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9043B1 - 반도체 장치의 소자분리막 형성 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장치의 소자분리막 형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9043B1
KR100219043B1 KR1019960069247A KR19960069247A KR100219043B1 KR 100219043 B1 KR100219043 B1 KR 100219043B1 KR 1019960069247 A KR1019960069247 A KR 1019960069247A KR 19960069247 A KR19960069247 A KR 19960069247A KR 100219043 B1 KR100219043 B1 KR 1002190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semiconductor substrate
nitride film
forming
scc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92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0424A (ko
Inventor
이병석
Original Assignee
김영환
현대전자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환, 현대전자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환
Priority to KR10199600692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9043B1/ko
Priority to US08/992,642 priority patent/US5913133A/en
Priority to JP9353760A priority patent/JPH10189574A/ja
Publication of KR199800504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04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90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90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Making of isolation regions between compon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107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225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 H01L21/02227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formation by a process other than a deposition process
    • H01L21/0223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formation by a process other than a deposition process formation by oxidation, e.g. oxidation of the substrate
    • H01L21/02233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formation by a process other than a deposition process formation by oxidation, e.g. oxidation of the substrate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or a semiconductor layer
    • H01L21/02236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formation by a process other than a deposition process formation by oxidation, e.g. oxidation of the substrate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or a semiconductor layer group IV semiconductor
    • H01L21/02238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formation by a process other than a deposition process formation by oxidation, e.g. oxidation of the substrate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or a semiconductor layer group IV semiconductor silicon in uncombined form, i.e. pure silic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e.g.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e.g.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System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1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form insulating layers thereon, e.g. for masking or by using photolithographic techniques; After treatment of these lay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se layers
    • H01L21/3105After-treatment
    • H01L21/311Etching the insulating layers by chemical or physical means
    • H01L21/31105Etching inorganic layers
    • H01L21/31111Etching inorganic layers by chemical means
    • H01L21/31116Etching inorganic layers by chemical means by dry-etch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e.g.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e.g.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System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1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form insulating layers thereon, e.g. for masking or by using photolithographic techniques; After treatment of these lay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se layers
    • H01L21/314Inorganic layers
    • H01L21/316Inorganic layers composed of oxides or glassy oxides or oxide based glass
    • H01L21/3165Inorganic layers composed of oxides or glassy oxides or oxide based glass formed by oxidation
    • H01L21/31654Inorganic layers composed of oxides or glassy oxides or oxide based glass formed by oxidation of semiconductor materials, e.g. the body itself
    • H01L21/31658Inorganic layers composed of oxides or glassy oxides or oxide based glass formed by oxidation of semiconductor materials, e.g. the body itself by thermal oxidation, e.g. of SiGe
    • H01L21/31662Inorganic layers composed of oxides or glassy oxides or oxide based glass formed by oxidation of semiconductor materials, e.g. the body itself by thermal oxidation, e.g. of SiGe of silicon in uncombined for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Making of isolation regions between components
    • H01L21/762Dielectric regions, e.g. EPIC dielectric isolation, LOCOS; Trench refilling techniques, SOI technology, use of channel stoppers
    • H01L21/76202Dielectric regions, e.g. EPIC dielectric isolation, LOCOS; Trench refilling techniques, SOI technology, use of channel stoppers using a local oxidation of silicon, e.g. LOCOS, SWAMI, SILO
    • H01L21/76205Dielectric regions, e.g. EPIC dielectric isolation, LOCOS; Trench refilling techniques, SOI technology, use of channel stoppers using a local oxidation of silicon, e.g. LOCOS, SWAMI, SILO in a region being recessed from the surface, e.g. in a recess, groove, tub or trench region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 장치 제조 공정 중 소자분리막 형성 방법에 관한 것으로, 반도체 기판 상에 소자분리영역을 노출하는 산화방지막 패턴을 형성하고, 노출된 반도체 기판을 등방성식각으로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상기 산화방지막 패턴 측벽의 하부에 언더컷을 형성한 후, 산화공정을 실시하여 소자분리막을 형성하되, 상기 언더컷 부위에 위치하는 그 단부가 반도체 기판 표면에 노출되지 않는 소자분리막을 형성함으로써, 추후 콘택홀 형성시 마스크 오정렬로 인하여 소자분리막이 식각되지 않도록 하는 반도체 장치의 소자분리막 형성 방법이다.

Description

반도체 장치의 소자분리막 형성 방법{METHOD FOR FORMING ISOLATION LAYER OF SEMICONDUCTOR DEVICE}
본 발명은 반도체 장치 제조 공정 중 소자분리막 형성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부가 반도체 기판 표면으로 노출되지 않아 추후 콘택홀 형성시 마스크 오정렬로 인하여 소자분리막이 식각되지 않도록 하는 반도체 장치의 소자분리막 형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소자의 고집적화로 인하여 칩(Chip) 내의 패턴(Pattern) 간의 간격이 점점 줄어들고 있다. 따라서, 256M DRAM 급 이상의 소자에서는 소자 활성영역을 확보하기 위해 R-LOCOS(Recessed LOCOS)와 같이 변형된 소자분리막 형성 공정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 공정은 버즈빅(bird's beak)이 거의 발새??아지 않아 소자 활성영역 확보에는 유리한 반면, 후속 공정에서 콘택홀 형성시 마스크 공정 작업의 한계 또는 오정렬(miss-align)로 인해 소자분리막이 식각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소자분리막이 식각으로 제거된 부위에서는 반도체 기판이 그대로 노출되어 이로 인해 접합 누설이 발생하게 된다.
첨부된 도면 도1a 내지 도 1h를 참조하여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설명한다. 종래의 소자분리막 형성 방법 및 그를 이용한 반도체 장치 제조 공정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먼저, 도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리콘 기판(11) 상에 패드산화막(12)과 질화막(13)을 증착하고, 소자분리영역을 정의하는 감광막 패턴(14)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감광막 패턴(14)을 식각방지막으로하여 질화막(13) 및 패드산화막(12)을 비등방성 식각하여 패터닝한다.
다음으로, 도1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감광막 패턴(14)을 제거하고, 세정공정을 실시한다. 이때의 세정공정에서 패드산화막(12)이 일부 식각되어 패드산화막(12)의 단부가 질화막(13) 패턴 하부 안쪽에 위치하게 된다. 이어서, 전체 구조 상부에 스페이서를 형성하기 위한 질화막(15)을 증착한다.
다음으로, 도 1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질화막(15)을 전면 식각하여 질화막(13) 및 패드산화막(12) 패턴 측벽에 질화막 스페이서(15a)를 형성한다.
다음으로, 도1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자분리막이 형성될 영역의 실리콘 기판(11)을 선택적으로 비등방성 식각하여 약 500Å 정도 제거한다. 도면의A는 실리콘 기판(11)을 비등방성 식각함으로써 이루어지는 질화막 스페이서(15a)의 단부와 이어지는 실리콘 기판(11) 부분의 프로파일을 나타낸다.
다음으로, 도 1f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산화공정으로 소자분리영역에 필드산화막(16)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필드산화막(16)은 실리콘 기판(11) 내부에 그 모양이 거의 수직에 가깝게 형성된다.
다음으로, 도 1g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질화막(13) 패턴 및 질화막 스페이서(15a)를 제거하고 세정 공정을 실시한다. 이어서, 불순물 도핑 영역(17)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트랜지스터 및 비트라인(bit line) 등(도시하지 않음)을 형성하고, 산화막으로 층간절연막(18)을 형성한 후, 콘택홀을 형성하기 위하여 감광막 패턴(19)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도 1h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감과암?? 패턴(19)을 식각방지막으로 상기 층간절연막(18)을 선택적으로 식각하여 콘택홀을 형성하고 감광막 패턴(19)을 제거한다. 여기서, 반도체 장치의 고집적화에 의해 공정 여유도 부족 및 마스크(mask) 오정렬로 인하여, 도면의 B와 같이 필드산화막(16)의 단부가 식각되어 실리콘 기판(11)이 드러나게 된다. 결국, 실리콘 기판의 노출로 인하여 접합 누설이 발생하여 소자의 신뢰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고집적 반도체 장치 제조 방법에 있어서, 마스크 오정렬로 인한 소자분리막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반도체 장치의 소자분리막 형성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a 내지 도 1h는 종래 기술에 따른 반도체 장치 제조 공정 단면도,
도 2a 내지 도 2h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 제조 공정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 실리콘 기판 22 : 패드산화막
23, 25 : 질화막 24, 29 : 감광막 패턴
25a : 질화막 스페이서 26 : 필드산화막
27 : 불순물 도핑 영역 28 : 층간절연막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반도체 장치의 소자분리막 형성 방법에 있어서, 반도체 기판 상에 소자분리영역을 노출하는 산화방지막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노출된 반도체 기판을 등방성식각으로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상기 산화방지막 패턴 측벽의 하부에 언더컷을 형성하는 단계; 및 산화공정을 실시하여 소자분리막을 형성하되, 상기 언더컷 부위에 위치하는 그 단부가 반도체 기판 표면에 노출되지 않는 소자분리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 도2a 내지 도 2h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자분리막 형성 방법 및 그를 이용한 반도체 장치 제조 방법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먼저, 도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리콘 기판(21) 상에 패드산화막(22)과 질화막(23)을 증착하고, 소자분리영역을 정의하는 감광막 패턴(24)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감광막 패턴(24)을 식각방지막으로하여 지로하막(23) 및 패드산화막(22)을 비등방성 식각하여 패터닝한다.
다음으로, 도 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감광막 패턴(24)을 제거하고, 세정 공정을 실시한다. 이때의 세정공정에서 패드산화막(22)이 일부 식각되어 패드산화막(22)의 단부가 질화막(23) 패턴 하부 안쪽에 위치하게 된다. 이어서, 전체 구조 상부에 스페이서를 형성하기 위한 질화막(25)을 증착한다.
다음으로, 도 2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질화막(25)을 전면 식각하여 질화막(23) 및 패드산화막(22) 패턴 측벽에 질화막 스페이서(25a)를 형성한다.
다음으로, 도 2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질화막 스페이서(25a)를 형성하기 위한 식각 장비에서 연속적으로 실리콘 기판(21)을 약 500Å 정도 등방성 식각으로 제거한다. 도면 부호 C는 등방성식각에 의해 질화막 스페이서(25a)의 단부와 이어지 한다. 도면 부호 C는 등방성식각에 의해 질화막 스페이서(25a)의 단부와 이어지는 실리콘 기판(21)부분에 형성된 언더컷(under cut) 영역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식각 공정에서 LRC사의 TCP(transmission coupled plasma) 9408 장비를 사용하여, 200 w 내지 800 W의 탑 파위(top power), 0 w 내지 200W 바텀 파워(bottom power), 20 mTorr 내지 200 mTorr의 압력, 10sccm 내지 200sccm의 SF6, 20 sccm 내지 200 sccm의 He, O sccm 내지 20 sccm의 O2조건으로 식각을 실시한다.
다음으로, 도 2f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산화공정으로 필드산화막(26)을 형성산다. 상기 필드산화막(26)은 상기 등방성 식각으로 형성된 언더컷 영역에 그 단부가 위치함으로써 필드산화막(26)의 단부가 실리콘 기판 표면으로 노출되지 않는다. 도면부호 D는 질화막 스페이서(25a)의 단부와 이어지는 부분의 실리콘, 기판(21)에 형성된 언더컷에 위치하여 실리콘 기판 표면으로 노출되지 않는 필드산화막(26)의 단부를 나타낸다.
다음으로, 도 2g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질화막(23) 패턴 및 질화막 스페이서(25a)를 제거하고 세정공정을 실시하여 실리콘 기판(21) 상에 필드산화막(26)만을 남기고, 불순물 도핑 영역(27)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트랜지스터 및 비트라인등(도시하지 않음)을 형성한 후, 산화막 등으로 층간절연막(28)을 형성한다. 이어서, 상기 층간절연막 상의 소정 영역에 콘택홀 형성을 위한 감광막 패턴(29)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도2h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산화막(28)을 선택적으로 식각하여 콘택홀을 형성하고 감광막 패턴(29)을 제거한다. 여기서, 소자의 집적화에 의한 공정 여유도 부족 및 마스크 작업시 오정렬이 발생하더라도, 도면부호 E와 같이 필드산화막(26) 단부가 실리콘 기판 표면으로 노출되지 않음으로 인하여 필드산화막(26)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필드산화막(26)의 식각으로 인한 실리콘 기판의 노출이 없기 때문에 접합 누설의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소자분리막의 단부를 반도체 기판 표면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형성하여 공정 여유도가 적은 고집적 소자 제조 공정에서 마스크 오정렬에 따른 소자분리막의 손상으로 인한 누설 전류의 증가를 방지할 수 있어서 반도체 소자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4)

  1. (정정) 반도체 기판 상에 소자분리영역을 노출하는 산화방지막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노출된 반도체 기판을 등방성식각으로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상기 산화방지막 패턴 측벽의 하부에 언더컷을 형성하는 단계; 및
    산화공정을 실시하여 소자분리막을 형성하되, 상기 언더컷 부위에 위치하는 그 단부가 반도체 기판 표면에 노출되지 않는 소자분리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반도체 장치의 소자분리막 형성 방법.
  2. (정정)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방지막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반도체 기판 상에 패드산화막, 제1 질화막을 차례로 형성하는 단계;
    상기 패드산화막 및 제1질화막을 선택적으로 식각하여 패드산화막 및 제1 질화막이 적층된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반도체 기판 전면에 제2 질화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질화막을 비등방성 전면식각하여 제2 질화막 스페이서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반도체 장치의 소자분리막 형성 방법.
  3. (정정)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기판의 등방성식각은 플라즈마를 이용한 건식 식각으로 이루어지는 반도체 장치의 소자분리막 형성 방법.
  4. (정정)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즈마를 이용한 등방성건식각은, TCP방식의 장비를 사용하여 200 w 내지 800W의 탑 파위(top power), O w 내지 200 W 바텀 파워(bottom power), 20 mTorr 내지 200 mTorr의 압력, 10 sccm 내지 200 sccm의 SF6, 20 sccm 내지 200 sccm의 He, O sccm 내지 20 sccm의 O2공정 조건으로 실시하는 반도체 장치의 소자분리막 형성 방법.
KR1019960069247A 1996-12-20 1996-12-20 반도체 장치의 소자분리막 형성 방법 KR1002190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9247A KR100219043B1 (ko) 1996-12-20 1996-12-20 반도체 장치의 소자분리막 형성 방법
US08/992,642 US5913133A (en) 1996-12-20 1997-12-17 Method of forming isolation layer for semiconductor device
JP9353760A JPH10189574A (ja) 1996-12-20 1997-12-22 半導体装置の素子間分離膜形成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9247A KR100219043B1 (ko) 1996-12-20 1996-12-20 반도체 장치의 소자분리막 형성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0424A KR19980050424A (ko) 1998-09-15
KR100219043B1 true KR100219043B1 (ko) 1999-09-01

Family

ID=19489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9247A KR100219043B1 (ko) 1996-12-20 1996-12-20 반도체 장치의 소자분리막 형성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913133A (ko)
JP (1) JPH10189574A (ko)
KR (1) KR10021904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7630B1 (ko) * 1997-03-24 2000-01-15 김영환 반도체 소자의 격리 구조 제조 방법
KR100247939B1 (ko) * 1997-09-08 2000-03-15 윤종용 화학기상증착에 의한 제2 패드산화막을 이용한 반도체장치의 소자분리방법
US20040259323A1 (en) * 1999-05-11 2004-12-23 Wei-Kang King Semiconductor structure containing field oxid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TW413887B (en) * 1999-06-09 2000-12-01 Mosel Vitelic Inc Method for forming trench-type power metal oxide 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or
US6537895B1 (en) 2000-11-14 2003-03-25 Atmel Corporation Method of forming shallow trench isolation in a silicon wafe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27433A (ja) * 1990-09-18 1992-04-28 Sharp Corp 半導体素子分離領域の形成方法
KR960011861B1 (ko) * 1993-06-10 1996-09-03 삼성전자 주식회사 반도체장치의 소자 분리 방법
US5824594A (en) * 1996-04-29 1998-10-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tegrated circuit device isolating methods including silicon spacers and oxidation barrier films
KR0183879B1 (ko) * 1996-06-07 1999-04-15 김광호 반도체장치의 소자분리막 형성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0189574A (ja) 1998-07-21
US5913133A (en) 1999-06-15
KR19980050424A (ko) 1998-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60599B2 (en) Semiconductor device having trench isolation lay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0219043B1 (ko) 반도체 장치의 소자분리막 형성 방법
KR100325600B1 (ko) 반도체 소자의 접촉구 형성 방법
KR100587036B1 (ko) 반도체소자의 컨택 형성방법
KR0161878B1 (ko) 반도체장치의 콘택홀 형성방법
KR100324933B1 (ko) 반도체 소자의 자기정합 콘택홀 형성방법
KR100324935B1 (ko) 반도체 소자의 배선 형성방법
KR100796515B1 (ko) 반도체 소자 형성방법
KR100376985B1 (ko) 반도체 소자의 콘택 형성방법
KR0147196B1 (ko) 반도체 장치의 금속배선 콘택부 형성방법
KR100525300B1 (ko) 소자분리막 형성 방법
KR100416813B1 (ko) 반도체소자의필드산화막형성방법
KR100290912B1 (ko) 반도체소자의 격리막 형성방법
KR100265010B1 (ko) 반도체 소자의 콘택 홀 형성 방법
KR100227635B1 (ko) 반도체 소자의 콘택홀 형성 방법
KR100256798B1 (ko) 반도체 소자의 자기정렬콘택 형성방법
KR100421663B1 (ko) 컨텍트 스파이크 현상 방지방법
KR0147770B1 (ko) 반도체 장치 제조방법
KR100973262B1 (ko) 반도체소자의 소자분리막 형성방법
KR20020017763A (ko) 반도체 소자의 소자분리막 형성방법
KR20020003031A (ko) 반도체소자의 소자분리막 형성 방법
KR20020009767A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20060007804A (ko)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드레인 콘택 형성 방법
KR19980030942A (ko) 반도체 장치의 소자 분리막 형성방법
KR20020053555A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24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