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6300Y1 - 자동차의 조명 조절용 모듀울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조명 조절용 모듀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6300Y1
KR950006300Y1 KR2019930002485U KR930002485U KR950006300Y1 KR 950006300 Y1 KR950006300 Y1 KR 950006300Y1 KR 2019930002485 U KR2019930002485 U KR 2019930002485U KR 930002485 U KR930002485 U KR 930002485U KR 950006300 Y1 KR950006300 Y1 KR 9500063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istor
resistor
circuit
base
control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024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20509U (ko
Inventor
이종억
Original Assignee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김태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김태구 filed Critical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300024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6300Y1/ko
Publication of KR94002050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2050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63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630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80Circuits; Control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차의 조명 조절용 모듀울
제 1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조절용 모듀울에 대한 블록 다이어그랩.
제 2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조절용 모듀울에 대한 전체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T : 트랜지스터 R : 저항
C : 캐패시터 D : 다이오드
15 : 전원부
본 고안은 자동차의 조명 조절용 모듀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차의 계기판이나 라디오 등의 조명을 조절하고 조명 조절용 모듀울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조명 조절용 모듀울의 부하들은 거의 대부분 램프이다. 따라서 노화에 의하여 또는 제조자들이 실수에 의하여 램프가 단락되는 경우 및 배선피복 손상으로 인한 부하단락이 간혹 발생한다. 이러한 경우 계속 전류가 인가되면 조명 조절용 모듀울내의 파워 트랜지스터에 과전류가 흘러서 고장을 유발한다. 따라서 램프를 정상동작시키기 위해서는 단락의 원인 제거 및 노화된 램프를 교체함과 동시에 조명 조절용 모듀울로 교체하여야 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인바, 본 고안의 목적은 부하가 단락되거나 또는 과전류가 발생할때 회로소손 방지회로에 의하여 과전류를 궤환시켜 줌으로써 부하측으로 더 이상의 전류가 흐르지 못하게 하여 파워 트랜지스터의 소손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장점은, 부하의 단락 또는 과전류 발생원을 제거하기만 하면 조명 조절용 모듀울을 교체하지 않고도 본래의 기능을 회복하여 조명을 조절할 수 있는 조명 조절용 모듀울을 개발하였다는 점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세개의 트랜지스터, 세개의 저항 및 하나의 캐패시터로 구성된 회로소손 방지회로를 내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조명 조절용 모듀울을 제공한다. 이에 따라서, 제 3 트랜지스터의 베이스가, 정상 동작시에는 로우로 되어 제 3 트랜지스터는 온 상태가 되고, 비정상 상태시에는 하이로 되어 오프 상태로 된다. 특히, 비정상 상태에서 제 3 트랜지스터가 오프가 되므로 제 6 저항을 흐르는 전류가 작아지므로 즉 제 1 트랜지스터(T1)의 베이스에 걸리는 전압은 T1을 ON시켜 줄만큼 크지 않게 되므로 제 1 파워 트랜지스터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그 구성 및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도는 기존의 조명 조절용 모듀울에 회로소손 방지회로가 결합된 조명조절용 모듀울을 도시한 블록 다이어그램으로서, 부하단에 걸리는 전류를 검출하여 과전류가 걸릴시에 프론트엔드로 궤환하여 프론트엔드에서 파워 트랜지스터가 턴온이 안되게 차단시킴으로서 출력쪽에 부하가 걸려도 파워 트랜지스터가 턴 오프되게 한다.
제 2 도는 본 발명에 따라 회로소손 방지회로가 내장된 조명 조절용 모듀울의 전체 회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회로소손 방지회로는, 전원부(15)에 제 2 트랜지스터(T2)의 에미터가 접속되고, 제 2 트랜지스터(T2)의 베이스가 제 3 저항(R3)과 접속되며 제 3 저항(R3)의 타단의 제 11저항(R11) 및 제 13 저항(RB)의 직렬 접속과 제 1 트랜지스터(T1)간에 병렬접속되고, 제 2 트랜지스터(T2)의 컬렉터는 제 2 저항(R2)을 경유해 제 2 캐패시터(C2)의 일단과 제 4 트랜지스터(T4)에 베이스에 병렬접속되고, 제 4 트랜지스터(T4)의 에미터는 접지되고, 제 4 트랜지스터(T4)의 컬렉터 및 제 2 트랜지스터(T2)의 타단이 병렬접속이 제 5 저항(R5)을 경유해 제 3 트랜지스터(T3)의 베이스에 접속되고, 제 3 트랜지스터(T3)의 컬렉터와 에미터가 각각 제 6 항(R6)의 각단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회로소손 방지회로가 없었던 종래의 조명 조절용 모듀울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전류가 제 1 다이오드(D1)를 경유하며 각 저항(R9, R11, R13)을 차례로 경유하여 제 4 다이오드(D4)를 통해 제 15 저항(R15)과 제 4 캐패시터(C4)에 전압이 인가되는데 이는 일정한 크기의 전압으로 충방전된다. 이렇게 충방전되는 전압에 의해 제 14 가변저항(R14)에 따라 제 6 트랜지서터(T6)를 턴 온/오프시켜주는 시간 주기가 조절된다. 제 6 트랜지스터(T6)의 도통 시간에 따라 제 5 트랜지스터(T5)의 턴 온/오프 시간이 변화된다.
이때, 제 5 트랜지스터(T5)가 턴온되면 제 1 파워 트랜지스터(T1)의 베이스에 전압이 인가되어 제 1 파워 트랜지스터(T1)가 도통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전류가 부하를 통해 제 1 파워 트랜지스터(T1)의 컬렉터를 경유해 에미터로 인가되는 폐회로가 구성되어 램프가 온 상태가 된다.
반면에, 제 5 트랜지스터(T5)가 턴 오프되면 제 1 파워 트랜지스터(T1)가 오프가 되므로 개방회로가 되어 램프가 오프상태가 된다. 만약 램프가 단락되면 입력전원의 과전류가 직접 제 1 파워 트랜지스터(T1)를 경유해 흐르므로 제 1 파워 트랜지스터(T1)에 소손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회로소손 방지회로를 결합하여, 정상동작시에는, 제 2 트랜지스터(T2)의 베이스가 에미터 사이의 전위차에 의해 제 2 트랜지스터(T2)가 동작하여 제 4 트랜지스터(T4)를 동작시킴에 따라 제 3 트랜지스터(T3)의 베이스가 "로우"상태로 된다. 따라서 제 3 트랜지스터(T3)을 온 상태로 만들므로 제 5 트랜지스터(T5)의 온/오프에 따라 램프를 온/오프시킨다.
그러나, 비정상 상태에서는, 즉 램프의 단락상태에서는 제 2 트랜지스터(T2)의 베이스와 에미터가 거의 동전위가 된다. 따라서 제 4 트랜지스터(T4)가 오프되어 제 3 트랜지스터(T3)의 베이스가 "하이"상태로 되므로 제 3 트랜지스터(T3)는 오프된다. 그후, 전류가 제 6 저항(R6)을 경유해 극소량이 흐르게 되므로 즉 T1의 베이스에 걸리는 전압은 T1을 TURN ON시켜 줄만큼 크지 않으므로 T1은 OFF가 되어 제 1 파워 트랜지스터(T1)은 보호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종래의 조명 조절용 모듀울을 사용함으로 인해 야기되어왔던 제반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해소한 것으로서, 기존 조명 조절용 모듀울에 회로소손방지 회로를 결합하여 파워 트랜지스터의 소손을 방지한다. 따라서 단락의 원인을 제거함과 동시에 조명 조절용 모듀울도 교체해야 하는 문제점을 개선한 실용적이고도 유익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자동차의 조명 조절용 모듀울에 있어서, 전원부(15)에 제 2 트랜지스터(T2)의 에미터가 접속되고, 제 2 트랜지스터(T2)의 베이스가 제 3 저항(R3)과 접속되며 제 3 저항(R3)의 타단의 제 11 저항(R11) 및 제 13 저항(R13)의 직렬접속과 제 1 트랜지스터(T1)간에 병렬접속되고, 제 2 트랜지스터(T2)의 컬렉터는 제 2 저항(R2)을 경유해 제 2 캐패시터(C2)의 일단과 제 4 트랜지스터(T4)의 베이스에 병렬접속되고, 제 4 트랜지스터(T4)의 에미터는 접지되고, 제 4 트랜지스터(T4)의 컬렉터 및 제 2 트랜지스터(T2)의 타단의 병렬접속이 제 5 저항(R5)을 경유해 제 3 트랜지스터(T3)의 베이스에 접속되고, 제 3 트랜지스터(T3)의 컬렉터와 에미터가 각각 제 6 항(R6)의 각단에 접속되어 있는 회로소손방지 회로가 내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조명 조절용 모듀울.
KR2019930002485U 1993-02-23 1993-02-23 자동차의 조명 조절용 모듀울 KR9500063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2485U KR950006300Y1 (ko) 1993-02-23 1993-02-23 자동차의 조명 조절용 모듀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2485U KR950006300Y1 (ko) 1993-02-23 1993-02-23 자동차의 조명 조절용 모듀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0509U KR940020509U (ko) 1994-09-17
KR950006300Y1 true KR950006300Y1 (ko) 1995-08-05

Family

ID=193511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02485U KR950006300Y1 (ko) 1993-02-23 1993-02-23 자동차의 조명 조절용 모듀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630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0509U (ko) 1994-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42433A (en) Motor drive circuit
GB2253955A (en) Voltage supply equipment for a motor vehicle having two generators
US7327203B2 (en) PWM signal generation circuit and PWM control circuit
DE69923788T2 (de) Steuer- und überwachungsschaltung für eine kraftfahrzeug-scheinwerfereinrichtung
JP6186270B2 (ja) 車両用灯具
US5438237A (en) Automatic daytime running light system
KR960007305A (ko) 차량용 전원공급장치
US5072210A (en) Combination turn signal and hazard warning flasher
KR950006300Y1 (ko) 자동차의 조명 조절용 모듀울
US6781316B2 (en) Vehicle light apparatus
KR970011553B1 (ko) 구동기 회로
US6150854A (en) Circuit arrangement for switching an inductive load
JP3481449B2 (ja) 自動車用補助灯点灯装置
US5780973A (en) Vehicle windshield wiper-light control system incorporating daytime running light mode
KR0178931B1 (ko) 자동차용 실내등 제어회로
US20240040684A1 (en) Light Control Module for Driving Led Modules
KR102016718B1 (ko) 차량용 램프 제어 장치
JPH04145488A (ja) 蛍光表示管のフィラメント駆動回路
JP2002270384A (ja) 灯具用電流駆動素子の保護回路
JPH1178686A (ja) 車載ランプ駆動回路
JP3232609B2 (ja) 照明制御装置
EP1500556B1 (en) Vehicle headlight system
JPH0333542Y2 (ko)
KR930008187Y1 (ko) 라이트 전원 보호 회로
KR200223581Y1 (ko) 보조램프를갖는자동차의헤드램프구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7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