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7720A - 마스터 실린더용 센서 모듈 - Google Patents

마스터 실린더용 센서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7720A
KR20130037720A KR1020137004046A KR20137004046A KR20130037720A KR 20130037720 A KR20130037720 A KR 20130037720A KR 1020137004046 A KR1020137004046 A KR 1020137004046A KR 20137004046 A KR20137004046 A KR 20137004046A KR 20130037720 A KR20130037720 A KR 201300377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travel distance
master cylinder
vacuum
distance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40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59267B1 (ko
Inventor
요제프 네흐트게스
니코 내트헤르
토마스 바론
칼-하인즈 샤우스트
클라우스 울메르
Original Assignee
루카스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루카스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루카스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300377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77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92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92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4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braking action or preparation for braking, e.g. by detection of the foot approaching the brake ped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ower brake systems not covered by groups B60T8/00, B60T13/00 or B60T15/00, or presenting other characteristic features
    • B60T17/18Safety devices; Monitoring
    • B60T17/22Devices for monitoring or checking brake systems; Signa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1/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out power assistance or drive or where such assistance or drive is irrelevant
    • B60T11/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out power assistance or drive or where such assistance or drive is irrelevant transmitting by fluid means, e.g. hydraulic
    • B60T11/16Master control, e.g. master cylin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2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the fluid being gaseous
    • B60T13/46Vacuum systems
    • B60T13/52Vacuum systems indirect, i.e. vacuum booster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4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4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 B60T7/04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by electrical means, e.g. using travel or force sens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5/00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L5/28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testing brak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raking Systems And Boosters (AREA)
  • Measurement Of Length, Angles, Or The Lik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AREA)
  • Valves And Accessory Devices For Braking Systems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 Transmission Of Braking Force In Braking Systems (AREA)

Abstract

마스터 실린더에 사용하기 위한 센서 조립체에 대하여 설명한다. 마스터 실린더는 신호 전송기 요소가 결합되는 입력측 작동 요소를 포함한다. 센서 모듈은 상기 작동 요소에 의해 수행된 이동 거리를 검출하는 이동 거리 센서와, 상기 작동 요소가 미리 결정한 위치에 도달하였을 때를 검출하는 위치 센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마스터 실린더용 센서 모듈{SENSOR MODULE FOR A MASTER CYLINDER}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자동차 브레이크 시스템 분야에 관한 것이다. 더 정확하게 말하자면, 본 발명은 자동차 브레이크 시스템의 마스터 실린더용 센서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마스터 실린더에 하나 이상의 센서를 구비시킨다는 것은 오래 전부터 이미 알려져 있다. 일례로, 마스터 실린더에서 유지되는 유압은 자주 관심거리가 되고 있는데, 그 이유는 많은 마스터 실린더들에 유압 센서가 설치되기 때문이다. 센서에 의해 결정된 마스터 실린더 내의 유압은 운전자의 입력을 검출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진공 브레이크 부스터 내의 진공은 마스터 실린더 유압을 가지고 모델에서 계산될 수 있고 그에 따라 부스터의 작동성을 결정할 수 있다.
독일 특허 공개 공보 DE 10 2004 013 191 A호에서는 마스터 실린더에 진공 브레이크 부스터의 진공 챔버와 연통하는 진공 영역을 마련하고 마스터 실린더의 상기 진공 영역 안에 진공 센서를 배치하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 센서 조립체 내의 정지등 스위치의 위치 센서와 진공 센서를 통합하며 아울러 그 전체의 센서 조립체를 마스터 실린더의 진공 영역 안에 설치하는 특수한 구성을 제안하고 있다.
독일 특허 공개 공보 DE 10 2004 013 191 A호에 의해 공지된 센서 조립체는, 끝단에 진공 센서와 위치 센서를 수용하고 있는 손가락 모양 캐리어 요소를 포함한다. 마스터 실린더의 진공 영역 안에 센서들을 위치시키기 위해, 전방에 센서들을 수용하고 있는 캐리어 요소는 마스터 실린더에 형성된 채널을 통과하여 진공 영역 안으로 개방된다.
진공 센서는 상당한 비용을 수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이유로 해서, 적어도 저가의 자동차에 있어서는 진공 센서가 없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는 별개로, 상기 위치 센서 외에, 브레이크 페달의 이동 거리를 결정하기 위한 이동 거리 센서도 종종 설치하고 있다. 이러한 이동 거리 센서는 브레이크 페달의 영역의 각기 다른 위치에 설치될 수 있는데, 여기에는 복잡한 장착 및 배선 방안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 개념에 있어서의 상기한 바와 같은 단점 혹은 그 외의 단점들 중 하나 이상의 단점을 피할 수 있는 마스터 실린더 센서 조립체와 관련한 대안적인 기술 개념을 특정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한 가지 태양에 따르면, 입력측 작동 요소(actuating element)와, 상기 작동 요소에 결합되는 센서에 의해 검출될 수 있는 신호 전송기 요소를 구비하는 마스터 실린더에서 사용하기 위한 센서 조립체를 제공한다. 이 센서 조립체는 작동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이동 거리를 검출하는 이동 거리 센서(travel sensor)와, 작동 요소가 미리 결정된 위치에 도달하였을 때를 검출하는 위치 센서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 거리 센서는 아날로그 신호(예, 연속 신호)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위치 센서는 이진 신호(예, 온/오프)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 가지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 거리 센서와 위치 센서는 서로 거리를 두고 위치된다. 그 거리는 신호 전송기 요소의 선형 범위(linear extension)에 의존하여 선정될 수 있다. 이동 거리 센서와 위치 센서 사이의 상기 거리와, 신호 전송기 요소의 선형 범위는 모두가 작동 요소 또는 신호 전송기 요소의 한 이동 방향에서 정해질 수 있다.
변형 예에 따르면, 상기 이동 거리 센서와 위치 센서 사이의 거리는 신호 전송기 요소의 길이의 대략 1/2에 해당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거리는 일례로 전자기 방사를 방출하는 신호 전송기 요소(예, 자기 요소)의 경우에 유리하다. 그러나 상기한 센서들과 신호 전송기 요소의 구현예의 여하에 따라, 이동 거리 센서와 위치 센서 간의 거리를 위에서 언급한 거리와는 다른 거리로 정할 수 있다.
이동 거리 센서와 위치 센서는 일례로 자속 밀도와 같은 전자기 방사를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실시예에서, 이동 거리 센서는 작동 요소의 시작 위치에서 이동 거리 센서가 대략 자속 밀도 최대치(신호 전송기로 되돌아가는) 영역에 놓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센서 조립체가 추가의 제2 이동 거리 센서를 포함하는 경우, 제2 이동 거리 센서는 작동 요소의 시작 위치에서 제2 이동 거리 센서가 대략 추가적인 자속 밀도 최대치 영역에 놓이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위치 센서는 작동 요소의 시작 위치에서 위치 센서가 대략 상기 2개의 자속 밀도 최대치 사이의 영역에 놓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위치 센서는 여러 임무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례로, 위치 센서는 정지등 스위치의 일부일 수 있다. 이에 대한 선택적이거나 추가적인 것으로, 위치 센서는 다른 목적들을 위해서도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위치 센서는 보정 목적으로 이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실시예에 있어서, 센서 조립체는 위치 센서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이동 거리 센서(이동 거리 센서의 출력 신호)를 보정하도록 설계된 회로 장치일 수 있다.
이동 거리 센서와 위치 센서는 다른 물리적 원리에 기초할 수 있다. 이 외에 일례로 광학 센서들, 자기 방사 센서, 특히 자속 밀도를 검출하는 센서들도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센서들은 홀(Hall) 센서, AMR 센서, GMR 센서, CMR 센서 및 리드(Reed) 릴레이를 포함하는 센서 그룹에서 선택할 수 있다. 상기 AMR은 이방성 자기 저항 효과(anisotropic magnetoresistive effect)를 의미하고, GMR은 거대 자기 저항 효과(gigantic magnetoresistive effect)를 의미하며, CMR은 초거대 자기 저항 효과(colossal magnetoresistive effect)를 의미한다.
센서 조립체는 진공 영역 내의 진공을 검출하며 마스터 실린더의 진공 브레이크 부스터 내에서 통신하기 위해 마련되는 진공 센서를 선택적으로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진공 센서, 이동 거리 센서, 그리고 위치 센서를 수용하는 하우징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진공 센서가 마스터 실린더의 진공 영역과 연통할 수 있게 하는 하우징 개구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을 마스터 실린더의 외측에 장착하기 위한 체결 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르면, 마스터 실린더와 본 발명에서 제시되는 센서 조립체를 포함하는 마스터 실린더 조립체가 제공된다. 마스터 실린더는 입력측 작동 요소와, 이 마스터 실린더의 상기 작동 요소에 결합되며 추가로 마련되는 센서들에 의해 검출될 수 있는 신호 전송기 요소를 구비한다.
마스터 실린더 조립체는 마스터 실린더의 작동 요소에 결합되는 플런저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런저는 신호 전송기 요소를 유지하며 마스터 실린더의 영역 안에 형성된 채널 안으로 돌입할 수 있게 마련된다. 마스터 실린더가 진공 영역을 갖는 경우, 상기 채널은 진공 영역의 일부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입력측 작동 요소를 구비하는 마스터 실린더와 조합하여 사용하기 위한 센서 조립체를 작동시키는 방법도 제공하는데, 상기 입력측 작동 요소에는 센서들에 의해 검출될 수 있는 신호 전송기 요소가 결합되며, 상기 센서 조립체는 이동 거리 센서와 위치 센서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상기 방법은 작동 요소에 의해 수행된 이동 거리를 이동 거리 센서로 검출하는 단계와 작동 요소가 미리 결정된 거리에 도달했을 때를 위치 센서로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수행된 이동 거리와 위치 센서에 의해서 검출된 미리 결정된 위치에 도달하였을 때의 위치를 비교하는 단계도 포함한다. 이와 같은 비교에는 일례로, 위치 센서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이동 거리 센서를(이동 거리 센서의 출력 신호를) 보정하는 단계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보정은 미리 결정된 위치에 도달하였을 때를 검출하는 데에(일례로, 위치 센서의 전환 위치에) 영향을 미치게 할 수 있다. 상기 보정을 위해, 이동 거리 센서의 출력 신호는 미리 결정된 위치에 도달하였을 때의 기준 신호로 삼을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일례로 이동 거리 센서의 출력 신호의 이득(gain)은 상기 기준 신호에 따라서 조정될 수 있다.
위치 센서의 출력 신호는 타당성 검사(plausibility check)를 받을 수 있다. 여기서 타당성 검사는 제동 절차(braking procedure) 중에 있음을 나타내는 또 다른 신호를 반복 평가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신호는 예를 들면 선형 가속 센서나 혹은 차륜 속도 센서에서 전달받을 수 있는 것이다.
이동 거리 센서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또 다른 양들을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양들의 결정은 이동 거리 센서를 특히 사전에 보정함으로써 (그리고 선택적으로 이동 거리 센서의 출력 신호에 대한 타당성 검사를 함으로써) 특히 정확하고 신뢰성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브레이크 페달 이동 거리 및/또는 진공 브레이크 부스터의 진공이 이동 거리 센서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그 각각에 대한 결정은 수학적 계산에 기초하여(일례로, 수학적 모델을 사용하여) 행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태양들과, 이점들과, 구성들은 아래에서 설명하는 여러 실시예들과 도면에서 드러날 것이다.
도 1은 마스터 실린더 조립체의 한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는 센서 조립체의 제1 실시예를 보이는 것으로, 도 1의 상세 확대도이다.
도 3은 센서 조립체의 제2 실시예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4는 센서 조립체용 신호 전송기의 제1 실시예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5는 센서 조립체용 신호 전송기의 제2 실시예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6은 마스터 실린더 조립체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7은 마스터 실린더 조립체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8에 따른 실시예의 자속 밀도 프로파일을 보이는 개략적인 다이어그램이다.
도 9는 센서 출력 신호의 프로파일과 가능한 검출 범위 선택을 보이는 개략적인 다이어그램이다.
도 10은 보정 개념을 보이는 개략적인 다이어그램이다.
도 11은 보정 개념을 추가로 더 보여주는 개략적인 다이어그램이다.
도 12는 브레이크 페달의 이동 거리에 기초하여 브레이크 부스터 진공을 결정하는 것을 보이는 개략적인 다이어그램이다.
도 1은 도면 부호 10으로 나타낸 자동차용 마스터 실린더 조립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마스터 실린더 조립체(10)는 마스터 실린더(12), 마스터 실린더(12)의 전방측에 체결된 진공 브레이크 부스터(14), 그리고 마스터 실린더의 외측에 장착된 센서 조립체(16)를 포함한다. 진공 브레이크 부스터는 자동차에서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에 가하는 답력(foot force)을 증강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진공 브레이크 부스터(14)는 하우징(18)을 포함한다. 하우징(18) 내측에는 진공 챔버(20)와 작동 챔버(22)가 형성된다. 작동 챔버(22)와 진공 챔버(20)는 하우징(18) 안에 피스톤식으로 배치되는 다이어프램(24)에 의해 분리된다. 다이어프램(24)은 입력 로드(25)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입력 로드(25)는 브레이크 페달(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작동된다.
운전 중에, 진공 챔버(20) 안에는 진공이 계속해서 유지되고, 작동 챔버(22)는 상기 진공 챔버(20)나 대기압에 연결된다. 상기 2개의 챔버(20, 22)들이 서로 연결되는 한은, 양 챔버(20, 22)에는 동일한 압력이 유지되고, 다이어프램(24)은 시작 위치에 위치된다. 제동 절차 중에, 작동 챔버(22)는 진공 챔버(20)에서 유체 유동이 분리되고, 대기압에 연결된다. 그 결과에 의한 작동 챔버(22) 내의 압력 증가는 다이어프램(24)에서 압력차를 발생시킨다. 이 압력차는 결국에는 다이어프램(24)을 진공 챔버(20) 방향으로 변위되게 하며 그에 따라 마스터 실린더(12)의 입력 로드(25)에 부스트력(boost force)이 작용하게 된다.
마스터 실린더(12)는 O 링(27) 형태의 밀봉 요소를 거쳐서 브레이크 부스터(14)의 하우징(18)에 체결된 하우징(26)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26) 안에는 유압 챔버(28)가 형성된다. 입력 로드(25)에 견고하게 결합된 작동 피스톤(주 피스톤)(30)은 상기 유압 챔버(28) 안에서 변위 가능하게 안내된다. 상기 유압 챔버(28) 안에는 차륜 브레이크(도시되지 않음)를 작동하는 유압이 상기 작동 피스톤(30)에 의하여 형성된다. 유압 챔버(28) 안에 이와 같이 형성된 브레이크 압력은 작동 피스톤(30)이 도 1에서 우측을 향하여 변위됨으로써 발휘된다. 작동 피스톤(30)의 이와 같은 변위는 브레이크 페달에 결합된 입력 로드(25)에 의해서 발휘되며 또한 다이어프램(24)에 의해서도 발휘된다. 이 과정 중에, 상기 작동 피스톤(30)에는, 한편으로는 운전자에 의해 도입된 답력이, 다른 한편으로는 브레이크 부스터(14)에 의해 (종래의 방식으로) 발생된 부스트력(boost force)이 작용한다.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작동 피스톤(30)에는 입력 로드(25)와 대면하는 전방면에 판 요소(32)가 체결된다. 판 요소(32)는 상기 작동 피스톤(30)에 대해 동심으로 배치되며 작동 피스톤(30)을 지나 반경 방향으로 돌출한다. 상기 판 요소(32)의 외주부 근처에는 마스터 실린더 하우징(26)의 방향으로 상기 작동 피스톤(30)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플런저(34)가 견고하게 체결된다. 플런저(34)는 봉형 요소로서 형성되고, 하우징(26) 안에 형성된 채널(36)을 거쳐서 마찬가지로 하우징(26) 안에 형성된 요홈(recess)(38) 안으로 연장된다. 플런저(34)는, 판 요소(32)로부터 떨어져 대면하는 단부에, 센서 조립체(16)에 의해 검출되는 신호 전송기 요소(40)를 유지한다. 플런저(34)가 작동 피스톤(30)에 견고하게 결합되어 있음으로 인해, 작동 피스톤(30)의 임의의 병진 이동이 신호 전송기 요소(40)로 바로 전달된다. 이러한 이유로, 신호 전송기 요소(40)의 이동이나 위치가 센서 조립체(16)에 의해 검출되면 작동 위치(30)의 이동이나 위치를 추론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신호 전송기 요소(40)는, 원칙적으로, 다른 방식의 마스터 실린더(12)의 작동 요소(예, 입력 로드(25) 또는 작동 피스톤(30))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가장 간단한 경우로서, 신호 전송기 요소(40)는 작동 요소에 바로 결합되거나 심지어는 작동 요소와 동일한 것일 수 있다. 이것의 대안적 예로서, 신호 전송기 요소(40)는 작동 요소에 견고하게 결합된 구조체에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 구조체는 예를 들면 도 1에 따른 실시예에 도시된 것과 같은 작동 요소에 결합된 플런저일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레이크 부스터(14)의 진공 챔버(20) 안에는 입력 로드(25), 판 요소(32), 플런저(34) 및 작동 피스톤(30)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설치된다. 또한, 진공 영역은, 채널(36)을 거쳐서 진공 챔버(20)와 연통하며 상기 채널(36)과 연통하는 마스터 실린더 하우징(26)의 요홈(38)과 연통하는 마스터 실린더(12) 안에 획정된다. 신호 전송기 요소(40)가 부착된 플런저(34)는 상기 진공 영역 안으로 돌입한다.
마스터 실린더(26)의 진공 영역으로 들어오는 대기 중의 공기로 인해 진공 챔버(20) 내의 진공이 손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마스터 실린더 하우징(26)의 요홈(38)은 센서 조립체(16)에 의해 진공 기밀되게 밀봉된다. 센서 조립체(16)의 이러한 점과 구성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도 2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서 센서 조립체(16)의 영역을 확대 도시한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 조립체(16)는 마스터 실린더(12)의 하우징(26)의 외측에 장착된 하우징(42)을 포함한다. 센서 조립체(16)의 하우징(42)을 마스터 실린더 하우징(26)에 장착하는 것은 마스터 실린더 하우징(26) 내의 요홈(38)을 진공 기밀되게 밀봉시키는 방식으로 해서 실행된다. 이를 위해, 센서 조립체(16)의 하우징(42)과 마스터 실린더 하우징(26) 사이의 요홈(38) 둘레에 밀봉 요소(44)가 제공된다. 이에 의하면, 마스터 실린더 하우징(26) 내의 상기 요홈(38)과 채널(36)을 거쳐서 브레이크 부스터(14)의 진공 챔버(20) 안으로 주변 공기가 침입하는 것이 방지된다.
도 2에 따른 실시예에서, 센서 조립체(16)의 하우징(42)은 나사(도시되지 않음)에 의해서 마스터 실린더 하우징(26)에 체결된다. 그러나, 마스터 실린더(12)의 진공 영역 안에서 지배적으로 형성되는 흡입 효과로 인해, 하우징(42)은 덜 안정적인 체결 장치를 이용하여 마스터 실린더(12)의 외측에 장착시킬 수도 있다. 그 예를 들면 하우징(42)을 장착하는 데에 힌지식 또는 스냅식 연결구를 사용할 수도 있다.
도 2에 따른 실시예에서, 하우징(42)은, 하우징(42)의 바닥측(46)과 측벽(48)을 획정하는 제1 하우징 요소와, 커버(50)로서 형성되며 상기 제1 하우징 요소를 위쪽에서 밀폐하는 제2 하우징 요소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42) 안에는 인쇄회로기판(PCB)이 수용된다. 상기 인쇄회로기판(52)에는 진공 센서(54)와, 직선 또는 평면 이동 거리 센서(56)와, 회로 장치(58)가 설치된다. 또한, 위치 센서(90)도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설치된다.
진공 센서(54)는 브레이크 부스터(12)의 진공 영역 내의 진공을 검출할 수 있게 한다. 이를 위해, 하우징(42)의 바닥측(46)에 형성된 개구(60)가, 진공 센서(54)가 마스터 실린더 하우징(26) 내에 형성된 요홈(38)과 연통할 수 있게 하고 그에 따라 채널(36)을 거쳐서 브레이크 부스터(16)의 진공 챔버(20)와 연통할 수 있게 한다. 진공 센서(54)(또는 인쇄회로기판(52))가 하우징 개구(60)를 센서 조립체(16)의 하우징(42)의 내부 공간에 대해 진공 기밀되게 밀봉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 센서(54) 자체는 하우징(42)의 내부 공간에 형성된 챔버(64) 안에 배치된다. 하우징 커버(50)는 챔버(62)의 영역에 개구 커버(64)를 구비한다. 이로 인해, 챔버(62) 내부에 대기압이 형성되어서, 압력차에 의거한 진공 검출을 진공 센서(54)에 의해서 할 수 있게 된다. 챔버(62) 자체는 하우징(42)의 내부 공간의 나머지 부분에 대해서 진공 기밀되게 밀봉된다.
이동 거리 센서(56)는 인쇄회로기판(52)에 선형 또는 평면형으로 형성되므로, 도 2에 따른 단면도에서는 바로 식별할 수 없다. 도 2에 따른 실시예에서, 이동 거리 센서(56)는 작동 피스톤(30)에 의해 수행된 이동 거리를 검출하기 위한 연속 또는 선형 홀 센서로서 설계된다. 작동 피스톤(30)에 의해 수행되는 이동 거리의 검출은, 작동 피스톤(30)에 견고하게 결합된 신호 전송기 요소(40)에 의해 수행된 이동 거리를 검출함으로써 간접적으로 행해진다. 이 실시예에서, 신호 전송기 요소(40)는 영구 자석으로서 구현되고, 이 영구 자석의 자속은 홀 센서로서 설계된 이동 거리 센서(56)에 의해 검출된다.
위치 센서(90)는 신호 전송기 요소(40)가(그리고 이에 의해 작동 피스톤(30)이) 미리 결정된 위치에 도달하였을 때를 검출할 수 있다. 위치 센서(90)는 예를 들면 정지등 스위치(도시되지 않음)의 일부로서, 그리고 이진(절환) 홀 센서로서 설계될 수 있다.
이동 거리 센서(56) 및 위치 센서(90)뿐만 아니라 진공 센서(54)에 회로 장치(58)가 전기 결합되고, 회로 장치는 상기 3 개의 센서들(54, 56, 90)에 적합한 신호 조절 회로(signal conditioning circuits)들을 포함한다. 한 실시예에서, 상기 회로 장치(58)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으로서 형성된다.
상기 회로 장치(58)는 출력 신호를 공통의 전기 접속부(일례로, 다극 전기 커넥터)를 통해 도 2에 도시되지 않은 외부 제어 장치로 제공한다. 전기 인터페이스는 여러 형태의 것들(일례로, CAN, SENT, PSI5, PAS4, 아날로그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외부 제어 장치는 전기 제어 장치(ECU)일 수 있다. 선택적인 구성에 따르면, 상기 회로 장치(58) 자체는 스마트 센서 개념에 따라 요구되는 제어 장치 기능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회로 장치(58)는 고수준 제어 시스템에 (일례로 CAN 버스를 거쳐서) 연결될 수 있다.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요홈(38) 안에는 나선형 스프링으로 형성된 스프링 요소(66)가 배치되는데, 이 스프링 요소는 신호 전송기 요소(40)를 유지하는 플런저(34)에 복귀력(도 2에서 좌측으로 향하는 힘) 가한다. 상기 스프링 요소(66)는, 제동 절차가 완료된 후에는, 신호 전송기 요소(40)를 구비한 플런저(34)를 도 2에 도시된 시작 위치로 항상 복귀시킨다. 신호 전송기 요소(40)는 슬라이드(68)를 거쳐서 플런저(34)에 장착된다. 상기 슬라이드(68)는 결국에는 상기 요홈(38)이나 혹은 별도의 신호 전송기 카트리지의 측벽에 형성된 홈(groove)(69) 안에서 이동 가능하게 안내된다.
도 2에 따른 실시예에서, 마스터 실린더 하우징(36)의 요홈(38) 안에 유압 센서(70)가 추가로 마련된다. 상기 유압 센서(70)는 요홈(38)의 바닥에 체결되어 구멍(72)을 거쳐서 유압 챔버(28)와 연통한다. 구멍(72)은 압력 센서(70)에 의해서 요홈(38)에 대해서 유체 밀봉되게 밀봉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압 센서(70)는 회로 장치(58)에 전기적으로 접촉한다. 앞에서 센서(54, 56, 90)들과 관련하여 설명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회로 장치(58)는 유압 센서(70)를 위한 신호 조절 회로도 포함하고, 공통의 전기 접속부를 통해 입력될 수 있는 대응하는 출력 신호를 전달한다.
도 2에 도시된 센서 조립체(16)의 실시예에서는, 하우징(42)의 내부 공간을 필히 진공 기밀되게 설계할 필요는 없다. 왜냐하면 마스터 실린더(12)의 진공 영역의 진공 기밀 밀봉은, 하우징 바닥측(46)과 마스터 실린더 하우징(26) 사이에서 주위를 둘러싸는 밀봉 요소(44)와 하우징 바닥측(46)이 조합됨으로써 실현되기 때문이다. 하우징 개구(60)를 통한 진공 누출은 하우징 개구(60)가 진공 센서(54)(또는 인쇄회로기판(52))에 의해 진공 기밀되게 밀봉됨으로써 방지된다. 도 3은 센서 조립체(16)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 실시예에서 하우징(42)의 내부 공간 안에도 진공이 유지된다. 이하에서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한 도면 부호를 그에 유사한 요소에 부여한다.
도 3에 도시된 센서 조립체의 실시예에서는, 압력차에 의거한 진공 검출을 할 필요가 없는데, 그 이유는 진공 센서(54)가 다른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로 해서, 진공은 하우징(42)의 내부 공간에도 형성될 수 있고, 그에 따라 하우징의 형상은 단순화될 수 있다. 도 3에 따른 실시예에서, 하우징(42)은 진공 센서(54), 이동 거리 센서(56) 및 위치 센서(90)를 단지 측방향으로 상부에서 둘러싼다. 따라서, 마스터 실린더(26)의 진공 영역은 하우징(42)의 내부 공간 안으로 연속될 수 있다.
도 2에 따른 실시예에서, 신호 전송기 요소(40)는 마스터 실린더 하우징(26)의 요홈(38) 안에 삽입하기 위한 카트리지 안에 마련될 수 있다. 도 4는 상기 카트리지(8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80)는 신호 전송기 요소(40)의 병진 이동을 위한 채널을 내부에 획정하고 있는 카트리지 하우징(82)을 포함한다. 카트리지(80) 안에, 신호 전송기 요소(40)가 슬라이드(68) 상에서 미리 구성되어, 스프링 요소(66)에 의해 도 4에 따른 시작 위치로 편의(bias)되어 눌린다. 카트리지 하우징(82) 내측에는 슬라이드(68)의 안내 이동을 위한 홈(70)이 형성된다. 카트리지(80)를 장착하기 위해서, 첫 단계에서는 홈을 마스터 실린더 하우징(26)의 요홈(38) 안으로 삽입한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플런저(34)를 슬라이드(68)에 (일례로, 스냅 방식, 플러그인 방식 또는 베이요넷 방식 연결에 의해) 결합시킨다. 카트리지 하우징(82)은 진공 센서(54)가 카트리지 하우징(82)의 내부 공간과 연통하고 그에 따라 마스터 실린더(12)의 진공 영역과 연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개구(도 4에 도시되지 않음)를 구비한다.
도 5는 카트리지(80)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4에 따른 신호 전송기 요소(40)는 홀 센서에 의해 검출되도록 한 자기 요소이지만, 도 5는 카트리지 하우징(82) 외측에 위치된 반사기(reflector), 변환기(transducer), 또는 유사 컴포넌트를 보이고 있다. 이에 상응해서 이동 거리 센서(56) 및 위치 센서(90)가 구성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카트리지(80)는 별도의 조립체를 형성하거나 아니면 단일 조립체를 형성하도록 센서 조립체(16)에 통합될 수 있다. 후자의 실시예에서는 카트리지(80)에 대해 별도의 체결 장치는 필요 없다. 오히려, 카트리지(80)는 센서 조립체(16)의 하우징(42)과 함께 마스터 실린더(12)에 장착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마스터 실린더 조립체(10)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에 따른 실시예에서도, 센서 조립체(16)는 진공 센서(54)와, 이동 거리 센서(56)와, 위치 센서(90)를 포함한다. 반면에,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센서 조립체(16)는 이동 거리 센서(56)와 위치 센서(90) 외에 진공 센서는 포함하지 않지만, 추가의 이동 거리 센서(56')는 포함한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위치 센서(90)는 신호 전송기 요소(40)가 미리 결정된 위치에 도달하고 그에 따라 작동 피스톤(30)(또는 작동 피스톤에 결합된 브레이크 페달)이 미리 결정한 위치에 도달 한 때를 검출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 따른 실시예에서 위치 센서(90)는 정지등 스위치(도시되지 않음)의 일부로 구성될 수 있다.
위치 센서(90)는 2개의 절환(switching) 상태를 취하며, 일례로 이진 (절환) 홀 센서로서 설계된다. 반면에, 이동 거리 센서(56)는 연속 홀 센서로 구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이진 홀 센서로서 설계된 위치 센서(90)는 연속 홀 센서와 상기 연속 홀 센서의 하류측의 비교기를 포함한다. 상기 비교기는 상기 연속 홀 센서의 출력 신호에 대해 문턱값 결정을 하여, 그 결정 여하에 따라 논리 "0"("오프") 또는 논리 "1"("온")을 출력한다.
이동 거리 센서(56)가 작동 피스톤(30)의 이동 거리 부분(그리고 이에 따른 페달의 이동 거리 부분)을 나타내는 아날로그 (연속) 신호를 제공하는 중에, 위치 센서(90)는 온/오프 신호를 보낸다. 이 온/오프 신호는 정지등을 온/오프로 절환하는 데 이용된다. 그러나 이에 대한 추가적인 혹은 선택적인 예로서, 페달 이동 거리 신호를 충분히 정확하게 에뮬레이션하기 위해서 위치 센서(90)의 온/오프 신호를 이용하여 이동 거리 센서(56)의 아날로그 신호를 보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특정의 응용 예들에서, 페달 이동 거리는 이동 거리 센서(56)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고, 그에 따라 별도의 페달 이동 거리 센서가 필요 없게 될 수 있다. 페달 이동 거리 검출은 전자 유압식 브레이크 시스템, 재생 브레이크 시스템("하이브리드 브레이크 시스템"),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의 것들을 실시하는 데 있어 필수적인 전제 요건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제시되고 있는 센서 조립체는 위와 같은 브레이크 시스템과 관련해서도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동 거리 검출과 위치 검출을 위한 예시적인 개념을 신호 전송기 요소(40)가 자기 요소로서 형성된 경우인 도 7에 따른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앞에서 이미 주지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는 다른 물리적 개념에 기초한 신호 전송기 요소도 사용할 수 있다.
도 7에 따른 실시예에서, 마스터 실린더(12)는 알루미늄과 같은 비자성 재료로 제조된다. 신호 전송기 요소(40)는 일례로 네오디뮴-철-보론 합금으로 제조된 영구 자석을 포함한다. 신호 전송기 요소(40)의 자화 방향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극 "S"와 자극 "N"에 의해서) 플런저(34)의 병진 이동에 평행하게 향한다. 도 7에서, 자속 밀도의 결과적인 프로파일은 플런저(34)와 작동 피스톤(30)이 시작 위치에 있을 때, 즉 브레이크 페달이 작동하지 않을 때(실선)와, 플런저(34) 또는 작동 피스톤(30)이 작동 위치에 있을 때, 즉 브레이크 페달이 작동할 때(점선)로 도시되어 있다.
고 자기 투과성의 연자성 재료 제조된 자속 안내 판(92)이 위치 센서(90), 이동 거리 센서(56) 및 선택적인 추가의 이동 거리 센서(56') 아래쪽에 설치된다. 상기 자속 안내 판(92)은 상기 센서(56, 56', 90)들을 외부 간섭장으로부터 차폐시키고, 그에 따라 더 높은 측정 정확도가 달성될 수 있다. 자속 안내 판(92)은 예를 들면 μ-금속으로 재조될 수 있다.
도 7에 단지 개략적으로만 도시된 자속 밀도의 프로파일은 도 8의 다이아그램에 더 명료하게 도시되어 있다. 더 정확히 말하자면, 도 8은 플런저(34)에 평행하게 연장하는 직선을 따르며 이동 거리 센서(56)와 위치 센서(90)를 모두 수용하고 있는 자속 밀도 B의 위치 의존성 프로파일을 보이고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선은 브레이크 페달이 작동하지 않을 때인 플런저(34)의 시작 위치에서의 자속 밀도 프로파일을 나타내는 것이다. 점선은 플런저(34)가 작동 위치에 있을 때, 즉 브레이크 페달이 작동할 때의 자속 밀도 프로파일을 나타내는 것이다.
자속 밀도 프로파일이 2개의 최대치를 갖는다는 것을 명료하게 알 수 있다. 상기 2개의 최대치는 신호 전송기 요소(40)의 2개의 자극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2개의 최대치 사이의 구간에서 자속 밀도는 대략 선형 프로파일을 갖는다. 또한, 상기 2개의 최대치를 지난 영역에서의 자속 밀도는 각각 점근 단조 프로파일을 갖는다.
도 8은 또한 이동 거리 센서(56)와 위치 센서(90)의 자속 밀도 프로파일에 대한 위치도 도시하고 있다. 이동 거리 센서(56)와 위치 센서(90) 사이의 거리는 신호 전송기 요소(40)의 직선 연장선에 의존하여 선정된다는 사실을 명확하게 알 수 있다. 더 정확하게 설명하면, 이동 거리 센서(56)와 위치 센서(90) 사이의 거리는 신호 전송기 요소(40)의 길이의 대략 절반에 해당한다. 이는, 이동 거리 센서(56)는 플런저(34)의 시작 위치에서 대략 자속 밀도 최대 영역에 놓이지만 위치 센서(90)는 시작 위치에서 대략 2개의 최대 자속 밀도 사이의 영역에 놓인다는 점으로부터 알 수 있다.
도 8에 표시된 바와 같은 위치 센서(90)의 절환 지점과 이동 거리 센서(56)의 검출 범위는, 이동 거리 센서(56)와 위치 센서(90)의 자속 밀도 프로파일에 대한 상술한 바와 같은 위치들의 결과이다. 플런저(34)의 시작 위치에서, 위치 센서(90)는 가파른 선형 프로파일을 갖는 자속 밀도 구간에 위치된다. 플런저(34)가 시작 위치에서 약간만 이동해도 위치 센서(90)의 기자력(magnetomotive force)에 상당한 변화가 야기되는데, 이는 높은 검출 정확도로 이어진다. 도 8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위치 센서(90)의 절환 지점은 자속 밀도 프로파일의 변곡점에 아주 근접하게 위치된다.
반면에, 이동 거리 센서(56)의 검출 범위는 최고 기자력(최대 자속 밀도)의 위치에서 점근적 단조 프로파일의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선정된다. 플런저(34)가 시작 위치와 관련하여 끝 위치의 방향으로 변위되는 경우, 신호 전송기 요소(40)는 이동 거리 센서(56)로부터 멀어지는 이동을 하고, 그 결과 이동 거리 센서(56)의 기자력(그리고 센서 출력 신호의 상응하는 단조 프로파일)이 단조 감소하게 된다. 도 8에 도시된 검출 범위에서, 자속 밀도는 2개의 최대 자속 밀도 사이의 영역에서보다는 덜 가파른 프로파일을 갖는다. 이는 측정 정확도를 어느 정도까지는 감소시키지만, 단조 변화하는 기자력으로도 측정 범위를 현저하게 더 크게 하는 이점이 있다.
도 9는 플런저(34)에 의해 수행되고 이에 따라 마스터 실린더(12)의 작동 피스톤(30)에 의해 수행되는 이동 거리에 의존하는, 이동 거리 센서(56)의 출력 신호 프로파일, 즉 센서 출력 전압의 프로파일을 보이고 있다. 작동 피스톤(30)에 의해 수행된 이동 거리는 페달 이동 거리에 직접적으로 비례하고, 이에 따라 페달 이동 거리는 작동 피스톤(30)에 의해 수행된 이동 거리로부터 비례 계수를 통해 결정될 수 있다. 작동 피스톤(30)에 의해 수행된 이동 거리는 결국에는 도 9에 도시된 다이어그램의 도움을 받아서 이동 거리 센서(56)의 센서 출력 전압의 변화를 가지고 결정된다.
이동 거리 센서(56)의 도 8에 도시된 검출 범위와 이동 거리 센서(56)의 선택적인 검출 범위 모두가 도 9에 표시되었다. 상기 선택적인 검출 범위는 2개의 자속 밀도 최대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앞에서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선택적인 검출 범위는 이동 거리 검출의 정확도를 더 높일 수 있지만, 작동 피스톤(30)의 이동 거리를 최대 비용으로 검출하게 될 가능성이 있다. 물론 도 8에 도시된 위치 센서(90)의 위치는 일례로 도 8에서 이동 거리 센서(56)에 대해 예시한 것과 같이 변화될 수 있다.
도 7에 따른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거리 센서(56) 외에, 플런저(34)의 이동 방향을 따라서 상기 이동 거리 센서(56)에 대해서 공간적으로 편위되게 배치된 추가적인 이동 거리 센서(56')도 구비될 수 있다. 이동 거리 센서(56)는 자속 밀도의 제1 최대 영역에 마련되고, 추가적인 이동 거리 센서(56')는 제2 최대 영역에 마련된다. 이동 거리 센서(56, 56') 모두의 출력 신호를 검출하고 산출하게 되면 이동 거리 검출 정확도가 높아진다. 더욱이, 이동 거리 센서(56, 56') 모두를 서로에 대해 타당성 검사를 실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방식에서는, 이동 거리 센서(56, 56') 중 어느 한 센서의 고장을 검출할 수 있다. 더욱이, 이와 같은 대리 기능성(redundancy)은 센서 조립체(12)의 신뢰성을 높인다. 도 7에 따른 실시예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여분의 위치 센서를 유사한 방식으로 마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위치 센서(90)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이동 거리 센서(56)를 보정하는 것에 대해 도 10에 따른 다이어그램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보정에 의하면, 특히 이동 거리 측정에 있어서의 온도 의존성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
도 10에 다른 다이어그램은 작동 피스톤(30)이 시작 위치에서부터 수행한 이동 거리에 의존성을 보이는 위치 센서(90)의 출력 신호(출력 전압)를 상부 절반부에서, 이동 거리 센서(56)의 출력 신호(출력 전압)를 하부 절반부에서 보이고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 센서(90)의 출력 신호는 미리 정한 절환 지점에서 신호 수준이 단계 변화를 하는 예상된 이진 프로파일을 보이고 있다. 실제에 있어서, 절환 지점의 위치는 유의적인 온도 의존성을 갖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도 10의 다이어그램의 하부 절반부에 보인 이동 거리 센서(56)의 출력 신호의 프로파일은 이동 거리 센서(56)의 기자력의 연속 변화에 대응하는 예상된 연속 프로파일을 보이고 있다. 이동 거리 센서(56)의 출력 신호의 프로파일은 온도에 대한 의존성이 높다는 것을 분명하게 알 수 있다.
이동 거리 센서(56)의 출력 신호의 온도 의존성을 보상하기 위해, 위치 센서(90)의 실질적으로 온도 독립성인 절환 지점에 의거하여 출력 신호를 보정하는 것을 제안한다. 더 정확하게 설명하면, 위치 센서(90)의 절환 지점을 검출함에 있어, 이동 거리 센서(56)의 출력 신호를 기준 신호로 삼는다. 이와 관련하여, 이동 거리 센서(56)의 출력 신호의 이득은 도 10에 실선으로 도시된 정상화된 신호(기준 신호)가 항상 얻어질 수 있도록 조정된다. 온도 의존성이 보상된 신호를 얻기 위해 ECU에서 이득 조정 및 신호 증폭을 실행할 수 있다.
도 11은 실온 및 50℃에서의 페달의 이동 거리에 의존성을 보이는 이동 거리 센서(56)의 센서 출력 전압의 프로파일을 또 다른 다이어그램에서 보이는 것이다. 센서 출력 신호는 고온 의존성이 있다는 것을 다시 한번 더 명확하게 알 수 있다. 도 11에도 마찬가지로 위치 센서(90)의 절환 지점이 표시되어 있다. 이 절환 지점은 플런저(34) 또는 작동 피스톤(30)의 시작 지점과 관련하여 정의되는 것으로, 이는 실제로 온도 의존성이 없고, 그에 따라 이동 거리 센서(56)를 보정하기 위한 기준 지점으로서 적합하다. 도 11에서도 마찬가지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홀 센서로서 형성된 이동 거리 센서(56)의 출력 신호는 페달의 이동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점근치 2.5V에 이르게 된다. 이러한 점에 의해, 이동 거리 센서(56)를 상술한 바와 같은 이득 선택에 기초하여 보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발전시킨 예에 따르면, 제동 절차를 나타내는 또 다른 신호에 기초하여서 위치 센서(90)의 출력 신호에 대해 타당성 검사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 센서(90)가 절환 상태를 변경시키지 않은 상황에서 차륜 속도 센서 또는 종방향 가속 센서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제동 절차를 검출한 경우, 이는 오류 상황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12는 일례로 이동 거리 센서(56)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는 브레이크 페달 이동 거리와 브레이크 부스터(14, 도 1 참조)의 진공 챔버(20) 내의 진공 사이의 상관성을 설명하는 것이다. 도 12에 도시된 진공은 마찬가지로 도 12에 도시된 브레이크 페달 이동 거리와 관련성이 있을 수 있음이 수학적 모델에 의해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수학적 모델에 의해서 브레이크 부스터(14) 내에 형성되어 있는 진공은 이동 거리 센서(56)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일례로 도 2에 도시된 진공 센서는 특정 실시예에서는 없어도 된다. 마찬가지로, 다른 실시예에서는 이동 거리 센서(56)에 추가하여 마련되는 별도의 페달 이동 거리 센서는 특정 실시예에서는 없어도 된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서 드러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시되는 센서 조립체의 기술적 개념에 의하면 마스터 실린더에 여러 센서들을 장착하는 것을 단순화시킬 수 있다. 마스터 실린더의 외측에 부착될 수 있는 하나의 하우징 안에 광범위한 센서들(시스템 고장 검출을 위한 광학 진공 센서, 일례로 페달 이동 거리를 결정하기 위한 이동 거리 센서, 일례로 정지등 스위치를 위한 위치 센서 등)을 간단한 방식으로 통합시킬 수 있다. 센서의 중심 신호들이 공통의 전기 접속부를 통해서 독취될 수 있고, 서로 간에 타당성 검사를 받게 하거나, 보정될 수 있다.

Claims (25)

  1. 입력측 작동 요소(30)와, 입력측 작동 요소(30)에 결합되는 센서들에 의해 검출될 수 있는 신호 전송기 요소(40)를 구비하는 마스터 실린더(12)에 사용하기 위한 센서 조립체(16)로서,
    상기 작동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이동 거리를 검출하는 이동 거리 센서(56)와,
    상기 작동 요소(30)가 미리 결정된 위치에 도달하였을 때를 검출하는 위치 센서(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거리 센서(56)는 아날로그 신호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조립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센서(90)가 이진 신호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조립체.
  4.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동 거리 센서(56)와 위치 센서(90)는 서로 거리를 유지하고, 상기 거리는 신호 전송기 요소(40)의 선형 범위(linear extension)에 따라서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조립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거리 센서(56)와 상기 위치 센서(90) 사이의 거리는 상기 신호 전송기 요소(40)의 길이의 약 절반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조립체.
  6.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거리 센서(56)와 상기 위치 센서(90)는 자속 밀도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조립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거리 센서(56)는 작동 요소(30)의 시작 위치에서 이동 거리 센서(56)가 대략 제1 자속 밀도 최대치 영역에 놓이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조립체.
  8.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가의 이동 거리 센서(5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조립체.
  9. 제7항 및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의 이동 거리 센서(56')는 작동 요소(30)의 시작 위치에서 이동 거리 센서(56')가 대략 제2 자속 밀도 최대치 영역에 놓이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조립체.
  10.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센서(90)는 작동 요소(30)의 시작 위치에서 위치 센서(90)가 대략 2개의 자속 밀도 최대치 사이의 영역에 놓이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조립체.
  11.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센서(90)는 정지등 스위치의 일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조립체.
  12.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센서(90)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거리 센서(56)를 보정하도록 구성된 회로 장치(58)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조립체.
  13.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거리 센서(56)와 상기 위치 센서(90)는, 홀(Hall) 센서, AMR(anisotropic magnetoresistive effect) 센서, GMR(gigantic magnetoresistive effect) 센서, CMR(colossal magnetoresistive effect) 센서 및 리드(Reed) 릴레이를 포함하는 센서 그룹에서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조립체.
  14.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진공 영역(36, 38) 내의 진공을 검출하며 마스터 실린더(12)의 진공 브레이크 부스터(14)와 통신하기 위해 마련되는 진공 센서(54), 및
    상기 진공 센서(54)와 상기 이동 거리 센서(56)와 상기 위치 센서(90)를 수용하는 하우징(42)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42)은, 진공 센서(54)가 마스터 실린더(12)의 진공 영역(36, 38)과 연통할 수 있게 하는 하우징 개구(60)와, 하우징(42)을 마스터 실린더(12)의 외측에 장착하기 위한 체결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조립체.
  15. 마스터 실린더 조립체(10)에 있어서,
    입력측 작동 요소(30)를 구비하는 마스터 실린더(12)로서, 이 마스터 실린더의 상기 작동 요소(30)에 결합되며 그리고 마련되어 있는 센서들에 의해 검출될 수 있는 신호 전송기 요소(40)를 구비하는 마스터 실린더(12)와,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센서 조립체(1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 실린더 조립체.
  16.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실린더의(12)의 상기 작동 요소(30)에 결합되는 플런저(34)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플런저(34)는 신호 전송기 요소(40)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 실린더 조립체.
  17. 센서들에 의해 검출될 수 있는 신호 전송기 요소(40)가 결합된 입력측 작동 요소(30)를 구비하는 마스터 실린더(12)와 조합하여 사용하기 위한 센서 조립체(16)로서 이동 거리 센서(56)와 위치 센서(90)가 구비된 센서 조립체(16)를 작동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작동 요소(30)에 의해 수행된 이동 거리를 이동 거리 센서(56)로 검출하는 단계와,
    작동 요소(30)가 미리 결정된 거리에 도달했을 때를 위치 센서(90)로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조립체를 작동시키는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수행된 이동 거리와 미리 결정된 위치에 도달하였을 때의 위치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조립체를 작동시키는 방법.
  19.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위치 센서(19)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이동 거리 센서(56)를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조립체를 작동시키는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이 미리 결정된 위치에 도달하였을 때를 검출하는 데에 영향을 미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조립체를 작동시키는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이동 거리 센서(56)의 출력 신호를 미리 결정된 위치에 도달하였을 때의 기준 신호로 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조립체를 작동시키는 방법.
  22.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위치 센서(90)의 출력 신호에 대해 타당성 검사(plausibility check)를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조립체를 작동시키는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위치 센서(90)의 출력 신호에 대한 상기 타당성 검사는 제동 절차(braking procedure) 중에 있음을 나타내는 또 다른 신호를 반복 평가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조립체를 작동시키는 방법.
  24. 제17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동 거리 센서(56)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브레이크 페달의 이동 거리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조립체를 작동시키는 방법.
  25. 제17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동 거리 센서(56)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진공 브레이크 부스터의 진공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조립체를 작동시키는 방법.
KR1020137004046A 2010-07-16 2011-07-15 마스터 실린더용 센서 모듈 KR1017592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0027308.2 2010-07-16
DE102010027308A DE102010027308A1 (de) 2010-07-16 2010-07-16 Sensorbaugruppe für einen Hauptzylinder
PCT/EP2011/003551 WO2012007178A2 (de) 2010-07-16 2011-07-15 Sensorbaugruppe für einen hauptzylind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7720A true KR20130037720A (ko) 2013-04-16
KR101759267B1 KR101759267B1 (ko) 2017-07-18

Family

ID=44534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4046A KR101759267B1 (ko) 2010-07-16 2011-07-15 마스터 실린더용 센서 모듈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8978457B2 (ko)
EP (2) EP2593342B1 (ko)
KR (1) KR101759267B1 (ko)
CN (2) CN103097197B (ko)
DE (1) DE102010027308A1 (ko)
WO (2) WO2012007178A2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1601A (ko) * 2014-02-27 2015-09-04 주식회사 만도 브레이크 마스터 실린더
KR101641133B1 (ko) 2015-09-30 2016-07-20 이래오토모티브시스템 주식회사 브레이크 라이트 센서 모듈
KR20160131188A (ko) * 2015-05-06 2016-11-16 주식회사 만도 브레이크 마스터 실린더
KR20180039356A (ko) * 2016-10-10 2018-04-18 주식회사 만도 전자식 브레이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US10877507B2 (en) 2017-10-19 2020-12-29 Mando Corporation Installation structure of pedal stroke sens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0027308A1 (de) * 2010-07-16 2012-01-19 Lucas Automotive Gmbh Sensorbaugruppe für einen Hauptzylinder
CN103313890B (zh) * 2010-11-26 2016-10-12 哈尔德克斯制动产品股份公司 制动器监测装置及与其关联的部件
DE102012216380A1 (de) * 2012-09-14 2014-03-20 Zf Friedrichshafen Ag Anordnung, Verfahren und Computerprogramm zur Bestimmung einer Position eines Magneten, Stellantrieb und Hinterachslenkungsaktuator
DE102012022520A1 (de) 2012-11-16 2014-05-22 Lucas Automotive Gmbh Hauptbremszylinderanordnung mit Betätigungserfassung für eine Kraftfahrzeugbremsanlage
DE102012022519A1 (de) 2012-11-16 2014-05-22 Lucas Automotive Gmbh Hauptbremszylinderanordnung mit Betätigungserfassung für eine Kraftfahrzeugbremsanlage
KR101801536B1 (ko) * 2013-05-13 2017-11-27 주식회사 만도 페달 스트로크 센서의 설치구조
US9061671B2 (en) * 2013-08-27 2015-06-23 Bendix Commercial Vehicle Systems Llc Driver braking demand indicator apparatus for a heavy vehicle
JP5945828B2 (ja) * 2013-12-05 2016-07-05 日信工業株式会社 ブレーキシステム用入力装置および車両用ブレーキシステム
KR101447165B1 (ko) * 2014-03-03 2014-10-10 한국델파이주식회사 브레이크 라이트 센서 모듈
DE102014003641A1 (de) * 2014-03-14 2015-09-17 Lucas Automotive Gmbh Kalibrierverfahren für eine elektrohydraulische Kraftfahrzeug-Bremsanlage und Kalibriervorrichtung hierfür
CN104930043B (zh) * 2014-03-17 2017-08-29 科沃斯家用机器人(苏州)有限公司 智能安全吸盘、自移动吸附系统及其控制方法
US11124406B1 (en) * 2014-07-13 2021-09-21 Sestra Systems, Inc. System and method for piston detection in a metering mechanism for use with beverage dispensing system
KR101594318B1 (ko) * 2014-10-13 2016-02-16 주식회사 만도 브레이크 마스터 실린더
FR3037548B1 (fr) * 2015-06-22 2019-05-17 Robert Bosch Gmbh Maitre-cylindre tandem
FR3037547B1 (fr) * 2015-06-22 2019-07-05 Robert Bosch Gmbh Maitre-cylindre tandem equipe d'un commutateur de feux de stop
WO2017184994A1 (en) * 2016-04-22 2017-10-26 KSR IP Holdings, LLC Inductive sensor for shock absorber
DE102016005377A1 (de) * 2016-05-04 2017-11-09 Fte Automotive Gmbh Hydraulikzylinder, insbesondere Hauptbremszylinder für hydraulische Bremsanlagen
US11303460B2 (en) * 2016-06-29 2022-04-12 Arizona Board Of Regents On Behalf Of Northern Arizona University PUFs from sensors and their calibration
DE102016014485A1 (de) * 2016-12-06 2018-06-07 Lucas Automotive Gmbh Hauptbremszylinderanordnung mit Positionsgeberelement und Dichtungsanordnung
KR102321150B1 (ko) * 2017-03-08 2021-11-03 주식회사 만도 페달 변위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식 브레이크 시스템
USD821194S1 (en) 2017-03-10 2018-06-26 Johannes Cornelious VAN WINGERDEN Produce bowl
USD830664S1 (en) 2017-03-30 2018-10-09 Johannes Cornelious VAN WINGERDEN Engagement device for a hydroponic growing system
USD839783S1 (en) 2017-04-27 2019-02-05 Johannes Cornelious VAN WINGERDEN Growing trough
US10124778B1 (en) 2017-06-14 2018-11-13 Veoneer Us, Inc. Stroke sensor assembly
US10368507B2 (en) 2017-07-26 2019-08-06 Johannes Cornelious VAN WINGERDEN Hydroponic growing system
US10485192B2 (en) 2017-07-26 2019-11-26 Johannes Cornelious VAN WINGERDEN Hydroponic growing system
US10051799B1 (en) 2017-07-26 2018-08-21 Johannes Cornelious VAN WINGERDEN Gutter for a hydroponic growing system
US10201134B1 (en) * 2017-07-26 2019-02-12 Johannes Cornelious VAN WINGERDEN Hydroponic growing system
US10080335B1 (en) 2017-10-02 2018-09-25 Johannes Cornelious VAN WINGERD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a grow ring for produce
JP2019132754A (ja) * 2018-02-01 2019-08-08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センサユニット
DE112018007646T5 (de) 2018-05-21 2021-03-25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Verschlechterungsdetektionssystem, Bremsensteuerungseinrichtung und Verschlechterungsdetektionsverfahren
EP3620754B1 (en) * 2018-09-06 2022-01-05 KNORR-BREMSE Systeme für Nutzfahrzeuge GmbH A magnet holder and stroke sensor with the magnet holder
US10941826B2 (en) * 2018-09-12 2021-03-09 Honeywell International Inc. Determining estimated remaining use of brake assembly
KR20200127502A (ko) * 2019-05-02 2020-11-11 주식회사 만도 브레이크 페달의 변위 감지장치
DE102019213058A1 (de) * 2019-08-29 2021-03-04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Betätigungseinheit für eine hydraulisch betätigbare Bremsanlage und zugehörige Bremsanlage
CN113199983A (zh) * 2021-05-24 2021-08-03 东风柳州汽车有限公司 一种制动灯控制方法及线控制动系统
DE102021208845A1 (de) 2021-08-12 2023-02-16 Continental Automotive Technologies GmbH Betätigungseinrichtung für eine Bremsanlage eines Kraftfahrzeugs und ein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Betätigungseinrichtung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436297C2 (de) 1994-10-11 1998-10-08 Lucas Ind Plc Elektronisch gesteuerter Bremskraftverstärker und Verfahren zu dessen Betrieb
US6253656B1 (en) 1998-07-08 2001-07-03 Lucas Industries Public Limited Company Sensor assembly for a brake booster and brake booster equipped therewith
DE19855358A1 (de) * 1998-12-01 2000-06-08 Bosch Gmbh Robert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Ermittlung einer Wegstrecke
DE10024921A1 (de) * 2000-05-19 2001-11-22 Asg Luftfahrttechnik Und Senso Pedalweggebereinheit
US6324845B1 (en) * 2000-06-23 2001-12-04 Delphi Technologies, Inc. Self contained, supplemental vacuum assist unit for vehicle brake booster
DE10059128A1 (de) 2000-11-29 2002-06-13 Lucas Varity Gmbh Vorrichtung zur Ermittlung von Positionen und Bewegungen eines Bremspedales für eine Fahrzeugbremsanlage
US6464306B2 (en) * 2001-02-27 2002-10-15 Delphi Technologies, Inc. Brake pedal feel emulator with integral force and travel sensors
DE10218972A1 (de) * 2001-06-02 2003-02-20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Unterdruckbremskraftverstärker einer Fahrzeugbremsanlage und Verfahren zum Betrieb einer Fahrzeugbremsanlage mit einem Unterdruckbremskraftverstärker
US6564694B2 (en) * 2001-06-29 2003-05-20 Delphi Technologies, Inc. Dual hall effect sensor for determining travel
US6652039B1 (en) * 2002-09-30 2003-11-25 Robert Bosch Corporation Anti-lock braking system with accumulator volume monitoring
DE10313676A1 (de) * 2003-03-26 2004-10-07 Imi Norgren-Herion Fluidtronic Gmbh & Co. Kg Positionsmeßvorrichtung für fluidische Zylinder-Kolben-Anordnungen
DE102004013191B4 (de) 2004-03-17 2007-02-22 Lucas Automotive Gmbh Hauptbremszylinder mit integrierter Druckerkennungseinrichtung
DE102005014414A1 (de) * 2005-03-24 2006-09-28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Vorrichtung zur Überwachung von Position und Bewegung eines Bremspedals sowie Montageverfahren hierfür
DE102005026735A1 (de) * 2005-06-09 2006-12-21 Lucas Automotive Gmbh Hydraulische Bremsanlage für ein Landfahrzeug
JP2008253030A (ja) 2007-03-29 2008-10-16 Toyota Motor Corp 制動装置および制動装置の制御方法
JP5014916B2 (ja) * 2007-08-10 2012-08-29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ブレーキ制御装置
CN102126488A (zh) * 2007-12-04 2011-07-20 株式会社万都 压力传感器
FR2925673B1 (fr) 2007-12-21 2009-12-18 Bosch Gmbh Robert Capteur lineaire avec renvoi d'angle et deplacement a cable
CN102084445A (zh) * 2008-05-19 2011-06-01 石通瑞吉控制装置公司 汽缸位置传感器和包括所述传感器的汽缸
DE102008041349A1 (de) * 2008-08-19 2010-02-25 Robert Bosch Gmbh Verbindungselement zur Messung einer Betätigungskraft einer Fahrzeugbremsanlage
US8511758B2 (en) * 2009-08-31 2013-08-20 Hitachi Automotive Systems, Ltd. Brake system
JP5135311B2 (ja) * 2009-09-30 2013-02-06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電動倍力装置
DE102010027308A1 (de) * 2010-07-16 2012-01-19 Lucas Automotive Gmbh Sensorbaugruppe für einen Hauptzylinder
DE102010032929A1 (de) * 2010-07-30 2012-02-02 Lucas Automotive Gmbh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elektrisch steuerbaren Bremssystems
US8829893B2 (en) * 2011-09-09 2014-09-09 Honeywell International Inc. Linear position sensor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1601A (ko) * 2014-02-27 2015-09-04 주식회사 만도 브레이크 마스터 실린더
KR20160131188A (ko) * 2015-05-06 2016-11-16 주식회사 만도 브레이크 마스터 실린더
KR101641133B1 (ko) 2015-09-30 2016-07-20 이래오토모티브시스템 주식회사 브레이크 라이트 센서 모듈
KR20180039356A (ko) * 2016-10-10 2018-04-18 주식회사 만도 전자식 브레이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US10877507B2 (en) 2017-10-19 2020-12-29 Mando Corporation Installation structure of pedal stroke sens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9267B1 (ko) 2017-07-18
EP2593342B1 (de) 2016-04-20
CN103097217B (zh) 2015-10-21
CN103097197A (zh) 2013-05-08
US8978457B2 (en) 2015-03-17
WO2012007176A3 (de) 2012-03-08
EP2593334B1 (de) 2018-05-09
CN103097197B (zh) 2015-07-15
CN103097217A (zh) 2013-05-08
US20140144223A1 (en) 2014-05-29
US9266517B2 (en) 2016-02-23
WO2012007176A2 (de) 2012-01-19
WO2012007178A3 (de) 2012-03-08
DE102010027308A1 (de) 2012-01-19
EP2593342A2 (de) 2013-05-22
US20130205881A1 (en) 2013-08-15
EP2593334A2 (de) 2013-05-22
WO2012007178A2 (de) 2012-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9267B1 (ko) 마스터 실린더용 센서 모듈
US10059319B2 (en) Actuating unit for a hydraulic brake system
CN107531225B (zh) 用于机动车制动器的操纵设备
US9527485B2 (en) Brake system input apparatus and vehicle brake system
US9566972B2 (en) Main brake cylinder having a device for the contactless monitoring of the position and movement of a linearly movable piston
JP5165430B2 (ja) 車輛の制動を検出するようになった方法及びブースター、及びこのようなブースターの製造方法
CN113767038B (zh) 制动踏板的位移感测装置
CN108860100B (zh) 用于制动系统的致动单元
US20160144836A1 (en) Sensor device, hydraulic unit for cooperating with the sensor device, braking system, and method for installing the sensor device
KR20210048778A (ko) 브레이크 페달의 변위 감지장치
US20210348948A1 (en) A magnet holder and stroke sensor with the magnet holder
US7357466B2 (en) Braking force generator for a hydraulic vehicle brake system
US7082869B2 (en) Sensor arrangement for a vacuum brake booster and a vacuum brake booster provided with this sensor arrangement
US6755112B2 (en) Vehicle braking system with a pneumatic brake booster
JP5064193B2 (ja) 力センサを備える空気圧ブレーキブースター
JP4879437B2 (ja) 空気圧式ブレーキ倍力装置を備えた車両ブレーキ装置
US10266160B2 (en) Master cylinder
KR20030055309A (ko) 진공 브레이크 부스터용 센서 시스템
EP2412592B1 (en) Electric hydraulic booster
JP2005280444A (ja) 車両用ブレーキ液圧制御装置
JP2005282680A (ja) 車両用ブレーキ液圧制御装置
KR20150134531A (ko) 마스터 실린더용 bls 센서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