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0937B1 - 포크 리프트의 승강장치 - Google Patents

포크 리프트의 승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0937B1
KR0180937B1 KR1019940005821A KR19940005821A KR0180937B1 KR 0180937 B1 KR0180937 B1 KR 0180937B1 KR 1019940005821 A KR1019940005821 A KR 1019940005821A KR 19940005821 A KR19940005821 A KR 19940005821A KR 0180937 B1 KR0180937 B1 KR 01809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lift
gutter
rollers
bracke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058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21411A (ko
Inventor
다까히또 이와모또
마사노부 시부야
Original Assignee
이소까이 찌세이
가부시끼 가이샤 도요다 지도쇽끼 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소까이 찌세이, 가부시끼 가이샤 도요다 지도쇽끼 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이소까이 찌세이
Publication of KR9400214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214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09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09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20Means for actuating or controlling masts, platforms, or for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 B66F9/12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longitudinally mov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 Accessories And Tools For Shear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 작업성이 양호한 부품 갯수가 작은 거터 캐치 롤러를 가지며, 소음이 적은 포크 리프트의 승강 장치를 제공한다.
상하 한쌍의 리프트 롤러(141, 142)와, 거터 캐치 롤러(20)를 가지는 리프트 브래킷(121, 122)이 승강한다. 거터 캐치 롤러(20)는 마스트 레일(40)을 따라서 전동하는 압축 롤러(22)와, 이 압축 롤러를 지지하는 축부(20) 및 이 축부에 대하여 편심한 축심을 가지는 수나사부(30)를 갖는 편심핀(24)과, 리프트 브래킷(121, 122)에 부착하기 위한 고정 너트를 가진다.
수나사부(30)의 나사방향은 편심핀(24)이 편심하여 있음으로써 받는 회전 모멘트에 의하여 나사의 풀림이 생기지 않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포크리프트의 승강 장치(Lilting mechanism of folkift truck)
제1도는 제1실시예의 포크리프트의 승강 장치의 설명도.
제2도는 제1도의 A-A선을 취한 단면도의 좌측부분의 확대도.
제3a도는 제1실시예의 거터 방지 롤러(rattle resistant roller)의 배면도.
제3b도는 제1실시예의 거터 방지 롤러의 평면도.
제4도는 제2실시예의 승강 장치의 설명도.
제5도는 종래 승강 장치의 평면도.
제6도는 종래 승강 장치의 설명도.
제7도는 종래 승강 장치에서 리프트 브래킷의 요동 설명도.
제8도는 제6도에서 거터 방지 롤러를 설치하였을 때의 요도 설명도.
제9도는 종래 승강 장치에서 거터 방지 롤러의 편심핀에 작용하는 회전 모멘트의 설명도.
제10도는 종래 승강 장치에서 거터 방지 롤러의 분해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승강 장치 20 : 거터 방지 콜러(rattle resistant roller)
22 : 압축 롤러 24 : 편심핀
26 : 축부 30 : 수나사부
32 : 고정너트 121, 122 : 리프트 브래킷
141, 142 : 리프트 롤러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발명은 포크 리프트의 승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마스트 레일과 리프트 롤러와의 사이의 거터(rattle : 덜걱 덜걱 소리를 내는 현상)로 인하여 발생하는 소음을 감소하기 위한 거터 방지 롤러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
하역용 포트를 승강시키는 포크 리프트의 승강장치(1)는 제5도 및 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 안내용의 (내부) 마스트 레일(401, 402)을 따라서 포크 캐리지(fork carriage)(10)를 승강시키는 것이다.
포크 캐리지(10)는 포크(49)와, 상기 포크(49)를 부착하는 차폭 방향으로 나란히 설치된 핑거바(finger bar)(431, 432)와, 상기 핑거바(431, 432)와 연결된 좌우 1쌍의 리프트 브래킷(121, 122)을 가지고 있다.
리프트 브래킷(121, 122)에는 회전이 자유로운 리프트 롤러(141, 142)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리프트 롤러(141, 142)를 마스트 레일(401, 402)의 전후 플랜지면(421, 422)을 따라서 굴러가게 하여 포크 캐리지(10)를 승강시킨다.
또, 리프트 브래킷(121, 122)의 후부에는, 포크 캐리지(10)를 승강 구동하는 체인(도시안됨)을 장착하기 위한 체인 앵커(45)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제5도에서 부호(46)는 외부 마스트, 부호(461)는 마스트 롤러이고, 부호(47)는 리프트 실린더, 부호(471)는 실린더 로드이다.
그리고, 리프트 롤러(141, 142)가 마스트 레일(40)을 따라서 미끄러지듯이 굴러감으로써, 리프트 롤러(141, 142)의 직경(D)은 상기 플랜지면(421, 422)의 간격(G) 보다는 약간 작다. 즉, 제6도 및 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프트 롤러(141, 142)와 플랜지면(421, 422)과의 사이에는 갭(δ1)이 있다.
이 때문에, 제6도에 도시하는 거터 방지 롤러(90)를 설치하지 않은 경우에는 포크 리프트의 주행중에 발생하는 진동 때문에 제7도의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리프트 롤러(141, 142)가 전후 플랜지면(421, 442) 사이를 부동하고 (float), 타음을 발생시키는 문제가 있다.
즉, 포크 캐리지(10)의 중심(W)은 체인 앵커(45)의 전방에 있기 때문에, 통상시에는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의 리프트 롤러(141)가 전방 플랜지면(421)에 맞닿아 있고, 하부의 리프트 롤러(142)가 후방 플랜지면(422)에 맞닿아 있다.
그런데 차체에 진동이 발생하면,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프트 롤러(141, 142)가 상기 플랜지면(421, 422)에서 떨어져서 다시 복귀할 때에는 격렬한 타음을 발생시킨다.
리프트 롤러(141, 142)의 이러한 부동음을 억제하기 위해서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프트 롤러(141, 142)의 부동을 억누르기 위한 거터 방지 롤러(90)를 설치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일본 특개소 59-124696호 참조).
상기 거터 방지 롤러(90)는 리프트 브래킷(121, 122)에 장착되어 리프트 롤러(141, 142)의 부동을 억제하는 것이다.
거터 방지 롤러는 리프트 롤러(141, 142)의 상부(제6도) 또는 하부의 외측에 설치하는 경우와, 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프트 롤러(141, 142)의 중간에 설치하는 경우가 있다.
이 거터 방지 롤러(90)에서 리프트 롤러(141, 142)의 부동 억제 작용에 대하여, 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거터 방지 롤러(90)를 상하의 리프트 롤러(141, 142)의 중간에 설치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거터 방지 롤러(90)를 설치하지 않는 경우는, 리프트 브래킷(121, 122)은 체인 앵커(45)의 지점(T)을 중심으로 요동하고, 리프트 롤러(141, 142)는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플랜지면(421, 422)과의 접촉 상태로부터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플랜지면(422, 421)과의 접촉 상태로 변화한다.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프트 롤러(141, 142)의 축간 거리를 L1, 리프트 브래킷(121, 122)의 요동에 의한 회전각을 θ1, 이 회전에 의해 포크 캐리지(10)의 중심(W)이 부상하는 높이를 h1으로 하고, 포크 캐리지(10)의 질량을 M으로 하면, 리프트 브래킷(121, 122)의 회전에 의한 거터음의 에너지는 Mgh1이다(g는 중력 가속도).
그래서, h1은 θ1에 거의 비례하고, θ1은 다음 식으로 나타난다.
θ1≒ sin-1(2δ1/L1)
한편, 거터 방지 롤러(90)를 설치한 경우는, 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프트 브래킷(121, 122)의 회전각은 θ2로 변화하여 부상 높이는 h2로 변화하고, 거터음의 에너지는 Mgh2는 변한다. 그래서 h2는 θ2에 거의 비례하고, θ2는 다음 식으로 나타난다.
θ2≒ sin-11/L2)
여기서, L2는 거터 방지 롤러(90)와의 축간 거리가 큰 리프트 롤러(141)와, 거터 방지 롤러(90)와의 사이의 축간 거리이다.
그래서 L2L1/2이기 때문에 θ2θ1이고, Mgh2Mgh1으로 되어 거터 방지 롤러(90)를 설치함으로써 거터음은 떨어진다.
또, 제7도 및 8도에서 X1은 포크 캐리지의 지점 T와 중심 W와의 사이의 거리이다.
또한, 거터 방지 롤러(90)는, 제9도 및 1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랜지면(422, 421)에 접하는 회전 가능한 압축 롤러(22)와, 편심핀(24)과, 고정 너트(91)(제10도)를 가진다.
상기 편심핀(24)은 압축 롤러(22)를 지지하는 축부(26)와, 거터 방지 롤러(90)를 고정 너트(91)로써 리프트 브래킷(121, 122)에 부착하기 위한 수나사부(92)를 가진다.
그리고, 제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나사부(92)의 축심(921)과 축부(26)의 축심(261)으로는 거터 방지 롤러(90)의 위치를 조정하기 때문에 축의 편의값 △C 만큼 편심되어 있다.
따라서, 수나사부(92)를 리프트 브래킷(121, 122)에 부착하여 수나사부(92)를 그 축심(921)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면 축부(26)의 축심(261)은 반경 △C의 원호를 그리며 회전한다.
그러므로 거터 방지 롤러(90)를 리프트 브래킷(121, 122)에 부착하였을 때, 압축 롤러(22)의 외주면(221)(제9도)은 ±△C 만큼 전후 방향으로 변동한다. 따라서 제9도에서 거터 방지 롤러(90)의 수나사부(92)의 축심(921)과, 전방 플랜지면(42)과의 간격은 ±△C 만큼 변동하여도 거터 방지 롤러(90)는 전방 플랜지면(421)과 접촉할 수 있다.
즉, 거터 방지 롤러(90)는 리프트 롤러(141, 142)와 플랜지면(421, 422)과의 갭(δ1)(제4도)이 약간 변동하여도 플랜지면(421, 422)에 접촉할 수 있다.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러나 종래의 승강 장치에서 거터 방지 롤러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즉, 제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거터 방지 롤러(90)가 전방 플랜지면(421)을 압축하고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축부(26)의 축심(261)이 수나사부(92)의 축심(921)의 아래에 있을 때에는, 도시한 바와 같이 반력(F)에 의해 회전 모멘트(M)를 받는다.
그리고, 좌우의 리프트 브래킷(121, 122)에 부착되는 거터 방지 롤러(90)는 그 축방향이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여 있으며(제5도 참조), 한편 상기 모멘트(M)는 동일한 방향이다.
따라서, 좌우의 거터 방지 롤러(90)에 작용하는 회전 모멘트(M)는 한편의 거터 방지 롤러(90)의 나사를 풀고 다른편을 체결하는 작용을 한다.
그래서 고정 너트(91)를 단일 너트로 한 경우, 어느 한편의 거터 방지 롤러(90)의 부착이 풀어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이 때문에, 회전 모멘트(M)에 의하여 고정 너트(91)가 풀어지지 않도록 제1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 너트(91)는 예를 들면 이중 너트(911, 912)로써 구성되어 있어서 너트의 수가 많고 비용이 많이 든다.
또 제10도에서 부호(913)는 와셔이다.
또한, 거터 방지 롤러(9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축방향이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여 있기 때문에(제5도), 거터 방지 롤러(90)의 나사를 체결하든가 푼다고 하는 경우 작업성이 나쁘다는 문제가 있다.
거터 방지 롤러(90)의 나사체결 작업은 작업자의 몸을 포크 리프트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향하면서 하게 된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나사를 체결하는 경우에는 한편의 거터 방지 롤러(90)에 대하여 공구를 위에서 아래로 향하여 조작한다고 하면, 다른쪽의 거터 방지 롤러(90)에 대하여는 공구를 아래에서 위로 향하여 조작하여야만 한다.
이와 같이 공구를 반대 방향으로 조작하여 거터 방지 롤러(90)를 리프트 브래킷(121, 122)에 조립하는 것은 판단 공정을 들어오게 함과 동시에 동작 방향이 반전하기 때문에 작업성이 나쁘다.
본 발명은 관련된 종래의 문제점에 비추어서, 조립 작업성이 양호한 부품의 갯수가 적은 거터 방지 롤러를 가지고, 소음이 적은 포크 리프트의 승강 장치를 제공하도록 하는 것이다.
[과제의 해결수단]
본 발명은 적어도 상하 한쌍의 리프트 롤러를 장착한 좌우 1쌍의 리프트 브래킷과, 상기 리프트 브래킷의 승강를 안내하며 상기 리프트 롤러가 굴러가는 전후 플랜지면을 갖는 마스트 레일을 가지는 포크 리프트의 승강 장치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 브래킷은 플랜지면을 따라서 굴러가면서 동시에 리프트 롤러가 전후 플랜지면 사이를 부동하는 것을 억제하는 거터 방지 롤러를 가지고, 상기 거터 방지 롤러는 플랜지면을 따라서 굴러가는 압축 룰러와, 상기 압축롤러를 지지하는 축부 및 이 축부에 대하여 편심한 축심을 갖는 수나사부를 가지는 편심 핀과, 상기 수나사부에 나사식으로 고정하여 거터 방지 롤러를 리프트 브래킷에 부착하는 고정 너트를 가지고 있고, 한편의 리프트 브래킷에 있는 거리 방지 롤러의 수나사부와 다른편의 리프트 브래킷에 있는 거터 방지 롤러의 수나사부의 나사방향은 서로 좌우 반대로 되어 있고, 이 좌우의 나사방향은 상기 편심핀이 그 축심의 어긋남에 의하여 받는 회전 모멘트에 의해 수나사부가 고정 너트를 체결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크 리프트의 승강장치이다.
본 발명에서 가장 주목해야 할 점은 한편의 리프트 브래킷에 있는 수나사부와 다른 편의 리프트 브래킷에 있는 수나사부의 나사방향이 서로 좌우 반대로 되어 있다는 것이다.
즉, 한편의 나사가 왼나사이면 다른편은 오른나사로 되어 있다.
그래서, 상기 나사방향은 거터 방지 롤러가 플랜지면을 압축하였을 때 편심핀의 축부의 축심과 수나사부의 축심이 편심함으로써 생기는 회전 모멘트에 의해 수나사부가 고정 너트를 체결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후술하는 제1도와 같은 위치에 거터 방지 롤러를 배치한 경우에는 우측의 리프트 브래킷에 부착한 거터 방지 롤러는 왼나사로 하고, 좌측의 리프트 브래킷에 부착한 거터 방지 롤러는 오른나사로 한다.
그 결과 플랜지면을 압축한 거터 방지 롤러에 작용하는 회전 모멘트(M)(제9도)는 고정 너트를 체결하는 작용을 한다.
또한 상기 거터 방지 롤러는 상이 한쌍의 리프트 롤러의 중간 위치에 설치하는(제1도) 것이 양호하다.
이 경우에는 리프트 롤러의 간격을 종래와 동일하게 한채로 리프트 브래킷의 상하 방향의 길이를 크게 하지 않고 거터 방지 롤러를 설치할 수 있다.
한편 거터 방지 롤러를 상부 리프트 롤러의 상단(제4도) 또는 하부 리프트 롤러의 하단에 설치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거터 방지 롤러와 리프트 롤러는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후 플랜지 면(421, 422)과 교차하여 3점 A, B, C에서 접하여 있고, 리프트 롤러와 플랜지면과의 갭(δ1)에 의한 리프트 브래킷의 전후 방향의 요동은 전혀 발생하지 않는다.
즉, 먼저 거터 방지 롤러는 후방 플랜지면(422)과 점 A에서 접하고, 상부 리프트 롤러는 전방 플랜지면(421)과 점 B에서 접촉한다. 그리고 하부 리프트 롤러는 다시 후방 플랜지면(422)과 점 C에서 접한다.
그 때문에 전후의 플랜지면(421, 422)의 사이를 리프트 브래킷이 요동하지 않는다.
[작용 및 효과]
본 발명의 포크 리프트의 승강 장치에는 거터 방지 롤러를 설치하고 있어서 리프트 브래킷이 마스트 레일의 전후 플랜지면의 사이를 요동하는 것을 억제시킨다. 그 때문에 포크 캐리지의 부동으로 인한 소음이 억제된다.
한편, 거터 방지 롤러의 편심핀에 작용하는 회전 모멘트(M)는 거터 방지 롤러의 고정 너트를 체결하는 작용을 한다. 따라서 고정 너트는 종래 장치와 같이 이중 너트로 할 필요가 없고 단일 너트로 하여도 좋다.
그 때문에 거터 방지 롤러의 부품의 개수가 적어지게 되고, 비용을 낮출 수가 있다.
또한, 좌우 리프트 브래킷에 설치한 편심핀의 나사 방향은 서로 반대로 되어 있고, 한편 편심핀의 축방향도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고 있다.
따라서, 거터 방지 롤러를 리프트 브래킷에 나사로 조이는 경우, 나사를 체결하든가 풀 때 공구의 상하의 조작 방향은 동일한 방향이다.
이에 따라 작업자가 몸을 차의 전후 방향으로 향하여 거터 방지 롤러의 조립작업을 할 때에도 공구의 조작 방향이 동일하게 되어서 작업성이 좋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조립 작업성이 양호한 부품의 갯수가 적은 거터 방지 롤러를 가지고, 소음이 작은 포크 리프트의 승강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포크 리프트의 승강 장치에 대하여 제1도 내지 3도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어도 상하 1쌍의 리프트 롤러(141, 142)를 장착한 좌우 한쌍의 리프트 브래킷(121, 122)과, 상기 리프트 브래킷(121, 122)의 승강을 안내하여 리프트 롤러(141, 142)가 굴러가는 전후 플랜지면(421, 422)을 갖는 마스트 레일(40)을 가지는 포크 리프트의 승강 장치(1)이다.
상기 리프트 브래킷(121, 122)은 플랜지면(421, 422)을 따라서 굴러가면서 동시에 리프트 롤러(141, 142)가 전후 플랜지면(421, 422) 사이를 부동하는 것을 억제하는 거터 방지 롤러(20)를 가지고 있다.
그래서, 거터 방지 롤러(20)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랜지면(421, 422)을 따라서 굴러가는 압축 롤러(22)와, 이 압축 롤러(22)를 지지하는 축부(26) 및 이 축부(26)와 편심한 축심을 갖는 수나사부(30)를 가지는 편심핀(24)(제3도)과, 상기 수나사부(30)에 나사식으로 고정되어 거터 방지 롤러(20)를 리프트 브래킷(121, 122)에 부착하는 고정 너트(32)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한편의 리프트 브래킷(121, 122)에 있는 거터 방지 롤러(20)의 수나사부(30)와, 다른편의 리프트 브래킷(122, 121)에 있는 거터 방지 롤러(20)의 수나사부(30)의 나사방향은 서로 좌우 반대로 되어 있다.
또한 그것의 좌우의 나사방향은 편심편(24)이 그 축심의 어긋남 때문에 받는 회전 모멘트(M)(제9도)에 의하여 수나사부(30)가 고정 너트(32)를 체결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거터 방지 롤러(20)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 한쌍의 리프트 롤러(141, 142)의 중간 위치에 배치된다.
이하에 각각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승강 장치(1)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스트 레일(40)을 따라서 포크 캐리지(10)가 승강한다. 포크 캐리지(10)는 포크(49)와, 이 포크(49)를 부착하는 상하의 핑거바(431, 432)와, 이 핑거바와 연결된 좌우 한쌍의 리프트 브래킷(121, 122)을 가진다.
리프트 브래킷(121, 122)에는 상하에 리프트 롤러(141, 142)가 장착되고, 리프트 롤러(141, 142)의 중간위치에는 거터 방지 롤러(20)가 배치되어 있다.
거터 방지 롤러(20)는 제2도 및 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스트 레일(40)의 플랜지면(421, 422)을 따라서 굴러가는 회전 가능한 압축 롤러(22)와, 고정 너트(32)(제2도)와, 편심핀(24)(제3도)을 가지고 있다.
편심핀(24)은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압축 롤러(22)를 지지하는 축부(26)와, 리프트 브래킷(121, 122)의 부착구멍(123)에 삽입하는 수나사부(30)와, 플랜지(34)를 가지고 있다.
수나사부(30)와 플랜지부(34)는 동일한 부착 축심(301)을 가지고 있다.
한편, 압축 롤러(22)를 지지하는 축부(26)의 롤러 축심(261)은 상기 축심(301)에 대하여 편심되어 있다.
그래서, 좌측 리프트 브래킷(121)의 수나사부(30)의 나사방향은 오른 나사이고, 우측 리프트 브래킷(122)의 수나사부(30)의 나사방향은 왼나사로 되어 있다.
또한, 수나사부(30)의 중심부에는 사각형 홈(302)이 형성되어 있다. 이 사각형 홈(302)은 이하에 설명하는 방법에 따라 편심핀(24)을 리프트 브래킷(121, 122)에 장착하기 위한 것이다.
처음에 편심핀(24)을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프트 브래킷(121, 122)의 부착 구멍(123)에 삽입한다. 다음에 사각형 홈(302)에 다각형 축을 갖는 편심핀 회전 지그(도시되지 않음)를 끼워서 수나사부(30)를 회전시킨다.
그래서, 부착축심(301)을 중심으로 하여 롤러 축심(261)을 회전시키면 압축롤러(22)가 전방 플랜지면(421)을 압축한다. 그 상태에서 고정 너트(32)를 돌려서 고정하고, 편심핀(24)을 리프트 브래킷(121, 122)에 고정한다.
다음에 본 예의 승강 장치(1)의 작용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예의 승강 장치(1)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 리프트 롤러(141, 142)의 중간에 거터 방지 롤러(20)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리프트 롤러(141, 142)가 전후 플랜지면(421, 422) 사이를 부동하고, 리프트 브래킷(121, 122)이 요동하였을 때의 에너지는 상기와 같이 Mgh1에서 Mgh2로 저하한다(제7도, 8도 참조).
그러므로 거터 방지 롤러(20)는 리프트 롤러(141, 142)의 중간에 배치되기 때문에 리프트 롤러(141, 142)의 간격을 종래와 동일하게 하고, 리프트 브래킷(121, 122)의 상하 방향의 길이를 길게 하지 않고 리프트 브래킷(121, 122)에 장착할 수 있다.
또한, 거터 방지 롤러(20)에 있는 편심핀(24)의 수나사부(30)의 나사방향은 좌측 리프트 브래킷(121)의 것을 오른나사로 하고, 우측 리프트 브래킷(122)의 것을 왼나사로 한다. 따라서 거터 방지 롤러(20)가 플랜지면(421, 422)을 압축하여 제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 모멘트(M)가 편심핀(24)에 작용한 경우 편심핀(24)의 수나사부(30)는 고정 너트(32)를 체결하는 작용을 하여 고정 너트(32)에서 풀림이 생기지 않는다.
그 때문에 편심핀(24)에 고정되는 고정 너트(32)는 종래 장치와 같이 이중 너트(제10도)로 할 필요가 없어서 고정 너트(32)의 부품 갯수가 감소한다.
또, 좌우 리프트 브래킷(121, 122)에 있는 수나사부(30)의 나사 방향이 좌우 반대로 되어 있기 때문에, 고정 너트(32)로서 체결하든가 푸는 경우 공구를 상하로 조작하는 방향이 항상 좌우가 동일하게 된다.
따라서 공구의 조작이 잘못되는 일이 없고 또 작업 효율이 향상한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조립 작업성이 양호한 부품 갯수가 작은 거터 방지 롤러(20)를 가지며, 소음이 적은 포크 리프트의 승강 장치(1)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 2]
이 실시예는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에서의 거터 방지 롤러(20)를 상부 리프트 롤러(141)의 상단에 장착한 예이다.
즉, 거터 방지 롤러(20)는 상부 리프트 롤러(141)의 상단에 배치함과 동시에 평상시에는 후방 플랜지면(422)에 접촉하여 있다.
그 결과, 리프트 브래킷(121, 122)은 마스트 레일(40)의 플랜지면(421, 422)과 제4도에 도시하는 3점 A∼C에서 완만하게 접촉한다. 즉, 위에서 아래로 향하여 먼저 거터 방지 롤러(20)가 후방 플랜지면(422)과 점 A에서 접촉하고, 다음에 상부 리프트 롤러(141)가 전방 플랜지면(421)과 점 B에서 접촉하고, 그리고 하부 리프트 롤러(142)가 후방 플랜지면(422)과 점 C에서 접하여 있다.
이와 같이 전후 플랜지면(421, 422)과 교대로 3점 A, B, C에서 접하는 것에 의하여 리프트 브래킷(121, 122)은 전후 플랜지면(421, 422)의 사이에서 전혀 요동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1실시예에 비하여 거터 방지 롤러의 효과는 크다.
그러므로 거터 방지 롤러(20)를 상부 리프트 롤러(141)의 상단에 부착하기 때문에 리프트 롤러(141, 142)의 간격은 제1실시예에 비하여 약간 좁아지게 된다.
그외 다른 것에 대해서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Claims (3)

  1. 적어도 상하 한쌍의 리프트 롤러(141, 142)를 장착한 좌우 1쌍의 리프트 브래킷(121, 122)과, 상기 리프트 브래킷(121, 122)의 승강을 안내하며 상기 리프트 롤러(141, 142)가 굴러가는 전후 플랜지면(421, 422)을 갖는 마스트 레일(40)을 가지는 포크 리프트의 승강 장치(1)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 브래킷(121, 122)은 플랜지면(421, 422)을 따라서 굴러가면서 동시에 리프트 롤러(141, 142)가 전후 플랜지면 사이를 부동하는 것을 억제하는 거터방지 롤러(20)를 가지고; 상기 거터 방지 롤러(20)는 플랜지면(421)을 따라서 굴러가는 압축 롤러(22)와, 상기 압축 롤러(22)를 지지하는 축부(26) 및 이 축부에 대하여 편심한 축심을 갖는 수나사부(30)를 가지는 편심핀(24)과, 상기 수나사부(30)에 나사식으로 고정하여 거터 방지 롤러(20)를 리프트 브래킷(121, 122)에 부착하는 고정 너트(32)를 가지고 있고; 한편의 리프트 브래킷에 있는 거터 방지 롤러(20)의 수나사부와 다른편의 리프트 브래킷에 있는 거터 방지 롤러(20)의 수나사부의 나사 방향은 서로 좌우 반대로 되어 있고, 이 좌우의 나사 방향은 사이 편심핀(24)이 그 축심의 어긋남에 의하여 받는 회전 모멘트에 의해 수나사부(30)가 고정 너트(32)를 체결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터 방지 롤러(20)는 상하 한쌍의 리프트 롤러의 중간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터 방지 롤러(20)는 상부 리프트 롤러의 상단 또는 하부 리프트 롤러의 하단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장치.
KR1019940005821A 1993-03-24 1994-03-23 포크 리프트의 승강장치 KR01809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090844A JP2616373B2 (ja) 1993-03-24 1993-03-24 フォークリフトの昇降装置
JP93-090844 1993-03-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1411A KR940021411A (ko) 1994-10-17
KR0180937B1 true KR0180937B1 (ko) 1999-04-15

Family

ID=14009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05821A KR0180937B1 (ko) 1993-03-24 1994-03-23 포크 리프트의 승강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616373B2 (ko)
KR (1) KR0180937B1 (ko)
CN (1) CN1042819C (ko)
TW (1) TW303880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7243A (ko) * 2002-11-29 2004-06-05 대우종합기계 주식회사 지게차의 마스트 유동 방지용 롤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TO20050716A1 (it) * 2005-10-10 2007-04-11 Mariotti S R L V Carrello elevatore ad azionamento elettrico e procedimento per la sua produzione
US9061871B2 (en) * 2010-09-01 2015-06-23 Oiles Corporation Mast assembly for forklift truck
CN107986193A (zh) * 2017-12-04 2018-05-04 安徽合力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可调滚轮的前移式叉车门架支座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24696A (ja) * 1983-01-05 1984-07-18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フオ−クリフトの荷役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7243A (ko) * 2002-11-29 2004-06-05 대우종합기계 주식회사 지게차의 마스트 유동 방지용 롤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303880U (en) 1997-04-21
CN1095042A (zh) 1994-11-16
KR940021411A (ko) 1994-10-17
JPH06271295A (ja) 1994-09-27
JP2616373B2 (ja) 1997-06-04
CN1042819C (zh) 1999-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80937B1 (ko) 포크 리프트의 승강장치
US5791257A (en) Overhead crane with adjustable bearings
EP0417056A2 (en) Lifting and turning device for work objects, especially motor vehicles
US7188820B2 (en) Vibration damping floor structure
JP2003312997A (ja) フォーク格納式フォークリフト
JP3189028B2 (ja) 移動壁用吊車の吊りボルト構造
CN219198028U (zh) 一种铸锭机链条张紧装置
JPH08240026A (ja) 立体駐車装置における落下防止装置
KR200221862Y1 (ko) 지게차 카운터웨이트 높이 조절장치
JP2958185B2 (ja) 立体駐車装置
JPH0430233Y2 (ko)
JP2536576B2 (ja) チェ―ンアンカ―ボルトの固定装置
JPS5845922Y2 (ja) フオ−クリフトの駆動軸管取付け装置
JP3422756B2 (ja) チェーンゲート
KR100583659B1 (ko) 지게차의 캐리지 장치
JPS6032077Y2 (ja) マスト装置におけるリフトシリンダの支持装置
JP4107405B2 (ja) アウトリガのローラ支持装置
JP2630161B2 (ja) フォークリフトの荷役昇降装置
JPH066152Y2 (ja) フオ−ク間隔調整装置
JP2638404B2 (ja) リフトブラケットのサイドローラ取付構造
KR0118747Y1 (ko) 스크린 날염기의 스퀴이지부 흔들림 방지구
JPH06300023A (ja) 建設機械等におけるカウンタウエイトの取り付け装置
JPH0455034Y2 (ko)
KR0127936Y1 (ko) 로커 암 샤프트 지지구조
JP3374748B2 (ja) 輸送機器用側パネル又はアオリの連結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