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4080B1 - 압출기 - Google Patents

압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4080B1
KR0184080B1 KR1019950017259A KR19950017259A KR0184080B1 KR 0184080 B1 KR0184080 B1 KR 0184080B1 KR 1019950017259 A KR1019950017259 A KR 1019950017259A KR 19950017259 A KR19950017259 A KR 19950017259A KR 0184080 B1 KR0184080 B1 KR 01840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ember
extruder
drive
cutting
di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172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0452A (ko
Inventor
리호츠키 화우펠 볼프람
차넨츠키 로베르트
Original Assignee
울프람 리호츠키-바우펠
에밀 리호츠키 마시넨화브리크 휘르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DE4422248A external-priority patent/DE4422248C1/de
Application filed by 울프람 리호츠키-바우펠, 에밀 리호츠키 마시넨화브리크 휘르마 filed Critical 울프람 리호츠키-바우펠
Publication of KR9600004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04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40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40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02Dies; Inserts therefor; Mounting thereof; Moulds
    • B30B15/028Loading or unloading of dies, platens or press r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Processes or devices for granulating materials, e.g. fertilisers in general; Rendering particulate materials free flowing in general, e.g. making them hydrophobic
    • B01J2/20Processes or devices for granulating materials, e.g. fertilisers in general; Rendering particulate materials free flowing in general, e.g. making them hydrophobic by expressing the material, e.g. through sieves and fragmenting the extruded l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9/00Making granules
    • B29B9/02Making granules by dividing preformed material
    • B29B9/06Making granules by dividing preformed material in the form of filamentary material, e.g. combined with extru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256Exchangeable extruder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1/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forming shaped articles from material in particulate or plastic state, e.g. briquetting presses, tabletting presses
    • B30B11/22Extrusion presses; D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1/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forming shaped articles from material in particulate or plastic state, e.g. briquetting presses, tabletting presses
    • B30B11/22Extrusion presses; Dies therefor
    • B30B11/227Means for dividing the extruded material into briqu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 Devices For Post-Treatments, Processing, Supply, Discharge, And Other Processes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 For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압출기는 프레임, 압출프레스, 소재인입구, 소재배출구, 상기 압출프레스를 위한 구동부, 상기 소재배출구 근방에 위치된 다이와 상기 다이에 결합된 절삭공구를 구비한다. 최소한 두 개의 교체가능한 다이 그리고/또는 절삭공구를 위한 지지부재를 구비하는 교체기구가 마련된다. 상기 지지부재는 소재배출구 부근에 압출프레스에 대해 이동가능한 방식으로 배치되며, 원호형상으로 선회가능하게 장착된다. 그 지지부재의 피벗 핀은 소재배출구 평면에 대하여 변위되고, 상기 소재배출방향에 대체로 직각으로 위치된다.

Description

압출기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압출기의 평면도.
제2도는 고정다이와 가변절삭공구를 구비한 압출프레스의 대략적인 측면도.
제3도는 고정절삭공구와 가변다이를 구비한 압출기의 대략적인 부분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103, 203 : 압출기 51 : 프레임
52, 102, 202 : 압출프레스 53 : 교체기구
60, 120, 220 : 원통케이스 70, 71, 130, 230 : 다이
72, 73, 132, 232 : 절삭공구 74, 134, 234 : 지지부재
76 : 피벗핀 135, 235 : 교체케이스
본 발명은 프레임, 압출프레스, 소재가 일 방향으로 흐르는 소재인 입구와 소재 배출구, 압출프레스를 위한 구동부, 소재 배출구 근처에 배치된 다이(die), 다이에 연결된 절삭공구, 최소한 두 개의 상호교체 가능한 다이 그리고/또는 절삭공구를 지지하며 소재 배출구의 근처에서 압출프레스에 대해 위치변동이 가능한 지지부재를 구비한 교체기구로 구성되는 압출기에 관한 것이다.
압출프레스를 작동시킬 때 일정시간 간격으로 다이 그리고/또는 절삭공구를 교체하는 것이 필요하다. 고정방식으로 부착된 다이와 절삭공구를 구비한 압출기의 경우에는 첫째로 압출프레스를 정지시키는 것이 필요하게되어 생산공정이 중단된다. 상기 다이 또는 절삭공구의 교체후에 생산공정은 재가동되어야 한다. 그러나, 상기 공정을 가동시킬때에는 그 생산공정이 소정의 품질이 얻어지는 방식으로 다시 구성되어질때까지 소정의 생산손실이 야기된다.
세척제를 압출하기 위하여 예를들어 초기에 건조물질들이 일정량으로 분배되고 여러 플로어들을 거쳐 믹서로 전달되며, 그 믹서에서 다른 액체들이 그 분말물질에 혼합되어지는 생산공정들이 있다. 그리고 그 혼합물은 압출기에 공급된다. 만약, 압출기상에 다이 또는 절삭공구의 교체결과로서 상기 생산공정이 중단되어야 한다면, 건조생산물은 믹서에 남아 있는다. 그 생산설비를 재가동하자마자 그 건조생산물은 압출기스크루(screw)의 방해물이 되므로 먼저 압출기의 전단으로 배출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먼저 그 혼합공정은 믹서가 소정의 압출가능한 초기생산물을 공급할 수 있는 정도까지 가동되어야 한다. 믹서에 의해 전달되는 혼합물은 충분히 성형될 수 있을때까지, 몇 백 Kg의 소재가 입출기의 전단으로 배출된다. 지금까지 믹서에 의해 전달되는 혼합물의 검사는 수동방식으로 이루어져서 시간과 노동력이 소비된다. 압출기의 재가동에 선행되는 상기 작업이 세심하게 수행되지 않는다면 모든 생산운반부에서 압출기를 청소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종래 압출기에서의 다이 또는 절삭공구의 교체는 결과적으로 그 교체작업 동안에의 생산손실 뿐만 아니라 압출기를 재가동하는데에도 심각한 생산손실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압출기에서 이러한 생산손실은 압출프레스의 소재배출구에서 교체기구에 의해 다이와 절삭공구가 자동으로 교체됨으로써 해소된다. 그 교체과정은 압출프레스의 동작에 대한 중단이 더 이상 필요하지 않은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종래의 압출기에서 구동부를 갖춘 교체기구와 상호교체 가능한 공구들은 압출프레스의 소재배출구에 위치되어진다. 이러한 배치는 소재배출구 근방에 충분한 공간이 있을 경우에만 특히 유용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소재배출구에 제한된 공간만이 이용가능한 경우에도 교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형태의 압출기를 더욱 개발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라서 상기의 목적은 프레임, 압출프레스, 소재가 일방향으로 흐르는 소재인입구와 소재배출구, 압출프레스와 소재배출구 근방에 위치된 다이와, 다이에 연결된 절삭공구를 위한 구동부, 변환가구, 최소한 두 개의 교체 가능한 다이 그리고/또는 절삭공구를 지지하며 상기 소재배출구 근방에서 상기 압출프레스에 대하여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지지부재를 구비한 교체기구로 구성되며, 상기 지지부재는 원호형태로 구성되고 선회가능하게 장착되며, 그 지지부재의 피벗 핀(pin)은 상기 소재배출구의 평면에 대하여 옮겨지고 대체로 상기 소재배출구에서 상기 소재 흐름의 방향에 수직으로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기에 의해 성취된다.
곡면판 형태의 상기 지지부재는 미리 정해진, 바람직하게는 일정반경의 곡면을 가진다. 상기 원호형태의 지지부재 구조의 결과로서 그 지지부재의 장착과 구동은 그 소재배출구의 근처로부터 이동되어질 수 있다. 비작동상태에서 상기 지지부재의 다이와 절삭공구들에 대한 정비작업은 압출기의 측면구역에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압출기의 개발에 따라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압출프레스 위에 장착된다. 압출프레스의 프레임 위에 장착된 결과로 특히 콤팩트한 기계배치가 얻어지게 된다.
특히, 지지부재가 수직원 또는 수평원 방식으로 선회가능하도록 피벗핀이 수평 또는 수직방식으로 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부재는 또한 폐원호로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체 압출프레스 주위를 이동가능하다.
이러한 배치의 결과로 압출프레스 상부 또는 측면의 공간을 특히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지지부재는 압출프레스의 중심구역에 프레임에 의해 장착된다. 상기와 같은 장착으로 상대적으로 큰 지지부재의 선회반경이 얻어진다. 그러므로 그 지지부재의 움직임은 소재배출구에서 그 배출구의 평면에 대체로 평행하게 직접적으로 이루어져서 보다 신속한 교체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소재배출축을 다이와 결합시키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에의해 특정한 개개의 소재배출축은 각 다이와 결합한다. 그러므로 여러 다이의 교체시에 소재배출축에서 두 개의 다르게 형성된 생산물의 바람직하지 않은 혼합이 확실히 일어나지 않게 된다. 특히, 소재 배출축이 각 다이에 결합된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개발에 따르면, 상기 소재배출축은 소재배출구에 대해 직각으로 하방을 향하도록 설치되고 절삭구동부 그리고/또는 절삭공구를 구비한다. 이는 절삭기구와 다이가 분리되도록 하여서 단순화를 유도하는데, 특히 정비작업의 경우에 더욱 단순화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소재배출축은 지지부재에 선회가능하게 위치된다. 소재배출축은 지지부재위에서 마디가 있는 연결수단에 의해 다이에 대하여 고정된다.
측면의 정지위치에서 소재배출축은 그 마디가 있는 연결수단을 따라 다이로부터 떨어져서 선회될 수 있어 소재배출축, 다이와 절삭공구는 보다 쉽게 정비목적을 위해서 접근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소재배출축은 지지부재에 끼워질 수 있다. 그러므로 소재배출축은 쉽게 제거되거나 교체될 수 있어 특히 정비작업 또는 생산품 교체동안에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개발에 따르면, 지지부재의 구동부는 기어부 또는 복동식(double-acting) 실린더부를 가지는 모터에 의해 구성된다. 그 모터는 특히 전기모터에 의해 구성되며 톱니기어 또는 케이블윈치(cable winch)에 의해 지지부재에 작동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복동식 실린더는 특히 지지부재에 직접 연결되는 공압 또는 유압실린더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지지부재는 구동부에 연결된 체인을 갖는다. 그 체인은 모터와 압력실린더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지지부재는 다이 그리고/또는 절삭공구들에 고정된 체인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지지부재는 구동부에 연결된 케이블을 갖는다. 특히 강철케이블의 경우에 가이드 풀리상에 단지 미소한 마찰이 있기 때문에 그 지지부를 선회전시키는데 상대적으로 미소한 변위력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다른 개발은 구동부에 연결된 슬라이더 스윙(slider swing) 기구를 구비한 지지부재로 이루어져서 지지부재의 효율적인 조정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그 교체기구는 생산공정중에 빠르고 쉽게 다이 그리고/또는 절삭공구를 교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왜냐하면 두 개의 공구사이의 교체가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즉, 그 새로운 공구는 압출프레스의 개구부 전단에서 이동되는 반면 그 사용된 공구는 압출프레스의 개구부로부터 이동되고 계속해서 교체기구로부터 제거되어서 분해검사되거나 소제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으로 인하여 다이 또는 절삭공구를 교체하기 위해 더이상 생산공정을 정지시킬 필요가 없으며, 그에 따른 생산손실도 발생하지 않는다. 압출기와 그 전단에 위치한 장치들은 연속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교체기구의 지지부재는 단지 절삭공구들만을 구비하거나 또는 단지 다이들만을 구비할 수 있으며, 각 경우에 있어서 다이 또는 절삭공구는 압출프레스에 대하여 종래의 고정된 방식으로 배치된다.
그러나, 특히 바람직한 변형에 있어서, 다이와 절삭공구들은 지지부재에 의해 수용되어 교체기구는 다이와 절삭공구들 모두를 교체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각 다이의 교체작업중에 작업자는 절삭공구를 동시에 감시(monitor)하고 검사(check)할 수 있고, 필요하다면 그것이 교체되어야 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또한 한편에는 다이들을 위한 지지부재를, 다른 한편에는 절삭공구들을 위한 지지부재를 마련하고, 그 두 지지부재를 서로 독립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만일 절삭공구가 압출프레스에 면해있는 다이측에 위치되고 로타리 방식으로 장착되며, 절삭구동부의 작용을 받는 나이프(knife) 장치에 의해 형성된다면 또한 유리한 점이 있다. 그런 회전나이프시스템에서는 나이프들이 다이와 직접 접해있거나 그들의 회전중에 다이위로 압착된다. 나이프시스템의 속도는 분당 수천 회전을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구동부와 절삭공구 사이에 기어가 설치되며 그 기어는 무단으로 변동될 수 있으며 그 구동부 또한 무단으로 변동될 수 있다. 절삭구동부와 절삭공구 사이의 구동라인(line)에서 최소한 한 개의 시프트(shift) 기어가 있다면 특히 소형의 구조가 가능하다. 구동부는 절삭공구 지지부위에 위치된다.
절삭구동부와 절삭공구 사이의 구동라인에 최소한 한 개의 차동축이 있다면, 절삭공구의 높은 속도에서도 단지 미세한 진동만이 발생된다.
본 발명의 더욱 유리한 개발에는 나머지의 종속항으로부터 모아질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압출기(50)는 압출프레스(52)와 함께 프레임(51)을 구비한다. 압출프레스(52)는 소재인입구(61)와 소재배출구(62)를 가진 원통형 케이스(60)을 구비한다.
소재배출구(62)에는 교체기구(53)의 곡면판의 형상을 한 지지부재(74)가 설치된다. 지지부재(74)는 교체기프레임(75)에 의해 원통형 케이스(60)상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된다. 피벗 핀(76)은 압출웜(worm)이 위치된 원통형 케이스(60)내의 수직축(64)에 직각방향으로 위치된다. 지지부재(74)의 선회범위(77)는 파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지지부재(74)에는 두 개의 다이(70, 71)가 마련된다. 각 다이(70, 71)는 작동 위치에서 소재공급방향(P3)과 소재배출방향에 평행한 구멍들을 구비한다. 절삭공구(72, 73)은 각 다이(70, 71)에 결합된다. 개개의 절삭공구(72, 73)는 절삭축(58, 59)에 의해 소재배출축(54, 55)안에 장착된다. 절삭축(58, 59)은 각 경우에 소재배출축(54, 55)에서 미도시된 구동부에 의해 구동된다.
소재배출축(54, 55)은 마디가 있는 연결수단(56, 57)에 의해 지지부재(74)에 선회가능하게 고정된다. 소재배출축(54)는 닫혀진 작동위치에 도시되어 있다. 작동하는 동안 소재는 압출프레스(52)에 의해 다이(70)를 통해 소재공급방향(P3)으로 압축된다. 압축되어 성형된 소재는 절삭공구(72)에 의해 다이(70)의 하방에서 일정길이로 절단되고 소재배출축에서 수집되어 운반된다.
소재배출축(55)은 비작업위치에 있으며, 회전되어 개방된 위치에 도시되어 있다. 이 위치에서 다이(71)와 절삭공구(73)에 대한 보수와 교체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교체기구(53)는 복동식 실린더 구동부(78)에 의해 이동되어 다이(70) 또는 다이(71)가 작동위치에 있게된다. 원호형상의 지지부재(74)는 가이드풀리(93) 주위에서 두 개의 복동식 실린더(90, 91)로 유도된 체인(92)에 의해 연결된다. 복동식 실린더(90, 91)의 움직임은 각각 화살표(P1, P2)에 의해 나타나 있다. 복동식 실린더(90, 91)는 체인(92)에 의해 피벗 핀(76) 주위를 지지부재(74)가 회전하는 방식으로 짝을 이루어 제어된다. 두 개의 절삭공구(72, 73)에 대한 두 개의 작동위치 사이에서의 지지부재(74)의 조정은 정해진 속도로 이동되어져서 맞추어 짐으로써 압출프레스(52)의 작업이 중단될 필요가 없게된다.
지금까지 기술된 압출기에 대한 한 변형이 제2도에 도시된다.
압출프레스(102)는 소재배출구(122) 근방의 원통케이스(120)의 선단에서 교체케이스(135)에 연결된다. 교체케이스(135)는 다이(130)가 원통케이스(120)의 끝단에서 고정된 방식으로 그러나 교체가능한 방식으로 삽입되는 관통구멍(140)을 구비한다.
소재배출구(122)로부터 멀리 떨어진 다이(130)의 측면에 회전지지부재(134)가 위치되는데, 그 회전지지부재(134)는 원통케이스(120)의 축에 직각으로 위치된 그 회전지지부재(134)의 축에 대해 이미 언급한 방식으로 회전가능하다. 그 지지부재(134)는 다수의 구멍(140')을 구비하며, 단지 하나의 보어가 제 2 도에 도시된다. 절삭공구(132)는 앞서 기술한 방식으로 이러한 구멍(140')들 각각에 위치된다.
본 압출기의 경우에서 지지부재(134)를 회전시키거나 선회(pivot) 시키므로서 새로운 절삭공구는 다이(130)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다르게 기술된 지지부재를 사용하는 것도 명백히 가능하다.
제3도는 제2도와 유사한 구조를 도시하지만 절삭공구(232)가 다이(230)후방에 교체케이스(235)의 보어(240')에 고정된 방식으로 배치되어 있다. 압출기(203)의 압출프레스(202)는 소재배출구(222)의 근방의 원통케이스(220)의 선단에서 교체케이스(235)에 연결된다. 교체케이스(235)의 후방에는 지지부재(234)가 소재배출구(222)를 향하는 절삭공구(232)의 측면에 위치되며, 그 지지부재(234)는 지금까지 기술된 지지부재들과 같은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지지부재(234)에는 다수의 다이(230)가 설치되는데, 여기에서는 그 하나만이 도시된다.
그 지지부재(234)의 회전, 선회 또는 병진이동에 의해 지지부재(234)내에 위치된 다이(230)들 사이에서 교체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각 경우에 있어서 하나의 다이(230)는 소재배출구(222)와 절삭공구(232)사이의 구멍(240')안에서 이동한다. 제 2 도와 제 3 도의 구성은 또한 요구되는 바와 같이 다이 또는 절삭공구가 임의 방식(random manner)으로 교체될 수 있도록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압출기에 대해 지금까지 기술한 실시예들은 압출프레스의 수평배치와 교체케이스내에서 지지부재의 이동면의 수직배치를 근거로 한다. 그러나, 압출프레스는 수직으로 위치될 수 있고, 교체케이스내에서의 지지부재의 이동측은 수평으로 될 수 있으며, 또한 이러한 극단 위치들 사이에서 여러각도도 가능하다.
수평으로 돌출한 압출기위의 인서트다이 대신에 수직으로 부착된 교체기가 금속 또는 플라스틱사출을 위한 사출금형과 함께 재빨리 사용될 수 있는 방법으로 배치될 수 있다는 점에서, 본 발명에 따른 압출기는 플라스틱과 금속사출금형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더 이상의 단점없이 사출성형된 부품들을 제 3 의 장소로 옮기는 동안 사출후속 사이클시간을 연장하고 냉각시간을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의해 공정의 경제성은 크게 개선된다. 가열면들 또는 미끄럼접촉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공급되는 스팀과 함께 로터리 연결수단들이 교체장치에 합체될 수 있다. 또한 로타리 연결수단들이 냉각수 또는 졸(sols) 같은 특정 냉각매체의 공급을 허용하도록 냉각수단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교체기구는 또한 임의의 크기 또는 디자인을 가진 웜프레스(worm press) 또는 일정치 않은 현존 압출기를 위해 설계될 수 있다.
교체공정동안에 압출작업압력은 적당한, 공지의 수단과 제어에 의해 감소될 수 있지만, 그 작업압력은 설계에 의해 신축성있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압출기를 사용할 때에 얻을 수 있는 비용절감에 대한 실질적인 예로 6000kg/h/extrusion press의 압출프레스의 매시간 출력에 대해서 그리고 상기 프레스에서 처리되는 소재에 대한 kg당 2DM(독일마르크)의 가격에 대해서 압출기가 정지된 동안에 매시간당 12,000DM의 생산손실이 있다. 압출기를 30분이 소요되는 나이프교체를 위해 매일 6번 정지시켜야 하는 점을 감안한다면, 본 발명에 의해 매년 240일의 작업에서 몇백만 DM의 생산손실을 절감할 수 있다.

Claims (18)

  1. 프레임, 압출프레스, 소재 흐름이 일방향으로 통과하는 소재인입구 및 소재배출구, 상기 압출프레스를 위한 구동부 및 상기 소재배출구 부근에 위치한 다이와 상기 다이에 결합된 절삭공구, 및 상기 소재배출구 부근에 상기 압출프레스에 대해 이동가능하게 배치된 두 개 이상의 교체 가능한 다이 또는 절삭공구를 위한 지지부재를 구비한 교체 기구를 포함하는 압출기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74)는 원호 형상으로 구성되며, 프레임(75)에 의해 상기 압출프레스(52)의 중심 지역에 선회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지지부재(74)에 장착되는 피벗 핀(76)은 소재 흐름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피봇축 주위에서의 선회 운동을 위하여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벗 핀(76)은 수직 또는 수평으로 향하여져서 상기 지지부재(74)가 수평원 또는 수직원 방식으로 선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기.
  3. 제1항에 있어서, 소재배출축(54, 55)이 상기 다이(70, 71)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소재배출축(54, 55)은 소재 배출 방향에 대하여 직각으로 하향 위치되고, 절삭 구동부 또는 절삭 공구(72, 7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소재배출축(54, 55)은 상기 지지부재(74) 상에 선회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소재배출축(54, 55)은 상기 지지부재(74)에 끼워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74)의 구동부는 기어부 또는 복동식 실린더부(78)를 구비한 모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74)는 상기 구동부에 연결된 체인(92)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74)는 상기 구동부에 연결된 케이블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74)는 상기 구동부에 연결된 슬라이더 스윙(slider swing) 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기.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74)를 이동시키기 위한 상기 구동부는 전기 모터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웜 구동부가 상기 모터와 상기 지지부재(74)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삭공구(72, 73)는 상기 압출프레스(52)로부터 멀리 떨어진 다이(70, 71)의 측면에 회전 방식으로 배치되고 절삭 구동부의 작용을 받는 나이프 장치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절삭 구동부와 절삭공구(72, 73) 사이의 구동 라인에 쉬프트 기어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기.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절삭 구동부는 전기 모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기.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절삭 구동부는 유압 모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기.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절삭 구동부는 공압 모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기.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절삭 구동부와 상기 절삭 공구(72, 73) 사이의 구동 라인에 차동축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기.
KR1019950017259A 1994-06-24 1995-06-24 압출기 KR01840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4422248A DE4422248C1 (de) 1993-02-26 1994-06-24 Extrusionsmaschine
DEP4422248.3 1994-06-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0452A KR960000452A (ko) 1996-01-25
KR0184080B1 true KR0184080B1 (ko) 1999-05-15

Family

ID=65214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7259A KR0184080B1 (ko) 1994-06-24 1995-06-24 압출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5665402A (ko)
EP (1) EP0688657B1 (ko)
JP (1) JP2662378B2 (ko)
KR (1) KR0184080B1 (ko)
CN (1) CN1128701A (ko)
AT (1) ATE188643T1 (ko)
CA (1) CA2152564C (ko)
DE (1) DE59507592D1 (ko)
RU (1) RU2097189C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87073B1 (en) 1999-08-05 2004-09-07 Invista North America S.A.R.L. Waste polymer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WO2001010620A2 (en) * 1999-08-05 2001-02-15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Waste polymer processing device
DE29917344U1 (de) * 1999-10-01 2000-01-13 Koemmerling Kunststoff Vorrichtung zum Kalibrieren extrudierter Profile
US6152021A (en) * 2000-01-19 2000-11-28 General Mills, Inc. Cooker die and rotary cutter removably securing mechanism
US6167798B1 (en) 2000-04-19 2001-01-02 General Mills, Inc. Cooker die and rotary cutter removably securing mechanism
US6189439B1 (en) * 2000-05-25 2001-02-20 General Mills, Inc. Cooker die and rotary cutter removably securing mechanism
GB0116023D0 (en) * 2001-06-29 2001-08-22 Rospen Ind Ltd Extrusion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on
US6767198B2 (en) * 2001-10-17 2004-07-27 General Mills, Inc. Rotary cutter assembly
JP3747186B2 (ja) * 2002-05-15 2006-02-22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カッター装置
DE202007014853U1 (de) * 2007-10-24 2008-11-06 Gala Kunststoff- Und Kautschukmaschinen Gmbh Granuliervorrichtung sowie Messer- und/oder Schleifkopf für eine solche Granuliervorrichtung
CN102241047B (zh) * 2011-07-19 2013-01-09 宜兴市诺明高温耐火材料有限公司 一种双套筒式石灰窑拱桥翻身砖加工方法
CN107029631A (zh) * 2017-03-30 2017-08-11 浙江长城搅拌设备股份有限公司 管道切粒混合装置
DE102017108720A1 (de) * 2017-04-24 2018-10-25 Dohle Extrusionstechnik Gmbh Extrusionsvorrichtung
CN106985449B (zh) * 2017-05-27 2019-01-08 马鞍山方圆动力科技有限公司 一种大满轮盘模装置
CN110639431B (zh) * 2019-10-24 2022-01-28 扬州市职业大学(扬州市广播电视大学) 一种生物质颗粒环模制粒机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05109A (en) * 1954-03-20 1959-09-22 Buehler Ag Geb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of alimentary paste products
DE2947698C2 (de) * 1979-11-27 1982-11-11 Hermann Berstorff Maschinenbau Gmbh, 3000 Hannover Siebwechselvorrichtung für die Filtervorrichtung einer thermoplastische Formmassen verarbeitenden Schneckenstrangpresse
DE3013038C2 (de) * 1980-04-03 1983-02-03 Werner & Pfleiderer, 7000 Stuttgart Siebwechselvorrichtung für Extruder
US4465451A (en) * 1982-07-21 1984-08-14 Welding Engineer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extrusion back pressure
DE3243184C2 (de) * 1982-11-23 1985-04-04 Joachim Kreyenborg & Co, 4400 Münster Düsenwechseleinrichtung für Kunststoffextruder
DE3535269C1 (de) * 1985-10-03 1986-12-18 Hermann Berstorff Maschinenbau Gmbh, 3000 Hannover Abdichteinrichtung fuer eine Siebwechselvorrichtung
DE3715180A1 (de) * 1987-03-27 1988-11-24 Rennebeck Klaus Extruder-adapter mit formwechsler und produktlaengenabschneider
JPS63288732A (ja) * 1987-05-20 1988-11-25 Fuji Photo Film Co Ltd 押出成形機用フィルタ交換装置
US5286323A (en) * 1993-02-23 1994-02-15 Corning Incorporated Dome shaped extrusion dies
DE4306014C1 (de) * 1993-02-26 1994-02-03 Lihotzky Emil Maschfab Extrusionsmaschine
US5448458A (en) * 1994-06-23 1995-09-05 Smyly, Jr.; Douglas B. Hand mounting of illumination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59507592D1 (de) 2000-02-17
CA2152564C (en) 1999-04-27
ATE188643T1 (de) 2000-01-15
JPH0839646A (ja) 1996-02-13
CN1128701A (zh) 1996-08-14
EP0688657B1 (de) 2000-01-12
CA2152564A1 (en) 1995-12-25
EP0688657A1 (de) 1995-12-27
US5665402A (en) 1997-09-09
RU95111310A (ru) 1997-06-20
JP2662378B2 (ja) 1997-10-08
RU2097189C1 (ru) 1997-11-27
KR960000452A (ko) 1996-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25052A (en) Extrusion machine
KR0184080B1 (ko) 압출기
US5167894A (en) Apparatus comprising an extruder and a calender for producing sheets and/or foils from plastic or rubber mixtures
US7730817B2 (en) Apparatus for cutting ductile materials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apparatus
US8544777B2 (en) Recycling machine for processing reused materials
JPH08336831A (ja) 合成樹脂の押出造粒方法およびその装置
CN117227137B (zh) 一种塑料挤出机及其使用方法
CN210097623U (zh) 一种造粒机设备
CA1057474A (en) Device for distributing dyestuffs or other additional materials in extruders or the like
RU2122494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мешения/экструдирования пластичного полимера
KR960002260Y1 (ko) 제면기
US1768365A (en) Cut-off device for extruding machines
CN209175818U (zh) 一种条形材用切割机构
JP2543645B2 (ja) 樹脂用ペレタイザ―
US6805479B1 (en) Extrusion system comprising a screw changing device
CN210791993U (zh) 一种便于拆装刀片的挤出机
CN213723606U (zh) 一种制药用制丸机的切料刮料装置
CN220841371U (zh) 一种汽车塑料制品生产用挤出机构
CN220499877U (zh) 一种环保塑料软管挤塑机
CN217834646U (zh) 一种挤出机用出料装置
JPS6166614A (ja) 出口ノズル
JPS625813A (ja) 樹脂ペレツト製造装置
KR100298071B1 (ko) 반죽물 시트 성형장치
CN114347136A (zh) 膨化机切刀结构
JPS607791Y2 (ja) 押出機の濾網交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