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2535B1 - 그라운드앵커와 이것의 시공법 - Google Patents

그라운드앵커와 이것의 시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2535B1
KR100192535B1 KR1019940033019A KR19940033019A KR100192535B1 KR 100192535 B1 KR100192535 B1 KR 100192535B1 KR 1019940033019 A KR1019940033019 A KR 1019940033019A KR 19940033019 A KR19940033019 A KR 19940033019A KR 100192535 B1 KR100192535 B1 KR 1001925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nthetic resin
anchor
tension
tension member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330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8958A (ko
Inventor
료헤이 쿠로사와
히데오 오다카
Original Assignee
료헤이 쿠로사와
쿠로사와 켄세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료헤이 쿠로사와, 쿠로사와 켄세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료헤이 쿠로사와
Publication of KR9500189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89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25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25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 E02D5/805Ground anchors with deformable anchoring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 E02D5/808Ground anchors anchored by using exclusively a bonding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46Production methods using prestressing techniqu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그라운드앵커공법에 관한 것이다.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낮은 단가로 그라운드공법을 실시하는 것이다.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소정의 직경 및 길이를 가진 앵커용 구멍(10)에 U자형으로 절곡된 길이가 다른 인장재(20)를 그 선단의 절곡부의 위치가 겹치지 않게 한 상태, 즉 전기한 구멍(10)에서 선단부의 깊이를 다르게 삽입한 후, 전기한 구멍(10)에 고화재(30)를 주입하고, 그 고화재(30)가 경화된 후에 전기한 구멍(10)의 상부개구부(11)로부터 돌출된 인장재(20)의 후단부에 소정의 인장력을 부가해서 좌대(40) 및 정착구(41)로 정착하는 것이다.

Description

그라운드앵커와 이것의 시공법
제1도는 본 발명의 그라운드 앵커를 나타낸 단면도.
제2도는 긴장재의 단면도.
제3도는 길이가 다른 긴장재를 조합시킨 사시도.
제4도는 정착길이부가 합성수지 용융피복내층만으로 피복된 긴장재를 사용한 긴장분산형 그라운드앵커의 단면도.
제5도는 정착길이부가 합성수지분말 용융피복내층만으로 피복된 긴장재의 정면도.
제6도는 (a)은 제5도의 a-a선 단면도.
(b)는 제5도의 b-b선 단면도.
제7도는 정착길이부가 합성수지 용융피복내층만으로 피복된 긴장재를 사용한 긴장분산형 그라운드앵커의 단면도.
제8도는 종래의 그라운드 앵커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구멍 20 : 긴장재
21 : 심선 22 : 측선
23 : PC강선 24 : 합성수지 피복내층통
25 : 합성수지 피복외층통 26 : 미끄럼재 (滑材)
27 : 합성수지분말 용융피복내충 30 : 고화재
40 : 좌대 41 : 정착구
본 발명은 그라운드앵커와 그 시공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그라운드앵커공법은 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다.
이것은 선단이 앵커구멍(1)의 앵커(2)에 매설된 긴장재(3)의 후단부에 소정의 인장력을 부가해서 인장하는 경우, 그 인장력에 의해 앵커(2)에 발생하는 지반과의 전단저항이 대상지반의 앵커(2)의 전단저항 설계값에 대응해서 앵커(2)전체에 균등화되도록 한것이다.
이것은 U자형으로 구부린 다른길이의 긴장재(3)을, 긴장재에 설치된 지압구(4)가 서로 다른 깊이에 위치하도록, 앵커구멍(1)에 삽입한 후 이 앵커구멍(1)에 고화재(5)를 주입하고 이 고화재(5)가 경화된 후에 전기한 앵커구멍(1)의 개구부(1a)로부터 돌출된 긴장재(3)의 선단부를 소정의 인장력으로 인장해서 좌대(6)및 정착구(6a)로 정착시킨 것이다.
그리고, 긴장재(3) 중 긴 것은 뒤쪽의 짧은 긴장재(3)의 지압구(4)의 걸림판(7)에서 걸림홈(8)에 삽입되어 각각 묶여 있다.
이 지압구(4)는 강재로된 지지체(9) 상하에 상부걸림판(7a)및 하부 걸림판(7b)을 형성하며, 이 하부걸림판(7b)의 저면에 긴장재(4)를 감은 만곡체(9a)가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같은 그라운드앵커 시공법은 긴장재의 선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지압구가 모두 강재이기 때문에 녹이 발생하기 쉽고, 또한 각 긴장재마다 각각 지압구가 설치되기 때문에 단가가 상승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구성된 것이며, 그 목적은 낮은 단가로 그라운드앵커 시공법을 실시하는 것이다.
이상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U자형으로 절곡된 긴장재를 사용하는 그라운드앵커에 있어서, U자형 절곡부에 지압구를 설치하지 않은 긴장재를 앵커에 끼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그라운드앵커 시공법은 지압구없이 U자형으로 절곡된 긴장재를 절곡부가 서로 다른 위치에 놓이도록 앵커구멍에 삽입한 후, 이 구멍에 고화재를 주입하고 이 고화재가 경화된 후에 구멍밖으로 돌출된 긴장재의 후단부를 소정의 인장력으로 긴장시키고 이를 정착구로 정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 긴장재는 심선 주위에 복수의 측선을 꼬아서 합친 PC강선에 합성수지 압출성형수단으로 합성수지 피복중층통과 합성수지 피복외층통을 설치하며, 합성수지 피복중층통과 피복외층통 사이에 미끄럼재(滑材)를 넣고, 또한 심선 및 측선의 외주에 합성수지분말도료를 용융밀착시켜 합성수지분말 용융피복내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심선 주위에 복수의 측선을 꼬아서 합친 PC강선의 정착길이부분은 심선 및 측선의 각 외주에 합성수지분말도료를 용융밀착시켜 형성한 합성수지분말 용융피복내충만으로 피복된다. 반면에, 자유길이부분은 합성수지분말 용융피복내충의 외주를 감싼 합성수지 피복중층통과 이 피복중층통의 외주에 설치된 합성수지 피복외층통 또한 중층통과 외층통 사이에 삽입된 미끄럼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하며, 더욱이 피복중층통과 합성수지 분말 용융피복내충은 성질이 서로 달라서 용착하지 않는 합성수지로 형성된 긴장재이다.
종래는, 긴장재를 U자로 만든 앵커의 경우 U자형 절곡부에 지압구를 설치해서 하중을 앵커에 전달했다.
그러나, 본원발명은 U자형 절곡부에 지압구를 설치하지 않은 긴장재를 앵커에 끼워넣어 하중을 앵커에 전달함으로써 저비용으로 앵커구축을 실현할 수가 있다.
또한, 그라운드앵커의 긴장재 내부의 심선과 측선의 외주에 합성수지분말도료를 도포하여 용융밀착시켜서 된 합성수지분말 용융피복내충으로 방식처리함으로써, 정착부에 외장제(sheath)를 씌울 필요가 없어 저비용으로 앵커를 구축하는데 일조한다.
또한, PC강선의 정착길이부분이 심선 및 측선의 각 외주에 합성수지분말도료를 용융정착시킨 합성수지분말 용융피복내충만으로 피복됨으로써 PC강선이 부식되지 않으며, 또한 앵커의 정착력을 높일 수가 있다.
더욱이 고화재의 부착력이 유지되면서 축방향의 미끄럼운동도 유지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가설앵커를 실시예로 해서 도면에 근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그라운드앵커의 단면도, 제2도는 긴장재의 단면도, 제3도는 길이가 다른 긴장재를 조합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그라운드앵커 시공법은 소정의 직경 및 길이를 가진 앵커구멍(10)에 U자형으로 절곡된 다른길이의 긴장재(20)을 절곡부의 위치가 겹치지 않게 배치한 상태, 즉 선단부의 깊이를 다르게하여 구멍(10)에 삽입한 후, 이 구멍(10)에 고화재(30)을 주입하고 그 고화재(30)가 경화된 후에 구멍(10)의 상단개구부(11)로부터 돌출된 긴장재(20)의 후단부에 소정의 인장력을 부가해서 좌대(40)및 정착구(41)로 정착하는 것이다.
상기한 긴장재(20)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심선(21)주위에 복수의 측선(22)를 꼬아서 합친 PC강선(23)에 대해 합성수지 압출성형수단을 이용하여 합성수지 피복중층통(24)과 합성수지 피복외층통(25)을 설치하며, 합성수지 피복중층통(24)과 합성수지 피복외층통(25)사이에 미끄럼재(26)을 삽입하고 심선(21)및 측선(22)의 각 외주에 합성수지분말도료를 용융밀착시켜서 합성수지 분말용융피복내충(27)을 각각 형성한 것이다. 길이가 다른 4개의 긴장재(20)는 철근벤더나 유압벤더 등을 써서 중앙부를 U자형으로 절곡해서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단의 절곡부를 다른깊이로 배치조립해 테이프나 와이어 등을 결속구(28)로 결속한다.
이들은 각각 길이순으로 제1긴장재(20a), 제2긴장재(20b), 제3긴장재(20c)이며 위치를 다르게 조합하여 그 후단쪽에 긴장재(20a), (20b), (20c)를 각각 구별할 수 있는 다른색의 테이프를 감는다. 또한, 이 긴장재(20)는 3개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부가된 인장력에 따라 갯수를 정한다.
이 그라운드앵커 시공법은 소정의 대상지반에 앵커구멍(10)을 굴삭하고 굴삭작업과 병행해서 U자형으로 적곡뇐 다른길이의 긴장재(20a), (20b), (20c)를 절곡부의 위치와 방향을 다르게 조합해서 와이어 등의 결속구(28)로 결속하는 것이다(제3도참조).
그리고, 이들 긴장재(20)를 제1긴장재(20a), 제2긴장재(20b) 또한 제3긴장재(20c)같이 길이순서로 긴장순서를 구별하기 위해 다른색의 비닐테이프를 감아둔다.
그뒤 이 조합된 긴장재(20)을 앵커구멍(10)에 삽입하면 각 긴장재(20a), (20b), (20c)의 U자형 절곡부가 앵커구멍(10)에 서로 다른깊이로 설치된다. 한편, 이들 긴장재(20a), (20b), (20c)의 후단부는 앵커구멍(10)의 상단개구부(11)로부터 돌출된 상태이다.
또한, 이 결속된 긴장재(20)가 삽입되는 구멍(10)에 몰탈이나 콘크리트 등의 고화재(30)을 주입하고 이 고화재(30)가 경화한 후에 각 긴장재(20a), (20b), (20c)를 소정의 인장력으로 인장한다.
인장개시전 제1긴장재(20a), 제2긴장재(20b), 제3긴장재(20c)의 신장량을 각각 산정하며, 각 긴장재(20a), (20b), (20c)의 신장량 차이만큼 인장한 뒤에 차례대로 각 긴장재(20a), (20b), (20c)를 인장한다.
즉, 최초의 제일 신장량이 큰 제1긴장재(20a)를 잭(jack)의 긴장용헤드에 물려서 제2긴장재(20b)와의 신장량의 차이만큼 인장한다.
이 때 제2긴장재(20b) 및 제3긴장재(20c)는 긴장용헤드에 물리지 않은 상태이다.
또한, 제1긴장재(20a)가 제2긴장재(20b)와의 신장량의 차이만큼 인장되어 제2긴장재(20b)와의 신장량의 차이가 없어지게 된 시점에서 제2신장재(20b)를 상기의 긴장용헤드에 끼워 인장을 개시해서 제1긴장재(20a)와 함께 인장한다. 상기한 제1긴장재(20a)와 제2긴장재(20b)의 신장량의 차이가 없어지는 시점은 잭의 긴장로드의 스트로크로 확인한다.
즉, 제1긴장재(20a)를 인장하여 미리 설정된 제2긴장재(20b)와의 신장량의 차이만큼, 인장시점에서 제2긴장재(20b)와의 신장량 차이가 없어지게 된 것을 긴장로드의 스트로크로 확인한다. 또한 이것은 미리 설정된 소정의 인장하중에 의해서도 확인할 수가 있다.
그후, 이 제2긴장재(20b)를 제3긴장재(20c)와의 신장량의 차이만큼 인장해서 제3긴장재(20c)와의 신장량의 차이가 없어지게 된 시점일 때, 제3긴장재(20c)를 전기한 긴장용헤드에 끼워서 인장개시하고 동시에 이들 긴장재(20a), (20b), (20c)를 소정의 인장력에 도달할때까지 인장한 후 앵커헤드로 정착시키는 것이다.
또한, 제2긴장재(20b)와 제3긴장재(20c)의 신장량의 차이가 없어지게 된 시점은 앞서의 방법으로 확인한다.
그리고, 이들 제1긴장재(20a), 제2긴장재(20b), 제3긴장재(20c)가 인장 및 정착된 후 이들을 동시에 소정의 인장력으로 인장하여, 이들 긴장재(20a), (20b), (20c)의 합계인장력을 확인할 수가 있다.
제4도는 PC강선의 정착길이부분이 합성수지분말 용융피복내충만으로 피복된 긴장재를 사용한 그라운드앵커 시공법을 나타낸 것이다.
이 긴장재(20)는 제5도및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착길이부(50)가 심선(21)및 측선(22)의 외주에 합성수지분말도료를 용융밀착시켜서 된 합성수지분말 용융피복내충만으로 피복되며 반면에 자유길이부(60)는 합성수지분말 용융피복내충(27)의 외주에 합성수지 피복중층통(24)와 합성수지 피복외층통(25)를 설치하고 이 중층통(24)과 외층통(25)사이에 미끄럼재(26)을 삽입한 것이다.
합성수지분말 용융피복내충(27)은 심선(21) 및 측선(22)를 완전히 피복해서 거의 완벽하게 정착길이부(50)를 방식처리함과 동시에 그라운드와의 부착력도 피복충없는 PC강선 이상으로 큰 강도를 가진다.
이와같은 긴장재(20)을 사용한 그라운드앵커 시공법은 제1도와 동일한 방법, 즉 U자형으로 절곡된 다른길이의 긴장재(20)를 절곡부의 위치가 어긋나도록 다른깊이로 앵커구멍(10)속에 삽입해서 인장 및 정착한 긴장분산형 그라운드앵커 시공법이다.
따라서, 이 그라운드앵커 시공법은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단저항이 각 긴장재(20)에 분산되고 또한, 앵커구멍(10)이 개구부 방향으로 커지는 원추형이므로, 이 전단저항이 앵커전체에 걸쳐 균등하게 미친다.
또한, 제7도는 위와 같은 형태이고 길이가 거의 동일한 긴장재(20)를 복수개 묶어서 사용한 그라운드앵커 시공법이다.
이것도 제4도에 도시한 앵커 시공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공된다. U자형으로 절곡된 거의 동일한 길이의 긴장재(20)를 선단의 절곡부가 다른깊이에 위치하도록 앵커구멍에 삽입해서 인장 및 정착한 긴장집중형 그라운드앵커 시공법이다.
따라서, 이 그라운드앵커 시공법은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구부 방향으로 커지는 원추형 앵커구멍(10) 때문에, 전단저항은 앵커전체에 걸리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가설앵커를 실시예로서 설명했지만 이것은 가설앵커에 한정되는 것만은 아니며, 당연히 영구앵커에도 적용할 수가 있다.
U자형 절곡부에 지압구를 설치하지 않고, U자형 긴장재를 앵커에 삽입하여 하중을 앵커에 전달할 수 있으므로 그라운드 앵커를 저비용으로 구축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그라운드앵커 긴장재의 심선 및 측선에 합성수지분말도료를 용융밀착시켜서된 합성수지분말 용융피복내충 때문에 방식처리되고 정착부에 외장체를 씌울 필요가 없어 저비용의 앵커구축에 도움이 줄 수 있다.
PC강선의 정착길이부가 심선 및 측선의 외주에 합성수지분말도료를 용융밀착시킨 합성수지분말 용융피복내충만으로 피복됨으로써 피복충 없는 PC강선처럼 녹이 생기는 일이 없으며 콘크리트와의 부착력도 우수하므로 앵커체와의 정착력을 높일 수가 있다.
긴장재는 심선의 주위에 복수의 측선을 꼬아서 합친 PC강선에 합성수지 압출성형수단을 써서 합성수지 피복중층통과 합성수지 피복외층통을 설치하며, 피복중총통과 피복외층통 사이에 미끄럼재를 삽입하고 동시에 심선 및 측선의 외주에 합성수지분말도료를 용융밀착시켜 만든 합성수지분말 용융피복내충으로 거의 완벽한 방식처리를 하기 때문에, 선단의 절곡부의 합성수지 피복외층통이 파손되더라도 PC강선이 부식되는 문제는 없다.

Claims (4)

  1. U자형으로 절곡된 다른길이의 긴장재를 절곡부가 서로 다른 위치에 놓이도록 앵커구멍에 삽입한 후 앵커구멍에 고화재를 주입하고, 이 고화재가 경화된 후에 앵커구멍의 개구부 밖으로 돌출된 긴장재의 후단부를 인장하고 또한 정착구로 정착시켜서 된 것으로서, 상기의 긴장재는 심선의 주위에 복수의 측선을 꼬아서 합친 PC강선, 심선 및 측선의 외주에 합성수지분말도료를 용융밀착시켜 형성된 합성수지분말용융피복내충, 합성수지 압출성형수단에 의해 형성된 합성수지 피복중층통과 합성수지 피복외층통, 또한 이 합성수지 피복중층통과 피복외층통 사이에 삽입된 미끄럼재로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운드 앵커.
  2. 제1항에 있어서, 심선의 주위에 복수의 측선을 꼬아서 합친 PC강선의 정착길이부분은 심선 및 측선의 외주에 합성수지분말도료를 용융밀착시켜서 형성된 합성수지분말 용융피복내충만으로 피복되며, 자유길이부분은 합성수지분말 용융피복내충으로 피복되고 이것의 외주에 합성수지 피복중층통과 합성수지 피복외층통이 설치되며 중층통과 외층통 사이에 미끄럼재가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운드앵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긴장재가 복수개이고 이들의 길이가 서로달라 U자형 절곡부가 다른 깊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그라운드앵커.
  4. 심선의 주위에 복수의 측선을 꼬아서 합친 PC강선, 심선 및 측선의 외주에 합성수지분말도료를 용융밀착시켜 형성된 합성수지분말용융피복내충, 합성수지 압출성형수단에 의해 형성된 합성수지 피복중층통과 합성수지 피복외층통 또한 이 합성수지 피복중층통과 피복외층통 사이에 삽입된 미끄럼재로 구성된 긴장재를 U자형으로 절곡시킨 상태만으로 앵커구멍에 삽입하고 그 구멍에 고화재를 주입하고, 고화재가 경화한 후 앵커구멍의 개구부 밖으로 돌출된 긴장재의 후단부를 인장시켜 정착구로 정착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그라운드앵커 시공법.
KR1019940033019A 1993-12-07 1994-12-07 그라운드앵커와 이것의 시공법 KR1001925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0628593 1993-12-07
JP93-306285 1993-12-07
JP5336300A JP3057625B2 (ja) 1993-12-07 1993-12-28 グラウンドアンカー
JP93-336300 1993-12-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8958A KR950018958A (ko) 1995-07-22
KR100192535B1 true KR100192535B1 (ko) 1999-06-15

Family

ID=26564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33019A KR100192535B1 (ko) 1993-12-07 1994-12-07 그라운드앵커와 이것의 시공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3057625B2 (ko)
KR (1) KR100192535B1 (ko)
CN (1) CN1074076C (ko)
TW (1) TW309030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189Y1 (ko) * 2007-08-21 2009-10-08 김창근 제거식 유형 팩 앵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47054B2 (ja) * 1995-11-21 1999-01-13 黒沢建設株式会社 グラウンドアンカー工法
GB9611582D0 (en) 1996-06-04 1996-08-07 Thin Film Technology Consultan 3D printing and forming of structures
JP2012224998A (ja) * 2011-04-15 2012-11-15 Shigeru Sezaki アンカーピン
KR101877361B1 (ko) * 2016-08-29 2018-07-13 주식회사 삼우기초기술 하중분산형 그라운드 앵커체의 늘음량을 고려한 인장재 배치 방법 및 이를 적용한 하중분산형 영구앵커체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69129A (en) * 1981-04-09 1982-10-18 Taisei Corp Construc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nchor
JPS61144121U (ko) * 1985-02-25 1986-09-05
JPH01278615A (ja) * 1988-04-27 1989-11-09 Kurosawa Kensetsu Kk 除去アンカー
JP2538357Y2 (ja) * 1991-03-13 1997-06-11 建設基礎エンジニアリング 株式会社 アンカーの引張材
JPH0530932A (ja) * 1991-08-01 1993-02-09 Kikkoman Corp 豆腐様食品の製造法
JPH05125566A (ja) * 1991-10-30 1993-05-21 Sumitomo Electric Ind Ltd 重防食pc鋼撚り線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189Y1 (ko) * 2007-08-21 2009-10-08 김창근 제거식 유형 팩 앵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8332A (zh) 1995-09-13
JPH07216880A (ja) 1995-08-15
CN1074076C (zh) 2001-10-31
JP3057625B2 (ja) 2000-07-04
KR950018958A (ko) 1995-07-22
TW309030U (en) 1997-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3734954C2 (ko)
FI78760B (fi) Mellanfoerankringsanordning foer foerspaenning av i flere byggnadsskeden framstaellda byggnadsdelar och ett foerfarande foer framstaellning av en saodan mellanfoerankringsanordning.
JPH086400B2 (ja) 緊張可能な引張り部材用のスペーサー及びそれを組み込むための方法
KR100192535B1 (ko) 그라운드앵커와 이것의 시공법
KR20090020770A (ko) 하중에 따라 길이가 다른 정착체스틸파이프를 구비한영구형 앵커
JP4237173B2 (ja) 孔閉塞用治具およびこの孔閉塞用治具を用いた孔閉塞方法
JPS6325132B2 (ko)
KR102023086B1 (ko) 끝단압축 인장형 영구앵커
JP2847043B2 (ja) グラウンドアンカー工法およびその定着材
JPH08253982A (ja) 防食された無拘束の引張り材、特にボンドなしのプレストレストコンクリートのための緊張材
US20140083031A1 (en) Void former and method of reinforcing
JP3609388B2 (ja) Pc鋼撚り線の定着具
JP2912881B2 (ja) グラウンドアンカー用引張部材、グラウンドアンカー用引張材ユニット及びこれらを使用したグラウンドアンカー工法
CN115976862A (zh) 尤其用于静态构建的预紧绳
JP2749292B2 (ja) 定着具
JP2001311259A (ja) 緊張材および緊張ケーブル
KR100541609B1 (ko) 긴장재가 내장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보 부재의디본딩 구조 및 그 구조를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콘크리트 보 부재의 제작방법
JPH0742380U (ja) グランドアンカ−用アンカー体
GB1589607A (en) Method of securing an anchor to rock or soil and a soil or rock anchor
JP3065966B2 (ja) 籠 体
JP7046434B2 (ja) 引張材の止水構造
JP3513905B2 (ja) 永久アンカー工法
JP2538357Y2 (ja) アンカーの引張材
KR102118792B1 (ko) 닻형 인장형 영구앵커
JP2847054B2 (ja) グラウンドアンカー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10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