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2167B1 - 배관보수용 고무밴드 및 배관보수방법 - Google Patents

배관보수용 고무밴드 및 배관보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2167B1
KR100212167B1 KR1019960000157A KR19960000157A KR100212167B1 KR 100212167 B1 KR100212167 B1 KR 100212167B1 KR 1019960000157 A KR1019960000157 A KR 1019960000157A KR 19960000157 A KR19960000157 A KR 19960000157A KR 100212167 B1 KR100212167 B1 KR 1002121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bber band
pipe
band
rubber
wat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01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9692A (ko
Inventor
세이이찌 오리하라
요시지 오리하라
Original Assignee
오리하라 세이이치
가부시키가이샤 오리하라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7027192A external-priority patent/JP272958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7252045A external-priority patent/JP2838673B2/ja
Application filed by 오리하라 세이이치, 가부시키가이샤 오리하라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오리하라 세이이치
Publication of KR9600296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96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21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21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6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6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 F16L55/168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outside the pipe
    • F16L55/1686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outside the pipe by winding a ta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450/00Methods or apparatus for fitting, inserting or repairing different elements
    • F01N2450/08Repairing the housing or pipe-joi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0Patched hole or depre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pe Accessories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배관에 있어서의 유체의 누출되는 개소에 대하여 긴밀히 감겨져서 이 유체의 누출을 멈추는 것이 가능한 배관보수용 고무밴드에 관하여 고무밴드의 일단에 상기 배관에의 임시접착수단을 갖추는 동시에 타단에 이 배관에 감겨진 고무밴드의 느슨해지는 것을 막는 접착수단을 갖추고 있다.
이 고무밴드의 감기에 의한 상기 유체의 누출멈춤후에 이 고무밴드의 위에서 물과 반응하여 경화하는 물질을 갖춘 보수테이프를 감아서 이루는 최종적인 보수시공을 불편없이 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배관보수용 고무밴드 및 배관보수방법
제1도는 밴드본체(10)의 양단에 점착테이프(20, 30)를 갖추어서 구성되는 제1 실시예에 관계되는 고무밴드(G-1)의 전체구성을 이해하기쉽게 이 고무밴드(G-1)를 비스듬히 본 상태로 나타내고 있다.
제2도는 제1 실시예에 관계되는 상기 밴드본체(10)의 일단에 갖추어진 점착테이프(20)의 구성을 이해하기 쉽게 고무밴드(G-1)의 일단부를 제1도에 있어서의 A-B선에 따른 위치에서 단면으로하여 나타내고 있다.
제3도는 제1 실시예에 관계되는 상기 밴드본체(10)의 타단에 갖추어진 점착테이프(30)의 구성을 이해하기 쉽게 고무밴드(G-1)의 타단부를 제1도에 있어서의 B-B선에 따른 위치에서 단면으로하여 나타내고 있다.
제4도 내지 제9도는 상기 고무밴드(G-1)의 사용상태 즉 이 고무밴드(G-1)를 사용한 배관(P)의 보수시공, 여기서는 급배수관(Pw)의 지수시공의 과정(제4도 내지 제7도) 및 지수시공의 종료상태(제8도, 제9도)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제10도는 밴드본체(10)의 일단에 점착테이프(20)를 타단에 면형파스너(40)를 갖추어서 구성되는 제2 실시예에 관계되는 고무밴드(G-2)의 전체구성을 이해하기 쉽게 이 고무밴드(G-2)를 비스듬히 본 상태로 나타내고 있다.
제11도는 제2 실시예에 관계되는 상기 밴드본체(10)의 일단에 갖추어진 점착테이프(20)의 구성을 이해하기 쉽게 고무밴드(G-2)의 일단부를 제10도에 있어서의 C-C선에 따른 위치에서 단면으로하여 나타내고 있다.
제12도는 제2 실시예에 관계되는 상기 밴드본체(10)의 타단에 갖추어진 면형파스너(40)의 구성을 이해하기 쉽게 고무밴드(G-2)의 타단부를 제10도에 있어서의 D-D선에 따른 위치에서 단면으로하여 나타내고 있다.
제13도는 상기 고무밴드(G-2)의 사용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제14도는 밴드본체(10)의 양단에 점착테이프(20, 30)를 갖추어서 구성되는 제3 실시예에 관계되는 고무밴드(G-3)의 전체구성을 이해하기 쉽게 이 고무밴드(G-3)를 비스듬히 본 상태로 나타내고 있다.
제15도는 제3 실시예에 관계되는 상기 밴드본체(10)의 일단에 갖추어진 점착테이프(20)의 구성을 이해하기 쉽게 고무밴드(G-3)의 일단부를 제14도에 있어서의 E-E선에 따른 위치에서 단면으로하여 나타내고 있다.
제16도는 제3 실시예에 관계되는 상기 밴드본체(10)의 타단에 갖추어진 점착테이프(30)의 구성을 이해하기 쉽게 고무밴드(G-3)의 타단부를 제14도에 있어서의 F-F선에 따른 위치에서 단면으로하여 나타내고 있다.
제17도 내지 제24도는 상기 고무밴드(G-3)의 사용상태, 즉 이 고무밴드(G-3)를 사용한 배관(P)의 보수시공, 여기서는 급배수관(Pw)의 지수시공의 과정(제17도 내지 제22도) 및 지수시공의 종료상태(제23도, 제24도)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또한 제20도는 제19도에 있어서의 G-G선에 따른 위치에서의 단면도이며 또 제24도는 제23도에 있어서의 H-H선에 따른 위치에서의 단면도이다.
제25도 및 제26도는 상기 고무밴드(G-3)에 의한 관이음(P')에 의한 접속부분 근방의 지수시공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제26도는 제25도에 있어서의 I-I선에 따른 위치에서의 단면도이다.
제27도는 밴드본체(10)의 일단에 점착테이프(20)를 타단에 면형파스너(40)를 갖추어서 구성되는 고무밴드(G-4)의 전체구성을 이해하기 쉽게 이 고무밴드(G-4)를 비스듬히 본 상태로 나타내고 있다.
제28도는 제4 실시예에 관계되는 상기 밴드본체(10)의 일단에 갖추어진 점착테이프(20)의 구성을 이해하기 쉽게 고무밴드(G-4)의 일단부를 제27도에 있어서의 J-J선에 따른 위치에서 단면으로하여 나타내고 있다.
제29도는 제4 실시예에 관계되는 상기 밴드본체의 타단에 갖추어진 면형파스너(40)의 구성을 이해하기 쉽게 고무밴드(G-4)의 타단부를 제27도에 있어서의 K-K선에 따른 위치에서 단면으로하여 나타내고 있다.
제30도는 상기 고무밴드(G-4)의 사용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밴드본체20,30. 점착테이프
21,31 : 점착체층40. 면형파스너
22,32 : 박리라이너 K,K' : 누출개소,금이간 개소
P : 배관 G-1,G-2,G-3,G-4 : 고무밴드
Pw : 급배수관
본 발명은 급배수관, 가스관 등의 각종 배관의 배관속을 흐르는 액체, 가스 등의 유체의 누출개소, 예를들면 급배수관의 누수개소에 감는데 사용되는 배선보수용 고무밴드 및 이 고무밴드를 사용한 배관보수방법에 관한 것이다.
각종 배관, 예를들면 급배수관에 생긴 금이 간 것등으로 기인한 누수를 이 급배수관을 교체하지 않고 지수(止水)보수하는 방법으로서 이 급배수관의 누수개소에 물과 반응하여 경화하는 물질, 예를들면 폴리우레탄의 폴리머를 갖춘 보수테이프를 감고 이 보수테이프의 경화에 의해 이 누수를 멈추게 하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런 종류의 보수테이프는 경화할때까지 일정한 시간을 요하기 때문에 수압이 걸리지 않는 배수관의 누수개소의 지수에는 사용할 수 있으나, 급수관의 누수개소의 지수에는 그대로는 사용할 수 없었다.
즉, 급수관의 누수개소로부터는 이 급수관내를 흐르는 물의 수압에 의해 물이 분출상태로 누출하는데서 이 누수개소를 상기 보수테이프에 의해 덮어도 이 보수테이프의 경화전에 이와같이 누출되는 물에 의해 보수테이프와 급수관과의 사이에 간극이 만들어져 보수테이프의 경화후도 이 간극이 남기 때문에 이러한 누수를 멈출 수 없었다.
이 때문에 상기 보수테이프를 사용한 급수관의 지수는 급수관의 밸브를 닫고 급수를 정지한 후에 행하는 것을 어쩔 수 없이 하고 있었다.
그런데 급수의 정지는 여러 가지의 지장을 생기게 하기 때문에 안이하게 행하기 어렵고 그 기회를 얻는 것이 곤란하다. 특히 맨션이나 병원등 상시 물의 공급이 필요하게 되는 시설등에서는 급수를 정지할 기회를 얻는 것이 상당히 곤란하게 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종래는 급수관에 누수가 생긴 경우 이 누수개소를 타이어의 튜브등으로 묶어서 임시로 지수하여 놓고 급수를 정지할 기회가 얻어지는 것을 기다려 밸브 등을 닫아서 급수를 정지시켜 누수를 생기게 하는 금이가는 등의 급수관을 교체하고 있었다.
그런데 분출상태로 누수가 생기고 있는 개소에 대하여 이러한 타이어의 튜브 등을 묶는 작업은 반드시도 용이한 것은 아니다.
또 상기 튜브에 의한 지수는 어디까지나 일시적인 것이기 때문에 급수관의 금이가는 등의 경미한 경우나, 급수관의 교체에 다대한 노력을 요하는 경우 등의 경우라도 상기 최종적으로는 이 튜브에 의한 지수와 실시된 급수관 자체의 교체를 어쩔수 없이 시키는 불편이 있었다.
그런데 이 튜브를 묶은 후에 그 위에서 상기 보수테이프를 감고 경화시켜서 이러한 급수관의 교체를 피하는 것도 고려되었으나 통례상 묶여진 이 튜브의 매듭이 보수테이프를 감는데 방해가 되기 때문에 보수테이프를 이 튜브 및 누수개소 주위의 급수관의 주위면에 밀착시키기 어렵고 항구적인 지수를 기대하기 어려울 뿐 아니라 보수테이프를 감는 개소가 혹모양으로 크게 퍼지고 지수시공후의 마무리를 나쁘게 하고 있었다.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의 하나는 각종 배관의 이 배관을 흐르는 유체의 누출개소에 대한 긴밀한 감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배관보수용 고무밴드의 제공에 있다.
또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의 다른 하나는 상기 고무밴드에 의한 유체의 누출멈춤 후에 이 고무밴드 위에서 물과 반응하여 경화하는 물질을 갖춘 보수테이프를 감은 보수시공을 불편없이 행하도록 하고 특히 급수관 등 유체, 가스 등의 유체를 압송하는 배관의 최종적인 보수시공을 이 급수관 등의 교체를 요하지 않고 행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또 배관의 표면에는 이 배관이 금속제인 경우에는 경시적으로 생기는 녹 등에 의해 또 이배관이 플라스틱제인 경우에는 먼지 등의 부착에 의해 평활하지 않은 부분도 있고 이러한 평활하지 않은 관표면부분에 생기고 있는 누출개소에 대하여 상기 고무밴드를 감아서 이 누출의 임시멈춤을 하는 경우 이 고무밴드와 이 누출개소와의 밀착성을 높이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또, 관이음에 의한 배관의 연결부분에는 이 관이음의 두께 상당분의 단차가 생기기 때문에 이러한 연결부분근방에 생기고 있는 누출개소에 대하여 상기 고무밴드를 감아서 이 누출의 임시멈춤을 하는 경우에도 이 고무밴드와 이 누출개소와의 밀착성을 높이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의 또 다른 하나는 배관의 누출개소 주위의 관의 표면이 평활하지 않은 경우나 누출개소의 근방에 단차가 있는 경우라도 이 누출개소로부터의 유체의 누출을 확실히 멈출 수 있도록 이 배관의 누출개소에 감기가 가능한 배관보수용의 고무밴드의 제공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여러 가지 목적은 이하의 설명에서 순차 명백하게 된다.
즉,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먼저 배관의 액누출, 가스누출 등의 배관중의 유체의 누출개소에 감겨지는 고무밴드에 있어서, 고무밴드의 일단에 배관에의 임시접착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타단에는 배관에 감겨진 고무밴드가 풀어져 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접착수단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임시접착수단이 상기 배관에 감겨지는 점착테이프(20, 30)로 하고 있거나 또는 상기 임시접착수단이 상기 고무밴드의 일면측으로 향해서 설치된 암부와 당해 고무밴드의 타면측으로 향해서 설치된 수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배관에 감겨져서 상기 암부와 수부를 결합시키는 면형파스너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무밴드의 임시접착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단부측에 있어서의 상기 배관에 접하는 측면에 실(seal)제가 첨부된 상태로 구비되어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본 발명의 하나가 된다.
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실( seal)제가 부타디엔계 고무로 구성하는 것이 본 발명의 하나가 된다.
또 상기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실제의 표면이 박리라이너로 덮혀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본 발명의 하나가 된다.
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접착수단을 점착테이프로 하는 것이 본 발명의 하나가 된다.
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접착수단을 고무밴드의 일면측으로 향해서 설치된 암부와 당해 고무밴드의 타면측으로 향해서 설치된 수부로 이루는 면형파스너로 하고 있는 것이 본 발명의 하나가 된다.
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고무밴드를 누수가 발생하는 급배수관에 대하여 감는 단계와, 상기 급배수관에 감겨진 상기 배관보수용 고무밴드위에서 물과 반응하여 경화하는 폴리우레탄의 프레폴리머 물질을 갖춘 테이프형 보수테이프를 감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도록 구성하는 배관보수방법이 본 발명의 하나가 된다.
즉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먼저 배관의 액누출, 가스누출 등의 배관중의 유체의 누출개소에 감겨지는 고무밴드에 있어서 이 고무밴드의 일단에 배관에의 임시접착수단을 설치하는 동시에 타단에 배관에 감겨진 고무밴드의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하는 접착수단을 설치하기로 하였다.
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고무밴드에 있어서 또한 고무밴드의 임시접착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단부측에 있어서의 배관에 접하는 측면에 실(seal)제를 첨부한 상태로 갖춘 고무밴드가 본 발명의 하나가 된다.
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각 고무밴드에 있어서 또한 상기 실제를 부타디에계 고무로 한 고무밴드가 본 발명의 하나가 된다.
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각 고무밴드에 있어서 또한 상기 실제의 표면을 박리라이너로 덮도록 한 고무밴드가 본 발명의 하나가 된다.
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각 고무밴드에 있어서 또한 상기 임시접착수단 및 접착수단의 쌍방 또는 어느 한편을 점착테이프로 하기로한 고무밴드가 본 발명의 하나가 된다.
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각 고무밴드에 있어서 또한 상기 임시접착수단 및 접착수단의 쌍방 또는 어느 한편을 고무밴드의 한면측으로 향해서 설치된 암부와 이 고무밴드의 타면측으로 향해서 설치된 수부로 되는 면형파스너로 하기로한 고무밴드가 본 발명의 하나가 된다.
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상에서 설명한 각 배관보수용 고무밴드를 누출개소에 감은 후 감겨진 이 배관보수용 고무밴드의 위에서 물과 반응하여 경화하는 물질을 갖춘 보수테이프를 감아서 배관보수를 하기로한 배관보수방법이 본 발명의 하나가 된다.
상기 각 목적에 나타나는 고무밴드(G-1∼G-4)는 예를들면 제4도 및 제17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각종배관(P)에 생긴 이 배관(P)을 흐르는 액체, 가스 등의 유체의 누출개소(K), 여기서는 급배수관(Pw)에 생긴 금이간 개소(K')에 대하여 제7도, 제 13도, 제22도 및 제30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바짝조인 상태로 감고, 이 금이간 개소(K')로부터의 누수를 멈추도록 이용된다.
또 특히 제14도 및 제27도에 나타내는 고무밴드(G-3) 및 (G-4)는 배관(P)의 누출개소(K) 주위의 관표면이 평활하지 않은 경우나, 누출개소(K)의 근방에 단차가 있는 경우라도 이 누출개소(K)로부터의 유체의 누출을 확실히 멈추도록 이 배관(P)의 누출개소(K)에 감기가 가능한 구성을 갖춘 것이다.
[실시예]
그래서 먼저 제1 실시예에 관계되는 고무밴드(G-1)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도에 특별히 나타내는 바와같이 제1 실시예에 관계되는 고무밴드(G-1)는 평평한 디형태를 이루는 고무제의 밴드본체(10)와,
이 고무밴드(G-1)의 일단에 설치되고, 이 고무밴드(G-1)의 이 일단을 급배수관(Pw)에 대하여 임시접착하는 임시접착수단(S-1)으로서의 점착테이프(20)와,
이 고무밴드(G-1)의 타단에 설치되고, 급배수관(Pw)에 감겨진 이 고무밴드(G-1)의 느슨해지는 것을 막는 접착수단(S-2)으로서의 점착테이프(30)로 구성되어 있다.
밴드본체(10)의 길이, 폭, 감겨지는 급배수관(Pw)의 관지름 등에 따라서 적절한 길이, 폭으로 설정된다. 또 밴드본체(10)의 두께도 필요에 따라서 적절한 두께로 설정되는바, 급배수관(Pw)에 감겨진 밴드본체(10)의 두께를 눈에 띄지않게하여 지수시공개소의 급배수관(Pw)의 외관을 정비시키는 관점에서는 밴드본체(10)는 가급적 얇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밴드본체(10)는 천연고무를 사용하여 구성하여도 합성고무를 사용하여 구성하여도 좋다.
이 밴드본체(10)의 일단에 설치되는 점착테이프(20)는 제1도 및 제2도에 특별히 나타내는 바와같이 밴드본체(10)의 길이방향 외측으로 향해서 이 밴드본체(10)에 연하게 일단을 밴드본체(10)의 단부에 고정설치되어 있다.
또 이 점착테이프(20)는 일면에 보호용의 박리라이너(22)를 갖춘 점착제층(21)을 갖추고 있다.
또 이 밴드본체(10)의 상기 점착테이프(20)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측의 단에 설치되는 점착테이프(30)는 제1도 및 제3도에 특별히 나타내는 바와같이 밴드본체(10)의 길이방향 외측으로 향해서 이 밴드본체(10)에 연하는 것같이 일단을 밴드본체(10)의 단부에 고정설치되어 있다.
또 이 점착테이프(30)는 상기 점착테이프(20)의 점착제층(21)이 설치되어 있는 측과 같은 측면에 보호용의 박리라이너(32)를 갖춘 점착제층(31)를 갖추고 있다.
또한, 상기 점착테이프(20, 30)의 길이, 폭 등은 필요에 따라서 적절하게 변경하여도 관계없다. 또 밴드본체(10)에 대한 점착테이프(20, 30)의 접착은 점착, 용착 등 적절한 접착수단을 이용하여 이룩된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고무밴드(G-1)는 예를들면 제5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점착테이프(20)측이 감기 종료에 위치하도록 두루감긴 상태로 사용에 제공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와 같이 점착테이프(20, 30)의 점착제층(21, 31)을 박리라이너(22, 32)로 보호하고 있으나, 이 박리라이너(22, 32)를 생략하고, 임시접착수단(S-1)으로서의 점착테이프(20) 및 접착수단(S-2)으로서의 점착테이프(30)를 구성하여도 좋다.
이어서 제4도 내지 제9도에 의거해서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고무밴드(G-1)를 사용한 배관(P)의 보수시공, 여기서는 급배수관(Pw)의 지수시공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제4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금이간 개소(K')에서 누수를 발생시키고 있는 급배수관(Pw)에 대하여 제5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고무밴드(G-1)의 점착테이프(20)에서 박리라이너(22)를 벗겨내서 이 점착테이프(20)의 점착제층(21)이 점착되도록 이 점착테이프(20)를 감는다. 이 감기는 제5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급배수관(pw)의 축중심선에 대하여 감겨지는 이 점착테이프(20)가 경사하도록 행하여도 또 감겨지는 점착테이프(20)가 직교하도록 행하여도 좋다.
이와같이 점착테이프(20)를 급배수관(Pw)에 감음으로써 고무밴드(G-1)의 일단을 이 급배수관(Pw)에 임시 접착할 수 있다. 이 결과, 이 임시접착후는 제6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이 밴드본체(10)가 급배수관(Pw)에 대하여 간극없이 바짝조인 상태로 감겨지도록 이 고무밴드(G-1)의 밴드본체부(10)를 양손으로 잡고 강하게 잡아당기면서 이 고무밴드(G-1)를 이 급배수관(Pw)에 대하여 감을 수 있다.
이어서 제7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급배수관(Pw)의 금이간 개소(K')부분을 막는 것같이 고무밴드(G-1)를 순차 바짝조인 상태로 감은 후 이 고무밴드(G-1)의 밴드본체(10)의 감기종료측의 단부에 설치된 상기 점착테이프(30)에서 박리라이너(32)를 벗겨내서, 급배수관(Pw)에 대하여 이 점착테이프(30)의 점착제층(31)이 점착되도록 이 점착테이프(30)를 감는다.
이것에 의해 제7도에 특별히 나타내는 바와같이 이와같이 급배수관(Pw)에 대하여 감겨진 고무밴드(G-1)의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바짝조인 상태로 감겨진 이 고무밴드(G-1)의 감음에 의해 급배수관(Pw)내를 흐르는 급,배수의 금이간 개소(K')로부터의 누출을 이 급,배수의 수압에 항거하여 방지할 수 있다.
이어서 이와같이 급배수관(Pw)에 바짝조인 상태로 감겨진 고무밴드(G-1)위에서 제8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물과 반응하여 경화하는 물질을 갖춘 보수테이프(T)를 이 고무밴드(G-1)를 덮고 감추는 것같이 감는다.
이 보수테이프(T)로서는 유리섬유재로 되는 테이프형의 짜고 엮은 생지에 물과 반응하여 경화하는 폴리우레탄의 프레폴리머를 함침시킨 것이 알려져 있다.
이 보수테이프(T)의 감기는 급배수관(Pw)에 대하여 긴밀히 감겨지는 상기 고무밴드(G-1)에 의해 금이간 개소(K')로부터의 누수가 멈춰지고 있는데서 지장없이 행할 수 있다.
또, 상기 고무밴드(G-1)는 상기 점착테이프(20) 및 점착테이프(30)에 의해 이음매 없이 급배수관(Pw)에 대하여 감기가 가능하게 되어 있는데서 상기 보수테이프(T)의 감기는 이 고무밴드(G-1) 및 급배수관(Pw)의 주위면에 보수테이프(T)를 밀착시킨 상태에서 행할 수 있고, 이와같이 밀착상태로 경화되는 보수테이프(T)에 의해 확실한 지수시공을 이룩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이 실시예에 관계되는 지수시공방법에 의하면 배수관은 원래부터 급수관의 누수에 대한 지수시공에 있어서도 급수관의 밸브를 닫지않고, 또 급수관을 교체하지 않고 확실한 지수를 이룩할 수 있다.
또 누수는 고무밴드(G-1)로 임시로 멈춰져 있음으로 보수테이프(T)의 누출개수(K)에 대한 감는수를 필요최소한의 것으로 할 수 있다. 또 상기 고무밴드(G-1)는 상기 점착테이프(20) 및 점착테이프(30)에 의해 두꺼워지지 않도록 이 급배수관(Pw)에 감기가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결과 이 실시예에 관계되는 지수시공방법에 의하면 지수시공개소에 감겨진 상기 고무밴드(G-1) 및 보수테이프(T)의 감기에 의한 두께를 될 수 있는한 눈에 띄지않도록 한 시공이 가능하게 되고, 급배수관(Pw)의 누출개소(K)의 지수시공후의 외관성을 정비할 수 있다.
이어서 제2 실시예에 관계되는 고무밴드(G-2)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0도에 특별히 나타내는 바와같이 제2 실시예에 관계되는 고무밴드(G-2)는 평평한 띠형태를 이루는 고무제의 밴드본체(10)와,
이 고무밴드(G-2)의 일단에 설치되는 임시접착수단(S-1)으로서의 점착테이프(20)와,
이 고무밴드(G-2)타단에 설치되고, 급배수관(Pw)에 감겨진 이 고무밴드(G-2)의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하는 접착수단(S-2)으로서의 면형파스너(40)로 구성되어 있다.
밴드본체(10)의 길이, 폭, 두께, 재질 등은 상기 제1 실시예에 관계되는 고무밴드(G-1)와 같이 감겨진 급배수관(Pw)의 관지름 등에 따라서 적절히 설정된다.
이 밴드본체(10)의 일단에 설치되는 점착테이프(20)는 제10도 및 제11도에 특별히 나타내는 바와같이 밴드본체(10)의 길이방향 외측으로 향해서 이 밴드본체(10)에 연하도록 일단을 밴드본체(10)의 단부에 고정설치되어 있다. 또 이 점착테이프(20)는 일면에 보호용의 박리라이너(22)를 갖춘 점착제층(21)을 갖추고 있다. 또한 상기 제1 실시예에 관계되는 고무밴드(G-1)와 동일하게 박리라이너(22)를 생략하여 점착테이프(20)를 구성하여도 좋다.
또 이 밴드본체(10)의 상기 점착테이프(20)가 설치되어 있지않은 측의 단에 설치되는 면형파스너(40)는 제10도 및 제12도에 특별히 나타내는 바와같이 밴드본체(10)의 길이방향 외측으로 향해서 이 밴드본체(10)에 연하도록 일단을 밴드본체(10)의 단부에 고정설치되는 평평한 띠형태의 암파스너(41)와 이 암파스너(41)의 밴드본체(10)와 연설되어 있지않은 측의 단부에서 이 암파스너(41)에 연하도록 일단을 이 암파스너(41)의 단부에 고정설치되는 수파스너(42)로 구성되어 있다. 또 암파스너(41)는 수파스너(42)에 대하여 결합하는 암부(41a)를 상기 점착테이프(20)의 점착체층(21)이 설치되어 있는 측과 반대측으로 향하도록 밴드본체(10)에 고정되어 있는 동시에 수파스너(42)는 암파스너(41)에 대하여 결합하는 수부(42a)를 암부(41a)가 설치되어 있는 측과 반대측으로 향하도록 암파스너(41)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점착테이프(20) 및 면형파스너(40)의 길이, 폭 등은 필요에 따라서 적절히 변경하여도 관계없다. 또 밴드본체(10)에 대한 점착테이프(20) 및 면형파스나(40)를 구성하는 암파스너(41) 및 암파스너(41)에 대한 수파스너(42)의 접착은 접착, 용착 등 적절한 접착수단을 이용하여 이룩된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고무밴드(G-2)도 예를들면 점착테이프(20)측이 감기종료에 위치하도록 두루감겨진 상태에서 사용에 제공되도록 구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제2 실시예에 관계되는 고무밴드(G-2)도, 제1 실시예에 관계되는 고무밴드(G-1)와 동일하고, 먼저 제4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금이간 개소(K')에서 누수를 생기게 하고 있는 급배수관(Pw)에 대하여 고무밴드(G-2)의 점착테이프(20)에서 박리라이너(22)를 벗겨내서 점착테이프(20)의 점착제층(21)을 점착하여 임시접착한 상태로 상기 급배수관(Pw)에 대하여 감을 수 있다. 그리고 이후 제13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이 고무밴드(G-2)를 양손으로 잡는 등하여 금이간 개소(K')를 막도록 순차 바짝조인 상태로 감은후 이 고무밴드(G-2)의 밴드본체(10)의 감기종료측의 단부에 설치된 상기 면형파스너(40)를 구성하는 암파스너(41)의 암부재(41a)와 수파스너(42)의 수부재(42a)를 결합시키므로써 이와같이 급배수관(Pw)에 대하여 바짝조인 상태로 감겨진 고무밴드(G-2)가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상기 금이간 개소(K')로부터의 누수를 막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실시예에 관계되는 고무밴드(G-1)와 동일하게 이와같이 급배수관(Pw)에 감겨진 고무밴드(G-2)위에서 이 고무밴드(G-2)를 밀착상태로 덮도록 상기 보수테이프(T)를 감고, 이 밀착상태에서 경화되는 보수테이프(T)에 의해 시공개소의 외관성을 손상하지 않는 상태로의 확실한 지수시공을 이룩할 수 있다.
특히 제2 실시예에 관계되는 고무밴드(G-2)로는 상기와 같이 감겨진 고무밴드(G-2)가 느슨해지는 것을 면형파스너(40)를 구성하는 수부(42a)와 암부(41a)와의 결합에 의해 막는 것에서 지수작업중에 면형파스너(40)가 젖는 등하여도 이 결합력이 손상되기 어려운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어서 제3 실시예에 관계되는 고무밴드(G-3)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4도에 특별히 표시되는 고무밴드(G-3)는 평평한 띠형태를 이루는 고무제의 밴드본체(10)와,
이 고무밴드(G-3)의 일단에 설치되고, 이 고무밴드(G-3)의 이 일단을 배관(P)에 대하여 임시접착하는 임시접착수단(S-1)으로서의 점착테이프(20)와,
이 고무밴드(G-3)타단에 설치되고, 배관(P)에 감겨진 이 고무밴드(G-3)의 느슨해지는 것을 막는 접착수단(S-2)으로서의 점착테이프(30)로 구성되어 있다.
밴드본체(10)의 길이, 폭은 감겨진 배관(P)의 관지름 등에 따라서 적절한 길이, 폭으로 설정된다. 또 밴드본체(10)의 두께도 필요에 따라서 적절한 두께로 설정되는바, 배관(P)에 감겨진 밴드본체(10)의 두께를 눈에 띄지않게하여 지수시공개소의 배관(P)의 외관을 정비시키는 관점에서는 밴드본체(10)는 가급적 얇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밴드본체(10)는 천연고무를 사용하여 구성하여도 합성고무를 사용하여 구성하여도 좋다.
이 밴드본체(10)의 일단에 설치되는 점착테이프(20)는 제14도 및 제15도에 특별히 나타내는 바와같이 밴드본체(10)의 길이방향 외측으로 향해서 이 밴드본체(10)에 연하도록 일단을 밴드본체(10)의 양단에 고정설치되어 있다.
또 이 점착테이프(20)는 일면에 보호용의 박리라이너(22)를 갖춘 점착제층(21)을 갖추고 있다.
또, 이 밴드본체(10)의 상기 점착테이프(20)가 설치되어 있지않은 측단에 설치된는 점착테이프(30)는 제14도 및 제16도에 특별히 표시되도록 밴드본체(10)의 길이방향 외측으로 향해서 이 밴드본체(10)에 연하도록 일단을 밴드본체(10)의 단부에 고정설치되어 있다.
또, 이 점착테이프(30)는 상기 점착테이프(20)의 점착제층(21)이 설치되어 있는 측과 같은 측면에 보호용의 박리라이너(32)를 갖춘 점착제층(31)을 갖추고 있다.
또한 상기 점착테이프(20, 30)의 길이, 폭 등은 필요에 따라서 적절히 변경하여도 상관없다. 또 밴드본체(10)에 대한 점착테이프(20, 30)의 접착은 접착, 용착 등 적절한 부착의 접착수단을 이용하여 행하여진다.
또, 이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고무밴드(G-3)에 있어서는 상기 본체(10)의 상기 임시접착수단(S-1)이 설치되어 있는 단부측에 있어서의 상기 배관(P)에 접하는 측면에 대략 직사각형태를 이루도록 성형된 실제(50)를 첨부한 상태로 구비하고 있다.
실제(50)는 필요에 따라서 그폭, 길이를 적절히 변경하여 상기 고무밴드(G)의 상기 배관(P)에 접하는 측면에 첨부하여도 상관없다.
이 실제(50)로서는 예를들면 연화제의 첨가에 의해 소요의 유연성이 부여된 부타디엔계 고무 등 이음매나 간극 등을 수밀 혹은 기밀상태로 막는 기능을 갖춘 고무나 플라스틱 등을 이용하면 좋다.
또 이 실제(50)의 표면은 대(帶)시트형을 이루는 박리라이너(51)에 의해 덮혀져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고무밴드(G-3)를 두루 감았을때에 실제(50)가 이 실제(50)에 접하는 고무밴드(G-3)면에 부착등 하지않고 편리하게 이 고무밴드(G-3)를 두루감은 상태로 제공되도록 구성, 준비할 수 있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고무밴드(G-3)는 예를들면 제18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점착테이프(20)측이 감기종료에 위치하도록 두루감겨진 상태로 사용에 제공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와 같이 점착테이프(20, 30)의 점착제층(21, 31)을 박리라이너(22, 32)로 보호하고 있으나, 이 박리라이너(22, 32)를 생략하여 임시접착수단(S-1)으로서의 점착테이프 및 접착수단(S-2)으로서의 점착테이프(30)를 구성하여도 좋다.
이어서 제17도 내지 제26도에 의거해서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고무밴드(G-3)를 이용한 배관(P)의 보수시공, 여기서는 급배수관(Pw)의 지수시공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제17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금이간 개소(K')에서 누수를 발생시키고 있는 급배수관(Pw)에 대하여 제18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고무밴드(G-3)의 점착테이프에서 박리라이너(22)를 벗겨내서 급배수관(Pw)에 대하여 점착테이프(20)의 점착제층(21)이 점착되도록 이 점착테이프(20)를 감는다. 이 감기는 급배수관(Pw)의 축중심선에 대하여 감겨지는 이 점착테이프(20)가 경사하도록 행하여도 또 감겨지는 이 점착테이프(20)가 직교하도록 행하여도 좋다.
이와같이 점착테이프(20)를 급배수관(Pw)에 감음으로써 고무밴드(G-3)의 일단을 급배수관(Pw)의 상기 금이간 개소(K')근방에 임시접착할 수 있고, 이 결과 이 임시접착후는 제19도 및 제21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상기 밴드본체(10)가 이 급배수관(Pw)에 대하여 간극없이 바짝조인 상태로 감겨지도록 이 고무밴드(G-3)의 밴드본체(10)를 양손으로 잡고 강하게 죄면서 이 고무밴드(G-3)를 이 급배수관(Pw)에 대하여 감을 수 있다.
또, 상기 고무밴드(G-3)의 임시접착과 동시에 상기 실제(50)의 표면에서 상기 박리라이너(51)를 벗겨서 급배수관(Pw)의 금이간 개소(K')를 이 실제(50)가 막도록 이 금이간 개소(K')에 실제(50)를 첨부시켜 이와같이 실제(50)를 첨부시킨 상태로 제 19도 및 제21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급배수관(Pw)에 대하여 고무밴드(G-3)의 감기를 순차 시행한다.
그리고 최후에 이 고무밴드(G-3)의 밴드본체(10)의 감기종료측의 단부에 설치된 상기 점착테이프(30)에서 박리라이너(32)를 벗겨내서 상기 점착테이프(20)가 감겨진 측에 대하여 상기 금이간 개소(K')를 끼운 반대측에 있는 급배수관(Pw)부에 이 점착테이프(30)의 점착제층(31)이 점착되도록 이 점착테이프(30)를 감고 감겨진 고무밴드(G-3)가 느슨해지지 않도록 한다.
이와같이 급배수관(Pw)에 바짝조인 상태로 감겨진 고무밴드(G-3)는 제20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상기 금이간 개소(K')에 첨부된 상기 실제(50)를 금이간 개소(K')에 강하게 억누르고 이와같이 억눌려진 이 실제(50)는 이 금이간 개소(K')의 주위의 급배수관(Pw)의 면이 이 급배수관(Pw)에 부착한 먼지 등에 의해 평활하지 못한 경우나 제25도 및 제26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이 금이간 개소(K')근방에 관이음쇄(P')의 가장자리부(e)가 위치되어서 이 금이간 개소(K')근방이 평탄하지 않는 경우라도 이 금이간 개소(K')주위의 면전체에 밀착되는 동시에 경우에 따라서는 이 금이간 속에 그 일부를 집어넣어서 금이간 개소(K')를 수밀 혹은 기밀상태로 막는다.
이것에 의해 이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고무밴드(G-3)에 의하면 급배수관(Pw)내를 흐르는 급,배수의 금이간 개소(K')로부터의 누출을 이 급,배수의 수압에 항거하여 확실히 멈출 수 있다.
이어서 이와같이 급배수관(Pw)에 바짝조인 상태로 감겨진 고무밴드(G-3)의 위에서 제23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물과 반응하여 경화하는 물질을 갖춘 지수테이프(T)를 이 고무밴드(G-3)를 덮고 감추는 것 같이 감는다.
이 보수테이프(T)의 감기는 상기 급배수관(Pw)에 대하여 긴밀히 감겨지는 상기 고무밴드(G-3)에 의해 금이간 개소(K')부분으로 부터의 누수가 멈춰지고 있는데서 지장없이 행할수 있다.
또 상기 고무밴드(G-3)는 상기 점착테이프(20) 및 점착테이프(30)에 의해 이음배 없이 급배수관(Pw)에 대하여 감기가능하게 되어 있는데서 이 보수테이프(T)의 감기는 이 고무밴드(G-3) 및 급배수관(Pw)의 주위면에 보수테이프(T)를 밀착시킨 상태로 행할 수 있고, 이와같이 밀착상태에서 물을 포함시켜서 경화되는 보수테이프(T)에 보다 최종적인 지수시공을 확실히 행할 수 있다.
즉, 이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고무밴드(G-3)를 이용한 지수시공에 의하면 배수관은 원래부터 급수관의 누수에 대하여도 급수관의 밸브를 닫지않고 또 급수관을 교체하지 않고 확실히 이 누수를 멈출 수 있다.
또 누수는 상기와 같이 고무밴드(G-3)로 임시로 멈춰져 있음으로 보수테이프(T)를 누출개소(K)에 대한 감는수를 필요최소한의 것으로 할 수 있고 또 상기 고무밴드(G-3)는 상기 점착테이프(20) 및 점착테이프(30)에 의해 두께를 두껍게 하지않고 상기 급배수관(Pw)에 감기가능하게 되어 있는데서 상기 지수시공에 의하면 지수시공개소에 감겨진 상기 고무밴드(G-3) 및 보수테이프(T)의 감기에 의한 두께를 될 수 있는한 눈에 띄지않도록 한 시공이 가능하게 되고 급배수관(Pw)의 누출개소(K)의 지수시공후의 외관을 정비할 수 있다.
이어서 제4 실시예에 관계되는 고무밴드(G-4)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27도에 특별히 나타내는 바와같이 이 제4 실시예에 관계되는 고무밴드(G-4)는 평평한 띠형태의 고무제의 밴드본체(10)의 타단에 설치되는 급배수관(Pw)에 감겨진 이 고무밴드(G-4)의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하는 접착수단(S-2)을 면형파스너(40)로서 구성하고 있다.
또한 이 고무밴드(G-4)의 그외의 구성을 제3 실시예에 관계되는 고무밴드(G-3)와 동일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함으로 동일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의 구성부분에 대하여는 제3 실시예를 나타내는 제14도∼제16도에 사용한 부호와 동일의 부호를 제4 실시예 관계되는 고무밴드를 나타내는 제27도∼제30도에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 면형파스너(40)는 제27도 및 제29도에 특별히 나타내는 바와같이 밴드본체(10)의 길이방향외측으로 향해서 이 밴드본체(10)에 연하도록 일단을 밴드본체(10)의 단부에 고정설치되는 평평한 띠형태의 암파스너(41)와 이 암파스너(41)의 밴드본체(10)와 연설되어 있지않은 측의 단부에서 이 암파스너(41)에 연하도록 일단을 이 암파스너(41)의 단부에 고정설치되는 수파스너(42)로 구성되어 있다. 또 암파스너(41)는 수파스너(42)에 대하여 결합하는 암부(41a)를 점착테이프(20)의 점착제층(21)이 설치되어 있는 측과 반대측으로 향하도록 밴드본체(10)에 고정되어 있는 동시에 수파스너(42)는 암파스너(41)에 대하여 결합하는 수부(42a)를 암부(41a)가 설치되어 있는 측과 반대의 측으로 향하도록 암파스너(41)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이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고무밴드(G-4)에 의하면 이 고무밴드(G-4)를 상기 금이간 개소(K')를 상기 실제(50)로 막도록 상기 급배수관(Pw)에 바짝조인 상태로 감은후 제30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이 고무밴드(G-4)의 감기가 끝나는 측에 있어서 상기 면형파스너(40)에 있어서의 수파스너(42)의 수부(42a)를 암파스너(41)의 암부(41a)에 결합시키므로써 이와같이 급배수관(Pw)에 감겨진 이 고무밴드(G-4)가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면형파스너(40)의 길이, 폭 등은 필요에 따라서 적절히 변경하여도 상관없다. 또 밴드본체(10)에 대한 면형파스너(40)를 구성하는 암파스너(41) 및 암파스너(41)에 대한 수파스너(42)의 접착은 접착, 용착 등 적절한 접착수단을 이용하여 행하여진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고무밴드(G-4)도 예를들면 점착테이프(20)측이 감기종료에 위치하도록 두루감겨진 상태에서 사용에 제공되도록 구성된다. 특히 이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고무밴드(G-4)에서는 상기와 같이 감겨진 고무밴드(G-4)의 느슨해지는 것을 면형파스너(40)를 구성하는 수부(42a) 와 암부(41a)와의 결합에 의해 막는 것에서 지수작업중에 면형파스너(40)가 물에 젖는 등하여도 이 결합력이 손상되기 어려운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이상으로 설명한 제1 실시예∼제4 실시예의 고무밴드(G-1∼G-4)에 있어서의 상기 임시접착수단(S-1)은 고무밴드(G-1∼G-4)의 배관(P)에 대한 감기시작하는 측을 배관(P)에 대하여 임시접착할 수 있는 구성을 갖춘것이라면 좋고, 예를들면 상기 실시예와는 별개로 이 고무밴드(G)의 감기사작하는 측에 있어서의 배관(P)에 접하는 면에 설치된 점착제층으로서 구성하여도 좋다. 또 상기 고무밴드(G-1∼G-4)의 일면측으로 향해서 설치된 수부와 이 고무밴드(G-1∼G-4)의 타면측으로 향해서 설치된 암부로 되는 면형파스너로서 구성하여도 좋다. 이 임시접착수단(S-1)을 이러한 면형파스너로서 구성한 경우 특히 고무밴드(G-1∼G-4)가 물에 젖는다던지 한 경우라도 배관(P)에 대한 감기시작할때의 임시접착을 확실히 행할 수 있다.
또 이상으로 설명한 제1 실시예∼제4 실시예의 고무밴드(G-1∼G-4)에 있어서의 상기 접착수단(S-2)은 상기와 같이 바짝조인 상태로 배관(P)에 감겨진 고무밴드(G)를 느슨해지지 않도록하여 겸겨진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구성을 갖춘 것이라면 좋고, 예를들면 상기 각 실시예와는 별개로 이 고무밴드(G)의 감기가 끝나는 측에 있어서의 배관(P)에 접하는 면에 설치된 점착제층으로서 구성하여도 좋다.

Claims (6)

  1. 배관의 액누출, 가스누출 등의 배관중의 유체의 누출개소에 감겨지는 고무밴드에 있어서, 고무밴드(G-1∼G-4)의 일단에 배관(P)에의 임시접착수단(S-1)이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타단에는 배관(P)에 감겨진 고무밴드(G-1∼G-4)가 풀어져 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접착수단(S-2)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임시접착수단(S-1)이 상기 배관(P)에 감겨지는 접착테이프(20, 30)로 하고 있거나 또는 상기 임시접착수단(S-1)이 상기 고무밴드의 일면측으로 향해서 설치된 암부(41a)와 당해 고무밴드의 타면측으로 향해서 설치된 수부(42a)로 이루어지고, 상기 배관(P)에 감겨져서 상기 암부(41a)와 수부(42a)를 결합시키는 면형파스너(40)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무밴드의 임시접착수단(S-1)이 설치되어 있는 단부측에 있어서의 상기 배관(P)에 접하는 측면에 실(seal)제가 첨부된 상태로 구비되어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보수용 고무밴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seal)제가 부타디엔계 고무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보수용 고무밴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실제의 표면이 박리라이너(22, 32)로 덮혀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보수용 고무밴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수단(S-2)을 점착테이프(20, 30)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보수용 고무밴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수단(S-2)을 고무밴드의 일면측으로 향해서 설치된 암부(41a)와 당해 고무밴드의 타면측으로 향해서 설치된 수부(42a)로 이루는 면형파스너(40)로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보수용 고무밴드.
  6. 제1항, 제2항, 제3항, 제4항 또는 제5항에 기재된 배관보수용 고무밴드(G-1∼G-4)를 누수가 발생되는 급배수관(Pw)에 대하여 감는 단계와, 상기 급배수관(Pw)에 감겨진 상기 배관보수용 고무밴드(G-1∼G-4)위에서 물과 반응하여 경화하는 폴리우레탄의 물질을 갖춘 테이프형 보수테이프(T)를 감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보수방법.
KR1019960000157A 1995-01-24 1996-01-06 배관보수용 고무밴드 및 배관보수방법 KR1002121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7027192A JP2729585B2 (ja) 1995-01-24 1995-01-24 配管補修用ゴムバンドおよび配管補修方法
JP95-027192 1995-01-24
JP7252045A JP2838673B2 (ja) 1995-09-06 1995-09-06 配管補修用ゴムバンド
JP95-252045 1995-09-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9692A KR960029692A (ko) 1996-08-17
KR100212167B1 true KR100212167B1 (ko) 1999-08-02

Family

ID=26365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0157A KR100212167B1 (ko) 1995-01-24 1996-01-06 배관보수용 고무밴드 및 배관보수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814387A (ko)
EP (1) EP0724111B1 (ko)
KR (1) KR100212167B1 (ko)
CN (1) CN1058657C (ko)
DE (1) DE69614280T2 (ko)
HK (1) HK1012696A1 (ko)
TW (1) TW324772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9640A (ko) 2017-03-28 2018-10-08 박희수 오배수관용 연결 이음장치
KR102000733B1 (ko) 2018-10-05 2019-07-16 박희수 조임력이 변경되더라도 내부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오배수관용 연결 이음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94864A (en) * 1995-07-26 1999-04-20 Rich; Benjamin P. Repair or maintenance system for leaking pipes or pipe joints
GB9605061D0 (en) * 1996-03-09 1996-05-08 M W Polymer Products Limited In Situ repair of fluid-carrying pipes
GB2343728A (en) * 1998-11-12 2000-05-17 Michael Keith Bailey Repairing polyethylene pipes
US6217688B1 (en) * 1999-01-25 2001-04-17 Phillip G. Landers Method of repairing a flanged pipe joint
US6298882B1 (en) * 1999-04-26 2001-10-09 Spm, Inc. Explosion resistant blanket for flow line
US6405671B1 (en) * 1999-05-05 2002-06-18 Air Logistics Corporation Method of indicating a helix pitch of a repair substrate wrapped about a cylindrical structure
US6247499B1 (en) 1999-08-13 2001-06-19 Ico, Inc. Pipe wrap corrosion protection system
US6276401B1 (en) * 1999-12-20 2001-08-21 Fred D. Wilson High temperature composite pipe wrapping system
US6543487B2 (en) 2001-02-08 2003-04-08 Air Logistics Corporation Method of securing a curing composite substrate wrap to a structure
DE10213814B4 (de) * 2002-03-27 2004-03-25 Otto Graf Gmbh Kunststofferzeugnisse Vorrichtung zum Abdichten eines Rohrstoßes und Wasser-System
EP1447538A3 (de) * 2003-02-13 2004-10-20 Matthias Reiterits Auspuff Reparatursatz
FR2851635B1 (fr) * 2003-02-24 2006-06-30 3X Engineering Manchon a insert pour la reparation d'une canalisation de transport de fluide a haute pression
RU2271495C1 (ru) * 2004-09-27 2006-03-10 Институт химической физики им. Н.Н. Семенова РАН (ИХФ РАН) Способ герметизации соединений трубопроводов с криогенными продуктами
US8141592B2 (en) * 2004-12-03 2012-03-27 Illinois Tool Works Inc. System and method for pipe repair
US7716967B2 (en) * 2005-11-18 2010-05-18 Wew Llc Leak detector sleeve
US7581762B1 (en) * 2006-09-27 2009-09-01 Origin Inc. Elastic hose clamp
US7938146B2 (en) * 2008-02-08 2011-05-10 Western Specialties, Llc Repair apparatus and method for pipe and fittings
US8424571B2 (en) * 2008-02-08 2013-04-23 Carl M. Brooks Repair system and method
JP5406607B2 (ja) * 2009-02-16 2014-02-05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樹脂管の接合方法、および繊維強化樹脂成形品の成形方法
KR101509786B1 (ko) 2009-09-28 2015-04-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센서 포트 삽입형 실리콘 호스 및 그 제조방법
EA201200928A1 (ru) * 2010-01-29 2013-03-29 3М Инновейтив Пропертиз Компани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для ремонта поврежденных труб
AU2012248120B2 (en) * 2011-04-29 2017-02-23 Siddharth BAHRI Ventilation system repair bandage
US9057473B2 (en) * 2011-08-16 2015-06-16 Milliken & Company Pipe restraining repair method and structure for piping structures using composites
CN109057934B (zh) * 2011-09-22 2020-12-01 3M创新有限公司 用于排气系统的热绝缘部件
US10563560B2 (en) 2013-03-27 2020-02-1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Thermally insulated components
MC200157B1 (fr) * 2013-07-30 2014-02-19 3X Eng Plaque de retenue pour bande de renforcement
CN105570606A (zh) * 2014-10-14 2016-05-11 五冶集团上海有限公司 一种生产中燃气管道堵漏方法
WO2017139583A1 (en) 2016-02-11 2017-08-17 S.P.M. Flow Control, Inc. Clapper valve
CN108644528A (zh) * 2018-07-31 2018-10-12 中裕软管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针对流体运输软管微创口修复工艺
CN110107771A (zh) * 2019-04-16 2019-08-09 贵州开磷有限责任公司 一种流体输送管道的堵漏装置及堵漏方法
GB2594239B (en) * 2020-04-01 2024-04-10 M W Polymer Products Ltd Pipe repair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24546A (en) * 1952-05-28 1960-02-09 Cordo Chemical Corp Method of repairing a rigid hollow article
US3770556A (en) * 1970-08-07 1973-11-06 Reychem Corp Wraparound closure sleeve
US4153747A (en) * 1978-04-03 1979-05-08 Sigmaform Corporation Wrap around heat shrinkable closure
US4359502A (en) * 1978-10-23 1982-11-16 Raychem Corporation Method for joining heat-recoverable sheet material and resulting article
JPS5635991A (en) * 1979-08-31 1981-04-08 Kyowa Hakko Kogyo Co Ltd Preparation of l-alanine
JPS5637787A (en) * 1979-09-04 1981-04-11 Sony Corp Waveform shaping circuit for index signal
JPS58101943A (ja) * 1981-12-15 1983-06-17 東邦化学工業株式会社 地下埋設管渠の補修止水工法
JPS61206654A (ja) * 1985-03-11 1986-09-12 Idec Izumi Corp チツプ形物品の両面印刷装置
JPS63176892A (ja) * 1987-01-14 1988-07-21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管壁の補修材
FR2613000B1 (fr) * 1987-03-23 1989-07-28 Legot Jacques Bandage de reparation
SU1681130A1 (ru) * 1988-01-04 1991-09-30 Н.С.Мисюкевич Способ временного перекрыти потока из поврежденной трубы
US5030493A (en) * 1989-06-08 1991-07-09 Neptune Research, Inc. High strength resin-cloth structural system
JPH03255297A (ja) * 1990-03-01 1991-11-14 Sekisui Chem Co Ltd 既設管用補強工法
GB9004986D0 (en) * 1990-03-06 1990-05-02 Moore David A Bandage
US5247967A (en) * 1991-08-29 1993-09-28 Bourque Robert B Pipe repair apparatus
IT1255632B (it) * 1992-05-22 1995-11-09 Snam Spa Nastro per rinforzare corpi cavi adatti a sopportare pressioni e procedimento per la riparazione di tubazioni deteriorate
GB2287079B (en) * 1994-03-04 1997-10-15 Metalyte Limited System for repairing leaks in pipe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9640A (ko) 2017-03-28 2018-10-08 박희수 오배수관용 연결 이음장치
KR102000733B1 (ko) 2018-10-05 2019-07-16 박희수 조임력이 변경되더라도 내부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오배수관용 연결 이음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814387A (en) 1998-09-29
KR960029692A (ko) 1996-08-17
DE69614280T2 (de) 2002-05-08
CN1058657C (zh) 2000-11-22
CN1135407A (zh) 1996-11-13
HK1012696A1 (en) 1999-08-06
EP0724111A1 (en) 1996-07-31
DE69614280D1 (de) 2001-09-13
TW324772B (en) 1998-01-11
EP0724111B1 (en) 2001-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12167B1 (ko) 배관보수용 고무밴드 및 배관보수방법
US5894864A (en) Repair or maintenance system for leaking pipes or pipe joints
US6543487B2 (en) Method of securing a curing composite substrate wrap to a structure
KR20080012796A (ko) 지관 라이닝재 및 지관 라이닝 공법
US6386236B1 (en) Method of prestressing and reinforcing damaged cylindrical structures
KR20060049352A (ko) 지관 라이닝 재 및 지관 라이닝 공법
WO1999023411A1 (en) Fabric reinforced pipe
JP2726449B2 (ja) 分岐管部の補修方法及びその方法に使用するライニング材
JPH01188326A (ja) プリライナー及び管路補修工法
KR100621651B1 (ko) 관로의 비굴착 보수부재
JP2838673B2 (ja) 配管補修用ゴムバンド
US6039359A (en) Protective sleeve and related method for protecting a buried pipe joint
JP2729585B2 (ja) 配管補修用ゴムバンドおよび配管補修方法
JP3662983B2 (ja) 既設管路のフランジ接合部補修工法
WO2008152369A1 (en) Reinforcing system
JPH0311518Y2 (ko)
JP7483191B2 (ja) 止水チューブを用いた管の仮つなぎ方法、管の入替工法、止水チューブ
JPH0886002A (ja) 管路接合部の更生工法及び接合部用更生体
JP4625165B2 (ja) 下水管の取付管接続部の更生工法
JP2001146988A (ja) ガス配管用ネジ継手部のガス漏れ修繕工法
JPH0118953Y2 (ko)
JP4152475B2 (ja) バルブの安全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3790948B2 (ja) 枝管補修用チューブ
JP3476152B2 (ja) 管路の連結部止水工法及び連結部止水構造
JP3928119B2 (ja) 油飛散防止用積層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9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2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8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