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7772B1 - 레터럴링크 브라켓 - Google Patents

레터럴링크 브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7772B1
KR100207772B1 KR1019960053687A KR19960053687A KR100207772B1 KR 100207772 B1 KR100207772 B1 KR 100207772B1 KR 1019960053687 A KR1019960053687 A KR 1019960053687A KR 19960053687 A KR19960053687 A KR 19960053687A KR 100207772 B1 KR100207772 B1 KR 1002077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lateral link
flange
extending
faste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36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5354A (ko
Inventor
김태훈
Original Assignee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류정열
Priority to KR10199600536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7772B1/ko
Publication of KR199800353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53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77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77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02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comprising longitudinally or transversely arranged frame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하좌우에서 받는 큰 힘에 대응하기 위하여 그 형상을 변형시켜 강성을 향상시킨 레터럴링크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서,
타단에 레터럴 링크(4)가 연결되며 우측 리어 프레임(1)의 하부에 체결되는 레터럴링크 제 1 브라켓(30)과, 타단이 NO. 4 크로스 멤버(3)의 하부에 용접되며 그 단부가 상기 레터럴링크 제 1 브라켓(30)에 체결되는 레터럴링크 제 2 브라켓(50)과, 상기 레터럴링크 제 1 브라켓(30)의 상부에 용접되어 폐단면을 형성하는 레터럴링크 제 3 브라켓(40)으로 구성된다.
이것에 의해, 레터럴링크 제 1 브라켓의 수직 플랜지를 길게 연장시키고 레터럴링크 제 3 브라켓을 추가하여 폐단면을 형성시킴으로써 강성이 향상되고, 또한 레터럴링크 제 2 브라켓에 수평 보강 플랜지 및 수직 보강 플랜지를 형성시킴으로써 강성이 향상된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레터럴링크 브라켓
본 발명은 차량의 레터럴링크 브라켓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히는 상하좌우에서 받는 큰 힘에 대응하기 위하여 그 형상을 변형시켜 강성을 향상시킨 레터럴링크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경우를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량의 구조재인 우측 리어 프레임(1)과 좌측 리어 프레임(2)에는 NO. 4 크로스 멤버(3)가 체결되고, 상기 우측 리어 프레임(1)에는 레터럴 링크(4)가 연결되는 레터럴링크 제 1 브라켓(10)이 체결되며, 상기 레터럴링크 제 1 브라켓(10)에는 NO. 4 크로스 멤버(3)에 체결되는 레터럴링크 제 2 브라켓(20)이 체결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레터럴링크 제 1 브라켓(10)은 바디(11)와, 상기 바디(11)의 상부 측면에서 연장된 상부 플랜지(12)와, 상기 바디(11)의 측면에서 연장된 수평 플랜지(13)와, 상기 바디(11)의 하부에서 연장된 하부 플랜지(15)와, 상기 하부 플랜지(15)의 측면 중앙에 형성된 볼트 구멍(14)으로 구성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레터럴링크 제 2 브라켓(20)은 상기 레터럴링크 제 1 브라켓(10)에 연결되는 지지부(21)와, 상기 지지부(21)의 좌측 단부측에 형성된 볼트 구멍(23)과, 상기 지지부(21)의 우측 단부에 체결되는 체결부(22)와, 상기 체결부(22)의 우측 단부에서 상향으로 연장된 플랜지(24)로 구성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레터럴링크 제 2 브라켓(20)의 지지부(21)와 체결부(22)의 하단에는 곡면부(25)가 연장되어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레터럴링크 브라켓의 체결 상태를 살펴보면, 레터럴링크 제 1 브라켓(10)은 센터 플로워(5) 하부에 체결되는 우측 리어 프레임(1)의 하부에 상부 플랜지(12) 및 수평 플랜지(13)가 용접됨으로써 체결되고, 레터럴링크 제 2 브라켓(20)은 볼트 구멍(23)을 레터럴링크 제 1 브라켓(10)의 볼트 구멍(14)에 맞춘 후 볼트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레터럴링크 제 2 브라켓(20)의 플랜지(24)는 NO. 4 크로스 멤버(3)의 하부에 체결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의 종래의 레터럴링크 브라켓은 레터럴링크 제 1 브라켓의 상부 플랜지 및 수평 플랜지의 길이가 짧아서 우측 리어 프레임에 체결시킬 때 강성확보가 어렵고, 또한 레터럴링크 제 2 브라켓의 곡면부(25)의 길이가 짧아서 강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레터럴링크 제 1 브라켓의 상부 플랜지의 길이를 연장시키고 레터럴링크 제 3 브라켓을 추가하여 강성을 보강시킨 레터럴링크 브라켓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레터럴링크 브라켓의 일예로서, 타단에 레터럴 링크가 연결되며 우측 리어 프레임의 하부에 체결되는 레터럴링크 제 1 브라켓과, 타단이 NO. 4 크로스 멤버의 하부에 용접되며 그 단부가 상기 레터럴링크 제 1 브라켓에 체결되는 레터럴링크 제 2 브라켓과, 상기 레터럴링크 제 1 브라켓의 상부에 용접되어 폐단면을 형성하는 레터럴링크 제 3 브라켓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레터럴링크 브라켓은 레터럴링크 제 1 브라켓의 수직 플랜지를 길게 연장시키고 레터럴링크 제 3 브라켓을 추가하여 폐단면을 형성시킴으로써 강성이 향상되고, 또한 레터럴링크 제 2 브라켓에 수평 보강 플랜지 및 수직 보강 플랜지를 형성시킴으로써 강성이 향상된다.
도 1은 종래의 레터럴링크 브라켓의 체결상태를 도시한 차체후방의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제 1 레터럴링크 브라켓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 레터럴링크 브라켓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6은 제 1 레터럴링크 브라켓의 체결상태를 도시한 도 2의 C-C선에 따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레터럴링크 브라켓의 체결상태를 도시한 차체후방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 레터럴링크 브라켓을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 3 레터럴링크 브라켓을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도 7의 D-D선에 따른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제 2 레터럴링크 브라켓을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E-E선에 따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우측 리어 프레임 2 : 좌측 리어 프레임
3 : NO. 4 크로스 멤버 4 : 레터럴링크
10, 30 : 레터럴링크 제 1 브라켓
20, 50 : 레터럴링크 제 2 브라켓
11 : 바디 12 : 상부 플랜지
13 : 수평 플랜지 14, 23, 37 : 볼트 구멍
15, 36 : 하부 플랜지 21, 51 : 지지부
22, 52 : 체결부 24, 44 : 플랜지
25 : 곡면부 31 : 경사부
32 : 수직부 33 : 수직 플랜지
34 : 상부 경사 플랜지 35 : 하부 경사 플랜지
40 : 레터럴링크 제 3 브라켓 41 : 경사부
42 : 수직 플랜지 43 : 바디
55 : 수평 보강 플랜지 56 : 수직 보강 플랜지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 7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차량의 구조재인 우측 리어 프레임(1)과 좌측 리어 프레임(2)에는 NO. 4 크로스 멤버(3)가 체결되고, 상기 우측 리어 프레임(1)에는 레터럴 링크(4)가 연결되는 레터럴링크 제 1 브라켓(30)이 체결되며, 상기 레터럴링크 제 1 브라켓(30)에는 NO. 4 크로스 멤버(3)에 체결되는 레터럴링크 제 2 브라켓(50)이 체결되고, 상기 레터럴링크 제 1 브라켓(30)의 상부에는 레터럴링크 제 3 브라켓(40)이 용접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레터럴링크 제 1 브라켓(30)은 경사부(31)와, 상기 경사부(31)의 상단에서 연장된 수직부(32)와, 상기 수직부(32)의 상단 및 측면에서 연장된 수직 플랜지(33)와, 상기 경사부(31)의 상부 측면에서 연장된 상부 경사 플랜지(34)와, 상기 상부 경사 플랜지(34)의 하단에서 연장된 하부 경사 플랜지(35)와, 상기 경사부(31)의 하단에서 수직으로 연장된 하부 플랜지(36)와, 상기 하부 플랜지(36)의 측면 중앙에 형성된 볼트 구멍(37)으로 구성된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레터럴링크 제 3 브라켓(40)은 바디(43)와, 상기 바디(43)의 상단에서 경사지게 연장된 경사부(41)와, 상기 경사부(41)의 상단 및 측면에서 연장된 수직 플랜지(42)와, 상기 바디(43)의 측면에서 연장된 플랜지(44)로 구성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레터럴링크 제 3 브라켓(40)의 플랜지(44)와 레터럴링크 제 1 브라켓(30)의 하부 경사 플랜지(35)가 서로 용접됨으로써 바디(43)와 경사부(31)가 폐단면을 형성한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레터럴링크 제 2 브라켓(50)은 상기 레터럴링크 제 1 브라켓(50)에 연결되는 지지부(51)와, 상기 지지부(51)의 좌측 단부측에 형성된 볼트 구멍(53)과, 상기 지지부(51)의 우측 단부에 체결되는 체결부(52)와, 상기 체결부(52)의 우측 단부에서 상향으로 연장된 플랜지(54)와, 상기 지지부(51) 및 체결부(52)의 하단에서 수평으로 연장된 수평 보강 플랜지(55)와, 상기 수평 보강 플랜지(55)의 단부에서 수직으로 연장된 수직 보강 플랜지(56)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레터럴링크 브라켓은 레터럴링크 제 1 브라켓(30)이 센터 플로워(5) 하부에 체결되는 우측 리어 프레임(1)의 하부에 수직 플랜지(33) 및 상부 경사 플랜지(34)가 용접됨으로써 체결되고, 상기 레터럴링크 제 1 브라켓(30)의 하부 경사 플랜지(35)에는 레터럴링크 제 3 브라켓(40)의 플랜지(44)가 용접된다. 레터럴링크 제 2 브라켓(50)은 볼트 구멍(53)을 레터럴링크 제 1 브라켓(30)의 볼트 구멍(37)에 맞춘 후 볼트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레터럴링크 제 2 브라켓(50)의 플랜지(54)는 NO. 4 크로스 멤버(3)의 하부에 체결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레터럴링크 브라켓은 레터럴링크 제 1 브라켓의 수직 플랜지를 길게 연장시키고 레터럴링크 제 3 브라켓을 추가하여 폐단면을 형성시킴으로써 강성이 향상되고, 또한 레터럴링크 제 2 브라켓에 수평 보강 플랜지 및 수직 보강 플랜지를 형성시킴으로써 강성이 향상된다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레터럴링크 브라켓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4)

  1. 타단에 레터럴 링크(4)가 연결되며 우측 리어 프레임(1)의 하부에 체결되는 레터럴링크 제 1 브라켓(30)과, 타단이 NO. 4 크로스 멤버(3)의 하부에 용접되며 그 단부가 상기 레터럴링크 제 1 브라켓(30)에 체결되는 레터럴링크 제 2 브라켓(50)과, 상기 레터럴링크 제 1 브라켓(30)의 상부에 용접되는 레터럴링크 제 3 브라켓(4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터럴링크 브라켓.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터럴링크 제 1 브라켓(30)은 경사부(31)와, 상기 경사부(31)의 상단에서 연장된 수직부(32)와, 상기 수직부(32)의 상단 및 측면에서 연장된 수직 플랜지(33)와, 상기 경사부(31)의 상부 측면에서 연장된 상부 경사 플랜지(34)와, 상기 상부 경사 플랜지(34)의 하단에서 연장된 하부 경사 플랜지(35)와, 상기 경사부(31)의 하단에서 수직으로 연장된 하부 플랜지(36)와, 상기 하부 플랜지(36)의 측면 중앙에 형성된 볼트 구멍(37)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터럴링크 브라켓.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터럴링크 제 3 브라켓(40)은 바디(43)와, 상기 바디(43)의 상단에서 경사지게 연장된 경사부(41)와, 상기 경사부(41)의 상단 및 측면에서 연장된 수직 플랜지(42)와, 상기 바디(43)의 측면에서 연장된 플랜지(4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터럴링크 브라켓.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터럴링크 제 2 브라켓(50)은 상기 레터럴링크 제 1 브라켓(50)에 연결되는 지지부(51)와, 상기 지지부(51)의 좌측 단부측에 형성된 볼트 구멍(53)과, 상기 지지부(51)의 우측 단부에 체결되는 체결부(52)와, 상기 체결부(52)의 우측 단부에서 상향으로 연장된 플랜지(54)와, 상기 지지부(51) 및 체결부(52)의 하단에서 수평으로 연장된 수평 보강 플랜지(55)와, 상기 수평 보강 플랜지(55)의 단부에서 수직으로 연장된 수직 보강 플랜지(56)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터럴링크 브라켓.
KR1019960053687A 1996-11-13 1996-11-13 레터럴링크 브라켓 KR1002077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3687A KR100207772B1 (ko) 1996-11-13 1996-11-13 레터럴링크 브라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3687A KR100207772B1 (ko) 1996-11-13 1996-11-13 레터럴링크 브라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5354A KR19980035354A (ko) 1998-08-05
KR100207772B1 true KR100207772B1 (ko) 1999-07-15

Family

ID=19481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3687A KR100207772B1 (ko) 1996-11-13 1996-11-13 레터럴링크 브라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0777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8926A (ko) 2017-12-27 2019-07-05 임태준 물고기 감지 센서를 구비한 낚시찌를 포함하는 낚시 용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0936B1 (ko) * 2000-12-18 2003-04-26 기아자동차주식회사 래터럴로드 브래킷의 설치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8926A (ko) 2017-12-27 2019-07-05 임태준 물고기 감지 센서를 구비한 낚시찌를 포함하는 낚시 용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5354A (ko) 1998-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11291937A (ja) 梁装置
KR100207772B1 (ko) 레터럴링크 브라켓
JP2000177629A (ja) Aピラー補強構造
US6000719A (en) Body bracket and welding technique
KR100414258B1 (ko) 궤도차트럭에서사용되는십자형지주지지브라켓과일체인측면프레임
KR19980045791U (ko) 트레일 링크 보강구조
KR19980045792U (ko) 트레일 링크 보강구조
JPH0423742Y2 (ko)
JP3975424B2 (ja) 自動車のフレーム構造
KR100308989B1 (ko) 자동차용 루프 레일 보강구조
CN112793667B (zh) 后纵向拉杆固定支架和车辆
JPH07285462A (ja) 自動車の前部車体構造
KR100395126B1 (ko) 센터 필러 로워부 박스 지지 구조
KR19980021500U (ko) 리어 플로어 보강 구조
KR0124920Y1 (ko) 자동차의 쉽핑 구조물
KR100342608B1 (ko) 보강부재를 가지는 자동차 프레임
KR19980045788U (ko) 루프 패널의 보강부재
KR200148242Y1 (ko) 차량의 토크 박스 체결구조
KR200151080Y1 (ko) 임팩트 바아 보강장치
KR19980026885U (ko) 사이드 실 보강재의 보강구조물
JPS6382881A (ja) 自動車の前部車体構造
KR19980037514A (ko) 자동차의 서브 프레임 연결용 브래키트
KR19980029383U (ko) 프론트 프레임
JPS6329670B2 (ko)
KR970041760A (ko) 차체 하부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40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