR100227329B1 (ko)
CN (1) CN1080309C (ko)
TW (2) TW358121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6728A (ko) 2021-06-09 2022-12-19 주식회사 농업회사법인 밀온바이오 소화 및 흡수 개선을 위한 버섯류의 발효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8547A (ko) * 1998-10-24 2000-05-25 손경식 싱글셀-식물로부터 회수한 유용성분이 함유된 화장료 조성물
KR100372359B1 (ko) * 1999-10-29 2003-02-17 로제화장품 주식회사 표고버섯 추출물 및/또는 동충하초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DE10045423B4 (de) * 2000-09-14 2005-11-10 Bestfoods Deutschland Gmbh & Co. Oh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Pilzaromas
US6582723B2 (en) 2001-05-03 2003-06-24 Wayne F. Gorsek Cancer immune composition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individuals
GB0110954D0 (en) * 2001-05-04 2001-06-27 Marlow Foods Ltd Edible fungi
GB0110953D0 (en) * 2001-05-04 2001-06-27 Marlow Foods Ltd Edible fungi
NO20014256D0 (no) 2001-09-03 2001-09-03 Bjoern Kristiansen Fremstilling av immunstimulerende forbindelse
NZ538183A (en) * 2002-07-16 2007-02-23 Abr Llc Formulation comprising a sterilised culture filtrate recovered from fungal spawn aka peat moss, carbohydrate, potassium ions and carotene used to grow plants
DE10309281A1 (de) * 2003-03-04 2004-09-23 Satia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beta-1,3-Glukans mit verbesserten Eigenschaften
ATE395410T1 (de) * 2003-05-01 2008-05-15 Mycology Techno Corp Basidiomyzeten, basidiomyzetenextraktzusammensetzung sowie reformkost und immunopotentiatoren
US7514085B2 (en) * 2004-07-16 2009-04-07 Medimush A/S Immune modulating compounds from fungi
KR101423573B1 (ko) 2007-07-02 2014-07-3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항산화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0926047B1 (ko) 2007-11-13 2009-11-11 이규길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제 조성물
CN101869264B (zh) * 2010-06-02 2012-08-08 文承官 含有β-葡聚糖的菌菇浓缩液品、饮料及制备方法
TWI392535B (zh) * 2010-11-24 2013-04-11 Univ Nat Chunghsing The method of extracting the waste bacteria from the mushroom is used as the material
CN104429621B (zh) * 2014-12-25 2016-08-31 皖南大鹏天然产物有限公司 一种用于提取猴头菇多糖的猴头菇菌丝体的生产方法
KR101768618B1 (ko) 2015-08-26 2017-08-17 장정원 전기 오븐기기
TWI661830B (zh) 2017-12-13 2019-06-11 葡萄王生技股份有限公司 用於改善生殖功能的羊肚菌之活性物質、其用途及其組合物
CN109609386A (zh) * 2018-11-20 2019-04-12 山东友和菌业有限公司 一种金针菇液体菌种选育工艺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78210A (en) * 1977-03-07 1979-12-11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Accellular synthesis of cephalosporins
JPS5446859A (en) * 1977-09-22 1979-04-13 Japan Synthetic Rubber Co Ltd Production of health food
JPS6023826B2 (ja) * 1981-12-21 1985-06-10 均 長岡 保健飲料の製造方法
JPS60149528A (ja) * 1984-01-14 1985-08-07 Hitoshi Nagaoka 霊芝菌糸体からの有効成分の抽出方法
JPS60149369A (ja) * 1984-01-14 1985-08-06 Hitoshi Nagaoka 霊芝菌糸体エキス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7102105B2 (ja) * 1987-02-17 1995-11-08 均 長岡 エノキ茸菌糸体およびバカス培地からの有用成分の抽出方法
JPH049321A (ja) * 1990-04-27 1992-01-14 Sunstar Inc 美白化粧料
KR0165890B1 (ko) * 1990-12-04 1999-01-15 히또시 나가오까 균사체 추출액의 제조방법
JP3651697B2 (ja) * 1995-03-24 2005-05-25 株式会社アミノアップ化学 新規多糖体物質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6728A (ko) 2021-06-09 2022-12-19 주식회사 농업회사법인 밀온바이오 소화 및 흡수 개선을 위한 버섯류의 발효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7327A (zh) 1997-08-20
TW358121B (en) 1999-05-11
CN1080309C (zh) 2002-03-06
US6090615A (en) 2000-07-18
KR970043056A (ko) 1997-07-26
KR100280576B1 (ko) 2001-02-01
KR970032839A (ko) 1997-07-22
TW483762B (en) 2002-04-21
KR100311422B1 (ko) 2001-11-14
KR100268603B1 (ko) 2000-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27329B1 (ko) 균사체의 함유 배지로부터 추출액의 제조방법
US4032663A (en) Process for using cell wall-lysing enzymes
US20210298330A1 (en) Oral solution having high sod enzymatic activity a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
EP1190627B1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a mushroom flavouring
GB2115820A (en) Improvement in and relating to an enzyme for decomposition of a high molecular carbohydrate, the isolated high molecular carbohydrate, a method for selection of a microorganism producing such enzyme and a method for production of such enzyme
KR100344755B1 (ko) 면역력증강물질및그제조방법
CN101434981B (zh) 一种微生物固态发酵制备生物活性专一的菜籽肽的方法
JP2008228676A (ja) キノコから効率的にβグルカンを抽出する方法
CN1060518C (zh) 一种利用竹荪深层发酵技术生产竹荪营养菌丝体的方法
JP2908356B2 (ja) 菌糸体含有培地からの有用成分の抽出方法
US3969189A (en) Cell wall-lysing complex enzymes and a process for the production thereof
史敏 et al. Optimum condition of ecologic feed fermentation by Pleurotus ostreatus using soybean curd residue as raw materials
JP2908357B2 (ja) 菌糸体含有培地からの有用成分の抽出方法
CN101492708B (zh) 混菌固态发酵制备生物活性专一的菜籽肽的方法
JPS6023826B2 (ja) 保健飲料の製造方法
US3890198A (en) Cell wall-lysing complex enzymes and a process for the production thereof
JPH07102105B2 (ja) エノキ茸菌糸体およびバカス培地からの有用成分の抽出方法
JP3227430B2 (ja) エリンギ菌糸体エキスの製造方法
KR0165890B1 (ko) 균사체 추출액의 제조방법
KR0143512B1 (ko) 배양된 영지버섯 균사체로부터의 면역활성물질의 추출정제방법 및 그로부터 추출된 면역활성물질
JPS62275669A (ja) 酵母エキスの製造法
TW204367B (en) Method for producing mycelium extract liquid
JPH01312980A (ja) 健康食品の製造方法
JPH0217143B2 (ko)
KR0148353B1 (ko) 고체배양에 의한 슈퍼옥사이드 디스뮤타제 함유 화분의파쇄 화분 및 그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29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