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1969B1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1969B1
KR100201969B1 KR1019960701826A KR19960701826A KR100201969B1 KR 100201969 B1 KR100201969 B1 KR 100201969B1 KR 1019960701826 A KR1019960701826 A KR 1019960701826A KR 19960701826 A KR19960701826 A KR 19960701826A KR 100201969 B1 KR100201969 B1 KR 1002019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isture
shape memory
memory resin
permeable membrane
refrigerator ac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7018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705185A (ko
Inventor
코지 나가타
마사토시 이나타니
노리코 시노하라
Original Assignee
구보다 다다시
마쓰시타 레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8227294A external-priority patent/JP336612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289619A external-priority patent/JPH08145543A/ja
Priority claimed from JP28962094A external-priority patent/JP3366140B2/ja
Application filed by 구보다 다다시, 마쓰시타 레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구보다 다다시
Publication of KR9607051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7051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19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19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SSOLAR HEAT COLLECTORS; SOLAR HEAT SYSTEMS
    • F24S20/00Solar heat collector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environments
    • F24S20/70Waterborne solar heat collector modu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4Freezing; Subsequent thawing; Cooling
    • A23B7/0425Freezing; Subsequent thawing; Cooling the material not being transported through or in the apparatus, with or without shaping, e.g. in the form of powder, granules or flak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14Preserving or ripening with chemicals not covered by groups A23B7/08 or A23B7/10
    • A23B7/144Preserving or ripening with chemicals not covered by groups A23B7/08 or A23B7/10 in the form of gases, e.g. fumigation; Compositions or apparatu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14Preserving or ripening with chemicals not covered by groups A23B7/08 or A23B7/10
    • A23B7/144Preserving or ripening with chemicals not covered by groups A23B7/08 or A23B7/10 in the form of gases, e.g. fumigation; Compositions or apparatus therefor
    • A23B7/148Preserving or ripening with chemicals not covered by groups A23B7/08 or A23B7/10 in the form of gases, e.g. fumigation; Compositions or apparatus therefor in a controlled atmosphere, e.g. partial vacuum, comprising only CO2, N2, O2 or H2O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3/00Manufacture of workpieces or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compacting or sinter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Presses and furnaces
    • B22F3/10Sintering only
    • B22F3/11Making porous workpieces or articles
    • B22F3/1103Making porous workpieces or articles with particular physical characteristics
    • B22F3/1115Making porous workpieces or articles with particular physical characteristics comprising complex forms, e.g. honeycom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3/00Manufacture of workpieces or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compacting or sinter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Presses and furnaces
    • B22F3/10Sintering only
    • B22F3/11Making porous workpieces or articles
    • B22F3/1121Making porous workpieces or articles by using decomposable, meltable or sublimatable fi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3/00Manufacture of workpieces or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compacting or sinter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Presses and furnaces
    • B22F3/10Sintering only
    • B22F3/11Making porous workpieces or articles
    • B22F3/1121Making porous workpieces or articles by using decomposable, meltable or sublimatable fillers
    • B22F3/1125Making porous workpieces or articles by using decomposable, meltable or sublimatable fillers involving a foaming pro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3/00Manufacture of workpieces or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compacting or sinter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Presses and furnaces
    • B22F3/10Sintering only
    • B22F3/11Making porous workpieces or articles
    • B22F3/1121Making porous workpieces or articles by using decomposable, meltable or sublimatable fillers
    • B22F3/1137Making porous workpieces or articles by using decomposable, meltable or sublimatable fillers by coating porous removable pre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7/00Manufacture of composite layers, workpieces, or articles, comprising metallic powder, by sintering the powder, with or without compacting wherein at least one part is obtained by sintering or compression
    • B22F7/002Manufacture of composite layers, workpieces, or articles, comprising metallic powder, by sintering the powder, with or without compacting wherein at least one part is obtained by sintering or compression of porous n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7/00Manufacture of composite layers, workpieces, or articles, comprising metallic powder, by sintering the powder, with or without compacting wherein at least one part is obtained by sintering or compression
    • B22F7/002Manufacture of composite layers, workpieces, or articles, comprising metallic powder, by sintering the powder, with or without compacting wherein at least one part is obtained by sintering or compression of porous nature
    • B22F7/004Manufacture of composite layers, workpieces, or articles, comprising metallic powder, by sintering the powder, with or without compacting wherein at least one part is obtained by sintering or compression of porous nature comprising at least one non-porous part
    • B22F7/006Manufacture of composite layers, workpieces, or articles, comprising metallic powder, by sintering the powder, with or without compacting wherein at least one part is obtained by sintering or compression of porous nature comprising at least one non-porous part the porous part being obtained by foam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7/00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 F16K7/10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with inflatable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0Means for stopping flow from or in pipes or hoses
    • F16L55/12Means for stopping flow from or in pipes or hoses by introducing into the pipe a member expandable in situ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0Means for stopping flow from or in pipes or hoses
    • F16L55/12Means for stopping flow from or in pipes or hoses by introducing into the pipe a member expandable in situ
    • F16L55/128Means for stopping flow from or in pipes or hoses by introducing into the pipe a member expandable in situ introduced axially into the pipe or ho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00Burners for combustion of pulverulent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SSOLAR HEAT COLLECTORS; SOLAR HEAT SYSTEMS
    • F24S20/00Solar heat collector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environments
    • F24S20/20Solar heat collectors for receiving concentrated solar energy, e.g. receivers for solar power pla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SSOLAR HEAT COLLECTORS; SOLAR HEAT SYSTEMS
    • F24S23/00Arrangements for concentrating solar-rays for solar heat collectors
    • F24S23/70Arrangements for concentrating solar-rays for solar heat collectors with reflectors
    • F24S23/74Arrangements for concentrating solar-rays for solar heat collectors with reflectors with trough-shaped or cylindro-parabolic reflective surf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SSOLAR HEAT COLLECTORS; SOLAR HEAT SYSTEMS
    • F24S23/00Arrangements for concentrating solar-rays for solar heat collectors
    • F24S23/70Arrangements for concentrating solar-rays for solar heat collectors with reflectors
    • F24S23/79Arrangements for concentrating solar-rays for solar heat collectors with reflectors with spaced and opposed interacting reflective surf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SSOLAR HEAT COLLECTORS; SOLAR HEAT SYSTEMS
    • F24S23/00Arrangements for concentrating solar-rays for solar heat collectors
    • F24S23/70Arrangements for concentrating solar-rays for solar heat collectors with reflectors
    • F24S23/80Arrangements for concentrating solar-rays for solar heat collectors with reflectors having discontinuous f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SSOLAR HEAT COLLECTORS; SOLAR HEAT SYSTEMS
    • F24S30/00Arrangements for moving or orienting solar heat collector modules
    • F24S30/40Arrangements for moving or orienting solar heat collector modules for rotary movement
    • F24S30/45Arrangements for moving or orienting solar heat collector modules for rotary movement with two rotation axes
    • F24S30/452Vertical primary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42Air treating means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4Slidable shelves
    • F25D25/025Dra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3/00Arrangements for modifying heat-transfer, e.g. increasing, decreasing
    • F28F13/003Arrangements for modifying heat-transfer, e.g. increasing, decreasing by using permeable mass, perforated or porous materi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3/00Arrangements for modifying heat-transfer, e.g. increasing, decreasing
    • F28F13/18Arrangements for modifying heat-transfer, e.g. increasing, decreasing by applying coatings, e.g. radiation-absorbing, radiation-reflecting; by surface treatment, e.g. polish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1/00Constructions of heat-exchange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particular materials
    • F28F21/08Constructions of heat-exchange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particular materials of metal
    • F28F21/081Heat exchange elements made from metals or metal alloys
    • F28F21/085Heat exchange elements made from metals or metal alloys from copper or copper allo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2998/00Supplementary information concerning processes or compositions relating to powder metallurg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2201/00Burners adapted for particulate solid or pulverulent fuels
    • F23D2201/10Nozzle tips
    • F23D2201/101Nozzle tips tilta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SSOLAR HEAT COLLECTORS; SOLAR HEAT SYSTEMS
    • F24S30/00Arrangements for moving or orienting solar heat collector modules
    • F24S2030/10Special components
    • F24S2030/14Movement guid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4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 F25D2317/041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by purification
    • F25D2317/0413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by purification by humidification
    • F25D2317/04131Control mean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1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through special compart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9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ood processing or handling, e.g. food conservation
    • Y02A40/963Off-grid food refrigeration
    • Y02A40/966Powered by renewable energy sour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40Solar thermal energy, e.g. solar tow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40Solar thermal energy, e.g. solar towers
    • Y02E10/47Mountings or trac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의 야채실에 있어 투습도가 자동적으로 가변되는 투습막을 이용하여, 확실하게 야채 저장 용기내의 습도를 자동 제어하여 노결을 방지하고, 항상 야채에 적당한 고습도로 유지하여 야채를 장기간 신선하게 유지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용기내에 윗면이 개방되누 야채 저장용기(18)를 내장하고, 그 윗면을 덮도록 밀착하여 설치된 덮개(19)를 갖는다. 덮개(19)에는 수증기 투과성의 나일론이나 폴리에스테르로 형성하는 기포(21)와, 폴리우레탄 수지계의 친수성 형상 기억 수지 필름(22)으로 구성되는 투습막(20)이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냉장고
[발명의 상세한 설명]
[기술분야]
본 발명은 야채를 신선하게 장기간 보존할 수 있도록한 간이 밀폐형 야채실을 갖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근년에 냉장고에서 야채를 신선한 상태에서 장기간 보존하는 방법으로서 특허 소 63-213784 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듯이 간이 밀폐형 야채용기의 통기구에 감습시트를 설치하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이하에 종래 제안되고 있는 냉장고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27도는 종래 제안되고 있는 냉장고의 야채실을 나타내는 단면도로 참조번호 1은 냉장고 본체이며 그 최상부에 도시되지 않은 냉동실이 설치되고 그 아래쪽에 냉장실(2) 및 야채실(3)이 차례로 설치된다.
참조번호 4는 냉장실(2) 및 야채실(3) 사이를 분리하는 분리판으로 그 전방부 및 후방부에 냉기를 통하기 위한 통기공(5, 6)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참조번호 7은 상부가 개방된 저장용기인 야채수압용기로 야채실(3)내에 설치되어 문(8)을 개방하는 것에 의해 전방으로 당겨 나올수 있다.
참조번호 9는 야채수납용기(7)의 상부를 착탈 가능하게 하여 야채수납용기(7)과 함께 저장용기를 구성하는 덮개로 여기에는 원형의 통기구(10)가 설치되어 있다. 또 이 덮개(9)의 후단에는 상부에 근접하여 형성된 분류판(11)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참조번호 12는 가령, 폴리비닐 알콜 필름으로 구성되는 장방형상의 감습시트로 제28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통기구(10)를 덮도록 하여 이것의 접착부가 접착제(13)에 의해 덮개(9)의 하면측에 고정되어 있다. 이 감습시트(12)는 습도가 가령 80% 이상으로 되면 팽윤하여 신장하고 또, 80% 이하의 건조상태로 되면 수축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냉장고의 야채저장용기에 있어서 이하 그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냉장실(2)로 부터의 냉기는 분리판(4)의 통기공(5)을 통과한 후 분류판(11)에 의하여 분류되어 덮개(9)의 상면측과 야채수납용기(7)의 후방측으로 흐른다.
그리고 덮개(9)의 상면측으로 분류된 냉기의 일부는 덮개(9)에 설치된 통기구(10)를 통하여 야채수납용기(7)내에 유입하고 남은 냉기 및 야채수납기(7)의 후방측을 통과하는 냉기는 분리판(4)의 통기공(6)으로 냉장실(2) 내로 되돌아 간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냉기의 흐름에 의해 야채와 저온 보존상태에 있을때 야채 용기(7) 내의 습도는 제28도에 도시한 통기구(10)가 개방하고 있을때에는 서서히 저하한다. 그러나 그 습도가 80% 보다 저하하면 지금까지 통기구(10)를 개방하고 있던 감습시트(12)가 건조하여 수축함에 따라 제29도와 같이 덮개(9)에 밀착하여 통기구(10)를 폐쇄하게 된다.
또 야채수납용기(7) 내부가 완전히 밀폐상태로 되면 이번에는 야채의 호흡작용에 의해 방출되는 수증기에 의해 당해 야채수납용기(7) 내부가 고습도로 되고 습도가 80%를 넘으면 이번에는 통기구(10)를 폐쇄하고 있던 감습시트(12)가 서서히 팽윤하여 신장하고, 다시 제28도와 같이 통기구(10)를 개방하게 된다.
따라서 야채수납용기(7) 내부가 장시간 과건조상태 또는 과습상태로 되는 것이 방지되어 야채를 장기간 보존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의 구성에는 통기구(10)의 개폐가 천천히 팽윤하여 신장하거나 천천히 건조하여 수축하는 감습시트(12)로 행해지므로 응답성이 아주 나쁘다.
이 때문에 과습상태의 제거가 늦어져 냉장실(2)로 부터의 냉기에 의해 냉각된 덮개(9)의 노결을 충분히 방지할 수 없거나 과건조상태의 제거가 늦어져 야채수납용기(1) 내부로 냉장실(2)로 부터의 냉기의 유입이 길어지게 되어 시금치등의 약한 야채가 건조하거나 한다.
또 감습시트(12)는 폴리비닐 알콜 필름등의 팽윤성 재료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흡습, 방습의 응답성만이 아니라 몇번인가 흡습, 방습을 반복하는 것에 의해 본래 형상으로 돌아오기 어렵게 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종래 제안되고 있는 냉장고는 야채실내의 습도를 장기간에 걸쳐 적당한 고습도를 유지할 수 없고 야채를 그리 오래 신선하게 보존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에 대하여 확실하게 야채저장용기 내부의 습도를 자동적으로 제어하여 노결을 방지하고 보통야채에 적당한 고습도를 유지하여 야채를 장기간 신선하게 보존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발명의 개시]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냉장실과 냉장실의 냉기에 의하여 냉각되는 야채 저장 용기를 구비하고 야채저장 용기 또는 그 덮개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는 형상기억 수지층을 갖는 투흠막이 설치된 냉장고이다.
본 발명의 냉장고는 상기 구성에 의해 투습막의 투습도가 형상기억 수지의 유리 이전점 부근에서 가령0°10℃의 온도 영역에서 자동적으로 신속하게 변화하는 것으로 야채수납직후와 야채실내에 따뜻한 맥주나 쥬스등을 넣어 야채저장용기의 온도가 상승하여 야채의 호흡작용 증산작용이 왕성할 때에는 투습도가 크고, 야채저장용기 내부의 온도가 저온으로 안정된 때나 야채의 저장량이 적어 야채로부터 수분 증산이 적온때는 투습도가 작아지므로 노결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한 투습막의 위치는 야채저장용기의 개구부분인 것이 양호하다.
투습막을 야채저장용기의 개구부분에 설치한 발명은 냉장장치와 윗면이 개방된 야채저장용기와 상기 윗면을 덮도록 밀착하여 설치되는 덮개를 갖고 그 덮개에는 형상기억 수지층을 갖는 투습막이 설치된 냉장고이다.
또 투습막은 노결이 발생하기 쉬운 위치에 설치하는 것이 양호하고 이러한 곤점으로부터 구성된 발명은 냉장고 냉장실의 냉기에 의하여 냉각되는 야채저장용기를 구비하고 당해 야채저장용기의 배면에 형상기억 수지층을 갖는 투습막이 설치된 냉장고이다.
동일하게 야채저장용기를 갖는 구성에는 야채 저장용기의 배면상부에 홈 부분이 형성되고 이 홈부분에 과일용기가 장착되어 상기 과일용기의 배면에 형상기억 수지층을 갖는 투습막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 양호하다.
또한 과일용기의 밑면에 임의 크기의 복수의 개구공이 있으면 보다 효과적이다.
야채저장용기의 배면상부의 홈 부분에 배치한 과일용기와 그 과일용기의 배면에 상기 투습막을 갖는 것으로부터 특히 배면의 노결방지 효과가 크고 과일용기내에 노결수가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과일용기의 밑면에 임의의 크기의 복수개의 개공을 설치한 경우는 과일용기의 밑면외벽으로 노결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는 발명은 냉장장치와 윗면이 개방된 야채저장용기와 상기 윗면을 덮도록 밀접하게 설치된 덮개를 갖으며 그 덮개의 일부에는 형상기억 수지층을 갖는 투습막이 일체 형성된 냉장고이다.
이와같이 덮개의 개구부에 투습막을 일체 형성하는 것에 의해 부품수의 감소와 저코스트화가 가능하게 된다.
역으로 형성기억 수지층을 갖는 투습막을 일체적으로 새겨 넣은 격자상의 별도의 부품을 상기 덮개의 개구부에 배치하여도 좋다.
투습막을 일체 형성한 격자성의 별개 부품은 덮개의 개구부에 배치하는 것에 의해 저코스트로 투습막을 교환할 수 있다.
투습막은 수증기 투과성이 기포(基布)와 친수성의 형상기억 수지로 구성하여도 좋다.
또 투습막은 친수성의 형상기억 수지와 소수성의 형상기억 수지를 소정의 비율로 혼합한 형상기억 수지필름과 수증기 투과성의 기포로 구성하여도 좋다.
친수성의 형상기억 수지와 소수성의 형상기억수지를 소정의 비율로 혼합하는 것에 의해 투습막의 투습특성을 조절할 수 있다.
또 투습막은 수증기 투과성으로 단열층을 갖는 기포와 친수성의 형상기억수지 필름을 구비하고 상기 투습막의 기포는 덮개의 외면측에 있고, 상기 투습막의 형상기억수지 필름은 덮개의 내면측에 있는 것이 양호하다.
본 구성은 투습막의 형상기억수지면이 야채저장용기의 내측으로 되도록 배치된 것이므로 야채저장용기의 온도 및 습도 변화에 대하여 신속하게 투습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
또 본 구성에서는 투습막의 외표면에는 단열층을 형성하며 이루어지기 때문에 야채저장용기이고 밖을 흐르는 건조 냉기의 습도와 온도를 민감하게 포착하지 않으므로 야채저장내의 습도와 온도에 대응한 투습도 변화를 나타내기 위한 야채에 적당한 습도에 신속한 대응이 도모된다.
상기 구성으로 단열층을 형성시키는 방법에는 직포(織布)를 2층 이상으로 적층하여 기포를 구성하여 기포에 탄력성을 부여하는 구성이 양호하다.
또 다른 방법으로 2 이상의 직물재를 갖는 기포를 구성하고 그 직물재 사이에 스페이서를 끼워 공기층을 형성하는 단열층을 갖는 기포로 하는 구성도 장려된다.
단열층의 전열계수를 야채저장용기 측벽면과 동등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야채용기의 측벽면등이 단열계수 정도의 단열성을 갖는 단열층의 부가에 의하여 투습막 근처가 극단적으로 저온으로 되는 것을 방지하고 야채실 내의 균습도화와 균온도화가 가능하게 되고 야채의 선도 유지를 유효하게 할 수 있다.
형상기억수지 필름의 용기 내측면에 보호기포를 사용하고 보호기포의 단열계수 보다도 단열층을 갖는 용기 외면의 기포의 단열계수가 큰 것이 좋다.
투습막을 구성하는 형상기억수지는 폴리우레탄계 수지로 기포가 나일론 또는 폴리에스테르 등의 직포 또는 부직포인 것도 가능하다.
또 기포와 형상기억수지의 적층은 기포에 형상기억수지를 접착하여 행할 수 있다.
투습막은 기포와 형상기억수지가 적당한 간격으로 존재하는 접착층을 통하여 접착되고 있는 것이 양호하다. 이 구성에서는 투습도를 별로 저하시키지 않고 형상기억수지를 보강할 수 있다.
투습막의 형상기억수지면이 야채저장용기의 내측으로 되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습막의 친수성 형상기억수지면이 야채저장용기의 내측으로 되도록 배치하면 야채저장용기 내의 온도 및 습도 변화에 대하여 신속하게 투습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
또 형상기억 수지의 양면이 수증기 투과성의 기포로 끼워진 구성으로 하면 더욱 내 마모성등의 강도를 향상할 수 있다.
기포에 폐수처리한 경우에는 기포의 오염방지와 투습막의 투습도를 안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투습막은 수증기 투과성의 섬유와 형상기억수지로 구성하여도 좋다.
이 경우 형상기억수지는 폴리우레탄계 수지이고 섬유는 나이론 또는 폴리에스테르를 소재로하는 조합이 장려된다.
본 구성에서는 형상기억수지는 섬유의 적어도 한쪽에 코팅하면 족하다.
또 형상기억수지는 섬유의 소정 개소만에 코팅하여도 좋다.
섬유의 소정 개소만 형상기억수지를 코팅하여 투습막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간단하고 자유롭게 투습도의 변화가 가능하므로 여러 가지 기종의 냉장고에 대응 가능하게 된다.
또한 투습막에는 복수개의 세공을 두는 것도 좋다.
투습막에 복수개의 세공을 둠에 의해 야채, 과일에 해를 끼치는 무서운 탄산가스와 에틸렌 가스의 제거효과를 증대할 수 있다.
또 투습막은 항균제로 처리되어 있으면 안전하게 장기간 위생성을 갖을 수 있다.
동일하게 덮개 외표면에 커버시트를 맞추어 부착하는 것으로 단열층으로 되는 공기층이 형성되고 야채수납용기의 외부를 흐르는 건조 냉기에 투습막이 직접 영향 받음이 적고 야채수납용기 실내의 온도에 민감하게 대응하기 위한 투습막의 투습성이 변화하고 야채의 선도를 유지하도록 작용하게도 할 수 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있어 냉장고의 야채실의 종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있어 냉장고의 야채실의 덮개의 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에 제1의 실시예에 있어 냉장고의 투습막의 부분확애 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있어 투습막과 일반 투습막의 수증기 투과기능의 설명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있어 투습막의 부분확대 단면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있어 냉장고의 투습막이 부분확대 단면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있어 투습막과 일반 투습막의 수증기 투과기능의 설명도.
제8도는 야채의 호흡량과 온도에 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
제9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있어 투습막의 부분확대 단면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있어 냉장고의 투습막의 부분확대 단면도.
제11도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있어 투습막의 부분확대 단면도.
제12도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있어 투습막의 부분확대 단면도.
제13도는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있어 투습막의 부분확대 단면도.
제14도는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있어 냉장고의 야채실의 종단면도.
제15도는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있어 냉장고의 야채실 덮개의 사시도.
제16도는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있어 덮개의 AA 단면의 투습막의 부분확대 단면도.
제17도는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에 있어 냉장고의 투습막의 부분확대 단면도.
제18도는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에 있어 투습막과 일반의 투습막의 수증기 투과기능의 설명도.
제19도는 본 발명의 제11 실시예에 있어 냉장고의 야채실의 종단면도.
제20도는 본 발명의 제12 실시예에 있어 투습막의 사시도.
제21도는 본 발명의 제12 실시예에 있어 투습막의 부분확대 단면도.
제22도는 본 발명의 제13 실시예에 있어 야채실의 덮개의 사시도.
제23도는 본 발명의 제14 실시예에 있어 투습막의 부분확대 단면도.
제24도는 본 발명의 제15 실시예에 있어 냉장고의 야채실의 종단면도.
제25도는 본 발명의 제16 실시예에 있어 냉장고의 야채실의 종단면도.
제26도는 본 발명의 제16 실시예에 있어 과일용기의 사시도.
제27도는 종래 냉장고의 야채실의 종단면도.
제28도는 종래 야채실의 덮개의 감습시트의 개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29도는 종래 야채실의 덮개의 감습시트의 폐쇄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상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냉장고의 야채실(14)의 단면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냉장실(15)의 하부에 설치되고 야채실(14)과 냉장실(15)은 분리판(16)에 의해 구획되고 있다.
분리판(16)에는 전후에 통기구(16a, 16b)가 설치되고 냉장실(15)의 냉기가 야채실(14)에 순환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야채실(14)은 야채실 문(17)의 좌우측에 수평하게 부착된 레일(17a)에 태워져 문(17)과 일체로 개폐 수납되는 야채저장용기(18)와 상기 문(17)이 닫혀 있을 때 상기 야채저장용기(18)의 윗면 개구부를 밀착하여 덮도록 설치된 덮개(19)로 구성되어 있다.
또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덮개(19)의 후방에 개구부(19a)가 있고 이 개구부(19a)에 투습막(20)이 일체 성형되어 있다.
이 투습막(20)은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나일론이나 폴리에스테르 등의 기포(21)에 친수성 폴리우레탄 수지계의 형상기억수지필름(22)을 적당한 간격으로 분포하는 접착층(23)을 매개하여 접착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투습막(20)의 형상기억수지필름(22)면은 상기 야채저장용기(18)의 내측으로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실시예 1에서 채용하는 형상기억수지필름을 이용한 투습막(20)의 수증기 투과성의 특징에 대하여 제4도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제4도는 각종 투습막의 투습률(g/m. day. mmHg)고 수증기 분압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제4도에 있어 곡선 A는 일반의 투습막의 투습률과 수증기 분압의 관계를 나타낸다. 또 곡선 B 는 소수성 형상기억수지 필름으로부터 형성되고 투습률과 수증기 분압의 관계를 나타낸다. 또한 곡선 C 는 본 실시예에서 채용하는 친수성의 형상 기억수지 필름으로부터 형성되는 투습막(20)의 투습률과 수증기 분압의 관계를 나타내는 것이다.
그림으로부터 분명하듯이 일반적인 투습막에서는 곡선 A 와 같이 습도 및 온도가 상승하여도 투습률이 변화하지 않는다. 한편 소수상의 형상기억수지 필름으로부터 형성되는 투습막에서는 곡선 B 와 같이 온도가 상승하여 유리전이 온도 Tg(가령 0℃10℃) 이상으로 되면 투습률이 조금 커지게 된다. 여기에 대하여 본 실시예와 같은 친수성 형상기억수지필름에서는 곡선 C 와 같이 유리전이 온도 Tg 이상으로 되면 투습률이 급격히 증가함을 보인다.
즉 투습막(20)은 친수성의 형상기억수지필름(22)이 유리전이 온도 Tg를 경계로 수증기의 투과기능이 크게 변화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야채용기내의 환경이 고온, 고습으로 되면 투습률이 급격히 커지게 되어 노결을 방지하도록 작용한다.
역으로 본 실시예의 투습막(20)에서는 야채용기의 환경이 저온, 저습으로 되면 투습률이 급격히 작아져 야채용기내의 건조를 방지하도록 작용한다.
이 이유는 친수성의 형상기억수지필름(22)이 유리전이온도 Tg 이하의 저온시에서는 수지의 분자간 간극이 수축하여 수증기 투과능력을 억제하고, 우리 전이온도 Tg 이상의 고온시에는 수지의 비정상의 분자운동이 활발하게 됨에 따라 수지 분자간의 간극이 넓어져 수증기 분자의 확산이 용이하게 되어 수증기 투과능력이 상승하는 기능을 갖기 때문이다.
더하여 투습막(22)에서는 형상기억수지 필름(22)이 친수성이기 때문에 수증기 분자의 형상기억수지필름(22)으로의 용해가 많다. 이 때문에 유리 전이온도 Tg 이상의 고온에서 또한 형상기억수지필름(22)의 표면이 젖는 노결 환경에서는, 상승효과에 의해 급격한 투습도의 상승이 있다(단, 형상기억수지의 원리에 대하여는 도리가 93년 4월호 등에 기재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냉장고에 대하여 제1도 내지 제4도를 이용하여 그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상기 야채저장용기(18)내에 야채가 수납되면 야채자체로부터 호흡작용에 의하여 배출되는 수분에 의해 간이 밀폐형으로 되어 있는 야채저장용기(18) 내에 고습도가 된다. 야채수납 직후는 야채의 자체온도가 높아서 호흡작용이 왕성하기 때문에 배출되는 수분이 많으므로 통상은 야채 저장용기(18) 내가 투습상태로 되어 상기 덮개(19)의 후방에 노결이 발생하기 쉽다.
그러나 이와같은 야채저장용기(18) 내의 온도 및 습도가 높은 상태시에는 야채실(14)의 상기 덮개(19)에 설치된 투습막(20)의 수증기 투과능력이 높다. 그 때문에 야채저장용기(18) 내의 여분의 수분은 제3도의 막의 단면도에서 보이듯이 수증기 분압(16)이 낮은 냉장실(15)측으로 이동하므로 투습상태를 제어하여 노결이 방지된다.
또 야채가 수납된 후 시간이 경과하여 야채실(14)내의 온도가 상기 형상기억수지(22)의 유리 전이온도 Tg(가령 0℃10℃)이하로 됐을때는 상기 투습막(20)의 수증기 투과능력은 저하하여 야채실(14) 내를 야채의 저장에 적당한 고습도(8095%RH)로 유지하게 된다. 이때 야채의 호흡작용은 억제되어 증산되 나오는 수분은 적어도 적은 상태로 되기 때문에 수증기 투과능력은 낮아도 노결은 방지될 수 있다.
또 야채의 수납량이 극히 많을때는 야채의 호흡열이 크기 때문에 야채실(14)내의 온도가 높고 야채로부터의 수분증산이 크므로 노결하기 쉽게되나 이때는 상기 투습막(20)의 투습도가 크게되어 노결을 방지하게 작용한다.
따라서 상기 투습막(20)이 야채의 온도에 의한 호흡량의 변화와 야채의 수납량에 대응하여 적절하게 투습도가 변화하기 때문에 종래 일반의 투습량보다 더욱 적절한 투습제어가 가능하여 고습도의 유지와 노결방지를 양립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야채실(14)을 야채저장용기(18)와 투습막(20)을 갖는 덮개(19)로 간이 밀페하고 투습막(20)을 수증기 투과성의 기포(21)와 친수성 형상기억수지 필름(22)으로 구성하는 것에 의해 야채실(14)내의 온도변화 및 야채의 수납량에 대응하여 수증기 투과능력이 적절하게 변화하여 야채실(14)내의 노결을 방지하면서 야채에 적당한 고습도를 유지할 수 있다. 그 결과 본 실시예의 냉장고는 종래보다 야채를 장기간 보존할 수 있다. 또 투습막(20)은 기계적으로 변화하지 않고 수증기 투과능력의 특성을 장기간 유지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제품보다 내구성이 있다.
또 본 실시예의 구성은 기포(21)와 덮개(19)의 개구부(19a)에 일체 성형한 것이므로 투습막(20)의 강도가 유지될 수 있음과 함께 부품수의 감소와 저 코스트화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형상기억수지 필름(22) 그룹은 얇고(수미크론부터 수십미크론) 일반적으로 파손되기 쉽기 때문에 일체성형은 불가능하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예의 구성은 형상기억수지필름(22)과 기포(21)을 적층한 구성으로 하는 것으로 전체의 강도가 향상하고 성형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 본 실시예의 냉장고는 투습막(20)이 기포(21)와 형상기억 수지 필름(22)을 적당한 간격으로 분포하는 접착층을 매개하여 접착한 것이므로 투습도를 별로 저하시키지 않고 형상기억수지필름(22)의 보강이 가능하다.
더욱이 본 실시예의 냉장고는 투습막(20)의 친수성 형상기억수지 필름(22)면이 야채저장용기(18)의 내측으로 되도록 배치한 것이므로 야채저장용기(18)내의 온도 및 습도변화에 대하여 신속하게 투습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
[실시예 2]
다음에는 제2실시예에 대하여 제5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는 어느것도 앞의 실시예와는 투습막의 층구성만 다르고 야채실의 구조 등은 동일하다. 따라서 야채실의 구조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투습막의 구성만 설명한다.
제5도는 실시예 2에 있어 투습막(24)의 단면을 나타내는 것이므로 형상기억수지필름(22)의 양면에 적당한 간격으로 분포하는 접착층(26)을 통하여 나이론과 폴리에스테르 등이 직포와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기포(27)를 접착하고 있다. 또한 형상기억수지필름(22)은 앞의 실시예 1과 동일한 소재에 의해 제작되고 있다.
실시예 2의 구성에서는 이상과 같이 형상기억수지필름(22)의 양면이 기포(27)로 보호되기 위해 형상기억수지필름(22)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양면의 기포(27)은 투습성이 있는 것이면 완전히 같은 소재이거나 아니거나 양호하다. 또 도시되지 않으나 상기 접착층(26)을 통하지 않고 형상기억수지필름(22)의 양면에 기포(27)을 겹쳐 주위만 접착하거나 다른 수지 성형품으로 고정할 수 있다.
[실시예 3]
다음으로 3의 실시예에 대하여 제6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냉장고에서는 투습막(30)은 제6도에 보이듯이 나이론과 폴리에스테르 등의 기포(31)에 폴리우레탄 수지계의 친수성 형상기억수지와 소수성의 형상기억수지를 소정의 비율로 혼합하여 덛은 형상기억수지필름(22)을 적당한 간격으로 분포하는 접착층(33)을 통하여 접착한 것이다. 즉 앞의 두 개의 실시예에서는 투습막의 형상기억수지필름은 친수성의 폴리우레탄 수지계의 형상기억수지를 소재로 하는데 대해 본 실시예에서는 폴리우레탄 수지계의 친수성 형상기억수지와 소수성 형상기억수지를 소정의 비율로 혼합한 것을 소재로 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채용하는 형상기억수지 필름(22)은 앞의 실시예와는 달리 폴리우레탄 수지계의 친수성 형상기억수지와 소수성 형상기억수지를 소정의 비율로 혼합한 것을 이용하기 때문에 투습막(30)의 수증기 투과 특성은 앞의 것과 크게 다르다.
다음으로 실시예 3에서 채용하는 투습막(30)의 수증기 투과의 특성에 대하여 제7도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제7도는 각종 투습막의 투습도(g/m. day. mmHg)와 수증기 분압의 관계를 실험에 의해 구한 것이다.
제7도에 있어 곡선 A는 일반 투습막의 투습도와 수증기 분압 관계를, 곡선 B는 소수성의 형상기억수지필름으로부터 형성하는 투습막의 특성을, 곡선 C는 친수성의 형상기억필름으로되는 투습막 특성을, 곡선 D는 실시예 3의 친수성 형상기억수지와 소수성 형상기억수지를 소정의 비율로 혼합하여 얻은 형상기억수지필름으로 형성되는 투습막(30)의 특성을 나타낸 것이다.
즉, 곡선 A(일반투습막)는 온도 및 온도가 상승하여 투습도가 별로 변화하지 않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한편 실시예 1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형상기억수지 필름으로 형성되는 투습막은 각각 유리전이 온도 Tg 보다 약 15℃ 낮은 온도 Tp(가령 5℃10℃)이상으로 되면 투습도가 급격히 커지는 특성을 갖고 있다.
그러나 각각 투습도 변화 정도가 다르므로 곡선 B(소수성 형상기억수지)에서는 이 Tp 이상으로 되면 투습도가 커지지만 A 의 투습도 보다 커지지 않는다. 또 곡선(친수성 형상기억수지)는 저온에서의 투습도가 너무 높아 일반 투습도 보다 항상 투습도가 크다.
그런데 곡선 D(실시예 3의 형상기억수지)에 있어서는 그 투습도는 저온에서는 A 보다 작고 상기 온도 Tp에서 투습도가 급격히 증가하여 제7도에서의 온도 Tc에서 역전하여 고온에서는 A 보다 크게 된다.
또 야채의 호흡량은 일반적으로 제8도에 나타나듯이 저온에서는 호흡량이 적고 고온에서는 호흡량이 커지며, 특히 어느 온도(가령 시금치는 약 10℃) 이상으로 되면 급격하게 호흡량이 증대하여 다량의 수분증산이 일어난다.
결국 제7도와 제8도의 비교로부터 알수 있듯이 상기 형상기억수지필름(22)으로부터 이루어지는 투습막(30)은 정확히 야채의 호흡량 변화에 호응하여 투습도가 변화되므로 야채용기 내의 환경이 고온-고습이 되면 투습율이 급격히 크게되어 노결을 방지하도록 작용하고 역으로 저온, 저습으로 되면 투습율이 작어져 건조를 방지하도록 작용한다.
즉 실시예 3 의 투습막(30)에서는 상기 형상기억수지필름(22)이 적절한 친수성이기 때문에 수증기 분자의 형상기억수지필름(22)로의 용해가 적당하게 증가하는 것이 상승효과로 된다.
또한 상기 Tg 와 Tp의 어긋남은 형상기억수지의 유리전이 영역에 온도폭이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실시예 4]
다음으로 제4실시예에 대하여 제9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3실시예와 다른점은 투습막의 구성만이며, 야채실의 구조는 동일하므로 구조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투습막의 구성만을 설명한다.
제9도는 실시예 4에 있어 투습막(34)의 단면을 나타내는 것으로 형상기억수지필름(35)의 양면에 적당한 간격으로 분포하는 접착층(36)을 매개하여 나이론과 폴리에스테르 등의 직포나 부직포로부터 형성되는 기포(37)를 접착하고 있다. 형상기억수지필름(35)의 소재는 실시예 3에서 채용한 것과 같은 폴리우레탄 수지계의 친수성 형상기억수지와 소수성 형상기억수지를 소정의 비율로 혼합하여 얻는 형상기억수지 필름이다.
또 기포(37)에는 불소계와 실리콘계 등의 발수 처리를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실시예 4에서 채용하는 투습막(34)에서는 앞의 실시예와 달리 형상기억수지필름(35)의 양면이 기포(37)로 보호되기 때문에 형상기억수지필름(35)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 기포(370가 발수성이므로 음식 국물등에 의한 오염의 방지와 투습막(34)의 투습도를 안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양면의 기포(37)는 투습성의 있는 것이면 완전히 같은 소재로 되거나 되지 않아도 좋다. 또 도시되지 않으나 상기 접착층(36)은 겹쳐 테두리만을 접착하거나 다른 수지 성형품을 끼워 고정하여도 좋다.
[실시예 5]
다음으로 제5실시예에 대하여 제10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실시예와 다른 점은 투습막의 구성만이며 야채실의 구조는 동일 하므로 구조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투습막의 구성만을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투습막은 친수성 형상기억수지 필름을 이용한다.
제10도는 실시예 5에 있어서 투습막(40)의 단면을 나타내는 것이다. 투습막(40)은 제3도에 나타내듯이 나일론과 폴리에스테르 등의 기포(41)에 친수성의 폴리우레탄 수지계의 형상기억수지필름(22)을 적당한 간격으로 분포하는 접착층(43)을 매개하여 접착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채용하는 기포(41)의 한쪽면에는 투습성이 높고 단열성이 좋은 직포나 부직포로 형성된 단열층(44)이 접착층(43)을 매개하여 접착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투습막의 형상기억수지필름(22)의 표면이 상기 야채저장용기(18)의 내측으로 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채용하는 형상기억수지필름(22)을 이용한 투습막(40)의 수증기 투과성의 특징은 앞에 제4도를 들어 설명한 실시예 1의 대략 동일하다. 즉, 야채용기(18)내의 환경이 고온, 고습으로 되면 투습률이 급격히 증가하여 노결을 방지하도록 작용하고 역으로 저온, 저습으로 되면 투습율이 급격히 작어져 건조를 방지하도록 작용한다.
본 실시예의 구성에 의하면 투습막(40)을 수증기 투과성의 단열층(44)을 갖는 기포(41)를 외면으로 하여 내면은 친수성 형상기억수지필름(22)로 구성하는 것에 의해 야채실(14)내의 온도변화 및 야채의 수납량에 대응하여 수증기 투과능력이 적절하게 변화하여 야채실(14)내의 노결을 방지하면서 야채에 적당한 고습도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종래보다 야채를 장기간 보존할 수 있다.
[실시예 6]
다음으로 제6실시예에 대하여 제11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한 실시예 5와 다른점은 투습막의 구성만이며 야채실의 구조는 동일하므로 구조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투습막의 구성만을 설명한다.
제12도는 실시예 6에 있어 투습막(50)의 단면을 나타내는 것으로 단열층(55)로서 기포(51)와 같은 나일론과 폴리에스테르 등의 직포나 부직포를 2층 이상 적층하여 기포(51)에 단열성을 부여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제1의 실시예와 달리 단열층(55)으로서 기포(21)와 동일한 나일론이나 폴리에스테르 등의 직포나 부직포를 2층 이상 적층하므로서 용이하게 소정의 단열성을 얻을 수 있고 양산성이 좋다. 또 단열층(55)의 전열계수는 야채저장용기(18)의 측벽면과 동등하게 하는 것에 의해 투습막후의 국부적인 냉각에 의한 야채저장용기(18) 실내의 수증기 분압의 저하로인한 습도 저하를 방지함과 함께 야채 저장용기(18)실내의 냉각성능을 유지하고 있다.
[실시예 7]
다음으로 제7의 실시예에 대하여 제12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실시예와 다른 점은 투습막의 구성만으로 야채실의 구조는 동일하므로 구조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투습막의 구성만 설명한다.
실시예 7에서 투습막(60)은 단열층(56)으로서 그중의 기포(61)재 사이에 스테이서(57)를 끼워 공기층(58)을 형성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의 냉장고는 제1실시예와 달리 단열층(56)으로서 스테이서(57)에 의해 공기층(50)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경제적으로 단열성 있는 투습막(20)을 구성할 수 있다. 또 본실시예에서 채용하는 투습막(60)은 중앙에 있는 공기층이 수증기 분압차를 현저하게 나타내기 위해 단열성은 있으나 수증기의 투과를 방지하지는 않는다.
[실시예 8]
다음으로 제8의 실시예에 대하여 제13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냉장고가 앞의 실시예와 다른 점은 투습막으 구성만이고 야채실의 구조는 동일하므로 구조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투습막의 구성만을 설명한다.
실시예 8에서는 투습막(63)은 형상기억수지필름(22)의 실내면측에 보호기포(69)를 사용하고, 보호기포(69)의 단열계수 보다도 야채 수납용기(18)의 덮개(19)의 외면측에 단열층(64)을 갖는 기포(69)의 단열계수 쪽을 크게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제1실시예와 달리 형상기억수지필름(22)의 양면이 기포(61)와 보호기포(69)로 보호되기 때문에 형상기억수지필름(22)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보호기포(69)의 단열계수보다도 단열층(64)을 갖는 실외면의 기포(61)의 단열계수 쪽이 크게 한 것이고, 형상기억수지필름(22)은 실내측의 온도를 보다 민감하게 포착하고 야채 수납용기(18)내의 온도에 의해 대응하여 투습능력이 변화하고 야채이 선도를 유지하도록 작용한다.
또한 기포(61)와 보호기포(69)는 투습성있는 것이면 완전히 같은 소재거나 아니거나 양호하다. 또 표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접착층(26)을 매개하지 않고 형성 기억 수지필름(22)의 양면에 단열층(64)과 기포(61)와 보호기포(69)를 중첩하고 주위만을 접착하여 형상 기억 수지필름(22)등을 고정하여도 좋다. 또 다른 수지성형품을 가지고 상기 형상 기억 수지필름(22) 등을 고정할 수 있다.
[실시예 9]
다음에는 제9의 실시예에 대하여 제14도, 제15도와 제16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냉장고가 전술한 실시예와 다른 점은 덮개(77)와 투습막(78)의 구성만이며 야채실의 구조는 동일하므로 구조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덮개와 투습막의 구성만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냉장고에서는 앞의 실시예와 같이 뒷면은 개방한 야채저장용기(18)와 그 윗면을 덮도록 밀착하게 설치된 덮개(77)을 갖는다. 따라서 덮개(77)의 개구(77a)에는 수증기 투과성을 갖는 기포(21)와 친수성의 형상기억수지필름(22)으로 구성된 투습막(78)이 일체 성형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특유의 구성으로서 이 투습막(78)을 얻도록 덮개(79)의 외표면에 기포(21)와 같은 나일론과 폴리에스테르 등의 직포 또는 부직포의 커버(71)를 같이 붙여 투습막(78)과 커버시트(71) 사이에는 공기층(32)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제1의 실시예 등과 달리 투습막(78)의 구성은 수증기 투과성을 갖는 기포(21)와 친수성의 형상 기억 수지필름(22)으로 구성되는 단순한 것이나 일체 성형된 덮개(77)의 튀어나온 부분을 이용하고 덮개(77)의 외표면에 커버시트(71)를 맞춰 붙이는 것만으로 단열층으로 되는 공기층(32)이 형성되는 것으로 야채수납용기(18)의 외주를 흐르는 건조공기에 투습막(78)이 직접 영향받지 않고 야채수납용기(18)의 실내 온도를 민감하게 대응하기 위해 투습막(78)의 투습능력이 변화하고 야채의 선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작동한다.
또한 기포(21)와 보호기포(69)와 커버시트(71)는 투습성 있는 것이면 완전히 같은 소재이거나 그렇지 않거나 모두 양호하다.
[실시예 10]
다음에는 제10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한 실시예에서 투습막은 어느것이나 기포에 형상기억수지필름(22)을 적층한 것이나 실시예 10은 제17도와 같이 기포에 대신하여 직물(81)을 채용하고 당해 직물에 형상기억수지(82)를 코팅한 것이다.
즉, 본 실시예에서 투습막(80)은 나일론과 폴리에스테르 등의 직물(81)에 폴리우레탄 수지계의 형상기억수지(82)를 코팅한 것으로부터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형상기억 수지(82)에 대하여 제18도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제18도에 있어 곡선 A 는 일반 투습막의 투습도와 온도의 관계를 나타내고 곡선B 는 본발명의 형상기억 특성을 갖는 투습막(80)의 투습도와 온도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일반 투습막은 곡선 A 와 같이 온도가 상승하여도 별로 투습도가 증가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곡선 B 와 같이 온도가 상승하여 유리전이온도 Tg(가령 1015℃) 이상으로 되면 투습도가 급격히 증가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실시예 11]
다음에는 제11의 실시예에 대하여 제19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투습막(85)의 형상등에 특징이 있다. 설명을 간단히 하기 위하여 제1실시예와 동일부품은 동일부호를 기재하여 그 설명은 생략한다.
제19도는 실시예 11에 있어 냉장고의 야채실(14)의 종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덮개(84)에 형상기억 특성을 갖는 투습막(85)을 일체 성형한 격자상의 개구부(86)를 갖는 별개의 부품(87)을 설치한 것이다. 투습막(85)의 구성 자체는 실시예 10과 동일하고 제17도에서와 같이 직포(81)에 형상기억수지(82)를 코팅한 것이다. 투습막(85)의 수증기의 투과 특성등은 제18도에서와 같다.
본 실시예의 냉장고는 상기와 같이 형상기억 특성을 갖는 투습막(85)을 덮개(84) 본체와 별도이 부품으로 한 것이고 만일 투습막(85)이 파손한 경우 등의 교환이 간단하여 작은 비용으로 부품을 교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습막(85)은 일체 성형되지 않고 두 개의 격자상 성형품으로 끼워져도 좋다.
[실시예 12]
다음으로 제12의 실시예에 대하여 제20도 및 제21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가 제10실시예 및 제11실시예와 다른 점은 투습막의 구성만이며, 야채실의 구조는 동일하므로 구조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투습막의 구성만을 설명한다.
제20도는 실시예 12에 있어서 투습막(88)을 나타내는 것으로 나일론과 폴리에스테르 등의 직물(89)의 표면에 소정면적만 점상으로 형상 기억수지(90)를 수미크론부터 수십미크론 코팅한 것이다. 따라서 제21도에 도시하듯이 형상 기억 수지(90)를 코팅한 부분만이 상기한 바와같은 유리전이 온도 Tg를 경계로 수증기 투과기능이 크게 변화한다. 또 형상 기억 수지(90)를 코팅하지 않은 부분은 상기 유리전이 온도 Tg 와 무관하게 직물(89) 자신이 갖고 있는 큰 투습도를 갖는다. 상기와 같이 상기 실시예와 달리 직물(89)의 표면에 소정 면적만 정상으로 기억형상수지(90)을 수미크론 내지 수십미크론 코팅한 것이므로 코팅하는 면적을 변화시키는 것 만으로 유리전이 온도 Tg를 경계로 수증기 투과기능이 크게 변화하는 특성을 유지한채 자유로이 투습막(88) 전체의 투습도를 변화시킬 수 있고 여러 가지 용기의 냉장고에 대응하여 적용할 수 있다.
또한 형상 기억 수지(90)의 코팅 패턴은 제20도에 도시한 원형 점상이 아닌 사각이나 삼각 점으로도 좋다. 또 점상의 코팅이 아닌 투습막(88)의 소정부분만을 베타 도장하여도 좋다. 가령 야채실의 구조상 냉기가 잘 닿아 특히 노결하기 쉬운 장소를 빼고 형상 기억 수지(90)를 코팅하여도 좋다. 그렇게 함으로써 보다 적절한 노결방지가 가능하다.
[실시예 13]
다음으로 제13실시예에 대하여 제22도 및 제23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가 제10, 11 및 제12실시예와 다른 점은 투습막의 구성만이며 야채실의 구조는 동일하므로 구조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투습막의 구성만을 설명한다.
제22도는 본 실시예에 있어 야채실의 덮개(91)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덮개(91)의 개구부(91a)에 투습막(92)을 가지고 있다. 이 투습막(92)은 제10 및 제11의 실시예와 같이 나일론이나 폴리에스테르 등의 직물(93)의 한쪽면에 폴리우레탄 수지등의 형상 기억 수지(94)를 코팅한 것이나 복수의 세공(92a)을 구비한 점이 다르다. 또한 세공(92a)을 뚫는 방법은 형상 기억 수지(94)를 코팅하고 나서 구멍을 뚫어도 좋고, 먼저 직물(93)에 구멍을 뚫은 후, 형상 기억 수지(94)를 코팅하여도 좋다.
상기와 같이 투습막(92)에 세공(92a)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제23도에 나타내듯이 가스와 수증기가 자유로이 투과하는 부분과 형상 기억 수지(94)의 유리전이 온도 Tg를 경계로 투습도가 변화하는 부분이 섞여 있다. 그 때문에 본 실시예의 냉장고는 노결 방지 효과가 크고 또 밀폐성의 야채실에 가득찬 야채, 과일에 으로 해를 끼칠 염려가 있는 탄산개스와 에틸렌 가스의 제거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실시예 14]
다음으로 제14의 실시예에 대하여 제24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의 실시예와 동일부품은 동일부호를 사용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4도는 실시예 14에 있어 냉장고의 야채실(14)의 종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제1실시예(제19도)를 개량한 것이다.
실시예 11의 실시예와 다른 점은 덮개(24)만이 아니라 야채저장용기(18)의 배면이 노결되기 쉬운 장소에도 상기 형상기억 특성을 갖는 투습막(95)을 설치한 것이다.
당해 투습막(95)은 덮개(24)에 설치된 투습막(25)과 같은 격자상의 개구부(38)를 갖는 별개의 부품(39)에 일체 성형되고 있다.
이상과 같이 덮개(24)만이 아니고 야채 저장 용기(36)의 배면의 노결하기 쉬운 장소에도 투습막(95)를 적용하는 것에 의해 야채실(35)을 야채에 적당한 고습도로 유지하면서 노결방지 효과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예 14]
다음으로 제15의 실시예에 대하여 다시 제17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투습막(80)에 항균 효과를 준다는 점이 다르다. 투습막(80)의 형상 기억 수지 필름(22)에 은계열 항균제(도시 안됨)를 분산하는 것에 의해 투습막(80)에 항균 작용을 갖게한 것이다. 은계열 항균제는 티로슬루파트 은착염을 실리카겔에 섞은 것(후지 데이손 화학자 제 「 아메니돗프 」)이다.
상기와 같이 투습막(80)에 은계열 항균제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식품 위생적으로 안전하게 고습도로 되는 야채실(14)의 내측 표면에 위치하는 형상 기억 수지 필름(22)에 점액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 1 내지 9에서 채용한 형상 기억 수지 필름(24)과 기포에 방균제를 넣어 방균 효과를 갖게할 수 있다.
[실시예 16]
다음으로 제16의 실시예에 대하여 제25도 및 제26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실시예와 동일 구성 부품은 동일 번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실시예와 다른점은 야채 저장 용기(18)의 배면 상부에 홈 부분을 구비하고 그 부분에 과일 용기(29)를 배치한 점이다. 야채 저장 용기(18)의 배면에는 격자상의 개구(130)를 갖으며, 이 과일 용기(29)의 배면에 형성한 격자상의 개구부(13)에 투습막(101)이 일체성형되어 있다. 투습막의 층구성은 상기한 실시예(15)의 것과 동일하다.
또 과일 용기(29)의 밑면(45)에 작은 청과물이 떨어지지 않을 정도의 크기의 다수의 개공(45a)을 설치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냉장고에 대하여 제25도 및 제26도를 사용하여 그 동작을 제1의 실시예와 다른 부분에 대하여만 설명한다.
제25도와 같이 야채 저장 용기(48)의 배면 상부의 홈부분에 과일 용기(29)를 배치하고, 과일 용기(29)의 배면이 야채 저장 용기(18)의 배면의 일부를 형성하는 구조를 갖는 냉장고에 있어서는 청과물을 과일 용기(29)에 수납할 때에 구조상 저온으로 되기 쉬운 과일 용기(29)의 배면이 특히 노결되기 쉽고 과일 용기(29)내의 노결수가 다량 고이면 청과물에 물의 부패가 생길 수 있다.
그러나 과일 용기(29)의 배면에 투습막(101)을 일체 성형하고 있으므로 실시예 1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원리로 투습도가 적당하게 조정된다.
또 야채 저장 용기(48)의 밑면에 수납된 청과물로부터 증산해 나오는 수증기가 과일 용기(29)의 밑면(45)의 개구공(45a)을 통과하여 상부의 덮개(19) 또는 과일 용기(29)배면의 투습막(20, 101)으로부터 수증기 분압차에 의하여 저온도의 용기 밖으로 방출된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의 의하면 야채 저장 용기(18)의 배면 상부의 홈 부분에 과일 용기(29)를 배치하고 이 과일 용기(29)의 배면에 형성한 격자상의 개구부(130)에 형상 기억 수지 제품의 투습막(101)을 일체 성형하는 것에 의해 특히 노결이 발생하기 쉬운 과일 용기(29)의 배면의 노결을 억제하면서 적당하게 고습도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과일 용기(29)내에 수납한 청과물을 건조시키지 않고 물의 부패를 방지한다.
또 종래의 야채 저장 용기(18)의 밑부분에 수납된 청과물로부터 증산해 나오는 수증기가 상기 과일 용기(29)의 밑면(45) 외측에 다량으로 노결하고 노결수가 낙하하여 밑의 청과물에 물의 부패를 발생시킬 수 있으나 과일 용기(29)의 밑면(45)에 다수의 개구공(45a)을 설치함으로써 상부의 덮개(19) 또는 과일 용기(29) 밑면의 투습막(20, 101)의 효과를 충분히 발휘시키는 구성으로 하는 것으로써 상기 과일 용기(29)의 밑면(45)의 외벽에서의 노결수 발생을 억제하고 노결수가 낙하하여 밑의 청과물에 물의 부패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때문에 종래보다 더욱 청과물의 선도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2 개소의 투습막(20, 101)은 동시에 사용하는 것이 최적이나 코스트를 고려하여 어느 하나만 사용하여도 좋다.
[산업상의 이용가능성]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냉장고는 친수성의 폴리우레탄계 수지등의 형상 기억 수지와 나일론이나 폴리에스테르 등의 직포 또는 부직표로부터 이루어지는 기포 또는 직물로 구성되는 수증기 투과성의 투습막을 갖으며 야채 실내의 온도 변화 및 야채의 수납량에 대응하여 수증기 투과 능력이 적절하게 변화하여 야채실내의 노결을 방지하면서 야채에 적당한 고습도를 유지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본 발명의 냉장고는 야채를 장기간 신선하게 보존할 수 있다. 또 투습막이 기계적으로 변형하는 것이 아니므로 수증기 투과 능력의 가변성을 장기간에 걸쳐 유지할 수 있으므로 내구성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냉장고는 일반 가정용과 업무용 냉장고로서 이용될 가능성이 농후하다.

Claims (33)

  1. 냉장실과, 냉장실의 냉기에 의해 냉각되는 야채 저장 용기를 구비하고, 야채 저장 용기 또는 그 덮개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는 형상 기억 수지층을 갖는 투습막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냉장 장치와, 윗면이 개방된 야채 저장 용기와 상기 윗면을 덮도록 밀착되게 설치된 덮개를 가지며, 상기 덮개에는 형상 기억 수지층을 갖는 투습막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냉장실과, 냉장실의 냉기에 의해 냉각되는 야채 저장 용기를 구비하고, 상기 야채 저장 용기의 배면에 형상 기억 수지층을 갖는 투습막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냉장 장치와, 야채 저장 용기를 갖고, 상기 야채 저장 용기의 배면 상부에 홈 부분이 형성되고 상기 홈 부분에 과일 용기가 장착되며, 상기 과일 용기의 배면에 형상 기억 수지층을 갖는 투습막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4항에 있어서, 과일 용기의 밑면에 임의의 크기로 복수개의 개구공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냉장장치와 윗면이 개방된 야채 저장 용기와 상기 윗면을 덮도록 밀착되어 설치된 덮개를 가지며, 상기 덮개의 일부에는 형상 기억 수지층을 갖는 투습막이 일체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냉장 장치와, 윗면이 개방된 야채 저장 용기와 상기 윗면을 덮도록 밀착되어 설치된 개구부를 갖는 덮개를 가지며, 형상 기억 수지층을 갖는 투습막이 일체적으로 끼워 넣어진 격자상의 개별 부품이, 상기 덮개의 개구부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습막은 수증기 투과성의 기포와 친수성의 형상 기억 수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 제1항에 있어서, 투습막은 친수성의 형상 기억 수지와 소수성의 형상 기억 수지를 소정의 비율로 혼합한 형상 기억 수지 필름과 수증기 투과성의 기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 제1항에 있어서, 투습막은 수증기 투과성이 단열층을 갖는 기포와 친수성의 형상 기억 수지 필름을 구비하고, 상기 투습막의 기포는 덮개의 외면측에 있으며, 상기 투습막의 형상 기억 수지 필름은 덮개의 내면측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1. 제10항에 있어서, 직포 또는 부직포를 2 겹 이상 중첩해 쌓은 기포를 구성하고, 기포에 단열성을 부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2. 제10항에 있어서, 2 이상의 직물재를 가지고 기포를 구성하고, 상기 직물재 사이에 스페이서를 끼워 공기층을 형성하는 단열층을 갖는 기포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3. 제10항에 있어서, 단열층의 전연 계수를 야채 저장 용기측 벽면과 동등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4. 제10항에 있어서, 형상 기억 수지 필름의 실내 측면에 보호 기포를 사용하고 보호 기포의 단열 계수 보다도 단열층을 갖는 실외면의 기포의 단열 계수쪽이 크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5. 제8항에 있어서, 형상 기억 수지가 폴리우레탄계 수지로 기포가 나일론 또는 폴리에스테르 등의 직포 또는 부직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6. 제8항에 있어서, 투습막은 기포에 형상 기억 수지가 접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7. 제8항에 있어서, 투습막은 기포와 형상 기억 수지가 적당한 간격으로 분포하는 저박층을 매개하여 접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8. 제8항에 있어서, 투습막의 형상 기억 수지면이 야채 저장 용기의 내측으로 되도록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9. 제8항에 있어서, 형상 기억 수지의 양면이 수증기 투과성의 기포로 끼워진 구성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0. 제8항에 있어서, 기포에 발수 처리를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1. 제1항에 있어서, 투습막은 수증기 투과성이 직물과 형상 기억 수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2. 제21항에 있어서, 형상 기억 수지는 폴리우레탄계수지이며, 직물은 나일론 또는 폴리에스테르를 소재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3. 제21항에 있어서, 형상 기억 수지는, 직물의 적어도 한쪽측에 코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4. 제21항에 있어서, 형상 기억 수지는, 직물의 소정 장소만 코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5. 제1항에 있어서,투습막에 복수개의 세공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6. 제1항에 있어서, 투습막이 은계열 항균제로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7. 제1항에 있어서, 투습막을 덮도록 덮개의 외표면에 커버 시트를 맞추어 붙여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8. 제9항에 있어서, 형상 기억 수지가 폴리우레탄계 수지로 기포가 나일론 또는 폴리에스테르 등의 직포 또는 부직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9. 제9항에 있어서, 투습막은 기포에 형상 기억 수지가 접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0. 제9항에 있어서, 투습막은 기포와 형상 기억 수지가 적당한 간격으로 분포하는 저박층을 매개하여 접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1. 제9항에 있어서, 투습막의 형상 기억 수지면이 야채 저장 용기의 내측으로 되도록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2. 제9항에 있어서, 형상 기억 수지의 양면이 수증기 투과성의 기포로 끼워진 구성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3. 제9항에 있어서, 기포에 발수 처리를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19960701826A 1994-08-03 1995-08-03 냉장고 KR1002019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8227294A JP3366120B2 (ja) 1994-08-03 1994-08-03 冷蔵庫
JP94-182272 1994-08-03
JP6289619A JPH08145543A (ja) 1994-11-24 1994-11-24 冷蔵庫
JP94-289619 1994-11-24
JP28962094A JP3366140B2 (ja) 1994-11-24 1994-11-24 冷蔵庫
JP94-289620 1994-11-24
PCT/JP1995/001542 WO1996004514A1 (fr) 1994-08-03 1995-08-03 Refrigerateu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705185A KR960705185A (ko) 1996-10-09
KR100201969B1 true KR100201969B1 (ko) 1999-06-15

Family

ID=27325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701826A KR100201969B1 (ko) 1994-08-03 1995-08-03 냉장고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918480A (ko)
EP (1) EP0719994B1 (ko)
KR (1) KR100201969B1 (ko)
CN (1) CN1112559C (ko)
DE (1) DE69524370T2 (ko)
WO (1) WO199600451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12644B (en) * 1996-05-02 2000-07-26 Secr Defence Brit Thermally insulating textile
JPH11105128A (ja) 1997-09-30 1999-04-20 Asahi Optical Co Ltd 多孔質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3426482B2 (ja) 1997-10-09 2003-07-14 ペンタックス株式会社 インク転写プリンタ
JP3411801B2 (ja) * 1997-10-09 2003-06-03 ペンタックス株式会社 インク転写プリンタ
CA2249504A1 (en) 1997-10-09 1999-04-09 Asahi Kogaku Kogyo Kabushiki Kaisha Producing apparatus of film with through-holes
US6463752B2 (en) 1999-02-26 2002-10-15 Maytag Corporation Refrigerator food storage compartment with quick chill feature
US6223553B1 (en) 1999-02-26 2001-05-01 Maytag Corporation Air flow for refrigerator food storage system
US6343477B1 (en) 1999-02-26 2002-02-05 Maytag Corporation Refrigerator food storage temperature control system
US6612116B2 (en) 1999-02-26 2003-09-02 Maytag Corporation Thermoelectric temperature controlled refrigerator food storage compartment
US6170276B1 (en) * 1999-02-26 2001-01-09 Maytag Corporation High performance food storage system for a refrigerator
EP1124439B1 (en) * 1999-09-03 2005-07-27 Lg Electronics Inc. Vegetable compartment in refrigerator
KR100524785B1 (ko) * 2002-10-23 2005-10-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야채실 최적상태 보존 장치
KR100469468B1 (ko) * 2002-10-23 2005-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야채실 최적상태 보존 장치
US7296422B2 (en) * 2004-03-30 2007-11-20 Whirlpool Corporation Produce preservation system
DE102005021560A1 (de) * 2005-05-10 2006-11-16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Kältegerät mit Umluftkühlung
US7845181B2 (en) * 2005-11-23 2010-12-07 Whirlpool Corporation Active moisture control barrier and active humidity controlled space
US7665327B2 (en) * 2007-01-17 2010-02-23 Sub-Zero, Inc. Chilled food storage area for refrigerated appliance
DE102007005953A1 (de) * 2007-02-06 2008-08-07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Kältegerät mit Umluftkühlung
DE102009029139A1 (de) * 2009-09-02 2011-03-03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Kältegerät mit Gemüsefach
DE102010055988A1 (de) * 2010-11-26 2012-05-31 Liebherr-Hausgeräte Ochsenhausen GmbH Kühl- und/oder Gefriergerät
WO2012077159A1 (en) * 2010-12-07 2012-06-14 Empire Technology Development Llc Ventilator units, methods for providing ventilation in response to humidity levels, and wall units
EP2783610A1 (en) 2011-02-15 2014-10-01 Duke Manufacturing Co. Holding oven
DE102011004779A1 (de) * 2011-02-25 2012-08-30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Kältegerät mit einer Aufnahmemulde und einer Kühlgutschale mit Deckel
CN103453723B (zh) * 2012-05-31 2017-10-13 松下电器研究开发(苏州)有限公司 冰箱
CN103512306B (zh) * 2012-06-19 2017-04-26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冰箱
US10030907B2 (en) 2013-05-09 2018-07-24 Arcelik Anonim Sirketi Refrigerator comprising a humidity-controlled crisper
KR102073002B1 (ko) * 2013-08-22 2020-02-04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AU2014330098B2 (en) 2013-10-03 2017-02-23 Arcelik Anonim Sirketi A refrigerator comprising a drawer with humidity control
AU2014330096B2 (en) * 2013-10-03 2017-02-23 Arcelik Anonim Sirketi A refrigerator comprising a drawer
DE102013226926A1 (de) * 2013-12-20 2015-06-25 BSH Hausgeräte GmbH Kältegerät mit einem Lagerbereich
CN105466103A (zh) * 2014-08-29 2016-04-06 青岛海尔智能技术研发有限公司 冰箱
CN104567191B (zh) * 2014-11-28 2017-06-06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多功能间室及冰箱
EP3227616B1 (en) * 2014-12-03 2019-07-03 Koninklijke Philips Nv MOISTURE ADJUSTMENT
CN104553167A (zh) * 2014-12-26 2015-04-29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透湿装置、冰箱及其制备方法
WO2016177821A1 (en) * 2015-05-07 2016-11-10 Arcelik Anonim Sirketi A refrigerator comprising a crisper
CN105042988B (zh) * 2015-08-19 2018-11-13 合肥美的电冰箱有限公司 冰箱
DE102015222229A1 (de) * 2015-11-11 2017-05-11 BSH Hausgeräte GmbH Haushaltskältegerät mit einem Frischhaltebehälter, dessen Frontwand eine Außenwand des Geräts ist
SG11201810498TA (en) * 2016-08-17 2019-03-28 Mitsubishi Electric Corp Refrigerator
CN110023699A (zh) * 2016-12-19 2019-07-16 伊莱克斯公司 保鲜储藏格
JP2018136039A (ja) * 2017-02-20 2018-08-30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冷蔵庫
EP3759404A4 (en) 2018-03-02 2022-06-08 Electrolux Do Brasil S.A. STORAGE STRUCTURE FOR REFRIGERATOR APPLICATION
US10602751B2 (en) * 2018-03-30 2020-03-31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Countertop produce-preservation device having selectively-removable shelves
CN110513956B (zh) * 2018-05-22 2021-11-26 海尔智家股份有限公司 冰箱及其控制方法
CN110686448A (zh) * 2019-09-27 2020-01-14 长虹美菱股份有限公司 一种保湿控制方法及其装置
CN112964015A (zh) * 2019-12-12 2021-06-15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一种储物容器及冰箱
US11674734B2 (en) 2020-04-20 2023-06-13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Thermal mass for preserving food in functional compartments
CN111692817A (zh) * 2020-05-18 2020-09-22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保鲜盒及其选用方法、冰箱
US20220316793A1 (en) * 2021-04-06 2022-10-06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Crisper assembly with slide out shelf
DE102022104366A1 (de) * 2022-02-24 2023-08-24 Liebherr-Hausgeräte Ochsenhausen GmbH Kühl- und/oder Gefriergerät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36142A (ja) * 1985-08-09 1987-02-17 Matsushita Refrig Co 冷蔵庫の野菜貯蔵容器
DE3769688D1 (de) * 1986-04-07 1991-06-06 Matsushita Refrigeration Lagerungsbehaelter.
JPH063341B2 (ja) * 1986-06-02 1994-01-12 松下冷機株式会社 冷蔵庫
EP0358406A3 (en) * 1988-09-05 1991-01-30 Sanyo Chemical Industries, Ltd. Use of a polyol as a structural component of a polyurethane resin and method of forming an article
DE3907475A1 (de) * 1989-03-08 1990-09-13 Schaefer Gmbh Fritz Durchlueftungssystem fuer muellbehaelter
AU636497B2 (en) * 1990-09-27 1993-04-29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Refrigerator with a frozen food compartment
JP2582742B2 (ja) * 1992-03-17 1997-02-19 鐘紡株式会社 温度により透湿度をコントロールする布帛
IT229046Y1 (it) * 1992-07-21 1998-06-24 Zanussi Elettrodomestici Apparecchio refrigerante con ripiano perfezionato
JPH0614884U (ja) * 1992-07-21 1994-02-25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冷蔵庫
US5395006A (en) * 1993-04-29 1995-03-07 Verma; Kuldeep Fermentation vessels and closures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719994A4 (en) 1997-11-05
CN1138373A (zh) 1996-12-18
EP0719994B1 (en) 2001-12-05
KR960705185A (ko) 1996-10-09
DE69524370D1 (de) 2002-01-17
US5918480A (en) 1999-07-06
WO1996004514A1 (fr) 1996-02-15
DE69524370T2 (de) 2002-08-22
EP0719994A1 (en) 1996-07-03
CN1112559C (zh) 2003-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01969B1 (ko) 냉장고
JP2014000800A (ja) 感湿透湿膜、感湿透湿装置、野菜ケース、および冷蔵庫
JPH09113124A (ja) 冷蔵庫の野菜貯蔵容器
JP2732447B2 (ja) 冷蔵庫
JP3366120B2 (ja) 冷蔵庫
CN105917181A (zh) 具有存放区域的制冷器具
JP3366140B2 (ja) 冷蔵庫
JPH09324979A (ja) 保存庫
JPH06185851A (ja) 食品保存庫
JP2538413B2 (ja) 低温庫
JPH09126631A (ja) 冷凍冷蔵庫
JPH06185850A (ja) 冷蔵庫
KR100229517B1 (ko) 냉장고
JPH11294935A (ja) 冷蔵庫
JPH04353380A (ja) 冷蔵庫
CN220624498U (zh) 冰箱
JPH08145543A (ja) 冷蔵庫
CN216409433U (zh) 冷藏冷冻装置
CN214665493U (zh) 一种保湿盒及安装有保湿盒的家用电器
JPS616579A (ja) 冷蔵庫の野菜貯蔵容器
JPH06294575A (ja) 冷蔵庫
JPH08210762A (ja) 冷蔵庫
JP3743349B2 (ja) 揮散性薬剤徐放部材とそれを用いた空気調和機
JPS62297683A (ja) 冷蔵庫
JPH02195182A (ja) 食品貯蔵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10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