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2754B1 - 경사의 자동 통경기 - Google Patents
경사의 자동 통경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202754B1 KR100202754B1 KR1019920701555A KR920701555A KR100202754B1 KR 100202754 B1 KR100202754 B1 KR 100202754B1 KR 1019920701555 A KR1019920701555 A KR 1019920701555A KR 920701555 A KR920701555 A KR 920701555A KR 100202754 B1 KR100202754 B1 KR 10020275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veying
- automatic
- thread
- guide element
- clamp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J—AUXILIARY WEAVING APPARATUS; WEAVERS' TOOLS; SHUTTLES
- D03J1/00—Auxiliary apparatus combined with or associated with looms
- D03J1/04—Auxiliary apparatus combined with or associated with looms for treating weft
-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J—AUXILIARY WEAVING APPARATUS; WEAVERS' TOOLS; SHUTTLES
- D03J1/00—Auxiliary apparatus combined with or associated with looms
- D03J1/14—Apparatus for threading warp stop-motion droppers, healds, or ree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Warping, Beaming, Or Leasing (AREA)
- Auxiliary Weaving Apparatuses, Weavers' Tools, And Shuttles (AREA)
- Looms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 Transplanting Machines (AREA)
- Electric Connection Of Electric Components To Printed Circuits (AREA)
Abstract
통경기는 클램핑된 경사층을 갖는 통경프레임과 경사층의 개별적 경사를 선택하는 장치를 포함하고 장치는 분리수단을 갖고 선택된 경사를 통경수단으로 보내게된다. 경사를 보내는 장치는 통경수단, 운반작동중 실을 제어하는 제1수단(32)과 통경 중 실을 제어하는 제2수단(21)에 의해 받아들여지는 위치까지 분리된 실단부의 제어된 운반을 위한 행정이 조절되는 운반클램프(31)을 갖는다. 따라서 실의 완전한 제어가 보장되고 오작동은 거의 제거된다.
Description
제1도는 발명에 따른 통경기의 전체도.
제2도와 제3a도는 제1도의 통경기의 실을 주게되는 장치의 개략도.
제4도는 제3b도의 상세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장착대 2 : 경사비임트럭
3 : 경사비임 4 : 상승장치
5 : 통경프레임 6 : 거어더
7 : 통경바늘 8 : 디스플레이유니트
10 : 지지물 12,13 : 레일
14 : 헬드축 15 : 장치트럭
16 : 베이스 플레이트 17,19,24,26 : 롤러
18,20 : 벨트 21 : 실고정장치
31 : 클램프 32 : 후크
33,42,43 : 플런저 34 : 스트립
35 : 밴드 36 : 벽
37 : 안내부 39 : 지지판
40 : 핀
본 발명은 분리수단을 갖고 통경수단으로 선택된 경사를 보내며 경사층의 개별적 경사를 선택하는 장치를 가지며 경사층으로부터 직기의 장치로 경사를 자동통경하는 경사의 자동통경기기에 관한 것이다.
US-A-3,681,825에 기술된 우스터 텔타(우스터-젤베거 우스터 AG의 등록상표) 통경기에서 선택된 경사는 경사층의 평면에서 첫째 측면으로 편향되어 보내지고 경사의 세로방향에서의 행정이 조절되는 손가락 형상의 수단으로 눌러져 통경수단으로 수용되는 위치로 가게된다. 상기 배열에서 실은 클램프(clamp)에 의해 절단상부 단부에 고정되며 통경프레임의 크램핑 레일(rail)로 고정되는 바닥단부와 클램프로 고정되는 상부단부 사이에 있게되는 동안 클램핑되며 손가락 형상의 수단은 클램핑된 실에 대해 측면으로 누르고 클램프를 따라 미끄러진다.
후크(hook)에 의해 형성된 통경수단이 경사를 고정하고 곧이어 클램프가 열리며, 실이 제어되지 않는 상태로 밑으로 떨어지는 동시에 통경되고 상기 통경은 이른바 루우프(loop)통경으로 발생된다.
여러 가지 이유로 인해, 상술한 공지 형태의 실의 존재는 개선될 필요가 있으며 한편, 실을 따라 미끄러지는 손가락 형상의 수단에 의한 수신위치에서는 실의 위치설정이 부드럽지 않음에 따라 실이 절단될 수도 있다. 따라서, 제어되지 않는 상태로 밑으로 떨어지는 실이 걸림에 따라 마찬가지로 오작동을 유발시키게 된다.
결국 다수의 실이 물론 동시에 밑으로 떨어지므로 통경빈도와 통경기의 작업속도가 제한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가능한 한 부드럽게 실을 처리하고 실을 완전히 제어하는 장치를 특정하는 것이다. 부가적으로 높은 통경빈도가 가능해진다.
상기 목적은 경사를 처리하는 장치가 통경수단으로 수신되는 위치까지 분리된 실단부의 제어된 운반을 위한 구동될 수 있는 운반클램프 및 운반작동중 실을 제어하는 제1수단을 가짐에 따라 달성된다.
종래의 프레젠테이션(presentation) 장치와 달리 실은 분리 후 밑으로 자유롭게 떨어지지 않으나 운반클램프에 의해 확실한 방법으로 밑으로 운반된다. 공정 중 전체 길이에 걸쳐 완전히 제어되므로, 실이 걸림에 따라 유발되는 오작동이 일어나지 않는다. 운반클램프의 사용은 수용위치로 엇갈리게되는 방법으로 동시에 다수의 실을 운반하고 통경빈도를 증가시키는 가능성을 확대한다.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분리된 단부의 영역에서 실을 처리하기 위해 제어된 위치설정수단을 수용위치에 배열하고 통경중 실을 제어하는 제2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본 발명은 예제적 실시예와 도면을 참조로 밑에 보다 상세히 기술된다.
제1도에 따라 통경기는 장착대(1)와 여기에 배열된 여러 부조립체로 구성되는데 각각의 부조립체는 기능적 모듈(module)을 표시한다. 경사비임(3)을 가진 경사비임트럭(2)은 장착대(1)의 전방에 있다. 경사비임트럭(2)은 경사비임(3)을 통해 경사(KF)가 클램핑되는 통경프레임(5)을 수용하고 고정하는 상승장치(4)로 밑에 표시된 장치에 연결된다. 통경기로부터 분리된 위치에서 실제 통경전 상기 클램핑이 일어나고 통경프레임(5)은 경사비임(3)바로 옆의 상승장치(4)의 바닥단부에 위치한다.
통경을 위해 경사비임트럭(2)은 경사비임(3)과 상승장치(4)와 함께 통경기의 이른바 설치 측부로 움직이며, 통경프레임(5)은 상승장치(4)에 의해 들어올려지고 장착대(1)에 걸리는데 도면에 도시된 위치를 갖는다. 프레임(5)은 장착대(1)의 전방 상부 세로 거어더(girder)(6) 위에 장착된 운반장치(도시되지 않음)에 걸린다.
통경과정 중 상승장치(4)와 프레임(5)은 경사비임(3) 및 경사비임트럭(2)과 함께 거어더(6)의 세로방향에서 왼쪽으로부터 오른쪽으로 변위된다. 이 변위과정 중 경사(KF)는 통경바늘(7)로 절단된 경사를 보내는 장치와 선택된 경사(KF)를 절단하고 경사를 선택하는 장치를 갖는 실분리단계(FT)를 지나게 되며 바늘은 이른바 통경모듈의 성분을 형성한다. 경사 매듭 기계 우스터 토프마틱에 사용된 선택장치는 예를 들어 경사의 선택에 사용된다.통경바늘(7) 옆에는 작동스테이션(station)에 속하고 기계의 작동 및 오작동을 표시하며 데이터를 입력하는 비디오 디스플레이 유니트(display unit)(8)가 있다. 소위 프로그래밍 모듈의 일부를 형성하는 작동 스테이션은 크리프(creep)운동, 출발 또는 정지, 작동의 반복 또는 유사한 특정한 기능의 수작업 입력의 입력단계를 포함한다. 통경기는 제어컴퓨터를 포함하고 제어박스(9)에 배열된 제어모듈로 제어된다. 제어컴퓨터외에도 상기 제어박스는 소위 모든 메인 모듈을 위한 모듈 컴퓨터를 포함하고 개별적 모듈컴퓨터는 제어컴퓨터에 의해 제어되고 모니터(monitor)된다. 상술한 모듈 즉 통경모듈, 실모듈, 제어모듈과 프로그래밍 모듈외에도 통경기의 메인 모듈은 헬드, 드롭 와이어와 비디모듈이다.
통경바늘(7)에 경사(KF)를 통경하게되는 실분리단계(FT)와 클램핑된 경사(KF)의 평면에 수직으로 움직이는 통경바늘(7)의 운동통로는 장착대의 부분을 형성하는 지지물(10)의 영역에서 평면을 정의하고 평면은 통경기으 하강측부로부터 상술한 설치측부를 분리한다. 경사와 경사가 통경되는 개별적 요소는 설치측부에서 공급되고 통경경사와 함께 이른바 장치들(헬드, 와이어 드롭 및 바디)은 하강측부에서 제거된다. 모든 경사(KF)가 통경되고 프레임(5)이 비워질 때, 상기 프레임은 상승장치(4), 경사비임트럭(2) 및 경사비임(3)과 함께 하강측부에 위치하고 장착대(1)로부터 제거된다.
경사(KF)의 평면 바로 뒤에는 경사정지운동와이어 드롭(LA), 와이어 드롭뒤에 헬드(LI)가 배열되고 그 후방에는 바디가 배열된다. 와이어 드롭은 핸드 매가진(hand magazine)에 쌓이고 가득찬 핸드 매가진은 경사진 공급레일(11)에 걸리며 통경바늘(7)을 향해 오른쪽으로 운반된다. 이 위치에서 통경위치로 분리되어 움직인다. 통경이 완료된 후 와이어 드롭(LA)은 와이어 드롭 지지레일(12)에서 하강측부로 간다.
헬드(LI)는 레일(13)위에 정렬하고 레일에서 분리단계로 이동된다. 헬드(LI)는 통경위치로 개별적으로 움직이고 통경이 완료되면 하강측부에서 상응하는 헬드축(14)에 걸쳐 분포된다. 바디는 마찬가지로 통경바늘(7)를 지나 단계적으로 움직이며 상응하는 바디틈새는 통경을 위해 열린다. 통경된 후 바디는 마찬가지로 하강측부에 위치한다. 바디(WB)의 부분은 헬드축(14) 우측면에 있다. 이것은 단순히 도시적인 것으로 이해되는데 프레임(5)의 도시된 위치에서 바디는 물론 설치 측부에 위치되기 때문이다.
도면에서 더 명백하듯이 이른바 장치트럭(15)은 하강측부에 장착된다. 장치트럭(15)과 그 위에 고정된 와이어 드롭 지지레일, 헬드축(14) 및 바디홀더(holder)는 장착대(1)로 밀려 도시된 위치를 갖게되며 통경된 후 통경경사(KF)를 가진 장치를 운반한다. 이 순간에 상승장치(4)와 경사비임(3)이 있는 경사비임트럭(2)은 장치트럭(harness truck)(15)의 전방에 직접 위치한다.
상승장치(4)에 의해 장치(harness)는 장치트럭(15)으로부터 경사비임(3)과 통경장치를 운반하는 경사비임트럭(2)에 올려져서 재배치되고 적절한 직기나 중간저장소로 이동될 수 있다.
통경기의 개별적 메인 모듈은 각 경우 특정한 작동을 위해 갖춰진 서브 모듈로 구성된다. 그러나 이 모듈적 구조는 본 발명의 대상이 아니다. 스위스 특허출원번호 3633/89를 참조해보자. 통경바늘(7)에 선택된 경사를 보내는 서브 모듈(PR)은 밑에 기술되겠고 서부 모듈(PR)은 실모듈의 일부를 이룬다.
전체 실모듈은 프레젠테이션장치(PR)의 일부를 형성하는 실분리단계(FT)와 운반장치가 있는 통경프레임(5), 경사비임트럭(2)과 상승장치(4)로 구성된다. 제1도에 관해 왼쪽으로부터 보아을 때 제2a도와 2b도에 이 서브 모듈이 측면도로 도시되고 제2b도의 화살표()의 방향으로 제3a도와 3b도에 배면도로 도시된다.
제2a도와 3a도는 바닥에서 각각 끝나고 제2b도와 3b도는 점과 대시선으로 상부에서 끝나고 이 끝나는 선에서 정렬된 것으로 가정된다.
도면에 따라 프레젠테이션장치(PR)는 장착대(1)(제1도)에 고정되고 연장된 베이스 플레이트(16)를 구성하며 상부로부터 베이스 플레이트(16)의 중앙까지 연장되는 안내벨트(18)를 구동하고 안내하는 제1롤러(17)가 배열되고 운반벨트(20)를 구동하며 안내하는 제2롤러(19)는 베이스 플레이트(16)의 전체길이에 걸쳐 연장되고 안내벨트(18)를 따라 실고정장치(21)가 밑으로 연장된다.
부가적으로 운반벨트(20)의 바닥복귀점의 영역에 배열된 실위치 설정 단계가 갖춰지고 실위치설정 단계는 제4도에 도시되고 이중선으로 통경된 실피스(piece)(F)에 의해 제2b도와 3b도에서 상징화된다.
제3a도와 3b도에서 명백하듯이 모터(22)는 각각 기어가 형성된 벨트(18과 20)로부터 먼 베이스 플레이트(16)의 측부에 고정되고 모터(22)는 다른 벨트를 통해 축(23)은 구동하며 베이스 플레이트(16)의 어느쪽 측부에나 마찬가지로 롤러(19와 24)가 각각 장착된다.
제3b도의 오른쪽롤러(19)는 운반벨트(20)의 구동롤러이고 왼쪽롤러(24)는 롤러(26)(제3a도)를 통해 안내벨트(18)의 드라이브(drive) 역할을 하는 바닥롤러(17)을 구동하는 기어가 형성된 벨트(25)를 구동한다. 구동롤러는 최소한 기어가 형성된 벨트 풀리(pulley)로 설계된다.
기술된 구동 매카니즘은 운반과 안내벨트(20과 18) 각각이 균일한 속도율로 구동되도록 한다. 다수의 벨트안내부는 두 벨트(18과 20)의 통로에 배열된다. 지지표면인 안내레일은 참조번호 27로 표시되며 안내벨트(18)의 측면으로 돌출하는 여유부분을 갖는 채널(channel)형상의 안내부는 참조번호 28로 표시된다. 참조번호 29는 채널형상의 안내부를 표시하며 참조번호 30은 마찬가지로 운반벨트(20)의 채널형상의 안내레일을 표시한다.
안내레일(18)은 시계방향으로 구동되고 운반벨트(20)가 시계 반대방향으로 구동되어 두 벨트는 안내레일(27과 30)의 영역에서 상부에서 바닥으로 같은 방향으로 움직인다. 제2a도에 3개만 도시된 가요성 운반클램프(31)는 벨트(20)을 따라 일정한 거리에 배열된다.
운반클램프(31) 사이의 상호거리는 130이므로 베이스 플레이트(16)의 전체길이는 1m가 약간 넘는다. 제2a도에 다섯 개만 도시된 편향후크(hook)(32)는 운반클램프(31)의 간격의 반에 즉 65의 거리에 안내벨트(18)을 따라 배열된다. 재측정으로 결정되는 것처럼 8개의 편향클램프(31)과 편향후크(32)는 항상 운반밸트(20)와 안내벨트(18) 각각과 함께 상부에서 바닥으로 동시에 움직인다.
경사가 선택될 때 통경프레임(5)(제1도)의 상부와 바닥의 클램핑 레일 사이에서 선택하기 바로 전에 클램핑되고 이 위치에서 상부의 클램핑 레일의 영역에서 편향후크(32)로 가게되는데 이것이 운동통로를 가로지른다. 실이 분리장치(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상부의 클램핑 레일의 영역에서 고정되고 편향후크(32) 위로 바닥부분의 상부단부와 함께 놓이고 열린 운반클램프(31) 안으로 삽입된다.
이 위치는 제2a도의 상부에 도시된다. 그때 운반클램프(31)는 실을 적절한 장소에서 닫고 클램핑된다. 이 순간 벨트(18과 20)는 정지해 있다. 운반클램프(31)와 편향후크(32)는 밑으로 움직이고 실은 편향후크(32)를 통해 통경프레임(5)의 바닥의 클램핑 레일부터 운반클램프(32)까지 클램핑된다. 운반중 실이 클램핑되기 위해 운반 클램프(31)는 편향후크(32) 보다 두배정도 빠르게 움직인다. 즉, 운반벨트(20)는 안내벨트(18) 보다 두 배 빠르게 구동된다.
다음 편향후크(32)가 다음의 선택된 실을 잡을 때 상술한 작동이 반복되어 8개의 실이 상부에서 바닥으로 엇갈리며 간헐적인 방법으로 동시에 운반된다. 운반벨트(20)가 정지해 있는 바로 그 순간 생기는 운반클램프(31)의 제2b도 바닥왼쪽에 있는 구동롤러(19)의 영역에 도달하자마자 실은 제4도에 도시된 위치설정 단계로 이동되며 운반클램프(31)는 압축공기 플런저(33)에 의해 열린다. 통경바늘(7)(제1도)은 실을 받아들인다. 결국 운반클램프(31)로 운반되는 것 보다 몇 배나 빠른 속도로 통경이 일어나므로 통경바늘(7)로 수용되는 순간 실은 편향후크(32)로부터 풀려야 한다. 실은 향후크(32)에 의해 방출된 후 실고정장치(21)에 의해 제어된다.
실고정장치는 안내레일(30)의 연속이고 안내채널이나 안내축형태로 설계된다. 보는 사람을 마주보는 이 채널의 전방은 구멍을 제외하고 스트립(34)에 의해 덮여진다. 내부에는 이 스트립이 브리슬 밴드(bristle band)(35)를 갖추고 있고 상기 브리슬은 안내채널에 측면으로 끝나는 벽(36)까지 연장된다. 안내채널의 상부단부에 실고정장치(21)로 편향후크(32)로부터 실을 안내하는 활형상의 실안내부(37)가 형성된다.
밖으로 당겨진 후 실은 실브레이크(brake) 역할을 하는 벽(36)에 대해 지탱하는 브리슬과 벽(36) 사이의 실고정장치(21)에서 미끄러진다. 부가적으로 실은 또한 이 상태로 클램핑되며 제어는 안되지 않는다. 감지기로 실운동을 모니터하는 창문형상의 요홈(44)이 벽(36)의 바닥 단부 영역에 형성된다.
제4도는 실이 통경바늘(7)(제1도)에 의해 받아들여지는 위치설정 단계의 도면이다. 도면은 제3b도의 확대된 상세도이고 운반클램프(31)을 여는 공기식 플런저(33)는 간결함을 위해 삭제되었다. 롤러(24와 19)를 갖는 축(23)과 베이스 플레이트(16)의 바닥단부가 도면에 있다. 롤러(19)의 원주에는 운반클램프(31)(제2a도)를 운반벨트(20)에 클램핑하는 클램핑 요소(31')가 도시되어 있다.
제1지지판(39)은 제1거리핀(38)을 통해 베이스 플레이트(16)으로부터 떨어져 고정되고 제1지지판(39)에 제2지지판(41)이 제2거리핀(40)을 통해 장착된다. 부가적으로 제1지지판(39)은 베이스 플레이트(16)에 장착되며 불작동상태에서 단부면이 롤러(19)의 오른쪽단부면 수준에 있고 작동될 때 도시된 작동위치에서 제1지지판(39)에 대해 지탱할때까지 이것을 향해 오른쪽으로 움직이는 제1의 공기식 클램핑 플런저(42)의 멈춤수단 역할을 한다.
제2지지판(41)에 장착된 것은 작동될 때, 롤러(19)를 향해 왼쪽으로 도시된 불작동위치 밖으로 움직이고 롤러의 인접단부면에서 멈춤수단에 대항하여 오게되는 제2압축공기식 클램핑 플런저(43)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실을 받아들이는 도중 실을 풀기 이한 운반클램프(31)의 열림과 닫힘은 운반벨트(20)가 정저해 있을 때 이루어진다. 통경바늘(7)에 의한 통경 중 다음 운반클램프(31)는 압축 공기식 플런저(33)에 도달하고 다음실이 받아들여지게 된다. 8개의 실이 보내는 장치(PR)를 동시에 통과하므로 한 실에 대해 8배의 통경기간이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높은 통경빈도에서도 신뢰성있는 실보냄이 보장된다.
Claims (13)
- 경사층의 개별적 경사를 선택하는 장치를 갖고 장치가 분리수단을 가지며 선택된 경사를 통경수단으로 보내는 이 있는 경사층으로부터 직기의 장치 안으로 경사를 자동 통경하는 경사의 자동통경기에 있어서, 경사(KF)를 보내는 장치(PR)가 통경바늘(7)으로 받아들여지는 위치까지 분리된 싣란부의 제어된 운반을 위해 구동될 수 있는 운반클램프(31) 및 운반작동 중 실을 제어하는 제1수단(32)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의 자동통경기.
- 제1항에 있어서, 분리된 단부영역에서 실을 위한 수용위치에 배열된 제어된 위치 설정수단(42,43)과 통경 중 실을 제어하는 제2수단(21)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의 자동통경기.
- 제2항에 있어서, 제1수단이 실의 구동될 수 있는 안내요소(32)로 형성되고 상기 안내요소(32)는 운동시 운반클램프(31)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의 자동통경기.
- 제3항에 있어서, 경사층은 프레임의 두 클램핑 레일 사이에 수직으로 클램핑되고, 분리수단은 상부의 클램핑 레일에 인접 배열되며, 통경수단은 바닥의 클램핑 레일에 인접 배열되면서 운반클램프(31)가 분리된 실의 단부를 운반할 때 할당된 안내요소(32)는 운반클램프 위에 있고 실은 바닥의 클램핑 레일부터 안내요소까지 그리고 안내요소로부터 운반클램프로 움직이고 안내요소에 의해 클램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의 자동통경기.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요소(32)가 후크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운반클램프(31)의 속도의 반에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의 자동통경기.
- 제5항에 있어서, 이격된 위치에 있는 다수의 운반클램프(31)와 이격된 위치에 있는 안내요소(32)가 제공되고 상기 안내요소 사이의 상호거리는 운반 클램프 사이 거리의 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의 자동통경기.
- 제6항에 있어서, 운반클램프(31)와 안내요소(32)가 구동벨트(20 또는 18)에 각각 배열되고 각각의 두 구동벨트가 분리된 실의 단부 운반통로를 따라 움직이는 측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의 자동통경기.
- 제7항에 있어서, 운반통로를 따라 움직이는 안내요소(32)의 구동벨트(18)의 측부는 운반클램프(31)의 구동벨트(20)의 측부보다 짧고 통경중 실을 제어하는 제2수단(21)은 안내요소의 구동벨트와 연동된 운반통로를 따라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의 자동통경기.
- 제8항에 있어서, 제2수단(21)이 탄성적수단(35)으로 덮여진 실방출 구멍을 갖는 축형상의 실고정장치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의 자동통경기.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적수단(35)이 브리슬(bristle)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의 자동통경기.
- 제10항에 있어서, 운반클램프(31)를 열기 위해 운반통로의 바닥단부 영역에 배열된 압축공기로 작동되는 수단(33)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의 자동통경기.
- 제2항에서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위치설정수단(42,43)이 이격되어 배치된 두 클램핑 피스톤으로 형성되고 멈춤수단(39 또는 19)에 대해 조절가능하며, 클램핑 피스톤의 클램핑 위치에서 실은 단부영역 내의 통경수단(7)으로 한정된 위치(F')로 보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의 자동통경기.
- 제12항에 있어서, 클램핑 피스톤(42,43)이 압축공기로 작동되는, 플런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의 자동통경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CH3619/90-1 | 1990-11-14 | ||
CH3619/90A CH682499A5 (de) | 1990-11-14 | 1990-11-14 | Maschine zum automatischen Einziehen von Kettfäden. |
PCT/CH1991/000229 WO1992008830A1 (de) | 1990-11-14 | 1991-11-12 | Maschine zum automatischen einziehen von kettfäden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20703899A KR920703899A (ko) | 1992-12-18 |
KR100202754B1 true KR100202754B1 (ko) | 1999-06-15 |
Family
ID=4259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20701555A KR100202754B1 (ko) | 1990-11-14 | 1990-11-12 | 경사의 자동 통경기 |
Country Status (16)
Country | Link |
---|---|
US (1) | US5355566A (ko) |
EP (1) | EP0510140B1 (ko) |
JP (1) | JP3044484B2 (ko) |
KR (1) | KR100202754B1 (ko) |
AT (1) | ATE134005T1 (ko) |
AU (1) | AU649280B2 (ko) |
CA (1) | CA2072576A1 (ko) |
CH (1) | CH682499A5 (ko) |
DE (1) | DE59107390D1 (ko) |
DK (1) | DK0510140T3 (ko) |
ES (1) | ES2082995T3 (ko) |
PT (1) | PT99497A (ko) |
RU (1) | RU2083740C1 (ko) |
TR (1) | TR25568A (ko) |
TW (1) | TW227581B (ko) |
WO (1) | WO1992008830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36557B1 (ko) | 2020-05-08 | 2020-07-22 | 주식회사 세신 | 무전해 도금용 지그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H687881A5 (de) * | 1993-09-13 | 1997-03-14 | Staeubli Ag Zweigwerk Sargans | Litzensepariervorrichtung fuer Kettfadeneinziehmaschinen. |
CH690783A5 (de) * | 1995-12-21 | 2001-01-15 | Staeubli Ag Zweigwerk Sargans |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Einziehen von Kettfäden. |
US7178558B2 (en) * | 2005-04-25 | 2007-02-20 |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 Modular weaving for short production runs |
US7318456B2 (en) * | 2005-04-25 | 2008-01-15 |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 Modular weaving system with individual yarn control |
CN105755655B (zh) * | 2016-05-03 | 2017-11-03 | 佛山慈慧通达科技有限公司 | 一种全自动穿筘机 |
CN106012253B (zh) * | 2016-07-29 | 2017-10-24 | 江阴市通源纺机有限公司 | 穿综机快速送纱机构 |
CN111676578B (zh) * | 2020-07-12 | 2024-07-26 | 诸暨市捷速尔纺织机械有限公司 | 穿综机用双盘头机架 |
CN117921120B (zh) * | 2024-03-20 | 2024-05-24 | 深圳市华金硕科技有限公司 | 电阻电容自动焊接设备 |
Family Cites Familie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681825A (en) * | 1970-05-11 | 1972-08-08 | Zellweger Uster Ag | Machine for the automatic drawing in of the threads of a warp |
JPS60224842A (ja) * | 1984-04-19 | 1985-11-09 | 帝人製機株式会社 | 糸通し方法およびその装置 |
US4910837A (en) * | 1986-03-17 | 1990-03-27 | Kabushiki Kaisha Toyoda Jidoshokki Seisakusho | Looming apparatus for a loom |
JPH02264045A (ja) * | 1989-04-04 | 1990-10-26 | Teijin Seiki Co Ltd | 糸の供給方法およびその装置 |
CH679871A5 (ko) * | 1989-10-04 | 1992-04-30 | Zellweger Uster Ag | |
JPH0742637B2 (ja) * | 1989-10-25 | 1995-05-10 | シーケーディ株式会社 | 糸分離装置 |
DE9002278U1 (de) * | 1990-02-26 | 1991-07-25 | Hermann Wangner Gmbh & Co Kg, 7410 Reutlingen | Platine für einen Separator zum Erfassen und Vereinzeln von Fäden |
CH682577A5 (de) * | 1990-09-17 | 1993-10-15 | Zellweger Uster Ag | Vorrichtung zur Handhabung von Litzen oder Lamellen in einer Kettfadeneinziehmaschine. |
-
1990
- 1990-11-12 KR KR1019920701555A patent/KR100202754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0-11-14 CH CH3619/90A patent/CH682499A5/de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1
- 1991-09-12 TW TW080107219A patent/TW227581B/zh active
- 1991-11-12 AT AT91918724T patent/ATE134005T1/de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1-11-12 AU AU87577/91A patent/AU649280B2/en not_active Ceased
- 1991-11-12 CA CA002072576A patent/CA2072576A1/en not_active Abandoned
- 1991-11-12 ES ES91918724T patent/ES2082995T3/es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1-11-12 DE DE59107390T patent/DE59107390D1/de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1-11-12 DK DK91918724.5T patent/DK0510140T3/da active
- 1991-11-12 TR TR91/1048A patent/TR25568A/xx unknown
- 1991-11-12 WO PCT/CH1991/000229 patent/WO1992008830A1/de active IP Right Grant
- 1991-11-12 EP EP91918724A patent/EP0510140B1/de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1-11-12 RU SU915052942A patent/RU2083740C1/ru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1-11-12 US US07/867,189 patent/US5355566A/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1-11-12 JP JP3517633A patent/JP3044484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1-11-13 PT PT99497A patent/PT99497A/pt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36557B1 (ko) | 2020-05-08 | 2020-07-22 | 주식회사 세신 | 무전해 도금용 지그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ATE134005T1 (de) | 1996-02-15 |
DK0510140T3 (da) | 1996-06-17 |
JPH05506280A (ja) | 1993-09-16 |
EP0510140B1 (de) | 1996-02-07 |
RU2083740C1 (ru) | 1997-07-10 |
EP0510140A1 (de) | 1992-10-28 |
PT99497A (pt) | 1994-01-31 |
CH682499A5 (de) | 1993-09-30 |
AU649280B2 (en) | 1994-05-19 |
TR25568A (tr) | 1993-07-01 |
CA2072576A1 (en) | 1992-05-15 |
WO1992008830A1 (de) | 1992-05-29 |
ES2082995T3 (es) | 1996-04-01 |
TW227581B (ko) | 1994-08-01 |
DE59107390D1 (de) | 1996-03-21 |
KR920703899A (ko) | 1992-12-18 |
JP3044484B2 (ja) | 2000-05-22 |
AU8757791A (en) | 1992-06-11 |
US5355566A (en) | 1994-10-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202752B1 (ko) | 경사 통경기 내의 헬드 또는 드롭 와이어 조종장치 | |
KR100202754B1 (ko) | 경사의 자동 통경기 | |
US5475906A (en) | Heald-separation apparatus for warp-thread drawing-in machines | |
RU2092635C1 (ru) |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азделения галев для проборной машины | |
US5253404A (en) | Apparatus for drawing warp yarns into a weaving reed | |
RU2028394C1 (ru) |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оборки нитей основы в галева ремиз ткацкого станка | |
GB2073261A (en) | Thread feeding equipment for a weaving or knitting machine | |
US5174000A (en) | Apparatus for singularizing drop-wires in warp-thread drawing-in machines | |
AU675155B2 (en) | Heald Carrier Rails Having Control Clamps For Holding Rails and Limiting Movement of Healds | |
JPH101858A (ja) | 繊維ウエブのニードルパンチ方法及び装置 | |
KR20010075061A (ko) | 잉아 또는 드로퍼 피이드 | |
US5816175A (en) | Thread control apparatus for a double chain stitch sewing machine | |
KR0184009B1 (ko) | 경사 통경기의 드롭 와이어 조종장치 | |
KR100277088B1 (ko) | 날실공급기용 인입선 분리기 | |
US5168695A (en) | Tube transport apparatus with intermediate stationary magazines dispensable to service carriage | |
US5794319A (en) | Method and device for drawing-in and transporting warp threads | |
US5448812A (en) | Heald transfer station having locks positioned to control movement of healds | |
US5088523A (en) | Heddle selection in a weaving machine for rethreading | |
US4220020A (en) | Warp knitting machine with weft inserters | |
KR20010074964A (ko) | 하니스요소 특히 드롭와이어(la)의 전달장치 | |
US4649965A (en) | Picking arrangement for a weaving machine | |
KR100239982B1 (ko) | 경사 통경기내의 드롭와이어를 조작하는 장치 | |
JPH0367133B2 (ko) | ||
US5036780A (en) | Feed device for a sewing machin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40224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