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4697B1 - 공기조화기의 전기부품상자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전기부품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4697B1
KR0184697B1 KR1019960005611A KR19960005611A KR0184697B1 KR 0184697 B1 KR0184697 B1 KR 0184697B1 KR 1019960005611 A KR1019960005611 A KR 1019960005611A KR 19960005611 A KR19960005611 A KR 19960005611A KR 0184697 B1 KR0184697 B1 KR 01846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box
box
electrical
board
air conditi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56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1611A (ko
Inventor
가즈히사 사토
Original Assignee
니시무로 다이조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시무로 다이조,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니시무로 다이조
Publication of KR9700116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16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46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46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7Casings or covers with control knobs; Mounting controlling members or control units therein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부품 상자의 내부에 수용되는 제어기판 및 이 제어기판에 실장되는 전기 제어 부품에 대한 취급을 용이화하고, 작업성의 향상이 도모되는 전기 부품 상자를 구비한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열교환기(6)와, 이 열교환기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송풍기(90)를 수용하는 유닛 본체(1)와, 이 유닛 본체내의 상기 열교환기 및 송풍기의 측쪽 부위에 배치되는 전기 부품 상자(10)를 구비하며, 상기 전기 부품 상자는 상기 열교환기 및 송풍기측의 측면부가 개구하는 부품 상자체(13)와, 이 부품 상자체의 측면 개구부와 대향하는 측면부(13a)에 부착되며, 전기제어부품(ka, Kb)이 실장되는 제어기판(P)과, 상기 부품 상자체의 측면 개구부를 개폐 자유롭게 닫는 측면 덮개체(14)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전기부품상자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나타낸 공기조화기의 실내 유닛의 사시도.
제2도는 상기 실시형태를 나타낸 실내 유닛의 전면 패널을 벗긴 상태의 사시도.
제3도는 상기 실시형태를 나타낸 전기 부품 상자의 전면 덮개를 벗긴 사시도.
제4도는 상기 실시형태를 나타낸 전기 부품 상자를 구성하는 부품 상자체와 측면 덮개 및 전면 판자체를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
제5도는 상기 실시형태를 나타낸 전면 판자체의 일부를 생략한 측면도.
제6도는 상기 실시형태를 도시한 부품 상자체에 측면 덮개를 장치한 상태의 사시도.
제7도는 상기 실시형태를 나타낸 부품 상자체와 보드 누름을 분해시킨 사시도.
제8도는 상기 실시형태를 나타낸, 전기 부품 상자로서 조립된 상태의 일부를 내면측으로 본 사시도.
제9도는 상기 실시형태를 나타낸, 부품 상자와 본체와 보드 누름이 일부 분해된 사시도.
제10도는 상기 실시형태를 나타낸, 전기부품상자로서의 측면 덮개체를 분해한 사시도.
제11도는 상기 실시형태를 나타낸 전기 부품 상자와 송풍기의 배치 관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유닛본체 6 : 열교환기
10 : 전기 부품 상자 13 : 부품상자본체
13a : 측면부 14 : 측면덮개
15 : 전면 판자체 33 : 돌출부
42 : 커넥터 지지부 66 : 배선용 커넥터(SL커넥터)
68 : 코드 고정부재 69 : 고정도구(고정나사)
70 : 전원 코드 71 : 절연부재(보드 누름)
73 : 내측 걸림부 76 : 가이드부
85 : 온도휴즈 장치부 90 : 송풍기
Ka, Kb : 전기제어부품 P : 제어기판
b : 어스단자 H : 온도휴즈
Kb1 : 커넥터 받이부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며, 특히 실내유닛내에 배치된 전기 부품 상자 구성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보통 이용되는 공기조화기는 피공조실에 장치된 실내유닛과, 건물 외부에 장치된 실외유닛으로 구성되며, 각 유닛 사이를 냉매관과 전기배선관등을 통해 접속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실내유닛은 전면 패널에 설치된 흡입구로부터 피공조실 공기가 유닛 본체내로 흡입되며, 이 내부에 배치된 열교환기를 통과하여 열교환을 이루고, 전면 하부에 설치된 분출구로부터 다시 피공조실로 불어오도록 되어 있다.
실내유닛에는 원격조작판(리모콘이라고 불리운다)가 부속되어 있고, 송풍기와 압축기 이외의 냉동사이클 구성 부품은 상기 원격조작판으로부터의 지시 신호를 받아 설정된 공조 조건을 얻도록 전기적으로 제어된다.
또한, 유닛본체내에는 상기 전기적 제어를 이루는 전기제어부품이 구비되며, 이것들은 모두 제어 기판(PC판)에 일괄되어 장치된다. 그리고, 제어기판은 전기 부품 상자에 수용된다.
유닛 본체를 구성하는 전면 패널을 벗기면 전기 부품 상자 전면이 노출된다. 종래, 이 전기 부품 상자는 전기제어부품의 고장시에 있어서 교환 등 필요한 작업을 실시할 수 있도록 작업자가 마주보는 전면측이 개폐가능하다. 즉, 전기 부품 상자의 전면측은 개구부이며, 이 개구부에 덮개 본체가 개폐 자유롭게 장착된다.
그런데, 실내유닛을 설계할 때는, 유닛 본체의 대형화, 특히 폭 크기를 억제하기 위하여 전기 부품 상자의 배치 공간으로서는 열교환기의 측 부위에 약간의 폭 공간밖에 확보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여기에 배치된 전기 부품 상자는 폭이 좁고, 높이가 있는 얇은 상자형으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전기제어부품은 모두 제어기판(PC기판)에 장착되어 있으며, 필요상, 제어기판의 면적은 어느 정도 크지 않으면 안된다. 제어기판 면적은 전기부품상자의 전면 개구부 면적 보다 꽤 크게 되며, 전기 부품 상자의 뒷면부에 제어 기판을 장치할 수 없다. 그 때문에 전기 부품 상자의 측면부에 제어기판이 장치된다. 하지만, 전기 부품 상자의 전면 개구부 및 이것을 닫는 전면 덮개는 폭이 좁기 때문에, 전기 제어 부품의 교환과 보수 작업시에 전면 덮개를 벗겨 개구부를 개구해도, 여기서부터 손을 끼워넣어 필요한 작업을 하는 것은 매우 귀찮은 일이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전기 부품 상자의 폭을 억제하면서, 내부에 수용된 제어 기판 및 이 제어기판에 장착되는 전기 제어 부품에 대한 취급을 용이화하고, 작업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전기 부품 상자를 구비한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려고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만족시키기 위한 제 1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열교환기 및 이 열교환기에 대향하여 배치된 송풍기를 수용하는 유닛 본체와, 이 유닛 본체내의 상기 열교환기 및 송풍기의 측면 부위에 배치된 전기부품상자를 구비한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전기부품상자는 전기제어부품을 장착한 제어기판이 부착된 측면부를 구비하여 상기 열교환기 및 송풍기측의 측면에 개구된 측면 개구부를 가진 부품 상자체, 상기 측면 개구부를 개폐가 자유로운 측면 덮개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기판의 전기 제어부품의 장착영역을 반으로 구분하여 한쪽 영역을 다른쪽 영역보다도 넓게하고, 그 한쪽 영역에는 길이가 큰 전기제어 부품을, 다른쪽 영역에는 길이가 작은 전기 제어부품을 각각 장착하고, 상기 측면 덮개에는 전기 제어부품의 크기에 따라서 형성한 요철형상을 설치하고, 상기 측면 덮개의 오목부에 대향하여 상기 송풍기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품 상자체와 상기 측면 덮개를 판금 가공에 의해 어스 단자를 상기 부품 상자체에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어기판은 상기 부품 상자체에 절연재로 이루어진 보드 누름을 통하여 부착된다.
상기 보드 누름은 수지 몰드재로 이루어지며, 이 단부가장자리부에 상기 제어기판을 착탈 자유롭게 거는 걸림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품 상자체의 전면부에 수지 몰드재로 이루어진 전면 판자체가 부착되며, 이 전면 판자체에는 배선용 커넥터를 지지하는 커넥터 지지부를 구비한다.
상기 커넥터 지지부는 그 한 변부가 상기 전면 판자체에 회전 자유롭게 축지된다. 상기 커넥터 지지부가 서로 겹치는 전면 판자체 부위에 온도 휴즈 장치부가 설치된다.
상기 부품 상자체는 개구부가 설치되며, 이 개구부에 상기 제어 기판의 측변 일부가 대향되며, 상기 개구부와 대향하는 제어 기판의 측변부에 실온 센서와 열교환기 센서 등의 커넥터 받이부가 일렬로 배치된다.
상기 부품 상자체는 그 전면부에 돌출부가 설치되며, 상기 보드 누름은 돌출부의 합치 부분이 돌출부보다 외부로 돌출하는 위험 방지용 가이드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전면 판자체는 부품 상자체 전면부의 내부면측으로부터 고정도구에 의해서 장치 고정되며, 고정도구는 전원코드를 고정하는 코드 고정 부재를 부품 상자체 전면부 내면측에 동시에 장치 고정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제어기판의 면적을 충분히 확보하여 전기제어부품의 장착에 어떤 지장도 생기지 않게 함과 동시에 보수작업 등 부품 상자체 측면이 큰 개구면적을 통하여 실시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하기 쉽다.
부품 상자체와 측면 덮개는 판금가공에 의해 제작이 용이하고, 제어기판은 절연재로 이루어진 보드 누름을 통하여 부착하기 때문에 제어기판에 대한 절연성이 확보된다.
수지몰드재의 보드누름에 걸림부를 설치하고, 제어기판을 착탈 자유롭게 걸면 제어기판의 착탈이 용이하게 되어 보수하기 쉽다.
제어기판에 장착하는 전기제어부품의 고저를 일치시켜 장착하고, 동시에 이것에 합치시켜 측면 덮개를 요철 형상으로 하여 오목부에 대향하여 송풍기를 배치하고, 유닛 본체의 폭 크기를 가능한 적게하여 대형화를 피한다.
부품 상자체를 판금가공으로 제작한 경우에는 어스 단자의 장착 범위가 확대되고, 유지 작업시에 있어서 어스선의 착탈이 용이하게 된다. 배선용 커넥터를 지지하는 커넥커 지지부를 부품 상자체의 전면 판자 본체에 부착했기 때문에 커넥터에 대한 작업이 유닛 본체의 전면측으로부터 실시할 수 있게되어 작업성이 좋다. 또한, 커넥터 지지부를 회동 자유롭게 축지하면, 유닛 본체를 피공조실의 높은 곳에 배치한 상태에서 커넥터를 보기 쉬운 상태로 할 수 있어서 작업성이 개선된다.
커넥터 지지부가 서로 겹치는 부분의 전면 판자체의 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한 온도 휴즈 장치와 실온센서와 열교환기 센서 등의 커넥터 받이부에 대한 전기적 접속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보드누름의 가이드부를 부품 상자체의 돌출부보다 돌출시켰기 때문에 전기 배선의 판금의 절단 부분에 직접 닿지 않게 끝나서, 전기 배선의 절연 피막이 파괴되지 않고, 판금가공에 의하여 부품 상자체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한다.
고정 도구로 전면 판자체를 부품 상자체에 부착 고정함과 동시에 전원 코드 고정용의 코드 고정 부재를 부착 고정하기 때문에 부품 수가 삭감하고, 부착 작업이 간단해진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도에, 공기조화기를 구성하는 실내유닛을 나타낸다. 유닛본체(1)는 전면 패널(2)과, 이 전면 패널(2)이 끼워진 후판(後板)(3)으로 구성된다.
상기 전면 패널(2)에는 앞부분 흡입구를 구비한 그릴(2a)과, 상부 흡입구를 구비한 그릴(2b)이 설치된다. 또한 하면부에는 분출구(4)가 설치되며, 이 분출구의 한 측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원격조작기로부터 발신되는 설정신호를 받는 수신부와 운전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일괄하는 수신·표시부(5)가 설치된다.
제2도는 상기 전면 패널(2)을 벗긴 상태를 도시한다. 앞에서 설명한 후판(3)에 열교환기(6)가 배치된다. 이 열교환시(6)는 이른바 핀드튜브 타입이며, 열교환 파이프를 핀에 관통 고착한 후에 그 핀을 소정 위치에서 구부려 역 V자형으로 형성하여, 앞부분 흡입 그릴(2a) 및 상부 흡입 그릴(2b)에 대향하는 열교환면을 얻고 있다.
이와같은 역 V자형의 열교환기(6)에는 제2도에는 도시하지 않은 송풍기(90)가 근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 송풍기는 솔을 쓸 필요없는 직류 구동 모터와 이 구동 모터의 회전축에 끼워 고정되며, 축방향이 열교환기의 폭 방향을 따라서 뻗어나는 횡류팬으로 구성된다.
상기 열교환기(6)의 하단부에는 전(前) 드레인팬(7)이 배치되어 있고, 또 이 아래쪽 부위인 상기 분출구(4)에 대향하는 부위에는 풍향 안내판(8)이 설치된다. 풍향안내판(8)은 여기서는 상하 방향의 풍향 안내용의 상하 루버를 도시하고, 좌우 방향의 풍향을 안내하는 좌우 루버는 생략하고 있다.
상기 열교환기(6) 및 송풍기의 측방향 부위에는 후술하는 전기 부품 상자(10)가 배치된다. 다음에, 상기 전기 부품 상자(10)의 구성을 설명한다.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기 부품 상자(10)의 전면에는 전면판(11)이 부착되어 있으며, 이 전면판(11)의 부착 나사(12)를 벗긴 상태를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한다.
이 전기 부품 상자(10)는 서로 판금가공에 의해 성형된 부품 상자체(13) 및 측면 덮개(14)와, 상기 부품 상자체(13)의 전면측에 부착된 수지 몰드재로 이루어진 전면 판자체(15)로 구성된다.
우선, 부품 상자체(13)부터 설명하면, 전면 상부가 비스듬하게 경사진 측판부(13a)를 기본으로 하여 이 전면측에 접어 구부려 형성된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전면부(13b)와 윗면측에 접어 구부려 형성되는 윗면부(13c), 이 윗면부(13c)와 일체로 접어 구부러지며, 동시에 끝 단 테두리는 측면부(13a)의 경사변을 따르는 경사부(13d)와, 측면부(13a)의 뒷면측에 접어 구부려 형성되는 제7도 및 제10도에만 도시한 뒷면부(13e) 및 하부면측에 접어 구부려 형성되는 하면부(13f)로 이루어진다.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측면부(13a)의 상부에서 전면부(13b)와의 접어구부림측에 가까운 부분에는 작은 직사각형 형상의 걸림용 구멍(16)이 설치된다.
제4도에만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부(13b)에는 절개 구멍(17a)이 상기 걸림용 구멍(16)과 연이어 설치된다. 또한 이 절개 구멍(17a)의 측 테두리에 보습부(17b)가 일체로 접어 구부려 형성되어 있다.
제4도, 제6도 및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절개부(17a)의 하부에는 이 하부 단부 테두리 근방까지 가느다란 직사각형 형상 개구부(18)가 설치된다. 이 개구부(18)는 측면부(13a)에도 걸쳐서 잘라 넣어진다. 그리고, 전면부(13b)의 측면부(13a) 접어구부림측과는 반대측의 측변 상부에는 단부가 반원 형상으로 형성된 절개부(19)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절개부의 하부측 단부 테두리는 측쪽으로 돌출된 접어 구부린 손톱 모양(20)으로 되어 있다.
상기 개구부(18)의 상하 방향 거의 중간부에서 이 측부에 인접하여 둥근 구멍의 투공(透孔)(21)이 설치되며, 이 투공의 측부에 L자형의 보조 걸림용 구멍(22)이 설치된다. 이 보조 걸림용 구멍(22)의 상단부는 직사각형 건물 형상을 이루며, 굴곡 형성되는 하단 선단부는 원형 건물 형상을 이룬다.
상기 투공(21)의 아래쪽 부위, 동시에 보조 걸림용 구멍(22)의 측부에는 버링(burring) 가공에 의한 돌출부가 설치되며, 이 내부 둘레면에 나사 구멍이 가공된 나사 구멍부(23)가 설치된다.
또한, 전면부(13b)의 최하 단부 테두리 일부에는 반원 형상의 장치부(24a)가 돌출하여 설치되며, 이 중심 위치에도 나사 구멍부(24b)가 설치된다. 이와같은 전면부(13b)는 접어 구부린 손톱모양(20)의 하부에서 상기 개구부(18)측부에 걸친 부분을 상단 가장자리로 하고, 전면부(13b)측 테두리로부터 비스듬하게 아래쪽으로 경사져서 보조 걸림용 구멍(22) 상부 단부에 걸친 부분 및 보조 걸림용 구멍(22)측부와 개구부(18) 측부에 걸친 부분을 하부 단부 테두리로 하는 오목부(25)가 설치된다.
따라서, 개구부(18)의 측면 가장자리 일부와 보조 걸림용 구멍(22)의 일부는 오목부(25)에 걸쳐서 계단 형상으로 형성되며, 투공(21)은 완전히 오목부(25)내에 위치하게 된다.
제6도, 제7도 및 제10도에도 도시한 바와 같이 오목부(25)의 돌출부측에 위치하는 보조 걸림용 구멍(22)측쪽의 단부가장자리는 뒷면측에 접어 구부려 형성되어 있으며, 위치결정부(25a)로 되어 있다.
부품 상자체(13)의 윗면부(13c)는 상기 경사부(13d)가 전면부(13b)와 동일한 폭을 가지고 있는 것에 대해 경사부(13d) 폭의 거의 반정도의 폭 크기이다. 윗면부(13c)의 뒷면측 단부 테두리는 뒷면부(13e)와는 소정의 간격을 가지도록 결락된다.
윗면부(13c)는 경사부(13d)와 가까운 위치에 직사각형 형상의 걸림용 구멍(26)을 구비하며, 뒷면부(13e)와 가까운 위치에 L자형 걸림용 구멍(27)을 구비하고 있다. 이 걸림용 구멍(27) 근방의 측변에는 걸림 손톱모양(28)이 돌출 형성된다.
제7도 및 제1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뒷면부(13e)는 이 상단 가장자리가 윗면부(13c) 단부 가장자리와 소정 간격을 가지도록 결락된다. 이 접어 구부린 폭은 거의 상반분이 윗면부(13c)와 동일하며, 나머지 하반분은 이것보다 좁은 폭으로 형성된다.
이들 상반분의 측 테두리와, 하반분의 측 테두리의 각각에 걸림부(29, 30)가 일체로 돌출 가공되어 있다. 하면부(13f)는 그 접어 구부린 폭이 윗면부(13c) 및 뒷면부(13e) 상반분과 거의 동일하다. 제7도에만 도시한 바와 같이, 하면부(13f)의 접어 구부린 테두리를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직사각형 형상의 걸림용 구멍(31, 31)이 설치된다.
제7도 및 제1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면부(13f) 단부에는 소정 간격을 두고 그 한쪽이 직사각형 형상, 다른쪽이 원형 형상의 팽창부(32a, 32b)가 아래쪽으로 돌출 형성된다. 하면부(13f)의 전면측 단부 테두리는 전면부(13b)와는 소정 간격을 두고 있음과 동시에 그 단부 테두리는 아래쪽으로 접어 구부려진 돌출부(33)가 설치된다.
제8도 및 제9도에 확대하여 도시한 바와 같이, 돌출부(33)는 측면부(13a)에 인접하는 측은 돌출 크기가 작으며, 선단측은 돌출 크기가 크고, 동시에 선단은 반원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 중심부에는 장치용 구멍(34)이 설치된다.
또한,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윗면부(13c)와 뒷면부(13e) 및 하면부(13f)의 선단 가장자리를 걸림부(28, 29, 30) 및 팽창부(32a, 32b)가 설치된 부분을 제거하여 가능한한 되접어 꺾어 형성(둥글게 꺾는다고도 한다)되어 잘려진 상태로 되어 있지 않다. 즉, 이들 단부 테두리는 날카롭게 되어 있지 않아 위험하지 않다.
단, 하면부(13f)의 선단에 설치된 돌출부(33)의 단부 테두리는 돌출 폭이 작기 때문에 되접어 꺾는 가공이 불가능하여 잘려진 상태가 된다. 다음에, 제4도, 제6도, 제10도 및 제11도에 의거하여 상기 측면 덮개(14)를 설명한다.
이 측면 덮개(14)는 요철 형성되는 측면부(14a)와, 이 측면부와 일체로 접어 구부려 형성된 경사부(14b), 윗면부(14c), 뒷면부(14d) 및 하면부(14e)로 구성된다.
상기 측면부(14a)는 상기 부품 상자체(13)를 구성하는 측면부(13a)와 거의 동일 면적을 가지고 있다. 측면부(14a)의 전면 상부에 형성되는 경사부(14b)는 부품 상자체 경사부(13d) 보다도 완만한 경사 각도이며, 특히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면 덮개(14)를 부품 상자체(13)에 조립한 상태로 부품 상자체 경사부(13d)측 테두리와 어느 정도의 틈이 존재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각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면부(14a)는 이 하부 단부 테두리로부터 하면부(14e)에 걸쳐서 절개부(35)가 설치된다. 측면부(14a)는 좌우 폭이 절개부(35)로부터 뒷면부(14d)에 걸치며, 동시에 상하폭이 상하 방향 거의 중간부로부터 하면부(14e)에 걸친 구석 부분이 가장 돌출량이 낮은 저단부(36a)로 되어 있다.
이에 대해, 좌우 폭이 측면부(14a) 앞 단부 테두리 상부로부터 상기 경사부(14b)를 통하여 전후 방향의 거의 중간부에 걸치며, 동시에 상하 폭이 윗면부(14c)로부터 경사부(14b)를 통하여 소정 크기에 걸쳐 가장 돌출량이 큰 고팽창부(36b)가 형성된다.
제4도 및 제1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고팽창부(36b)의 앞 단부 테두리로부터 아래쪽은 경사 팽창부(36c)를 통하여 중간 팽창부(36d)에 연이어 설치된다. 이 중간 팽창부(36d)의 앞 단부 테두리는 고팽창부(36b)의 앞 단부 테두리와 평행하며, 동시에 내부 길이는 조금밖에 차이가 나지 않는다.
상기 경사 팽창부(36c)는 고팽창부(36b)와 저단부(36a)사이, 중간 팽창부(36d)와 저단부(36a)사이 및 고팽창부(36b)와 뒷면부(14d)사이에 일체로 개설된다. 따라서, 경사단부(36c)의 경사각도는 그 부위에 있어서 다르며, 동일하지는 않다.
윗면부(14c)는 그 앞 단부 테두리가 상기 경사부(14b) 단부 테두리와 연이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측면부(14a)앞 단부 테두리로부터 후퇴한 부위에 있다. 그리고, 측면부(14a)의 고팽창부(36b)의 형상에 합치시켜 이 앞측 거의 반 정도의 폭 크기가 크며, 여기서부터 뒷면부(14d)에 걸쳐서 차레로 폭크기가 작아진다.
뒷면부(14d)를 경사 팽창부(36c)와 저단부(36a)에 합치시켜 상부의 폭 크기가 가장 크고, 하부의 폭 크기가 가장 작고, 이들 사이에 각각 연이어 설치되도록 비스듬하게 형성된다. 제4도에만 도시한 바와 같이, 하면부(14e)는 뒷면부(14d) 하부의 폭 크기 보다 약간 큰 폭 크기로 접어 구부려진다. 그리고, 소정 간격을 두고 직사각형 형상과 둥근 구멍 형상의 걸림용 구멍(37a, 37b)이 설치된다.
또한, 이와같은 측면 덮개(14)의 윗면부(14c)와 뒷면부(14d) 및 하면부(14e)의 각각의 단부 테두리를 외부측으로 되접어, 접어 구부러진 접어 구부림부(14f)를 형성한다. 이와같이 하여 안전성을 확보하고 있다.
제6도 및 제11도는 부품 상자체(13)에 측면 덮개(14)를 조립하여 부품 상자체의 측면 개구부를 닫은 상태를 나타낸다. 즉, 제4도, 제10도에 도시한 측면 덮개(14)의 윗변부(14c)와 뒷면부(14d) 및 하면부(14e)가 부품상자체(13)의 각각 대향하는 면부(13c, 13e, 13f)의 외부면에 서로 겹쳐 끼워진다.
그리고, 부품 상자체(13)의 윗면부(13c)와 뒷면부(13e)에 돌출하여 형성된 걸림부(28, 29, 30)는 측면 덮개(14)의 윗면부(14c) 및 뒷면부(14d)의 접어구부림부(14f)에 걸리며, 각각의 손톱모양 선단과 각 접어 구부림부(14f)에 측면 덮개(14)를 끼워 지지시킨다.
또한, 측면 덮개 하면부(14e)에 설치된 걸림용 구멍(37a, 37b)에는 부품 상자체 하면부(13f)에 돌출 형성되는 팽창부(32a, 32b)를 걸어 맞춘다. 그리고, 부품 상자체 앞면부(13b)측 테두리에 설치된 걸림부(20)는 측면 덮개 측면부(14a)의 앞단부 가장자리 일부에서 외부면측에 걸린다.
측면 덮개 측면부(14a)에 있어서, 경사 팽창부(36c)의 앞단부가장자리는 부품 상자체 앞면부(13b)에 형성되는 오목 함부(25)의 측면 가장자리로부터 보조 걸림용 구멍(22)에 걸친 경사 단부(22a)에 걸어 맞춰진다.
상기 경사 팽창부(36c)로부터 하부측의 중간 팽창부(36d)의 앞 단부 테두리는 앞면부(13b)의 상기 보조 걸림용 구멍(22)의 한측 단부 가장자리를 따라서 걸어맞춰진다. 또한, 중간 팽창부(36d)의 앞단가장자리는 보조 걸림용 구멍(22)의 하부측에 형성되는 굴곡된 개구 부분을 횡단하고, 하부 단부가장자리는 앞면부(13b) 하부 단부가장자리와 거의 일치한다.
이와같이, 부품 상자체(10)의 측면에 형성된 개구부를 측면 덮개(14)가 닫고, 동시에 측면 덮개(14)측의 형상에 의해서 전체적으로 변형된 상자 형상을 이룬다. 그리고, 부품 상자체 경사부(13d)와 측면 덮개 경사부(14b)의 경사 각도 상위 및 측면 덮개 윗면부(14) 앞 단부가장자리의 크기 설정을 보면, 이들 상호간에 어느정도 틈이 형성된다.
그리고, 부품 상자체 앞면부(13b) 하단가장자리와 하면부 돌출부(33)사이의 틈은 측면 덮개(14)를 조립해도 닫히지 않는다. 그뿐 아니라 측면 덮개(14)의 측면부(14a) 하단과 하면부(14e) 전단가장자리로 형성되는 절개부(35)가 같은 위치에 대향하는 것에 의해서 보다 큰 틈이 형성된다.
다음에, 상기 전면 판자체(15)를, 제3도 내지 제5도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이 전면 판자체(15)는 상기 부품 상자체 앞면부(13b)에 장착된 베이스부(40)와, 이 베이스부(40)의 상단부에 일체로 설치되며, 베이스부의 측쪽으로 돌출하는 센서 지지부(41) 및 베이스부(40)의 전면부에 그 위쪽 변부가 회동 자유롭게 축지되는 커넥터 지지부(42)로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부(40)는 그 내부면측 한 측면 가장자리 상부에 걸림부(43)가 돌출하여 설치되며, 이 아래쪽 부위에 측면 가장자리를 따라서 돌출하는 걸림부(44)가 일체로 설치된다. 이 걸림부(44)를 따라서 직사각형 형상의 개구부(45)가 설치된다. 이 개구부(45)의 걸림부(44)는 반대측의 측변을 따라 내부면측에 걸림 돌출부(46)가 돌출하여 설치된다.
베이스부(40) 상단 좌측부인 센서 지지부(41)의 기단부는 비스듬하게 윗쪽으로 돌출하는 경사부(47)로 되어 있으며, 이 하부측에는 경사부(47)와 일체로 연이어 설치되며, 동시에 하단이 커넥터 지지부(42)에 대해 개구하는 코드 안내부(48)가 설치된다. 상기 커넥터 지지부(42)는 그 상단부가 코드 안내부(48)의 하단 개구에 대향하여 설치되어 있으며, 이 양측에는 커넥터 지지부(42)를 축지하는 좌우 한쌍의 축받이부(49)가 돌출하여 설치된다.
상기 개구부(45)의 하부측쪽에는 커넥터 지지부(42)의 하단부에 걸리는 걸림부(50)가 돌출하여 설치된다. 이 걸림부(50)의 측부에는 제4도에만 도시한 나사 구멍부(51)가 설치되며, 또한 이 측부에 상단이 반원 형상인 투공부(52)가 설치된다. 이들 하부측에 베이스부(40)의 전후면으로 돌출하고, 동시에 그 단면이 개구된 코드 안내용 개구부(53)와, 비스 삽입용의 개구부(54)가 좌우로 인접하여 설치된다.
또한,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커넥터 지지부(42)를 회동시켜 처음으로 노출하는 베이스부(40)의 부위 즉, 커넥터 지지부(42)와 서로 겹치는 부분에는 SL커넥터(66)의 온도 상승을 감지하는 온도 휴즈(H)를 착탈 자유롭게 부착하는 온도 휴즈 장치부(85) 및 전면측에 돌출하는 보스부(55)가 서로 인접하는 위치에 설치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온도 휴즈(H)를 베이스부(20)에 설치하고 있지만, 커넥터 지지부(42)의 뒷면에 장치하도록 한 구성이라도 좋고, 이와같은 구성은 커넥터 지지부(42)의 회동 후, 처음으로 되돌아갔을 때 온도 휴즈(H)와 SL 커넥터(66)가 어긋나는 일이 없다.
상기 온도 휴즈 장치부(85)는 작은 원통체인 온도 휴즈(H)를, 그 축방향을 따라 끼우고 떼내는 것이 자유로운 공간을 구비함과 동시에, 이 공간 상부에 온도 휴즈(H)를 탄성적으로 압축 고정하는 누름부(85a)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베이스부(40)의 센서 지지부(41)가 설치된 좌측 변부에 전면측에 돌출하는 조각부가(56)가 설치된다. 이 돌출 조각부(56)는 상기 커넥터 지지부(42)의 측면 가장자리와 걸어맞춤으로써 커넥터 지지부(42)의 좌우방향의 위치 어긋남을 규제하도록 되어 있다.
이외에 베이스부(40)에는, 제4도에 일부만 도시하지만 베이스부(40)의 판두께만큼 내면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57a)가 설치된다. 내부면측에는 제7도에만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방향으로 길고, 동시에 한쌍의 평행한 돌출부(57b)와 수평방향으로 긴 돌출부(57c) 및 한쪽 축받이부(49)의 내측에 평행하게 돌출부(57d)등이 설치된다.
상기 센서 지지부(41)는 상하 방향으로 작은 폭이며, 동시에 베이스부(40)측 가장자리로부터의 연장 길이는 크다. 그 선단부는 온도센서(도시하지 않음)를 장치한 장치부(58)로 되어 있고, 긴 방향을 따라서 접어 구부려 형성됨과 동시에 이 상하 단부에 걸쳐서 전면측에 거의 반원 형상으로 돌출 구부려 형성된 카바 기둥(59)이 설치된다.
상기 장치부(58)로부터 베이스부(40)측에 오목부, 누름부, 긴 방향을 따라서 평행한 한쌍의 리브 및 수평방향과 수직방향으로 이간된 한쌍의 핀, 누름부가 차례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커넥터 지지부(42)는 그 상단부 양측에 상기 축받이부(49)에 축지되는 지축(60)이 돌출하여 설치된다. 그리고, 양측부가 바로 앞으로 돌출하여 있고, 단면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커넥터 지지부(42)의 우측 변부와 평행하게 위치결정용 조각부(61)가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고, 이 중간부에 걸림부(62)가 설치된다. 이것과 대향하는 커넥터 지지부(42)의 좌측 변부에도 걸림부(63)가 설치된다. 좌측 조각부의 상단과 위치결정용 조각부(61)의 상단은 각각 내부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64)로 되어 있다.
또한, 커넥터 지지부(42)의 하단부에 제2도에 도시한 상기 전면판(11)에 장치 나사(12)가 끼워지는 나사구멍부(65)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같은 커넥터 지지부(42)에 SL 커넥터(66)가 장치된다. 즉, SL 커넥터(66)의 상단부는 좌우 내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64)에 걸어맞춰지며, 커넥터(66)의 양측부는 걸림부(62, 63)가 걸어맞춰져 있으며, 커넥터 지지부(42)를 회동해도 적은 위치 어긋남 없이 확실하게 장치된다.
또한, 상기 SL 커넥터(66) 상부로부터 연장되는 도시하지 않은 리드선은 베이스부(40)의 상부에 설치된 코드 안내부(48)내에 삽입되며, 또한 부품 상자체 전면부(13b)측 단부에 설치된 절개부(19)를 통하여 부품 상자체(13)내에 연장되도록 되어 있다.
예를들면, 배선작업 등, 필요에 따라서 SL 커넥터(66)에 도시하지 않은 배선 코드를 접속할 때에는 제4도 및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넥터 지지부(42)를 회동하여 하단부를 바로 앞측으로 꺼낸다.
상기 SL 커넥터(66)의 하단면으로 개구하는 접속용 구멍이 보기쉬운 상태로 되어 여기에 배선 코드를 접속한다. 즉, 접속용 구멍을 볼 필요가 없어 접속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이와같이 하여 구성된 전면 판자체(15)를 부품 상자체 전면부(13b)에 장치하는 데에는 전면 판자체(15)의 한 측면 가장자리 내부면측으로 돌출하여 설치된 걸림부(43) 및 걸림편(44)을 부품 상자체 전면부(13b)의 걸림용 구멍(16) 및 개구부(18)측 가장자리에 걸어맞춰진다.
이 상태에서, 제8도(제8도는, 측면 덮개(14)를 부품 상자체(13)로부터 벗기고 있다)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 판자체(15)의 측면가장자리 내부면측에 돌출하여 설치된 돌출부(57d)가 측면 덮개 측면부(14a) 전단가장자리에 걸어맞춰짐과 동시에, 하부 내부면측에 돌출하여 설치된 상하 방향으로 긴 한쌍의 돌출부(57b)가, 상기 개구부(18)에 끼워맞춰지는 동시에 그 내부측 돌출부가 측면 덮개 중간 팽창부(36d)의 전단가장자리에 걸어맞춰진다. 또한, 이 하부에 돌출하여 설치된 수평방향으로 긴 돌출부(57c)가 부품 상자체 전면부(13b) 하단가장자리 및 측면 덮개 절개부(35) 단부 가장자리에 걸어맞춰진다.
전면 판자체(15)의 하단부에 설치된 개구부(54)는 부품 상자체 하면부(13f)의 돌출부(33)에 밀착 상태로 되고, 동시에 서로의 장치용 구멍은 대향한다. 그리고, 또한 이 상태에서 부품 상자체 앞면부(13b)에 설치된 개구부(18) 하단의 원형 건물 형상 구멍 부분에 전면 판자체(15)의 내부면측에 돌출하여 설치된 나사구멍부(51)(도시하지 않음)가 삽입된다. 따라서, 부품 상자체 전면부(13b)로부터 내부면측에 돌출하는, 여기서는 도시하지 않은 나사 구멍부(51)에 직사각형 코드 고정부재(68)를 대향해 두고, 고정도구인 고정나사(69)를 삽입하여 나사구멍부(51)에 끼운다.
이 때, 코드 고정 부재(68)와 부품 상자체 앞면부(13b) 내면측과의 사이에 상용(AC) 전원에 접속된 전원 코드(70)를 개재시킨다. 그 뒤, 고정 나사(69)를 삽입하여 코드 고정부재(68)로 상기 전원 코드(70)를 압축 고정함과 동시에 전면 판자체(15)를 부품 판자체(13)에 확실히 장치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커넥터 지지부(42)를 회동하여 베이스부(40)면을 노출시킨다. 제4도에만 도시한 바와 같이, 어스선(a)에 접속하는 어스 단자(b)에 장치 나사(c)를 걸어맞추고, 베이스부(40)에 설치된 보스부(55)에 삽입한다. 이 보스부(55)는 부품 상자체 전면부(13b)에 설치된 나사구멍부(23)에 대향해 있고, 여기서 상기 장치 나사(c)를 삽입한다. 즉, 어스 단자(b)는 판금가공되는 부품 상자체(13)에 접속되며, 특히 어스 단자 접속용 금구를 구비할 필요가 없다.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부품 상자체(13)의 측면부(13a) 내면측에는 절연부재인 보드 누름(71)이 착탈 자유롭게 장치되며, 이 보드 누름(71)에 후술하는 전기 제어 부품을 장착하는 제어 기판(PC판)(P)이 착탈 자유롭게 장치된다.
상기 보드 누름(71)은 부품 상자체(13) 및 측면 덮개(14)가 판금가공되는 것에 대해 전면 판자체(15)와 같이 수지 몰드재로 구성된다. 그 면적 형상은 부품 상자체 측면부(13a)와 동일 형상을 이루며 둘레가장자리부를 따라서 일부를 제거하고 절곡 형성된다.
보드 누름(71)의 윗면부(71a)에는 소정 간격을 두고, 손톱부가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한쌍의 외부측 걸림 손톱부(72)가 설치되며, 이들 외부측 걸림 손톱부(72)의 내부측에는 손톱부가 내부쪽으로 돌출하는 내부측 걸림 손톱부(73)가 설치된다. 이 윗면부(71a)와 뒷면부(71b)를 이루는 구석부에는 삼각 형상 돌출부(74)가 돌출하여 설치된다. 하면부(71c)의 외부면측에는 제8도 및 제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쌍의 돌출부(75)가 소정 간격을 두고 돌출하여 설치된다. 제7도, 제8도 및 제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드 누름 하면부(71c)의 전면측 단부가장자리는 전면부(71d) 하단과 소정 간격을 두고 아래쪽으로 일체로 늘어져 설치되는 가이드부(76)가 형성된다. 이 가이드부(76)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그 면적을 부품 상자체 하면부(13f)에 늘어져 설치되는 돌출부(33)의 면적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제7도에만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면부(71d)는 절곡 폭 크기가 작은 조각부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 상부에는 측면부(71e)에 걸쳐 직사각형 형상의 절개부(77)가 설치된다. 그리고, 이 절개부(77)의 상부에만 전면부(71d)를 형성하는 조각부의 전면측에 평행하게 절곡폭이 큰 위치 결정용 조각부(78)가 설치된다. 경사부(71f)의 절곡폭은 전면부(71d)와 동일하다. 그리고, 이들 동일한 절곡폭의 받이부(79)가 윗면부(71a)의 내외 걸림 손톱부(72, 73) 상호간을 빼고 윗면부(71a)와 뒷면부(71b)의 측부 내부측을 따라서 연이어 설치된다.
하면부(71c)에는 측면부(71e)와 소정 간격을 두고 평행하고, 내부쪽으로 돌출하는 직사각형 형상의 누름부(80)가 설치되며, 이 양측부에는 측면부(71e)와의 사이에 한쌍의 돌출조(81)가 설치된다. 상기 누름부(80)와 돌출조(81)는 하면부(71c)와 떨어져서 2셋트 설치되어 있다. 이와같은 보드 누름(71)을 부품 상자체 측면부(13a)에 삽입한다. 즉, 윗면부(71a)의 외측 걸림 보습(72)이 부품 상자체 윗면부(13c)에 설치된 직사각형 형상과 L자형상의 걸림용 구멍(26, 27)에 걸어맞춰진다.
제10도 및 제1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윗면부(71a)와 뒷면부(71b) 구석부에 설치된 삼각형상 돌출부(74)는 부품 상자체(13)의 윗면부(13c)와 뒷면부(13e)를 이루는 절개 부분에 걸어맞추고, 여기서부터 돌출한다. 다시 제8도 및 제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면부(71c)의 돌출부(75)는 부품 상자체 하면부(13f)의 걸림용 구멍(31)에 걸어맞춘다. 이것들은 모두 착탈 자유롭게 걸어 맞춰지기 때문에 보드 누름(71)은 부품 상자체 측면부(13a)에 착탈 자유롭게 장치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보드 누름 하면부(71c)에 설치된 가이드부(76)는 부품 상자체 하면부(13f)에 늘어져 설치되는 돌출부(33)의 전면측에 밀착한다. 그리고, 가이드부(76)의 면적을 돌출부(33)의 면적 보다 크게 되도록 설정하고 있으며, 동시에 가이드부(76)가 돌출부(33)의 전면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작업자의 손가락이 직접 돌출부(33)에 접촉하거나 전원 코드(70)가 저촉하지 않아 안전성이 확보된다.
이와같은 보드 누름(71)에 제어 기판(PC판)(P)이 장치된다. 즉, 제어기판(P)을 경사진 상태에서 이 하단부를 보드 누름 하면부(71c)의 누름부(80) 내부측에 삽입하고, 하부 단부 가장자리를 돌출조(81)위에 놓는다. 그리고, 제어기판(P)의 상단부를 보드 누름 측면부(71e)에 맞춰지도록 회동시킨다. 제어기판(P)의 상단 가장자리는 내측 걸림 손톱부(73)의 선단에 접촉하여 이것을 탄성 변형시킴과 동시에 넘어간다.
제어기판(P)은 그 둘레 단부가 받이부(79)와 전면부(71d)에 놓여진다. 좌우 양측면은 측면부(71b)와 전면부(71d)의 위치 결정용 조각부(76)에서 위치결정되며, 상단부에는 내측 걸림 손톱부(73)가, 또 하단부는 누름부(80)가 각각 걸어맞춰진다.
이 때문에, 제어기판(P) 보드 누름(71)에 확실하게 장치된다. 그리고, 유지 등 필요에 따라 보드 누름(71)으로부터 용이하게 떼어내는 것이 가능하다.
제1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제어기판(P)에는 다수의 키가 큰 전기 제어 부품(파워릴레이, 전해콘덴서, 스위칭 트랜지스터, 라인필터 등 전체 높이 평균 30∼35mm)(Ka)와, 키가 작은 전기부품(마이크로컴퓨터, 콘덴서, 저항류, 커넥터 등 전체 높이 평균 15mm)(Kb)이 장착된다. 즉, 제어기판(P)은 거의 반에 해당하는 한쪽의 영역을 다른쪽의 영역 보다도 크게 확보하고 있다. 그 한쪽 영역에 상기 키가 큰 전기 제어 부품(Ka)이 집중적으로 장착되며, 동시에 다른쪽 영역에 키가 작은 전기부품(Kb)이 집중적으로 장착된다. 특히, 키가 작은 전기부품(Kb)중에, 실온센서와 열교환기 센서 등의 커넥터 받이부(Kb1)는 제어기판(P)의 측변부에 일렬로 배치된다. 이와같이 하여, 장착되는 전기제어부품(Ka, Kb)의 높이 제한을 한 제어기판(P)을, 보드 누름(71)을 통하여 부품 상자체 측면부(13a)에 수용하고, 이 측면 개구부를 측면 덮개(14)로 닫는다.
이 측면 덮개(14)는 상기 전기 제어 부품(KA, Kb)의 고저에 합치하는 요철 형상을 이루고 있다. 즉, 측면 덮개(14)는 키가 작은 전기 제어 부품(Kb)이 장착되는 영역에 면적이 작은 저단부(36a)가 대향하도록 구성되며, 키가 큰 전기 제어 부품(Ka)이 장착되는 영역에는 면적이 큰 고팽창부(36b) 및 경사팽창부(36c)가 대향하도록 구성된다.
이 때문에 측면 덮개(14)와 전기 제어 부품(Ka, Kb)꼭대기부의 사이에는 협소한 공간 밖에 없고, 따라서 전기 부품 상자(10)내부에는 여분의 공간이 전혀 존재하지 않는다.
제4도 및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기판(P)의 측변부에 일렬로 배치된 실온 센서와 열교환기 센서 등의 커넥터 받이부(Kb1)는 부품 상자체(13)의 전면부(13b)에 설치되는 개구부(18)에 대향한다. 그리고, 상기 개구부(18)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품 상자체 전면부(13b)에 전면 판자체(15)를 장치한 상태로, 베이스부(40)에 설치된 개구부(45)에 대향한다. 결국,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기 부품 상자(10)로부터 측면판(11)을 벗겨낸 상태에서 이 전면측에 실온센서와 열교환기 센서 등의 커넥터 받이부(Kb1)가 노출하게 되어 전기적 접속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제1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완전히 조립된 전기 부품 상자(10)를 유닛 본체(1)내의 소정위치인 송풍기(90)의 측쪽 부위에 배치한다. 이 상태에서, 송풍기(90)를 구성하는 팬모터(91)가 측면 덮개(14)의 저단부(36a)와 협소한 간격(s)을 두고 대향한다.
또한, 설명하면 팬모터(91)는 전면에서 보아 그 일부가 측면 덮개(14)의 경사 팽창부(36c)와 부품 상자체 전면부(13b)의 내부면측에 랩하는 위치에 있다. 팬모터(91)와 전기 부품 상자(10)가 접근 배치되어 서로 쓸데없는 공간이 없다. 이 때문에 전기 부품 상자(10)와 송풍기(90)를 수용하는 유닛 본체(1)의 폭을 극한적으로 작게하여 소형화로 만든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어기판을 부품 상자체의 측면부에 장치하고, 이 대향면을 개구부로서 측면 덮개에서 개폐 자유롭게 했기 때문에 제어기판의 면적을 충분히 확보하여 전기제어부품의 장착에 아무런 지장도 생기지 않게함과 동시에 이들 유지 작업 등 측면이 큰 개구면적을 통하여 실시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가진다.
전기 부품 상자와 측면 덮개를 판금가공에 의해 용이하게 제작한다. 그리고, 이 부품 상자체에 절연 부재를 통하여 제어 기판을 부착했기 때문에 제어 기판에 대한 절연성이 확보된다.
절연부재를 수지 몰드재로 형성하고, 여기에 걸림 손톱부를 설치하고, 제어기판을 착탈 자유롭게 걸리도록 했기 때문에 제어기판의 착탈이 용이하게 되어 보수가 용이하게 된다.
전기 제어 부품의 높이를 구비한 영역을 제어기판에 설정하고, 이것에 합치시켜 측면 덮개를 요철 형상으로 하고, 이 오목부에 송풍기를 대향하여 배치했기 때문에 유닛 본체의 폭 크기를 가능한 억제하여 대형화를 피한다.
부품 상자체를 판금가공한 경우, 어스 단자의 장착 범위는 확대하고, 유지작업시에 있어서 어스선의 착탈이 용이하게 된다.
배선용 커넥터를 지지하는 커넥터 지지부를, 부품 상자체의 전면 판자 본체에 부착했기 때문에 커넥터에 대한 작업이 유닛 본체의 전면측으로부터 실시할 수 있게되어 작업성이 좋다. 또한, 커넥터 지지부를 회동 자유롭게 축지했기 때문에 유닛 본체를 피공조실의 높은 곳에 배치한 상태에서 커넥터를 보기 쉬운 상태로 할 수 있어 작업성이 개선된다.
커넥터 지지부가 서로 겹치는 부분의 전면 판자체 부위를 이용하여 온도 휴즈를 장착하도록 했기 때문에 공간의 유효 이용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실온센서와 열교환기 센서 등의 커넥터 받이부가 전기 부품 상자 표면으로 노출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전기적 접속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보드 누름의 가이드부를 부품 상자체의 돌출부보다 돌출시켰기 때문에 전기배선의 판금의 절단 부분에 직접 닿지 않게 끝나고, 전기배선의 절연 피막이 벗겨지지 않아 판금가공에 의한 부품 상자체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한다. 고정도구로 전면 판자체를 부품 상자체에 장치 고정함과 동시에 전원 코드 고정용 코드 고정부재를 장치 고정하기 때문에 부품수의 삭감 및 장치 작업의 간단화를 얻을 수 있다.

Claims (10)

  1. 열교환기 및 이 열교환기에 대향하여 배치된 송풍기를 수용하는 유닛 본체; 상기 유닛 본체내의 상기 열교환기 및 송풍기의 측면 부위에 배치되는 전기 부품 상자를 구비한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전기 부품 상자는, 전기제어부품을 장착한 제어기판이 부착된 측면부를 구비하고, 상기 열교환기 및 송풍기의 측면에 측면 개구부를 가지는 부품 상자체와, 상기 측면 개구부를 개폐가 자유로운 측면 덮개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기판의 전기 제어부품의 장착영역을 반으로 구분하여 한쪽 영역을 다른쪽 영역보다도 넓게 하고, 그 한쪽 영역에는 길이가 큰 전기제어 부품을, 다른쪽 영역에는 길이가 작은 전기 제어부품을 각각 장착하고, 상기 측면 덮개에는 전기 제어부품의 크기에 따라서 형성한 요철형상을 설치하고, 상기 측면 덮개의 오목부에 대향하여 상기 송풍기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전기부품상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 상자체 및 상기 측면 덮개를 판금가공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제어기판은 상기 부품 상자체 측면부에 절연재로 이루어진 보드 누름을 통하여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전기부품상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드 누름은 수지 몰드재로 이루어지며, 이 단부가장자리부에 상기 제어기판을 착탈 자유롭게 거는 걸림 손톱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전기부품상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 상자체는 판금 가공에 의해 형성되며, 여기에 어스 단자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전기부품상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 상자체 및 상기 측면 덮개는 판금 가공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부품 상자체의 전면부에 수지 몰드재로 이루어진 전면 판자체가 부착되며, 상기 전면 판자체에 배선용 커넥터를 지지하는 커넥터 지지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전기부품상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지지부는 그 한 변부가 상기 전면 판자체에 회전 자유롭게 축지되며, 상기 전면 판자 본체의 일부에 서로 겹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전기부품상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지지부가 서로 겹치는 전면 판자체 부위에 온도 휴즈 장치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전기부품상자.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 상자체의 전면부에 개구부가 설치된 전면 본체가 부착되며, 상기 개구부에 상기 제어기판의 측변 일부를 직면하게 하며, 상기 제어기판의 측변부에 실온 센서와 열교환기 센서 등의 커넥터 받이부를 일렬로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전기부품상자.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 상자체는 그 전면부에 돌출부가 설치되며, 상기 보드 누름은 상기 돌출부의 합침 부분이 돌출부보다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위험 방지용 가이드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전기부품상자.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판자체는 상기 부품 상자체 전면부의 내면측으로부터 고정도구에 의해서 장치 고정되며, 상기 고정도구는 전원 코드를 고정하는 코드 고정 부재를 부품 상자체 전면부 내면측에 동시에 장치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전기부품상자.
KR1019960005611A 1995-08-22 1996-02-29 공기조화기의 전기부품상자 KR01846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5-213600 1995-08-22
JP21360095A JP3154923B2 (ja) 1995-08-22 1995-08-22 空気調和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1611A KR970011611A (ko) 1997-03-27
KR0184697B1 true KR0184697B1 (ko) 1999-05-01

Family

ID=16641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5611A KR0184697B1 (ko) 1995-08-22 1996-02-29 공기조화기의 전기부품상자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3154923B2 (ko)
KR (1) KR0184697B1 (ko)
CN (1) CN1097197C (ko)
TW (1) TW304581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2150B1 (ko) * 2000-08-30 2003-12-24 도시바 캐리어 가부시키 가이샤 공기조화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97262B2 (ja) * 2001-03-19 2011-10-19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空気調和機
JP4752004B2 (ja) * 2001-09-12 2011-08-17 三菱重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の電装品箱および空気調和機
JP4602800B2 (ja) * 2005-03-08 2010-12-22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4187031B2 (ja) 2006-09-29 2008-11-26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2009156559A (ja) * 2007-12-27 2009-07-16 Toshiba Carrier Corp 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5173403B2 (ja) * 2007-12-27 2013-04-03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4835597B2 (ja) * 2008-01-18 2011-12-14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空気調和機
JP5100602B2 (ja) * 2008-10-23 2012-12-19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および電装ユニット
JP5902487B2 (ja) * 2012-01-17 2016-04-13 シャープ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室内機
CN105352039B (zh) * 2015-11-27 2018-10-12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壁挂式空调室内机
CN210463496U (zh) * 2018-01-22 2020-05-05 三菱电机株式会社 空调机的室内机
CN110017548A (zh) * 2019-05-15 2019-07-16 四川长虹空调有限公司 空调室外机的电器元件安装结构及空调室外机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2150B1 (ko) * 2000-08-30 2003-12-24 도시바 캐리어 가부시키 가이샤 공기조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7197C (zh) 2002-12-25
CN1143734A (zh) 1997-02-26
TW304581U (en) 1997-05-01
JP3154923B2 (ja) 2001-04-09
JPH0960918A (ja) 1997-03-04
KR970011611A (ko) 1997-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84697B1 (ko) 공기조화기의 전기부품상자
CN212901853U (zh) 换气装置
JP4746867B2 (ja) 空気調和装置の室外機
JP4602800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2002005477A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
JP3493820B2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
JP3322745B2 (ja) 空気調和機の室外ユニット
JP2000074422A (ja) 空気調和機の制御装置
JPH1137501A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CN216409115U (zh) 机壳组件、空调室内机和空调器
CN213043087U (zh) 电连接结构以及应用该电连接结构的送风装置
JPH09112948A (ja) 空気調和装置の室内ユニットおよびその部品
JPH07260194A (ja) 空気調和装置のグリル着脱構造
KR20100052385A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및 실내기의 조립 방법
JP3842889B2 (ja) 空気調和機の壁掛式室内ユニット
KR100549147B1 (ko) 공기 조화기
JP3043219B2 (ja) 空気調和機
JP2007155225A (ja) 空気調和機の室外ユニット
KR200259590Y1 (ko) 공기조화기
JP3140897B2 (ja) 分離形空気調和機
WO2023071533A1 (zh) 机壳、机壳组件、空调室内机和空调器
JP3813405B2 (ja) 電装箱および天井埋込型空気調和装置
CN216346937U (zh) 空调室内机的电控装置
CN113348331B (zh) 空调机的室内机
CN111263870B (zh) 空气调节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24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