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6410B1 - 자동차 측면 충돌시 도어 침입차단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측면 충돌시 도어 침입차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6410B1
KR100196410B1 KR1019950042877A KR19950042877A KR100196410B1 KR 100196410 B1 KR100196410 B1 KR 100196410B1 KR 1019950042877 A KR1019950042877 A KR 1019950042877A KR 19950042877 A KR19950042877 A KR 19950042877A KR 100196410 B1 KR100196410 B1 KR 1001964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doors
door
slider
operating ro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428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6139A (ko
Inventor
이진열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500428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6410B1/ko
Publication of KR9700261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61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64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64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2Reinforcement elements
    • B60J5/0456Behaviour during impact
    • B60J5/0459Active coupling of the reinforcement elements to the door or to the vehicle body, e.g. through releasing of pressurized g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2Reinforcement elements
    • B60J5/0451Block or short strip-typ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which protect the occupants against personal attack from the inside or the outside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02Type of accident
    • B60R2021/0006Lateral colli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측면에서 자동차의 추돌 및 충돌이 발생할 경우 이의 충격으로 자동차의 도어가 자동차 내부로 침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승객을 안전하게 보호토록 한 것으로, 이는 보디(10)의 외부로 노출되면서 도어(11)(12)에 의해 누름동작되는 누름구(101)와, 양측에 각각 일체로 구비되면서 작동공(113)을 각각 가지는 한쌍의 플랜지(111)(112)를 갖추어 도어(11)(12)에 의해 전진작동되는 슬라이더(110)와, 상기 슬라이더(110)의 양 플랜지(111)(112) 사이에 가로질러 구비되고 보디(10)에 고정설치되는 실린더(120)와, 상기 실린더(120)의 내부에 스프링(132)에 의해 탄력 설치되면서 상호 대향되게 구비되어 전진작동되는 한쌍의 작동봉(130)(131)과, 상기 작동봉(130)(131)과 동일선상의 전,후면도어(11)(12)의 패널상에 작동봉(130)(131)이 전진작동되어 삽입체결되는 체결공(140)을 갖추어서 된 구성이다.

Description

자동차 측면 충돌시 도어 침입차단장치
제1도는 일반적인 자동차 측면도어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제2도는 종래의 자동차 측면의 내부구조를 일부 보인 구성도.
제3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자동차 측면의 내부구조를 보인 구성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보인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자동차 보디 11, 12 : 도어
100 : 도어 침입 차단수단 110 : 슬라이더
101 : 누름구 111,112 : 플랜지
113 : 작동공 120 : 실린더
130, 131 : 작동봉 132 : 스프링
140 : 체결공
본 발명은 자동차 측면 충돌시 도어 침입차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자동차의 측면에서 자동차의 추돌 및 충돌이 발생할 경우 이의 충격으로 자동차의 도어가 자동차 내부로 침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승객을 안전하게 보호토록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용차에는 승객이 탑승할 수 있는 도어가 자동차의 측면에 구비되어 있는데, 이러한 도어는 앞좌석과 뒷좌석에 맞추어 전, 후방에 측면에 각각 구비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승용차의 도어 구조를 일예를 들어 살펴보면, 이는 첨부도면의 제2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차체의 보디(10)를 기준으로 하여 전, 후방향으로 각각 한상의 도어(11)(12)가 구비되어 있고, 이들 도어(11)(12)들은 상기 보디(10)에 지지된 채로 미도시된 힌지축을 지지점으로 개폐작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도어(11)(12)들은 내, 외부판넬이 일정한 형태로 절곡 구비되어 그 내부에 빈공간을 가지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고, 이의 내부공간에는 도어(11)(12)의 보강을 위한 보강부재(13)가 각각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구성에 있어서는 자동차의 측면에서 추돌 및 충돌이 발생할 경우에 그 충격력이 그대로 도어(11)(12)들에 미치게 됨으로서 승객에게 치명적인 손상을 입히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즉, 상기 도어(11)(12)들의 내부에 보강부재(13)가 각각 설치되어 있기는 하지만 이의 보강부재(13)가 감당하지 못하는 강한 충격이 가해질 경우에는 도어(11)(12)가 변형되면서 그대로 차내로 침입하게 되는 것이었고, 이와같이 침입되는 도어(11)(12)들에 의해 차내에 탑승한 승객은 치명적인 충격을 받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근래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자동차 도어(11)(12)의 내부에 여러 형태의 보강재를 구비한 것도 있으나, 이또한 전술한 구성을 크게 벗어나지 못하여 기대하는 효과를 충분히 얻지 못하고 있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자동차의 측면에서 가해지는 충격으로부터 승차자를 최대한 보호하도록 하기 위한 자동차 측면 충돌시 도어 침입차단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은 자동차의 측면구조를 개선함으로서 달성되는데, 즉,자동차 측면의 전, 후면도어가 결합되는 측면보디상에 도어가 변형되면서 내부로 침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하는 별도의 도어침입차단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자동차의 추돌 및 충돌이 가해졌을 경우 이의 충격으로 도어가 변형되면서 차내로 침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승객을 안전하게 보호토록 하는 것이 특징인 것이다.
계속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의 제3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자동차 측면의 구성을 보인 일부 단면도로서, 도면중 부호11과 12는 자동차의 전, 후면도어를 각각 나타내고 있고, 부호 10은 자동차 차체의 보디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도어(11)(12)들은 미도시된 힌지축을 지지점으로 개폐작동되는 것이며, 이들 도어(11)(12)가 닫혔을 시에는 차체에 고정설치되는 측면보디(10)에 지지된 채로 이와 결합된다.
이러한 구성은 종래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것이며, 다만 본 발명에서는 자동차의 측면에서 강한 충격이 가해졌을 경우 도어(11)(12)가 차내부로 밀려들어 오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도면에서 부호 100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침입차단수단을 표시하고 있다.
이의 도어침입수단(100)은 보디(1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즉, 보디(10)에는 그 전면의 일부가 외부측으로 노출되는 형태로 슬라이더(11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더(110)는 그 일측에 누름구(101)가 구비되어 있고, 이의 누름구(101)는 보디(10)의 외부로 노출되어 구비되어 있음으로써 측면에서 충격이 가해졌을 경우 도어(11)(12)들에 의해 누름동작되어 지는 것이고, 또한 양측에는 플랜지(111)(112)가 일체로 구비되어 있음과 동시에 이의 양플랜지(111)(112) 상에는 작동공(113)이 각각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더(110)의 내부 즉, 양플랜지(111)(112) 사이에는 이들을 가로질러 횡방향으로 실린더(120)가 고정설치되어 있고, 이의 실린더(120)내에는 그 중심을 기준으로 양측에 스프링(132)에 의해 각각 탄력설치되어 진퇴작동되는 한쌍의 작동봉(130)(131)이 각각 구비되어 있다.
이때 평상시에는 작동봉(130)(131)이 스프링(132)을 압축하면서 슬라이더(110)의 양플랜지(111)(112)에 지지된 채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작동봉(130)(131)이 위치되는 전, 후도어(11)(12)의 패널에는 작동봉(130)(131)이 전진작동시 삽입체결될 수 있는 체결공(140)이 각각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와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의 제3도의 본 발명이 적용되는 자동차의 측면을 보인 구성도로서, 이는 평상시의 상태도이다.
이때는 슬라이더(110)가 상승되어 그 전단의 누름구(101) 만이 보디(10)의 외부로 노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자동차의 측면으로 자동차의 추돌이나 충돌 등에 의해 강한 충격이 가해지면, 첨부도면의 제4도에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충격은 먼저 양도어(11(12)에 가해지게 되는 것이고, 상기 도어(11)(12)는 충격에 의해 자동차의 내부측으로 밀려나게 되면서 먼저 슬라이더(110)의 누름구(101)를 누르게 된다.
이와같이 누름구(101)가 눌리게 됨으로써 슬라이더(110)는 전진작동을 하게되는 것이고, 이에 따라 슬라이더(110)의 양측면에 일체로 구비된 플랜지(111)(112)도 동일한 간격으로 전진되어 지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플랜지(111)(112)가 전진됨에 따라 이에 구비되는 작동공(113)이 작동봉(130)(131)과 일치되어 지는 것이고, 이때 상기 작동봉(130)(131)은 스프링(132)에 압축되어 있음으로써 그 탄성력에 의해 전진되어 양플랜지(111)(112)의 작동공(113)에 삽입체결된다.
즉, 상기 작동봉(130)(131)은 실린더(120)내에서 스프링(13)의 탄성력에 의해 전진되어 양도어(11)(12)의 패널상에 구비되는 체결공(140)에 각각 삽입되어 지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충격에 의해 자동차 내부로 침입되던 양도어(11)(12)는 작동봉(130)(131)에 의해 보디(10)와 일체형이 되면서 더 이상 전진되지 못하고 정지됨으로써 자동차 내부에 탑승한 승객에게는 아무런 피해를 주지 않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이된 본 발명은 자동차의 측면에서 발생되는 추돌 및 충돌에 의해 자동차의 도어가 자동차 내부로 침입되어 자동차 내부에 탑승한 승객에게 치명적인 손상을 입히던 문제점을 해소할 수가 있게 되는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Claims (1)

  1. 자동차의 측면에 보디(10)에 지지되 채로 개폐작동되는 전, 후면 도어(11)(12)를 갖춘 것에 있어서, 상기 도어(11)(12)를 지지하는 보디(10)에 구비되고, 보디(10)의 외부로 노출되면서 도어(11)(12)에 의해 누름작동되는 누름구(101)와, 양측에 각각 일체로 구비되면서 작동공(113)을 각각 가지는 한상의 플랜지(111)(112)를 갖추어 도어(11)(12)에 의해 전진작동되는 슬라이더(110)와, 상기 슬라이더(110)의 양플랜지(111)(112) 사이에 가로질러 구비되고 보디(10)에 고정설치되는 실린더(120)와, 상기 실린더(120)의 내부에 스프링(132)에 의해 탄력설치되면서 상호 대향되게 구비되어 전진작동되는 한쌍의 작동봉(130)(131)과, 상기 작동봉(130)(131)과 동일선상의 저, 후면도어(11)(12)의 판넬상에 작동봉(130)(131)이 전진작동되어 삽입체결되는 체결공(140)을 갖추어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측면 충돌시 도어 침입차단장치.
KR1019950042877A 1995-11-22 1995-11-22 자동차 측면 충돌시 도어 침입차단장치 KR1001964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42877A KR100196410B1 (ko) 1995-11-22 1995-11-22 자동차 측면 충돌시 도어 침입차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42877A KR100196410B1 (ko) 1995-11-22 1995-11-22 자동차 측면 충돌시 도어 침입차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6139A KR970026139A (ko) 1997-06-24
KR100196410B1 true KR100196410B1 (ko) 1999-06-15

Family

ID=19435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42877A KR100196410B1 (ko) 1995-11-22 1995-11-22 자동차 측면 충돌시 도어 침입차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9641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6407A (ko) * 1999-11-12 2001-06-15 류정열 차량도어의 긴급개방시스템
KR100387859B1 (ko) * 2000-12-29 2003-06-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측면충돌완화용 도어잠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6139A (ko) 1997-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77196A1 (en) Front body structure of vehicle
KR100256617B1 (ko) 충돌 감지 장치
EP0098560B1 (en) Lock arrangement for a vehicle sliding door
JP2877441B2 (ja) 車両のサイドドア構造
US5718019A (en) Hinge device
KR100196410B1 (ko) 자동차 측면 충돌시 도어 침입차단장치
JPH08197952A (ja) ドアヒンジ取付部構造
US4018475A (en) Door system for vehicles
JP3443261B2 (ja) 車両のシート取付部構造
JPH10147259A (ja) キャブの衝突安全装置
KR100275201B1 (ko) 자동차의 센터필라 보강구조
CN218287395U (zh) 一种可保护乘员的车门卡钩及车门
JPH079715Y2 (ja) 自動車のリヤバンパ構造
JP3620083B2 (ja) 自動車のドア構造
KR200146703Y1 (ko) 자동차 도어구조
KR100357400B1 (ko) 자동차 시트용 힌지 브라켓트 구조
KR200142019Y1 (ko) 자동차의 리어도어 멤버구조
KR0111715Y1 (ko) 승용차용 본네트의 힌지구조
KR970003661Y1 (ko) 승용차용 도어의 하부코너 보강구조
KR200145812Y1 (ko) 자동차의 측면 충격흡수구조
KR930006521Y1 (ko) 차량 운전자 보호장치
KR200188443Y1 (ko) 자동차 사이드실의 보강구조
KR0119211Y1 (ko) 도어 로크 스트라이커 고정구
KR0139360B1 (ko) 자동차 도어와 사이드실의 보강구조
KR100353933B1 (ko) 차량용범퍼체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21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