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1222B1 - 공판 인쇄용 원지 - Google Patents

공판 인쇄용 원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1222B1
KR100191222B1 KR1019940017468A KR19940017468A KR100191222B1 KR 100191222 B1 KR100191222 B1 KR 100191222B1 KR 1019940017468 A KR1019940017468 A KR 1019940017468A KR 19940017468 A KR19940017468 A KR 19940017468A KR 100191222 B1 KR100191222 B1 KR 1001912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layer
paper
printing
water
aqueous solv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74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데오 와따나베
Original Assignee
하야마 노보루
리소 가가쿠 고교 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5179321A external-priority patent/JPH0732569A/ja
Priority claimed from JP28493193A external-priority patent/JP3477231B2/ja
Application filed by 하야마 노보루, 리소 가가쿠 고교 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하야마 노보루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12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12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C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OR REPRODUCTION OF PRINTING SURFACES
    • B41C1/00Forme preparation
    • B41C1/14Forme preparation for stencil-printing or silk-screen printing
    • B41C1/147Forme preparation for stencil-printing or silk-screen printing by imagewise deposition of a liquid, e.g. from an ink jet; Chemical perforation by the hardening or solubilizing of the ink impervious coating or shee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802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coating, impregnation or bond [e.g., artwork, printing, retouched photograph, et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rinting Plates And Materials Therefor (AREA)
  • Manufacture Or Reproduction Of Printing Formes (AREA)

Abstract

특별한 제판 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는 제판 방법 및 인쇄용 원지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제판은 안전한 수성 용제를 사용함으로써 간단하고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인쇄용 원지는 수성용제에 용해가능한 수지층을 가지며, 제판방법은 물과 같은 수용성 용제(수성 사인펜;2)를 수지층 표면과 선택적으로 접촉시키는 단계와, 상기 수지층을 수성 용제에 용해시킴으로써 접촉부의 수지층을 일부 또는 전부 제거하여 천공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소수성 중합체를 함유하는 접착제에 의해 다공성 지지체에 부착되는 수지층을 갖는 공판 인쇄용 원지도 제공된다.

Description

공판 인쇄용 원지
제1a도는 실시예 1의 인쇄용 원지의 단면도.
제1b도는 실시예 1의 제판후의 원지 설명도.
제2a도는 실시예 2의 인쇄용 원지의 단면도.
제2b도는 실시예 2의 제판후의 원지 설명도.
제3a도는 실시예 3의 인쇄용 원지의 단면도.
제3b도는 실시예 3의 제판후의 원지 설명도.
제4a도는 실시예 4의 인쇄용 원지 단면도.
제4b도는 실시예4의 제판후의 원지 설명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공판 인쇄용 원지의 단면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공판 인쇄용 원지의 천공을 나타내는 설명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공판 인쇄용 원지의 인쇄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 오목부 10,20,30 : 인쇄용 원지
21 : 수용성 수지층 22 : 다공성 지지체
101 : 공판 인쇄용 원지 102 : 수지층
103 : 다공성 지지체 105 : 수성용체
107 : 수지용액 108 : 수지층
109 : 토출 수단 113 : 인쇄용지
본 발명은 공판 인쇄용 원지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인쇄용 원지로서는 감광성 원지 또는 감열성 원지가 알려져 있다. 감광성 원지는 이 원지에 광을 선택적으로 조사하여 광조사 부분과 광 미조사 부분의 물리적 성질을 변화시켜 광 중합성 물질의 친수성과 친유성(lipophilic properties)의 차이, 그 용제의 용해성의 차이, 광도전성 물질의 대전성(electrifying)의 차이, 광 분해성 물질의 강도의 차이를 이용하여 제판(製版)된다. 감열성 원지는 원지에 열을 선택적으로 부여하여 가열부분과 비가열 부분의 물리적 성질을 변화시키고 감열성 물질의 점착성의 차이, 친수성과 친유성의 차이, 또는 감열성 막의 천공성(perforating property)의 차이를 이용하여 제판한다.
그러나, 이러한 재판 방법에는 제판 공정 이외에 사용되는 고가의 제판 장치가 필요하고, 또 상기 제판 공정이 복잡하여 인쇄용 원지를 간편하게 제판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일본 특개소 61-12387호 공보에는 수불용성(water-insoluble) 수지층을 가진 인쇄용 원지를 수지 가용성 용매로 제판법이 개시되어 있으며, 일본 특개소 59-67051호 공보에는 공판원지를 산성용액으로 용해하는 제판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방법들은 이를 위한 특수한 용액을 필요로하고, 또한 안전성과 환경 오염의 점에서 문제가 있었다.
공판 인쇄용 원지로서, 열 가소성 수지막을 다공성지지체위에 겹쳐 서로 접합함으로써 얻어진 감열 공팜 원지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감열 공판 원지는 예를들면,
(1) 플러시 램프(flush lamp), 적외선 램프 등의 열을 발생하는 장치를 사용하고, 수기원고(hand-written manuscript) 또는 미리 준비된 원고를 감열 공판 원지와 중첩시키고, 상기 장치의 열로 열 가소성 수지막을 용융 천공하는 방법. (2) 전기 신호로 변환된 문자 화상 정보(letter image information).를 도트 모양의 열로서 발생하는 서멀헤드(thermal head)를 사용하여, 서멀 헤드와 감열 공판 원지를 접촉 시키고 열 가소성 수지막을 용융 천공하는 방법등에 의해 제판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제판 방법에서는 광을 흡수하여 발열한 원고 또는 서멀헤드와 감열공판원지를 접촉시켜, 감열공판원지의 열가소성수지막에 열을 전도하여 열가소성 수지악을 용융시키고, 이어서 열가소성 수지막을 천공하는 복잡한 공정을 거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여기에는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 (1) 열가소성 수지막과 열을 흡수한 원고 또는 서멀헤드와의 밀착불량에 의한 천공 불량을 생기게 하고; (2) 서멀 헤드의 접촉 압력의 불균일에 희한 천공불량을 생기게 하고 또는, 감열 공판 원지에 주름(shrinkage)이 발생하고; (3) 열가소성수지의 용융물이 서멀헤드에 부착되어 열 가소성 수지의 반송 불량이 생기고; (4) 용율물이 천공부분에 잔류하여 잉크 통과가 방해되어 인쇄 불량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하나의 목적은 특별한 제판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고, 또한 안전성이 높은 수성 용액에 의해 간편하게 제판할 수 있는 인쇄용 원지 및 그 제판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판시의 천공 불량, 주름의 발생, 반송 불량 및 인쇄시의 인쇄불량이 발생하지 않는 공판 인쇄용 원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특정을 구비하고 있다.
(1) 수성 용제에 용해가능한 수지층을 가진 인쇄용 원지
(2) 수성 용제에 용해가능한 수지층을 가진 인쇄용 원지를 제공하는 단계와; 수지층의 선택 부분(optional portion)을 수성 용제와 접촉시켜 그 부분을 용해하는 단계와; 수지층의 용해된 부분을 일부 또는 전부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쇄용 원지의 제판 방법
(3) 수성 용제의 공급 수단과 수지층은 비접촉 상태인 상기(2) 항목에 따르는 인쇄용 원지 제판 방법
(4) 수지층과 다공성 지지체가 접착제로 서로 접착되는 공판 인쇄용 원지로서, 수지층은 수용성 수지로 구성되고 접착제는 소수성(疏水性) 고분자 화합물로 되는 공판 인쇄용 원지.
(5) 상기(4)항목에 따르는 공판 인쇄용 원지에서, 소수성 고분자 화합물의 용해성 파라미터는 10이하이고 소수성 고분자 화합물은 인쇄에 사용되는 잉크에 따라 용해 및/또는 팽창하는 공판 인쇄용 원지.
(6) 접착제의 부착량은 0.1 내지 50g/㎡의 범위에 있는 상기(4) 항목에 따르는 공판 인쇄용 원지.
본 발명에 따른 인쇄용 원지는, 수용성 수지의 막을 만듬으로써 얻어지는 수용성 수지막등의 수지층으로만 구성되어 있어서도 되지만, 원지로서의 강도를 확보하는 점에서, 수지층과 지지체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체에 수지층을 형성시키는 방법으로서는, 수용성 수지막 등을 지지체에 부착시키는 방법, 물 또는 수성 용제중에 용해 또는 분산된 수용성 수지 용액을 지지체상에 도포하여, 도포된 지지체를 건조시키는 방법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인쇄용 원지에 사용되는 수지층은, 수성용액과 접촉하여 이것에 용해되는 재료, 예를 들면 수용성 수지를 주성분으로 함유한다. 이 수용성 수지로서는, 물 또는 물과 혼합되어 얻어지는 유기용제에 용해되는 수지, 예를 들면 폴리 비닐 알콜, 메틸 셀룰로스,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스,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폴리에틸렌-폴리비닐 알콜 공중합체,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폴리 비닐 에테르, 폴리비닐 아세탈, 폴리아크릴아미드, 전분, 덱스트린, 알긴산, 아스코르브산, 수용성 우레탄등이 이용된다. 이들 수지는 단독으로 사용되어도 되지만, 또는서로 혼합되어 사용되어도 된다.
이러한 수지층에는 필요에 따라서 안료, 충전제, 결합제, 경화제 등을 함유시켜도 된다.
수지층의 두께는 0.1 owl 1000㎛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내지 500㎛의 범위이다. 두께가 0.1㎛미만이면 특히 원지의 강도가 불충분하게 되며, 두께가 500㎛를 초과하면 수지층을 용해시키는 수성용제가 다량으로 필요하게 되어, 용해가 불충분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수성 용제는 물을 주성분으로하고, 이것에 건조성 및 습윤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전에 물과 혼화할 수 있는 유기용제, 예를 들면 메틸알콜, 에틸 알콜, 이소프로필 알콜, n-프로필 알콜, 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세린, 아세톤, 메틸에틸 캐톤, 테트라히드로푸란, 1, 4-다이옥산, 포름산,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포름알데히드, 아세트알데히드, 메틸아민, 에틸렌 디아민, 피리딘 등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유기용제의 함유량은, 수용성 수지의 용해성의 점에서, 물에 대해 50wt% 이하가 바람직하고, 30wt%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수성 용액에는 필요에 따라 염료, 안료, 충전제, 결합제, 경화제 , 방부제, 팽창제등을 함유시킬수 있다.
본 발명의 인쇄용 원지는 다음과 같이 하여 제판할수 있다.
먼저, 수용 용제가 주사기, 분사기, 브러쉬, 스템프 등의 기구, 흑색 잉크를 함유한 브러시, 만년필, 수성 볼펜, 수성 사인펜 등과 같은 필기도구, 및 잉크제트 프린터 등의 장치등에 의해, 문자화상부분에 상당하는 수용성 수지층의 표면에 수용성 용액을 선택적으로 접촉시킨다. 수용성 수지층의 일부 또는 전부가 수성 용제에 용해된 후에, 이 용해된 용액은 수지층의 표면을 닦음으로써 제거된다. 인쇄용원지의 지지체층이 다공성 지지체인 경우에는, 수지를 용해시킨 용액은 다공성 지지체에 흡수되므로, 이러한 제거 단계가 생략될 수도 있다. 수성 용제를 수지층에 접촉시키는 수단에는 특별한 한정은 없다. 그러나, 분사, 잉크제트 프린터등과 같은 비접촉 수단이 바람직한데 이는 원지가 이러한 수단에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이다.
수용성 수지층이 수성 용제에 접촉하면, 이 접촉 부분의 수지 성분은 용해도가 포화될 때까지 용해된다. 따라서, 접촉 부분내에서 수용성 수지의 용해된 양이 변화될 수 있기 때문에, 수용성 수지층의 용해도와 수용성 수지와 접촉되는 수성 용액의 양을 제어함으로써 다양한 제판원지를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용성 수지층에 수성 용제를 선택적으로 접촉시켜 수용성 수지층의 일부를 용해시킨 후, 그 영역의 용액을 제거함으로써 수지층에 오목 부분이 형성된다. 인쇄 잉크를 상기 오목 부분에 유지시키고 피인쇄물에 잉크를 전사함으로써 인쇄가 수행될 수 있다.
오프-셋 인쇄를 행하는 경우에는, 화상부 또는 비화상부 영역에 수용성 수지층을 선택적으로 접촉시켜 수지층부분을 용해시킨 후, 이 용액을 제거한 영역에 발수성 잉크를 부착시켜 인쇄를 행한다.
양각 인쇄를 행하는 경우에는 화상부 이외의 영역에 대응하는 수용성 수지층부분을 수성 용제에 선택적으로 접촉시켜서 수지층 부분을 용해시키고, 이 용액을 제거하여 형성된 볼록 부분에 인쇄 잉크를 부착시켜 인쇄를 행한다.
공판인쇄를 행하는 경우에는, 화상이 나타나는 영역에 대응하는 수용성 수지층 부분에 수성 용제를 접촉시킨다. 수성 용제의 필요한 양이 충분하다면 화상 영역내의 수용성 수지층이 모두 용해되어 천공될 것이다. 공판인쇄는 수지를 용해한 용액을 닦는 수단에 의해 제거되고 이후 인쇄 잉크를 수지층의 천공된 부분에 공급함으로써 행해진다.
본 발명에 사용된 인쇄 잉크로서는, 종래 인쇄에 사용되는 유성 잉크, 기름과 물 혼합(oil in water drop)(w/o)형 에멀션(emulsion) 잉크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w/o 에멀션 잉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w/o 에멀션 잉크중의 물의 성분이 많다면, 인쇄용 원지가 부풀어 올라 원지강도가 저하된다. 따라서, 물의 배합비율을 50wt%이하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공판 인쇄용 원지는, 수용성 수지층과 다공성 지지체사이에 소수성 고분자 화합물을 함유하는 접착제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이 수지층중에 수성 용제가 접촉하면, 이 수성 용제는 접촉 부분의 수지 성분을 포화용해도까지 용해시키고, 그후에 얻어진 용액은 대체로 다공성 지지체내로 흡수된다. 따라서, 수성 용제와 접촉한 부분의 수지층의 천공이 개선된다. 소수성 고분자 화합물을 포함하는 점착제가 수지층과 다공성 지지체사이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수지층에 접촉하는 수성 용제는 접촉 부분의 수지 성분을 충분히 용해하기 전에 다공성 지지체내로 흡수되기 쉽다. 따라서, 수지층의 천공을 충분히 행할 수 없다.
제판시에 수지 성분을 용해한 용액은 다공성 지지체내로 침투하기 때문에, 용해 성분이 천공부분에 잔류하여 천공이 저해되는 일은 없다. 수지층의 천공성은 수지층의 용제에 대한 용해 속도와 용해액의 점도를 제어함으로써 조절할 수 있다. 덧붙여 말하자면, 본 발명에서 말하는 점착제는 점착제가 수지층을 점착시키는 데 필요한 일시적인 점착성을 나타내는 한 점착성을 요구하지 않는 물질을 의미한다.
상기 점착제로서 사용되는 소수성 고분자 화합물의 용해성 파라미터(solubility parameter)(이하, SP 값이라고 함)는 10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9.5 내지 7.0이다. 소수성 고분자 화합물의 SP 값이 10을 초과하면, 인쇄 잉크에 유성성분으로서 함유되는 고비등점 용제, 고비등점 오일, 기계 오일 등의 무극성 용제나 오일의 SP치가 통상 10이하이기 때문에, 잉크중의 유성성분에 의해 이 소수성 고분자화합물질이 용해 및/또는 팽창되기 어렵게 되어, 잉크의 투과성이 떨어지는 경우가 있다. 여기에서 SP값은 물질의 응집 에너지 밀도의 제곱근을 나타낸다. 이것은 물질의 극성표시에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고분자재료는 그 자체의 SP 값에 가까운 SP 값을 가진 용매에는 양호한 용해성을 나타낸다.
10이하의 SP 값을 가지는 소수성 고분자 화합물로서는, 예를들면, 스티렌수지(SP 값 9.0), 아크릴수지(SP 값 9.3), 폴리에틸렌(SP 값 7.9), 폴리부타디엔(SP 값 8.4), 천연고무(SP 값 8.2),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SP 값 8.5), 에틸렌-폴리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SP 값 9.0)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고분자 화합물은 단일 합성물로 또는 2이상 화합물의 혼합물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접착제로서의 소수성 고분자 화합물의 부착량은 0.1 내지 50g/㎡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0.5 내지 30g/㎡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다. 부착량이 0.1g/㎡미만에서는 접합강도가 불충분하게 된다. 부착량이 50g/㎡를 초과하면 잉크중의 유성성분에 의해 소수성 고분자 화합물을 용해 및/또는 팽창시키는데에 시간이 걸려서, 잉크 투과성이 저하된다.
수성 용제에 용해가능한 수지층과 다공성 지지체를 서로 점착시키는 방법으로서는 다음과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예를들어, (1) 용제에 용해 또는 분산시킨 소수성 고분자 화합물의 용액을, 다공성 지지체상에 도포하여 건조시킨 후, 수성용제에 용해가능한 수지층을 다공성 지지체에 접착하는 방법; (2) 용제에 용해 또는 분산시킨 소수성 고분자 화합물의 용액을 다공성 지지체에 함침시켜 건조시킨 후, 수지층을 다공성 지지체에 접착시키는 방법; (3) 용제에 용해 또는 분산시킨 소수성 고분자화합물의 용액을 수성용제에 용해가능한 수지층상에 도포하여 건조시킨후, 다공성 지지체를 수지층에 접착하는 방법 등을 들수 있다.
수성 용제에 용해가능한 수지층으로서는 미리 형성된 막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막은 필요에 따라, 수지를 용제에 용해시킨 후, 얻어진 용액을 박리지(peeling sheet)상에 도포하고, 박리지를 건조시키고, 박리지를 박리시킴으로써 제작된다. 또한 얻어진 용액을 지지체상에 접착층상에 직접 도포하고 지지체를 건조하여 제작해도 된다. 또한 상기 박리지는 수지층을 다공성 지지체에 접착시킨 후 박리되어도 된다.
수성 용제에 용해가능한 수지층을 위한 수지로서는, 폴리비닐알콜, 메틸 셀룰로스,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스,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폴리에틸렌-폴리비닐 알콜 공중합체,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폴리비닐 에테르, 폴리비닐 아세탈 또는 폴리아크릴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수성 용제는 물 또는 물과 혼화할 수 있는 유기 용제이다. 이들 수지는 단독 화합물 또는 그 혼합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그들은 염료, 안료, 충전제, 결합제, 경화제 등을 함유해도 된다.
상기 수지층의 두께는 통상 0.1∼100㎛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1∼50㎛의 범위이다.
본 발명에 사용된 다공성 지지체로서는, 얇은 종이, 스크린천(screen cloth)또는 마닐라 헴프(Manila hemp)와 같은 천연섬유의 부직포, 펄프, 코조(Kozo)(뽕나무 종이, paper mulberry), 미쯔마타(에지워씨아 파피리퍼드, Edgeworthia papyriferd), 일본 종이류 또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폴리비닐 알콜, 금속섬유, 유리섬유 및 그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합성섬유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다공성 지지체의 기본 무게는 1내지 20g/㎡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5 내지 15g/㎡의 범위이다. 기본 무게가 1g/㎡미만에서는 얻어지는 강도가 지지체로서 약해진다. 20g/㎡를 초과하면 인쇄시의 잉크의 투과성이 나빠진다. 다공성 지지체의 두께는 5 내지 100㎛의 범위가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내지 50㎛의 범위이다. 상기 두께가 5㎛미만에서는 얻어지는 강도가 지지체로서 약해지고, 100㎛을 초과하면 인쇄시의 잉크의 투과성이 나빠진다.
상기 수지층을 용해시키는 수성 용제로서는, 물, 알콜계, 케톤계, 에스테르계, 에테르계, 알데히드계, 카르복실산계, 아민계, 저분자 복소환화합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물, 메틸 알콜, 에틸 알콜, 이소프로필 알콜, n-프로필알콜, 부틸 알콜, 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세린, 아세톤, 메틸 에틸 케톤, 에틸 아세테이트, 에틸 에테르, 테트라하이드로푸란, 1,4-디옥산, 포름산,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포름알데히드, 아세트알데히드, 메틸아민, 에틸렌 디아민, 디메틸 포름아미드, 피리딘, 에틸렌 옥사이드 등을 들수 있다. 이들 화합물은 또한 단독 화합물 또는 그 혼합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 이들 용제는 염료, 안료, 충전제, 결합제, 경화제, 방부제, 팽창제, 계면 활성제, pH조절제 등을 함유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공판 인쇄용 원지의 제판은 수성 용제를 함침시킨 브러시 펜등의 수단을 직접 수지층과 접촉시켜 행해도 되지만, 수성 용제 토출장치 등에 의해 비접촉상태로 수성 용제를 수지층에 공급하고 천공하여 제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토출 수단으로서는, 예를 들면, 노즐, 슬릿, 주사기, 다공질재(또는 막)등이 압전소자, 발열소자, 피드 펌프 등에 접속되고, 문자화상신호에 따라 용제를 간헐적 또는 연속적으로 즉 도트모양 또는 라인모양으로 토출하도록 한 장치 등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하면, 공판인쇄용 원지를 제판장치와 비접촉상태로 제판할 수 있으므로, 제판시의 원지의 주름 또는 변형 등의 발생이 없게 된다. 또한, 종래의 감열공판원지와는 달리, 제판시의 수지 용해물이 천공된 부분에 잔류하는 것도 없어, 선명한 인쇄물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종래의 감열 공판원지와 같이 박리성, 마찰성 및 기계적 강도를 부여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의 공판 인쇄용 원지는 통상의 공판 인쇄에 이용될 수 있다. 예를들면, 제판된 원지위에 잉크를 배치하고, 원지의 잉크가 배치되는 측면이외의 다른쪽의 면에 인쇄용 원지를 중첩시키고, 이 잉크를 가압, 압착 등의 수단에 의해, 천공부분을 통과시키고 인쇄용 원지에 전이시켜 인쇄물을 얻는다. 인쇄 잉크에는 종래의 인쇄에 사용되고 있는 유성 잉크와 기름과 물 혼합(oil in water drop)(W/O)형 에멀션 잉크 등이 사용되낟. 이들 잉크의 유성성분에는 잉크의 유동성, 침투성, 안정성 등 때문에, 고비등점 용제, 고비등점 오일, 기계 오일, 계면 활성제 등의 액체가 함유되어 있다. 이들 성분이 접착제로서 사용되고 있는 소수성 고분자 화합물과 접촉하여 용해 및/또는 팽창되므로, 잉크의 통과가 용이하게 된다.
제5도는 본 발명의 공판 인쇄용 원지의 실시예로서의 공판 인쇄용 원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공판 인쇄용 원지(101)는 다공성 지지체(103)와 수성 용제에 용해가능한 수지층(102)이 접착제(104)에 의해 서로 부착되도록 구성된다.
제6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공판 인쇄용 원지의 천공설명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토출수단(109)으로부터 수성 용제(105)가 토출되어 수성용제에 용해가능한 수지층(102)의 표면에 접촉된다. 접촉된 수성 용제(106)는 접촉부분의 수지층을 용해하여 수지용액으로 만들고, 접착제(104)의 층을 통과하고 다공성 지지체(103)에 침투하여, 접촉부분의 수지층이 천공된다. 도면번호 107은 다공성 지지체안으로 침투한 수지 용액을 나타내고, 도면번호 108은 수지층의 천공부를 나타낸다.
제7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공판 인쇄용 원지의 인쇄설명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공판인쇄용 원지(101)의 수성용제에 용해가능한 수지층상에 잉크(110)를 배치하고 압착하면, 이 잉크(110)는 천공부로부터 다공성 지지체를 거쳐 인쇄 용지(113)로 전이된다. 도면번호 111은 천공부를 통과하는 잉크를 나타내며, 도면번호 112는 인쇄 용지로 전이된 잉크를 나타낸다.
이하에,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로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실시예 1]
(1) 인쇄용 원지(printing plate)의 제판(plate-making)
제1a도는 본 실시예에 사용되는 인쇄용 원지(1)의 단면도이고, 제1b도는 상기 인쇄용 원지의 제판 설명도이다. 이들 도면에 있어서, 두께 40㎚의 폴리비닐알콜 막으로 된 인쇄용 원지(1)에 수성 사인펜(2)으로 문자화상을 손으로 그렸다. 부착된 잉크(3)와 용해부(4)를 이들이 건조되기 전에 닦아냈다. 다음, 이 막상의 문자 화상 부분을 동일 사인펜으로 덧썼고 잔류 잉크가 마르기 전에 닦아냈다. 이러한 작업을 5회 반복하여 문자 화상에 대응하는 깊이 20㎛의 오목부(5)를 인쇄용 원지에 형성했다.
(2) 음각인쇄(Intaglio printing)
제판후 상기 인쇄용 원지상에 유성 잉크를 배치하여 블레이드로 압착하여 잉크를 문자 화상부분에 공급했다. 동시에, 오목부를 제외한 전인쇄용 원지에 있는 잉크를 제거했다. 이러한 인쇄용 원지상에 인쇄용지를 포갠 후 벗겨내면, 인쇄용지상에는 역상의 화상이 인쇄되었다.
[실시예 2]
(1) 인쇄용 원지의 제작 및 제판
제2a도는 본 실시예의 인쇄용 원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며, 제2b도는 제판후의 제판된 원지의 설명도이다. 실리콘 수지로 처리된 박리지(peeling sheet ; 12)상에, 폴리비닐 아세탈 수용액을 와이어 바아(wire bar)로 도포하여 건조시켜 두께 300㎛의 수용성 수지층(11)을 형성시켜 인쇄용 원지(10)를 제작하였다. 이 인쇄용 원지(10)의 수용성 수지층(11)의 표면에 화상(picture image)에 따라 폴리비닐 콜르로라이드 테이프(13)를 부착한 다음에, 수지층(11)을 용해시키기 위해 물로 세척하고, 상기 화상에 대응하는 볼록부를 형성시켜, 양각 인쇄(relief printing)를 위한 제판을 얻었다.
(2) 양각 인쇄
롤러로 상기 제판의 볼록부(테이프(13))에 유성 잉크를 부착시킨 후, 인쇄용지를 상기 제판상에 중첩시켜 가압했다. 이 인쇄지를 벗겨냈을 때, 인쇄지상에는 화상이 인쇄되었다. 상기 테이프(13)는 인쇄전에 제거될 수도 있다.
[실시예 3]
(1) 인쇄용 원지의 제작 및 그 제판
제3a도는 본 실시예의 인쇄용 원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고, 제3b도는 제판후의 제판된 원지의 설명도이다. 폴리에스테르 섬유로 되어 있는 200 메시(mesh)의 다공성 지지체(22)상에, 하기의 조성으로 이루어진 수용성 수지 용액을 롤 코터(roll coater)로 도포하고 건조시켜 두께 3㎛의 수용성 수지층(21)을 형성하여 인쇄용 원지(20)를 얻었다.
폴리비닐 피롤리돈(polyviny pyrolidone) 20중량부
수용성 폴리우레탄 5중량부
메틸 알콜 15중량부
물 60중량부
인쇄용 원지의 수용성 수지층(21)의 표면에, 퍼스널 컴퓨터로 작성된 문자와 화상을 수성잉크가 사용되고 있는 잉크제트 프린터로 인쇄되었다. 이때, 문자부분의 수지층(21)이 용해되어 다공성 지지체(22)안으로 침투되고 수용성 수지층(21)의 문자부분(24)이 천공되었다. 부호 23은 수용성 수지의 수성 용액을 나타내며, 부호 25는 용해된 용액이 함침된 다공성 지지체의 부분을 나타낸다.
(2) 공판 인쇄(stencil printing)
공판 인쇄를 수행하기 위하여 제판후 인쇄판을 공판 인쇄 장치(RISO KAGAKU CORPORATION product, PRINTGOKKO PG)-10)상에 장착하였을 때, 상기 설명한 잉크제트 프린터로 인쇄된 문자 화상이 얻어진다.
[실시예4]
(1) 인쇄용 원지의 제작 및 그 제판
제4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10g/㎡의 기본 무게를 가지고 있는 일본종이(32)와 두께 20㎛의 폴리비닐 에테르 막인 수용성 수지층(31)을 120℃의 가열롤러(heat roller)를 통과시키고 서로 접착시켜 인쇄용 원지(30)를 제작하였다. 연하장용의 스탬프(33)에 하기의 조성으로 이루어진 수성용액을 함침시켜 인쇄용 원지의 수용성 수지층(31)의 면에 밀어붙였다. 스탬프의 화상부분에 대응하는 수지층이 용해되고 일본 종이에 침투되어 제4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스탬프 화상이 천공되었다. 이 도면에서, 부호 34는 수지의 용해된 용액을 나타내며, 부호 36은 그 용액이 함침된 일본 종이의 부분을 나타내고, 부호 35는 수지층의 천공된 부분을 나타낸다.
이소프로필 알콜 20중량부
에틸렌 글리콜 5중량부
물 75중량부
(2) 공판 인쇄
제판후 인쇄판을 공판인쇄기(리소 가가꾸 가부시끼 가이샤 제품, 등록상표 RISOGRAPH RC115)상에 장착하여 2000장의 인쇄용지를 연속인쇄했다. 1매째부터 2000매까지 양호한 인쇄물이 얻어졌다.
[실시예 5]
제5도에 도시된 공판 인쇄용 원지는 하기와 같이 제작된다.
폴레에틸렌 옥사이드(15 중량부), 이소프로필 알콜(15 중량부), 및 물(70중량부)로 이루어진 수지 용액을 리버스 코터(reverse coater)로 실리콘 처리된 종이위에서 도포하고 도포한 종이를 건조시켜 3㎛두께의 수지층을 형성했다.
지지체로서 300메시의 폴리에스테르 섬유 직물을 아크릴 수지(SP 값 9.3, 20중량부), 이소시안산염(5중량부), 톨루엔(45중량부), 및 에틸 아세테이트(30중량부)로 이루어진 접착제 용액에 침지시킨후 빼내어 건조시켰다. 건조후, 부착된 접착제의 부착량은 5g/㎡이었다. 상기 언급한 수지층을 폴리에스테르 섬유 직물상에 중첩시켜서 40℃의 항온조에서 밤새 방치하고, 이어서 수지층상의 박리지를 박리시켜 공판 인쇄용 원지를 얻었다.
얻어진 공판인쇄용 원지의 수지층면에, 8 도트/㎜ 노즐과 압전소자를 구비한 토출수단으로부터, 이소프로필 알콜(20중량부), 에틸렌 글리콜(10중량부), 및 물(70중량부)로 이루어진 수성용제를 문자모양으로 토출시키고, 토출부분의 수지 성분(폴리에틸렌 옥사이드)을 용해하여 수지부분을 천공하였다.
제판된 공판인쇄용 원지상에, 카본 블랙(10중량부), 알키드 수지(20중량부), 로진변성 페놀수지(10중량부), 및 니세끼 #4 솔벤트(Niseki #4 solven)(60중량부)로 이루어진 흑색 유성잉크를 배치하고, 상기 원지의 다른쪽 면에 인쇄용지를 중첩시키고, 이 잉크를 블레이드로 압착한다. 이 결과, 천공된 부분과 대응하는 흑색 문자가 선명하게 인쇄지상에 인쇄되었다.
[실시예 6]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SP 값 9.0, 20중량부), 톨루엔(40중량부), 및 메틸 에틸 케톤(40중량부)으로 이루어진 용액이 접착제 용액으로서 사용되고 부착된 접착제의 양이 10g/㎡ 인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5을 반복했다.
이와 같이 해서 얻어진 공판 인쇄용 원지의 인쇄와 제판은 실시예 5와 유사한 방식으로 행해졌다. 그 결과, 양호한 인쇄물이 얻어졌다.
[실시예 7]
폴리비닐 에테르(15중량부), 메틸 알콜(15중량부), 및 물(70중량부)로 구성된 수지용액을 리버스 코터로 40㎛두께의 폴리프로필렌막상에 도포후, 건조시켜 수성용제에 용해가능한 수지 층(3㎛두께)을 형성하였다.
다음에, 20중량부의 폴리부타디엔(SP 값 8.4)과 톨루엔(80중량부)으로 구성된 감압성 접착용액을 그라비야 코터(gravure coater)로 300 메시의 폴리에스테르 섬유직물에 도포하고 건조시켜 10g/㎡의 감압성 접착제를 부착시켰다.
다음에, 상기 감압성 접착제와 수지층은 상호 중첩되어 5kg/㎠의 압력 롤러로 접착되며, 이후 수지층으로부터 폴리프로필렌막을 박리시켜 공판 인쇄용 원지(101)을 얻었다(제5도 참조). 도면에서 부호 102는 수지층이고, 부호 103은 다공성 지지체이며, 부호 104는 접착제이다.
얻어진 공판인쇄용 원지상에 ㎜당 점이 8개인(8 dots/㎜)노즐과 발열소자가 구비된 용제토출수단(a solvent releasing means)으로부터, 이소프로필 알콜(15중량부), 글리세린(5중량부), 물(80중량부)로 구성되는 수성 용제를 문자모양으로 토출시키고, 토출 부분에서의 수지성분(폴리비닐 에테르)을 용해하여 천공하였다.
다음에 제판된 공판인쇄용원지상에, 실시예5와 유사한 유성 잉크를 배치하고, 인쇄용지를 중첩시키고, 가압인쇄를 행해지만, 천공부분과 동일한 문자상이 선명하게 인쇄용지에 인쇄되었다.
[실시예 8]
두께 5㎛의 폴리비닐 알콜막(102)상에, 30부의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SP 값 8.5)와 톨루엔(70중량부)으로 구성되는 감압(pressure sensitive) 접착제 용액을 도포하고 건조시켜, 제5도에 도시한 것과 같이 부착되는 15g/㎡의 감압 접착제층(104)을 얻었다. 상기 접착제층(104)위에 기본 중량이 12g/㎡인 일본종이(103)를 5kg/㎠의 압력 롤러로 접착시켜 제5도에 도시한 것과 같은 공판 인쇄용 원지를 제조하였다.
얻어진 공판인쇄용 원지를 실시예7과 유사한 방법으로 제판 및 인쇄를 행하였다. 그 결과 양호한 인쇄물이 얻어졌다.
[실시예 9]
두께 40㎛의 폴리프로필렌막상에, 폴리비닐 아세탈(15중량부), 이소프로필 알콜(15중량부), 물(70중량부)로 구성되는 수지 용액을 리버스 코터로 도포하고 건조시켜, 수성용제에 용해가능한 두께 3㎛의 수지층을 형성하였다.
이후, 20중량부의 스티렌 수지(SP 값 9.0), 톨루엔(40중량부), 메틸 에틸 케톤(40중량부)으로 이루어진 접착제 용액을, 건조후의 부착량이 10g/㎡로 되도록 그라비야 코터로 상기 수지층상에 도포하였다. 기본 중량이 12g/㎡인 다공성 지지체로서의 일본종이를 접착제로 수지층에 부착시키고 이후 건조시켜서 공판 인쇄용 원지를 얻었다.
얻어진 공판인쇄용 원지를 실시예 7과 유사한 방법으로 하여 제판을 행하고, 인쇄하였다. 그 결과 양호한 인쇄물이 얻어진다.
본 발명의 인쇄용 원지 및 이 인쇄용 원지를 이용한 제판 제조방법에 따르면, 제판은 특별한 장치없이 용이하게 그리고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공판 인쇄용 원지에 따르면 수성용제를 이용하여 비접촉상태로 천공할 수 있으므로, 제판시의 천공 불량, 주름 발생 및 반송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접착제로서 소수성 고분자 화합물이 사용되었으므로 수성용제를 이용한 수지층의 천공이 충분하고 선명하게 행해진다. 또한, 소수성 고분자 화합물은 잉크성분에 따라 용해 및/또는 팽창될 수 있으므로, 인쇄시의 잉크의 통과가 양호하게되어 선명한 인쇄물이 얻어진다.

Claims (4)

  1. 수지층과 접착제로 이 수지층에 접착되는 다공성 지지체를 포함하는 공판 인쇄용 원지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소수성 고분자 화합물로 구성되고 상기 수지층과 직접 접촉하고 상기 수지층은 수성 용제와 접촉하여 천공될 수 있는 수용성 수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판 인쇄용 원지.
  2. 제1항에 있어서, 응집 에너지 밀도의 제곱근으로 결정되는 SP 값으로서 나타낸 상기 소수성 고분자 화합물의 용해도 파라미터는 10이하이며, 상기 소수성 고분자 화합물은 인쇄에 사용되는 잉크에 따라 용해 및 팽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판 인쇄용 원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0.1내지 50g/㎡범위의 양으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판 인쇄용 원지.
  4. 제1항에 있어서, 소수성 고분자 화합물은 스티렌 수지, 아크릴 수지, 폴리에틸렌, 폴리부타딘엔, 천연고무,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및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에서 선정되는 1이상의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판 인쇄용 원지.
KR1019940017468A 1993-07-20 1994-07-20 공판 인쇄용 원지 KR1001912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179321A JPH0732569A (ja) 1993-07-20 1993-07-20 印刷用原紙およびその製版方法
JP93-179321 1993-07-20
JP28493193A JP3477231B2 (ja) 1993-11-15 1993-11-15 水性溶剤穿孔性孔版印刷用原紙、その穿孔方法および印刷方法
JP93-284931 1993-11-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191222B1 true KR100191222B1 (ko) 1999-06-15

Family

ID=264992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7468A KR100191222B1 (ko) 1993-07-20 1994-07-20 공판 인쇄용 원지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655446A (ko)
EP (1) EP0635362B1 (ko)
KR (1) KR100191222B1 (ko)
AU (1) AU677063B2 (ko)
DE (1) DE69413894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37817B1 (en) 1993-05-31 2003-03-25 Packard Instrument Company Piezoelectric-drop-on-demand technology
US6203759B1 (en) 1996-05-31 2001-03-20 Packard Instrument Company Microvolume liquid handling system
US6521187B1 (en) 1996-05-31 2003-02-18 Packard Instrument Company Dispensing liquid drops onto porous brittle substrates
JP3542859B2 (ja) * 1995-10-05 2004-07-14 理想科学工業株式会社 複式印刷装置
JP3507600B2 (ja) * 1995-10-05 2004-03-15 理想科学工業株式会社 感熱孔版原紙の製版方法並びにそれに用いる感熱孔版原紙及び組成物
JPH09277487A (ja) 1996-02-16 1997-10-28 Riso Kagaku Corp 感熱孔版原紙の製版方法並びにそれに用いる感熱孔版原紙及び組成物
JPH09327899A (ja) * 1996-06-10 1997-12-22 Riso Kagaku Corp 感熱孔版原紙の製版方法
JPH1086545A (ja) * 1996-09-13 1998-04-07 Riso Kagaku Corp 感熱孔版原紙製版用組成物及び製版方法
JPH10264493A (ja) * 1997-03-24 1998-10-06 Riso Kagaku Corp 複式印刷装置
JPH10264351A (ja) * 1997-03-28 1998-10-06 Riso Kagaku Corp 複式印刷装置及び複式印刷装置における記録方法
GB2329611B (en) * 1997-09-25 2002-05-08 Autotype Internat Ltd Screen printing stencil production
GB2333997B (en) 1998-02-06 2002-07-17 Autotype Internat Ltd Screen printing stencil production
GB2335392B (en) 1998-02-17 2001-11-07 Autotype Internat Ltd Screen printing stencil production
US6681691B2 (en) 2000-03-02 2004-01-27 Autotype International Limited Screen printing stencil production
DE10018547C2 (de) * 2000-04-14 2003-11-20 Koenig & Bauer Ag Verfahren zur Bebilderung von Druckplatten
US6660352B2 (en) 2001-01-09 2003-12-0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dhesive electrostatic sheets
US20040222304A1 (en) * 2001-04-11 2004-11-11 Matthew Adams Method and apparatus for on-demand marking or etching of metal
FR2843558B1 (fr) * 2002-08-13 2004-10-29 Jean Marie Nouel Procede de copie d'une plaque pour impression en offset humide
US20050145122A1 (en) * 2003-09-24 2005-07-07 Matthew Adams Use of a UV-curable thermal ribbon in conjunction with a porous substrate to form a durable, on-demand electro-chemical stencil
AU2006274559A1 (en) * 2005-05-11 2007-02-08 Arrow Coated Products Ltd. Self adhesive material with a water soluble protective layer
US8557758B2 (en) 2005-06-07 2013-10-15 S.C. Johnson & Son, Inc. Devices for applying a colorant to a surface
US8061269B2 (en) 2008-05-14 2011-11-22 S.C. Johnson & Son, Inc. Multilayer stencils for applying a design to a surface
CN105667065B (zh) * 2014-11-17 2017-12-05 中国科学院化学研究所 一种凹版印刷用基板的喷墨打印制版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8315A (en) * 1899-02-13 1899-07-04 Albert Haberstroh Art of making stencils.
GB255361A (en) * 1925-01-21 1926-07-21 David Gestetner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duplicating
BE332717A (ko) * 1926-02-25
CH125237A (fr) * 1926-03-17 1928-04-16 Limited D Gestetner Procédé pour confectionner un chablon de reproduction.
US2069576A (en) * 1932-03-23 1937-02-02 Theodore A Cohen Apparatus for producing photogravure plates
GB558605A (en) * 1942-09-04 1944-01-12 Heinrich Riese Method of preparing stencils
US3209686A (en) * 1964-04-08 1965-10-05 Star Band Company Inc Foam plastic printing block and method of etching same
US3527163A (en) * 1967-04-27 1970-09-08 Xerox Corp Silk screen master
JPS4816204B1 (ko) * 1969-10-08 1973-05-21
DE2253944C2 (de) * 1972-11-03 1983-02-24 Agfa-Gevaert Ag, 5090 Leverkusen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Reliefbildes
US4268576A (en) * 1980-01-18 1981-05-19 Repeat-O-Type Stencil Manufacturing Co., Inc. Stencil sheet with solventless coating and method of preparation
DK456883A (da) * 1982-10-08 1984-04-09 Pilot Pen Co Ltd Stencil, stencilmaterialesaet samt en stencilduplikator
JPS59115898A (ja) * 1982-12-22 1984-07-04 Asia Genshi Kk 感熱性孔版原紙
JPS6112387A (ja) * 1984-06-29 1986-01-20 Takara Co Ltd 印刷玩具用原版セツト
JPS6112395A (ja) * 1984-06-29 1986-01-20 Takara Co Ltd 印刷玩具用原紙
JPS6221596A (ja) * 1985-07-23 1987-01-29 Mitsubishi Petrochem Co Ltd 感熱性孔版原紙
JPS6394247A (ja) * 1986-10-08 1988-04-25 Hikari Maeda 写真製版シルクスクリ−ン印刷法
GB8720018D0 (en) * 1987-08-25 1987-09-30 Bicc Plc Screen printing
JP2945463B2 (ja) * 1990-11-05 1999-09-06 アジア原紙株式会社 感熱孔版原紙
JPH04357094A (ja) * 1991-02-06 1992-12-10 Ricoh Co Ltd 熱穿孔孔版印刷用原紙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635362B1 (en) 1998-10-14
US5655446A (en) 1997-08-12
AU6757694A (en) 1995-02-02
AU677063B2 (en) 1997-04-10
DE69413894D1 (de) 1998-11-19
EP0635362A1 (en) 1995-01-25
DE69413894T2 (de) 1999-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191222B1 (ko) 공판 인쇄용 원지
KR100197321B1 (ko) 스텐실 인쇄용 시이트의 제조방법
EP0790124A2 (en) Method for perforating heat-sensitive stencil sheet and stencil sheet and composition therefor
KR100193925B1 (ko) 공판 인쇄용 원지의 제판방법
KR100197322B1 (ko) 공판 인쇄 시트의 제조방법
KR100189662B1 (ko) 스텐실 인쇄용 시이트의 천공방법
KR19980024494A (ko) 서멀헤드 감열성 스크린인쇄용 공판원지 및 상기 공판원지를 이용한 제판방법
JP3477231B2 (ja) 水性溶剤穿孔性孔版印刷用原紙、その穿孔方法および印刷方法
KR0178407B1 (ko) 스텐실 인쇄 시이트 및 이를 사용하는 스텐실의 제조방법
JPH0732569A (ja) 印刷用原紙およびその製版方法
KR100436103B1 (ko) 스텐실 시트와 그 제조방법 및 스텐실판의 제조방법
JPH0858055A (ja) 孔版印刷用原紙の製版方法
JPH0781265A (ja) 孔版印刷用原紙およびその製造法
JPH08197708A (ja) 孔版印刷用原紙及びその製版方法
JPH08197707A (ja) 孔版印刷用原紙の製版方法および孔版印刷用原紙
JP2001232964A (ja) 感熱孔版原紙及びその製版方法
JPH08324147A (ja) 孔版シートおよびその製版方法
JPH08150789A (ja) 孔版印刷用原紙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