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8968B1 - 엔진제어장치의파워다운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엔진제어장치의파워다운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8968B1
KR100308968B1 KR1019980055597A KR19980055597A KR100308968B1 KR 100308968 B1 KR100308968 B1 KR 100308968B1 KR 1019980055597 A KR1019980055597 A KR 1019980055597A KR 19980055597 A KR19980055597 A KR 19980055597A KR 100308968 B1 KR100308968 B1 KR 1003089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ing means
switching
signal
engine control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55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40052A (ko
Inventor
이종덕
Original Assignee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계안
Priority to KR10199800555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8968B1/ko
Publication of KR200000400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00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89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8968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24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digital means
    • F02D41/26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digital means using computer, e.g. microprocess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엔진 제어 장치 마이크로프로세서의 구동 전원과 파워다운 모드시의 전원 장치를 동일하게 하며, 마이크로프로세서 내부로 유입되는 노이즈를 효과적으로 차단하는 엔진 제어 장치의 파워다운 제어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이그니션 스위치의 온/오프 신호에 따라 엔진 제어 장치에 부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압 조정 수단과; 상기 전압 조정 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동작되어, 자동차 운행에 따른 각종 엔진 제어를 위한 연산을 하여 엔진 제어에 필요한 동작을 제어하며, 자동차의 주행에 따라 학습된 운행 정보 데이터를 내부 메모리에 기록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엔진 제어 장치에 있어서, 이그니션 스위치가 온 될 경우에만 상기 전압 조정 수단의 신호에 따라 스위칭 온 되어 그에 따른 소정의 신호를 출력하는 제 1스위칭 수단과; 이그니션 스위칭의 온/오프 동작에 따라 스위칭 온/오프 되어 그에 따른 소정의 신호를 출력하는 제 2스위칭 수단과; 상기 제 2스위칭 수단의 신호에 따라 스위칭 온/오프 되어 상기 제 1스위칭 수단의 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제 3스위칭 수단과; 상기 제 3스위칭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제 1스위칭 수단의 신호에 따라 스위칭 온/오프 되어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를 리셋 시키기 위한 소정의 신호를 출력하는 제 4스위칭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엔진 제어 장치의 파워다운 제어 장치
본 발명은 자동차의 엔진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시동 오프 후에도 각종 데이터가 저장된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엔진 제어 장치의 파워다운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엔진 제어 장치는 각 센서들로부터 검출되는 각종 운행 정보에 따라 자동차를 주행하기 위한 구동원인 엔진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 각 제어 동작은 엔진 제어 장치 내부의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해 행하여진다.
이러한 엔진 제어 장치는 운전자가 자동차의 이그니션 스위치를 온 하면, 자동차의 각 센서들로부터 검출되는 흡기량, 차속, 수온 등의 각종 운행 정보에 따라 엔진 제어 장치 내부의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자동차 주행에 따른 엔진 제어를 위한 각종 제어값을 연산하고, 그 연산된 제어값에 따라 엔진 및 엔진과 관련된 장치들을 제어하여 안정된 자동차의 주행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와 동시에, 마이크로프로세서는 각종 검출된 자동차의 운행 정보 및 자동차 주행에 따른 각종 데이터를 내부 메모리에 저장한다.
그리고, 자동차의 주행을 종료하기 위하여 운전자가 이그니션 스위치를 오프 하면 자동차의 주행에 필요한 전원의 공급이 차단된다. 그러나, 자동차의 주행 종료에 따른 이그니션 스위치의 오프시, 엔진 제어 장치내의 마이크로프로세서는 다음의 자동차 주행에 필요한 각종 초기 운행 정보 즉, 이전의 주행에 따라 학습되어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각종 운행 정보 데이터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각종 운행 정보 데이터를 유지하기 위하여 백업(back-up) 전원을 공급하여야 하는데, 일반적인 마이크로프로세서의 특성에 의해 오실레이터(oscillator) 자체의 소비 전류가 10mA이상이 된다. 이는 이그니션 스위치 오프 후의 자동차 내부 결선에 의해 발생되는 암전류(leakage current)를 1mA이하로 규제하는 것에 위배된다. 그러므로, 자동차의 엔진 제어 장치는 이그니션 스위치 오프 후 파워다운 모드를 통해 암전류 규제를 만족시킴과 동시에 마이크로프로세서의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학습값을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파워다운 모드를 실행하여 엔진 제어 장치의 마이크로프로세서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학습값을 유지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백업 전원 장치를 두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백업 전원 장치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의 구동 전원과는 다른 전원 장치로, 마이크로프로세서 내부에 서로 다른 2개의 전원 장치에 의해 마이크로프로세서의 동작이 제어되므로 마이크로프로세서의 동작이 안정화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이그니션 스위치를 통해 노이즈가 유입될 경우 각 전원 장치의 동작 특성이 서로 상이하게 되어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오동작 등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엔진 제어 장치 마이크로프로세서의 구동 전원과 파워다운 모드시의 전원 장치를 동일하게 하며, 마이크로프로세서 내부로 유입되는 노이즈를 효과적으로 차단하는 엔진 제어 장치의 파워다운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진 제어 장치의 파워다운 제어 장치를 도시한 회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진 제어 장치의 파워다운 제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신호 파형도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그니션 스위치의 온/오프 신호에 따라 엔진 제어 장치에 부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압 조정 수단과;
상기 전압 조정 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동작되어, 자동차 운행에 따른 각종 엔진 제어를 위한 연산을 하여 엔진 제어에 필요한 동작을 제어하며, 자동차의 주행에 따라 학습된 운행 정보 데이터를 내부 메모리에 기록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엔진 제어 장치에 있어서,
이그니션 스위치가 온 될 경우에만 상기 전압 조정 수단의 신호에 따라 스위칭 온 되어 그에 따른 소정의 신호를 출력하는 제 1스위칭 수단과;
이그니션 스위칭의 온/오프 동작에 따라 스위칭 온/오프 되어 그에 따른 소정의 신호를 출력하는 제 2스위칭 수단과;
상기 제 2스위칭 수단의 신호에 따라 스위칭 온/오프 되어 상기 제 1스위칭 수단의 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제 3스위칭 수단과;
상기 제 3스위칭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제 1스위칭 수단의 신호에 따라 스위칭 온/오프 되어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를 리셋 시키기 위한 소정의 신호를 출력하는 제 4스위칭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신호에 따라 스위칭 온/오프 되어 이그니션 스위치가 오프 될 경우 엔진을 냉각시키기 위하여 상기 전압 조정 수단이 소정 시간 동안 부하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파워 래치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진 제어 장치의 파워다운 제어 장치를 도시한 회로 구성도로, 제 1, 2전압 조정기(VR1, VR2)와, 제 1, 2, 3, 4스위칭부(10, 20, 30, 40), 파워 래치부(50), 마이크로프로세서(2)로 이루어진다.
제 1전압 조정기(VR1)는 운전자의 이그니션 스위치(IG) 조작에 관계없이 항상 일정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전원단(VB)에 접속된 것으로, 배터리 전원단(VB)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소정 전위의 전원으로 조정하여 출력한다.
제 2전압 조정기(VR2)는 전원 입력단(VI)이 병렬 접속된 캐패시터(C1)를 통해 제 1전압 조정기(VR1)에 접속되고, 입력단(IP2)이 저항(R1)과 각각 병렬 접속된 제너다이오드(ZD), 저항(R2), 캐패시터(C2)를 통해 제 1전압 조정기(VR1)에 접속된 이그니션 스위치(IG)에 접속되고, 전원 출력단(VQ)이 각각 병렬 접속된 캐패시터(C3)와 전해 캐패시터(C4)를 통해 부하 전원단(VN)에 접속되며 이와는 병렬로 저항(R3)을 통해 리셋 핀(RST)에 접속된 것으로, 이그니션 스위치(IG)의 조작에 따라 인가되는 제 1전압 조정기(VR1)의 전원을 엔진 제어 장치의 동작을 위한 부하 전원으로 조정하여 출력하고, 이그니션 스위치(IG)의 온 동작시 그에 따른 소정의 리셋 신호를 리셋 출력단(QRES)을 통해 출력한다.
제 1스위칭부(10)는 베이스 단이 저항(R11)을 통해 제 2전압 조정기(VR2)의 리셋 출력단(QRES)에 접속되며, 저항(R11)과 병렬 접속된 캐패시터(C11)를 통해 제 2전압 조정기(VR2)의 전원 출력단(VQ)에 접속되어 있는 저항(R3)에 직렬 접속되고, 이미터 단이 부하 전원단(VN)에 접속되며, 저항(R12)을 통해 베이스 단에 접속된 PNP 트랜지스터(Q11)로 이루어지며, 이그니션 스위치(IG)의 온 동작이 될 때에만 스위칭 온 되어 컬렉터 단을 통한 소정의 신호를 출력한다.
제 2스위칭부(20)는 베이스 단이 분압 저항(R21, R22)을 통해 이그니션 스위치(IG)에 접속되고, 컬렉터 단이 저항(R23)을 통해 부하 전원단(VN)에 접속되고, 이미터 단이 접지된 NPN 트랜지스터(Q21)로 이루어지며, 이그니션 스위치(IG)의 동작에 따라 스위칭되어 컬렉터 단을 통한 소정의 신호를 출력한다.
제 3스위칭부(30)는 베이스 단이 제 2스위칭부(20)의 출력단에 접속되고, 컬렉터 단이 저항(R31)을 통해 제 1스위칭부(10)의 출력단에 접속되고, 이미터 단이 접지된 NPN 트랜지스터(Q31)로 이루어지며, 제 2스위칭부(20)의 신호에 따라 스위칭되어 컬렉터 단을 통한 소정의 신호를 출력한다.
제 4스위칭부(40)는 베이스 단이 분압 저항(R41, R42)을 통해 제 3스위칭부(30)의 출력단에 접속되며, 컬렉터 단이 저항(R43)을 통해 배터리 전원단(VB)에 접속되며, 이미터 단이 접지되어 있으며, 컬렉터 단을 통한 출력단에 캐패시터(C41)가 병렬 접속된 NPN 트랜지스터(Q41)로 이루어지며, 제 3스위칭부(30)의 신호에 따라 스위칭되어 그에 따른 소정의 신호를 출력한다.
파워 래치부(50)는 베이스 단에 저항(R51)이 접속되며, 이미터 단은 접지되어 있으며, 컬렉터 단은 저항(R52)을 통해 부하 전원단(VN)에 접속되어 있으며, 컬렉터 단을 통한 출력단은 병렬 접속된 캐패시터(C51)를 통해 제 2전압 조정기(VR2)의 입력단(IP6)에 접속된 NPN 트랜지스터(Q51)로 이루어지며, 소정의 제어 신호에 의해 스위칭되어 이그니션 스위치(IG)의 오프 동작시 엔진 제어 장치를 동작하기 위한 부하 전원을 소정 시간동안 유지시킨다.
마이크로프로세서(2)는 내부 구동 전원단(VCC)이 배터리 전원단(VB)에 접속되어 있으며, 리셋 단자(RSTIN)는 제 4스위칭부(40)의 출력단에 접속되어 있으며, 출력단(P1)은 파워 래치부(50)에 접속된 것으로, 자동차의 운행에 따른 각종 엔진 제어를 위한 연산을 하여 엔진 동작을 제어하며, 자동차의 주행에 따라 학습된 운행 정보 데이터를 내부 메모리에 기록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자동차의 파워다운 제어 장치를 도 2의 신호 파형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운전자가 자동차를 주행하기 위하여 이그니션 스위치(IG)를 온 동작시키면(CPA 구간), 제 2전압 조정기(VR2)는 전압 입력단(VI)을 통해 인가되는 제 1전압 조정기(VR1)의 전원을 엔진 제어 장치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으로 조정한 다음 전압 출력단(VQ)을 통해 출력한다. 그러면, 전압 출력단(VQ)에 병렬 접속된 전해 캐패시터(C4)가 충전을 개시하여 일정한 시간 지연을 갖고 부하 전원단(VN)으로 엔진 제어 장치의 구동에 필요한 부하 전원을 공급한다.
이때, 제 2전압 조정기(VR2)의 리셋 출력단(QRES)은 "로우" 레벨의 신호를 유지한다. 따라서, 제 1스위칭부(10) PNP 트랜지스터(Q11)는 베이스 단에 인가되는 "로우" 레벨 신호에 의하여 스위칭 온 되어 출력단인 컬렉터 단을 통해 이미터 단의 부하 전원(VN)에 의해 "하이" 레벨의 신호를 출력한다. 그리고, 제 2스위칭부(20) NPN 트랜지스터(Q21)는 이그니션 스위치(IG)의 온 동작에 따라 베이스 단에 인가되는 제 1전압 조정기(VR1)의 "하이" 레벨 신호에 의하여 스위칭 온 되어 출력단인 컬렉터 단을 통해 "로우" 레벨의 신호를 출력한다. 그러므로, 제 3스위칭부(30) NPN 트랜지스터(Q31)는 베이스 단에 인가되는 "로우" 레벨 신호에 의하여 스위칭 오프 되어 출력단인 컬렉터 단을 통해 제 1스위칭부(10)로부터 인가되는 "하이" 레벨의 신호를 출력한다. 그러면, 제 4스위칭부(40) NPN 트랜지스터(Q41)는 베이스 단에 인가되는 "하이" 레벨의 신호에 의하여 스위칭 온 되어 출력단인 컬렉터 단을 통해 "로우" 레벨의 신호를 출력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3)의 리셋 단자(RSTIN)에 "로우" 레벨의 신호가 인가되도록 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3)를 리셋 시킨다.
이후, 제 2전압 조정기(VR2)의 전압 출력단(VQ)을 통해 출력되는 부하 전원(VN)이 증가되어 전해 캐패시터(C4)의 완충전 이후, 엔진 제어 장치에 사용하기 위한 전위가 되어 자동차 정상 운행 상태가 되면(CPB 구간), 제 2전압 조정기(VR2)의 리셋 출력단(QRES)은 "하이" 레벨의 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제 1스위칭부(10) PNP 트랜지스터(Q11)의 베이스 단에는 "하이" 레벨 신호가 인가되어 스위칭 오프 되므로 공급 전원(VN)이 없어 출력단인 컬렉터 단을 통해 "로우" 레벨의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따라서, 스위칭 온 상태에 있는 제 2스위칭부(30) NPN 트랜지스터(Q31)는 컬렉터 단으로부터의 공급 전원이 없으므로 스위칭 오프 되어 출력단인 컬렉터 단을 통해 "로우" 레벨의 신호를 출력한다. 그리고, 이 "로우" 레벨의 신호가 제 4스위칭부(40) NPN 트랜지스터(Q41)의 베이스 단에 인가되어 스위칭 오프 시키므로, 제 4스위칭부(40)는 출력단인 컬렉터 단을 통해 배터리 전원단(VB)에 의한 "하이" 레벨의 신호를 마이크로프로세서(2)의 리셋 단자(RSTIN)에 인가한다.
그러면, 마이크로프로세서(2)는 리셋단자(RSTIN)의 "하이" 레벨 신호에 따라 내부 구동 전원단(VCC)에 인가되는 배터리 전원단(VB)의 공급 전류를 이용하여 엔진 제어 동작을 개시하여 자동차가 안정되게 주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일 예로, 마이크로프로세서(2)는 엔진 냉각을 위하여 수온 센서(1)로부터 검출되는 엔진 냉각수 온도에 따라 출력단(P2)을 통한 소정의 제어신호로 라디에이터 팬(3)을 동작시키게 된다.
이때, 마이크로프로세서(2)는 출력단(P1)을 통해 "하이" 레벨의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파워 래치부(50) NPN 트랜지스터(Q51)를 스위칭 온 시키므로 제 2전압 조정기(VR2)의 입력단(IP6)에는 "로우"의 신호가 인가되게 된다.
이와 같은 정상 상태에서 자동차를 주행하는 중, 이그니션 스위치(IG)를 통해 채터링(chattering) 노이즈가 인가되더라도, 제 1스위칭부(10) PNP 트랜지스터(Q11)가 스위칭 오프 상태에 있어 컬렉터 단을 통한 공급 전류가 없으므로 마이크로프로세서(2)로 인가되는 노이즈를 완벽히 차단할 수 있다.
이후, 운전자가 자동차의 주행을 종료하기 위하여 이그니션 스위치(IG)를 오프 시키게 되면(CPC 구간), 제 2스위칭부(20) NPN 트랜지스터(Q11)는 스위칭 오프 되며, 제 1스위칭부(10)로부터의 전원 공급이 없으므로 제 4스위칭부(40) NPN 트랜지스터(Q41)는 오프 상태를 유지하여 출력단을 통해 "하이" 레벨의 신호를 마이크로프로세서(2) 리셋 입력단(RSTIN)에 공급하게 된다. 그리고, 제 2전압 조정기(VR2)는 입력단(IP6)을 통해 인가되는 "로우" 레벨의 파워 래치 신호에 의해 이그니션 스위치(IG) 오프 후에도 엔진 과열을 식혀주기 위하여 라디에이터 팬(3)을 제어하기 위한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이후, 마이크로프로세서(2)는 내부 카운터에 의해 이그니션 스위치(IG) 오프로부터 설정 시간이 경과하게 되면(CPD 구간), 마이크로프로세서(2)는 출력단(P1)을 통해 제어신호의 출력을 중단 즉, "로우" 레벨의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그러면, 파워 래치부(50) NPN 트랜지스터(Q51)는 스위칭 오프 되고, 그에 따라 제 2전압 조정기(VR2)의 입력단(IP6)에는 부하 전원단(VN)에 의한 "하이" 레벨의 신호가 인가된다. 따라서, 제 2전압 조정기(VR2)는 동작을 중단하고, 리셋 출력단(QRES)을 통해 "로우" 레벨의 신호를 출력하며, 전압 출력단(VQ)으로의 제 1전압 조정기(VR1)에 의한 공급 전원을 차단하게 된다. 그러면, 제 2전압 조정기(VR2)의 전원 출력단(VQ)측에 접속된 전해 캐패시터(C4)에 방전을 개시하여 엔진 제어 장치내의 부하 공급 전원은 차단되게 된다.
그러나, 마이크로프로세서(2)는 제 1, 제 2, 제 3, 제 4스위칭부(10)(20)(30(40)의 각 트랜지스터의 스위칭 오프 상태에 따라, 제 4스위칭부(40) NPN 트랜지스터(Q41)의 컬렉터 단의 배터리 전원단(VB)에 의한 "하이" 레벨의 신호가 리셋 입력단(RSTIN)에 인가되므로, 파워다운 모드로 진입하여 별도의 백업 전원 장치 없이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학습된 운행 정보 데이터를 소거 없이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엔진 제어 장치 마이크로프로세서의 구동 전원과 파워다운 모드시의 전원 장치를 동일하게 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의 동작을 안정되게 하며, 자동차의 정상 운행시 이그니션 스위치로부터 유입되는 채터링 노이즈를 효과적으로 차단하므로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오동작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Claims (7)

  1. 이그니션 스위치의 온/오프 신호에 따라 엔진 제어 장치에 부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압 조정 수단과;
    상기 전압 조정 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동작되어, 자동차 운행에 따른 각종 엔진 제어를 위한 연산을 하여 엔진 제어에 필요한 동작을 제어하며, 자동차의 주행에 따라 학습된 운행 정보 데이터를 내부 메모리에 기록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엔진 제어 장치에 있어서,
    이그니션 스위치가 온 될 경우에만 상기 전압 조정 수단의 신호에 따라 스위칭 온 되어 그에 따른 소정의 신호를 출력하는 제 1스위칭 수단과;
    이그니션 스위칭의 온/오프 동작에 따라 스위칭 온/오프 되어 그에 따른 소정의 신호를 출력하는 제 2스위칭 수단과;
    상기 제 2스위칭 수단의 신호에 따라 스위칭 온/오프 되어 상기 제 1스위칭 수단의 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제 3스위칭 수단과;
    상기 제 3스위칭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제 1스위칭 수단의 신호에 따라 스위칭 온/오프 되어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를 리셋 시키기 위한 소정의 신호를 출력하는 제 4스위칭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제어 장치의 파워다운 제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신호에 따라 스위칭 온/오프 되어 이그니션 스위치가 오프 될 경우 엔진을 냉각시키기 위하여 상기 전압 조정 수단이 소정 시간 동안 부하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파워 래치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제어 장치의 파워다운 제어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스위칭 수단은 베이스 단이 저항(R11)을 통해 상기 전압 조정 수단(VR2)의 리셋 출력단(QRES)에 접속되며, 저항(R11)과 병렬 접속된 캐패시터(C11)를 통해 제 2전압 조정기(VR2)의 전원 출력단(VQ)에 접속되어 있는 저항(R3)에 직렬 접속되고, 이미터 단이 부하 전원단(VN)에 접속되며, 저항(R12)을 통해 베이스 단에 접속된 PNP 트랜지스터(Q1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제어 장치의 파워다운 제어 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스위칭 수단은 베이스 단이 분압 저항(R21, R22)을 통해 이그니션 스위치(IG)에 접속되고, 컬렉터 단이 저항(R23)을 통해 부하 전원단(VN)에 접속되고, 이미터 단이 접지된 NPN 트랜지스터(Q2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제어 장치의 파워다운 제어 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스위칭 수단은 베이스 단이 상기 제 2스위칭 수단의 출력단에 접속되고, 컬렉터 단이 저항(R31)을 통해 상기 제 1스위칭 수단의 출력단에 접속되고, 이미터 단이 접지된 NPN 트랜지스터(Q3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제어 장치의 파워다운 제어 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스위칭 수단은 베이스 단이 분압 저항(R41, R42)을 통해 상기 제 3스위칭 수단의 출력단에 접속되며, 컬렉터 단이 저항(R43)을 통해 배터리 전원단(VB)에 접속되며, 이미터 단이 접지되어 있으며, 컬렉터 단을 통한 출력단에 캐패시터(C41)가 병렬 접속된 NPN 트랜지스터(Q4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제어 장치의 파워다운 제어 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 래치 수단은 베이스 단에 저항(R51)이 접속되며, 이미터 단은 접지되어 있으며, 컬렉터 단은 저항(R52)을 통해 부하 전원단(VN)에 접속되어 있으며, 컬렉터 단을 통한 출력단은 병렬 접속된 캐패시터(C51)를 통해 상기 전압 조정 수단의 입력단(IP6)에 접속된 NPN 트랜지스터(Q5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제어 장치의 파워다운 제어 장치.
KR1019980055597A 1998-12-17 1998-12-17 엔진제어장치의파워다운제어장치 KR1003089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5597A KR100308968B1 (ko) 1998-12-17 1998-12-17 엔진제어장치의파워다운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5597A KR100308968B1 (ko) 1998-12-17 1998-12-17 엔진제어장치의파워다운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0052A KR20000040052A (ko) 2000-07-05
KR100308968B1 true KR100308968B1 (ko) 2001-12-17

Family

ID=19563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5597A KR100308968B1 (ko) 1998-12-17 1998-12-17 엔진제어장치의파워다운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896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6595B1 (ko) * 2005-05-31 2007-06-11 지멘스 오토모티브 주식회사 엔진제어유닛의 재가동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0052A (ko) 2000-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11313448A (ja) 電池の充電制御回路
JPH10271672A (ja) 車両用電源供給装置
WO2007052473A1 (ja) 電力供給制御装置
JP3747618B2 (ja) 電源回路
US7400125B2 (en) Power supply circuit with series regulator
KR100308968B1 (ko) 엔진제어장치의파워다운제어장치
JP4107052B2 (ja) 多出力電源装置
JPH06188704A (ja) 負荷駆動装置
US6876180B2 (en) Power supply circuit having a start up circuit
US5747890A (en) Power supply switch reference circuitry
JP3608000B2 (ja) 車載演算機器用電源装置
US4740737A (en) Constant-current control circuit for a stepped motor of single-pole type, particularly for use in motor vehicles
JP2000297732A (ja) イグナイタ制御装置
JP2002078239A (ja) 車両用電源装置
GB2170931A (en) Driver circuit for solenoids
US5617014A (en) Multifunction voltage regulator
KR0178931B1 (ko) 자동차용 실내등 제어회로
JPH10268951A (ja) 電圧安定化回路
US4916332A (en) Timing and supply bias circuit using one capacitor
KR20230091582A (ko) 전자 장치의 온오프 동작 제어 시스템
KR200192400Y1 (ko) 백업 전원 안정화 장치
KR200174483Y1 (ko) 냉각팬 모터의 구동 제어장치
JP2555459B2 (ja) 電源制御装置
JP2707578B2 (ja) 車両用電圧調整器の充電表示装置
KR20030073633A (ko) 릴레이 구동용 집적회로 및 이를 이용한 릴레이 구동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90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