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9982B1 - 경사 통경기내의 드롭와이어를 조작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경사 통경기내의 드롭와이어를 조작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9982B1
KR100239982B1 KR1019920000189A KR920000189A KR100239982B1 KR 100239982 B1 KR100239982 B1 KR 100239982B1 KR 1019920000189 A KR1019920000189 A KR 1019920000189A KR 920000189 A KR920000189 A KR 920000189A KR 100239982 B1 KR100239982 B1 KR 1002399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op wire
conveying
correction
drive
dro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01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4970A (ko
Inventor
야에거 질비오
빌헬름 한스
Original Assignee
에스. 메이어, 알. 퓨러
스타우블리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 메이어, 알. 퓨러, 스타우블리 아게 filed Critical 에스. 메이어, 알. 퓨러
Publication of KR9200149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49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99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99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JAUXILIARY WEAVING APPARATUS; WEAVERS' TOOLS; SHUTTLES
    • D03J1/00Auxiliary apparatus combined with or associated with looms
    • D03J1/14Apparatus for threading warp stop-motion droppers, healds, or ree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uxiliary Weaving Apparatuses, Weavers' Tools, And Shuttles (AREA)
  • Warping, Beaming, Or Leas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 Loom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Woven Fabrics (AREA)
  • Decoration By Transfer Pictures (AREA)
  • Polyesters Or Polycarbonates (AREA)
  • Replacing, Conveying, And Pick-Finding F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경사통경이 일어난 후 드롭 와이어 조작하는 장치는 드롭 와이어를 정렬하기 위해 갖춰진 레일 같은 운반수단(12)과 운반수단의 세로방향으로 드롭 와이어를 이동시키는 수단(34)을 포함한다. 이러한 수단은 운반수단(12) 위에 배열되고 운반수단의 드롭 와이어를 운반하는 변부 위에 배열되고 세로축에 관해 회전적으로 구동되는 기어가 형성된 스핀들(34)로 형성된다.
드롭 와이어의 조작 즉 운반수단 상의 이동은 자동화되고 경사 위의 응력은 가능한 한 낮게 유지된다.

Description

경사 통경기 내의 드롭 와이어를 조작하는 장치
제1도는 발명에 따른 통경기의 일반적 사시도.
제2a, b도는 제1도의 통경기의 드롭 와이어를 조작하는 장치의 배면도.
제3도는 제2a도의 선 A-A 를 따라본 단면도.
제4도는 제2b도의 선 B-B 를 따라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장착대 2 : 빔운반대
3 : 빔 4 : 상승장치
5 : 틀 6 : 거더
7 : 통경바늘 8 : 비디오표시유니트
10 : 지지물 11,12,13,44 : 레일
14 : 헬드축 15 : 장구운반대(harness truck)
17,35,37,38,43 : 휠 18 : 베어링블록
20 : 바 21 : 볼트
22 : 콤 23 : 그루브
24 : 운반 아암 25 : 운반체인
26,27 : 홈 28 : 입구부분
29 : 슬롯 30 : 웨브
31 : 페그 33 : 공통 운반대
34 : 스핀들 39 : 벨트
41 : 모터 42 : 역전기어
45,47 : 홀더 46 : 로드
48 : 스트립
본 발명은 드롭 와이어를 정렬하도록 갖춰진 레일(rail) 형상의 운반수단과 함께 경사가 통경된 후 경사 통경기 내의 드롭 와이어를 조작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우스터 델타(USTER DELTA) 경사통경기(우스터-젤베거 우스터 AG 의 등록상표)에 사용되는 것 같은 형태의 알려진 장치에서 드롭 와이어는 녹아웃(knock-out)레버(lever)에 의해 운반수단에 전달되는 동시에 실녹아웃아암은 통경 경사 위를 누르고 녹아웃 레버의 효과에 도움을 준다. 운반수단에 방금 전달된 특별한 드롭 와이어는 이 위에 이미 정렬된 드롭와이어를 이동시키고 특히 상대적으로 긴 드롭 와이어 더미에 관해서는 이러한 이동을 위해 때때로 작업자의 수작업을 통해 이동시켜야 한다.
이 장치는 가능한한 가능한 통경작동의 자동화를 이루는 목적의 관점에서 최대로 가능한 해결책이 되지 않을 뿐 아니라 경사에 상대적으로 높은 응력(stress)을 주게된다. 발명은 서언에 언급된 형태의 장치를 갖추게 되는데 통경후 드롭 와이어의 조작은 자동화되고 가능한한 경사처리를 보호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라 운반수단의 세로방향으로 드롭 와이어를 이동시키는 수단을 가짐으로써 상기 목적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드롭 와이어의 조작 즉 운반수단 상의 이동이 전달되기 전에 일어나고 한편으로 상기 수단은 수작업없이 이동시키게 하고 다른 한편으로 경사상의 응력을 감소시킨다.
바람직한 실시예는 드롭 와이어를 이동시키는 수단이 운반수단(carrier member)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는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와 같이 상기 수단이 세로축에 관해 회전하도록 구동되고 운반수단의 드롭 와이어를 운반하는 상부변부에 배열된 나사 있는 스핀들(spindle)로 형성된다면 특히 유리하게 설계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만들게 한다. 본 발명은 예제적으로 서술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밑에 상세히 설명되겠다.
제1도에 따라 통경기는 장착대(1)와 장착대(1)에 배열된 다양한 부조립체로 구성되고 부조립체의 각각은 기능적 모듈(module)을 나타낸다. 그 위에 배열된 빔(beam)(3)과 함께 빔운반대(truck)는 장착대(1)의 전방에 있다. 빔운반대(2)는 경사(KF)가 죄어지는 틀(5)을 보유하고 받아들이는 이른바 상승 장치(4)에 연걀된다. 이러한 죔은 실제 통경전통경기로부터 분리된 장소에서 일어나고 틀(5)은 빔(3) 바로 옆 상승장치(4)의 바닥단부에 위치하게 된다. 통경을 위해 빔(3)과 상승장치(4)와 함께 빔운반대는 통경기의 이른바 설치측부로 움직이고 틀(5)은 상승 장치(4)에 의해 위로 들려져 장착대(1)에 걸리는데 도시된 위치에 있게 된다.
틀(5)은 장착대(1)의 전방세로 거더(girder)(6)위에 장착된 운반장치(도시되지 않음)에 걸린다.
통경과정 중 빔운반대(2) 및 빔(3)과 함께 상승장치(4)와 틀(5)은 거더(6)의 세로 방향으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이동된다. 이러한 이동과정 동안 상기 경사(KF)는 두가지 공정을 지나게 되는데, 즉, 경사를 선택하고 선택된 경사(KF)를 자르는 장치와 잘려진 경사를 이른바 통경모듈의 성분을 형성하는 통경바늘(7)로 보내는 장치(PR)를 갖는 실분리단계(KF)를 지나게 된다. 실 묶는 장치 우스터 토프마틱(USTER TOPMATIC)에 사용된 선택장치는 예를 들어 경사를 선택하는데 사용된다.
통경바늘(7) 옆에 작동 스테이션(station)에 속하고 기계의 정기능과 오기능을 표시하고 데이터를 입력하는 비디오 표시 유니트(unit)(8)가 있다. 이른바 프로그래밍 모듈의 부분을 이루는 작동 스테이션은 또한 크리프(creep)운동, 시동/정지, 작동의 반복과 같은 기능의 수동입력을 위한 입력 단계를 포함한다.
통경기는 제어박스(box)(9)에 배치되고 제어 컴퓨터를 포함하는 제어모듈에 의해 제어된다. 제어 컴퓨터 외에도 이 제어박스는 모든 이른바 주모듈을 위한 모듈 컴퓨터를 포함하고 개별적인 모듈 컴퓨터는 제어 컴퓨터에 의해 제어되고 모니터(monitor)된다. 이미 상기 모듈-통경모듈, 실모듈, 제어모듈과 프로그래밍 모듈 이외에도 주모듈은 헬드, 드롭 와이어, 바디(reed)모듈이다.
경사(KF)를 통경바늘(7)로 통경하는 실분리단계(FT)와 죄어진 경사(KF)의 평면에 수직으로 움직이는 통경바늘(7)의 운동 통로는 평면이 이미 상기 설치측부를 이른바 하강측부(taking down side)로부터 분리하는 장착대(1)의 부분을 형성하는 지지물(10)의 지역내에 평면을 한정한다.
경사와 경사가 통경되는 개별적 요소는 설치측부에서 공급되고 통경 경사와 함께 이른바 장구(harness)(헬드, 드롭 와이어와 바디)는 하강측부에서 제거된다. 모든 경사(KF)가 통경되고 틀(5)이 비었을 때 상승 장치(4), 빔운반대(2) 및 빔(3)과 함께 틀은 하강측부에 위치하고 장착대로부터 제거된다.
경사(KF)의 평면 바로 뒤에 배열된 것은 경사정지운동 드롭 와이어(LA)이고 후자 뒤에 헬드(LI)가 있고 바디가 후방에 있다.
드롭 와이어(LA)는 핸드 매거진(hand magazine)에 쌓이고 상기 드롭 와이어로 채워진 핸드매거진은 분리되어 통경위치로 움직이는 통경바늘(7)을 향해 오른쪽으로 운반되는 경사진 공급레일(rail)(11)에 걸린다.
통경이 완료되면 드롭 와이어(LA)는 하강측부 위의 드롭 와이어 지지레일(12) 위로 통과한다.
헬드(LI)는 레일(13) 위에 정렬되고 후자 위에서 분리단계로 변환된다. 헬드(LI)는 개별적으로 통경위치로 움직이고 통경이 완료되면 하강측부위의 상응하는 헬드축(14) 위에 분포한다. 바디는 마찬가지로 단계적으로 통경바늘(7)을 지나 움직이고 상응하는 바디틈새는 통경을 위해 열린다. 통경된 후, 바디는 마찬가지로 하강측부에 위치한다. 바디(WB)의 부분은 헬드측(14) 오른쪽에 있다. 이런 배열은 틀(5)의 도시된 위치에서 바디가 물론 설치측부에 위치하므로 단순히 도시를 위한 것이라고 이해된다.
도면으로부터 명백하듯이 이른바 장구운반대(harness truck)(15)는 하강측부에 갖춰진다. 장구운반대(harness truck)에 고정된 드롭 와이어 지지레일(12), 헬드축(14)과 바디의 홀더(holder)와 함께 이 장구운반대(harness truck)(15)는 도시된 위치로 장착대(1) 안으로 밀리고 통경된 후 통경경사(KF)를 가진 장구(harness)를 운반한다. 이 순간에 빔(3)과 함께 빔운반대(2)는 장구운반대(harness truck)(15)의 바로 정면에 위치한다.
상승장치(4)에 의해 장구(harness)는 장구운반대(harness truck)(15)로부터 빔운반대(2)로 다시 가게되서 빔(3)과 통경장구를 운반하고 해당되는 직기(weaving machine) 또는 중간 저장소(intermediate store)로 움직인다.
통경기의 개별적 주 모듈은 각 경우 특정한 기능을 위해 갖춰진 부모듈로 구성된다. 그러나 이런 모듈적 구조는 본 발명의 주제가 아니다. 이것에 관해서는 국제출원 PCT/CH90/00227 을 참조하면 된다.
경사통경이 일어난 후 드롭 와이어를 조작하는 부모듈 이른바 드롭 와이어 컨베이어(conveyor)장치는 밑에 기술되겠다. 이 장치는 통경경사와 함께 드롭 와이어를 인계 받아 드롭 와이어 운반 레일(12) 위에서 드롭 와이어를 이동시킨다. 제1도로부터 알 수 있듯이 드롭 와이어컨 베이어 장치는 휠을 갖추고 드롭 와이어 컨베이어 장치 외에도 짜는 바디(WB)의 장착과 헬드축(14) 위에 통경 헬드를 운반하는 헬드 컨베이어 장치를 운반하는 틀로 본질적으로 구성된 장구운반대(harness truck)(15)에 배열된다.
드롭 와이어 컨베이어 장치는 제2도에서 4도에 도시되어 있고 제2a와 2b도는 각각 특별히 후방으로부터 봤을 때 즉 제1도에 관해 짜는 바디(WB)로부터 봤을 때 긴 장치의 두 단부면의 지역을 도시한다.
제2a도는 제1도의 오른쪽에서 드롭 와이어 컨베이어 장치의 외부단부를 도시하고 제2b도는 제1도의 왼쪽에서 내부단부를 도시한다. 이 내부단부는 이른바 채움측부(fill-up side) 즉 드롭 와이어 컨베이어 장치가 국제출원PCT/CH91/00190 에 기술된 드롭 와이어 분배부분 모듈로부터 통경드롭 와이어를 인계하는 측부이다. 통경 드롭 와이어는 드롭 와이어 운반레일의 전체길이에 걸쳐 분배되고 연속적인 운반이 전체 운반길이에 걸쳐 가능하도록 보유된다. 제3도에서 드롭 와이어 운반레일은 간단히 하기 위해 생략되었다. 각 경우의 축적은 대략1:3.5 이다. 제2a와 2b도는 전체길이가 약 4.5m에 이르는 드롭 와이어 컨베이어 장치의 작은 부분만을 도시한다.
드롭 와이어 컨베이어장치는 전체길이에 걸쳐 연장되며 기술될 다양한 보유 및 작동시키는 수단을 위한 것이고 일반휠(17)을 갖춘 베어링블록(18)에 장착된 구간 베어러(sectional bearer)(16)로 구성된다. 일반휠(17)은 장구운반대(harness truck)(15)(제1도)에 장착된 레일(19)에서 안내된다.
드롭 와이어 운반 레일(12)은 수직 운반 볼트(bolt)(21)에 삽입되고, 방사상으로 돌출한 수염형상(beard-like)의 콤(comb)(22)이 형성된 둥근 횡단면을 갖는 수평운반 바(20) 위에 놓인다. 이 콤(22)은 드롭 와이어 운반레일을 위한 균등하게 이격된 안내슬롯을 포함한다.
도시된 대로 8개의 드롭 와이어 운반 레일을 위해 8개의 슬롯이 있다.
운반 바(20)는 손잡이를 갖추고 있으며 운반 볼트(21)에 방출될 수 있도록 고정되어 보유되고 방출과 고정은 세로축에 관해 운반바의 적절한 회전으로 수행된다. 운반바(20)는 제4도에 도시된 위치에 고정되고 운반바(20) 밖으르 당기기 위해 180도 회전되어야 하는데 그 위치에서 콤(22)은 운반볼트(21)내의 상응하는 그루브(groove)(23)를 통과한다. 운반볼트(21)는 하부단부에서 운반체인(25)과 맞물리고 구간 베어러(16)를 따라 이것에 의해 움직이는 운반 아암(24)안으로 삽입된다. 운반중 운반아암(24)은 운반체인(25)의 상응하는 스트랜드(strand)가 움직이는 이 목적을 위해 상부와 하부안내홈(26과 27)을 갖는 구간(sectional) 베어러(16)로 안내된다.
운반체인(25)에 의해 구동되는 운반아암(24)은 작동행정(working stroke)과 공행정(idle stroke)을 가지는 닫혀진 통로를 따라 왕복운동을 한다. 작동행정중 운반 아암(24)에는 운반볼트(21), 운반바(20)와 드롭 와이어 운반레일(12)이 놓이게 되고 특히 드롭 와이어 운반 레일(12)상의 드롭 와이어 더미 성장속도에 상응하는 속도로 채움측부(fill-up side)로부터 이부로 상부안내홈(26)으로 움직인다. 운반아암(24)의 수는 구간 베어러(16)의 길이만큼 갖춰지고 이 운동은 드롭 와이어 운반레일(12)을 따라 드롭 와이어(LA)를 연속적으로 운반하기 위해 필요하다.
운동중 운반아암(24)은 드롭 와이어 운반레일(12)을 따라 슬아이드되어 이것들을 남기고 결국 외부 역전점에 오게되는데 여기서 상부안내홈(26)으로부터 하부안내홈(27)까지 교체된다. 상기와 같이 교체되기 이전, 드롭와이어 운반레일(12)지역을 떠난 후에, 운반볼트(21)와 운반바(20)는 운반아암(24)으로부터 제거되고 다시 삽입되는 채움측부(fill-up side)까지 부하를 다시 내리면서 하부안내홈(27)에서 움직인다.
운반아암(arm)(24)으로부터 운반바(20)과 함께 운반볼트(21)를 정해진 시간내에 제거하는 것을 잊어버리거나 간과하는 경우, 운반아암(24)이 교체되는 동안, 운반볼트(21)는 자동적으로 상부 안내홈으로부터 하부홈까지 운반아암(24)의 변화 중 운반볼트(21)는 자동적으로 상부안내홈으로부터 하부홈까지 이것들 밖으로 떨어진다.
채움측부(fill-up side)의 단부에서 드롭 와이어 운반 철로(5)는 드롭 와이어가 운반 철로로 슬라이드 되는 경사진 입구부분(28)을 갖는다. 다른 단부에서 드롭 와이어운반 레일(12)은 보유웨브(web)(30)의 안내슬롯(29)으로 안내되고 드롭 와이어 운반레일의 상응하는 슬롯을 통과하는 보유페그(peg)(31)에 의해 보유웨브에 고정된다.
이것은 구간 베어러(sectional bearer)(16)에 고정되고 더욱이 드롭와이어 운반 레일(12)위의 드롭 와이어를 이동시키는 수단이 구동되는 후방벽의 상부횡바아(32)위에 돌출하는 지지물을 형성한다. 후자는 샌드위치 같은 구조이고 심과 상부와 하부에서 심을 넘어 돌출하는 두 측부벽으로 구성되어 심을 구성하는 레일 위와 아래로 드롭 와이어 운반레일(12)의 길이에 걸쳐 연장되는 각각의 U자 형상의 그루브(groove)가 형성된다.
하부그루브에 보유되는 것은 접촉이나 톱의 톱니레일의 전방에서 드롭 와이어 운반레일(12)을 당김으로써 통경 후 드롭 와이어가 정렬되는 경사 스토퍼(stopper)를 위한 실제적 접촉이나 톱니레일(KS)이다. 이것은 통경시 첫번째로 이것을 위해 부가적 작동이 필요없이 직접적으로 경사 스토퍼 레일 위에 드롭 와이어를 정렬시킨다.
드롭 와이어 운반레일(12)의 상부 그루브에 장착된 것을 세로축에 관해 회전하고 드롭 와이어 운반레일(12)을 따라 드롭 와이어를 이동시키는 수단이 되는 기어가 형성된 스핀들(34)이고, 기어가 형성된 스핀들(34)의 회전중 드롭 와이어가 그것들이 정렬되는 나사에 의해 이동된다.
기어가 형성된 스핀들(34)은 이 목적을 위해 부드럽게 만들어지는 각각의 기어가 형성된 스핀들(34)의 단부를 수용하는 척(chuck)(36)을 갖는 기어 휠(35)을 통해 구동된다. 8개의 가능한 드롭 와이어 운반철로(12)에 상응하기 위해 후방 벽의 상부횡바아(32)에 장착되고 중간기어휠(37)을 통해 서로에 구동되어 연결되는 8개의 기어 휠(35)이 있다. 중간 기어 휠(37)의 사용으로 모든 기어 휠(35)은 같은 회전방향을 갖는다.
기어 휠(35)은 구간 베어러(16)를 따라 연장되고 드롭 와이어 컨베이어 장치의 채움측부(fill-up side)에 위치한 단부에서 구동모터(41)(제2b도)에 연결되고 다른 단부에서 역전기어(42)에 연결되는 축(40)에 의해 기어가 형성된 벨트(39)와 기어가 형성된 벨트 휠(38)을 통해 구동된다.
상기 역전기어(42)는 운반체인(25)을 위한 드라이브(drive)로 작용하는 체인 휠(43)을 구동하여 드롭 와이어 운반레일(12)상의 드롭 와이어 운반과 드롭 와이어 운반레일(12)을 운반하는 수단(운반바(20), 운반볼트(21), 운반 아암(24))의 이동은 모터에 의해 이뤄진다.
제2의 체인 휠(43)은 채움측부(fill-up side)에서 드롭 와이어 컨베이어 장치의 단부에 배열된다. 채움측부에서 드롭 와이어 컨베이어 장치가 드롭 와이어 분배부분모듈과 정확히 같은 수준으로 정렬되기 위해 이 단부에서 이것은 베어링블록(block)(18)에서 수직으로 조절되게 만들어진다.
반면에 모터(41)는 베어링블록(18)에 단단히 고정되어 고정된 수준을 가져 높이 차이가 모터(41)에 연결된 축(40)의 단부와 기어가 형성된 벨트(39)를 구동하는 단부 사이에 생긴다. 이것을 보상하기 위해 축(40)이 두 부분으로 만들어지고 두 부분은 관절형상으로 서로 연결되고 모터(41)에 연결된 부분은 둥근 횡단면을 갖고 다른 부분은 육각형 횡단면을 갖는다.
도2a,2b 및 4로부터 알 수 있듯이 구간 베어러(16)에 배열된 것은 서로로부터 이격되고 여러 줄의 드롭 와이어 사이에 연장된 분리 로드(46)의 홀더(45)가 장착된 다수의 선호적으로 3이나 4개의 보유레일(44)이다. 이것은 서로로부터 인접한 줄의 드롭 와이어(LA)를 분리하고 상호 접촉하거나 서로 붙잡히지 않도록 한다.
분리 로드(46)와 함께 그 세트(set)는 보유레일(44)위에 장착된 홀더(47)에 의해 마찬가지로 운반되고 외부효과에 대해 드롭 와이어세트를 보호하는 안정된 보호스트립(strip)(48)에 의해 두 세로측부 위에 덮인다.
기술된 드롭 와이어 컨베이어장치는 드롭 와이어 운반 레일 위에 드롭 와이어를 자동적으로 운반하게 하고 동시에 가능한한 가장 조심스럽게 경사를 처리하며 처음으로 통경기 위에 직접 경사스토퍼 레일을 올려놓도록 한다.

Claims (14)

  1. (정정) 드롭 와이어를 정렬시키기 위해 갖춰진 레일같은 수단과 함께 경사통경이 완료된 후 경사통경기에서 드롭 와이어를 조작하면서 운반수단(12)의 세로방향으로 드롭 와이어(LA)를 이동시키는 수단(34)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정정) 제1항에 있어서, 드롭 와이어(LA)를 이동시키는 수단(34)이 운반수단(12) 위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정정)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은 운반수단(12)의 드롭 와이어(LA)를 운반하는 상부변부에 배열되고 세로축에 관해 회전적으로 구동되는 기어가 형성된 스핀들(34)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정정) 제1항에 있어서, 운반수단(12)이 경사스토퍼 레일(KS)을 방출 할 수 있도록 수용하는 하부변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정정) 제4항에 있어서, 운반수단(12)은 상부와 하부변부 각각에 기어가 형성된 스핀들(34)나 경사스토퍼레일(KS) 각각을 수용하는 U자형상의 그루브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정정) 제3항에 있어서, 기어가 형성된 스핀들(34)은 한 단부에서 운반수단(12)을 넘어 돌출하고 이 단부에서 구동수단(35)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정정)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척(chuck)형상의 수단으로 기어가 형성된 스핀들(34)을 고정하고, 중간기어 휠(37)을 통해 서로 연결되며 공통의 드라이브(38,39)에 의해 구동되는 기어 휠(35)로 형성되고 기어 휠, 중간기어 휠과 드라이브는 공통 운반대(33)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정정) 제1항에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운반수단(12)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정렬되고, 운반수단 상의 이동은 이것들 위의 드롭와이어 더미가 증가함과 동시에 발생하는 보유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정정)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보유수단은 운반수단(12)에 관해 가로방향이며, 드라이브(25)에 연결되는 운반바(20)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정정) 제9항에 있어서, 운반 바(20)의 드라이브는 운반수단(12)의 세로방향으로 연장되고 운반바를 위한 고정수단(21,24)과 맞물리는 운반체인(25)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정정) 제7항 또는 10항에 있어서, 운반체인(25)의 드라이브는 기어가 형성된 스핀들(34)을 구동하는 기어 휠(34)의 공통드라이브(38,39)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정정) 제10항에 있어서, 운반바(20)의 고정수단(21,24)은 운반수단(12)의 길이에 걸쳐 연장되는 구간 베어러(16)로 안내되고 운반체인(25)은 이 구간 베어러에 장착된 체인 휠(43)에 의해 운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정정) 제12항에 있어서, 체인 휠(43)은 구간 베어러(16)의 단부면에 장착되고 구간 베어러는 운반체인(25)이 통과하고 동시에 운반바(20)의 고정수단(24)을 안내하는 긴 챔바(26,27)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정정)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구간 베어러(16)는 여러 줄의 드롭 와이어사이에 연장된 분리 로드(46)의 홀더(45)와 함께 보유레일(44)을 배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19920000189A 1991-01-22 1992-01-09 경사 통경기내의 드롭와이어를 조작하는 장치 KR1002399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H181/91-0 1991-01-22
CH00181/91-0 1991-01-22
CH181/91A CH682928A5 (de) 1991-01-22 1991-01-22 Vorrichtung zur Handhabung von Lamellen in einer Kettfadeneinziehmasch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4970A KR920014970A (ko) 1992-08-26
KR100239982B1 true KR100239982B1 (ko) 2000-01-15

Family

ID=4181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0189A KR100239982B1 (ko) 1991-01-22 1992-01-09 경사 통경기내의 드롭와이어를 조작하는 장치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5361467A (ko)
EP (1) EP0496232B1 (ko)
JP (1) JPH0559641A (ko)
KR (1) KR100239982B1 (ko)
AT (1) ATE136067T1 (ko)
CA (1) CA2057508A1 (ko)
CH (1) CH682928A5 (ko)
DE (1) DE59205792D1 (ko)
DK (1) DK0496232T3 (ko)
ES (1) ES2084842T3 (ko)
PT (1) PT100042A (ko)
TR (1) TR2561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687542A5 (de) * 1993-09-13 1996-12-31 Staeubli Ag Zweigwerk Sargans Vorrichtung zur selektiven Uebergabe von Litzen.
CH687714A5 (de) * 1993-09-13 1997-01-31 Stsubli Ag Zweigwerk Sargans Vorrichtung zur Handhabung von Litzen fuer Kettfadeneinziehmaschinen.
EP3754071B1 (de) 2019-06-17 2022-03-30 Groz-Beckert KG Verfahren, vorrichtung, fahrbarer wagen und einziehmaschine
EP3754072B1 (de) * 2019-06-19 2022-03-02 Groz-Beckert KG Vorrichtung zur handhabung von webgeschirrelementen und einziehmaschine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589587A (en) * 1923-01-08 1926-06-22 Barber Colman Co Warp-drawing machine
US2230494A (en) * 1939-01-03 1941-02-04 Dallas Cotton Mills Company Warp drawing apparatus and method
DE688493C (de) * 1939-02-12 1940-02-22 App & Maschinenfabriken Uster Verfahren und Einrichtung zum Abteilen einzelner magnetisierbarer Glieder von einem Stapel, insbesondere von einem aus Kettenfadenwaechterlamellen bestehenden Stapel
GB663826A (en) * 1943-12-24 1951-12-27 Barber Colman Co Improvements in drop wire feeding mechanisms for warp drawing machines
US3103056A (en) * 1961-09-11 1963-09-10 Barber Coleman Company Warp drawing-in machine
US4047270A (en) * 1974-09-04 1977-09-13 Lindauer Dornier Gesellschaft Mbh. Apparatus for separating objects
CH591583A5 (ko) * 1975-04-03 1977-09-30 Grob & Co Ag
US4038729A (en) * 1976-10-04 1977-08-02 Barber-Colman Company Heddle selecting and positioning apparatus
DE3139626C2 (de) * 1981-10-06 1983-10-06 Lindauer Dornier Gmbh, 8990 Lindau Vorrichtung zum Vereinzeln von Weblitzen, Lamellen o.dgl
DE3143484C2 (de) * 1981-11-03 1983-09-29 Lindauer Dornier Gmbh, 8990 Lindau Vorrichtung zum Vereinzeln von Weblitzen oder Lamellen
DE3210920C1 (de) * 1982-03-25 1983-09-29 Lindauer Dornier Gmbh, 8990 Lindau Vorrichtung zum Vereinzeln und Bereitstellen von Kettfaeden fuer das Einziehen der Kettfaeden in Weblitzen und Lamellen
JPS6420358A (en) * 1987-07-10 1989-01-24 Teijin Seiki Co Ltd Heald magazine
JPS6420359A (en) * 1987-07-10 1989-01-24 Teijin Seiki Co Ltd Heald transfer apparatus
JPH03193954A (ja) * 1989-12-19 1991-08-23 Osamu Nagao 経糸のドロッパー挿入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057508A1 (en) 1992-07-23
ES2084842T3 (es) 1996-05-16
DK0496232T3 (da) 1996-07-29
CH682928A5 (de) 1993-12-15
EP0496232A1 (de) 1992-07-29
ATE136067T1 (de) 1996-04-15
PT100042A (pt) 1994-03-31
KR920014970A (ko) 1992-08-26
DE59205792D1 (de) 1996-05-02
EP0496232B1 (de) 1996-03-27
TR25612A (tr) 1993-07-01
JPH0559641A (ja) 1993-03-09
US5361467A (en) 1994-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528907B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transportieren von flachkannen zwischen faserbänder be- oder verarbeitenden maschinen oder vorrichtungen
US4586326A (en) Spinning machine with roving-bobbin feeder
RU2072010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еремещения ремизного набора в основопроборной машине
EP0646668B1 (de) Litzensepariervorrichtung für Kettfadeneinziehmaschinen
EP0916614B1 (de) Hülsenmagazin für eine Kreuzspulen herstellende Textilmaschine
KR100239982B1 (ko) 경사 통경기내의 드롭와이어를 조작하는 장치
DE3706871A1 (de) Uebergabefoerderer fuer spulen
EP0514321B1 (de) Einrichtung zum Transportieren und Handhaben von Schussfaden-Vorratsspulen sowie zum Zuführen derselben an Spulengestelle von Webmaschinen und Verfahren zum Betrieb der Einrichtung
DE4024787C1 (en) Textile package removal installation - has withdrawal grippers fastened on transporter, and includes two removal belts
DE4015938A1 (de) Spinnereianlage
DE60116289T2 (de) Weben von teppichen
DE2410408C2 (de) Vorrichtung zum Auswechseln voller Spulen gegen leere Spulenkörper bei Steck- bzw. Zwirnmaschinen
KR100202754B1 (ko) 경사의 자동 통경기
DE19628563A1 (de) Packeinrichtung für zu transportierende und abzusetzende Flaschen
EP0646667B1 (de) Vorrichtung zur Handhabung von Litzen für Kettfadeneinziehmaschinen
EP0646669B1 (de) Vorrichtung zur selektiven Übergabe von Litzen
EP0481183A2 (de) Vorrichtung zum Vereinzeln von Lamellen in Kettfadeneinziehmaschinen
DE4015635C2 (de) Transportanlage für Spinnspulen
KR0184009B1 (ko) 경사 통경기의 드롭 와이어 조종장치
DE60116089T2 (de) Einheit zum Bilden von Tuftinggarnen und Webmaschine
EP1115636B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zuführen, positionieren, speichern und/oder austausch von behältern
US20220205149A1 (en) Method, device, movable carriage and drawing-in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