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9308B1 - 유모차의 좌석 - Google Patents

유모차의 좌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9308B1
KR100219308B1 KR1019950024485A KR19950024485A KR100219308B1 KR 100219308 B1 KR100219308 B1 KR 100219308B1 KR 1019950024485 A KR1019950024485 A KR 1019950024485A KR 19950024485 A KR19950024485 A KR 19950024485A KR 100219308 B1 KR100219308 B1 KR 1002193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eat
baby carriage
members
width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244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6844A (ko
Inventor
갓사이겐죠
Original Assignee
카사이 켄조우
아프리카 카사이 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사이 켄조우, 아프리카 카사이 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카사이 켄조우
Publication of KR9600068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68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93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930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0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0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 B62B7/08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in the direction of, or at right angles to, the whee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5/00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 B62B2205/02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foldable widthwi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0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 B62B7/08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in the direction of, or at right angles to, the wheel axis
    • B62B7/08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in the direction of, or at right angles to, the wheel axis becoming smaller in all three dimen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20Handle bars; 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여기에 개시되는 유모차의 좌석에 의하면, 유모차의 폭방향으로의 접힘을 허용하기 위해, 시트부에 장착된 판형상의 심재가 전후방향으로 연장하는 적어도 1개의 분할선에 의해서 복수의 판형상부재로 분할된 경우에 생기는 유아의 엉덩이부의 빠짐을 방지하고, 유아의 근육의 인장을 완화하도록 한것으로, 복수의 판형상부재(9,10,11)의 각하면측에 있어서, 서로 인접하는 것끼리 힌지 테이프(12,13)에 의해 힌지 접속한다. 또, 판형상 부재(9,10,11)가 동일한 평면을 이룰때, 판형상 부재(9,10,11)의 단면이 서로 맞대이도록 된다.

Description

유모차의 좌석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좌석(1)을 구비하는 유모차(2)를 열린 상태에서 도시하는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한 유모차(2)의 폐쇄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3도는 제1도에 도시한 시트부(3)의 횡단면도.
제4도는 제1도에 도시한 시트부(3)의 평면도.
제5도는 제3도에 해당하는 도면으로 유모차(2)의 폐쇄된 상태에서 있어서 부여되는 시트부(3)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
제6도는 제3도에 도시된 상태로 있는 심재(6)를 도시하는 횡단면도.
제7도는 제6도에 해당하는 도면으로, 제5도에 도시한 상태로 있는 심재(6)의 횡단면도.
제8a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좌석(1)에 유아를 앉힌 상태로 측정한 근전도(근육이 오그라들 때의 전류의 변화를 그린 그래프).
제8b도는 힌지 접속되지 않은 복수의 판형상 부재로 되는 심재를 구비하는 좌석에 유아를 앉힌 상태에서 측정한 근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좌석 2 : 유모차
3 : 시트부 4 : 등받이부
6 : 심재 9, 10, 11 : 판형상 부재
12, 13 : 힌지테이프 14, 15, 16, 17 : 단면
[발명의 배경]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폭방향으로 접혀지는 유모차에 부착되는 좌석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시트부에 장착되는 심재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배경 기술의 설명]
접힘식의 유모차에 있어서는 그의 좌석은 통상 유모차의 차체와 별체로 구성된다. 좌석은 시트부 및 등받이부를 구비하고, 전체로서는 가요성의 박판(sheet)재료로 구성되며, 유모차의 자체에 부착되므로써, 그의 형태가, 유지된다. 또한, 시트부 및 등받이부의 주요한 부분에는 강성이 비교적 높은 재료로 이루어진 판형상의 심재가 장착된다.
상술한 심재는 그의 형상, 배치상태등에 있어서, 유모차의 접힘동작을 방해하지 않도록 고려된다. 예를 들면, 폭방향으로 접혀지는 유모차에 있어서는 시트부에 장착되는 심재는 유모차의 전후방향으로 늘어지는 적어도 1개의 분할선에 의해서 분할된 복수의 판형상 부재를 가지고 구성된다. 이와 같이해서, 복수의 편형상 부재의 서로 이웃해 있는 것끼리 굴곡이 가능하게되고, 이것에 의해서, 유모차의 폭방향으로의 접힘이 허용된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판형상 부재로 분할된 심재에 의하면, 유모차의 폭방향으로의 접힘을 허용하지만, 그의 반대 작용으로서, 유모차가 열린 상태에 있어서도, 복수의 판형상 부재 상호간에 굴곡이 생기고, 좌석에 탄 유아의 엉덩이부가 빠진다고 하는 문제를 일으킨다. 이와 같은 빠짐을 될수 있는 한 억제하기 위해서, 유모차의 차체에 대해서, 폭방향으로 늘어지는 강성일을 시트부의 하면에 맞닿도록 설계한 것이 있지만, 유모차의 구조상, 이와 같은 탄성링을 비교적 넓은 면적에 배치하는 것이 곤란하기 때문에, 강성 링이 시트부를 지지하는 영역은 극히 제한되고, 그 결과, 강성링에 의해 지지되지 않은 영역에 대해서는 여전히 시트부의 빠짐이 생기는 현상이 있다.
폭방향에는 접혀지지 않은 유모차의 경우에는 동일한 평면을 이루는 일체적인 심재를 시트부에 장착할 수 있으므로, 상술한 바와 같은 빠짐의 문제는 실질적으로 일어나지 않는다. 그리고, 폭방향에는 접힘되지 않은 유모차에 비해서, 폭방향으로 접혀지는 유모차의 경우에는 상술한 시트부의 빠짐이 일어나서, 유아의 앉고싶은 마음을 보다 나쁘게 하는 사실은 부인할 수 없다.
[발명의 개요]
그런고로, 본 발명의 목적은 폭방향으로 접혀지는 유모차에 부착되는 좌석에 있어서, 상술한 빠짐의 문제를 보다 완화하려고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폭방향으로 접혀지는 유모차에 부착되는 좌석에 관한 것이고, 이 좌석은 시트부 및 등받이부를 가지고, 시트부에는 강성이 비교적 높은 재료로된 판형상의 심재가 장착되고, 이 심재는 유모차의 전후 방향으로 늘어지는 적어도 1개의 분할선에 의해서 분할된 복수의 판형상 부재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유모차의 좌석에 있어서,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복수의 판형상 부재는 각하면측에 있어 서로 인접하는 것 끼리 힌지 접속되어 있는 동시에, 동일한 평면을 이룰때, 서로 인접한 것끼리 맞대이는 단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심재를 구성하는 복수의 판형상 부재는 서로 힌지 접속되기 위해, 유모차의 폭방향으로의 접힘을 허용한다.
한편, 유모차의 열린 상태에서는 복수의 판형상 부재 상호간의 힌지 접속이 각 판형상 부재의 하면측에 위치하고, 복수의 판형상 부재가 일정한 평면을 이룰때, 판형상 부재의 서로 인접하는 것끼리 각 단면이 맞대이므로, 심재의 상방에서 유아의 체중이 가해져도, 심재는 동일한 평면을 유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의하면, 좌석에 타고 있는 유아의 엉덩이부의 빠짐을 억제할 수 있다. 이때문에, 유아의 체중을 시트부상의 비교적 넓은 면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
시트부가 빠지는 경우에는 유아의 대퇴부의 근육이 비교적 인장하는 일이 생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와 같은 빠짐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대퇴부의 근육의 인장을 완화할 수 있고, 그리고, 비교적 장시간 앉아 있어도, 유아의 불자연스러운 피로를 주지 않는다.
[양호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
제1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의한 좌석(1)을 구비하는 유모차(2)를 열린 상태에서 표시하는 사시도이고, 제2도는 제1도에 도시한 유모차(2)의 열린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석(1)은 시트부(3) 및 등받이부(4)를 구비한다. 등받이부(4)의 양측단부는 압봉(5)에 부착되어 있다. 좌석(1)은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폭방향으로 접혀지는 유모차(2)의 자체의 접힘 동작을 허용하도록 변형가능하다.
제3도는 시트부(3)의 횡단면도이다. 제4도는 시트부(3)의 평면도이다. 제5도는 제3도에 상당하는 도면이고, 유모차(2)의 접혀진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시트부(3)에는 강성의 비교적 높은 재료로된 판형상의 심재(6)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판형상의 심재(6)의 상면을 덮도록 쿠션재(7)가 배치된다. 이들 심재(6) 및 쿠션재(7)는 가요성의 긴 박판(8)에 의해 덮여진다. 이 긴 박판(8)은 시트부(3)에서 등받이부(4)로 일체로 연장하고 있다.
심재(6)는 유모차(2)의 전후방향으로 연장하는 2개의 분할선에 의해서 분할된 3개의 판형상 부재(9,10,11)를 구비한다. 이를 판형상 부재(9,10,11)는 예를 들면, 플라스틱으로 된 판재로 구성되고, 양호하게는 유모차(2)의 경량화를 도모하기 위해, 플라스틱 종류의 볼로 구성된다.
이를 판형상 부재(9,10,11)를 구비하는 심재(6)가 단독으로 제6도 및 제7도에 도시되어 있다. 판형상 부재(9,10,11)는 각 하면측에 있어서 서로 인접하는 것끼리 힌지 접속되다. 이 힌지 접속에는 예를 들면, 반복 굴곡가능한 가요성 박팍 재료로된 힌지 테이트(12,13)가 사용되고, 이들 힌지 테이트(12,13)가 각각 판형상 부재(9,10,11)의 하면에 점착된다.
판형상 부재(9,10,11)가 동일한 평면을 이룰때, 서로 인접하는 판형상 부재(9,10)는 서로 맞대이는 단면(14,15)을 각각 가지고, 또한 서로 인접하는 판상부재(10,11)는 서로 맞대이는 단면(16,17)을 각각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이 해서, 심재(6)는 제5도 및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굴곡가능하지만, 제3도 및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일한 평면을 이룬 상태에서 제5도 및 제7도와는 역방향으로의 굽힘은 불가능하고, 예를 들면 중앙의 판형상 부재(10)에 재해서 하방으로 향하는 힘이 가해져도, 심재(6)는 평면상태를 유지한다.
유모차(2)의 자체는 시트부(3)의 하면측에 위치하는 좌우 1쌍의 측봉(18,19) 또 이들 측봉(18,19)의 서로 간격을 변경가능하게 하도록 측봉(18,19)의 사이에 연결되는 연결봉(20)을 구비한다. 연결봉(20)은 제3도 및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선 상태 및 상방으로 굴곡된 상태의 2개의 상태를 취할 수 있다. 한쌍의 측봉(18,19)의 서로간의 간격의 변경은 유모차(2)의 폭방향으로의 접힘 동작에 의해 생긴다.
상술한 연결봉(20)의 길이방향 중앙에는 벨트(21)가 걸려있으면서, 시트부(3)의 하면에 부착되어 있다. 또, 한쌍의 측봉(18,19)사이를 연결하도록, 벨트(22)가 걸쳐지고, 이 벨트(22)의 길이방향 중앙부는 시트부(3)의 하면에 부착되어 있다. 이들 벨트(21,22)에 의해서, 시트부(3)는 한쌍의 측봉(18,19) 및 연결봉(20)에 부착되는 동시에, 이들 측봉(18,19) 및 연결봉(20)의 동작에 따르도록 되어 있다.
제1도에 도시한 유모차(2)의 열린 상태에서는 제3도, 제4도 및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트부(3)는 측봉(18,19) 및 연결봉(20)상에 있어서, 동일한 평면을 이룬 상태로 되고, 이 상태는 심재(6)에 의해서 유지된다. 한편,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모차(2)가 폐쇄된 상태로 될때에는 제5도 및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심재(6)는 상방으로 굴곡한 상태로 된다.
제8a도 및 제8b도에는, 본 발명에 의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 측정한 근전도를 도시한다. 이들 근전도는 실제로 유모차의 좌석상에 유아을 앉히고, 그의 대퇴부에 전극을 2cm 간격으로 부착해서 측정한 것이다. 제8a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좌석(1)의 경우를 도시하고, 제8b도는 판형상부재(9,10,11)를 힌지 접속하지 않는 비교예의 경우를 도시하고 있더,
제8a도에서는 근전도는 저레벨에서 거의 변동하지 않는 것을 알수 있다. 또, 예를 들면 A로 도시한 피크는 유아가 다리를 움직일 때에 얻어진 것이다. 한편, 제8b도에서는 근전도는 비교적 높은 레벨로 큰 변동을 도시한다. 예를 들면 B 로 표시한 규칙적인 변동은 근육을 인장시킨 상태를 표시한다. 또, C로 표시한 하락은 근육의 인장의 일시적으로 느순한 상태를 도시한다. 또, 근전도의 후반의 D로 표시한 불규칙으로 큰 변동은 근육에 피로가 생기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다.
이와 같이, 제8a도 및 제8b도에 도시한 근전도의 비교에서 알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좌석(1)에 의하면, 유아의 앉고 싶은 마음을 좋게할 수 있다. 이것은 시트부(3)에 유아의 체중이 가해저도, 심재(6)가 평면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유아의 엉덩이부가 빠지지 않고, 체중의 특정의 부위로의 집중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술한 실시예의 설명에서는 등받이부(4)에 대해서 상세한 구조를 설명하지 않았지만, 등받이부(4)에 있어서도, 시트부(3)와 동일의 구조가 채용되어도 좋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심재(6)가 3개의 판형상부재(9,10,11)를 구비하도록 3분할 되어 있지만, 유모차의 구조에 의해서, 2분할되어도, 또는 4이상으로 분할되어도 좋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판형상부재(9∼11)의 힌지 접속을 위해, 가요성의 힌지 테이트(12,13)를 채용하였지만, 예를 들면, 심재의 두께 방향의 일부는 힌지부분으로 해서 채용해도, 또는 피봇축을 구비하는 힌지부재를 사용해도 좋다.

Claims (3)

  1. 폭방향으로 접혀질 수 있는 유모차용 좌석에 있어서, 시트부(3)와 등받이부(4)를 구비하고, 상기 시트부(3)는 강성 재료료 된 판셩상의 심재(6)를 가지며, 상기 심재(6)는 유모차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는 1개 이상의 분할선으로 분할된 복수의 판형상부재(9,10,11)를 구비하고, 상기 인접한 판형상 부재는 이 부재의 하면측에서 서로 힌지 접속되는 동시에, 이 판형상 부재가 하나의 평면을 이룰 때 서로 인접한 것끼리 맞닿는 단면(14,15,16,17)을 포함하며, 상기 좌석은 한쌍의 측봉(18,19)을 구비하고, 상기 한쌍의 측봉(18,19)은 아래로부터 상기 시트부(3)를 지지하며, 또한 상기 시트부의 하면측에 배치되며 상기 시트부의 폭방향에 있어서 서로로부터 분리되어 배치되며, 상기 시트부는 상기 한쌍의 측봉(18,19)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봉(20)을 구비하며, 상기 연결봉(20)은 직선 상태 및 상방으로 굴곡된 상태와 같은 두 가지 상태를 취할 수 있으며, 상기 연결봉(20)은 폭방향에서의 중앙에 위치하여 수평 상태를 유지하는 중앙 연결 부재와, 한쪽 단부가 상기 중앙 연결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다른쪽 단부가 상기 측봉(18,19)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한쌍의 측부 연결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판형상부재(9,10,11)는 폭방향의 중앙에 위치하는 중앙 판형상 부재(10)와, 상기 중앙 판형상 부재(10)의 양 측부에 연결되는 측부 판형상 부재(9,11)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의 좌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로 인접한 판형상 부재(9,10,11)의 경계부의 하면에 접착된 가요성 박판으로 된 힌지 테이트(12,1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의 좌석.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판형상 부재(9,10,11)는 유모차의 폭방향에서의 중앙에 위치하는 중앙 판형상 부재(10)와, 상기 중앙 판형상 부재의 양 측부에 연결되는 측부 판형상 부재(9,11)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의 좌석.
KR1019950024485A 1994-08-19 1995-08-09 유모차의 좌석 KR1002193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507994A JP3311160B2 (ja) 1994-08-19 1994-08-19 乳母車の座席
JP94-195079 1994-08-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6844A KR960006844A (ko) 1996-03-22
KR100219308B1 true KR100219308B1 (ko) 1999-09-01

Family

ID=16335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24485A KR100219308B1 (ko) 1994-08-19 1995-08-09 유모차의 좌석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5676419A (ko)
EP (1) EP0697323B1 (ko)
JP (1) JP3311160B2 (ko)
KR (1) KR100219308B1 (ko)
CN (1) CN1099976C (ko)
AU (1) AU688529B2 (ko)
CA (1) CA2155227C (ko)
DE (1) DE69506638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11163B2 (ja) * 1994-09-21 2002-08-05 アップリカ▲葛▼西株式会社 乳母車およびその座席のための座板の製造方法
US5887946A (en) * 1997-01-03 1999-03-30 Raftery Design, Inc. Chair with movable back support
JP4028040B2 (ja) * 1997-09-26 2007-12-26 コンビ株式会社 着座装置の側板の可変機構
AU729732B3 (en) * 2000-11-29 2001-02-08 Hsiao-Hui Wang Foldable seat frame for a foldable stroller
SG109989A1 (en) * 2001-09-19 2005-04-28 Combi Co Stroller
JP3981116B2 (ja) * 2002-06-05 2007-09-26 アップリカ育児研究会アップリカ▲葛▼西株式会社 乳母車
JP3967271B2 (ja) * 2003-02-04 2007-08-29 アップリカ育児研究会アップリカ▲葛▼西株式会社 折畳式乳母車
JP4299016B2 (ja) * 2003-02-04 2009-07-22 グラコ・チルドレンズ・プロダクツ・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折畳式乳母車
US20050067861A1 (en) * 2003-09-30 2005-03-31 Eli Avihod Wheelchair with book-style folding feature
US7681946B2 (en) * 2006-08-03 2010-03-23 Swimways Corporation Portable table assemblies
US20090102149A1 (en) * 2007-10-22 2009-04-23 Graco Children's Products Inc. Foldable pushcart and foldable baby carriage
ES1067138Y (es) * 2008-01-31 2008-07-16 Jane Sa Asiento para coche-silla infantil
US8152231B2 (en) * 2008-02-28 2012-04-10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Collapsible seat and system
CN105857379A (zh) * 2016-04-11 2016-08-17 好孩子儿童用品有限公司 一种双人推车
CN108016481A (zh) * 2017-12-22 2018-05-11 东莞贯新幼童用品有限公司 一种单手折叠婴儿车
KR102283013B1 (ko) * 2019-07-19 2021-07-29 동아알루미늄 주식회사 휴대용 의자
KR20230124062A (ko) * 2020-12-24 2023-08-24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시트 지지 유닛 및 유모차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65254A (en) * 1929-06-07 1932-06-28 Howe Folding Furniture Inc Serving table
US2847058A (en) * 1953-09-10 1958-08-12 Anthony G Allison Folding wheel chair
US3501197A (en) * 1966-03-25 1970-03-17 Arnold F Burton Seat support
JPS457462Y1 (ko) * 1966-05-31 1970-04-10
GB1321085A (en) * 1970-04-17 1973-06-20 Maclaren O F Folding wheel chair
JPS4827418Y1 (ko) * 1970-11-13 1973-08-13
US3981532A (en) * 1975-07-07 1976-09-21 Caldwell John W Foldable furniture
US4030769A (en) * 1976-05-24 1977-06-21 Peng Luke Shih Cheng Structures for folding baby-carriages, chairs, and the like
US4042250A (en) * 1976-07-26 1977-08-16 Everest & Jennings, Inc. Wide seat wheelchair
JPS5389145A (en) * 1977-01-14 1978-08-05 Yoshiho Tanaka Wheelchair
GB2044086A (en) * 1979-02-10 1980-10-15 Lamondine Sa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seating arrangements
US4335893A (en) * 1979-09-28 1982-06-22 California Strolee, Inc. Foldable infant carrier
JPS5832064B2 (ja) * 1980-01-30 1983-07-11 葛西株式会社 乳母車
US4428598A (en) * 1981-07-27 1984-01-31 Kassai Kabushikikaisha Baby carriage
US4493488A (en) * 1982-02-16 1985-01-15 Panaia David J Pressure control wheel chair seat
SU1237538A1 (ru) * 1984-01-05 1986-06-15 Gulyaev Vitalij V Детска складна кол ска "валерика
FR2581299B1 (fr) * 1985-05-06 1988-07-15 Poirier Ets Dispositif pour verrouiller et deverrouiller un fauteuil pliable, notamment un fauteuil pour handicapes
JPS6216558U (ko) * 1985-07-17 1987-01-31
US4885820A (en) * 1987-10-30 1989-12-12 Packaging Industries Group, Inc. Plastic hinge, hinged material, and method for hinging
US5123129A (en) * 1988-08-10 1992-06-23 Lyons Donald D Waterproof hinged panel assembly
US5101536A (en) * 1988-12-23 1992-04-07 Gabriele Joseph M Self-supporting hinge assembly
US4917395A (en) * 1988-12-23 1990-04-17 Gabriele Joseph M Wheelchair and method of making same
US5050663A (en) * 1990-04-03 1991-09-24 Ford Motor Company Folding hinge and weather seal for a folding window
US5240276A (en) * 1992-05-20 1993-08-31 Coombs Franklyn K Interlocking foldable wheelchair construction
US5288098A (en) * 1992-12-21 1994-02-22 Louis Shamie Umbrella stroller with upper safety bar release mechanism
GB9400649D0 (en) * 1994-01-13 1994-03-09 Britax Teutonia Kinderwagen Pushchai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155227A1 (en) 1996-02-20
CN1099976C (zh) 2003-01-29
AU2832995A (en) 1996-02-29
US5676419A (en) 1997-10-14
EP0697323B1 (en) 1998-12-16
DE69506638T2 (de) 1999-07-08
DE69506638D1 (de) 1999-01-28
EP0697323A1 (en) 1996-02-21
KR960006844A (ko) 1996-03-22
CN1121476A (zh) 1996-05-01
JPH0858599A (ja) 1996-03-05
JP3311160B2 (ja) 2002-08-05
CA2155227C (en) 1999-10-12
AU688529B2 (en) 1998-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19308B1 (ko) 유모차의 좌석
US7931257B2 (en) Multilayer load bearing structure
EP0641534B1 (en) A bed base structure
EP2110052B1 (de) Rückenlehnenteil für einen Personensitz
EP0608635B1 (en) A bed base structure
US7445230B2 (en) Baby carriage
PL181724B1 (pl) Uklad zawieszenia do mebli PL
KR0166386B1 (ko) 침대의 바닥 구조물
US5269497A (en) Seat spring structure
KR900004299A (ko) 풀-아웃 및 상승 가능한 보조침대를 갖춘 소파베드용 지지구조
US6896331B2 (en) Seat structure
DE4418416C2 (de) Sitzmöbel
US3161893A (en) Swing
JP2885016B2 (ja) 椅子のシェル
US4628555A (en) Innerspring mattress
KR102661446B1 (ko) 기능성 좌식 의자
KR950029100A (ko) 좌석을 갖춘 기구
CN210810077U (zh) 一种座垫
JPH0445561Y2 (ko)
JPS59223527A (ja) 車両用シ−ト
KR200316000Y1 (ko) 의자
JP3050032U (ja) 座椅子
DE102020125439A1 (de) Schaukelmöbel
CN209377154U (zh) 一种护腰腰靠
KR960000090Y1 (ko) 메트리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32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