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9590Y1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9590Y1
KR200259590Y1 KR2019990011931U KR19990011931U KR200259590Y1 KR 200259590 Y1 KR200259590 Y1 KR 200259590Y1 KR 2019990011931 U KR2019990011931 U KR 2019990011931U KR 19990011931 U KR19990011931 U KR 19990011931U KR 200259590 Y1 KR200259590 Y1 KR 2002595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acitor
hole
control box
flange
air conditi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19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01484U (ko
Inventor
권영채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900119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9590Y1/ko
Publication of KR2001000148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148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95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9590Y1/ko

Li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콘트롤박스내의 전장품과 전기적인 접속을 이루도록 설치하기 위해 콘트롤박스의 소정위치에 설치되는 캐패시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캐패시터가 끼워져 결합되도록 콘트롤박스 벽면에 관통되어 형성되되, 캐패시터의 일단에 캐패시터의 몸통부분 외경보다 크게 마련된 플랜지가 걸릴 수 있도록 그 내경이 캐패시터의 몸통부분 외경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되는 관통홀과; 관통홀에 걸려서 지지된 캐패시터의 플랜지를 가압하여 캐패시터가 고정될 수 있도록 관통홀의 대향하는 양측에 소정의 탄성을 가지도록 마련되되, 캐패시터의 장착시 플랜지의 통과를 허용하고 장착완료시 플랜지가 걸려 지지되도록 관통홀로부터 소정길이 연장된 후 절곡된 복수의 탄성돌기를 포함하는 것으로, 조립의 편리함을 부여하고 조립시간을 최대한 단축시킴은 물론, 캐패시터의 조립를 위한 별도의 부속부품들이 없어도 되므로 생산성을 높임과 동시에 제조코스트를 다운시킬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AIR CONDITIONER}
본 고안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캐패시터의 조립이 용이하고 조립된 캐패시터에 전기(電氣)적 안전성을 부여하도록 한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의한 창문형 공기조화기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판넬(10)의 상부면에 대하여 전방에는 흡입된 실내 공기를 차가운 공기로 열교환시키도록 증발기(20)가 설치되고, 상기 증발기(20)의 일측(우측) 상단에는 증발기(20)를 통과하면서 차갑게 열교환된 실내 공기를 제품 전방으로 토출하도록 토출면적을 구획하는 블레이드프레임(30)이 설치되며, 상기 블레이드프레임(30)의 하측에는 제품의 동작을 제어하는 전자부품들을 수용하는 콘트롤박스(40)가 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증발기(20)와 블레이드프레임(30)은, 그들 상부면에 안착되는 실내측케이싱(50)에 의해 동시 결합되고, 상기 콘트롤박스(40)는 상기 증발기(20)의 측면과 블레이드프레임(30)의 하부면에 결합되며, 상기 블레이드프레임(30)내에는 블레이드프레임(30)의 면적을 통하여 토출되는 열교환된 공기의 흐름을 좌우방향으로 조절하도록 다수개의 수직블레이드(60)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판넬(10)의 상부에는 제품의 정면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커버하여 외관을 형성함과 동시에 제품의 내부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도록 양측면에다수의 유입구(71)를 가진 아우트판넬(70)이 설치되고, 상기 아우트판넬(70)의 정면에는 제품의 정면을 커버하여 외관을 형성함과 동시에 실내 공기가 흡입 및 토출되도록 프론트판넬(80)이 결합되어 있다.
이때, 상기 프론트판넬(80)에는 상기 증발기(20)의 면적과 대응되는 위치에 실내 공기가 흡입되도록 흡입그릴부(81)가 형성되고, 상기 프론트판넬(80)에 대하여 상기 블레이드프레임(30)의 면적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열교환된 공기가 제품의 외부로 토출되도록 토출그릴부(82)가 형성되며, 상기 토출그릴부(82)의 면적내에는 토출되는 실내 공기의 흐름을 상하방향으로 조절하도록 다수의 수평블레이드(90)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판넬(10)의 상부면에 대하여 중앙 일측에는 순환되는 냉매를 고온 고압으로 압축하여 상기 증발기(20)내에 차가운 냉매를 공급하도록 압축기(100)가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판넬(10)의 상부면에 대하여 후방에는 응축기(110)를 지지하는 실외측케이싱(120)이 설치되며, 상기 실외측케이싱(120)과 실내측케이싱(50)과의 사이에 대하여 상면에 중앙에는 서로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좌우 일정간격을 두고 각각 복수의 간격유지브라켓(130)이 결합되어 있다.
이때, 상기 실내측케이싱(50)의 하부에 대하여 후방에는 상기 증발기(20), 블레이드프레임(30) 및 콘트롤박스(40)의 후측을 커버하도록 파티션(140; PARTITION)이 설치되고, 상기 파티션(140)과 실외측케이싱(120)과의 사이에는 파티션(140)에 의해 구획된 실내측공간(P1)과 실외측공간(P2)으로 실내 및 실외 공기가강제 흡입되어 순환된 후 외부로 토출되도록 송풍수단(150)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송풍수단(150)은, 전원을 인가받아 구동되는 모터(151)와, 상기 모터(151)와 모터축(151a)을 매개로 실내측공간(P1)에 설치되어 모터(151)의 구동에 따라 회전되면서 실내 공기를 상기 프론트판넬(80)의 흡입그릴부(81)와 증발기(20)의 수순을 통해 실내측공간(P1)으로 강제 흡입시킴과 동시에 상기 블레이드프레임(30)을 통해 프론트판넬(80)의 토출그릴부(82)로 강제 토출시키는 실내팬(152)과, 상기 모터(151)의 다른 모터축(151b)을 매개로 실외측공간(P2)에 설치되어 모터(151)의 구동에 따라 회전되면서 실외 공기를 상기 아우트판넬(70)의 유입구(71)를 통해 실외측공간(P2)으로 강제 흡입시킴과 동시에 상기 응축기(110)를 거쳐 외부로 강제 토출시키는 실외팬(153)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파티션(140)의 일측면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실외측공간(P2)측 상기 콘트롤박스(40)의 부근에 복수의 나사(161)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브라켓(162)에 의해 캐패시터(160)가 소정높이로 설치되고, 상기 캐패시터(160)의 하부측 단자부는 복수의 전선(163)의 일측단과 전기(電氣)적으로 접속되며, 이들 복수의 전선(163)의 타측단은 상기 파티션(140)에 뚫린 관통홀(141)를 통하여 상기 콘트롤박스(40)내의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PCB(인쇄회로기판)와 전기(電氣)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캐패시터 조립구조는, 캐패시터(160)가 실외측공간(P2)측 파티션(140)의 일측면에 조립되어 있기 때문에 캐패시터(160)의 일측 단자부와 전기(電氣)적으로 접속된 복수의 전선(163)이 아우트판넬(70)의 유입구(71)를 통하여 실외측공간(P2)으로 유입되는 빗물드의 물기에 접촉되어 안전사고를 일으킨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캐패시터(160)가 파티션(140)의 소정높이에 복수의 나사(161)와 고정브라켓(162)에 의해 밀착 고정되는 구조로 되어 있고, 파티션(140)을 중심으로 실외측공간(P2)에 설치된 캐패시터(160)와 실내측공간(P1)에 설치된 콘트롤박스(40)내의 PCB(도시안됨)를 복수의 전선(163)에 의해 전기(電氣)적으로 접속하도록 파티션(140)에 관통홀(141)을 뚫어준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조립작업이 복잡하고 조립시간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캐패시터(160)를 조립하기 위한 부속부품들의 증가로 인하여 생산성이 저하되고 제조코스트가 상승한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캐패시터 조립의 편리함을 부여하고 조립시간을 최대한 단축시킴은 물론, 캐패시터의 조립을 위한 별도의 부속부품들이 없이도 캐패시터의 장착이 가능하도록 하여 생산성을 높이고 제조코스트를 줄일 수 있도록 한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에 의한 공기조화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에 의한 공기조화기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3은 종래에 의한 캐패시터가 파티션에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캐패시터가 콘트롤박스에 조립되기전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캐패시터가 콘트롤박스에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캐패시터가 콘트롤박스에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40 : 콘트롤박스 41 : 측면벽
42 : 관통홀 43 : 탄성돌기
43a : 수평면 43b : 경사면
160 : 캐패시터 160a : 몸통
160b : 플랜지 163 : 전선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콘트롤박스내의 전장품과 전기적인 접속을 이루도록 설치하기 위해 상기 콘트롤박스의 소정위치에 설치되는 캐패시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캐패시터가 끼워져 결합되도록 상기 콘트롤박스 벽면에 관통되어 형성되되, 상기 캐패시터의 일단에 상기 캐패시터의 몸통부분 외경보다 크게 마련된 플랜지가 걸릴 수 있도록 그 내경이 상기 캐패시터의 몸통부분 외경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되는 관통홀과; 상기 관통홀에 걸려서 지지된 상기 캐패시터의 플랜지를 가압하여 상기 캐패시터가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관통홀의 대향하는 양측에 소정의 탄성을 가지도록 마련되되, 상기 캐패시터의 장착시 상기 플랜지의 통과를 허용하고 장착완료시 상기 플랜지가 걸려 지지되도록 상기 관통홀로부터 소정길이 연장된 후 절곡된 복수의 탄성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본 고안은 종래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명칭 및 동일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고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캐패시터 조립구조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캐패시터(160)의 단자부측이 콘트롤박스(40)의 측벽을 관통해서 콘트롤박스(40)내에 수용되도록 끼워짐과 동시에 서로의 걸림력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있다.
즉, 상기 콘트롤박스(40)에는, 그 한쪽 측면벽(41)에 상기 캐패시터(160)의 몸통(160a)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몸통(160a)만이 삽입되게 안내하는 관통홀(42)과, 상기 관통홀(42)의 가장자리에 대하여 서로 대향되는 2곳에 상기 캐패시터(160)의 단자부측 외주에 돌설된 플랜지(160b)와 접촉될때 일방향으로 제쳐져 통과되게 안내하며 또한 플랜지(160b)가 통과된 후 탄성력에 의해 복귀되면서 플랜지(160b)의 내주면과 걸려서 서로 대응되게 각각 결합되는 복수의 탄성돌기(43)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관통홀(42)의 내경은, 상기 몸통(160a)의 외경과 최소 허용치수로 끼워맞춤되는 크기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복수의 탄성돌기(43)는, 상기 콘트롤박스(40)의 측면벽(41)에 대하여상기 관통홀(42)의 가장자리 상하부 중심에서 외측으로 일정거리 절취(截取)된 끝단으로부터 수평으로 각각 절곡되어 콘트롤박스(40)의 내측으로 위치되는 한쌍의 수평면(43a)과, 상기 수평면(43a)의 끝단으로부터 상기 관통홀(42)측을 향해 소정각도로 경사지게 각각 절곡되는 한쌍의 경사면(43b)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한쌍의 경사면(43b)의 끝단과 측면벽(41)과의 좌우측 사이에 대한 간격은, 상기 플랜지(160b)의 한쪽 측면이 경사면(43b)의 끝단에 걸림과 동시에 플랜지(160b)의 다른쪽 측면이 관통홀(42)의 가장자리에 걸려 좌우 유동됨이 없이 지지되도록 플랜지(160b)의 폭보다 작게 이루어져 있다.
또, 상기 한쌍의 경사면(43b)의 상하측 사이에 대한 간격은, 외력이 가해질때 확대되었다가 외력이 해제될때 탄성돌기(43)의 자체 탄성력에 의해 원래상태로 축소되며, 이 축소된 간격은 예를 들어 상기 플랜지(160b)의 내경보다 작게 이루어져 있다.
다음은,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콘트롤박스(40)와 캐패시터(160)의 조립을 위해서는, 콘트롤박스(40)의 내부로 캐패시터(160)를 삽입시킴과 동시에 캐패시터(160)의 단자부측 반대편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콘트롤박스(40)의 측면벽(41)에 형성된 관통홀(42)로 향하도록 한 다음, 캐패시터(160)의 몸통(160a)측을 상기 관통홀(42)에 끼워서 끝까지 밀어준다.
이때, 캐패시터(160)는 그 몸통(160a)의 외경이 상기 관통홀(42)의 내경과 최소 허용치수로 끼워맞춤되면서 슬라이딩되기 때문에 콘트롤박스(40)의측면벽(41)과 직각으로 이루도록 최대한 수평방향으로 위치된다.
그리고, 캐패시터(160)의 단자부측에 형성된 플랜지(160b)는 관통홀(42)의 내측 가장자리에 대하여 상하 위치에 서로 대향되게 절곡된 복수의 탄성돌기(43)의 경사면(43b)에 부딪침과 동시에 캐패시터(160)가 끼워지는 방향으로 상기 경사면(43b)을 밀치면서 통과하게 된다.
이때, 복수의 탄성돌기(43)의 상하측 사이 간격은 플랜지(160b)의 외경이 통과될 수 있는 크기로 확대되었다가 플랜지(160b)가 통과된 후에는 탄성돌기(43)의 탄성력에 의해 원래상태로 축소되고, 이 간격의 축소로 말미암아 한쌍의 경사면(43b)의 끝단은 플랜지(160b)의 내주면에 압착됨과 동시에 서로 대응되게 걸리게 된다.
이에 따라, 플랜지(160b)의 폭은 상기 경사면(43b)의 끝단과 측면벽(41)과의 사이에 형성된 소정의 간격내에 강압적으로 끼워맞춤됨으로써 캐패시터(160)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로 유동되지 않도록 조립이 완료된다.
따라서, 캐패시터(160)의 몸통(160a)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부분 콘트롤박스(40)의 측면벽(41)을 통해 외부로 돌출된 상태가 되고, 캐패시터(160)의 플랜지(160b)는 콘트롤박스(40)의 내부에 수용되는 상태에 있기 때문에 플랜지(160b)의 정면에 위치한 단자부측이 빗물등의 물기로부터 보호되어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 캐패시터(160)는 별도의 부속부품을 사용하지 않고 콘트롤박스(40)의 측면벽(41)에 형성된 관통홀(42)에 끼워지면서 그 관통홀(42)의 주변에 절곡된 복수의 탄성돌기(43)에 의해 걸려 조립되므로, 생산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제조코스트를 낮출 수 있다.
또, 캐패시터(160)와 콘트롤박스(40)와의 조립시 한번 강하게 밀어주는 힘에 의해 록킹되면서 조립이 이루어지므로, 조립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조립시간을 현저히 단축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캐패시터를 콘트롤박스의 관통홀에 끼우기만 하면 캐패시터의 플랜지가 탄성돌기에 의해 걸려서 지지되므로, 캐패시터의 고정을 위한 별도의 부속부품이 없이도 캐패시터를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어 제조코스트가 줄어들고 생산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또한 캐패시터의 단자부가 콘트롤 박스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결합되기 때문에 캐패시터의 단자부에 빗물등의 물기가 접촉될 우려가 적어 전기적으로 안정성을 갖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콘트롤박스내의 전장품과 전기적인 접속을 이루도록 설치하기 위해 상기 콘트롤박스의 소정위치에 설치되는 캐패시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캐패시터가 끼워져 결합되도록 상기 콘트롤박스 벽면에 관통되어 형성되되, 상기 캐패시터의 일단에 상기 캐패시터의 몸통부분 외경보다 크게 마련된 플랜지가 걸릴 수 있도록 그 내경이 상기 캐패시터의 몸통부분 외경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되는 관통홀과;
    상기 관통홀에 걸려서 지지된 상기 캐패시터의 플랜지를 가압하여 상기 캐패시터가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관통홀의 대향하는 양측에 소정의 탄성을 가지도록 마련되되, 상기 캐패시터의 장착시 상기 플랜지의 통과를 허용하고 장착완료시 상기 플랜지가 걸려 지지되도록 상기 관통홀로부터 소정길이 연장된 후 절곡되는 복수의 탄성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탄성돌기는 상기 콘트롤박스의 벽면과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관통홀로부터 상기 콘트롤박스의 내부를 향하여 수평을 이루도록 절곡되어 연장되는 수평면과, 상기 수평면의 단부로부터 상기 관통홀을 향해 절곡되어 연장되며 소정의 경사를 유지하는 경사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캐패시터가 장착될 때 상기 캐패시터의 유동이 방지되도록 상기 경사면의 단부와 측면벽 사이의 간격은 상기 플랜지의 폭보다 작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탄성돌기의 각 경사면 사이의 거리는 외력이 가해지지 않을 때 상기 플랜지의 외경보다 작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KR2019990011931U 1999-06-29 1999-06-29 공기조화기 KR2002595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1931U KR200259590Y1 (ko) 1999-06-29 1999-06-29 공기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1931U KR200259590Y1 (ko) 1999-06-29 1999-06-29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1484U KR20010001484U (ko) 2001-01-15
KR200259590Y1 true KR200259590Y1 (ko) 2002-01-09

Family

ID=54764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1931U KR200259590Y1 (ko) 1999-06-29 1999-06-29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959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3212B1 (ko) * 2002-11-22 2008-03-1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캐패시터 커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7875B1 (ko) * 2017-07-03 2022-1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일체형 공기조화기
KR200497785Y1 (ko) * 2022-08-24 2024-02-29 서원콤프레샤주식회사 공기압축기용 모터의 콘덴서 보호 커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3212B1 (ko) * 2002-11-22 2008-03-1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캐패시터 커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1484U (ko) 2001-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75123A (en) Air conditioner air turning vane
US5193355A (en) Integrated type air conditioner
US6189328B1 (en) Separate type air conditioner and assembly method thereof
KR0184697B1 (ko) 공기조화기의 전기부품상자
KR200259590Y1 (ko) 공기조화기
JP4602800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US6604375B2 (en) One-unit type air conditioner
KR200362436Y1 (ko) 공기조화기의콘트롤부조립장치
JP3515206B2 (ja) 冷凍機の電装箱
KR200162653Y1 (ko) 공기조화기의 전선연결장치 조립구조
KR100845183B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파워코드 고정구조
KR100244314B1 (ko) 에어컨용 실내기의 수직 블레이드 구동 구조
KR200146184Y1 (ko) 공기조화기의 콘트롤박스 조립장치
KR20000023149A (ko) 공기조화기
KR200326689Y1 (ko) 창문형 에어콘
KR200312147Y1 (ko) 룸 에어컨의 구조
KR200204607Y1 (ko) 공조기기
KR200146096Y1 (ko) 공기조화기용 실내기의 제어장치
KR200146095Y1 (ko) 공기조화기용 실내기 증발수받이의 전선고정장치
KR200261020Y1 (ko) 창문형 에어컨의 모터 지지구조
KR100517615B1 (ko)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송풍장치
KR200272829Y1 (ko) 실외열교환기 고정수단을 갖춘 공기조화기
KR0128732Y1 (ko) 창문형 에어콘의 콘트롤박스 취부구조
KR0120748Y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200312144Y1 (ko) 에어컨 실외기의 전장부품 취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12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