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5776B1 - 폴리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진 취입 성형된 중공용기 - Google Patents

폴리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진 취입 성형된 중공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5776B1
KR100195776B1 KR1019920003236A KR920003236A KR100195776B1 KR 100195776 B1 KR100195776 B1 KR 100195776B1 KR 1019920003236 A KR1019920003236 A KR 1019920003236A KR 920003236 A KR920003236 A KR 920003236A KR 100195776 B1 KR100195776 B1 KR 1001957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density polyethylene
blow molded
molded hollow
multicompon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3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8128A (ko
Inventor
히로히사 이시이
도시히코 니시다
구니오 고우다
Original Assignee
고토 기치
칫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토 기치, 칫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고토 기치
Publication of KR9200181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81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57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57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23/00Producing tubula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0005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07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material, e.g. composition, physical featu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02Combined blow-moulding and manufacture of the preform or the parison
    • B29C49/04Extrusion blow-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3/00Use of polyalke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3/10Polymers of propylene
    • B29K2023/12PP, i.e. polyprop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0088Blends of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995/00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 B29K2995/0018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e.g. fluorescent or phosphorescent
    • B29K2995/0025Opaqu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995/00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 B29K2995/0018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e.g. fluorescent or phosphorescent
    • B29K2995/0026Transpa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1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accessories, Packages
    • B29L2031/7158Bott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6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07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only containing more than three carbon atoms
    • C08L23/0815Copolymers of ethene with aliphatic 1-olefi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3Hollow or container type article [e.g., tube, vase, etc.]
    • Y10T428/1352Polymer or resin containing [i.e., natural or syntheti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3Hollow or container type article [e.g., tube, vase, etc.]
    • Y10T428/1352Polymer or resin containing [i.e., natural or synthetic]
    • Y10T428/1397Single layer [continuous lay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855Of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909Next to second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913Monoolefin polym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Blow-Moulding Or Thermoform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프로필렌 특성을 이용함으로써 뛰어난 투명도를 갖는 폴리올레핀 수지 취입 바틀을 제공한다. 즉, 상기 취입 바틀은 (A) 결정 융점이 110 내지 145℃이며 3 내지 10중량%의 에틸렌 단위를 갖는 다중-성분계의 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70 내지 99.99중량%를 (B) 직쇄 저밀도 폴리에틸렌 15 내지 0.01중량%, 저밀도 폴리에틸렌 4 내지 0.01중량% 및 고밀도 폴리에틸렌 4 내지 0.01중량%중에서 선택된 2종 또는 3종의 폴리에틸렌 특정양과 혼합시켜 제조한, 230℃에서 용융 유속이 0.5 내지 10g/10분인 조성물을 압출 취입 성형시켜 수득한 폴리올레핀 수지 취입 바틀이다.

Description

폴리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진 취입 성형된 중공 용기
본 발명은 폴리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진 취입 성형된 중공 용기(blow bottle)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투명도가 상당히 우수하며 냄새가 없고 성형적성이 양호한 폴리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진 취입 성형된 중공 용기에 관한 것이다.
폴리프로필렌 취입 성형된 중공 용기는 강성, 내충격성 및 내약품성과 같은 특성이 탁월하나 투명도가 불량하고 적용이 제한되는 단점이 있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제(소)60-124643호에는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및 직쇄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의 혼합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용기에 관해서 기술되어 있으며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제(소)63-162740호에는 특정의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사출 취입 성형용 올레핀 수지 조성물에 관해 기술되어 있다. 또한, 투명도를 증진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제(평)3-14852호에는 3-메틸부텐-1-을 함유하는 프로필렌 중합체 조성물로 이루어진 취입 성형된 용기에 관해 기술되어 있으며,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제(소)60-127336호에는 핵생성제를 사용하여 폴리프로필렌으로부터 제조한 추입 성형된 투명 용기에 대해 기술되어 있다.
핵생성제를 사용하는 경우, 높은 결정화 속도, 협소한 성형 조건 및 낮은 생산성과 같은 단점을 초래한다. 대부분의 핵생성제는 특히 약제 및 식품분야에 있어서 상당히 불쾌한 냄새를 방출하며 이러한 냄새의 문제점이 가장 큰 단점이다. 결과적으로, 냄새를 방출하는 핵생성제를 사용하는 경우, 실용적인 취입 성형된 중공 용기를 제공할 수 없다.
또한, 용기의 외관 및 사출 취입 성형적성을 증진시키기 위해서 주성분인 프로필렌 성분을 에틸렌과 랜덤 공중합시키는 방법을 사용하나, 이러한 경우에는 수득된 용기의 투명도는 공중합시킬 에틸렌의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특정 시점으로부터 예기치 않게 손상되기 시작한다. 따라서, 결정성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의 경우에 투명도를 유지시키기 위한 에틸렌 함량은 7 내지 10중량%로 제한되며, 이러한 범위가 공중합체의 투명도를 만족할만한 정도로 증진시키기에 항상 충분한 것만은 아니다.
또한, 일본국 공개특허공고 제(평)3-14852호에 기술되어 있는 3-메틸부텐-1을 함유하는 조성물의 경우도 투명도가 만족할 정도로 증진되지 않았으며 성형조건의 허용 범위도 제한되고 생산성 역시 나쁘다. 특히, 냉각효과가 나쁜 취입 성형된 제품과 같은 성형 제품의 경우 투명도를 증대시키기가 어렵다.
본 발명자들은 전술한 통상의 단점을 해결할 수 있으며 투명도와 폴리프로필렌 특성이 탁월한 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반복된 연구의 결과, 특정의 폴리프로필렌을 특정의 폴리에틸렌과 특정의 비율로 혼합하여 제조한 조성물로부터 제조한 취입 성형된 중공 용기가 상당히 뛰어난 투명도 및 폴리프로필렌 특성을 보유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사실들에 근거하여 완성된 것이다.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진 취입 성형된 중공 용기는 하기와 같이 첫번째 문단 내지 여섯번째 문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1. 결정 융점이 110 내지 145℃이며 에틸렌 단위의 함량이 3 내지 10중량%인 다성분계 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A) 70 내지 99.99중량%와 직쇄 저밀도 폴리에틸렌(B) 15 내지 0.01중량%를 배합하여 제조한, 230℃에서의 용융 유량이 0.5 내지 10g/10분인 조성물을 압출 취입 성형시켜 수득한, 폴리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진 취입 성형된 중공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다성분계 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A)가, 주성분이 프로필렌이고 에틸렌 및 탄소수 4이상의 α-올레핀 하나이상을 3 내지 10중량% 포함하는 다성분계를 공중합시켜 수득한 공중합체인, 폴리올레핀으로 이루어진 수지 취입 성형된 중공 용기.
3. 결정 융점이 110 내지 145℃이며 에틸렌 단위의 함량이 3 내지 10중량%인 다성분계 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A) 80 내지 99.99중량%와 저밀도 또는 고밀도 폴리에틸렌(B) 4 내지 0.01중량%를 배합하여 제조한, 230℃에서의 용융 유량이 0.5 내지 10g/10분인 조성물을 압출 취입 성형시켜 수득한, 폴리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진 취입 성형된 중공 용기.
4. 제3항에 있어서, 다성분계 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A)가, 주성분이 프로필렌이고 에틸렌 및 탄소수 4 이상의 α-올레핀 하나 이상을 3 내지 10중량% 포함하는 다성분계를 공중합시켜 수득한 공중합체인, 폴리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진 취입 성형된 중공 용기.
본 발명에 사용할 수 있는 다성분계 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는 결정성 융점(Tm)이 110 내지 145℃이며 에텔렌 단위의 함량이 3 내지 10중량%인 다성분계의 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이며 다성분계는 3성분 이상의 성분을 갖는다. 2성분계의 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는 투명도가 양호한 취입 성형된 중공 용기를 제공할 수 없다. 여기에서, 결정 융점(Tm)은 결정의 용융을 수반하며 질소 대기하에 시차 주사 열량계를 사용하여 20℃/분의 속도로 샘플 10mg을 가열하여 얻는 흡열 곡선의 피이크 온도를 의미한다. 결정 융점(Tm)이 145℃ 이상이거나 110℃ 미만인 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는 수득된 용기의 투명도가 불량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취입 성형된 중공 용기의 제조에 적합하지 않다. 일반적으로, 에틸렌과 같은 공단량체 성분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의 결정 융점(Tm)이 낮아진다. 예를 들면, 공중합체 중의 에틸렌 성분의 함량이 4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결정 융점(Tm)은 140℃ 이하이며, 이는 공중합체의 랜덤도에 따라 약간 다르다.
다성분계 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는 주성분이 프로필렌이고 에틸렌 및 탄소수 4이상의 α-올레핀(예:부텐-1 및 헥센-1) 하나 이상을 3 내지 10중량% 포함하는 3성분계를 공중합시킴으로써 수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다성분계 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의 제조는 이들 성분들을 저온 및 고농도의 수소하에 지글러-낫타(Ziegler-Natta) 촉매 또는 공지된 환원형 또는 담체형 고활성 촉매를 사용하여 용액 중합 또는 기상 중합시킴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다성분계 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의 전형적인 예는 에틸렌 3 내지 10중량%, 부텐-1 또는 헥센-1 3 내지 6중량% 및 프로필렌 94 내지 84중량%를 포함하는 3성분계를 공중합시켜 수득할 수 있으며, 이렇게 하여 수득된 공중합체의 Tm은 120 내지 135℃이다. 특히, Tm이 120 내지 135℃이고 230℃에서 용융 유량(melt flow rate:MFR)이 2 내지 8g/10분인 공중합체가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성분계의 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중 에틸렌 단위의 함량은 적외선 분석 또는 MFR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반면, 프로필렌-에틸렌 블럭 공중합체의 결정 융점(Tm)에 있어서, 최고 피이크는 150℃를 초과하는 온도에서 관찰되며, 두번째 작은 피이크는 110 내지 130℃ 범위에서 관찰된다. Tm이 140℃ 이상인 블럭 공중합체는 본 발명의 목적에 적합하지 않으며, 그 이유는 이로부터 수득한 취입 성형된 중공 용기의 투명도가 매우 나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취입 성형된 중공 용기 제조에 사용할 수 있는 직쇄 저밀도 폴리에틸렌은 당해 분야의 숙련인들이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이라 부르며 이는 지글러-낫타 촉매를 사용하여 주성분으로서의 에틸렌을 부텐-1 또는 헥센-1과 같은 α-올레핀과 공중합시켜 제조할 수 있는 에틸렌 공중합체이다. 특히, 밀도가 0.915 내지 0.935g/cm3이고 190℃에서 MFR이 0.5 내지 50g/10분인 폴리에틸렌이 특히 바람직하다. 배합될 직쇄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양은, 조성물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01 내지 15중량%,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1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3중량%이다. 폴리에틸렌의 양이 0.01중량% 미만인 경우 투명도 증진 효과가 불충분하며; 15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직쇄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불투명도가 증가한다. 따라서, 이러한 부적합한 양의 직쇄 저밀도 폴리에틸렌은 본 발명이 의도하는 투명한 용기의 제조에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취입 성형된 중공 용기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는 저밀도 폴리에틸렌은 바람직하게는 밀도가 0.915 내지 0.935g/cm3이고 고압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는 폴리에틸렌이다. 특히 바람직한 폴리에틸렌은 밀도가 0.915 내지 0.925cm3이고 190℃에서 MFR이 0.5 내지 30g/10분인 폴리에틸렌이다. 본 발명의 취입 성형된 중공 용기의 제조에 사용할 수 있는 고밀도 폴리에틸렌은 중압 또는 저압하에 지글러-낫타 촉매 또는 공지된 환원형 또는 담체형 고활성 촉매를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는 폴리에틸렌이다. 특히 바람직한 고밀도 폴리에틸렌은 밀도가 0.945 내지 0.970cm3이고 190℃에서 MFR이 0.5 내지 30분이다.
저밀도 또는 고밀도의 폴리에틸렌의 양은, 조성물 총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01 내지 4중량%,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2중량%이다. 폴리에틸렌의 양이 0.01중량% 미만인 경우 투명도의 증진 효과가 불충분하며; 4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저밀도 또는 고밀도의 폴리에틸렌의 불투명한 느낌이 증가되는데, 이러한 사실은 투명한 용기에 대해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의 취입 성형된 중공 용기에 사용되는 조성물은, 전술한 다성분계 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A)와 직쇄 저밀도 폴리에틸렌, 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고밀도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된 폴리에틸렌(B)을 배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소택틱(isotactic) 폴리프로필렌 또는 에틸렌을 4중량% 이하 함유하는 결정성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는 본 발명의 목적을 손상시키지 않는 한 함께 사용할 수 있다. 전술한 폴리에틸렌은 직쇄 저밀도 폴리에틸렌, 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고밀도 폴리에틸렌중에서 선택된 것일 수 있으며 또한 2가지 이상의 폴리에틸렌의 혼합물, 예를 들면 직쇄 저밀도 폴리에틸렌, 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고밀도 폴리에틸렌의 3가지 폴리에틸렌의 혼합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손상시키지 않는한, 다성분계 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틸렌 중의 상이한 것을 선택하여 본 발명의 목적에 부합되게 혼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본 발명의 취입 성형된 중공 용기의 제조에 사용할 수 있는 조성물은, 본 발명의 목적을 손상시키지 않는 한, 산화방지제, 내후제, 자외선흡수제, 대전방지제, 착색제, 유기 핵생성제 및 무기 핵생성제, 예를 들면 전술한 성분외에 활석과 같은 공지된 각종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취입 성형된 중공 용기의 제조에 사용할 수 있는 조성물의 각 성분을 혼합하기 위해, 예를 들면 텀블러와 같은 고속 교반기가 장착된 혼합기, 헨쉘(Henschel) 혼합기(상표명) 또는 슈퍼믹서(supermixer:상표명)를 사용하거나 또는 리본형 혼합기 또는 텀블러 혼합기와 같은 통상의 혼합 기계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용융 및 혼련이 필요한 경우 통상의 1축 스크류 압출기 또는 2축 스크류 압출기를 사용할 수 있다. 용융/혼련 온도는 일반적으로 160 내지 300℃, 바람직하게는 230 내지 270℃이다.
본 발명의 취입 성형된 중공 용기는 압출 취입 성형법을 사용함으로써 수득하 수 있다. 이러한 압출 취입 성형법의 한 예로는 압출기를 사용하여 패리손(parison)을 용융 압출시키고, 이 패리손을 50℃로 유지되는 취입 성형용 금형내로 도입시키고 공기 취입 오리피스를 통해 5 내지 10kg/cm3의 압력을 갖는 공기를 취입시킨 후 패리손의 형태가 고정될 때까지 공기압을 적용시키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수득된 취입 성형된 중공 용기는 투시성 및 내충격성이 뛰어나며, 따라서 식품 및 약제에 대한 각종 적용분야에 사용할 수 있다.
핵생성제를 사용한 통상의 취입 성형된 중공 용기에 있어서, 투명도는 양호하나 냄새가 매우 나쁘다. 에틸렌의 2성분계 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로부터 수득된 취입 성형된 중공 용기에 있어서는 악취 문제가 해결되나 투명도 증진 효과가 부족하고 헤이즈(haze) 값이 25이상이며, 이는 투명도가 충분하지 못함을 의미한다.
반면, 본 발명에 따라 수득된 폴리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진 취입 성형된 중공 용기는 상당히 뛰어난 투명도, 즉 20미만의 투명도 헤이즈 값, 때로는 7의 헤이즈 값을 가지며 통상의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진 취입 성형된 중공 용기에 냄새가 덜 난다. 본 발명의 취입 성형된 중공 용기 제조에 있어서, 성형 조건의 허용 범위가 광범위하며 따라서, 성형적성 및 생산성이 양호하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라 수득한 폴리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진 취입 성형된 중공 용기는 청결한 상태를 요하는 약제 및 식품용 용기로서 매우 유용하다.
[실시예]
이제,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 및 비교실시예를 참조로 설명하며, 이는 본 발명의 영역을 이들 실시예로 제한하려함은 아니다. 동시에, 실시예 및 비교실시예에 나타낸 특성들은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측정한다:
(1) 결정 융점(Tm)은 실온(23℃)에서 질소대기하에 20℃/분의 샘플 승온 속도에서 시차 주사 열량계를 사용하여 측정하며, 결정의 용융을 수반하는 흡열 곡선의 피이크 온도(℃)로서 표시된다.
(2) 230℃에서의 MFR(g/10분)은 JIS K7210(1976)에 따른 시험 조건 14(230℃,2.16Kgf)하에 측정된다.
(3) 190℃에서의 MFR(g/10분)은 JIS K7210(1976)에 따른 시험 조건14(190℃,2.16Kgf)하에 측정된다.
(4) 투명도(헤이즈 값)는 취입 성형된 중공 용기 몸통의 중앙부분으로부터 샘플(두께 0.6mm)을 취한 후 ASTM D1003에 따라 헤이즈 값(%)을 측정한다. 이 값이 작을수록 투명도가 더 우수하다.
(5) 밀도(g/cm3)는 JIS K7112(1980)에 따른 시험 조건의 방법 D(밀도 구배 튜브 방법)에 따라 측정한다.
(6) 냄새에 대해서는, 동시에 성형한 취입 성형된 중공 용기 10개를 10명의 시험 대상자에게 냄새를 맡게하여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냄새를 평가한다:시험 대상자 모두가 냄새가 없거나 극히 미약하여 불쾌한 느낌이 없다고 인정된 용기를 ○로 나타내며 6명 이상의 시험 대상자가 냄새가 불쾌하다고 인정한 용기를 ×로 나타낸다.
(7) 광택성(%)은 JIS K7105(1981)에 따른 시험 조건(60℃에서 거울 표면)에 따라 측정한다.
[실시예 1]
Tm이 125℃이고 230℃에서 MFR이 4.3g/10분인 3성분계(에틸렌 5.0중량%, 부텐-1 4.5중량% 및 프로필렌 90.5℃를 함유함)의 결정성 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100중량부를, 190℃에서 MFR이 8.0g/10분이고 밀도가 0.920g/cm3인 직쇄 저밀도 폴리에틸렌 0.1중량부, 산화 방지제로서의 2,6-디-t-부틸-p-크레졸 0.1중량부 및 칼슘 스테아레이트 0.1중량부와 혼합한다. 이어서, 혼합물을 헨쉘 혼합기를 사용하여 혼합한 후 용융시키고 혼련시키고 압출기로 압출하여 230℃에서 MFR이 4.6g/10분인 펠릿형 조성물을 수득한다.
이어서, 이 조성물을 압출 취입 성형기(상표명:Placo S-50NA)를 사용하여 170 내지 210℃의 압출 온도 및 30℃의 성형 온도에서 성형하여 평균 몸통 두께가 0.6mm인 500ml 용적의 취입 성형된 중공 용기를 수득한다. 이 취입 성형된 중공 용기의 특성은 표 1과 같다.
[실시예 2 내지 6]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되, 단, 결정성 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및 직쇄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양을 변화시킨다. 상기 물질의 양과 각 조성물의 230℃에서의 MFR 및 취입 성형된 중공 용기의 특성은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7 내지 9]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되, 단, 다른 종류의 직쇄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사용한다. 상세한 사항은 표 1과 같다.
[비교실시예 1]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되, 단, 직쇄 저밀도 폴리에틸렌은 사용하지 않는다. 상세한 사항은 표 1과 같다.
[비교실시예 2]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되, 단, 직쇄 저밀도 폴리에틸렌은 사용하지 않으며 핵생성제인 디벤질리덴소르비톨 0.2중량부를 추가로 혼합시킨다. 상세한 사항은 표 1과 같다.
[비교실시예 3]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되, 단, 직쇄 저밀도 폴리에틸렌 20중량부를 사용한다. 상세한 사항은 표 1과 같다.
표 1에 나타낸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9에 따라 수득한 투명한 취입 성형된 중공 용기가 비교실시예 1에 따른 취입 성형된 중공 용기에 비해 투명도가 더 높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비교실시예 2에 따라 수득한 사출 성형된 제품에 있어서, 뛰어난 투명도를 수득하기 위한 목적으로 핵생성제인 디벤질리덴소르비톨 0.2%를 첨가했으나, 이 제품은 묘한 냄새를 방출하며 관능시험에 의해 불쾌한 것으로 판정되었다. 이러한 취입 성형된 중공 용기의 사용은 현저하게 제한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비교실시예 3에 따라 수득한 취입 성형된 중공 용기에 있어서는, 직쇄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다량으로 사용하여 폴리에틸렌의 불투명한 느낌이 증가되며 헤이즈 값이 높다. 따라서, 이 제품도 투명한 취입 성형된 중공 용기로서는 바람직하지 못하다.
[실시예 10]
Tm이 132℃이고 230℃에서 MFR이 6.4g/10분인 3성분계(에틸렌 성분 3.7중량%, 부텐-1 성분 4.5중량% 및 프로필렌 91.8중량%를 함유함) 결정성 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99.5중량부를, 190℃에서 MFR이 8.0g/10분이고 밀도가 0.920g/cm 인 직쇄 저밀도 폴리에틸렌 0.5중량부, BHT 0.1중량부 및 칼슘 스테아레이트 0.1중량부와 혼합한다. 이어서, 혼합물을 헨쉘 혼합기를 사용하여 혼합시킨 후 용융시키고 압출기로 혼련시킨 후 물을 사용하여 냉각시키고 절단하여 230℃에서 MFR이 6.5g/10분인 펠릿형 조성물을 수득한다.
이어서, 원료인 이 조성물을 압출 취입 성형기(상표:Placo S-50NA)를 사용하여 180℃의 압출온도 및 40℃의 성형 온도에서 성형하여 평균 몸통 두께가 0.6mm인 500ml 용적의 취입 성형된 중공 용기를 수득한다. 이 취입 성형된 중공 용기의 특성은 표 2와 같다.
[실시예 11 내지 12]
실시예 10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되, 단, 3성분계 결정성 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및 직쇄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양을 변화시킨다. 상세한 사항은 표 2와 같다.
[비교실시예 4]
실시예 10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되, 단, 3성분계 결정성 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100중량부를 사용하며 직쇄 저밀도 폴리에틸렌은 사용하지 않는다. 상세한 사항은 표 2와 같다.
[비교실시예 5 내지 8]
비교실시예 4와 실시예 10 내지 12와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되, 단, 3성분계 결정성 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대신에 2성분계(에틸렌 성분 6.7중량% 및 프로필렌 93.3중량%를 함유함) 결정성 랜덤 공중합체를 사용한다. 상세한 사항은 표 2와 같다.
표 2에 나타낸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실시예 10 내지 12에 따라 수득한 취입 성형된 중공 용기가 직쇄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사용하지 않은 비교실시예 4에 따라 수득한 취입 성형된 중공 용기에 비해 투명도가 현저하게 증진되었음은 명백하다.
또한, 실시예 10 내지 12에 있어서, 성형시 중공 용기의 금형으로 부터의 이형 특성이 양호하며 이 취입 성형된 중공 용기의 광택 또한 뛰어나다.
반면, 2성분계의 결정성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비교실시예 5) 및 추가로 직쇄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함유하는 공중합체(비교실시예 6 내지 8)로부터 수득한 취입 성형된 중공 용기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나며, 투명도 증진 효과도 부족하고 헤이즈 값이 25를 초과한다. 따라서, 상기 비교실시예의 취입 성형된 중공 용기는 본 발명의 목적에 적합하지 않다.
[실시예 13 내지 15, 비교실시예 9]
Tm이 125℃이고 230℃에서 MFR이 4.3g/10분인 3성분계(에틸렌 성분 5.0중량%, 부텐-1 성분 4.5중량% 및 프로필렌 90.5중량%를 함유함) 결정성 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를 190℃에서 MFR이 4.3g/10분이고 밀도가 0.950g/cm 인 고밀도 폴리에틸렌과 표 3에 나타낸 비율로 혼합시킨다. 이어서, 후속 과정은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펠릿형의 조성물을 수득한다.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상기 조성물로부터 500ml 용적의 취입 성형된 중공 용기를 성형시킨다. 그 결과는 표 3과 같다.
[실시예 16 내지 18, 비교실시예 10]
실시예 13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되, 단,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190℃에서 MFR이 2.0g/10분이고 밀도가 0.922g/cm 인 측쇄 저밀도 폴리에틸렌에 가한다.
그 결과, 실시예 13 내지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0.1 내지 3.0중량%로 사용하는 경우, 헤이즈 값이 20% 이하이며 이들 실시예에 따라 수득한 취입 성형된 중공 용기는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혼합시키지 않은 비교실시예 1에 따라 수득한 취입 성형된 중공 용기(헤이즈 값 31%)에 비해 투명도가 확연히 증진되었음이 명백하다.
또한, 고밀도 폴리에틸렌의 양이 4중량%를 초과하는 경우(비교실시예 9), 고밀도 폴리에틸렌 고유의 불투명한 느낌이 관찰되며 비교실시예 9에서와 같이 이들 조성물은 본 발명에 따른 뛰어난 투명도를 갖는 취입 성형된 중공 용기 제조에는 적합하지 못하다.
유사하게, 측쇄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혼합시키는 실시예 16 내지 18의 경우에 있어서, 측쇄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양은 0.1 내지 3중량%이며, 따라서 헤이즈 값이 20% 이하이고 높은 투명도를 갖는 취입 성형된 중공 용기가 수득될 수 있다. 비교실시예 10에 있어서는, 측쇄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양은 5중량%이며 따라서, 불투명한 상태가 현저하다. 따라서, 비교실시예 10의 조성물은 투명한 취입 성형된 중공 용기 제조에 적합하지 않다.
[실시예 19 내지 27]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조성물을 표 4에 나타낸 혼합 비율로 수득한다. 이들 조성물을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성형시켜 500ml 용적의 취입 성형된 중공 용기를 수득한다. 결과는 표 4와 같다.
표에 나타낸 결과로부터, 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고밀도 폴리에틸렌의 혼합물 또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및 직쇄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경우 투명도가 상당히 뛰어난 취입 성형된 중공 용기가 수득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폴리에틸렌 혼합물은 투명한 취입 성형된 중공 용기의 제조에 적합하다.

Claims (6)

  1. 결정 융점이 110 내지 145℃이며 에틸렌 단위의 함량이 3 내지 10중량%인 다성분계 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A) 70 내지 99.99중량%와 직쇄 저밀도 폴리에틸렌(B) 15 내지 0.01중량%를 배합하여 제조한, 230℃에서의 용융 유량이 0.5 내지 10g/10분인 조성물을 압출 취입 성형시켜 수득한, 폴리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진 취입 성형된 중공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다성분계 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A)가, 주성분이 프로필렌이고 에틸렌 및 탄소수 4이상의 α-올레핀 하나이상을 3 내지 10중량% 포함하는 다성분계를 공중합시켜 수득한 공중합체인, 폴리올레핀으로 이루어진 수지 취입 성형된 중공 용기.
  3. 결정 융점이 110 내지 145℃이며 에틸렌 단위의 함량이 3 내지 10중량%인 다성분계 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A) 80 내지 99.99중량%와 저밀도 또는 고밀도 폴리에틸렌(B) 4 내지 0.01중량%를 배합하여 제조한, 230℃에서의 용융 유량이 0.5 내지 10g/10분인 조성물을 압출 취입 성형시켜 수득한, 폴리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진 취입 성형된 중공 용기.
  4. 제3항에 있어서, 다성분계 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A)가, 주성분이 프로필렌이고 에틸렌 및 탄소수 4 이상의 α-올레핀 하나 이상을 3 내지 10중량% 포함하는 다성분계를 공중합시켜 수득한 공중합체인, 폴리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진 취입 성형된 중공 용기.
  5. 결정 융점이 110 내지 145℃이며 에틸렌 단위의 함량이 3 내지 10중량%인 다성분계 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A) 70 내지 99.99중량%와 직쇄 저밀도 폴리에틸렌 15 내지 0.01중량%, 저밀도 폴리에틸렌 4 내지 0.01중량% 및 고밀도 폴리에틸렌 4 내지 0.01중량%중에서 선택된 2종 또는 3종의 특정량의 폴리에틸렌(B)을 배합하여 제조한, 230℃에서의 용융 유량이 0.5 내지 10g/10분인 조성물을 압출 취입 성형시켜 수득한, 폴리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진 취입 성형된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다성분계 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A)가, 주성분이 프로필렌이고 에틸렌 및 탄소수 4이상의 α-올레핀 하나이상을 3 내지 10중량% 포함하는 다성분계를 공중합시켜 수득한 공중합체인, 폴리올레핀으로 이루어진 수지 취입 성형된 중공 용기.
KR1019920003236A 1991-03-01 1992-02-28 폴리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진 취입 성형된 중공용기 KR1001957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933991A JPH0694155B2 (ja) 1991-03-01 1991-03-01 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製中空容器
JP91-059339 1991-03-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8128A KR920018128A (ko) 1992-10-21
KR100195776B1 true KR100195776B1 (ko) 1999-06-15

Family

ID=13110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3236A KR100195776B1 (ko) 1991-03-01 1992-02-28 폴리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진 취입 성형된 중공용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658628A (ko)
JP (1) JPH0694155B2 (ko)
KR (1) KR10019577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7383B1 (ko) * 1999-09-08 2006-06-08 삼성토탈 주식회사 압출코팅용 랜덤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37048B1 (en) * 1995-12-01 2002-08-20 Chisso Corporation Molded resin articles
JP2003522092A (ja) * 2000-02-11 2003-07-22 デングラス テクノロジーズ エルエルシー. 膜が酸化セリウムを有する防反射性uv遮断多層コーティング
EP1206499B1 (en) 2000-05-31 2004-07-28 Basell Poliolefine Italia S.p.A. Propylene polymer compositions having improved impact strength and excellent optical properties
US6632874B2 (en) 2001-05-01 2003-10-14 The Coca-Cola Company Method to decrease aldehyde content in polyolefin products
US7041350B1 (en) 2002-08-30 2006-05-09 The Coca-Cola Company Polyester composition and articles with reduced acetaldehyde content and method using hydrogenation catalyst
US20040219319A1 (en) * 2003-04-30 2004-11-04 Brooks Gary T. High clarity formed articles of polypropylene
US6762275B1 (en) 2003-05-27 2004-07-13 The Coca-Cola Company Method to decrease the acetaldehyde content of melt-processed polyesters
US20050049391A1 (en) * 2003-08-28 2005-03-03 Mark Rule Polyester composition and articles with reduced acetaldehyde content and method using vinyl esterification catalyst
US20070082185A1 (en) * 2005-10-12 2007-04-12 Japan Polypropylene Corporation Multi-layered film
JP5007105B2 (ja) * 2005-11-22 2012-08-22 三菱鉛筆株式会社 液体収容容器用の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よりなる液体収容容器
BR112013015536A2 (pt) * 2010-12-21 2017-07-25 Basell Polyolefine Gmbh composição de polipropileno com alta elasticidade e transparência
JP5779889B2 (ja) * 2011-01-20 2015-09-16 キョーラク株式会社 多層プラスチック容器
KR101567269B1 (ko) 2011-12-27 2015-11-06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4-메틸-1-펜텐 (공)중합체 조성물, 해당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필름 및 중공 성형체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79195A (ja) * 1974-12-28 1976-07-09 Chisso Corp Ketsushoseipuropiren arufua orefuinnechiren 3 genkyojugotaino seizoho
JPS5379939A (en) * 1976-12-23 1978-07-14 Sumitomo Chem Co Ltd Blow molding resin composition
JPS5838459A (ja) * 1981-08-31 1983-03-05 Shin Kobe Electric Mach Co Ltd 密閉形アルカリ蓄電池用極板の製造法
US4500681A (en) * 1982-12-27 1985-02-19 Exxon Research & Engineering Co. Thermoplastic blend of polyolefin, isobutylene-backbone elastomer and ethylene copolymer
US4577768A (en) * 1983-11-03 1986-03-25 Owens-Illinois, Inc. Ethylene polymer blend and containers prepared therefrom
JPS60127336A (ja) * 1983-12-13 1985-07-08 Mitsui Toatsu Chem Inc 透明なポリプロピレン製ブロ−成形容器
US4607074A (en) * 1984-07-11 1986-08-19 Exxon Research & Engineering Co. Dynamically cured thermoplastic olefin polymers
JPS63162740A (ja) * 1986-12-26 1988-07-06 Showa Denko Kk 射出吹込成形用オレフイン系樹脂組成物
JPH0796633B2 (ja) * 1987-08-29 1995-10-18 出光石油化学株式会社 オレフィン共重合体組成物
JP2695459B2 (ja) * 1989-02-17 1997-12-24 昭和電工株式会社 耐放射線性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
JPH0314852A (ja) * 1989-03-30 1991-01-23 Mitsubishi Kasei Corp ポリプロピレン樹脂製ブロー成形容器
US5041491A (en) * 1989-10-31 1991-08-20 Amoco Corporation Polypropylene with improved impact properti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7383B1 (ko) * 1999-09-08 2006-06-08 삼성토탈 주식회사 압출코팅용 랜덤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5245911A (ja) 1993-09-24
US5658628A (en) 1997-08-19
KR920018128A (ko) 1992-10-21
JPH0694155B2 (ja) 1994-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21081A (en) Polyolefins compatibilized with styrene copolymers and/or polymer blends and articles produced therefrom
KR100195776B1 (ko) 폴리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진 취입 성형된 중공용기
EP0041747B1 (en) Biaxially stretched polypropylene-based plastic products, and process for making such products
US5017659A (en) Polymer composition, a process for its manufacture, and a thermoplastic moulding composition
CA2012729C (en) Dulled stretched molding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US4709808A (en) Degradable polymer composition and articles prepared from same
JPS6411061B2 (ko)
KR0159685B1 (ko) 폴리프로필렌 다층블로성형체
EP0316037A1 (en) A polymer composition, a process for its manufacture, and a thermoplastic polymer composition
JP3396153B2 (ja) 熱成形用樹脂組成物及びシート
JP2649619B2 (ja) 高光沢多層中空容器
JPH0631796A (ja) 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製中空容器
JPH0496947A (ja) ポリ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
JPH0588264B2 (ko)
JP3324975B2 (ja) ストレッチ包装用フィルム
JP2001181455A (ja) 中空成形用樹脂組成物および中空成形容器
JP3368625B2 (ja) 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製包装材
JP3894822B2 (ja) 樹脂組成物及び延伸成形体
JPH05124092A (ja) ポリオレフイン系樹脂製中空容器
JPH08419B2 (ja)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シート類の製造方法
JPH11152379A (ja) ブロー成形用樹脂組成物
JPH07112479A (ja) ポリプロピレン製ブロー成形容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11170454A (ja) ポリプロピレン系シート
JP3106834B2 (ja) 高光沢多層中空成形容器及びそれに好適なオレフィン重合体組成物
JP2002338761A (ja) ブロー成形用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成形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20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