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2087B1 - 특수재생용 기록매체 및 재생장치 - Google Patents

특수재생용 기록매체 및 재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2087B1
KR0182087B1 KR1019950702696A KR19950702696A KR0182087B1 KR 0182087 B1 KR0182087 B1 KR 0182087B1 KR 1019950702696 A KR1019950702696 A KR 1019950702696A KR 19950702696 A KR19950702696 A KR 19950702696A KR 0182087 B1 KR0182087 B1 KR 01820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area
address
flag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7026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토시 나카이
미쓰다카 구와바라
Original Assignee
사토 후미오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나카무라 노부히데
도시바 에이.브이.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토 후미오,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나카무라 노부히데, 도시바 에이.브이.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사토 후미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20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20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5/00Teaching music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 G09B5/065Combinations of audio and video presentations, e.g. videotapes, videodiscs, television system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6Accompaniment arrangements
    • G10H1/361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 G10H1/363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using optical disks, e.g. CD, CD-ROM, to store accompaniment information in digital form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05Reproducing at a different information rate from the information rate of record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05Reproducing at a different information rate from the information rate of recording
    • G11B27/007Reproducing at a different information rate from the information rate of recording reproducing continuously a part of the information, i.e. repeat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2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 G11B27/105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of operating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27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used signal is digitally coded
    • G11B27/3063Subcod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2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separate auxiliary tracks of the same or an auxiliary record carrier
    • G11B27/327Table of contents
    • G11B27/329Table of contents on a disc [VTOC]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4Indicating arrang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2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form of the carrier
    • G11B7/0037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form of the carrier with dis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 H04N9/8205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colour video signal
    • H04N9/8211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colour video signal the additional signal being a sound signal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40/00Data organisation or data communication aspects,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40/011Files or data streams containing coded musical information, e.g. for transmission
    • G10H2240/036File multilingual, e.g. multilingual lyrics for karaok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62DVDs [digital versatile discs]; Digital video discs; MMCDs; HDC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84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optical recording
    • H04N5/85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optical recording on discs or dru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Indexing, Searching, Synchronizing, And The Amount Of Synchronization Travel Of Record Carriers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디스크기록정보, 특히 부분적인 반복재생이 용이하고, 학습에 편리하며, 또, 디스크기록정보의 복수의 프로그램의 특정한 부분만을 픽업재생하여 시청하면서 프로그램 검색을 실행하는 데에 유효하다.
디스크(100)에는 복수의 프로그램에 기록되고 그 음성정보에는 어구단위, 코러스단위, 문장단위로 플래그가 추가되어 있다. 재생장치는 상기 플래그를 검출하여 대응하는 음성정보의 어드레스를 기록갱신하고, 반복지정이 있었던 경우는 상기 어드레스로 복귀하고, 반복재생할 수 있다.

Description

특수재생용 기록매체 및 재생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한 재생장치를 도시하는 도면.
제2a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한 디스크를 도시하는 도면.
제2b도는 상기 디스크의 데이터 포맷을 도시하는 설명도.
제3a도∼제3c도는 또한 상기 디스크의 관리정보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제4a도∼제4c도는 마찬가지로 상기 디스크의 관리정보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제5a도∼제5c도는 상기 재생장치에 의한 모니터로의 표시화면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제6도는 상기 재생장치의 동작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플로챠트.
제7a도 및 제7b도는 마찬가지로 상기 재생장치의 동작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플로챠트.
제8a도∼제8c도는 상기 재생장치에 의한 모니터로의 표시화면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제9a도 및 제9b도는 또한 상기 디스크의 데이터영역의 예를 도시하는 플래그의 설명도.
제10도는 또한 재생장치의 동작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플로챠트.
제11a도 및 제11b도는 또한 상기 디스크의 관리정보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제12도는 상기 재생장치의 동작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플로챠트.
제13a도 및 제13b도는 본 발명에 관한 디스크의 기록정보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제14도는 감정부분의 스캔재생을 실현하는 신호처리순서를 도시하는 도면.
제15a도 및 제15b도는 본 발명의 재생장치의 조작부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제16도는 본 발명의 재생장치의 동작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플로챠트.
제17a도 및 제17b도는 본 발명의 재생장치의 조작부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면.
제18도는 본 발명의 재생장치의 동작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플로챠트.
제19도는 제18도의 플로챠트의 계속이며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재새장치의 동작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플로챠트.
제20a도 및 제20b도는 본 발명의 재생장치에 부가된 재생모드표시 수단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디스크 103 : 픽업수단
104 : 픽업구동부 201 : 복조부
211, 213 : 오디오처리부 501, 700 : 코맨드표시부
본 발명은 영화, 가라오케, 교육, 학습 등의 정보를 예를 들면 광디스크 등의 매체에 기록하고 더구나 코멘트, 자막, 음성정보 등은 각종 언어로 기록되어 있고, 재생시에는 임의의 언어의 음성, 자막(문자)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 특수재생용 기록매체 및 재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가라오케 시스템 등의 디스크에서는 하나의 배경영상과 하나의 언어의 자막정보와 연주음악정보가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시장이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고, 시청할 수 있는 언어에 대해서도 다양성이 요구되고 있다. 또, 가라오케 소프트를 수출하는 경우에도 각국, 언어별로 제작할 필요가 있고, 제작측에 있어서 제작경비가 커진다. 더구나 가라오케 시스템을 이용하여 노래를 연습하는 수도 있지만 한번 연주가 개시되면 곡의 최후까지 재생이 실행되기 때문에 일부 어구를 반복하여 연습하는 경우에 불편하다.
그래서 본 발명은 디스크 기록정보, 특히 부분적인 반복재생이 용이하며 학습에 편리한 특수재생용 기록매체 및 재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서는 디스크 기록정보의 복수의 프로그램의 특정한 부분만을 픽업재생하여 시청하면서 프로그램검색을 실행하는 데에 유효한 특수재생용 기록매체 및 재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1) 본 발명에서는 디스크의 일부영역에 관리영역, 다른 영역에 데이터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데이터영역에는 복수의 데이터 유닛이 기록되고 각 데이터 유닛의 블록에 오디오정보가 기록되어 있고, 또 상기 오디오정보에는 음성정보의 임의의 구분을 나타내는 플래그가 추가되어 있고, 상기 관리영역에는 상기 데이터 유닛의 어드레스정보가 기록되어 있다.
(A2) 또, 본 발명에서는 디스크의 일부영역에 관리영역, 다른 영역에 데이터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데이터영역에는 복수의 프로그램이 기록되고 각 프로그램은 복수의 데이터 유닛으로 구성되고, 각 데이터 유닛의 블록에 오디오정보가 포함되어 있고, 상기 관리영역에는 상기 데이터 유닛의 어드레스정보가 기록되고 또, 상기 복수의 프로그램의 각 특정부분을 검색하기 위한 검색어드레스정보가 기록되어있다.
(A3) 또, 본 발명의 재생장치에서는 상기 디스크의 정보를 판독하는 픽업수단과, 상기 픽업수단에서의 출력신호를 복조하는 복조수단과, 상기 복조수단에서 출력된 상기 관리정보를 기억하는 관리정보기억수단과, 상기 복조수단에서 출력된 상기 오디오정보를 디코드하는 오디오처리수단과, 상기 복조수단에서 출력된 상기 오디오정보의 상기 플래그를 검출하고, 이 플래그가 검출되었을때의 재생중의 데이터 유닛의 어드레스를 상기 관리정보기억수단의 기억어드레스를 참조하여 플래그위치 어드레스로서 기억하는 기억수단과, 반복요구신호가 입력되었을때 상기 플래그위치 어드레스에 의거하여 상기 디스크의 재생위치를 변경하는 수단을 구비한다.
(A4) 또 본 발명의 재생장치는 상기 디스크의 정보를 판독하는 픽업수단과 상기 픽업수단에서의 출력신호를 복조하는 복조수단과, 상기 복조수단에서 출력된 상기 관리정보를 기억하는 관리정보기억수단과, 상기 각 특정부분 검색을 요구하는 검색요구신호가 입력되었을때에 상기 관리정보기억수단의 상기 검색어드레스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픽업수단을 제어하고, 상기 복수의 특정프로그램의 상기 특정부분을 재생하는 오디오처리수단과,검색요구신호가 오프되었을때에 재생중의 프로그램의 식별정보를 표시하는 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수단에 의해 디스크 기록정보의 특히 부분적인 반복재생이 용이하고, 학습에 편리하게 되고 또 디스크 기록정보의 복수의 프로그램의 특정한 부분만을 픽업재생하여 시청하면서 프로그램검색을 실행하는데에 효과적이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기록매체(예를 들면, 디스크, 이하 간단히 디스크라 칭한다)(100)를 상기 재생장치(억세스장치)에 장전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디스크(100)는 턴테이블(101)상에 재치되고 모터(102)에 의해 회전구동된다. 지금 재생모드라고 하면 디스크(100)에 기록된 정보는 픽업수단(103)에 의해 픽업된다. 픽업수단(103)은 픽업구동부(104)에 의해 이동제어 및 트래킹제어되어 있다. 픽업수단(103)의 출력은 변조 및 복조부(201)에 입력되어 복조된다. 여기에서 복조된 복조데이터는 에러정정/데이터처리부(202)에 입력되어 에러정정된 후, 데이터열처리부(203)에 입력된다. 데이터열처리부(203)는 비디오정보, 자막 및 문자정보, 오디오정보를 분리하여 도출한다. 즉, 디스크(100)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비디오정보에 대응하여 자막 및 문자정보, 오디오정보가 기록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 경우, 자막 및 문자정보나 오디오정보로서는 각종 언어를 선택할 수 있고, 이것은 시스템제어부(204)의 제어에 따라 선택된다. 시스템제어부(204)에 대해서는 사용자에 의한 조작입력이 조작부(205)를 통하여 주어진다.
데이터열처리부(203)에서 분리된 비디오정보는 비디오처리부(206)에 입력되고 표시장치의 방식에 대응한 디코드처리가 실시된다. 예를 들면 NTSC, PAL, SECAM, 와이드화면 등에 변환처리된다. 비디오처리부(206)에서 디코드된 비디오신호는 가산기(208)에 입력되고 여기에서 자막 및 문자정보와 가산되고, 이 가산출력은 출력단자(209)에 도출된다. 또 데이터열처리부(203)에서 선택되고 분리된 오디오정보는 오디오처리부(211)에 입력되어 복조되고 출력단자(212)에 도출된다.
디코드부로서의 오디오처리부는 오디오처리부(211) 외에 외디오처리부(213)를 갖고 다른 언어의 음성을 재생하여 출력단자(214)에 출력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디스크(100)에는 예를 들면 비디오정보에 대응하여 각종 언어의 언어정보와 음악정보나 환경음악정보를 포함하는 오디오정보가 기록되고 또, 각종 언어의 자막정보가 기록되어 있다. 이들 정보중 어느 언어의 정보를 재생할것인지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음성데이터열처리부(203), 시스템제어부(204), 조작부(205)가 데이터열제어수단을 구축함으로써 실현된다.
다음에 본 발명에 이용되는 디스크, 그 기록 포맷 및 그 이용방법 등의 개요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2a도는 상기 광디스크(100)의 정보영역을 도시하고 있다. 광디스크(100)의 내주측에는 관리영역이 있고, 이 관리영역의 외주측에 데이터영역이 있다. 관리영역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데이터영역의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데이타가 기록되어 있다. 데이터영역에는 서브코드, 서브픽쳐, 오디오, 비디오 등의 정보가 기록되어 있다.
우선, 데이터영역에 어떠한 정보가 기입되어 있는지를 제2b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2b도는 데이터영역의 데이터 유닛(DUT#0)의 내용을 확장하고 있다. 데이터 유닛(DUT#0)에는 선두에 서브코드(SUB-CODE)가 존재하고, 다음에 서브픽쳐(SUB-PICTURE), 오디오(AUDIO), 비디오(VIDEO)정보로 계속되고 있다. 서브코드(SUB-CODE)는 데이터 유닛(DUT#0)의 속성정보이다. 서브픽쳐(SUB-PICTURE)는 예를 들면 자막정보(비디오가 영화인 경우), 문자정보(비디오가 예를 들면 가라오케나 교육비디오 등의 경우)이다. 이 자막정보나 문자정보는 PICTURE#0∼#7이 있고, 각각 언어가 다르다. 혹은 몇가지가 다른 언어이며, 나머지는 무신호부로 되어 있다. 오디오(AUDIO)정보는 각각 다른 언어로 최대 AUDIO#0∼#7의 8개의 언어로 기록되어 있다. 각각의 오디오정보는 프레임 단위로 기록되어 있고, 각 프레임 #0, #1, …는 헤더(HEADER)와 데이터(DATA)로 구성되어 있다. 비디오(VIDEO)정보는 영상의 예를 들면 30프레임분(재생한 경우 약 1초가 된다)을 포함한다. 이 비디오(VIDEO)정보는 고능률부호화 화상압축기술이 채용되어 기록되어 있다. 또, 규격에 따라서는 프레임수는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오디오정보에 대해서는 PCM변조 등의 처리가 실시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이 광디스크에는 복수의 다른 언어가 기록되어 있기 때문에 재생장치내부에는 음성재생에 관해서는 최저 2개의 디코더가 내장되고, 어느것인가를 조합시킬 수 있다. 또, 고가의 기종에 따라서는 비디오 디코더, 음성 디코더, 또는 자막, 문자정보의 디코더의 수는 더욱 증대되어도 좋다.
다음에 관리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관리정보에 대하여 설명한다. 관리정보는 테이블화되어 있다.
관리테이블로서는 가장 내주부의 볼륨 아이덴티티 필드(VID)와 그 외주부의 픽쳐 인포메이션 필드(PIF)와, 그 외주의 데이터 유닛 얼로 케이션 테이블(DAT)이 있다.
(VID)는 관리테이블영역의 선두바이트에서부터 기입되고 256바이트를 사용하여 디스크전체의 제반정보 등을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면 일반기록용 디스크이거나 재생전용디스크 등의 정보이다.
또, 제3a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월드언어코드의 정의가 되어 있다. 즉, 데이터영역에 어느 언어가 기록되어 있는지를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용코드 「0」, 「1」, …「8」에 대하여 언어코드가 대응하도록 테이블이 구축되어 있다. 이 디스크의 예라면 내용코드 「0」은 언어외, 즉, 환경음과 음악(BM), 내용코드 「1」은 영어, 「2」는 일본어, 「3」은 프랑스어, 「4」는 독일어라는 식으로 각 언어코드에 내용코드가 대응되어 있다. (VID)가 판독되면 내용코드와 언어코드의 대응을 알 수 있다.
한편, (PIF)의 테이블상에는 비트데이터열이 정의되어 있다. 즉, 디스크상의 데이터열번호 #0∼#7에 대하여 내용코드를 대응시키고 있다(제3b도). 여기에서 데이터열번호를 선택하면 내용코드가 결정되고 이 내용코드에 대응한 언어코드도 결정되게 된다.
따라서, PIF 테이블의 데이터가 판독되면 재생시스템은 모니터화면상에 제1메뉴화면을 표시하고, 데이터열번호 #0∼#7(키표시신호에 의한 표시)에 대응하여 각각의 언어로 표현한 표시(사용자 인식표시 신호에 의한 표시)를 실행할 수 있다. 이 표시는 예를 들면 언어코드(제3a도)를 변환테이블에 부여하여 각각의 언어코드에 대응한 표시데이터를 발생함으로써 실행된다. 여기에서 사용자는 자신이 이해할 수 있는 외국어를 선택할 수 있다.
이 선택은 사용자 인식언어로 표시된 상태에서 데이터열번호 #0∼#7(사용자인식키 정보표시신호)중 어느 키 정보를 조작부에서 입력하면 된다.
예를 들면 지금 사용자가 #0을 선택했다고 하면 제3b도에 도시하는 내용코드 「1」이 되고 이때는 음성으로서는 D1(즉, 영어)이 선택되게 된다. 또, 사용자가 #2를 선택했다고 하면 음성으로서는 D2(일본어)가 선택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사용자의 언어선택이 실행되면 그 언어에 의한 제작자의 코멘트가 표시된다. 이 코멘트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 어드레스는 예를 들면 (VID)의 테이블에 내장되어 있다. 코멘트정보는 사용자 인식언어로 표시되는 것으로, 제2메뉴화면과 같이 사용자가 제1메뉴화면일때에 선택한 언어를 이용하여 실행된다. 사용자가 제1메뉴화면에서 #2를 선택했다고 하면 코멘트는 일본어로 실행된다. 코멘트로서는 예를 들면 제작자의 인사나, 제작일이나 제작의도, 영화의 경우, 그 프로그램시간 등이다. 또한 이 화면의 표시시에는 음성이나 자막의 출력모드를 어떻게 할 것인지 선택하기 위한 기회가 주어진다. 예를 들면 이 선택을 실행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조작부의 음성, 자막변경용 버튼을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음성변경용 버튼을 누르면 커서가 화면상에 나타나고, 버튼을 누를때마다 이동하여 없음 혹은 언어의 난(欄)의 일본어, 영어, 프랑스어, 독일어…라고 기재된 부분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원하는 부분에 커서가 이동한 상태에서 버튼조작을 그치고,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그 부분의 모드가 선택된다. 자막변경용 버튼을 누른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음성선택용, 자막변경용 버튼중 어느 하나를 조작하지 않고 일정시간 방치하면 제1메뉴화면에서 선택한 음성에 의한 재생모드로 이행하도록 되어 있다. 또, 음성출력모드나 자막표시모드는 재생장치측에서 도중 변경이 되도록 되어 있다.
(PIF)에는 또 각 프로그램의 제반정보가 기록된다. 각 프로그램마다에 예를 들면 16바이트가 사용된다. 제반정보로서는 프로그램의 개시시간, 종료시간, 프로그램이 홈비디오, 영화, 음악, 가라오케, 컴퓨터·그래픽, 상호 게임, 컴퓨터데이터, 프로그램 등의 어느 하나이거나 음성부호화방식의 식별, 영상부호화방식의 식별, 픽쳐속성 즉, 애스팩트비, PAL, NTSC등의 방식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 화면수평해상도, 화면수직해상도 등의 정보가 있다. 또, 개시포인터가 있고, 프로그램개시점의 데이터 유닛이 보존되어있는 DAT의 어드레스(데이터 유닛번호)를 나타내는 포인터값이 기록되어 있다.
(DAT)는 재생하고자 하는 프로그램이 결정되고 또, 그 프로그램의 식별을 알 수 있는 상태에서 데이터영역의 데이터를 판독하는 경우의 순서를 나타내는 정보를 테이블화하여 기록되어있다.
(DAT)의 테이블에는 파라미터로서 디스크상의 영역번호(NZON), 섹터번호(NSTC), 트랙번호(NTRC), 프로그램시간(PTMB), 링크포인터(PNTL)가 있다. 영역번호, 트랙번호, 섹터번호에 의해 그 데이터 유닛의 선두의 기록섹터를 알 수 있다. (NZON)은 데이터 유닛 선두의 기록섹터가 소속하는 영역번호이다. 영역번호는 기록내주부에서부터 반경방향으로 복수트랙을 단위로 분할하여 붙여져 있다. 즉, 데이터 영역에는 디스크의 소정각도의 반경상에 기준위치(R1)가 있고, 이 위치에서부터 순서대로 0부터 번호가 붙여져 있다. 1영역은 다수의 트랙으로 구성된다. NSTC는 트랙내의 섹터번호를 나타내고 있다. 섹터번호는 다른 트랙이나 영역과 관계하는 통과번호는 아니고 그 영역내에서 완결하는 번호이다. (NTRC)는 영역내의 트랙번호를 나타내고 있다. 또, (PTMB)는 상기 데이터 유닛 선두의 영상데이터(1픽쳐)의 시간적 위치정보를 나타내는 플래그이며, 내용은 프로그램 개시점에서의 상대반경시간(초)이다. 이 시간적 위치정보는 타임코드검색이 실행될때에 이용된다. 또, 이 시간적 위치정보는 프로그램시간, 절대시간, 잔량표시등을 실행할때에 재생장치측에 도입되어 시작기준데이터로서 이용된다. (PNTL)은 현 데이터 유닛번호와 시간적으로 연속하는 다음의 데이터 유닛번호를 나타내기 위한 플래그이다. 단위는 데이터 유닛번호에 상당하고 프로그램 종료점등에서 링크처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는 전체 비트 1(=0×FFFF)로 한다. 링크 포인터로서 효과적인 값은 0×0000∼0×FFFF이다.
재생할 프로그램이 결정되고 즉, 데이터열이 결정되면 시스템제어부(204)는 픽업구동부(104)를 제어하여 픽업수단(103)을 이동시켜서 원하는 프로그램의 픽업을 제어한다.
다음에 상기한 형식에 의해 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디스크의 관리정보의 (PIF)예를 설명한다.
제4a도는 영화가 기록된 디스크(1)의 예이며, 재생시에 데이터열 #0을 선택하면 영상을 재생함과 동시에 환경음과 음악(B M)이 재생된다. 이 경우는 음성이 없으므로 데이터열 #2∼#7중 어느것이 선택된다. 데이터열 #2∼#7에는 다른 언어에 의한 음성 D2∼D7이 기록되어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영상과 환경음 및 음악과 임의의 언어에 의한 음성을 시청할 수 있다. 데이터열 #1에서 D1 + B M으로 되어 있는 것은 이 데이터열을 선택하면 영상, 환경음 및 음악, D1으로 규정된 언어의 음성이 재생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 데이터열#1을 선택한 경우, 비디오 디코더에서 영상이 제1음성디코더로 환경음 및 음악, D1으로 규정된 언어의 음성이 재생된다. 또한 다른 데이터열의 어느것을 선택하면 제2음성디코더로 선택한 언어의 음성이 재생되므로 사용자는 예를 들면 2개국어를 동시에 들을 수 있다. 따라서 이 발명에 있어서 재생장치는 적어도 2개의 음성데이터열을 재생할 수 있도록 2대의 디코더를 갖는다.
제4b도는 가라오케를 기록한 디스크의 예이다. 데이터열#0이 선택되면 가라오케(반주)가 재생된다. 이 재생상태에서 데이터열 #1∼#7의 어느것이 선택되면 각각 다른 언어에 의한 음성이 재생되게 된다. 가라오케의 경우, 가사의 내용도 다른 수가 많다. 이때는 자막도 각각의 가사에 맞추어 재생되고 표시장치에 표시되도록 되어 있다. 사용자가 멜로디를 기억한다면 재생장치에서 음성을 컷트함으로써 자막만을 임의의 언어로 표시하여 노래를 즐길 수 있다.
제4c도는 가라오케를 기록한 디스크의 다른 예이다. 데이터열#0이 선택되면 가라오케(반주)가 재생된다. 이 재생상태에서 데이터열#1을 선택하여 재생하면 가이드보컬이 재생된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통상의 시청상태에서 가라오케는 즐길 수 있다. 데이터열#2만을 재생하면 멜로디라인만을 들을 수도 있다(데이터열#0의 재생과 조합시켜도 된다). 또, 데이터열#0을 재생하고 있는 상태에서 데이터열#3을 재생하면 스테레오채널(L)에서는 예를 들면 남성의 음성이 재생되고 스테레오채널(R)에서는 여성의 음성이 재생된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어느 하나의 채널출력을 커트하여 듀엣을 즐길 수 있다.
또 제4b도와 제4c도의 디스크는 별개로 설명했지만 동일디스크에 이러한 프로그램에 격납되어도 있다.
다음에 가라오케의 디스크를 사용한 경우에 재생장치내에서 작동하는 기능에 대하여 설명한다.
가라오케의 디스크가 재생장치에 장전되면 재생장치는 관리데이터를 판독한다. 이에 의해 재생장치는 디스크의 종류를 판별한다.
제5a도는 제1메뉴화면의 표시예이다. 가라오케의 경우, 예를 들면 #3을 선택하여 음악만을 선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2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외국어중에서 일본어의 지정이 실행된 것이다. 그러면 제2메뉴화면(제5b도)에서는 곡목선택화면이 된다. 사용자는 이 곡목선택화면을 보고 원하는 제목의 음악을 선택하게 된다. 이후는 제5c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경영상과 가사가 표시되고 연주상태가 된다.
이 경우는 자동적으로 자막이 선택된 외국어와 같은 언어가 된다.
제6도는 가라오케 프로그램을 재생하는 경우의 재생장치내의 데이터처리순서를 도시하고 있다. 디스크가 재생장치에 삽입되면 관리정보의 (VID)의 내용에 의해 디스크의 종류가 결정된다(스텝S21∼S23). 다음에 제1메뉴화면(제5a도)이 표시된다. 외국어의 선택이 실행되면 이 언어에 대응한 자막언어의 선택코드가 작성된다. 외국어의 코드에 대응하는 자막언어의 코드가 테이블화되어 (PIF)에 격납되어 있다. 스텝S24에서는 선택된 외국어의 코드를 이용하여 대응하는 자막언어의 코드를 검색하여 일시 기억한다. 다음에 스텝S25에서는 다수의 곡목을 표시한다. 곡목을 위한 데이터는 데이터영역에 영상으로서 격납되어 있어도 좋고, (VID)의 영역에 격납되어 있어도 좋다. 곡목의 선택은 사용자가 제5b도의 메뉴화면을 보고 원하는 곡목의 번호를 키보드에서 입력할 수 있다. 곡목의 선택이 끝나면 재생장치는 특정된 곡목이 기록되어 있는 어드레스로 픽업을 보내고 재생을 시작한다. 또, 자막정보의 선택은 스텝S24에 있어서 디코드된 선택코드에 대응하는 자막언어정보를 재생한다(스텝S25, S26).
상기의 설명에서는 제2메뉴화면에서 곡목을 선택한다고 했다. 그러나 이것에서는 다음의 제2사용자는 곡목선택이 늦어진다. 그래서 이 가라오케동작모드일때는 인터럽트에 의해 곡목 선택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경우, 제2의 사용자는 곡목과 선택번호의 대응표(디스크를 구입했을 때에 붙여져 있다)를 보고 차례차례로 예약을 실행할 수 있다.
제7a도는 예약루틴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스텝S31에서 예약조작이 있었는지의 판정이 인터럽트처리로서 실행된다. 예약조작이 있었던 경우에는 곡목의 번호 및 자막언어의 선택정보를 예약정보로서 판독한다. 자막언어의 선택정보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에는 자막언어의 선택은 현재의 제1사용자가 선택하고 있는 것이 유지된다(스텝S31, S32). 곡목의 예약번호의 데이터가 입력되면 장치는 현재의 디스크에 예약된 곡목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S33). 존재하는 경우에는 리모콘의 표시부 혹은 비디오화면의 도트배열상에 도트를 추가하고 예약메모리에 기억한다(스텝S34, S35). 이에 의해 사용자는 예약상황을 파악할 수 있다. 예약상황을 나타내는 도트수가 많은 경우에는 예약을 취소할 수 있도록 취소키를 설치해도 좋다.
곡목의 예약번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리모콘의 표시부 혹은 비디오화면에 예를 들면 플래쉬표시가 이루어지고, 곡목이 해당 디스크에 존재하지 않는 것이 사용자에게 알려진다.
제7b도는 재생장치가 예약기능을 갖는 경우, 재생장치가 처리하기 위한 기능을 나타내고 있다. 재생이 종료되면 다음의 곡목이 선택되어 있는 경우(예약정보가 격납되어 있는 경우)는 디스플레이에 다음의 곡목과 번호를 표시한다. 다음의 곡목과 번호의 데이타는 장치내에 준비되어 있는 예약메모리내에 격납되어 있다(스텝S41, S42). 여기에서 작업메모리내부에 다음의 예약정보가 없는 경우에는 스텝S25(제6도)로 복귀하고, 제2메뉴화면의 표시상태가 되고 곡목의 리스트가 표시된다. 예약정보가 존재한 경우는 다음의 곡목의 표시(곡목번호, 제목 등)가 되고 시작조작이 실행되는 것을 기다린다(스텝S43, S44). 시작조작이 실행되면 해당 곡목의 가라오케와 자막의 재생이 실행된다(스텝S44, S45).
제8도는 연습용 가라오케 디스크(제4c도)가 재생된 경우의 메뉴화면표시예이다. 우선, 제8a도는 제1메뉴화면에는 외국어의 선택메뉴가 표시된다. 다음에 제2메뉴화면에서는 선택된 외국어에 의한 곡목과 그 대응번호가 표시된다(제8b도). 이 선택이 종료되면 제8c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3메뉴화면이 표시된다. 제3메뉴화면은 연습내용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예를 들면 통상의 반주를 재생하여 노래를 부르고 싶은 경우는 #0키를 눌러서 설정버튼을 조작하면 된다. 다음에 가이드보컬만을 재생하고 싶은 경우에는 #1키를 눌러서 설정버튼을 조작하면 된다. 가라오케와 멜로디라인을 듣고싶은 경우에는 #0과 #2키를 눌러서 설정버튼을 조작하면 된다. 이 디스크를 재생하고 있을 때에도 앞의 예약기능을 동작시킬 수 있다.
다음에 본발명의 시스템에 있어서 특히 학습이나 검색에 편리한 특수재생용 기록정보나 기능에 대하여 설명한다.
가라오케기능이 기록된 디스크의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각종 언어의 선택이나 곡목의 선택이 가능하다. 그리고,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은 반복연습이나 검색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9a도는 제2도에 도시한 오디오정보 #2의 부분을 다시 나타내고 있다. 오디오(AUDIO)정보는 재생한 경우에 약 1초의 재생음이 되는 오디오 프레임(FRAME)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각 오디오 프레임(FRAME)은 헤더(HEADER)와 데이터(DATA)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헤더에는 제9b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코러스 플래그의 정보가 설치되어 있다. 예를 들면 제N프로그램(N번째의 곡)의 가사가 3번까지인 경우, 1번, 2번의 가사가 종료된 각 포인트에 상기 코러스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다.
이러한 플래그를 설치한 경우, 예를 들면 재생장치측에서 예를 들면, 「1번에서 종료」 혹은 「2번에서 종료」라는 모드를 설정함으로써 재생장치는 상술한 코러스 플래그를 검출하고, 1번, 2번의 가사가 종료된 상태에서 자연스럽게 페이드 아웃을 걸어서 자동적으로 재생을 종료할 수 있다.
이러한기능은 일정시간내에 가능한한 많은 곡을 재생하고 싶은 경우, 혹은 곡의 회전율을 높이고 싶은 경우에 이용된다. 즉, 가라오케바에 있어서 예약이 많은 경우, 혹은 귀가 혹은 폐점시간이 폐점시간이 가까운 등의 경우이다.
또, 어구(Phrase) 플래그가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가요곡인 「좋은 날 여행길에 올라」의 경우, (1) 「해빙이 가까운 북의 하늘을 향하여 지나가버린 날들의 꿈을 부를때」 (2) 「돌아오지 않는 사람 뜨거운 가슴 스친다 어쩔수없이 오늘부터 혼자 여행길에 나선다」 (3) 「아아, 일본의 어딘가에 나를 기다리는 사람이 있네」 (4) 「좋은 날 여행길에 올라 저녁노을을 찾아서 어머니의 등에서 들었던 노래를 길동무로 하여」인데, 각 (1)∼(4)의 어구의 선두위치에 어구 플래그를 설치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재생장치에는 「어구 다시부름」키를 설치한다. 그리고 이 「어구 다시부름」키를 온하면 현재 재생하고 있는 위치에서 재생중의 어구의 플래그위치까지 복귀하여 재생하도록 반복재생기능이 움직이도록 되어 있다.
또, 문장 플래그가 설치되어도 된다.
문장 플래그는 상술한 어구 플래그의 간격을 더욱 세밀하게 구분한 것이다. 이러한 문장플래그는 예를 들면 학습중의 단어나 문장의 반복, 발음의 반복재생에 이용할 수 있다.
제10도는 상기와 같은 플래그가 기록되어 있는 디스크를 재생한 경우에 재생장치에서 동작하는 기능의 플로챠트이다.
연습하는 곡목이 결정되면 디스크정보가 판독되고 재싱이 개시된다(스텝S51, S52). 재생되어 있는 신호중에 상술한 바와 같은 플래그가 존재하는지의 여부가 판정되고(스텝S53),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계속해서 재생이 실행된다. 플래그가 존재한 경우, 현재 재생중인 데이터 유닛의 선두 어드레스가 작업메모리에 기억된다. 다음에 반복요구가 있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스텝S56). 반복요구가 없다면 스텝S51로 복귀한다. 반복요구가 있는 경우에는 앞의 작업메모리의 정보가 판독되고 직전의 플래그가 위치하는 데이터 유닛의 선두 에드레스 및 프레임번호가 판독되고(스텝S58), 이 어드레스를 기초로 대응하는 데이터 유닛이 검색되어 재생된다(스텝S58, S51). 또, 해당플래그가 위치하는 오디오정보가 재생되게 된다. 반복요구가 해제되면 다음의 데이터의 판독재생이 실행된다.
또,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는 도입보컬이나 감정부분 검색기능이 설치되어 있다.
예를 들면 가요곡을 라디오 등으로 듣고, 마음에 드는 곡이 있어도 곡목이 불명한 것이 있다. 그리고 도입보컬이나 감정부분은 알고있지만 다른 부분은 알지 못하는 부분이 있다. 이러한 곡을 연습하고 싶은 경우, 곡목의 메뉴만으로는 찾을 수 없다. 그래서 이 시스템에는 도입보컬이나 감정부분기능이 설치되어 있다.
도입보컬 검색기능은 디스크에 기록되어 있는 다수의 곡의 도입부분만을 검색하여 재생해가는 기능인 것이다. 또, 감정부분 검색기능은 디스크에 기록되어 있는 다수의 곡의 감정부분만을 검색하여 재생해가는 기능인 것이다.
이 기능을 움직이기 위해 예를 들면 제11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관리정보와 제12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재생장치의 처리기능이 구축되어 있다. 제11a도는 (PIF)이며, 제4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데이터열이 설정되어 있다. 제5b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곡목을 선택하기 위한 메뉴화면이 표시된다 그러나 사용자가 곡목을 알지못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도입보컬 검색키가 조작된다. 그러면(PIF)에 설치되어 있는 검색어드레스의 선두정보가 판독된다. 즉, 이 시스템은(PIF)에 다시 검색어드레스의 선두정보가 격납되어 있다. 지금 (PIF)의 데이터열(#2)이 선택되었다고 하면 여기에는 대응하여 선두정보(D2S)가 기록되어 있다. 그래서 재생장치는 (D2S)(실제로는 데이터 유닛번호)에 대응하는 (DAT)의 데이터 유닛번호(도면에서는 #5가 붙여져 있다)를 검색한다. (DAT)에는 다음에 재생할 데이터 유닛번호가 링크포인터로서 차례차례 기록되어 있고, 또한 그 재생할 데이터 유닛의 어드레스(영역번호, 트랙번호, 섹터번호)등도 테이블화되어 있다. 여기에서 (DAT)에는 통상의 재생을 실행하는 경우의 링크포인터 테이블과 검색기능이 작동하는 경우의 링크포인터 테이블이 설치되어 있다. 도입보컬검색키가 온된 경우에는 검색기능을 위해 설치된 링크포인터 테이블이 이용된다. 이에 의해 재생장치는 픽업의 제어위치정보가 얻어지고 재생활 데이터 유닛을 파악할 수 있다.
제12도는 도입보컬키가 온 되어 있는 경우에 재생장치가 동작하는 순서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디스크가 삽입되면 관리정보가 판독된다(스텝S61, S62). 다음에 제5a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은 제1메뉴화면이 표시된다. 여기에서 도입보컬검색키가 온 되어 있는지의 여부의 판정(스텝 S64)이 실행되고 온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제5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제2메뉴화면표시가 된다. 도입보컬검색키가 온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11b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DAT)의 도입보컬을 위한 링크정보가 판독되고 이 링크포인터에 따라 데이터 유닛의 재생이 실행된다(스텝S65). 그리고 이 재생도중에서 도입보컬 검색키가 오프되었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스텝S66). 도입보컬검색키가 오프되지 않는 경우에는 계속하여 차례차례로 각곡의 도입보컬이 재생된다. 도입보컬검색키가 오프된 경우에는 사용자가 원하는 곡을 발견했다는 것이며, 이때 재생하고 있는 곡의 곡목, 또, 제2메뉴화면(곡목선택화면)에서 지정할 번호가 표시된다.
상기의 순서는 모든(DAT) 도입보컬을 위한 링크포인터에 따라 데이터 유닛의 재생이 실행되었다고 했지만(DAT)에는 다음의 프로그램(곡)의 도입보컬의 선두의 링크포인터가 기재되어 있고, 재생장치에서는 도입보컬의 선두에서 시간(예를 들면 10초정도)을 결정하여 재생하고, 이 시간이 경과하면 다음곡의 도입보컬부의 재생으로 이행하도록 해도 좋다. 이렇게 하면(DAT)의 정보량이 적어진다.
상기 설명은 도입보컬검색의 예를 설명했지만 감정부분검색에도 마찬가지이다.
상기한 설명은 도입보컬, 감정부분의 재생을 실행하는 경우, 기록되어 있는 프로그램의 일부를 재생하는 것으로서 설명했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감정부분이나 도입보컬을 독립하여 음악정보와는 계층구조로 기록해두어도 좋다.
제13a도는 1곡의 음악데이터의 트랙상의 구분을 나타내고 있다. 이 음악데이터는 예를 들면 도입데이터부, 1코스부, 간주데이터부, 코러스부, 간주데이터부(최종)로 구성된다. 1코러스부는 복수의 어구데이터부(P1, P2, ...PN)를 포함한다. 그리고 감정데이터는 예를 들면 어구데이터부(P2)의 일부에 독립하여 기록되어 있다. 이처럼 해당곡의 감정부분을 제작자의 의도에 따라 오디오정보로 작성하여 독립하여 계층구조로 기록하면 음악의 일부 데이터를 이용하지 않으므로 감정부분의 제작의 자유도가 확대된다. 음악이 도중에서 중단되는 일은 없고 또 구분하기 좋은 감정부분으로서 제작할 수 있다. 제13b도는 감정부분이 어구에 걸쳐져 있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감정데이터로서는 그 음악의 크라이막스부분의 데이터가 유효하다. 이 때문에 감정데이터의 데이터길이는 반드시 일괄적으로 결정하는 것은 아니고 음악이나 제작자의 의도에 의해 구성되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해당 음악데이터와는 독립된 형태로 기록함으로써 재생했을때에 구분이 잘된다. 감정데이터는 계층구조이거나 혹은 다중기록이거나 상관없다.
제14도는 복수의 곡이 기록된 디스크를 재생장치로 재생하는 경우, 감정부분을 재생할 때에 이용되는 신호처리순서를 나타내고 있다.
조작자로부터의 지령에 의해 감정부분의 스캔재생이 개시된다(스텝S71, S72). 최초는 첫번째곡의 감정부분의 재생이 실행된다(스텝S73, S74). 이때는 디스크에서 판독된 관리데이터중에서 첫번째곡의 선두와 최종어드레스가 판독되고 감정부분을 재생하는 계속시간이 결정된다. 다음에 스텝S75에서는 감정부분을 재생한 곡이 그 디스크의 최후의 곡인지의 여부가 판정되고 최후의 곡이라면 종료(스텝S76)하고, 최후의 곡이 아닌 경우에는 다음 곡의 감정부분의 재생이 실행된다(스텝S76).
제15a도, 제15b도는 다시 본 발명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15a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재생장치의 조작부(205) 또는 리모콘 콘트롤 시스템의 조작기에는 코맨드표시부(501)가 설치된다. 이 코맨드표시부(501)에는 검색키(511∼520)가 설치되고 이 검색키를 조작하고 악곡번호를 입력함으로써 재생하는 음악(악곡데이터)을 지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첫번째의 악곡데이터를 재생하고 싶은 경우에는 검색키의 1을 조작하면 된다.
코맨드표시부(501)에는 도입지정키(531)가 설치되어 있다. 이 도입지정키(531)만을 조작하면 디스크에 다수 기록되어 있는 악곡데이터의 도입부분이 순서대로 예를 들면 10초정도씩 재생된다.
또, 코맨드표시부(501)에는 반복지정키(53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코맨드표시부(501)에는 화살표키(533, 534)가 설치되어 있고, 이 화살표키(533, 또는 534)를 조작하면 재생상태는 현재 재생되어 있는 악곡데이터의 선두로 되돌아가거나 또는 다음의 악곡데이터로 이행한다. 이 화살표키(533, 534)도 검색키의 범주이다.
또, 코맨드표시부(501)에는 코러스지정키(541), 어구지정키(542), 감정지정키(543)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예를 들면 반복지정키(532)와 코러스지정키(541)의 양방을 조작하면 현재 재생되어 있는 악곡데이터의 코러스부분이 반복재생된다. 또, 반복지정키(532)와, 어구지정키(542)의 양방을 조작하면 현재 재생되어 있는 악곡데이터의 어구부분이 반복재생된다. 또, 반복지정키(532)와 감정지정키(543)의 양방을 조작하면 현재 재생되어 있는 악곡데이터의 감정부분이 반복재생되게 된다.
또, 화살표키(533)와 코러스지정키(541)를 조작하면 재생중의 코러스의 선두로 복귀하고 선두에서의 재생이 실행되고, 화살표키(534)와 코러스지정키(541)를 조작하면 재생중의 코러스의 다음의 코러스로 이행하고 다음의 코러스의 선두에서부터의 재생이 실행된다. 또, 화살표키(533)와 어구지정키(542)를 조작하면 재생중의 어구의 선두로 복귀하고 선두에서부터의 재생이 실행되고 화살표키(534)와 어구지정키(542)를 조작하면 재생중의 어구의 다음의 어구로 이행하고 다음 어구의 선두에서부터의 재생이 실행된다.
제15b도는 조작안내가 표시장치(601)에 표시된 상태이다.
예를 들면 리모콘 콘트롤부의 조작에 의해 커서(602)를 이동시켜서 각종 기능을 지정할 수 있다. 표시엘리먼트로서는 예를 들면 도입지정부(631), 반복지정부(632), 화살표부(632, 633), 코러스지정부(641), 어구지정부(642), 감정지정부(643)가 있다. 코러스의 반복을 실행하고 싶은 경우에는 커서(602)를 코러스지정부(642)로 이행시켜서 결정버튼을 누르고 다음에 커서(602)를 반복지정부(632)로 이행시켜서 결정버튼을 누르면 된다.
제16도는 상기한 조작에 응답하여 데이터처리를 실행하는 소프트웨어의 플로챠트를 도시하고 있다. 이 소프트웨어는 시스템제어부(204)의 메모리에 격납되어 있다.
디스크의 재생이 개시되면 관리정보가 판독된다. 키입력이 있으면 키의 종류가 코맨드라면 스텝S83으로 이행한다. 스텝S83에서는 검색키입력이 있었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검색키입력이 있었을때는 검색목표의 악곡이 검색되고 재생된다(스텝 S84).
재생도중에서 코러스 플래그가 검출되면 이 코러스 플래그의 플래그 어드레스가 작업메모리(플래그 어드레스 기억부)에 격납된다. 또, 어구 플래그가 검출된 경우도 이 어구 어드레스가 작업메모리에 격납된다. 작업메모리에는 적어도 하나의 악곡의 코러스 플래그 어드레스, 어구 플래그 어드레스, 감정 플래그 어드레스가 순차 기억된다. 코르스 플래그, 어구 플래그, 감정 플래그가 서로 식별되도록 수비트의 플래그 데이터로 구성되어 있다.
또, 재생도중에 키입력이 있었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키입력이 있었던 경우, 코러스지정키(541)인지의 여부가 판정된다(스텝S85). 코러스지정키(541)가 조작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어구지정키(542)가 조작되어 있는지의 여부의 판정이 이루어진다(스텝S92). 어구지정키(542)가 조작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감정지정키(543)가 조작되어 있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스텝S92).
코러스지정키(541)가 조작되어 있었던 경우, 다음에 반복지정키(532)가 복합적으로 조작되어 있는지의 여부가 판정되고(스텝S86), 반복지정키(532)가 조작되어 있는 경우는 재생중의 코러스의 선두 플래그 위치로 복귀하고 반복이 실행된다(스텝S87). 반복지정키(532)가 조작되어 있지 않고 검색지정키(화살표키(533, 534)중 어느 하나)가 조작되어 있는지의 여부가 판정되고, 화살표키(533 또는 534)가 조작되어 있는 경우에는 재생중의 코러스의 선두측으로 복귀하고 재생이 실행되거나 또는 다음의 코러스의 선두로 이행하여 재생이 실행된다(스텝S88, S89). 화살표키(533 또는 534)가 조작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도입지정키(531)가 조작되어 있는지의 여부가 판정되고(스텝S90), 도입지정이 실행되어 있는 때는 악곡의 선두에서 악곡내의 플래그를 검색하고 소정시간 코러스 선두부의 재생을 실행한 후, 스텝S83으로 복귀한다.
상술한 스텝S85∼S91에서 설명한 동작은 코러스지정키와 다른 지정키(반복, 검색, 도입)와의 복합조작이 실행된 경우의 동작이다. 마찬가지로 어구지정키(542)와 다른 지정키(반복, 검색, 도입)와의 복합조작이 실행된 경우의 동작은 스텝S92∼S98의 처리에 의해 실현된다. 또, 마찬가지로 감정지정키(543)와 다른 지정키(반복, 검색, 도입)와의 복합조작이 실행된 경우의 동작은 스텝S99∼S105의 처리에 의해 실현된다.
또, 플래그 어드레스 기억부로서는 이하와 같은 각족 실시예가 가능하다. 플래그를 포함하는 지정악곡데이터의 영역을 픽업수단이 판독하고 있는 기간만 기억하고 있는 플래그 어드레스를 보유한다. 그리고 악곡데이터에 대한 새로운 억세스명령이 입력되었을 때에 보유하고 있는 플래그 어드레스를 삭제한다. 또 현재 재생중의 악곡데이터의 재생이 종료되고 다음 악곡데이터의 재생이 개시될때까지 보유하고 있는 플래그 어드레스를 삭제한다. 또는 악곡데이터에 대한 억세스명령이 입력되고 또 픽업수단이 억세스명령에 대응하는 악곡데이터를 판독하고 있는 기간은 플래그 어드레스를 보유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각종 키를 복합조작함으로써 목적한 동작을 실현시키고 있다. 그러나, 전용 조작수단을 설치하여 키조작회수를 저감할 수 있도록 해도 좋다.
제17A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재생장치의 조작부(205) 또는 리모트 콘트롤 시스템의 조작기에는 코맨드표시부(700)가 설치된다. 이코맨드표시부(700)에는 검색키(711∼720)가 설치되고 이 검색키를 조작하고 악곡번호를 입력함으로써 재생하는 음악(악곡데이터)을 지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첫번째의 악곡데이터를 재생하고 싶은 경우에는 검색키의 1을 조작하면 된다. 또, 화살표키(721, 722)도 설치되어 있다. 화살표키(721)가 조작되면 재생중의 악곡의 선두에서부터 재생이 실현된다. 또 화살표키(722)가 조작되면 재생중의 악곡의 다음의 선두에서부터 재생이 실행된다.
코맨드표시부(700)에는 어구모드와 코러스모드를 구별하기 위한 식별판(730, 740)이 표시되어 있다. 식별판(730)내에는 도입지정키(731), 반복지정키(732), 화살표키(733, 734)가 설치되어 있다. 또, 식별판(740) 내에는 도입지정키(741), 반복지정키(742), 화살표키(734, 74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의 조작수단이면 도입지정키(731)를 조작하면 어구지정을 실행할 필요는 없고 재생중의 악곡의 어구의 선두를 플래그에 의거하여 검출하여 차례차례로 10초정도씩 재생해간다. 또, 반복지정키(732)를 조작한 경우도 어구지정을 실행할 필요는 없고 재생중의 악곡의 어구의 반복을 실행하게 된다. 화살표키(733)를 조작한 경우에는 재생중의 어구의 선두로 복귀하고 재생을 재개한다. 화살표키(734)를 조작한 경우에는 재생중의 어구의 다음의 어구의 선두로 이행하여 재생을 실행한다. 도입지정키(741), 반복지정키(741), 화살표키(743, 744)가 조작된 경우에는 코러스지정을 실행할 필요는 없고 코러스에 관한 도입재생 또는 반복 또는 재생위치이동이 실행된다.
제17a도는 어구모드와 코러스모드를 자동적으로 구별하는 방식이지만 제17b도는 반복모드와 도입모드를 자동적으로 구별하는 방식이 반복모드의 식별판(760)내에는 코러스지정키(761), 어구지정키(762), 감정지정키(763)가 설치되어 있고, 이들 키의 어느하나가 조작되면 자동적으로 각 지정키에 대응한 반복모드가 된다. 도입모드의 식별판(770)내에도 코러스지정키(771), 어구지정키(772), 감정지정키(773)가 설치되어 있고, 이들 키의 어느 하나가 조작되면 자동적으로 각 지정키에 대응한 도입부의 재생모드가 된다.
제18도, 제19도는 상기한 조작부를 조작한 경우에 이용되는 플로차트의 일례이며, 반복지정키와 화살표키가 조작되었을때의 동작플로챠트를 도출하고 있다.
우선, 플래그 어드레스의 발생수단을 설명해두기로 한다. 어드레스 플래그의 발생방식으로서는 각종 방식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악곡데이터의 일부(코러스단위, 어구단위, 감정단위)에 플래그가 포함되지만 이 플래그가 속하는 영역의 프레임번호를 코러스, 어구, 감정의 식별정보와 함께 플래그 어드레스 기억부에 기억하는 방식이 있다.
코러스, 어구, 감정의 식별정보는 각 플래그에 부가되어 기억되어 있다. 또다른 방식으로서 악곡의 재생개시시점에서 카운터에 의한 시간계측을 실행하고, 이 시간계측 데이터를 이용하고 플래그가 검출되었을때에 그 시간계측 데이터를 플래그 어드레스 기억부에 기억하는 방식이라도 좋다. 예를들면 화살표키(733)에 의한 지정이 있었을 때는 재생중의 악곡의 어구의 선두의 대략 그 위치까지 픽업수단이 복귀된다. 이때의 복귀량은 현재의 프레임번호(또는 시간계측데이터)와 플래그 어드레스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프레임번호(또는 시간계측데이터)와의 차에 의해 결정된다. 무팅상태에서 재생된다. 그리고 플래그가 검출되었을 때에 무팅상태가 해제된다.
디스크의 재생이 개시되면 관리정보가 판독된다(스텝S201, S202).
키입력이 있으면 키의 종류가 판별되고(스텝S203∼S205), 제17a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키에서의 코맨드라면 스텝S206으로 이행한다. 스텝S206에서는 검색키입력이 있었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검색키입력이 있었을때는 검색목표의 악곡이 검색되고 재생된다(스텝S207).
재생도중에서 코러스 플래그가 검출되면 이 코러스 플래그의 플래그 어드레스가 작업메모리(플래그 어드레스 기억부)에 격납된다. 또 어구플래그가 검출된 경우도 이 어구어드레스가 작업메모리에 격납되고 감정플래그가 검출된 경우도 이 감정어드레스가 작업메모리에 격납된다. 작업메모리에는 적어도 하나의 악곡의 코러스 플래그 어드레스, 어구 플래그 어드레스, 감정 플래그 어드레스가 순차 기억된다. 크러스 플래그, 어구 플래그, 감정 플래그가 서로 식별되도록 수비트의 플래그 데이터로 구성되어 있다.
또, 재생도중에 키입력이 있었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스텝S208, S209). 키입력이 있었던 경우, 코러스모드의 검색키인지의 여부의 판정이 실행된다(스텝S210). 또, 화살표키(743, 744)중 어느 하나가 조작되어 있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예를 들면 화살표키(743)의 입력이 있었던 경우, 현재 재생중의 악곡의 검색대상이 되는 코러스 플래그 어드레스를 플래그 어드레스 기억부에서 판독되고 그 플래그 어드레스에 픽업을 이동시킨다(스텝S211). 다음에 지정된 코러스가 재생된다(스텝S212).
플래그 어드레스의 발생수단으로서는 각종 방식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악곡데이터의 일부에 플래그가 포함되지만 이 플래그가 속하는 영역의 프레임번호를 플래그 어드레스 기억부에 기억하는 방식이 있다. 또 다른 방식으로서 악곡의 재생개시시점에서 카운터에 의한 시간계측을 실행하고 이 시간계측 데이터를 이용하고 플래그가 검출되었을때에 그 시간계측 데이터를 플래그 어드레스 기억부에 기억하는 방식이라도 좋다. 화살표키(743)에 의한 지정이 있었을 때는 픽업수단이 대략 그 위치까지 복구된다.이때의 복귀량은 현재의 프레임번호(또는 시간계측 데이터)와 플래그 어드레스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프레임번호(또는 시간계측 데이터)와의 차에 의해 결정된다. 무팅상태에서 재생되다. 그리고 플래그가 검출되었을때에 무팅상태가 해제된다.
스텝S210∼S212는 화살표키(743 또는 744)가 조작되었을 때의 동작을 도시하고 있다. 화살표키(744)에 의한 지정이 실행되었을때는 무팅상태에서 고속재생이 실행되고 다음의 코러스의 플래그가 검출된 시점에서 무팅이 해제되고 재생출력을 얻도록 동작한다.
상술한 화살표키(743 또는 744)의 조작이 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제19도의 스텝S213으로 이행하여 반복지정키(742)의 조작이 이루어져 있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이 조작이 되어있을 때는 스텝S214, S215로 이행하고, 반복대상의 코러스가 재생된다. 코러스의 선두를 검색하는 경우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플래그 어드레스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플래그 어드레스가 참조되어 대상의 코러스의 선두가 검색된다.
상술한 반복지정키(742)의 복합조작이 이루어져 있지 않은 경우에는 어구모드의 화살표키(733 또는 734)의 조작이 되어 있는지의 여부의 판정이 스텝S216에서 실행된다. 화살표키(733 또는 734)와의 조작이 되어 있는 경우에는 스텝S217, S218로 이행하여 대상이 되는 어구의 재생이 실행된다. 어구를 검색하는 경우에도 앞서의 코러스검색시에 코러스가 플래그 어드레스가 이용된 것과 마찬가지로 어구 플래그 어드레스가 이용된다.
어구모드에 있어서 화살표키(733 또는 734)의 조작이 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S219로 이행한다. 스텝S219는 어구모드에 있어서 반복지정키(732)의 조작이 이루어져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이 조작이 되어 있는 경우에는 스텝S220, S221에 있어서 대상이 되는 어구의 재생이 실행된다. 반복지정키(732)의 조작이 이루어져 있지 않은 경우는 스텝S222에서 지정약곡의 재생이 실행되고 제18도의 스텝S206으로 이행한다. 상기 플로챠트에서는 도입지정키(731, 741)가 조작되었을 때의 패스는 생략하고 있다.
상기한 실시예에 있어서 플래그 어드레스를 플래그 어드레스 기억부에 기억시키기 위해 플래그 어드레스 발생수단과 플래그가 검출되었을 때에 플래그 어드레스 발생수단에서 구한 플래그 어드레스를 플래그 어드레스 기억부에 기억시키는 수단을 갖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플래그 어드레스발생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각 악곡중의 코러스, 어구, 감정 등의 하위의 영역데이터의 매체상의 위치를 나타내는 어드레스를 플래그 어드레스로 하여 디스크의 관리정보영역에 미리 표로 하여 기억하고 있어도 된다. 그리고, 악곡이 재생되기 전에 관리정보중에서 해당 악곡의 플래그 어드레스를 플래그 어드레스기억부에 전송하도록 하여 이것을 기초로 상기한 반복, 검색, 도입검색 등의 특수재생시에 있어서 악곡중의 각 영역데이터로의 억세스동작을 실행하도록 해도 좋다.
또, 본발명은 다음의 기능을 부가해도 좋다.
즉, 제20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재생중의 모드가 알 수 있는 바와 같은 표시수단을 설치해도 좋다. 제20a도의 표시상태는 악곡이 통상 재생되어 있는 상태이며, 제20b도는 감정부분이 재생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디스크 기록정보, 특히 부분적인 반복재생이 용이하며, 학습에 편리하며 또, 디스크 기록정보의 복수의 프로그램의 특정한 부분만을 픽업재생하여 시청하면서 프로그램 검색을 실행하는 데에 유효하다. 디스크 기록매체를 취급하는 장치나 억세스하는 장치라면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Claims (21)

  1. 디스크(100)의 일부영역에 관리영역, 다른 영역에 데이터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데이터영역에는 복수의 데이터 유닛이 기록되고, 각 데이터유닛의 블록에 오디오정보가 기록되어 있고, 또 상기 오디오정보에는 음성정보의 코러스 단위, 어구단위 및 문장단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타입의 단위의 임의의 구분을 나타내는 플래그가 추가되어 있고, 상기 관리영역에는 상기 데이터 유닛의 어드레스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수재생용 기록매체.
  2. 디스크(100)의 일부의 영역에 관리영역, 다른 영역에 데이터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데이터영역에는 복수의 프로그램이 기록되고, 각 프로그램은 복수의 데이터 유닛으로 구성되고, 각 데이터 유닛의 블록에 오디오정보가 포함되어 있고, 상기 관리영역에는 상기 데이터 유닛의 어드레스정보가 기록되고, 또 상기 복수의 프로그램에 걸쳐서 각 오디오 정보의 도입 보컬 부분, 감정부분 중 적어도 한쪽 이상을 연속하여 검색하기 위한 어드레스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수재생용 기록매체.
  3. 일부의 영역에 관리영역, 다른 영역에 데이터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데이터영역에는 복수의 데이터 유닛이 기록되고 각 데이터유닛의 블록에 오디오정보가 기록되어 있고, 또 상기 오디오정보에는 음성정보의 코러스 단위, 어구단위 및 문장단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타입의 단위의 임의의 구분을 나타내는 플래그가 추가되어 있고, 상기 관리영역에는 상기 데이터 유닛의 어드레스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디스크를 재생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100)의 정보를 판독하는 픽업수단(103)과, 상기 픽업수단(103)에서의 출력신호를 복조하는 복조수단(201)과, 상기 복조수단(201)에서 출력된 상기 관리정보를 기억하는 관리정보기억수단과, 상기 복조수단(201)에서 출력된 상기 오디오정보를 디코드하는 오디오 처리수단(211, 213)과, 상기 복조수단(201)에서 출력된 상기 오디오정보의 상기 플래그를 검출하고 이 플래그가 검출되었을때의 재생중의 데이터 유닛의 어드레스를 상기 관리정보 기억수단의 기억어드레스를 참조하여 플래그위치 어드레스서 기억하는 기억수단과, 반복요구신호가 입력되었을때에 상기 플래그위치 어드레스에 의거하여 상기 디스크(100)의 재생위치를 변경하는 수단, 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장치.
  4. 일부의 영역에 관리영역, 다른 영역에 데이터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데이터영역에는 복수의 데이터 유닛이 기록되고 각 프로그램은 복수의 데이터 유닛으로 구성되고, 각 데이터 유닛의 블록에 오디오정보가 포함되어 있고, 상기 관리영역에는 관리정보로서 상기 데이터 유닛의 어드레스정보가 기록되고, 또 상기 복수의 프로그램에 걸쳐서 각 오디오 정보의 도입보컬부분, 감정부분 중 적어도 한쪽 이상을 연속하여 검색하기 위한 검색어드레스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디스크를 재생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100)의 정보를 판독하는 픽업수단(103)과, 상기 픽업수단(103)에서의 출력신호를 복조하는 복조수단(201)과, 상기 복조수단(201)에서 출력된 상기 관리정보를 기억하는 관리정보기억수단과, 상기 도입보컬부분 또는 감정부분의 검색을 요구하는 검색요구신호가 입력되었을 때에 상기 관리정보기억수단의 상기 검색 어드레스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픽업수단을 제어하고, 상기 복수의 특정 프로그램의 사익 특정부분을 재생하는 오디오처리수단과, 검색요구신호가 오프되었을 때에 재생중의 프로그램의 식별정보를 표시하는 수단, 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정보는 가라오케용 음악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수재생용 기록매체.
  6. 일부 영역에 관리영역, 다른 영역에 데이터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데이터영역에는 적어도 한곡 혹은 복수곡의 음악정보가 기록되어 있고, 또 상기 음악정보에는 하위의 계층데이터구조로서 어구, 감정 중 적어도 한쪽 이상의 복수의 데이터 블록이 포함되고, 상기 데이터블록에는 이들을 나타내는 플래그가 추가되어 있고, 상기 관리영역에는 관리정보로서 상기 데이터블록을 검색하기 위한 어드레스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수재생용 기록매체.
  7. 일부의 영역에 관리영역, 다른 영역에 데이터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데이터영역에는 적어도 한곡 혹은 복수곡의 음악정보가 기록되어 있고, 또, 상기 음악정보에는 하위의 계층데이터구조로서 어구, 감정 중 적어도 한쪽 이상의 복수의 데이터블록이 포함되고, 상기 데이터블록에는 이들을 나타내는 플래그가 추가되어 있고, 상기 관리영역에는 관리정보로서 상기 데이터블록을 검색하기 위한 어드레스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디스크를 재생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100)의 정보를 판독하는 픽업수단(103)과, 상기 픽업수단(103)에서의 출력신호를 복조하는 복조수단(201)과, 상기 복조수단(201)에서 출력된 상기 관리정보를 기억하는 관리정보기억수단과, 상기 복조수단(201)에서 출력된 상기 음악정보를 디코드하는 디코드수단과, 상기 음악정보의 상기 복수의 블록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한 오디오처리수단(211)과, 상기 복조수단(201)에서 출력된 상기 음악정보의 복수의 데이터블록의 플래그를 검출하고, 이 플래그가 검출되었을 때의 재생중의 데이터 블록의 어드레스를 상기 관리정보 기억수단의 기억어드레스를 참조하여 플래그 위치 어드레스로서 기억하는 어드레스 기억수단과, 반복재생 요구신호가 입력되었을때에 상기 플래그위치 어드레스에 의거하여 상기 복수의 데이터블록중 지시된 블록을 반복재생하는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장치.
  8. 악곡데이터가 그 어드레스와 함께 기록된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악곡데이터는 코러스, 어구, 문장, 도입 및 감정의 종류 중적어도 하나 이상의 종류를 구분하는 복수의 영역데이터를 포함하고, 해당 복수의 영역데이터는 그 종류를 각각 식별하기 위한 플래그를 수반하여 수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9. 악곡데이터가 그 어드레스와 함께 기록되어 있고, 상기 악곡데이터는 코러스, 어구, 문장, 도입 및 감정의 종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종류를 구분하는 복수의 영역데이터를 포함하고, 해당 복수의 영역데이터는 그 종류를 각각 식별하기 위한 플래그를 수반하여 수록되어 있고, 또, 상기 기록매체상의 상기 악곡데이터의 기록위치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관리정보가 수록되어 있는 기록매체를 재생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에 상기 악곡데이터를 판독하는 픽업수단(103)과, 재생된 상기 관리정보를 기억하는 기억수단과, 상기 악곡데이터가 재생됨과 동시에 재생위치 어드레스를 발생하는 어드레스 발생수단과, 상기 악곡데이터가 재생되고 상기 악곡데이터에 포함되는 상기 영역데이터를 식별하기 위한 플래그가 출력되었을 때 상기 재생위치 어드레스를 플래그 어드레스로서 기억하는 플래그 어드레스 기억수단과, 상기 픽업수단(103)에 의해 상기 악곡데이터를 억세스할 때는 상기관리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악곡테이터를 검색하고 상기 영역데이터를 억세스할때는 상기 플래그 어드레스에 의거하여 상기 영역데이터를 결정하고 검색하는 검색수단, 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그 어드레스 기억수단은, 상기 플래그를 포함하는 악곡데이터의 영역을 상기 픽업수단(103)이 판독하고 있는 기간만 기억하고 있는 플래그 어드레스를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그 어드레스 기억수단은, 상기 악곡데이터에 대한 새로운 억세스명령을 입력했을때에 보유하고 있는 상기 플래그 어드레스를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그 어드레스 기억수단은, 현재 재생중의 악곡데이터의 재생이 종료하고, 다음의 악곡데이터의 재생이 개시될때까지 보유하고 있는 상기 플래그 어드레스를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그 어드레스 기억수단은, 상기 악곡데이터에 대응하는 억세스명령이 입력되고, 또, 상기 픽업수단(103)이 상기 억세스명령에 대응하는 악곡데이터를 판독하고 있는 기간은 상기 플래그 어드레스를 보유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장치.
  14. 악곡데이터가 그 어드레스와 함께 기록되어 있고, 상기 악곡 데이터는 코러스, 어구, 문장, 도입 및 감정의 종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종류를 구분하는 복수의 영역데이터를 포함하고, 해당복수의 영역데이터는 그 종류를 각각 식별하기 위한 플래그를 수반하여 수록되어 있고, 또, 상기 기록매체상의 상기 악곡데이터의 기록위치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관리정보가 수록되어 있는 기록매채를 재생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에서 상기 악곡데이터를 판독하는 픽업수단(103)과, 재생된 상기 관리정보를 기억하는 기억수단과, 상기 악곡데이터가 재생될 때에 재생위치 어드레스를 발생하는 어드레스 발생수단과, 상기 악곡데이터가 재생되고 상기 악곡데이터에 포함되는 상기 영역데이터의 종류를 식별하기 위한 상기 플래그가 출력되었을 때 상기 재생위치 어드레스를 플래그 어드레스로서 기억하는 플래그 어드레스 기억수단과, 상기 악곡데이터의 상기 복수의 영역데이터 또는 특정의 영역데이터를 억세스하기 위한 전용의 억세스명령 입력수단과, 상기 억세스명령 입력수단에서의 억세스명령에 의거하여 재생내용의 종류를 결정함과 동시에 상기 플래그 어드레스에 의거하여 억세스할 상기 영역데이터를 결정하고 검색하는 검색수단, 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장치.
  15. 악곡데이터가 그 어드레스와 함께 기록되어 있고, 상기 악곡데이터는 코러스, 어구, 문장, 도입 및 감정의 종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종류를 구분하는 복수의 영역데이터를 포하하고, 해당복수의 영역데이터는 그 종류를 각각 식별하기 위한 플래그를 수반하여 수록되어 있고, 또, 상기 기록매체상의 상기 악곡데이터의 기록위치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관리정보가 수록되어 있는 기록매체를 재생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에서 상기 악곡데이터를 판독하는 픽업수단과, 재생된 상기 관리정보를 기억하는 기억수단과, 상기 악곡데이터가 재생될 때에 재생위치 어드레스를 발생하는 어드레스 발생수단과, 상기 악곡데이터가 재생되고 상기 악곡데이터에 포함되는 상기 영역데이터의 종류를 식별하기 위한 상기 플래그가 출력되었을 때 상기 재생위치 어드레스를 플래그어드레스로서 기억하는 플래그 어드레스 기억수단과, 상기 악곡데이터의 상기 복수의 영역데이터 또는 특정의 영역데이터를 억세스하기 위해 복수의 키의 복합조작에 의해 명령을 입력하는 억세스 명령 입력수단과, 상기 억세스명령 입력수단에서의 억세스명령에 의거하여 재생내용의 종류를 결정함과 동시에 상기 플래그 어드레스에 의거하여 억세스할 상기 영역데이터를 결정하고 검색하는 검색수단, 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장치.
  16.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억세스명령 입력수단에서의 코맨드는 재생의 형태와, 악곡중의 상기 영역데이터의 종류를 지정하는 복합코맨드인 것을 특징을 하는 재생장치.
  17. 악곡데이터가 그 어드레스와 함께 기록되어 있고, 상기 악곡데이터는 코러스, 어구, 문장, 도입 및 감정의 종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종류를 구분하는 복수의 영역데이터를 포함하고, 또, 상기 기록매체상에서 상기 기록매체상에서 상기 악곡데이터의 기록위치 및 상기 복수의 영역데이터의 종류와 그 기록위치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관리정보가 수록되어 있는 기록매체를 재생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에서 상기 관리정보 및 상기 악곡데이터를 판독하는 픽업수단과, 재생된 상기 관리정보를 기억하는 기억수단과, 상기 악곡데이터의 상기 복수의 영역데이터 또는 특정의 영역데이터를 억세스하기 위한 억세스명령을 입력하는 억세스명령 입력수단과, 상기 억세스명령 입력수단에서의 억세스명령에 의거하여 재생내용의 종류를 결정함과 동시에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영역데이터의 기록위치를 나타내는 데이터에 의거하여 억세스할 상기영역데이터를 결정하고 검색하는 검색수단, 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억세스명령 입력수단에서의 코맨드는 재생형태와 악곡중의 상기 영역데이터의 종류를 지정하는 복합 코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장치.
  19. 기록매체에는 재생해야할 데이터 유닛이 그 어드레스와 함께 기록되어 있고, 상기 재생해야할 데이터 유닛은 그 데이터구조가 계층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또한 미리 구분된 복수 종류의 특정의 영역데이터를 포함하고, 또 이 기록매체에는 상기 기록매체 내에서의 상기 데이터 유닛의 기록위치 및 상기 특정의 영역데이터의 종류와 그 기록위치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관리정보가 수록되어 있는 기록매체를 재생하는 장치이고,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상기 관리정보 및 상기 데이터 유닛을 판독하는 픽업수단과, 재생된 상기 관리정보를 기억하는 기억수단과, 상기 복수 종류의 특정의 영역데이터 중에서 소망의 종류의 특정의 영역데이터를 선택하여 억세스하기 위한 코맨드와, 선택된 상기 소망의 종류의 특정의 영역데이터를 소망의 재생내용으로 재생하기 위한 코맨드로 이루어지는 복합코맨드를 발생하기 위해 복합조작이 실시되는 억세스명령입력수단과, 상기 억세스명령입력수단으로부터의 상기 복합코맨드에 의거하여 재생해야할 특정의 영역데이터의 종류와 그 재생내용을 결정하고, 상기 특정의 영역데이터의 기록위치를 나타내는 데이터에 의거하여 억세스해야할 상기 특정의 영역데이터를 결정하는 동시에 검색동작형태를 결정하는 검색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해야할 데이터 유닛은 악곡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특정의 영역데이터는 상기 악곡데이터의 코러스, 어구, 문장, 도입 및 감정의 종류 중 적어도 두 개의 종류이고, 상기 억세스명령입력수단으로부터의 코맨드는 상기 특정의 영역데이터의 종류를 지정하는 코맨드와, 연속재생 또는 반복재생의 재생내용을 지정하는 코맨드로 이루어지는 복합코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해야할 데이터 유닛은 또한 서브픽쳐데이터, 오디오데이터, 비디오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서브픽쳐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처리부, 상기 오디오데이터의 오디오처리부, 상기 비디오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비디오처리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장치.
KR1019950702696A 1993-10-29 1994-10-26 특수재생용 기록매체 및 재생장치 KR01820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3-2715640 1993-10-29
JP27164093 1993-10-29
PCT/JP1994/001794 WO1995012201A1 (fr) 1993-10-29 1994-10-26 Support d'enregistrement et dispositif de reproduction pour reproduction specia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82087B1 true KR0182087B1 (ko) 1999-04-15

Family

ID=17502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702696A KR0182087B1 (ko) 1993-10-29 1994-10-26 특수재생용 기록매체 및 재생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737308A (ko)
EP (1) EP0677848A4 (ko)
KR (1) KR0182087B1 (ko)
WO (1) WO199501220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9969B1 (ko) * 1997-02-04 2005-09-16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정보신호기록및재생장치와기록및재생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76843A (en) * 1993-10-29 1996-11-19 Time Warner Entertainment Co., L.P.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play of multiple dialog audio tracks of a software carrier
EP0677843B1 (en) * 1993-10-29 1998-04-15 Kabushiki Kaisha Toshiba Recording medium which can cope with various languages and reproduction apparatus
DE69601571T2 (de) * 1995-08-21 1999-07-0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Multimedia optische platte, die in der lage ist den bildinhalt fuer laengere zeit frisch zu halten und wiedergabegeraet und verfahren dafuer
MX9702856A (es) * 1995-08-21 1997-07-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Disco optico, dispositivo de reproduccion y metodo de reproduccion que pueden lograr una conmutacion dinamica del contenido reproducido.
TW335480B (en) * 1995-09-29 1998-07-0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 a bistream for multi-angle connection
TW329515B (en) * 1995-10-24 1998-04-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Recording medium and reproduction apparatus
JP3719758B2 (ja) * 1996-03-19 2005-11-24 パイオニア株式会社 情報記録装置及び方法並びに情報再生装置及び方法
US6757483B1 (en) * 1996-03-19 2004-06-29 Pioneer Electronic Corporation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with aggregate attribute information recorded in video manager, apparatus for recording the same and apparatus for reproducing the same
JP3707137B2 (ja) * 1996-07-04 2005-10-19 ソニー株式会社 記録媒体、再生装置
US6738561B1 (en) 1997-11-21 2004-05-18 Victor Company Of Japan, Ltd. Recording medium and signal processing apparatus
CN1282185C (zh) 1997-11-21 2006-10-25 日本胜利株式会社 一种盘重放装置及音频信号的记录重放方法
KR100287366B1 (ko) * 1997-11-24 2001-04-16 윤순조 엠피이지 방식을 이용한 휴대용 음향 재생장치 및 방법
KR100312617B1 (ko) * 1997-12-27 2001-12-28 구자홍 재기록광디스크의연속재생방법
US6253237B1 (en) * 1998-05-20 2001-06-26 Audible, Inc. Personalized time-shifted programming
DE59913598D1 (de) * 1999-07-15 2006-08-03 Micronas Gmbh Wiedergabegerät
US7212972B2 (en) * 1999-12-08 2007-05-01 Ddi Corporation Audio features description method and audio video features description collection construction method
JP2001222281A (ja) * 2000-02-09 2001-08-17 Yamaha Corp 携帯電話装置及び携帯電話装置の楽曲再生方法
US7092340B2 (en) 2000-07-13 2006-08-15 Micronas Gmbh Playback apparatus
JP3793093B2 (ja) * 2002-01-21 2006-07-05 アルパイン株式会社 ディスクプレーヤ及びその記録内容情報表示方法
KR100836574B1 (ko) * 2002-10-24 2008-06-10 도꾸리쯔교세이호진 상교기쥬쯔 소고겡뀨죠 악곡재생방법, 장치 및 음악음향데이터 중의 대표 모티프구간 검출방법
JP4075744B2 (ja) * 2003-02-12 2008-04-16 日産自動車株式会社 燃料タンクの取付構造
JP3994090B2 (ja) * 2004-01-29 2007-10-17 ファナック株式会社 数値制御装置
US7889605B2 (en) * 2004-08-25 2011-02-15 Pioneer Corporation Information reproducing apparatus
WO2007129404A1 (ja) * 2006-05-09 2007-11-15 Pioneer Corporation 情報記録媒体
TWI420904B (zh) * 2008-07-29 2013-12-21 Hannstar Display Corp 顯示器及其調整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03485A (ja) * 1989-01-31 1990-08-13 Pioneer Electron Corp 情報記録媒体演奏装置
JPH0337710A (ja) * 1989-07-05 1991-02-19 Nec Corp 光ディスク制御装置
JPH03245174A (ja) * 1990-02-23 1991-10-31 Victor Co Of Japan Ltd 語学学習システム
KR930009689B1 (ko) * 1991-02-13 1993-10-08 삼성전자 주식회사 콤팩트 디스크 플레이어의 오기록 방지 방법
JP2902814B2 (ja) * 1991-06-17 1999-06-07 株式会社東芝 デジタルデータ処理装置
JP3480943B2 (ja) * 1991-07-05 2003-12-22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再生装置
US5805545A (en) * 1991-08-14 1998-09-08 Pioneer Electronic Corporation Midi standards recorded information reproducing device with repetitive reproduction capacity
US5231239A (en) * 1992-04-28 1993-07-27 Ricos Co., Ltd. Music reproduction device for restarting a song at selected positions
JP3264994B2 (ja) * 1992-09-22 2002-03-11 パイオニア株式会社 記録媒体演奏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9969B1 (ko) * 1997-02-04 2005-09-16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정보신호기록및재생장치와기록및재생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677848A4 (en) 1996-07-10
US5737308A (en) 1998-04-07
EP0677848A1 (en) 1995-10-18
WO1995012201A1 (fr) 1995-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82087B1 (ko) 특수재생용 기록매체 및 재생장치
KR100228028B1 (ko) 다종 언어 대응형 기록매체 및 재생장치
US5999695A (en) Multilingual recording medium and reproduction apparatus
JP3696327B2 (ja) 情報記録装置及び方法並びに情報再生装置及び方法
EP1229539B1 (en)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apparatus for recording the same and apparatus for reproducing the same
US5243582A (en) Apparatus for reproducing digital audio information related to musical accompaniments
JPH07176175A (ja) 特殊再生用記録媒体及び再生装置
JP3625316B2 (ja) 光ディスク再生装置
JP3787912B2 (ja) 再生装置、再生方法および記録方法
JP2914936B2 (ja) 多種言語対応型記録媒体の信号記録方法及び装置
KR100370371B1 (ko) 휴대용 씨디 플레이어에서의 데이터 재생 방법
KR19990069563A (ko) 노래반주용 디지탈 비디오디스크와 이의 재생방법
JP4293072B2 (ja) 楽曲再生装置
JPH09185863A (ja) ディスク装置
JP2768833B2 (ja) 多種言語対応型記録媒体の再生装置
JPH05159525A (ja) 情報記録ディスク及びディスク再生装置
JPH08267963A (ja) フローチャート作成用シートならびにオーサリングシステムおよびオーサリング方法
JPH035029Y2 (ko)
KR100282271B1 (ko) 비디오 씨디 시스템의 점수 표시 방법
KR19980080201A (ko) 프로그램 및 데이터 정보를 재생하는 재생장치
JP3885041B2 (ja) 情報記録媒体並びにその再生装置及び再生方法
JPH05159468A (ja) 情報記録ディスク及び音楽画像再生装置
JP4496485B2 (ja) カラオケ装置
KR970002863B1 (ko) 영상노래반주전용 디스크 기록매체와 그 재생방법 및 장치
WO1995012198A9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24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