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2257Y1 - 무접점 방식을 채용한 자동차 방향지시등 장치의 회로 - Google Patents

무접점 방식을 채용한 자동차 방향지시등 장치의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2257Y1
KR200222257Y1 KR2020000032877U KR20000032877U KR200222257Y1 KR 200222257 Y1 KR200222257 Y1 KR 200222257Y1 KR 2020000032877 U KR2020000032877 U KR 2020000032877U KR 20000032877 U KR20000032877 U KR 20000032877U KR 200222257 Y1 KR200222257 Y1 KR 2002222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icator
circuit
turn
capacitor
direction indic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28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훈
권오석
Original Assignee
정재훈
권오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재훈, 권오석 filed Critical 정재훈
Priority to KR20200000328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225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22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2257Y1/ko

Links

Landscapes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무접점 방식을 채용한 자동차 방향지시등 장치의 회로에 관한 것으로, 파워트랜지스터의 스위칭 동작에 의해 방향지시등 및 방향지시등 동작 표시등을 점멸할 수 있도록 하고, 가변저항 및 컨덴서를 포함하는 발진회로에 의해 발진속도를 제어하므로써 방향지시등 및 방향지시등 동작 표시등의 점멸 속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기존의 접점 방식에 비해 가격이 저렴하며, 기존의 접점방식이 가지고 있는 접촉저항을 없앨 수 있어 소음이 적고, 수명이 길며, 하나의 기판으로 모듈 가능하므로 설치 및 제작이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무접점 방식을 채용한 자동차 방향지시등 장치의 회로 {The circuit of turn signal lamp which used contactless switch for the automobile}
본 고안은 무접점 방식을 채용한 자동차 방향지시등 장치의 회로에 관한 것으로, 자동차의 진행방향을 표시하는 방향지시등의 회로에 관련되는 것이다.
종래의 자동차의 방향지시등 회로로는 도 1a 및 도 1b 에 도시한 접점 방식을 채용한 자동차 방향지시등 장치의 회로가 대표적인 것으로, 각각 도 1a 는 점등상태, 도 1b 는 소등상태일 경우를 나타낸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같이 종래의 회로는 컨덴서(C), 접점 스위치(RE), 코일(L1)(L2), 방향지시등 스위치(SW2) 및 방향지시등(L3)(L4)을 포함하고 있으며, 컨덴서(C)의 충방전을 이용하여 일정한 주기로 접점 스위치를 개폐하도록 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전자석 철심에 감긴 코일(L1)에는 방향지시등의 전류가 흐르고, 코일(L2)에는 컨덴서(C)의 충,방전 전류가 흐른다.
이 때, 코일(L1)(l2)는 컨덴서(C)가 충전중일 때는 두 코일(L1)(L2)이 만드는 자력의 방향을 상쇄하고, 컨덴서(C)가 방전 중일 때는 두 코일(L1)(L2)이 만드는 자력의 방향을 합성한다.
접점 스위치(RE)는 작동하지 않을 경우에는 항상 닫혀 있으며, 접점 스위치(RE)에 병렬로 연결된 저항(R)은 동작중에 접점 스위치(RE)의 접점 사이에서 발생하는 불꽃발생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운전자가 점화 스위치(SW1)를 누르면 배터리(BAT)로부터의 전류가 접점 스위치(RE)를 통하여 코일(L2) 및 컨덴서(C)로 흘러 컨덴서(C)가 충전된다.
따라서, 점화 스위치(SW1)가 온(ON)되어 있으면 컨덴서는 항상 충전상태가 되어 대기상태에 있게된다.
방향지시등 스위치(SW2)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온(ON)시키면 도 1a 에 도시한 것처럼 배터리(BAT)로부터의 전류가 코일(L1)을 지나 방향지시등(L3)(L4)으로 흘러 불이 들어온다.
이 결과, 코일(L1)에는 규정의 전류가 흐르게 되어 접점 스위치(RE)가 개방되고 방향지시등(L3)(L4)이 꺼진다.
접점 스위치(RE)가 개방되면 도 1b 에 도시한 바와같이 컨덴서(C)가 방전을 시작하고, 이 방전 전류가 코일(L1)(L2)에 흐르게 된다.
그러나, 이 경우엔 컨덴서(C)의 방전전류와, 배터리(BAT)로부터 저항(R)을 통해 흐르는 전류는 방향지시등(L3)(L4)에도 흐르지만, 전류가 아주 미약해 불은 들어오지 않는다.
컨덴서(C)의 방전이 끝나면 접점 스위치(RE)는 폐쇄되어 코일(L1)(L2)에 전류가 흐른다.
그러나, 이 때는 코일(L2)에 흐르는 전류방향은 코일(L1)에 흐르는 전류방향과 반대가 되기 때문에 두 코일(L1)(L2)의 자력은 상쇄되어 전자석에는 접점 스위치(RE)를 개방하는 힘이 작동하지 않게되어 방향지시등(L3)(L4)은 점등을 계속한다.
이 상태는 컨덴서(C)의 충전이 끝날때까지 계속되고, 이후 컨덴서(C)가 방전과 충전을 반복하면서 방향지시등(L3)(L4)를 일정 주기로 점멸시킨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접점 스위치를 이용한 접점 방식의 방향지시등 회로는 접점 스위치의 개폐동작에 의해 많은 전력 손실이 발생하고, 오래 사용하면 접점 스위치가 마모되어 교체해야만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무접점 방식으로 자동차의 방향지시등을 점멸할 수 있는 무접점 방식을 채용한 자동차 방향지시등 장치의 회로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무접점 방식을 채용한 자동차 방향지시등 장치의 회로는 가변저항에 의해 점멸주기가 조절되는 컨덴서를 포함하는 발진회로에 의해 출력되는 점멸제어신호를 두 개의 출력단자로 각각 출력하는 CMOS 구동칩과;
상기 출력단자로부터 출력되는 점멸제어신호를 베이스를 통해 구동신호로 인가받고, 상기 구동신호에 따라 방향지시등 조작스위치로부터의 전원입력을 도통 또는 차단하므로써 그 컬렉터에 각각 연결되는 좌·우측 방향지시등과, 그 에미터와 베이스간에 각각 연결되는 좌·우측 방향지시등 동작 표시등의 점멸을 제어하는 두 pnp형 파워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a 는 점등상태에서의 종래의 접점 방식을 채용한 자동차 방향지시등 장치의 회로
도 1b 는 소등상태에서의 종래의 접점 방식을 채용한 자동차 방향지시등 장치의 회로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무접점 방식을 채용한 자동차 방향지시등 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회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방향지시등 조작스위치 20a : 좌측 방향지시등 동작 표시등
20b : 우측 방향지시등 동작 표시등 30a, : 좌측 방향지시등
30b : 우측 방향지시등 40 : 발진회로
50 : CMOS 구동칩
본 고안에 따른 무접점 방식을 채용한 자동차 방향지시등 장치의 회로의 일 양상에 따르면, 파워트랜지스터의 스위칭 동작에 의해 방향지시등 및 방향지시등 동작 표시등을 점멸할 수 있도록 한 것에 특징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무접점 방식을 채용한 자동차 방향지시등 장치의 회로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가변저항과 컨덴서를 포함하는 발진회로에 의해 발진속도를 제어하므로써 방향지시등 및 방향지시등 동작 표시등의 점멸 속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 것에 특징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되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고안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무접점 방식을 채용한 자동차 방향지시등 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회로도로서, 본 고안에 따른 방향지시등 장치는 방향지시등 조작스위치(10)와; 좌·우측 방향지시등 동작 표시등(20a)(20b)과; 좌·우측 방향지시등(30a)(30b)과; 상기 좌·우측 방향지시등 동작 표시등(20a)(20b)과 좌·우측 방향지시등(30a)(30b)의 점멸 및 점멸 속도를 제어하는 CMOS 구동칩(50)과, 두 파워트랜지스터(Tr1)(Tr2), 컨덴서(C), 가변저항(R)을 포함하는 주변회로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방향지시등 조작스위치(10)와 좌·우측 방향지시등 동작 표시등(20a)(20b)은 자동차의 내부에서 운전자가 조작하고 확인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상기 좌·우측 방향지시등(30a)(30b)은 자동차의 차체 전방 또는 후방에 설치된다.
상기 좌·우측 방향지시등(30a)(30b) 및 좌·우측 방향지시등 동작 표시등(20a)(20b)의 점멸 및 점멸 속도를 제어하는 주변회로는 에미터에 각각 상기 방향지시등 조작스위치(10)의 두 단자가, 그 컬렉터에 각각 상기 좌·우측 방향지시등(30a)(30b)이, 그 에미터와 베이스간에 각각 좌·우측 방향지시등 동작 표시등(20a)(20b)이 연결된 두 pnp형 파워트랜지스터(Tr1)(Tr2)와; 두 출력 포트를 통해 각각 상기 두 파워트랜지스터(Tr1)(Tr2)의 베이스에 구동신호를 인가하는 CMOS 구동칩(50)과; 상기 CMOS 구동칩(40)의 두 입력 포트에 연결되는 컨덴서(C) 및 가변저항(R)을 포함하는 발진회로(40)를 포함하고 있다.
도 2 에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CMOS 구동칩으로 CMOS 4049 IC 칩을 사용하였으며, 이 CMOS 4049 IC 칩의 10번 및 12번 출력 포트를 통해 두 파워트랜지스터(Tr1)(Tr2)의 베이스에 구동신호를 인가하고, 7번 입력 포트에 연결되는 컨덴서(C)와 5번 입력 포트에 연결되는 가변저항(R) 및 저항(R1) 및 3번 입력 포트에 연결되는 저항(R2)으로 발진회로를 구성하였다.
도 2 에 도시한 바와같이 방향지시등 조작스위치(10)가 좌측 단자에 연결되면, 좌측 방향지시등(30a) 및 좌측 방향지시등 동작 표시등(20a)의 점등에 필요한 전원이 입력된다.
한편, 파워트랜지스터(Tr1)는 그 베이스에 인가되는 전압이 소정 전압 이상의 하이(High) 상태일 경우 온(ON)되어 상기 좌측 방향지시등(30a) 및 좌측 방향지시등 동작 표시등(20b)을 점등시키고, 소정 전압 이하의 로우(Low) 상태일 경우 오프(OFF)되어 상기 좌측 방향지시등(30a) 및 좌측 방향지시등 동작 표시등(20a)을 소등시킨다.
즉, 상기 파워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에 하이(High) 신호가 입력되면 파워트랜지스터(Tr1)는 온(On) 되어 상기 방향지시등 조작스위치(10)로부터 입력되는 점등에 필요한 전원이 에미터를 통하여 컬렉터로 흐르게 되어 상기 파워트랜지스터(Tr1)의 컬렉터에 연결된 좌측 방향지시등(30a)를 점등시키는 동시에, 전원이 상기 파워트랜지스터(Tr1)의 이미터와 베이스간에 연결된 좌측 방향지시등 동작 표시등(20a)으로도 흘러 좌측 방향지시등 동작 표시등(20a) 역시 점등된다.
소정 시간이 흘러 상기 파워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에 로우(Low) 신호가 입력되면 파워트랜지스터(Tr1)는 오프(OFF) 되어 상기 방향지시등 조작스위치(10)로부터 입력되는 점등에 필요한 전원이 상기 파워트랜지스터(Tr1)의 컬렉터에 연결된 좌측 방향지시등(30a)에 흐르지 않고 동시에, 상기 파워트랜지스터(Tr1)의 이미터와 베이스간에 연결된 좌측 방향지시등 동작 표시등(20a)으로 흐르는 전원이 쇼트되므로 좌측 방향지시등(30a) 및 좌측 방향지시등 동작 표시등(20a)이 소등되게 된다.
상기 CMOS 4049 IC 칩은 10번 출력 포트를 통해 상기 파워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에 주기적인 펄스 신호를 출력하므로써 상기 파워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에 주기적으로 하이(High) 및 로우(Low) 신호가 인가되도록 하므로써 상기 파워트랜지스터(Tr1)를 스위칭 시킨다.
따라서, 상기 CMOS 4049 IC 칩의 주기적인 펄스 출력에 의해 상기 좌측 방향지시등(30a) 및 좌측 방향지시등 동작 표시등(20a)이 주기적으로 점멸을 계속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방향지시등 조작스위치(10)의 단자가 우측에 연결되었을 경우에는 상기 CMOS 4049 IC 칩의 출력이 출력 포트 12 를 통해서 이루어지는 것만 다르며, 나머지 동작은 상기한 좌측 단자에 상기 방향지시등 조작스위치(10)가 연결되었을 경우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CMOS 4049 IC 칩의 10번 출력 포트 또는 12번 출력 포트를 통해 출력되는 펄스 신호는 컨덴서(C) 및 가변저항(R)을 포함하는 발진회로에 의해 발진속도가 제어되어, 상기 파워트랜지스터(Tr1)(Tr2)의 베이스에 인가되는 펄스의 주기를 제어함으로써 방향지시등(30a)(30b) 및 방향지시등 동작 표시등(20a)(20b)의 점멸속도를 제어하게 된다.
즉, 상기 CMOS 4049 IC 칩의 7번 입력단자에 연결된 컨덴서(C)의 연속적인 충·방전에 따라 CMOS 4049 IC 칩의 10번 및 12번 출력 단자로 출력되는 파형은 구형파를 이루게 되어 상기 파워트랜지스터(Tr1)(Tr2)의 베이스에 주기적으로 하이(High) 및 로우(Low) 신호가 반복되도록 함으로써 파워트랜지스터(Tr1)(Tr2)를 스위칭시킨다.
이때, 상기 CMOS 4049 IC 칩의 5번 입력단자에 연결되는 가변저항(R)의 저항값에 따라 상기 컨덴서(C)에 의해서 생성되는 구형파의 주파수 주기 즉, 발진 속도가 결정되므로, 이 가변저항(R)값에 따라 상기 파워트랜지스터(Tr1)(Tr2)의 스위칭 속도가 결정되어 상기 방향지시등(30a)(30b) 및 방향지시등 동작 표시등(20a)(20b)의 점멸속도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두 파워트랜지스터(Tr1)(Tr2)의 에미터로 동시에 전원입력이 들어가도록 하는 단자를 상기 조작스위치(10)에 추가로 설치하면, 이 단자에 스위치 온(ON)시 상기 두 파워트랜지스터(Tr1)(Tr2)의 베이스에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 상기 양측의 방향지시등(30a)(30b) 및 방향지시등 동작 표시등(20a)(20b)이 동시에 점멸을 계속하게 되어 비상신호등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음 또한 본 고안의 범주이다.
따라서, 위와같이 함으로써 상기에서 제시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파워트랜지스터의 스위칭 동작에 의해 방향지시등 및 방향지시등 동작 표시등을 점멸할 수 있도록 하고, 컨덴서 및 가변저항을 포함하는 발진회로에 의해 발진속도를 제어하므로써 방향지시등 및 방향지시등 동작 표시등의 점멸 속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기존의 접점 방식에 비해 가격이 저렴하며, 기존의 접점방식이 가지고 있는 접촉저항을 없앨 수 있어 소음이 적고, 수명이 길며, 하나의 기판으로 모듈 가능하므로 설치 및 제작이 용이한 등의 유용한 효과를 가진다.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 의해 포괄되는 본 고안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Claims (1)

  1. 가변저항(R)에 의해 점멸주기가 조절되는, 컨덴서(C)를 포함하는 발진회로에 의해 출력되는 점멸제어신호를 두 개의 출력단자로 각각 출력하는 CMOS 구동칩과;
    상기 출력단자로부터 출력되는 점멸제어신호를 베이스를 통해 구동신호로 인가받고, 상기 구동신호에 따라 방향지시등 조작스위치(10)로부터의 전원입력을 도통 또는 차단하므로써 그 컬렉터에 각각 연결되는 좌·우측 방향지시등(30a)(30b)과, 그 에미터와 베이스간에 각각 연결되는 좌·우측 방향지시등 동작 표시등(20a)(20b)의 점멸을 제어하는 두 pnp형 파워트랜지스터(Tr1)(Tr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접점 방식을 채용한 자동차 방향지시등 장치의 회로.
KR2020000032877U 2000-11-23 2000-11-23 무접점 방식을 채용한 자동차 방향지시등 장치의 회로 KR2002222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2877U KR200222257Y1 (ko) 2000-11-23 2000-11-23 무접점 방식을 채용한 자동차 방향지시등 장치의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2877U KR200222257Y1 (ko) 2000-11-23 2000-11-23 무접점 방식을 채용한 자동차 방향지시등 장치의 회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2257Y1 true KR200222257Y1 (ko) 2001-05-02

Family

ID=73060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2877U KR200222257Y1 (ko) 2000-11-23 2000-11-23 무접점 방식을 채용한 자동차 방향지시등 장치의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225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38174A (en) Switching device for lighting the interior of a motor vehicle
US20020047531A1 (en) Direction-indication-lamp control apparatus for vehicle
KR200222257Y1 (ko) 무접점 방식을 채용한 자동차 방향지시등 장치의 회로
JPS6364845A (ja) 自動車の方向指示装置および警告点滅装置
JP2004009805A (ja) ランプ制御装置
JPH0148172B2 (ko)
ITRM950090A1 (it) Circuito per impianto a funzionamento intermittente, in particolare l'impianto di lampeggiatori direzionali di autoveicoli.
JPS5933722Y2 (ja) ヘツドランプ自動切替装置
KR0178931B1 (ko) 자동차용 실내등 제어회로
JPH10309978A (ja) リアフォグランプ点灯制御装置
JPS5924595Y2 (ja) 車両用前照灯の点灯自動保持装置
EP0610654A2 (en) Signal lighting apparatus
JPS58170237U (ja) 車両用点滅装置
JP2003109780A (ja) 車両用ランプ点灯装置
KR920008182Y1 (ko) 자동차용 무접점식 방향전환 스위치 회로
KR200145760Y1 (ko) 비상등 작동시 방향지시장치
CN117596746A (zh) 驱动控制电路、信息指示器及车辆
SU765058A1 (ru) Прерыватель дл указател поворотов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JPS6322115Y2 (ko)
JPS6346267Y2 (ko)
JPH0335631Y2 (ko)
KR0166469B1 (ko) 자동차의 미등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0507680B1 (ko) 지시등 구동회로
KR0177366B1 (ko) 자동차 미등 자동꺼짐 장치 및 그 방법
JPH11208368A (ja) 自動車用補助灯点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