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7920B1 - 2중 선회식 도어 개폐 기구 - Google Patents

2중 선회식 도어 개폐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7920B1
KR100197920B1 KR1019970018488A KR19970018488A KR100197920B1 KR 100197920 B1 KR100197920 B1 KR 100197920B1 KR 1019970018488 A KR1019970018488 A KR 1019970018488A KR 19970018488 A KR19970018488 A KR 19970018488A KR 100197920 B1 KR100197920 B1 KR 1001979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door
slide
engagement position
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84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75194A (ko
Inventor
다까시 요시까와
Original Assignee
쓰지 하루오
샤프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쓰지 하루오, 샤프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쓰지 하루오
Publication of KR9700751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751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79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79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48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allowing alternative movements
    • E05D15/52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allowing alternative movements for opening about a vertical as well as a horizontal axis
    • E05D15/522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allowing alternative movements for opening about a vertical as well as a horizontal axis with disconnecting means for the appropriate pivoting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48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allowing alternative movements
    • E05D15/5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allowing alternative movements for opening at either of two opposite e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1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 E05F15/6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operated by swinging ar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18Hol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38Cams; Ram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30Electronic control of motors
    • E05Y2400/3013Electronic control of motors during manual wing operation
    • E05Y2400/3015Power assistanc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1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2Doors that can be pivoted either left-handed or right-hand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4Door hi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 Hinges (AREA)

Abstract

도어의 우측 단부 및 좌측 단부에서 도의 중심선에 대해 대칭으로 제공된 한 쌍의 슬라이드캠과, 슬라이드 캠의 부분에 대응하는 부분에서 대칭으로 본체 상에 제공된 한 쌍의 로크 캠과, 로크 캠에 제공된 축방향 구멍을 관통하는 상태로 장착된 힌지핀이 제공된다. 각각의 슬라이드 캠은 수평 방향으로 힌지핀과 결합되고 힌지핀으로부터 해제될 수 있는 제1 홈형성 캠과, 제1 홈형성 캠으로부터 연속하며 도어가 폐쇄될 때 제1 홈형성 캠에 의해 안내된 힌지핀과 결합되는 제1 결합위치로부터 도어가 개방될 때 슬라이드 캠의 피벗축으로서 작용으로 제2 결합위치까지 이동될 수 있는 제2 홈형성 캠을 가진다. 각각의 슬라이드 캠에는 제2 홈형성 캠의 주위에 제공된 제1 캠 돌기가 마련된다. 각각의 로크 캠에는 제1 캠 돌기를 제1 결합위치에서 로크하는 제2 캠 돌기가 마련된다.

Description

2중 선회식 도어 개폐 기구
본 발명은 냉장고 등의 도어 개폐 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우측 및 좌측으로부터 도어를 개폐할 수 있는 도어 개폐 기구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일본 실용신안공보(평)5-5431호에 기재된 바와 같은 종래의 도어 개폐 장치에 따르면, 도어에는, 도어의 개방측으로부터 본체 상에서 힌지핀과 해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결합 홈을 가지는 고정판, 고정판의 우측 및 좌측 부분에서 래치 홈에 의해 힌지핀과 피벗 방식으로 해제 가능하게 결합되며 홈 내에서 힌지핀을 구속하는 래치판, 및 래치판의 구속이 해제되어 다른 래치판의 피벗을 방지하는 방향으로 래치판의 피벗 작용과 연동되는 도어 상의 연결 부재가 제공된다.
다른 공지 기술로서, 일본 특허 공개 특보 (평)6-129759호는 출력축이 도어의 힌지핀과 동축으로 배치되도록 장착된 브레이크를 갖는 모터, 출력축의 하단에 장착된 도어 개폐 아암,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 및 저항검출기로 이루어진 브레이크를 갖는 자동 도어 개폐 장치를 기술하고 있다.
전자의 도어 개폐 장치는 래치판의 피벗 작용을 억제하기 위한 스프링을 구비한다. 그러므로, 스프링력에 대한 저항력이 도어의 개폐시에 요구되며, 이것은 도어의 개폐가 더욱 큰 힘을 요구한다는 단점을 가진다. 기구가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작동되기 때문에 작동 소음(기계적인 소음)이 발생된다는 또 다른 문제가 있었다. 게다가, 개방측 상의 래치판이 도어가 개방될 때 로크된 상태로 놓여지도록 작동된다면, 도어는 피벗측 상에 힘이 인가될 때 해제되어 떨어질 것이다. 부가적으로, 부품수의 증대, 복잡한 조립작업, 높은 부품 및 조립비용, 및 처음부터 도어를 따라 배열된 부품들로 인하여, 장치는 전체 기구가 큰 공간을 차지한다는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한편, 피벗 동작이 후자의 도어 개폐 장치에서는 피벗축 쪽에서 수행되므로, 구동력 공급원으로서 작용하는 모터의 부하 토크로서 상당히 큰 동력이 요구된다. 게다가, 장치가 단일의 선회식 도어 시스템이기 때문에, 두 개의 구동력 공급원이 2중 선회식 도어 시스템에 잘 대처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2중 선회식 도어 시스템의 경우에, 구동 유니트와 도어와의 사이의 결합을 자발적으로 절환하는 것이 요구되며, 여기에는 도어가 전원 공급 없이 개방될 수 없고, 냉장고의 내측으로부터 개방될 수 없다고 하는 또 다른 단점이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는 신규의 유용한 2중 선회식 도어 개폐 기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제1a도 내지 제1e도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슬라이드 캠을 도시하는 도면.
제2a도 내지 제2e도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로크 캠을 도시하는 도면.
제3a도 내지 제3d도는 슬라이드 캠과 로크 캠이 서로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제4a도 내지 제4d도는 우측에서 도어를 개방할 때 슬라이드 캠과 로크 캠의 이동을 도시하는 도면.
제5a도 내지 제5d도는 좌측에서 도어를 개방할 때 슬라이드 캠과 로크 캠의 이동을 도시하는 도면
제6a도 내지 제6e도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슬라이드 캠을 도시하는 도면.
제7a도 내지 제7e도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로크 캠을 도시하는 도면.
제8a도 내지 제8d도는 슬라이드 캠과 로크 캠이 서로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제9a도 내지 제9d도는 우측에서 도어를 개방할 때 슬라이드 캠과 로크 캠의 이동을 도시하는 도면.
제10a도 내지 제10d도는 좌측에서 도어를 개방할 때 슬라이드 캠과 로크 캠의 이동을 도시하는 도면.
제11a도 및 제11b도는 슬라이드 캠과 로크 캠이 장착되는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제12a도 내지 제12c도 슬라이드 캠과 로크 캠이 도어와 본체에 각각 장착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제13a도 내지 제13e도는 로크 캠의 다른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
제14a도 및 제14b도는 로크 캠과 슬라이드 캠을 도시하는 도면.
제15a도 내지 제15c도는 로크 캠과 슬라이드 캠이 본체와 도어에 장착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제16a도 및 제16b도는 도어와 본처에 자석이 각각 제공되어 있는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제17도는 도어 수동 개폐 장치의 평면도.
제18도는 도어 수동 개폐 장치의 정면도.
제19도는 도어 수동 개폐 장치의 측면도.
제20도는 제19도의 선 XX-XX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21도는 도어 자동 개방 장치의 평면도.
제22도는 도어 자동 개방 장치의 정면도.
제23도는 도어 자동 개방 장치의 측면도.
제24a도 내지 제24c도는 도어 자동 개방 장치의 작동을 도시하는 도면.
제25a도 내지 제25f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슬라이드 캠을 도시하는 도면.
제26a도 내지 제26f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로크 캠을 도시하는 도면.
제27a도 내지 제27f도는 슬라이드 캠과 로크 캠이 서로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제28a도 내지 제28d도는 슬라이드 캠과 로크 캠이 장착 부재에 장착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제29a도 내지 제29g도는 우측에서 도어를 개방할 때 슬라이드 캠과 로크 캠의 이동을 도시하는 도면.
제30a도 내지 제30h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슬라이드 캠을 도시하는 도면.
제31a도 내지 제31j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로크 캠을 도시하는 도면.
제32a도 내지 제32g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스토퍼를 도시하는 도면.
제33a도 내지 제33c도는 슬라이드 캠, 로크 캠 및 스토퍼가 서로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제34a도 내지 제34c도는 다른 도어 자동 개방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
제35도는 도어 자동 개방 장치의 작동을 도시하는 도면.
제36도는 도어 자동 개방 장치의 작동을 도시하는 도면.
제37도는 전동 기구의 전기 회로의 구조를 도시하는 회로도.
제38도는 전동 기구의 제어 동작을 플로우챠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슬라이드 캠 2 : 로크 캠
3, 4 : 홈형성 캠 8 : 피벗축
9, 10, 11, 12 : 외측 캠 14 : 힌지핀
16 : 로크 캠 17 : 핀 힌지
19 : 본체 20 : 도어
21 : 영구 자석 22 : 안내 롤러
25 : 고정핀 26 : 롤러
27 : 래크 28 : 슬라이드 판
30 : 안내축 32, 33, 34 : 스위치
35 : 피니언 기어 36 : 구동 모터
37 : 모터 앵글
상기 목적을 성취하기 위해, 도어의 우측 및 좌측에 각각 제공되어 도어를 본체와 결합시키고 본체로부터 해제시키는 캠 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캠 기구는 도어의 우측 및 좌측에 대칭으로 배열되는 제1 결합위치와, 도어의 우측 및 좌측에 대칭으로 배열되는 제2 결합위치를 취할 수 있고, 우측 및 좌측 캠 기구는 도어가 폐쇄된 상태에서 제1 결합위치를 취하며, 도어는 도어가 도어의 우측 및 좌측 중 일측에서 개방될 때 활주하고, 타측의 캠 기구는 제2 결합위치를 취하여 제2 결합위치에서 피벗 로크되는 2중 선회식 도어 개폐 시구가 제공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도어 폐쇄 상태에서 우측 및 좌측 캠 기구는 제1 결합위치에 있으므로, 도어 설치 상태는 결합력에 의해 유지된다. 다음에, 이 결합 상태는 우측 및 좌측 캠 기구에서 로크되지 않고 유지되므로, 이 결합은 이 상태에서 우측 또는 좌측에서 도어가 당겨질 때 쉽게 해재될 수 있다. 게다가, 결합이 이측에서 해제될 때, 타측은 피벗하면서 제2 결합위치에서 로크되므로, 도어는 마치 통상의 단일 선회식 도어인 것처럼 개방될 수 있다.
또한, 도어가 장착되는 본체 또는 도어의 우측 단부 및 좌측 단부에 배열되고, 도어의 중심선에 대해 각각 대칭으로 제공된 한 쌍의 슬라이드 캠 부재와, 도어 또는 본체 상의 슬라이드 캠 부재의 부분들에 대응하는 부분에서 대칭으로 제공된 한 쌍의 로크 캠 부재와, 로크 캠 부재들의 각각에 제공된 축방향 구멍을 관통하는 상태로 장착되는힌지핀을 포함하며; 각각의 슬라이드 캠 부재는 수평 방향으로 힌지핀과 결합되고 힌지핀으로부터 해제될 수 있는 제1 홈형성 캠과, 제1 홈형성 캠으로부터 연속하며 도어가 폐쇄될 때 제1 홈형성 캠에 의해 안내되는 힌지핀과 결합되는 제1 결합위치로부터 도어가 개방될 때 슬라이드 캠 부재의 피벗축으로서 작용하는 제2 결합위치까지 이동될 수 있는 제2 홈형성 캠과, 제2 홈형성 캠의 주위에 제공된 제1 캠 돌기를 구비하며; 각각의 로크 캠 부재는 제1 캠 돌기를 제1 결합위치에서 로크하는 제2 캠 돌기를 구비하는 2중 선회식 도어 개폐 게구가 제공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서, 힌지핀은 도어가 개폐될 때 피벗축으로서 작용한다.
또한, 도어의 우측 및 좌측에 각각 제공되어 도어를 본체와 결합시키고 본체로부터 해제시키며, 도어의 우측 및 좌측에 대칭으로 배열되는 제1결합위치 및 도어의 우측 및 좌측에 대칭으로 배열되는 제2 결합위치를 취할 수 있는 캠 기구와, 제2 결합위치에서의 로크 상태를 보조하도록 도어를 제2 결합위치를 향해 가압하는 보조 수단을 포함하며; 우측 및 좌측 캠 기구는 도어가 폐쇄된 상태에서 제1 결합위치를 취하며; 도어는 도어가 도어의 우측 및 좌측 중 일측에서 개방될 때 활주하고, 타측의 캠 기구는 제2 결합위치를 취하여 제2 결합위치에서 피벗 로크되는 2중 선회식 도어 개폐 기구가 제공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서, 보조 수단은 도어의 이동과, 제2 결합위치에서의 로크 상태를 보조하며, 따라서 도어 개폐 기구의 신뢰성이 개선된다.
또한, 캠 결합에 의해 성취된 도어의 폐쇄 상태로부터 전동에 의해 캠 결합을 해제함으로써 도어 개방 보조 작용을 수행하기 위한 전동 수단을 구비하는 2중 선회식 도어 개폐 기구가 제공된다. 이 구성에 따라서, 도어의 결합 상태는 스의치 등의 조작 부재를 조작함으로써 해제될 수 있다. 그러므로, 편리한 도어 개방 작동에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단지 예에 의한 것으로서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닌 이하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으로부터 보다 완전히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설명될 것이다. 제1a도~제1e도 내지 제5a도~제5d도는 제1 실시예를 도시하며, 도어 개폐 기구의 주요 부분들은 제1a도 내지 제1도 및 제2a도 내지 2e에 도시되어 있다. 제1a도 내지 1e는 도어측(도시되지 않음) 상에 장착될 슬라이드 캠(1)의 상세도이며, 제2a도 내지 2e는 본체측(도시되지 않음) 상에 장착될 로크 캠(2)의 상세도이다. 이들 도면에서, a는 배면도를 도시하고, b는 평면도를 도시하고, c는 정면도를 도시하고, d는 선 d-d의 단면도를 도시하며, e는 제1b도에서 선 e-e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슬라이드 캠(1)은 제1 홈형성 캠(3), 제1 홈형성 캠(3)으로부터 연속된 제2 홈형성 캠(4) 및 제2 홈형성 캠(4)의 주위에 제공된 제1 캠 돌기(5)를 가진다. 제1 홈형성 캠(3)은 일단부로부터 슬라이드 캠(1)의 부재(1a)의 중앙부까지 연장하여 부재(1a)의 중앙부 내에 형성된 제2 홈형성 캠(4)으로 이어진다. 상기 제1 홈형성 캠(3)은 제1e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재의 일단부에서 깊게 형성되고, 중앙부를 향하여 점차 얕게 형성된다. 제1 캠 돌기(5)의 외주면은 소용돌이 형상으로 변하며, 제1 캠돌기(5)의 단부(5a)는 도어가 후에 기술되는 바와 같이 폐쇄될 때 캠 결합 상태를 성취하기 위한 접촉부(계단부)로서 작용하기 위해 증대된 직경을 가진다.
제2a도 내지 제2e도는 제1a도 내지 제1e도에 대응하는 로크 캠(2)의 표면을 도시한다. 로크 캠(2)은 슬라이드 캠(1)의 제1 캠 돌기(5)에 결합될 제2 캠 돌기(6)를 가진다. 참조 부호 6a는 제2 캠 돌기(6)를 형성하는 홈을 표시하며, 관통 구멍(7)에 홈(6a)에 제공된다. 후에 기술되는 바와 같이 본체측에 제공된 힌지핀(14)은 상기 구멍(7)을 관통하며, 힌지핀의 중심축은 피벗축(8)과 일치한다.
슬라이드 캠(1)에 제공된 제1 홈형성 캠(3)은 피벗축(8)을 안내하며, 제2 홈형성 캐(4)은 슬라이드 캠(1)을 피버축(8)으로부터 해제되지 않는 위치로 안내하도록 작동한다. 유사하게, 슬라이드 캠(1)에 제공된 제1 캠 돌기(5)는 도어가 개방됨에 따라 로크 캠(2)에 제공된 제2 캠 돌기(6)에 의해 활주 가능하게 안내되며, 이것에 의해 슬라이드 캠(1)에 피벗축(8)으로부터 해제되지 않도록 작동된 결과, 도어가 본체에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작동한다.
제3a도 내지 제3d도는 슬라이드 캠(1)과 로크 캠(2)이 서로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제3a도 내지 3d에서, 부품들이 도어가 완전히 폐쇄된 경우에 위치적으로 상호 관련된다.
제4a도 내지 제4d도는 도어의 우측 및 좌측 상에 장착된 한 쌍의 슬라이드 캠(1)과 본체(예를 들면, 냉장고) 상에 그들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장착된 한 쌍의 로크 캠(2)의 양측의 결합 및 해제 작동을 도시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제4a도 내지 4d는 슬라이드 캠(1)(실선)과 로크 캠(2)(점선)의 상이한 측의 부품 결합이 측방향으로 대칭으로 배열되고, 이것에 의해 우측 및 좌측에서 개방될 수 있는 도어 힌지를 형성하는 상태의 평면도이며, 도어가 우측으로부터 개방되는 경우의 작동을 도시한다.
제4a도는 도어가 완전히 폐쇄되는 상태를 도시하며, 여기서 도어측 상에 장착된 슬라이드 캠(1)과 본체측 상에 장착된 로크 캠(2)은 각각의 제1 결합위치에서 측방향으로 대칭으로 서로 완전하게 결합된다. 이 단계에서, 우측 및 좌측 슬라이드 캠(1)에 제공된 제1 홈형성 캠(3)은 이들이 도어에 대해 내측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향하여지고 각각의 힌지핀(14)에 의해 제한되도록 형성된다. 그러므로, 도어는 사용자가 도어를 우측 및 좌측의 양측으로부터 전방으로 끌어당길 때에도 본체에서 떨어지지 않는다.
제4b도는 도어가 우측으로부터 개방되기 시작하는 상태를 도시하며, 여기서 우측 슬라이드 캠(1)에 제공된 제1 홈형성 캠(3)은 우측 로크 캠(2)에 제공된 구멍(7)을 관통하는 힌지핀(14)으로부터 해제된다. 이 단계에서, 힌지핀(14)에 의해 안내된 제1 홈형성 캠(3)은 도어를 약간 우측 방향으로 활주시킨다. 그 결과, 좌측 슬라이드 캠(1)에 제공된 제2 홈형성 캠(4)과 좌측 로크 캠 (2)에 제공된 구멍(7)을 관통하는 힌지핀(14)은 슬라이드 캠(1)이 좌측 피벗축(8)으로부터 해제되지 않도록 위치적으로 상호 관련된다.
더욱이, 제4c도 및 제4d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도어 피벗에 따라서, 좌측 슬라이드 캠(1)에 제공된 제1 캠 돌기(5)는 슬라이드 캠(1)이 좌측 피벗축(8)으로부터 해제되지 않도록 작동하기 위해 좌측 로크 캠(2)에 제공된 제2 캠 돌기(6)에 의해 활주가능하게 안내되며, 이것에 의해 도어를 본체에서 떨어지지 않게하여 도어의 개폐를 확실하게 수행되게 한다. 제4b도, 4c 및 4d에서, 좌측 캠 기구는 이것이 피벗식으로 로크되는 제2 결합위치에 배치된다.
제5a도 내지 제5d도는 도어가 좌측으로부터 개방될 때의 작동을 도시하는 도면이며, 이것은 제4a도 내지 제4d도의 경우와 측방향으로 대칭인 작동이다.
다음에, 제6a도~제6e도 내지 제10a도~제10d도에 도시된 제2 실시예에서, 슬라이드 캠 부재(1a)와 로크 캠 부재(2a)는 전술한 제1 실시예의 구조에 부가하여 측방향으로 긴 형태로 각각 형성되며, 제1 내지 제4 외측 캠(9, 10, 11, 12)에 제공된다. 다른 말로 하면, 제2 실시예는 외측 캠(9 내지 12)의 기능이 제1 실시예에 합체된다는 점에서 제1 실시예와 다르다.
제6a도 내지 제6e도 및 제7a도 내지 제7e도는 제2 실시예의 주요 부품들을 도시한다. 제6a도 내지 제6e도는 도어측(도시되지 않음) 상에 장착될 슬라이드 캠 부재(1a)의 상세도이며, 제7a도 내지 제7e도는 장치의 본체측(도시되지 않음)상에 장착될 로크 캠 부재(2a)의 상세도이다. 이들 도면에서, 후에 기술되는 바와 같은 본체측 상에 제공된 힌지핀(14)은 로크 캠(2)에 제공된 구멍(7)을 관통하며, 힌지핀의 중심축은 피벗축(8)과 일치한다.
슬라이드 캠(1)에 제공된 제1 홈형성 캠(3)은 피벗축(8)을 안내하며, 제2 홈형성 캠(4)은 슬라이드 캠(1)이 피벗축(8)으로부터 해제되지 않는 위치로 슬라이드 캠(1)을 안내하기 위해 작동한다. 유사하게, 슬라이드 캠(1)에 제공된 제1 캠 돌기(5)는 슬랑드 캠(1)이 피벗축(8)으로부터 해제되지 않고, 이것에 의해 도어가 본체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작동하게 위해 도어가 개방됨에 따라 로크 캠(2)에 제공된 제2 캠 돌기(6)에 의해 활주 가능하게 안내된다.
슬라이드 캠 부재(1a)에는 제1 외측 캠(슬라이드 캠)(9)과 제2 외측 캠(슬라이드 캠(10)이 제공되고, 그의 양측 면은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며, 로크 캠 부재(2a)에는 제3 외측 캠(11)과 제4 외측 캠(12)이 제공되고 그의 양측 면은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들은 도어가 개방될 때 서로 결합되는 것처럼 안내되고, 따라서, 슬라이드 캠(1)은 이것이 피벗축(8)으로부터 해제되지 않는 위치로 더욱 확실하게 안내된다. 이것은 후에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참조 부호 41 내지 44는 위치설정 핀을 가리키고, 참조 부호 45 내지 50은 장착용 나사가 관통하는 구멍이다.
제8a도 내지 제8d도는 슬라이드 캠(1)과 로크 캠(2)이 서로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제8a도 내지 제8d도에서, 부품들은 도어가 완전히 폐쇄되는 경우에 위치적으로 상호 관련된다.
제9a도 내지 제9d도는 슬라이드 캠 부재(1a)와 로크 캠 부재(2a)의 상이한 측의 부품 결합이 측방향으로 대칭인 위치에 배열되고, 이것에 의해 우측 및 좌측에서 개방될 수 있는 도어 힌지를 형성하는 상태의 평면도이며, 도어는 우측으로부터 개방되는 경우의 작동을 도시한다.
제9a도는 도어가 완전히 폐쇄되는 상태를 도시하며, 여기서 도어측 상에 장착된 슬라이드 캠(1)과 본체측 상에 장착된 로크 캠(2)의 측방향으로 대칭으로 서로 완전하게 결합된다. 이 단계에서, 우측 및 좌측 슬라이드 캠(1)에 제공된 제1 홈형성 캠(3)은 이들이 도어에 대해 내측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향하여 지고 각각의 힌지핀(14)에 의해 제한되도록 형성된다. 그러므로, 도어는 사용자가 우측 및 좌측의 양측으로부터 전방으로 도어를 끌어당길 때에도 본체에서 떨어지지 않는다.
제9b도는 도어가 우측으로부터 개방되기 시작하는 상태를 도시하며, 여기서 우측 슬라이드 캠(1)에 제공된 제1 홈형성 캠(3)은 우측 로크 캠(2)에 제공된 구멍(7)을 관통하는 힌지핀(14)으로부터 해제된다.
이 단계에서, 힌지핀(14)에 의해 안내된 제1 홈형성 캠(3)은 도어를 약간 우측 방향으로 활주시킨다. 그 결과, 우측 슬라이드 캠(1)에 제공된 제2 홈형성 캠(4)과 좌측 로크 캠(2)에 제공된 구멍(7)을 관통하는 힌지핀(14)은 슬라이드 캠(1)에 좌측 피벗축(8)으로부터 해제되지 않도록 정위치에서 상호 관련된다.
더욱이, 이 단계에서, 우측 슬라이드 캠 부재(1a)에 제공된 제1 및 제2 외측캠(9,10)과 우측 로크 캠 부재(2a)에 제공된 제3 및 제4 외측 캠(11. 12)은 서로 결합되는 것처럼 활주 가능하게 안내된다. 그러므로, 좌측 슬라이드 캠(1)은 이것이 피벗축(8)으로부터 해제되지 않는 위치로 확실하게 안내된다.
더욱이, 제9c도 및 제9d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도어 피벗에 따라서, 좌측 슬라이드 캠(1)에 제공된 제1 캠 돌기(5)는 슬라이드 캠(1)이 좌측 피벗축(8)으로부터 해제되지 않도록 작동하기 위해 좌측 로크 캠(2)에 제공된 제2 캠 돌기(6)에 의해 활주가능하게 안내되며, 이것에 의해 도어가 본체에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며 도어의 개폐가 확실하게 수행되게 한다.
제9c도에서, 우측 슬라이드 캠 부재(1a)에 제공된 제1 및 제2 외측 캠(9, 10)은 우측 로크 캠 부재(2a)에 제공된 제3 및 제4 외측 캠(11)에 각각 완전하게 결합되며, 좌측 슬라이드 캠 부재(1a)에 제공된 제2 외측 캠(10)은 좌측 로크 캠 부재(2a)에 제공된 제4 외측 캠(12)에 결합되기 시작한다.
또한, 제9d도에서, 우측 슬라이드 캠 부재(1a)에 제공된 제1 및 제2 외측 캠(9, 10)은 우측 로크 캠 부재(2a)에 제공된 제3 및 제4 외측 캠(11, 12)으로부터 해제되며, 좌측 슬라이드 캠 부재(1a)에 제공된 제2 외측 캠(10)은 좌측 로크 캠 부재(2a)에 제공된 제4 외측 캠(12)에 결합된다.
피벗 작업이 진행될 때, 좌측 슬라이드 캠 부재(1a)에 제공된 제2 외측 캠(10)은 좌측 로크 캠 부재(2a)에 제공된 제4 외측 캠(12)으로부터 해제되는 반면, 좌측 슬라이드 캠 부재(1a)에 제공된 제1 외측 캠(9)과 좌측 로크 캠 부재(2a)에 제공된 제3 외측 캠(11)은 서로 결합되기 시작한다(도시되지 않음).
전술한 바와 같은 작동에 의해, 활주하는 제1 및 제2 외측 캠(9, 10)은 도어 전체가 활주하는 방향으로 밀어붙여지도록 제3 및 제4 외측 캠(11, 12)과 활주 접촉하게 된다. 그 결과, 도어의 피벗축 상의 캠 기구의 피벗식으로 로크된 상태가 확실하게 유지된다. 이 배열은 도어가 본체에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며, 이것에 의해 도어의 개폐가 확실하게 수행되게 한다.
제10a도 내지 제10d도는 도어가 좌측으로부터 개방될 때의 작동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대칭을 이루는 이동 특성을 제외하고는 도9a 내지 도9d의 작동과 같은 작동이 수행되기 때문에, 이것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 실시에의 슬라이드 캠 부재(1a)는 제11a도 및 제11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앵글(13)에 장착된다. 로크 캠 부재(2a)는 힌지 앵글(15)에 장착된다. 이 경우에, 힌지 앵글(15)에 미리 장착된 힌지핀(14)은 구멍(7)을 통해 로크 캠 부재(2a)의 위로 돌출한다. 도어 앵글(13)은 도어(도시되지 않음)에 제공된다. 힌지 앵글(15)은 본체(예를 들면, 냉장고)에 제공된다. 제11a도 및 제11b도는 각각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슬라이드 캠(1)과 로크 캠(2)의 재료로서,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되는 수지 재료와 같은 그러한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아세탈 수지를 들 수 있다.
제12a도 내지 제12c도는 슬라이드 캠 부재(1a)와 로크 캠 부재(2a)가 서로 결합될 때 특정 위치에서 장착되는 상태를 보여주며, 여기서 제12a도는 정면도이고, 제12b도는 측면도이며, 제12c도는 평면도이다. 이들 도면들은 슬라이드 캠(1)과 로크 캠(2)의 상이한 측의 부품 결합이 측방향으로 대칭인 위치에 배열되는 상태를 도시하며, 이것에 의해 우측 및 좌측에서 개방될 수 있는 도어 힌지를 형성한다. 이 경우에, 도어의 하중은 힌지핀(14)의 상부 표면에 의해 수용된다.
제13a도 내지 제13e도는 로크 캠(2)의 힌지핀(14)에 일체화되고 힌지 앵글(15)이 로크 캠(16) 속에 형성되는 경우를 도시한다. 그러므로, 제11a도 및 제11b도에 도시된 구조와 비교하면, 하나의 부품이 제거된다. 이들 도면에서, 로크 캠(16)은 본체에 장착될 장착부(18)와 도어의 피벗 중심으로서 작용하는 핀 힌지(17)를 가진다. 로크 캠(16)의 재료로서, 다이 캐스트 재료와 같은 아연 합금 등을 들 수 있다.
제14a도 및 제14b도는 슬라이드 캠(1)과 로크 캠(16)이 장착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여기서 제14a도는 정면도이고 제14b도는 측면도이다. 이들 도면에서, 슬라이드 캠(1)은 도어(도시되지 않음)에 제공된 도어 앵글(13)에 장착되며, 로크 캠(16)은 본체(도시되지 않음)에 직업 장착된다.
제15a도 내지 제15c도는 슬라이드 캠(1)과 로크 캠(16)이 서로 결합될 때 특정 위치에 장착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여기서 제15a도는 정면도, 제15b도는 측면도, 및 제15c도는 평면도이다. 이들 도면들은 슬라이드 캠(1)과 로크 캠(16)이 측방향으로 대칭인 위치에 배열되며, 이것에 의해 우측 및 좌측으로 개방될 수 있는 도어 힌지를 형성하는 상태를 도시한다. 이 경우에, 도어의 하중은 핀 힌지(17)의 상부 표면에 의해 수용된다.
제16a도 및 제16b도는 N극과 S극으로 교대로 자화된 영구 자석(21)이 본체(19)와 도어(20)에 장착되어 이들이 서로 대향하도록 배열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제16a도는 도어가 폐쇄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며, 제16b도는 도어가 우측으로부터 약간 개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다. 제16a도에서, 본체(19) 상에 장착된 영구 자석(21)의 N극과 S극이 도어(20) 상에 장착된 영구 자석(21)의 S극과 N극을 각각 향하므로, 상호 끌어당기는 힘이 발생되고, 이것에 의해 본체(19)와 도어(20)를 서로 견고하게 접촉하게 한다.
제16b도에서, 도어(20)가 우측 방향으로 약간 변위도므로, 본체(19) 상에 장착된 영구 자석(21)의 N극과 S극이 도어(20) 상에 장착된 영구 자석(21)의 N극과 S극을 각각 향하며, 상호 반발하는 힘이 도어(20)를 개방하기 위한 힘으로서 작용하는데, 이것은 도어(20)를 개방할 때 사용자를 돕는다.
역으로, 도어(20)를 폐쇄할 때, 제16a도에 도시된 상태를 결국 회복하기 위한 힘이 인가되며, 그러므로 도어(20)는 확실하게 폐쇄할 수 있다.
제17도 내지 제20도는 도어(20)를 수평 방향으로 제한하기 위한 안내 롤러(22)가 제공되는 경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서, 슬라이드 캠(1)은 도어(20)에 제공된 도어 앵글(13)에 장착되며, 로크 캠(2)은 힌지 앵글(15)에 장착된 힌지핀(140의 관통을 허용한 후 본체(19)에 제공된 힌지 앵글(15)에 장착된다. 롤러 베이스(23)는 도어 앵글(13)에 장착되며, 안내 롤러(22)는 롤러 베이스(23)에 제공된 축방향핀(24)을 통해 배치된다.
상기 경우에, 도어(20)가 개방될 때, 도어(20)는 힌지핀(14)과 슬라이드 캠(1) 사이의 간극과, 도어(20) 자체의 중량과 도어(20)에 저장된 저장물의 중량에 기인하여 약간 경사진다. 도어(20)가 폐쇄될 때, 도어(20)의 경사는, 우측 및 좌측 피벗축의 축방향 중심이 원활한 개폐 동작을 성취하기 위해 각각 정렬될 수 있도록, 수평 상태로 배치될 본체(19)의 하부 부분에 제공된 힌지 앵글(15) 상에 장착된 안내 롤러(22)와 안내체에 의해 제한된다.
제21도 내지 제23도는 도어(20)를 자동으로 개방하기 위한 전동 기구(powered mechanism)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여기서 제21도는 평면도, 제22도는 정면도, 및 제23도는 측면도이다. 이들 도면에서, 축 지지체(31)는 본체(19)에 제공된 힌지 앵글(15)에 장착되며, 안내축(30)은 축 지지체(31)에 고정된다. 래크(rack, 27)를 가지는 슬라이드 판(28)은 안내축(30)에 의해 안내되며, 길이 방향으로 활주 가능하게 만들어진다.
더욱이, 슬라이드 판(28)의 작동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우측 및 좌측의 검출스위치(32, 33)와 슬라이드 판(28)의 대기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대기 스위치(34)가 힌지 앵글(15)에 장착된다. 롤러(26)는 공정 핀(25)에 의해 도어(20)에 제공된 도어 앵글(13)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구동 모터(36)는 본체(19)에 제공된 모터 앵글(37)에 장착된다. 슬라이드 판(28)이 활주한 결과, 피니언 기어(35)는 구동모터(36)에 의해 회전되며, 회전은 래크(27)에 의해 직선 운동으로 변환된다.
제24a도 내지 제24c도는 상기 전동 기구의 작동을 도시한다. 제24a도는 도어(20)가 폐쇄된 상태, 즉 대기 상태에 있는 것을 도시한다. 이 단계에서, 대기 스위치(34)는 오프 상태로 되고, 검출 스위치(32, 33)는 온 상태로 된다.
사용자가 도어(20) 또는 본체(19)의 표면 상에 제공된 터치 스위치 등(도시되지 않음)을 작동시켜 우측으로부터 도어(20)를 개방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시킬 때, 슬라이드 판(28)이 제24b도에서 우측 방향으로 활주한 결과, 피니언 기어(35)는 제24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구동 모터(36)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며, 그 이동은 래크(27)에 의해 직선 운동으로 변환된다.
이때, 슬라이드 판(28)에 제공된 우측 슬라이드 표면(29)은 도어(20)가 약간 개방되도록 우측 롤러(26)를 가압한다. 이 단계에서, 우측의 검출 스위치(33)는 오프 상태로 되고, 반면 좌측의 검출 스위치(32)와 대기 스위치(34)는 온 상태로 된다. 후에 기술되는 제37도에 따르면, 전동 기구는 이 단계에서 제24a도의 상태로 복귀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라서, 도어는 전동 수단의 더 이상의 작동에 의해 자동으로 더욱 넓게 개방될 수 있다.
즉, 제24c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슬라이드 표면(29)이 좌측 롤러(26)를 가압하도록 슬라이드 판(28)이 도면에서 좌측 방향으로 활주될 때, 도어(20)는 더 이상 개방될 수 있다. 이 단계에서, 좌측 검출 스위치(32)는 오프 상태로 되는 반면, 우측 검출 스위치(33)와 대기 스위치(34)는 온 상태로 된다. 그 결과, 사용자는 수동으로 도어(20)를 열도록 요구받게 된다. 전동 기구는 이제 제24a도에 도시된 상태로 복귀된다. 도어(20)가 좌측으로부터 개방될 때, 상기 작동에 측방향으로 대칭인 작동이 수행된다.
제25a도~제25f도 내지 제26a도~제26f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주요 부품들을 도시한다. 제25a도 내지 제25f도는 슬라이드 캠(52)의 상세도이며, 반면 제26a도 내지 제26f도는 로크 캠(52)의 상세도이다. 제26a도 내지 제26f도에서, 본체측에 제공되며 후에 상세히 기술되는 힌지핀(14)이 로크 캠(52)에 제공된 구멍(57)을 관통하며, 힌지핀의 중심축은 피벗축(58)과 일치한다.
제25a도 내지 제25f도에서, 슬라이드 캠(51)에 제공된 홈형성 캠(53)은 피벗축(58)을 안내하는 반면, 홈형성 캠(54)은 슬라이드 캠(51)이 피벗축(58)으로부터 해제되지 않는 위치로 슬라이드 캠(51)을 안내하기 위해 작동한다. 이와 유사하게,슬라이드 캠(51)에 제공된 캠 돌기(55)는, 도어가 개방됨에 따라 제26a도 내지 제26f도에 도시된 로크 캠(52)에 제공된 캠 돌기(56)에 의해 활주 상태로 안내되는 동안 피벗축(58)으로부터 슬라이드 캠(51)이 해제되지 않도록 작동하며, 이것에 의해 도어가 본체에서 떨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더욱이, 슬라이드 캠(51)에는 그의 양측면이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외측 캠(59)이 제공되는 반면, 로크 캠(52)에는 그의 양측면이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외측 캠(60)이 제공된다. 이들은 도어가 개방될 때 서로 결합되는 것처럼 활주 가능하게 안내되며, 따라서 슬라이드 캠(51)은 슬라이드 캠(51)이 피벗축(58)으로부터 해제되지 않는 위치로 더욱 확실하게 안내된다.
제27a도 내지 제27f도는 슬라이드 캠(51)과 로크 캠(52)이 서로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서, 부품들은 도어가 완전히 폐쇄되는 경우에 위치적으로 상호 관련된다.
제28a도 내지 제28d도는 슬라이드 캠(51)과 로크 캠(52)이 장착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여기서 제28a도는 로크 캠(52)의 장착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제28b도는 슬라이드 캠(51)의 장착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제28c도는 정면도, 및 제28d도는 측면도이다. 이들 도면에서, 슬라이드 캠(51)은 도어(도시되지 않음)에 제공된 도어 앵글(13) 장착되는 반면, 로크 캠(52)은 본체(도시되지 않음)에 제공된 힌지 앵글(15)상에 장착된 힌지핀(14)과 힌지핀(14)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롤러(64)의 관통을 허용한 후 힌지 앵글(15)에 장착된다.
본 실시예에는 양측면이 슬라이드 캠(51)과 로크 캠(52)에 제공되는 원호 형상을 가지는 하나의 외측 캠만 제공되며, 이것에 의해 부품의 구조를 단순화한다. 또한 힌지핀(14)은 롤러(64)에 의해 제공되며, 이것에 의해 도어의 원활한 개폐를 허용하고 도어의 개폐시 발생된 마찰음을 감소시킨다.
제29a도 내지 제29g도는 슬라이드 캠(51)과 로크 캠(52)의 상이한 측의 부품 결합이 측방향으로 대칭인 위치에 배열되며, 이것에 의해 우측 및 좌측으로 개방될 수 있는 도어 힌지를 형성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며, 도어가 우측으로부터 개방되는 경우의 작동을 도시한다. 제29a도는 도어가 완전히 폐쇄된 상태를 도시하며, 여기서 도어측 상에 장착된 슬라이드 캠(51)과 본체측 상에 장착된 로크 캠(52)은 측방향으로 대칭인 형태로 서로 완전히 결합된다.
이 단계에서, 우측 및 좌측 슬라이드 캠(51)에 제공된 홈형성 캠(53)은 이들이 도어에 대해 내측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향하여져서 각각의 힌지핀(14)과 롤러(64)에 의해 제한되도록 형성된다. 그러므로, 도어는 사용자가 우측 및 좌측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도어를 끌어당길 때에도 본체에서 떨어지지 않는다.
제29b도는 도어가 우측으로부터 개방되기 시작하는 상태를 도시하며, 여기서 우측 슬라이드 캠(51)에 제공된 홈형성 캠(53)은 우측 로크 캠(52)에 제공된 구멍(57)을 관통하는 힌지핀(14)으로부터 해제된다.
이 단계에서, 힌지핀(14)에 의해 안내된 홈형성 캠(53)은 도어를 우측 방향으로 약간 활주시킨다. 그 결과, 좌측 로크 캠(52)에 제공된 구멍(57)을 관통하는 힌지핀(14)과 좌측 슬라이드 캠(51)에 제공된 홈형성 캠(54)은 슬라이드 캠(51)이 좌측 피벗측(58)으로부터 해제되지 않도록 위치적으로 상호 관련된다.
또한, 이 단계에서, 우측 슬라이드 캠(51)에 제공된 외측 캠(59)과 우측 로크 캠(52)에 제공된 외측 캠(60)은 서로 결합될 때 활주 가능하게 안내된다. 그러므로, 우측 슬라이드 캠(51)은 피벗축(58)으로부터 해제되지 않는 위치로 더욱 확실하게 안내된다.
또한, 제29c도 및 제29d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도어 피벗에 따라서, 좌측 슬라이드 캠(51)에 제공된 캠 돌기(55)는 슬라이드 캠(51)이 좌측 피벗축(58)으로부터 해제되지 않도록 작동하기 위해 좌측 로크 캠(52)에 제공된 캠 돌기(56)에 의해 활주 가능하게 안내되며, 이것에 의해 도어가 본체에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도어의 개폐를 확실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제29c도 및 제20d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도어 피벗에 따라서, 우측 슬라이드 캠(51)에 제공된 외측 캠(59)과 우측 로크 캠(52)에 제공된 외측 캠(60)과의 결합이 진행되며, 이것에 따라서 좌측 슬라이드 캠(51)에 제공된 외측 캠(59)은 좌측 로크 캠(52)에 제공된 외측 캠(60)에 결합되기 시작한다.
제29e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가 더 이상 피벗될 대, 우측 슬라이드 캠(51)에 제공된 외측 캠(59)은 우측 로크 캠(52)에 제공된 외측 캠(60)으로부터 해제되며, 반면 좌측 슬라이드 캠(51)에 제공된 외측 캠(59)과 좌측 로크 캠(52)에 제공된 외측 캠(60)의 결합이 진행된다.
또한, 제29f도에서, 좌측 슬라이드 캠(51)에 제공된 외측 캠(59)은 좌측 로크 캠(52)에 제공된 외측 캠(60)에 완전히 결합된다. 도어가 제29g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위치로 피벗될 때, 좌측 슬라이드 캠(51)에 제공된 외측 캠(59)은 좌측 로크 캠(52)에 제공된 외측 캠(60)으로부터 해제된다.
상기 작동에 의해, 도어는 본체에서 떨어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고 도어의 개폐는 확실하게 수행될 수 있다. 도어가 좌측에서 개방될 때, 상기 작동에 측방향으로 대칭인 작동이 수행된다.
제30a도~제30h도 내지 제32a도~제32g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주요 부품들을 도시한다. 제30a도 내지 제30h도는 도어측 상에 장착될 슬라이드 캠(51)의 상세도이며, 반면 제31a도 내지 제31j도는 본체측 상에 장착될 로크 캠(52)의 상세도이다. 제31a도 내지 제31j도에서, 로크 캠(62)에 제공된 구멍(57)은 후에 상세히 기술되는 바와 같이 본체측 상에 제공되는 힌지핀(14)에 의해 관통되며, 힌지핀의 중심축의 피벗축(58)과 일치한다.
제30a도 내지 제30h도에서, 슬라이드 캠(61)에 제공된 홈형성 캠(53)은 피벗측(58)을 안내하며, 반면 홈형성 캠(54)은 슬라이드 캠(61)이 피벗축(58)으로부터 해제되지 않는 위치로 슬라이드 캠(61)을 안내하기 위해 작동한다. 마찬가지로, 슬라이드 캠(61)에 제공된 캠 돌기(55)는, 슬라이드 캠(61)이 도어가 개방됨에 따라 제26a도 내지 제26f도에 도시된 로크 캠(62)에 제공된 캠 돌기(56)에 의해 활주 가능하게 안내되는 동안 피벗축(58)으로부터 해제되지 않도록 작동하며, 이것에 의해 도어가 본체에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슬라이드 캠(61)에는 양측면이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외측 캠(59)이 제공되며, 반면 로크 캠(62)에는 양측면이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외측 캠(60)이 제공된다. 이들은 도어가 개방될 때 서로 결합되는 것처럼 활주 가능하게 안내되며, 그 결과 슬라이드 캠(61)은 슬라이드 캠(61)이 피벗축(58)으로부터 해제하지 않는 위치로 더욱 확실하게 안내된다.
제32a도 내지 제32g도는 슬라이드 캠(61)에 제공된 도어가 소정의 각도 이상으로 더 이상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가지는 부품인 스토퍼(40)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제33a도 내지 제33c도는 슬라이드 캠(61), 로크 캠(62) 및 스토퍼(40)가 서로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여기서 제33a도는 정면도, 제33b도는 평면도 및 제33c도는 도어가 완전히 개방되는 상태에서 부품들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제33a도 및 제33b도에서, 부품들은 도어가 완전히 폐쇄되는 경우에 위치적으로 관련된다.
제33a도에서, 슬라이드 캠(61)은 도어(도시되지 않음)에 제공된 도어 앵글(도시되지 않음)에 장착되는 반면, 로크 캠(62)은 힌지핀(14)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롤러(64)와 본체(도시되지 않음)에 제공된 힌지 앵글에 장착된 힌지핀(14)의 관통을 허용한 후 힌지 앵글(도시되지 않음)에 장착된다.
제33c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가 개방되어 예를 들면 135°까지 피벗될 때, 슬라이드 캠(61)에 장착된 스토퍼(40)는 로크 캠(62)의 측면에 대해 접촉하고, 그 결과 도어의 피벗 동작에 의해 완전히 개방되는 것이 방지된다. 본 실시예에 따라서, 양측면에 원호 형상을 가지며 로크 캠(62)에 제공된 외측 캠(60)의 단부면이 제31a도 내지 제31j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둥근 형상을 가지며 3개의 벽이 외측 캠(60)의 3측면 상에 제공되는 구성에 의해, 사용자는 접촉시 외측 캠(60)에 의해 상해를 당하는 것으로부터 보호되며 외측 캠(60)은 외부의 힘에 의해 거의 손상되지 않는다.
제34a도 내지 제34c도는 도어(20)를 자동으로 개방하기 위한 전동 수단을 도시하는 도면이며, 제34a도는 정면도, 제34b도는 측면도, 및 제34c도는 평면도이다. 이 경우에, 제21도 및 제24a도 내지 제24c도를 참조하여 설명된 구조와 구조적으로 상이하다. 제34a도 내지 제34c도에서, 회전판(45)은 피벗축(49)의 주위에서 피벗할 수 있는 방식으로 본체(19)에 제공된 섀시(48)에 장착된다. 또한, 구동 모터(36)는 섀시(48) 상에 장착된 피벗축(49)의 내측에 장착된다. 이 구동 모터(36)는 레버(42)를 피벗하도록 기어(39)를 회전시킨다.
레버(42)의 작동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 스위치(32, 33)와 레버(42)의 대기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대기 스위치(34)는 구동 유니트(38)의 내측에 장착되며, 스위치의 온 및 오프 동작은 기어(39)에 상호 결합된 회전 캠(41)에 제공된 노치에 의해 수행된다. 또한, 롤러(26)는 커버(50)와 함께 도어(20)에 장착된 브래킷(51)에 고정핀(25)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제34a도 내지 제34c도에서, 도어(20)는 상기 기구가 대기하고 있는 대기 상태에서, 폐쇄 상태에 있다. 이 단계에서, 대기 스위치(34)는 오프 상태로 되고, 반면 검출 스위치(32, 33)는 온 상태로 된다.
사용자가 우측으로부터 도어(20)를 개방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본체(19)의 표면 또는 도어(20) 상에 제공된 터치 스위치(도시되지 않음) 등을 작동시킬 때, 기어(39)는 제3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시계 반향으로 레버(42)를 피벗시키기 위해 구동 모터(36)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롤러(44)는 레버(42)의 끝단부에 고정핀(43)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롤러(44)는 레버(42)가 피벗함에 따라 피벗(49)을 향해 반경 방향으로 회전판(45)에 제공된 홈(46)을 누르며, 그 결과 회전판(45)은 피벗축(49)의 주위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 다음에, 회전판(45)에 제공된 우측 슬라이드 표면(47)은 도어(20)가 약간 개방되도록 우측 롤러(26)를 누른다. 이 단계에서, 검출 스위치(32, 33)와 대기 스위치(34)는 모두 온 상태로 된다.
제3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42)가 반시계 방향으로 더 이상 피벗하고 회전판(45)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때, 도어(20)는 이 기구에 의해 최대로 개방되며, 그 다음에 검출 스위치(33)는 오프 상태로 되고, 검출 스위치(32)와 대기 스위치(34)는 온 상태로 된다. 그 결과, 사용자는 도어(20)를 수동으로 개방하도록 요구받는다. 상기 기구는 제34a도 내지 제34c도에 도시된 상태로 복귀된다. 도어(20)가 좌측으로부터 개방될 때, 상기 작동에 측방향으로 대칭인 작동이 수행된다.
제37도는 전동 수단의 전기 회로의 구성을 도시한다. 참조 부호 81은 대기 위치 검출 스위치 SW1, 우측 작동 한계 검출 스위치 SW2, 좌측 작동 한계 검출 스위치 SW3, 우측 작동입력 스위치 SW4, 좌측 작동 입력 스위치 SW5 등으로부터의 신호에 반응하여 프로그램에 따라 작동하는 마이크로컴퓨터를 표시한다.
참조 부호 83은 모터 구동 회로를 표시하고, 참조 부호 85는 모터를 표시한다. 참조 부호 86은 모터에 의해 구동될 기구 부분을 도시한다. 모터(85), 기구 부분(86), 스위치 SW1, SW2, 및 SW3은 제34a도 내지 제34c도에 도시된 스위치, 모터 등(참조 부호가 상이함)에 대응한다. 제37도에서, 참조 부호 80, 82 및 84는 전원 접속 단자를 표시한다.
제38도는 마이크로컴퓨터에 의한 도어 우측 개방 작동의 플로우챠트를 도시한다. 먼저, 우측 작동 입력 스위치 SW4가 단계 S1에서 온 상태로 되면, 프로그램 흐름은 우측 작동 신호 R을 출력하기 위해 단계 S2로 진행한다. 이 작동에 의해 모터 구동 회로(83)는 모터 (85)를 순방향으로 구동시킨다(S3). 이 구동은 우측 작동 한계 스위치 SW2가 오프 상태로 될 때까지 계속한다(S4).
단계 S3 및 S4에서의 작동을 통해, 도어는 우측으로부터 개방된다. 그 결과, 프로그램 흐름은 마이크로컴퓨터(81)가 좌측 작동 신호 L을 출력하는 단계 S5로 진행한다. 이 작동에 의해, 모터 구동 회로(83)는 모터(85)를 반전시킨다. 그 결과, 대기 위치 검출 스위치가 단계S7에서 온 상태로 되면, 모터 구동이 정진된다(S8). 도어가 좌측으로 개방되면, 제38도에 도시된 작동과 유사한 작동이 실행된다.
슬라이드 캠이 도어측 상에 제공되고 로크 캠이 상기 설명에서 본체측 상에 제공된다고 할지라도,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슬라이드 캠을 본체 상에 그리고 로크 캠을 도어측 상에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서, 도어의 폐쇄는 캠 기구의 결합에 의해 수행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폐쇄된 상태에서 도어를 개방할 때, 도어는 비교적 작은 힘으로 개방될 수 있다. 또한, 도어는 작은 힘으로 폐쇄될 수 있다. 더욱이, 도어의 개폐가 캠 기구의 결합 및 해제에 의해 수행되므로, 그 결과 작은 작동 소음(기계적 소음)이 일어난다. 더욱이, 도어는 폐쇄 단계 및 개방 단계에서 떨어지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서, 도어는 우측 또는 좌측의 어느 한 측으로부터 쉽게 개폐될 수 있고, 우측 및 좌측 기계적인 부품들은 서로 독립적이다. 따라서, 부품수의 감소 및 간단한 조립 작업이 성취되며, 조립 비용이 저렴하다. 더욱이, 이러한 구성은 도어에 대한 전체 기구가 차지하는 공간이 작다는 장점을 가진다.
특히, 제1 결합위치 및 제2 결합위치에 제공되는 본 발명의 제1 태양에 따라서, 도어는 제1 결합위치에서 폐쇄되며 도어는 폐쇄된 측면 상의 제2 결합위치에서 피벗 가능하게 로크된다. 이러한 배열에 의해, 캠 기구는 제1 결합위치로부터 쉽게 해제될 수 있고, 도어의 폐쇄된 측면은 도어 개방 단계에서 피벗측으로서 확실하게 작용할 수 있다. 이 구성은 2중 선회식 도어 시스템임에도 불구하고 부품수가 감소하고 간단한 기구만을 요한다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3 태양에 따라서, 캠 기구의 로킹이 힌지핀에 의해 고정되고, 훌륭한 피벗축이 성취된다. 본 발명의 제4 태양에 따라서, 본 발명이 쉽게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6 태양에 따라서, 제1 결합위치에서의 도어의 폐쇄가 보장 및 안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8 태양에 따라서, 제2 결합위치에서의 피벗이 원할하게 수행된다.
본 발명의 제9 태양에 따라서, 도어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제2 결합위치에 도어를 유지시키기 위한 제4 태양의 구조가 보장된다. 본 발명의 제10 태양에 따라서, 도어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도어를 제2 결합위치에 유지시키기 위한 구조가 감소된 부품수에 의해 실행된다.
본 발명의 제11 태양에 따라서, 도어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도어를 제2 결합위치에 유지시키기 위한 구조가 보장된다. 본 발명의 제12 태양에 따라서, 도어 개폐 기구가 더욱 긴 작동 수명을 갖도록 베이스 부분의 내구성이 얻어진다.
본 발명의 제14 태양에 따라서, 도어 개폐시의 작동력이 유지되며, 그러므로 도어의 개폐가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고 폐쇄된 상태가 보장된다.
본 발명의 제15 태양 내지 제17 태양에 따라서, 적어도 도어의 개폐를 시작하는 것은 스위치와 같은 조작 부재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서만 성취되며, 이것은 편리하다.
지금까지 본 발명이 설명되었지만, 이것은 여러 가지 방법으로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하다. 그러한 변경은 본 발명의 정신과 범주로부터 벗어난 것으로 간주되지 않으며, 당해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게 명백한 이와 같은 모든 변경은 첨부된 특허 청구의 범위의 범주 내에 포함된다.

Claims (17)

  1. 도어의 우측 및 좌측에 각각 제공되어 도어를 본체와 결합시키고 본체로부터 해제시키는 캠 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캠 기구는 도어의 우측 및 좌측에 대칭으로 배열되는 제1 결합위치와, 도어의 우측 및 좌측에 대칭으로 배열되는 제2 결합위치를 취할 수 있고, 우측 및 좌측 캠 기구는 도어가 폐쇄된 상태에서 제1결합위치를 취하며, 도어는 도어가 도어의 우측 및 좌측 중 일측에서 개방될 때 활주하고, 타측의 캠 기구는 제2 결합위치를 취하며 제2 결합위치에서 피벗 로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중 선회식 도어 개폐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캠 기구는 본체측에 마련된 로크 캠 부재와, 도어측에 마련된 슬라이드 캠 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중 선회식 도어 개폐 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힌지핀이 추가로 마련되며, 타측의 캠 기구는 제2 결합위치에서 힌지핀을 피벗축으로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중 선회식 도어 개폐기구.
  4. 도어가 장착되는 본체 또는 도어의 우측 및 좌측 단부에 배열되고, 도어의 중심선에 대해 각각 대칭으로 제공된 한 쌍의 슬라이드 캠 부재와, 도어 또는 본체 상의 슬라이드 캠 부재의 부분들에 대응하는 부분에서 대칭으로 제공된 한쌍의 로크 캠 부재와, 로크 캠 부재들의 각각에 제공된 축방향 구멍을 관통하는 상태로 장착되는 힌지핀을 포함하며, 각각의 슬라이드 캠 부재는 수평 방향으로 힌지핀과 결합되고 힌지핀으로부터 해제될 수 있는 제1 홈형성 캠과, 제1 홈형성 캠으로부터 연속하며 도어가 폐쇄될 때 제1 홈형성 캠에 의해 안내되는 힌지축과 결합되는 제1 결합위치로부터 도어가 개방될 때 슬라이드 캠 부재의 피벗축으로서 작용하는 제2 결합위치까지 이동될 수 있는 제2 홈형성 캠과, 제2 홈형성 캠의 주위에 제공된 제1 캠 돌기를 구비하며, 각각의 로크 캠 부재는 제1 캠 돌기를 제1 결합위치에서 로크하는 제2 캠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중 선회식 도어 개폐 기구.
  5. 제4항에 있어서, 슬라이드 캠 부재의 제1 홈형성 캠은 슬라이드 캠 부재의 일단부로부터 중심부까지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중 선회식 도어 개폐 기구.
  6. 제4항에 있어서, 슬라이드 캠 부재의 제1 캠 돌기와 로크 캠 부재의 제2 캠돌기에는 제1 결합위치에서 서로에 대해 맞닿는 계단부들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중 선회식 도어 개폐 기구.
  7. 제4항에 있어서, 슬라이드 캠 부재는 양측면이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1 캠 홈 및 제2 캠 홈과 제1 캠 돌기에 대해 도어 중심선 쪽에 배열되는 적어도 하나의 외측 캠을 구비하며, 로크 캠 부재는 양측면에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1 캠 돌기 및 제2 캠 돌기에 의해 힌지핀을 로킹 방식으로 유지할 때 슬라이드 부재의 외측 캠에 결합되도록 배열되는 적어도 하나의 외측 캠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중 선회식 도어 개폐 기구.
  8. 제4항에 있어서, 힌지핀은 롤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중 선회식 도어 개폐 기구.
  9. 도어의 우측 및 좌측에 각각 제공되어 도어를 본체와 결합시키고 본체로부터 해제시키며, 도어의 우측 및 좌측에 대칭으로 배열되는 제1 결합위치 및 도어의 우측 및 좌측에 대칭으로 배열되는 제2 결합위치를 취할 수 있는 캠 기구와, 제2 결합위치에서의 로크 상태를 보조하도록 도어를 제2 결합위치를 향해 가압하는 보조 수단을 포함하며, 우측 및 좌측 캠 기구는 도어가 폐쇄된 상태에서 제1 결합위치를 취하며, 도어는 도어가 도어의 우측 및 좌측 중 일측에서 개방될 때 활주하고, 타측의 캠 기구는 제2 결합위치를 취하여 제2 결합위치에서 피벗 로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중 선회식 도어 개폐 기구.
  10. 제9항에 있어서, 보조 수단은 캠 기구와 일체로 된 부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중 선회식 도어 개폐 기구.
  11. 제9항에 있어서, 캠 기구는 본체 상에 마련된 로크 캠 부재와, 도어 상에 마련된 슬라이드 캠 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보조 수단은 슬라이드 캠 부재에 일체로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드 캠과, 로크 캠 부재에 일체로 마련되어 슬라이드 캠과 활주 접촉 상태에 놓이는 적어도 하나의 캠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중 선회식 도어 개폐 기구.
  12. 제4항에 있어서, 슬라이드 캠 부재와 로크 캠 부재는 내마모성을 가지는 수지 성형품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중 선회식 도어 개폐 기구.
  13. 제3항에 있어서, 슬라이드 캠 부재는 로크 캠 부재에 대향한 위치에 배열되며, 도어는 슬라이드 캠 부재를 통해 힌지핀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중 선회식 도어 개폐 기구.
  14. 제4항에 있어서, 도어가 장착되는 본체 및 도어의 양측에, N극과 S극을 교대로 배열함으로써 형성된 영구 자석을 도어가 폐쇄된 상태에 있을 때 N극과 S극이 서로 대면하도록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중 선회식 도어 개폐 기구.
  15. 캠 결함에 의해 이루어진 도어의 폐쇄 상태로부터 전동에 의해 캠 결합을 해제시킴으로써 도어 개방 보조 작동을 수행하기 위한 전동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중 선회식 도어 개폐 기구.
  16. 제15항에 있어서, 전동 수단은 도어가 장착되는 본체 상에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 슬라이드 부재와, 입력 조작 부재를 조작함으로써 작동되는 동력원과, 슬라이드 부재에 동력원의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전달 수단과, 도어 상에 마련되어 도어가 슬라이드 부재와의 접촉에 의해 개방되는 방향으로 힘을 인가하는 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중 선회식 도어 개폐 기구.
  17. 제15항에 있어서, 전동 수단은 도어가 장착되는 본체 상에 장착된 피벗 부재와, 입력 조작 부재를 조작함으로써 작동되는 동력원과, 피벗 부재를 피벗시키기 위해 피벗 부재에 동력원의 동력을 전달하는 전달 수단과, 도어 상에 마련되어 도어가 피벗 부재와의 접촉에 의해 개방되는 방향으로 힘을 인가하는 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중 선회식 도어 개폐 기구.
KR1019970018488A 1995-06-14 1997-05-13 2중 선회식 도어 개폐 기구 KR1001979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932396A JP3479410B2 (ja) 1996-05-14 1996-05-14 扉開閉機構
JP96-119323 1996-05-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5194A KR970075194A (ko) 1997-12-10
KR100197920B1 true KR100197920B1 (ko) 1999-06-15

Family

ID=14758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8488A KR100197920B1 (ko) 1995-06-14 1997-05-13 2중 선회식 도어 개폐 기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6085463A (ko)
EP (1) EP0807740B1 (ko)
JP (1) JP3479410B2 (ko)
KR (1) KR100197920B1 (ko)
CN (1) CN1087384C (ko)
DE (1) DE69729824T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2427B1 (ko) 2006-12-15 2008-03-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연료도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00771A (en) * 1997-09-26 1999-12-14 Thetford Corporation RV refrigerator with swinging closure door capable of being opened from both left and right sides
TW536613B (en) 1999-10-25 2003-06-11 Sharp Kk Door opening/closing mechanis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TW521142B (en) * 2001-03-13 2003-02-21 Sharp Kk Cam mechanism and door opening/closing mechanism
KR100424566B1 (ko) * 2001-07-04 2004-03-27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좌우개폐도어용 개폐기구
KR20040042748A (ko) * 2002-11-15 2004-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좌우개폐도어용 개폐기구
CN100458094C (zh) * 2003-08-25 2009-02-04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双扇门开闭机构
IL159720A0 (en) * 2004-01-06 2004-06-20 Robert Harold Steinberg Smart handle and hinge system
DE102004018062A1 (de) * 2004-04-08 2005-10-27 SCHÜCO International KG Fenster oder Tür mit elektromechanischer Verriegelung
DE102004063507A1 (de) * 2004-12-27 2006-07-20 Siemens Ag Schließvorrichtung für einen Schaltschrank
US7516515B2 (en) * 2006-04-13 2009-04-14 Maytag Corporation Refrigerator with dual swing door
US20080048539A1 (en) * 2006-08-24 2008-02-28 Beek Jacco V Refrigerator capable of being opened from opposite sides
FR2905602B1 (fr) * 2006-09-08 2010-11-12 Lancer Ind Machine a laver des instruments medicaux et/ou chirurgicaux
KR101252164B1 (ko) * 2006-10-24 2013-04-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도어 설치구조
US8434795B2 (en) * 2007-08-02 2013-05-07 Saf-T-Cab, Inc. Dual door release handle
DE102007036747A1 (de) * 2007-08-03 2009-02-05 Dorma Gmbh + Co. Kg Automatisierung von Möbeln, Haushaltsgeräten und dergleichen
JP5109624B2 (ja) * 2007-11-30 2012-12-26 富士通株式会社 扉、ラック
KR101462181B1 (ko) * 2008-12-05 2014-11-2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레인지
DE102010050965A1 (de) * 2010-05-21 2011-11-24 Fujitsu Technology Solutions Intellectual Property Gmbh Türanordnung für einen Geräteschrank und Verfahren zum Ändern einer Anschlagsseite einer Türanordnung
MY157113A (en) * 2010-07-21 2016-05-13 Sharp Kk Door opening/closing mechanism and refrigerator
US8936330B2 (en) * 2010-12-23 2015-01-20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WO2013048414A1 (en) * 2011-09-29 2013-04-04 Empire Technology Development Llc Hinged-latch
US8966821B2 (en) 2012-09-14 2015-03-03 Panduit Corp. Dual hinged door mechanism
EP3034744B1 (de) * 2014-12-18 2019-06-19 dormakaba Deutschland GmbH Schiebewandsystem
DE102017004335A1 (de) 2017-03-15 2018-09-20 Liebherr-Hausgeräte Lienz Gmbh Kühl- und/oder Gefriergerät
CN108179942A (zh) * 2017-12-31 2018-06-19 重庆市合川区刘彬家具厂 大型柜门磁性铰链结构
CN108266078B (zh) * 2018-02-08 2019-11-22 福建西河卫浴科技有限公司 高度可调铰链和淋浴房
CN208312809U (zh) * 2018-04-27 2019-01-01 睿思特国际有限公司 一种双向开门的移动冰箱
CN110553446B (zh) * 2018-06-04 2021-02-26 海尔智家股份有限公司 嵌入式冰箱
WO2019235401A1 (ja) * 2018-06-08 2019-12-12 シャープ株式会社 扉開閉機構、収納庫、および取っ手構造
CN111608514B (zh) * 2019-02-22 2022-04-15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冰箱
EP3819570A1 (en) 2019-11-05 2021-05-12 Arçelik Anonim Sirketi A refrigerator comprising a door with adjustable opening direction
CN111236779B (zh) * 2020-01-10 2022-06-24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左右开门机构及冰箱
CN113154774B (zh) * 2021-04-30 2022-07-26 合肥美的电冰箱有限公司 门组件及制冷设备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35404A (en) * 1919-03-15 1919-11-27 Emil Mueller-Meyer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Combined Hinges and Fastenings for Doors, Windows and the like.
US3454299A (en) * 1966-10-25 1969-07-08 Chrysler Corp Double-hinged tailgate
US3889419A (en) * 1973-08-29 1975-06-17 Admiral Corp Two-way opening door for household refrigerator
FR2264156A1 (en) * 1974-03-12 1975-10-10 Ferco Usine Ferrures Adjusting mechanism for rotating and tilting windows - has bracket with eccentric pin for adjustment relative to fixed frame
DE3111595A1 (de) * 1981-03-24 1982-10-28 Mukai, Taichi Im eingebauten zustand wahlweise beliebig oft links oder rechts anschlagbare tuer
US4495673A (en) * 1982-09-29 1985-01-29 Whirlpool Corporation Double-acting refrigerator door hinge with dual latch members
US4503583A (en) * 1982-09-29 1985-03-12 Whirlpool Corporation Enclosure with double acting hinge mechanism having overcenter latch
US4503582A (en) * 1982-09-29 1985-03-12 Whirlpool Corporation Double-acting refrigerator door hinge and sliding lock-bolt
US4503584A (en) * 1982-09-29 1985-03-12 Whirlpool Corporation Enclosure structure with double-acting hinge mechanism having interlocking pivotal latch
US4613174A (en) * 1984-12-24 1986-09-23 Syntechnics, Inc. Reversible latching hinge
US4947583A (en) * 1988-05-10 1990-08-14 Sharp Kabushiki Kaisha Opening/closing device of a door member
JP3052153B2 (ja) 1991-01-10 2000-06-12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自動車のコンソールボックス用等の両開き開閉装置
JP3052152B2 (ja) * 1991-01-16 2000-06-12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自動車のコンソールボックス用等の両開き開閉装置
JP2992967B2 (ja) * 1991-06-28 1999-12-20 マツダ株式会社 エンジン
JPH0760057B2 (ja) * 1992-10-19 1995-06-28 株式会社南極防熱 扉の開閉装置
DE4328821C2 (de) * 1993-08-27 1998-06-04 Eckhard Baermann Beidseitig einsetzbare Scharnieranordnung
US5417011A (en) * 1994-02-23 1995-05-23 Keszthelyi; Laszlo Door opening mechanism
KR960001395A (ko) * 1994-06-16 1996-01-25 박병기 양측개방형 도어개폐장치
US5829197A (en) * 1995-12-02 1998-11-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anually actuable apparatus enabling a door to be selectively hinged at either side
US6000771A (en) * 1997-09-26 1999-12-14 Thetford Corporation RV refrigerator with swinging closure door capable of being opened from both left and right sides
JP3748685B2 (ja) * 1997-11-10 2006-02-22 有限会社愛和ライト 扉操作機構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2427B1 (ko) 2006-12-15 2008-03-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연료도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807740A3 (en) 1999-08-18
US6085463A (en) 2000-07-11
CN1170077A (zh) 1998-01-14
US6282838B1 (en) 2001-09-04
DE69729824T2 (de) 2005-07-07
JPH09303942A (ja) 1997-11-28
DE69729824D1 (de) 2004-08-19
EP0807740A2 (en) 1997-11-19
EP0807740B1 (en) 2004-07-14
JP3479410B2 (ja) 2003-12-15
KR970075194A (ko) 1997-12-10
CN1087384C (zh) 2002-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197920B1 (ko) 2중 선회식 도어 개폐 기구
JP3525105B2 (ja) 動力クローズ機構付車両ドアラッチ装置の安全装置
US6882120B2 (en) Power device for vehicle sliding door
JPH01198980A (ja) 電動式車両ロック
JPH10272925A (ja) 自動車用ドアロックのハーフラッチ検出装置
DE69206143T2 (de) Elektrisches steuerorgan für türen und fenster.
JP3599615B2 (ja) 扉開閉機構
JP3647428B2 (ja) 扉開閉機構
JP2001182403A (ja) 車両用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
KR0133980Y1 (ko) 차량의 도어 자동 개폐장치
JP3502599B2 (ja) 車両ドアラッチ装置
KR100278319B1 (ko) 원격제어방식에 의한 창문 자동 개폐장치
JP2001182401A (ja) 車両用ドア開閉装置
JP2001012146A (ja) ドア開閉方法及びドア開閉装置
JP3570119B2 (ja) 移動体の位置検知装置
JPH082380Y2 (ja) 自動車のドア閉扉装置
JPH0372185A (ja) 自動車用ドアの自動開閉装置
JPH04122176U (ja) 電動開閉扉の安全装置
JP2003232168A (ja) 車両用ドア開閉装置
JPH0776219A (ja) オートスライドドア
JPH0251666U (ko)
JPH0463719A (ja) 自動車扉の自動開閉装置
JPH04155082A (ja) ドア自動開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4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7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2

Year of fee payment: 1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7

Year of fee payment: 1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