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3978B1 - 클러치레스압축기에 있어서의 윤활방법 및 윤활제어장치 - Google Patents

클러치레스압축기에 있어서의 윤활방법 및 윤활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3978B1
KR100203978B1 KR1019960704760A KR19960704760A KR100203978B1 KR 100203978 B1 KR100203978 B1 KR 100203978B1 KR 1019960704760 A KR1019960704760 A KR 1019960704760A KR 19960704760 A KR19960704760 A KR 19960704760A KR 100203978 B1 KR100203978 B1 KR 1002039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ant circulation
compressor
coolant
lubrication
control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7047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와구치 마사히로
소노베 마사노리
수이토 켄
미치유키 타카시
오카다 마사히코
요코노 토모히코
Original Assignee
이소가이 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지도숏키 세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07082741A external-priority patent/JP3094836B2/ja
Application filed by 이소가이 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지도숏키 세사쿠쇼 filed Critical 이소가이 지세이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39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3978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4Control
    • F04B27/16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8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by varying the relative positions of a swash plate and a cylinder block
    • F04B27/1804Controlled by crankcase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having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036Component parts, details, e.g. sealings, lubrication
    • F04B27/109Lubr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ressors, Vaccum Pumps And Other Relevant Systems (AREA)
  • Control Of Positive-Displacement Pumps (AREA)
  • Hydraulic Clutches, Magnetic Clutches, Fluid Clutches, And Fluid Joints (AREA)

Abstract

전자밸브(32)는 압력통로(31)를 개폐한다. 압력통로(31)가 개방될 때, 회전축(9)상에 장착된 회전경사판(swash plate)(15)이 최소경사로 경사진다. 회전경사판(15)이 최소경사로 경사지므로, 회전경사판(15)은 흡입통로 개방스프링(24)의 스프링힘을 받아 트랜스미팅실린더(transmitting cylinder)(28)와 셔터(21)를 민다. 회전경사판의 경사가 최소경사에 대응하고 흡입통로(26)를 흡입챔버(3a)로부터 분리할 때, 셔터(21)는 위치결정면(27)에 맞닿는다. 분리는 외부냉각제순환로(35)에서의 냉각제순환을 저지한다. 구동전원(14)이 작동하기 시작하는 소정 기간동안 냉각제순환제어회로(42)는 전자밸브(32)를 여기시켜서 압력통로(31)를 개방한다.

Description

클러치레스압축기에 있어서의 윤활방법 및 윤활제어장치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3-37378호에 개시(開示)된 가변경사가능 회전경사판(variable displacement tiltable swash plate)형 압축기는 외부구동원을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압축기의 회전축으로 접속 및 분리하는 전자클러치를 사용하고 있지 않다. 전자클러치의 생략은 특히 차량에서 클러치를 여기 또는 탈여기할 때, 일어나는 충격의 불편을 제거한다. 또한 그것은 전체 압축기의 중량의 저감 및 코스트의 감소를 가져온다.
이와 같은 클러치레스 압축기에 있어서, 냉각이 필요하지 않고 외부냉각제 순환로에 설치된 증발기에 형성되는 서리가 있는 경우에는 변위량에 관련된 문제가 있다. 냉각제의 순환은, 냉각이 불필요하게 되거나 또는 서리가 형성될 가능성이 있을 때에는 저지되어야 한다. 일본국 특허공개 3-37378호에 개시된 클러치레스 압축기는, 외부 냉각제순환로에서의 냉각제가스의 흡입챔버로의 흐름을 정지함으로써 외부 냉각제 순환로에서의 냉각제의 순환을 저지한다. 외부 냉각제순환로로부터 흡입챔버로의 냉각제가스의 흐름은, 냉각제순환저지 수단으로서 작용하는 전자밸브를 여기 또는 탈여기함으로써 조절된다.
외부 냉각제 순환로에서의 냉각가스의 압축기의 흡입챔버로의 흐름을 정지함으로써, 흡입챔버내의 압력의 감소를 일으키고 흡입챔버내의 압력에 반발하는 변위제어밸브를 완전히 개방한다. 개방된 밸브는 배출챔버에서의 배출냉각가스가 크랭크챔버로 흐르도록 하고, 내부의 압력을 증가시킨다. 또한, 흡입챔버내의 압력감소는 실린더보어내의 흡입압력의 차는 커지게 된다. 이것은 회전경사판을 최소 경사각으로 경사지게 하여 배출량을 최소로 한다. 배출량이 최소화됨으로써 압축기의 토크가 최소로 되고 냉각이 필요하지 않은 때 동력손실을 방지한다.
그러나, 클러치레스 압축기는 그것이 장착되는 차량의 엔진에 항상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엔진이 작동될 때에 클러치레스 압축기는 회전한다.
그러므로, 압축기 내측에 윤활유를 분포시킬 필요성이 클러치가 배치된 압축기에 비해 클러치레스 압축기는 더 높다.
일본국 특허공개 3-37378호에 개시된 압축기에 있어서, 압축기내의 냉각제가스는 실리더챔버(실린더보어)에 의해 한정된 경로(path), 배출챔버, 클랭크챔버, 및 흡입챔버를 통해 순환한다. 순환하는 냉각제가스에 포함된 윤활유는 압축기의 내측을 윤활한다. 윤활을 확실히 하기 위해, 크랭크챔버와 흡입챔버 사이에 배치된 통로의 단면통과면적은 소정범위내에서 설정된다. 그러나, 윤활유가 외부 냉각제 순환로로부터 압축기로 흐르지 않을 때 요구되는 윤활유의 양이 압축기 내측에 제공된다는 보장이 없다. 이로써, 요구되는 윤활유의 양이 압축기 내측에 제공된다는 확실성이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클러치레스 압축기의 내측의 윤활을 보장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외부냉각제 순환로내의 냉각제의 순환을 실질적으로 저지하는 냉각제순환저지수단이 설치되고, 냉각제순환수단으로부터 전송된 냉각제순화저지신호에 응답하여 냉각제순환저지수단을 작동시키는 클러치레스압축기에 있어서의 윤활방법 및 윤활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압축기 전체를 나타낸 측면단면도.
제2도는 도 1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
제3도는 도 1의 B-B 선에 따른 단면도.
제4도는 회전경사판이 최소경사에 있는 압축기 전체를 나타낸 측면단면도.
제5도는 최대경사의 회전경사판을 나타낸 부분확대단면도.
제6도는 최소경사의 회전경사판을 나타낸 부분 확대단면도.
제7도는 냉각제순환제어회로의 회로도.
제8도는 냉각제순환제어를 설명하는 그래프.
제9도는 제2실시예의 부분단면도.
제10도는 냉각제순환제어회로의 회로도.
제11도는 냉각제순환제어를 설명하는 그래프.
제12도는 제3실시예에 의한 냉각제순환제어 회로의 회로도.
제13도는 냉각제순환제어를 설명하는 그래프.
제14도는 제4실시예에 의한 냉각제순환제어회로의 회로도.
제15도는 냉각제순환제어를 설명하는 그래프.
제16도는 제5실시예에 의한 냉각제순환제어회로의 회로도.
제17도는 제6실시예에 의한 냉각제순환저에회로의 회로도.
제18도는 프로그램제어의 실시예를 나타낸 부분단면도.
제19도는 냉각제순환제어프로그램을 설명하는 플로차트.
제20도는 냉각순환제어프로그램을 설명하는 플로차트.
제21도는 냉각제순환제어프로그램을 설명하는 플로차트.
제22도는 냉각제어프로그램을 설명하는 플로차트.
제23a도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부분단면, 제23b도는 회로도.
제24도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부분단면도.
제25도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부분단면도.
제26도는 도 24 및 도 25에 대응하는 회로도.
제27도는 냉각제순환제어를 나타낸 그래프.
제28도는 다른 실시예에 의한 압축기를 전체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
제29도는 다른 실시예에 의한 로터리 압축기를 나타낸 단면도.
제30도는 냉각제순환이 저지된 상태에 있는 압축기를 나타낸 단면도.
제31도는 다른 실시예에 의한 압축기를 전체적으로 나타낸 단면측면도.
제32도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부분단면도.
제33도는 냉각제순환제어프로그램을 설명하는 플로차트.
제34도는 다른 실시예에 의한 압축기를 전체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제35도는 최대경사에서의 회전경사판을 나타낸 부분측면단면도.
제36도는 정지경사에서의 회전경사판을 나타낸 부분측면단면도.
제37도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부분단면도.
따라서, 본 발명은 외부냉각제순환로에서의 냉각제의 순환을 실질적으로 저지하는 냉각제순화저지수단이 설치되고, 냉각제순환제어수단으로부터 전송된 냉각제순화저지신호에 응답하여 냉각제순환저지수단을 작동시키는 클러치레스 압축기에 대한 것이다.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 냉각제순환제어수단으로부터의 냉각제순화저지명령신호의 출력은, 클레치레스 압축기에 구동전력을 공급하는 구동원의 작동시부터 개시되는 소정 기간동안 정지된다.
청구항 2의 발명에 있어서, 클러치레스 압축기에 구동전력을 공급하는 구동원이 작동상태에 있을 때에는 냉각제순환제어수단으로부터의 냉각제순환저지명령신호의 출력은 주기적으로 정지된다.
청구항 3의 발명에 있어서, 클러치레스 압축기에 구동전력을 공급하는 구동원의 작동시부터 개시되는 소정 기간동안 냉각제순환제어수단으로부터의 냉각제순환저지명령신호의 출력을 정지시키고, 구동원이 작동상태에 있을 때에는 냉각제순환제어수단으로부터의 냉각제순환저지명의 신호의 출력을 주기적으로 정지시킨다.
청구항 4의 발명에 있어서, 냉각제순환저지명령신호의 출력의 주기적인 정지를 개시하는 시점은 구동원이 작동될 때에 대응한다.
청구항 9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냉각제순환저지수단의 전기구동회로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포지티브(positive)온도계수서미스터로 구성되고, 전기구동회로와 포지티브온도계수서미스터는 구동전력을 클러치레스 압축기에 공급하는 구동원의 구동전원에 대해 직렬로 접속되고, 상기 포지티브온도계수서미스터는 전기레지스터에 열접속된다.
청구항 10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지레지스터는 전기구동회로는 대용한다.
청구항 11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냉각제제어수단은 상기 냉각제순환저지수단의 전기구동회로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열검출스위치로 구성되고, 전기구동회로와 열검출스위치는 구동전력을 클러치레스 압축기에 공급하는 구동원의 구동전원에 대해 직렬로 접속되고,, 전기구동회로와 레지스터는 열검출스위치에 대해 병렬로 접속된다.
청구항 12의 발명에 있어서, 클러치레스 압축기는, 직선왕복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한 단일헤드 피스톤을 수용하기 위한 실린더보어를 구비하는 하우징내의 회전축에 고정된 회전지지체와, 경사가능한 방법으로 회전지지체에 의해 지지된 회전경사판을 가지고, 회전경사판의 경사는, 크랭크챔버내의 압력과 흡입압력의 차이에 따라 크랭크챔버에 공급된 배출압력영역내의 압력과 크랭크챔버내의 압력을 조정하기 위해 흡입압력영역으로 방출되는 크랭크챔버내의 압력사이에 있는 피스톤으로 제어되고, 윤활제어장치는 회전경사판의 최소 경사를 제한하여 0이 아닌 배출량을 생성하는 최소경사제한 수단과, 최소변위상태 동안에는 외부 냉각제순환로에서의 냉각순환을 저지하는 냉각제순환저지수단과, 냉각제순환저지명령신호를 전달하는 냉각제순환제어수단과, 크랭크챔버를 배출압력영역에 접속하는 압력통로와, 압력통로에 배치되어 냉각제순환제어수단으로부터의 냉각제순화저지명령신호의 출력에 응답하여 압력통로를 개방하는 강제회전경사판 경사감소수단이 설치된다.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 냉각제순환제어수단은 클러치레스 압축기의 구동원의 작동시부터 개시되는 소정 기간동안 냉각제순환저지명령신호의 전송을 정지시킨다. 신호의 출력을 정지시킴으로써, 냉각제순환저지수단은 소정기간중 냉각제순환을 허용하고, 냉각제가스가 외부냉각제순환로로부터 압축기로 흐르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냉각제가스에 포함된 윤활유는 외부냉각제회로로부터 압축기로 흐른다.
청구항 2의 발명에 있어서, 냉각제순환제어수단은 클러치레스 압축기의 구동원이 작동상태에 있을 때에는 냉각순환저지명령신호의 출력의 간헐적인 정지를 행한다. 따라서, 냉각제가스의 포함된 윤활유는 외부냉각제순환로부터 압축기로 간헐적으로 흐른다.
청구항 3의 발명에 있어서, 냉각제순환제어수단은 클러치레스 압축기의 구동원의 작동시부터 개시되는 소정 기간동안 냉각제순환저지명령신호의 전송을 정지하고, 구동원이 작동상태에 있을 때에는 냉각제저지명령신호의 출력의 간헐적인 정지를 주기적으로 행한다.
청구항 4의 발명에 있어서, 냉각제순환저지명령신호의 출력의 주기적 간헐적인 정지는, 구동원이 작동될 때에 대응한다.
주기 및 주기적 사이클으 시간 또는 회전치에 대응한다. 냉각제순환제어수단은, 구동원 또는압축기 중 어느 하나의 단위시간 당 회전수의 측정시간 또는 측정데이타에 따라 냉각제순환저지신호를 전송시키거나 또는 정지시킨다.
청구항 9의 발명에 있어서, 구동원에의 구동전원의 공급은 냉각제저지 냉각제순환제어수단의 전기구동회로에 전력이 공급되도록 하여 냉각제순환을 가능하게 한다. 포지티브온도계수서미스터는 전력의 공급에 의해 일어나는 전기레지스터의 온도증가 및 전기저항의 증가를 검출한다. 온도가 소정치를 초과하면, 전기저항은 급격하게 증가한다. 이것은 구동전력의 작동시부터 개시되는 소정 기간동안 전력의 공급을 정지시킴으로써 냉각제순환을 저지한다.
소정 기간은 전기레스터의 온도증가특성 및 포지티브온도계수서미스터의 전기저항특성으로부터 결정된다.
청구항 10의 발명에 있어서, 전기레지스터는 전기 구동회로에 대응한다.
포지티브온도계수서미스터는 전기 구동회로에 열접속되고, 전기구동원의 온도증가에 응답한다.
청구항 11의 발명에 있어서, 구동원에의 구동전원에의 구동전원의 공급은 전력을 냉각제저지냉각제순환제어수단의 전기구동회로에 공급되도록 하여 냉각제순환을 허용한다. 전기레지스터의 온도가 소정치를 초과하면, 열검출스위치는 오프로 된다. 전기레지스터의 온도가 소정치와 같거나 또는 낮으면 열검출 스위치는 온으로 된다. 즉, 열검출 스위치의 반복적인 ON-OFF 동작은 전력이 전기구동회로에 주기적으로 공급되도록 한다. 따라서 간헐적이 냉각제순환이 반복된다.
청구항 12의 발명에 있어서, 강제회전경사판경사감소수단은 냉각제순환제어수단으로부터의 냉각제순환저지명령신호의 출력에 응답하여 압력통로를 개방한다. 강제회전경사판경사감소수단은 전자밸브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압력통로가 개방되면, 크랭크챔버내의 압력이 증가하여 회전경사판의 최소경사로 경사진다. 회전경사판이 최소경사로 경사지면, 냉각제순환이 저지된다.
냉각제순환제어수단은, 압축기의 구동원의 작동시부터 개시되는 소정 기간동안 또는 구동원이 작동상태에 있으면 냉각제순환저지명령신호의 전송을 정지한다. 강제회전 경사판경사강제감소수단은, 냉각제순환저지신호의 출력이 정지되고 회전경사판이 최소경사로부터 최대경사로 경사지면 압력통로를 폐쇄한다. 이러한 경사는 냉각제순환을 개시하고, 냉각제가스중에 포함된 윤활유가 압축기로 흐르도록 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도 1∼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부(前部)하우징(2)은 실린더블럭(1)의 전단부(前端部)에 고정되고, 전체 압축기에 대한 하우징의 부분으로서 기능한다.
후부(後部)하우징(3)은 밸브플레이트(4), 밸브형성플레이트(valve forming plate)(5A, 5B)와, 이 사이에 배치된 리테이너형성플레이트(6)와 함께 블록(2)의 후단부(後端部)에 고정된다. 회전축(9)은 전부하우징(2) 사이에서 연장하도록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하우징의 부분으로서 기능하고 내부에 한정된 크랭크챔버(2a)와, 실린더블록(1)을 가진다. 회전축(9)의 전단부는 크랭크챔버(2a)로부터 외향(outward)으로 돌출한다. 구동풀리(10)는 돌기에 고정된다.
구동풀리(10)는 벨트(11)에 의해 차량엔진에 동작가능하게 접속된다. 구동풀리(10)는 전부하우징(2)상에 앵귤러(angular)접촉베어링(7)에 의해 지지된다.
립 시일(lip seal)은 회전축(9)의 전단부와 전부 하우징(2) 사이에 배치된다. 립시일(12)은 크랭크챔버(2a)로부터의 압력누출을 방지한다.
회전지지체(8)는 회전축(9)에 고정된다. 회전경사판(15)은 회전축(9)의 축방향에 대해 슬라이드가능하게 또한 경사가능하게 지지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편(16, 17)은 회전경사판(15)에 고정된다. 1쌍의 안내핀(18, 19)은 개별적으로 연결편(16, 17)에 각각 고정된다. 안내구(18a, 19a)는 개별적으로 안내핀(18, 19)의 다른 단부상에 형성된다 지지암(8a)은 회전지지체(8)로부터 돌출한다. 1쌍의 안내구멍(8b, 8c)은 지지암(8a)에 형성된다. 안내구(18a, 19a)는 개별적으로 안내구멍(8b, 8c)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고정된다. 지지암(8a)과 쌍을 이루는 안내핀(18, 19) 사이의 연결은 회전경사판(15)을 회전축(9)의 축방향에 대하여 경가가능하게 하고 회전경사판(15)과 회전축(9)의 일체 회전을 가능하게 한다. 회전경사판(15)의 경사는 지지암(8a)과 안내핀(18, 19) 사이의 슬라이드안내(slide-guide)관계 및 회전축(9)의 슬라이드지지작용에 의해 안내된다.
도 1,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구멍(13)은 실린더블록(1)의 중앙에 회전축(9)의 축방향에 따라 형성된다 튜브형 셔터(21)는 고정구멍(13)에 슬라이드가능하게 수용된다. 흡입통로개방스프링(24)은 셔터(21)와 고정구멍(13)의 내면 사이에 배치된다. 개방스프링(24)은 회전경사판(21)을 향해셔터(21)를 민다.
회전축(9)의 후단부는 셔터(21)로 삽입된다. 심흠(deep groove)베어링(25)은 회전축(9)의 후단부와 셔터의 내면 사이에 배열된다. 회전축(9)의 후단부는 홈베어링(25)과 셔터(21)에 의해 고정구멍(13)의 내면에 의해 지지된다.
홈베어링(25)의 외부레이스(25a)는 셔터의 내면에 고정된다. 홈베어링(25)의 내부레이스(25b)는 회전축(9)의 외주면상에서 슬라이드가능하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텝부(9a)는 회전축(9)의 후단부에서 외주면상에 형성된다. 스텝부(9a)는 내부레이스(25b)의 회전경사판(15)을 향하는이동을 제한한다. 즉 스텝부(9a)는 홈베어링(25)의 회전경사판(15)을 향한 이동을 제한한다. 따라서, 스텝부(9a)를 향한 홈베어링(25)의 접촉은 셔터(21)의 회전경사판(15)을 향한 이동을 제한한다.
흡입통로(26)는 후부하우징(3)의 중앙에 형성된다. 흡입통로(26)는 고정구멍(13)에 연결된다. 위치결정면(27)은 고정구멍(13)의 측면에서 흡입통로(26)의 출구 주위에 형성된다. 셔터(21)의 말단부는 위치결정면(27)에 접촉가능하다. 위치결정면(27)과 셔터(21) 말단부와의 접촉은 셔터(21)의 회전경사판(15)으로부터의 이탈을 제한하고 흡입챔버(26)의 고정구멍(13)으로부터 분리한다.
트랜스미팅실린더(28)는, 회전축(9)에 대하여 슬라이드가능하고, 회전경사판(15)과 홈베어링(25) 사이에 배치된다. 트랜스미팅실린더(28)는 회전경사판(15)에 접촉가능하고 트랜스미팅실린더(28)의 다른 단부는 외부레이스(25a)에 접촉하지 않고 홈베어링(25)의 내부레이스(25b)에 접촉가능하다.
회전경사판(15)이 셔터를 향해 이동하기 때문에, 회전경사판(15)은 트랜스미팅실린더(28)에 접촉하고, 트랜스미팅실린더(28)를 홈베어링(25)의 내부레이스(25b)에 가압한다. 홈베어링(25)은 반경방향 및 추력방향의 모두에 작용하는 부하를 받는다. 트랜스미팅실린더(28)의 가압작용은 셔터(21)를 위치결정면(27)을 향해 개방스프링(24)의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민다. 이것은 셔터(21)의 말단부가 위치결정면(27)에 접촉하도록 한다. 따라서, 회전경사판(15)의 최소 경사는 셔터(21)의 말단부와 위치결정면(27) 사이의 접촉에 의해 제한된다. 즉, 최소경사제한수단을 셔터(21), 홈베어링(25), 위치결정면(27), 트랜스미팅실린더(28)에 의해 구성된다.
회전경사판(15)의 최소경사는 0도보다 약간 더 크다. 최소경사는, 셔터(21)가 폐쇄위치에 설치되어 있을 때, 흡입통로(26)가 고정구멍(13)으로부터 분리된 곳에서 얻어진다. 셔터(21)는 폐쇄위치와 이 폐쇄위치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있는 개방위치 사이의 회전경사판(15)과 함께 이동한다.
회전경사판(15)의 최대 경사는, 회전지지체(8)의 경사제한돌기(8d)가 회전경사판(15)에 접촉할 때 제한된다.
단일헤드피스톤(22)은 크랭크챔버(2a)에 연결된 실린더블록(1)내에 형성된 각 실린더보어(1a)에 고정된다. 1쌍의 슈(shoe)(23)는 각 피스톤(22)의 목(neck)에 끼워진다. 회전경사판(15)의 회전운동은 슈(23)에 의해 피스톤(22)의 직선왕복운동으로 변환된다. 이것은 결합된 실린더보어(1a)내에서 피스톤(22)을 왕복운동 시킨다.
도 1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흡입챔버(3a)와 배출챔버(3b)는 후부하우징(3)에 형성된다. 흡입구(4a)와 배출구(4b)는 밸브플레이트(4)에 형성된다. 흡입밸브(5a)는 밸브성형플레이트(5B)에 형성된다. 각 피스톤(22)의 왕복은 흡입챔버(3a)내의 냉각제가스가 흡입밸브(5a)를 개방하여 흡입구(4a)를 통해 결합된 실린더보어(1a)로 배출된 냉각제가스가 배출밸브(5b)를 개방하여 배출구(4b)를 통해 배출챔버(3b)로 배출되도록 한다. 각 배출밸브(5b)는 고정성형플레이트(6)에 형성된 리테이너(6a)에 접촉한다.
스러스트베어링(29)은 회전지지체(8)와 전부하우징(2) 사이에 배치된다.
스러스트베어링(29)은 회전지지체(8)상에 작용하는 압축반발력을 실린더보어(1a), 피스톤(22), 슈(23), 회전경사판(15), 연결편(16, 17), 및 안내핀(18, 19)으로 지지한다.
흡입챔버(3a)는 고정구멍(13)에 개구(4c)를 통해 연결된다. 셔터(21)가 폐쇄위치에 위치될 때, 개구(4c)는 흡입통로(26)로부터 분리된다. 흡입통로(26)는 압축기로 흐르는 냉각제가스를 흡입하는 입구로서 기능한다. 셔터(21)가 흡입통로(26)를 흡입챔버(3a)로부터 분리하는 위치는 흡입통로(26)의 하류측에 위치된다.
도관(30)은 회전축(9)내에 형성된다. 도관(30)은 크랭크챔버(2a)와 셔터(21)의 내측과를 연결한다. 도 1, 도 4 및 도 5에 나타내 바와 같이, 압력해제구멍(21a)은 셔터(21)의 말단부를 통해 연장한다. 압력해제구멍(21a)은 고정구멍(13)과 셔터(21)의 내측과를 연결한다.
도 1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출챔버(3b)와 크랭크챔버(2a)는 압력통로(31)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전자밸브(32)는 압력통로(31)에 설치된다. 전자밸브(32)의 솔레노이드(33)를 여기함으로써, 밸브체(valve body)(34)는 밸브구멍(32a)을 폐쇄한다. 전자밸브(32)의 솔레노이드(33)를 탈여기함으로써, 밸브체(34)는 밸브구멍(32a)를 개방한다. 즉, 전자밸브(32)는 배출챔버(3b)와 크랭크챔버(2a)와를 연결하는 압력통로(31)를 개폐한다.
흡입챔버(3a)로부터의 냉각제가스가 흡입되는 흡입통로(26)는 배출챔버(3b)내의 냉각제가스가 배출된느 출구(1b)에 외부냉각제순환로(35)에 의해 연결된다. 콘덴서(36), 익스팬션 밸브(expansion valve)(37), 증발기(38)는 외부 냉각제회로(35)에 설치된다. 익스팬션밸브(37)는 냉각제의 유량을 증발기(38)의 출구측에서의 가스압력의 변동에 따라 제어된다. 온도센서(39)는 증발기(38)의 근방에 설치된다. 온도센서(39)는 증발기(38)의 온도를 검출한다. 검출된 온도데이타는 제어컴퓨터Co에 보내진다. 제어컴퓨터 Co는 전자밸브(32)의 솔레노이드(33)의 여기 및 탈여기를 제어한다. 제어컴퓨터 Co는 솔레노이드(33)의 여기 및 탈여기를 증폭회로(43)를 통해 온도센서(39)로부터 보내진 검출된 온도데이타에 따라 제어한다.
공기조화장치조직스위치(40)가 온으로 될 때, 제어컴퓨터 Co검출된 온도가 소정 온도와 같거나 낮으면 솔레노이드(33)의 탈여기를 명령한다. 소정 온도보다 낮은 온도치는 서리가 증발기(38)에서 형성될 수 있는 상태를 반영한다.
제어컴퓨터 Co는 조작스위치(40)와 엔진속도를 검출하는 회전속도검출기(41)에 연결된다. 조작스위치(40)가 온으로 될 때, 제어컴퓨터 Co는 속도검출기(41)로부터 보내진 검출된 속도변동의 소정데이타에 따라 솔레노이드(33)를 탈여기한다. 또한, 제어컴퓨터 Co는 조작스위치(40)가 오프로 되면 솔레노이드(33)를 탈여기한다.
냉각제순환제어회(42)는 엔진의 구동전원(14)에 연결된다. 이 엔진은 구동원을 압축기에 공급하는 구동원으로서 기능한다. 제어컴퓨터(42)는 증폭회로(43)에 접속한다. 도 7은 제어회로(42)의 회로구성의 일예를 나타낸다.
R1, R2, R3는 레지스터를 나타내고, K1, K2는 콘덴서를 나타내고, Tr은 스위칭트랜지스터를 나타내고, IC1은 집적회로를 나타내고, F는 임계단자를 나타내고, T는 트리거단자를 나타내고, V는 전원단자를 나타내고, 그리고 Q 는 출력단자를 나타낸다. 전원(14)이 작동하면, 도 8에 곡선 E1으로 나타낸 트리거신호가 트리거단자 T에 입력된다. 이후, 집적회로 IC1는 출력단자 Q로부터 트랜지스터 Tr에 ON 신호를 보낸다. 트랜지스터 Tr가 작동하면, 증폭회로(43)는 전력으로 전자밸브(32)에 공급하여 전자밸브(32)를 여기한다. 도 8에 곡선 E2으로 나타낸 신호는 임계단자 F에 입력된다. 신호, E2가 도 8에 선 D으로 나타낸 한계치에 도달하면, 집적회로 IC1는 신호전송을 정지하고 트랜지스터 Tr는 오프로 된다. 기간 t1은 신호 E2가 선 D에 도달하는데 요구되는 시간의 길이이고, 저항 R1과 콘덴서 K1를 승산한 값에 비례한다, 트랜지스터 Tr가 비작동이면, 증폭회로(43)로부터 전자밸브(32)에의 전기의 공급은 정지된다. 이것은 전자밸브(32)를 탈여기한다.
전자밸브(32)는 강제회전경사판 경사감소수단으로서 기능하고 또한 셔터(21)와 함께 냉각제순화저지수단을 구성한다. 전자밸브(32)의 솔레노이드(33)는 냉각제순환저지수단의 전기구동회로에 대응한다. 냉각제순환제어회로(42)의 트랜지스터 Tr가 작동되지 않은 경우, 냉각제순환저지명령신호는 전송된다. 냉각제순환제어회로(42)의 트랜지스터 Tr가 작동되는 경우, 냉각제순환저지명령신호의 출력은 정지된다.
도 1 및 도 5는 여기상태에 있는 솔레노이드(33)를 나타낸다. 이러한 상태에서, 압력통로(31)는 폐쇄된다. 따라서, 고압냉각제가스는 배출챔버(3b)로부터 크랭크챔버(2a)에 공급되지 않는다. 이러한 상태에서 크랭크챔버(2a)내의 냉각제가스는 도관(30)을 통해 흡입챔버(3a)로 흐름을 유지한다. 이것은 크랭크챔버(2a)내의 압력을 흡입챔버(3a)내의 저압 또는 흡입압력에 도달하도록 한다. 그 결과, 회전경사판(15)은 최대경사로 유지되고 변위는 최대이다.
냉각부하가 작으면, 배출작용은 최대 경사로유지되어 있는 회전경사판(15)에 의해 행해지고, 증발기(38)의 온도는 서리가 형성되기 시작하는 온도에 가까워진다. 온도센서(39)는 증발기(38)의 검출된 온도데이터를 제어컴퓨터 Co에 보낸다. 검출된 온도가 소정 온도보다 낮게 되면, 제어컴퓨터 Co는 솔레노이드(33)를 탈여기한다. 솔레노이드(33)의 탈여기는 압력통로(31)를 개방하고 배출챔버(3b)와 크랭크챔버(2a)와를 연결한다. 따라서, 배출챔버(3b)내의 고압냉각가스는 크랭크챔버(2a)에 압력통로(31)를 통해 공급되어 크랭크챔버(2a)의 압력을 증가시킨다. 크랭크챔버(2a)에 압력증가는 회전경사판(15)을 즉시 최소 경사쪽으로 경사지게 한다.
회전경사판(15)이 홈베어링(25)의 내측레이스(25b)에 대하여 가압된 트랜스미팅실린더(28)와 함께 최소 경사로 접근함에 따라서, 셔터(21)는 위치 결정면(27)에 접근한다. 이것은 흡입통로(26)와 흡입챔버(3a) 사이의 냉각제가스의 단면통과면적을 점진적으로 제한한다. 이러한 제한 작용은 또한 흡입통로(26)로부터 흡입챔버(3a)로 흐르는 냉각제 가스의 유량을 점진적으로 감소시키고, 배출량을 점진적으로 감소시킨다. 이로써, 배출 압력은 점진적으로 감소하고 압축기 토크의 급격한 변동은 일어나지 않는다.
도 4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셔터(21)의 말단부가 위치결정면(27)에 접촉함을써 회전경사판의 경사가 최소로 된다. 회전경사판의 최소경사는 0도는 아니므로, 실린더보어(1a)로부터 배출챔버(3b)로의 배출은 회전경사판의 경사가 최소인 경우에도 행해진다. 실린더보어(1a)로부터 배출챔버(3b)로 배출된 냉각제가스는 크랭크챔버(2a)로 압력통로(31)를 통해 흐른다. 크랭크챔버(2a)내의 냉각제가스는 도관(30) 및 압력해제통로로서 기능하는 압력해제구멍(21a)을 통해 흐른다. 흡입챔버(3a)내의 냉각제가스는 실린더보어(1a)로 배출되고 이후 배출챔버(3b)로 배출된다. 즉, 회전경사판이 최소인 경우, 순환통로는 배출챔버(3b), 압력통로(31), 크랭크챔버(2a), 도관(30), 압력해제구엄(21a), 흡입챔버(3a) 및 실린더보어(1a)에 의해 압축기내에 형성된다. 유동하는 냉각제가스내에 포함된 윤활유는 압축기의 내측을 윤활한다. 또한, 배출챔버(3b), 크랭크챔버(2a), 흡입챔버(3a)의 압력에는 차이가 있다.
냉각부하가 도 6에 나타낸 상태에서 증가하는 경우, 냉각부하의 증가는 증발기(38)내의 온도증가로서 반영되고 증발기(38)의 검출된 온도는 소정온도를 초과한다. 제어컴퓨터 Co는 솔레이노이드(33)를 검출된 온도의 변경에 따라 여기한다. 솔레노이드(33)의 여기는 압력통로(31)를 페쇄하여 크랭크챔버(2a)내의 압력을 도관(30) 및 압력해제구멍(21a)을 통해 해제하여 압력을 감소시킨다. 이러한 압력감소는 회전경사판(15)을 최소경사로부터 최대경사로 경사지게한다.
회전경사판(15)의 경사의 증가는 개방스프링(24)의 스프링힘으로 인하여 셔터(21)가 회전경사판(15)의 경사를 추종하도록 한다. 이것은 셔터(21)의 말단부를 위치결정면(27)으로부터 분리한다. 이러한 분리는 흡입통로(26)와 흡입챔버(3a) 사이의 냉각제가스의 단면통과면적을 점진적으로 증가시킨다.
단면통과면적의 점진적인 증가는 흡입통로(26)로부터 흡입챔버(3a)는 흐르는 냉각제가스의 유량을 증가시키고, 점진적으로 변위를 증가시킨다. 그 결과, 배출압력은 점진적으로 증가되고, 압축기토크의 급격한 변동은 일어나지 않는다.
엔진을 정지시킴으로써, 압축기의 운전도 또한 정지된다. 이것은 솔레노이드(33)를 탈여기하고 회전경사판의 경사가 최소가 되도록 한다. 따라서, 압축기의 운전이 정지되는 경우, 회전경사판의 경사는 최소로 유지된다.
전원(14)이 작동되어 엔진을 기동시키는 경우, 냉각제순환제어회로(42)는 엔진이 기동될 대부터 측정된 기간 t1동안 냉각제순환저지명령신호의 전송을 정지시킨다. 즉, 전자밸브(32)는 엔진이 기동되기 시작할 때부터 개시된 기간 t1동안 여기되고, 압력통로(31)는 엔진이 기동되기 시작할 때부터 개시된 기간 t1동안 폐쇄된다. 따라서, 배출챔버(3b)내의 냉각제가스는 압력통로(31)를 통해 크랭크챔버(2a)로 공급되지 않는다. 이것은 회전경사판(15)을 최소경사로부터 최대경사로 경사지게 한다. 경사의 증가는 외부냉각제순화로(35)의 냉각제가스를 압축기로 흐르게 하여 냉각제가스에 포함된 윤활유로 압축기의 내측을 윤활한다. 압축기에 도입된 약간의 윤활유는 실린더보어(1a)로 흡입되어 각 실린더보어(1a)와 결합피스톤(22)의 외주면 사이의 공간을 통해 크랭크챔버(2a)로 누출하는 블로바이가스(blowby gas)와 함께 크랭크챔버(2a)로 들어간다.
조작스위치(40)가 오프로 되면, 제어컴퓨터 Co는 전자밸브(32)를 여기하기 위한 명령을 보내지 않는다. 전자밸브(32)가 엔진을 기동시킨 후 탈여기 된 채로 있으면, 오부냉각순환로(35)에서의 냉각제순환은 저지된 채로 있다. 이로써, 윤활유는 압축기로 흐르지 않고 압축기내의 윤활유는 엔진이 정지될 때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 압축기내의 윤활유가 충분하지 않을 때 조작스위치(40)가 오프로 되어 엔진이 기동되면, 압축기 내측의 윤활이 충분하지 않게된다. 윤활이 충분하게 이루어지지 않으면 압축기 내측의 슬라이딩부분의 들러붙음(seizure)을 일으킬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냉각제순환제어회로(42)는 엔진이 기동되기 시작하는 기간 t1동안 냉각제순환저지명령신호의 전송을 정지시킨다. 이것은 윤활유기 외부냉각제순환로(35)로부터 압축기에 공급되도록 한다. 외부냉각제회로(35)내의 윤활유를 압축기에 엔진의 기동시마다 공급함으로써 조작스위치(40)가 오프로 되어 일어난 엔진의 기동중의 불충분한 윤활유의 문제가 해소된다.
또한, 소정기간 t1은 증발기(38)에서의 서리 형성의 방지를 고려하여 결정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도 9 ∼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채용된 클러치레스압축기는 제1 실시에에서의 것과 동일하므로, 이하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냉각제순환제어회로(42A)는 속도검출기(41)에 연결된다. 냉각제순환제어회로(42A)가 속도검출기(41)로부터의 회전수데이타에 따라서 전자밸브(32)를 여기 및 탈여기한다. 즉, 냉각제순환제어회로(42A)는 외부냉각제순환로(35)내에서의 냉각제순환의 저지 및 허용을 제어한다.
도 10은 냉각제순환제어회로에 대한 회로구성의 일예를 나타낸다. (44)는 분주회로를 나타내고, (45)는 플립플롭회로를 나타내고, R3, R4는 레지스터를 나타내고, K3는 콘데선를 나타낸다. R은 리셋단자를 나타내고 S는 세트단자를 나타낸다. 레지스터 R4와 콘덴서 K3는 미분회로를 구성한다. 콘덴서 K3는 전원(14)에 연결되어 있다. 속도검출기(41)는 도 11에 나타낸 펄스신호 P를 분주회로(44)에 보낸다. 분주회로(44)는 다음에 도 11에 나타낸 사각형파신호 E3를 리드펄스신호 P에 따라 출력한다. 미분회로는 전원(14)이 온으로 되면 미분신호 d1를 출력한다. 리드미분신호 d1에 응답하여, 플립플롭회로(45)는 도 11에 곡선 E4를 트랜지스터 Tr에 보내서 그 트랜지스터 Tr를 작동시킨다. 미분신호는 전원(14)의 작동직후 일어날 수 있는 ON신호 E4의 출력불안정을 피하기 위해 사용된다.
트랜지스터 Tr가 작동될 때, 증폭회로(43)에 의해 전자밸브(32)에 전력이 공급된다. 이것은 외부 냉각제순환로(35)에서의 냉각제순환을 일으킨다.
사각파신호 E3의 제1온셋(onset)은 플립플롭회로(45)가 ON 신호 E4를 전송하는 것을 정지시키고 트랜지스터 Tr을 탈여기시킨다. 트랜지스터 Tr의 탈여기는 증폭회로(43)가 전자밸브(32)로의 전력을 공급하는 것을 정지시키도록 한다. 즉, 냉각제순환제어회로(42A)에서의 비작동상태는 냉각제순환저지명령신호가 출력되도록 한다. 냉각제순환제어회로(42A)에서의 트랜지스터 Tr의 작동상태는 냉각제순환저지명령신호의 출력을 정지시킨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냉각제순환은 엔진이 기동한 후 회전수가 소정치 N1에 도달할 때까지 행해진다. 이러한 회전치 N1는 분주회로(44)의 비율을 나눔으로써 결정된다. 냉각제순환제어회로(42A)로부터의 냉각제순환저지명령신호의 출력은 엔진의 기동 후 소정회전치 N1에 도달할 때까지 정지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윤활유는 또한 외부냉각제순환로(35)로부터 압축기에 공급된다. 윤활유는 엔진의 기동시마다 외부냉각제회로(35)로부터 압축기에 공급된다. 이것은 조작스위치(40)가 오프로 되어 엔진이 작동할 때 윤활유가 불충분하게 되는 문제를 해소한다.
이하, 제3 실시예를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도 12에 나타낸 냉각제순환제어회로(42B)가 제1실시예에 기술된 냉각제순환제어회로(42) 대신에 사용된다. 나머지 구성은 제1 실시예에서와 동일한다.
냉각제순환제어회로(42B)는 소정기간에 따라 냉각제순환을 제어하는 회로의 일예이다. R5, R6는 레지스터를 나타내고, IC2는 집적회로를 나타내고, 그리고 H는 방전단자를 나타낸다. 전원(14)이 작동될 때 도 13에 나타낸 곡선 E4의 신호가 트리거단자 T와 임계단자 F에 입력된다. 신호 E4가 선 D으로 표시된 한계치에 도달할 때, 접적회로 IC2는 ON 신호를 출력단자 Q로부터 트랜지스터 Tr에 보낸다. 트랜지스터 Tr가 작동될 때, 증폭회로(43)는 전력을 전자밸브(32)에 공급하고 전자밸브(32)를 여기한다. ON 기간 t2은 레지스터 R6와 콘덴서 K1의 승산값에 비례한다. 이후, 방전이 방전단자 H로부터 행해지고, 집적회로 IC2는 출력을 정지시키고, 트랜지스터 Tr는 비작동으로 된다. OFF 기간 t3은 레지스터 R5, R6의 합과 콘덴서 K1의 승산치에 비례한다. 트랜지스터 Tr가 비작동일 때, 증폭회로(43)로부터 전자밸브(32)에의 전력공급은 정지되고 전자밸브(32)는 탈여기된다.
소정기간 t3중, 트랜지스터 Tr가 비작동일 때 냉각순환저지명령신호는 전달된다.
소정기간 t3중, 트랜지스터 Tr 가 비작동일 때 냉각제순환저지명령신호는 전달된다. 소정기간 t2중, 트랜지스터가 작동인 기간에 냉각제순환저지명령신호의 출력은 정지된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엔진이 작동하고 있을 때 주기적인 단속제어는 소정기간 t3동안 신호출력이 정지된 후 소정기간 t2동안 냉각제순환제어회로(42B)로부터의 냉각제순환전지명령신호를 전송함으로써 행해진다. 즉, 윤활유는 엔진이 작동할 때 외부냉각회로(35)로부터 압축기에 주기적으로 공급된다. 이것은 조작스위치(40)의 오프로 엔진이 동작할 때 윤활유가 충분하지 못함으로써 일어나는 문제를 해소한다. 또한, 소정기간 t2, t3은 증발기 (38)에서의 서리형성 방지를 고려하여 결정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를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도 14에 나타낸 냉각제순화제어회로(42)는 제2 실시예에서 설명한 냉각제순환제어회로(42A) 대신에 사용된다. 나머지 구성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도 14는 회전데이타에 따라 냉각제순환을 제어하기 위한 회로구성의 일예를 나타낸다. (45)는 제2 실시예에서도 사용된 플립폴립회로를 나타내고, (46)은 분주회로를 나타내고, R7은 레지스터를 나타내고, K5는 콘덴서를 나타낸다. R은 리셋단자를 나타내고, S는 세트단자를 나타낸다. 레지스터 R7와 콘덴서 K5는 미분회로를 구성한다. 속도검출기(41)는 도 15에 나타낸 펄스신호 P를 분주회로(46)에 보낸다. 다음에 분주회로(46)는 도 15에 나타낸 사각파신호 E5, E6를 리드펄스신호 P에 따라 출력한다. 미분회로는 미분신호 d2를 세트단자 S에 사각파신호 E6가 온세트될 때마다 보낸다. 리드 미분신호 d2에 응답하여 플립폴립회로(45)는 도 15에 곡선 E7으로 나타낸 ON신호를 트랜지스터 Tr에 보내서 트랜지스터 Tr를 작동시킨다. 트랜지스터 Tr의 작동은 증폭회로(43), 전자밸브(32)에 전력을 공급하고 외부냉각제회로(35)로 냉각제가 순환하도록 한다. 플립폴립회로(45)는, 미분신로 d2의 출력후의 사각형파신호 E5의 제1 온세트 후 ON 신호 E7의 전송을 정지시킨다.
이것은 트랜지스터 Tr를 작동시키지 못한다. 트랜지스터 Tr의 비작동(de-actuation)은 증폭회로(43)가 전력의 전자밸브(32B)에의 공급을 정지시킨다. 즉, 트랜지스터 Tr는 냉각제순환저지신호의 출력이 정지된 상태에서 주기적으로 작동한다.
ON신호 E7가 출력되는 기간을 결정하는 회전치 N3와 ON신호 E7가 출력되는 것을 정지시키는 기간을 결정하는 회전기간 N2이 분주회로(46)의 2개의 분주비율에 의해 결정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엔진이 작동할 때, 회전치 N2에 도달한 후 소정 엔진회전치 N3에 도달할 때 냉각제순환제어회로(42C)로부터 냉각제순환저지명령신호의 출력을 정지시킴으로써 주기적인 단속제어가 행해진다. 즉, 엔진이 작동될 때, 윤활유는 외부냉각제순환로(35)로부터 압축기에 주기적으로 공급된다. 이것은 조작스위치(40)가 오프로 되어 엔진이 동작할 대 윤활유가 충분하지 않음으로써 일어나는 문제를 해소한다. 또한, 소정 회전치 N2, N3는 증발기(38)에서의 서리형성 방지를 고려하여 결정된다.
다음에, 제5 실시예를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냉각제순환제어회로(42D)는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냉각제순환제어회로(42)와 제3 실시예에서 설명한 냉각제순환제어회로(42B)와의 조합이다. 냉각제순환제어회로(42D)는 냉각제순환제어회로(42)의 제어기능과 냉각제순환제어회로(42B)의 제어기능을 가진다. 즉, 엔진이 기동했을 때부터 소정기간 t1동안 냉각제순환저지명령신호의 출력을 정지시키는 제1 냉각제순환제어와, 엔진이 작동하는 소정기간 t2동안 냉각제순환저지명령신호의 출력을 정지시킨 후 소정기간 t3동안 냉각제순환저지명령신호를 출력하는 주기적인 제2냉각제순환제에를 함께 실행한다.
단지 제1냉각제순환제어만이 행해지면, 조작스위치(40)가 오프로 되어 엔진이 장시간동안 운전될 때 윤활이 충분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엔진의 기동후의 냉각제순환의 기간을 연장하여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은 증발기 (38)에서의 서리 형성을 일으킬 수 있다. 한편, 단지 제2 냉각제순환제어만이 행해지면, 엔진이 기동 직후에 윤활이 충분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이들 문제는 제1 및 제2 냉각제순환제어를 조합함으로써 해결된다.
다음에, 제6 실시에를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냉각제순환제어회로(42E)는 제2 실시예에서 설명한 냉각제순환제어회로(42A)와 제4 실시예레서 설명한 냉각제순환제어회로(42C)와의 조합이다. 냉각제순환제어회로(42E)는 냉각제순환제어회로(42A)의 제어기능과 냉각제순환제어회로(42E)는 냉각제순환제어회로(42A)의 제어기능과 냉각제순환제어회로(42C)의 제어기능을 가진다. 즉, 소정의 회전치 N1에 도달할 때까지 엔진이 기동되는 기간동안 냉각제순환저지명령신호의 출력을 정지시키는 제1 냉각제순환제어가, 엔진이 작동할 경우 소정회전치 N3에 도달할 때까지 냉각제순환저지명령신호의 출력을 정지시킨 후 소정회전치 N2에 도달할 때까지 냉각순환저지명령신호를 출력시키는 주기적인 제2 냉각제순환제어와 함께 수행된다.
따라서, 제5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이 실시예에서 윤활이 보장된다.
도 18에 나타낸 실시예에서 있어서, 제어컴퓨터 C1프로그램은 전원(14)이 작동되면 냉각제순환을 제어한다. 도 19, 도 20, 도 21 및 도 22에 나타낸 플로차트는 냉각제순환제어프로그램의 예이다. 도 19에 나타낸 제어프로그램은 제1 실시에의 냉각제순환제어에 대응하고 도 20에 나타낸 제어프로그램은 제2 실시예의 냉각제순환프로그램에 대응한다. 도 21에 나타낸 제어프로그램은 제3 실시예의 냉각제순환제어에 대응하고, 도 22에 나타낸 제어프로그램은 제4 실시예의 냉각제순환프로그램에 대응한다. 도 19 및 도 21에 나타낸 실시예의 제어컴퓨터 C1는 시간측정기능을 가진다. 제어컴퓨터 C1는 측정된 시간에 따라 냉각제순환명령신호와 냉각제순환저지명령신호의 출력을 제어한다. 도 20 및 도 22에 나타낸 실시예의 제어컴퓨터 C1는 속도검출기(41)로부터의 회전데이타에 따라 냉각제순환명령신호와 냉각제순환저지명령신호의 출력을 제어한다. 냉각제순환명령신호의 출력은 냉각제순환저지명령신호의 출력의 정지에 대응한다.
예측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이들 제어프로그램외에 제 5 및 제 6 실시예에 대응하는 제어프로그램을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어프로그램에 있어서, 기간 t1, t2, t3및 회전치 N1, N2, N3의 선택 및 변경은 단순화한다.
도 23(a) 및 도 2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포지티브온도계수서미스터(47)는 전자밸브(32)의 솔레노이드(33)에 열접속된다. 도 23(b)는 전원(14), 서미스터(47) 및 솔레노이드(33) 사이의 배선관계를 나타낸 개략적 회로도를 나타낸다. 솔레노이드(33)와 서미스터(47)는 전원(14)에 직렬로 접속된다. 전원(14)이 작동할 때 냉각제순환을 수행하기 위해 솔레노이드(33)가 여기된다.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솔레노이드(33)의 온도가 증가한다. 이것은 솔레노이드(33)에 열접속된 서미스터(47)의 온도를 상승시킨다. 서미스터(47)의 온도가 소정치를 초과하면, 저항치가 급격하게 증가한다. 저항치의 급격한 증가는 전류의 공급을 불충분하게 한다. 이것은 전자밸브(32)를 개방한다. 즉, 냉각제순환은 엔진의 기동 후 소정기간의 경과 후에 저지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이 실시예에서 윤활이 보장된다.
도 24에 나타낸 실시예에 있어서, 플래싱스위치(52)는 절연재로(51)를 열검출스위치(48), 전기레지스터(49) 및 열전도체(50) 주위에 감쌈으로써 구성할 수 있다. 플래싱스위치(52)는 전원(14)과 솔레노이드(33) 사이에 설치된다.
열검출스위치(48)는 전기레지스터(49)에 열전도체(50)에 의해 접속된다. 높은 열전도성 예를 들면 알루미늄 또는 구리를 가진 금속은 열전도체(50)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렇게 감싸서 구성하는 것은 플래싱스위치(52)의 안정적인 동작 및 내구성의 면에서 유리하다.
도 25에 나타낸 실시예에 있어서, 검출스위치(48)는 높은 열전도성을 가진 세라믹튜브(53)내에 고정된다. 전기레지스터와이어(54)는 실린더(53)의 외주면 주위에 감긴다. 이들 부분을 절연재로로 감쌈으로써 구성된 검출스위치(52A)는 전원(14)과 솔레노이드(33) 사이에 설치된다. 전기레지스터와이어(54)는 실린더(53)의 외주면 주위에 감긴다. 이들 부분을 절연재로로 감쌈으로써 구성된 검출스위치(52A)는 전원(14)과 솔레노이드(33) 사이에 설치된다. 검출스위치(48)는 전기레지스터와이어(54)에 실린더(53)에 의해 열접속된다.
도 26은 전원(14), 열검출스위치(48), 전기레지스터(49)(또는 전기레지스터와이어(54)와 솔레노이드(33) 사이의 배선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회로도를 나타낸다. 솔레노이드(33)와 열검출스위치(48)는 전원(14)에 직렬로 접속된다. 솔레노이드와 전기레지스터(49)(또는 전기레지스터와이어(54))는 열검출스위치(48)에 병렬로 접속된다. 전원(14)의 작동은 솔레노이드(33)를 여기시켜서 냉각제순환을 일으킨다.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전기레지스터(49)(또는 전기레지스터와이어(54))의 온도가 증가한다. 이것은 전기레지스터(49)(또는 전기레지스터와이어(54))에 열접속되는 열검출스위치(48)의 온도를 증가시킨다. 도 2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열검출스위치(48)는 곡선 E7이 온도 T1에 도달할 때 온상태에서 오프로 된다. 열검출스위치(48)는 온도 T2에 도달할 때 오프상태에서 온으로 된다. 즉. 플래싱스위치(52, 52A)를 ON/OFF 동작을 반복한다.
이것은 전자밸브(32)를 반복적으로 개폐한다. 따라서, 냉각제순환은 조작스위치(40)가 오프인 그대로 엔진이 작동될 경우 주기적으로 반복된다. 또한, 윤활은 제3 및 제4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보장된다.
본 발명은 도 28에 나타낸 클러치레스압축기 및 도 29 및 도 30에 나타낸 로터리식 클러치레스압축기에 사용될 수 있다.
도 28에 나타낸 압축기에 있어서, 크랭크챔버(2a)내의 압력은 변위밸브(55)에 의해 제어된다. 변위제어밸브(55)의 해제압력흡기포트(56)는 크랭크챔버(2a)에 통로(57)를 통해 접속된다. 흡입압력흡기포트(58)는 흡입통로(26)에 흡입압력흡기통로(59)를 통해 접속된다. 해제압력포트(60)는 흡입챔버(3a)에 통로(61)를 통해 접속된다. 배출압력흡기포트(62)에 연결되는 흡입압력검출챔버(63)를 통해 접속된다. 흡입압력흡기포트(62)에 연결되는 흡입압력검출챔버(64)내의 압력은 다이아프램(65)으로 조정스프링(66)을 저지한다. 조정스프링(66)의 스프링힘은 밸브체(68)에 다이아프램(65)과 로드(67)를 통해 전달된다. 복귀스프링(69)이 작용하는 밸브체(68)는 밸브구멍(70)을 흡입압력검출챔버(64)의 흡입압력의 변경에 따라 개폐한다. 개폐는 해제압력흡기포트(56)가 해제압력포트(60)로부터 접속 및 분리되도록 한다.
흡입챔버(3b)와 크랭크챔버(2a)는 서로 제한통로(20)를 통해 접속된다.
솔레노이드(33)가 여기되어 압력통로(31)를 폐쇄하는 경우, 밸브채(68)에 의해 개방된 면적은 흡입압력이 높으면(냉각부하가 큼)크다. 이것은 크랭크챔버(2a)로부터 흡입챔버(3a)로 흐르는 냉각제가스의 유량을 증가시킨다.
그 결과, 크랭크챔버(2a)내의 압력이 감소하고 회전경사판의 경사가 증가한다.
역으로 밸브체(68)에 의해 개방된 면적은 흡입압력이 낮으면(냉각부하가 작음)작다. 이것은 크랭크챔버(2,a)로부터 흡입챔버(3a)로 흐르는 냉각제가스의 유량을 감소시킨다. 따라서, 크랭크챔버(2a)내의 압력은 증가하고 회전경사판의 경사는 감소한다. 즉, 변위는 연속적으로 가변제어된다.
도 29 및 도 30에 나타낸 압축기에 있어서, 구동축(73)은 실린더(71)내측의 로터(72)를 편심으로 회전시킨다. 베인(vane)(75)의 회전은 실린더(71) 내면으로부터 돌출가능하고 스프링(74)에 의해 로터(72)를 향해 눌리고 있다. 전자기액튜에이터(76)는 실린더(71)내에 설치된다. 전자기액튜에이터(76)가 여기되면, 구동판(76a)은 베인(75)의 측면으로부터 멀어진다. 이것은 베인(75)이 실린더(71)의 내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한다. 따라서, 외부냉각제순화로(35)내의 냉각제가스가 실린더(71)로 흡입통로(71a)를 통해 들어간다. 실리더(71)내의 냉각제가스는 외부냉각제순환로(35)로 배출통로(71b)를 통해 배출된다. 즉, 냉각제순환이 수행된다.
전자기액튜에이터(76)가 탈여기될 때, 구동핀(76a)은 베인(75)의 측면에 스프링(76b)의 압압력에 의해 가압된다 결합구멍(75a)은 베인(75a)의 측면에 형성된다. 구동핀(76a)은 전자기액튜에이터(76)가 탈여기될 때 구멍(75a)으로 들어가서 베인(75)이 도 30에 나타낸 위치에 위치되도록 한다. 이것은 냉각제 순환을 저지한다. 즉, 전자기액튜에이터(76)는 냉각제순환저지수단을 구성한다.
도 28에 나타낸 실시예 및 도 29 및 도 30에 나타낸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컴퓨터 C1프로그램은 전원(14)이 작동될 때 냉각제순환을 제어하고, 도 18에 나타낸 실시예에서와 동일방식으로 압축기내의 윤활을 보장한다. 제5 및 제6 실시예와 도 23 및 도 24에 나타낸 실시예에서 설명한 냉각제순환제어구조는 도 28에 나타낸 압축기와 도 29 및 도 30에 나타낸 압축기에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은 명백하다.
다음에, 도 31에 나타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8에 나타낸 부분과 동일한 부분은 동일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이 실시에에 있어서, 변위제어밸브(77)는 후부 하우징(3)내에 설치된다. 크랭크챔버(2a)내의 압력은 변위제어밸브(77)에 의해 제어된다. 변위제어밸브(77)를 구성하는 밸브하우징(78)은 배출압력흡기포트(78a), 흡입압력흡기포트(78b) 및 해재압력포트(78c)를 구비한다. 배출압력흡기포트(78b)는 흡입통로(26)에 흡입압력흡기통로(80)에 의해 연결된다. 해제압력포트(78)는 크랭크챔버(2a)에 통로(81)를 통해 연결된다.
흡입압력흡기통로(78b)로 이어지는 흡입압력검출챔버(82)내의 압력은 다이아프램(83)으로 조정스프링(84)을 저지한다. 조정스프링(84)의 스프링힘은밸브체(86)에 다이아프램(83)과 로드(86)를 통해 전달된다. 복귀스프링(87)의 힘은 밸브체(86)에 작용한다. 밸브체(86)에 대해 복귀스프링(87)의 방향을 부여하는 힘은 밸브구멍(78d)을 폐쇄하는 방향에 대응한다. 복귀스프링이 작용하는 밸브체(86)는 밸브구멍(78d)을 흡입압력검출챔버(82)내의 흡입압력의 변경에 따라 개폐한다.
솔레노이드(33)가 여기되어 압력통로(31)를 폐쇄할 때, 밸브체(86)는 흡입압력이 높아지면(냉각부하가 큼) 폐쇄한다. 이것은 배출챔버(3b), 통로(79), 변위제어밸브(77), 통로(81)를 통해 연장하여 형성된 압력경로를 폐쇄한다. 크랭크챔버(2a)내의 압력은 크랭크챔버(2a)내의 냉각가스가 흡입챔버(3a)로 도관(30)과 압력해제구멍(21a)을 통해 흐르기 때문에 감소한다. 또한, 실린더보어(1a)내의 흡입압력에 높으므로, 크랭크챔버(2a)내의 압력과 실린더보어(1a)의 흡입압력 사이의 차이는 작게 된다. 이것은 회전경사판(15)의 경사를 증가시킨다.
역으로, 밸브체(86)에 의해 개방된 면적은 흡입압력이 낮아지면(냉각부하가 작음) 커진다. 이것은 배출챔버(3b)로부터 크랭크챔버(2a)로 흐르는 냉각제가스의 유량을 증가시킨다. 따라서, 크랭크챔버(2a)내의 압력이 증가한다. 또한, 실린더보어(1a)내의 흡입압력이 낮으므로, 크랭크챔버(2a)내의 압력이 증가한다.
또한, 실린더보어(1a)내의 흡입압력이 낮으므로, 크랭크챔버(2a)내의 압력과 실린더보어(1a)내의 흡입압력 사이의 차이가 커진다. 이로써, 회전경사판(15)의 경사가 작아진다.
밸브체(86)에 의해 개방된 면적은 흡입압력이 극단적으로 작아질 때(냉각부하가 없음) 최대로 된다. 이것은 크랭크챔버(2a)내의 압력을 증가시키고 회전경사판(15)을 최대경사로 경사지게 한다. 더욱이 압력통로(31)는 솔레노이드(33)가 탈여기될 때 개방된다. 솔레노이드(333)가 여기될 때 압력통로(31)는 폐쇄된다.
즉, 이 실시예에 있어서 회전경사판의 경사는 연속적으로 가변제어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컴퓨터 C1는 속도검출기(41)로부터의 회전데이타에 따라 도 19 ∼ 도 22의 플로차트에 나타낸 냉각제순환제어프로그램중 임의의 하나를 실행한다. 또한, 제어컴퓨터 C1로부터 전자밸브(32)에 보내진 탈여기신호는 냉각제순환저지명령신호에 대응한다. 더욱이, 이 실시예의 클러치레스압축기에 있어서, 제어컴퓨터 C1프로그램은 전원(14)이 작동할 때 냉각제순환을 제어하여 압축기에서의 윤활을 보장한다.
회전경사판제어응답성은, 변위가 배출챔버(3b)로부터 크랭크챔버(2a)에 공급되는 냉각제가스의 유량을 제어함으로써 제어될 때가 변위가 도 2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랭크챔버(2a)로부터 흡입챔버(3a)로 방출되는 냉각제가스의 유량을 제어함으로써 제어될 대에 비해 높다. 이것은 크랭크챔버(2a)에 공급되는 냉각제가스가 고압의 배출된 냉각제가스이기 때문이다.
다음에, 도 32 및 도 33에 나타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8에 나타낸 부분과 동일한 부분은 동일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크랭크챔버(2a)와 흡입챔버(3a)는 압력해제통로(88)에 의해 연결된다. 전자밸브(89)는 압력해제통로(88)에 설치된다. 전자밸브(89)의 솔레노이드(90)가 여기될 때, 밸브체(91)는 밸브구멍(89a)을 개방한다. 솔레노이드(90)가 탈여기될 때, 밸브체(91)는 밸브구멍(89a)을 폐쇄한다. 배출챔버(3b)크랭크챔버(2a)는 서로 압력통로(92)에 의해 연결된다. 배출챔버(3b)내의 냉각제가스는 크랭크챔버(2a)에 압력통로(92)를 통해 일정하게 공급된다.
온도센서(39)에 의해 검출된 온도가 소정치와 동일 또는 이하이면, 제어컴퓨터 C1는 솔레노이드(90)를 탈여기한다. 솔레노이드(90)가 탈여기될 때, 압력해제통로(88)는 폐쇄되고 흡입챔버(3a)는 크랭크챔버(2a)로부터 분리되게 된다. 따라서, 냉각제가스는 압력해제통로(88)를 통한 크랭크챔버(2a)로부터 흡입챔버(3a)로의 흐름을 정지시켜서 크랭커챔버(2a)내의 압력을 증가시킨다. 크랭크챔버(2a)의 압력증가는 회전경사판(15)을 최소경사로 경사지게 한다.
온도센서(39)에 의해 검출된 온도가 소정치를 초과하면, 제어프로그램은 솔레노이드(90)를 여기한다. 솔레노이드(90)가 탈여기될 때, 압력해제통로(88)는 개방된다. 크랭크챔버(2a)내의 압력과 흡입챔버(3a)내의 압력 사아의 차이는, 압력해제통로(88)를 통해 압력이 해제되기 때문에 크랭크챔버(2a)내의 압력이 감소되도록 한다. 압력감소는 회전경사판(15)을 최소경사로부터 최대경사로 경사지게 한다.
제어컴퓨터 C1는 도 33에 나타낸 냉각순환제어프로그램을 속도검출기(41)로부터의 회전데이타에 따라 실행한다. 엔진이 정지되고 속도검출기(41)에 의해 검출된 단위시간당 회전수가 소정 회전치 M이하로 되면 제어컴퓨터 C1는 전자밸브(89)를 여기한다. 이것은 압력해제통로(88)를 개방시켜 회전경사판(15)을 최소경사로 경사지게 한다. 전자밸브(89)의 여기화는 회전경사판(15)을 최소경사로 경사지게 하는데 요구되는 기간보다 긴 기간 t4동안 계속한다. 컴퓨터 C1는 이후 전자밸브(89)를 탈여기하여 압력해제통로(88)를 폐쇄한다. 엔진이 기동되고, 속도검출기(41)에 의해 검출된 단위시간당 회전이 소정의 회전치 M를 초과할 때, 제어컴퓨터 C1는 전자밸브(89)의 여기화를 허용하는 모드로 들어간다. 기간 t1이 아직 경과되지 않은 기간동안 제어컴퓨터 C1는, 온도센서(39)에 의해 검출된 온도가 소정 온도를 초과할 때에도 전자밸브(89)를 여기시키지 않는다.
이 실시예를 클러치레스압축기에 있어서, 제어컴퓨터 C1프로그램은 냉각제순활을 속도검출기(41)로부터 보내진 회전속도의 데이터에 따라 제어한다.
이것은 압축기 내측의 윤활을 보장한다.
다음에 도 34 ∼ 도 36에 나타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부분과 동일한 부분은 동일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위치결정면(27)은 밸브형성플레이트(5a)상에 형성되고 셔터(21)는 밸브형성플레이트(5a)에 접촉한다. 압축스프링(94)은 회전지지체(8)와 회전경사판(15)사이에 배치된다. 압축스프링(94)은 그 경사가 최소인 방향으로 회전경사판(15)을 압압한다.
벨레빌스프링(belleville spring)(93)이 고정구멍(13)에 내장된다. 셔터(21)는 벨레빌스프링(93)에 접촉한 후 위치결정면(27)에 접촉한다. 셔터(21)는 탄성변형을 일으키고 벨레빌스프링(93)을 평편하게 하여 흡입통로(26)를 폐쇄시킨다. 도 3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자밸브(32)가 탈여기된 때 엔진이 운전되는 한 압축스프링(94)의 스프링힘과 크랭크챔버(2a)내의 압력과 흡입압력과의 차이는 셔터(21)가 벨레빌스프링(93)을 탄성적으로 평편하게 변형시켜서 흡입통로(26)를 폐쇄하도록 한다. 엔진이 동작을 정지하고 회전경사판(15)이 탈여기상태의 전자밸브(32)와 함께 회전을 정지하는 경우, 벨레빌스프링(93)의 스프링힘은 셔터(21)를 위치결정면(27)으로부터 멀리 이동시킨다. 그러므로, 엔진이 운전되지 않을 때 셔터(21)는 위치결정면 (27)으로부터 분리되고 회전경사판(15)은 최소경사보다 큰 정지경사로 경사진다.
엔진이 운전을 개시하는 경우, 회전경사판(15)은 정지경사에서 회전을 개시한다. 따라서, 냉각제가 외부냉각제회로(35)에서 순환하여 압축기내의 윤활을 보장한다. 엔진이 기동하고 전자밸브(32)가 동시에 여기되는 경우, 벨레빌스프링(93)은 그 경사가 최소경사로부터 극단적으로 느린 비율로 증가하는 회전경사판(15)을 무시하고 외부냉각제순환로(35)에서의 즉각적인 냉각제순환을 보장한다.
다음에, 도 37에 나타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34에 나타낸 부분과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위치결정면(270은 스프링은 특성을 가지는 밸브형서을레이트(5a)상에 형성된다. 리프(leaf)스프링부(5c)는 고정구멍(13)의 내측으로 노출된 밸브형성플레이트(5a)의 부분에 형성된다. 셔터(21)는 탄성변형을 일으키고 리프스프링(5c)을 평편하게 하여 흡입통로(26)를 폐쇄한다. 즉, 리프스프링부(5c)는 도 34의 벨레빌스프링(93)으로 대체하여 엔진이 운전하지 않을 때에는 셔터(21)가 위치결정면(27)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한다. 이것은 회전경사판(15)을 정기 경사까지 경사지게 한다. 따라서, 압축기내의 윤활이 보장된다.
도 34 및 도 37에 나타낸 실시예는 도 19 ∼ 도 22의 플로차트에 나타낸 것과 같은 방식으로 여기 및 탈여기제어를 행한다. 그러나, 압축기내의 윤활은 이와 같은 여기 및 탈여기제어없이 보장될 수 있다. 엔진이 동작을 개시할 때 위치경사판(15)은 정지 경사각에서 회전을 개시하여 전자밸브(32)가 여기되지 않을 때에도 외부냉각제순환로(35)에서 냉각제가 순환한다. 또한, 배출챔버(3b), 크랭크챔버(2a), 흡입챔버(3a)내의 압력 사이에 차이가 커지게 될 경우, 회전경사판(15)은 벨레빌스프링(93)의 스프링힘에 대항하여 최소경사로 경사진다. 따라서, 냉각제순환은 회전경사판(15)이 정지경사로부터 최소경사까지 경사질 때 행해진다. 이것은 압축기내의 윤활을 확보한다.
더욱이, 본 발명은 클러치레스 압축기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3-373738호 설명된 압축기에 응용할 수 있고, 이러한 압축기에는 전자밸브를 사용하여 외부냉각제회로로부터 흡입챔버로의 냉각제가스의 흐름을 저지하는 냉각제순환저지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흡입챔버(3a)외에, 흡입압력죤은 크랭크챔버(2a)내에 셔터(21)에 의해 형성된 고정구멍(13)의 내부와, 개구(4c)를 구비한다.
배출챔버(3b)외에, 배출압력죤은 출구(1b)의 출구(1b)된 콘덴서(36) 사이의 부분에 외부냉각제순환로를 구비한다.
다음에, 상기 실시예로부터 명백한 발명성에 대하여 여기서 얻어지는 효과와 함께 설명한다.
(1) 청구항 12에 의한 클러치레스압축기에 있어서의 윤활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외부냉각제순환로내의 냉각제가스가 흡입압력죤으로 흡입되는 것을 셔터가 금지하는 폐쇄위치와, 냉각제가스가 흡입압력죤으로 흡입되는 것을 셔터가 허용하는 개방위치 사이에서 회전경사판의 경사에 따라 이동하는 셔터와,
회전경사판이 회전하지 않을 때 회전경사판을 경사가 증가하는 방향으로 압압함으로써 회전경사판을 최소경사보다 큰 경사로 유지하는 압압수단을 포함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압압수단을 벨레빌스프링과 밸브형성플레이트상에 형성된 리프스프링부와 같은 부분과 관련이 있다. 압압수단은 외부냉각제순환로에서의 냉각제순환과 회전경사판의 회전을 즉시 개시시킬 수 있다.
(2) 직선왕복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한 단일헤드 피스톤을 수용하기 위한 실린더보어를 구비하는 하우징내의 회전축에 고정된 회전지지체와, 경사가능한 방법으로 회전지지체에 의해 지지된 회전경사판을 가진 클러치레스압축기에 있어서의 윤활제어장치에 있어서, 회전경사판의 경사는, 크랭크챔버내의 압력과 흡입압력의 차이에 따라 크랭크챔버에 공급된 배출압력영역내의 압력과 크랭크챔버내의 압력을 조정하기 위해 흡입압력영역으로 방출되는 크랭크챔버내의 압력사이에 있는 피스톤으로 제어되고, 클러치레스압축기의 윤활제어장치는:
회전경사판의 최소경사를 제한하여 0이 아닌 변위를 생성하는 최소경사제한수단과, 외부냉각제순환로내의 냉각제가스가 흡입압력죤으로 흡입되는 것을 셔터가 금지하는 폐쇄위치와, 냉각제가스가 흡입압력죤으로 흡입되는 것을 셔터가 허용하는 개방위치 사이에서 회전경사판의 경사에 따라 이동하는 셔터와, 회전경사판이 회전하지 않을 때 회전경사판을 경사가 증가하는 방향으로 압압함으로써 회전경사판을 최소경사보다 큰 경사로 유지하는 압압수단과, 크랭크챔버를 배출압력영역에 접속하는 압력통로와, 압력통로에 배치되어 압력통로를 개방하는 강제 회전경사판 경사감소 수단을 포함한다.
외부냉각제순환로내에서의 냉각제순환은, 압력통로의 폐쇄에 관계없이 회전경사판이 회전을 개시할 때 즉시 개시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 냉각제순환제어수단으로부터의 냉각제순환저지명령신호의 출력은, 구동전력을 클러치레스압축기에 공급하는 구동원이 작동될 때 개시된 소정기간동안 정지된다. 이것은 구동원이 작동된 후 외부냉각제회로로부터 압축기에 윤활유를 포함하는 냉각제가스를 흡입한다. 이로써, 압축기내에서의 충분한 윤활을 보장하는 개선된 효과가 얻어진다.
청구항 2의 발명에 있어서, 냉각제순환제어수단으로부터의 냉각제순환저지명령신호의 출력은, 구동원이 작동상태에 있을 때 주기적으로 정지된다. 이것은 외부냉각제순환로로부터 압축기로 윤활유를 포함하는 냉각제가스를 주기적으로 흡입한다. 이로써, 압축기내에서의 충분한 윤활을 보장하는 개선된 효과가 얻어진다.
청구항 3의 발명에 있어서, 냉각제순환제어수단으로부터의 냉각제순환저지명령신호의 출력은 구동원이 작동될 때 개시되는 소정기간동안 정지된다.
냉각제순환제어수단으로부터의 냉각제순환저지명령신호의 출력도 구동원이 작동상태에 있을 때 주기적으로 정지된다. 이것은 구동원의 작동직후 외부냉각제순환로로부터 압축기에 윤활유를 포함하는 냉각제가스를 흡입한다. 또한 구동원이 작동상태에 있을 때 외부냉각제회로로부터 압축기에 윤활유를 주기적으로 흡입한다. 이로써, 압축기내에서의 충분한 윤활을 보장하는 개선된 효과가 얻어진다.
청구항 4의 발명에 있어서, 냉각제순환저지명령신호의 출력의 주기적인 정지는 구동원이 작동될 때 개시된다. 이것은 구동원의 작동직후 외부냉각제순환로로부터 압축기에 윤활유를 흡입한다. 이후, 윤활유는 외부냉각제순환로로부터 압축기에 주기적으로 흡입한다. 이로써, 압축기내에서의 충분한 윤활을 보장하는 개선된 효과가 얻어진다.
청구항 9의 발명에 있어서, 냉각제순환제어수단은 포지티브온도계수서미스터를 냉각제순환저지수단의 구동회로에 전기접속하고, 전기구동회로와 포지티브온도계수서미터를 구동원의 구동전원에 대하여 직렬로 접속하고, 포지티브계수서미스터를 전기레지스터에 열접속함으로써 구성된다. 이것은 구동원이 작동된 후 외부냉각제회로로부터 압축기에 윤활유를 포함하는 냉각제가스를 흡입한다. 이로써, 압축기내에서의 충분한 윤활을 보장하는 개선된 효과가 얻어진다.
청구항 11의 발명에 있어서, 냉각제순환제어수단은 열검출스위치를 냉각제순환저지수단의 전기구동회로에 전기접속하고, 전기구동회로와 열검출스위치를 구동원의 구동전원에 대하여 직렬로 접속하고, 전기구동회로와 레지스터를 열검출스위치에 대하여 병렬로 접속함으로써 구성된다. 이것은 구동원이 작동상태에 있을 때 외부냉각제순환로로부터 압축기에 윤활유를 포함하는 냉각제가스를 주기적으로 흡입한다. 이로써, 압축기내에서의 충분한 윤활을 보장하는 개선된 효과가 얻어진다.
청구항 12의 발명에 있어서, 냉각제순환저지명령신호의 출력은 소정기간 또는 구동원이 작동상태에 있을 때 주기적으로 정지된다. 강제회전경사판경사감소수단은 냉각제순환저지명령신호의 출력이 정지될 때 압력통로를 폐쇄한다. 이것은 구동원의 작동직후, 외부냉각제순환로로부터 압축기에 윤활유를 포함하는 냉각제가스를 흡입하거나 또는 구동원이 작동상태에 있을 때 외부냉각제순환로로부터 압축기에 윤활유를 주기적으로 흡입한다. 이로써, 압축기내에서의 충분한 확보하는 개선된 효과 얻어진다.

Claims (16)

  1. 외부냉각제순환로에서의 냉각제순환을 실질적으로 저지하고, 냉각제순환제어수단으로부터의 냉각제순환저지명령신호의 출력에 응답하여 동작되는 냉각제순환저지수단을 가지는 클러치레스압축기에 있어서의 윤활방법에 있어서, 상기 윤활방법은 클러치레스압축기에 구동전력을 공급하는 구동원의 작동시부터 개시되는 소정 기간동안 냉각제순환제어수단으로부터의 냉각제순환저지명령신호의 전송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레스압축기에 있어서 윤활방법.
  2. 외부냉각제순환로에서의 냉각제순환을 실질적으로 저지하고, 냉각제순환제어수단으로부터의 냉각제순환저지수단을 가지는 클러치레스압축기에 있어서의 윤활방법에 있어서, 사익 윤활방법은 클러치레스압축기에 구동전력을 공급하는 고동원이 작동상태에 있을 때에는 냉각제순환제어수단으로부터의 냉각제순환저지명령신호의 전송을 주기적으로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레스압축기에 있어서의 윤활방법.
  3. 외부냉각제순환로에서의 냉각제순환을 실질적으로 저지하고, 냉각제순환제어수단으로버터의 냉각제순환제지명령신호의 출력에 응답하여 동작되는 냉각제순환저지수단을 가지는 클러치레스압축기에 있어서의 윤활방법에 있어서, 상기 윤활방법은 클러치레스압축기에 있어서의 윤활방법에 있어서, 상기 윤활방법은 클러치레스압축기에 구동전력을 공급하는 구동원의 작동시부터 개시되는 소정 기간동안 냉각제순환제어수단으로부터의 냉각제순환저지명령신호의 전송을 정지시키고, 상기 윤활방법은 구동원이 작동상태에 있을 때에는 냉각제순환제어수단으로부터의 냉각제순환저지명령신호의 전송을 주기적으로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레스압축기에 있어서의 윤활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냉각제순환저지명령신호의 출력의 주기적인 정지를 개시하는 시점은 구동원이 작동될 때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레스압축기에 있어서의 윤활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기는 시간에 대응하고, 상기 냉각제순환제어수단은 시간측정기능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레스압축기에 있어서의 윤활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기는 시간 싸이클에 대응하고, 상기 냉각제순환수단은 시간측정기능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레스압축기에 있어서의 윤활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기는 회전수에 대응하고, 상기 냉각제순환제어수단은 압축기의 회전을 검출하는 회전속도검출기로부터 전송된 회전치 데이타 또는 압축기와 동기적으로 회전하는 구동원의 회전수에 따라 냉각제순환저지명령신호의 출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레스에 있어서의 윤활방법.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기는 회전수의 싸이클에 대응하고, 상기 냉각제순환제어수단의 압축기의 회전을 검출하는 회전속도검출기로부터 전송된 회전데이타 또는 압축기와 동기적으로 회전하는 구동원의 회전수에 따라 냉각제순환저지명령신호의 출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레스압축기에 있어서의 윤활방법.
  9. 외부냉각제순환로에서의 냉각제순환을 실질적으로 저지하고, 냉각제순환제어수단으로부터의 냉각제순환저지명령신호의 출력에 응답하여 동작되는 냉각제순환저지구단을 가지는 클러치레스압축기에 있어서의 윤활장치에 있어서, 상기 냉각제순환제어수수단은:
    상기 냉각제순환저지수단의 전기구동회로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포지티브(positive) 온도계수서미스터로 구성되고, 전기구동 회로와 포지티브온도계수서미스터는 구동전력을 클러치레스압축기에 공급하는 구동원의 구동전원에 대해 직렬로 접속되고,; 상기 포지티브온도계수서미스터는 전기레지스터에 열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레스압축기에 있어서의 윤활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레지스터는 전기 구동회로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레스압축기에 있어서의 윤활장치.
  11. 외부냉각제순환로에서의 냉각제순환을 실질적으로 저지하고, 냉각제순환제어수단으로부터의 냉각제순환저지명령신호의 출력에 응답하여 동작되는 냉각제순환저지수단을 가지는 클러치레스압축기에 있어서의 윤활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냉각제순환제어수단은:
    상기 냉각순환저지수단의 전기구동회로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열검출 스위치로 구성되고, 전기 구동회로와 열검출스위치는 구동전력을 클치레스압축기에 공급하는 구동원의 구동전원에 대해 직렬고 접속되고, 전기구동회로와 전기레지스터는 열검출스위치에 대해 병렬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레스압축기에 있어서의 윤활제어방법.
  12. 직선왕복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한 단일 헤드 피스톤을 수용하기 위한 실린더보어를 구비하는 하우징내의 회전축에 고정된 회전지지체와, 경사기능한 방법으로 회전지지체에 의해 지지된 회전경사판 가진 클러치레스압축기에 있어서의 윤활제어장치에 있어서, 회전경사판의 경사는, 크랭크챔버내의 압력과 흡입압력의 차이에 따라 크랭크챔버에 공급된 배출압력영역내의 압력과 크랭크챔버내의 압력을 조정하기 위해 흡입압력영역으로 방출되는 크랭크챔버내의 압력사이에 있는 피스톤으로 제어되고, 클러치레스압축기에 있어서의 윤활제어장치는:
    회전경사판의 최소경사를 제한하여 0이 아닌 배출량을 생성하는 최소경사제한수단과;
    최소변위상태 동안에는 외부냉각제순화로에서의 냉각제순환을 저지하는 냉각제순환저지수단과;
    구동원의 작동시부터 개시되는 소정 기간 및 구동원이 작동상태에 있을 때의 주기적인 싸이클로 구성되는 군(group) 중 적어도 하나의 기간동안 냉각제순환저지명령신호의 출력을 정지시키는 냉각제순환제어수단과;
    크랭크챔버를 배출압력영역에 접속하는 압력통로와;
    압력통로에 배치되어 냉각제순환제어수단으로부터의 냉각제순환저지명령신호의 출력에 응답하여 압력통로를 개방하는 강제회전경사판 경사감소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레스압축기에 있어서의 윤활제어장치.
  13.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주기는 시간에 대응하고, 상기 냉각제순환제어수단은 시간측정기능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레스압축기에 있어서의 윤활방법.
  14.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주기는 시간 싸이클에 대응하고, 상기 냉각제순환제어수단은 시간측정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레스압축기에 있어서의 윤활방법.
  15. 제3항과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주기는 회전수에 대응하고, 상기 냉각제순환제어수단은 압축기의 회전을 검출하는 회전속도검출기로부터 전송된 회전치데이타 또는 압축기와 동기적으로 회전하는 구동원의 회전수에 따라 냉각제순환저지명령신호의 출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레스압축기에 있어서의 윤활방법.
  16.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주기는 회전수의 싸이클에 대응하고, 상기 냉각제순환제어수단은 압축기의 회전을 검출하는 회전속도검출기로부터 전송된 회전치데이타 또는 압축기와 동기적으로 회전하는 구동원의 회전수에 따라 냉각제순환저지명령신호의 출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레스압축기에 있어서의 윤활방법.
KR1019960704760A 1995-04-07 1995-11-17 클러치레스압축기에 있어서의 윤활방법 및 윤활제어장치 KR1002039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5-082741 1995-04-07
JP07082741A JP3094836B2 (ja) 1994-04-12 1995-04-07 クラッチレス圧縮機における潤滑方法及び潤滑制御装置
PCT/JP1995/002354 WO1996031699A1 (fr) 1995-04-07 1995-11-17 Procede de lubrification dans un compresseur sans embrayage et commande de lubrific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03978B1 true KR100203978B1 (ko) 1999-06-15

Family

ID=13782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704760A KR100203978B1 (ko) 1995-04-07 1995-11-17 클러치레스압축기에 있어서의 윤활방법 및 윤활제어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807076A (ko)
EP (1) EP0764782B1 (ko)
KR (1) KR100203978B1 (ko)
CN (1) CN1083056C (ko)
CA (1) CA2184488C (ko)
DE (1) DE69520272T2 (ko)
WO (1) WO199603169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284A (ja) * 1996-06-17 1998-01-06 Toyota Autom Loom Works Ltd 可変容量圧縮機及びその制御方法
JP3062436B2 (ja) * 1996-07-09 2000-07-10 株式会社ユニクラ 斜板式圧縮機
JP3585148B2 (ja) * 1996-12-16 2004-11-04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可変容量圧縮機用制御弁
FR2761414B1 (fr) * 1997-02-25 2002-09-06 Linde Ag Systeme de reglage pour une unite hydrostatique volumetrique
JPH11159449A (ja) * 1997-11-27 1999-06-15 Toyota Autom Loom Works Ltd 可変容量型圧縮機
JPH11173341A (ja) * 1997-12-11 1999-06-29 Toyota Autom Loom Works Ltd 動力伝達機構
JP3820766B2 (ja) * 1998-03-06 2006-09-13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圧縮機
JP3984724B2 (ja) * 1998-09-10 2007-10-03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容量可変型斜板式圧縮機の制御弁及び斜板式圧縮機
JP2000158939A (ja) * 1998-11-24 2000-06-13 Toyota Autom Loom Works Ltd 車輌用空調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0329062A (ja) * 1999-05-19 2000-11-28 Toyota Autom Loom Works Ltd 可変容量型圧縮機における容量制御構造
JP2001073939A (ja) * 1999-08-31 2001-03-21 Toyota Autom Loom Works Ltd 容量可変型圧縮機の制御弁及び容量可変型圧縮機
JP2002021720A (ja) * 2000-07-06 2002-01-23 Toyota Industries Corp 容量可変型圧縮機の制御弁
JP4050899B2 (ja) * 2001-12-21 2008-02-20 ユニクラ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リミテッド 斜板式圧縮機およびそのハウジング
JP2006088979A (ja) * 2004-09-27 2006-04-06 Denso Corp 車両用空調装置
EP2372153B1 (en) * 2010-03-17 2020-07-29 Valeo Compressor Europe, s.r.o. Speed sensor
CN107489708B (zh) * 2017-05-23 2019-11-22 宝沃汽车(中国)有限公司 一种离合器及具有该离合器的车辆
US11718148B2 (en) 2018-01-23 2023-08-0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Electrified vehicle refrigerant system
CN114776565B (zh) * 2022-05-18 2023-09-05 龙口利佳电气有限公司 一种止推轴承型式隔膜增压泵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44834B2 (ko) * 1972-08-07 1982-09-24
JPS62119483U (ko) * 1986-01-21 1987-07-29
JPS62191673A (ja) * 1986-02-17 1987-08-22 Diesel Kiki Co Ltd 可変容量型揺動板式圧縮機
JPH0717151B2 (ja) * 1987-07-04 1995-03-01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製作所 可変容量コンプレッサの運転制御方法
JPS6466477A (en) * 1987-09-05 1989-03-13 Toyoda Automatic Loom Works Method of controlling capacity of capacity-variable compressor for air conditioner
US5173032A (en) * 1989-06-30 1992-12-2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Non-clutch compressor
JPH0337378A (ja) * 1989-06-30 1991-02-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クラッチレスコンプレッサ
KR970004811B1 (ko) * 1993-06-08 1997-04-04 가부시끼가이샤 도요다 지도쇽끼 세이샤꾸쇼 무클러치 편측 피스톤식 가변 용량 압축기 및 그 용량 제어방법
JP3089901B2 (ja) * 1993-07-20 2000-09-18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製作所 クラッチレス圧縮機における動力伝達構造
US5603610A (en) * 1993-12-27 1997-02-18 Kabushiki Kaisha Toyoda Jidoshokki Seisakusho Clutchless piston type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184488A1 (en) 1996-10-08
CN1143404A (zh) 1997-02-19
US5807076A (en) 1998-09-15
DE69520272T2 (de) 2001-08-09
CN1083056C (zh) 2002-04-17
DE69520272D1 (de) 2001-04-12
EP0764782A4 (en) 1997-09-24
EP0764782A1 (en) 1997-03-26
EP0764782B1 (en) 2001-03-07
CA2184488C (en) 2000-07-04
WO1996031699A1 (fr) 1996-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03978B1 (ko) 클러치레스압축기에 있어서의 윤활방법 및 윤활제어장치
JP5413837B2 (ja) 可変容量圧縮機の容量制御システム及び表示装置
KR0152698B1 (ko) 클러치레스 가변용량형 압축기를 사용한 냉동회로
US20060275145A1 (en) Control apparatus for variable capacity compressor and method of calculating torque of variable capacity compressor
JP3728387B2 (ja) 制御弁
JP2007247512A (ja) 可変容量型圧縮機における容量制御弁
EP0919721A2 (en) Thermal overload control of a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JP2000161234A (ja) 容量可変型圧縮機及び容量可変型圧縮機の容量制御弁
JP2009057855A (ja) 可変容量圧縮機
US6572341B2 (en) Variable displacement type compressor with suction control valve
JP5281320B2 (ja) 可変容量圧縮機の容量制御システム
EP1155888A2 (en) Air conditioner
JP2000186668A (ja) 可変容量型圧縮機における容量制御構造
KR0146771B1 (ko) 클러치없는 단방향 피스톤식 가변용량 압축기
US5201189A (en) Refrigerant compressor with an initial seizure prevention means
US6637223B2 (en) Control apparatus for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KR20220142579A (ko) 용량 가변형 사판식 압축기
JP3094836B2 (ja) クラッチレス圧縮機における潤滑方法及び潤滑制御装置
EP2194273A1 (en)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JP3301159B2 (ja) クラッチレス圧縮機における潤滑方法及び潤滑構造
EP0812987A2 (en)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JP4058997B2 (ja) 可変容量型圧縮機の制御装置
JP5474284B2 (ja) 可変容量圧縮機の容量制御システム
JP2009133251A (ja) クラッチレス可変容量圧縮機
JP2004026137A (ja) 可変容量型圧縮機の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31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