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74964A - 하니스요소 특히 드롭와이어(la)의 전달장치 - Google Patents

하니스요소 특히 드롭와이어(la)의 전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74964A
KR20010074964A KR1020017002882A KR20017002882A KR20010074964A KR 20010074964 A KR20010074964 A KR 20010074964A KR 1020017002882 A KR1020017002882 A KR 1020017002882A KR 20017002882 A KR20017002882 A KR 20017002882A KR 20010074964 A KR20010074964 A KR 200100749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drop
conveying
drop wires
mov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28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페릭스 코브러
페터 뮬러
Original Assignee
추후제출
스타우블리 아게 패피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후제출, 스타우블리 아게 패피콘 filed Critical 추후제출
Publication of KR200100749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4964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JAUXILIARY WEAVING APPARATUS; WEAVERS' TOOLS; SHUTTLES
    • D03J1/00Auxiliary apparatus combined with or associated with looms
    • D03J1/14Apparatus for threading warp stop-motion droppers, healds, or ree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ooms (AREA)
  • Insulated Conductors (AREA)
  • Auxiliary Weaving Apparatuses, Weavers' Tools, And Shuttles (AREA)
  • Reciprocating Conveyor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Saccharide Compounds (AREA)
  • Supply, Installation And Extraction Of Printed Sheets Or Plates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 Intermediate Stations On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수적으로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운반부재(22)위에 배열되는 제직기계용 하니스요소들 특히 드롭와이어(LA)들의 전달장치에 관련되고, 상기 드롭와이어(LA)들의 전달장치는 판(21)이 상기 운반부재(22)들에 대해 평행하게 배열되고, 하부에 배열되며, 드롭와이어(LA)들이 운반부재(22)들 및 판(21)위에 놓여지고, 각도(α) 및 운반부재(22)를 형성하며, 판(21)이 서로에 대해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하니스요소 특히 드롭와이어(LA)의 전달장치{METHOD FOR TRANSPORTING HARNESS ELEMENTS, ESPECIALLY DROP WIRES}
예를 들어, 종래기술에 따르면, (문헌 제 CH 682 577 호에 따르면)도 1의 사시도에서와 같이, 날실기계(날실인장기계)가 공개된다. 상기 날실기계가 기저프레임(1) 및 기저프레임내에 배열된 여러 가지 서브조립체들로 구성되고, 각각이 기능모듈을 형성한다. 기저프레임(1)의 전방부에서 날실빔운반체(2)위에 배열된 날실빔(beam)(3)을 가지는 날실빔운반체(2)를 확인할 수 있다. 날실빔운반체(2)가 또한 프레임(5)을 고정하기 위한 상승장치(4)를 포함하고, 날실(KF)들이 그위에서 인장된다. 상기 인장작업을 위하여, 날실빔(3) 및 상승장치(4)를 가진 날실빔운반체(2)가 소위 인장기계의 날실측면에 대해 이동되고, 상기 프레임(5)이 상기 상승장치(4)에 의해 상승되고, 제위치에 매달려 있게 되며, 상기 위치가 도면에 도시된다. 상기 프레임(5) 및 날실빔(3)이 기저프레임(1)의 종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이동이 이루어지는 동안, 상기 날실(KF)들이 실분리단계(6)를 지나 안내되고, 상기 작동시, 상기 날실들이 분리되고, 나누어진다. 나누어진 후에 상기 날실들이 절단되고, 인장바늘(7)에 제공되며, 소위 인장모듈의 구성부품을 형성한다.
인장바늘(7)과 근접한 위치에서 작동스테이션에 해당하고, 기계기능과 기계오동작 및 데이터 입력을 나타내기위해 이용되는 모니터스크린(8)을 확인할 수 있다. 작동스테이션은 소위 프로그램모듈의 일부분을 형성하고, 또한 특정 기능 및 시퀀스의 수동입력을 위한 입력단계를 형성한다. 제어모듈에 의해 인장기계의 제어가 수행되고, 상기 제어모듈은 제어컴퓨터로 구성되고, 제어캐비넷(9)내부에 배열된다. 상기 제어컴퓨터는 각각의 기능모듈을 위한 개별모듈식 컴퓨터로 구성되는 것이 선호되고, 상기 컴퓨터는 상기 제어컴퓨터에 의해 제어 및 조정된다.
실분리단계(6)가 인장바늘(7)에 대해 인장되는 날실(KF) 및 인장바늘(7)의 이동경로를 제공하고, 인장바늘(7)은 인장된 날실(KF)의 평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구성되며, 상기 설명과 같이, 인장기계의 소위 도핑(doffing)측부로부터 날실측부를 분리시키는 평면이 상기 실분리단계(6)에 의해 결정된다. 날실 및 개별 하니스요소들 즉 날실들이 인장되어야 하는 힐드(heald)들 및 드롭와이어들이 날실측부에 제공된다. 인장된 날실들을 가진 소위 하니스 (힐드, 드롭와이어 및 리드(reed)가 제거될 수 있다. 날실(KF)의 평면바로 뒤에 날실정지운동드롭와이어(LA)가 배열되고, 상기 드롭와이어들뒤에 제직힐드(L1)이 위치하고, 더욱 뒤에 제직리드가 위치한다.
하니스요소(LA, LI)들이 매가진(magazine)들내부에 쌓여지고, 공급레일(11,13)내부에 매달려 위치하며, 분리되는 위치로 공급되고, 개별 하니스요소들이 인장되는 날실위한 인장바늘(7)로 전달된다. 예를 들어, 인장작업이 이루어진후에 도필측부의 드롭와이어들이 소위 하니스운반체(15)가 제공되는 드롭와이어운반기능의 레일(12)들위를 통과한다. 운반체위에 고정된 운반부재와 함께 -드롭운반식 레일(12), 제직기능의 축(14) 및 상기 제직리드를 위한 홀더(holder)- 이것은 기저프레임내부로 도시된 위치로 가압되고, 다음에 인장작업은 날실들을 가진 하니스를 운반한다.
종래기술에 따르면, 또한 인장되는 날실(KF)과 함께 날실기계의 도핑측부의 운반레일(12)들위에 놓여지는 드롭와이어(LA)를 크기가 작은 나사핀들에 의해 상기 운반레일들을 따라 운반하는 것이 공지되어있다. 상기 목적을 위하여, 크기가 작은 (도 1에 도시되지 않은) 상기 나사핀들이 미리 운반레일들의 상부에서 슬록내부로 삽입되어야 한다. 두께가 얇고 크기가 작은 상기 나사핀들은 날실빔의 폭을 초과하는 길이를 가지기 때문에, 상기 작업은 상당량의 시간 및 숙련도를 요구한다. 크기가 작은 상기 나사핀들에 의해 다음에 드롭와이어는 추가로 운반부재들위에 전달될 수 있고, 즉 운반레일로부터 접촉레일까지 전달될 수 있고, 상기 접촉레일은 제직기계에 있어서 중요하다. 다음에 드롭와이어는 다시 동일한 방법에 의해 운반레일위에 전달되어야 한다. 따라서 크기가 작은 상기 나사핀들을 이용하면, 상기 운반부재들 즉 접촉레일들 및 운반레일들을 도핑할 때, 복잡해지고, 시간소모가 크다. 또한 서로 평행하게 이동하고, 크기가 작은 각각의 나사핀들을 위해 구동작용이 이루어져야 한다.
본발명은 제 1항의 전제부를 따라 하니스(harness)요소들을 전달하기 위한 장치, 특히 필수적으로 수평방향으로 구성되고, 전달부재들위에 배열되는 제직기계들을 위한 드롭와이어(drop wire)(LA)들에 관련된다.
도 1은 단지 이해를 목적으로 제공되고, 전체적으로 또는 세부적으로 도 1의 장치와 상당히 상이할 수 있고, 하니스요소들을 전달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가설치되어야 하는 날실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접촉레일위에서 운반되어야 하는 드롭와이어의 도면 및 판을 통한 종방향단면도.
도 2A 는 판의 상승운동을 도시한 도면.
도 2B 는 판이 가장 높은 위치에 있을 때의 도면.
도 2C 는 판의 하강운동을 도시한 도면.
도 2D 는 판이 가장 낮은 위치에 있을 때의 도면.
도 3은 판구동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판구동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판구동의 제 3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5A 는 판의 하강운동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B 는 판의 상승운동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판의 선호되는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부호설명
21..........판 22..............운반부재
LA...........드롭와이어 26.........표면
31........실린더 32.........피스톤
37, 37'............피봇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크기가 작은 나사핀들을 여유있게 이용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제 1의 특징들에 따르면, 하니스요소들, 특히 제직기계들을 위한 드롭와이어(LA)들을 운반하기위한 장치에 의해 상기 목적이 달성되고, 상기 드롭와이어들이 필수적으로 수평방향으로 구성되는 운반부재들위에 배열되며, 상기 장치의 특징에 따르면, 필수적으로 운반부재들과 평행하게 배열되고, 하부에 위치한 판이 구성되고, 드롭와이어들이 운반부재들 및 상기 판위에 놓여지며, 각도(α)를 형성하고, 운반부재(22) 및 판(21)가 서로에 대해 이동가능하다. 본 발명을 따르는 장치의 선호되는 실시예가 종속항들에 제시된다.
본 발명을 따르는 장치의 장점들에 의하면, 상기 드롭와이어들이 접촉레일들위에 직접 일직선배열되고, 상기 접촉레일들위에서 추가로 전달될 수 있기 때문에 크기가 작은 나사핀들 뿐만아니라 운반레일이 불필요하다. 상기 배열에 있어서, 접촉레일들로서 설계된 운반부재들에 치형부들이 구성여부가 중요하지 않다. 따라서, 드롭와이어들의 운동이 고유하게 제어되거나 드롭와이어의 운동이 추가로 제어되지 않도록, 판이 상승될 때, 상기 실의 장력이 상기 운동에 영향을 준다.
하기 설명에 있어서, 실시예들을 개략적으로 비제한적으로 도시하는 상기 장치의 실시예들이 도면들에 의해 설명된다.
본 발명을 따르는 장치의 일부분에 관한 종방향 단면도가 도 2에 도시된다.상기 도면을 참고할 때, 접촉레일(22)위에서 운반되어야 하는 드롭와이어(LA)가 도시되고, 판(21)이 도시된다. 드롭와이어(LA)가 접촉레일(22)의 상측변부(25)위에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접촉레일의 슬롯의 상단부에 놓여지고, 상기 판(21)의 표면위에서 하단부에 놓여진다.
도 2 A를 참고할 때, 화살표(23)의 방향으로 상기 판(21)이 상승된다. 상기 판(21)이 상승운동에 의하여, 화살표(24)방향으로 상기 드롭와이어(LA)의 상부가 접촉레일(22)을 따라 미끄럼운동하고, 필수적으로 드롭와이어의 하단부가 동일 위치에 유지된다. 그 결과, 운반부재(22)의 상변부(25) 또는 판(21)의 표면(26) 및 드롭와이어(LA)사이의 각(α)가 감소한다. 판(21)에 대한 운반부재(22)의 하강운동 또는 상기 판 및 운반부재들을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또 다른 판 및 운반부재들을 향해 이동시키는 작용이 해당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선호되는 실시예에 있어서, 드롭와이어(LA)의 하단부가 후방으로 상당히 이동하지 않고 드롭와이어(LA)의 상단부가 상기 운동을 수행하도록 상기 드롭와이어(LA)가 상기 운반부재화 비교되고, 특히 상측변부(25)와 비교되며, 상기 판(21)의 표면(26)과 비교하여 상기 드롭와이어(LA)가 마찰계수를 가진다. 스테인레스강에 의해 상기 접촉레일 및 판을 구성하는 것이 매우 적합할 수 있다. 운반부재의 상측변부(25) 및 판의 표면(26)은 일반적으로 특수처리를 요구하지 않는다. 마찰계수를 변화시키기위하여, 스테인레스강으로 제조되고, 특수 핀 또는 조대화된 표면들이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상측변부(25)에서 치형부를 가진 기계식 접촉레일들을 이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특히 드롭와이어들의 소요전달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상기 표면(26)의 측면이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전기전도성이 요구되는 접촉레일들에 있어서, (예를 들어, Cu, Ag 와 같이)비철금속 또는 귀금속이 이용될 쉬 있다. 또한 마찰계수를 변화시기 위한 또다른 재료들은 표면코팅 또는 삽입체형태의 플라스틱을 포함한다.
도 2B를 참고할 때, 상기 판(21)은 접촉레일(22)에 대하여 그리고 각각 기계부품(27)에 대하여 가장 높은 위치에 있고, 상기 상태가 구체적으로 지정되지 않고 단지 운동을 명확히 이해하도록 도시된다. 상기 단부위치까기 판(21) 및 운반부재(22)의 상호 접근운동에 의하여, 드롭와이어(LA)와 운반부재(22)의 상측변부(25) 및 판(21)의 표면(26)사이의 각도(α)가 가장 작은 값을 가진다.
도 2C를 참고할 때, 상기 판(21)이 화살표(23')을 향해 하향이동된다. 상기 판(21)의 하향운동에 의하여, 드롭와이어(LA)의 하부부분이 화살표(24')를 향해 판(21)을 따라 미끄럼운동하고, 드롭와이어(LA)의 상부부분은 필수적으로 동일 위치에 유지된다. 상기 운반부재(22)의 상측변부(25) 및 드롭와이어(LA)와 판(21)의 표면(26)사이의 각도(α)가 증가한다.
판(21)에 대한 운반부재(22)의 상승운동 또는 판 및 운반부재가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또 다른 판 및 운반부재로부터 이동이 해당 효과를 가진다.
도 2D를 참고할 때, 상기 판(21)은 접촉레일(22)에 대하여 그리고 각각 기계부품(27)에 대하여 가장 낮은 위치에 있고, 상기 상태가 구체적으로 지정되지 않고 단지 운동을 명확히 이해하도록 도시된다. 상기 단부위치까지 판(21) 및 운반부재(22)의 상호 분리운동에 의하여, 드롭와이어(LA)와 운반부재(22)의 상측변부(25) 및 판(21)의 표면(26)사이의 각도(α)가 가장 큰 값을 가진다.
상기 각도(α)는 90°이하가 선호된다. 다음에 드롭와이어(LA)들의 경사위치를 향해 상기 드롭와이어들이 전달된다. 특히 55°내지 75°의 각도(α)가 선호된다.
그러나 적어도 일시적으로 드롭와이어(LA)가 드롭와이어의 하측부위에서 변위없이 안내되고, 운반부재(22)의 상측변부(25) 및 표면(26)에 대하여 상기 드롭와이어(LA)들이 사실상 90°의 각도(α)를 가지거나 수직으로부터 상당히 상이하지 않도록 (도면에 도시되지 않더라도) 요홈들이 판(21)의 표면(26)내에 제공되거나 웨브들이 상기 표면위에 배열될 수 있다. 다음에 또한 판(21) 및/또는 운반부재(22)의 운동이 수평운동성분을 가지는 것이 선호된다.
도 3을 참고할 때, 판(21)을 위한 구동부의 제 1 실시예가 도시된다. 상기 판(21)의 하측부(선택적으로 또는 하측부와 조합하여, 또한 상기 측부)위에 운동트랙(28)들이 배열된다. 상기 운동트랙들이 한 개 또는 두 개이상의 경사평면(29)들로 구성되고(도면에 도시되지 않음), 상기 경사평면들위에서 롤러(30)들이 운동한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운동장치가 필수적으로 수평면내에서 상기 롤러들을 이동시킨다. 상기 판(21)은 상기 경사평면(28)들을 통해 롤러(30)들위에 놓여지고, 상기 롤러(30)들이 전후로 이동함에 따라 양방향의 화살표의 방향으로 필수적인 수직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판(21)이 추가로 안내되는 것이 선호된다.
도 4를 참고할 때, 판(21)을 위한 구동부의 제 2 실시예가 도시된다. 상기 판(21)의 하측부(선택적으로 또는 하측부와 조합하여, 또한 상기 측부)위에실린더(31)들이 배열된다. 피스톤들이 상기 실린더들내부로 또는 상기 실린더로부터 이동시키면, 판(21)이 필수적으로 수직운동한다.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이중화살표방향으로) 상기 판의 하향 및 상향운동이 이미 피스톤(32)들을 통해 안내되기 때문에, 판의 운동을 위해 추가로 구성되는 안내부들이 생략될 수 있다.
도 5를 참고할 때, 판구동부의 제 3 실시예가 도시된다. 상기 실시예는 힌지(hinge)형태이고, 제 1 고정유니트,(33), 피봇유니트(34) 및 제 2 고정유니트(35)로 구성된다. 제 1 고정유니트(33)가 상기 판(21)의 하측부(선택적으로 또는 하측부와 조합하여, 또한 상기 측부)위에 배열되고, 제 2 고정유니트(3)가 정치식 기계부품(36)위에 배열된다. 피봇(37, 37')들에 의해 상기 피봇유니트(34)가 두 개의 고정유니트들에 연결된다.
제 1고정유니트(33)와 작동가능하게 연결되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운동장치가 드롭와이어(LA)의 전달방향에 대하여, 상기 판을 (도 5A의 작은 화살표의) 좌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그 결과 상기 판(21)은 또한 (큰 화살표의)하향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제 1고정유니트(33)와 작동가능하게 연결되는 동일한 운동장치가 드롭와이어(LA)의 전달방향에 대하여, 상기 판을 (도 5B의 작은 화살표의) 우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그 결과 상기 판(21)은 또한 (큰 화살표의)상향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A를 참고할 때,) 상기 판(21)이 하강될 때, (작은 화살표의)판운동의 수평방향운동성분이 드롭와이어(LA)들의 전달방향을 가리키고, (도 5B를 참고할때,) 상기 판(21)이 상승될 때, 판운동의 수평방향운동성분이 드롭와이어(LA)들의 전달방향과 반대방향을 가리키도록 제 3 실시예를 따르는 판(21)의 구동부가 또한 거울상을 이루며, 반대되게 배열될 수 있다.
도 5의 실시예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판구동부의 제 1 실시예에 해당하는)운동장치와 상기 제 2 고정점(35)이 연결된다. 상기 경우에 있어서, 판(21)의 진동운동 또는 상승 및 하강운동을 위한 안내부가 추가로 제공된다.
도 6을 참고할 때, 판(21)의 선호되는 실시예가 도시되고, 상기 판(21)이 (접촉레일의)운반부재(22)에 대해 수평방향 및 평행하게 그리고 하부에 배열된다. 수평에 대해 각도를 형성하고, 횡방향으로 요홈구조를 이루는 플라스틱 덮개(41)를 가지는 런온(run-on)판(40)이 상기 판에 구성된다. 상기 런온 판은 판(21)의 수평부분과 동기화되어 이동하고, 상기 수평부분에 고정된다. 상기 드롭와이어(LA)들은 좌측으로부터 접촉레일들위에 가압되고, 초기에 약90°의 상당한 각도(α)로 위치한다. 필수적으로 서로 평행하게 이동하는 한 개 또는 두 개이상의 운반부재(22) 및 런온 판(40)과 상기 판(21)이 진동상태로 접근운동 및 분리운동하므로, 상기 드롭와이어들은 추가로 우측으로 가압되며, 상기 과정에서 각도(α)는 더욱 작아지고, 필수적으로 수평방향으로 운동하는 판(21)의 상기 부분이 충돌될 때, 상기 각도(α)는 55°내지 75°가 된다. 따라서 상기 런온 판(40)에 의하여, 상기 드롭와이어(LA)들이 사실상 수직위치로부터 사실상 연속적으로 경사위치로 이동되며, 상기 경사위치는 상기 판(21)에 의해 전달작용을 위해 필요하다.
도시된 구동부의 실시예가 필수적으로 도 3의 실시예에 해당한다. 상기판(21)의 하측부위에 운동트랙(28)들이 배열된다. 상기 운동트랙들은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한 개 또는 두 개이상의 경사평면(29)들로 구성되고, 상기 경사평면(29)들위에서 롤러(30)들이 운동한다. 필수적으로 수평면에서 운동장치(42)가 상기 롤러들을 이동시킨다. 상기 판(21)은 상기 롤러(30)들위에 놓여지고, 상기 롤러들이 전후로 이동함에 따라 이중화살표의 방향으로 필수적인 수직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경사평면(29)들을 통해 상기 판(21)이 추가로 안내되는 것이 선호된다. 운동장치(42)를 위해 이용되는 구동부가 구동수단(43)이고, 상기 구동수단(43)은 압축공기 또는 유압과 같은 유체에 의해 구동되는 실린더로서 구성된다.
도 6의 실시예와 상이하게 특히 런온 판(40)의 표면에 또한 다른 재료 또는 표면덮개 및/또는 표면구조 등에 제공될 수 있거나 드롭와이어들에 대해 마찰을 증가시키기 위해 샌드블라스팅에 의해 조대화될 수 있다.
여기서 상세한 설명이 불필요하도록 상기 운반부재들의 교반되는 상하운동을 위한 장치들은 유사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Claims (14)

  1. 필수적으로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운반부재(22)위에 배열되는 제직기계용 하니스요소들 특히 드롭와이어(LA)들의 전달장치에 있어서,
    판(21)이 상기 운반부재(22)들에 대해 평행하게 배열되고, 하부에 배열되며, 드롭와이어(LA)들이 운반부재(22)들 및 판(21)위에 놓여지고, 각도(α) 및 운반부재(22)를 형성하며, 판(21)이 서로에 대해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롭와이어(LA)들의 전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판(21)이 운반부재(22)에 대해 이동가능하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롭와이어(LA)들의 전달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운반부재(22)들이 상기 판(21)에 대해 이동가능하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롭와이어(LA)들의 전달장치.
  4. 전항들중 한항에 있어서, 각도(α)가 항상 90°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롭와이어(LA)들의 전달장치.
  5. 제 1항내지 제 3항중 한항에 있어서, 각도(α)가 55°내지 7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롭와이어(LA)들의 전달장치.
  6. 전항들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판(21)이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롭와이어(LA)들의 전달장치.
  7. 전항들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판(21)이 매끈한 표면(26)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롭와이어(LA)들의 전달장치.
  8. 제 1항내지 제 7항중 한항에 있어서, 판(21)이 프로파일구조의 표면(26)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롭와이어(LA)들의 전달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26)이 불균일한 부분들으로 구성되고, 상기 불균일한 부분이 상기 드롭와이어(LA)의 소요전달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롭와이어(LA)들의 전달장치.
  10. 전항들중 한 항에 있어서, 판(21)의 전동운동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구동부를 특징으로 하는 드롭와이어(LA)들의 전달장치.
  11. 전항들중 한 항에 있어서, 구동부가 적어도 한 개의 경사평면으로 구성되고, 경사평면위에서 구름운동하는 롤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롭와이어(LA)들의 전달장치.
  12. 제 1항내지 제 10항중 한항에 있어서, 적어도 한 개의 실린더(31)/ 피스톤(32)의 조합으로 상기 구동부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롭와이어(LA)들의 전달장치.
  13. 제 1항내지 제 10항중 한항에 있어서, 피봇(37, 37')을 가진 적어도 한 개의 힌지가 상기 구동부에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롭와이어(LA)들의 전달장치.
  14. 전항들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판(21)의 운동을 안내하기위한 적어도 한 개의 안내장치를 특징으로 하는 드롭와이어(LA)들의 전달장치.
KR1020017002882A 1998-09-09 1999-08-05 하니스요소 특히 드롭와이어(la)의 전달장치 KR2001007496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H184298 1998-09-09
CH1842/98 1998-09-09
PCT/CH1999/000363 WO2000014315A1 (de) 1998-09-09 1999-08-05 Vorrichtung zum transportieren von geschirrelementen, insbesondere von lamelle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4964A true KR20010074964A (ko) 2001-08-09

Family

ID=4219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2882A KR20010074964A (ko) 1998-09-09 1999-08-05 하니스요소 특히 드롭와이어(la)의 전달장치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EP (1) EP1112398B8 (ko)
JP (1) JP2002524666A (ko)
KR (1) KR20010074964A (ko)
CN (1) CN1317060A (ko)
AT (1) ATE243272T1 (ko)
AU (1) AU4894199A (ko)
CA (1) CA2342333A1 (ko)
CZ (1) CZ2001791A3 (ko)
DE (1) DE59906023D1 (ko)
ES (1) ES2201736T3 (ko)
PT (1) PT1112398E (ko)
TR (1) TR200100674T2 (ko)
TW (1) TW469308B (ko)
WO (1) WO200001431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00306B2 (ja) * 2008-04-03 2012-03-21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ドローイングマシン
CN102747519A (zh) * 2012-07-16 2012-10-24 烟台宋和宋科学技术应用工程有限责任公司 停经片移动装置
TWM536230U (zh) 2016-08-10 2017-02-01 Li zong-ming 液體用能量磁化裝置
PT3754073T (pt) 2019-06-19 2022-03-23 Groz Beckert Kg Dispositivo e processo para manusear elementos de jogo de liço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30494A (en) * 1939-01-03 1941-02-04 Dallas Cotton Mills Company Warp drawing apparatus and method
CH682577A5 (de) * 1990-09-17 1993-10-15 Zellweger Uster Ag Vorrichtung zur Handhabung von Litzen oder Lamellen in einer Kettfadeneinziehmaschine.
JPH05117941A (ja) * 1991-10-24 1993-05-14 Teijin Seiki Co Ltd ドロツパーランダム分離機構
TW216808B (ko) * 1991-10-24 1993-12-01 Teijin Lt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E243272T1 (de) 2003-07-15
JP2002524666A (ja) 2002-08-06
AU4894199A (en) 2000-03-27
TW469308B (en) 2001-12-21
DE59906023D1 (de) 2003-07-24
PT1112398E (pt) 2003-11-28
CN1317060A (zh) 2001-10-10
ES2201736T3 (es) 2004-03-16
TR200100674T2 (tr) 2001-07-23
EP1112398A1 (de) 2001-07-04
EP1112398B8 (de) 2003-08-20
EP1112398B1 (de) 2003-06-18
WO2000014315A1 (de) 2000-03-16
CA2342333A1 (en) 2000-03-16
CZ2001791A3 (cs) 2002-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73856A (en) Apparatus for logistical operations with textile machinery
KR100202752B1 (ko) 경사 통경기 내의 헬드 또는 드롭 와이어 조종장치
RU2092635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азделения галев для проборной машины
US5253404A (en) Apparatus for drawing warp yarns into a weaving reed
KR20010074964A (ko) 하니스요소 특히 드롭와이어(la)의 전달장치
CZ20024056A3 (cs) Zařízení k výrobě perlinkové tkaniny
KR100202754B1 (ko) 경사의 자동 통경기
US5307844A (en) Weaving machine having separable parts with constrained guidance upon assembly and re-assembly
US5174000A (en) Apparatus for singularizing drop-wires in warp-thread drawing-in machines
KR20010075061A (ko) 잉아 또는 드로퍼 피이드
KR0184009B1 (ko) 경사 통경기의 드롭 와이어 조종장치
US2392489A (en) Weaving apparatus
US5169273A (en) Package transfer apparatus
US5448812A (en) Heald transfer station having locks positioned to control movement of healds
US5794319A (en) Method and device for drawing-in and transporting warp threads
KR100277088B1 (ko) 날실공급기용 인입선 분리기
EP039161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eeding thread
US5305801A (en) Apparatus for prepositioning and delivering heald shafts in looms
KR101977187B1 (ko) 복합섬유 제직장치
BE1017456A3 (nl) Een inrichting voor het behoud van de weefselbreedte van een weefsel op een weefmachine.
US4584853A (en) Tricot knitting machine, particularly galloon crocheting machine
EP0441000A2 (en) Improved rack for supplying a bundle of ribbon-like fibres to textile macines such as drawing frames, lapping machines and suchlike
CN117755830A (zh) 一种综丝自动堆叠挂料机
CN86104366A (zh) 支承作往复运动的机体的装置
CN117295856A (zh) 用于将纬纱供应至织机的抓取器头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