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3953B1 - 엔티 로크 장치를 구비한 자동차 제동 장치용 조립체의 동작 파라미터 조절 방법 - Google Patents

엔티 로크 장치를 구비한 자동차 제동 장치용 조립체의 동작 파라미터 조절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3953B1
KR100203953B1 KR1019920702411A KR920702411A KR100203953B1 KR 100203953 B1 KR100203953 B1 KR 100203953B1 KR 1019920702411 A KR1019920702411 A KR 1019920702411A KR 920702411 A KR920702411 A KR 920702411A KR 100203953 B1 KR100203953 B1 KR 1002039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ector
booster
travel distance
booster housing
movabl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7024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7000326A (ko
Inventor
레인나르츠 한스-디이터
스테페스 헬무트
리쉬 스테판
Original Assignee
프리거 하인쯔, 발터 굴리히
알프레드 테베스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프리거 하인쯔, 발터 굴리히, 알프레드 테베스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프리거 하인쯔, 발터 굴리히
Publication of KR9370003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70003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39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39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2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the fluid being gaseous
    • B60T13/46Vacuum systems
    • B60T13/52Vacuum systems indirect, i.e. vacuum booster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3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0T8/34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 B60T8/4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comprising an additional fluid circuit including fluid pressurising means for modifying the pressure of the braking fluid, e.g. including wheel driven pumps for detecting a speed condition, or pumps which are controlled by means independent of the braking system
    • B60T8/404Control of the pump unit
    • B60T8/4059Control of the pump unit involving the rate of delive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3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0T8/34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 B60T8/44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co-operating with a power-assist booster means associated with a master cylinder for controlling the release and reapplication of brake pressure through an interaction with the power assist device, i.e. open systems
    • B60T8/445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co-operating with a power-assist booster means associated with a master cylinder for controlling the release and reapplication of brake pressure through an interaction with the power assist device, i.e. open systems replenishing the released brake fluid volume into the brake pi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Systems And Boos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 제동력 승압기와 행정 감지기를 포함하는, 항고착장치를 구비한 자동차 제동장치용 조립체의 원활한 기능을 보장하기 위하여, 상기 행정 감지기(13)을 이격캡(15)에 의하여 진공 제동력 승압기(1)의 승압력을 공급하는 이동가능한 벽(11)에 대해 위치시키고 상기 이격캡(15)는 상기 행정감지기(13)을 수용하는 감지기 수용요소(17)는 감지기 수용조립체(20) 각각에 의해 상기 행정 감지기 (13)의 작동요소(14)위에 끼워지는 것을 제시한다.

Description

엔티 로크 장치를 구비한 자동차 제동 장치용 조립체의 동작 파라미터 조절 방법
본 발명은 진공 제동력 부스터(vacuum brake power booster)와, 이진공 제동력 부스터의 배력(倍力)을 공급하는 가동벽(可動壁)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전기식 이동 거리 감지기(electric travel sensor)를 포함하는 앤티 로크 장치(anti-locking device)를 구비한 자동차 제동 장치용 조립체의 동작 파라미터(funtional parameter)조절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기 전기식 이동 거리 감지기의 작동 요소와 상기 가동 벽 사이의 소정의 축방향 간격 조절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독일 특허 공개 제3,731,603호 공보에는, 개방 시스템으로서 작동 하는, 앤티 로크 장치를 구비한 제동 장치의 정상적인 기능을 보장하기 위해, 가동벽의 위치를 감지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으며, 이러한 제동 장치에는, 유압 펌프가 제공되어 있는바, 이 유압 펌프는 제어 모드(mode)에서 비압축 공급 탱크로부터 작동 유체를 흡인하고, 휠 밸브가 폐쇄된 상태에서, 진공 제동력 부스터에 이어진 마스터 브레이크 실린더로 작동 유체를 전달하여, 마스터 브레이크 실린더의 피스톤을 이동시켜 진공 제동력 부스터를 작동시키는 페달의 위치를 설정한다. 가동 벽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하여, 예컨대, 이동 거리 제어식 전기 스위치와 같은 이동 거리 감지기가 가동 벽의 위치에 따라 상기 펌프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전자식 제어 장치에 전기 신호를 공급한다.
진공 제동력 부스터, 특히 그 하우징은 상당한 크기의 작동 공차(working tolerances)를 겪게 되며, 이것은 이동 거리 감지기의 기능에 악영향을 미치고, 극단적인 경우에는 제동 장치의 완전한 파괴를 유발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식 이동 거리 감지기가 장착된 진공 제동력 부스터의 가동 벽에 대한 전기식 이동 거리 감지기의 위치를 정확히 조절하여, 작동 공차가 이동 거리 감지기의 기능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다음의 단계를 포함하는 조절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a) 진공 제동력 부스터의 출력을 전달하는 출력 부재를 위해 규정된 길이를 갖는 정지부를 진공 제동력 부스터의 부스터 하우징 내로 도입하는 단계와,
(b) 부스터 하우징을 진공으로 만드는 단계와,
(c) 가동 벽의 위치 변화에 대응하는 예정된 힘을 입력하여 진공 제동력 부스터를 작동시키는 단계와,
(d) 부스터 하우징에 있는 기준면과 가동 벽 사이의 간격을 검출하는 단계와,
(e) 단계 (d)에서 검출된 값을 이동 거리 감지기의 미리 설정된 동작 길이 측정치와 비교하는 단계와,
(f) 단계 (e)에서 얻은 비교 결과에 따라 적절한 길이의 간격 요소를 선택하는 단계와,
(g) 간격 요소를 이동 거리 감지기의 작동 요소에 장착하는 단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단른 해결책은 전술한 단계(a) 내지 단계(d)를 반복하고, 소정의 축방향 간격이 달성되도록 이동 거리 감지기를 가동 벽에 대해 위치 결정하는 것이다. 이러한 조작에 의하여, 일렬로 배열된 경우, 이동 거리 감지기의 교환이 상당히 간편해지게 된다. 전자의 해결책에 대한 후자의 해결책의 이점은 조건이 더 이상 변하지 않는 제동력 부스터에서 조절이 수행된다는 점이다. 전자의 해결책에서는, 조절이 이동 거리 감지기에서 수행되며, 이에 따라 이동 거리 감지기를 교환할 경우 조절을 다시 한번 수행할 필요가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보다 상세한 설명 및 유리한 특징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이후의 세 개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 및 특허청구의 범위의 종속항들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본원에서,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측정 장치를 도시한 도면.
제2도는 진공 제동력 부스터 및 이동 거리 감지기를 구비하는, 본 발명에 따라 조절되는 조립체를 도시한 도면.
제3도는 이동 거리 감지기를 위치 설정하는 감지기 수용 요소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제4도는 감지기 수용 요소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제1도에서 알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수행함에 있어서, 도면에 도시하지 않은 이동 거리 감지기가 장착될 진공 제동력 부스터(1)는 역지 밸브(non-return valve:6)를 통해 진공원(2)에 접속되며, 진공 제동력 부스터(1)의 부스터 하우징(10)은 기밀하게 폐쇄된다.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또, 길이(Y)가 규정된 정지부(3)는, 측정 과정 중에 부스터 하우징(10)의 내부 공간으로 도입되어 진공 제동력 부스터(1)의 출력을 전달하는 출력 부재(9)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동시에, 플라스틱재로 된 감지기 수용 요소(7)가 부스터 하우징(10)에 설치된 개구(8)로 삽입되어 측정 과정의 종료 이후에 이동 거리 감지기를 수용한다.
측정 과정에서, 측정기구(4)가 감지기 수용 요소(7)를 통해 삽입되어 밀봉체(5)에 의해 밀봉되는데, 이 측정 기구(4)의 역할은 부스터 하우징(10)에 규정된 기준면 즉, 감지기 수용 요소(7) 의 전면(12)과 진공 제동력 부스터(1)의 배력을 공급하는 가동 벽(11) 사이의 간격(A)을 정해진 시간에 측정하는 것이다. 예정된 크기의 힘(F)이 입력되어 진공 제동력 부스터(1)후속 작동하는 경우, 출력 부재(9)를 구비한 가동 벽(11)은 출력 부재(9)가 정지부(3)에 맞닿아 접촉할 때까지 일정 시간 동안 정지부(3) 방향으로 미끄러지며, 결과적으로 가동 벽(11)은 일점 쇄선으로 도시한 지점에 위치된다.
이러한 위치에 해당하는 가동 벽(11)과 감지기 수용 요소(7)의 전면(12) 사이의 축방향 간격(A)은 이동 거리 감지기(13)(제2도 참도)의 동작 길이 측정치(functional length measure)와 비교되며, 이동 거리 감지기의 작동 요소(14)가 작동 중에 가동 벽(11)과 상호 작용한다. 상기 동작 길이 측정치는 이동 거리 감지기(13)의 규정된 절환점(switch point)에 도달되는 순간에서의 작동 요소(14)의 길이와 일치하는 것 좋다. 그 직후 예컨대, 간격 캡(15)과 같은 간격 요소의 정확한 길이가 절술한 비교 결과를 기초로 하여 결정된다. 길이가 다른 간격 캡(15)을 비교 결과에 대비시키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예컨대, 적색, 녹색, 청색 또는 백색과 같은 규정된 색상을 각각의 간격 캡(15)의 길이 측정치에 대응하도록 구성한다. 적당한 간격 캡(15)을 선택하고 나면, 이 간격캡(15)을 작동 요소 (14)의 단부에 끼우고, 이동 거리 감지기(13)를 감지기 수용요소(7) 내로 도입하여 유지 링(16)에 의해 미끄러지지 않게 고정한다. 이렇게 하여, 조절 과정이 종료된다.
제3도는 플라스틱재로 된 감지기 수용 요소(17)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감지기 수용 요소는 진공 제동력 부스터(1)에서 직접 조절이 수행되도록 전술한 바와 같은 가동 벽(도시하지 않음)에 대한 이동 거리 감지기(13)의 위치 결정에 대응한다. 이를 위하여, 전술한 기준면과 가동 벽 사이의 간격의 크기에 따라 선택된 예컨대, 측정치가 다른 네 그룹의 감지기 수용 요소(17)를 제공한다. 이 경우 기준면은 이동 거리 감지기(13)를 수용하는 부스터 하우징(10)의 표면에 의해 형성된다.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감지기 수용 요소(17)는 부스터 하우징(10)의 내부 공간으로 돌출되는 영역에 복수 개의 고정 돌출부(18)를 구비하며, 이 고정 돌출부(18)는 부스터 하우징(10) 내부에 감지기 수용 요소(17)가 장착된 상태에서, 이 감지기 수용 요소(17)를 위해 설치된 개구 (8)의 가장자리 후방을 잡게 된다. 탄성 밀봉체, 바람직하게는 O-링(27)이 부스터 하우징(10)의 표면과 감지기 수용 요소(17)에 형성된 환형 면(28)의 사이에 배치되어 부스터 하우징(10)에 대해 감지기 수용 요소(17)를 효과적으로 밀봉한다. 이동 거리 감지기(13)를 감지기 수용 요소(17)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감지기 수용 요소(17)에는 부스터 하우징(10)의 외측 범위에, 이동 거리 감지기(13)를 유지하는 유지 링 (16)을 수용하는 반경방향 원주 홈(19)이 제공되며, 장착된 이동 거리 감지기(13)의 위치를 결정하고 정확한 감지기 수용 요소(17)를 선택하기 위한 근거가 되는 감지기 수용 요소(17)의 동작 파라미터는 부스터 하우징(10)의 표면과 이 부스터 하우징(10)에 보다 가까이 위치되는 원주 홈(19)의 측면 사이의 간격(L)에 따라 규정된다.
또한, 부스터 하우징(10)에 감지기 수용 요소(17)를 고정시키는 다른 방법으로는 예컨대, 총검식 고정부(bayonet lockint)를 고려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감지기 수용 요소(17)에는 예컨대, 부스터 하우징(10)의 대응 간극에 삽입되는 복수 개의 반경방향 돌출부가 제공되며, 이에 의해 감지기 수용 요소는 그 돌출부가 개구(8)의 가장자리 후방을 재차 붙잡도록 회전되며, 감지기 수용 요소를 밀봉하는 O-링(27)은 총검식 고정부에 필요한 압축 응력 및 유지력을 제공한다.
제4도에 도시한 플라스틱재로 된 감지기 수용 조립체(20)는 그 전체 길이가 변화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 감지기 수용 조립체(20)는 내측으로부터 부스터 하우징 개구(8)를 통과하여 연장되는 제1부분(21)과, 부스터 하우징(10)의 외부에 위치되는 제2부분(22)으로 구성되며, 이들 제1 및 제2부분(21, 22)은 나사 결합부(29)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
도시한 감지기 수용 조립체(20) 장착 동안에, 제1 부분(21)은 개구(8)를 통해 끼워져서 고정 링(23)에 의해 이탈되지 않게 고정된다. 가동 벽과 부스터 하우징(10)에 있는 기준면 사이의 전술한 간격(A)이 검출되면, 또는 장착된 이동 거리 감지기(13)의 위치를 결정하는 동작 파라미터(L)가 확정되면, 제1부분(21)이 최종 단계에서 홈(25)에 탑재되어, 암나사를 구비한 제2부분(22)이 수나사를 구비한 제1부분(21)에 나사 결합되며, 제1부분(21)을 향하여 있는 제2부분(22)의 단부에 회전 방지 수단으로서 형성된 돌출부(24)가 이러한 최종 단계에서 부스터 하우징(10)에 제공된 간극에 수용된다.
이러한 변형예의 구성에 있어서, 부스터 하우징(10)에 대해 제2부분(22)을 밀봉하는 O-링(27)은 부스터 하우징(10)을 향하여 있는 제2부분(22)의 전면에 형성된 환형 홈(26) 내에 배치되는데, 이 환형 홈(26)의 측면은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어, O-링(27)은 장착 중 환형 홈(26)으로부터 이탈될 수 없게 되어 있다. 예정된 동작 파라미터(L)에 도달하면 조절 과정이 종료되므로, 이동 거리 감지기(13)가 삽입되어 유지 링(16)에 의해 고정될수 있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부스터 하우징(10)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떨어져 반대 방향을 향하고 있는 제1부분(21)의 전면은 이동 거리 감지기(13)를 감지기 수용 조립체(20)에 대해 밀봉하는 밀봉체(5)를 위한 지지면 즉, 인접면으로서 작용한다.

Claims (24)

  1. 진공 제동력 부스터(vaccum brake power booster)와, 이 진공 제동력 부스터의 배력(倍力)을 공급하는 가동 벽(可動壁)의 위치를 감지(monitor)하여, 작동 요소와 가동 벽 사이의 축방향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전기식 이동 거리 감지기(electric travel sensor)를 포함하는, 앤티 로크 장치(anti-locking device)를 구비한 자동차 제동 장치용 조립체의 동작 파라미터(functional parameter)를 조절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a) 진공 제동력 부스터(1)의 출력을 전달하는 출력 부재(9)를 위해 규정된 길이(Y)를 갖는 정지부(3)를 진공 제동력 부스터(1)의 부스터 하우징(10)내로 도입하는 단계와,
    (b) 부스터 하우징(10)을 진공으로 만드는 단계와,
    (c) 가동벽(11)의 위치 변화에 대응하는 예정된 힘을 입력하여 진공 제동력 부스터(1)를 작동시키는 단계와,
    (d) 부스터 하우징(10)에 있는 기준면과 가동 벽(11) 사이의 간격(A)을 검출하는 단계와,
    (e) 단게(d)에서 검출된 값(A)을 이동 거리 감지기 (13)의 미리 설정된 동작 길이 측정치와 비교하는 단계와,
    (f) 단계(e)에서 얻은 비교 결과에 따라 적절한 길이의 간격 요소(15)를 선택하는 단계와,
    (g) 선택된 간격 요소(15)를 이동 거리 감지기(13)의 작동 요소(14)에 장착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 방법.
  2. 진공 제동력 부스터와, 이 진공 제동력 부수터의 배력을 공급하는 가동 벽의 위치를 감지하여, 이동 거리 감지기의 작동 요소와 가동 벽 사이의 축방향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전기식 이동 거리 감지기를 포함하는, 앤티 로크 장치를 구비한 자동차 제동 장치용 조립체의 동작 파라미터를 조절하는 방법에 있어서,
    (h) 진공 제동력 부스터(1)의 출력을 전달하는 출력 부재(9)를 위해 규정된 길이(Y)를 갖는 정지부(3)를 진공 제동력 부스터(1)의 부스터 하우징(10)내로 도입하는 단계와,
    (i) 부스터 하우징(10)을 진공으로 만드는 단계와,
    (j) 가동 벽(11)의 위치 변화에 대응하는 예정된 힘을 입력하여 진공 제동력 부스터(1)를 작동시키는 단계와,
    (k) 부스터 하우징(10)에 있는 기준면과 가동 벽(11) 사이에 간격(A)을 검출하는 단계와,
    (1) 축방향 간격이 달성되도록 가동 벽(11)에 대해 이동 거리 감지기(13)를 위치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간격 요소는 작동 요소(14)의 단부에 끼워지는 상이한 길이의 간격 캡(15)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간격 캡(15)은 상이한 색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이동 거리 감지기는 부스터 하우징 내에 설치되는 감지기 수용 요소(17) 내에 위치 결정되며, 기준면은 부스터 하우징(10)으로부터 떨어져 반대 방향을 향하고 있는 감지기 수용 요소(7)의 전면 (1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감지기 수용 요소(7)의 전면(12)과 가동 벽(11)사이의 간격(A)은 부스터 하우징(10)에 도입과 동시에 밀봉되는 측정 기구(4)에 의해 측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이동 거리 감지기(13)의 동작 길이 측정치는 이동 거리 감지기(13)가 절환점에 도달하였을 때의 작동요소(14)의 단부와 기준면 사이의 간격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 방법.
  8. 제2항에 있어서, 이동 거리 감지기(13)는 감지기 수용 요소(17) 또는 감지기 수용 조립체(20) 각각에 의해 위치 결정되며, 장착된 상태에서의 이동 거리 감지기(13)의 위치를 결정하는 감지기 수용 요소(17) 또는 감지기 수용 조립체(20) 각각의 동작 파라미터는 상기 단계(k)에서 검출된 간격(A)의 크기에 따라 확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기준면은 부스터 하우징(10)의 표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감지기 수용 요소(17)에는 장착된 상태에서 부스터 하우징(10)에 설치된 개구(8)의 가장자리 후방을 붙잡는 고정 돌출부(18)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감지기 수용 요소(17)에는 이동 거리 감지기 (13)를 유지하는 유지 링(16)을 수용하는 반경방향 원주 홈(19)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 방법.
  12. 제8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감지기 수용 요소(17)에는 부스터 하우징(10)에 형성된 간극과 협력하는 반경방향 돌출부와 같은 회전 방지 수단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 방법.
  13. 제8항에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감지기 수용 요소(17)는 탄성 밀봉 링을 거쳐 총검식 고정부에 의해 부스터 하우징(10)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 방법
  14. 제8항에 있어서, 감지기 수용 조립체(20)는 가변 길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감지기 수용 조립체(20)는 두개의 부분으로 구성되며, 이 두 개의 부분(21, 22)은 서로 나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수나사를 구비하는 제1부분(21)은 부스터 하우징(10)의 내측으로부터 장착되어 고정 링(23)에 의해 고정되며, 암나사를 구비하는 제2부분 (22)은 부스터 하우징(10)의 간극과 협력하는 축방향 돌출부(24)와 같은 회전 방지 수단을 구비하며, 제1부분(21)은 제2부분(22)에 대한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수단(25)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제2부분(22)은 부수터 하우징(10)을 향하는 그 전면에 제2 부분(22)을 부스터 하우징(10)에 대해 밀봉하는 탄성 O-링(27)을 수용하는 환형 홈(26)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 방법
  18. 제15항에 있어서, 환형 홈(26)에는 경사진 측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방법.
  19. 제14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부분(22)에는 이동 거리 감지기(13)를 유지하는 유지 링(16)을 수용하는 반경방향 원주 홈(19)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 방법.
  20. 제11항에 있어서, 장착된 상태에서 이동 거리 감지기(13)의 위치를 결정하는 동작 파라미터는 기준면과 부스터 하우징(10)에 보다 가깝게 위치된 원주 홈(19)의 측면 사이의 간격(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 방법
  21. 제14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부스터 하우징(10)으로부터 떨어져 반대 방향을 향하고 있는 제1부분(21)의 전면은 이동 거리 감지기 (13)를 감지기 수용 조립체(20)에 대해 밀봉하는 밀봉체(5)에 대한 인접견으로서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 방법.
  22. 제16항에 있어서, 제1부분(21)을 회전시키기 위한 수단은 축방향 탑재 홈(25)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 방법.
  23. 제1항, 제3항, 제4항, 제5항, 제6항,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감지기 수용 요소 또는 감지기 수용 조립체(7, 17, 20) 각각은 플라스틱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 방법.
  24. 제2항, 제8항, 제9항, 제10항, 제11항, 제14항, 제15항, 제16항, 제17항, 제18항,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감지기 수용 요소 또는 감지기 수용 조립체(7, 17, 20) 각각은 플라스틱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 방법.
KR1019920702411A 1990-04-06 1991-02-05 엔티 로크 장치를 구비한 자동차 제동 장치용 조립체의 동작 파라미터 조절 방법 KR1002039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P4011165.2 1990-04-06
DEP40.11.165.2 1990-04-06
DE4011165A DE4011165A1 (de) 1990-04-06 1990-04-06 Verfahren zur einstellung eines funktionsmasses
PCT/EP1991/000214 WO1991015387A1 (de) 1990-04-06 1991-02-05 Verfahren zur einstellung eines funktionsmass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7000326A KR937000326A (ko) 1993-03-13
KR100203953B1 true KR100203953B1 (ko) 1999-06-15

Family

ID=6403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702411A KR100203953B1 (ko) 1990-04-06 1991-02-05 엔티 로크 장치를 구비한 자동차 제동 장치용 조립체의 동작 파라미터 조절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231913A (ko)
EP (1) EP0526454B1 (ko)
JP (1) JP2846467B2 (ko)
KR (1) KR100203953B1 (ko)
DE (2) DE4011165A1 (ko)
WO (1) WO199101538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116779C2 (de) * 1991-05-23 2000-08-10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Unterdruck-Bremskraftverstärker
DE4140065A1 (de) * 1991-12-05 1993-06-09 Alfred Teves Gmbh, 6000 Frankfurt, De Unterdruck-bremskraftverstaerker
DE4418444C2 (de) * 1994-05-26 1999-01-14 Lucas Ind Plc Elektronisch regelbarer Bremskraftverstärker für eine Fahrzeugbremsanlage
DE19619954A1 (de) * 1996-05-17 1997-11-20 Teves Gmbh Alfred Pneumatischer Bremskraftverstärker
DE19822010C1 (de) * 1998-05-15 1999-06-02 Lucas Ind Plc Unterdruckbremskraftverstärker mit elektrischer Signalerzeugungseinrichtung
US7183745B2 (en) * 2000-08-11 2007-02-27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Adapter for a power tool battery
US6525511B2 (en) 2000-08-11 2003-02-25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Adapter for a power tool battery
US7443137B2 (en) * 2000-08-11 2008-10-28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Adapter for a power tool battery
FR2834252B1 (fr) * 2001-12-31 2004-06-25 Bosch Gmbh Robert Servomoteur comportant un contacteur de feux stop integre
DE102008020934A1 (de) * 2008-04-25 2009-10-29 Lucas Automotive Gmbh Hauptbremszylinderanordnung mit Betätigungserfassung für eine Kraftfahrzeugbremsanlage und Kraftfahrzeugbremsanlage
FR2943972B1 (fr) * 2009-04-03 2011-04-01 Bosch Gmbh Robert Capteur pour servofrein de voiture automobile
DE102010062163A1 (de) * 2010-11-30 2012-05-31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Vorrichtung zur Überwachung von Position und Bewegung eines Bremspedals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S195559B1 (en) * 1977-12-02 1980-02-29 Jiri Perina Double-circuit braking system with the doublehaunch two-way shoe brakes
DE2840836A1 (de) * 1978-09-20 1980-04-03 Teves Gmbh Alfred Federspeicher, insbesondere zur bremsbetaetigung
JPS5648942U (ko) * 1979-09-21 1981-04-30
JPS57167861A (en) * 1981-04-06 1982-10-15 Akebono Brake Ind Co Ltd Trouble sensing device for booster
DE3226579C1 (de) * 1982-07-16 1983-12-15 Adam Opel AG, 6090 Rüsselsheim Kraftfahrzeug mit einem im Bremssystem vorgesehenen Bremslichtschalter
DE3308279A1 (de) * 1983-03-09 1984-09-13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Motorwagen-bremsventil
GB2197402B (en) * 1986-11-06 1990-11-14 Teves Gmbh Alfred Brake system
DE3731603C2 (de) * 1986-11-06 2001-11-22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Blockiergeschützte Fahrzeugbremsanlage
FR2617451B1 (fr) * 1987-06-30 1989-10-27 Bendix France Procede de reglage de la course morte d'un servomoteur d'assistance au freinage
DE3815768A1 (de) * 1988-05-09 1989-11-23 Teves Gmbh Alfred Pneumatischer bremskraftverstaerker
DE3815769A1 (de) * 1988-05-09 1989-11-23 Teves Gmbh Alfred Bremsdruckregelvorrichtung
JPH02504130A (ja) * 1988-05-09 1990-11-29 アルフレッド・テヴェス・ゲーエムベーハー ブレーキ圧制御装置
DE3838439A1 (de) * 1988-11-12 1990-05-17 Teves Gmbh Alfred Blockiergeschuetzte hydraulische bremsanlage
DE3918012A1 (de) * 1989-06-02 1990-12-06 Teves Gmbh Alfred Unterdruckbremskraftverstaerker, insbesondere fuer eine blockiergeschuetzte, hydraulische bremsanl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5505576A (ja) 1993-08-19
DE59103053D1 (de) 1994-10-27
EP0526454B1 (de) 1994-09-21
US5231913A (en) 1993-08-03
JP2846467B2 (ja) 1999-01-13
EP0526454A1 (de) 1993-02-10
DE4011165A1 (de) 1991-10-10
WO1991015387A1 (de) 1991-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03953B1 (ko) 엔티 로크 장치를 구비한 자동차 제동 장치용 조립체의 동작 파라미터 조절 방법
JP4820040B2 (ja) ブレーキ監視システム
US20040020201A1 (en) Signal transmitter comprising a hall sensor integrated in a master cylinder
US20080312801A1 (en) Apparatus for determining positions and movements of a brake pedal for a vehicle brake system
KR20130037720A (ko) 마스터 실린더용 센서 모듈
US4365538A (en) Vacuum operatable differential servo-motor
JP4440634B2 (ja) 車両ブレーキ装置のブレーキ真空倍力装置とこのブレーキ真空倍力装置を備えた車両ブレーキ装置を運転する方法
US3747337A (en) Spring brake system with a constant force single stroke pumping means
US4406213A (en) Mechanically controlled brake power booster
KR20130130767A (ko) 브레이크 페달의 위치와 이동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디바이스
GB1016036A (en) Fluid pressure motor
JPH0245252A (ja) 車両におけるブレーキ装置用のバキユームブースター
KR937000326A (ko) 항고착 장치를 구비한 자동차 제동장치용 조립체의 기능인자를 조절하기 위한 방법
US4522031A (en) Fluid pressurizing device
GB2232733A (en) Master cylinder arrangement comprising means for determining the position of the master piston
US4937553A (en) Electrohydraulic device for continuously monitoring the pressure in a hydraulic brake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US5261312A (en) Arrangement and method for fixing a travel sensor in a vacuum brake power booster
US5031971A (en) Brake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and brake force booster therefor
US4409885A (en) Brake booster
US5709437A (en) Vehicle braking system
HUT77500A (hu) Eljárás féknyomás szabályozására
US5123330A (en) Vent conduit through position monitoring device for a work cylinder
US5016442A (en) Master cylinder with fluid level and pressure failure detector
US3969898A (en) Reserve reservoir cover
KR100957507B1 (ko) 제동 시스템용 공압 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