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2770B1 - 비분리형 트러스트 볼베어링 - Google Patents

비분리형 트러스트 볼베어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2770B1
KR100202770B1 KR1019910021791A KR910021791A KR100202770B1 KR 100202770 B1 KR100202770 B1 KR 100202770B1 KR 1019910021791 A KR1019910021791 A KR 1019910021791A KR 910021791 A KR910021791 A KR 910021791A KR 100202770 B1 KR100202770 B1 KR 1002027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ce
ring
fitted
races
thrust b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217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0174A (ko
Inventor
츠토무 시노하라
스스무 타케이
슈이치 요시노
Original Assignee
오가와 슈우헤이
가부시키가이샤 후지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가와 슈우헤이, 가부시키가이샤 후지킨 filed Critical 오가와 슈우헤이
Publication of KR9200101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01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27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27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5/00Rigid support of bearing units; Housings, e.g. caps, covers
    • F16C35/04Rigid support of bearing units; Housings, e.g. caps, covers in the case of ball or roller 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9/00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 F16C19/02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ball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 F16C19/10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ball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for axial load mai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43/00Assembling bearings
    • F16C43/04Assembling rolling-contact 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41/00Other accessories, e.g. devices integrated in the bearing not relating to the bearing function as such
    • F16C41/04Preventing damage to bearings during storage or transport thereof or when otherwise out of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lling Contact Bearings (AREA)
  • Joints Allowing Movement (AREA)

Abstract

비분리형 트러스트 볼베어링은 회전축심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한쌍의 레이스와 양레이스 사이를 전동하는 복수의 볼과, 양레이스의 내주부끼리를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링을 갖추고 있고, 연결링이 원통부와 원통부의 양단에 거의 직각으로 형성되고 각 레이스와 각각 걸어맞추는 외향플랜지부로 구성되고, 연결링의 일단측의 원통부가 대응하는 한쪽의 레이스 내측에 형성된 틈새에 끼워지는 동시에 연결링의 이 일단측의 플랜지부가 대응하는 이 한쪽의 레이스에 형성된 절결부에 형성된 틈새에 끼워져 있다.

Description

비분리형 트러스트 볼 베어링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비분리형 트러스트 볼베어링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비분리형 트러스트 볼베어링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비분리형 트러스트 볼베어링의 제3실시예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비분리형 트러스트 볼베어링의 제4실시예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레이스 3 : 볼
4 : 연결링 4a : 원통부
4b,4c : 플랜지부 5,6 : 절결부
7,9,11 : 우레이스 8,10 : 우절결부
본 발명은 관의 연결부등에 사용되는 비분리형 트러스트 볼베어링에 관한 것이다.
관의 연결부에 있어서 두 개의 연결부재의 동시회전의 해소 및 조여붙임 토오크의 감소를 도모함으로써 작업성을 개선하는 동시에, 두 연결부재 사이에 개재되는 개스킷(gasket)의 봉합면에 상처가 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비분리형 트러스트 볼베어링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트러스트 볼베어링으로서 회전축 중심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한쌍의 레이스와 양레이스 사이를 전동하는 복수의 볼과 양레이스를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링을 갖추고 있고, 연결링의 양단에 형성된 테이퍼형 빠짐 방지부가 양레이스의 테이퍼면에 걸어맞춰서 빠짐방지기능을 수행하도록 한 것이 알려져 있다 (일본 실개소 63-177380호 공보참조).
이와같은 종래의 비분리형 트러스트 볼베어링에 있어서는 연결링의 테이퍼형 빠짐방지부가 레이스와 걸어맞추어져 있기 때문에 연결링과 레이스의 연결부분이 적어,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양레이스와 볼을 확실하게 연결코자 하면 연결링의 빠짐방지부로 레이스를 강하게 밀어붙임으로써 회전이 원활하지 않게 된다. 반대로 이것을 방지하여 쉽게 회전하도록 하면 연결링의 빠짐방지부와 레이스의 연결부가 적음으로써 레이스와 볼이 분해하기 쉽게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회전이 원활하고, 또 레이스와 볼이 분해하기 곤란한 비분리형 트러스트 볼베어링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비분리형 트러스트 볼베어링은 회전축심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한쌍의 레이스와 양레이스사이를 전동하는 복수의 볼과 양레이스의 내주부 끼리를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링을 구비하고 있고 연결링이 원통부와, 원통부의 양단에 대략 직각으로 형성되고 각 레이스와 각기 걸어 맞추는 외형플랜지 부로 이루어지고, 연결링의 일단측의 원통부가 대응하는 한쪽의 레이스의 내측으로 형성된 틈새에 끼워지는 동시에 연결링의 상기 일단측의 플랜지부가 대응하는 상기 한쪽의 레이스에 형성된 절결부에 형성된 틈새에 끼워져 있는 것이다.
연결링의 원통부의 양단에 각 레이스와 각각 걸어맞추는 외향 플랜지부가 대략 직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들 플랜지부와 레이스와의 연결부분이 많고, 레이스와 볼의 분해가 확실히 방지된다. 또 연결링의 일단측의 원통부가 대응하는 한쪽의 레이스의 내측에 형성된 틈새에 끼워지는 동시에 연결링의 상기 일단측의 플랜지부가 대응하는 상기한 한쪽의 레이스에 형성된 절결부에 형성된 틈새에 끼워지므로 이 부분에 있어서 상기한 한쪽의 레이스와 연결함으로서 다른쪽의 레이스가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어 회전이 원활하다.
연결링의 타단측의 원통부가 대응하는 다른쪽의 레이스 내측에 형성된 틈새에 끼워지는 동시에 연결링의 상기 타단측의 플랜지부가 대응하는 상기 다른쪽의 레이스에 형성된 절결부에 형성된 틈새에 끼워져 있는 일이 있다.
이렇게 하면 양쪽레이스와 연결링이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어 회전이 매우 원활하다.
연결링의 타단측이 대응하는 다른쪽 레이스에 고착되어 있는 일이 있다. 이렇게 하면 상기 다른쪽 레이스의 연결링에 대한 움직임이 억제되고 레이스와 볼의 분해가 보다 확실하게 방지된다.
이 경우 연결링의 타단측의 플랜지부가 대응하는 다른쪽레이스에 형성된 절결부의 구석부에 압접하도록 끼워져서 상기 다른쪽 레이스에 고착되어 있는 일이 있다.
또 연결링의 타단측의 원통부가 대응하는 다른쪽레이스의 내측에 틈없이 끼워지는 동시에 연결링의 상기 타단부의 플랜지부가 대응하는 상기 다른쪽의 레이스에 형성된 절결부의 측면에 압접하도록 끼워져서 연결링의 상기 타단측이 상기 다른쪽의 레이스에 고착되어 있는 일이 있다.
그위에 연결링의 타단측의 원통부가 대응하는 다른쪽의 레이스 내측에 빈틈없이 끼워지는 동시에 연결링의 상기 타단측의 플랜지부가 대응하는 상기 다른쪽 레이스의 외측면에 접촉되어서 연결링의 상기 타단측이 상기 다른쪽 레이스에 고착되어 있는 일이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몇가지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도면의 좌우를 좌우로 한다.
제1도는 제1실시예를 표시한다.
트러스트 볼베어링은 회전축심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한쌍의 레이스(1)(2)와, 양레이스(1)(2)사이를 전동하는 복수의 볼(3)과, 양레이스(1)(2)의 내주부끼리를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링(4)을 구비하고 있다.
연결링(4)은 원통부(4a)와 그 양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각 레이스(1)(2)와 각각 걸어맞추는 외향플랜지부(4b)(4c)로 구성된다. 각 레이스(1)(2)의 내주부에 있어서 서로 반대측을 향한 외단부가 회전축심과 평행인 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직각으로 잘라낸 절결부(5)(6)가 형성되어 있다. 연결링(4)의 원통부(4a)의 외경은 레이스(1)(2)의 내경보다 약간작고, 원통부(4a)는 양 레이스(1)(2)의 내측에 틈새를 형성하여 끼워지고 있다. 양단의 플랜지부(4b)(4c)의 외쪽은 볼(3)에 압접한 상태의 양레이스(1)(2)의 외폭보다 약간작고, 양단의 플랜지부(4b)(4c)의 내폭은 볼(3)에 압접한 상태의 양 레이스(1)(2)의 절결부(5)(6)의 부분의 외폭보다 약간크고, 양단의 플랜지부(4b)(4c)가 절결부(5)(6)에 형성된 틈새에 끼워지고 있다. 또 연결링(4)의 적어도 일단의 플랜지부(4b)(4c)는 볼(3)을 개재시킨 양 레이스(1)(2)의 내측에 장착된뒤에 커어킹 등의 적절한 수단에 의하여 형성된다.
이 경우 연결링(4)의 두 외향 플랜지부(4b)(4c)가, 원통부(4a)의 양단에 거의 직각으로 형성되어서, 양 레이스(1)(2)의 내주외단부에 형성된 절결부(5)(6)에 끼워져 있으므로, 이들 플랜지부(4b)(4c)와 레이스(1)(2)와의 연결부가 많고, 레이스(1)(2)와 볼(3)의 분해가 확실히 방지된다. 또 연결링(4)의 원통부(4a)가 양 레이스(1)(2)의 내측으로 형성된 틈새에 끼워지는 동시에 연결링(4)의 양단의 플랜지부(4b)(4c)가 양레이스(1)(2)에 형성된 절결부(5)(6)에 형성된 틈새에 끼워져 있으므로 양레이스(1)(2)와 연결링(4)이 자유로이 회전할수 있고 회전이 매우 원활하다.
제2도, 제3도 및 제4도는 다른실시예를 표시하고 있는 바, 제1실시예와 같은 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있다. 이들 실시예에서는 연결링(4)의 원통부(4a) 및 좌플랜지부(4b)와 좌레이스(1) 및 좌절결부(5)와의 치수관계는 제1실시예와 같고, 원통부(4a)가 좌레이스(1)의 내측으로 형성된 틈새에 끼워져 있는 동시에 좌플랜지부(4b)가 좌절결부(5)에 형성된 틈새에 끼워져 있다.제2도는 제2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는데 우절결부(8)의 내경은 좌절결부(5)의 내경보다 작고, 우절결부(8)의 폭은 우플랜지부(4c)의 두께보다 약간 크게 되어 있다. 그리고 우플랜지부(4c)가 커어링 등의 적절한 수단에 의하여 우절결부(8)의 구석부에 압접하도록 형성되고, 연결링(4)과 우레이스(7)가 고착되어 있다.
제3도는 제3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는바, 우레이스(9)의 내경은 원통부(4a)의 외경과 거의 같고, 우절결부(10)의 우플랜지부(4c)의 두께보다 약간 크게 되어 있다. 그리고 연결링(4)의 원통부(4a)가 우레이스(9)의 내측으로 빽빽하게 끼어들어 있고, 우플랜지부(4c)가 커어링등의 적절한 수단에 의하여 우절결부(10)의 측면에 압접하도록 형성되고, 연결링(4)과 우레이스(9)가 고착되어 있다.
제4도는 제4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는 바, 우레이스(11)의 내경은 원통부(4a)의 외경과 거의 같고, 우레이스(11)에는 절결부는 형성되어 있지 않다. 우플랜지부(4d)의 길이는 우레이스(11)의 우측면(외측면)과 이와 나란히 줄지어져 있는 경사면의 길이를 더한 것과 같이 되어 있다. 그리고 연결링(4)이 우레이스(11)의 내측에 빽빽히 끼어 들어가고, 우플랜지부(4d)가 우레이스(11)의 우측면 및 이와 나란히 있는 경사면에 각각 접촉하도록 굽어져 형성되고, 연결링(4)과 우레이스(11)과 고착되어 있다.
제2, 제3 및 제4실시예의 경우, 연결링(4)의 우단측이 우레이스(7)(9)(11)에 고착되어 있으므로 우레이스(7)(9)(11)의 연결링(4)에 대한 움직임이 억제되고 레이스(1)(7)(9)(11)와 볼(3)의 분해가 확실히 방지된다. 그리고 원통부(4a)가 좌레이스(1)의 내측에 형성된 틈새에 끼워져 있는 동시에 좌플랜지부(4b)가 좌절결부(5)에 형성된 틈새에 끼워져있으므로 이 부분에 있어서 좌레이스(1)와 연결링(4)에 따라서 우레이스(2)가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어, 회전이 원활하다.

Claims (6)

  1. 회전축심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한쌍의 레이스와, 양레이스 사이를 전동하는 복수의 볼과, 양레이스의 내주부끼리를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링을 구비하고 있고, 연결링이 원통부와, 원통부의 양단에 거의 직각으로 형성되어 각 레이스와 각각 걸어맞추는 외향플랜지부로 구성되고, 연결링의 일단측의 원통부가 대응하는 한쪽의 레이스의 내측에 형성된 틈새에 끼워지는 동시에 연결링의 상기 일단측의 플랜지부가 대응하는 상기 한쪽의 레이스에 형성된 절결부에 형성된 틈새에 끼워져 있는 비분리형 트러스트 볼베어링.
  2. 제1항에 있어서, 연결링의 타단측의 원통부가 대응하는 다른쪽 레이스의 내측에 형성된 틈새에 끼워지는 동시에, 연결링의 상기 타단측의 플랜지부가 대응하는 상기 다른쪽의 레이스에 형성된 절결부에 형성된 틈새에 끼워져 있는 비분리형 트러스트 볼베어링.
  3. 제1항에 있어서, 연결링의 타단측이 대응하는 다른쪽 레이스에 고착되어 있는 비분리형 트러스트 볼베어링.
  4. 제3항에 있어서, 연결링의 타단측의 플랜지부가 대응하는 다른쪽 레이스에 형성된 절결부의 구석부에 압접하도록 끼워져서 상기 다른쪽 레이스에 고착되어 있는 비분리형 트러스트 볼베어링.
  5. 제3항에 있어서, 연결링의 타단측의 원통부가 대응하는 다른쪽 레이스의 내측에 빽빽히 끼워지는 동시에 연결링의 상기 타단측의 플랜지부가 대응하는 상기 다른쪽의 레이스에 형성된 절결부의 측면에 압접하도록 끼워져서 연결링의 상기 타단측이 상기 다른쪽 레이스에 고착되어 있는 비분리형 트러스트 볼베어링.
  6. 제3항에 있어서, 연결링의 타단측의 원통부가 대응하는 레이스의 내측에 빽빽히 끼워지는 동시에 연결링의 상기 타단측의 플랜지부가 대응하는 상기 다른쪽의 레이스의 외측면에 접촉되어서 연결링의 상기 타단측이 상기 다른쪽의 레이스에 고착되어 있는 비분리형 트러스트 볼베어링.
KR1019910021791A 1990-11-30 1991-11-29 비분리형 트러스트 볼베어링 KR1002027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2999690 1990-11-30
JP90-129996 1990-11-30
JP1991055117U JP2549161Y2 (ja) 1990-11-30 1991-07-16 非分離型スラスト玉軸受
JP91-55117 1991-07-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0174A KR920010174A (ko) 1992-06-26
KR100202770B1 true KR100202770B1 (ko) 1999-06-15

Family

ID=26395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21791A KR100202770B1 (ko) 1990-11-30 1991-11-29 비분리형 트러스트 볼베어링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199802A (ko)
EP (1) EP0488197A3 (ko)
JP (1) JP2549161Y2 (ko)
KR (1) KR100202770B1 (ko)
CA (1) CA2056694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30380B2 (en) 2000-09-13 2004-12-14 The Torrington Company Thrust bearing assembly with preload spring
US6520685B1 (en) 2001-09-26 2003-02-18 The Torrington Company Thrust bearing with heavy-duty anti-reversal feature
DE10212490A1 (de) * 2002-03-21 2003-10-02 Ina Schaeffler Kg Axiallager
DE102018221928A1 (de) * 2018-12-17 2020-06-18 Aktiebolaget Skf System mit einem Wälzlager
CN111843383B (zh) * 2020-07-16 2022-05-17 嘉善迈德机械有限公司 一种自润滑轴承的制造工艺
JP2024030467A (ja) * 2022-08-24 2024-03-07 ミネベアミツミ株式会社 スラスト軸受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374162A (ko) *
GB596901A (en) * 1945-08-03 1948-01-13 Henry Percy Creasy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ball bearings
US738097A (en) * 1903-04-25 1903-09-01 Russell & Erwin Mfg Co Ball-bearing washer.
US822570A (en) * 1905-01-14 1906-06-05 Emil Bommer Ball-bearing for spring-hinges.
US1399190A (en) * 1919-02-01 1921-12-06 Kelsey Wheel Company Inc Antifriction thrust-bearing
US1416838A (en) * 1919-05-15 1922-05-23 Willys Morrow Company Antifriction bearing
US1649285A (en) * 1924-06-04 1927-11-15 Timken Roller Bearing Co Bearing
US1931871A (en) * 1929-01-11 1933-10-24 New Departure Mfg Co Antifriction bearing and mounting
GB491321A (en) * 1937-03-05 1938-08-31 John Leslie Higgins Washers
US2424530A (en) * 1946-04-02 1947-07-22 Camp M Zubler Throwout bearing
US2743714A (en) * 1953-05-04 1956-05-01 Gen Motors Corp Bearing
US3455618A (en) * 1968-01-10 1969-07-15 Moog Industries Inc Thrust bearing
DE2006494A1 (de) * 1970-02-13 1971-08-26 Schaeffler Ohg Industriewerk Laufring fur Walzlager
DE7005916U (de) * 1970-02-19 1970-06-18 Skf Kugellagerfabriken Gmbh Waelzlager, insbesondere kupplungsdrucklager
GB1366865A (en) * 1971-10-18 1974-09-11 Skf Uk Ltd Thrust bearings
DE2212621C3 (de) * 1972-03-16 1982-05-13 Schwarzbich, Jörg, 4800 Bielefeld Axial-Zylinderrollenlager
IT1031388B (it) * 1974-02-25 1979-04-30 Pitner Alfred Reggispinta ad elementi di rotolamento cilindrici
GB1517508A (en) * 1975-09-11 1978-07-12 Automotive Prod Co Ltd Rolling bearing assemblies
US4336972A (en) * 1980-03-27 1982-06-29 Aetna Bearing Company Unitized bearing assembly
US4603359A (en) * 1981-07-24 1986-07-29 Canon Kabushiki Kaisha Rotary head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549161Y2 (ja) 1997-09-30
EP0488197A3 (en) 1993-09-01
CA2056694A1 (en) 1992-05-31
JPH0534318U (ja) 1993-05-07
KR920010174A (ko) 1992-06-26
US5199802A (en) 1993-04-06
CA2056694C (en) 1996-05-14
EP0488197A2 (en) 1992-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14631B1 (ko) 보올 베어링 조립체
CA2094336C (en) Pipe joint and retainer for use in pipe joint
KR890013405A (ko) 동축 파이프 연결용 플렉스블 조인트
US2937042A (en) Shaft coupling
JPH11280969A (ja) 管継手の固定構造
KR19990007088A (ko) 파이프 조인트
KR100202770B1 (ko) 비분리형 트러스트 볼베어링
KR970011532A (ko) 관 이음
US5232289A (en) Stud type track roller bearing
US4040689A (en) Antifriction roller bearing
US3314694A (en) Swivel joint
US3650123A (en) Universal joint construction
JPS62204070A (ja) シ−ル装置
US4893962A (en) Coupling
JPS5828450B2 (ja) 互いに平行な2本の軸のためのラジアル転がり軸受け装置
US20180031047A1 (en) Constant velocity universal joint
JP2002206550A (ja) 転がり軸受用密封装置
JP4881188B2 (ja) 管継手
JP2521914Y2 (ja) 大型転がり軸受
KR950029634A (ko) 플렉시블 기어 조인트
JP2002227852A (ja) 分割型転がり軸受装置
JPS583932Y2 (ja) 自動調心軸受用のピンタイプ保持器
JPH10184693A (ja) 円筒ころ軸受
JPS5855362B2 (ja) 二方向荷重型玉軸受
JPH0746815Y2 (ja) シール付き円筒ころ軸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221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