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5367B1 - 스크롤 압축기 - Google Patents

스크롤 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5367B1
KR100195367B1 KR1019960030203A KR19960030203A KR100195367B1 KR 100195367 B1 KR100195367 B1 KR 100195367B1 KR 1019960030203 A KR1019960030203 A KR 1019960030203A KR 19960030203 A KR19960030203 A KR 19960030203A KR 100195367 B1 KR100195367 B1 KR 1001953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l body
scroll
partition plate
fixed scroll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02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6913A (ko
Inventor
마사키 스가와
노부카즈 코소네
데츠조 마츠기
기요하루 이케다
노리히코 도요다
쇼이치로 하라
Original Assignee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Publication of KR9700069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69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53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53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02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 F04C18/0207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both members having co-operating elements in spiral form
    • F04C18/0215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both members having co-operating elements in spiral form where only one member is mov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3/00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each being of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type,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Multi-stage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23/008Hermetic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7/00Sealing arrangements in 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27/008Sealing arrangements in 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for other than working fluid, i.e. the sealing arrangements are not between working chambers of the mach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30/00Manufacture
    • F04C2230/20Manufacture essentially without removing material
    • F04C2230/23Manufacture essentially without removing material by permanently joining parts together
    • F04C2230/231Manufacture essentially without removing material by permanently joining parts together by wel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30/00Manufacture
    • F04C2230/60Assembly metho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30Casings or hous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229Prime mover or fluid pump making
    • Y10T29/49236Fluid pump or compressor making
    • Y10T29/4924Scroll or peristaltic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tary Pumps (AREA)
  • Applications Or Details Of Rotary Compressors (AREA)

Abstract

[과제]
시일 소요 장소에서의 시일성 불량, 톱니끝, 접촉, 탄성체의 이상마로, 피로파괴 등이 발생하지 않는 고성능 고신뢰성의 스크롤 압축기를 얻는 것.
[해결수단]
칸막이판(4)의 외주면 전체주위에 걸쳐 직경방향 외방향의 원주돌기(4c)가 돌출되어 있다. 이 원주돌기(4c)는 쉘본체(9)의 내부직경에 대하여, 쉘덮개(20)를 용접 등으로 밀봉부착된 후의 쉘본체(9)의 수축에 대응한 치수만큼 작은 외부직경으로 설정되어 있다. 즉, 원주돌기(4c)의 외주면과 쉘본체(9)의 내주면 사이에는 용접전에 미소한 틈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하여, 쉘본체(9)내에 칸막이판(4)이 장착되고, 또한 칸막이판(4)과 프레임(3)이 고정된다. 그후, 쉘본체(9)와 쉘덮개(20)를 용접하면, 용접후의 쉘본체(9)의 수축에 의해, 칸막이판(4)의 원주돌기(4c)의 외주면과, 쉘본체(9)의 내주면이 밀착된다. 이것에 의해, 고압측 공간(30)과 고압측 공간(31) 사이가 구획되어 시일된다.

Description

스크롤 압축기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스크롤 압축기의 요부 종단면도.
제2a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2에 의한 스크롤 압축기의 용접전에 있어서의 요부 종단면도.
제2b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2에 의한 스크롤 압축기의 용접후에 있어서의 요부 종단면도.
제3a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3에 의한 스크롤 압축기의 용접전에 있어서의 요부 종단면도.
제3b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3에 의한 스크롤 압축기의 용접전에 있어서의 요부 종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3에 의한 스크롤 압축기와 대비된 일구성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3에 의한 스크롤 압축기와 대비된 다른 구성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4에 의한 스크롤 압축기의 요부 종단면도.
제7a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5에 의한 스크롤 압축기의 용접전에 있어서의 요부종단면도.
제7b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5에 의한 스크롤 압축기의 용접후에 있어서의 요부 종단면도.
제8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6에 의한 스크롤 압축기의 고정 스크롤 및 플랜지부를 도시한 사시도.
제9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6에 의한 스크롤 압축기의 고정 스크롤 및 플랜지부 및 탄성체를 도시한 사시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6에 의한 스크롤 압축기의 운전중에 탄성체가 변위하는 양태를 도시한 상태 설명도.
제11a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7에 의한 스크롤 압축기의 고정 스크롤을 도시한 평면도.
제11b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7에 의한 스크롤 압축기의 고정 스크롤을 플랜지부에서 프레임에 부착된 양태를 도시한 평면도.
제11c도는 제11b도에 있어서의 A-O-A선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제1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8에 의한 스크롤 압축기의 고정 스크롤 및 플랜지부를 도시한 사시도.
제13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8에 의한 스크롤 압축기의 고정 스크롤 및 플랜지부, 탄성체 및 스페이서를 도시한 사시도.
제14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8에 의한 스크롤 압축기의 운전중에 탄성체가 변위하는 양태를 도시한 상태 설명도.
제15도는 종래예1의 스크롤 압축기의 종단면도.
제16도는 종래예2의 스크롤 압축기의 종단면도.
제17도는 종래예2의 스크롤 압축기의 요부를 도시한 확대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고정 스크롤 1a : 판형상 스파이럴 톱니
2 : 요동 스크롤 2a : 판형상 스파이럴 톱니
3 : 프레임 4 : 칸막이판
4a : 중간압력 실 4b : 원주돌기
4c : 원주돌기 9 : 쉘본체
9B : 밀폐용기 12 : 탄성체
20 : 쉘덮개 20A : 쉘덮개
21 : 플랜지부 21b : 탄성체 고정부
21c : 계단부 22 : 스페이서
30 : 고압측 공간 31 : 저압측 공간
δ : 가동틈 α : 미소틈
β : 미소틈
[고안의 목적]
본 발명의 목적은 시일 소요 장소에서의 시일성 불량, 톱니끝 접촉, 탄성체의 이상 마모, 피로 파괴등이 발생하지 않는 고성능, 고신뢰성의 스크롤 압축기를 얻는 것이다.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 및 그 분야의 종래기술]
본 발명은 예를 들면 공기조화기, 냉동기등에 사용되는 스크롤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제15도는 특개소 62-199986호 공보에 개시된 스크롤 압축기(종래예1)의 종단면도이다.
제1도에 있어서 1은 고정 스크롤이고 그의 한쪽면(하측)에는 판형상 스파이럴 톱니(1a)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고정 스크롤(1)의 받침판 부분의 외주부는 원통면 형상이다. 또한, 판형상 스파이럴 톱니(1a)와 반대측면(상측)에는 중공 원주형상의 보스부(1g)가 위를 향해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고, 그 보스부(1g)의 외향면에는 고압측 공간(30)(토출측 공간)과 저압측 공간(31)(흡입측공간)을 구획하는 시일부재(10a)를 수납하는 홈이 형성되어 있다.
2는 요동 스크롤이고, 그의 한면(상측)에는 판형상 스파이럴 톱니(2a)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반대면(하측)에는 주축(8)으로부터 구동력을 받는 보스부(2b)가 돌출되어 있다.
3은 프레임이고, 그의 외주부는 밀폐용기(9A)의 내면에 고착되어 있고, 또한, 상단부(3a)는 칸막이판(4)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3)은 요동 스크롤(2)의 트러스트 부하를 지지함과 동시에 주축(8)을 직경방향으로 지지한다.
칸막이판(4)은 프레임(3)상방의 밀페용기(9A)의 내면에 고착되어 있고, 기본적으로는 이것에 의해 용기내 공간이 고압측 공간(30)과 저압측 공간(31)으로 구획되어 있다. 또한, 칸막이판(4)에 압입된 핀(5)에 의해, 고정 스크롤(1)은 직경방향 및 회전 방향의 구속을 받고 있다.
7은 올덤 커플링이고 요동 스크롤(2)의 자전을 구속함과 동시에, 요동스크롤(2)과 프레임(3)의 위상결정을 행하고 있다.
8은 주축이고, 그의 상단이 요동 스크롤(2)의 하부에 연결됨과 동시에 요동 스크롤(2)을 구동하는 토크를 전동기로부터 주어지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종래예1에 따른 스크롤 압축기에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고정 스크롤(1)에 작용하는 축방향의 힘을 설명한다. 고정 스크롤(1)의 하면에는 압축실의 가스압에 기인된 상방으로 밀어 올리는 힘이 작용한다. 다른쪽, 고정 스크롤(1)의 보스부(1g)의 상면에는 고압이 작용하고 있고, 이 고압에 의해 발생하는 힘으로 고정 스크롤(1)은 하방으로 즉, 요동 스크롤(2)을 향해 가압되어지는 설정으로 되어 있다.
계속해서, 고정 스크롤(1)에 작용하는 직경방향의 힘을 설명한다. 고정 스크롤(1)에는 주로 압축실의 가스압에 기인되는 직경방향 외측방향의 힘이 그 판형상 스파이럴 톱니(1a)에 작용한다. 그 힘은 고정 스크롤 받침판(1)의 보스부(1g)를 거쳐 간막이 판(4)에 전달된다.
이어서, 고정 스크롤(1)에 작용하는 회전방향(자전방향)의 모멘트의 설명을 행한다. 고정 스크롤(1)에는 요동 스크롤(2)과 마찬가지로, 주로 압축실의 가스압에 기인되는 회전방향의 모멘트가 작용한다. 요동 스크롤(2)의 경우, 상기 모멘트를 올덤 커플링(7)으로부터 받는 것이지만, 고정 스크롤(1)의 경우 이것을 받는 수단은 핀(5)이다.
한편, 제16도는 특개소 63-80088호 공보에 개시된 스크롤 압축기(종래예2)의 종단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상기 구성 및 동작설명을 하였지만, 제15도에 의해 행한 종래예1의 설명과 공통의 내용을 생략한다. 1은 고정 스크롤이고, 상기 고정 스크롤(1)의 받침판 부분의 외주에는 4개소의 볼트 나사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12는 판나사등으로 대표되는 탄성체이고, 4개소의 볼트용 드릴구멍에 볼트가 삽입되고, 고정 스크롤(1)의 외주부 스파이럴 톱니측의 단면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탄성체(12)는 그 중앙측의 2개소의 드릴구멍에 볼트(15)가 삽입되고, 프레임(3)의 상단면에 고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고정 스크롤(1)과 프레임(3)은 탄성체(12)에 의해 축방향에 탄성 연결되어는 있지만, 직경방향 및 축회전의 축방향에는 기본적으로 고정 연결되어진다. 즉, 탄성체(12)는 고정 스크롤(1)의 반대 스파이럴측의 끝부분에 결합되어 있다. 또한, 고정 스크롤(1)은 프레임(3)과 일체를 이루어 밀폐용기(9A)에 가열 삽입하여, 압입, 엑스포트 등에 의해 고정.지지되어 있다.
또한, 고정 스크롤(1)의 축방향 상방으로의 이동을 구속하는 수단은 볼트(15)에 의해 프레임(3)에 고착된 부재이다. 또한, 칸막이판(4)은 프레임(3)에 대해 위치결정되지 않고, 밀봉 용기(9A)의 내주면에 전체주위 용접되어 있다.
또한, 제17도는 상기된 종래예2의 스크롤 압축기의 요부를 도시한 확대 종부분 단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10a는 고압측 공간(30)(토출측)과 중앙압실(4a)를 구획짓는 시일부재, 11a는 중간압실(4a)와 저압측 공간(31)(흡입측)을 구획짓는 시일부재이고, 이들은 고정 스크롤(1)과 칸막이판(4)사이에 미소틈을 갖고 설치되어진다. 고정 스크롤(1)에는 판형상 스파이럴 톱니(1a)측의 압축실과 중간압실(4a)을 연결하는 관통구멍(1d)이 형성되어 있다.
[고안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과제]
종래예2의 스크롤 압축기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고정 스크롤(1)이 프레임(3)을 거쳐 본체(9)에 유지되고 있다. 또한, 칸막이판(4)은 고정 스크롤(1)에 지지되지 않고, 쉘본체(9)에 지지되어 있다. 그 때문에, 쉘본체(9)와 칸막이판(4)의 전체주위의 용접에 의한 용접 비뚤어짐이나 변형에 의해, 시일부재(10a, 11b)를 통해 고정 스크롤(1)과 칸막이판(4)과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미소틈이 대향면 전체에 있어서의 치우침이 발생하고, 시일성의 불균일, 칸막이판(4)과 고정 스크롤(1)의 한면 접촉에 의한 시일불량, 톱니 끝의 접촉등이 발생하여, 압축기의 성능 불균형의 요인, 또는 성능불량, 신뢰성 저하, 나아가서는 압축기 파괴를 야기하는 일이 있다.
또한, 고정 스크롤(1)을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하기 위해 사용되는 판나사등의 탄성체(12)는 운전중, 항상 고정 스크롤에 작용하는 가스하중, 모멘트를 받기 때문에, 피로파괴, 이상 마찰 등을 발생하는 일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써, 시일소요 장소에서 시일성 불량, 톱니끝 접촉, 탄성체의 이상마모, 피로파괴등이 발생하지 않는 고성능, 고신뢰성의 스크롤 압축기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고안의 구성 및 작용]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스크롤 압축기는 시일 본체와, 이 시일본체의 상면개구에 밀봉접착 되어 시일 본체와 함께 밀봉용기를 구성하는 쉘뚜껑과, 밀봉 용기내에 직경방향 및 축주위 방향의 움직임을 구속된 상태로 배치되어 판형상 스파이럴 톱니를 갖는 고정 스크롤과, 판형상 스파이럴 톱니를 갖고 고정 스크롤(1)과 함께 서로의 판형상 스파이럴 톱니를 조합하여 압축실을 형성하는 요동 스크롤과, 밀봉 용기에 내주면에 밀착하여 설치되고 용기내 공간을 고압측 공간과 저압측 공간으로 구획하는 칸막이판과, 시일 본체의 저압측 내주면에 고정되어 요동 스크롤(1)을 활주가능하게 지지하는 프레임을 구비하고, 고정 스크롤이 축방향으로 미소 이동가능 하게 되는 가동틈을 통해 칸막이판의 하방에 설치되어 있는 스크롤 압축기에 있어서, 칸막이판은 시일 본체에 압입된 칸막이판의 외주면이 시일 본체의 내주면과 밀착하는 정도의 소정의 간섭을 갖는 외부직경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쉘 본체와, 이 쉘 본체의 상면개구에 밀봉부착 되어 쉘본체와 함께 밀봉용기를 구성하는 쉘뚜껑과, 밀봉용기내에 직경방향 및 축주위 방향의 움직임을 구속된 상태로 배치되어 판형상 스파이럴 톱니를 갖는 고정 스크롤과, 판형상 스파이럴 톱니를 갖고 고정 스크롤과 함께 서로의 판형상 스파이럴 톱니를 조합하여 압축실을 형성하는 요동 스크롤(1)과, 밀봉용기의 내주면에 밀착하여 형성된 용기내 공간을 고압측 공간과 저압측 공간으로 구획하는 칸막이판과, 쉘 본체의 저압측의 내주면에 고정되어 요동 스크롤을 활주가능하게 지지하는 프레임을 구비하며, 고정 스크롤이 축방향으로 미소이동 가능하게 되는 가동 틈을 통해 칸막이판의 하방에 설치되어 있는 스크롤 압축기에 있어서, 칸막이판의 외주면 전체주위에 걸쳐 직경방향 외방향의 원주돌기가 돌출설치됨과 동시에, 원주돌기는 쉘본체의 내부직경에 대하여, 쉘덮개를 용접등으로 밀봉부착한 뒤 쉘 본체의 수축량에 대응한 치수만큼 작은 외부직경으로 설정되어, 칸막이판 외주와 쉘본체 내주를 전체주위에 걸쳐 선접촉시키고 있는 것이다.
또한, 상술한 구성에 덧붙여, 원주돌기의 칸막이판에 있어서의 축방향의 설치위치는 쉘덮개를 용접 등으로 밀봉부착한 후에 수축하는 쉘본체에 의해 직경방향 내측으로 가압되는 칸막이판이 축방향으로 만곡되지 않는 위치에 설정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쉘 본체와, 이 쉘본체의 상부면 개구에 밀봉부착된 쉘본체와 함께 밀봉용기를 구성하는 쉘덮개와, 밀봉용기내에 직경방향 및 축회전 방향의 움직임을 구속된 상태로 배치되어 판형상 스파이럴 톱니를 갖는 고정 스크롤과, 판형상 스파이럴 톱니를 갖고 고정 스크롤과 함께 서로의 판형상 스파이럴 톱니를 조합하여 압축실을 형성하는 요동 스크롤과, 밀봉용기의 내주면에 밀착하여 설치되어 용기내 공간을 고압측 공간과 저압측 공간을 구획하는 칸막이판과, 쉘본체의 저압측의 내주면에 고정되어 요동 스크롤을 활주가능하게 지지하는 프레임을 구비하고, 고정 스크롤이, 축방향으로 미소이동 가능하게 되는 가동틈을 통해 칸막이판의 하방에 설치되어 있는 스크롤 압축기에 있어서, 칸막이판을 쉘덮개에 압입된 칸막이판의 외주면이 쉘덮개의 내주면과 밀착하는 정도의 소정의 인터페이스를 가진 외부직경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쉘 본체와, 이 쉘 본체의 상면개구에 밀봉 부착되어 쉘본체와 함께 밀봉용기를 구성하는 쉘덮개과, 밀봉용기내에 직경방향 및 축회전 방향의 움직임을 구속된 상태에서 배치 되어 판형상 스파이럴 톱니를 갖는 고정 스크롤과, 판형상 스파이럴 톱니를 갖고 고정 스크롤과 함께 서로의 판형상 스파이럴 톱니를 조합하여 압축실을 형성하는 요동 스크롤과, 밀봉용기의 내주면에 밀착하여 설치되고 용기내공간을 고압측 공간과 저압측 공간을 구획하는 칸막이판과, 쉘본체의 저압측의 내주면에 고정되어 요동 스크롤을 활주 가능하게 지지하는 프레임을 구비하고, 고정 스크롤이 축방향으로 미소이동 가능하게 되며 가동틈을 통해 칸막이판의 하방에 설치되어 있는 스크롤 압축기에 있어서, 칸막이판의 외주면 전체주위에 걸쳐 직경방향 외방향의 원주돌기가 돌출됨과 동시에, 원주돌기는 쉘덮개의 내부직경에 대하여, 쉘 본체에 용접등으로 밀봉 부착된 후의 쉘덮개의 수축량에 대응한 치수만큼 작은 외부직경으로 설정되어, 칸막이판 외주와 쉘덮개 내주를 전체주위에 걸쳐 선접촉 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쉘본체와, 이 쉘본체의 상면개구에 밀봉 부착되어 쉘본체와 함께 밀봉용기를 구성하는 쉘덮개과, 밀봉용기 내에 직경방향 및 축주위 방향의 움직임을 구속된 상태에서 배치 되어 판형상 스파이럴 톱니를 갖는 고정 스크롤과, 판형상 스파이럴 톱니를 갖고 고정 스크롤과 함께 서로의 판형상 스파이럴 톱니를 조합하여 압축실을 형성하는 요동 스크롤과, 밀봉 용기의 내주면에 밀착하여 설치되고 용기내 공간을 고압측 공간과 저압측 공간을 칸막이 하는 칸막이판과, 쉘본체의 저압측의 내주면에 고정되어 요동 스크롤을 활주 가능하게 지지하는 프레임을 구비하고, 고정 스크롤이 축방향으로 미소이동 가능하게 되며 가동틈을 통해 칸막이판의 하방으로 배치되어 있는 스크롤 압축기에 있어서, 고정 스크롤의 외주부에 직경방향 외측방향으로, 그리고, 둘레방향으로 불연속의 플랜지부가 적어도 2개 돌출되고, 프레임의 상단면에 탄성지지되어 고정 스크롤을 칸막이판을 향하여 가압하는 탄성체가 구비되며, 플랜지부의 각각의 하면에 탄성체를 고정하는 탄성체 고정부가 형성됨과 동시에, 플랜지부에 탄성체 고정부이외의 부분을 축방향으로 절경되어진 탄성체 비간섭의 계단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쉘본체와, 이 쉘본체의 상면개구에 밀봉 부착된 쉘본체와 함께 밀봉용기를 구성하는 쉘덮개과, 밀봉용기 내에 직경방향 및 축주위 방향의 움직임을 구속된 상태에서 배치 되어 판형상 스파이럴 톱니를 갖는 고정 스크롤과, 판형상 스파이럴 톱니를 갖고 고정 스크롤과 함께 서로의 판형상 스파이럴 톱니를 조합하여 압축실을 형성하는 요동 스크롤과, 밀봉 용기의 내주면에 부착하여 설치되고 용기내 공간을 고압측 공간과 저압측 공간으로 구분하는 칸막이판과, 쉘본체의 저압측의 내주면에 고정되어 요동 스크롤을 활주 가능하게 지지하는 프레임을 구비한 스크롤 압축기에 있어서, 고정 스크롤의 외주부에 직경방향 외방향, 또한, 둘레방향으로 불연속의 플랜지부가 적어도 2개 돌출됨과 동시에, 이들 플랜지부의 하면이 프레임의 상단면에 직접 지지되어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쉘본체와, 이 쉘본체의 상면개구에 밀봉 부착되어 쉘본체와 함께 밀봉용기를 구성하는 쉘덮개과, 밀봉용기 내에 직경방향 및 축주위 방향의 움직임을 구속된 상태에서 배치 되어 판형상 스파이럴 톱니를 갖는 고정 스크롤과, 판형상 스파이럴 톱니를 갖고 고정 스크롤과 함께 서로의 판형상 스파이럴 톱니를 조합하여 압축실을 형성하는 요동 스크롤과, 밀봉 용기의 내주면에 부착하여 설치되고 용기내 공간을 고압측 공간과 저압측 공간으로 구획하는 칸막이판과, 쉘본체의 저압측의 내주면에 고정되고 요동 스크롤을 활주가능하게 지지하는 프레임을 구비하고, 고정 스크롤이 축방향으로 미소이동 가능하게 되는 가동틈을 거쳐 칸막이판의 하방에 설치되어 있는 스크롤 압축기에 있어서, 고정 스크롤의 외주부에 직경방향 외방향으로, 또한, 둘레방향으로 불연속의 플랜지부가 적어도 2개 돌출되어, 프레임의 상단면에 탄성지지되어 고정 스크롤을 칸막이판을 향하여 가압하는 탄성체가 배치되고, 플랜지부 각각의 하면에 탄성체를 고정하는 탄성체 고정부가 형성되어, 플랜지부에 탄성체 고정부 이외의 부분을 축방향으로 절결되어진 탄성체 비간섭의 계단부가 형성됨과 동시에, 탄성체 고정부와 거의 동일한 평면현상으로 형성되어 탄성체 고정부의 하방에 배치되고 탄성체를 끼워지지하는 스페이서가 배치되어 있는 것이다.
[발명의 실시의 형태]
[실시예 1]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실시예1에 의한 스크롤 압축기의 요부 종단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1은 고정 스크롤이고, 그 한측에는 판형상 스파이럴 톱니(1a)가 형성되어 있다. 이 고정 스크롤은 직경방향 및 축주위 방향의 움직임을 구속된 상태에서 밀봉용기(9B)내에 배치된다. 또한, 고정스크롤의 받침판(1b)을 통해 스파이럴 톱니(1a)의 반대측(상측)의 공간은 중간압실(4a)이고, 고정 스크롤(1) 받침대(1b)에 압축실과 연결되어 형성된 연결구멍(1d)에 의해, 운전중은 중간압에 설정되도록 되어 있다.
2는 요동 스크롤이고, 그의 한면(상측)에는 상향의 판형상 스파이럴 톱니(2a)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반대면(하측)에는 주축(8)으로부터 구동력을 받는 보스부(2b)가 하방향에 돌출되어 있다. 이 요동 스크롤(2)은 고정 스크롤과 함께 서로의 판형상 스파이럴 톱니(1a, 2a)를 조합하여 압축실을 형성하도록 되어있다.
3은 프레임이고, 그의 외주부는 쉘본체(9)의 저압측의 내주면에 고정되어 있고, 그 상단면은 칸막이판(4)과 볼트 체결되어 있다. 이 프레임(3)은 요동 스크롤(2)의 트러스트 하중을 유지함과 동시에, 주축(8)을 직경방향에 지지하게 되어 있다.
프레임(3)과 칸막이판(4)은 리머핀 등의 위치결정핀에 의해 직경방향 및 회전방향의 위치결정이 이루어지고 있다.
10는 고압측 공간(30)(토출측)과 중간압실(4a)(중간압)을 구획하는 예를 들면 4불화 에틸렌 수지제0-링 형상의 시일부재이고, 11는 중앙압실(4a)(중간압)과 저압측 공가(31)(흡입측)을 구획하는 예를 들면, 4불화 에틸렌 수지 제0-링 형상의 시일부재이다.
칸막이판(4)의 고정 스크롤(1)측 면에는 저면시 환형상의 홈이 2개 파여져 있고, 각각의 홈에 시일부재(10, 11)가 장착되어 있다. 시일부재(10, 11), 고정 스크롤 받침판(1b), 칸막이판(4)에 의해 상기의 중간압실(4a)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 스크롤(1)고 칸막이판(4) 사이에는 고정 스크롤이 축방향으로 미소이동가능하게 되는 소정의 가동틈δ가 설정되어 있다. 이 가동틈δ은 고정 스크롤(1)의 최대 릴리프 량으로서 각부품의 치수에 근거하여 설정되어 있다. 또한, 가동틈δ을 균일하게 하기 위해, 고정 스크롤(1)과 받침판(1b)과 칸막이판(4)이 평행하게 되도록 조립된다. 또한, 12는 반원호 형상으로 스프링판등의 탄성체로서, 2개 1조가 사용된다.
7은 올덤 커플링이고, 요동 스크롤(2)의 자전을 구속함과 동시에, 요동스크롤(2)과 프레임(3)의 위상결정을 행하고 있다.
8은 주축이고, 요동 스크롤(2)을 구동하는 토오크를 전동기(32)로 주어질 수 있게 되어 있다.
20은 스크롤 본체(9)의 상면개구에 밀봉 부착되어 쉘본체(9)와 함게 밀봉용기(9B)를 구성하는 쉘덮개이다.
또한, 33은 고정 스크롤 받침판(1b)의 거의 중심부에 관통된 토출구멍이고, 34는 칸막이판(4)의 거의 중심부에 관통된 토출구멍이다.
한편, 칸막이판(4)의 외주부에는 직경방향 외방향의 원주돌기(4c)가 전체주위에 걸쳐 마련되어 있다. 이 원주돌기(4b)는 쉘본체(9)의 내부직경에 대하여, 소정의 간섭을 갖는 외부직경에 설정되어 있다. 이 소정의 간섭은 쉘본체(9)에 압입된 칸막이판(4)의 원주돌기(4b)의 외주면이 쉘본체(9)의 내주면과 밀착하는 정도의 치수로 설정되어 있다.
칸막이판(4)의 조립시, 칸막이판(4)은 압입에 의하여 쉘본체(9)에 삽입되어, 고정 스크롤(1)과 칸막이판(4)이 평행을 유지한 상태 대로, 칸막이판(4)과 프레임(3)이 볼트 고정되어 조립된다.
따라서, 이 칸막이판(4)의 외주면과 쉘본체(9)의 내주면과의 밀착에 의해서, 밀봉용기(9B)내의 공간은 고압측 공간(30)과 저압측 공간(31)으로 구획되어 시일된다.
[실시예 2]
제2도는 실시예2을 나타내는 것으로, 제2a도는 스크롤 압축기의 용접전에 있어서의 주요부 종단면도, 제2b도는 스크롤 압축기의 용접후에 있어서의 주요부 종단면도이다.
각 도면에 있어서, 칸막이판(4)의 외주부에는 직경방향 외방향의 원주돌기(4c)가 전체주위에 걸쳐 마련되어 있다. 이 원주돌기(4c)는 시일본체(9)의 내주면에 대하여, 소정의 미소한 틈 α 을 설치한 외주면에 설정되어 있다. 즉, 원주돌기(4c)는 쉘본체(9)의 내부직경에 대하여, 쉘덮개(20)를 용접등으로 밀봉 부착한 후의 쉘본체(9)의 수축량에 대응한 치수만큼 작은 외부직경으로 설정되어 있다.
칸막이판(4)은 쉘본체(9)에 고정된 프레임(3)에 볼트에 의해 고정 스크롤(1)과 칸막이판(4)이 평행을 유지한 상태로 고정된다. 이때, 쉘본체(9)의 내주면과 원주돌기(4c)의 외주면의 사이에, 상기한 미소한 틈 α 이 생긴다. 조립후, 쉘덮개(20)는 쉘본체(9)의 상면개구를 밀봉하도록 장착되어, 전주위 용접에 의해 접합된다. 용접시 용접변형에 의해, 쉘본체(9)는 프레임(3)등을 고정하고 있는 부분보다도 강성이 약한 상단부가 그 직경을 줄이는 방향으로 수축하여, 이것에 의해 원주돌기(4c)의 외주면과 쉘본체(9)의 내주면이 밀착된다.
따라서, 원주돌기(4c)의 외주면과 쉘본체(9)의 내주면과의 밀착에 의해, 고압축 공간(30)과 저압측 공간(31)과의 사이가 구획되어져 있다.
[실시예 3]
제3도는 실시예 3을 나타내는 것으로, 제3a도는 스크롤 압축기의 용접 전에 있어서의 주요부 종단면도, 제3b도는 스크롤 압축기의 용접 후에 있어서의 주요부 종단면도이다.
각 도면에 있어서, 칸막이판(4)의 외주부에는 원주돌기(4c)가 전체주위에 걸쳐 마련되어 있다. 이 원주돌기(4c)는 쉘본체(9)의 내면에 대하여 소정의 미소틈 α을 형성한 외주면이 되도록 설정되어 있음과 동시에, 그 축방향 위치는 칸막이판(4)의 두께 H에 대하여, 그 원주돌기(4c)의 하단 위치에서 상단 위치까지의 높이 h가 「h≒H/2」로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즉, 원주돌기(4c)의 칸막이판(4)에 있어서의 축방향의 배치위치는 쉘덮개(20)를 용접등으로 밀봉부착한 후에 수축되는 쉘본체(9)에 의해 직경방향 내방향으로 가압되는 칸막이판(4)이 축방향에 만곡되지 않는 위치에 설정되어 있다.
칸막이판(4)은 쉘본체(9)에 고정된 프레임(3)에 볼트에 의해 고정 스크롤(1)과 칸막이판(4)의 평행을 유지한 상태로 고정된다. 이때, 칸막이판(4)과 고정 스크롤(1)의 받침판 부분과의 사이에는 소정의 가동틈δ(릴리프 량)이 설치되어 있고, 또한, 상기와 같이, 쉘본체(9)의 내주면과 원주돌기(4c)의 외주면의 사이에는 소정의 미소틈α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하여, 조립후에 쉘덮개(20)가 쉘본체(9)의 상면개구에 장착되어 전체주위 용접에 의해 접합되어, 용접시의 용접변형 등에 의해, 쉘본체(9)는 프레임(3)들을 고정하고 있는 부분보다도 강성이 약한 상단부가 그 직경을 단축하는 방향으로 수축하여, 원주돌기(4c)의 외주면과 쉘본체(9)의 내주면이 밀착된다.
계속해서, 제4도는 실시예 3의 스크롤 압축기와 대비한 1 구성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제5도는 실시예 3의 스크롤 압축기와 대비한 다른 구성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이들의 도면에서는 쉘본체(9)와 쉘덮개(20)를 용접하여, 그 후의 수축에 의하여 쉘본체(9)의 내주면이 원주돌기(4c1,4c2)와 밀착되도록, 칸막이판(4)을 가압할때의 칸막이판(4)의 변형상태가 나타나고 있다. 또한, 칸막이판(4)과 고정 스크롤 받침판(1b) 사이에는 가동틈δ이 설정되어 있다.
우선, 도면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주돌기(4c1)가 칸막이판(4)의 축방향 중심보다도 상방으로 위치하고 있는 경우, 쉘본체(9)의 가압에 의해, 칸막이판(4)은 상단부가 눌려지기 때문에, 모멘트가 작용하여 오목형상으로 변형하고, 변형후의 가동틈δ'은 원래의 가동틈δ에 대하여, 「δ'δ」로 되기 때문에, 대향면 전체에서 균일한 가동틈δ이 설정되어 있다.
반대로, 도면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주돌기(4c2)가 칸막이판(4)의 축방향 중심보다도 하방으로 위치하고 있는 경우, 쉘본체(9)의 가압에 의해 칸막이판(4)은 하부가 눌려지기 때문에, 볼록현상으로 변형하고, 변형후의 가동틈δ이 「δδ」가 되어, 설정된 가동틈 보다도 커지게 된다.
그리하여, 도면3에 나타낸 스크롤 압축기와 같이, 원주돌기(4c)를 칸막이판(4)의 축방향 중심부근에 배치시킴으로써, 원주돌기(4c)의 외주면과 쉘본체(9)의 내주면이 밀착됨으로, 고압측 공간(30)과 저압측 공간(31)과의 사이가 시일됨과 동시에, 쉘본체(9)의 수축에 의하여 쉘본체(9)가 원주돌기(4c)를 가압하여도 칸막이판(4)이 축방향으로 변형되지 않기 때문에, 가동틈δ (릴리프량)이 대향면 전체에서 불균일하게 되는일 없이, 균일한 가동틈이 용이하게 얻어진다.
[실시예 4]
제6도는 실시예4에 의한 스크롤 압축기의 주요부 종단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칸막이판(4)의 외주부에는 직경방향 외방향의 원주돌기(4b)가 전체주위에 걸쳐 마련되어 있다. 이 원주돌기(4b)는 종측 치수가 길게 형성되어 있는 쉘덮개(20A)의 내부직경에 대하여, 소정의 간섭을 갖는 외부직경으로 설정되어 있다. 이 소정의 간섭은 칸막이판(4)의 원주돌기(4b)의 외주면에 압입되어 쉘덮개(20A)의 내주면과 밀착하는 정도의 치수로 설정되어 있다.
칸막이판(4)은 고정 스크롤과 칸막이판(4)과의 평행상태를 유지한 채로 쉘본체(9)에 고정되어 있는 프레임(3)에 볼트에 고정 된다. 그 후, 쉘덮개(20A)에 칸막이판(4)이 압입 되고, 또한, 쉘덮개(20A)의 하단부와 쉘본체(9)의 상단부가 전체주위 용접에 의해 접합 된다.
따라서, 원주돌기(4b)의 외주면과 쉘덮개(20A)의 내주면과의 밀착으로, 고압측 공간(30)과 저압측 공간(31) 사이가 구획되어 시일된다.
[실시예 5]
제7도는 실시예 5을 나타내는 것으로, 제7a도는 스크롤 압축기의 용접전에 있어서의 주요부 종단면도, 제7b도는 스크롤 압축기의 용접후에 있어서의 주요부 종단면도이다.
각 도면에 있어서, 칸막이판(4)의 외주부에는 직경방향 외방향의 원주돌기(4b)가 전체주위에 걸쳐 마련되어 있다. 이 원주돌기(4c)가 쉘덮개(20A)의 내주면에 대하여 소정의 미소틈 β을 갖는 외주면에 설정되어 있다. 즉, 원주돌기(4c)는 쉘덮개(20A)의 내부직경에 대하여, 쉘본체(9)에 용접 등으로 밀봉 부착된 후의 쉘덮개(20A)의 수축량에 대응한 치수만큼 작은 외부직경으로 설정되어 있다.
칸막이판(4)은 고정 스크롤(1)과 칸막이판(4)이 평행을 유지한 채로의 상태로, 쉘본체(9)에 고정되어 있는 프레임(3)에 볼트에 고정된다. 조립후, 쉘덮개(20A)를 쉘본체(9)에 삽입된다. 이때, 쉘덮개(20A)의 내주면과 원주돌기(4c)의 외주면과의 사이에는 상기의 미소틈 β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쉘덮개(20A)와 쉘본체(9)를 전체주위 용접에 의해 접합된다. 용접후의 용접변형 등에 의해, 쉘덮개(20A)는 수축하여, 원주돌기(4c)의 외주면과 쉘덮개(20A)의 내주면이 밀착된다.
따라서, 칸막이판(4)의 원주돌기(4c)의 외주면과 쉘덮개(20A)의 내주면과의 밀착에 의해, 고압측 공간(30)과 저압측 공간(31)과의 사이가 구획되어 시일된다.
[실시예 6]
제8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6에 의한 스크롤 압축기의 고정 스크롤 및 플랜지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9도는 이 스크롤 압축기의 고정 스크롤 및 플랜지부 및 탄성체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10도는 이 스크롤 압축기의 운전중에 탄성체가 변위하는 양태를 나타내는 상태 설명도이다.
제8도에 있어서, 1b는 고정 스크롤(1)의 고정 스크롤 받침판이고, 그 외부직경은 설정 취입용적(가압량)을 확보할 수 있는 최소한의 직경(≒ 판형상 스파이럴 톱니(1a)의 감김종단부 외경직경 + 요동 스크롤의 요동반경 ×2)으로 설정되어 있다. 21는 고정 스크롤 받침판(1b)의 외주부에, 직경방향 외방향에서 원주방향으로 불연속으로 둘출된 2개의 플랜지부이고, 21b는 스프링 판등으로 구성되는 링판형상의 탄성체(12)를 고정.지지하는 탄성체 고정부이다. 고정 스크롤 받침판(1b)의 측면(1e) 및 플랜지부(21)의 측면(21a)은 연마가공등이 되어 있지 않은 주철의 상태이다.
21c는 고정 스크롤(1)의 플랜지부(21)에 설치된 계단부이고, 플랜지부(21)의 탄성체 고정부(21b)에 대하여 축방향의 반스파리럴측을 향해 소정량만큼 낮은 단차로 설정되어 있다. 상기 계단부(21c)는 탄성체 고정부(21b) 이외의 플랜지부(21) 부분이 축방향으로 절결되어지고 탄성체(12)와 비간섭으로 되도록 형성된 것이다.
제9도에 있어서, 탄성체(12)는 볼트 등으로 고정 스크롤(1)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상태에서 탄성체(12)가 프레임(3)에 부착되어 운전에 제공된다. 그리고, 운전중 고정 스크롤(1)은 운전조건에 의해 축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제10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탄성체(12)는 그 일부분이 고정 스크롤(1)에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보면, 탄성체(12)가 축방향으로 진동함으로써, 그 고정 스크롤(1)측은 플랜지부(21)의 단부(21d)가 진동지점으로된다. 따라서, 플랜지부(21)의 탄성체(12)의 굴곡량 이상의 소정의 절하량으로 설정된 계단부(21c)를 설치함으로써, 탄성체(12)가 굴곡되어도, 그때의 진동지점을 단부(21d)에 고정되기 때문에, 진동지점은 변하지 않는다.
[실시예 7]
제11도는 실시예7에 예시한 것으로, 제11a도는 스크롤 압축기의 고정 스크롤을 나타내는 평면도, 제11b도는 스크롤 압축기의 고정 스크롤을 플랜지부에서 프레임에 부착된 양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제11c도는 제11b도에 있어서의 A-O-A선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각 도면에 있어서, 1b는 고정 스크롤(1)의 고정 스크롤 받침판이고, 그 외부직경은 설정취입용적(가압량)을 확보할 수 있는 최소한의 직경(≒ 판형상 스파이럴 톱니의 감김 종단부 외부직경 + 요동 스크롤의 요동반경 ×2)로 설정되어 있다. 21는 고정 스크롤 받침판(1b)의 주위벽에 돌출된 4개의 플랜지부이고, 이 플랜지부(21)의 하면(판형상 스파이럴 톱니축의 면)을 프레임(3)의 상단면에 직접 밀착시켜 고정ㆍ지지하게 되어있다. 고정 스크롤 받침판(1b)의 측면(1e) 및 플랜지부(21)의 측면(21a)는 연마 가공등이 되어 있지 않은 주철의 상태이다.
여기에서는 고정 스크롤(1)의 프레임(3)을 직접 부착ㆍ지지시켜 서로를 고정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각 부품에 관하여 축방향의 치수 관리를 간단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실시예 8]
제12도는 실시예8에 의한 스크롤 압축기의 고정 스크롤 및 플랜지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13도는 상기 스크롤 압축기의 고정 스크롤 및 플랜지부, 탄성체 및 스페이서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14도는 이 스크롤 압축기의 운전중에 탄성체가 변위하는 양태를 나타내는 상태 설명도이다.
제12도에 있어서, 1b는 고정 스크롤의 고정 스크롤 받침판이고, 그 외부직경은 설정 취입 용적(가압량)을 확보할 수 있는 최소한의 직경(≒ 판형상 스파이럴 톱니(1a)의 감김 종단부 외부직경 + 요동 스크롤의 요동반경 ×2)로 설정되어 있다. 21는 고정 스크롤 받침판(1b)의 외주벽에 돌출된 2개의 플랜지부이고, 21b는 탄성체(12)등을 고정하는 탄성체 고정부이다. 고정 스크롤 받침판(1b)의 측면(1e) 및 플랜지부(21)의 측면(21a)는 연마가공등이 되어 있지 않은 주철의 상태이다. 21c는 플랜지부(21)에 설치된 단계부이고, 플랜지부(21)의 탄성체 고정부(21b)에 대하여 축방향의 반스파리럴 측을 향해 소정량만큼 낮은 단차로 설정되어 있다. 22는 탄성체 고정부(21b)와 거의 동일한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탄성체 고정부(21b)의 하방에 배치되어 탄성체 고정부(21b)와의 사이에서 탄성체(12)를 끼워지지하는 스페이서이다. 도면13에 있어서, 탄성체(12)는 스페이서(22)를 통해 고정 스크롤(1)에 부착되어 있다. 스페이서(22)의 단부(22a)는 고정 스크롤(1)에 있어서의 계단부(21c)의 끝부분(21d)과 같은 위치로 설정된다. 이 상태로 프레임(3)에 부착되어 운전에 제공된다.
그리하여, 도면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운전중의 고정 스크롤은 운전조건에 의해 축방향으로 이동한다. 탄성체(12)는 그 일부분이 프레임(3)에 지지되고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보면, 탄성체(12)가 축방향으로 진동하게 되고, 그 고정 스크롤(1)측은 단부(21d)가 진동지점으로 되고, 그 반대측은 스페이서(22)의 단부(22a)가 진동지점이 된다.
즉, 플랜지부(21)에 탄성체(12)의 굴곡량 이상의 소정의 절곡량으로 설정한 계단부(21c)를 설치하고, 또한, 플랜지부(21b)의 탄성체(12)를 거친 반대측에 스페이서(22)를 설치하고, 또한, 그 스페이서(22)의 단부(22a)를 계단부(21c)의 끝부분(21d)과 같은 위치로 하여 고정 스크롤(1)의 플랜지부(21)와 탄성체(12), 스페이서(22)를 일체로 고정함으로써, 탄성체(12)가 운전중에 휘더라도, 그 진동지점이 단부(21d)와 단부(22a)에 고정되기 때문에, 진동지점은 진동방향이 축방향의 어느쪽의 방향이라도 변하는 일이 없다. 따라서, 탄성체(12)의 응력을 감소할 수 있고, 피로파괴를 방지할 수 있다.
[고안의 효과]
상기와 같이, 청구항1의 발명에 의하면, 고정 스크롤과 칸막이판이 평행하게 유지된 상태로 조립되고, 그 상태에서 칸막이판은 프레임을 지지ㆍ고정한 쉘본체에 압입되어 쉘본체의 내주면과 밀착함으로, 프레임과 칸막이판이 고정되고, 그 후 쉘본체와 쉘덮개가 용접되기 때문에, 용접에 의한 쉘본체의 변형으로 칸막이판과 고정 스크롤과의 평행관계가 변화하지 않고, 또한, 칸막이판과 쉘본체로 고저압간의 시일이 가능하고, 고성능이고 신뢰성이 높은 압축기가 얻어진다.
또한, 청구항2의 발명에 의하면, 쉘본체의 내부직경에 대하여 소정치수만큼 작은 외부직경의 원주돌기를 갖는 칸막이판과, 고정 스크롤이 평행하게 유지된 상태로 조립되고, 그 상태에서 칸막이판은 프레임을 고정ㆍ지지한 쉘본체에 삽입되어, 칸막이판과 프레임이 고정된 후, 쉘덮개와 쉘본체가 용접됨으로써, 쉘본체의 수축을 이용하여 칸막이판의 원주돌기의 외주면과 쉘본체의 내주면을 밀착시켜 고저압간의 시일을 행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용접에 의한 쉘본체의 변형에 따라서도 칸막이판과 고정 스크롤과의 평행관계가 어굿나는 일 없이, 또한, 칸막이판의 원주돌기와 쉘본체에서 고저압간의 시일을 할 수 있다. 따라서, 고성능이고 신뢰성이 높은 압축기가 얻어진다.
또한, 청구항3의 발명에 의하면, 쉘본체의 내부직경에 대하여 소정치수 만큼 작은 외부직경의 원주돌기를 갖는 칸막이판과, 고정 스크롤이 평행하게 유지된 상태로 조립되고, 그 상태에서 칸막이판은 프레임을 고정ㆍ지지한 쉘본체에 삽입되어, 칸막이판과 프레임이 고정된 후, 쉘덮개와 쉘본체가 용접됨으로써, 쉘본체의 수축을 이용하여 칸막이판의 원주돌기의 외주면과 쉘본체의 내주면을 밀착시켜 고저압간의 시일을 행하고, 또한, 칸막이판의 원주돌기가 칸막이판의 축방향의 소정위치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쉘덮개를 밀봉 밀착한 후의 쉘본체의 수축에 의해, 쉘본체가 칸막이판의 원주돌기를 가압하여도, 칸막이판이 축방향으로 변형하지 않기 때문에, 칸막이판과 고정 스크롤 사이의 가동틈이 전면에 걸쳐 변화하지 않고, 소정의 가동틈이 얻어진다. 따라서, 고성능이고 신뢰성이 높은 압축기가 얻어진다.
또한 청구항4의 발명에 의하면, 칸막이판과, 고정 스크롤이 평행으로 유지된 상태로 조립되고, 그 상태에서 칸막이판은 프레임을 고정지지하는 쉘본체에 삽입되고, 칸막이판과 프레임이 고정되고, 칸막이판이 쉘덮개의 내주와 단단하게 접촉하도록 쉘덮개가 쉘본체에 조합되어지고, 그리고나서, 쉘본체와 쉘덮개가 용접되기 때문에, 용접에 의한 쉘덮개의 변형으로 칸막이판과 고정 스크롤간의 시일이 가능하고, 고성능이고 신뢰성이 높은 압축기가 얻어진다.
또한, 청구항5의 발명에 의하면, 쉘덮개의 내부직경에 대하여 소정치수만큼 작은 외경의 원주돌기를 갖는 칸막이판과, 고정 스크롤이 평행하게 유지된 상태로 조립되고, 그 상태에서 칸막이판은 프레임을 고정ㆍ지지한 쉘본체에 삽입되어, 칸막이판과 프레임이 고정된 후, 쉘덮개와 쉘본체가 용접되고, 이때의 쉘덮개의 수축을 이용하여 칸막이판의 원주돌기의 외주면과 쉘본체의 내주면을 밀착시켜 고저압간의 시일을 행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용접에 의한 쉘덮개의 변형에 의해서도 칸막이판과 고정 스크롤과의 평행관계가 어굿나지 않고, 또한 칸막이판의 원주돌기와 쉘덮개에서 고저압간의 시일이 가능하고, 고성능이고 신뢰성이 높은 압축기가 얻어진다.
또한, 청구항6의 발명에 의하면, 고정 스크롤에 설치된 탄성체의 축방향 변위의 지지점을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탄성체의 응력저감에 의한 피로파괴 방지가 가능하게 되어, 신뢰성이 높은 압축기가 얻어진다.
또한, 청구항7의 발명에 의하면, 고정 스크롤(1)과 프레임을 직접 밀착시켜 조립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칸막이판의 축방향 치수의 관리가 불필요해지고, 또한, 톱니끝 틈의 관리가 용이하게 되고, 또한, 축방향 컴플라이언스 기구가 없는 경우는 고정 스크롤을 공통화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8의 발명에 의하면, 고정 스크롤에 설치된 탄성체의 축방향 변위의 지점을 어느쪽의 진동방향에 관해서도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탄성체의 응력저감에 의한 피로파괴 방지가 가능하게 되어, 보다 신뢰성이 높은 압축기가 얻어진다.

Claims (3)

  1. 쉘본체와, 상기 쉘본체의 상면개구를 봉쇄하도록 상기 쉘본체에 밀봉 부착된 쉘덮개를 갖는 밀봉용기와; 축방향 및 회전방향 이동이 구속되도록 상기 밀봉용기내에 배치되고 판형상 스파이럴 톱니를 갖는 고정 스크롤과; 판형상 스파이럴 톱니를 가지며 상기 고정 스크롤의 판형상 스파이럴 톱니와의 조합에 의하여 압축공간을 형성하는 요동 스크롤과; 상기 쉘본체의 내주면에 고정되어 상기 요동 스크롤을 활주가능하게 지지하는 프레임 및; 상기 밀봉용기내의 공간이 고압공간과 저압공간으로 분리되도록 상기 밀봉용기의 내주면과의 용접을 하지 않고 상기 밀봉용기의 내면과 단단하게 접촉하도록 배치된 칸막이판으로서, 상기 프레임이 상기 저압공간내에 위치되고 상기 고정스크롤이 상기 고정스크롤의 축방향의 미소동작을 허용하는 가동공간을 통해 상기 칸막이판의 하방에 배치되는 칸막이판을 갖는 것을특징으로 하는 스크롤 압축기.
  2. 쉘본체와, 상기 쉘본체의 상면개구를 봉쇄하도록 상기 쉘본체에 밀봉 부착되어 쉘본체과 함께 밀봉용기를 형성하는 쉘덮개와; 축방향 및 회전방향 이동이 구속되도록 상기 밀봉용기내에 배치되고 판형상 스파이럴 톱니를 갖는 고정 스크롤 및; 판형상 스파이럴 톱니를 가지며 상기 고정 스크롤의 판형상 스파이럴 톱니와의 조합에 의하여 압축공간을 형성하는 요동 스크롤과; 상기 밀봉용기의 공간이 고압공간과 저압공간으로 분리되도록 상기 밀봉용기의 내주면에 단단히 접촉되도록 배치된 칸막이판 및; 상기 쉘본체의 내주면에 고정되어 상기 저압공간내에 위치하며 상기 요동 스크롤을 활주가능하게 지지하는 프레임을 갖는 스크롤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고정스크롤은 그 축방향의 미소동작을 허용하는 가동공간을 통해 상기 칸막이판의 하방에 배치되며, 상기 고정스크롤은 그 외주측 또는 직경방향으로 돌출하고 상기 고정 스크롤의 원주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비연속인 적어도 2개의 플랜지부를 갖고, 탄성체가 상기 고정 스크롤을 상기 칸막이판을 향해 탄성가압 되도록 상기 프레임의 상단면에 지지되고, 상기 플랜집의 각각에는 바닥면에 탄성체를 고정하기 위한 탄성체 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체 고정부에 인접하는 상기 플랜지부의 각각의 부분은 축방향으로 절단되어 상기 탄성체와 간섭하지 않은 스텝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 압축기.
  3. 쉘본체와, 상기 쉘본체의 상면개구를 봉쇄하도록 상기 쉘본체에 밀봉 부착되어 쉘본체과 함께 밀봉용기를 형성하는 쉘덮개와; 축방향 및 회전방향 이동이 구속되도록 상기 밀봉용기내에 배치되고 판형상 스파이럴 톱니를 갖는 고정 스크롤과; 판형상 스파이럴 톱니를 가지며 상기 고정 스크롤의 판형상 스파이럴 톱니와의 조합에 의하여 압축공간을 형성하는 요동 스크롤과; 상기 밀봉용기의 공간이 고압공간과 저압공간으로 분리되도록 상기 밀봉용기의 내주면에 단단히 접촉 배치된 칸막이판과 상기 쉘본체의 내주면에 고정되고 상기 저압공간내에 위치되며 요동 스크롤을 활주가능하게 지지하는 프레임 및; 상기 고정스크롤의 외주에서 직경방향으로 외측으로 돌출하고 상기 고정 스크롤의 둘레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비연속인 적어도 2개의 플랜지부로서, 상기 프레임의 상단면에 직접 지지된 저면을 각각 갖는 상기 플랜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 압축기.
KR1019960030203A 1995-07-25 1996-07-25 스크롤 압축기 KR1001953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7189293A JPH0932771A (ja) 1995-07-25 1995-07-25 スクロール圧縮機
JP95-189293 1995-07-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6913A KR970006913A (ko) 1997-02-21
KR100195367B1 true KR100195367B1 (ko) 1999-06-15

Family

ID=16238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0203A KR100195367B1 (ko) 1995-07-25 1996-07-25 스크롤 압축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017203A (ko)
EP (1) EP0756088B1 (ko)
JP (1) JPH0932771A (ko)
KR (1) KR100195367B1 (ko)
CN (1) CN1117927C (ko)
DE (1) DE69624874T2 (ko)
TW (1) TW33096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2682A (ja) 1997-07-03 1999-01-26 Daikin Ind Ltd ケーシングにおけるシール構造
US6419457B1 (en) * 2000-10-16 2002-07-16 Copeland Corporation Dual volume-ratio scroll machine
US6679683B2 (en) 2000-10-16 2004-01-20 Copeland Corporation Dual volume-ratio scroll machine
KR100585864B1 (ko) * 2001-11-23 2006-06-02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스크롤 압축기의 고저압 분리 장치
US6884046B2 (en) 2002-03-04 2005-04-26 Daiken Industries, Ltd. Scroll compressor
JP3788380B2 (ja) * 2002-03-29 2006-06-21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回転式圧縮機
US7481635B2 (en) * 2004-09-30 2009-01-27 Sanyo Electric Co., Ltd. Shaft seal for rotary type compressor
US20060216179A1 (en) * 2005-03-28 2006-09-28 Chyn Tec.International Co., Ltd Back-gap controlling apparatus for compressor
US7314357B2 (en) * 2005-05-02 2008-01-01 Tecumseh Products Company Seal member for scroll compressors
US7914268B2 (en) 2007-09-11 2011-03-29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Compressor having shell with alignment features
US8152500B2 (en) * 2008-01-17 2012-04-10 Bitzer Scroll Inc. Scroll compressor build assembly
US20110091341A1 (en) * 2009-10-21 2011-04-21 Carlos Zamudio Method and apparatus for establishing clearances in scroll compressor
JP5446967B2 (ja) * 2010-02-18 2014-03-19 株式会社デンソー 圧縮機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2612035A2 (en) 2010-08-30 2013-07-10 Oscomp Systems Inc. Compressor with liquid injection cooling
US9267504B2 (en) 2010-08-30 2016-02-23 Hicor Technologies, Inc. Compressor with liquid injection cooling
JP5594196B2 (ja) 2011-03-14 2014-09-24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車両用スクロール型圧縮機
CN102777384B (zh) * 2011-05-13 2016-03-30 艾默生环境优化技术(苏州)有限公司 旋转式压缩机及其制造方法以及旋转机械
JP5696690B2 (ja) * 2012-06-20 2015-04-08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タンデム式ベーン型圧縮機
CN103122855A (zh) * 2013-01-31 2013-05-29 大连三洋压缩机有限公司 一种涡旋式制冷压缩机
JP6578504B2 (ja) * 2013-04-30 2019-09-2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スクロール圧縮機
JPWO2014196240A1 (ja) * 2013-06-06 2017-02-23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電磁式燃料噴射弁
CN106089705B (zh) * 2016-08-12 2018-02-27 珠海格力节能环保制冷技术研究中心有限公司 压缩机及具有其的空调器
JP6745994B2 (ja) * 2017-06-28 2020-08-26 三菱電機株式会社 スクロール圧縮機および冷凍サイクル装置
CN109751239A (zh) * 2017-11-07 2019-05-14 上海汉钟精机股份有限公司 涡旋式压缩机
JP6986998B2 (ja) * 2018-03-12 2021-12-22 三菱電機株式会社 スクロール圧縮機、冷凍装置及び空調装置
KR102480987B1 (ko) * 2018-09-14 2022-12-26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스크롤 압축기
CN112128081A (zh) * 2019-06-24 2020-12-25 广东美芝精密制造有限公司 压缩机储液器和具有其的压缩机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40473A (ja) * 1984-07-31 1986-02-26 Toshiba Corp スクロ−ル型圧縮装置
JP2743990B2 (ja) * 1986-02-28 1998-04-28 株式会社東芝 スクロール型圧縮装置
US4767293A (en) * 1986-08-22 1988-08-30 Copeland Corporation Scroll-type machine with axially compliant mounting
US5141420A (en) * 1990-06-18 1992-08-25 Copeland Corporation Scroll compressor discharge valve
JPH04128580A (ja) * 1990-09-17 1992-04-30 Kubota Corp スクロール圧縮機
JP2564998B2 (ja) * 1991-01-09 1996-12-18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スクロール形流体機械
US5267844A (en) * 1992-04-13 1993-12-07 Copeland Corporation Compressor assembly with staked shell
US5240391A (en) * 1992-05-21 1993-08-31 Carrier Corporation Compressor suction inlet duct
JP3161832B2 (ja) * 1992-09-10 2001-04-25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スクロ−ル式圧縮機
JPH06159263A (ja) * 1992-11-19 1994-06-07 Mitsubishi Electric Corp スクロール圧縮機
JPH06272677A (ja) * 1993-03-17 1994-09-27 Mitsubishi Electric Corp スクロール圧縮機およびその製造方法
TW381147B (en) * 1994-07-22 2000-02-01 Mitsubishi Electric Corp Scroll compress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756088A2 (en) 1997-01-29
CN1141394A (zh) 1997-01-29
EP0756088B1 (en) 2002-11-20
JPH0932771A (ja) 1997-02-04
KR970006913A (ko) 1997-02-21
DE69624874T2 (de) 2003-04-10
CN1117927C (zh) 2003-08-13
EP0756088A3 (en) 1998-05-06
DE69624874D1 (de) 2003-01-02
TW330968B (en) 1998-05-01
US6017203A (en) 2000-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195367B1 (ko) 스크롤 압축기
JP3567237B2 (ja) かしめられた外殻を備えた圧縮機組立体
US7163386B2 (en) Scroll compressor having a movable auxiliary portion with contact plane of a stopper portion to contact a pane of the fixed scroll through elastic pressure of high pressure fluid
WO1999001664A1 (fr) Structure de joint pour boitier
JPH06346871A (ja) スクロール圧縮機
US5547355A (en) Scroll type machine having means to prevent or suppress deflection of legs of scroll-supporting frame
US5374166A (en) Motor driven fluid compressor within hermetic housing
JPH07253094A (ja) スクロール圧縮機の軸方向漏泄防止装置
JPH0693982A (ja) スクロ−ル式圧縮機
JP3909524B2 (ja) スクロール圧縮機
JPH10148258A (ja) ベローズ
US6648618B2 (en) Scroll compressor
US5447415A (en) Motor driven fluid compressor within hermetic housing
JPH0579447A (ja) 回転カム型加圧流体機械
JPH07217554A (ja) スクロール型流体機械
JP2743568B2 (ja) スクロール圧縮機及びその製造方法
CN214944946U (zh) 涡旋压缩机
JPH09256970A (ja) スクロール圧縮機
JPH0219677A (ja) スクロール型流体圧縮装置
JP2003065255A (ja) スクロール圧縮機
FR3092629A1 (fr) Compresseur à spirales comportant une plaque de base ayant une base de montage et un rebord cylindrique fixé par un joint en T à double soudure
JPH03105090A (ja) スクロール形流体機械
CN215256816U (zh) 压缩机
CN217107426U (zh) 涡旋压缩机
JPH021995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2 Request for trial for correction [limita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RRECTION REQUESTED 19991203

Effective date: 2000083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8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7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