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1602B1 - 자동차의 도어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도어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1602B1
KR0181602B1 KR1019960051004A KR19960051004A KR0181602B1 KR 0181602 B1 KR0181602 B1 KR 0181602B1 KR 1019960051004 A KR1019960051004 A KR 1019960051004A KR 19960051004 A KR19960051004 A KR 19960051004A KR 0181602 B1 KR0181602 B1 KR 01816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opening
open
door handle
lead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10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1452A (ko
Inventor
김명환
Original Assignee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600510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81602B1/ko
Publication of KR199800314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14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16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16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54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76Transmission of human force
    • E05Y2201/68Handles, cran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도어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탑승자가 하차시에 도어를 개방하기위해 사용하는 제 1 내측도어핸들(10)과, 내측개방레버(32)를 포함하는 도어개폐부(30)와, 일단은 상기 제 1 내측도어핸들(10)의 일단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내측개방레버(32)에 연결되는 제 1 개방리드선(12)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자동차의 도어 개폐장치에 있어서, 도어트림(40)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 2 내측도어핸들(20)과, 상기 제 2 내측도어핸들(20)이 회동될 때 상기 내측개방레버(32)가 포함된 상기 도어개폐부(30)가 작동되도록 일단은 상기 제 1 개방리드선(12)의 소정위치 또는 상기 내측개방레버(32)의 소정위치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 2 내측도어핸들(20)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 2 개방리드선(2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도어 개폐장치를 제공하여, 3도어 자동차의 리어시트에 탑승한 탑승자의 하차시 제 2 내측도어핸들(20)을 사용하여 도어를 개방할 수 있게 함으로써 하차 편의성을 제공하고 운전자의 안전운전을 도모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도어 개폐장치
본 발명은 자동차 도어의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3도어 또는 2도어 자동차의 도어 개폐장치에 있어서 프론트시트 탑승자가 사용하는 제 1 내측도어핸들과는 별도로 리어시트 탑승자가 사용하는 제 2 내측도어핸들이 도어의 후방 일측에 형성되어, 리어시트 탑승자가 도어를 개방하고 하차함에 있어서 리어시트에 보다 가까운 위치에 설치되는 제 2 내측도어핸들을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도어 개방과 하차에 편의성을 제공하는 자동차의 도어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탑승자의 승하차에 필요한 도어가 구비되어 있다.
3도어 자동차의 경우에는 자동차의 좌·우 측면에 설치되는 2개의 도어(제 1 도어와 제 2 도어)와 후면에 설치되는 1개의 도어(해치)가 구비되는 해치백 스타일로 구성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이러한 해치백 3도어 자동차의 경우에는 운전자 이외의 탑승자가 승·하시에 이용하는 도어는 운전자가 사용하는 도어(제 1도어)의 타측에 설치되는 제 2 도어가 된다.
또한 상기의 3도어 자동차와는 달리 후면에 설치되는 1개의 도어(해치)가 없고 트렁크룸이 자동차 실내와 독립되어 형성되는 2도어 자동차의 경우도 동일하다.
상기의 3도어 자동차 또는 2도어 자동차의 경우에는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 이외의 탑승자가 승하시에 이용하는 도어는 운전자가 사용하는 제 1도어의 타측에 설치되는 제 2 도어(A) 만 있으므로, 자동차의 실내에 탑승자용 시트로서 프론트시트(B)와 리어시트(C)가 모두 구비되는 경우, 리어시트(C) 탑승자가 하차하기 위해서는 프론트시트(B)가 전방으로 접히도록 하고 프런트시트(B) 측방에 설치된 제 2 도어(A)를 통하여 하차하여야 한다.
그런데, 종래의 3도어 자동차 또는 2도어 자동차의 제 2 도어(A)의 도어트림에는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내측도어핸들(Aa) 만이 설치되어 있으며 그 설치위치도 프론트시트(B) 탑승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전방으로 치우쳐 설치되어 있어서, 프론트시트(B)에 운전자 이외의 탑승자가 없는 경우에 상기와 같이 리어시트(C) 탑승자가 제 2 도어(A)를 개방하여 하차하기 위해서 리어시트(C) 탑승자가 제 2 도어(A)에 설치된 내측도어핸들(Aa)을 파지하고 회동시켜서 제 2 도어(A)를 개방하기에 내측도어핸들(Aa)의 설치위치가 멀기 때문에 리어시트(C)에서 일어나서 상체를 전방으로 숙이고 내측도어핸들(Aa)을 회전시켜야 하는 등 하차가 불편하고 하차시간도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운전자가 대신하여 내측도어핸들(Aa)을 회동시켜 제 2 도어(A)를 개방하는 경우에는 운전자의 주의가 산만하여져 안전운전을 방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리어시트(C) 탑승자가 유아를 안고 탑승한 경우에는 탑승자가 안고있던 유아를 리어시트(C)에 내려놓고 내측도어핸들(Aa)을 회동시켜 제 2 도어(A)를 개방한 후에 다시 유아를 안고 개방된 제 2 도어(A)를 통하여 하차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3도어 또는 2도어 자동차의 도어 개폐장치에 있어서 프론트시트 탑승자가 사용하는 제 1 내측도어핸들과는 별도로 리어시트 탑승자가 사용하는 제 2 내측도어핸들을 형성하여, 리어시트 탑승자가 내측도어핸들을 회동시켜서 도어를 개방하고 하차함에 있어서 리어시트에 보다 가까운 위치에 설치되는 제 2 내측도어핸들을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도어 개방과 하차에 편의성을 제공하는 수단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는 제 1 내측도어핸들과, 내측개방레버를 포함하는 도어개폐부와, 일단은 상기 제 1 내측도어핸들의 일단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내측개방레버에 연결되는 제 1 개방리드선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자동차의 도어 개폐장치에 있어서, 도어트림의 후방 일측에 설치되는 제 2 내측도어핸들과, 상기 제 2 내측도어핸들이 회동될 때 상기 내측개방레버가 포함된 상기 도어개폐부가 작동되도록 일단은 상기 제 1 개방리드선의 소정위치 또는 상기 도어개폐부의 내측개방레버의 소정위치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 2 내측도어핸들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 2 개방리드선이 형성되는 자동차의 도어 개폐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도 1은 종래의 3도어 자동차의 내측도어핸들의 설치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3도어 자동차의 도어 개폐장치의 실시예를 보인 요부사시도 로서, 도 2(가)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보인 것이고, 도 2(나)는 본 발명의 실시예 2를 보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사용상태 및 작동상태도로서, (가)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도어의 개방작동을 보인 것이고, (나)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도어의 개방작동을 보인 것이다.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0 : 제 1 내측도어핸들 12 : 제 1 개방리드선
20 : 제 2 내측도어핸들 22 : 제 2 개방리드선
24 : 고정구 24a : 연결공
30 : 도어개폐부 32 : 내측개방레버
34 : 레버힌지 36 : 포크볼트
38 : 스트라이크 40 : 도어트림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의 도어 개폐장치의 실시예 1과 실시예 2를 첨부된 도 2(가)와 도 3(가) 그리고 도 2(나)와 도 3(나)에 도시된 바에 따라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의 도어 개폐장치의 실시예 1은 도 2(가)와 도 3(가)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트림(40)의 전방 일측에 설치되는 제 1 내측도어핸들(10)과, 도어트림(40)의 후방 일측에 설치되는 제 2 내측도어핸들(20)과, 내측개방레버(32)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도어개폐부(30)와, 일단은 상기 제 1 내측도어핸들(10)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도어개폐부(30)의 내측개방레버(32)에 연결되는 제 1 개방리드선(12)과, 상기 제 2 내측도어핸들(20)이 회동될 때 상기 내측개방레버(32)가 포함된 상기 도어개폐부(30)가 작동되도록 일단은 상기 제 1 개방리드선(12)의 소정위치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 2 내측도어핸들(20)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 2 개방리드선(22)이 형성되는 자동차의 도어 개폐장치를 구성한다.
상기 도어개폐부(30)는 차체에 돌출되도록 결합되는 스트라이크(38)와, 상기 스트라이크(38)로부터 탈거되거나 상기 스트라이크(38)에 결합되게 회동되도록 도어(50)의 일측에 형성되는 포크볼트(36)와, 상기 포크볼트(36)가 상기 스트라이크(38)로부터 탈거되게 회동되도록 형성되는 내측개방레버(32)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제 1 개방리드선(12)은, 제 1 내측도어핸들(10)이 회동되는 경우 상기 도어개폐부(30)의 내측개방레버(32)도 레버힌지(34)를 중심으로 회동되어 상기 포크볼트(36)가 상기 스트라이크(38)로부터 탈거되도록, 일단은 상기 도어개폐부(30)의 내측개방레버(32)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 1 내측도어핸들(10)의 일측에 연결된다.
상기 제 2 개방리드선(22)은, 도어트림(40)의 후방 일측에 설치되는 제 2 내측도어핸들(20)이 회동되는 경우 상기 도어개폐부(30)의 내측개방레버(32)도 함께 회동되어 상기 포크볼트(36)가 상기 스트라이크(38)로부터 탈거되도록, 일단은 상기 제 1 개방리드선(12)의 소정위치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 2 내측도어핸들(20)의 일측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 2 개방리드선(22)은 고정구(24)의 일측에 형성된 연결공(24a)에 상기 제 2 개방리드선(22)의 일단을 삽입하고 그 단부를 절곡하여 고정구(24)로부터 분리되지 않게하고 고정구(24)의 타측을 상기 제 1 개방리드선(12)의 소정위치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결합하여 상기 제 1 개방리드선(12)과 연결된다.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의 도어 개폐장치의 실시예 2는 도 2(나)와 도 3(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트림(40)의 전방 일측에 설치되는 제 1 내측도어핸들(10)과, 도어트림(40)의 후방 일측에 설치되는 제 2 내측도어핸들(20)과, 내측개방레버(32)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도어개폐부(30)와, 일단은 상기 제 1 내측도어핸들(10)의 일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도어개폐부(30)의 내측개방레버(32)에 연결되는 제 1 개방리드선(12)과, 상기 제 2 내측도어핸들(20)이 회동될 때 상기 내측개방레버(32)가 포함된 상기 도어개폐부(30)가 작동되도록 일단은 상기 내측개방레버(32)의 소정위치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 2 내측도어핸들(20)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 2 개방리드선(22)이 형성되는 자동차의 도어 개폐장치를 구성한다.
또한 실시예 2에서의 상기 제 2 개방리드선(22)은 도어트림(40)의 후방 일측에 설치되는 제 2 내측도어핸들(20)이 회동되는 경우 상기 도어개폐부(30)의 내측개방레버(32)도 함께 회동되어 상기 포크볼트(36)가 상기 스트라이크(38)로부터 탈거되도록, 일단은 상기 상기 도어개폐부(30)의 내측개방레버(32)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 2 내측도어핸들(20)의 일측에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의 작용을 도 2(가)와 도 3(가)를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3도어 자동차의 리어시트 탑승자가 도어트림(40)의 후방 일측에 설치되는 제 2 내측도어핸들(20)을 화살표 방향으로 소정각도 만큼 회동시키는 경우 제 2 내측도어핸들(20)의 일단에 연결된 제 2 개방리드선(22)이 시계방향으로 이동되며 당겨지고 연결공(24a)이 형성된 고정구(24)에 의해서 일체로 연결된 제 1 개방리드선(12)도 좌·상의 방향으로 당겨진다.
상기와 같이 제 1 개방리드선(12)이 당겨지면 제 1 개방리드선(12)에 연결되고 도어개폐부(30)를 구성하는 내측개방레버(32)가 레버힌지(34)를 중심으로 화살표 방향으로 회동되면서 도어개폐부(30)를 구성하는 포크볼트(36)가 차체에 고정설치된 스트라이크(38)에 걸려있는 걸림상태에서 스트라이크(38)를 밀어내면서 스트라이크(38)로부터 탈거되어 풀림상태로 전환되고 또한 스트라이크(38)는 차체에 고정설치되어 있으므로 반작용으로 도어힌지를 중심으로 도어(50)가 외측으로 회동되면서 도어(50)가 개방된다.
또한 제 2 내측도어핸들(20)을 회동시켜 도어(50)를 개방시키는 경우 연결되어 구성된 제 1 개방리드선(12)과 제 1 내측도어핸들(10)도 함께 연동되나 제 2 내측도어핸들(20)이 가하여진 조작력이 제거되면 제 2 내측도어핸들(20)과 제 1 내측도어핸들(10)은 각각에 설치된 비틀림스프링(미도시)의 작용으로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고 따라서 연결된 제 1 개방리드선(12) 과 제 2 개방리드선(22) 및 도어개폐부(30)의 내측개방레버(32)도 복귀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 의 작용을 도 2(나)와 도 3(나)를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3도어 자동차의 리어시트 탑승자가 도어트림(40)의 후방 일측에 설치되는 제 2 내측도어핸들(20)을 화살표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경우 제 2 내측도어핸들(20)의 일단에 연결된 제 2 개방리드선(22)이 당겨지고, 제 2 개방리드선(22)이 당겨지면 제 2 개방리드선(22)에 연결되고 도어개폐부(30)를 구성하는 내측개방레버(32)가 레버힌지(34)를 중심으로 화살표 방향으로 회동되면서 도어개폐부(30)를 구성하는 포크볼트(36)가 차체에 고정설치된 스트라이크(38)에 걸려있는 걸림상태에서 스트라이크(38)를 밀어내면서 스트라이크(38)로부터 탈거되어 풀림상태로 전환되고 또한 스트라이크(38)는 차체에 고정설치되어 있으므로 반작용으로 도어힌지(미도시)를 중심으로 도어(50)가 외측으로 회동되면서 도어(50)가 개방된다.
또한 실시예 1에서 설명된바와 같이 연결되어 구성된 제 1 개방리드선(12)과 제 1 내측도어핸들(10)도 함께 연동되나 제 2 내측도어핸들(20)이 가하여진 조작력이 제거되면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고 따라서 연결된 제 1 개방리드선(12) 과 제 2 개방리드선(22) 및 도어개폐부(30)의 내측개방레버(32)도 복귀된다.
그리고 상기한 실시예 1 과 실시예 2에서, 탑승자가 하차하고 도어(50)의 사용이 종료되어 도어(50)를 닫는 경우에 이미 개방동작에 의해 도어개폐부(30)의 포크볼트(36)는 풀림상태로 회동되어 있어서 차체에 고정설치된 스트라이크(38)와의 재 결합시의 충격력에 의해 걸림상태로 복원되며, 통상 이와 같이 복원되는 과정은 도어개폐부(30)에서만 이루어지고 내측개방레버(32)에 의해 연결되는 제 1 개방리드선(12)과 제 2 개방리드선(22) 및 제 1 내측도어핸들(10)과 제 2 내측도어핸들(20)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도어(50)를 닫은 후에는 도어(50)개방 전의 최초상태와 동일한 상태로 복원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과 실시예 2 모두에서, 프론트시트의 탑승자가 제 1 내측도어핸들(10)을 회동시켜 도어(50)를 개방시키는 경우 연결되어 구성된 제 2 개방리드선(22)과 제 2 내측도어핸들(20)도 함께 연동되나 제 1 내측도어핸들(10)이 가하여진 조작력이 제거되면 제 1 내측도어핸들(10)과 제 2 내측도어핸들(20)은 각각에 설치된 비틀림스프링(미도시)의 작용으로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고 따라서 연결된 제 1 개방리드선(12) 과 제 2 개방리드선(22) 및 도어개폐부(30)의 내측개방레버(32)도 복귀된다.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의 도어 개폐장치에 따르면, 3도어 자동차의 리어시트 탑승자가 도어트림(40)에 설치된 2개의 내측도어핸들(10,20) 중에서 어느 하나의 내측도어핸들을 회동시키는 경우 내측도어핸들의 일단에 연결된 제 1 개방리드선(12) 또는 제 2 개방리드선(22)이 당겨지면서 도어개폐부(30)를 구성하는 내측개방레버(32)가 레버힌지(34)를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도어개폐부(30)를 풀림상태로 전환시키면서 도어힌지(미도시)를 중심으로 도어(50)가 외측으로 회동되면서 도어(50)가 개방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3도어 또는 2도어 승용차의 리어시트 탑승자가 하차하기 위하여 프론트시트의 측방에 설치되는 도어(50)를 개방하고자 하는 경우 도어트림(40)의 후방 일측에 형성된 제 2 내측도어핸들(20)을 회동시켜서 도어(50)를 개방할 수 있게 함으로써, 3도어 또는 2도어 승용차의 리어시트 탑승자의 도어(50) 개방을 용이하게 하여 하차의 불편함을 저감시키고 하차시간도 단축시키는 효과가 제공되며, 또한 운전자가 대신하여 제 1 내측도어핸들(10)을 회동시켜 도어를 개방하여 줄 필요성도 저감되어 운전자의 안전운전에도 도움을 주는 효과도 제공된다.

Claims (3)

  1. 도어트림(40)의 전방 일측에 설치되는 제 1 내측도어핸들(10)과, 도어(50)의 일측에 설치되는 내측개방레버(32)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도어개폐부(30)와, 일단은 상기 제 1 내측도어핸들(10)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내측개방레버(32)에 연결되는 제 1 개방리드선(12)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자동차의 도어 개폐장치에 있어서, 도어트림(40)의 후방 일측에 설치되는 제 2 내측도어핸들(20)과, 상기 제 2 내측도어핸들(20)이 회동될 때 상기 내측개방레버(32)가 포함된 상기 도어개폐부(30)가 작동되도록 일단은 상기 제 1 개방리드선(12)의 소정위치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 2 내측도어핸들(20)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 2 개방리드선(2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도어 개폐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개방리드선(22)의 일단은 상기 제 1 개방리드선(12)의 소정위치에 일체로 결합되는 고정구(24)의 연결공(24a)에 삽입되고 단부가 절곡되어 상기 제 1 개방리드선(12)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도어 개폐장치.
  3. 도어트림(40)의 전방 일측에 설치되는 제 1 내측도어핸들(10)과, 도어(50)의 일측에 설치되는 내측개방레버(32)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도어개폐부(30)와, 일단은 상기 제 1 내측도어핸들(10)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내측개방레버(32)에 연결되는 제 1 개방리드선(12)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자동차의 도어 개폐장치에 있어서, 도어트림(40)의 후방 일측에 설치되는 제 2 내측도어핸들(20)과, 상기 제 2 내측도어핸들(20)이 회동될 때 상기 내측개방레버(32)가 포함된 상기 도어개폐부(30)가 작동되도록 일단은 내측개방레버(32)의 소정위치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 2 내측도어핸들(20)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 2 개방리드선(2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도어 개폐장치.
KR1019960051004A 1996-10-31 1996-10-31 자동차의 도어 개폐장치 KR01816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1004A KR0181602B1 (ko) 1996-10-31 1996-10-31 자동차의 도어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1004A KR0181602B1 (ko) 1996-10-31 1996-10-31 자동차의 도어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1452A KR19980031452A (ko) 1998-07-25
KR0181602B1 true KR0181602B1 (ko) 1999-04-01

Family

ID=19480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1004A KR0181602B1 (ko) 1996-10-31 1996-10-31 자동차의 도어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8160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1452A (ko) 1998-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008088A1 (en) Motor Vehicle Comprising an Actuator for Opening the Side Door
JP3925008B2 (ja) 自動車のシートベルト装置
EP2006142B1 (en) Retractable roof system for vehicle
KR0181602B1 (ko) 자동차의 도어 개폐장치
JPH0725417Y2 (ja) トーイングトラスタのエンジンフードロック
JP7018861B2 (ja) スライドドア付き車両
JP3725757B2 (ja) 自動車におけるバックドアのロック解除防止機構
KR100424883B1 (ko) 자동차용 테일 게이트 아웃사이드 핸들장치
JP3244805B2 (ja) 車両のインパネ形成方法
US4047737A (en) Seat belt system for motor cars
JPH0370627A (ja) 車両用摺動屋根装置
JPH0671815U (ja) 電動式フューエルリッドオープナの駆動装置
KR100186282B1 (ko) 자동차용 도어 오픈장치
KR0135385Y1 (ko) 자동차용 본네트 스테이
JP3196545B2 (ja) 自動車用トランクトリム及びその取付方法
JP4003158B2 (ja) アシストグリップ
JP3151170U (ja) 車両のドア構造
JPH039449Y2 (ko)
JP2001303825A (ja) 自動車におけるバックドアのロック解除防止機構
JPH06107106A (ja) 自動車用装備品
KR100191809B1 (ko) 자동차의 트렁크리드 자동 잠금 장치
KR200149231Y1 (ko) 차량의 테일게이트 잠금해제장치
KR0184983B1 (ko) 자동차용 도어 개폐 장치
JPH10175445A (ja) 自動車
JPH1159184A (ja) 自動車のドア操作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1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