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8931B1 - 자동차용 실내등 제어회로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실내등 제어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8931B1
KR0178931B1 KR1019940036723A KR19940036723A KR0178931B1 KR 0178931 B1 KR0178931 B1 KR 0178931B1 KR 1019940036723 A KR1019940036723 A KR 1019940036723A KR 19940036723 A KR19940036723 A KR 19940036723A KR 0178931 B1 KR0178931 B1 KR 01789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oor light
terminal
turned
transistor
resis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367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1878A (ko
Inventor
김기범
Original Assignee
한승준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승준,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승준
Priority to KR10199400367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8931B1/ko
Publication of KR9600218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18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89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89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80Circuits; Control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s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Mounting And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내부에 설치된 실내등을 점등 또는 소등할 시 스위치를 오프한 직후 소정의 시간이 흐른 후에 실내등이 소등되도록 한 자동차용 실내등 제어회로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 자동차 내부에 설치된 실내등은 실내등 온/오프 스위치를 온/오프 시킨 바로 즉시 점등 및 소등되어, 램프의 수명이 단축될 뿐만 아니라 차내에 있는 승객의 눈에 좋지 않은 영향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는 바, 본 발명은 종래의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실내등 회로에 충/방전용 콘덴서와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부가 사용하여 실내등의 점등 유지시간을 지연시킴과 동시에 실내등 조정용 스위치 오프시 서서히 소등되도록 하는 회로를 제공하므로써 실내등의 수명을 연장시킬 뿐만 아니라 승객의 눈에 피로감을 주지 않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실내등 제어회로
제1도는 본 발명 자동차용 실내등 제어회로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밧데리 2 : 실내등
본 발명은 자동차용 실내등 제어회로에 관한 것으로 자동차 내부에 설치된 실내등을 점등 또는 소등할 시 스위치를 오프한 직후 소정의 시간이 흐른 후에 실내등이 소등되도록 한 자동차용 실내등 제어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내부에 설치된 실내등은 야간 주행시 자동차 내부를 밝게 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치된 바, 현재 사용되고 있는 실내등은 그 실내등 온/오프 스위치를 온/오프 시킨 바로 즉시 점등 및 소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램프에 곧바로 전류가 인가되거나, 끊기면 램프의 수명도 단축될 뿐만 아니라 차내에 있는 승객의 눈에 좋지 않은 영향을 주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실내등 회로에 층/방전용 콘덴서와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부가 사용하여 실내등의 점등 유지시간을 지연시킴과 동시에 실내등 조정용 스위치 오프(OFF)시 서서히 소등되는 회로를 제공함을 특징으로 한다.
즉, 자동차의 내부에 설치된 실내등 제어회로에 있어서, 실내등 조작 스위치 온시 밧데리에서 인가된 전류가 충전되는 충/방전용 콘덴서와, 상기 충/방전용 콘덴서에 충전이 완료되면 스위칭 되는 제1 스위칭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1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동작에 의해 스위칭 되는 제2 스위칭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져 실내등의 점등 및 소등을 제어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 자동차용 실내등 제어회로를 나타내는 회로도로, 실내등(2)의 양측 단자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밧데리(1)의 양(+)단자 즉, 전원라인(a)측에 충/방전용 콘덴서(C)를 병렬로 연결하고, 상기 충/방전용 콘덴서(C)의 접지단자에는 저항(R1)과 제1 다이오드(D1)를 연결하고, 상기 제1 다이오드(D1)의 접지단자는 밧데리(1)의 음(-)단자 즉, 접지라인(b)에 접속하여 스위치(S1)와 연결하고, 상기 충/방전용 콘덴서(C)와 저항(R1) 사이에 바이어스 저항(R2,R3)이 공통 접속된 제1 트랜지스터(T1)의 베이스단을 연결하고, 상기 제1 트랜지스터(T1)의 콜렉터단에 각 저항(R4, R5)과 제2 다이오드(D2)를 공통 접속하고, 상기 제1 트랜지스터(T1)의 에미터단에는 콜렉터단이 스위치(S1)와 연결되고, 에미터단은 실내등(2)과 연결되어 있는 제2 스위칭 트랜지스터(T2)의 베이스단에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회로의 동작 설명을 하면 다음과 같다.
실내등(2)을 소등한 상태 즉, 스위치(S1)를 오프한 상태일 때는 실내등(2)의 양단자가 연결되지 않아 점등이 되지 않는다. 이 상태에서 승객이 스위치(S1)를 온 시키면 밧데리(1)에서 인가된 전류는 먼저 충/방전용 콘덴서(C)를 충전시킨다. 상기 충/방전용 콘덴서(C)가 모두 충전되면, 이 콘덴서(C)는 직류를 차단하므로 전류는 저항(R3)을 통해 제1 스위칭 트랜지스터(T1)를 스위칭하고, 이어 제2 스위칭 트랜지스터(T2)를 스위칭하여 실내등(2)의 양 단자로 전류가 흐르게 되며, 이어 실내등(2)에는 불이 들어오게 된다. 이때 점등이 될 때에는 상기 충/방전용 콘덴서(C)를 충전시키는 동안만큼 각 트랜지스터(T1, T2)의 스위칭이 지연되나, 이 시간은 극히 짧은 시간으로써 승객은 거의 느끼지 못하는 지연 시간이므로 무시한다.
상기 제1 스위칭 트랜지스터(T1)의 에미터단에는 저항(R6)을 연결하고, 콜렉터 단에는 저항(R5)와 다이오드(D2)를 연결함으로서 저항(R6)은 제1 스위칭 트랜지스터(T1)의 에미터단에서 출력되는 과부하로 인한 가열을 냉각시켜 제1 스위칭 트랜지스터(T1)의 부품파손 및 제2 스위칭 트랜지스터(T2)의 입력전류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며, 제1 스위칭 트랜지스터(T1)의 콜렉터단에 연결된 저항(R6) 다이오드(D2)도 제2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콜렉터단에 출력하는 전류가 안전하게 출력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콘덴서(C)는 스위치(S1)가 오프될 때까지 접지단의 저항(R1)과 저항(R2)가 전류를 분배시킴으로서 제1 스위칭 트랜지스터(T1)에 안정된 전류를 공급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 상태에서 승객이 스위치(S1)를 오프하게 되면 그동안 충전되었던 충/방전용 콘덴서(C)에서 전류가 인가된 상기와 동일한 경로로 실내등(2)을 점등하게 된다.
즉, 승객이 스위치(S1)를 오프하였어도 충/방전용 콘덴서(C)에 충전되어 있던 전류량 만큼 실내등(2)이 점등되다가 콘덴서(C)의 방전이 모두 이루어질 때 서서히 소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실내등(2)의 회로에 충/방전용 콘덴서(C)를 부가 설계하면 실내등(2)의 소등이 서서히 이루어지고, 그에 따라 실내등(2)의 점등시간을 지연시키므로 승객의 눈에 피로감을 주는 불편함이 제거된다.
아울러 상기 회로에서 사용된 저항 및 다이오드는 모두 회로 안정용으로 사용되는 소자들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실내등 회로에 충/방전용 콘덴서와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부가 사용하여 실내등의 점등 유지시간을 지연시킴과 동시에 실내등 조정용 스위치 오프시 서서히 소등되는 회로를 구성함으로서 실내등의 수명을 연장시킬 뿐만 아니라 승객의 눈에 피로감을 주지 않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자동차의 내부에 설치된 제어회로에 있어서, 실내등(2)의 양측 단자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밧데리(1)의 양(+)단자 전원라인(a)측에 충/방전용 콘덴서(C)를 병렬로 연결하고, 상기 충/방전용 콘덴서(C)의 접지단자에는 저항(R1)과 제1 다이오드(D1)를 연결하고, 상기 제1 다이오드(D1)의 접지단자와 밧데리(1)의 음(-)단자인 접지라인(b)에 스위치(S1)와 연결하고, 상기 충/방전용 콘덴서(C)와 저항(R1) 사이에 바이어스 저항(R2, R3)이 공통 접속된 트랜지스터(T1)의 베이스단을 연결하고, 상기 트랜지스터(T1)의 콜렉터단에 각 저항(R4, R5)과 제2 다이오드(D2)를 공통접속하고, 상기 트랜지스터(T1)의 에미터단에 저항(R6)을 연결하고 상기 저항(R6)의 출력전류가 트랜지스터(T2)의 입력전류로 입력될 수 있도록 베이스단을 연결하고, 상기 트랜지스터(T2)의 콜렉터단에는 트랜지스터(T1)의 콜렉터 출력단과 실내등(2)을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차용 실내등 제어회로.
KR1019940036723A 1994-12-26 1994-12-26 자동차용 실내등 제어회로 KR01789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6723A KR0178931B1 (ko) 1994-12-26 1994-12-26 자동차용 실내등 제어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6723A KR0178931B1 (ko) 1994-12-26 1994-12-26 자동차용 실내등 제어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1878A KR960021878A (ko) 1996-07-18
KR0178931B1 true KR0178931B1 (ko) 1999-04-01

Family

ID=19403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36723A KR0178931B1 (ko) 1994-12-26 1994-12-26 자동차용 실내등 제어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7893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8323B1 (ko) * 2004-06-01 2007-06-13 주식회사 키트론 시각보호용 램프의 제어장치와 제어방법 및 그것이 적용된소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1878A (ko) 1996-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22371A (en) Control circuit for vehicle compartment light
US5233229A (en) Device for supplying voltage in a motor vehicle having parallel connected generators
JP4087211B2 (ja) 車両用灯具
US4638174A (en) Switching device for lighting the interior of a motor vehicle
WO2007052473A1 (ja) 電力供給制御装置
KR0178931B1 (ko) 자동차용 실내등 제어회로
US6465996B2 (en) Constant voltage circuit with a substitute circuit in case of input voltage lowering
JPH09285035A (ja) 自動車用充電電圧制御回路
JPH0332493B2 (ko)
JP2002216979A (ja) 白熱ランプの点灯方法及び白熱ランプの点灯回路
US20230104593A1 (en) Light source module and lighting circuit
JP2000297732A (ja) イグナイタ制御装置
JPH01281621A (ja) 車両のスイッチ用電流供給回路
JP3481449B2 (ja) 自動車用補助灯点灯装置
KR940002802Y1 (ko) 자동차용 공기청정기
KR950006300Y1 (ko) 자동차의 조명 조절용 모듀울
KR200222257Y1 (ko) 무접점 방식을 채용한 자동차 방향지시등 장치의 회로
KR920008182Y1 (ko) 자동차용 무접점식 방향전환 스위치 회로
KR100308968B1 (ko) 엔진제어장치의파워다운제어장치
JP2007335930A (ja) 負荷制御装置
JPS5933722Y2 (ja) ヘツドランプ自動切替装置
JPH0834419B2 (ja) 短絡保護機能付集積回路
JPH0248277Y2 (ko)
JP4075223B2 (ja) センサ回路
KR970037802A (ko) 자동차용 실내등 제어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10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