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5458B1 - 신호다중화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신호다중화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5458B1
KR100195458B1 KR1019960703809A KR19960703809A KR100195458B1 KR 100195458 B1 KR100195458 B1 KR 100195458B1 KR 1019960703809 A KR1019960703809 A KR 1019960703809A KR 19960703809 A KR19960703809 A KR 19960703809A KR 100195458 B1 KR100195458 B1 KR 1001954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attenuation
variable
predetermined
le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7038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700966A (ko
Inventor
쇼이치 나라하시
겐 구마가이
도시오 노지마
요시아키 다루사와
Original Assignee
오보시 고지
엔.티.티. 이도오쯔우신모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보시 고지, 엔.티.티. 이도오쯔우신모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보시 고지
Publication of KR9707009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7009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54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54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00Frequency-division multiplex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00Frequency-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02Details
    • H04J1/06Arrangements for supplying the carrier wave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synchronisation signal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3/00Gain control in amplifiers or frequency changers without distortion of the input signal
    • H03G3/20Automatic control
    • H03G3/30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3/00Gain control in amplifiers or frequency changers without distortion of the input signal
    • H03G3/20Automatic control
    • H03G3/30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 H03G3/3036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in high-frequency amplifiers or in frequency-changers
    • H03G3/3042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in high-frequency amplifiers or in frequency-changers in modulators, frequency-changers, transmitters or power ampl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00Frequency-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02Details
    • H04J1/06Arrangements for supplying the carrier wave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synchronisation signals
    • H04J1/065Synchronisation of carrier sources at the receiving station with the carrier source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00Frequency-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02Details
    • H04J1/16Monitor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00Frequency-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20Frequency-division multiplex systems in which at least one carrier is angle-modulat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10Frequency-modulated carrier systems, i.e. using frequency-shift key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10Frequency-modulated carrier systems, i.e. using frequency-shift keying
    • H04L27/12Modulator circuits; Transmitter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2Channe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ignal
    • H04L5/06Channe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ignal the signals being represented by different frequenc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14Peak power aspects
    • H04L27/2621Reduction thereof using phase offsets between subcarriers

Abstract

단자(111∼11n)에서의 입력변조신호는 주파수변환수단(121∼12n)에서 서로 다른 주파수 대의 신호로 주파수변환되고, 이들 변환출력은 가변감쇠기(211∼21n)을 각각 통하여 전력합성수단(16)으로 공급되고, 신호다중화되어 출력된다. 그 다중화출력은 일부가 분기되고, 레벨검출수단(23)으로 포락선전력레벨이 검출되고, 제어수단(24)은 그 검출레벨(L)를 입력하고, L이 다중화신호의 평균전력의 k배의 레벨(Ls)(k은 4∼5정도)를 넘으면 감쇠기(211∼21n)에 대하여 1/△Fo(초)(△Fo는 다중화신호의 대역폭주파수)의 시간, 변조신호전력의 평균전력을 k/n배 이하로 감쇠한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신호다중화장치 및 방법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종래의 신호다중화장치를 나타내는 불록도이다.
제2도는 종래의 FSK 신호다중화장치의 원리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제3도는 종래의 FSK 신호다중화장치의 구체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제4도는 FSK 다중화신호의 포락선전력파형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5도는 제1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제6a도는 제5도의 제어수단(24)의 제어동작예, 또한 제3발명 및 실시예의 처리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고, 제6b도는 그 제어동작에 있어서의 가변감쇠기(211∼21n)의 감쇠동작예, 또한 제3발명 및 실시예의 처리순서를 나타내는 타임차트이다.
제7도는 제1 및 제2발명에 있어서의 제어수단(24)의 제어동작예, 또한 제3 및 제4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처리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제8도는 제1 및 제2발명에 있어서의 제어수단(24)의 제어동작예, 또한 제3 및 제4발명의 더욱 다른 실시예의 처리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제9도는 제2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제10도는 제2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제11도는 제1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제12도는 제2발명의 더욱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제13도는 제1발명의 더욱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제14도는 제5발명(제6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제15도는 제7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제16도는 제15도중의 주요부의 상태도이다.
제17도는 제7발명에 있어서 m치 FSK 변조기로서 PLL 주파수신시사이저를 사용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제18도는 제7발명에 있어서 m치 FSK 변조기로서 DDS를 사용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제19도는 DDS의 기본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제20도는 제7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제21도는 제7발명의 더욱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제21도는 제7발명의 더욱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제22도는 제7발명의 더욱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제23도는 제7발명의 더욱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제24도는 제7발명의 더욱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제25도는 제7발명의 더욱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제26도는 제7발명의 더욱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제27도는 제7발명에 제1발명을 적용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제28도는 제7발명에 제2발명을 적용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제29도는 제3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처리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제30도는 제7발명에 있어서의 가변이상수단(47i)에 대한 설정이상량의 연산순서의 예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기술분야]
본 발명의 예컨대 이동통신의 기지국이든지 위성통신등의 멀티캐리어송신계, 무선호출 시스템의 송신계에 적용되고, 복수의 서로 다른 주파수대의 변조신호(변조된 신호의 것으로서 이하 단지 변조신호라고 기재함)를 전력합성하여 출력하는 신호다중화장치에 관한다.
[배경기술]
제1도에 종래의 신호다중화장치를 나타낸다. 입력단자(111∼11n)에서의 각 입력신호는 주파수변환수단(121∼12n)에서 각 서로 다른 주파수대의 신호로 변환된다. 주파수변환수단(12i(i=1,2,…,n))은 예컨대 입력단자(11i)에서의 BPSK, QPSK, QAM 등의 변조베이스밴드 또는 각종 형식의 변조가 이루어질 수 있는 중간주파수의 입력신호가, 국부발진기(13i)에서 주파수(fi)의 국부신호와 승산기(14i)에서 승산되어 주파수혼합되고, 그 혼합출력으로부터 대역통과필터(15i)에 의해 원하는 주파수대(fi' )의 성분이 각각 얻어지고, 주파수변환수단(12i)의 출력으로 된다. 이들 주파수변환수단(121∼12n)의 각 출력신호는 전력합성수단(16)으로 선형합성되고, 출력단자(17)로 출력된다. 전력합성수단(16)은 n개의 입력계통(채널)으로부터의 서로 주파수대역을 달리하는 변조된 신호(변조신호)를 선형합성하는 것이고, 트랜스회로든지 하이브리드회로등으로 구성된다. 이렇게하여 n채널의 입력신호는 주파수공간상에서 다중화되고, 요컨대 서로 주파수대역이 다르고, 또한 통상은 캐리어주파수간격이 같은, 소위 멀티캐리어신호로서 출력단자(17)에서 얻어진다. 대역통과필터(151∼15n)을 생략하여 전력합성수단(16)의 출력측에 대역통과필터를 설치하는 경우도 있다.
제2도에, 종래의 m치 FSK 신호다중화장치의 기본원리를 m=2의 경우에 관해서 나타낸다. m2의 경우, 국부발진기의 수가 m이 되는 이외는 m=2의 경우와 같다. 이 종래 장치는, n개(n2), 요컨대 n채널분의 m치 FSK 변조기(5i(i=1,2,…,n))와, 전력합성수단(6)으로 이루어진다. 각 m치 FSK 변조기(5i)는 입력단자(1i)와, 서로 다른 주파수로 발진하는 m개(여기서는 m=2)의 국부발진기(2i 및 3i)와, 입력단자(1i)의 입력신호의 부호에 따라서 국부발진기(2i 및 3i)중 어느 하나의 출력신호를 선택, 출력하는 신호전환수단(4i)으로 이루어진다. 이들 m치 FSK 변조기(5i)의 각각의 출력신호는, 서로 주파수대역을 달리하고, 이들 출력신호는 트랜스회로든지 하이브리드회로등으로 구성되는 전력합성수단(6)으로 선형으로 전력합성되고, 출력단자(7)로부터 주파수공간상에서 다중화된 FSK 신호가 출력된다.
국부발진기(2i 및 3i)는 모두 독립으로 동작하도록 나타내어 있지만, 모든 국부발진기(2i 및 3i)의 주파수정밀도를 양호하게 하기위해서, 기준주파수발진수단을 설치하고, 이 출력을 국부발진기의 수만큼 분배하고, 이것에 따라서 국부발진기(2i 및 3i)가 원하는 주파수를 출력하도록 구성하는 경우도 있다.
제3도에 도시한 것처럼, m치 FSK 변조기(5i)를 입력단자(1i)의 신호에 응해서 출력신호의 주파수를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한 1개의 발진수단(통상 PLL 주파수신시사이저를 사용)으로 구성하는 경우도 있다. 제3도는 주파수(fr)의 기준주파수발진수단(8)을 설치한 것과, m치 FSK 변조기(5i)의 구성이외는, 제2도의 기준원리와 같다. 제3도의 m치 FSK 변조기(PLL 주파수신시사이저)(5i)는, 저역통과 여파수단(9i), 증폭수단(10i), 전압제어발진기(VCO)(41i), 가변분주기(42i)위상비교기(43i)로 구성된다. 위상비교기(43i)는 기준주파수발진수단(8)과 가변분주기(42i)pd서의 양신호의 위상을 비교하고, 위상차에 따른 전압을 출력한다. 이 위상차에 따른 전압은 저역통과 여파수단(9i)을 통하여 더욱 증폭수단(10i)를 통하여 VCO(41i)의 제어단자로 공급된다. VCO(41i)의 출력은 가변분주기(42i)로 공급된다. 가변분주기(42i)의 분주비(1/Ni)는 입력신호(Si)에 따라서 설정되고, VCO(41i)로부터 입력신호(Si)에 따른 발진주파수(Ni(fi)=Ni(fr))의 신호가 출력된다.
또한 이상에서는, n개의 각 m치 FSK 변조기(5i)는 각각 다른 중심주파수(캐리어주파수)로 동작하는 것을 전제로 나타내고 있지만, n개의 각 m치 FSK 변조기(5i)를 각각 동일한 중심주파수(캐리어주파수)로 동작시키고, m치 FSK 변조기(5i)의 출력과 전력합성수단(6)과의 사이에, m치 FSK 변조기(5i)의 출력신호를 각각 원하는 주파수대로 주파수 변환하는 주파수변환수단을 삽입하는 구성으로 하는 경우도 있다. 이 주파수변환수단은 주파수신시사이저(혹은 국부발진기) 및 대역통과 여파수단으로 구성된다.
종래의 신호다중화장치를 실제의 통신에 이용하는 경우, 제1도의 출력단자(17)로부터 얻어지는 다중화된 변조신호의 포락선전력에 착안하면, 각 변조신호의 위상은 어떤 특정한 범위내에 여러 가지로 분포하고 있기 때문에, 변조신호의 순간 위상이 일치하는 것은 용이하게 발생하고, 그 순간변조신호의 전압이 동상합성되고, 그 결과, 포락선전력은 대폭 증대되고, 포락선전력의 평균전력레벨을 대폭 상회하는 포락선전력피크치(PEP)를 발생하기 쉽게 된다.
각 m치 FSK 변조신호를 다중화한 신호에 있어서도 그 포락선전력에 착안하면, 각 m치 FSK 변조기의 변조파의 주파수와 주파수전환때의 위상과의 조건에 의해서, 각 변조파의 순간 위상이 일치하는 것이 용이하게 발생하고, 그 순간은 전압이 동상합성된다. 그 결과, 제4a도에 도시한 것처럼, 포락선전력의 평균전력(Pa)을 대폭 상회하는 포락선 전력피크치(PEP)가 발생한다. 발생하는 PEP는, 최대로 평균전력(Pa)의 n배(n은 다중수)로까지 증대하는 가능성이 있다.
어떤 경우에 있어서도, PEP가 이와 같이 포락선전력의 평균전력레벨을 대폭 상회하는 것같은 상태로 다중화신호를 생성하는 경우에, 종래의 신호다중화장치의 출력부에 증폭기를 설치하고, 상기 다중화신호를 그 증폭기에 의해서 저왜곡으로 증폭하고자 하면, 그 증폭기의 소요포화출력을, 적어도 포락선전력의 평균전력레벨보다도 다중화에 있어서의 다중수배만큼 크게 설정하지않으면 안되게 되지만, 이것은 증폭기의 소형화, 전력절약화를 방해한다고 하는 문제가 생긴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위해서, 일본국 공개특개평 2-30537호 공보에는, 각 채널마다 이상기를 설치하고, 이들 이상기의 이상량을 적당히 설정하는 것에 의해 다중화된 신호의 포락선전력피크치(PEP)를 절감하는 것이 나타내여지고 있다. 이 방법에 의하면 각 채널이 무변조상태가 된 때는, 포락선전력피크치에 큰 피크가 생기지 않도록 할 수가 있고, 또한, 양측파대 진폭변조와 같이, 반송파의 초기위상의 유지되는 변조형식의 경우는 유효하지만, 위상변조든지 주파수변조같은 변조형식에 의해 변조된 신호는 변조임력에 의해 반송파의 위상이 변화하기 때문에, 그 멀티캐리어신호에 있어서 포락선전력피크치에 큰 피크가 생기는 우려가 있다. 또한 이 공보의 제7도에 멀티캐리어신호중의 특정주파수의 전력을 검출하여 각 채널의 이상기를 제어하는 것이 나타내여지고 있다. 그러나 검출전력에 응해서 각 이상기를 어떻게 제어하면 되는가의 구체적 기재가 없고, 이 점에 관해서, 본 발명과 비교할 수는 없다.
또한 일본국 공개특개평 6-204773호 공보(1992년10월20일 미국특허출원 제963784호)에는 멜티캐리어신호의 포락선전력피크치(PEP)를 감시하고, 그 PEP가 소정치를 넘으면 각 채널의 이상기의 이상량을 조정하는 것에 의해 멀티캐리어신호의 PEP를 절감하는 것이 나타내여지고 있다.
이 방법에 있어서는 먼저의 일본국 공개공보와 같이, 각 채녈의 이상량을 아떻게 제어하는게 좋은지 모르기 때문에, 각 채널마다 그 이상기의 이상량을 약간 진행시키는 것과 늦추는 것을 행하고, 그때 멀티캐리어신호의 PEP가 증가하는가 감소하는가를 조사하고, 감소하도록 제어하기 위해서 멀티태리어신호의 PEP에 피크가 생기고 있는 지극히 단시간의 사이에, 각 이상기에 가해서 상술한 제어를 필요가 있고, 고속도로 다수의 처리를 필요로 하고, 실용적이지 않다.
일본국 공개특개평 6-204959호 공보(1992년10월20일 미국특허출원 제964596호)에 있어서는 멀티캐리어신호의 PEP와 평균전력과의 비(PEP/평균전력)를 검출하고, 이 비가 소정치를 넘으면, 각 채널의 이상기를 제어하여 PEP를 절감하는 것이 나타내어지고 있다. 이 경우도, 마찬가지로 고속이고, 많은 처리를 필요로 하고 현실적이지 않다. 더욱, 세이무어 쉴린(Seymour SHLIEN)저 Minimization of the Peak Amplitude of a Waveform (시그널 프로세싱 14(1988)91∼93)에 등폭의 12캐리어 2치FSK 멀티캐리어 신호에 있어서, 포락선전력피크치를 절감하는 초기위상조건을 최급강하법을 사용하여 탐색하는 것이 나타내여지고 있다. 구체적 회로구성이 나타내여지고 있지 않고, 어떻게 실현하면 되는가 불명료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다중화신호(멀티캐리어신호)의 PEP가 대폭 증대하는 것을 방지하는 신호다중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다중화신호의 PEP가 대폭 증대되는 것을 방지하고, 더구나 신호에 대한 왜곡이 비교적 작은 신호다중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m치 FSK 신호를 다중화하고, 그 다중화 FSK 신호의 PEP가 대폭 증대하는 것을 방지하는 신호다중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복수의 변조신호를 다중화하는 경우로서, 다중화하는 신호수가 증가한 경우에, 다중화신호의 PEP가 대폭 증대하는 것을 방지하는 신호다중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의 제1발명에 의하면 n개의 입력계통에서의 변조신호를 전력합성수단으로 다중화하는 장치에 있어서, 각 전력합성수단의 각 입력계통에 대한 입력단의 n개중의 m' 개(m'n)와 직렬로 각각 가변감쇠수단이 삽입되고, 전력합성수단에 의해 합성된 신호, 요컨대 다중화신호의 포락선전력레벨이 포락선전력레벨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되고, 제어수단에 의해, 검출포락선전력레벨이 소정치를 넘으면, 소정시간, n개의 가변감쇠수단중의 m개(mm' )에 소정량의 감쇠량이 설정된다.
본 발명의 제2발명에 의하면 제1발명으로 각 입력계통마다 가변감쇠수단을 설치하였지만 이 대신에, 전력합성수단과 출력단자와의 사이에 가변감쇠수단을 설치하고, 그외는 동일하다.
제어수단은 포락선전력레벨이 소정치를 넘는 것이 연속하여 소정회수 이상으로 되면 소정시간, 소정량의 감쇠를 설정한다. 혹은 제어수단은 포락선전력레벨이 소정치를 넘은 상태가 연속하여 소정의 시간이상으로 되면 소정시간, 소정량의 감쇠를 설정한다.
본 발명의 제3발명에 의하면, n개의 변조신호를 선형합성하여 다중화신호를 만드는 방법에 있어서, 다중화신호의 포락선전력레벨(L)을 검출하고, 그 검출레벨(L)을 소정레벨(Ls)과 비교하고, LLs이면, n개의 변조신호중의 m개(mn)에 대하여 소정량의 감쇠를 소정시간 행한다.
본 발명의 제4발명에 의하면 n개의 변조신호를 선형합성하여 다중화신호를 만드는 방법에 있어서, 다중화신호의 포락선전력레벨(L)을 검출하고, 그 검출레벨(L)과 소정레벨(Ls)과 비고하고, LLs이면 다중하신호에 대하여 소정량의 감쇠를 소정시간 행한다.
제3, 제4발명에 있어서, LLs이면, 계수치를 1가산하고, 그 계수치(M)가 소정수(Mo)로 되면 소정량의 감쇠를 부여하는 것을 실행하고, MMo이면 레벨검출단계로 되돌아 가고, LLs이면 M을 0로하여 레벨검출단계로 되돌아간다.
제3, 제4발명에 있어서, LLs 이면 시간(T)의 계수를 개시하고, 그 계수시간(T)이 미리 정한 시간(To)으로 되면 소정량의 감쇠를 부여하는 것을 실행하고, TTo이면 레벨검출단계로 되돌아가고, LLs이면 T를 O로하여 레벨검출단계로 되돌아간다.
이 제1, 제2발명에 있어서는 다중화신호의 포락선전력레벨이 소정치를 넘으면, 감쇠수단을 제어하였지만, 본 발명의 제5, 제6발명에 의하면, 다중화신호의 평균전력이 평균전력검출수단으로 검출되고, 검출한 평균전력에 대한 검출한 포락선전력레벨의 비가 소정치를 넘으면 감쇠수단에 대한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7발명에 의하면, 입력신호의 부호에 응해서 출력의 주파수를 편이시키는 n개(n채널분)의 m치 FSK 변조수단(m, n은 2이상의 정수)에, 기준주파수발진수단으로부터 공통의 기준주파수신호를 부여하고, 이들 m치 FSK 변조수단으로부터 상기 기준 주파수신호를 기준으로 한 주파수의 각 출력신호를 출력하고, 이들 출력신호를 전력합성수단으로 합성하여 출력하는 FSK 신호다중화장치에 있어서 출력하는 변조신호의 위상을 각각 변화시키는 가변이상수단과, m치 FSK 변조수단이 입력신호에 응해서 출력주파수를 바꾸는 타이밍과 동기하고, n개 입력신호의 부호조합에 응해서, 전력합성수단의 출력의 포락선전력피크치가 작게 되도록, 상기 가변이상 수단의 이상량을 설정하게 제어수단을 설치한다.
상기 각m치 FSK 변조수단은 발진수파수가 다른 m개의 발진기와, 그것들 m개의 발진 기중의 1개를 입력의 부호에 응해서 선택하여 그 발진신호를 출력하는 신호전환수단으로 구성된다. 혹은 상기 각 m치 FSK 변조수단은, PLL 주파수신시사이저로 구성된다. 또는 각 채널의 m치 FSK 변조수단과 그 가변이상수단이 각각 직접디지탈 주파수신시사이저(DDS)로 구성된다.
각 채널의 입력신호는 각각 분기수단으로 대응하는 m치 FSK 변조수단과 공통의 제어 수단으로 분기되고, 그 분기수단과 m치 FSK 변조수단의 입력신호의 경로에 지연수단이 각각 삽입된다.
m치 FSK 변조수단이 m개의 발진기로 구성되는 경우 및 PLL 주파수신시사이저로 구성되는 경우는 가변이상수단은 각 m치 FSK 변조수단의 출력측에 삽입되지만, 각 m치 FSK 변조수단의 기준주파수신호의 입력단자와 직렬로 각각 삽입된다. 입력 신호의 부호변화에 의한 변조신호의 주파수변화시의 전후에서 위상이 연속하도록 가변 이상수단의 제어신호가 처리된다.
본 발명의 제7발명에 있어서 더욱 이 제1 또는 제2발명이 조합된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제5도에 이 제1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고, 제1도와 대응하는 부분에 동일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주파수변환수단(121∼12n)의 각 출력경로에 가변감쇠기(211∼21n)가 설치되고, 전력합성수단(16)의 출력측에 방향성결합기(22)가 삽입되고, 방향성결합기(22)로 분기된 합성출력신호, 요컨대 다중화변조신호의 포락선전력 레벨을 검출하는 레벨검출수단(23)이 설치되고, 레벨검출수단(23)의 검출출력이 제어수단(24)에 입력되고, 제어수단(24)에 의해 가변감쇠기(211∼21n)가 제어된다. 가변감쇠기(211∼21n)는, PIN 다이오드와 버랙터 다이오드를 사용하여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고, 시판의 제품도 사용가능하다. 레벨검출수단(23)은, 다이오드와 콘덴서를 사용하여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고, 전력합성수단(16)으로 합성된 출력신호의 포락선전력의 레벨을 검출한다. 제어수단(24)은, 기본회로로서의 A/D 변환기, 마이크로 프로세서, ROM, RAM, D/A 변환기등으로 구성되고, 레벨검출기(23)로부터의 입력신호를 감시하면서, 가변감쇠기(211∼21n)의 설정점을 조정하는 기능을 가진다. 이하, 이 제어수단(24)의 제어동작을 제6a도에 플로차트형식으로 나타낸다.
먼저, 레벨검출수단(23)으로 다중화된 신호의 포락선전력레벨(L)을 검출하고(S1), 그 레벨(L)이 임계치(Ls)를 넘는지 어떤지를 판단한다(S2).
L이 Ls를 넘는 경우, 가변감쇠기(211∼21n)의 각 감쇠량을 O[dB]에서 d[dB]로 설정한다(S3). 이 가변감쇠기(211∼21n)의 동작시간은, 타이밍 차트 제6b도에 도시한 것처럼, 어떤 규정시간(△T)만큼이고, 이를 위한 시간 계수(S4), △T 경과하였는가의 판단처리(S5)를 하고, △T후에 가변감쇠기(211∼21n)의 감쇠량을 다시 O[dB]으로 설정하고, 다시 포락선전력레벨(L)을 검출하는 단계(L1)로 되돌아간다(S6). 단계(S2)에서 L이 Ls를 넘지 않은 경우는 포락선전력레벨(L)을 검출하는 단계(S1)로 되돌아갈 뿐이고, 가변 감쇠기(211∼21n)의 조정은 행하여지지 않는다.
연속파의 변조신호가 n파 다중화된 CW 멀티캐리어신호에 있어서의 캐리어주파수의 간격을 △fo(㎐)로 하는때, CW 밀티캐리어신호의 포락선전력에 피크가 발생하고 있는 시간은 Tp=1/((n-1)△fo)(초)로 견적할 수 있다. 이것은 CW 멀티개리어신호의 대역폭의 역수와 같다. 따라서 단계(S4,S5)에 의한 감쇠를 부여하는 시간(△T)은 Tp으로 하면 좋다.
단계(S2)에서의 임계치(Ls)를, 멀티캐리어신호의 전평균전력(Pa)의 k배(k는 1∼10정도)로하는 경우는 각 가변감쇠기(21i)에 의해 각 캐리어당의 전력을 k/n배 이하가 되로록 조정한다. 요컨대 가변감쇠기(21i)에 대하여 10log(k/n)㏈의 감쇠량을 부여한다. 출력단자(17)에서의 다중화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를 소형으로 구성할 수 있는 점에서 k는 작은 쪽이 좋지만, k가 작으면 빈번히 가변감쇠기(21i)의 감쇠량을 제어하고, 각 변조 신호의 진폭을 억압하게되고, 그만큼 신호가 왜곡하게 된다. 이 점에서는 k는 너무 작게 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고, 4∼5정도가 현실적이다.
제6a도에 나타낸 일련의 제어를 상시, 또는, 간헐적으로 실행하는 것에 의해, 다중화된 신호의 포락선전력레벨(L)이 임계치(Ls)를 넘는 경우에 가변감쇠기(211∼21n)에 의해 다중화신호의 출력레벨이 일정시간(△T)만큼 감쇠되기 때문에, 다중화신호의 PEP가 대폭 증대 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도시하지 않지만, 출력단자(17)에 접속되는 전력증폭기의 허용평균동작전력의 예컨대 4-5배정도로, 임계치(Ls)를 설정하고, 주파수대역폭이 10MHz정도의 다중화신호의 포락선전력레벨이 상기 허용평균동작전력의 4∼5배를 넘는 기간은 최대로 0.1㎲이하 이고, 이 임계치(Ls)를 넘고 있는 부분의 포락선은 타원호상과 같이 서서히 일어선다. 상기 다중화신호의 경우 임계치(Ls)이상의 부분이 10㎱이상으로 되면 신호왜곡이 문제가 된다. 따라서 이 예에서는 포락선전력레벨(L)의 검출을 수 ㎱마다 행하고, L이 Ls를 넘으면△T=0.1㎲의 사이, d=10㏈만큼 가변감쇠기(211∼21n)에 감쇠량을 설정한다.
이 검출제어를 수 ㎱이하로 행하는 것에 의해, 소형의 증폭기를 쓰더라도 저왜곡증폭이 가능해진다.
제6a도에 나타낸 제어방법에서는, 포락선전력레벨(L)이 임계치(Ls)를 넘으면 즉시 가변감쇠기(211∼21n)가 조정되지만, 포락선전력레벨(L)이 임계치(Ls)를 연속하여 넘는 회수가, 미리 정해진 회수(Mo)에 달하는 경우에 가변감쇠기(211∼21n)를 조정하도록 하여 그 정도 영향을 부여하지 않은 정도의 순간적 레벨초과에서는 가변감쇠기(21i)가 제어되지 않도록 한다. 이 경우의 제어수단(24)의 제어동작을 .제7도에 플로차트형식으로 나타낸다.
먼저, 포락선전력레벨(L)이 임계치(Ls)를 넘는 회수를 나타내는 변수(M)를 초기화(M=0)한다(S11). 다음, 레벨검출수단(23)으로 다중화된 신호의 포락선전력레벨(L)을 검출하고(S1), 그 레벨(L)이 임계치(Ls)를 넘는지 어떤지를 판단한다(S2). L이 Ls를 넘는 경우는, 변수(M)를 1만큼 증가한다(S12). L이 Ls를 넘지 않은 경우는, M=0의 단계(S11)로 되돌아갈 뿐이고, 가변감쇠기(211∼21n)의 조정은 행하여지지 않는다.
다음에, M을 +1한 경우는 M이 미리 설정된 값(Mo)과 비교된다(S13). M이 Mo과 같은 경우, 가변감쇠기(211∼21n)의 감쇠량을 O[㏈]에서 d[㏈]로 설정한다(S3). 그 가변감쇠기(211∼21n)의 동작은 제6a도와 같게되고 어떤 규정시간(△T)만큼 감쇠량(d)을 설정한 뒤, M=0의 단계(S11)로 돌아간다.
M이 Mo과 같지않은 경우는, 포락선전력레벨(L)의 검출의 단계(S1)로 되돌아갈 뿐이고, 가변감쇠기(211∼21n)의 조정은 행하여지지 않는다.
이상의 일련의 제어를 상시, 또는, 간헐적으로 실행하는 것에 의해, 다중화된 신호의 포락선전력레벨(L)이 임계치(Ls)를 Mo회 연소하여 넘는 경우에, 가변감쇠기(211∼21n)에 의해 다중화신호의 출력레벨이 일정시간(△T)만큼 감쇠되기 때문에, 다중화신호의 PEP가 대폭 증대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멜티캐리어신호에 있어서는 각 변조신호의 변조에는 상관이 없기 때문에, PEP의 피크가 발생하는 빈도는 여러 가지이고, 단위시간당 소정의 레벨을 넘는 PEP가 몇회 발생하는가를 어림하는 것은 지극히 곤란하다. 요컨대, 연속적으로 몇회로 소정레벨을 넘는 PEP가 발생하는 것도 있지만 단발적으로 소정레벨보다도 높은 PEP가 발생하는 것도 있다. 따라서, 상기예의 경우의 회수(Mo)로 하여서는 2회 이상이지만 기껏 수회정도이다.
제6a도 및 제7도에 나타낸 제어방법에서는, 가변감쇠기(211∼21n)을 조정하기 위한 판정조건으로서 임계치레벨(Ls)를 넘는 회수를 쓰고 있지만, 더욱 다른 판정조건으로서 Ls를 연속하여 넘는 시간이 미리 정해진 시간(To)와 동일하든가, 그것보다도 긴 경우에, 가변 감쇠기(211∼21n)를 조정하도록 한 것이 청구항 6의 발명이고, 이 경우에 제어수단(24)의 제어동작을 제8도에 플로차트형식으로 나타낸다.
레벨검출수단(23)으로 다중화된 신호의 포락선전력레벨(L)을 검출하고(S1), 그 레벨(L)이 임계치(Ls)를 넘는지 어떤지를 판단한다(S2.). L이 Ls를 넘는 경우, 그 넘고 있는 시간(T)을 계측하고(S21), 미리 설정된 값(To)과 비교한다(S22). L이 Ls를 넘지 않은 경우는 포락선전력레벨(L)의 검출의 단계(S1)로 되돌아갈 뿐이고, 가변감쇠기(211∼21n)의 조정은 행하지 않는다.
T가 To와 동일하든가, 그것보다도 큰 경우는, 가변감쇠기(211∼21n)에 대하여, △T만큼 감쇠량(d)을 설정하여, 포락선전력레벨(L)의 검출의 단계(S1)로 되돌아간다. 요컨대 제6a도에서 나타낸 단계(S3)이후의 처리를 한다. 단계(S22)에서 T가 To보다도 작은경우는 포락선전력레벨(L)의 검출의 단계(S1)로 되돌아갈 뿐이고, 가변감쇠기(211∼21n)의 조정은 하지 않는다.
이상의 일련의 제어를 상시, 또는, 간혈적으로 실행하는 것에 의해, 다중화된 신호의 포락선전력레벨(L)이 임계치(Ls)를 연속하여 넘는 시간이 (To)와 동일하든가, 그것보다도 긴 경우에, 가변감쇠기(211∼21n)에 의해 다중화신호의 출력레벨이 일정시간(△T)만큼 감쇠 되기 때문에, 다중화신호의 PEP가 대폭 증대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상기예의 경우, To는 수10㎱ 정도로 된다.
제8도의 실시예에서는 임계치(Ls)를 넘고 있는 시간이 지극히 짧은 것은, 신호왜곡에 그 정도영향에 부여하지 않기 때문이고, 무시하도록 하는 것에 의해, 가변감쇠기(211∼21n)에 대하는 제어회수를 감소시키고 있다.
제9도는, 제2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 실시예는, 제5도의 실시예와 비교하여, 주파수변환수단(121∼12n)의 각 출력경로에 가변감쇠기(211∼21n)를 설치하지 않고, 방향성결합기(22)의 뒤에 가변감쇠기(21)를 1개만 설치한 것이다. 제6a도, 제7도 또는 제8도에 나타낸 방법에서 가변감쇠기(211∼21n)를 제어하였던 것과 같은 수법에 의해 가변감쇠기(21)만을 제어하여 다중화된 신호의 PEP가 대폭 증대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제10도에 도시한 것처럼 전력합성수단(16)과 방향성결합기(22)와의 사이에 가변감쇠기(21)를 1개만 설치하더라도 좋다. 요는 가변감쇠기(21)를 전력합성수단(16)과 출력단자(17)와의 사이에 설치하더라도 좋다. 더욱 이 실시예는 제5도의 실시예와 비교하여, 주파수변환수단(121∼12n)의 국부발진기(131∼13n)의 대신에 신시사이저(251∼25n)를 사용하고, 각 신시사이저(251∼25n)를 1개의 기준주파수발진수단(26)로 구동하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취하는 것에 의해, 각 주파수변환수단(121∼12n)에서의 캐리어주파수의 정밀도를 양호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신시사이저(251∼25n)를 쓰는 것은 제5도, 제9도의 각 실시예에서도 적용할 수가 있다.
제11도에 이 제1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1도의 실시예중의 주파수변환수단(121∼12n)의 대신에 주파수변조수단(311∼31n)이 설치되어 있는 점이 다르다. 주파수변조수단(31i(i=1,2,…,n))에서는 VCO(전압제어발진기)(32i)이 출력이 분주기(33i)에서 주파수분주되고, 그 분주출력은 기준발진기(34i)의 기준신호와 위상비교기(35i)에서 위상비교되고, 그 위상비교출력이 저역통과필터(36i)를 통하여 VCO(32i)에 제어신호로서 공급되고, VCO(32i)에서, 분주기(33i)의 분주비와 기준발진기(34i)의 기준신호의 주파수로 결정된 주파수로, 또한 기준신호의 안정도로 안정화된 신호(반송파)가 출력되고, 이 반송파는 입력단자(11i)에서의 입력신호에 의해 주파수변조되어 주파수변조수단(31i)의 출력이 된다. 분주기(331∼33n)의 각 분주비, 또는/ 및 기준발진기(341∼34n)의 발진주파수가 서로 다르게되고, 주파수변조수단(311∼31n)에서의 각 주파수변조신호는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이고, 또한 통상은 캐리어주파수의 간격은 등간격으로 되어 있다. 주파수변조수단(311∼31n)과 전력합성수단(16)과의 사이에 각각 가변감쇠기(211∼21n)가 삽입된다. 기 밖의 구성 및 동작은 제5도의 실시예와 같다.
제9도, 제10도의 각 주파수변환수단(121∼12n)을 제11도중의 주파수변조수단기(311∼31n)으로 바꾸더라도 좋다. 예컨대 제12도에 도시한 것처럼, 제9도에 나타낸 실시예중의 주파수변환수단(121∼12n)을 제11도중의 주파수변조수단(311∼31n)으로 바꾸더라도 좋다. 이 제12도의 실시예는 제11도중의 기준발진기(341∼34n)의 대신에 공통의 기준주파수발진수단(26)을 사용한 경우이다. 제11도에 나타낸 예에 있어서도, 제12도에 나타낸 것처럼 기준발진기(341∼34n)의 대신에 공통의 기준주파수발진수단(26)을 쓰더라도 좋다. 더욱 제11도, 제12도에 대표하여 나타낸 주파수변조수단(311∼31n)을 쓰는 경우에 있어서의 가변감쇠기(211∼21n,21)에 대하는 제어는 제6a도, 제7도, 제8도에 나타낸 각 수법의 어느것인가로 행하여진다.
제5도, 제11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각 입력계통마다 가변감쇠기(211∼21n)를 설치하고, 그 각 가변감쇠기(211∼21n)의 감쇠량을 전부 같이 설정하는 경우는, 다중화뒤의 멀티캐리어에 대하여 감쇠시키는 경우와 신호에 부여하는 영향은 동일하다. 제9도, 제12도에서 PEP가 소정치를 넘은 경우에 각 캐리어(변조)신호를 전부 같이 제한(억압)한다라는 것으로 되지만, 이것은 전캐리어의 신호를 의도적으로 왜곡시키는 것으로 되고, 결과적으로는 각 캐리어신호가 가지는 정보에 잘못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멀티캐리어신호의 포락선전력을 절감하는 경우에, 아무것도 캐리어(변조신호)마다 전부 같이 진폭을 제한하는 필요는 없다. 예컨대 제13도에 도시한 것처럼 다중화되는 변조신호중, 즉 주파수변환수단(121∼12m)(또는 주파수변조수단(311∼31n))의 출력중 진폭을 제한하는 군과 제한하지 않는 군으로 나누고, 진폭을 제한하는 m개의 주파수변환수단(121∼12m)의 군에 속하는 신호의 진폭을 제한하도록 가변감쇠기(211∼21n)을 설치하고, 그 밖의 주파수변환수단(12m+1∼12n)의 출력측은 지접, 전력합성수단(16)에 접속하더라도, 전력합성수단(16)에서의 포락선전력을 원하는 레벨로 절감할 수가 있다. 이 때문에 다음과 같이 m을 고른다.
변조신호 1파당의 평균전력을 Po로 하고, 변조신호수(다중화수)를 n으로 하고, 멀티캐리어신호의 전평균전력(Pa=nPo)의 k배를 넘는 경우에 멀티캐리어신호의 포락선전력을 억압하는 것으로 한다. 이때, 진폭제한을 완전히 받지 않은(n-m)파의 변조신호의 PEP는 최대치(n-m)2Po가 된다. 이것이 설정전력인 knPo이하가 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을 채울 필요가 있고, 이 식으로부터
로 되고, n개의 변조신호중, m개 이상의 변조신호에 대하여 감쇠제어를 하면 좋다. 이렇게 하여 정보오류에 대하는 요구가 강하지 않은 것으로부터 순차로 진폭제어를 하는 변조신호를 m개 이상 선택한다.
한편, 전캐리어를 같이 제한하는 경우를 생각한다. 1캐리어당의 전력을 제한한 결과, 그 1캐리어당의 전력이 xPo(x1)가 되었다고 한다.
이 경우의 멀티캐리어신호의 전평균전력은 xnPo이고, 이 경우의 PEP는 최대 xn2Po가 된다. 이것이 설정전력인 knPo이하가 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이 된다. 따라서,
가 된다. 예컨대, n=16, k=5인 때를 생각한다. 우선 진폭을 제한하는 군으로 하지않은 군으로 나누는 경우, (2)식보다 n-m8이 된다. 요컨대, 16캐리어중의 8캐리어의 진폭을 완전히 제한하지 않고, PEP가 소정치를 넘은때에 나머지의 8캐리어의 진폭을 전부 0로 하는 것에 의해, 멀티캐리어신호가 전평균전력의 5배를 넘는 일이 없도록 조정할 수가 있다. 다음, 전캐리어를 같이 제한하는 경우는, (4)식으로부터 x5/16가 되고 PEP가 소정치를 넘어 진폭을 제어한 때는 각 캐리어와도 전력을 반이상으로부터 잃는 것으로 되지만, 이 경우, 전캐리어의 정보가 잘못된 우려가 잇다.
이상의 설명으로도 명백하듯이, 멀티캐리어의 포락선전력을 직접 절감하는 경우는, 결과적으로 각 캐리어의 진폭을 같이 제한하는 것과 등가이고, 전캐리어의 정보가 잘못되는 가능성이 있는데 대하여, 캐리어마다 가변감소기를 설치하고, 진폭제한을 하는 군만의 변조신호를 제한하는 경우는, 진폭제한을 하지 않은 변조신호에 관하여는 정보가 잘못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더욱, 제9도, 제10도, 제12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멀티캐리어신호에 대하여 1개의 가변감쇠기(21)를 설치하는 경우는 멀티캐리어변조신호의 PEP는 크기 때문에 고내전력형의 가변감쇠기(21)가 필요한 것, 또한, 가변감쇠기(21)에 장해서 생긴 경우, PEP를 제한하는 기능이 활동하지 않게 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지만, 캐리어마다 가변감쇠기(21i)를 설치하는 경우는, 1캐리어당의 PEP는 크지 않기 때문에 내전력이 낮은 가변감쇠기를 적용할 수 있는 것, 또한, 1개의 가변감소기(21i)에 장해가 생긴 경우라도, 멀티캐리어신호의 PEP의 억압이 충분하지 않지만 가능하게 행할 수 있고, 상기의 군분할 제어로부터 이해되는 바와같이, 장해가 된 가변감쇠기의 수에 응해서 전력제한양(xPo)의 x를 변경하고, 또는 군분 제어를 하지만 제13도중에 점선으로 도시한 것처럼 통상은 진폭제어하지 않은 채널계통에도 가변감쇠기(211∼21n)를 설치하고, 요컨대 전채널계통에 가변감쇠기(21i)를 설치하고, 그 제어하는 것을 선택하고, 고장에 응해서 선택한는 가변감쇠기를 변경하더라도 좋다.
이렇게하여 가변감쇠기(21i)의 장해의 영항을 절감할 수가 있다. 이상의 것은, 캐리어마다 가변감쇠기를 설치한 것에 의해서만 생기는 것이다.
또한 전채널계통에 가변감쇠기(21i)를 설치하지만, 그중 m개에 대해서만 감쇠제어를 하고, 나머지의 n-m개는 감쇠량 제로로 하는 경우는, 가변감쇠기에 대하는 제어를 할 때마다, 또는 수회제어를 할 때마다 제어하는 m개의 가변감쇠기의 군을 변경하고, 전채널계통에 관해서, 진폭제한에도 근거한 신호왜곡의 발생이 되도록 한결같이 되도록 하더라도 좋다. 예컨대 16계통의 경우에 가변감쇠기(211∼218)의 군과, (219∼2116)의 군으로 나누고, 가변감쇠기의 제어를 이들 양군에 대하여 교대로 행한다.
이와 같이 제어하는 가변감쇠기(21i)의 군의 변경을, 전채널계통의 가변감쇠기(21i)에 관해서 되도록이면 한결같이 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예컨대 제29도에 도시한 것처럼 하면 좋다.
우선, 제어해야되는 가변감쇠기의 수(m)를 계산한다(S24). 이것은 변조파수를 n으로 하고, 포락선전력레벨을 멀티캐리어신호의 전평균전력의 k배(이것을 Ls로 둠)이하로 내린다고 가정하면,에 의해 요청된다. 다음에 가변감쇠기를 제어하는 조건을 만족시켰는가, 요컨대 제6a도의 단계(S2)의 조건, 제7도의 단계(S13)의 조건, 제8도의 단계(S22)의 조건의 어느것인가를 만족시켰는가가 조사되고(S25), 이 조건을 만족시키면 난수발생수단을 사용하여 1부터 n중의 상이한 m개의 정수 r1,r2,…rm을 결정 한다(S26). 여기서 사용하는 난수로서는 예컨대, 어떤 정수도 선택되는 것이 마찬가지로 확실한 것 같다고 하는 의미로 균등난수(一樣亂水)가 있다. 균등난수를 쓰면, 어떤 가변감쇠기(21i)도 똑같이 선택된다. 또한, 균등난수를 사용하여 다른 통계분포, 예컨대, 지수분포든지 정규분포등의 특정한 분포를 가지는 난수를 발생시키는 방법은 주지의 사실(예컨대, W. H. Press, B. P. Flannery, S. A. Teukolsky and W. T. Vetterlig, Numerical Recipes in C. Cambridge, New York, 1990, Chapter7 참조)이기 때문에, 균등난수이외의 난수를 쓸수도 있다. 요는, 가변감쇠기(21i)를 랜덤하게 고른다고 하는 목적이 달성되면, 어떤 난수를 쓰더라도 좋다.
다음에, 이 결정된 정수(r1,r2,…rm)를 첨자로 갖는 가변감쇠기(21i(i=r1,r2,…rm))의 감쇠량을 소정시간(△T)만큼 ∞[㏈]로 설정한다(S27). 감쇠량을 ∞로 하고나서 △T 경과후로 하면(S4 ,S5) 제어한 가변감쇠기(21i(i=r1,r2,…rm))의 감쇠량을 0[㏈]으로 되돌림과 동시에, 포락선전력레벨(L)을 감시하는 단계(S25)로 되돌아간다(S28).
이 수법에서는, 제어대상이 또는 가변감쇠기는 멀티캐리어의 포락선전력레벨이 감쇠제어조건을 만족시킬 때마다 난수에 의해 결정된다. 요컨대 제어되는 m개의 가변감쇠기의 군이 변경된다.
예컨대 n=16, k=5인 경우, m8이지만, 여기서는 m=8로 한다. 이 때, 난수에 의해 선택되는 정수는 1부터 16까지의 중의 8개가 선택된다. 예를들면, 난수에 의해 선택된 상이한 8개의 정수가 1,3,4,6,8,10,12,15라고 하면, 제어대상이 되는 가변감쇠기는 211,213,214,216,218,2110,2112, 및 2115로 된다. 이 경우도 가변감쇠기에 대한 제어가 소정횟수가 될 때마다 난수발생에 의해 감쇠제어의 가변감쇠기의 군을 변경하더라도 좋다.
이상과 같이 전채널(입력계통)의 변조신호에 대하여 동일한 감쇠를 부여하지 않고, 일부 채널의 변조신호에 대하여서는 감쇠제어를 완전히 행하지 않더라도 좋으므로, 전 채널을 복수의 군으로 나누고, 멀티캐리어신호의 PEP가 소정치를 넘으면, 이들 나눈 군마다 서로 다른 감쇠를 부여하더라도 좋다. 예컨대 2군으로 나누는 때는 이들 2개의 군사이에 있어서, 감쇠량을 3∼5㏈ 정도차를 부여하여, 오류율에 대한 요구가 강한 변조신호에 대하여서는 감쇠량을 작게 한다. 극단적인 경우는 각 채널(입력계통)마다 감쇠량을 다르게 하더라도 좋다. 또한 필요에 응해서 어느 채널의 변조신호에 대하여 큰 감쇠를 부여하는가의 변경을 할 수가 있으므로 제5도, 제9도, 제10도, 제11도, 제12도에 있어서, 각 채널마다 가변감쇠기(211∼21n)가 설치되고, 또한 이들 가변감쇠기(211∼21n)에 대하여 제어수단(24)으로 개별로 제어가능하게 되고 있다.
상술에 있어서는 멀티캐리어신호, 요컨대 전력합성수단(16)의 출력합성신호의 포락선전력레벨(PEP)을 레벨검출수단(23)으로 검출하고, 그 검출레벨(L)이 임계치(Ls)를 넘는가를 조사하였지만, 제14도에 제5도, 제9도, 제10도, 제11도, 제12도와 대응하는 부분에 동일부호를 부여하여 도시한 것처럼 방향성 결합기(22)의 출력을 레벨검출수단(23)으로 공급할 뿐만 아니라, 평균전력검출수단(45)으로 공급하고, 멀티캐리어신호의 평균전력(Pa)도 검출하여, 제어수단(24)으로 레벨검출수단(23)에서의 검출PEP, 요컨대 L과 평균전력(Pa)과의 비(L/Pa)를 구하고, 이 L/Pa가 소정치(A)를 넘는가 아닌가를 판정하고, 넘는 경우는 가변감쇠기(211∼21n)또는 1개의 가변감쇠기(21), 혹은 일부의 가변감쇠기(211∼21n)에 소정의 감쇠량을 소정시간(△T)만큼 부여 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 제7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L/Pa가 A를 넘는 것을 연속하여 소정회수(Mo)를 넘으면 가변감쇠기를 제어하도록 하기도 하고, 혹은 제8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L/Pa가 A를 소정시간(To)이상 연속하여 넘으면 가변감쇠기를 제어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또한 제14도중에서 가변감쇠기(211∼21n)를 제거하고, 점선으로 도시한 것처럼 전력합성수단(16)의 출력측에 가변감쇠기(21)를 설치하더라도 좋다.
다음에 FSK 변조신호의 멀티캐리어신호의 합성에 적용한 이 제7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5도는 이 3발명을 m=2로 한 경우의 실시예이고, 제2 및 제3도과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m2의 경우, m치 FSK 변조기(5i)중의 발진기의 개수가 m이 되는 이외는 m=2의 경우와 같다. 이 실시예에서는, 1개의 기준주파수 발진수단(8)이 설치되고, 또한, n개 (n2)의 m치 FSK 변조기(5i(i=1,2,…,n))와 전력합성수단(6)의 각 채널의 입력단자와의 사이에 가변이상수단(47i)이 각각 삽입된다. 기준주파수 발진수단(8)으로 부터의 기준주파수신호(CLK)는, 각 m치 FSK변조기(5i)를 구성하는 발진기(2i 및 3i)에 공급되고, 각 발진기(2i 및 3i)의 발진주파수는 기준주파수신호(CLK)에 동기하기 때문에, 그 출력신호의 초기위상은 동일로 할 수 있다. 이들 동일초기위상으로 된 각 m치 FSK 변조기(5i)의 출력신호의 위상은, 각 가변이상수단(47i)으로 조정된다. 입력단자(1i)에서 입력되는 입력신호(Si)는, 이 실시예에서는 분기수단(44i)으로 2분기되고, 각각 m치 FSK 변조기(5i)와 제어수단(48)의 제어입력단자(49i)에 입력된다. 제어수단(48)은,m치 FSK 변조기(5i)의 출력의 주파수가 변화하는 타이밍과 동기하고, 입력신호(S1∼Sn)의 부호조합, 즉 n개의 m치 FSK 변조기(5i)의 출력(발진기(2i 및 3i)의 어느 하나의 출력)의 n개의 주파수의 조합에 응해서, 각 가변이상수단(47i)의 이상량의 설정, 조정을 한다. 당연한 것이지만, 입력신호(S1∼Sn)의 부호(심볼)는 서로 동기하고 있다.
각 가변이상수단(47i)는, 서큘레이터, 가변지연선로, 또는 버랙터 다이오드 등으로 구성할 수 있는 주지의 부품이고(宮內, 山本 : 「통신용 마이크로파회로」, 314∼321페이지, 전자통신학회, 소화 56년 참조), 시판의 제품도 사용가능하다. 또, 이 가변이상수단(47i)에 의해 m치 FSK 변조기(5i)의 출력신호의 위상이 조정된다. 제어수단(48)은, 기본회로로서의 A/D변환기, 마이크로 프로세서, ROM, RAM, D/A 변환기, 필터등으로 구성되고, 제어입력단자(49i(i=1∼n))에 입력되는 입력신호의 부호조합에 응해서, 각 가변이상수단(47i(i=1∼n))의 이상량을 미리 정해진 이상량으로 조정하는 제어신호(Vi)를 제어출력단자(50i)로부터 출력한다. 이하 제어수단(48)의 동작에 관해서 설명한다.
m치 FSK 변조기(5i)에서는, 각 입력신호(Si)의 부호에 따라서 미리 설정된 주파수의 발진기의 출력을 선택한다. 제16a도, 제16b도는 m치 FSK 변조기(5i)의 입력신호(Si) 및 출력주파수의 상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서는 m=2의 경우에 관해서 나타내고 있지만, m2에 관해서도 기본원리는 같다. 이와 같이, 신호전환수단(4i)은, 입력신호(Si)의 부호에 따라서 발진주파수를 fi-δf[㎐]및 fi+δf[Hz]의 어느것인가로 바꾼다. 여기서, 발진주파수를 바꾸는 시간 이외는 m치 FSK 신호는 단순한 톤(tone)신호이고, 다중화된 FSK 신호는 n파의 멀티 톤신호(다주파신호, MF신호라고도함)라고 말할 수 있다. n 가 멀티 톤신호의 포락선전력피크치(PEP)는, 각 톤의 초기위상의 조합에 의해 광범위하게 변화한다. n파의 각 톤의 초기위상을 적절한 위상으로 조정하는 것에 의해, PEP를 절감할 수가 있다. (楢橋 , 野島: 「초기위상설정법에 의하는 다주파신호피크팩터의 억압효과」, 90년 신학춘계전대B-388참조).
제어수단(48)은, n개의 m치 FSK변조기(5i)에 입력되는 입력신호의 부호조합에 의해 결정되는 발진주파수의 조합에 따라서, 합성신호의 PEP가 포락선의 평균전력레벨에 비교하여 너무 커지지 않고, 예컨대 수배정도가 되는 것같은 초기위상을 가변이상수단(47i)의 이상량으로 설정한다. 여기서 m치 FSK신호의 다중수가 n인 경우, 부호의 조합수는 mn이 된다. 제어수단(48)은, 모든 부호조합에 관해서 미리 계산된 이상량을 격납한 기억소자(46)를 구비해 놓고, 그 기억소자(46)로부터, m치 FSK 변조기(5i)의 발진 주파수의 변화하는 타이밍, 바꿔말하면 각 채널의 n개의 주파수의 조합이 변화하는 전환타이밍으로, 각 제어입력단자(49i(i=1∼n))의 입력신호의 부호조합에 대응하는 이상량을 판독, 그 값에 가변이상수단(47i)의 이상량을 조정하는 제어신호를 제어출력단자(50i)으로부터 송츨한다. 요컨대 m치 FSK 변조기(5i)의 출력FSK 신호의 주파수전환과 동기하여 가변이상수단(47i)의 이상량을 조정한다. 가변이상수단(47i)으로서, 예컨대 전압제어이상기를 쓰는 경우에는, D/A 컨버터를 사용하여 제어출력단자(50i)에 제어전압을 부여한다.
제16c도에, 가변이상수단(47i)의 이상량을의 설정치의 변화예를 나타낸다.
이상의 순서에 의해, 다중화된 FSK 변조신호의 PEP가 대폭 증대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상으로 설명한 제어동작은, 제어수단(48)의 제어이력단자(49i)에 입력되는 신호의 부호조합에 응해서, 가번이상수단(47i)의 이상량을 미리 정해진 이상량으로 설정하는 것이지만, 이것에 대하여, 제어수단(48)이 축차 이상량을 계산하고, 그 계산치에 각 가변이상수단(47i)의 이상량을 설정하더라도 좋다. 이 경우, 제어수단(48)은 제어입력단자(49i(i=1∼n))에 입력하는 신호의 부호조합에 응해서 마이크로 프로세서등에 의해 축자 이상량을 계산하고, 제어출력단자(50i)로부터 가변이상수단(47i)으로 제어신호를 송출한다.
가변이상수단(47i)의 이상량을 축자 계산하기위해서는 예컨대 다음과 같이 하면 좋다. 즉 n개의 m치 FSK 변조수단(5i)에 대하여, 입력신호의 부호에 응해서 설정되는 주파수를 fi(i=1,…,n)로 하면, n개의 m치 FSK 변조수단(5i)의 출력FSK 신호가 다중화된 신호의 복소포락선신호(u(t))는 다음식으로 표현된다.
여기서, a는 각 FSK 신호의 진폭, θi는 i번째의 FSK 변조신호의 초기위상이다. 여기서, 초기위상의 조함{θi}으로 결정되는, 다중화신호 일주기(T)에 있어서의 최대치를 A(θ1,…,θn)로 한다.
다중화신호의 포락선전력피크치(PEP)는, A(θ1,…,θn)의 2승에 비례하기 때문에, 다중화신호의 PEP를 절감하기위해서는, A(θ1,…,θn)를 절감하는 초기위상의 조합{θ'i}을 계산으로 구하고, 그것에 따른 이상량{θ'i}을 각 FSK 변조신호에 관하여 가변이상수단(47i)에 설정하면 좋다.
A(θ1,…,θn)를 절감하는 초기위상의 조합{θ'I}의 계산방법의 예를, 제30도의 순서도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미리 정한 복수(Mo경로)가 다른 초기위상조합{θi}에 관해서 A(θ1,…,θn)를 계산하고, 그중 A(θ1,…,θn)을 절감하는 위상조합을 {θ'I}로서 출력한다. 여기서 Mo경로의 초기위상조합{θi}은, 예컨대 각 FSK 변조신호의 초기위상θi(i=1,…,n)에 관해서, 최소위상단계(△θ)로 각각의 위상을 변화시키는 것에 의해 생성한다. △θ=2π/K(K는 2이상의 정수)로 하면, 모든 위상조합을 고려하는 경우는, Mo=Kn이다.
제30도에 있어서, 우선 입력신호(부호)에 따라서 각 m치 FSK 변조수단(5i)의 출력하는 FSK 신호의 주파수(fi)를 설정하고(S1), 계산회수를 나타내는 변수(M)를 0으로, 또한, 계산된 A(θ1,…,θn)중에서의 최소치를 격납한 변수(Amin)를 na(A(θ1,…,θn)의 최대치)로 초기 설정한다.(S2). Mo경로의 {θi}에 관해서 미리 정한 순으로 1개의 {θi}를 설정하고(S3), 그 {θi}에 관해서 최대치A(θ1,…,θn)를 계산하고(S4), 그 A(θ1,…,θn)가 미리 정한 소정치(Ath)보다 작은가를 판정하고(S5), 작으면 그때의 {θi}를 A(θ1,…,θn)을 절감하는 {θi}의 조합{θ'I}으로 하고(S6), 이것을 각 가변이상수단(17i)에 설정한다(S7). 단계(S5)에서 A(θ1,…,θn)가 Ath보다 작지 않으면, A(θ1,…,θn)이 Amin보다 작은가를 판정하고(S8), 작으면 그 A(θ1,…,θn)를 Amin으로 갱신하고, 또한 그 때의 {θi}를 {θ'I}로 하고(S9), -M을 +1한다(S10).
단계(S8)에서 A(θ1,…,θn)가 Amin보다 작지 않으면 단계(S10)로 옮긴다. M을 +1한 뒤, 그 M이 Mo가 되었는가를 판정하고(S11), Mo로 되어 있지 않으면 단계(S3)로 되돌아가 다음 {θi}를 사용하여 같은 계산 및 처리를 한다. 단계(S11)에서 M=Mo이면 그 때의 {θ'I}를 각 가변위상수단 (17i)으로 설정하여 종료한다(S7).
상술에 있어서 단계(S5,S6)를 생략하더라도 좋다. 이 경우는, 미리 정한 Mo경로가 다른 초기위상조합{θi}중에, 최소의 A(θ1,…,θn)를 부여하는 위상조합을 {θ'I}로 하여, 가변이상수단(47i)의 이상량을 설정한다.
요는 다중화신호의 피크치가 허용치, 예컨대 다중화신호평균전력의 4∼5배 이하이면 되기 때문에, 입력부호의 조합에 대하여 다중화신호의 피크가 최소가 되는 초기위상조합{θ'I}를 반드시 구하지 않더라도 좋고, 단계(S5)의 Ath를 상기 허용치로서 놓는 것에 의해 계산량을 적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θi를 [0,2π)에 있어서 최소위상단계△θ=2π/K에서 변화시키는 것에 의해서 생성되는 모든 위상조합에 관해서 A(θ1,…,θn)를 계산하는 것은 아니고, 단계(S3)에서, θi를 [0,2π)로 똑같이 분포하는 랜덤치로서 각각 (i=1,…,n)설정하고, Mo를 Kn보다 작은 수로서 계산회수를 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제15도에 나타낸 실시예중의 m치 FSK 변조기(5i)로서 제3도중에 나타낸 PLL 주파수신시사이저를 사용하여 구성한 것을 사용한 예를 제17도에 제3도, 제15도와 대응하는 부분에 동일부호를 부여하여 나타낸다.
제15도중의 m치 FSK 변조기(5i) 및 가변이상수단(47i)을 직접디지탈주파수신시사이저(DDS)(51i)로 구성한 예를 제18도에 나타낸다. DDS(51i)의 기본구성의 일례를 제19도에 나타낸다. DDS(51i)는 분기수단(44i)에서 입력되는 입력신호(Si)가 테이타변환수단(52i)에서 발진주파수데이타치로 변환되고, 데이터변환수단(52i)에서의 발진주파수데이타치가 주파수레지스터(53i)에 격납되고, 이 주파수레지스터(53i)의 발진주파수데이타치는 누산기(55i)로 누적가산되고, 그 누적가산치는위상 레지스터(54i)의 초기위상데이타치와 가산기(56i)로 가산되고 그 가산 데이터값을 주소로서 파형ROM(57i)이 판독되고, 그 판독된 데이터는 A/D 컨버터(58i)로 아날로그신호로 변환되어 출력된다. DDS(55i)에는 기준주파수신호(CLK)가 부여되고, 이 신호(CLK)에 의해 누산기(55i)의 가산 동작, 파형ROM(57i)의 판독 동작등이 행하여지고 입력신호(Si)에 따라서 발진주파수데이타치의 전환이 이루어져 출력되는 FSK 신호의 주파수가 설정되고, 제어신호(Vi)에 따른 데이타가 위상 레지스터(54i)로 설정되고, DDS(51i)로부터 출력되는 FSK 변조신호의 위상이 설정된다.
제18도중의 기타는 제15도의 실시예와 같다.
제20도에 도시한 것처럼 각 분기수단(44i)과 DDS(51i)(또는 m치 FSK 변조기(5i))와의 사이에 지연수단(59i)을 직렬로 삽입하고, 입력신호(Si)의 DDS(51i)(혹은 m치 FSK 변조기(5i))에 대한 입력이 제어수단(48)에 대한 입력에 비교하여 지연시키고, 비교적 저속 또한 염가인, 가변이상수단(47i) 및 제어수단(48)을 사용할 수도 있다.
제21도에 도시한 것처럼 전력합성수단(6)의 출력측에 주파수변환수단(63)이 설치되고, 이 주파수변환수단(63)에 의해서, 전력합성수단(6)에서의 다중화신호를 보다 높은 고주파신호대로 변환출력하더라도 좋다. 여기서 주파수변환수단(63)은, 국부발진기(60)와, 국부발진기(60)의 출력신호와 전력합성수단(6)의 출력신호를 승산하는 믹서(61)와, 믹서(61)의 출력측에 설치되고, 승산에 의해 생기는 불필요한 주파수대의 신호를 제거하는 대역통과 여파수단(62)으로 구성된다.
제22도에 도시한 것처럼 각 DDS(51i)의 출력경로에 주파수변환수단(67i)이 설치되고, DDS(511∼51n)의 출력은 서로 다른 주파수대의 고주파신호로 되어 전력합성수단(6)으로 공급된다. 이 경우에는, 각 채널의 DDS(51i) 또는 m치 FSK 변조기(5i)의 출력의 중심주파수(캐리어의 주파수)를 비교적 낮은 동일한 값으로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가변이상수단도 포함시키어, 이것들의 회로의 설계가 용이해지고, 또한 염가인 부품을 사용할 수가 있다. 주파수변환수단(67i)에서, 기준주파수발진수단(8)에서의 출력을 기준주파수신호로 하는 주파수신시사이저(64i)의 출력신호가 DDS(51i)의 출력신호와 믹서(65i)로 승산되고, 그 승산에 의해 생기는 불필요한 주파수대의 신호대역통과 여파수단(66i)으로 제거되어 전력합성수단(6)으로 공급된다.
제23도는 각 DDS(51i)의 출력측에, 그 출력 FSK 변조신호를 통과시키는 대역통과 여파수단(68i)를 설치하고, 이들 대역통과 여파수단(68i)의 출력을 전력합성수단(6)에 의해 합성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상술한 바와같이 m치 FSK 변조기를, 복수의 발진수단을 신호전환수단에 의해 바꾸는 방법(제15도)에서는, 통상은 발진주파수를 바꿀때에 위상이 불연속이 된다. 또한 PLL 주파수신시사이저를 사용한 방법(제17도)에 있어서도, 가변이상수단(47i)에 의해 샤프한 이상을 행한 경우에는, 같은 위상의 불연속이 생긴다. 이것은, 출력되는 FSK 변조신호의 스펙트럼이 넓어지는 원인이 된다. 대역통과 여파수단(68i)은, 상기 스펙트럼의 확대를 억압하는데 이용된다. 이와 같이 각 채널에 관해서 스펙트럼의 확대를 억압하여 전력합성한 출력을 제21도에 도시한 것처럼 변환수단(63)으로 고주파대로 변환하더라도 좋다. 요컨대 제21도와 제23도를 조합구성으로 하면 좋다.
제24도에 도시한 것처럼 제22도에 있어서 각 DDS(51i)와 주파수변환수단(67i)와의 사이에 저역여파수단(69i)을 삽입하더라도 좋다. 저역여파수단(69i)에 의해, 제23도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대역통과 여파수단(68i)과 같이 스펙트럼의 확대를 억압하는 작용을 시킨다.
또한, 제21도에 있어서, 전력합성수단(6)의 입력측에 저역통과 여파수단(69i)을 삽입하더라도,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제25도에 도시한 것처럼 제17도중의 제어수단(48)에 제어신호처리수단(70)을 설치하고, 제어신호처리수단(70)에 의해, 출력되는 FSK 변조신호의 스펙트럼의 확대를 억압하도록, 가변이상수단(47i)의 이상량을 설정하는 제어신호에 대하여 신호처리를 시행하고, 제어출력단자(50i)로 출력한다. 즉, 가변이상수단(47i)으로서 예컨대 전압제어이상기를 사용한 경우에는, 각 제어입력단자(49i)에 입력되는 신호의 부호조합에 응해서 판독된 이상량 데이터를 D/A 컨버터로 아날로그전압으로 변환하고, 그 아날로그전압을, 가변이상수단(47i)의 이상량이 단계적으로 변화하지 않도록 저역통과 여파처리하여 제어출력단자(50i)에 부여한다. 제16d도에, 제어전압을 여파처리를 하지않은 예(제16c도)와 대응시키고 FSK 변조신호의 스펙트럼이 넓어지지 않도록 이상량제어신호(Vi)를 처리한 경우의 이상량의 설정치의 변화를 나타낸다. 또한, DDS(51i)를 사용하여 FSK 신호다중화장치를 구성한 경우, 제어출력단자(50i)에서 위상 레지스터(54i)(제19도)에 부여하는 데이타를 제어신호처리수단(70)에 의해 처리하는 것에 의해, DDS(51i)로부터 출력되는 FSK 신호의 위상을 연속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 상기제어신호처리수단(70)은, 제어수단(48)의 속에 구성하더라도, 구 외부에 구성하더라도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이상의 실시예에 있어서 가변이상수단(47i)을 사용한 경우, 가변이상수단(47i)의 삽입위치는 일례이고, 각 FSK 변조신호의 위상을 조정할 수 있으면, 어떤 위치에 삽이되더라도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제26도에, 기준주파수발진수단(8)의 출력하는 기준주파수신호가, 각 m치 FSK 변조기(5i)에 입력되는 각 경로에 가변이상수단(47i)를 설치한 실시예를 나타낸다. 그외는 제25도와 같다 이 경우도, m값 FSK 변조기(5i)의 출력신호는 기준주파수발진수단(8)의 기준신호(CLK)에 동기하므로, 가변이상수단(47i)의 이상량을 조정한는 것에 의해 각 FSK변조신호의 위상을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이상의 실시예에 있어서 DDS(51i)로 나타내어지고 있는 부분은, 제15도 또는 제17도에 나타내여지는 것 같은 m치 FSK변조기(5i)와 가변이상수단(47i)로 치환하더라도 좋다.
제15도∼제26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다중화 FSK신호의 포락선전력피크가, 상술한 것같이 각 채널이 이상을 입력신호부호의 조합에 따라서 제어하는 현저히 커지는 것을 피하도록 하였지만, 이 구성과, 제5도 내지 제12도에서 설명한 감쇠를 부여하는 것에 의하는 포락선전력의 피크를 억업하는 구성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그 원리적구성을 제27도 및 제28도에 나타내고, 이것들의 도면에 있어서 제5도 내지 제26도와 대응하는 부분에 동일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제27도에서는 m치 FSK 변조기(51∼5n)의 출력측에 각각 직렬로 가변감쇠수단(211∼21n)을 삽입한 경우이고, 전력합성수단(6)의 출력의 포락선전력레벨을 레벨검출수단(23)으로 검출하고 있는 가변감쇠수단(211∼21n)에 대한 제어와 가변이상수단(471∼49n)에 대한 제어를 공통의 제어수단(81)으로 행하게 하고 있다. 제28도는 전력합성수단(6)(또는 (16))의 출력측에 가변감쇠수단(21)을 직렬로 접속하고, 또한 전력합성수단(6)의 출력다중화신호의 포락선전력레벨을 레벨검출수단(23)으로 검출하고, 제어수단(81)으로 가변감쇠수단(21)과 가변이상수단(471∼49n)을 제어하도록 하고 있다. 제27,28도에 있어서 상술한 바와같이 m치 FSK 변조기(5i)와 가변이상수단(47i)을 DDSi로 구성하고, 전력합성수단(6)의 입력측 또는 출력측에서 고주파신호로 변환하더라도 좋고, 그 외에 제15도∼제26도로 설명한 것을 제27도 및 제28도에 각각 적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제1내지 제6발명에 의하면 다중화신호의 포락선전력레벨의 큰 피크를 억압할 수가 있다. 이 피크검출을 입력계통의 변조신호 또는 다중화신호에 대하여 감쇠를 부여해가고 있기 때문에 각 채널마다 또한 그 때마다 다른 이상량을 제어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확실한 억압을 할수 있다. 더구나 소정시간만큼 감쇠하기 때문에, 요컨대 순간 피크의 폭정도만큼 감쇠하기 때문에 변조신호에 포함되는 정보가 받는 왜곡은 순간적으로서, 큰 영향을 받지 않는다.
또한 소정레벨을 넘는 연속회수, 또는 소정레벨을 넘는 연속시간이 소정치에 달하는 때에만 감쇠를 부여하는 경우는, 소정레벨을 넘어도 후단의 증폭기에 나머지 영향을 부여하지 않은 것같은 상태에서는 감쇠제어가 이루어지지 않게 되고, 그만큼 변조신호에 포함되는 정보가 받는 왜곡이 적게 되어 끝난다.
더욱 감쇠를 부여하는 변조신호와, 감쇠를 부여하지 않은 변조신호를 설치하는 경우는, 피크억압을 하고, 더구나 그 억압에 의한 영향을 완전히 받지 않은 변조신호(채널)가 존재하고, 오류율에 대한 요구가 강한 채널에 대하여, 전채널을 똑같이 감쇠제어하는 경우보다, 피크억압의 영향을 작게 할 수 있다.
이 제7발명에 의하면 FSK 변조신호에 대하여, 그 입력신호의 부호변화와 동기하여 이상량을 제어하고, 또한 그 이상량의 제어를 각 입력신호의 부호상태에 따라서 각 채널마다 행하는 것에 의해 다중화신호의 피크를 충분히 작게 할 수가 있다. 더욱 제9발명에 제1 또는 제2발명을 적용하는 것에 의해, 다중화신호의 피크를 확실히 충분히 억압할 수가 있다.

Claims (40)

  1. n개(n은 2이상의 정수)의 입력계통으로부터의 서로 다른 주파수대의 변조된 신호(이하변조신호라고 함)를 전력합성수단으로 합성하여 다중화신호로서 출력단자로 출력하는 신호다중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입력계통중의 m' 개(mn)에 관해서 상기 전력합성수단의 입력단과 각각 직렬로 삽입된 m' 개의 가변감쇠수단과, 상기 다중화신호의 포락선전력레벨을 검출하는 포락선전력레벨 검출수단과, 상기 검출한 포락선전력레벨이 소정레벨을 넘으면 소정시간, 상기 가변감쇠수단의 m개(mm')에 대하여, 소정의 감쇠량을 설정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다중화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감쇠수단에 설정하는 소정의 감쇠량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다중화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m은 n이고, 상기 소정레벨은 상기 다중화신호의 평균전력의 k배(k는 1∼10정도)이고, 상기 소정의 감쇠량은 10log(k/n)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다중화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레벨은 상기 다중화신호의 평균전력의 k배(k는 1∼10정도)이고 mn이고,를 넘지 않는 최대의 정수이하고 되고, 상기 소정의 감쇠량을 설정하지않은 (n-m)개의 상기 가변감쇠수단의 감쇠량은 제로로 되고, 상기(n-m)개 이외의 m개의 상기 소정의 감쇠량은 무한대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다중화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mn이고, 상기 소정의 감쇠량을 설정하는 가변감쇠수단과, 상기 소정의 감쇠량이 설정되지 않은 가변감쇠수단을, 상기 감쇠량의 설정을 1 내지 복수회 행할때마다 변경하는 변경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다중화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수단은 상기 m개의 가변감쇠수단을 상기 n개의 가변감쇠수단으로부터 랜덤으로 선택하는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다중화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레벨은 상기 다중화신호의 평균전력의 k배(k는 1∼10정도)이고, n-m은을 넘지 않는 최대의 정수이하로 되고, 상기 소정의 감쇠량을 설정하지 않은 (n-m)개의 상기 가변감쇠수단의 감쇠량은 제로로 되고, 상기 소정의 감쇠량은 무한대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다중화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감쇠량은 가변감쇠수단에 따라서 다른 것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다중화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레벨은 상기 다중화신호의 평균전력의 k배(k는 1∼10정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다중화장치.
  10. n개(n은 2이상의 정수)의 입력계통으로부터의 서로 다른 주파수대의 변조신호를 전력합성수단에 의해 합성하여 다중화신호로서 출력단자에 출력하는 신호다중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력합성수단과 상기출력단자와의 사이에 직렬로 삽입된 가변감쇠수단과, 상기 다중화신호의 포락선전력레벨을 검출하는 포락선전력레벨검출수단과, 상기 검출된 포락선전력레벨이 소정레벨을 넘으면 소정시간, 상기 가변감쇠수단에 대하여, 소정의 감쇠량을 설정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다중화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레벨은 상기 다중화신호의 평균전력의 k배(k는 1∼10정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다중화장치.
  12. 제1항 내지 제11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시간은, Tp=1/△Fo(초)정도인 (△Fo[㎐]는 상기 다중화신호의 대역폭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다중화장치.
  13. 제1항 내지 제11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검출된 포락선전력레벨이 소정레벨을 넘는 것이 연속하여 소정회수 이상으로 되는 상기 감쇠량의 설정을 행하는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다중화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시간은 Tp=1/△Fo(초)정도인 (△Fo[㎐]는 상기 다중화신호의 대역폭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다중화장치.
  15. 제1항 내지 제11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검출된 포락선전력레벨이 소정레벨을 넘는 것이 연속하여 소정시간이상으로 되면, 상기 감쇠량의 설정을 행하는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다중화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시간은 Tp=1/△Fo(초)정도인 (△Fo[㎐]는 상기 다중화신호의 대역폭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다중화장치.
  17. n개(n은 2이상의 정수)의 입력계통으로부터의 서로 다른 주파수대의 변조신호를 전력합성수단으로 합성하여 다중화신호로서 출력단자로 출력하는 신호다중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 입력계통의 상기 전력합성수단의 입력단과 각각 직렬로 삽입된 n개의 가변감쇠수단과, 상기 다중화신호의 포락선전력레벨을 검출하는 포락선전력레벨 검출수단과, 상기 다중화신호의 평균전력을 검출하는 평균전력검출수단과, 상기 검출한 포락선전력레벨의 상기 검출한 평균전력에 대한 비가 소정치를 넘으면 소정시간, 상기 가변감쇠수단의 m개(mn)에 대하여, 소정의 감쇠량을 설정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다중화장치.
  18. n개(n은 2이상의 정수)의 입력계통으로부터의 서로 다른 주파수대의 변조신호를 전력합성수단으로 합성하여 다중화신호로서 출력단자로 출력하는 신호다중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력합성수단과, 상기 출력단자와의 사이에 직렬로 삽입된 가변감쇠수단과, 상기 다중화신호의 포락선전력레벨을 검출하는 포락선전력레벨 검출수단과, 상기 다중화신호의 평균전력을 검출하는 평균전력검출수단과, 상기 검출된 포락선전력레벨의 상기 검출된 평균전력에 대한 비가 소정치를 넘으면 소정시간, 상기 가변감쇠수단에 대하여, 소정의 감쇠량을 설정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다중화장치.
  19. n개(n은 2이상의 정수)의 입력계통으로부터의 서로 다른 주파수등의 변조된 신호를 전력합성하여 다중화신호로서 출력하는 신호다중화방법에 있어서, 상기 다중화신호의 포락선전력레벨을 검출하는 레벨검출단계와, 상기 검출한 포락선전력레벨을 소정레벨과 비교하는 비교단계와, 상기 비교결과가 상기 검출포락선전력레벨의 쪽이 크면, 상기 n개의 변조신호중의 m개(mn)에 대하여 소정량의 감쇠를 소정시간 부여하는 제어단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다중화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m은 n보다 작고, 상기 소정량의 감쇠를 부여할 때 마다, 상기 소정량의 감쇠를 부여하는 m개의 변조신호의 조합을 변경(또는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다중화방법.
  21. n개(n은 2이상의 정수)의 입력계통으로부터의 서로 다른 주파수등의 변조신호를 전력합성하여 다중화신호로서 츨력하는 신호다중화방법에 있어서, 상기 다중화신호의 포락선전력레벨을 검출하는 레벨검출단계와, 상기 검출한 포락선전력레벨을 소정레벨과 비교하는 비교단계와, 상기 비교결과가 검출포락선전력레벨의 쪽이 크면, 상기 다중화신호에 대하여 소정량의 감쇠를 소정시간 부여하는 제어단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다중화방법.
  22. 제19항 내지 제21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단계는 상기 검출한 포락선전력레벨의 쪽이 크면 계수치를 1가산하는 단계와, 그 가산한 계수치가 소정치가 되었는가를 판정하고, 소정치가 되면 상기 소정량의 감쇠를 부여하는 것을 실행시키고, 소정치로 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레벨검출단계로 되돌리기는 판정단계와, 상기 검출한 포락선전력레벨의 쪽이 작으면, 상기 계수치를 제로로서 상기 레벨검출단계로 되돌리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다중화방법.
  23. 제19항 내지 제21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단계는 상기 검출한 포락선전력레벨의 쪽이 크면 시간의 계수를 개시하는 단계와, 상기 계수시간이 소정치가 되었는가를 판정하고, 소정치가 되면 상기 소정량의 감쇠를 부여하는 것을 실행시키고, 소정치로 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레벨검출단계로 되돌리는 판정단계와, 상기 검출한 포락선전력레벨의 쪽이 작으면 상기 계수시간을 제로로서 상기 레벨검출단계로 되돌리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다중화방법.
  24. 입력신호의 부호에 따라서 출력의 주파수를 편이시키는 n개(n채널분)의 m치 FSK 변조수단(m, n은 2이상의 정수)에, 기준주파수발진수단으로부터 공통의 기준주파수 신호를 부여하고, 상기 각 m치 FSK 변조수단의 각 출력신호의 주파수에 대한 기준으로 하고, 상기 각 m치 FSK 변조수단의 각 출력신호를 전력합성수단으로 합성하여 출력하는 신호다중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 m치 FSK 변조수단이 출력하는 변조신호의 위상을 각각 변화시키는 가변이상수단과, 상기 m치 FSK 변조수단이 입력신호에 따라서 출력의 주파수를 바꾸는 타이밍과 동기하고, n개의 상기 입력신호의 부호조합에 따라서, 상기 전력합성수단의 출력의 포락선전력피크치가 작게되도록, 상기 가변이상수단의 이상량을 설정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다중화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각 m치 FSK 변조수단이 발진주파수가 다른 m개의 발진기와, 그것들 m개의 발진기중의 1개를 상기 입력신호의 부호에 따라서 선택하여 그 발진신호를 출력하는 신호전환수단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변이상수단 상기 m치 FSK 변조수단의 출력측에 직렬로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다중화장치.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각 m치 FSK 변조수단이 발진주파수가 다른 m개의 발진기와, 그것들 m개의 발진기중의 1개를 상기 입력신호의 부호에 따라서 선택하여 그 발진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전환수단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변이상수단이 상기 각 m치 FSK 변조수단의 상기 기준주파수신호가 입력되는 입력단자와 직렬로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다중화장치.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각 m치 FSK 변조수단이, PLL 주파수신시사이저로 구성되고, 상기 가변이상수단이 상기 m치 FSK 변조수단의 출력측에 직렬로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다중화장치.
  28.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각 m치 FSK 변조수단이, PLL 주파수신시사이저로 구성되고, 상기 가변이상수단이 상기 m치 FSK 변조수단의 상기 기준주파수신호가 입력되는 입력단자와 직렬로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다중화장치.
  29.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각 채널마다의 상기 m치 FSK 변조수단과 상기 가변이상수단이 각각, 직접디지탈주파수신시사이저(DDS)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다중화장치.
  30. 제24항 내지 제29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각 채널의 입력신호를 분기하여 상기 각 m치 FSK 변조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으로 공급하는 n개의 분기수단과, 그 각 분기수단과 대응하는 상기 m치 FSK 변조수단과의 사이의 상기 입력신호통로에 각각 삽입된 지연수단을 부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다중화장치.
  31. 제24항 내지 제29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합성수단의 출력측에, 상기 합성한 신호를 고주파신호로 변환하는 주파수변환수단을 부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다중화장치.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합성수단의 각 채널의 입력측에, 변조신호의 대역폭을 제한하는 저역통과 여파수단이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다중화장치.
  33. 제24항 내지 제29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합성수단의 각 채널의 입력측에 그 변조신호를 고주파로 변환하는 주파수변환수단을 각각 삽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다중화장치.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각 주파수변환수단의 입력측에, 변조신호의 대역폭을 제한하는 저역통과 여파수단을 삽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다중화장치.
  35. 제24항 내지 제29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합성수단의 각 채널의 입력측에 변조신호의 대역폭을 제한하는 대역통과 여파수단을 각각 삽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다중화장치.
  36. 제24항 내지 제29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n개의 상기 입력신호의 부호조합에 따라서 상기 각 가변이상수단에 설정하는 이상량을 기억한 기억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다중화장치.
  37. 제24항 내지 제29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입력신호의 부호조합에 따라서, 상기 가변이상수단에 설정하는 이상량을 축차 계산하는 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다중화장치.
  38. 제24항 내지 제29항중 한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전력합성수단에 입력되는 각 FSK 변조신호의 위상을 연속적으로 하도록, 상기 가변이상수단의 이상량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처리하는 제어신호처리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다중화장치.
  39. 제24항 내지 제29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각 m치 FSK 변조수단의 출력측에 직렬로 삽입된 n개의 가변감쇠수단과, 상기 전력합성수단의 출력합성신호의 포락선전력레벨을 검출하는 수단과, 상기 검출한 포락선전력레벨이 소정치를 넘으면 소정시간, 상기 가변감쇠수단의 p개(pn)에 대하여, 소정의 감쇠량을 설정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다중화장치.
  40. 제24항 내지 제29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합성수단의 출력측과 직렬로 삽입된 가변감쇠수단과, 상기 전력합성수단의 출력합성신호의 포락선전력레벨을 검출하는 수단과, 상기 검출한 포락선전력레벨이 소정치를 넘으면 소정시간, 상기 가변감쇠수단에 소정의 감쇠량을 설정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다중화장치.
KR1019960703809A 1994-12-05 1995-12-04 신호다중화장치 및 방법 KR1001954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0078594 1994-12-05
JP94-300785 1994-12-05
JP1362195 1995-01-31
JP95-13621 1995-01-31
JP95-77736 1995-04-03
JP7773695 1995-04-03
PCT/JP1995/002467 WO1996018249A1 (fr) 1994-12-05 1995-12-04 Appareil et procede pour multiplexer un sig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700966A KR970700966A (ko) 1997-02-12
KR100195458B1 true KR100195458B1 (ko) 1999-06-15

Family

ID=27280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703809A KR100195458B1 (ko) 1994-12-05 1995-12-04 신호다중화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5790555A (ko)
EP (2) EP1330063B1 (ko)
JP (1) JP2787619B2 (ko)
KR (1) KR100195458B1 (ko)
CN (3) CN1075301C (ko)
CA (1) CA2178815C (ko)
DE (2) DE69533028T2 (ko)
WO (1) WO199601824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619003C2 (de) * 1996-05-10 2000-07-06 Sennheiser Electronic Übertragungseinrichtung für stereophone Audiosignale
US6442179B2 (en) * 1997-08-15 2002-08-27 Seagate Technology Llc Data storage communication channel and method of transmitting data
JP3462388B2 (ja) 1998-04-28 2003-11-0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
AU8730698A (en) * 1998-06-29 2000-01-17 Nokia Networks Oy Power control in a multi-carrier radio transmitter
US6590906B1 (en) 1998-08-24 2003-07-0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ulti-carrier transmitter circuit and communication equipment
US6757299B1 (en) * 1998-09-24 2004-06-29 Silicon Automation Systems Limited Peak power to average power ratio reduction in multicarrier communication systems using error-correcting code
GB9823145D0 (en) * 1998-10-23 1998-12-16 Philips Electronics Nv Radio communication system
JP4224168B2 (ja) 1999-04-23 2009-02-1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基地局装置及びピーク電力抑圧方法
WO2001005057A1 (en) * 1999-07-08 2001-01-1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Transmit power control for mcpa-equipped base stations
US6694148B1 (en) 1999-07-26 2004-02-1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Transmit power control for MCPA-equipped based stations
DE69941865D1 (de) * 1999-08-23 2010-02-04 Fujitsu Ltd Multiplexing-Vorrichtung zur Wellenlängentrennung
JP3439696B2 (ja) * 1999-09-14 2003-08-2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送信帯域制限フィルタ装置および送信装置
JP2001086085A (ja) * 1999-09-14 2001-03-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マルチキャリア送信装置、このマルチキャリア送信装置を使用した無線基地局装置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DE19944558C2 (de) * 1999-09-17 2002-10-10 Bosch Gmbh Robert Verfahren zum Senden von Funksignalen und Sender zum Versenden eines Funksignals
US6961369B1 (en) 1999-11-09 2005-11-01 Aware, Inc. System and method for scrambling the phase of the carriers in a multicarrier communications system
US6813317B2 (en) 1999-12-14 2004-11-0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ulticarrier transmitting method and multicarrier transmitter circuit
WO2001099316A1 (en) * 2000-06-16 2001-12-27 Fujitsu Limited Multi-carrier amplifier
JP3636974B2 (ja) * 2000-07-03 2005-04-06 富士通株式会社 無線装置
JP3490384B2 (ja) * 2000-07-31 2004-01-2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マルチキャリアcdma通信装置
US7583728B2 (en) 2002-10-25 2009-09-01 The Directv Group, Inc. Equalizers for layered modulated and other signals
US7423987B2 (en) 2001-04-27 2008-09-09 The Directv Group, Inc. Feeder link configurations to support layered modulation for digital signals
US7471735B2 (en) 2001-04-27 2008-12-30 The Directv Group, Inc. Maximizing power and spectral efficiencies for layered and conventional modulations
US7639759B2 (en) 2001-04-27 2009-12-29 The Directv Group, Inc. Carrier to noise ratio estimations from a received signal
US8005035B2 (en) 2001-04-27 2011-08-23 The Directv Group, Inc. Online output multiplexer filter measurement
US6931239B2 (en) * 2001-07-30 2005-08-16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Peak limiter and multi-carrier amplification apparatus
US7072418B2 (en) 2001-09-18 2006-07-04 Thomson Licensing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Nyquist folding frequency modulation
CA2489569C (en) 2002-07-01 2012-05-22 The Directv Group, Inc. Improving hierarchical 8psk performance
TWI279113B (en) * 2002-07-03 2007-04-11 Hughes Electronics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layered modulation
JP3796204B2 (ja) * 2002-07-31 2006-07-1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マルチキャリア送信信号のピーク抑圧方法およびピーク抑圧機能をもつマルチキャリア送信信号生成回路
JP4288458B2 (ja) * 2002-08-22 2009-07-01 日本電気株式会社 振幅制限回路及びcdma通信装置
ES2398213T3 (es) 2002-10-25 2013-03-14 The Directv Group, Inc. Procesador de señal de modulación en capas de baja complejidad
JPWO2005055479A1 (ja) * 2003-12-02 2007-07-0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マルチキャリア伝送における無線送信装置およびピーク電力抑圧方法
US7917798B2 (en) * 2005-10-04 2011-03-29 Hypres, Inc. Superconducting digital phase rotator
US7826811B2 (en) * 2005-11-10 2010-11-02 Panasonic Corporation Phase modulation apparatus and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KR100720633B1 (ko) * 2005-12-26 2007-05-21 엘지노텔 주식회사 컴바인 트랙킹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시스템의 송신장치 및그 제어방법
DE102006017962B4 (de) * 2006-04-13 2020-07-30 Siemens Mobility GmbH Digitales Übertragungsverfahren
US8521207B2 (en) * 2009-02-09 2013-08-27 Qualcomm Incorporated Closed-loop power control in multi-carrier high-speed uplink packet access
BR112013018687A2 (pt) * 2011-01-21 2016-10-18 Mobius Semiconductor Inc sistemas e métodos para selecionar canais de conteudo digital usando conversores bloqueadores de ruido baixo incluindo comutadores canalizadores digitais
CN107612597B (zh) 2011-02-18 2021-01-05 太阳专利托管公司 信号生成方法及信号生成装置
US9246725B2 (en) * 2011-09-06 2016-01-26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of generating and receiving packets in low energy critical infrastructure monitoring system
GB2491430B (en) * 2012-03-16 2013-12-04 Renesas Mobile Corp Reconfigurable radio frequency circuits and methods of receiving
US9154356B2 (en) * 2012-05-25 2015-10-06 Qualcomm Incorporated Low noise amplifiers for carrier aggregation
CN104348445A (zh) * 2013-07-26 2015-02-1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衰减装置、系统及衰减方法
KR101684061B1 (ko) * 2015-02-05 2016-12-07 김규용 멀티플렉서 및 멀티플렉서용 저역통과필터
KR102210638B1 (ko) * 2019-06-17 2021-02-03 한국과학기술원 Fsk 신호 변복조 방법 및 장치
CN110768665B (zh) * 2019-11-07 2023-05-09 电子科技大学 一种二倍时钟采样速率的dds信号扫频源系统
CN112422093A (zh) * 2020-11-20 2021-02-26 成都沃特塞恩电子技术有限公司 一种功率合成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54826A (ja) * 1983-02-23 1984-09-03 Nec Corp 衛星通信送信電力制御方式
JPS6132835A (ja) * 1984-07-26 1986-02-15 Konishiroku Photo Ind Co Ltd 画像形成装置
JPS6469131A (en) * 1987-09-10 1989-03-15 Fujitsu Ltd Multicarrier supplying circuit
JPH01238331A (ja) * 1988-03-18 1989-09-22 Fujitsu Ltd 送信電力制御装置
US5278548A (en) * 1991-04-11 1994-01-11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Buffered feedthrough crossbar switch
JP2679445B2 (ja) * 1991-06-03 1997-11-19 日本電気株式会社 送信電力制御方式
GB9218874D0 (en) * 1992-09-07 1992-10-21 British Broadcasting Corp Improvements relating to the transmission of frequency division multiplex signals
JP3179209B2 (ja) * 1992-10-19 2001-06-25 日本電気株式会社 増幅方式
US5302914A (en) * 1992-10-20 1994-04-12 At&T Bell Laboratories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the peak-to-average power in multi-carrier RF communication systems
US5300894A (en) * 1992-10-20 1994-04-05 At&T Bell Laboratories Circuitry for minimizing peak power in an amplifier carrying a plurality of signals of differing frequencies
JPH07131521A (ja) * 1993-11-04 1995-05-19 Nec Corp ディジタル通信方式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330063A1 (en) 2003-07-23
KR970700966A (ko) 1997-02-12
CN1404230A (zh) 2003-03-19
CN1223093C (zh) 2005-10-12
CA2178815C (en) 1999-10-05
EP0743768A4 (en) 1999-10-27
WO1996018249A1 (fr) 1996-06-13
CN1138926A (zh) 1996-12-25
EP0743768A1 (en) 1996-11-20
CN1075301C (zh) 2001-11-21
CA2178815A1 (en) 1996-06-06
EP0743768B1 (en) 2004-05-12
EP1330063B1 (en) 2005-08-31
CN1345150A (zh) 2002-04-17
CN1129284C (zh) 2003-11-26
DE69534422D1 (de) 2005-10-06
DE69534422T2 (de) 2006-07-06
US5790555A (en) 1998-08-04
JP2787619B2 (ja) 1998-08-20
DE69533028D1 (de) 2004-06-17
DE69533028T2 (de) 2005-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195458B1 (ko) 신호다중화장치 및 방법
JP5295373B2 (ja) Ofdm信号処理
KR100727798B1 (ko) 단일 및 다중 채널 통신 시스템들에서 신호 제로크로싱들을 제거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EP3270558B1 (en) System and apparatus for post filtering peak power reduction in multi-carrier communications systems
US7548578B2 (en) Digital frequency hopping transceiver and method thereof
JPH08274734A (ja) 信号多重化装置及び方法
JP2002044054A (ja) リミッタ回路付きキャリア合成送信回路
JP3541674B2 (ja) マルチキャリア信号の生成方法及び送信装置
US20050197066A1 (en) Non-linear distortion compensation circuit for multi-carrier transmission
EP1569350B1 (en) Power limit device and digital radio transmitter using the same
US11569890B2 (en) Power scaling of transmission signal during transmission beam change
JPH114208A (ja) Ofdm伝送方法及びofdm伝送装置
CN100527644C (zh) 无线系统、无线发送装置以及无线接收装置
JP2916466B1 (ja) C/n設定回路
JP2002026777A (ja) スペクトラム拡散通信装置
JP2004320118A (ja) 局部発振器
JP2003273768A (ja) 送受信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20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