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9147B1 - 공기 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 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9147B1
KR100549147B1 KR1020030095936A KR20030095936A KR100549147B1 KR 100549147 B1 KR100549147 B1 KR 100549147B1 KR 1020030095936 A KR1020030095936 A KR 1020030095936A KR 20030095936 A KR20030095936 A KR 20030095936A KR 100549147 B1 KR100549147 B1 KR 1005491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ont panel
wind direction
support member
direction plat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59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57984A (ko
Inventor
아오이시고오이찌
유우끼다께시
니노미야고오조오
모떼기야스히로
사이또오마유미
오까모또요시미
사또오스스무
Original Assignee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산요 커머셜 서비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산요 커머셜 서비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579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79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91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91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5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or on a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59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heat exchangers
    • F24F1/006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heat exchangers by the mounting or arrangement of the heat 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4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system states
    • F24F2140/40Damper positions, e.g. open or clos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하 풍향판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구비하는 동시에, 지지 부재의 기부 주변의 변형을 방지하는 공기 조화기를 제공한다.
취출구를 갖고 열교환기 및 송풍기를 수납하는 본체 케이스와, 이 본체 케이스의 전방면에 부착되는 전방면 패널과, 회전축(48)을 갖고 이 회전축(48)이 전방면 패널(3)에 설치된 양측벽(45, 46)에 피봇 부착되는 상하 풍향판(47)을 구비한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전방면 패널(3)에 상하 풍향판(47)의 회전축의 중간부를 파지하는 지지 부재(50)를 설치하고, 본체 케이스에 전방면 패널(3)의 지지 부재(50)의 기부(51)를 지지하는 다이 시트를 설치하였다.
실내기 본체, 전방면 패널, 천정면 패널, 취출구, 프레임, 지지 부재

Description

공기 조화기 {Air Conditioner}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의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사시도.
도2는 도1의 실내기의 측단면도.
도3은 도1의 그릴을 제거한 상태를 도시하는 공기 조화기의 사시도.
도4는 그릴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5는 전방면 패널 및 천정면 패널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6은 그릴의 오목부 확대도.
도7은 뒷 쪽으로부터 본 전방면 패널의 사시도.
도8은 전방면 패널의 상하 풍향판 및 지지 부재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9는 상하 풍향판의 지지 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실내기 본체
3 : 전방면 패널
4 : 천정면 패널
5 : 프레임
6 : 그릴
7 : 열교환기
9 : 크로스 플로우 팬(송풍기)
10 : 실내기
20 : 프레임 구성 본체
30 : 취출구
32 : 오목부
34 : 좌측벽
35 : 우측벽
37a, 37b : 리브
38 : 다이 시트
44 : 풍향판 개구부(풍향판 부착용 개구부)
47 : 상하 풍향판
48 : 회전축
50 : 지지 부재
51 : 고정부(지지 부재의 기부)
52 : 돌기 부재
본 발명은, 실내기의 취출구에 설치된 상하 풍향판을 구비한 공기 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의 벽 등에 거치하여 사용되는 공기 조화기의 벽걸이형 실내기는 플라스틱 등을 재료로 하여 형성된 가로로 긴 본체 케이스를 갖고, 이 본체 케이스에는 전방면에 흡기용의 개구부를 갖는 동시에, 이들 개구부에 따라 배치되는 열교환기와 케이스의 대략 중앙부에 배치되는 송풍기를 수납하고, 이 본체 케이스의 전방면에는 흡입구를 갖는 전방면 패널이 장착되어 있다.
또한, 본체 케이스의 하단부에는 공기 조화된 공기를 실내로 불어내기 위한 가로로 긴 취출구가 형성되고, 이 취출구에는 상하 방향의 풍향을 설정하는 상하 풍향판이 설치되어 있다. 이 상하 풍향판은 플라스틱 등을 재료로 하여 형성되고, 취출구의 좌우에 걸쳐 설치되고, 또 취출구의 좌우 양측벽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런데, 전술한 상하 풍향판은 취출구의 좌우 양측벽에 축지되고, 또 가로로 길기 때문에 상하 풍향판의 중앙부가 자중으로 하방이 휘어져 버리는 문제가 있었다. 이 때문에, 상하 풍향판의 중간부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설치하고, 이에 의해 상하 풍향판의 휨을 방지하는 것이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평8-61762호 공보
그렇지만, 지지 부재의 설치 장소에 따라서는 상하 풍향판과 함께 지지 부재의 기부 주변도 하방으로 휘어져 버리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 문제점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이며, 상하 풍 향판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구비하는 동시에, 지지 부재의 기부 주변의 변형을 방지하는 공기 조화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취출구를 갖고 열교환기 및 송풍기를 수납하는 본체 케이스와, 이 본체 케이스의 전방면에 부착되는 전방면 패널과, 회전축을 갖고 이 회전축이 전방면 패널에 설치된 양측벽에 피봇 부착되는 상하 풍향판을 구비한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전방면 패널에 상하 풍향판의 회전축의 중간부를 파지하는 지지 부재를 설치하고, 본체 케이스에 전방면 패널의 지지 부재의 기부를 지지하는 다이 시트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 및 다이 시트를 복수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기초로 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의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사시도, 도2는 그 측단면도이다. 도1 및 도2에 있어서, 본 벽걸이형 실내기(10)는 실내기 본체(1)와 전방면 패널(3)과 천정면 패널(4)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실내기 본체(1)는 프레임(5)과 그릴(6)로 이루어지는 본체 케이스(1A)를 갖고, 이 본체 케이스(1A) 내에 열교환기(7), 크로스 플로우 팬(송풍기)(9), 드레인 팬(11), 좌우 풍향 변경 날개(13) 및 공기 청소기(19) 등을 구비하고 있다.
도3은 프레임 구성 본체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4는 그릴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5는 전방면 패널 및 천정면 패널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6은 그릴의 오목부 확대도이다. 이 실내기(10)는 도3 내지 도5에 도시하는 구성 본체를 그 순번으로 중첩시켜 구성되어 있다.
도3에 도시하는 프레임 구성 본체(20)는 프레임(5)에 대하여 상술한 열교환기(7), 송풍기, 드레인 팬(11) 및 좌우 풍향 변경 날개(13)가 지지되어 구성되어 있으며, 이 프레임 구성 본체(20) 상에 도4에 도시하는 그릴(6)이 중첩되어 실내기 본체(1)가 구성된다.
도4에 있어서, 상기 그릴(6)은 후방부의 프레임부(21)와, 좌우 양측판(22, 23)과 이들 양측판(22, 23) 사이를 전방면에서 연결하는 2개의 가로 판(24, 25)과 이들 2개의 가로 판(24, 25)에 교차하고 프레임부(21)의 상부로 연결되는 종방향 리브(26)로 이루어지며, 이들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면 및 전방면에 개구부(27, 28)가 형성되고, 그릴(6)의 하부에는 취출구(30)가 형성되어 있다. 또, 이들 가로 판(24, 25)이 종방향 리브(26)에 견고하게 연결되어 있으므로 가로 판(24, 25)의 중간부가 변형되어 하방으로 내려가는 일은 거의 없다.
상기 취출구(30)의 상부를 형성하는 가로 판(25)의 대략 중앙부에는 표시부(31)가 형성되고, 이 표시부(31)의 좌우측쪽에 오목부(32, 32)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오목부(32, 32)는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벽(33), 좌우측벽(34, 35) 및 배면벽(36)을 갖고, 좌우측벽(34, 35)의 하단부에는 내측으로 돌출하는 리브(37a, 37b)가 설치되고, 이들 리브(37a, 37b)가 후술하는 전방면 패널(3)의 돌기 부재(52)를 지지하는 다이 시트(38)로 되어 있다. 이들 다이 시트(38)는 취출구(30)를 거의 3등분 한 2개소의 위치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도7은 뒷 쪽으로부터 본 전방면 패널의 사시도이다. 전방면 패널(3)에는 상부 주위에 가로로 긴 장방형으로 흡입 격자가 형성되고, 이 흡입 격자의 뒷 쪽에는 에어 필터(43)가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이 전방면 패널(3)의 하단부에는 상기 그릴(6)의 취출구(30)와 거의 동일한 크기의 상하 풍향판(47)을 부착하는 풍향판 개구부(44)(실제로는 ㄷ자형의 절결)가 설치되고, 이 풍향판 개구부(44)의 양측부에 측벽(45, 46)이 형성되고, 이들 측벽(45, 46)에 베어링(45f, 46f)이 설치되어 있다. 풍향판 개구부(44)에는 취출 공기의 상하 방향의 방향을 설정하는 상하 풍향판(47)이 설치되고, 이 상하 풍향판(47)에 고정되어 풍향판 개구부(44)를 횡단하는 회전축(48)이 상기 베어링(45f, 46f)에 피봇 부착된다.
또한, 상기 전방면 패널(3)의 풍향판 개구부(44)의 상부 모서리에는 상하 풍향판(47)의 회전축(48)을 파지하는 지지 부재(50)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지지 부재(50)는 대략 「〈」자의 판형을 하고 있으며, 선단부에는 원형의 구멍이 형성되어 회전축(48)이 헐겁게 끼워지도록 되어 있다(도8, 도9 참조). 지지 부재(50)의 기부에는 도7 및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 좌우로 튀어나온 다이 형상의 고정부(51)가 형성되고, 이 고정부(51)의 양측면에는 각각 돌기 부재(52)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지지 부재(50)는 고정부(51, 51)가 본체(1)의 다이 시트(38)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전방면 패널(3)과 천정면 패널(4)은 일체로 연결되고, 그릴(17) 상에 중첩되어 부착된다. 도5에 있어서, 전방면 패널(3)과 천정면 패널(4)을 중첩시키는 경우, 전방면 패널(3)을 전방측으로부터 양 손으로 잡고, 천정면 패널(4)이 그릴(17)의 천정 면부(17C)(도4)에 얹히는 위치까지 운반하고, 거기까지 전방면 패널(3)을 그릴(17) 측으로 압입한다. 그러면, 전방면 패널(3)의 뒷 쪽에 형성된 한 쌍의 볼록부(3A)(도7)가 그릴(17)의 걸림부(17D)에 걸림 지지되고, 그 후, 전방면 패널(3)의 하부 모서리부를 그릴(17)의 하단부로 끼워 맞춤시킴으로써 전방면 패널(3)과 천정면 패널(4)이 그릴(17)에 고정된다.
상기 전방면 패널(3)과 천정면 패널(4)은 일체의 형태로 그릴(17)(본체 케이스(1A))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부착된다. 이 때, 전방면 패널(3)의 고정부(51)가 그릴 다이 시트(38)에 삽입되어 돌기 부재(52)가 리브(37a, 37b)에 지지되므로 전방면 패널(3)의 풍향판 개구부(44)의 상부 모서리가 그릴(6)의 가로 판(25)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지지 부재(50)의 선단부에서 상하 풍향판(47)의 회전축(48)을 파지하고, 지지 부재(50)의 기부가 그릴(6)의 가로 판(25)에 고정되므로 지지 부재(50)의 기부 주변의 변형을 없애고, 상하 풍향판(47)의 중간부의 휨을 없앨 수 있다.
이상, 일 실시예를 기초로 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형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하 풍향판(47)의 중간부가 휘어지지 않게 하는 지지 부재(50)를 2개 설치하고 있는데, 1개 또는 3개 이상 설치해도 좋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벽걸이형 실내기에서 설명하고 있지만, 바닥 거치형 이나 벽 매립형 등 다른 타입의 공기 조화기이어도 좋다.
본 발명의 공기 조화기는 공기의 취출구에 상하 풍향판을 구비하고, 이 상하 풍향판의 회전축의 중간부를 파지하고, 또 상부를 전방면 패널에 고정하는 지지 부재를 설치하고, 이들 지지 부재의 기부를 본체에 걸려 지지하고 있으므로 지지 부재를 지지하는 전방면 패널의 하단부가 하방으로 휘어지지 않는 동시에 상하 풍향판의 중간부의 휨을 없앨 수 있다.

Claims (2)

  1. 취출구를 갖고 열교환기 및 송풍기를 수납하는 본체 케이스와, 이 본체 케이스의 전방면에 부착되는 전방면 패널과, 회전축을 갖고 이 회전축이 전방면 패널에 설치된 양측벽에 피봇 부착되는 상하 풍향판을 구비한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전방면 패널에 상하 풍향판의 회전축의 중간부를 파지하는 지지 부재를 설치하고, 본체 케이스에 전방면 패널의 지지 부재의 기부를 지지하는 다이 시트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 및 다이 시트를 복수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KR1020030095936A 2002-12-25 2003-12-24 공기 조화기 KR1005491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374662 2002-12-25
JP2002374662 2002-12-25
JP2003367120A JP4236557B2 (ja) 2002-12-25 2003-10-28 空気調和機
JPJP-P-2003-00367120 2003-10-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7984A KR20040057984A (ko) 2004-07-02
KR100549147B1 true KR100549147B1 (ko) 2006-02-06

Family

ID=32911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5936A KR100549147B1 (ko) 2002-12-25 2003-12-24 공기 조화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236557B2 (ko)
KR (1) KR100549147B1 (ko)
CN (1) CN1226565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59134B2 (ja) * 2008-09-09 2013-12-04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6094749B2 (ja) * 2013-03-29 2017-03-1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WO2017033241A1 (ja) * 2015-08-21 2018-03-22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室内機
WO2021003830A1 (zh) * 2019-07-08 2021-01-14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室内机以及用于空调室内机的壳体组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236557B2 (ja) 2009-03-11
JP2004219050A (ja) 2004-08-05
KR20040057984A (ko) 2004-07-02
CN1226565C (zh) 2005-11-09
CN1510343A (zh) 2004-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90475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ユニット
EP3279584B1 (en) Air-conditioner indoor unit
MXPA06005765A (es) Unidad interior en aire acondicionado.
JP2009074778A (ja) 空気調和機の室内ユニットおよび前面パネル体の取付板の取り付け方法
KR100549147B1 (ko) 공기 조화기
KR0184697B1 (ko) 공기조화기의 전기부품상자
JP2013124807A (ja) 一体型空気調和機
KR100652800B1 (ko) 공기 청정기
KR100530550B1 (ko) 공기 조화기
JPH08226698A (ja) 空気調和機
JP4266157B2 (ja) 空気調和装置
KR20040066011A (ko) 벽걸이형 공기 조화기
JP2004084998A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2004190991A (ja) 空気調和機
JP2001227768A (ja) 空気調和機
JP2007003045A (ja) フィルタ装置、天吊り型空気調和機
KR100509018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용 집진기 장착구조
KR100549148B1 (ko) 벽걸이형 공기 조화기
JP2014052096A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5953814B2 (ja) 一体型空気調和機
JP7353487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7179173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及び室内機の付加装置
JPH0384337A (ja) 空気調和機
JP3277720B2 (ja) 空気調和機用室内機のドレンパン取付構造
CN108006833B (zh) 空调柜机和空调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