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7930B1 - 물품의 사출성형법, 사출성형장치 및 그것에 사용하는 성형틀체 및 자기테이프용 카세트절반부 - Google Patents

물품의 사출성형법, 사출성형장치 및 그것에 사용하는 성형틀체 및 자기테이프용 카세트절반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7930B1
KR0177930B1 KR1019920008341A KR920008341A KR0177930B1 KR 0177930 B1 KR0177930 B1 KR 0177930B1 KR 1019920008341 A KR1019920008341 A KR 1019920008341A KR 920008341 A KR920008341 A KR 920008341A KR 0177930 B1 KR0177930 B1 KR 01779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movable
article
injection molding
mol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83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21290A (ko
Inventor
데쓰오 마찌다
Original Assignee
오가 노리오
소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645344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0177930(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오가 노리오, 소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가 노리오
Publication of KR9200212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212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79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793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6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6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 B29C45/1635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using displaceable mould parts, e.g. retractable partition between adjacent mould cavities

Abstract

본원 발명은 물품의 사출성형법, 사출성형장치 및 그것에 사용하는 성형틀체 및 자기테이프용 가세트절반부에 관한 것이며, 성형틀체를 단순화 하고, 또한 물품의 성형사이클을 단축함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사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1회째의 주임에 의해 성형한 제1단계의 성형체(70)와 함께 숫틀(30)틀체를 간격 Gb 만큼 화살표 L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동시에, 암틀(14)의 일부를 구성하는 가동암틀(14B)도 간격 Gb 만큼 코일스프링(29)에 의해 같은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상기 숫틀(30)과, 상기 가동암틀(14B)과 고정암틀(14A)로 이루어지는 암틀(14)과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72)에 제2회째의 주입재료를 충전하여 제2단계의 성형체(80)를 성형하는 방법이다.
참신하고 복잡한 디자인의 물품에서도 생산성 및 코스트의 제한을 받지 않고 성형할 수 있다.

Description

물품의 사출성형법, 사출성형장치 및 그것에 사용하는 성형틀체 및 자기테이프용 카세트절반부
제1도는 본원 발명의 사출성형법에 사용하는 일부사출성형기의 단면도.
제2도는 본원 발명의 사출성형법의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로서, 제1회째의 주입재료를 충전한 것을 도시한 일부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공정에 연속되는 제1단계의 성형체를 이동시킨 공정을 도시한 일부단면도.
제4도는 제3도의 공정에 연속되는 제2회째의주입재료를 충전한 공정을 도시한 일부단면도.
제5도는 제4도의 공정에서 성형된 물품(제2단계의 성형체)를 취출하는 것을 도시한 일부단면도.
제6도는 본원 발명의 사출성형법에 의해 성형한 물품이며, 8mm비디오용 카세트테이프의 가세트절반부를 예시한 것으로, 제6도a는 그 평면도, 제6도b는 제6도a의 A-A 선상의 일부단면도.
제7도는 본원 발명의 사출성형기에 사용하는 유압실린더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일부단면도.
제8도는 본원 발명의 사출성형기에 사용하는 유압실린더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일부단면도.
제9도는 본원 발명의 사출성형법에 사용하는 제2실시예의 일부사출성형기의 단면도.
제10도는 본원 발명의 사출성형법의 제2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로서, 제1회째의 주입재료를 충전한 것을 도시한 일부단면도.
제11도는 제1단계의 성형체를 이동시켜서, 제2회째의 주입재료를 충전한 것을 도시한 단면도.
제12도는 본원 발명의 사출성형법의제2실시예에 의해 성형한 물품이며, 콤팩트카세트테이프의 카세트절반부를 예시한 것으로, 이 도면 a는 그 평면도, 이 도면 b는 이 도면 a의 A-A 선상의 단면도.
제13도는 본원 발명의 사출성형법에 사용하는 제3실시예의 일부 사출성형기의 단면도.
제14도는 본원 발명의 사출성형법의 제3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로서, 제1회째의 주입재료를 충전한 것을 도시한 일부단면도.
제15도는 제1단계의 성형체를 이동시켜서, 제2회째의 주입재료를 충전한 것을 도시한 단면도.
제16도는 게이트나머지를 설명하기 위한 제2게이트부 부근의 확대 단면도.
제17도는 본원 발명의 사출성형법에 의해 성형한 물품이며, 콤팩트카세트테이프의 케세트절반부를 예시한 평면도.
제18도는 종래의 사출성형법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단면도.
제19도는 종래의 사출성형법에 있어서의 게이트나머지대책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A,1B : 가세트절반부 2 : 측면부
3 : 프레임체 4 :표면판
5,5A,5B : 창부 6,6A,7,7A : 은폐부
8 : 라벨위치규정부 9A,9B : 투명부
10 : 성형틀체 10A : 고정측틀체
10B : 가동측틀체 11 : 서포트
13 : 누름판 14 : 암틀
14A : 고정암틀 14B : 가동암틀
15 : 제1주입장치 16 : 제1통로
17 : 게이트부 18 : 제2주입장치
19 : 제2통로 20 : 게이트부
21 : 매니폴드블록 22 : 안내공
23 : 로드 27 : 콜러부가로드
29 : 코일스프링 30 : 숫틀
30A,30B,30C : 가동숫틀 30D : 고정숫틀
31 : 안내공 32 : 장착판
33 : 로드 34,35 : 안내공
36 : 룸 37 : 이젝터핀
38 : 리턴핀 39 : 이젝터플레이트
40 : 이젝터로드 41 : 관통공
42 : 틀체장착부 50 : 유압실린더
70,70A,70B : 제1단계의 성형체
71,72 : 공간 80,80A,80B : 제2단계의 성형체
200 : 성형틀체 200A : 고정측틀체
200B : 가동측틀체 233 : 지지로드
234 : 위치규제로드 237 : 콜러부가로드
238 : 코일스프링 300 : 성형틀체
300A : 고정측틀체 300B : 가동측틀체
305,306 : 공간 310 : 게이트나머지
본원 발명은 서로 대향하는 숫틀의 틀체(型體)와 암틀의 틀체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이종(異種)의 주입재료를 순차 충전함으로써, 예를 들면 비디오용 카세트테이프나 오디오용 카세트테이프의 카세트절반부와 같은 물품을 형성하는 사출성형법 및 그 사출성형법에 사용하는 성형틀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 물품을 사출성형하는 방법에는 2색성형방법이 있으며, 이 방법을 사용하여 비디오용 카세트테이프나 오디오용 카세트테이프의 카세트절반부다 제조되고 있다. 이 제조방법으로서는 로타리방법과 코어백방법이 있다.
1. 로타리방법
이 방법은 금형반전장치(金型反轉裝置)를 사용하고, 코어틀을 물품의 암틀방향으로 직행하는 면내에 있어서 회전시켜서, 1차용 캐비티틀 및 2차용 캐비티틀로 교대로 대향시킴으로써, 2단계의 성형을 순차 행하는 방법이지만, 이 로타리방법에 있어서는 금형이 1차용과 2차용의 2종류 필요한 동시에, 1차측에서의 성형이 종료된 후에, 일단 틀(型)을 열어서 1차성형체를 회전에 의해 2차측으로 옮길 필요가 있으며, 성형사이클이 길어져 생산성이 낮다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1차성형체가 완료된 후틀을 열기 때문에, 1차성형체가 공기에 접촉되고, 따라서 2차성형을 행한 경우에 양자의 계면이 박리되기 쉽다는 문제가 있다.
2. 코어백방법
이 코어백방법은 상기 로타리방법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되었다. 이 코어백방법의 전형적인 기술은 일본국 특개소63(1988)-293024호 「카세트절반부의 2색성형방법」의 특허공개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공개공보에 게재되어 있는 제1도를 본 명세서에 첨부한 제18도로서 재게재하고, 그 요점을 동일부호를 인용하여 설명한다. 1차주입재료충전시에는 숫틀(115)에 이동할 수 있게 배설되고, 또한 카세트절반부의 창부(窓部)를 형성하는 코어틀체(126)를 암틀(110)방향으로 돌출시키는 동시에, 이 암틀에 이동할 수 있게 배설되고, 또한 상기 카세트절반부의 창부 및 프레임의 표면부용의 공간을 폐쇄한 상태에서 나머지 공간내에 1차주입재료를 충전하고, 이어서 2차주입재료를 충전하는 경우에는 상기 코어틀체(126) 및 캐비티틀체(122)를 각각 후퇴시켜서 2차주입재료용의 공간을 형성하고, 이 공간에 2차주입재료를 충전하여 상기 카세트절반부를 성형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성형방법에서는 게이트나머지에 의한 성형체의 투명부의 마무리불량(딤플의 발생등), 금형에 손상을 주는 등의 결점을 없애기 위해,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소 57(1982)-187228호의 발명에서는 그 명세서의 첨부도면 제4도를 본원 발명의 첨부도면의 제1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코어(5)의 게이트대향밀착면에 요부(凹部)(16)를 형성하도록 구성하여, 이 결점을 해결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이 코어백방법은 금형구조가 복잡하게 되고, 그 복잡한 금형구조에 의해 발생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으며, 제조효율이 나쁘다. 즉,
1. 생산성이 낮다.
금형구조가 복잡하게 되어 충분한 냉각회로를 장착할 수 없고, 성형사이클이 길어진다. 따라서, 고장의 발생도 많고, 신뢰성이 낮다.
2. 경제성이 나쁘다.
전1항의 문제대책을 위해 금형제작비 및 제작기간이 대폭 증대한다. 그래도 생산성의 대책은 불충분하다.
3. 디자인의 자유도가 낮다.
이 방법에서는 신뢰성에 중점을 둔 나머지 형상에 대한 제약이 많고, 참신한 디자인에의 대응이 불가능하였다.
라는 등을 들 수 있다.
전술한 게이트나머지의 해결방법에서는
1.디자인(상품가치)의 문제가 있다.
슬라이드코어의 게이트대향밀착면에 게이트나머지등이 눌려 부서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요부를 상당히 깊게 형성할 필요가 있으며, 이것에 의해 투명부 예를 들면 카세트절반부의 창부주변에 의장상 문제가 되는 에지세공이형상(細工異形狀)이 발생한다.
2.제품강도에 문제가 있다.
창부주변의 에지세공이형상부는 다른 개소에 비해 제품의 두께가 얇아지고, 강도특성적으로 바람직스럽지 못했다.
3.생산상의 문제
창부주변의 에지세공부에서는 철부(凸部)로 되나, 디자인을 중시하여 밀착면폭을 좁게 하면, 금형재의 피로에 의한 변형파괴에 이르는 수가 있었다. 또, 밀착면폭을 넓게 하면 수지의 유동이 방해되어 성형성이 약화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 발명은 이들 과제를 해결하려고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원 발명에서는 제1회째의 주입재료충전시에는 서로 대향하는 숫틀과 암틀의 틀체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제1의 주입재료를 충전하여 제1단계의 성형체를 형성하고, 이 제1단계의 성형체를 냉각 후, 이 제1단계의 성형체와 함께 상기 숫틀 또는 상기 암틀의 어느 한쪽의 틀체를 다른쪽 의틀체로부너 이간시켜서, 다시 상기 양틀체로 형성한 공간에 제2의 주입재료를 충전하여 제2단계의 성형체를 성형하고, 다시 필요할 경우에는 이 제2단계의 성형체의 성형법을 반복함으로써 원하는 물품을 성형하는 방법을 채용하여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였다. 그리고, 본 발명자는 상기 종래기술의 사출성형법과 구별하기 위해 본원 발명의 사출성형법을 「보디백성형법」이라고 명명하였다.
따라서, 본원 발명의 보디백성형법에 의하면 주입재료를 변경시킴으로써, 특히 색이 다른 주입재료를 순차 충전함으로써, 적층다색(積層多色), 단층다색의 물품을 성형할 수 있고, 따라서 참신한 디자인에의 대응이 가능해지는 외에, 틀체의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고, 틀체제작비용과 기간의 대폭적인 삭감이 가능하게 되었다.
다음에, 본원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원 발명의 사출성형법에 사용하는 일부사출성형기의 단면도이다. 제2도 내지 제5도는 본원 발명의 사출성형법의 제1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이며, 제2도는 제1회째의 주입재료를 충전한 것을 도시한 단면도. 제3도는 제1단계의 성형체를 이동시킨 것을 도시한 단면도. 제4도는 제2회째의 주입재료를 충전한 것을 도시한 단면도. 그리고 제5도는 성형된 물품(제2단계의 성형체)을 취출하는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제6도는 본원 발명의 사출성형법에 의해 성형한 물품이고, 8㎜ 비디오용 카세트테이프의 카세트절반부를 예시한 것으로서, 제6도a는 그 평면도, 제6b도는 제6a도의 A-A선상의 단면도이다.
이 실시예의 설명에서는 성형하려고 하는 물품으로서 8㎜비디오용 카세트테이프의 카세트절반부를 예로 들어 본원 발명의 사출성형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제6도를 이용하여 본원 발명의 사출성형법으로 완성한 카세트절반부를 설명한다. 부호(1)은 전체로서 카세트의 표면절반을 도시하고 있는 카세트절반부이다. 이 카세트절반부(1)는 자기테이프(도시하지 않음)가 카세트로부터 인출되는 경우에 열리고, 또는 그것이 수납된 경우에 위치하는 자기테이프를 덮는 앞면덮개(이것도 도시하지 않음)가 장착되는 측면부(2)를 제외한 다른 3측면을 구성하는 프레임체(3)와 표면판(4)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표면판(4)J에는 카세트에 자기테이프가 수납된 경우에, 그 자기 테이프의 수납상태를 분간할 수 있는 창부(窓部)(5)와 그 이외의 은폐부(6) 및 (7)로 구성되어 있다. 프레임체(3)와 은폐부(7)는 예를 들면 불투명한 1색의 주입재료로 1층으로 성형되어 있으며, 창부(5)는 예를 들면 투명 또는 반투명의 1색의 주입재료로 1층으로 성형되어 있으나, 은폐부(6)는 상하 2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하층부는 상기 은폐부(7)와 일체로 동일주입재료로 성형되고, 그 위의 상층부는 상기 창부(5)와 일체로 동일주입재료로 성형되어 있다. 이와 같이 물품을 투명, 착색 또는 이질(異質)의 이종(異種)주입재료를 사용하여 1층 또는 2층이상으로 성형하면, 이제까지 실현이 곤란했던 참신하고 복잡한 디자인의 물품도 비교적 염가로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다음에, 상기 카세트절반부(1)를 성형하는 본원 발명의 사출성형기의 일부구성을 제1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본원 발명의 성형틀체(10)를 중심으로 도시한 것이며, 편의상 고정측틀체(10A)와 가동측틀체(10B)로 분리하여 도시하였다.
고정측틀체(10A)는 서포트(11)의 한 기준면(12)에 누름판(13)으로 고정암틀(14A)과 가동암틀(14B)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암틀(14)이 고정되어 있다. 이 암틀(4)에는 카세트절반부(1)의 표면구조가 형성되는 캐비티면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주입장치(15)의 제1통로(16)가 서포트(11)에 지지되면서 매니폴드블록(21)을 통해 누름판(13)및 가동암틀(14B)을 관통하고, 이 제1통로(16)의 게이트부(17)가 가동암틀(14B)의 캐비티면의 일부의 개구부에 면하고 있으며, 제2주입장치(18)의 제2통로(19)도 상기 서포트(11)에 지지되면서 상기 매니폴드블록(21)을 통해 고정암틀(14A)을 관통하고, 이 제2통로(19)의 게이트부(20)가 고정암틀(14A)의 캐비티면의 일부의 개구부에 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가동암틀(14B)에는 그 일측부에 안내공(22)이 관통하여 뚫려 있으며, 그 안내공(22)에 누름판(13)에 수직으로 장착된 로드(23)가 삽입되며, 이 로드(23)가 안내하여 가동암틀(14B)의 이동을 안내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 상기 가동암틀(14B)의 다른 일측부에는 관통공을 가진 격벽(24)으로 구획된 요부(凹部)(25) 및 (26)이 형성되어 있고, 콜러부가로드(27)는 그 콜러부가 요부(25)에, 로드부가 상기 격벽(24)의 관통공을 지나 요부(26)에 연재하고, 그 로드부의 선단부(28)는 누름판(13)의 표면에 닿고, 그리고 콜러부가로드(27)의 길이방향의 주위에 코일스프링(29)이 장착되어 있어, 이 코일스프링(29)에 의해 가동암틀(14B)은 로드(23)에 안내되어서, 이 도면에 있어서는 항상 좌측으로, 즉 가동측틀체(10B)쪽으로 눌려 있다. 따라서, 고정암틀(14A)과 이 가동암틀(14B)사이에는 후술하는 간극이 열리게 된다. 그리고, 이 실시예에서는 누름수단으로서 코일스프링(29)을 예시하였으나, 유압장치와 같은 것이라도 된다.
다음에, 성형틀체(10)의 가동측틀체(10B)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부호(30)은 숫틀이고, 카세트절반부(1)의 내면구조가 형성되는 코어면이 형성되어 있다. 이 숫틀(30)의 보디의 일부에 안내공(31)이 뚫려 있어서, 장착판(32)의 표면에 대해 수직으로 장착된 로드(33)가 상기 안내공(31)에 삽입되고, 따라서 숫틀(30)은 그 보디에 내장된 이동수단인 유압실린더(50)에 의해 이 로드(33)에 안내되어서, 암틀(14)쪽으로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유압실린더(50)는 숫틀(30)의 보디의 좌단부에 배설된 유압실(51)과 이 유압실(51)의 내부에 수납된 오일시일(53)을 주위에 구비한 피스톤(52)과, 이 피스톤(52)과 장착판(32)에 고정된 샤프트(54)로 구성되어 있다. 이 이동수단인 유압실린더(50)의 다른 실시예를 제7도 및 제8도에 도시하였다. 그것들에 대한 설명은 후술한다.
또, 숫틀(30)의 보디에는 상기 안내공(31)에 평행으로 복수의, 이 실시예에서는 2개의 평행의 안내공(34) 및 (35)이 뚫려 있으며, 그리고 이들 안내공(34) 및 (35)은 단면장방형의 룸(room)(36)에 연통하고 있다. 상기 안내공(34) 및 (35)은 각각 이젝터핀(37) 및 리턴핀(38)을 안내하고, 이들 이젝터핀(37) 및 리턴핀(38)은 상기 룸(36)에 배치된 이젝터플레이트(39)의 표면에 대해 수직으로 일체화되어 있다. 이들 이젝터핀(37) 및 이젝터플레이트(39)는 성형된 물품을 숫틀(30)로부터 돌출하여 분리하는 기능을 행하는 것이므로, 상기 룸(36)은 이젝터플레이트(3)가 이젝터로드(40)로 밀어내어졌을때, 이젝터플레이트(39)가 도면에서 우측으로 이동하는데 충분한 폭의 공간이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이 숫틀(30)의 배면에는 상기 이젝터로드(40)가 이젝터플레이트(39)를 누르기 위해 충분히 이동할 수 있는 관통공(41)이 뚫려 있고, 이 관통공(41)도 당연히 상기 룸(36)에 연통하고 있다. 그리고, 이 실시예에서는 이젝터핀(37)등이 한개밖에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실제로는 복수개 배설되어 있으며, 그 수는 성형하려고 하는 물품의 크기, 형상등에 의하는 것은 물론이다. 이상이 숫틀(30)의 구조이며, 이 숫틀(30)은 장착판(32)에 장착되고, 그와 같은 장착판(32)은 사출성형기의 틀체장착부(42)에 고정된다.
성형틀체(10)는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다. 다음에, 이와 같은 성형틀체(10)를 사용하고, 제6도에 도시한 카세트절반부(1)의 사출성형법을 제2도 내지 제5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제2도는 제1단계의 성형체(70)를 성형하는 경우의 상기 성형틀체(10)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 성형틀체(10)는 사출성형기에 탑재되고, 그 고정측틀체(10A)는 고정되며, 가동측틀체(10B)는 전술한 바와 같이 유압장치(도시하지 않음)측의 틀체장착부(42)에 고정된다. 성형틀체(10)는 소정의 압력으로 화살표 X방향으로 틀이 조여지고, 다시 내장된 유압실린더(50)에 유압을 화살표 Pa부분에 가하면 숫틀(30)은 화살표 R방향으로 눌려진다. 암틀(14)의 가동암틀(14B)은 그 상하의 돌출면이 그들 돌출면과 대향하는 숫틀(30)의 상하의 후퇴면과 충합(衝合)되고, 다시 코일스프링(29)에 항거하여 후퇴하고, 가동암틀(14B)의 배면이 누름판(13)의 면에 충합된다. 따라서, 로드(23)의 선단부는 안내공(31)내로 들어가 로드(33)와 충합되어 제1의 주입재료가 충전되는 간격 Ga이 결정되고, 암틀(14)의 캐비티면과 숫틀(30)의 코어면에서 공간(71)이 형성된다. 즉, 이 간격 Ga은 제6도b에 도시한 카세트절반부(1)의 표면판(4)의 은폐부(6)의 두께 Ga에 상당한다. 또, 상기 가동암틀(14B)이 후퇴이동하는 간격 Gb은 후술하는 제2의 주입재료가 충전되는 공간 즉 제2의 층을 형성하는 간격이다. 상기 공간(71)은 제6도의 카세트절반부(1)의 은폐부(6) 및 (7)에 상당하는 공간(71a)과 카세트절반부(1)의 프레임체(3)에 상당하는 공간(71b)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형성된 간격 Ga에 기초한 공간(71)에 제1주입장치(15)로부터 매니폴드블록(21) 및 제1통로(16)를 통해 게이트부(17)에서 제1의 주입재료 예를 들면 흑색과 같은 제1색째의 플라스틱수지를 충전하여 냉각한다. 이것이 제1층째인 동시에 제1층째의 제1단계의 물품의 성형체(70)이다.
이 제2도의 제1공정의 상태로부터 유압실린더(50)의 유압이 화살표 Pb방향으로 전환되면,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동측틀체(10B)의 숫틀(30)은 제1단계의 성형체(70)를 수반하여 화살표 La 방향으로 제2층째의 두께만큼 즉 간격 Gb만큼 이동한다. 즉, 숫틀(30)의 배면은 장착판(32)의 표면에 충합된다. 이 가동측틀체(10B)의 숫틀(30)의 이동과 동시에 가동암틀(14B)도 코일스프링(29)의 힘에 의해 화살표 Lb쪽으로 눌려서, 그 가동암틀(14B)의 상하의 돌출면이 그들 돌출면과 대향하는 숫틀(30)의 상하의 후퇴면과 충합되면서 이동한다. 따라서, 상기 가동암틀(14B)의 일부 캐비티면과 고정측틀체(10A)과 면일(面一)(제1도에 있어서의 암틀(14)의 캐비티면의 상태)로 되고, 이 암틀(14)의 캐비티면과 숫틀(30)의 코어면에 밀착하고있는 상기 제1단계의 성형체(70)의 상기 코어면과는 반대측의 성형체(70)의 면으로 공간(72)이 형성되고, 이 공간(72)이 제2층째의 공간으로 된다. 이 공간(72)의 일부분은 제6도의 카세트절반부(1)의 창부(5)에 상당하는 공간(72a)과 카세트절반부(1)의 은폐부(6)의 상층에 상당하는 공간(72b)으로 이루어진다.
이 공간(72)에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주입장치(18)로부터 매니폴드블록(21)및 제2통로(19)를 통해 게이트부(20)에서 제2의 주입재료 예를 들면 투명의 제2색째의 플라스틱수지를 충전하여 냉각한다. 이것이 제2색재인 동시에 제2층째의 제2단계의 물품의 성형체(80)이다. 이 공정에서 1층의 투명한 창부(5)가 형성되게 되고, 다른 2층부분은 제1단계의 주입재료의 흑색이 부상(浮上)하여 상기 은폐부(6) 및 (7)이 형성되게 된다.
다음에,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압장치의 유압력을 화살표 Y방향으로 전환하여 가동측틀체(10B)를 열고, 이젝터로드(40)로 이젝터플레이트(39)를 누르면, 이젝터핀(37)이 완성된 물품인 2층성형으로 형성된 카세트절반부(1)를 숫츨(30)로부터 박리하고, 그 박리된 카세트절반부(1)는 화살표 Z방향으로 취출된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숫틀(30) 및 제1단계의 성형체(70), 그리고 창부(5)를 형성하는 고정암틀(14A)을 제외한 가동암틀(14B)이 사출성형기의 가동틀체장착부(42)측으로 제2층째의 공간(72)을 형성하는 간격 Gb만큼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이동하는 간격 Gb은 콜러부가로드(27)의 길이에 따라 설정되어 있다. 본원 발명의 사출성형법을 전술한 「보디백성형법」이라고 명명한 것은 이 원리에 기초한 것이다.
전술에서는 고정측틀체(10A)인 암틀(14)을 사출성형기의 고정부에, 가동측틀체(10B)인 숫틀(30)을 사출성형기의 가동부에 장착한 상태로 설명하였으나, 원리적으로는 그 역으로도 물품을 성형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유압실린더(50)를 숫틀(30)에 내장한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이 유압실린더(50)는 상기 장착판(32) 또는 사출성형기의 상기 틀체장착부(42)에 내장시켜도 된다. 유압실린더(50)를 장착판(32)에 내장한 실시예를 제7도에, 사출성형기의 틀체장착부(42)에 내장한 실시예를 제8도에 도시하였다. 어느 것이든 모두 가동측틀체(10B)의 일부만을 도시하였다. 제1의 실시예와 동일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붙였다.
먼저, 제7도를 이용하여 전자의 구성을 설명한다. 제7도a는 제2도에, 제7도b는 제3도에 대응하는 도면이다. 장착판(32)에 유압실(51)을 형성하고, 이 유압실(51)의 내부에 오일시일(53)을 주위에 구비한 피스톤(52)을 수납하고, 샤프트(54)를 이 피스톤(52)과 숫틀(30)에 고정시켜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유압을 가하는 방향이 제1의 실시예와는 반대로 되고, 제7도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살표 Pa의 부분에 유압을 가하면, 숫틀(30)은 피스톤(52)과 샤프트(54)에 눌려서 화살표 R방향으로 이동하고, 장착판(32)과 숫틀(30) 사이에 간격 Gb이 열린다. 이 간격 Gb은 상기 제2의 주입재료가 충전되는 공간 즉 제2의 층을 형성하는 간격인 것은 물론이다. 다음에, 제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살표 Pb의 부분에 유압을 가하면, 숫틀(30)은 샤프트(54)에 당겨져서 장착판(32)과 숫틀(30) 사이의 상기 간격Gb이 없어진다.
다음에, 틀체장착부(42)에 유압실린더(50)를 형성한 실시예를 제8도에 도시하였다. 샤프트(54)의 선단부는 장착판(32)에 뚫려 있는 관통공(55)을 관통하여 숫틀(30)의 배면에 충합되고, 그 선단부에 숫틀(30)을 그 숫틀(30)에 형성한 룸(36)으로부터 나사(56)로 조여진 구성으로 하고 있다. 유압의 전환에 의한 간격 Gb의 형성방법은 제7도의 경우와 같으므로 생략한다.
본원 발명의 물품의 사출성형법을 카세트절반부(1)를 예로 들고, 더욱이 2층2색의 주입재료로 성형하는 예를 들었으나, 암틀(14)의 구성에 의해 3층으로도 4층으로도 성형할 수 있고,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흑색과 투명의 2색의 주입재료를 사용하였으나, 각 층에 반투명의 다른 색의 주입재료를 사용하면, 그들 층이 중첩된 부분은 표면에서 보면 혼합색이 되어 컬러풀한 물품을 성형할 수 있다.
상기 제1의 실시예의 성형틀체(10)를 사용한 사출성형법에서는 투명부로서 창부(5)만을 가진 카세트절반부(1)의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원 발명의 성형틀체 및 그것을 사용한 사출성형법의 원리를 응용하면, 창부(5) 이외에도 투명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의 성형틀체 및 사출성형법을 제9도 내지 제12도를 이용하여 제2의 실시예로서 설명한다.
제9도는 본원 발명의 사출성형법에 사용하는 제2의 실시예의 일부 사출성형기의 단면도이며, 제10도 및 제11도는 본원 발명의 사출성형법의 제2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로서, 제10도는 제1회째의 주입재료를 충전한 것을 도시한 단면도, 제11도는 제1단계의 성형체를 이동시켜서 제2회째의 주입재료를 충전한 것을 도시한 단면도, 제12도는 본원 발명의 사출성형법에 의해 성형한 물품이고, 콤팩트카세트테이프의 카세트절반부를 예시한 것이며, 이 도면 a는 그 평면도를, 이 도면b는 이 도면 a의 A-A선상의 단면도이다. 그리고, 제1도 내지 제6도의 제1실시예의 성형틀체(10) 및 카세트절반부(1)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붙였다.
이 실시예의 설명에서는 성형하려고 하는 물품으로서 콤팩트카세트테이프의 카세트절반부를 예로 들어 본원 발명의 사출성형법을 설명한다. 먼저, 제12도를 이용하여 본원 발명의 사출성형법으로 완성한 카세트절반부를 설명한다. 부호(1A)는 전체로서 카세트의 표면절반을 도시한 카세트절반부이다. 이 카세트절반부(1A)는 자기테이프(도시하지 않음)가 카세트로부터 노출되는 측면부(2A), 다른 3측면을 구성하는 프레임체(3A) 및 표면판(4A)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표면판(4A)에는 카세트에 자기테이프가 수납된 경우에 그 자기테이프의 수납상태를 분간할 수 있는 창부(5A), 내부의 메카니즘이 보이고, 또 라벨을 붙이는 위치를 규정할 수 있는 투명한 라벨위치규정부(8), 패드부를 보여주는 단지 디자인상 투명하게 한 투명부(9A), 그리고 가이드롤러를 보여주는 단지 디자인상 투명하게 한 투명부(9B)와 그 이외의 은폐부(6A) 및 (7A)로 구성되어 있다. 프레임체(3A)와 은폐부(7A)는 예를 들면 불투명한 1색의 주입재료로 1층으로 성형되어 있으며, 창부(5)는 예를 들면 투명 또는 반투명의 1색의 주입재료로 1층으로 성형되어 있으나, 은폐부(6A)는 상하 2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하층부는 상기 은폐부(7)와 일체로 동일주입재료로 성형되고, 그 위의 상층부는 상기 창부(5)와 일체로 동일주입재로로 성형되어 있다. 이와 같이 물품을 투명, 착색 또는 이질(異質)의 이종(異種)주입재료를 사용하여 1층 또는 2층이상으로 성형할 수 있으면, 이제까지 실현하기 어려웠던 참식하고 복잡한 디자인의 물품도 비교적 염가로 용이하게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다음에, 상기 카세트절반부(1A)를 성형하는 본원 발명의 사출성형기의 일부구성을 제9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제9도는 본원 발명의 제2의 실시예의 성형틀체(200)를 중심으로 하여 도시한 것이며, 편의상 고정측틀체(200A)와 가동측틀체(200B)로 분리하여 도시하였다.
고정측틀체(200A)의 구성은 제1도에 도시한 고정측틀체(10A)의 구성과 거의 동일하므로, 그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중복설명을 생략한다. 단지 상이한 부분은 제1도에 있어서의 로드(23)를 본 실시예의 가동측틀체(200B)의 지지로드(233)가 겸용하고 있는 점이다. 단, 이것은 편의상 1개의 로드로 도시하였으나, 제1실시예와 같이 적절히 분할하여 성형품이 물품의 취출에 지장이 없도록하는 것이 긴요하다.
다음에, 성형틀체(200)의 가동측틀체(200B)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가동측틀체(200B)는 가동숫틀(30A)와 가동숫틀(30B)로 구성된 숫틀(30)이며, 가동숫틀(30B)의 보디의 대부분이 장착판(32)과 가동숫틀(30A) 사이에 존재하고, 그 우측의 일부분이 가동숫틀(30A)을 관통하여, 상기 가동숫틀(30A)의 우측끝면(202)과 이 우측의 일부끝면(203)으로 대부분의 카세트절반부(1A)의 창부(5)를 형성하는 캐비티면을 구성하고, 이 캐비티면과 상기 가동숫틀(30A)의 우측끝면(201) 및 (202)으로 카세트절반부(1A)의 내면구조가 형성되는 캐비티면이 구성되어 있다. 이들 양 가동숫틀(30A),(30B)의 일부에 각각 안내공(31A) 및 (31B)이 열려 있고, 장착판(32)의 표면에 대해 수직으로 장착된 지지로드(233)가 상기 안내공(31A),(31B)에 삽입되고, 가동숫틀(30B)은 그것에 내장된 이동수단인 유압실린더(50)에 의해 이 지지로드(233)에 안내되어서, 가동숫틀(30A) 및 고정측틀체(200A)의 암틀(14)쪽으로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가동숫틀(30A)도 지지로드(233)에 안내되어서 고정측틀체(200A)의 암틀(14)쪽으로, 그리고 가동숫틀(30B)쪽으로도 약간 이동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 가동숫틀(30B)쪽으로 이동하는 거리는 위치규제로드(234)로 규제된다. 지지로드(233)는 고정측틀체(200A)와 가동측틀체(200B)가 합체된 경우에 고정측틀체(200A)의 가동암틀(14B)의 안내공(22)에 삽입되어서, 이 가동암틀(14B)의 가동측틀체(200B)에의 이동을 안내한다. 이 지지로드(233)는 틀조임력을 균등하게 받기 위해 가능한한 다수개 배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양 가동숫틀(30A),(30B)의 다른 일측부에는 각각 요부(凹部)(235) 및 (236)이 형성되어 있고, 콜러부가로드(237)가 그 콜러부쪽이 요부(235)에, 로드부쪽이 요부(236)에 존재하도록 장착되고, 그 로드부의 길이방향의 주위에 코일스프링(238)이 장착되어 있고, 이 코일스프링(238)은 항상 가동숫틀(30A)을 고정측틀체(200A)쪽으로 누르고 있다.
유압실린더(50)는 가동숫틀(30B)의 좌단부에 배설된 유압실(51)과, 이 유압실(51)의 내부에 수납된 오일시일(53)을 주위에 구비한 피스톤(52)과, 이 피스톤(52)과 장착판(32)에 고정된 샤프트(54)로 구성되어 있다. 이 이동수단인 유압실린더(50)의 다른 실시예는 제7도 및 제8도에 도시한 기구를 유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또, 제1도의 제1실시예에는 이젝터핀(37), 리턴핀(38), 이젝터플레이트(39) 및 이젝터로드(40)로 성형물품을 숫틀(30)로부터 박리하는 기구를 도시하였으나, 이 제2실시예에서도 이와 같은 기구가 필요한 것은 물론이지만, 설명을 간단히 하기 위해 생략하였다.
성형틀체(200)는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다. 다음에, 이와 같은 성형틀체(200)를 사용하고, 제12도에 도시한 카세트 절반부(1A)의 사출성형법을 제10도 및 제11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제10도는 제1층재의 성형체(70A)를 성형하는 경우의 상기 성형틀체(200)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 성형틀체(200)는 사출성형깅 탑재되어서, 그 고정측틀체(200A)는 고정되고, 가동측틀체(200B)는 전술한 바와 같이 유압장치측의 틀체장착부(도시하지 않음)에 고정되는 것은 제1실시예의 경우와 같다. 그리고, 성형틀체(200)는 소정의 압력으로 화살표 X방향으로 틀조임된다.
내장된 유압실린더(50)에 유압을 화살표 Pa의 부분에 가하면, 가동숫틀(30B)은 가동숫틀(30A)을 따라 화살표 R방향으로 카세트절반부(1A)의 전체두께 Ta분 만큼 눌린다. 암틀(14)의 가동암틀(14B)은 그 상하의 돌출면이 그들 돌출면과 대향하는 가동숫틀(30A)의 상하의 후퇴면과 충합하고, 다시 코일스프링(29)에 항거하여 후퇴하며, 가동암틀(14B)의 배면이 누름판(13)의 면에 충합한다. 지지로드(233)의 선단부는 안내공(22)내에 들어가 누름판(13)과 충합하여 틀체전체의 두께를 결정한다. 가동숫틀(30B)의 일부끝면과 가동암틀(14B)의 일부끝면과의 간격, 즉 제12도b의 은폐부(7A) 및 프레임체(3A)의 제1층째의 두께은 카세트절반부(1A)의 전체두께 Ta로 하고, 가동숫틀(30B)의 캐비티면과 고정암틀(14A)의 캐비티면과의 간격, 즉 제12도b의 은폐부(6A)의 제1층째의 두께는 제2층재의 성형체(80A)(제11도에 도시함)의 두께를 Tb로 한 경우, Ta-Tb이며 이들 공간에 제1주입장치(15)의 게이트부(17)로부터 제1의 주입재료 예를 들면 흑색과 같은 제1색의 플라스틱수지를 충전하여 냉각한다. 이것이 제1색인 동시에 제1층째의 제1단계의 물품의 성형체(70A)이다.
이 제10도의 제1공정의 상태로부터 유압실린더(50)의 유압이 화살표 Pb방향으로 전환되면, 제1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동측틀체(200B)의 숫틀(30)은 제1단계의 성형체(70A)를 수반하여 화살표 La방향으로 이동하고, 특히 가동숫틀(30B)은 간격 Ta의 두께만큼 이동하며, 가동숫틀(30A)은 위치규제로드(234)의 규제에 의해 이 가동숫틀(30A)의 내면과 가동숫틀(30B)의 배면과의 사이에 Tb의 간격이 벌어진다. 가동숫틀(30B)의 배면은 장착(32)의 표면에 충합한다. 이 가동측틀체(200B)의 숫틀(30)의 이동과 동시에 가동암틀(14B)도 코일스프링(29)의 힘에 의해 화살표 Lb쪽으로 눌려서, 그 가동암틀(14B)의 상하의 돌출면이 그들 돌출면과 대향하는 숫틀(30)의 상하의 후퇴면과 충합하면서 이동한다. 따라서, 상기 가동암틀(14B)의 일부캐비티면과 고정암틀(14A)의 캐비티면이 면일(面一)(제9도에 있어서의 암틀(14)의 캐비티면의 상태)로 되고, 이 암틀(14)의 캐비티면과 숫틀(30)의 코어면에 밀착하고 있는 상기 제1단계의 성형체(70A)의 상기 코어면과는 반대측의 성형체(70A)의 면과의 사이에 간겨 Tb의 공간이 형성되고, 이 공간 및 가동숫틀(30A)의 캐비티면과 상기 고정암틀(14A)의 캐비티면과의 공간이 제2층째의 공간으로 된다. 이들 공간의 일부분은 제12도의 카세트절반부(1A)의 창부(5A), 라벨위치규정부(8), 투명부(9A) 및 은폐부(6A)의 상층에 상당하는 공간으로 된다.
이들 공간에 제1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주입장치(18)의 게이트부(20)로부터 제2의 주입재로 예를 들면 투명한 제2색의 플라스틱수지를 충전하여 냉각한다. 이것이 제2색인 동시에 제2층째의 제2단계의 물품의 성형체(80A)이다. 이 공정에서 1층의 투명한 창부(5A), 라벨위치규정부(8) 및 투명부(9A)가 형성되게 되고, 다른 2층 부분은 제1단계의 주입재료의 흑색이 부상하여 상기 은폐부(6A) 및 (7A)가 형성되게 된다.
다음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성형장치의 유압력을 화살표 Y방향으로 전환하여 가동측틀체(200B)를 열고, 이젝터로 2층성형된 카세트절반부(1A)를 숫틀(30)로부터 눌러 박리하면, 완선된 카세트절반부(1A)가 취출된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이 제2실시예에 있어서도 가동측틀체(200B)에 유압에 의한 구동수단을 일괄하여 설치하고, 위체규제기구를 가함으로써, 종래 기술의 캐비티벡기구, 코어백기구의 양쪽을 구비할 필요가 없어지고, 성형틀체구조가 대폭 간략화될수 있다는 것을 용이하게 알 수 있다.
그리고, 카세트절반부와 같은 물품에서 그 창부이외에도 투명부를 자유자재로 형성할 수 있고, 따라서 참신하고 복잡한 디자인의 물품에서도 생산성 및 코스트의 제한을 받지 않고 대응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에, 본원 발명의 보디백성형법의 특징을 응용한 제3의 실시예로서, 카세트절반부의 창부와 같은 투명부분에 있어서의 게이트나 머지에 의한 딤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사출성형법을 제13도 내지 제17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제13도는 본원 발명의 사출성형법에 사용하는 제3의 실시예의 일부사출성형기의 단면도이며, 제14도 및 제15도는 본원 발명의 사출성형법의 제3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로서, 제14도는 제1회째의 주입재료를 충전한 것을 도시한 단면도, 제15도는 제1단계의 성형체를 이동시켜서 제2회째의 주입재료를 충전한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제16도는 게이트나머지를 설명하기 위한 제2게이트부 부근의 확대단면도이며, 그리고 제17도는 본원 발명의 사출성형법에 의해 성형한 물품이고, 콤팩트카세트테이프의 카세트절반부를 예시한 평면도이다.
그리고, 제1도 내지 제12도의 제1 및 제2의 실시예의 성형틀체(10),(200) 및 카세트절반부(1),(1A)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였다.
이 실시예의 설명에서도 성형하려고 하는 물품으로서 콤팩트카세트테이프의 카세트절반부를 예로 들어 본원 발명의 사출성형법을 설명한다. 먼저, 제17도를 이용하여 본원 발명의 사출성형법으로 완성한 카세트절반부를 설명한다. 부호(1B)는 전체로서 카세트의 표면절반을 나타낸 카세트절반부이다. 이 카세트절반부(1B)는 자기테이프(도시하지 않음)가 카세트로부터 노출되는 측면부(2B), 다른 3측면을 구성하는 프레임체(3B) 및 표면판(4B)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표면판(4B)에는 카세트에 자기테이프가 수납된 경우에, 그 자기테이프의 수납상태를 분간할 수 있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창부(5B)와 사선으로 표시한 불투명한 은폐부(6B)로 구성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카세트절반부(1B)가 프레임체(3B)와 은폐부(6B)는 불투명한 1색의 주입재료로 1층으로 성형되며, 창부(5B)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1색의 주입재료로 동일한 두께의 1층으로 성형되는 것으로서 설명한다.
다음에, 상기 카세트절반부(1B)를 성형하는 본원 발명의 사출성형기의 일부 구성을 제13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제13도는 본원 발명의 제3의 실시예의 성형틀체(300)를 중심으로 도시한 것이며, 이제까지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편의상 고정측틀체(300A)와 가동측틀체(300B)로 분리하여 도시하였다.
고정측틀체(300A)의 구성은 제9도에 도시한 고정측틀체(10A)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그 동일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그 중복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에, 성형틀체(300)의 가동측틀체(300B)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가동측틀체(300B)는 가동숫틀(30C)과 그 중앙부에 관통, 형성한 고정숫틀(30D)로 구성된 숫틀(30)이고, 가동숫틀(30C)의 우측 끝면(301) 및 (302)가 고정숫틀(30D)의 우측끝면(303)으로 카세트절반부의 내면구조를 형성하는 코어면을 구성하고, 우측끝면(302)과 (303)으로 카세트절반부(1B)의 투명 또는 반투명의 창부(5)를 형성하는 코어면을 구성하고 있다. 제13도의 상태는 가동숫틀(30C)의 고정측틀체(300A)의 숫틀(14)쪽으로 이동한 상태로 도시되어 있으며, 가동숫틀(30C)은 장착판(32)으로부터의 위치규제에 의해, 가동숫틀(30C)의 우측끝면(302)은 고정숫틀(30D)의 우측끝면(303)으로부터 거리 D의 치수가 유지되는 것이다. 이 거리 또는 깊이 D는 제16도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게이트나머지(310)의 크기를 충분히 수용할 수 있는 깊이이며, 이 도면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단계의 성형체(80B)의 두께(제1단계의 성형체(70B)의 두께와 같음), 즉 이 실시예에서는 카세트절반부(1B)의 전체의 두께에 상당하는 것이다.
이 가동숫틀(30C)의 일부에 안내공(31)이 뚫려 있어서, 장착판(32)이 표면에 대해 수직으로 장착된 지지로드(233)가 상기안내공(31)에 삽입되고, 가동숫틀(30C)은 그것에 내장된 이동수단인 유압실린더(50)에 의해 이 지지로드(233)에 안내되어서, 고정측틀체(300A)의 암틀(14)쪽으로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지지로드(233)는 고정측틀체(300A)와 가동측틀체(300B)가 합체된 경우에 고정측틀체(300A)의 가동암틀(14B)의 안내공(22)에 삽입되어서, 이 가동암틀(14B)의 가동측틀체(300B)에의 이동을 안내한다. 이 지지로드(233)는 틀조임력을 균등하게 받기 위해 가능한 한 다수개 배설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 성형품인 물품을 취출하기 쉽도록 적절히 분할되는 것은 제2실시예를 설명했을 때 언급하였다.
유압실린더(50)는 가동숫틀(30C)의 좌단부에 배설되어 있으며, 이 구성은 제1도 및 제9도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또, 제1도의 제1실시예는 이젝터핀(37), 리턴핀(38), 이젝터플레이트(39) 및 이젝터로드(40)로 성형물품을 숫틀(30)로부터 박리하는 기구를 도시하였으나, 이 실시예는 이와 같은 기구를 간단히 하기 위해 생략하였다.
성형틀체(300)는 이상 설명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다음에, 이와 같은 성형틀체(300)를 사용하여 제17도에 도시한 카세트절반부(1B)의 사출성형법을 제14도 및 제15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제14도는 제1단계의 성형체(70B)를 성형하는 경우의 상기 성형틀체(300)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 성형틀체(300)는 제1 및 제2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사출성형기에 탑재되고, 성형틀체(300)는 소정의 압력으로 화살표 X 방향으로 고정된다.
내장된 유압실린더(50)에 유압을 화살표 Pa의 부분에 가하면, 가동숫틀(30C)은 가동숫틀(30A)을 따라 화살표 R 방향으로 카세트절반부(1B)의 전체두께 D분만큼 눌린다. 암틀(14)의 가동암틀(14B)은 그 상하의 돌출면이 그들 돌출면과 대향하는 가동숫틀(30C)의 상하의 후퇴면(301)과 충합하고, 다시 코일스프링(29)에 항거하여 후퇴하고, 가동암틀(14B)의 배면이 누름판(13)의 면에 충합한다. 지지로드(233)의 선단부는 안내공(22)내에 들어가서 누름판(13)과 충합하여 틀체전체의 두께를 결정한다. 가동숫틀(30C)의 중앙코어면(302)과 고정암틀(14A)의 캐비티면(304)도 충합한다. 따라서, 고정암틀(14A)과 이 게이트부(20)에 대향하고 있는 고정숫틀(30D)과의 사이에는 제16도a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공간(305)이 형성된다.
가동숫틀(30C)의 이부코어면과 고정암틀(14A) 및 가동암틀(14B)의 캐비티면과의 사이에 제1단계의 제17도의 은폐부분(6B)의 두께에 상당하는 공간, 즉 제16도에 도시한 성형체(70B)가 형성되는 공간이 형성된다. 이 공간에 제1주입장치(15)의 게이트부(17)로부터 제1의 주입재료 예를 들면 흑색과 같은 제1색의 플라스틱수지를 충전하여 냉각한다. 이것이 제1색인 제1단계의 물품의 성형체(70B)이다.
이 제14도의 제1공정의 상태로부터 유압실린더(50)의 유압이 화살표 Pb 방향으로 전환되면, 제1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동측틀체(300B)의 가동측틀체(300B)의 가동숫틀(30C)은 제1단계의 성형체(70B)를 수반하여 화살표 L 방향으로 간격 D에 상당하는 거리이동하고, 가동숫틀(30C)의 배면은 장착판(32)에 밀착하고, 가동숫틀(30C)의 코어면(302)은 고정숫틀(30D)의 코어면(303)과 동일평면을 형성하게 된다. 또, 가동암틀(14B)도 가동숫틀(30C)의 화살표 L 방향에의 이동에 따라 코일스프링(29)의 힘에 의해 화살표 L쪽으로 눌려서, 그 가동암틀(14B)의 상하의 돌출면이 그들 돌출면과 대향하는 숫틀(30)의 상하의 후퇴면과 충합하면서 이동한다. 따라서, 상기 가동암틀(14B)의 일부 캐비티면과 고정암틀(14A)의 캐비티면이 면일(제13도에 있어서의 암틀(14)의 캐비티면의 상태)로 되고, 이 암틀(14)의 캐비티면과 숫틀(30)의 코어면과의 사이에 간격 D의 공간이 형성되고(제16도B), 이 공간(306)이 제2단계의 수지주입공간으로 된다. 이 공간은 제17도의 카세트절반부(1B)의 창부(5B)에 상당하는 공간으로 된다.
이 공간(306)에 제1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주입장치(18)의 게이트부(20)로부터 제2의 주입재료 예를 들면 투명한 제2색의 플라스틱수지를 충전하여 냉각한다. 이것이 제2색인 제2단계의 물품의 성형체(80B)이다. 이 공정에서 1층의 투명한 창부(5B)가 형성되게 되고, 다른 제1단계의 주입재료에 의한 상기 은폐부(6B)와 카세트절반부(1B)가 일체로 형성되게 된다. 이 제2단계의 수지충전시에 비록 게이트부(20)에 제16도a에 도시한 게이트나머지(310)가 있더라도 이 게이트나머지(310)는 제2단계의 수지의 온도에 의해 용융(溶融)되고, 그 수지와 혼연일체가 되어 평활면으로 되므로, 종래기술에서 발생하여 의장상 문제로 되어 있었던 창부(5B) 주변의 에지세공이형상(細工異形狀)을 없앨 수 있다.
다음에, 이제까지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성형장치의 유압력을 화살표 Y 방향으로 전환하여 가동측틀체(300B)를 열고, 이젝터로 성형된 카세트절반부(1B)를 숫틀(30)로부터 눌러 박리하면, 완성된 카세트절반부(1B)가 취출된다.
상기 고정숫틀(30D)의 코어면(303)의 면적은 최소한 게이트부(20)의 철부(凸部)의 면적보다 넓게 하는 것이 긴요하며, 본원 발명자는 게이트부(20)의 철부의 직경이 3mm의 원면적(圓面積)의 경우, 이 코어면(303)의 직경을 4mm의 원면적으로 하여, 만족한 결과를 확인하였다. 제17도에서 부호(20B)로 표시한 부분은 게이트부(20)의 철부의 면적에 상당하는 부분이며, 부호(30B)로 표시한 부분은 고정숫틀(30D)의 코어면(303)의 면적에 상당하는 부분이다. 이 코어면(303)의 치수, 형상은 물품의 형상에 맞추어서 자유로이 설정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 제17도의 창부(5B) 전체에 가까운 점선으로 에워싼 면적부분(307)을 고정숫틀(30D)의 코어면(303)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이 제3의 실시예에 있어서도 가동측틀체(300B)에 유압에 의한 구동수단을 일괄하여 설치하고, 위치규제기구를 가함으로써, 종래기술의 캐비티백기구, 코어백기구의 양쪽을 구비할 필요가 없어지고, 성형틀체 구조가 대폭 간략화된다. 그리고, 이 실시예의 경우, 고정숫틀(30D)이 장착판(32)에 연결, 고정되어 있으므로, 이 고정숫틀(30D)을 냉각시키는 것도 매우 용이하다.
그리고, 또한 제16도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게이트나머지(310)가 있어서 제1단계의 수지충전시에는 그 게이트나머지(310)를 발생하고 있는 제2단계의 수지충전용의 게이트부(20)의 앞면에 닿는 가동측틀체(300B)측에 구성한 고정숫틀(30D)을 마치 후퇴시킨 것처럼 가동측틀체(300B)를 구성하여 공간(305)을 형성하였으므로, 게이트부(20)의 앞면에 오는 틀체에 손상을 주는 일이 없다. 그리고, 창부주변의 에지세공부가 필요없게 되어 의장성이 높은 성형품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고, 또 창부주변의 에지세공부가 없어지므로, 그것에 의한 성형품의 두께가 얇아지지 않아서 강도상의 문제도 없어진다.
따라서, 본원 발명의 성형틀체(200)의 암틀(14)측 고정암틀(14A)의 캐비티면에 제2통로(19)를 형성하였으므로, 상기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특개소 63(1988)-293024호에 기재된 제1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고정측의 제2통로(35) 부근에 제1받이체(23), 유압실린더(24), 피스톤로드(24a)등의 가동부분이 없어지고, 냉각회로를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원 발명의 성형틀체는 숫틀만이 아니라 암틀의 구조도 간단해지고, 그만큼 성형틀체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동시에, 성형틀체의 제작비와 제작기간을 대폭 삭감할 수 있다. 또, 암틀에 전술한 바와 같이 냉각회로를 배설할 수 있으므로, 물품의 성형사이클을 단축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제2통로의 게이트부를 캐비티면과 일체로 형성하였으므로, 외면의 제재가 양호한 성형물품을 성형할 수 있다. 그리고, 또 전술한 바와 같이 참신하고 복잡한 디자인의 물품에서도 생산성 및 코스트의 제한을 받지 않고 대응할 수 있다. 그리고, 또 게이트나머지에 의한 틀체의 손상을 피할 수도 있으며, 그 뿐만이 아니라 성형품인 물품의 강도도 증대시킬 수 있는 등 여러 가지 이점이 있다.

Claims (10)

  1. 서로 대향하는 숫틀체 틀체(形體)와 암틀의 틀체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이종(異種)의 주입재료를 순차 충전함으로써 물품을 형성하는 사출성형법에 있어서, 제1회째의 주입재료 충전시에는 상기 양 틀체로 형성한 공간에 제1의 주입재료를 충전하여 제1단계의 성형체를 성형하고, 이 제1단계의 성형체의 냉각 후, 이 제1단계의 성형체와 함께 상기 숫틀 또는 상기 암틀의 어느 한쪽의 틀체를 다음의 제2단계의 주입재료를 충전하는 두께분 만큼 이동시켜서, 상기 다른 틀체와로 형성한 공간에 제2의 주입재료를 충전하여 제2단계의 성형체를 성형하고, 다시 필요한 경우에는 이 제2단계의 성형체의 성형법을 반복함으로써 원하는 물품을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의 사출성형법.
  2. 서로 대향하는 숫틀의 틀체와, 암틀의 틀체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이종(異種)의 주입재료를 순차 충전함으로써 물품을 성형하는 사출성형법에 있어서, 제1회째의 주입재료 충전시에는 상기 양 틀체로 형성한 공간에 제1의 주입재료를 충전하여 제1단계의 성형체를 성형하고, 이 제1단계의 성형체의 냉각 후, 이 제1단계의 성형체와 함께 상기 숫틀 또는 상기 암틀의 어느 한쪽의 틀체를, 다른쪽의 틀체를 구성하는 일부 가동틀체와 함께 이동시켜서, 상기 다른 틀체와로 형성한 공간에 제2의 주입재료를 충전하여 제2단계의 성형체를 성형하고, 다시 필요한 경우에는 이 제2단계의 성형체의 성형법을 반복함으로써 원하는 물품을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의 사출성형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쪽의 틀체는 숫틀이고, 상기 다른쪽의 틀체는 암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의 사출성형법.
  4. 상기 한쪽의 틀체는 복수의 가동틀체로 구성되어 있고, 다른쪽의 틀체는 고정틀체와 일부 가동틀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한쪽의 틀체는 사출성형기의 이동틀체장착부에 장착되고, 상기 다른쪽의 틀체는 사출성형기의 고정틀체장착부에 장착되며, 전자의 틀체는 물품의 전체두께분만큼 후자의 물체쪽으로 이동하며, 전자의 틀체의 고정틀체와 후자의 틀체의 일부 가동틀체로 제1층째의 성형체를 성형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고, 이 공간에서 성형체를 성형 후, 이 성형체를 수반하여 상기 전자의 틀체의 일부 가동틀체를 상기 이동틀체장착부쪽을 이동시켜서, 이 일부 가동틀체의 끝면과, 상기 다른쪽의 틀체의 최소한 고정틀체의 끝면으로 제2층째 또는 상기 물품의 전체 두께에 상당하는 공간이 열리도록 누름수단으로 눌리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2항의 물품의 사출성형법에 사용하는 성형틀체.
  5. 상기 다른쪽의 틀체는 고정틀체와 일부 가동틀체로 이루어지고, 이 고정틀체는 누름판에 의해 사출성형기의 서포트에 고정되며, 상기 일부 가동틀체는 상기 누름판과의 사이에 상기 제2단계의 성형체를 성형할 수 있는 소정의 간격이 열리도록 누름수단으로 눌려 있어서, 양자로 동일면의 캐비티면을 구성하고, 상기 한쪽의 가동틀체로 눌려서, 그 배면이 상기 누름수단에 항거하여 상기 누름판에 접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2항의 물품의 사출성형법에 사용되는 성형틀체.
  6. 제4항에 있어서, 사출성형기의 이동틀체장착부에 장착되는 틀체는 제1 및 제2의 가동틀체로 이루어지고, 이 제1의 가동틀체는 그 보디부가 제2의 가동틀체와 상기 이동틀체장착부와의 사이에 배치되어서, 소정간격 이동가능하게 구성되며, 그리고 그 보디부의 일부가 상기 제2의 가동틀체의 보디부를 관통하여, 그 끝면이 상기 제2의 가동틀체의 끝면과 동일면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의 사출성형법에 사용하는 성형틀체.
  7. 서로 대향하는 숫틀의 틀체와 암틀의 틀체로 이루어지고, 그들의 한쪽은 가동측틀체이며, 다른쪽은 고정측틀체로서, 상기 한쪽의 가동측틀체는 사출성형장치의 이동틀체장착부에 장착하고, 상기 다른쪽의 고정측틀체는 사출성형장치의 고정틀체장착부에 장착하며, 상기 가동측틀체는 그 자체에 내장된 이동수단 또는 상기 이동틀체장착부에 형성된 이동수단에 의해 상기 다른쪽의 고정측틀체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장치.
  8. 표면과 프레임체로 이루어지는 카세트절반부의 표면단면구조가 1층1색의 주입재료로 구성된 제1의 부분(7)과, 이 부분(7)과 동일두께로 동일색을 포함하는 2층 2색의 주입재료로 구성된 제2의 부부(6)과, 이 부분(6)의 두께보다 얇고, 상기 동일색과 상이한 상기 제2의 부분(6)의 다른색으로 구성한 제3의 부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프레임체는 상기 제1의 부분과 동일한 주입재료로 동시에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테이프용 카세트절반부.
  9. 서로 대향하는 숫틀의 틀체와 암틀의 틀체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이종(異種)의 주입재료를 순차 충전함으로써 물품을 성형함에 있어서, 제1단계의 성형체와 함께 상기 숫틀 또는 상기 암틀의 어느 한쪽의 틀체를 다음의 제2단계의 주입재료를 충전하는 두께분만큼 이동시켜서 물품을 성형하는 물품의 사출성형법에 있어서, 제1회째의 주입재료 충전시에는 제2의 주입재료를 충전하는 사출게이트부의 앞면의 틀체를 제2단계의 성형체의 두께를 결정하는 위치에 고정대기시켜서 상기 사출게이트부의 앞면에 공간부를 형성하고, 최소한 이 공간부를 제외한 양 틀체로 형성된 공간에 제1의 주입재료를 충전하여 제1단계의 성형체를 성형하고, 냉각 후 이 제1단계의 성형체와 함께, 이 성형체를 지지하고 있는 틀체를 상기 고정대기위치에 있던 상기 틀체와 동일면을 형성하는 위치까지 이동시켜서, 이들 틀체에서 형성된 면과 상기 다른 틀체의 면에서 형성한 공간에 제2의 주입재료를 충전하여 제2단계의 성형체를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의 사출성형법.
  10. 상기 한쪽의 틀체 및 다른쪽의 틀체는 고정틀체와 일부 가동틀체로 이루어지고, 이들 틀체의 어느 한쪽은 사출성형기의 이동틀체 장착부에 장착되고, 다른쪽은 사출성형기의 고정틀체장착부에 장착되며, 전자의 틀체의 고정틀체는 후자의 틀체에 배설된 제2의 주입재료를 충전하는 사출게이트부의 앞면에 제2단계의 성형체의 두께에 상당하는 공간이 열리도록 위치되고, 전자의 틀체의 일부 가동틀체는 제2단계의 성형체의 두께분만큼 후자의 틀체쪽으로 이동하도록 하고, 전자의 틀체의 일부 가동틀체와 후자의 틀체의 일부 가동틀체로 제1단계의 성형체를 성형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며, 이 공간에서 제1단계의 성형체를 성형 후, 이 성형체를 수반하여 상기 전자의 틀체의 일부 가동틀체를 상기 이동틀체장착부쪽으로 이동시킨 경우, 이 일부 가동틀체의 끝면과 상기 전자의 고정틀체의 끝면이 동일면으로 되고, 이 동일면은 상기 다른쪽의 틀체의 최소한 고정틀체의 끝면으로 제2단계 또는 상기 물품의 전체 두께에 상당하는 공간이 열리도록 누름수단으로 눌리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9항의 물품의 사출성형법에 사용할 수 있는 성형틀체.
KR1019920008341A 1991-05-20 1992-05-18 물품의 사출성형법, 사출성형장치 및 그것에 사용하는 성형틀체 및 자기테이프용 카세트절반부 KR01779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4-114,772 1991-05-20
JP91-114,772 1991-05-20
JP11477291 1991-05-20
JP91-260763 1991-10-08
JP91-260,763 1991-10-08
JP26076391A JP3208803B2 (ja) 1991-05-20 1991-10-08 物品の射出成形法、射出成形装置及びそれに用いる成形型体並びに磁気テープ用カセットハー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21290A KR920021290A (ko) 1992-12-18
KR0177930B1 true KR0177930B1 (ko) 1999-05-15

Family

ID=26453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8341A KR0177930B1 (ko) 1991-05-20 1992-05-18 물품의 사출성형법, 사출성형장치 및 그것에 사용하는 성형틀체 및 자기테이프용 카세트절반부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5372770A (ko)
EP (1) EP0514761B2 (ko)
JP (1) JP3208803B2 (ko)
KR (1) KR0177930B1 (ko)
DE (1) DE69212895T3 (ko)
TW (1) TW22168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23904A (en) * 1991-03-05 1994-06-28 Fuji Photo Film Co., Ltd. Magnetic tape cassette accommodating case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ame
US5667616A (en) * 1994-09-19 1997-09-16 Sony Corporation Disc cartridge molding method and apparatus
US5650178A (en) * 1994-11-23 1997-07-22 Bemis Manufacturing Company Co-injection manifold for injection molding
DE19518124C1 (de) * 1995-05-17 1996-12-19 Krauss Maffei Ag Vorrichtung zur Erzeugung von Formteilen aus thermoplastischem Kunststoff
JPH0973760A (ja) * 1995-09-07 1997-03-18 Sony Corp プレート原反の打抜方法とテープカセットのベースプレート
DE19639678B4 (de) * 1996-09-26 2007-08-23 Mitsubishi Materials Corp. Formwerkzeug für den Einsatz in einer Spritzgussmaschine und Verfahren
EP0861712B1 (en) 1997-01-31 2004-10-27 Fuji Photo Film Co., Ltd. Molding die for molding a component of magnetic tape cartridge
US6053675A (en) * 1998-06-26 2000-04-25 Black & Decker Inc. Quick-acting tool bit holder
US6029866A (en) * 1998-09-29 2000-02-29 Aptargroup, Inc. Multiple injection, toggle-action dispensing structure
US6206682B1 (en) * 1998-10-05 2001-03-27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Inc. Molding accelerated stripper-ejector system
KR100315715B1 (ko) * 1999-06-04 2001-12-12 강병우 수용성 아크릭 탄성 도막방수제 및 그 제조방법
WO2001064419A1 (en) * 2000-02-29 2001-09-07 Bemis Manufacturing Company Co-injection apparatus for injection molding
US6401990B1 (en) 2000-06-19 2002-06-11 Seaquist Closures Foreign, Inc. Finger-operable pump actuator with finger pad
CA2364050A1 (en) * 2000-11-30 2002-05-30 Bemis Manufacturing Company Co-injection methods using endothermic-blowing agents and products made therefrom
US6481589B2 (en) 2001-02-22 2002-11-19 Seaquist Closures Foreign, Inc. Non-dispensing closure
US6843484B2 (en) 2002-07-08 2005-01-18 Monte L. Schroeder Quick change chuck
DE10309230A1 (de) * 2003-03-03 2004-09-23 Trw Automotive Electronics & Components Gmbh & Co. K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Kunststoffteilen
DE102004036171A1 (de) * 2004-07-26 2006-03-23 Angell-Demmel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s Dekor-Zierteils mit freigestelltem Symbol
US7390184B2 (en) * 2005-11-09 2008-06-24 Centoco Plastics Limited Dual injection manifold
JP2009143008A (ja) * 2007-12-11 2009-07-02 Denso Corp 金型装置
JP2009143015A (ja) * 2007-12-11 2009-07-02 Denso Corp 金型装置
GB0906768D0 (en) 2009-04-21 2009-06-03 Pdd Innovations Ltd Pumps
DE102010034451B4 (de) * 2009-08-25 2013-07-04 Engel Austria Gmbh Auswerfervorrichtung mit Zusatz-Auswerferkraft
WO2011123271A1 (en) * 2010-03-30 2011-10-06 Husky Injection Molding Systems Ltd Mold-tool assembly having nozzle assemblies to provide resins molded adjacently
JP5897933B2 (ja) * 2012-03-01 2016-04-06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射出成形機
KR101483673B1 (ko) * 2013-06-19 2015-01-16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솔리드 렌즈의 이중사출금형 및 이를 이용한 솔리드 렌즈의 제조방법
US11155011B2 (en) 2018-02-01 2021-10-26 Chunichi Precision Molding, Inc. Method of injection molding a discrete part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147750B (de) * 1959-06-06 1963-04-25 Krauss Maffei Ag Formschliessvorrichtung, insbesondere fuer thermoplastische Kunststoffe verarbeitende Spritzgussmaschinen
GB1496973A (en) * 1974-10-01 1978-01-05 Nissan Motor Injection moulding method of producing laminated plastics article including a thermoset layer and metal mould for same
JPS5462257A (en) * 1977-10-28 1979-05-19 Tdk Corp Molding
JPH0657417B2 (ja) * 1985-11-15 1994-08-03 ティーディーケイ株式会社 成形金型
JPH07118178B2 (ja) * 1987-01-28 1995-12-18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磁気テ−プカセツト製造方法
JP2521955B2 (ja) * 1987-05-27 1996-08-07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カセットハ−フ用二色成形金型
JPH0525097Y2 (ko) * 1987-05-29 1993-06-24
JPH01165971U (ko) * 1987-12-24 1989-11-21
JPH0743827Y2 (ja) * 1987-12-29 1995-10-09 ソニー株式会社 テープカセット
JPH0548315Y2 (ko) * 1988-03-25 1993-12-22
US5106553A (en) * 1988-04-16 1992-04-21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 Method for molding a formatted substrate for an optical disk
JPH0686080B2 (ja) * 1988-12-02 1994-11-02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射出成形用金型
US5125816A (en) * 1988-12-02 1992-06-30 Fuji Photo Film Co., Ltd. Apparatus for molding an article in a plurality of colors
JPH0615187B2 (ja) * 1988-12-02 1994-03-02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多色成形方法
JP2557713B2 (ja) * 1989-10-13 1996-11-27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射出成形用金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212895T3 (de) 2000-03-30
US5385461A (en) 1995-01-31
DE69212895T2 (de) 1997-03-13
EP0514761A3 (en) 1993-03-17
TW221682B (ko) 1994-03-11
US5372770A (en) 1994-12-13
DE69212895D1 (de) 1996-09-26
EP0514761B2 (en) 1999-10-13
KR920021290A (ko) 1992-12-18
EP0514761A2 (en) 1992-11-25
EP0514761B1 (en) 1996-08-21
JPH0531757A (ja) 1993-02-09
JP3208803B2 (ja) 2001-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77930B1 (ko) 물품의 사출성형법, 사출성형장치 및 그것에 사용하는 성형틀체 및 자기테이프용 카세트절반부
JP2557713B2 (ja) 射出成形用金型
JPH05228970A (ja) 射出圧縮成形法、これに用いる射出成形金型及び射出圧縮成形機
EP0335976B1 (en) Injection molding machine
US5125816A (en) Apparatus for molding an article in a plurality of colors
US519248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lding article in plurality of colors
US5229905A (en) Magnetic tape cassette having an improved window design
JPS63295221A (ja) カセットハ−フ用二色成形金型
US5693348A (en) Disc molding die
JP2549563B2 (ja) 射出成形用金型
JPH1016002A (ja) 複合成形品の成形装置および製造方法
JP3630910B2 (ja) カートリッジケースの製造方法
JP7455636B2 (ja) 多色成形品、及び多色成形品の製造方法
JPH0649307B2 (ja) 二層射出成形品の製造方法および成形金型
JP3743031B2 (ja) 射出成形方法及び射出成形用金型
JPH01259920A (ja) 成形金型
JP3903026B2 (ja) インサート複合成形用竪型射出成形機。
JPH11216741A (ja) 樹脂部品面加飾方法及び加飾装置
JPH08309791A (ja) 複層成形方法
JP2884887B2 (ja) 薄肉二色成形品およびその成形用金型装置
JPH0541860Y2 (ko)
JPS6251410A (ja) 多色物品の成形方法及びその金型
JP2604973B2 (ja) 樹脂成形装置
JPH03261527A (ja) カセットハーフ成形方法及びカセットハーフ成形用金型
JP2612927B2 (ja) 射出成形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15

Year of fee payment: 14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