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2884B1 - 초기 시동시 배기 가스 저감 방법 - Google Patents

초기 시동시 배기 가스 저감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2884B1
KR100212884B1 KR1019950059588A KR19950059588A KR100212884B1 KR 100212884 B1 KR100212884 B1 KR 100212884B1 KR 1019950059588 A KR1019950059588 A KR 1019950059588A KR 19950059588 A KR19950059588 A KR 19950059588A KR 100212884 B1 KR100212884 B1 KR 1002128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gas
temperature
engine
gas reduction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595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44429A (ko
Inventor
정우원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500595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2884B1/ko
Publication of KR9700444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44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28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2884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9/00Electrical control of exhaust gas treating apparat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40Engine management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xhaust Gas After Treatment (AREA)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의 초기 시동시 배기 가스 저감 방법이 유온 센서로 ATF의 온도를 측정하여 T/M을 배기 가스 저감 패턴으로 제어하기 때문에 엔진 및 촉매 컨버터의 온도가 일정 수준 이상이 되더라도 곧바로 일반 패턴으로 전환되지 않으므로 상기 엔진이 과열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엔진 및 컨버터의 온도 변화에 민감하게 대응함으로써 엔진이 과열을 방지할 수 있도록 엔진 냉각수의 수온을 배기 가스 저감 패턴 사용 여부의 판단 기준으로 하는 초기 시동시 배기 가스 저감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초기 시동시 배기 가스 저감 방법
제1도는 자동차의 동력 및 제어 흐름도.
제2도는 종래의 초기 시동시 배기 가스 저감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초기 시공시 배기 가스 저감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엔진 2 : ECU
3 : TCU 4 : T/M
본 발명은 초기 시동시 발생되는 배기 가스의 양을 저감시키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엔진 냉각수의 온도를 감지하여 배기 가스 저감 패턴을 사용토록 함으로써 배기 가스를 저감시키는 초기 시동시 배기 가스 저감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의 자동차는 엔진(1)과, 내부의 전기 장치(미도시)를 제어하는 ECU(Electronic Control Unit;2)와, 유압 장치로서 차량 내부의 축부(미도시)를 제어하는 TCU(Transmission Control Unit;3)와, 상기 TCU에 의해 제어되는 T/M(transmission;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종래의 초기 시동시 배기 가스 저감 방법은 상기 엔진(1)이 시동되는 제1과정과, 유온 센서(미도시)로 TCU(3) 내부의 ATF(Automatic Transmission Fluid;미도시)의 온도와 설정 온도를 비교하는 제2과정과, 상기 제2과정에서 상기 ATF(미도시)의 온도가 설정치 이하일 경우 상기 TCU(3)가 상기 T/M(4)을 배기 가스 저감 패턴으로 작동시키는 제3과정과, 상기 제2과정에서 상기 ATF(미도시)의 온도가 설정치 이상일 경우 상기 TCU(3)가 상기 T/M(4)을 일반 패턴으로 작동시키는 제4과정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제2과정과 상기 제3과정은 계속 반복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에서 배기 가스 저감 패턴은 상기 ATF(미도시)의 온도가 설정치 이하일 경우 상기 TCU(3)가 상기 T/M(4)을 제어하여 어떠한 조작에도 변속되지 않고 고RPM 상태로 계속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촉매 컨버터(미도시)의 온도가 빨리 상승되도록 하는 상태이다. 왜냐하면, 상기 촉매 컨버터(미도시)의 촉매 물질(미도시)은 온도가 일정 정도 이상일 때만 활성화돼 차량의 배출 가스(미도시)를 정화시키기 때문이다.
그러나, 종래의 초기 시동시 배기 가스 저감 방법은 상기 유온 센서(미도시)로 상기 ATF(미도시)의 온도를 측정하여 상기 T/M(4)을 배기 가스 저감 패턴으로 제거하기 때문에 엔진(1) 및 촉매 컨버터(미도시)의 온도가 일정 수준 이상이 되더라도 곧바로 일반 패턴으로 전환되지 않으므로 상기 엔진(1)이 과열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엔진 및 컨버터의 온도 변화에 민감하게 대응함으로써 엔진의 과열을 방지할 수 있도록 엔진 냉각수의 수온을 배기 가스 저감 패턴 사용 여부의 판단 기준으로 하는 초기 시동시 배기 가스 저감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초기 시동시 배기 가스 저감 방법은 엔진 냉각수의 수온을 측정하여 설정 온도와 비교하여 배기 가스 저감 패턴을 사용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초기 시동시 배기 가스 저감 방법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초기 시동시 배기 가스 저감 방법은 엔진이 처음 시동된후 냉각수의 온도를 감지하는 제1단계와, 감지된 냉각수의 온도와 기설점된 기준 온도를 비교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에서 냉각수 온도가 기준 온도 이하일 경우 ECU가 TCUDP T/M을 배기 가스 저감 패턴으로 제어하도록 요구하는 제3단계와, 상기 T/M이 배기 가스 저감 패턴대로 작동되는 제4단계와, 상기 제2단계에서 냉각수 온도가 설정 온도 이상일 경우 상기 T/M이 일반 패턴으로 작동되는 제5단계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4단계가 수행됨과 동시에 상기 제2단계로 궤환되어 제어가 계속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엔진(1)이 처음 시동되면 상기 엔진(1)의 냉각수(미도시) 온도를 온도센서(미도시)로 측정하여 미리 설정된 기준 온도와 비교하게 된다.
만약, 냉각 수온이 기준 온도에 비해 낮으면 상기 ECU(2)는 상기 TCU(3)에 배기 가스 저감 패턴으로 상기 T/M(4)을 제어할 것을 요구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T/M(4)은 어떠한 조작에도 변속되지 않고 고RPM으로 작동되게 된다.
물론, 그 동안에도 상기 온도센서(미도시)는 계속하여 상기 냉각수(미도시)의 수온을 측정하고, 상기 냉각수(미도시)의 수온이 기준 온도를 초과하면 상기 ECU(2)는 상기 TCU(3)가 상기 T/M(4)을 제어하는 것을 중지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T/M(4)은 일반 패턴대로 작동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엔진 냉각수의 수온을 기준으로 하여 배기 가스 저감 패턴을 사용함으로써 엔진의 과열을 방지하면서도 배기 가스의 양을 저감시킬 수 있는 잇점이 있다.

Claims (2)

  1. 엔진이 처음 시동된 후 냉각수의 온도를 감지하는 제1단계와, 감지된 냉각수의 온도와 기설정된 기준 온도를 비교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에서 냉각수 온도가 기준 온도 이하일 경우 ECU가 TCU에 T/M을 배기 가스 저감 패턴으로 제어하도록 요구하는 제3단계와, 상기 T/M이 배기 가스 저감 패턴대로 작동되는 제4단계과, 상기 제2단계에서 냉각수 온도가 설정 온도 이상일 경우 상기 T/M이 일반 패턴으로 작동되는 제5단계로 이루어진 초기 시동시 배기 가스 저감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가 수행됨과 동시에 상기 제2단계로 궤환되어 제어가 계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 시동시 배기 가스 저감 방법.
KR1019950059588A 1995-12-27 1995-12-27 초기 시동시 배기 가스 저감 방법 KR1002128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59588A KR100212884B1 (ko) 1995-12-27 1995-12-27 초기 시동시 배기 가스 저감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59588A KR100212884B1 (ko) 1995-12-27 1995-12-27 초기 시동시 배기 가스 저감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4429A KR970044429A (ko) 1997-07-26
KR100212884B1 true KR100212884B1 (ko) 1999-08-02

Family

ID=19445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59588A KR100212884B1 (ko) 1995-12-27 1995-12-27 초기 시동시 배기 가스 저감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28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0251A (ko) * 2001-12-18 2003-06-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수동변속기차량의 촉매가열 운전조건 차단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0721A (ko) * 2001-12-19 2003-06-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 변속 차량의 배출가스 저감 제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0251A (ko) * 2001-12-18 2003-06-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수동변속기차량의 촉매가열 운전조건 차단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4429A (ko) 1997-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75088B2 (en) Vehicle idling stop control apparatus
JP2009008103A (ja) 自動車駆動ユニットのトルク制御方法及び装置
JP2007056722A (ja) 内燃機関冷却装置の故障検出システム
KR100366904B1 (ko) 자동차 구동 유니트의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0212884B1 (ko) 초기 시동시 배기 가스 저감 방법
JP3851203B2 (ja) 自動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および変速制御方法
JP2002528684A (ja) 電子制御自動変速機の高温運転モードの制御方法
JP2011007072A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S62286847A (ja) 車両用無段変速機の制御方法
JP3859036B2 (ja) 車両用エンジンのオーバーヒート防止装置
JP3905159B2 (ja) 車両用電子制御装置
GB2427710A (en) Engine stop-start control system
JP2000018058A (ja) ディーゼルエンジンの始動時噴射量制御装置
JP3039253B2 (ja) 自動変速機の過熱対策装置
JP3680593B2 (ja) 自動変速機用コントロールユニットの高温時暴走防止装置
KR100188768B1 (ko) 자동 변속장치의 유체상태를 고려한 아이들 제어장치 및 그 방법
JP4337212B2 (ja) 液冷式内燃機関の冷却装置
KR970046467A (ko) 수온과 유온을 이용한 엔진 및 자동 변속기 제어장치
KR100405668B1 (ko) 자동 변속기의 저유온시 변속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0212505B1 (ko) 엔진수온센서고장판정방법
KR19980056873A (ko) 화재발생방지를 위한 엔진제어방법
KR950011273B1 (ko) 자동변속기의 변속조정방법
KR100285447B1 (ko) 오일 산화에 따른 엔진 스톨 방지방법
KR0185145B1 (ko) 디젤엔진차량의 엔진회전수안정제어방법
KR100270525B1 (ko) 정지전 4→3변속 쇼크 감소장치 및 그 감소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50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