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5791U - 트레일 링크 보강구조 - Google Patents

트레일 링크 보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5791U
KR19980045791U KR2019960058933U KR19960058933U KR19980045791U KR 19980045791 U KR19980045791 U KR 19980045791U KR 2019960058933 U KR2019960058933 U KR 2019960058933U KR 19960058933 U KR19960058933 U KR 19960058933U KR 19980045791 U KR19980045791 U KR 1998004579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il link
trail
reinforcement
bracket
rear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589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재광
Original Assignee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20199600589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45791U/ko
Publication of KR1998004579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5791U/ko

Links

Landscapes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의 진동으로 인해 트레일 링크 브라켓 및 트레일 링크에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트레일 링크 보강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리어 사이드 프레임(13)의 하부에 용접되는 보강재(40)와, 상기 보강재(40)의 외측에 체결되는 트레일 링크 브라켓(30)과, 상기 보강재(40)의 내부에 삽입되어 볼트(51) 및 용접너트(52)에 의해 고정되는 트레일 링크(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에 의해, 트레일 링크 브라켓의 내부에 보강재가 신설되어 리어 사이드 프레임의 하부에 삼중용접되므로써, 차량의 진동으로 인해 트레일 링크의 체결부 및 트레일 링크 브라켓에 발생하는 크랙을 방지하고, 아울러 리어 사이드 프레임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트레일 링크 보강구조
본 고안은 차량의 트레일 링크 보강구조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히는 차량의 진동으로 인해 트레일 링크 브라켓 및 트레일 링크에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트레일 링크 보강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경우를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트레일 링크(3)는 토션 액슬(1)에 용접되며, 상기 트레일 링크(3)의 후방부에 형성된 브라켓(5)에는 쇽업소버(9)가 체결된다.
상기 트레일 링크(3)의 체결부(7)에는 부시(11)가 삽입되며, 상기 체결부(7)는 리어 사이드 프레임(13)의 하부에 용접되는 트레일 링크 브라켓(30)의 내부에 삽입되어 볼트(51)로써 고정된다.
상기 트레일 링크 브라켓(30)은 리어 사이드 프레임(13)의 하부에 체결되는 제 1 수평부(21)와, 상기 제 1 수평부(21)의 우측 단부에서 수직으로 연장된 제 1 수직부(22)와, 상기 제 1 수직부(22)의 하단에서 수평으로 연장된 제 2 수평부(23)와, 상기 제 2 수평부(23)의 우측 단부에서 수직으로 연장된 제 2 수직부(24)와, 상기 제 2 수직부(24)의 상단에서 상향으로 경사진 경사부(25)로 구성된다.
상기 제 1 수직부(22)와 제 2 수직부(24)의 중앙에는 체결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 1 수직부(22)의 체결홀측에는 용접너트(27)가 용접된다.
상기와 같이 트레일 링크는 리어 사이드 프레임의 하부에 용접된 트레일 링크 브라켓에 의해 고정되는데, 차량의 진동시 상기 트레일 링크의 체결부 및 트레일 링크 브라켓에 크랙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제기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트레일 링크 브라켓의 형상을 변형시키고, 상기 트레일 링크 브라켓 내부에 보강재를 설치한 트레일 링크 보강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트레일 링크 보강구조의 일예로서, 리어 사이드 프레임의 하부에 용접되는 보강재와, 상기 보강재의 외측에 체결되는 트레일 링크 브라켓과, 상기 보강재의 내부에 삽입되어 볼트 및 용접너트에 의해 고정되는 트레일 링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고안에 따른 트레일 링크 보강구조는 트레일 링크 브라켓의 내부에 보강재가 신설되어 리어 사이드 프레임의 하부에 삼중용접되므로써, 차량의 진동으로 인해 트레일 링크의 체결부 및 트레일 링크 브라켓에 발생하는 크랙을 방지하고, 아울러 리어 사이드 프레임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트레일 링크의 체결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트레일 링크의 체결상태를 도시한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트레일 링크 보강구조를 도시한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도 3의 B-B선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트레일 링크 브라켓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보강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토션 액슬3 : 트레일 링크
5 : 브라켓7 : 체결부
9 : 쇽업소버11 : 부시
15 : 볼트20, 30 : 트레일 링크 브라켓
21 : 제 1 수평부22 : 제 1 수직부
23 : 제 2 수평부24 : 제 2 수직부
25 : 경사부40 : 보강재
31, 41 : 굴곡부32 : 수평 절곡부
33, 43 : 제 1 측벽부34, 44 : 제 2 측벽부
35, 42 : 수평부36 : 경사 절곡부
37, 46 : 경사부38 : 체결홀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리어 사이드 프레임(13)의 하부에는 보강재(40)가 용접되며, 상기 보강재(40)의 외측에는 트레일 링크 브라켓(30)이 체결된다.
트레일 링크(3)는 부시(11)가 삽입된 체결부(7)가 상기 보강재(40)의 내부에 볼트(51) 및 용접너트(52)에 의해 장착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트레일 링크 브라켓(30)은 굴곡부(31)와, 상기 굴곡부(31)의 양사이드에서 수직으로 연장된 제 1 측벽부(33) 및 제 2 측벽부(34)와, 상기 제 1 측벽부(33)의 상단과 굴곡부(31)의 단부에서 연장된 수평절곡부(32)와, 상기 수평절곡부(32)의 좌측 단부에서 수평으로 연장된 수평부(35)와, 상기 제 2 측벽부(34)의 상단에서 연장된 경사 절곡부(36)와, 상기 경사 절곡부(36)의 우측 단부에서 상향으로 경사진 경사부(37)로 구성된다.
상기 제 1 측벽부(33)와 제 2 측벽부(34)의 중앙부에는 체결홀(38)이 형성되며, 상기 제 1 측벽부(33)의 체결홀측에는 용접너트(52)가 용접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보강재(40)는 굴곡부(41)와, 상기 굴곡부(41)의 양사이드에서 수직으로 연장된 제 1 측벽부(43) 및 제 2 측벽부(44)와, 상기 제 1 측벽부(43)의 상단과 굴곡부(41)의 단부에서 수평으로 연장된 수평부(42)와, 상기 제 2 측벽부(44)의 상단에서 상향으로 경사진 경사부(46)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고안의 트레일 링크 보강구조는 트레일 링크 브라켓(30)의 수평부(35) 및 경사부(37)가 리어 사이드 프레임(13)의 하부에 용접되며, 또한 보강재(40)의 수평부(42)와, 리어 사이드 프레임(13) 및 트레일 링크 브라켓(30)의 수평 절곡부(32)가 삼중 용접되고, 상기 보강재(40)의 경사부(46)와, 리어 사이드 프레임(13) 및 트레일 링크 브라켓(30)의 경사 절곡부(36)가 삼중 용접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트레일 링크 보강구조는 트레일 링크 브라켓의 내부에 보강재가 신설되어 리어 사이드 프레임의 하부에 삼중용접되므로써, 차량의 진동으로 인해 트레일 링크의 체결부 및 트레일 링크 브라켓에 발생하는 크랙을 방지하고, 아울러 리어 사이드 프레임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고안에 따른 트레일 링크 보강구조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3)

  1. 리어 사이드 프레임(13)의 하부에 용접되는 보강재(40)와, 상기 보강재(40)의 외측에 체결되는 트레일 링크 브라켓(30)과, 상기 보강재(40)의 내부에 삽입되어 볼트(51) 및 용접너트(52)에 의해 고정되는 트레일 링크(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일 링크 보강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일 링크 브라켓(30)은 굴곡부(31)와, 상기 굴곡부(31)의 양사이드에서 수직으로 연장된 제 1 측벽부(33) 및 제 2 측벽부(34)와, 상기 제 1 측벽부(33)의 상단과 굴곡부(31)의 단부에서 연장된 수평절곡부(32)와, 상기 수평절곡부(32)의 좌측 단부에서 수평으로 연장된 수평부(35)와, 상기 제 2 측벽부(34)의 상단에서 연장된 경사 절곡부(36)와, 상기 경사 절곡부(36)의 우측 단부에서 상향으로 경사진 경사부(37)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일 링크 보강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40)는 굴곡부(41)와, 상기 굴곡부(41)의 양사이드에서 수직으로 연장된 제 1 측벽부(43) 및 제 2 측벽부(44)와, 상기 제 1 측벽부(43)의 상단과 굴곡부(41)의 단부에서 수평으로 연장된 수평부(42)와, 상기 제 2 측벽부(44)의 상단에서 상향으로 경사진 경사부(46)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일 링크 보강구조.
KR2019960058933U 1996-12-27 1996-12-27 트레일 링크 보강구조 KR1998004579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8933U KR19980045791U (ko) 1996-12-27 1996-12-27 트레일 링크 보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8933U KR19980045791U (ko) 1996-12-27 1996-12-27 트레일 링크 보강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5791U true KR19980045791U (ko) 1998-09-25

Family

ID=53997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58933U KR19980045791U (ko) 1996-12-27 1996-12-27 트레일 링크 보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45791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31958A (en) Front structure of a motor vehicle
JPH0518231Y2 (ko)
US5127666A (en) Vehicle rear suspension mounting structure
JPH0492770A (ja) 車体のフロントサブフレーム取付構造
KR19980045791U (ko) 트레일 링크 보강구조
KR19980045792U (ko) 트레일 링크 보강구조
KR100207772B1 (ko) 레터럴링크 브라켓
JP3019572B2 (ja) バッテリ支持構造
KR0124920Y1 (ko) 자동차의 쉽핑 구조물
KR200149528Y1 (ko) 리어 수평 필라와 수직 필라를 고정하는 필라 서포트 패치구조
KR100395126B1 (ko) 센터 필러 로워부 박스 지지 구조
KR200146286Y1 (ko) 트럭의 펜더취부구조
KR100539434B1 (ko) 부분 정비성을 갖는 차량용 서브프레임
KR0117830Y1 (ko) 버스의 후레임 보강구조
JPH07285462A (ja) 自動車の前部車体構造
JPH0616153A (ja) 自動車のセンタピラーの補強構造
KR100310010B1 (ko) 자동차의 실사이드 보강구조
JPS6329654Y2 (ko)
KR0124909Y1 (ko) 자동차 엔진 설치 브래킷 고정구조
KR100350799B1 (ko) 서브 프레임 마운팅 리어부 강성증대 구조
KR960008745Y1 (ko) 자동차용 잎차체구조
KR19990058548A (ko) 바디 전면부의 브리지 패널과 펜더 쉴드 결합 구조
KR19980049680A (ko) 자동차의 엔진 마운팅 브라켓
KR100461397B1 (ko) 엔진 마운팅 브라켓
KR200150868Y1 (ko) 자동차용 델타 새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