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7160B1 - 편광특성을 개선시킨 적층체 및 그를 위한 이형필림 - Google Patents

편광특성을 개선시킨 적층체 및 그를 위한 이형필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7160B1
KR100217160B1 KR1019940017329A KR19940017329A KR100217160B1 KR 100217160 B1 KR100217160 B1 KR 100217160B1 KR 1019940017329 A KR1019940017329 A KR 1019940017329A KR 19940017329 A KR19940017329 A KR 19940017329A KR 100217160 B1 KR100217160 B1 KR 1002171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aromatic polyester
biaxially oriented
retardation
polariz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73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2978A (ko
Inventor
레이조오 아베
가즈노리 다나까
Original Assignee
야스이 쇼사꾸
데이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스이 쇼사꾸, 데이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스이 쇼사꾸
Publication of KR9500029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29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71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71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3Opt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3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with respect to the orientation of features
    • B32B7/035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with respect to the orientation of features using arrangements of stretched films, e.g. of mono-axially stretched films arranged alternate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83Birefringent or phase retard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2Polarizing, birefringent, filt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14Oriented
    • B32B2307/518Oriented bi-axiall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편광판, 위상차편광판 또는 위상차판의 한쪽 표면에 접착층을 형성시키고, 이 접착층의 표면에 투명한 이축배향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필림을 베이스필림으로 한 이형필림을 형성시킨 적층체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가 마이크로파 투과형 분자배향기로 측정한 상기 이형필림에 있어서 이축배향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필림의 배향주축의 방향 (1)과 편광판, 위상차편광판 또는 위상차판의 배향축의 방향(2)이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90도의 각도를 이루도록 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 특성을 개선시킨 적층체. 본 발명의 적층체는 대형의 TFT방식 또는 STN 방식의 편광판, 위상차편광판 또는 위상차판을 시각적으로 검사할 때 이물질 또는 결함을 용이하게 발견하도록 해준다.

Description

편광특성을 개선시킨 적층체 및 그를 위한 이형필림
제1도는 본 발명에서의 적층체의 구조와 시각검사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적층체의 구조 2 : 보호필림
3 : 편광판 4 : 접착층
5 : 실리콘이형층 6 : 이축배향 방향족 폴리에스트레 필림
7 : 이물질 또는 결점 8 : 교차니콜검사용 편광판
9 : 광원 10 : 불투명 광확산판
본 발명은 편광특성을 개선시킨 적층체(laminate)와 그것을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이형필림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편광판, 위상차편광판 또는 위상차판의 한쪽 표면에 접착층이 형성되어있고, 상기 접착층의 표면에 이형필림이 적층되어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는 적층체로, 편광특성이 우수하여 이물질을 용이하게 시각검사할 수 있도록 해주는 적층체와; 그리고 그것을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이형필림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고성능 고화질의 대형화면 칼라 액정디스플레이(LCD)에 대한 기술이 발전해오고 있다. 더우기, LCD는 브라운관(CRT)에 비해 경량화 저에너지소비화가 가능하다. 따라서, LCD는 노트북 개인용컴퓨터와 워드프로세스용 디스플레이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LCD의 사용은 급속하게 보급되고 현저하게 성장하고 있다.
그러나, 액정디스플레이의 계속적인 성장을 위해서는 비용의 합리화가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특히 대 화면의 박막저항기(TFT, 액티브매트릭스)방식 또는 수퍼트위스트네매틱(supper twist nematic:STN)방식에서 불량제품이 많아짐에 따라 수율을 향상시켜 비용을 감소시키는 것이 시급하게 요구되었다.
액정디스플레이(LCD)에서, 편광판, 위상차편광판 및 위상차판은 LCD에서 일정한 투과광을 제공하고 투과광의 칼라색조를 변화시키기 위해서 필수적이고 중요한 부품들이다. 또한 이들 판에 있어서, 안정한 품질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이며, 공정검사, 품질검사, 출하검사에 대한 기준이 점점 더 까다로워 지고 있다.
편광판, 위상차편광판 및 위상차판은 편광기재의 한쪽 표면에 접착층을 형성시키고 그 다음 상기 접착층에 이형필림을 적층시킴으로써 제조된 적층체의 롤을 원하는 크기로 다이-절단함으로써 각각 LCD에 제공된다. 이들 필림의 검사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항목은 이물질의 함입 및 접착여부를 검사하는 것이다. 이물질의 콘트롤은 편광판의 제조단계에서 뿐만아니라 이형필림으로 접착-적층하는 단계, 다이-절단단계, 그리고 에이징, 출하 및 포장단계에 이르기까지 모든 단계가 중요하다.
그러나, 최종검사단계에서 이물질의 검사는 교차니콜법(두 개의 편광판의 연신축을 직각으로 교차시키고, 이형필림을 그 사이에 위치시켜 투과광으로 이물질을 관찰하는 방법과 일치한다)에 따라 조작자에 의한 시각적 검사이다. 특히, 대화면의 LCD에서, 이형필림의 베이스필림이 이축배향된 방향족 폴리에스테르필림의 광학적 이방성 때문에 정확한 시간검사가 여러번 방해받는다. 따라서, 이물질의 함입은 상당히 자주 간과된다.
제막시 종방향과 횡방향에서의 기계적 열적특성이 균형잡힌 이형필림의 베이스필림으로서, 이축배향된 방향족폴리에스테르 필림, 특히 이축배향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림이 사용되어왔다. 그리고 상기 필림의 결정배향 주축의 방향은 필림의 종방향 또는 횡방향과 일치하지 않으며, 거의 양방향의 중간에 있다. 또한, 상기 필림의 결정배향 주축의 방향은 필림 횡(폭)방향의 위치에 의해 크게 변화한다. 이러한 변화는 보잉(bowing)현상에 의해 일어나고, 중심에서 보다 양 끝쪽으로 갈수록 점차 커진다.
한편, 편광판, 위상차편광판 그리고 위상차판은 일축 배향된 편광필림을 사용하여 만들고, 그 배향축의 방향은 보통 종방향이다.
긴 편광판 또는 위상차판이 롤상의 이형필림과 적층될때, 양 필림의 배향축의 방향은 이탈되고, 이형필림의 폭방향의 결정배향 주축은 중심으로부터 폭방향으로 확장된 범위에서 점차 변화한다. 특히 이탈은 양끝으로 갈수록 점점 커진다. 이런 이유로 수득한 적층체의 교차 니콜법에 의한 이물질의 시각검사에서, 간섭광의 색이 발생하며, 이러한 발생의 정도는 양끝에서 더욱더 심해진다.
적층체의 폭이 좁을 경우, 바꾸어 말해, LCD가 소형크기일 경우는, 이물질의 시각검사는 간섭광의 색이 약간 존재하더라도 어느 정도 정확하게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적층체의 폭이 클 경우, 바꾸어 말해, LCD가 대화면일 경우, 이물질의 시각검사에 의해 모든 이물질을 조사하기가 극히 어려워지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형필림과 편광판, 위상차편광판 또는 위상차판을 적층시킴으로써 수득되는 편광특성이 개선된 적층체를 제공하는 동시에, 편광판, 위상차편광판 또는 위상차판으로 적층되었을때, 실질적으로 간섭광의 색을 나타내지 않으면서, 교차니콜법에 의해 이물질의 시각검사를 용이하게 하고 특히 대화면의 LCD에 있어서 이물질의 간과 가능성을 줄이고 그 결과 이물질 시각검사의 정확도를 높여 불량품의 출현을 방지할 수 있는 이형필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자들의 연구에 의해 편광판, 위상차편광판 또는 위상차판의 한쪽 표면에 접착층을 형성시키고, 그 접착층의 표면에 투명한 이축배향된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필림을 베이스필림으로 한 이형필림을 형성시킨 적층체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가 마이크로파투과형태 분자배향기(microwave transmission-type molecular orientation meter)로 측정한 이형필림에 있어서 이축배향된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필림의 배향주축의 방향(1)과 편과판, 위상차편광판 또는 위상차판의 배향축의 방향(2)이 실질적으로 같거나 실질적으로 90도의 각도를 이루도록 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특성이 개선된 적층체에 의해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아내었다.
본 발명에 의해 투명한 이축배향된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필림의 최소 한쪽 표면에 실리콘코팅하여 이형성을 부여시킨 이형필림으로, 상기 이축배향된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필림은 마이크로파투과형태 분자배향기로 측정하였을때 1.3~1.8의 MOR값을 가지고 있는 편광판, 위상차편광판 또는 위상차판을 검사할 수 있는 이형필림을 추가로 제공하였다.
이하에서 먼저 본 발명의 적층체 사용된 이형필림, 그 다음 편광특성을 개선시킨 적층체에 대해 자세히 설명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형필림의 베이스필림으로 사용한 이축배향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필림의 전형적인 예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림과 폴리-2, 6-나트탈렌디카르복실레이트 필림이다. 이들 중,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림이 더욱 실용적이다.
본 발명에서 이형필림의 베이스필림으로 사용한 투명한 이축배향된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필림은 마이크로파투과형태 분자배향기로 측정하였을때 1.3~1.8, 바람직하게는 1.35~1.75의 MOR(최대배향비) 값을 가진다.
이 MOR값은 상기영역의 모두 만족시키는 필림의 폭방향중 세지점에서 측정되는 것이 요구된다. 측정점은 세지점, 즉 중앙점 그리고 중앙점과 필림의 폭방향(마이크로파투과형태 분자배향기로 측정된 배향주축의 방향과 직각인 방향)에서 양끝사이의 각 끝으로부터 1/5 지점들이다. 즉, MOR값은 필림의 폭방향에서의 직선 중 한 끝에서부터 10, 50와 90인 일정한 세지점에서 측정된다.
필림의 폭방향에서, MOR값은 상기 세지점에서 측정된다. 한편, 필림의 길이방향(폭방향과 직각인 방향)에서, MOR값은 예를 들면, 필림의 폭의 1.0~5배, 바람직하게는 2~3배의 간격에서 측정된다.
여기에서 MOR값은 투과형태 분자배향기에 의해 측정된 투과마이크로파강도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비(최대값/최소값)을 말한다. 횡방향과 종방향에서의 연신비 사이의 차가 적은, 즉 우수한 밸런스를 가진 필림은 보다 낮은 MOR값을 나타낸다. 반면에 상기연신비 사이의 차가 큰 필림, 즉 한쪽 방향에서 높은 연신강도를 가지고 있는 필림은 보다 높은 MOR값을 나타낸다. 평균범위 보다 높거나 또는 낮은 MOR값은 바람직하지 않다.
MOR(최대배향비)값은 필림의 폭방향으로 변화하려는 경향이 있다. 상기 세 점에서의 MOR값의 차(최대와 최소값의 차이)는 바람직하게는 0.2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0.15이하이다.
상기에서 기재된 것처럼 본 발명의 이형필림의 베이스필림에서의 MOR값의 범위와 최대와 최소값 사이의 차의 범위는 상기 조건을 만족하고 또한 하기 제1식으로 정의된 위상차(R)값이 120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는 589㎚파장(λ)의 가시광선에서 필림의 폭방향에서의 굴절률(nx)와 필림의 폭방향과 직각방향에서의 굴절률(ny)사이의 차(nx-ny)이며, d는 필림의 두께(㎚)이다.)
이축 배향된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필림은 복굴절물질이다. 빛이 통과할때 입사광은 직각으로 교차하는 진동면의 두개의 직선편광으로 전파된다. 이 두개의 직선편광(정상광과 비정상광)사이의 차이를 위상차(리타데이션:R)라 한다. 이러한 위상차효과는 간접색으로서 편광판의 검사단계에 영향을 미친다.
교차된 니콜(편광현미경으로 제조됨)에서 Michcl-Levy에 의해 수정된 간섭색도표에 따라, 간섭광은 낮은 위상차영역에서의 어두운 시계(흑)내에 존재한다. 위상차에 비례하여 간섭광은 노란색→적색→자주색→파란색→녹색으로 변화한다. 그런후 색은 노란색으로 나타나게 되고, 이러한 색변화는 같은 사이클로 반복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연구에 따르면, 위상차(R)가 1200㎚를 초과할때 간섭광의 농도는 급격히 감소하며 따라서, 위상차가 아주 높을 때는 간섭광의 색이 너무 희미해서 시각검사하는데 장애를 주지 못한다는 것을 알아내었다. 그 결과, 광학위상차(R)값의 영역은 1200㎚이상이 바람직하며, 보통 25~50㎛ 두께의 이축배향된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필림의 경우에 가장 바람직한 R값의 범위는 1300㎚ 이상이라는 것을 알아내었다.
이러한 요구조건을 입증하기 위해 복굴절을 가진 투명한 필림의 교차된 니콜하에서 투과광량(I)과 입사광량(Io)의 사이의 비(I/Io)는 일반적으로 하기식으로 표현된다.
복굴절을 가진 투명한 필림의 교차니콜에서, 교차니콜 사이에 존재하는 복굴절물질의 존재각도(θ:본 발명에서 배향각에 해당)가 아주 작을 때, 투과광량과 입사광량의 비는 소광위치에 가깝게 된다.
상기의 비가 소광위치에 가깝게 되는 조건은 다음 (a)와 (b)이다.
(a)θ가 작을 경우
(b) d/λ=R/λ가 자연수 1, 2, 3 ... 인 경우(R은 광원의 파장: λ의 정수배)
배향각 θ이 0에 가까워짐에 따라 식(2)의 비는 0에 가까워지거나 또는 소광위치에 가깝게 된다. 따라서, 이물질이 하얗게 떠오르게 되고 시각검사의 효율성이 극히 높아지게 된다. 그와 동시에 위상차R은 가시광선의 파장영역인 420㎚와 760㎚의 평균인 590㎚의 두배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상차(R)가 1200㎚일때, 이 비는 배향각θ가 작은 횡배향조건하에서 소광위치에 더욱더 가깝게 된다. 위상차(R)가 1200㎚보다 더욱 클때, 교차니콜에서의 간섭색도에서 간섭광의 농도가 급격하게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R≥1200㎚가 이물질의 시각검사에 있어서 바람직한 조건이다. 위상차(R)의 상한은 필림의 두께에 의해 변화하나, 두께가 25~50㎛인 범위에서는 특별하게 상한을 설정하는 것은 필요하지 않다.
베이스 필림으로서의 이축배향된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필림은 상술한 특성외에 하기의 특성을 가진다.
(1)시각적 외관 검사에 적합한 투명성. 접착제 표면을 균일하게 하는 평탄성.
(2)고정력 가열하에 실시된 접착제의 코팅과 편광필림의 라미네이션에 견딜 수 있는 내열성, 고강도, 고신도 그리고 고탄성률; 구체적으로는, 하기의 파단신도, 탄성률 및 열수축률을 가진다.
필림파단신도 : 길이방향 150~250, 폭방향 50~150
필림탄성률 : 길이방향 300~700㎏/㎟, 폭방향 400~800㎏/㎟
열수축율 : 길이방향 0.4이하, 폭방향 0.3이하(110℃30분)
(3)이형필림의 열수축으로 인한 접착제 계면과의 어긋남에 의해 발생하는 터널링(Turnneling:탈라미네이션 현상) 또는 커링(curling)을 발생시키지 않는 치수안정성.
(4)광학적인 용도에 사용할 수 있는 청정도(해로운 이물질의 존재, 부착먼지 등), 즉 0~100이물질/10inch2.
(5)25~50㎛두께.
이축배향된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필림은 하기의 연신비 및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즉, 상기필림을 종방향과 횡방향 모두 3배이상 연신시킨다; 종방향의 연신비가 횡방향의 연신비보다도 바람직하게 최소 0.5,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0.7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거나 또는 횡방향의 연신비가 종방향의 연신비보다도 바람직하게 최소 0.5,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0.7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필림의 종방향과 횡방향에서의 연신비가 6을 초과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축연산처리는 동시이축연신 또는 연속이축연신을 행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지만 후자가 바람직하다. 이축연신후 열고정처리시 필림의 전폭에서의 보잉을 감소하기 위해 등방화처리를 실시한다.
이축연신, 열고정후의 필림은 150℃에서 30분간(무하중) 유지하였을때의 열수축율은 종방향, 횡방향 모두에서 바람직하게 4이하이다.
이축배향된 방향족 폴리에스테르필림의 최소 한쪽 표면에 대한 이형성 부여 처리는 특별하게 제한되지 않는다. 그러나, 실리콘코팅처리가 바람직하다. 특히, 경화실리콘 코팅을 형성하는 처리는 바람직하다.
상기의 경화 실리콘수지 코팅은 경화성 실리콘수지를 함유한 코팅액을 최소 필림의 한쪽 표면에 코팅하고, 코팅된 필림을 건조, 경화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경화성 실리콘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축합반응 또는 부가반응과 같은 어떤 반응에 의하거나 자외선 또는 전자선에 의한 경화에 의해 제조된 수지를 포함한다. 이들은 단일 또는 조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각종 실리콘 경화방법은 아래에 개략적으로 나타나 있다.
축합반응계의 실리콘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말단에 -OH기를 가지고 있는 폴리디메틸실록산과 말단에 -H기를 가지는 폴리디메틸실록산(히드로젠 실란)을 유기주석촉매(예컨대, 유기주석 아실레이트의 촉매)의 존재하에서 축합반응시켜 3차원 가교구조를 형성한 수지를 들 수 있다.
부가반응계의 실리콘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말단에 비닐기를 도입시킨 폴리디메틸실록산과 히드로젠 실란을 백금촉매의 존재하에 반응시켜 3차원 가교구조를 형성한 수지를 들 수 있다.
자외선경화계의 실리콘수지의 가장 기본적인 예로서는, 통상의 실리콘고무 가교반응과 동일한 라디칼반응에 의해 수득한 수지, 아크릴기를 도입시킴으로써 광경화반응시켜 수득한 수지, 자외선으로 오늄염을 분해하여 강산을 발생시키고 상기 강산에 의해 에폭시기를 분열시켜 가교된 수지 그리고 비닐실록산과 티올의 부가반응에 의해 가교된 수지를 들 수 있다. 전자선은 자외선 보다도 강한 에너지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자외선 경화에서처럼 개시제를 사용하지 않고 라디칼에 의해 가교반응이 일어난다.
경화성 실리콘수지는 약 50내지 200,000, 바람직하게는 약 1000내지 100,000의 중합도를 가진다. 경합성 실리콘수지의 예는 다음과 같다.
Shin-stsu실리콘사의 수지: KS-718, -774, -775, -778, -779H, -830, -835, -837, -838, -839, -841, -843, -847, -847H, X-62-2418, -2422, -2125, -2492, -2494, -470, -2366, -630, X-92-140, -128, KS-723AB, -705F, -708A, -883, -709, -719
Toshiba 실리콘사의 수지: TRP-6701, -6702, -6703, -3704, -6705, -6722, -6721, -6700, XSR-7029, YSR-3022, YR-3286
Dow Corning사의 수지: DK-Q3-202, -203, -204, -210, -240, -3003, -205, -3057, SFXF-2560
Toray실리콘사의 수지: SD-7226, 7320, 7229, BY24-900, 171, 312, 374, SRX-375, SYL-OFF23, SRX-244, SEX-290
I.C.I. JAPAN의 수지: SILCOLEASE 425
또한 일본 특허출원공개 번호 제34,447/1972호와 일본특허공보 제40,918/1977호에 기재된 실리콘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경화성실리콘 코팅을 필림의 표면에 형성시킬 때, 공지의 코팅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그러한 코팅방법의 예는 바코팅방법, 닥터 블레이트 코팅방법, 리브서-롤 코팅방법 그리고 그라비야 코팅방법이다.
건조와 경화(열경화, 자외선경화 등)는 각각 개별적으로 또는 동시에 실시할 수 있다. 이들이 동시에 실시될 때, 온도는 최소 100℃이상이 바람직하다. 건조 및 열경화 조건은 최소 100℃와 30초가 바람직하다. 건조온도가 100℃보다 낮고 경화시간이 30초보다도 적을 때는 코팅의 경화가 불완전하며, 코팅의 탈락이 발생하여 내구성이 불안정하게 된다.
경화성 실리콘수지의 코팅의 두께는 특별하게 제한되지 않는다.
그러나, 0.05~0.5㎛인 것이 바람직하다. 코팅이 너무 얇을 경우에는 이형성이 감소하며 만족스러운 성능이 기대될 수 없다. 코팅이 너무 두꺼울 경우는 경화시키는데 많은 시간이 걸리게 되며 생산상 불리한 점으로 작용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이형필림을 한 개의 표면에 접착층을 가지고 있는 편광판, 위상차편광판 또는 위상차판의 상기 접착층의 표면에 형성시킨다. 그와 동시에 접착층을 이형필림의 경화성 실리콘수지 코팅의 표면과 접촉시켜 적층시킨다.
상기 적층체는 마이크로파 투과형태 분자 배향기로 측정하였을 때 이혈필림 중 이축배향된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필림의 배향주축의 방향과 편광판, 위상차편광판 또는 위상차판의 배향축의 방향이 실질적으로 같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90도의 각도를 형성하도록 놓여진다.
여기에서, 실질적으로 같다라는 의미는 양 방향이 정확하게 서로 일치하거나 또는 사실상 시각검사의 지장을 초래하지 않을 정도로 약간 어긋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보통 5도 이하, 바람직하게는 3도 이하의 어긋남이 허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축배향된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필림의 마이크로파 투과형태 분자배향기에서 측정한 배향주축(이하부터 간단히 배향주축으로 약칭함)의 방향은 필림의 종(길이)방향 또는 횡(폭)방향과 거의 일치한다. 따라서, 예를 들면, 상기 이축배향 방향족 폴리에스테를 필림의 종방향은 편광판, 위상차편광판 또는 위상차판의 종방향(길이방향;배향주축의 방향)과 일치하도록 하여 적충체의 조건을 만족시킨다.
본 발명의 적층체에서는, 이형필림의 배향주축과 편광판, 위상차편광판 및 위상차판의 배향축이 서로 일치하거나 또는 90도 어긋나도록 되어있기 때문에 교차니콜법에 의한 이물질의 시각검사에서 광간섭색이 발생하지 않아 용이하게 이물질 또는 결함을 검출할 수 있다. 이형필림의 배향주축과 상기필림의 배향축이 서로 일치할 경우 밝은 시계에서 검사할 수 있다. 한편, 양축이 90도 어긋날 경우에는 어두운 시계에서 반사광만으로 검사할 수 있다. 각 경우에 있어서, 이물질은 용이하게 검사될 수 있다. 예를 들면, 900㎜의 길이와 600㎜의 폭을 가지고 있는, 물질조차도 용이하게 검사할 수 있으며, 이물질 또는 결함은 거의 간과되지 않는다.
상기 편광판, 위상차편광판 및 위상차판으로서는, 이제까지 잘 알려져 있으며, 잘 사용되어 온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이들 중, 편광필림, 위상차판 및 위상차판으로서, 대화면의 TFT(액티트매트릭스)방식과 STN(슈퍼트위스트네매틱)방식이 바람직하다.
제1도는 본 발명에서의 적층체의 구조와 시각검사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제1도에서 1은 적층체의 구조, 2는 보호필림, 예컨대, 50~70㎛두께의 폴리에틸렌필림, 3은 120~200㎛두께의 편광판(또는 위상차편광판 또는 위상차판). 4는 보통 20~50㎛두께의 접착층, 5는 실리콘이형층, 6은 이축배향 방향족 폴리에스테르필림, 7은 보호필림 2에 존재하는 50~200㎛크기의 이물질 또는 결점, 8은 교차니콜검사용 편광판, 9는 광원, 예컨대, 두개의 형광(20W), 그리고 10은 불투명 광확산판이다. 적층체1은 보호필림2로부터 이축배향 방향족폴리에스테르 필림6까지의 구조로 구성되며, 이형필림은 실리콘이형층5와 이축배향 방향족폴리에스테르 필림6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적층체를 사용하여 검사된 이물질 또는 결함은 제1도에 표시된 보호필림 중에 존재할 뿐만 아니라, 편광판, 위상차편광판, 위상차판, 실리콘이형층 또는 이축배향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필림 중에서나 또는 이들 사이에 존재한다. 어쨋든, 적층체에서의 이물질 또는 결함은 시각검사로 용이하게 발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와 비교예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상기 실시예에서의 물성은 하기의 방법으로 측정되었다.
(1)MOR값. 배향결정주축의 기울기(배향각)
Kanzaki제지(주)의 마이크로파 분자배향기를 사용하여 투과마이크로파의 강도패턴으로부터 MOR값과 배향결정주축의 기울기(배향각)를 구하였다.
(2)시각검사의 상황(교차니콜하에서 광간섭의 영향)
제1도에서 나타낸 구조로 시각검사를 실시하고 광간섭의 발생상황을 하기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양호: 광간섭이 일어나지 않음.
약간불량: 광간섭이 있으나 검사가 가능.
불량: 광간섭이 발생하여 검사가 불가능.
[실시예 1~3과 비교예 1~4]
용융시킨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필림으로 압출하고 그 필림을 20℃의 회전냉각드럼과 접촉시켜 급속하게 냉각시켜 미연산필림을 형성한다. 이 미연산필림을 표 1에 표시한 연신배율로 연속 이축연신시키고난 뒤 표 1에서 표시한 조건으로 열고정시켜 두께가 38㎛인 투명한 이축 연신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림을 얻는다.
다음으로 상기 이축배향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림의 한쪽표면에 하기조성의 실리콘수지코팅용액을 8g/㎡의 코팅량(Wet)으로 코팅한다. 이렇게 얻은 코팅필림을 130℃에서 30초간 건조, 경화시켜 0.24㎛코팅두께의 이형필림을 얻는다.
코팅용액의 조성
경화성 실리콘수지(KS847H) 100중량부
경화제(CAT PL-50T, Shin-etsu 실리콘 사제) 2중량부
희석제 : 메틸에틸케톤/크실렌/메틸이소부틸케톤 898중량부
상기 이형필림의 이형면에 폴리에스테르 집착테이프(NITTOH-31B)를 집착시키고 5㎏의 압력롤러를 앞뒤로 주행시킨다. 필림을 20시간 방치한 후에 상기 테이프의 180도 박리접착(peeling)강도를 측정하였는데 모두가 9g±2g/25㎜의 범위에 있었다. 따라서, 상기 필림은 편광판(필림라이너)용 이형필림으로서 충분한 이형성을 가지고 있었다.
이 이형필림을 사용하여 제1도에서 1로 표시한 구조의 적층체를 만들고, 각 특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는 표 1에 나타냈다.
상기 비교예 1에서 사용한 필림과 실시예3에서 사용한 필림은 제막한 필림을 폭방향으로 3등분한 것이다. 즉, 비교예 1에서의 필림은 제막필림의 권취위치에서 보았을 때 죄측부분의 필림이고, 실시예3의 필림(C와 F)은 제막필림의 귄취위치에서 보았을 때 중심과 우측부분의 필림이다. 이들 필림은 똑같은 제막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절단하였지만 MOR값과 MOR값이 최대최소값의 차가 다른 것은 아마도 필림의 제막시에 보잉현상으로 인해 배향주축의 방향이 위치에 따라서 변화하기 때문이다.

Claims (10)

  1. 편광판, 위상차편광판 또는 위상차판의 한쪽 표면에 접착층을 형성시키고, 이 접착층의 표면에 투명한 이축배향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필림을 베이스필림으로 한 이형필림을 형성시킨 적층체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가 상기 이형필림에 있어서 이축배향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필림의 마이크로파 투과형 분자배향기로 측정한 배향주축의 방향(1)과 편광판, 위상차편광판 또는 위상차판의 배향축의 방향(2)이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90도의 각도를 이루도록 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특성이 개선된 적층체.
  2. 제1항에 있어서, 마이크로파투과형 분자배향기로 측정하였을때 이축배향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필림이 1.3~1.8의 MOR값을 갖는 적층체.
  3. 제2항에 있어서, 이축배향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필림에서의 MOR값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가 0.2이하인 적층체.
  4. 제1 또는 2항에 있어서, 이축배향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필림이 하기 식(1)로 정의된 위상차(R)값이 1200㎚이상인 적층체.
    (여기서는 589㎚파장(λ)의 가시광선에서 필림의 폭방향에서의 굴절률(nx)와 필림의 폭방향과 직각방향에서의 굴절률(ny)사이의 차(nx-ny)이고, d는 필림의 두께(㎚)이다.)
  5. 제1항에 있어서, 이형필림이 투명한 이축배향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필림의 최소한 한쪽 표면에 실리콘 코팅하여 이형성을 부여시킨 필림인 적층체.
  6. 제1항에 있어서,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필림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림인 적층체.
  7. 투명한 이축배향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필림의 최소한 한쪽 표면에 실리콘 코팅하여 이형성을 부여시킨 이형필림으로서, 마이크로파투과형 분자배향기로 측정한 상기 이축배향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필림의 MOR값이 1.3~1.8인 편광판, 위상차편광판 또는 위상차판의 검사를 위한 이형필림.
  8. 제7항에 있어서, 이축배향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필림에서의 MOR값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가 0.2이하인 이형필림.
  9. 제7항에 있어서, 이축배향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필림이 하기 식(1)로 정의된 위상차(R)값이 1200㎚이상인 이형필림.
    (여기서는 589㎚파장(λ)의 가시광선에서 필림의 폭방향에서의 굴절률(nx)와 필림의 폭방향과 직각방향에서의 굴절률(ny)사이의 차(nx-ny)이고, d는 필림의 두께(㎚)이다.)
  10. 제7항에 있어서,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필림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림인 이형필림.
KR1019940017329A 1993-07-19 1994-07-18 편광특성을 개선시킨 적층체 및 그를 위한 이형필림 KR1002171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3-178092 1993-07-19
JP17809293 1993-07-19
JP93-201462 1993-08-13
JP20146293 1993-08-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2978A KR950002978A (ko) 1995-02-16
KR100217160B1 true KR100217160B1 (ko) 1999-09-01

Family

ID=26498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7329A KR100217160B1 (ko) 1993-07-19 1994-07-18 편광특성을 개선시킨 적층체 및 그를 위한 이형필림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0635358B1 (ko)
KR (1) KR100217160B1 (ko)
DE (1) DE69421854T2 (ko)
MY (1) MY11424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6479B1 (ko) * 1996-11-26 2004-03-20 주식회사 코오롱 태양광선 제어 필름
US6482501B2 (en) 1998-05-18 2002-11-19 Toyo Boseki Kabushiki Kaisha Optical-use adhesive film
JP4320763B2 (ja) * 1999-02-22 2009-08-26 東洋紡績株式会社 光学用易接着フィルム
JP2000162584A (ja) * 1998-11-26 2000-06-16 Nitto Denko Corp 光学部材、セル基板及び液晶表示装置
KR100689974B1 (ko) 2000-04-04 2007-03-09 미쓰비시 가가꾸 폴리에스테르 필름 가부시키가이샤 이형 필름
CN1381754A (zh) * 2001-04-16 2002-11-27 日东电工株式会社 一种光学器件及液晶显示装置
US7088511B2 (en) 2003-02-12 2006-08-0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Light polarizing film and method of making sam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3338A (ja) * 1984-06-18 1986-01-09 Toray Ind Inc 光学記録材
JPS61148403A (ja) * 1984-12-24 1986-07-07 Toray Ind Inc 円偏光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S61189506A (ja) * 1985-02-19 1986-08-23 Nitto Electric Ind Co Ltd 偏光板形成用積層フイ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H0411203A (ja) * 1990-04-27 1992-01-16 Toray Ind Inc 位相差フイルム
JP3056567B2 (ja) * 1991-10-18 2000-06-26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検査用セパレータ
JP3520347B2 (ja) * 1992-06-19 2004-04-19 東洋紡績株式会社 偏光板用離型フイル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421854D1 (de) 2000-01-05
KR950002978A (ko) 1995-02-16
MY114245A (en) 2002-09-30
EP0635358A1 (en) 1995-01-25
DE69421854T2 (de) 2000-07-27
EP0635358B1 (en) 1999-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77024A (en) Laminate having improved polarization characteristics and release film used therefor
CN1791832B (zh) 液晶显示器用补偿膜
KR101129846B1 (ko) 액정 디스플레이에 사용하기 위한, 비정질 중합체를 갖는다층 광학 보상 필름
JP4566385B2 (ja) 偏光板
JP3403859B2 (ja) 離型フイルム
US20030072078A1 (en) Polarizing plat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liquid crystal display using the polarizing plate
JP4908102B2 (ja) 位相差フィルム、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JP2003121641A (ja) 積層位相差板、偏光部材及び液晶表示装置
JP4644916B2 (ja) 偏光フィルム貼り合わせ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9012254A (ja) 離型フィルム
CN101331425A (zh) 液晶面板及液晶显示装置
US5244713A (en) Optical film
WO2004003606A1 (ja) ポリカーボネート系配向フィルムおよび位相差フィルム
JPH07101026A (ja) 偏光特性の改善された積層体およびそのための離型フイルム
JP2003231214A (ja) 離型フイルム
EP0376696B1 (en) Optical film
KR100217160B1 (ko) 편광특성을 개선시킨 적층체 및 그를 위한 이형필림
JP4566384B2 (ja) 偏光板
JP2002182037A (ja) 離型フイルムの製造方法
JP2002277636A (ja) 偏光板
US11860480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2002189125A (ja) 偏光フィルム貼り合わせ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4133171A (ja) 光学補償シート及び液晶表示装置
WO2021029190A1 (ja) 転写用フィルム積層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H08160222A (ja) 光学補償フィルム用基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0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3

Year of fee payment: 1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