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1108B1 - 오디오 신호 편집용 크로스페이더 - Google Patents

오디오 신호 편집용 크로스페이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1108B1
KR100191108B1 KR1019910004750A KR910004750A KR100191108B1 KR 100191108 B1 KR100191108 B1 KR 100191108B1 KR 1019910004750 A KR1019910004750 A KR 1019910004750A KR 910004750 A KR910004750 A KR 910004750A KR 100191108 B1 KR100191108 B1 KR 1001911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selection
fader
channel
switch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047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7787A (ko
Inventor
아끼히꼬 쇼다
요시히로 무라까미
Original Assignee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이 노부유끼
Publication of KR9100177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77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11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110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02Arrangements for generating broadcast information; Arrangements for generating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generation of broadcast information and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 H04H60/04Studio equipment; Interconnection of studio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1/00Details of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amplific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38Cross-faders therefor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3/00Gain control in amplifiers or frequency changers
    • H03G3/02Manually-operated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 Control Of Amplification And Gain Control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디오 신호등의 편집에 사용하는 오디오 신호 편집용 크로스 페이더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크로스 페이더는 통상의 마스터 페이더를 사용한 믹서를 사용하고 있는자에게는 매우 사용하기가 어렵고, 익숙하지 아니한 경우, 프로그램 혹은 프리셋트로 되어 있는 채널을 착오로 인식할 우려가 있으며, 조작 착오가 일어나기 쉽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하는 바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이며, 사용감이 좋고, 조작 착오를 적게 할 수가 있는 오디오 신호 편집용 크로스 페이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Description

오디오 신호 편집용 크로스 페이더
제1도는 본 발명 실시예의 오디오 신호 편집용 크로스 페이더의 요부의 설치를 도시하는 설치도.
제2도는 본 실시예의 크로스 패이더의 개략적인 회로 구성을 도시하는 회로도.
제3도는 종래의 크로스 페이더의 요부의 설치를 도시하는 설치도.
제4도는 크로스 페이드의 페이드 인, 페이드 아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5도는 종래의 마스터 페이더를 사용한 믹서의 개략적인 회로 구성을 도시하는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내지 16 : A 버스 선택 조광 스위치
21 내지 26 : B 버스 선택 조광 스위치
30 : 크로스 페이더 31 : 페이더
32 : 조작 손잡이
본 발명은 오디오 신호등의 편집에 사용하는 오디오 신호 편집용 크로스 페이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볼수 채널의 신호라인으로 되는 제1및 제2버스 라인과, 각각 제1, 제2버스 라인의 각 신호 라인에 대응해서, 절환 조작에 의한 선택과 함게 선택 상태를 시작적으로 표시하는 복수의 제1, 제2선택 표시 스위치와, 제1, 제2선택 표시 스위치로부터의 각 신호를 혼합함과 함께 조작 손잡이의 이동에 의해 혼합비를 가변하는 페이더를 갖고, 제1선택 표시 스위치를 조작 손잡이의 이동 방향의 일단에 관련시켜, 제2선택 표시 스위치를 타단에 관련지어서 설치하므로서 , 사용감이 양호하고 조작 과오를 적게 할 수가 있는 오디오 편집용 크로스 페이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종래의 오디오 신호 편집용의 믹서에 사용되는 크로스 페이더에는, 특수 채널의 오디오 신호의 신호라인으로 구성된 프로그램(PGM)버스와, 동일하게 복수 채널의 신호 라인으로 구성된 프리셋트(PST)버스를 갖는 크로스 페이더가 있다. 여기에서, 크로스 페이더란, 오디오 음성등을 편집할때의 편집점으로, 전후의 음을 겹쳐서 차츰 절환하도록 레벨을 조정하는(페이드 인, 페이드 아웃함)것으로, 이 편집점의 앞의 오디오 신호가 상기한 프로그램 버스의 신호로 되어, 편집점후의 오디오 신호가 프리셋트 버스의 신호로 된다. 예를 들면 제3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 이종래의 크로스 페이더(120)에 있어서는, 복수 채널(예를들면 6개의 채널 ch1 내지 ch6)의 신호 라인에 각각 접속된 선택 표시 스위치(101 내지 106 및 111 내지 116)과, 조작 손잡이 (조작레버)(122)를 도면 중 화살표 S방향(상하 방향)으로 트랜지션(이행)시키므로서 오디오 신호의 페이드 인, 페이드 아웃의 조작을 하는 페이더(121)가 조작 패널 위에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한 선택 표시 스위치(101 내지 106)는 온 조작으로 프로그램하고 싶은 채널 즉, 상기 편집점의 앞의 페이드 아웃되는 채널을 선택하는 것이며, 또한, 상기 선택 표시 스위치 (111 내지 116)는 온 조작으로 프리셋트하고 싶은 채널 즉, 편집점의 뒤의 페이드 인하는 채널을 선택하는 것이다. 이들 각 선택 표시 스위치101 내지 106), (111 내지 116)은 예를 들면, 스위치 온시의 조광 표시에 의해 선택되어 있는 채널을 알리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4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한 페이더(121)는 상기 조작 손잡이(122)를 예를 들면 상단에서 하단방향으로 트랜지션한때에 프로그램(PGM)의 채널의 오디오 신호를 제4도중 화살표 Fout와 같이 페이드 아웃하여, 상기 조작 손잡이(122)를 예를 들면 하단에서 상단 방향으로 트랜지션한때에는, 프리셋트의 채널의 오디오 신호를 제4도중 화살표 FIN와 같이 페이드 인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5도에 크로스 페이드를 행하지 않는 통상의 마스터 페이더를 사용한 믹서의 개략적인 회로 구성을 도시한다. 즉, 이 제5도에 있어서, 입력 단자(131 내지 136)에는 각 채널 ch1 내지 ch6의 오디오 신호가 공급된다. 이 신호는 버퍼 엠프(141 내지 146)를 거쳐서,선택 표시 스위치(151 내지 156)으로 보내진다. 이들 스위치(151 내지 156)는 프로그램 버스 PB와 접속되어 있으며, 또다시 이 프로그램 버스 PB가 마스터 페이더(160)와 접속되어있다. 따라서, 상기 선택 표시 스위치(151 내지 156)의 어느 한개 (혹은 복수개)가 온 상태로 되면, 그 온상태에서 선택된 채널의 오디오 신호가 마스터 페이더(160)로 보내져, 이 마스터 페이더(160)에서 레벨이 조정되어서 그 출력이 출력 단자(170)에서 인출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상술한 종래의 크로스 페이더(120)에 있어서는 , 상기한 조작 손잡이(122)의 상하 방향의 트랜지션에 의해, 프로그램버스, 프리셋트 버스위의 온되어 있는 포인트가 이동하여 변한다. 즉 프로그램으로 되어 있는 채널을 도시하는 선택 표시 스위치와 프리셋트로 되어 있는 채널을 도시하는 선택 표시 스위치의 조광 표시가, 상기한 조작 손잡이(122)의 상하 방향의 트랜지션에 수반하여 이동 변화하도록 되어 있다. 예를 들면, 제3도에 있어서, 채널 ch2가 프로그램, 채널 ch4가 프리셋트로 되어 있을때에는 프로그램의 채널 ch2에 대응하는 선택 표시 스위치(102)와, 프리셋트의 채널 ch4에 대응하는 선택 표시 스위치(114)가 점등한다. 여기에서, 상기 조작 손잡이(122)를 상단에 트랜지션하므로서, 채널 ch2의 오디오 신호가 페이드 아웃하여, 채널ch4의 오디오 신호가 페이드 인한다. 그러나, 이때 상기한 프로그램였던 상기 채널 ch2은 페이드 아웃하므로서 역으로 프리셋트 상태로 되어, 또한, 상기 프리셋트였던 상기 채널 ch4은 페이드 인하므로서 프로그램 상태로 된다(제4도 참조). 이로 인하여, 상기 채널 ch2의 프로그램 상태를 표시하는 상기 선택 표시스위치(102)가 지어져, 상기 채널 ch2의 프리셋트 상태를 표시하는 선택 표시스위치(112)가 점등하게 된다. 또한, 동일하게 상기 채널 ch4의 프리셋트 상태를 표시하는 상기 선택 표시 스위치(114)가 지어져, 상기 채널 ch4의 프로그램 상태를 표시하는 선택 표시 스위치(104)가 점등하게 된다.
이와같이 프로그램, 프리셋트가 이동하여 바뀌는 것은 예를들면, 비디오 신호를 전환하는 비디오 스위치에서는 1개의 소스만을 선택하므로 그만큼 번잡하지는 않다. 그러나, 오디오 신호를 취급하는 믹서와 같이, 복수개의 소스(오디오 신호)를 선택하는 (믹스)하는 것에서는 절환되는 채널이 복수개로 된다. 그를 위해, 상술하는 바와 같은 크로스 페이드에 의해 복수개의 프로그램과 프리셋트의 점등되어 있는 선택 표시 스위치가 이동 변화하는 것은 믹서를 조작하는 자에 있어서 매우 번잡해진다. 즉, 상기 프로그램 버스와 프리셋트 버스는 통상의 믹서에서는 말하자면 어사인 스위치에 해당하여, 이 어사인 스위치의 온 상태(점등상태)가 크로스 페이더에 의해 변환하게 되기 때문에 변잡하다. 또한 크로스 페이더의 조작 손잡이를 어느 방향으로 이동시켜도 얻어지는 오디오 신호는 페이드 인된 프로그램의 신호로 된다. 이와 같은 사실에서, 종래의 크로스 페이더는 통상의 마스터 페이더를 사용한 믹서를 사용하고 있는 자에게 있어서는, 매우 사용하기가 어렵고, 익숙하지 아니한 경우 프로그램 혹은 프리셋트로 되어 있는 채널을 착오로 인식할 우려가 있으며, 조작 착오가 일어나기 쉽게 된다.
거기에서, 본 발명은 상술하는 바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이며, 사용감이 좋고, 조작 착오를 적게 할 수가 있는 오디오 신호 편집용 크로스 페이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오디오 신호 편집용 크로스 페이더는 상술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안된 것이며, 각각 복수 채널의 신호라인으로 되는 제1버스 라인 및 제2버스 라인과, 각각 상기한 제1및 제2버스 라인의 각 신호 라인에 각각 대응해서 복수개 설치되어, 절환 조작에 의해 대응하는 신호 라인을 선택함과 함께 이 선택 상태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제1선택 표시 스위치 및 제2선택 표시 스위치와, 상기 제1및 제2선택 표시 스위치에서의 각 신호를 혼합하여 출력함과 함께 조작 손잡이의 이동에 따라서 상기한 각 신호의 혼합비를 가변 제어하는 페이더를 갖고, 상기 제1선택 표시 스위치를 상기 페이더의 조작 손잡이의 이동 방향의 일단에 관련시켜 설치하여, 상기한 제2의 선택 표시 스위치를 이 조작 손잡이의 이동 방향의 타단에 관련지어서 설치하여 형성되는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한 제1및 제2선택 표시 스위치의 선택 상태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것은, 예를 들면 적색과 황색과 같이 발광색을 변화시키므로서 선택 상태의 착오를 인식할 수 가 있는 2색 조광 스위치등을 사용하므로서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버스 라인의 선택 상태의 표시는 시작적이며, 크로스 페이더의 조작 손잡이의 이동방향과 제 1, 제2선택 표시 스위치의 설치 위치가 관련지어져 있기 때문에, 선택되어져 있는 채널의 프로그램, 프리셋트 상태를 용이하게 인식이 된다.
다음에, 본 발명을 적용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1도에 본 발명 실시예의 오디오 신호 편집용 크로스 페이더(30)의 요부의 조작 패널위의 설치를 도시한다.
이제1도에 도시하는 본 실시예의 크로스 페이더(30)는 오디오 신호가 공급되는 각각 복수 채널(예를들면 6채널)의 신호라인으로 형성되는 제1버스 라인인 A버스 제2버스라인인 B버스와 , 각각 상기 A 버스 및 B버스의 버스라인의 각 신호 라인에 각각 대응해서 복수개 설치되어, 절환 조작에 의해 대응하는 신호 라인을 선택함과 함께 이 선택 상태를 시각적으로 표시(예를 들면, 적색과 황색과 같이 발광색을 변화시켜서 표시)하는 제1선택 표시 스위치인 A버스 선택 조광 스위치(11 내지 16)및 제2선택 조광 스위치인 B버스 선택 조광 스위치(21 내지 26)와, 상기 A, B버스 선택 조광 스위치(11 내지 16, 21 내지 26)로부터의 각 신호를 혼합하여 출력함과 함께, 조작 손잡이(32)의 예를 들자면 도면중 화살표 S방향으로의 이동 (트랜지션)에 의해서 상기 각 신호의 혼합비를 가변 제어하는 페이더(31)를 구비하고, 상기 A버스 선택 조광 스위치(11 내지 16)를 상기 페이더(31)의 조작 손잡이(32)의 이동 방향의 일단에 관련지어서 설치하여, 상기 B버스 선택 조광 스위치(21 내지 26)를 이 조작 손잡이(32)의 이동 방향의 타단에 관련지어 설치하고 있다.
즉, 이제1도에 있어서, 상기 A 버스와 B버스의 각 채널의 오디오 신호는 각각 채널 ch1 내지 ch6 으로 되어 있다. 예를 들면, 상기 A 버스 선택 조광 스위치(11)및 B 버스 선택 조광 스위치(21)에는 채널 ch1의 오디오 신호가 A 버스 선택 조광 스위치(12)및 B버스 선택 조광 스위치(22)에는 채널 ch2의 신호가 다음과 같이 A버스 선택 조광 스위치(16) 및 B보스 선택 조광 스위치(26)에는 채널 ch6의 신호가 공급되어 있다. 또한, A버스, B버스의 각 채널은 각각 다른 채널의 신호로 할 수가 있다. 예를들면, A버스의 각 채널을 채널 ch1 내지 ch6으로서, B버스의 각 채널을 별도의 채널 ch7내지 ch12와 같이 할 수도 있다. 또다시, 상기 A버스, B버스의 각 선택 조광 스위치는, 각각 예들들면 적색과 황색과 같이 발광색을 변화시킬 수가 있는 2색 조광 스위치로 구성되어 있으며, 예를 들면 적색으로 발광하고 있을때는 프로그램 버스로 되어 있는(그 채널이 프로그램상태로 되어 있음)것을 표시하고, 황색으로 발광하고 있을때는 프리셋트 버스로 되어 있는(그것의 채널이 프리셋트 상태로 되어 있음) 것을 표시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이들 발광색이 변화하는 A버스, B버스의 각 선택 조광 스위치를 사용하므로서, 프로그램, 프리셋트의 선택 상태의 차이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가 있게 된다. 물론, 상기한 2색 조광 스위치의 발광색은 적색과 황색에 한정되지 않고, 2색의 차이가 명확하게 인식되는 색이면 다른 색이라도 좋다. 단, 각 스위치에서의 발광색은 상기한 프로그램 혹은 프리셋트의 선택 상태로 동일되어 있지 아니하면 아니된다. 또한, 상기 각 선택 조광 스위치는 2색으로 하지 않고 1색의 발광 스위치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A,B 보스 선택 조광 스위치(11 내지 16, 21 내지 26)의, 상기 페이더(31)는 제1도중 점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물리적인 위치 관계로 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예를들면, 제1도의 예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크로스 페이더(30)의 조작 페널면 위에서, 조작 손잡이(32)가 상하 방향으로이동할 수 있도록 페이디(31)를 설치하면, 이 페이더(31)의 상단과 상기 A 버스 선택 조광 스위치(11 내지 16)를 대응지어서 이들 스위치(11 내지 16)를 상측에 줄지어 설치함과 함께, 페이더(31)의 하단과 B 버스 선택 조광 스위치(21 내지 26)을 대응지어서 이들 스위치 (21 내지 26)를 하측으로 줄지어서 설치하도록 한다. 또한, 이때의 페이더(31)에 있어서, 상기한 조작 손잡이(32)를 상단에 이동시켰을때에는, 상기 A버스 선택 조광 스위치(11 내지 16)로 프리셋트 상태가 선택되어 있는 채널의 오디오 신호를 페이드인하여 프로그램 상태로 하여, 조작 손잡이(32)를 하단으로 이동시켰을 때에는, 상기 B버스 선택 조광 스위치(21 내지 26)로 프리셋트 상태가 선택되어 있는 체널의 오디오 신호를 페이드 인하여 프로그램 상태로 하도록 되오 있다.
또다시, 이 페이더(31)는 상술한 바와 같이, A버스, B버스 선택 조광 스위치로부터의 각 신호를 혼합하여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예를 들면, 상기 A버스 선택 조광 스위치(12)를 온하여 채널 ch2를 선택하여, 상기 B버스 선택 조광 스위치(24)을 온하여 채널 ch4을 선택한 경우에 있어서, 상기 페이더(31)의 조작 손잡이(32)가 상단에 와 있을때는, 상기한 A버스 선택 조광 스위치(12)에서의 상기 채널 ch2의 오디오 신호가 프로그램 상태로 되어 이 스위치(12)가 적색으로 점등하여, 동시에 상기 B버스 선택 조광 스위치(24)에서의 상기 채널 ch4의 오디오 신호가 프리셋트 상태되어 이 스위치(24)가 황색으로 점등하고 있다. 따라서 이때, 예를들면 상기 조작 손잡이(32)를 하단으로 이동하면, 상기 채널(4)의 신호가 페이드 인됨과 함께, 상기 채널(2)의 신호가 페이드 아웃되게 된다. 또다시, 이것에 수반하여 상기 A버스 선택 조광 스위치(12)는 프리셋트 상태를 도시하는 황색으로 변화하여, 상기 B버스 선택 조광 스위치(24)는 프로그램 상태를 도시하는 적색으로 변화하도록 한다.
즉, 본 실시예의 크로스 페이더에 있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선택 상태를 예를 들면 적색과 황색으로 시작적으로 표시하는 A버스, B버스 선택 조광 스위치(11 내지 16),(21 내지 26)와, 이들 A, B버스 선택 조광 스위치로부터의 각 신호를 혼합함과 함께 조작 손잡이(32)의 이동에 의해 혼합비를 가변 제어하는 페이더(31)를 가짐과 함께, 각 A버스, B버스 선택 조광 스위치와 페이더(31)의 조작 손잡이 (32)의 이동 방향이 물리적인 위치 관계로 되어 있으므로서, A버스, B버스 선택 조광 스위치로 선택되어 있는 채널이 프로그램, 프리셋트의 어느 선택 상태로 되어 있는가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가 있다. 또한, 이와같이 선택 상태가 용이하게 인식되기 때문에, 사용감이 양호하여, 익숙치 못한 조작자일지라도 조작 착오를 적게 할 수가 있다.
제2도에, 본 실시예의 크로스 페이더(30)의 계략적인 회로 구성을 도시한다. 즉, 이 제2도에 있어서, 입력 단자 (41 내지 46)에서는 상기 각 채널 ch1 내지 ch6의 오디오 신호가 공급된다. 이들의 신호는 버퍼 앰프(61 내지 66)를 거쳐서 A버스, B버스 선택 조광 스위치(11 내지 16, 21 내지 26)으로 보내진다. 상기 A버스 선택 조광 스위치(11 내지 16)가 A 버스와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B버스 선택 조광 스위치(21 내지 26)가 B버스와 접속되어 있다. 또다시 A버스와 B버스가 상기 페이더(31)에 접속되어 있다. 이 페이더(31)에 있어서, 상기 A버스와 B버스의 버스라인은 각각 역연동된 레벨 조절기(31a, 31b)와, A버스와 B버스의 신호를 혼합하는 혼합기(31c)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레벨 조절기(31a, 31b)는 역연동하고 있기 때문에, 예를들면 레벨 조절기(31a)로 레벨을 내리도록 하였을때에는 레벨 조절기(31b)에서는 역으로 레벨이 올라가도록 조절이 행해진다.
따라서, 상기 각 선택 조광 스위치의 어느 하나(혹은 복수개)가 온 상태로 되면, 그것의 온 상태로 되면, 그 온 상태에서 선택된 채널의 오디오 신호가 상기 페이더(31)로 보내져, 이 페이더(31)에서 레벨이 조정됨과 함께 혼합(믹스)되어, 그 출력이 출력 단자(50)에서 인출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같은 사실로서, A버스 혹은 B버스는 함께 통상의 마스터 페이더를 사용한 믹서의 프로그램 버스로서 생각할 수가 있으며, 이로 인하여, 본 실시예의 크로스 페이더는 마스터 페이디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외의 실시예로서, 상술한 제1도에 있어서, 상기 A버스와 B버스의 각 채널의 오디오 신호를 각각 다른 것으로 할 수도 있다. 이경우, 예를들면 A버스는 채널 ch1 내지 ch6, B버스는 채널 ch7 내지 ch12와 같이 할 수가 있다. 따라서, 예를들면, 상기 A버스 선택 조광 스위치(11 내지 16)에는 상기 채널 ch1 내지 ch6의신호가 공급되어, 상기 B버스 선택 조광 스위치(21 내지 26)에는 채널 ch7 내지 ch12 가 공급된다. 이때도, 상술한 실시예와 같이, 상기 A버스, B버스의 각 선택 조광 스위치는 2색 조광 스위치로 구성되어, 예를 들면 적색 발광시는 프로그램 버스에, 황색 발광시는 프리셋트 버스로 되어있는 것을 표시하도록 된다. 따라서, 이들 발광색이 변화하는 A버스, B버스의 각 선택 조광 스위치를 사용하므로서, 프로그램, 프리셋트의 선택 상태의 차이를 용아하게 인식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술한 바와 같이, 상술한 A,B 버스 선택 조광 스위치(11 내지 16, 21 내지 26)와 상기 페이더(31)는 물리적인 위치 관계로 되도록 설치된다. 예를들면, 페이더(31)의 상단과 상기 각 A버스 선택 조광 위치를 대응시켜서 상축으로 줄지어 설치하여, 페이더(31)의 하단과 각 B 버스 선택 조광 스위치를 대응지어서 하축으로 줄지어 설치하도록 한다. 또다시, 이때의 페이더(31)에 있어서도, 상기한 조작 손잡이(32)를 상단에 이동시켰을 때에는 상기 A버스 선택 조광 스위치(11 내지 16)에서의 선택되어 있는 채널의 신호를 페이드 인하도록 하여, 조작 손잡이(32)를 하단으로 이동시켰을 대에는 상기 B버스 선택 조광 스위치(21 내지 26)의 선택되어 있는 채널의 신호를 페이드 인하는 것으로 한다. 따라서, 예를들면, 상기 A버스 선택조광 스위치(12)를 온하여 채널 ch2을 선택하여, 상기 B버스 선택 조광 스위치(24)를 온하여 채널 ch10을 선택한 경우, 상기 조작 손잡이(32)가 상단에 와있을때는 상기 A버스 선택 조광 스위치(12)가 적색으로 점등하여 상기 채널 ch2 이 프로그램 상태로 되어, 상기 B버스 선택 조광 스위치(24)가 황색으로 점등하여 상기 채널 ch10이 프리셋트 상태로 되어있다. 이때, 상기한 조작 손잡이(32)를 하단으로 이동하면, 상기 채널(10)의 신호가 페이디 인되어서 상기 A 버스 선택 조광 스위치(12)는 프리셋트 상태를 표시하는 황색으로 변화하여, 상기 채널(2)의 신호가 페이드 아웃되어서 B버스 선택 조광 스위치(24)는 프로그램 상태를 표시하는 적색으로 변화하도록 된다.
이와같은 사실에서, 본 살시예의 크로스 페이더에 있어서도, 상술한 바와같이 A버스, B버스 선택 조광 스위치에서 선택되어 있는 채널이 프로그램, 프리셋트의 어느 선택 상태로 되어 있는가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가 있다. 또한, 이와같은 선택 상태가 용이하게 인식되기 때문에, 사용감이 양호하여, 익숙하지 못한 조작자라도 조작 착오를 적게 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오디오 신호 편집용 크로스 페이더에 있어서는 복수 채널의 신호 라인으로 형성되는 제1및 제2버스 라인과, 각각 제1, 제2버스라인의 각 신호 라인에 대응해서 절환 조작에 의한 선택과 함께 선택 상태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제1, 제2 선택 표시 스위치와, 제1, 제2선택 표시 스위치로부터의 각 신호를 혼합함과 함께 조작 손잡이의 이동에 의해 혼합비를 가변 제어하는 크로스 페이더를 구비하고, 제1선택 표시 스위치를 조작 손잡이의 이동 방향의 일단에 관련시켜, 제2선택 표시 스위치를 타단에 관련지어 설치하게 되므로서, 예를들면, 통상의 마스터 페이더를 사용한 믹서를 사용하는 자에게 있어서도, 매우 사용하기 용이하여 사용감이 좋고, 익숙치 못한 조작자에게 있어서도 프로그램, 프리셋트를 잘못하여 인식할 우려가 적어져, 조작 착오를 적게할 수가 있다.

Claims (1)

  1. 각각 복수 채널의 신호 라인으로 형성되는 제1버스 라인 및 제2버스 라인과, 각각 상기한 제1및 제2 버스 라인의 각 신호 라인에 각각 대응해서 복수개 설치되어, 절환 조작에 의해 대응하는 신호 라인을 선택함과 함께 이 선택 상태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제1선택 표시 스위치 및 제2선택 표시 스위치와, 상기 제1및 제2선택 표시 스위치로부터의 각 신호를 혼합해서 출력함과 함께 조작 손잡이의 이동에 의해 상기 각 신호의 혼합비를 가변 제어하는 페이더를 가져, 상기 제1선택 표시 스위치를 상기 페이더의 조작 손잡이의 이동 방향의 일단 관련시켜 설치하고, 상기 제2선택 표시 스위치를 이 조작 손잡이의 이동 방향의 타단에 관련지어서 설치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신호 편집용 크로스 페이더.
KR1019910004750A 1990-03-28 1991-03-27 오디오 신호 편집용 크로스페이더 KR1001911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0303 1990-03-28
JP2080303A JP2897326B2 (ja) 1990-03-28 1990-03-28 オーディオ信号編集用クロスフェー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7787A KR910017787A (ko) 1991-11-05
KR100191108B1 true KR100191108B1 (ko) 1999-06-15

Family

ID=13714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4750A KR100191108B1 (ko) 1990-03-28 1991-03-27 오디오 신호 편집용 크로스페이더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177801A (ko)
JP (1) JP2897326B2 (ko)
KR (1) KR10019110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30765A (en) * 1994-04-14 1996-06-25 Sony Corporation Depth of fade indicating LED
JPH08195068A (ja) 1995-01-20 1996-07-30 Pioneer Electron Corp オーディオ信号混合装置
IT1283357B1 (it) * 1996-07-29 1998-04-17 M B International S R L Procedimento per la regolazione individuale di livelli di segnali in un'operazione di miscelazione di tali segnali
JP3948783B2 (ja) * 1997-04-28 2007-07-25 富士通株式会社 音再生装置及び音データ作成装置
US6317503B1 (en) * 1997-09-24 2001-11-13 Sony Corporation Multi-mode LED indicator for recording services
JPH11112925A (ja) * 1997-10-01 1999-04-23 Sony Corp 信号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及び方法、並びに信号記録装置及び方法、並びに信号再生装置及び方法
US6448846B2 (en) 1998-10-01 2002-09-10 Stephen R. Schwartz Controlled phase-canceling circuits/systems
US7302396B1 (en) * 1999-04-27 2007-11-27 Realnetworks, Inc. System and method for cross-fading between audio streams
US20060072768A1 (en) * 1999-06-24 2006-04-06 Schwartz Stephen R Complementary-pair equalizer
US7024006B1 (en) * 1999-06-24 2006-04-04 Stephen R. Schwartz Complementary-pair equalizer
US6987857B1 (en) * 2000-08-09 2006-01-17 Stanton Magnetics Llc Focus fader with dual optocouplers
JP2002152900A (ja) * 2000-11-09 2002-05-24 Pioneer Electronic Corp 音量制御装置
CA2406137C (en) * 2002-10-02 2004-12-28 Westport Research Inc.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gaseous fuelled internal combustion engine
EP2840727B1 (en) 2002-12-24 2021-03-17 Yamaha Corporation Operation panel structure and control method and control apparatus for mixing system
JP4192757B2 (ja) * 2003-10-30 2008-12-10 ヤマハ株式会社 デジタルミキサおよびその制御方法
EP1596395A3 (en) 2004-05-07 2007-02-07 Yamaha Corporation Signal level adjustmen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 adjustment apparatus
US7213285B2 (en) * 2004-08-12 2007-05-08 Rite-Hite Holding Corporation Pivotal and vertically translatable dock leveler lip
JP5737357B2 (ja) * 2013-10-18 2015-06-17 オンキヨー株式会社 音楽再生装置及び音楽再生プログラム
US10048667B1 (en) 2017-07-20 2018-08-14 Brandon Vinyard Knob for an electric mixer
USD839240S1 (en) 2017-07-20 2019-01-29 Brandon Vinyard Mixer knob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31525A (en) * 1983-04-11 1986-12-23 Sony Corporation Digital fader or like device
US4635288A (en) * 1983-04-22 1987-01-06 Soundout Laboratories, Ltd. Electrical signal mixing apparatus
EP0251646A3 (en) * 1986-06-27 1990-04-25 Amek Systems And Controls Limited Audio production console
US4885792A (en) * 1988-10-27 1989-12-05 The Grass Valley Group, Inc. Audio mixer architecture using virtual gain control and switch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3278706A (ja) 1991-12-10
JP2897326B2 (ja) 1999-05-31
US5177801A (en) 1993-01-05
KR910017787A (ko) 1991-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191108B1 (ko) 오디오 신호 편집용 크로스페이더
US4575660A (en) Lighting scene control panel and control circuit
US5239458A (en) Fader device having a fine adjustment of the signal level
US20110169430A1 (en) Lighting Control Desk With Encoders Surrounded by Color-Coded Visual Indicators
JPH09254676A (ja) 自動変速機の操作装置
JPH06165031A (ja) ボタン機能表示装置
US7784968B2 (en) Slide controller for an audio mixer
US7236210B2 (en) Multi-channel video mixer for applying visual effects to video signals
US5319359A (en) Cross fade indicators
US7366313B2 (en) Mixing console having visual marking system applied to manual operators with subgrouping
JP4915908B2 (ja) 照明制御端末
US7688478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for implementing the method
JP2005197131A (ja) 調光システム
JP4032497B2 (ja) 照明制御装置
JP3193731B2 (ja) 照明制御装置
JP2587139Y2 (ja) 調光装置
JPH07176387A (ja) 照明システムの調光制御装置
JPH0832378A (ja) ミキシングコンソール
JP3046638B2 (ja) 記憶調光装置
JPH0458495A (ja) 調光装置
JP4165262B2 (ja) 信号処理装置
JPH06111946A (ja) 調光制御装置および照明システム
JPH088067A (ja) 可動照明装置
JPH05251950A (ja) ミキサシステム
JPH05258869A (ja) 照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22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