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7088B1 - 날실공급기용 인입선 분리기 - Google Patents

날실공급기용 인입선 분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7088B1
KR100277088B1 KR1019930703170A KR930703170A KR100277088B1 KR 100277088 B1 KR100277088 B1 KR 100277088B1 KR 1019930703170 A KR1019930703170 A KR 1019930703170A KR 930703170 A KR930703170 A KR 930703170A KR 100277088 B1 KR100277088 B1 KR 1002770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lead
lead wire
separating
p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7031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예거실비오
쉬타이너하인리히
가르트만필립
Original Assignee
에스. 메이어, 알. 퓨러
스타우블리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 메이어, 알. 퓨러, 스타우블리 아게 filed Critical 에스. 메이어, 알. 퓨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70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70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JAUXILIARY WEAVING APPARATUS; WEAVERS' TOOLS; SHUTTLES
    • D03J1/00Auxiliary apparatus combined with or associated with looms
    • D03J1/14Apparatus for threading warp stop-motion droppers, healds, or ree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 Auxiliary Weaving Apparatuses, Weavers' Tools, And Shuttles (AREA)
  • Warping, Beaming, Or Leasing (AREA)
  • Paper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Abstract

분리장치는 인입선 더미(LS)의 각각의 최초 인입선을 구분수단을 포함한다. 이 구분수단은 한편으로 나뉘어지는 인입선 단부변부중 하나에 압력을 가하여 인입선(LA)을 외부로 굽히는 분리수단(34)을 구성하고 다른 한편으로 더미(LS)로부터 분리된 인입선(LA')를 운반하고 외부로 굽어지므로 형성된 틈새안으로 들어가도록 갖춰진 운반수단(37)을 구성한다.
이 분리장치에서 모든 형태의 인입선은 높은 작업빈도에서도 쉽게 개별적으로 분리된다.

Description

경사공급기용 인입선 분리장치
제1도는 경사통경기의 일반적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통경기의 개략적 평면도.
제3도는 발명에 따른 인입선 분리장치의 측면도.
제4도는 제3도의 선 Ⅳ-Ⅳ를 따라본 단면도.
제5도는 제4도의 선 V-V를 따라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스탠드 2, 3, 15 : 운반대
4 : 상승장치 5, 14 : 프레임
6 : 실 분리유닛 7 : 바늘
9 : 상자 11, 12, 13, 28 : 레일
16, 18, 24 : 플레이트 17 : 베이스 플레이트
19, 21, 40 : 웨브 20, 32 : 축
22, 23, 44 : 막대 25 : 모터
26 : 벨트 27 : 기어유닛
31 : 제어장치 34 : 플런저
35 : 가이드부 36 : 노우즈
37 : 슬라이드 38 : 튜브
41 : 실린더 42 : 축
43 : 연결부 45 : 헤드
46, 47 : 아암 50 : 핀
본 발명은 인입선 더미의 각각의 최초 인입선을 위한 분할수단을 갖는 경사 통경기용 인입선 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럽특허출원번호 91 113 484.9는 인입선 분리장치를 기술하고 있는데 구분 수단은 최초 인입선에 대해 가압되고 중간위치로 세로 방향으로 더미 밖으로 인입선을 미는 마찰휠로 형성되고 인입선은 운반수단에 의해 점유되고 이에따라 더미로 부터 완전히 분리된다. 상기 분리장치에서 인입선이 서로 방해되지 않고 미끄러지지 않으면 문제가 발생된다. 이것은 특히 인입선이 표면에 슬라이딩 방지 잔류물 또는 실 아일릿(eyelet) 지역에 거친부분(burr)을 가질 때 일어난다.
본 발명은 특히 좋은 슬라이드 특성을 가지지 않는 인입선을 포함하여 모든 형태의 인입선을 분리할 수 있는 인입선 분리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일련의 목적은 다음과 같이 달성된다.
즉, 구분수단은 분리되는 인입선의 단부변부가 가압되게 하고 이에따라 인입선을 외부로 굽히는 분리 수단과, 외부 굽힘에 의해 각각의 인입선과 더미 사이에 형성된 틈새로 들어가도록 형성된 운반수단을 포함한다.
분리작동은 분리수단이 위로부터 분리되는 인입선의 상부단부로 가압하고 하부단부 변부는 제어장치에 대해 지지된다. 이에따라 인입선은 집개와 같은 방법으로 제어장치와 분리수단 사이에서 압축되고 외부로 굽어지며 인입선 더미에 대해 볼록한 곡선을 형성한다.
운반수단은 그후 인입선 더미와 상기 곡선 사이의 공간 안으로 측면으로 움직일 수 있고 이어서 인입선 더미의 세로 방향운동에 의해 분리된 인입선을 경사통경을 위해 인입선을 배치하는 고정수단으로 공급한다. 이것은 인입선의 확실한 분리를 보장하며, 실제로 인입선의 표면상태에 관계없이 거친부분(burr)같은 것이 존재하더라도 확실히 분리된다.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하기에 보다 상세히 설명된다.
제 1 도를 따른 통경기는 기본 스탠드(stand)(1)와 그 내부에 배열되고 기능적 모듈(module)을 각각 형성하는 여러 부조립체로 구성된다. 상부에 경사비임(3)이 배치된 경사비임(beam) 운반대(carriage)(2)는 기본스탠드(1) 전방에 있다. 또한 경사 비임 운반대(2)는 경사(KF)가 스트레칭 되는 얀 프레임(5)을 장착하기 위한 상승장치(4)를 포함한다. 상기 스트레칭은 통경기로부터 분리된 위치에서 실제로 통경되기 전에 일어나고 얀 프레임(5)은 경사비임(3)에 직접적으로 가깝도록 상승장치의 하부단부에 위치된다. 통경을 위해 상승장치(4)와 경사비임(3)과 함께 경사비임 운반대(2)는 이른바 통경기의 설치측부까지 움직이며 얀 프레임(yarn frame)(5)은 도시된 위치에 있게 되는 기본 스탠드(1)에 걸려있고 상승장치(4)에 의해 위로 상승된다.
얀 프레임(5)은 도시되지 않은 드라이브(drive)에 의해 기본스탠드(1)의 세로방향으로 변위된다. 이러한 변위중 경사(KF)는 이른바 실 모듈의 부분을 형성하는 실 분리유닛(6)을 지나 가이드되어 분리되고 나뉘어진다. 나뉘어진후 경사(KF)는 잘려지고 이른바 통경 모듈의 일체된 부분을 형성하는 통경바늘(7)로 가게 된다. 경사를 나누기 위해 예를 들어 경사연경기 USTER TOPMATIC(USTER - Zellweger Uster AG의 등록상표)에 사용된 분할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통경바늘(7)옆에 작동 스테이션(station)에 속하고 데이타 입력과 기계작동 및 오작동을 표시하는 비디오 표시유닛(8)이 있다. 이른바 프로그래밍 모듈의 부분을 형성하는 작동 스테이션은 느린 속도, 가동/정지, 작동의 반복과 같은 특별한 기능의 수작업 입력을 위한 입력단계를 포함한다. 통경기는 제어상자(9)안에 배열되고 제어컴퓨터를 포함하는 제어모듈로 제어된다. 이 제어상자는 제어 컴퓨터외에 각각의 이른바 주 모듈을 위한 모듈 컴퓨터를 포함하고 개별적 모듈 컴퓨터는 제어 컴퓨터에 의해 제어되고 모니터된다. 이미 언급한 모듈 즉 통경모듈, 실모듈, 제어 모듈과 프로그래밍모듈 외에도 통경기의 주모듈은 종광, 인입선과 바디 모듈이다.
통경되는 경사(KF)를 통경바늘(7)로 보내는 실분리유닛(6)과 늘어난 경사(KF)의 평면에 관해 수직으로 움직이는 통경바늘(7)의 운동통로는 통경기의 이른바 박탈측부(stripping-off side)로부터 상술한 설치 측부를 분리하는 기본 스탠드의 일부를 형성하는 기둥(10)의 지역에 위치된 평면을 정의한다. 경사가 통경되는 개별적 요소와 경사는 설치측부 위에 공급되고 통경경사와 함께 이른바 하네스(종광, 인입선과 바디)는 박탈측부(stripping-off side)에서 제거된다. 통경되는동안 경사(KF)와 함께 얀 프레임(5)와 경사비임(3)과 함께 경사비임 운반대(2)는 오른쪽으로 실분리 유닛(6)을 지나 움직이고 통경바늘(7)은 스트레치된 경사(KF)를 얀 프레임(5)으로부터 연속적으로 제거한다.
모든 경사(KF)가 통경되고 얀 프레임(5)이 비워질 때, 얀 프레임은 상승장치(4), 경사비임(3) 및 경사비임 운반대(2)와 함께 박탈측부(stripping-off side)에 위치되고 기본스탠드(1)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경사(KF) 평면 바로 뒤에 경사 멈춤운동 인입선(LA)이 배열되고 이 뒤에 종광(LI) 훨씬 뒤에 제직 바디(weaving reed)가 배열된다. 인입선(LA)은 핸드 매거진(hand magazine)안에 쌓이고 완전한 핸드매거진은 경사지게 배열되고 통경바늘(7)을 향해 오른쪽으로 운반되는 공급레일 (rail)(11)에 걸려지며 거기서 분리되고 통경위치로 가게된다. 통경이 일어난 후 인입선 운반자 레일(12)위에 있는 인입선(LA)은 박탈측부 위를 통과하게 된다.
종광(LI)은 레일(13)위에 열을지어 정렬되며 분리단계까지 이것 위에서 손으로 또는 자동으로 변위된다. 종광(LI)은 통경위치로 개별적으로 가게되고 통경이 일어난 후 박탈 측부위의 상응하는 종광 프레임(14)에 분배된다. 제직 바디는 마찬가지로 통경바늘(7)을 지나 단계적으로 움직이며 상응하는 바디 틈새는 통경을 위해 열린다. 통경 후, 바디는 마찬가지로 박탈 측부위에 위치된다. 제직 바디(weaving reed)(WB)의 일부가 종광 프레임(14)옆 오른쪽에 있다. 이 구성은 단순히 도시적인 것인데 프레임(5)이 도시된 위치에 있을 때 제직 바디가 물론 설치측부위에 위치하기 때문이다.
도면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박탈 측부에 이른바 하네스 운반대 (15)가 있다. 이것 위에 고정된 인입선 운반자 레일(12)과 함께 종광 프레임(14)과 제직 바디의 마운팅(mounting)은 도시된 위치로 기본 스탠드(1)안으로 밀리고 통경된후 통경경사(KF)와 함께 하네스(harness)를 운반한다. 이 순간에 경사비임(3)과 함께 경사비임 운반대(2)는 하네스 운반대(15)의 전방에 바로 위치된다. 그때 하네스(harness)는 하네스 운반대(15)로부터 경사비임(3)과 통경 하네스를 운반하고 각각의 직기까지 움직이는 경사비임 운반대(2) 또는 중간 저장소 안으로 상승장치(4)에 의해 전달된다.
상술한 기능(function)은 공통의 제어컴퓨터에 의해 제어되는 실제적으로 독립적인 기계를 구성하는 다수의 모듈에 분배된다. 개별적 모듈 사이의 횡연결은 무엇보다 우선하는 제어컴퓨터에 의해 가동되고 개별적 모듈사이에는 직접적 횡연결이 없다. 통경기의 상술한 모듈적 구조이고 대개 부분 모듈로 구성된다.
WO-A-91/05099에 기술된 이 모듈적 구조는 제 2 도에서 상세하게 도시된다. 제 2 도는 기본 대(1)와 경사비임(2), 상승장치(4)와 경사비임 운반대(3)와 함께 연결되는 얀 프레임(5)과 함께 경사비임 운반대(3), 실모듈, 인입선 모듈, 종광모듈, 바디 모듈, 비디오표시 유닛(8)이 있는 작동스테이션, 통경모듈, 제어상자(9), 레일(13)이 있는 종광 매거진 부분모듈, 공급레일 (11)이 있는 인입선 매거진 부분 모듈과 인입선 캐리어 레일(12)과 종광 프레임(14)이 있는 하네스 운반대(15)를 도시한다.
인입선 매거진 부분 모듈은 EP-A-0,457,145에 기술되어 있다. 이 특허출원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인입선 매거진 부분모듈은 긴 스탠드로 구성되며 인입선을 포함하는 핸드매거진용의 공급레일(11)이 스탠드에 장착된다. 언급한 핸드 매거진은 인입선을 가지게 되며 공급레일(11)이 걸리고 그안에서 인입선의 개별적 분리를 위한 분리 스테이션을 향해 운반된다. 이 분리 스테이션은 제 3 도에서 5도를 참조로 기술되겠다.
도시된대로 분리스테이션은 중간 플레이트(16)로 분리된 두 구획부(compartment) 즉 상부에서의 실제 분리부분(ST)과 바닥에서의 구동부분(AT)과 함께 직선적 직사각형 프리즘 형태를 갖고 중간 플레이트(16)는 분리부분(ST)의 바닥을 형성한다. 분리 스테이션은 기계스탠드에 고정된 캐리어 플레이트(18)에 슬라이딩 방법으로 변위될 수 있는 베이스 플레이트(17)에 의해 운반된다. 이 목적을 위해, 두 이격된 축(20)이 지지되는 두 웨브(web)(19)가 캐리어 플레이트 (18)위이 장착된다. 이것위이 베이스 플레이트(17)에 연결된 두 웨브(21)가 변위될 수 있게 장착된다. 두 웨브(21)중 하나의 지역에서, 도시되지 않은 멈춤쇠 또는 조절될 수 있는 제어장치가 분리 유닛의 작동위치를 조절하고 고정하기 위해 갖춰진다.
두 수직 가이드 막대(22 와 23)는 베이스 플레이트(17)에 고정되고 그 위에 상부에서 분리스테이션을 닫는 커버 플레이트(24)와 중간 플레이트가 수직으로 조절 및 고정가능하도록 장착된다. 따라서 한편으로는 분리부분(ST)이 수직으로 조절가능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중간 플레이트(16)와 커버 플레이트(24)사이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어 다른 형태의 인입선에 설치될 수 있다. 두 가이드막대(22 와 23)외에 베이스 플레이트(17)위에 배열된 것은 구동벨트(26)을 통해 모터로 구동되는 기어유닛(27)과 모터(25)이고 기어유닛(27)은 기계적 기어외에 분리스테이션의 압축 공기로 구동되는 부분을 구동하는 역할을 하는 압축공기 부분을 포함한다.
도면의 왼쪽에 분리스테이션의 단부면이 입력 측부로 제공되고 오른쪽 단부면은 인입선용 출력측부로 제공된다. 입력 측부에서, 인입선은 인입선 매거진 부분모듈의 핸드 매거진으로부터 분리스테이션으로 밀리며, 출력측부에서 더미(LS)로부터 인입선의 분리가 이루어지며 개별적 인입선은 분리스테이션으로부터 순서적으로 나오게된다. 입력측부에서 분리스테이션은 EP-A-0,457,145에 기술되고 인입선 매거진 부분모듈을 형성하는 스탠드에 연결된다. 이 특허출원에서 알 수 있듯이 스탠드는 관절이 형성되어 서로 연결된 중앙 세로 레일과 분리스테이션까지 핸드매거진을 선택적으로 공급하고 이것으로부터 복귀시키는 역할을 하는 핸드매거진을 가이드하는 회동 레일을 갖는다. 널리 스테이션을 마주 대하는 스탠드의 세로레일 단부에 분리스테이션에 방출될 수 있게 연결하는 커플링(coupling)이 갖춰진다. 이 커플링은 가이드막대(23)에 고정되는 고리형상의 커플링 스트랩(strap) (KL)(제 5 도)를 갖게된다.
분리스테이션의 출력측부에 국제특허출원 PCT/CH91/00190에 기술된 형태의 이른바 인입선 분배모듈이 배열된다. 특히 이것은 외부측부에 인입선을 위한 고정 수단이 고정되고 타측 밑에 하나가 수직으로 배열된 두 지지핀을 갖는 작은 플레이트로 구성되며 수평평면에서 회전하는 톱니난 벨트를 포함한다. 상기 형태의 작은 플레이트는 제 3 도에 도시되며 (HM)으로 표시된다.
한 쌍의 가이드레일(28)은 상기 플레이트들의 상호 마주보는 내부면상에 있는 중간 플레이트(16)와 커버 플레이트(24)에 각각 나사결합된다. 가이드레일 사이에 인입선보다 약간 넓은 채널이 있으며 채널안에서 인입선(LA)은 회전하는 운반브러시(30)만큼 멀리 출력측부를 향해 변위된다. 브러시는 인입선을 변위시켜 제어장치처럼 멀리 운반방향(화살표 A)에서 효율적 범위에 있게 한다.
제어장치는 가이드레일(28) 사이에 있는 채널내에서 각각의 제어장치(stop)(31)에 의해 형성되고 커버 플레이트(24)에서의 상부 제어장치(31)는 운반방향 (A)에서 중간 플레이트(16)에서의 하부제어장치(31)에 관해 변위되어 더미(LS)의 최초 인입선은 전방으로 비스듬하게 기울어진다. 이 위치는 파단선으로 표시된 인입선(LA)에 의해 제 3 도에 표시된다.
운반브러시(30)는 측면동작을 하며 가이드레일(28)사이에 형성된 채널내 인입선 더미에 대해 조절가능하도록 적절한 연결함으로써 기어유닛(27)에 연결된 수직 구동축(32)에 장착된다. 채널에 관해 외부에 있는 구동축(32)의 측부에 구동축(32)을 가압하는 판 스프링(33)이 결합되고 또한 인입선 더미에 대해 이것에 측면으로 고정된 운반브러시(30)가 결합된다.
더미(LS)로부터 각각의 최초 인입선(LA)을 분리하는 것은 커버 플레이트(24)에 고정되고 인입선 상부단부 변부에 대해 위로부터 가압하는 압축공기로 구동되는 플런저(plunger)(34)(제 4 도)에 의해 이루어진다. 제 4 도에서 알 수 있듯이, 분리플런저(34)는 자유단 영역에서는 평평해지고 가이드레일(28)사이에 형성된 채널 바닥 약간 위에 위치한 가이드부(35)위에 평평해지며 가이드된다. 분리 플런저는 상부 가이드 레일(28) 사이에서 인입선을 위한 제어하도록 작용하는 제어장치(31)를 형성하고 평면에 대하여 스텝이 형성된(층이진) 분할 노우즈(nose)(36)와 함께 가이드부(35) 너머로 돌출한다. 평면에 대한 분할 노우즈(36)의 스텝이 형성된(층이진) 깊이는 인입선 두께에 좌우되며 이것보다 각각 약간 작다. 따라서, 다른 분리 플런저(34)는 다른 인입선 두께와 대응하도록 사용된다.
최초 인입선을 분리하기 위해, 분리플런저(34)는 약 3 에서 5mm 밑으로 움직이고 분리플런저의 평평해진 부분과 분할 노우즈(36) 사이가 층이짐(스텝이 형성됨)으로써 인입선을 밑으로 가압하게된다. 인입선이 이탈할 수 없기때문에, 밑으로 굽어지게되고 제 3 도에 파단선으로 표시된 위치(LA')에 도시된 것처럼 인입선 더미(LS)에 대해 볼록한 곡선을 갖는다.
상기 위치에서 인입선은 제어장치(31) 사이에 고정되고 이탈하지 않는다. 인입선의 경사는 최초 인입선을 나누는 중 분리플런저(34) 밑으로 미끄러지지 못하게 한다. 상기 위험은 두꺼운 인입선에도 있으며 분리 플런저(34)에 의해 압력을 받는 인입선 헤드는 인입선 더미를 향해 이탈하게 된다. 실제실험에서 인입선의 경사에 의해 상기 이탈이 완전히 차단되는 것을 도시한다.
인입선 위치(LA')에 도달하고 인입선 더미(LS)와 이것으로부터 외부로 굽은 인입선 사이에 틈새가 형성될 때, 분할 작동의 제 1 단계는 완료되고 제 2 단계에서 제어되는 슬라이드(37)(제 5 도)에 의해 형성된 운반수단을 통해 인입선 분배모듈의 고정수단(HM)에의 전달과 더미로부터 인입선 제거가 일어난다. 슬라이드는 아래와 같은 이 단계 운동을 하게 되는데, 일단계로는 특히 인입선 더미(LS)와 외부로 굽은 인입선(L') 사이의 틈새로 화살표(B) 방향으로 먼저 움직이고 그 후 이 단계로 고정수단(HM)을 향해 화살표(A) 방향으로 움직인다.
압력 실린더(41)용 지지웨브(40)를 운반하는 차단플레이트(39)와 튜브(38)는 커버 플레이트(24)의 하부측부에 고정된다. 차단플레이트는 커버 플레이트의 후방 단부에 축(42)에 대해 회동할 수 있도록 장착되고 튜브(38)안으로 전방단부와 함께 돌출한다. 압력실린더(41)는 압축공기 연결부 (43)를 갖추며 그 중 하나는 전방운동을 위한 것이고 다른 것은 피스톤 막대(44)를 운반하는 피스톤 후방운동을 위한 것이다.
공통 피봇축에 관해 두 레버아암(lever arm)(46 과 47)이 장착되는 베어링 헤드(head)(45)가 피스톤 막대(44)의 자유단부에 고정된다. 레버아암(46)은 관절이 형성되어(articulate) 연결되는 방법으로 자유단부에서 튜브(38)의 오른쪽 단부면에 고정되는 플레이트(48)에 연결되고 플레이트위에 화살표(B) 방향으로 방향잡힌 지지핀(50)을 운반하는 수직웨브(49)가 고정되고 슬라이딩 부분(51)이 변위될 수 있게 장착된다. 슬라이드(37)의 운반자 역할을 하는 슬라이딩 부분(51)은 슬라이딩 부분 (51)에 나사결합되고 레버(47)의 자유단부에 관절이 형성되어 연결되고 플레이트(48)위에 배열된 가이드부(52)에서 가이드되는 슬라이딩 블록(53)에 연결된다.
피봇핀에 의해 플레이트(48)와 레버(46) 사이에 형성된 연결지점은 슬롯(slot)내에서 가이드되어 화살표(A)방향에서 오른쪽으로 제 5 도의 실선으로 표시된 정지위치 밖으로 베어링 헤드(45)와 함께 피스톤막대(44)가 운동하는 동안 적절한 위치에 고정되어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두 레버(46 과 47)는 따로 펼쳐지고 마지막으로 베어링 헤드(45)와 레버(46 과 47)가 파단선으로 표시된 위치에 있을 때 까지 압력 실린더(41)가 축(42)주위를 회동하게 된다. 레버(46 과 47)가 따로 펼쳐짐에 따라, 슬라이딩 부분(51)은 슬라이딩 블록(53) 및 슬라이드(37)와 함께 화살표(B) 방향으로 움직인다. 슬라이딩 부분(51)은 베어링핀(50)을 따라 웨브(49)로부터 떨어져서 움직이고 파단선으로 표시된 위치까지 멀리 인입선 더미(LS)와 외부로 굽은 인입선(LA') 사이에 형성된 틈새안으로 슬라이드(37)를 움직이게 한다. 이것이 도달하면 플레이트(48)와 레버(46) 사이의 피봇핀은 더 이상 적절한 위치에 고정되지 않으나 화살표(A)의 방향으로 움직인다. 두 레버(46 과 47)와 이것에 의해 운반된 부분은 파단선으로 표시된 위치로 움직인다.
상술한 운동이 일어나는 동안, 슬라이드(37)는 제어장치(31) 밖으로 인입선 단부를 당기게 되어 인입선은 자유로와지고 슬라이드(37)와 인접부(29)(제 3 도) 사이에 고정된다. 그때 인입선은 고정수단(HM) 방향으로 인접부(29)의 힘과는 반대로 슬라이드(37)에 의해 움직이고 인접부가 고정수단 영역내의 인입선이 고정된 것을 해제하도록 이동하게된다.
상술한 분리장치에서, 인입선은 거친부분(burr)을 갖는 코팅의 말라붙은 잔류물 또는 큰 잔류물에 고착되어 있는지에 상관없이 쉽게 분리된다.
상기 분리작용은 확실하며 매우 높은 작업빈도에도 신뢰성있게 동작한다.
또 다른 장점은 인입선이 분리 후 정해진 위치를 갖게 되며 분리이동이 적다는 것이다. 분리장치는 소수의 부품으로 구성되며 또한 이것은 높은 정밀성을 가질 필요가 없다. 상기 두 요소는 분리 장치의 가격측면에서 긍정적 효과를 갖게 한다.

Claims (10)

  1. 인입선 더미의 각각의 최초 인입선을 위한 구분수단을 갖는 경사통경기용 인입선 분리장치에 있어서, 분할 수단이 분리되는 인입선(LA)의 단부 변부중 하나를 분할되도록 가압하고 이에따라 상기 인입선을 외부로 굽히는 분리수단과 외부로 굽어짐에 따라 더미(LS)와 각 인입선 사이에 형성된 틈새안으로 들어가도록 형성된 운반수단 (3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입선 분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단부영역에서 인입선 더미(LS)를 수용하고 인입선(LA)를 가이드하는 가이드수단(16, 24, 28)과, 분리수단방향에서 상기 가이드수단을 따라 상기 인입선을 교체하는 수단, 및 상기 분리수단에 대하여 인입선을 배치하기 위해 인입선 단부의 각 영역에 있는 제어장치(31)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입선 분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31)가 수평방향으로 서로 오프셋(offset)되고 분리수단(34)에 인접한 제어장치가 인입선(LA)의 변위 (A)방향으로 다른 제어장치 전방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입선 분리장치.
  4. 제2항 또는 3항에 있어서, 분리수단(34)이 인입선 더미(LS) 통로안으로 돌출부와 함께 돌출하여 두 제어장치(31)중 하나를 형성하고 층이진 돌출부(36)와 함께 분리되어 인입선(LA)에 인접한 단부에 형성된 플런저 또는 램(ram)과 같은 수단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입선 분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플런저 또는 램과 같은 수단(34)이 압축공기로 작동되고 돌출부(36)의 단계진 깊이(depth of the stepping)가 분리되는 각각의 인입선 깊이보다 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입선 분리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분리되는 인입선이 외부로 굽어짐에 따라 형성된 틈새안으로 들어가도록 형성된 운반수단이 나이프 형상의 슬라이드(37)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입선 분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37)가 인입선 더미를 따르는 방향(A)과 인입선 더미를 가로지르는 방향(B)으로 이단계 운동을 하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입선 분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인입선 더미(LS)에 관한 가로방향(B)운동중 틈안으로의 슬라이드(37)삽입이 일어나고 인입선 더미의 세로방향(A) 운동중 인입선 더미로부터 각각의 분리된 인입선(LA)이 운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입선 분리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운동도중 분리된 인입선(LA)이 단부지역에서 확실히 가이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입선 분리장치.
  10. 제7항에서 9항까지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서로에 관해 회동되고 조절되는 베어링 헤드(45)위에 관절이 형성되어 연결된 두 레버(46, 47)에 의해 슬라이드(47)가 구동되고, 레버중 하나(46)가 가로방향 (B)으로 변위되는 슬라이딩 부분(51)을 운반하고, 인입선 더미(LS)의 세로방향(A)으로 조절되는 플레이트(48)에 연결되고 다른 하나는 슬라이딩 부분에 연결된 슬라이딩 블록(53)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입선 분리장치.
KR1019930703170A 1992-03-11 1993-03-10 날실공급기용 인입선 분리기 KR1002770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H791/92-1 1992-03-11
CH00791/92A CH687027A5 (de) 1992-03-11 1992-03-11 Lamellensepariervorrichtung fuer Kettfadeneinziehmaschinen.
PCT/CH1993/000062 WO1993018215A1 (de) 1992-03-11 1993-03-10 Lamellensepariervorrichtung für kettfadeneinziehmaschine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77088B1 true KR100277088B1 (ko) 2001-03-02

Family

ID=4195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703170A KR100277088B1 (ko) 1992-03-11 1993-03-10 날실공급기용 인입선 분리기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5448811A (ko)
EP (1) EP0584308B1 (ko)
JP (1) JPH06507685A (ko)
KR (1) KR100277088B1 (ko)
AT (1) ATE138699T1 (ko)
CH (1) CH687027A5 (ko)
DE (1) DE59302734D1 (ko)
ES (1) ES2087718T3 (ko)
TW (1) TW227582B (ko)
WO (1) WO199301821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95149A (ja) * 1996-01-12 1997-07-29 Hamamatsu Photonics Kk ワイヤヘルド用ストッカ
US5839606A (en) * 1996-02-09 1998-11-24 Hamamatsu Photonics K.K. Method/apparatus for separating wire healds
EP1105558B1 (de) * 1998-08-17 2002-10-02 Stäubli AG Pfäffikon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aufnehmen und halten bzw. zum verteilen von geschirrelementen
AU5276099A (en) * 1998-09-14 2000-04-03 Staubli Ag Pfaffikon Strand or lamella feeding system
ATE264418T1 (de) * 1999-05-07 2004-04-15 Staeubli Ag Pfaeffikon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übergabe von vereinzelten webgeschirrelementen an eine transporteinrichtung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145364B (nl) * 1971-06-17 1975-03-17 Optische Ind De Oude Delft Nv Inrichting voor het een voor een verplaatsen van rechthoekige stukken bladvormig materiaal van een stapel.
EP0255737B1 (en) * 1986-07-08 1990-08-08 Picanol N.V. Method and device to facilitate the repair of warp thread in weaving looms with droppers
CH679871A5 (ko) * 1989-10-04 1992-04-30 Zellweger Uster Ag
CH680933A5 (ko) * 1990-03-06 1992-12-15 Zellweger Uster Ag
CH682409A5 (de) * 1990-05-18 1993-09-15 Zellweger Uster Ag Vorrichtung zur Handhabung von Lamellen für Kettfadeneinziehmaschinen.
CH682576A5 (de) * 1990-08-20 1993-10-15 Zellweger Uster Ag Vorrichtung zum Vereinzeln von Lamellen in Kettfadeneinziehmaschinen.
CH682577A5 (de) * 1990-09-17 1993-10-15 Zellweger Uster Ag Vorrichtung zur Handhabung von Litzen oder Lamellen in einer Kettfadeneinziehmas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6507685A (ja) 1994-09-01
CH687027A5 (de) 1996-08-30
WO1993018215A1 (de) 1993-09-16
US5448811A (en) 1995-09-12
ATE138699T1 (de) 1996-06-15
DE59302734D1 (de) 1996-07-04
ES2087718T3 (es) 1996-07-16
TW227582B (en) 1994-08-01
EP0584308B1 (de) 1996-05-29
EP0584308A1 (de) 1994-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87605A (en) Device for manipulating healds or drop wires in a warp-thread drawing-in machine
DE19545839C1 (de) Verfahren und Webmaschine zur Handhabung eines Schußfadens
US518438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ingularizing healds for warp thread drawing-in machine
US5475906A (en) Heald-separation apparatus for warp-thread drawing-in machines
KR100277088B1 (ko) 날실공급기용 인입선 분리기
US5253404A (en) Apparatus for drawing warp yarns into a weaving reed
CZ2001579A3 (cs) Zarízení k ulození a pridrzování elementu brda a zpusob ulození, pridrzování a prepravy elementu brda
US5174000A (en) Apparatus for singularizing drop-wires in warp-thread drawing-in machines
KR100202754B1 (ko) 경사의 자동 통경기
US5249339A (en) Apparatus for drawing in warp threads
US6397443B1 (en) Harness strand or lamella feeding system
AU675155B2 (en) Heald Carrier Rails Having Control Clamps For Holding Rails and Limiting Movement of Healds
JPH04228638A (ja) ドロツパーのドローイングイン装置
EP0417662B1 (de) Verfahren zum Starten eines Arbeitsablaufs eines Bedienungsautomaten an einer Textilmaschine
SK109594A3 (en) Device for selecting delivery of healds
US4649965A (en) Picking arrangement for a weaving machine
US4423756A (en) Weft inserter for weaving machines
KR20010074964A (ko) 하니스요소 특히 드롭와이어(la)의 전달장치
JPS61282413A (ja) 織物フイラメント案内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2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