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5604B1 - 용지 매거진 - Google Patents

용지 매거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5604B1
KR0185604B1 KR1019940013522A KR19940013522A KR0185604B1 KR 0185604 B1 KR0185604 B1 KR 0185604B1 KR 1019940013522 A KR1019940013522 A KR 1019940013522A KR 19940013522 A KR19940013522 A KR 19940013522A KR 0185604 B1 KR0185604 B1 KR 01856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roller
core
magazine
detection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35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1403A (ko
Inventor
히로시 오쿠
Original Assignee
니시모토 간이치
노리츠 고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시모토 간이치, 노리츠 고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시모토 간이치
Publication of KR9500014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14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56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56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7/00Photographic printing apparatus
    • G03B27/32Projection printing apparatus, e.g. enlarger, copying camera
    • G03B27/52Details
    • G03B27/58Baseboards, masking frames, or other holders for the sensitive material
    • G03B27/587Handling photosensitive webs
    • G03B27/588Supply rolls; Cutting arrangemen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DAPPARATUS FOR PROCESSING EXPOSED PHOTOGRAPHIC MATERIALS; ACCESSORIES THEREFOR
    • G03D17/00Dark-room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Portable dark-roo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6/00Unwinding, paying-out web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7/00Photographic printing apparatus
    • G03B27/32Projection printing apparatus, e.g. enlarger, copying camera
    • G03B27/46Projection printing apparatus, e.g. enlarger, copying camera for automatic sequential copying of different originals, e.g. enlargers, roll film print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CPHOTOSENSITIVE MATERIALS FOR PHOTOGRAPHIC PURPOSES; PHOTOGRAPHIC PROCESSES, e.g. CINE, X-RAY, COLOUR, STEREO-PHOTOGRAPHIC PROCESSES; AUXILIARY PROCESSES IN PHOTOGRAPHY
    • G03C3/00Packages of films for inserting into cameras, e.g. roll-films, film-packs; Wrapping materials for light-sensitive plates, films or papers, e.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dyes, printing inks, adhesiv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Unwinding Webs (AREA)
  • Projection-Type Copiers In General (AREA)
  • Photographic Developing Apparatuses (AREA)
  • Replacement Of Web Ro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지에 흠이 가거나 용지가 꾸불꾸불하게 되는 일 없이 용지의 웨브를 자동적으로 이송 및 되감기할 수 있는 용지 매거진에 관한 것이다.
한쌍의 가압로울러와 용지검출로울러는 용지 매거진 케이스내의 용지를 코어로부터 용지출구까지 뻗어 있는 이송경로상에 구비되어 있다. 또한 캠판과 맞물림 로울러는 용지검출로울러의 위치에 따라 가압로울러의 상호 이접이동을 제어하기 위해 구비되어 있다. 용지롤의 코어와 용지롤로의 구동력 전달은 용지검출로울러의 위치에 따라 변환된다. 가압로울러는 용지를 이송 및 되감기할 때에만 용지를 가압한다.

Description

용지 매거진
제1도는 제1실시예의 용지 매거진을 도시하는 수직 정단면도.
제2도는 동 수직 측단면도.
제3도는 동 사시도.
제4도는 제1실시예의 용지 매거진의 가압로울러와 캠기구를 도시하는 평단면도.
제5도는 제4도에 도시된 부분의 수직 정단면도.
제6도는 제5도 부분의 작동상태를 도시하는 수직 정단면도.
제7도는 제1실시예의 용지 매거진의 캠기구를 도시하는 정면도.
제8도는 동 캠기구의 수직 측단면도.
제9도는 캠판의 사시도.
제10도는 로울러 규제판의 확대 사시도.
제11a도는 캠기구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는 수직 측단면도.
제11b도는 동 정면도.
제12a도는 캠기구의 또다른 작동상태를 설명하는 수직 측단면도.
제12b도는 동 정면도.
제13도는 제1실시예의 용지 매거진의 동력전달기구의 측면도.
제14도는 제1실시예의 용지 매거진의 코어 및 마찰발생기구의 부분수직단면 정면도.
제15도는 제2실시예의 수직 측단면도.
제16a도는 제 2실시예의 토오크 리미터를 도시하는 단면도.
제16b도는 제16a도 선 XVI-XVI에 따른 단면도.
제17a도는 제2실시예의 캠판의 단면도.
제17b도는 그 사시도.
제18a도는 제2실시예의 캠판의 작동상태를 도시하는 수직 정단면도.
제18b도는 그 정면도.
제19a도는 제2실시예의 캠판의 또다른 작동상태를 도시하는 수직 정단면도.
제19b도는 그 정면도.
제20도는 사진인화장치의 구조를 도시하는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용지 매거진 B : 사진 인화장치
P : 사진용지 R : 롤
1 : 용지 매거진 케이스 3 : 용지출구
4 : 지지축 5 : 코어
7 : 가압(전방) 로울러 8 : 가압(이송) 로울러
9 : 회전축 17 : 캠판
30 : 용지 검출 로울러 33 : 이송기어
44 : 잠금판 53 : 용지입구
61 : 토오크 리미터
본 발명은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예컨대, 사진용지의 웨브를 사진인화장치로 이송하는데 사용되는 용지롤로부터 그리고 이 롤로 사진용지를 이송 및 되감기하기 위한 용지 매거진에 관한 것이다.
제2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진인화장치는 네가티브 마스크(83)상의 네가필름(84)에서 거울터널(82)을 통해 빛을 발하는 광원(81)을 가지고 있어, 인화렌즈(85)를 통해 네가필름(84)상의 음화상을 노광유니트(86)상의 사진용지(P) 상으로 인화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사진인화장치(B)는 서로 다른 인화크기를 갖는 사진용지(P)의 롤(R)을 수용하는 복수의 용지 매거진(A, A')을 포함하고 있다. 한쪽 용지 매거진(A) 내에 있는 사진용지(P)는 인화를 위해 노광유니트(86)로 끌어당겨진다. 인화크기를 바꿀 때에는 사진용지를 용지 매거진(A) 안으로 되감은 후 다른쪽 용지 매거진(A')내의 사진용지를 끌어당긴다.
한쪽 용지 매거진내의 사진용지를 다른쪽 용지 매거진내의 용지로 바꿀 때 용지 매거진(A)으로부터 노광유니트(86)로 뻗어있는 사진용지의 이송경로내에 배치된 절단장치(87)는 사진용지(P)를 절단하기 위해 작동된다. 그리고 나서 용지 매거진(A)으로부터 돌출한 사진용지(P) 부분은 되감긴다. 그 후 다른쪽 용지 매거진(A')내에 사진용지(P)는 그 끝이 용지 이송경로에 구비한 한쌍의 전진로울러(54) 사이에 물릴 때까지 끌어 당겨진다.
이러한 종래의 사진용지 이송 및 되감기용 용지 매거진은 2가지 유형이 있는데, 즉 내장이송 및 되감기 기구를 갖는 것과 갖지 않는 것이 있다. 후자의 유형의 용지 매거진을 사용할 때에는 사진용지가 그 끝이 매거진으로부터 약간 돌출한 상태에서 매거진에 끼워넣어진다. 매거진은 그리고 나서 용지의 돌출끝이 전진로울러(54) 사이에 물린 상태에서 사진인화장치(B) 내에 세팅된다.
반면에 전자의 유형의 용지 매거진은 사진용지에 대해 가압되기 적합하게 되어 있고 용지 매거진의 용지출구 근처에 구비된 이송로울러를 가지고 있다. 이송로울러에 결합된 손잡이를 수동 제어함으로써 사진용지는 이송 및 되감기된다.
이송 및 되감기 기구가 없는 용지 매거진을 사용할 때 용지 끝이 매거진으로부터 돌출되어야 하므로 이 부분은 어쩔 수 없이 빛에 노출된다. 따라서 용지중 쓸모 없게 되는 부분이 증가한다.
또한, 용지의 선단이 전진로울러 사이에 물릴 수 있도록 사진용지를 끌어내는 것이 필요하다. 너무 과도하게 끌어당겨지면 불필요한 부분을 잘라내야만 하는데, 이러한 작업은 매우 성가신 일이 된다.
반면에, 이송/되감기 기구를 갖는 용지 매거진은 이송로울러가 사진용지에 대해 항상 가압되므로 흠이 가거나 표면이 울퉁불퉁해지기 쉽게 된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이송될 때 용지는 꾸불꾸불하게 되기 쉽다.
또한, 사진용지가 이송 또는 되감기 될 수 있는 길이는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다른 종류의 사진인화 장치용으로 단일 매거진을 사용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게다가, 앞서 언급한 용지 매거진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용지는 코어자체를 회전시켜 줌으로써 매거진 내의 용지롤의 코어상으로 되감김 된다. 따라서 용지 후방끝이 용지롤의 코어에서 떨어지면 용지를 더 이상 되감을 수 없게 된다. 이것은 매거진내의 이송경로내에 있는 용지 전부가 소모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로부터 구동력을 공급함으로써 용지를 자동적으로 이송 및 되감기 할 수 있으며, 이송중에 용지에 흠이 가거나 용지가 꾸불꾸불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용지 매거진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용지의 후방끝이 용지롤의 코어에서 떨어지더라도 용지를 쉽게 되감을 수 있는 용지 매거진을 제공하는데 있다.
위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라서, 용지의 용지롤의 코어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도록 되어 있으며 용지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용지 매거진 케이스, 코어로부터 용지출구로 뻗어있는 용지이송경로를 따라 구비되어 있으며 용지가 사이에 끼워져 있는 상태에서 서로에 대해 가압되고 서로 분리되기 적합하게 되어 있는 한 쌍의 가압로울러, 용지와 접촉상태로 될 때 이동하도록 가압로울러와 용지출구 사이에 구비된 용지검출 로울러, 용지검출 로울러의 위치에 따라 가압로울러를 서로에 대해 가압하고 서로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해 용지검출 로울러에 합체되어 있는 캠기구, 용지롤의 코어와 가압로울러에 외부구동수단의 회전을 전달하기 위해 이 코어와 로울러에 결합되어 있는 동력전달수단, 및 외부구동수단의 회전방향에 따라 코어 또는 가압로울러에 구동력을 선택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동력전달 수단내에 구비되어 있는 변환수단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에 의해 가압로울러는 코어가 용지를 전방으로 이송시키는 방향으로 회전할 때에는 사이에 용지가 끼워져 있는 상태에서 서로에 대해 가압되며 그 외에는 서로 분리되어 있는 용지 매거진이 제공된다.
위 장치에 의해 용지를 이송할 때 가압로울러는 용지를 가압하여 이송하도록 되어 있다. 용지의 위치는 용지출구와 가압로울러 사이에 구비된 용지검출 로울러의 위치를 검출함으로써 검출된다. 검출결과에 기초하여, 캠기구는 가압로울러를 서로에 대해 가압하거나 서로로부터 분리시켜 그에 따라 용지의 정지위치를 되감기할 때 제어하도록 작동된다. 구동력의 전달방향 즉, 코어 또는 가압로울러의 방향은 동력변환수단에 의해 변환된다.
가압로울러는 용지가 이송중일 때에만 용지와 접촉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용지와의 접촉이 해제된 상태로 유지되므로 용지에 흠이 가거나 표면이 울퉁불퉁하게 되는 일이 없을 것이다. 또한, 이송중에 용지가 꾸불꾸불하게 되는 일도 없을 것이다.
용지의 되감기는 용지검출 로울러가 용지소진으로 인해 변위될 때 정지된다. 따라서, 용지검출 로울러의 장착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되감기가 정지될 때 용지선단의 위치를 자유롭게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시 말해 용지가 되감기는 길이에 대해서는 아무 제한도 따르지 않는다.
캠기구가 용지를 되감는 방향으로 코어가 회전할 때 사이에 용지가 끼워져 있는 로울러를 서로에 대해 가압하는 수단과 가압로울러가 용지검출 로울러의 위치에 관계없이 서로에 대해 가압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용지 매거진도 또한 제공된다.
이 장치에 의하면, 제 2수단에 의해 가압로울러가 용지를 되감을 때 용지를 가압한다. 따라서 가압로울러를 회전시킴으로써 용지는 매거진내의 코어상으로 강제적으로 되감길 수 있다. 또한, 가압로울러는 용지가 완전히 되감긴 상태에서 용지를 가압하는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용지는 매거진이 운반 등에 의해 진동하더라도 정 위치에 안정되게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용지 매거진은 용지가 이송 또는 되감김 중일 때 용지의 위치를 검출하는 로울러, 가압로울러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해 용지검출 로울러와 작동적으로 합체되어 있는 캠기구, 및 코어와 가압로울러로의 구동력을 선택적으로 전달 및 차단하는 동력전달 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가압로울러는 용지를 이송할 때에만 용지를 가압한다. 따라서, 용지는 꾸불꾸불하게 되는 일없이 또 흠이 가거나 표면이 울퉁불퉁하게 될 염려없이 정확하고 안정되게 이송될 수 있다.
단지 외부 구동력을 가함으로써 용지는 기계적으로 이송 및 되감김 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작업을 자동화함으로써 작업효율을 극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더우기 용지는 원하는 어떤 위치로도 되감길 수 있으므로 즉, 용지가 되감기는 길이가 한정되어 있지 않으므로 본 발명의 개념은 서로 다른 용지이송경로를 갖는 다른 유형의 장치에도 응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가압로울러가 용지를 되감을 때 이 용지를 가압하기 때문에 매거진 내에 용지를 약간이라도 남기는 일없이 용지를 이송 및 되감기함에 따라 용지손실을 완전히 배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목적은 첨부도면을 참조한 다음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먼저 제1도 내지 3도를 참조하면, 용지 매거진 케이스(1)는 두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케이스는 이 두 부분중 한 부분을 핀(2)에 대해 피벗시킴으로써 개폐된다. 용지출구(3)는 케이스(1) 전방측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다. 지지축(4)은 용지 매거진 케이스(1)의 중앙부분에 구비되어 있다. 사진용지(P)의 롤(R) 코어(5)는 지지축(4)상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사진용지(P)는 롤(R)로부터 용지 매거진 케이스(1)의 전방부 내에 구비된 안내 로울러(6)로 그리고나서 용지출구(3)로 끌어 당겨진다.
안내로울러(6)로부터 용지출구(3)까지 뻗어있는 이송경로에는 한 쌍의 전후방 가압로울러(7, 8)가 구비되어 있다(제3도). 이들 중 후방 대직경 로울러(8)(이후에는 이송로울러라고 한다)는 용지 매거진(1)을 통해 뻗어 있는 회전축(9)에 일체로 장착되어 있다.
한편, 전방 소직경 로울러(7)(이후에는 가압로울러라고 한다)는 그 중심에서 로울러축(10)상에 장착되어 있다. 로울러축(10)은 그 양쪽 끝이 용지 매거진 케이스(1)의 측판 내부표면으로부터 소정거리 유지되어 구비된 한 쌍의 지지판(11)내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12)을 통하여 뻗어 있다. 이 구멍(12)은 전후방향으로 뻗어 있어 로울러축(10)은 앞뒤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로울러축(10)은 지지판(11) 내측 지점에서 한 쌍의 홈가공된 금속부(13)이 부착되어 있다. 스프링(15)은 각 금속부(13)의 둘레홈(14)내에 끼워맞춤되며 그 양쪽 끝이 각각의 지지판(11)에 고정되어 있다. 로울러축(10)은 따라서 스프링(15)에 의해 후방으로 가압되므로 가압로울러(7)는 이송로울러(8)에 대해 가압되도록 되어 있다.
로울러축(10)은 이송로울러(8)를 포함하는 회전축(9)과 평행하게 구비되어 있으며, 맞물림 로울러(16)에 대향하여 위치하도록 회전축(9)의 한쪽 끝에 장착된 캠판(17)과 상호 협동하는 캠기구를 형성하는 맞물림 로울러(16)가 그 한쪽 끝에 부착된다.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맞물림 로울러(16)는 로울러축(10)의 끝에 구비된 안내축(18)상에 축방향으로 미끄럼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안내축(18)은 또한 맞물림 로울러(16)를 캠판(17)에 대한 기준 위치로 가압하는 스프링(19)이 설치되어 있다.
제7도 내지 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판(17)은 맞물림 로울러(16)와 접촉이 해제된 상태로 유지되는 내부 원형표면(20)을 가지고 있다. 맞물림 로울러(16)가 원형표면(20)에 대향하여 위치할 때 로울러축(10)은 스프링(15)에 의해 후방으로 가압되므로 가압로울러(7)는 이송로울러(8)를 가압하도록 되어 있다.
캠판(17)은 또한 안내플랜지(21)가 형성되어 있는 캠표면(22)을 가지고 있다. 로울러 분리 캠표면(22)은 원형표면(20) 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지고 있다. 맞물림 로울러(16)가 로울러 분리 캠표면(22)과 접촉될 때 로울러(16)는 전방으로 밀리므로 가압로울러(7)는 이송로울러(8)로부터 분리되도록 될 것이다.
원형표면(20)은 부분적으로 횡이송 캠표면(23)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표면을 따라 맞물림 로울러(16)가 대직경 로울러 분리 캠표면(22)을 향해 원형표면(20)으로부터 상승 이동된다. 횡이송 캠표면(23)에 인접한 로울러 분리캠표면(22) 측면상에는 경사 안내표면(24)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 표면을 따라 맞물림 로울러(16)가 원형표면(20)을 향해 로울러 분리캠표면(22)으로부터 이동하기 적합하게 되어 있다.
반면에 회전축(9) 위에는 회전축(9)에 평행하게 뻗어 있는 회전 작동축(25)이 구비되어 있다. 2개의 로울러 규제판(26, 27)은 작동축(25)의 한쪽 끝상에 장착되어 있다. 제7도 및 1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쪽 로울러 규제판(26)은 작동축(25)에 고정장착되어 있는 반면에 다른 한쪽 로울러 규제판(27)은 작동축 상에 피벗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작동축(25)은 또한 피벗식 로울러 규제판(27)을 고정 로울러 규제판(26)에 가압하는 스프링(28)이 부착되어 있다.
작동축(25)은 또한 하부 끝에서 회전 가능한 용지검출 로울러(30)가 부착되어 있는 검출아암(29)이 그 중앙부분상에 부착되어 있다. 제5도 및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지검출 로울러(30)는 안내로울러(6)로부터 용지출구(3)로 뻗어 있는 사진용지(P)를 위한 이송경로 내에 위치한다. 사진용지(P)가 이송경로를 따라 이송되는 동안 로울러(30)는 이송중인 사진용지에 의해 후방으로 밀리는 상태가 유지된다. 이송중인 사진용지(P)가 없어지면 로울러는 전방으로 이동할 것이다.
용지검출 로울러(30)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할 때, 검출아암(29)과 작동축(25)을 통하여 로울러(30)에 커플링된 로울러 규제판(26, 27)은 제11도 또는 1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향 또는 하향으로 피벗될 것이다. 로울러 규제판(26, 27)은 하향 피벗될 때, 제1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맞물림 로울러(16)의 내부 끝과 접촉되며 따라서 맞물림 로울러(16)가 캠판(17)상의 원형표면(20)을 향해 횡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대조적으로 로울러 규제판(26, 27)은 제1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향으로 피벗될 때, 맞물림 로울러(16)와 간섭을 일으키지 않게 되는 위치로 이동할 것이다. 맞물림 로울러는 따라서 스프링(19)에 의해 원형표면(20)을 향해 밀리게 된다.
캠판(17)은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방향 클러치(31)를 통해 회전축(9) 상에 장착되어 제3도 화살표(A) 방향으로만 회전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회전축(9)의 대향 끝상에는 이송기어(33)가 일방향 클러치(32)를 통해 장착되어 있는데, 이 클러치는 이송기어(33)가 화살표(A) 방향 (즉, 제3도 화살표(B) 방향)의 반대방향으로만 회전할 수 있게 한다.
제1도, 3도 및 1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기어(33)는 기어(34)를 통해 중간 기어(35)와 맞물려 있는데, 이 중간 기어에는 사진인화장치(B)로부터 일부 돌출되어 있는 구동기어(37)와 교대로 정합되는 입력기어(36)가 커플링되어 있다(제13도). 후술되는 입력기어(36) 및 전진로울러(54)는 단일의 공통 모우터에 의해 구동된다.
중간기어(35)는 축(38)에 커플링되어 있으며, 이 축에는 기어(39)가 제3도 화살표(C) 방향으로만 회전할 수 있게 해주는 일방향 클러치 (도시안됨)를 통하여 코어구동기어(39)가 커플링되어 있다. 코어구동기어(39)는 코어(5)에 커플링된 코어기어(41)중 하나와 교대로 정합되는 래칫 기어(40)와 정합된다.
래칫 기어(40)는 기어몸체와, 기어몸체의 한쪽 측면에 체결되고 그 원주면을 따라 다수의 래칫 포올(43)이 형성되어 있는 래칫 디스크(42)를 포함하고 있다. 잠금판(44)은 자체의 한쪽 끝에서 작동축(25)에 커플링되어 래칫 디스크(42)의 원주를 향해 피벗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잠금판(44)에는 스프링(45)이 커플링되어 있어 잠금판 팁이 계속해서 래칫 포올(43)과 맞물림 상태로 유지되도록 가압한다.
제1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기어(41)는 용지 매거진 케이스(1)의 측벽 내부에 구비되어 지지축(4) 상에 지지되어 있는데, 이 지지축상에는 롤(R)의 코어(5)가 베어링(47)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마찰발생기구(48)는 지지축(4)과 코어(5) 사이에 장착되어 있다. 이 기구는 대향 배열된 마찰판(49 및 50), 마찰판(50)과 코어(5)의 끝면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또 다른 마찰판(52) 및 마찰판(52)을 코어(5)에 가압하여 이들 사이에 마찰저항이 발생하도록 하는 코일스프링(51)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마찰저항으로 인하여 코어(5)는 코어기어(41)와 함께 회전하기 적합하게 되어 있다.
이 실시예의 용지 매거진(A)은 사진인화장치(B)의 정상부판상에 장착되어 있으므로 제 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지 매거진 케이스(1)의 용지출구(3)는 사진인화장치(B)의 용지입구(53)에 바로 대향하여 위치한다.
사진인화장치(B) 내 용지입구(53) 아래에는 사진용지(P) 이송용의 한쌍의 전진로울러(54)가 구비되어 있다. 이 로울러는 용지 매거진(A) 내의 가압로울러쌍의 이송로울러(8) 보다 더 고속으로 회전하기 적합하게 되어 있다. 전진로울러(54) 부근에는 사진용지검출용의 센서(55)가 구비되어 있다.
이제 이 실시예의 용지 매거진 작동에 대하여 설명할 것이다.
(1) 사진용지 이송시
맞물림 로울러(16)는 제 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판(17)의 로울러 분리캠표면(22)과 접촉된다. 이송기어(33)가 입력기어(36)에 의해 구동될 때 캠판(17)은 피벗되어 맞물림 로울러(16)를 횡이송 캠표면(23)을 거쳐 원형표면(20)상으로 이동시킬 것이다. 이에 의해 가압로울러(7)와 이송로울러(8)는 사진용지(P)를 가압하게 된다. 이에 따라 용지가 이송된다. 사진용지(P)는 맞물림 로울러(16)가 횡이송 캠표면(23)에 재접촉할 때까지 캠판(17)이 회전하는 각도에 대응하는 길이만큼 이송로울러(8)에 의해 이송된다. 그리고 나서 맞물림 로울러(16)는 횡이송 캠표면(23)을 거쳐 캠표면(22)으로 횡방향 이동한다.
사진용지(P)의 선단이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지검출로울러(30)를 통과중일 때, 용지검출로울러(30)는 뒤로 밀릴 것이다. 동시에 로울러 규제판(26, 27)은 제1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맞물림 로울러(16)의 내부끝면에 맞닿음될 때까지 하향 피벗될 것이다. 맞물림 로울러(16)는 그리고 나서 원형표면(20)을 향한 이동이 방지되므로 가압로울러(7 및 8)는 서로 분리된 상태로 유지된다.
반면에, 사진용지(P)의 선단이 용지검출로울러(30)를 통과중이 아닐 때, 로울러 규제판(26, 27)은 제1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들어 올려진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횡이송 캠표면(23)을 거쳐 캠표면(22)상으로 이동된 맞물림 로울러(16)는 스프링(19)에 의해 가압되고 안내표면(24)을 거쳐 원형표면(20)상으로 재차 이동하여 가압로울러(7 및 8)를 사진용지(P)에 대해 재차 가압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용지는 이송로울러(8)에 의해 재차 이송된다. 이 사이클은 사진용지(P)의 선단이 용지검출로울러(30)에 의해 검출될 때까지 반복된다.
사진용지(P)를 이송중일 때 롤(R)의 코어(5)는 사진용지(P)에 가해지는 인장력에 의해 회전한다. 그러나 입력기어(36)가 래칫기어(40) 보다 고속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기어(39)용 일방향 클러치는 맞물림 해제될 것이므로, 중간기어(35)와 코어기어(41) 사이에는 힘이 전혀 전달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다시 말해 코어(5)는 자체에 하중이 전혀 작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회전한다.
상술한 용지이송 작동중에 가압로울러(7 및 8)에 의한 구속에서 풀려나기 전에 사진용지(P)가 사진인화장치(B)의 전진로울러(54) 사이에 물리면 이송기어(33)와 회전축(9) 사이에 장착된 일방향 클러치(32)는 전진로울러(54)의 원주속도가 이송로울러(8)의 속도보다 고속으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맞물림 해제될 것이다. 따라서, 이송로울러(8)는 무부하 상태에서 회전할 것이다.
사진용지(P)의 선단이 사진인화장치(B)의 센서(55)를 통과하였다면 전진로울러(54)는 사진용지(P)의 선단이 노광유니트(86)에 도달할 때까지 회전을 유지할 것이다. 센서(55)가 사진용지(P)를 검출하지 않았다면 전진로울러(54)는 소정 기간동안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사진용지(P)의 선단이 용지 매거진 케이스(1)내 소정의 지점으로 되돌아갈 때까지 사진용지를 되감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나서 위의 작동이 반복된다. 즉, 사진용지가 재차 전방으로 이송된다.
(2) 사진용지 되감기시
(2-1) 사진용지가 가압로울러(7, 8)에 의해 가압되지 않을 때
이 상태는 되감기할 때의 정상상태이다. 코어(5)는 사진용지가 되감기는 그러한 방향으로 입력기어(36)를 통해 전달되는 구동력하에서 회전한다. 사진용지(P) 롤(R)의 외경이 전진로울러(54)의 외경보다 크기 때문에 코어(5)의 원주속도는 전진로울러의 원주속도보다 더 고속이다. 따라서, 코어(5)와 코어기어(41) 간에 회전 속도차가 발생한다. 이것은 코어(5) 내의 마찰발생기구(48)를 작동시킨다. 즉, 코어(5)에 전달되는 구동력으로 인해 마찰발생기구(48)내에 슬립이 발생한다 .사진용지(P)는 따라서 전진로울러(54)의 원주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되감길 것이다.
이 되감기 작동에 있어서, 사진용지(P)의 선단이 용지 매거진 케이스(1) 외부에 있는 동안 용지검출로울러(30)는 뒤로 밀린 상태로 유지되므로 잠금판(44)은 래칫 디스크(42)로부터 분리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사진용지가 그 선단이 용지검출로울러(30)를 통과할 때까지 되감기면 이 로울러는 전방으로 이동할 것이다. 작동적으로 합체되어 있는 잠금판(44)은 따라서 그 팁이 래칫 포올(43)에 맞물림될 때까지 아래쪽으로 피벗된다. 따라서 되감기가 정지된다. 그러나 사진인화장치(B) 내의 구동모우터는 회전상태를 유지한다. 구동모우터와 입력기어(36) 사이에는 코어(5) 내에 구비된 것과 유사한 마찰발생기구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기구는 슬립핑에 의해 구동력이 코어(5)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구동모우터는 사진용지(P)가 센서(55)를 통과하고 잠금판(44)이 래칫 포올(43)에 맞물림된 잠시후에 회전하기 적합하게 되어 있다.
부품의 크기와 각 기어의 잇수는 사진용지(P)의 선단이 용지검출로울러(30)와 이송로울러(8) 사이에서 정지되도록 결정된다. 이 장치에 의해서 가압로울러(7)와 이송로울러(8)의 구동력을 다음번 이송시에 사진용지(P)에 전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2-2) 가압로울러(7 및 8)가 서로에 대해 가압될 때
이 상태는 작동에러에 기인한 비정상적인 상태이다. 이송로울러(8)는 입력기어(36)를 통해 전달된 구동력하에서 사진용지(P)를 되감도록 설정된 속도로 회전할 것이다.
이 상태에서는 회전축(9)상에 장착된 이송로울러(8)가 이송기어(33) 보다 고속으로 회전하며 또한 회전축(9)상에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이송기어(33)내의 일방향 클러치(32)는 잠금될 것이다. 사진용지(P)는 코어(5)에 마찰발생기구(48)의 작용으로 인해 슬립이 발생하는 상태에서 로울러(8)의 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코어(5)상에 되감길 것이다. 각각의 부재들이 이 방향으로 회전하고 있을 때 캠판(17)과 회전축(9) 사이에 장착된 일방향 클러치(31)는 맞물림이 해제되므로 캠판(17)에 전혀 힘이 가해지지 않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캠판(17)은 이송로울러(8)의 회전을 전혀 구속하지 않을 것이다.
(3) 사진용지 인화시
이 상태에서 입력기어(36) 구동용 구동모우터는 정지되고 코어기어(41)는 회전하지 않는다.
사진용지 용지 매거진 케이스(1)로부터 끌어당겨지는 방향으로 사진인화장치(B) 내에서 발생되는 이송력에 의해 가압된다. 따라서, 코어(5) 내의 마찰발생기구(48)에서 슬립이 발생한다. 사진용지(P)는 따라서 자체에 배면인장력이 가해진 상태에서 사진인화장치(B) 안으로 끌어 당겨진다.
사진용지가 인장된 상태에서 이송되기 때문에 사진용지(P)의 처짐이 방지되고 그에 따라 사진용지의 노광유니트(86)로의 이송거리상의 변화가 배제된다.
제15도 내지 19도는 제2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서 제1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판(17)이 커플링되어 있는 회전축(9)의 끝에는 토오크 리미터(61)가 장착되어 있는데, 이 리미터는 마찰력을 이용하는 토오크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토오크 리미터(61)는 제1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9) 끝에 장착된 가압판(62)과 스프링시트(63), 가압판(62)과 캠판(17) 사이에 구비된 마찰판(64) 및 가압판(62)과 스프링 시트(63) 사이에 장착되어 가압판(62)을 축방향으로 가압하고 따라서 캠판(17)의 끝면에 대해 마찰판(64)을 가압하도록 되어 있는 마찰스프링(65)으로 구성되어 있다. 가압판(62)과 회전축(9)는 서로에 대해 축방향으로 상대 이동할 수는 있지만, 회전축 표면과 회전축(9)이 관통하는 가압판(62) 구멍(66)의 표면상에 형성된 보상평평면(67; 제16b도)에 의해 서로에 대한 상대회전이 방지된다.
회전축(9)이 회전할 때 이 축의 토오크는 가압판(62)을 통하여 마찰판(64)으로 전달된다. 따라서 캠판(17)은 압접부분에서 발생되는 마찰력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반면에 캠판(17)의 회전이 강제로 정지되면 회전축(9)만이 회전할 것이며, 이때 마찰판(64)과 캠판(17)은 서로 미끄럼 접촉된 상태로 유지된다.
제1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이송 캠표면(23)에 인접한 캠판(17)의 외주면상에는 로울러 분리캠표면(22)이 원형표면(20)에 연결되는 하향경사안내표면(68)이 형성되어 있다. 원형표면(20)의 한쪽 끝에는 반경방향으로 들어 올려진 정지표면(69)이 형성되어 있다. 캠판(17)은 맞물림 로울러(16)가 맞닿음될 때 정지되기 적합하게 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 회전축(9)과 캠판(17)이 제18도에 도시된 상태로부터 회전할 때, 이때 가압로울러(7, 8)는 용지되감기 방향(도면중 화살표(A) 방향)으로 서로 분리된다. 로울러 분리캠표면(22)상에 있게 된 (제17도) 캠 맞물림 로울러(16)는 하향경사 안내표면(68)상으로 그리고 나서 원형표면(20)상으로 이동할 것이다(이 상태는 제19도에 도시됨). 가압로울러(7)는 따라서 이송로울러(8)에 대해 가압된다.
이송로울러(8)가 되감기 방향으로 회전하기 시작할 때 용지는 용지롤의 코어(5)를 향해 이송된다. 즉, 용지는 매거진 안으로 되감겨 코어(5) 상에 감긴다. 이 장치에 의하면 용지롤의 후방끝이 코어(5)에 팽팽히 감기더라도 또는 용지의 남은 부분이 모자라게 되어 용지 후방끝이 코어(5)에서 떨어지게 되더라도, 용지가 일부라도 매거진내 용지이송경로에 남아있는 한 용지를 매거진내 코어상에 되감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나서 가압로울러와 코어(5)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기만 하면 용지는 매거진으로부터 이송될 수 있다. 매거진내에는 용지가 전혀 남아있지 않게 되며 따라서 용지 손실이 전혀 발생하지 않게 될 것이다.
반면에, 원형표면(20)과 접촉상태로 유지되어 있는 맞물림 로울러(16)가 정지표면(69)에 맞닿음될 때 캠판(17)은 회전이 정지될 것이다. 캠판(17)에 전달된 구동력은 토오크 리미터(61)에 의해 차단된다. 이 상태에서는 회전축(9)만이 회전할 수 있다. 용지가 그 선단이 용지검출로울러(30)를 통과할 때까지 회전코어(5) 상으로 되감길 때 잠금판(44)은 래칫기어(40)에 맞물림되어 코어(5)의 회전을, 그에 따라 용지의 되감김을 정지시킬 것이다.
용지되감김이 정지될 때 맞물림 로울러(16)는 캠판(17)의 원형표면(20)상에 위치하므로 가압로울러는 용지를 가압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용지는 용지 매거진이 예컨대 운반시 진동하더라도 정위치에 유지된다. 이것은 다음번에 용지를 걸어줄 때 신뢰성 있는 용지이송을 가능하게 해준다.

Claims (6)

  1. 용지의 용지롤의 코어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도록 되어 있으며 용지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용지 매거진 케이스, 상기 코어로부터 상기 용지출구로 뻗어있는 용지이송경로를 따라 구비되어 있으며 용지가 사이에 끼워져 있는 상태에서 서로에 대해 가압되고 서로 분리되기 적합하게 되어 있는 한쌍의 가압로울러, 용지와 접촉 상태로 될 때 이동하도록 상기 가압로울러와 상기 용지출구 사이에 구비된 용지검출 로울러, 상기 용지검출로울러의 위치에 따라 상기 가압로울러를 서로에 대해 가압하고 서로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해 상기 용지검출로울러에 합체되어 있는 캠 기구, 용지롤의 상기 코어와 상기 가압로울러에 외부구동수단의 회전을 전달하기 위해 이 코어와 로울러에 결합되어 있는 동력전달수단, 및 상기 외부구동수단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코어 또는 상기 가압로울러에 구동력을 선택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상기 동력전달 수단내에 구비되어 있는 변환수단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에 의해 상기 가압로울러는 상기 코어가 용지를 전방으로 이송시키는 방향으로 회전할 때에는 사이에 용지가 끼워져 있는 상태에서 서로에 대해 가압되며 그 외에는 서로 분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매거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캠기구는 상기 용지검출로울러와 작동적으로 합체되어 있으므로 되감기중에 상기 용지검출로울러가 용지소진으로 인해 변위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캠기구는 상기 가압로울러를 용지가 사이에 끼워진 상태에서 서로에 대해 가압하는 방식으로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매거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캠기구는 상기 코어가 용지 되감기 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가압로울러를 용지가 사이에 끼워진 상태에서 서로에 대해 가압하는 수단과, 상기 가압로울러를 상기 용지검출로울러의 위치에 관계없이 서로에 대해 가압되는 상태로 유지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매거진.
  4. 제1항 내지 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토오크 리미터가 소정 토오크 보다 큰 토오크를 받을 때 상기 용지검출로울러와 상기 캠기구 사이의 연결을 차단하는 토오크 리미터를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매거진.
  5. 제1항 내지 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검출로울러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동력전달수단에 맞물림되기 적합하게 되어 있는 잠금판을 더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잠금판은 상기 용지검출로울러가 용지소진으로 인해 변위될 때 상기 코어로의 동력전달을 차단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매거진.
  6. 제1 내지 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가 상기 동력전달수단에 대해 상대 회전할 때 상기 코어에 마찰력을 주기 위해 용지롤의 상기 코어와 상기 동력 전달수단 사이에 구비된 마찰발생수단을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매거진.
KR1019940013522A 1993-06-15 1994-06-15 용지 매거진 KR01856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3-143561 1993-06-15
JP14356193 1993-06-15
JP6089681A JP2932935B2 (ja) 1993-06-15 1994-04-27 ペーパマガジン
JP94-89681 1994-04-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1403A KR950001403A (ko) 1995-01-03
KR0185604B1 true KR0185604B1 (ko) 1999-04-01

Family

ID=26431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3522A KR0185604B1 (ko) 1993-06-15 1994-06-15 용지 매거진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553809A (ko)
EP (1) EP0629901B1 (ko)
JP (1) JP2932935B2 (ko)
KR (1) KR0185604B1 (ko)
CN (1) CN1036159C (ko)
CA (1) CA2125471C (ko)
DE (1) DE69405813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33534B2 (ja) * 1995-09-05 1998-12-09 ノーリツ鋼機株式会社 ペーパマガジン
JP3255062B2 (ja) * 1997-01-17 2002-02-1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子部品装着装置
JP3454348B2 (ja) * 1998-06-12 2003-10-06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感光材料の搬送装置
JP3539565B2 (ja) * 2002-02-05 2004-07-07 株式会社東京機械製作所 輪転機のウェブ紙保持装置
DE602004024151D1 (de) * 2003-03-05 2009-12-31 Brother Ind Ltd Kassette für einen aufgerollten Aufzeichnungsträger und Bilderzeugungsvorrichtung
KR100527862B1 (ko) * 2003-06-19 2005-11-15 노경옥 생활 폐기물과 소성암석 분말을 이용한 유기질 비료의제조방법
JP2006349797A (ja) * 2005-06-14 2006-12-28 Noritsu Koki Co Ltd ペーパーマガジン
JP2011110813A (ja) * 2009-11-27 2011-06-09 Seiko Epson Corp 記録装置、及び、記録装置の記録媒体供給構造
JP6269560B2 (ja) * 2015-04-10 2018-01-31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システム
US9986965B2 (en) * 2016-03-11 2018-06-05 Kenneth Irwin Fishberger Stethoscope covers and dispensing system for stethoscope covers
KR200483194Y1 (ko) 2016-06-02 2017-04-19 최유리 콘센트용 안전커버
US10483007B2 (en) 2017-07-25 2019-11-19 Intouch Technologies, Inc. Modular telehealth cart with thermal imaging and touch screen user interface
US10538377B1 (en) * 2019-05-15 2020-01-21 Kenneth Irwin Fishberger Stethoscope cover dispensing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49852U (ja) * 1983-03-24 1984-10-06 株式会社ノ−リツ研究センタ− ペ−パ供給マガジン
JPS6347523A (ja) * 1986-08-15 1988-02-29 Nippo Sangyo Kk 事務機器等の紙送り装置用トルクリミツタ−
US4765555A (en) * 1987-07-17 1988-08-23 Gambino James J Roll paper dispenser
US5107296A (en) * 1990-04-13 1992-04-21 Fuji Photo Film Co., Ltd. Photographic paper transpor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hotographic printer
JPH0450834U (ko) * 1990-09-04 1992-04-28
JP2889736B2 (ja) * 1991-05-24 1999-05-10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写真プリンタのペーパー搬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553809A (en) 1996-09-10
CN1036159C (zh) 1997-10-15
EP0629901B1 (en) 1997-09-24
DE69405813T2 (de) 1998-01-22
CA2125471A1 (en) 1994-12-16
CN1100816A (zh) 1995-03-29
KR950001403A (ko) 1995-01-03
JPH0764245A (ja) 1995-03-10
JP2932935B2 (ja) 1999-08-09
CA2125471C (en) 1999-04-13
DE69405813D1 (de) 1997-10-30
EP0629901A1 (en) 1994-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85604B1 (ko) 용지 매거진
US5758840A (en) Paper magazine
US7407130B2 (en) Paper magazine
US4652117A (en) Photographic printing apparatus
KR100235576B1 (ko) 인화지 메거진
JP3454348B2 (ja) 感光材料の搬送装置
EP0622664B1 (en) Apparatus for supplying photosensitive material
US4699034A (en) Roll paper handling apparatus
US4688737A (e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winding up photographic paper
US20190291481A1 (en) Roll paper printer
US4817886A (en) Film conveying apparatus
JP4932537B2 (ja) デカール装置
JP3108469B2 (ja) シート搬送装置
JP2861722B2 (ja) 感光材料の供給装置
JP2559932Y2 (ja) 給紙装置
KR100194369B1 (ko) 페이퍼 매거진
JPS60154090A (ja) 印字装置
JPH0451013B2 (ko)
JPH0481777B2 (ko)
JP2861727B2 (ja) 感光材料の供給装置
JP2001018468A (ja) ロール紙の判別装置
JP3910741B2 (ja) 単票用紙搬送装置および印刷装置
JPH06211395A (ja) 用紙自動装填装置のピンチローラ機構
JPH0561624B2 (ko)
JPH05319623A (ja) シート移送方法及びシート移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