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0443B1 - 자동차용 전면에 취부되는 승객 보호용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전면에 취부되는 승객 보호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0443B1
KR0180443B1 KR1019960010922A KR19960010922A KR0180443B1 KR 0180443 B1 KR0180443 B1 KR 0180443B1 KR 1019960010922 A KR1019960010922 A KR 1019960010922A KR 19960010922 A KR19960010922 A KR 19960010922A KR 0180443 B1 KR0180443 B1 KR 01804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engine
cross member
engine unit
front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109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9780A (ko
Inventor
김범수
Original Assignee
김영귀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10199600109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80443B1/ko
Publication of KR9700697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97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04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04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2Engine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04Padded linings for the vehicle interior ; Energy absorbing structures associated with padded or non-padded linings
    • B60R21/045Padded linings for the vehicle interior ; Energy absorbing structures associated with padded or non-padded linings associated with the instrument panel or dash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02Type of accident
    • B60R2021/0004Frontal colli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1Reducing damages in case of crash, e.g. by improving battery pro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전면에 취부되는 승객 보호용장치를 관한 것으로서 자동차(10)의 전면에 취부되는 엔진룸(20)의 엔진부(30)와 상기 엔진부(30)의 전면에 크로스 멤버(40)가 취부됨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 멤버(40)의 일측에는 엔진부(30)의 보호판(33)과 대응되게 설치되는 충격흡수용 러버(51)를 전면에 일체로 형성한 평행 잡기용 가이드 브라켓트(50)가 구성됨으로서 자동차의 전면부 충돌시 발생되는 충격에너지를 효과적으로 흡수함으로서 승원의 안전을 보호함은 물론 상품성을 향상시키는 유용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전면에 취부되는 승객 보호용장치
제1도는 일반적인 자동차를 나타낸 사시도.
제2도는 종래의 엔진부분만 인출해서 나타낸 평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이 엔진부분의 전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제4도는 제3도의 가부분의 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자동차 20 : 엔진품
30 : 엔진부 40 : 크로스 멤버
50 : 평행 잡기용 가이드 브라켓트
[발명의 산업상 이용분야]
본 발명은 자동차용 전면에 취부되는 승객 보호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자동차의 전면부 충돌시 엔진부와 미션부분이 평행 이동이 가능함과 동시에 충격에너지를 효과적으로 흡수하도록 브라켓트를 설치하여 승객의 안전을 도모하도록 한 자동차용 전면에 취부되는 승객 보호용장치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배경]
일반적으로 제1도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자동차(1)의 전면에는 본넷트(2)가 취부되는 것이며 상기 본넷트(2)의 내부에는 엔진 룸(3)이 취부되어 있는 것이며 상기 엔진 룸(3)에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프론트 범퍼(4)가 취부되어 있는바, 제2도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엔진 룸(3)의 전면에는 크로스 멤버(5)와 후면에는 대쉬 패널(6)이 취부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종래의 엔진 룸(3)의 구조는 자동차의 전면 충돌시 충격에너지는 프론트 범퍼(4)를 밀고나서 엔진 룸(3)과 대쉬 패널(6)을 밀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운전석(차량 내부)까지 침범하게 되는 것으로서 보통 엔진(7)과 미션(8)은 틀어지면서 제2도에서 표시되는 바와 같이만큼 밀리게 되는 것이다.
이때 충격에너지를 효과적으로 흡수하지 못함으로서 자동차에 탑승한 승원의 패해가 가중되는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발명의 목적]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한 것으로서 자동차의 전면충돌시 엔진 룸에 취부되는 엔진과 미션이 평행 이동 할 수 있도록 가이드 브라켓트를 설치하여 충격에너지를 흡수하도록 함으로서 승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는 자동차용 전면에 취부되는 승객 보호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발명의 구성]
본 발명은 제3도 및 제4도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자동차(10)의 전면에 취부되는 엔진룸(20)의 엔진부(30)와 상기 엔진부(30)의 전면에 크로스 멤버(40)가 취부됨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 멤버(40)의 일측에는 엔진부(30)의 보호판(33)과 대응되게 설치되는 충격흡수용 러버(51)를 전면에 일체로 형성한 평행 잡기용 가이드 브라켓트(50)가 구성된 것이다.
[발명의 작동]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충격흡수용 러버(51)를 전면에 일체로 형성한 평행 잡기용 가이드 브라켓트(50)를 크로스 멤버(40)의 내측에 취부하되 제4도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평상시의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 b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한 것이다.
그러므로 자동차의 정면 충돌시 크로스 멤버(40)의 일측에 흡수되는 충격에너지가 엔진부(30)의 보호판(33)에 부딪치게 됨으로서 크로스 멤버(40)의 일측에 엔진부(30)의 보호판(33)과 대응되게 설치되는 충격흡수용 러버(51)를 전면에 일체로 형성한 평행 잡기용 가이드 브라켓트(50)가 엔진부(31)와 미션(32)이 평행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잡아주게 동작되는 것이다.
[발명의 효과]
상기와 같이 작동되는 본 발명은 평행 잡기용 가이드 브라켓트(50)에 의해서 자동차의 전면 충돌시 엔진(31)과 미션(32)이 평행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서 충격에너지를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승원의 안전을 보호할 수 있는 것이다.
[결론]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자동차의 전면부 충돌시 발생되는 충격에너지를 효과적으로 흡수함으로서 승원의 안전을 보호함은 물론 상품성을 향상시키는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1)

  1. 자동차(10)의 전면에 취부되는 엔진룸(20)의 엔진부(30)와 상기 엔진부(30)의 전면에 크로스 멤버(40)가 취부됨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 멤버(40)의 일측에는 엔진부(30)의 보호판(33)과 대응되게 설치되는 충격흡수용 러버(51)를 전면에 일체로 형성한 평행 잡기용 가이드 브라켓트(50)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전면에 취부되는 승객 보호용장치.
KR1019960010922A 1996-04-12 1996-04-12 자동차용 전면에 취부되는 승객 보호용장치 KR01804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0922A KR0180443B1 (ko) 1996-04-12 1996-04-12 자동차용 전면에 취부되는 승객 보호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0922A KR0180443B1 (ko) 1996-04-12 1996-04-12 자동차용 전면에 취부되는 승객 보호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9780A KR970069780A (ko) 1997-11-07
KR0180443B1 true KR0180443B1 (ko) 1999-03-20

Family

ID=19455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10922A KR0180443B1 (ko) 1996-04-12 1996-04-12 자동차용 전면에 취부되는 승객 보호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8044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9780A (ko) 1997-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67822B1 (en) Bumper support for improved pedestrian protection in motor vehicles
KR0180443B1 (ko) 자동차용 전면에 취부되는 승객 보호용장치
KR960002577Y1 (ko) 경승용차의 범퍼장착구조
JP3814829B2 (ja) 自動車の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構造
KR200158271Y1 (ko) 차량충돌시 엔진 수평밀림방지장치
KR0139612Y1 (ko) 자동차용 측면 충격 흡수장치
JPH10297398A (ja) キャビン型車両の前部側における衝撃緩和機構
JP2919020B2 (ja) 車室前部のエネルギ吸収装置
KR0111415Y1 (ko) 충격흡수가 가능한 트렁크 트림
KR200144094Y1 (ko) 자동차의 범퍼구조
KR20030080846A (ko) 보행자 보호를 위한 자동차용 범퍼
KR100657661B1 (ko) 충격을 흡수하는 범퍼가드 장치
KR100232472B1 (ko) 자동차용 범퍼 장착구조
KR200146702Y1 (ko) 자동차 도어구조
KR100717448B1 (ko) 충격흡수 기능이 있는 범퍼 스테이
KR0179615B1 (ko) 자동차의 차체프레임 보강구조
KR200188438Y1 (ko) 자동차의 카울 프론트 판넬의 보강구조
KR100315360B1 (ko) 자동차용 시트의 측면 충돌 대응용 스토퍼
KR0113269Y1 (ko) 차체측면의 타이 바 충격흡수구조
KR20000007180U (ko) 자동차용 범퍼가드바.
KR960010002Y1 (ko) 자동차의 엔진 진입 방지장치
KR200175397Y1 (ko) 자동차용 후드 보강구조
KR0143642B1 (ko) 자동차의 상부대쉬판넬과 측부카울판넬의 연결부위 보강브라켓
KR0140207Y1 (ko) 차량용 범퍼의 충격흡수구조
KR960005104Y1 (ko) 자동차 임팩트비임의 충격완화용 탄성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1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