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4196B1 - 회전 권상 날개를 구비한 건조 장치 및 건조 방법 - Google Patents

회전 권상 날개를 구비한 건조 장치 및 건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4196B1
KR100214196B1 KR1019950010241A KR19950010241A KR100214196B1 KR 100214196 B1 KR100214196 B1 KR 100214196B1 KR 1019950010241 A KR1019950010241 A KR 1019950010241A KR 19950010241 A KR19950010241 A KR 19950010241A KR 100214196 B1 KR100214196 B1 KR 1002141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transfer surface
heat
heat transfer
bla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102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8253A (ko
Inventor
마사오 가나이
Original Assignee
마사오 가나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7280409&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214196(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Priority claimed from JP6209246A external-priority patent/JP305754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232096A external-priority patent/JP284063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994013805U external-priority patent/JP3010120U/ja
Application filed by 마사오 가나이 filed Critical 마사오 가나이
Publication of KR9600082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82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41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41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7/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7/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 F26B17/18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with movement performed by rotating helical blades or other rotary conveyors which may be heated moving materials in stationary chambers, e.g. troughs
    • F26B17/22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with movement performed by rotating helical blades or other rotary conveyors which may be heated moving materials in stationary chambers, e.g. troughs the axis of rotation being vertical or steeply inclin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1/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 F26B11/12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in stationary drums or other mainly-closed receptacles with moving stirring devices
    • F26B11/14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in stationary drums or other mainly-closed receptacles with moving stirring devices the stirring device moving in a horizontal or slightly-inclined pla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조 효율을 보다 좋게 한 건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피건조물(3)을 투입하는 건조조(4)와, 전열 수단으로 부터의 열을 피건조물(3)에 전하는 건조조(4)내 벽면의 전열면(2)과, 상기 전열면(2)에 열을 전하는 전열 수단과, 상기 건조조(4)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 날개로 구성되는 건조 장치(1)에 있어서, 상기 회전 날개 는 각각의 날개가 전열면 (2)과의 사이에 피건조물(3)을 전열면(2)에 접촉시킬 수 있는 클리어런스(clearance)(U)를 구비 하면서, 상기 전열면(2)을 따라서 회전 방향(R)의 역방향의 상측으로 경사져 연장 되고, 또한 이 각각의 날개가 평면 에서 보아서 360。의 원주 범위내의 길이를 구비한 복수개 의 기(基)날개(5a)로 구성되는 회전 권상 날개(5)로서, 더구나 이 회전 권상날개(5)는 상기 피건조물(3)을 복수개의 기날개(5a)상측에 실어 감아 올리면서, 원심력(P)으로 전열면(2)에 압압하며, 또한 전열면(2)을 따라서 연속하여 상승 시킴으로써 피건조물(3)을 건조시키도록 구성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회전 권상(卷上) 날개를 구비한 건조 장치 및 건조 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나타낸 회전 권상 날개를 구비한 건조 장치의 일부 종단 측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회전 권상 날개의 평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회전 권상 날개의 측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나타낸 회전 권상 날개를 구비한 건조 장치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
제5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나타낸 회전 권상 날개를 구비한건조 상치 사용할 때의 피건조물의 상태를 도시한 확대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회전 권상 날개의 평면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제1변형예의 회전 권상 날개의 측면도.
제8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제2변형예에서 나타낸 회전 권상날개를 구비한 건조 장치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
제9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나타낸 회전 권상 날개를 구비한 건조 장치의 부분단면 사시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회전 권상 날개의 사시도.
제11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회전 권상 날개의 평면도.
제12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나타낸 회전 권상 날개를 가지는 건조 장치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부분단면 사시도.
제13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제1변형예의 회전 권상 날개의 사시도.
제14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제2변형예의 회전 권상 날개의 사시도.
제15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제3변형예의 회전 권상 날개의 사시도.
제16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제4변형예의 회전 권상 날개의 사시도.
제17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 나타낸 회전 권상 날개를 구비한 건조 장치의 부분단면 사시도.
제18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회전 권상 날개의 사시도.
제19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회전 권상 날개의 평면도.
제20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 나타낸 회전 권상 날개를 구비한 건조 장치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부분단면 사시도.
제21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제1변형예의 회전 권상 날개의 사시도.
제22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제2변형예의 회전 권상 날개의사시도.
제23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제3변형예의서 나타낸 회전 권상 날개를 구비한 건조 장치의 부분단면 사시도.
제24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제3변형예의 회전 권상 날개의 사시도.
제25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제4변형예의 회전 권상 날개의 사시도.
제26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서 나타낸 회전 권상 날개를 구비한 건조 장치의 부분단면 사시도.
제27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제1변형예에서 나타낸 회전 권상날개를 구비한 건조 장치의 부분단면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건조 장치 2 : 전열면
3 : 피건조물 4 : 건조조
5 : 회전 권상 날개 5a : 기날개
30 : 날개 지지부 P : 원심력
U : 클리어런스 R : 회전방향
A : 공간 F : 증발면
본 발명은 회전 권상 날개를 구비한 건조 장치 및 건조 방법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피건조물을 감아올리면서 전열면(傳熱面)에 압압하여 건조시키는 건조 장치 및 건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지한 바와 같이, 액체 상태, 유동 상태 또는 반유동 상태 혹은 분말 상태, 알맹이 분말 상태 등의 피건조물을 건조시키는 건조 장치가 여러 가지 있다.
그 한 예로서, 본 출원인은 이미 일본 실용신안 공개 공보 평성 제3-19501호로 공지되었던 건조 장치를 제안하였다. 즉, 피건조물을 투입하는 내부가 원통 형상인 건조조와, 전열 수단으로부터의 열을 피건조물에 전하는 건조조내 벽면의 전열면과, 상기 건조조의 주위에 위치하여 상기 전열면에 열을 전하는 전열 수단과, 상기 건조조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면에 피건조물을 얹어서 상승하게 되는 평탄면으로 이루어진 건조 장치이다.
그리고, 상기 건조 장치내에는 상기 건조조내에 중력 방향에 따라서 설치된 회전축과, 이 회전축의 주위에 위치하는 하나의 수직 나선 회전 날개와, 일단이 회전축에 하단이 수직 나선 회전 날개에 고정되어 후술하는 피건조물 낙하 공간을 통하는 고정용 아암(arm)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수직나선 회전 날개의 내측 둘레 단부 사이에 있는 회전축 주위에 수직 나선 회전날개의 상부에 이른 피건조물이 낙하하는 피건조물 낙하 공간이 구성되어 있는동시에, 상기 수직 나선 회전 날개의 외측 둘레 단부와 전열면과의 사이에 피건조물을 전열면에 접촉시킬 수 있는 클리어런스(clearance)를 구비한다.
다음에, 상기 수직 나선 회전 날개를 구비한 건조 장치를 이용할 때의 피건조물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면, 상기 피건조물은 수직 나선 회전 날개에 시려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순차적으로 나선형으로 상승하여 최상부에 달하면하측으로 낙하하여 다시 나선형으로 상승하는 순환을 반복한다. 그리고, 상기상승과정에서 원심력에 의하여 전열면에 압압되어 건조되는 것이다.
상기 종래 기술에 의하면, 다음 사항에 있어서 몇가지의 수적합함을 가진다. 즉, ① 상기 피건조물은 수직 나선 회전 날개 상측에 실려 전열면에 압압되면서 상승해 간다. 그러나, 상기 피건조물이 점성이 큰 피건조물 등일 경우, 이 피건조물이 수직 나선 회전 날개나 전열면에 부착되어 그곳에서 덩어리로 커져 상하의 날개 사이에 말릴 우려가 있었다. 때문에, 상기 피건조물의 상승이 멈춰져서 순환이 행해지지 않게 되고, 따라서 건조가 양호하게 진행되지 않을 위험성이 컸다.
또한, ② 상기 수직 나선 회전 날개의 외측 둘레 단부와 전열면과의 사이의 클리어런스는 상기 수직 나선 회전 날개가 나선형으로 구성되고 연장되어 있음으로써, 비교적 길게 나선형으로 구성되어 있는 동시에, 연속되어 있다. 때문에, 상기 플리어런스에 피건조물에 섞인 이물이 맞물려 들어가는 일이 많아서 상기 수직 나선 회전 날개가 양호하게 회전하지 않게 되는 일이 있었다.
또, ③ 상기 고정용 아암부는 피건조물 낙하 공간을 통하여 상기 회전축과수직 나선 회전 날개에 이어져 있다. 때문에, 피건조물에 서있는 비닐 등의 이물질이 상기 피건조물 낙하 공간내를 낙하할 때, 상기 고정용 아암부에 감길우려가 있으며, 이것에 의해서 상기 피건조물이 낙하 도중에 이 이물질에 걸리는 등 양호하게 순환되지 않을 위험성이 있었다.
또한, ④ 상기 피건조물은 한 장의 수직 나선 회전 날개에 의하여 상승된다. 때문에, 상기 건조조내의 저부에 위치하는 피건조물의 전량에 비하여 상승하는 피건조물의 양이 적어서 조기에 피건조물을 전열면에 접촉시키는 것이 어렵고, 저부에 피건조물이 모인 상태가 계속되기 쉬워서 건조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 어려웠다.
또한, ⑤ 상기 수직 나선 회전 날개는 각 상하 날개 사이에 어느 정도의 간격을 가짐으로써, 상기 피건조물을 원심력에 의하여 전열면에 압압할 때도 가 상하 날개 사이에서 사용되지 않은 전열면 부분이 생기기 쉬웠다. 이로 인하여, 전열면의 전면적에 비하여 사용되지 안은 즉, 피건조물이 접촉하지 않은 면적이 비교적 크므로 전열면 전면을 유효하게 활용하고 있지 않았다.
또, ⑥ 상기 피건조물은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순차적으로 나선형으로상승되어 최상부에 다다른 후 낙하되고 다시 상승된다. 이 사이에 상기 전열 면에서 피건조물에 열을 전하여 건조시킨다. 그래서, 상기 피건조물을 높은 효율로 건조시키기 위하여, 상기 수직 나선 회전 날개에는 여러 가지의 피건조물에 맞춘 최적의 회전 속도가 있다. 여기서 만약 상기 수직 나선 회전날개를 피건조물의 건조 효율이 가장 좋은 회전 속도를 초과하여 고속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피건조물이 양호하게 상승하지 않게 되어 결과적으로 건조 효율도 나빠진다. 즉, 상기 여러 가지의 피건조물을 가장 높은 효율로 건조시키려고 했을 경우, 상기 수직 나선 회전 날개의 회전 속도의 조절은 빠뜨릴 수 없는 것이며, 반대로 이 조절이 번거로운 것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목적하는 바는 ① 점성이 강한 피건조물 등이 회전날개나 전열면에 부착하여 피건조물의 정체를 초래할 위험성이 작고, ② 회전 날개와 전열면과의 사이의 클리어런스에 피건조물에 섞인 이물질이 맞물려 들어가는 것을 적게 하고, ③ 피건조물에 섞인 비닐 등의 이물질이 고정용 아암부에 걸리는 것을 없애고, ④꼭 건조조 저부에 위치하는 피건조물의 전량에 비하여 상승하는 피건조물량을 많게 함으로써 건조 효율을 향상시키고, ⑤ 전열면 전면을 유효하게 사용하여, ⑥ 수직 나선 회전 날개의 번거로운 회전 속도의 조절이 없게 피건조물을 높은 효율로 건조시키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음의 기술적 수단을 갖춘다. 즉, 실시예에 대응하는 첨부 도면중의 부호를 이용하여 이것을 설명하면, 본 발명은 피건조물(3)을 투입하는 내부가 원통 형상인 건조조(4)와, 전열 수단으로부터의 열을 피건조물(3)에 전하는 건조조(4)내 벽면의 전열면(2)과, 상기 건조조(4)의 주위에 위치하여 상기 전열면(2)에 열을 전하는 전열수단과, 상기 건조조(4)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 날개로 구성되는 건조장치(1)에 있어서, 상기 회전 날개는 각각의 날개가 전열면(2)과의 사이에 피건조물(3)을 전열면(2)에 접촉시킬수 있는 플리어런스(U)를 구비하면서, 상기 전열면(2)을 따라 회전 방향(R)과 역방향으로 상측으로 연장되고, 또한 이 각각의 날개가 평면에서 볼 때 360。의 원주 범위내의 길이를 구비한 다수의 기(基)날개(5a)로 구성되는 회전 권상 날개(5)이며, 또한 이 회전 권상 날개(5)는 상기 피건조물(3)을 다수의 기날개(5a) 상측에싣고 감아올리면서 원심력(P)으로 전열면(2)에 압압하며, 또한 전열면(2)을 따라서 연속하여 상승시킴으로써 피건조물을 건조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권상 날개(5)를 구비한 건조 장치이다.
또한, 다른 특징은 다수의 상기 회전 권상 날개(5)를 건조조(4)내의 중력 방향에 따라서 수직으로 배설한 중심 회전축(21)에 여러 층으로 설치하여, 상기 중심 회전축(21)을 회전시켜서 여러 층으로 구성되는 회전 권상날개(5)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피건조물(3)을 각 칭으로 감아올리면서, 전열면(2)에 압압하여 상승시키고 최하단의 회전 권상 날개(5)로부터 최상단의 회전 권상 날개(5) 까지 연속 상승시켜서 선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① 상기 회전 권상 날개(5)로 피건조물(3)을 감아올리면서, 전열면(2)에 압압하여 건조시키므로, 점성이 강한 피건조물(3)등이더라도 회전 권상 날개 또는 전열면(2)에 부착되기 어렵고, 설령 부착되더라도 상기 피건조물(3)을 수직 나선 회전 날개 상측에 실은 상승이 아니고 전열면(2) 전면에 걸쳐서 전체적으로 상승시키므로, 피건조물(3)이 정체되는 일이 없다.
또한, ② 상기 회전 권상 날개(5)의 각각의 기날개(5a)는 평면에서 볼 때 360。의 원주 범위내의 길이밖에 가지고 있지 않으므로서는 클리어런스(U)부분이 종래에 비하여 짧은 동시에, 독립하여 신장하는 각기날개(5a)가 클리어런스(U)를 각각 구비하고 있어서 비연속적이다. 이것에 의하여 이물질이 클리어런스(U)에 맞물려 들어가는 일이 적다.
또한, ③ 종래와 같은 상기 피건조물(3)이 공간(A)을 통하여 낙하하는 순환이 없으므로, 비닐 등의 이물질이 걸리고, 피건조물(3)의 유동을 방해하는 위험성이 없다.
또한, ④ 상기 다수의 기날개(5a)에 의하여 상기 건조조(4)내 저부(4a)에 위치한 피건조물(3)을 다수의 기날개(5a)로 상승시킬 수 있고, 상기 건조조(4)내 저부(4a)에 위치하는 피건조물(3)의 전량에 비하여 상승하는 피건조물(3)의 양이 많아서 조기에 피건조물(3)을 전열면(2)에 접촉시키기 쉽다.
또한, ⑤ 상기 회전 권상 날개(5)로 상기 피건조물(3)을 감아올리면서, 전열면(2)에 압압되며 뒤쪽에서 감아올려지는 피건조물(3)로 먼저 감아올린 피건조물(3)을 상측으로 가압하고, 상기 피건보물(3)을 연속하여 상승시킴으로써, 상기 피건보물(3)이 전열면(2) 전면에 걸쳐서 상승하여, 상기전열면(2) 전면을 사용하여 피건보물(3)을 건조시킬 수 있다.
또한, ⑥ 상기 회전 권상 날개(5)를 회전시키는 것으로 상기 피건조물(3)을 감아올리면서 전열면(2)에 압압하여 건조시킴으로써, 상기 회전 권상날개(5)의 회전 속도를 올리는 것으로 피건조물(2)을 보다 강하게 전열면(2)에 압압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상기 피건조물(3)이 전열면(2)을 따라서 보다 상승하여 상기 전열면(2) 전면에 걸쳐서 박막형으로 넓혀져서 피건조물(3)에 열이 전해지기 쉽다.
다음에 첨부 도면에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기술한다. 제1도로부터 제5도까지는 제1실시예를 도시하며,(4)는 원통 형상의 건조조이고, 그 내 벽면은 전열 수단으로부터의 열을 피건조물(3)에 전하는 전열면(2)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전열 수단은 상기 건조조(4)의 주위에 형성한 재킷(6)과, 이 재킷(6)에 연결되며 재킷(6)내에 증기(7)를 보내주는 보일러(도시 생략)를 구비한다. 상기 재킷(6)에는 증기(7)를 재킷(6)내로유도하는 증기 유입부(11)와, 증기(7)를 재킷(6) 외로 배출하는 증기배출부(1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건조조(4)의 저부(4a) 벽면에는 피건조물 공급관(13)이 설치되어 있고, 피건조물 투입조(도시 생략)로부터의 피건조물(3)을 공급스크류(14)로 건조저(4)내의 저부(4a)에 공급한다. 또한, 상부(4b) 벽면에는 건조물 도출관(15)이 설치되어 있고, 건조조(4)내에서 건조시키면서 상승시킨 피건조물(3)을 도출 스크류(16)로 건조조(4) 외부의 건조물 척적조(도시 생략)로 이끌어 낸다.
다음에, 상기 건조조(4)의 저부(4a)에는 회전 권상 날개(5)가 설치되어있다. 이 회전 권상 날개(5)는 건조조(4) 저부(4a)의 아래쪽 외측에 부착된 모터(17)에 연결되어 있고, 이 모터(17)에 의하여 회전축(5b)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가능하게 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회전 권상 날개(5)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회전 권상날개(5)는 복수개의 기날개(5a)로 수성되며, 이 예에서는 3개의 기날개(5a)로 구성된다. 각각의 기날개(5a)는 동일 형상이며, 이 중 하나에 주목하면,피건조물(3)을 전열면(2)에 접촉시킬 수 있는 클리어런스(U)를 구비하면서, 상기 전열면(2)을 따라서 회전 권상 날개(5)의 회전 방향(R)의 역방향으로 경사져 상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 클리어런스(U)는 상기 피건조물(3)을 기날개(5a) 상측에 실어 감아올릴 때 이 피건조물(3)이 클리어런스(U)에서 아래로 낙하하기 어렵게 하고, 상기 회전 권상 날개(5)가 전열면(2)에 접촉하지 않고 양호하게 회전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기날개(5a)의 외측 둘레단부(10a)와 전열면(2) 사이에 존재한다. 또한, 상기 기날개(5a)의 상면은 평탄면(80)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 상기 기날개(5a)는 평면에서 볼 때 360。의 원주 범위내의 길이를 가진다. 즉, 상기 기날개(5a)는 원통 형상의 건조조(4)내 벽면의 전열면(2)을 따라 연장되며, 그 일단부(18)로부터 타단부(19)까지의 각도는 회전 중심점을 중심으로 하여 360。이하이다. 그리고, 상기 기날개(5a)의 일단부(18)는 상기 회전축(5b)에 고정된 결취부(20)에 연속되어 있다.
또한, 상기 재킷(6)과 보일러로 구성되는 전열 수단의 다른 예로서 재킷(6)과, 재킷(6)내네 수용한 열매체와, 재킷(6) 외측 둘레에 설치한 전기히터로 구성되는 전열 수단을 생각할수 있다. 즉, 전기 히터로부터의 열을 열 매테를 통하여 전열면(2)에 전하는 것이다. 또한, 기타 예로서 건조조(4)외측 둘레에 설치한 전기 히터로 구성되는 전열수단을 생각할 수 있고, 상기전기 히터의 열을 전열면(2)에 전하는 것이다.
다음에, 상기 건조 장치(1)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면저, 상기 피건조물 공급관(13)내의 공급 스크류(14)를 구동하여 피건조물 투입조로부터 건조조(4)내로 피건조물(3)을 투입한다. 그리고, 상기 모터(17)를 구동하여 상기 회전 권상 날개(5)를 회전시킨다. 동시에 상기 보일러를 작동시켜서 재킷(6)내로 증기(7)를 유도하여 전열면(2)을 가열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 권상 날개(5)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피건조물(3)은 각기날개(5a)의 일단(18)으로부터 기날개(5a)의 평탄면(80) 상측에 실려서 기날개(5a)를 따라 타단부(19) 측으로 이동해 간다. 이 때, 상기 피건보물(3)에는 기날개(5a)에 의하여 회전하면서 상측으로 향하는 작용이 생기고, 결과적으로 피건조물(3)은 감아올려지는 동시에, 감아올림에 의한 원심력(P)에 의하여 전열면(2)에 압압된다.
상기 전열면(2)에 압압된 피건조물(3)은 한쪽면으로는 상기 전열면(2)에 접촉하는 면을 갖는 동기에, 다른쪽면으로는 건조조(4)내의 공간(A)의 공기와 접촉하는 증발면(F)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전열면(2)에 접촉된 피건조물(3)은 전열면으로부터의 열에의하여 그 자리에서 어느 정도의 수분 증발이 일어난다. 상기 전열면(2) 접촉시의 수분증발에 의하여 수분함유율이 낮아진 피건조물(3)은 수분함유율이 높은 피건조물(3)과 교체되어 상기 증발면(F)으로 이동한다. 피건조물(3)은 회전 권상 날개(5)의 회전력에 의한 원심력에 의해 전열면(F)을 향하여 이동되어 전열면(F)에 접촉하게 되는 것으로서, 수분함유율이 높은 피건조물(3)은 수분함유율이 낮은 피건조물(3)에 비해 무겁기 때문에 원심력에 의해 우선적으로 전열면(F)으로 이동하여 접촉하게 된다. 이렇게 전열면(F)에 접촉한 수분함유율이 높은 피건조물(3)은 전염면(F)에 의해 가열되어 수분이 증발하여 수분함유율이 낮아져서, 수분함유율이 높은 피건조물(3)과 다시 교체된다. 증발면(F)으로 이동한 피건조물(3)은, 공간(A)의 공기에 드러나게 되어 수분 증발이 더욱 진행된다.
사기 피건조물(3)은 전열면(2) 측으로부터 증발면(F)으로 이동하면서 동시에, 상기 회전 권상 날개(5)에 의한 연속된 감아올림에 의하여 뒤쪽에서 감아 올리는 피건조물(3)이 먼저 감아올린 피건조물(3)을 가압하고, 상기 피건조물(3)은 전열면(2)을 따라서 연속하여 상승해 간다. 즉, 상기 피건조물(3)은 전열면(2)로부터 증발면(F)으로 이동을 하면서, 전열면(2)을 따라서 연속하여 상승해 간다.
다음에, 상기 회전 권상 날개(5) 근처의 피건조물(3)의 흐름을 측면에서바라본 경우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회전 권상 날개95)가 회전할 때, 상기 피건조물(3)은 각각의 기날개(5a)에 의하여 감아올려지고, 결과적으로 피건조물(3)이 항상 연속하여 감아올려지는 상태가 된다. 이 때에 상기 다수의 기날개(5a)내의 2개의 기날개(5a) 근처의 피건조물(3)에 주목한다.
즉, 2개의 기날개(5a) 중, 회전 방향(R)의 상류측에 위치하는 기날개(5a)상부에 위치하는 피건조물(3)은 이 상류측의 기날개(5a)에서 상측으로 비산(飛散)되었을 때 그 무게에 의하여 아래쪽으로 향할려고 한다. 한편, 하류측에 위치하는 기날개(5a) 상부에 위치하는 피건조물(3)은 이 하류측의 기날개(5a)에서 상측으로 비산되려고 한다. 즉, 상기 2개의 피건조물(3)의 흐름이 겹치는 부분이 생겨서 겹친 부분에서 난류가 발생한다.
이 난류 영역에서는 피건조물(3)의 흐름이 격류가 되고, 동시에 전열면(2)으로의 접촉속도가 빨라진다. 그리고, 상기 회전 권상 날개(5)의 회전수 및 회전 속도를 증가시킬수록 상기 난류 영역의 발생 호수가 증가한다. 또한, 상기 기날개(5a)의 개수를 증가시킴으로써, 발생 장소가 증가하며, 피건조물(3)의 전열면(2)으로의 접촉 속도가 빨라진다. 결국, 상기 난류 영역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피건조물(3) 감아 올릴 때의 회전에 의한 어떤 접촉 속도를 가진 접촉과 더불어 난류에 의한 어떤 접촉속도를 가진 접촉이 전열면(2)에 대하여 행해지고, 쌍방의 접촉에 의한 상승효과로 피건조물(3)이 전열면(2)에 보다 접촉하기 쉽고, 전열면(2)으로부터 열이 피건조물(3)에 전해지기쉽다.
그리고, 상기 전열면(2)을 따라서 연속상승하여 건조한 피건조물(3)을 도출 스크류(16)를 구동하여 건조물 도출관(15)내로 유도하고, 건조조(4) 외측의 건조물 축적조로 운반한다.
상기 피건조물(3)을 건조조(4)내로 골급하여 건조조(4)내에서 건조시킨 다음 건조물을 얻는 작업에 있어서는, 상기 피건조물(4)의 공급을 단속적으로 하여, 간헐적으로 건조물을 얻도록하는 것도 좋으며, 또한 상기 피건조물(3)을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동시에, 선조물을 연속적으로 회수하여 연속적으로 건조물을 얻는 것도 좋다.
다을네, 제6도 및 제7도를 참조하여 제1실시예의 제1변형예를 설명하면, 본예에서는 상기 회전 권상 날개(5)의 기날개(5a)를 3개에서 4개로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다음에, 제8도를 참조하여 제1실시예의 제2변형예를 설명한다.본예에서는 상기 회전 권상 날개(5)를 건조조(4)내의 중력 방향에 따라서 수직으로 설치한 중심 회전축(21)에 층을 이루도록 수성하여 부착하였다.
이 회전 권상 날개(5)를 여러 층으로 설치한 이룬 건조 장치(1)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층으로 구성되는 회전 권상 날개(5)를 회전시켜서 상기 건조조(4)의 저부(4a)에 위치하는 피건조물(3)을 최하층의 회전 권상 날개(5)로 감아올린다. 그리고, 전열면(2)을 따라서 건조되면서 상승되어 온 피선조물(3)을 상층의 회전 권상 날개(5)로 다시 감아올린다. 이렇게 하여, 차례차례로 각층의 회전 권상 날개(5)로 감아올리면서, 전열면(2)에 압압하여 견조시킨 피건조물(3)을 최상단의 회전 권상 날개(5)로 감아올린 다음 건조물을 얻는다. 즉, 상기 피건조물(3)은 건조조(4)의 저부(4a)에서 상부(4b)까지 건조되면서 연속하여 상승해 가는 것이다.
다음에, 제9도로부터 제12도를 참조하여 제2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예에서는 상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은 생략하고 다른 부분만을 설명한다. 본 예에서는 중심 회전축(21)이 건조조(4)의 저부(4a)에서 상부(4b) 까지 중려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 권상 날개(5)는 중앙부(40)에 상기 중심 회전축(21)이 통과되어 고정되기 위한 축부착 개구부(8)가 형성되고, 또한 상기 중앙부(40)로부터 주변부(41)로 연장되어, 주변부(41)에 위치하는 다수의 기날개(5a)의 일단부(18)에 일체적으로 연속하는 날개지지부(30)를 구비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날개지지부(30)는 중앙부(40)에 상기 축부착 개구부(8)가 형성된 소원판부(9A)와 이 소원판부(9A)의 외주면(9a)에서 다수의 기날개(5a)의 각각으로 향하여 연장되는 복수의 지지아암부(9B)(잠정적으로 제10도중에 있어서 부호 9Ba, 9Bb, 9Bc로 부여하는)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지지 아암부(9B)의 각각의 선단부(9b)가 상기 다수의 기날개(5a)의 일단부(18)에 연속하고 있다.
즉, 상기 축부착 개구부(8)에는 상기 중심 회전축(21)이 통과되며, 상기 축부착 개구부(8)를 구성하는 소원판부(9A)의 내주면(9e)이 상기 중심 회전축(7)에 접촉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소원판부(9A)의 외주면(9a)에서 연장된부호(9Ba)의지지 아암부(9B)에서 부호(5aA)의 기날개(5a)의 일단부(18)와 연속한다. 동일하게 상기 소원판부(9A)에서 연장된 부호(9Bb) 및 부호(9Bc)의지지 아암부(9B)는 그 선단부(9b)에서 부호(5aB, 5aC)의 기날개(5a)의 일단부(18) 각각에 연속된다.
다음에, 제13도를 참조하여 상술한 제2실시예의 제1벼형예를 설명한다. 즉, 본 예에서는 상기 회전 권상 날개(5)는 2개의 기날개(5a)를 가지며, 이2개의 기날개(5a)를 지지하는 2개의 지지 아암부(9B)를 구비한다. 구체적으로는 제13도중에서 부호(9Ba, 9Bb)를 붙인지지 완부(9B)가 부호(5aA, 5aB)를 붙인 기날개(5a)와 각각 연속되어 있다.
이하와 같이 제2실시예의 제2변형예(제14도 참조) 및 제3변형예(제15도 참조) 및 제4변형예(제16도 참조)는 4개, 6개, 8개의 기날개(5a)를 가지며, 이 각각의 기날개(5a)에 대응하여 같은 수의지지 아암부(9B)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기날개(5a)의 개수 및 이 기날개(5a)에 대응하는지지 아암부(9B)의 수는 상기의 개수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회전 권상 날개(5)가양호하게 회전하여 상기 피건조물(3)이 양호하게 건조되어지는 적당한 수가 선택되는 것이다.
다음에, 제17도 내지 제20도를 참조하여 제3실시예를 설명한다. 본예에서는 상기 날개 지지부(30)는 원판 형상을 가지는 원판형 지지부(9C)이고, 이 원판형 지지부(9C)의 외주면(9d)이 상기 다수의 기날개(5a)의 일단부(18)에 일체적으로 연속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원판형 지지부(9C)의 외주면(9d)에는 제18도 중에 있어서 부호(5a)A,(5aB,5aC)가 붙여진 3개의기날개(5a)의 일단부(18)의 각각이 연속되어 있다.
다음에, 제21도를 참조하여 상술한 제3실시예의 제1변형예를 설명한다. 본 예에서는 상기 원판형 지지부(9C)의 외주면(9d)에 2개의 기날개(5a)가 연속되어 있다.
이하와 같이 제3실시예의 제2변형예(제22도 참조) 및 제3변형예(제23도 및 제24도 참조) 및 제4변형예(제25도 참조)는 각각 4개, 8개, 6개의 기날개(5a)를 가지며, 이 기날개(5a)에 상기 원판형 지지부(9C)의 외주면(9d)이 연속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상기 날개 지지부(30)로 상기 회전 권상 날개(5)를 지지하여 중심 회전축(21)에 고정할 수 있는 동시에, 상기 회전 권상 날개(5)에 날개 지지부(30)를 이체적으로 연속하여 형성시킬 수 있다.
다음에 제26도를 참조하여 제4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예에서는 상기 회전 권상 날개(5)는 외주부 31A에 상기 다수의 기날개(5a)가 형성되고, 또한 내측 둘레 단부(31B)와 중심 회전축(21)과의 사이가 거리(H)를 두고 떨어진 고리 형태의 기날개 형성부(31)와 일단(22A)이 상기 중심 회전축(21)에 고정되며, 타단(22B)이 상기 기날개 형성윤부(31)의 내측 둘레 단부(31B)에 고정된 다수의 부착 아암(22)으로 구성되는 지지부(32)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제4실시예의 회전 권상 날개(5)와 상술한 제3실시예의 제3변형예의 회전 권상 날개(5)가 각각 중심 회전축(21)에 상하 2층으로 구성되도록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회전 권상 날개(5)회전시킬 때, 상기 피건조물(3)이 하단의 회전 권상 날개(5)로부터 상단의 회전 권상 날개(5)로 연속하여 상승하는 것이다.
다음에, 제27도를 참조하여 제4실시예의 제1변형예를 설명한다. 본예에서는 상기 제4실시예의 회전 권상 날개(5)의 다수가 중심 회전축(21)에 대하여 다층으로 이루어지도록 고정되어 있다. 또한, 회하단에는 상술한 제3실시예 제3변형예의 회전 권상 날개(5)가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회전 권상 날개(5)를 회전시킬 때, 상기 피건조물(3)이 최하단의 회전 권상 날개(5)로부터 최상단의 회전 권상 날개(5) 까지 연속하여 상승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상기 회전 권상 날개(5)에 의하여 피건조물(3)을 감아올리면서 전열면(2)에 압압하는 것으로, 상기 피건조물(3)에 전열면(2)으로부터의 열을전달하여 견조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발명은 청구범위 제1항, 청구범위 제6항 및 청구범위 제7항 기재에 의하면 상기 회전 권상 날개로 피건조물을 감아올리면서 전열면에 압압하며 전열면에서 증발면으로 이동시키면서, 전열면을 따라서 연속하여 상승시킬 수 있고, 이것에 의하여 상기 피건조물은 상승함에 따라서 수분 함유율이 낮아지고, 건조조 상부에서 건조물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① 상기 회전 권상 날개로 피건조물을 감아올리면서 전열면에 압압하여 견조시키기 때문에, 점성이 강한 피건조물등이더라도 회전 권상 날개 또는 전열면에 부착되 어렵고, 가려, 부착되더라도 피건조물을 전열면 전면에 걸쳐서 전체적으로 상승시키고 있으므로, 피건조물이 정체될수 없다.
또한, 상기 회전 권상 날개의 각각의 기날개는 평면으로 보아서 360。의 원주 범위내의 길이밖에 가지고 있지 않으므로, 전체로서는 클리어런스 부분이 종래에 비하여 퍼은 동시에, 독립하여 연장되는 각 기날개는 각각 클러어런스를 가지고 있고 지연속적이다. 이것에 의하여 이물질이 클리어런스에 맞물려 들러가는 일이 적다.
또한, ③ 종래와 같은 피건조물이 공간을 통하여 낙하한다고 하는 순환이 없으므로, 비닐 등의 이물질이 걸리는 일이 없이 피건조물을 양호하게 유동시킬 수 있다.
또한, ④ 상기 복수개의 기날개에 의하여 상기 건조조내 저부에 위치한 피건조물을 다수개의 기날개로 상승시킬 수 있고, 상기 건조조내 저부에 위치하는 피건조물의 전량에 비하여 상승하는 피건조물의 양이 많아지며, 조기에 피건조물을 전열면에 접촉시키기 쉬우며, 따라서 건조 효율을 향상시키기 쉽다.
또한, ⑤ 상기 회전 권상 날개에 의하여 상기 피건조물을 감아올리면서 전열면에 압압하여, 뒤에서 감아올리는 피건조물로 먼저 감아올린 피건조물을 상측으로 가압하고, 상기 피건조물을 연속하여 상승시킴으로써, 상기 피건조물이 전열면 전면에 걸쳐서 상승하며, 상기 전열면 전면을 사용하여 피선조물을 건조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전열면 전면을 유효하게 활용할 수있다.
또한, ⑥ 상기 회전 권상 날개를 회전시키는 것으로, 상기 피건조물을 감아올리면서 전열면에 압압하여 건조시킴으로써, 상기 회전 권상 날개의 회전 속도를 올리는 것으로 피건조물을 보다 강하게 전열면에 압압시킬 수있다.
이것에 의하여 상기 피건조물이 전열면에 따라서 보다 상승하며, 상기 전열면 전면에 걸쳐서 박막형으로 넒어져서 피건조물에 열이 전해지기 쉽고, 건조 효율도 향상한다. 덧붙여서, 상기 회전 권상 날개의 회전 속도를 올리는 것으로 피건조물의 건조 효율이 향상되기 때문에, 피건조물의 종류에 관계없이 건조 효율이 좋은 건조가 행해지고, 종래와 같은 여러 가지의 피건조물에 맞춘 날개의 회전 속도의조절을 행할 필요가 없다.
또한, 개개의 피건조물에 주목할 때, 상기 피건조물을 전열면에서 증발면으로 이동시키면서 연셕하여 상승시키는 것에 의하여 끊임없이 다른 피건조물보다도 수분 함유율이 높은 피건조물이 전열면에 압압되어 건조되어 가고, 피건조물 전체에 건조 상태가 고르지 않은 것이 적은 동시에, 연속하여 상승하는 것으로 동일한 수분 함유율의 피건조물을 연속하여 안정적으로 얻기쉽다.
또한, 청구범위 제2항 기재에 의하면, 회전 권상 날개를 다단으로 구성함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전열면을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건조물을 최하단의 회전 권상 날개에서 최상단의 회전 권상 날개까지 연속하여 상승시켜 건조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속적으로 피건조물을 건조시키는 것으로 연속적으로 건조물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청구범위 제3항, 청구범위 제4항 및 청구범위 제5항 기재에 의하면, 상기 회전 권상 날개는 상기 날개 지지부를 일테적으로 연속하여 갖춘것에 의하여 날개와 지지부와의 부품을 1개로 할 수 있고, 부품수를 감소시킬 수 있는 동시에, 부품 비용을 삭감하기 용이하다. 또한, 상기 회전 권상날개를 중심 회전축으로 고정한때에 상기 날개 지지부의 부착 개구부에 상기 회전축을 통하여 고정하는 것만으로도 고정되고, 작업 공정을 적게 할수 있으모 따라서 간단하게 중심 회전축으로 회전 권상 날개를 고정할수 있다.

Claims (7)

  1. 피건조물(3)을 투입하는 원통형 내부의 건조조(4)와, 전열 수단으로부터의 열을 피건조물(3)에 전하는 건조조(4)내 벽면의 전열면(2)과, 상기 건조조(4)의 주위에 위치하여 상기 전열면(2)에 열을 전하는 전열 수단과, 상기 건조조(4)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 날개로 구성되는 건조 장치(1)에 있어서, 상기 회전 날개는 각 날개가 전열면(2)과의 사이에 피건조물(3)을 전열면(2)에 접촉시킬 수 있는 클리어런스(U)를 구비하면서, 상기 전열면(2)을 따라서 회전 방향(R)의 역방향의 상측으로 경사져 연장되며, 또한 이 각각의 날개가 평면에서 볼 때 360。의 원주 범위내의 길이를 가지는 다수의 기날개(5a)로 구성되는 회전 권상(卷上) 날개(5)로서, 더구나 이 회전 권상 날개(5)는 상기 피건조물(3)을 다수개의 기날개(5a)상에 실어 감아올리면서, 원심력(P)에 의하여 전열면(2)에 압압하며, 또한 전열면(2)을 따라서 연속하여 상승시킴으로써 피건조물(3)을 건조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권상 날개를 구비한 건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다수의 상기 회전 권상 날개(5)를 건조조(4)내의 중력 방향을 따라서 수직으로 설치된 중심 회전축(21)에 다층으로 설치하고, 상기 중심 회전축(21)을 회전시켜서 다층으로 구성되는 회전 권상 날개(5)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피건조물(3)을 각 층으로 감아올리면서, 전열면(2)에 압압하여 상승시키고, 최하단의 회전 권상 날개(5)로부터 되상단의 회전 권상 날개(5) 까지 연속하여 상승시켜서 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권상 날개를 구비한 건조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권상 날개(5)는 중앙부(40)에 모터(17)에 의하여 회전되는 중심 회전축(21)을 통하여 고정되기 위한 축부착 개구부(8)가 형성되며, 또한 상기 중앙부(40)로부터 주변부(41)로 연장되어 주변부(41)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기날개(5a)의 일단부(18)와 일체적으로 연속하는 날개지지부(3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권상 날개를 구비한 건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 지지부(30)는 중앙부(40)에 상기 축부착 개구부(8)가 형성된 소원판부(9A)와 이 소원판부(9A)의 외주면(9a)에서 다수의 기날개(5a)의 각각을 향하여 연장되는 복수의지지 아암부(9B)로 이루어지며, 상기 복수의지지 아암부(9B)의 각각의 선단부(9b)가 상기 다수의 기날개(5a)의 일단부(18)에 연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권상 날개를 구비한 건조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 지지부(30)는 원판 형상을 가지는 원판형 지지부(9C)로서, 이 원판형 지지부(9C)의 외주면(9d)이 상기 복수개의 기날개(5a)의 일단부(18)에 연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권상 날개를 구비한 건조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권상 날개(5)는 외주부 31A에 상기 복수의 기날개(5a)가 형성되며, 또한 내측 둘레 단부(31B)와 모터(17)에 의해서 회전되고 중력 방향에 따라서 설치된 중심 회전축(21) 사이가 거리(H)만큼 이격된 고리 형태의 기날개 형성부(31b)와, 일단(22A)이 상기 중심 회전축(21)에 고정되며, 타단(22B)이 상기 기날개 형성부(31)의 내측 둘레 단부(31B)에 고정된 복수의 부착 아암(22)으로 구성되는 지지부 (3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권상 날개를 구비한 건조장치.
  7. 원심력(P)에 의해서 전열면(2)에 압압된 피건조물(3)을 전열면(2)으로부터의 열에 의하여 건조되어지는 피건조물(3)의 건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피건조물(3)을 최하부의 복수개소에서 상측으로 향하여 감아올리면서, 원심력(P)으로 전열면(2)에 압압하며, 상기 피건조물(3)을 감아올릴 때에 상기 전열면(2)에 접촉하여 수분이 증발되어 수분 함유율이 낮아진 피건조물(3)을 수분 함유율이 높은 피건조물(3)과 교체되도록 하여 상기 감아올린 피건조물(3)을 공간(A)에 면한 증발면(F)으로 이동시키면서, 뒤에서 감아올리는 피건조물(3)로 먼저 감아올린 건조물(3)을 전열면(2)을 따라서 연속하여 상승시켜 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방법.
KR1019950010241A 1994-08-10 1995-04-28 회전 권상 날개를 구비한 건조 장치 및 건조 방법 KR1002141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4-209246 1994-08-10
JP6209246A JP3057544B2 (ja) 1994-08-10 1994-08-10 被乾燥物の乾燥方法
JP6232096A JP2840639B2 (ja) 1994-09-01 1994-09-01 乾燥装置
JP94-232096 1994-09-01
JP94-13805 1994-10-13
JP1994013805U JP3010120U (ja) 1994-10-13 1994-10-13 乾燥装置に於ける回転巻上羽根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8253A KR960008253A (ko) 1996-03-22
KR100214196B1 true KR100214196B1 (ko) 1999-08-02

Family

ID=27280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0241A KR100214196B1 (ko) 1994-08-10 1995-04-28 회전 권상 날개를 구비한 건조 장치 및 건조 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5586396A (ko)
EP (1) EP0696715B1 (ko)
KR (1) KR100214196B1 (ko)
AT (1) ATE164217T1 (ko)
CA (1) CA2155701C (ko)
DE (1) DE69501804T2 (ko)
DK (1) DK0696715T3 (ko)
ES (1) ES2113711T3 (ko)
NO (1) NO306578B1 (ko)
TW (1) TW31750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85138A (ja) * 1996-12-20 1998-07-14 Masao Kanai 炭化装置
NO981835D0 (no) * 1998-04-23 1998-04-23 Trond Sunde FremgangsmÕte og innretning for t÷rking av materialer
DE19900042A1 (de) * 1999-01-04 2000-07-06 Guenther Hultsch Fliehkraft-Entfeuchter
US6282809B1 (en) * 1999-12-15 2001-09-04 Articare As Vane assembly for drying apparatus
GB0200476D0 (en) * 2002-01-10 2002-02-27 Univ Aston Reactor
ZA200602582B (en) * 2003-09-29 2008-11-26 Self Propelled Res And Dev Spe Heat pump clothes dryer
CA2540368C (en) * 2003-09-29 2012-12-11 Self Propelled Research And Development Specialists, Llc Heat pump clothes dryer
US7741729B2 (en) * 2008-10-15 2010-06-22 Victor Lyatkher Non-vibrating units for conversion of fluid stream energy
JP5222183B2 (ja) * 2009-03-03 2013-06-26 正夫 金井 連続式乾燥装置
CN104321603B (zh) * 2012-05-21 2016-01-06 金井正夫 干燥装置
JP5107473B1 (ja) * 2012-05-21 2012-12-26 正夫 金井 乾燥装置
CN102992574B (zh) * 2012-11-08 2013-11-27 珠海杰思朗环保设备有限公司 一种污泥动能干化系统及污泥动能干化方法
DE102014103696A1 (de) * 2013-03-18 2014-09-18 Heinrich Buzga Vorrichtung zum Trocknen von kleinstückigem Material
JP2017003146A (ja) * 2015-06-05 2017-01-05 研機株式会社 乾燥装置
CN109668404A (zh) * 2018-12-13 2019-04-23 湖南杉杉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适用于干燥锂离子电池正极材料的真空干燥机
CN110762992A (zh) * 2019-10-23 2020-02-07 义乌喵小乐宠物用品有限公司 一种饲料循环加热干燥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622565C3 (de) * 1976-05-20 1982-11-04 Krauss-Maffei AG, 8000 München Vorrichtung zum Trocknen von Feststoffpartikeln im Wirbelschichtverfahren
US4357111A (en) * 1979-12-27 1982-11-02 Mti-Mischtechnik Industrieanlagen Gmbh Continuous mixing device and process
DE8317526U1 (de) * 1983-06-16 1983-10-27 M.K. Juchheim GmbH & Co, 6400 Fulda Ruehrstab fuer die homogenisierung von ruehrmassen
US4565015A (en) * 1983-07-27 1986-01-21 Gala Industries, Inc. Centrifugal pellet dryer
JPH0642722Y2 (ja) 1989-07-05 1994-11-09 正夫 金井 垂直螺旋回転羽根を有する乾燥装置
JP2533566Y2 (ja) * 1991-10-16 1997-04-23 正夫 金井 乾燥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NO952468D0 (no) 1995-06-20
CA2155701C (en) 2001-04-10
ATE164217T1 (de) 1998-04-15
KR960008253A (ko) 1996-03-22
EP0696715A2 (en) 1996-02-14
US5586396A (en) 1996-12-24
DE69501804D1 (de) 1998-04-23
EP0696715B1 (en) 1998-03-18
ES2113711T3 (es) 1998-05-01
TW317508B (ko) 1997-10-11
EP0696715A3 (en) 1996-05-01
NO306578B1 (no) 1999-11-22
CA2155701A1 (en) 1996-02-11
NO952468L (no) 1996-02-12
DK0696715T3 (da) 1998-10-07
DE69501804T2 (de) 1998-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14196B1 (ko) 회전 권상 날개를 구비한 건조 장치 및 건조 방법
KR970000344B1 (ko) 건조장치
WO2013176072A1 (ja) 乾燥装置
CN206165692U (zh) 一种茶叶烘焙螺旋翻炒装置
JP3809797B2 (ja) 乾燥装置
CN207688603U (zh) 一种高效大米烘干用滚筒
JP5537875B2 (ja) 乾燥装置
JP2012233599A (ja) 多管式乾燥装置
JP2958869B2 (ja) 回転巻上羽根を有する乾燥装置
WO2013176071A1 (ja) 乾燥装置
JP2840639B2 (ja) 乾燥装置
CN108835142A (zh) 一种方便取料的油炸设备
CN108662878A (zh) 一种茶叶烘干装置
CN211552288U (zh) 一种闪蒸干燥系统
CN2247319Y (zh) 错流式多层圆盘干燥机
JP2007093178A (ja) 乾燥装置
CN208671610U (zh) 盘式连续干燥机
JP3010120U (ja) 乾燥装置に於ける回転巻上羽根
CN211012252U (zh) 一种养生茶加工用风干装置
JP7311216B1 (ja) 乾燥装置
CN220398059U (zh) 一种干燥塔防积料自动旋转料位系统
CN211782477U (zh) 一种工业化工用粉末烘干机
CN216668175U (zh) 一种旋转干燥装置
CN212006556U (zh) 间歇可调型闪蒸干燥机
JP5234869B1 (ja) 乾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100217

Effective date: 20101125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00217

Effective date: 20101125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100401

Effective date: 2010112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6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3

Year of fee payment: 1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