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0448B1 - 키 실린더 장치 - Google Patents

키 실린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0448B1
KR0180448B1 KR1019960001831A KR19960001831A KR0180448B1 KR 0180448 B1 KR0180448 B1 KR 0180448B1 KR 1019960001831 A KR1019960001831 A KR 1019960001831A KR 19960001831 A KR19960001831 A KR 19960001831A KR 0180448 B1 KR0180448 B1 KR 01804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cylinder device
arrow
cylinder case
key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18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4630A (ko
Inventor
마사히꼬 이또
Original Assignee
와다 아끼히로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와다 아끼히로,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와다 아끼히로
Publication of KR9600346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46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04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04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02Mounting of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08Mounting of individual lock elements in the lock, e.g. le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16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92/00Closure fasteners
    • Y10S292/37Push button oper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92/00Closure fasteners
    • Y10S292/62Lost motion connec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0/00Locks
    • Y10T70/70Operating mechanism
    • Y10T70/7441Key
    • Y10T70/7486Single key
    • Y10T70/7508Tumbler type
    • Y10T70/7559Cylinder type
    • Y10T70/7576Sliding and rotary plu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0/00Locks
    • Y10T70/70Operating mechanism
    • Y10T70/7441Key
    • Y10T70/7486Single key
    • Y10T70/7508Tumbler type
    • Y10T70/7559Cylinder type
    • Y10T70/7667Operating elements, parts and adjuncts
    • Y10T70/7706Operating connec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0/00Locks
    • Y10T70/70Operating mechanism
    • Y10T70/7441Key
    • Y10T70/7915Tampering prevention or attack defea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0/00Locks
    • Y10T70/70Operating mechanism
    • Y10T70/7441Key
    • Y10T70/7915Tampering prevention or attack defeating
    • Y10T70/7949Yielding or frangible connection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정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실린더 케이스를 요동해서 해정 기구가 작동하지 않는다.
실린더 케이스(12)에 대해 레버(16)가 화살표 B 방향으로 회전하면 레버(24)에 설치된 축(32)이 레버(24)의 측면으로부터 돌출하고, 레버(36)에 결합하고, 레버(36)에 부착된 로드(40)를 해정 방향으로 히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 실린더 케이스(12)에 대해 레버(16)가 상대 이동하지 않는 경우에는 실린더 케이스(12)가 요동해도 축(32)이 레버(24)의 측면으로부터 돌출하지 않고 레버(36)에 결합하지 않기 때문에, 레버(36)에 부착된 로드(40)가 해정 방향으로 이동하는 일은 없다.

Description

키 실린더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관한 키 실린더 장치를 도시하는 측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관한 키 실린더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제3도는 제1도의 3-3선에 따른 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관한 키 실린더 장치 의 작용을 도시하는 제3도에 대응하는 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관한 키 실린더 장치의 작용을 도시하는 제1도에 대응하는 측면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관한 키 실린더 장치의 작용을 도시하는 제1도에 대응하는 측면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관한 키 실린더 장치를 도시하는 측면도.
제8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관한 키 실린더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제9도는 제7도의 9-9선에 따른 단면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관한 키 실린더 장치의 작용을 도시하는 제7도에 대응하는 단면도.
제11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관한 키 실린더 장치의 작용을 도시하는 제7도에 대응하는 측면도.
제12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관한 키 실린더 장치를 도시하는 측면도.
제13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관한 키 실린더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제14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관한 키 실린더 장치의 작용을 도시하는 제12도에 대응하는 측면도.
제15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관한 키 실린더 장치의 작용을 도시하는 제12도에 대응하는 측면도.
제16도는 종래예에 관한 키 실린더 장치를 일부 단면으로 도시하는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키 실린더 장치 12 : 실린더 케이스
16 : 레버 18 : 핀
24 : 레버(링크 기구 작동 수단) 32 : 축
34 : 코일 스프링 36 : 레버(링크 기구)
40 : 로드 50 : 키 실린더 장치
52 : 레버부 54 : 키 실린더 장치
62 : 레버 68 : 레버(링크 기구)
본 발명은 키 실린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차의 수하물칸의 도어등에 사용되는 키 실린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자동차의 수하물칸의 도어 등에는 푸쉬 버튼을 가압 조작함으로써 해정되는 푸쉬식 키 실린더 장치가 사용되고 있는 것이 있으며, 일본국 실용신안 공개소55-152264호 공보에는 이런 종류의 키 실린더 장치의 일예가 개시되어 있다. 이하, 이 공보에 기재된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제1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키 실린더 장치(70)에서는 실린더 케이스(72)의 상부에 브래킷(74)이 고정되어 있으며, 이 브래킷(74)에 제어 레버(76)가 핀(78)에 의해 요동 가능하게 피봇되어 있다. 제어 레버(76)에는 도시를 생략한 해정 기구에 연결된 로드(80)가 핀(82)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제어 레버(76) 방향(제16도의 화살표 S 방향)으로 이동하여, 해정 기구가 작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 키 로우터(84)의 단부(84A)에는 공동(86)이 형성되어 있으며, 키 로우터(84)가 시정 회전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푸쉬 버튼(88)을 가압 조작하고 키 로우터(84)가 제16도의 화살표 S 방향으로 이동해도 공동(86)내로 제어 레버(76)의 단부(76A)가 뚫고 들어갈 뿐, 제어 레버(76)는 제16도의 실선 위치로부터 변위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키 로우터(84)가 시정 회전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푸쉬 버튼(88)을 가압 조작해도 해정 기구는 작동하지 않는다.
그러나, 이 키 실린더 장치(70)에서는 푸쉬 버튼(88)과 함께 실린더 케이스(72)를 차량 외측으로부터 하방(제16도의 화살표 X 방향)으로 강제적으로 회전시키면, 도어 패널(90)에의 고정 위치 근방의 점 P를 중심으로 실린더 케이스(72)가 회전한다. 이 결과, 실린더 케이스(72)와 일체적으로 제어 레버(76)가 제16도의 시계 회전 방향(제16도의 화살표 U방향)으로 회전한다. 제어 레버(76)가 제16도의 화살표 U방향으로 회전하면, 로드(80)가 제16도의 화살표 W 방향으로 이동하여 해정 기구가 작동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실을 고려하고, 시정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실린더 케이스를 요동해도 해정 기구가 작동하지 않는 키 실린더 장치를 얻는 것이 목적이다.
청구항1기재의 본 발명은, 푸쉬 버튼을 가압 조작함으로써 해정이 되는 푸쉬식 키 실린더 장치에 있어서, 실린더 케이스에 부착되고 상기 푸쉬 버튼이 가압되면 요동하는 레버와, 이 레버가 실린더 케이스와 상대 이동한 때만 해정 방향으로 이동하는 링크 기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2기재의 본 발명은, 청구항1기재의 키 실린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레버가 실린더 케이스와 상대 이동한 경우에 상기 링크 기구를 해정측으로 이동하는 링크 기구 작동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3기재의 본 발명은, 청구항1기재의 키 실린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실린더 케이스와 상대 이동하지 않을 때는 상기 링크 기구의 회전 궤적과 간섭하지 않는 통상의 위치에 있으며, 푸쉬 버튼을 가압 조작함으로써 상기 통상 위치로부터 상기 링크 기구를 가압하는 위치로 상대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1기재의 본 발명의 키 실린더 장치에서는 시정 상태에 있는 실린더 케이스를 요동해도 레버가 실린더 케이스와 일체적으로 움직이고, 상대 이동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링크 기구는 해정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는다.
청구항2기재의 본 발명의 키 실린더 장치에서는 시정 상태에 있는 실린더 케이스를 요동해도 레버가 실린더 케이스와 일체적으로 움직이고, 상대 이동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링크 기구 작동 수단이 작동하지 않으므로, 링크 기구는 해정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는다.
청구항3기재의 본 발명의 키 실린더 장치에서는 시정 상태에 있는 실린더 케이스를 요동하고, 실린더 케이스와 일체적으로 레버가 요동해도, 레버는 링크 기구와 간섭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링크 기구는 해정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키 실린더 장치의 제1실시예에 대해 제1도 내지 제6도에 따라서 설명한다.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제1실시예의 키 실린더 장치(10)에서는 실린더 케이스(12)의 차량 내측부가 되는 저면(12A)에 베어링부(14)가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이 베어링부(14)에는 레버(16)가 핀(18)에 의해 요동 가능하게 저어널되어 있다. 레버(16)는 V자형으로 굴곡되어 있으며, 상방의 단부(16A)가 키 로우터(20)의 저면(20A)의 근방에 달하고 있다. 또, 키 로우터(20)는 실린더 케이스(12)의 차량 외측에 되는 면에 설치된 푸쉬부(21)를 가압 조작하면, 제1도의 좌측 방향(제1도의 화살표 A방향)으로 이동하고, 저면(20A)이 레버(16)의 단부(16A)에 맞닿아서 레버(16)를 제1도의 반시계 회전 방향(제1도의 화살표 B방향)으로 요동하도록 되어 있다.
레버(16)의 하변(B)의 길이 방향 중간부에는 핀(18)이 관통하고 있으며, 핀(18)의 외주부에는 스프링(22)이 설치되어 있다. 이 스프링(22)의 상단(22A)는 레버(16)의 굴곡부 내측 근방에 베어링부(14)측을 향해 돌출 형성된 걸림 돌기(16C)에 결합하고 있으며, 스프링(22)의 하단(22B)은 실린더 케이스(12)의 측면(12B)의 하부에 돌출 형성된 스톱퍼(12C)에 결합하고 있다. 이 결과, 레버(16)는 스프링(22)에 의해 제1도의 시계 회전 방향(제1도의 화살표 C 방향)으로 가압되고 있으며, 통상 상태에서는 스톱퍼(12C)에 맞닿아서 제1도에 도시되는 통상 위치에 유지되어 있다.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버(16)를 사이에 두고 베어링부(14)와의 반대측에는 링크 기구 작동 수단을 구성하는 레버(24)가 배치되어 있으며, 이 레버(24)도 핀(18)에 요동 가능하게 저어널되어 있다. 레버(24)는 평면에서 보다 ㄷ자형으로 굴곡되어 있으며, 양 다리부(24A, 24B)의 선단부 근방에 핀(18)이 관통하는 구멍(26, 28)이 형성되어 있다. 레버(24)측 다리부(24A)의 상부에는 핀(18)의 외주부에 설치된 스프링(30)의 한 쪽 단부(30A)가 결합하고 있다. 스프링(30)의 다른 쪽 단부(30B)는 레버(16)의 하변(16B)의 선단부 근방 하부에 결합하고 있다. 이 결과, 레버(24)는 스프링(30)에 의해 제1도의 시계 회전 방향으로 가압되고 있으며, 통상 상태에서는 스톱퍼(12C)에 맞닿아서 제1도에 도시되는 통상 위치로 되어 있다.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버(24)에는 레버(16)측의 다리부(24A)에 레버(16)측을 향해 결합 돌기(24C)가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이 결합 돌기(24C)에는 레버(16)의 하변(16B)의 선단부에 레버(24)를 향해 돌출 형성된 결합 돌기(16C)가 결합하도록 되어 있다.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24)의 다리부(24A, 24B)에는 축(32)이 관통하고 있으며, 축(32)은 축선 방향(제3도의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축(32)의 중간부에는 플랜지(32A)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축(32)의 외주부의 플랜지(32A)와 다리부(24B)의 사이에는 코일 스프링(34)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축(32)은 코일 스프링(34)의 가압력에 의해 플랜지(32A)가 다리부(24A)와 맞닿는 위치(제3도의 위치로서 약간 격리된 상태로 도시됨)에 유지되어 있다.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32)의 레버(16)측의 단부면(32B)은 경사면으로 되어 있으며, 레버(16)가 제4도의 상방(제4도의 화살표 D 방향)으로 이동하여 단부면(32B)과 미끄럼 이동하면 축(32)은 코일 스프링(34)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제4도의 우측(제4도의 화살표 E 방향)으로 이동하여, 반대측의 단부(32C)가 다리부(24B)로부터 돌출하도록 되어 있다. 또, 레버(16)가 제1도의 반시계 회전 방향(제1도의 화살표 B 방향)으로 회전하면, 레버(16)의 걸림 돌기(16C)가 레버(24)의 걸림돌기(24C)에 결합하여 레버(24)를 제1도의 반시계 방향(제1도의 화살표 B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24)를 사이에 두고 레버(16)와의 반대측에는 링크 기구를 구성하는 레버(36)가 배치되어 있으며, 이 레버(36)도 핀(18)에 요동 가능하게 저어널되어 있다. 레버(36)의 한 쪽 단부(36A)의 근방에는 핀(18)이 관통하는 구멍(38)이 형성되어 있으며, 레버(36)의 다른 쪽 단부(36B)의 근방에는 도시를 생략한 해정 기구에 연결된 로드(40)가 핀(42)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레버(36)의 단부(36B)가 제1도의 반시계 회전 방향(제1도의 화살표 F 방향)으로 회전하고, 로드(40)를 제1도의 상방(제1도의 화살표 G 방향)으로 인상하면 해정 기구가 작동하도록 되어 있다.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36)의 하부에는 레버(24)의 다리부(24B)로부터 돌출한 축(32)의 단부(32C)가 결합하고, 레버(36)를 제4도의 상방(제4도의 화살표 D 방향), 즉 제1도의 반시계 회전 방향(제1도의 화살표 F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본 제1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제1실시예의 키 실린더 장치(10)에서는 키 로우터(20)를 해정 위치로 회전하여 푸쉬부(21)를 가압 조작하면, 키 로우터(20)가 제1도의 좌측 방향(제1도의 화살표 A 방향)으로 이동하고, 저면(20A)이 레버(16)의 단부(16A)에 맞닿아서 레버(16)를 제1도의 반시계 회전 방향(제1도의 화살표 B 방향)으로 요동한다.
레버(16)가 제1도의 화살표 B 방향, 즉 제4도의 상방(제4도의 화살표 D 방향)으로 이동하면, 레버(16)의 결합 돌기(16C)가 핀(32)의 단부면(32B)에 대해 미끄럼 이동하고, 단부(32C)가 다리부(24B)로부터 돌출한다. 이 때문에, 레버(36)의 하부에, 레버(24)의 다리부(24B)로부터 돌출한 축(32)의 단부(32C)가 결합한다. 레버(16)의 걸림 돌기(16C)가 레버(24)의 걸림 돌기(24C)에 결합하여 레버(24)를 제1도의 반시계 회전 방향(제1도의 화살표 B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결과, 레버(36)가 제4도의 상방(제4도의 화살표 D 방향), 즉 제1도의 반시계 회전 방향(제1도의 화살표 F 방향)으로 회전하고, 로드(40)가 제1도의 상방(제1도의 화살표 G 방향)으로 이동하여 해정 기구가 작동한다.
한 편,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키 로우터(20)가 시정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실린더 케이스(12)를 강제적으로 통상 위치(제5도의 일점 쇄선 위치)로부터 저면(12A)측이 상방으로 되는 위치(제5도의 실선 위치)로 요동하면, 실린더 케이스(12)와 일체적으로 레버(16), 레버(24)도 요동한다. 그러나, 실린더 케이스(12), 레버(16) 및 레버(24)가 상대 이동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축(32)은 이동하지 않고 제3도의 상태에 있다. 따라서, 레버(36)는 축(32)과 간섭하지 않고, 또, 핀(18)에 대해 회전 가능하기 때문에, 단부(36B)는 거의 이동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단부(36B)에 부착된 로드(40)는 해제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고 해정 기구는 작동하지 않는다.
또,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키 로우터(20)가 시정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실린더 케이스(12)를 강제적으로 통상 위치(제6도의 파선 위치)로부터 저면(12A)측이 하방으로 되는 위치(제6도의 실선 위치)로 요동하면, 실린더 케이스(12)와 일체적으로 레버(16), 레버(24)도 요동한다. 그러나, 실린더 케이스(12), 레버(16) 및 레버(24)가 상대 이동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축(32)은 이동하지 않고, 제3도의 상태에 있다. 따라서 레버(36)는 축(32)과 간섭하지 않고, 또 핀(18)에 대해 회전 가능하기 때문에, 단부(36B)는 거의 이동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단부(36B)에 부착된 로드(40)는 해제 방향으로는 이동하지 않고, 해정 기구는 작동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본 제1실시예의 키 실린더 장치(10)에서는 시정 상태에 있는 경우에 실린더 케이스를 요동해도 해정 기구는 작동하지 않는다. 따라서, 도난 방지에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키 실린더 장치의 제2실시예에 대해 제7도 내지 제11도에 따라서 설명한다.
또, 제1실시예와 동일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제2실시예의 키 실린더 장치(50)에서는 제1실시예의 레버(16) 대신에 레버(24)의 다리부(24A)의 선단부가 J자형으로 연장 설치된 레버부(52)로 되어 있으며, 이 레버부(52)의 상단부(52A)가 키 로우터(20)의 저면(20A)의 근방에 달하고 있다. 스프링(22)의 상단(22A)은 레버부(52)에 베어링부(14)측을 향해 돌출 형성된 걸림 돌기(52B)에 결합하고 있으며, 스프링(22)의 하단(22B)은 실린더 케이스(12)에 형성된 스톱퍼(12C)에 결합하고 있다. 이 결과, 레버부(52)를 갖는 레버(24)는 핀(18)을 중심으로 하여 스프링(22)에 의해 제7도의 시계 회전 방향(제7도의 화살표 C 방향)으로 가압되고 있으며, 통상 상태에서는 스톱퍼(12C)에 맞닿아서 제7도에 도시되는 통상 위치로 되어 있다.
제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린더 케이스(12)의 측면(12B)의 하부에는 요부(12D)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요부(12D)의 상부는 경사면(12E)으로 되어 있다. 또, 축(32)의 단부면(32B)은 구면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레버(24)가 제9도의 상방(제9도의 화살표 D 방향)으로 이동하고, 축(32)의 단부면(32B)이 경사면(12E)과 미끄럼 이동하면, 축(32)은 제9도의 우측(제9도의 화살표 E 방향)으로 이동하여 반대측의 단부(32C)가 다리부(24B)로부터 돌출하도록 되어 있다. 이에 의해, 레버(24)와 함께, 레버(36)가 제9도의 상방(제9도의 화살표 D 방향), 즉 제7도의 반시계 회전 방향(제7도의 화살표 F 방향)으로 회전하고, 로드(40)를 제1도의 상방(제1도의 화살표 G 방향)으로 인상시켜 해정 기구를 작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본 제2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제2실시예의 키 실린더 장치(50)에서는 키 로우터(20)를 해정 위치로 회전하여 푸쉬부(21)를 가압 조작하면, 키 로우터(20)가 제7도의 좌측 방향(제7도의 화살표 A 방향)으로 이동하고, 저면(20A)이 레버부(52)의 단부(52A)에 맞닿아서 레버(24)를 제7도의 반시계 회전 방향(제7도의 화살표 B 방향)으로 요동한다.
레버(16)가 제7도의 화살표 B 방향, 즉 제9도의 상방(제9도의 화살표 D 방향)으로 이동하면, 핀(32)의 단부면(32B)이 실린더 케이스(12)의 경사면(12E)과 미끄럼 이동하고, 단부(32C)가 다리부(24B)로부터 돌출한다. 이 때문에, 레버(36)의 하부에, 레버(24)의 다리부(24B)로부터 돌출한 축(32)의 단부(32C)가 결합한다. 이 상태에서 또 레버(24)가 제7도의 화살표 B 방향으로 회전하면, 레버(36)가 제9도의 상방(제9도의 화살표 D 방향), 즉 제7도의 반시계 회전 방향(제7도의 화살표 F 방향)으로 회전하고, 로드(40)가 제7도의 상방(제7도의 화살표 G 방향)으로 이동하여 해정 기구가 작동한다.
한 편, 제1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키 로우터(20)가 시정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실린더 케이스(12)를 강제적으로 통상 위치(제10도의 일점 쇄선 위치)로부터 저면(12A)측이 상방으로 되는 위치(제10도의 실선 위치)로 요동하면, 실린더 케이스(12)와 일체적으로 레버(24)도 요동한다. 그러나, 실린더 케이스(12)와 레버(24)가 상대 이동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축(32)은 이동하지 않고 제9도의 상태에 있다. 따라서, 레버(36)은 축(32)과 간섭하지 않고, 또, 핀(18)에 대해 회전 가능하기 때문에, 단부(36B)는 거의 이동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단부(36B)에 부착된 로드(40)는 해제 방향으로는 이동하지 않고 해정 기구는 작동하지 않는다.
또, 제1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키 로우터(20)가 시정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실린더 케이스(12)를 강제적으로 통상 위치(제11도의 파선 위치)로부터 저면(12A)측이 하방으로 되는 위치(제11도의 실선 위치)로 요동하면, 실린더 케이스(12)와 일체적으로 레버(24)도 요동한다. 그러나, 실린더 케이스(12)와 레버(24)가 상대 이동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축(32)은 이동하지 않고, 제9도의 상태에 있다. 따라서, 레버(36)는 축(32)과 간섭하지 않고, 또 핀(18)에 대해 회전 가능하기 때문에, 단부(36B)는 거의 이동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단부(36B)에 부착된 로드(40)는 해제 방향으로는 이동하지 않고, 해정 기구는 작동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본 제2실시예의 키 실린더 장치(50)에서는 시정 상태에 있는 경우에 실린더 케이스를 요동해도 해정 기구는 작동하지 않는다. 따라서, 도난 방지에 효과가 있다. 또, 제1실시예에 비해 부품 갯수는 적고 구조가 간단하다.
본 발명의 키 실린더 장치의 제3실시예에 대해 제12도 내지 제15도에 따라서 설명한다.
또, 제1실시예와 동일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제3실시예의 키 실린더 장치(54)에서는 실린더 케이스(12)의 저면(12A)에 베어링부(56)가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이 베어링부(56)는 상하로 평행하게 배치된 상부 베어링부(56A)와 하부 베어링부(56B)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상부 베어링부(56A)와 하부 베어링부(56B)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상부 베어링부(56A)와 하부 베어링부(56B)에는 관통 구멍(58, 60)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관통 구멍(58, 60)에는 핀(61)이 삽입되어 있다. 또, 상부 베어링부(56A)와 하부 베어링부(56B) 사이에는 레버(62)가 삽입되어 있으며, 레버(62)는 핀(61)에 의해 요동 가능하게 저어널되어 있다.
레버(62)는 3자형으로 만곡되어 있으며, 중간부(62A)에 핀(61)이 관통하는 구멍(64)이 형성되어 있다. 레버(62)의 한 쪽 단부(62B)는 키 로우터(20)의 저면(20A)의 근방에 달하고 있으며, 키 로우터(20)는 제12도에 도시되는 푸쉬부(21)를 가압 조작하면, 제12도의 좌측 방향(제12도의 화살표 A 방향)으로 이동하고, 레버(62)의 단부(62B)에 맞닿아서 레버(62)를 핀(61)을 중심으로 제13도의 화살표 H 방향으로 요동하도록 되어 있다.
제13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실린더 케이스(12)의 측면(12B)에는 핀(66)이 세워 설치되어 있으며, 이 핀(66)에는 링크 기구를 구성하는 레버(68)가 요동 가능하게 저어널되어 있다. 이 레버(68)는 L자형으로 굴곡되어 있으며, 굴곡부에 핀(66)이 관통하는 구멍(67)이 형성되어 있다. 또, 레버(68)의 한 쪽 단부(68A)의 근방에는 도시를 생략한 해정 기구에 연결된 로드(40)가 핀(42)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레버(68)의 단부(68A)가 제12도의 반시계 회전 방향(제12도의 화살표 F 방향)으로 회전하고, 로드(40)를 제12도의 상방(제12도의 화살표 G 방향)으로 인상하면 해정 기구가 작동하도록 되어 있다.
제1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68)의 다른 쪽 단부(68B)의 근방에는 실린더 케이스(12)와 반대측을 향해 걸림 돌기(68C)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걸림 돌기(68C)에 레버(62)의 다른 쪽 단부(62C)가 맞닿고, 레버(68)를 제13도의 화살표 F 방향으로 요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 레버(62)의 단부(62C)에는 실린더 케이스(12)에 대해 상대 이동하지 않을 때는 레버(68)의 걸림 돌기(68C)로부터 소정 거리 L 만큼 떨어진 통상 위치에 있으며, 이 통상 위치는 레버(68)의 걸림 돌기(68C)의 회전 궤적(제12도의 파선 화살표 M)과 간섭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본 제3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제3실시예의 키 실린더 장치(54)에서는 키 로우터(20)를 해정 위치로 회전하여 푸쉬부(21)를 가압 조작하면, 키 로우터(20)가 제12도의 좌측 방향(제12도의 화살표 A 방향)으로 이동하고, 레버(62)의 단부(62B)에 맞닿아서 레버(62)를 중심으로 제13도의 화살표 H 방향으로 요동한다.
레버(62)가 제13도의 화살표 H 방향, 즉 제12도의 우측(제12도의 화살표 B 방향)으로 이동하면, 레버(62)의 단부(62C)가 레버(68)의 걸림 돌기(68C)에 맞닿아서 레버(68)를 제12도의 반시계 회전 방향(제12도의 화살표 F 방향)으로 회전하고, 로드(40)가 제12도의 상방(제12도의 화살표 G 방향)으로 이동하여 해정 기구가 작동한다.
한 편, 제14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키 로우터(20)가 시정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실린더 케이스(12)를 강제적으로 통상 위치(제14도의 파선 위치)로부터 저면(12A)측이 상방으로 되는 위치(제14도의 실선 위치)로 요동하면, 실린더 케이스(12)와 일체적으로 레버(62)도 요동한다. 그러나, 실린더 케이스(12)와 레버(62)는 상대 이동하고 있지 않다. 즉, 레버(62)가 핀(61)을 중심으로 요동하고 있지 않고, 제14도에 도시한 통상 위치에 있기 때문에, 레버(68)의 걸림 돌기(68C)가 회전해도 레버(62)의 단부(62C)와 결합 돌기(68C)는 간섭하지 않는다.
따라서, 레버(68)의 단부(68A)는 거의 이동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단부(68A)에 부착된 로드(40)는 해제 방향으로는 이동하지 않고, 해정 기구는 작동하지 않는다.
또, 제1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 로우터(20)가 시정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실린더 케이스(12)를 강제적으로 통상 위치(제15도의 파선 위치)로부터 저면(12A)측이 하방으로 되는 위치(제15도의 실선 위치)로 요동하면, 실린더 케이스(12)와 일체적으로 레버(62)도 요동한다. 그러나, 실린더 케이스(12)와 레버(62)는 상대 이동하지 않는다. 즉, 레버(62)가 핀(61)을 중심으로 요동하고 있지 않고, 제15도에 도시한 통상 위치에 있기 때문에, 레버(68)의 걸림 돌기(68C)가 회전해도, 레버(62)의 단부(62C)와 결합 돌기(68C)와는 간섭하지 않는다.
따라서, 레버(68)의 단부(68A)는 거의 이동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단부(68A)에 부착된 로드(40)는 해제 방향으로는 이동하지 않고 해정 기구는 작동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본 제3실시예의 키 실린더 장치(54)에서는 시정 상태에 있는 경우에 실린더 케이스를 요동해도 해정 기구는 작동하지 않는다. 따라서, 도난 방지에 효과가 있다. 또, 제2실시예에 비해 부품 갯수는 적고 구조가 간단하다.
청구항1기재의 본 발명은 푸쉬 버튼을 가압 조작함으로써 해정이 되는 푸쉬식의 키 실린더 장치에 있어서, 실린더 케이스에 부착되고 푸쉬 버튼이 가압되면 요동하는 레버와, 이 레버가 실린더 케이스와 상대 이동한 때에만 해정 방향으로 이동하는 링크 기구를 갖는 구성으로 하였으므로, 시정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실린더 케이스를 요동해도 해정 기구가 작동하지 않는다는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청구항2기재의 본 발명은 청구항1기재의 키 실린더 장치에 있어서, 레버가 실린더 케이스와 상대 이동한 경우에 링크 기구를 해정측으로 이동하는 링크 기구 작동 수단을 갖는 구성으로 하였으므로, 시정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실린더 케이스를 요동해도 확실하게 해건 기구의 작동을 저지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청구항 3기재의 본 발명은, 청구항1기재의 키 실린더 장치에 있어서, 레버는 실린더 케이스와 상대 이동하지 않을 때는 링크 기구의 회전 궤적과 간섭하지 않는 통상 위치에 있으며, 푸쉬 버튼을 가압 조작함으로써 통상 위치로부터 링크 기구를 가압하는 위치로 상대 이동하는 구성으로 하였으므로, 간단한 구성으로, 시정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실린더 케이스를 요동해도 해정 기구가 작동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Claims (3)

  1. 푸쉬 버튼을 가압 조작함으로써 해정되는 푸쉬식 키 실린더 장치에 있어서, 실린더 케이스에 부착되고 상기 푸쉬 버튼이 가압되면 요동하는 레버와, 이 레버가 실린더 케이스와 상대 이동한 때에만 해정 방향으로 이동하는 링크 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실린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가 실린더 케이스와 상대 이동한 경우에 상기 링크 기구를 해정측으로 이동하는 링크 기구 작동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실린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실린더 케이스와 상대 이동하지 않을 때는 상기 링크 기구의 회전 궤적과 간섭하지 않는 통상의 위치에 있으며, 푸쉬 버튼을 가압 조작함으로써 상기 통상 위치로부터 상기 링크 기구를 가압하는 위치로 상대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실린더 장치.
KR1019960001831A 1995-03-24 1996-01-27 키 실린더 장치 KR01804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643395A JP3161275B2 (ja) 1995-03-24 1995-03-24 キーシリンダ装置
JP95-66433 1995-03-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4630A KR960034630A (ko) 1996-10-24
KR0180448B1 true KR0180448B1 (ko) 1999-04-01

Family

ID=13315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1831A KR0180448B1 (ko) 1995-03-24 1996-01-27 키 실린더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771723A (ko)
JP (1) JP3161275B2 (ko)
KR (1) KR0180448B1 (ko)
DE (1) DE19610061B4 (ko)
GB (1) GB229913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746381C1 (de) * 1997-10-21 1999-01-21 Huf Huelsbeck & Fuerst Gmbh Verschlußvorrichtung mit einem schlüsselbetätigbaren Schließzylinder, der zugleich als Druckhandhabe zum Betätigen von Schloßgliedern dient
DE19833670C2 (de) * 1998-07-27 2000-08-17 Valeo Gmbh & Co Schliessyst Kg Schließvorrichtung
DE10047090A1 (de) * 2000-09-21 2002-04-25 Huf Huelsbeck & Fuerst Gmbh Vorrichtung mit einem Taster zur Betätigung eines Verschlusses an einer Tür oder Klappe, insbesondere für ein Fahrzeug
US6732555B1 (en) * 2003-01-10 2004-05-11 Dfw Plastics, Inc. Lock for a meter box lid
DE102010029065B4 (de) 2010-05-18 2023-10-2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Türkantenschutzeinrichtung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12565A (en) * 1956-07-06 1959-04-29 Wilmot Breeden Ltd Combined fastening for vehicle luggage boot and fuel filler compartment covers
US2059479A (en) * 1935-02-20 1936-11-03 Nat Lock Co Latching device
US2221095A (en) * 1938-08-15 1940-11-12 Briggs & Stratton Corp Door locking and latching mechanism
US2357004A (en) * 1941-09-05 1944-08-29 Briggs & Stratton Corp Lock device
US2437299A (en) * 1945-05-26 1948-03-09 Briggs & Stratton Corp Lock device
US2587583A (en) * 1947-01-21 1952-03-04 Rudolph I Schonitzer Lock means for door control mechanism
US2570556A (en) * 1949-05-07 1951-10-09 Briggs & Stratton Corp Compartment door latch
US2687637A (en) * 1951-06-30 1954-08-31 Briggs & Stratton Corp Door latch operating mechanism
DE1123578B (de) * 1958-03-18 1962-02-08 Auto Union Gmbh Mittels eines Druckknopfes loesbarer Verschluss fuer Heckklappen an Kraftfahrzeugen
US3304755A (en) * 1964-10-28 1967-02-21 Gen Motors Corp Cylinder lock actuator
DE1906953A1 (de) * 1969-02-12 1970-08-27 Trumpf Schloss & Beschlag Ausloesetaste fuer den Mechanismus eines Tuerschlosses,insbesondere an Waschautomaten od.dgl.
US3868836A (en) * 1974-03-01 1975-03-04 Ford Motor Co Deck lid latch and lock assembly
JPS5189624A (en) * 1975-01-31 1976-08-05 Rotsukusochino enkakuseigyosochi
US3964280A (en) * 1975-04-07 1976-06-22 Avis Industrial Corporation Locking mechanism
US4212176A (en) * 1978-05-30 1980-07-15 Hegedus Charles C Automobile trunk lock security device
JPS55152264A (en) * 1979-05-18 1980-11-27 Tokyo Shibaura Electric Co Packageetype electricity generator
EP0218010A3 (en) * 1985-07-10 1988-01-07 Abbott Laboratories Ligand detection method and substituted carboxyfluorescein tracers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161275B2 (ja) 2001-04-25
DE19610061B4 (de) 2005-12-29
GB2299131A (en) 1996-09-25
GB9603424D0 (en) 1996-04-17
KR960034630A (ko) 1996-10-24
DE19610061A1 (de) 1996-10-02
JPH08260787A (ja) 1996-10-08
GB2299131B (en) 1997-03-05
US5771723A (en) 1998-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87918A (en) Automobile door handle
US7303217B2 (en) Door handle, especially for vehicle, provided with an inertial security system
US4073519A (en) Noiseless latch for particular use on vehicle doors
US20080023971A1 (en) Door-Lock Child Protecting Device
JPH026908B2 (ko)
US4971370A (en) Self-releasing deck lid latch
KR100535081B1 (ko) 자동차용 테일 게이트의 래치 구조
JP2729571B2 (ja) ドアロック装置
KR0180448B1 (ko) 키 실린더 장치
JP2005240454A (ja) 後側ドア用車両ドアラッチ装置
JPH11245680A (ja) シフトレバー装置
JP2000211394A (ja) ゲ―ト式自動変速機操作装置のパ―キングロック機構
KR100348095B1 (ko) 자동차의 테일게이트 래치
EP1182310A2 (en) A handle arrangement
KR100837982B1 (ko) 일체형 테일게이트 아웃사이드 핸들구조
US20020033033A1 (en) Shift lever device
JP3842479B2 (ja) ドアロック装置のハンドル機構
JPH0546615Y2 (ko)
JPH08199866A (ja) 車両用ドアアウトサイドハンドル
JP2573885Y2 (ja)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KR100431985B1 (ko) 차량의 운전석 도어잠금장치
JPH0223719Y2 (ko)
KR200175407Y1 (ko) 자동차용 도어의 인너핸들조립체(inner handle lock in a vehicle door)
KR950008149B1 (ko) 자동차의 조향축 잠금장치
JPS5819936Y2 (ja) アクセルインタ−ロッ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126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