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5420B1 - 컬러 필터, 그의 제조 방법,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패널이 장착된 정보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컬러 필터, 그의 제조 방법,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패널이 장착된 정보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5420B1
KR0175420B1 KR1019950033427A KR19950033427A KR0175420B1 KR 0175420 B1 KR0175420 B1 KR 0175420B1 KR 1019950033427 A KR1019950033427 A KR 1019950033427A KR 19950033427 A KR19950033427 A KR 19950033427A KR 0175420 B1 KR0175420 B1 KR 01754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or filter
receiving layer
ink
substrate
ink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334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1515A (ko
Inventor
아끼오 가시와자끼
히로시 사또
가쯔히로 시로따
히데또 요꼬이
다께시 미야자끼
쇼지 시바
Original Assignee
미따라이 후지오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따라이 후지오,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미따라이 후지오
Publication of KR9600115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15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54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54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2Absorbing filters
    • G02B5/223Absorbing filters containing organic substances, e.g. dyes, inks or pigments

Abstract

본 발명은 투광부를 갖춘 기판, 및 이 기판 상에 제공되고 기판의 투광부 상에 착색된 투광부를 갖춘 잉크 수용층으로 이루어지며, 잉크 수용층이 하기 일반식(I)로 표시되는 구조 단위를 갖는 단량체의 단독 중합체 또는 1종 이상의 다른 비닐 단량체와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것인 컬러 필터에 관한 것이다.
식 중, R₁은 수소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R₂ 및 R₃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또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5의 알킬기이다.

Description

컬러 필터, 그의 제조 방법,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패널이 장착된 정보 처리 장치
제1a도 내지 e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태양에 따른 컬러 필터의 제조 공정도.
제2a도 내지 f도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태양에 따른 컬러 필터의 제조 공정도.
제3a도 및 b도는 컬러 필터의 평면도.
제4a도 내지 4f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실시태양에 따른 컬러 필터의 제조 공정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태양에 따른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의 단면도.
제6도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태양에 따른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의 단면도.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른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을 정보 처리 장치에 적용한 경우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
제8도는 제7도의 정보 처리 장치의 대표적인 조감도.
제9도는 예시적인 정보 처리 장치를 보여주는 개략도.
제10도는 컬러 필터 제조용 생산 장치의 구성도.
제11도는 제10도의 생산 장치에서 생산 제어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4 : 기판 2 : 블랙 매트릭스
3 : 잉크 수용층 4 : 광마스크
5 : 잉크-젯 헤드 6 : 보호층
7 : 개구부 8 : 차단벽
9 : 컬러 필터 10, 13 : 전극
11 : 배향필름 12 : 액정 화합물
15 : 편광판 16 : 후광
본 발명은 컬러 텔레비젼, 자동차용 텔레비젼, 개인용 컴퓨터 등에 사용되는 컬러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컬러 필터, 그의 제조 방법,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패널이 장착된 정보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잉크젯 기록술을 사용한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용 컬러 필터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 개인용 컴퓨터, 특히 휴대용 개인용 컴퓨터의 진보에 따라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특히 컬러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요청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컬러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를 더욱 보편화시키기 위해서는 생산 비용을 절감하는 것이 필요하다.
비용 면에서 특히 비중이 높은 컬러 필터의 생산 비용 절감에 대한 요청이 점증하고 있다.
컬러 필터에 요구되는 특성을 만족시키면서도 위와 같은 요청이 부응하기 위해 이제까지 각종 방법이 시도되어 왔다.
그러나, 요구되는 특성을 모두 만족시키는 방법은 현재까지 어느 것도 확립되지 않았다.
개별적인 방법을 이하에서 설명한다.
가장 흔히 사용되는 첫 번째 방법은 염색법이다.
염색법에서는, 염색 대상물질인 수용성 중합체 물질을 유리 기판에 도포하고, 이렇게 하여 형성된 코팅막을 사진평판술에 의해 목적하는 형태로 패턴화시킨다.
그 다음, 코팅막이 패턴화된 기판을 염료조에 침지시켜 착색 패턴을 얻는다.
이 공정을 3회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적(R), 녹(G) 및 청(B)의 착색 패턴으로 구성된 컬러 필터를 제조한다.
두 번째 방법은 근년에 염색법을 대체하고 있는 안료 분산법이다.
이 방법에서는, 먼저 안료가 분산되어 있는 감광성 수지층을 기판 상에 형성시킨 다음 패턴화함으로써 단색 패턴을 얻는다.
이 공정을 3회 반복 수행함으로써 R, G 및 B의 착색 패턴으로 구성된 컬러 필터를 제조한다.
세 번째 방법으로는 전착법이 있다.
이 방법에서는, 먼저 기판 상에서 투명한 전극을 패턴화시킨다.
그 다음 기판을 안료, 수지, 전해액 등을 함유한 전착 코팅액에 첨지시켜 첫 번째 색을 전착시킨다. 이 공정을 3회 반복 수행함으로써 R, G및 B의 착색 패턴으로 구성된 컬러 필터층을 형성시킨다. 최종적으로, 이 컬러 필터층을 하소시켜 컬러 필터를 제조한다. 네 번째 방법으로는, 각각이 열경화성 수지 및 여기에 분산되어 있는 안료로 이루어진 R, G및 B 색의 세가지 코팅을 반복 인쇄에 의해 별도로 도포한 다음, 각 착색층이 될 수지를 열경화시켜 착색층을 형성시킴으로써 컬러 필터를 제조하는 인쇄법이 있다.
각 방법에서 착색층 위에 보호층을 형성시키는 것이 일반적이다.
R, G및 B의 착색 패턴을 형성하기 위해서 동일한 공정을 3회 반복할 필요성이 있는 것이 이들 방법에는 공통적이다. 따라서, 제조 원가가 필수적으로 상승한다. 또한, 공정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수율이 감소한다는 문제가 있다. 전착법에서는 그 밖에도 형성할 수 있는 패턴이 제한된다. 따라서, 현재의 기술로는 이 방법을 TFT 컬러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하는 것이 곤란하다.
또한, 인쇄법에는 해상도가 불량하다는 결점이 있고, 따라서 미세간격 패탄을 형성하는 데에는 부적합하다.
이들 결점을 제거하기 위해, 일본국 특개소 59-75205호, 동 63-235901호 및 일본국 특개평 1-217302호에는 각각 잉크젯 방식을 사용한 컬러 필터 제조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제안은 여전히 만족스럽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내열성, 내용매성 및 해상도와 같이 종래의 방법에 의해 만족되는 요구 특성 및 잉크젯 방법의 기록성을 모두 만족시키고, 나아가 공정을 단축시켜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컬러 필터 제조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되고 높은 신뢰도를 갖는 컬러 필터를 제공하며, 특히 잉크젯 방식을 사용한 잉크의 토출에 의한 색소의 배열시에 소량의 잉크로도 색 불균일성 및 블랭크 영역이 방지되고 표면 평활도가 우수하게 된다는 점에서 신뢰도가 높은,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용 컬러 필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혼색, 색 불균일성 및 블랭크 영역이 방지되는, 내열성 및 내용매성이 우수한 컬러 필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위와 같은 컬러 필터를 구비한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및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이 장착된 정보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하기에 설명하는 본 발명에 의해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투광부를 갖춘 기판, 및 이 기판 상에 제공되고 기판의 투광부 상에 착색된 투광부를 갖춘 잉크 수용층으로 이루어지며, 잉크 수용층이 하기 일반식(I)로 표시되는 구조 단위를 갖는 단량체의 단독중합체 또는 1종 이상의 다른 비닐 단량체와의 공중 합체로 이루어진 것은 컬러 필터가 제공된다.
식중,
R₁은 수소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R₂및 R₃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탄소 원자수 1내지 5의 알칼기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1) 기판 상에 잉크 수용층을 제공하는 단계; 및 (2) 잉크젯 방식에 의해 잉크 수용층에 잉크 소적을 도포하여 잉크 수용층을 착색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지며, 잉크수용층이 하기 일반식(I)로 표시되는 구조 단위를 갖는 단량체의 단독 중합체 또는 1종 이상의 다른 비닐 단량체와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것인, 잉크젯 방식에 의해 기판 상에 색소를 배열시킴으로써 컬러 필터를 제조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식중,
R₁은 수소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R₂ 및 R₃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탄소 원자수 1내지 5의 알킬기이다. 그밖에도, 본 발명에 따르면 (1) 기판 상에, 수성 잉크 흡수성이 양호하며, 광조사 또는 광조사와 열처리에 의해 처리된 부분에서는 잉크 흡수성이 저하되는 조성물을 함유한 잉크 수용층을 제공하는 단계; (2) 잉크 수용층의 일부를 광조사 또는 광조사와 열처리하여 잉크 수용층의 잉크 흡수성을 부분적으로 저하시키는 단계; 및 (3) 잉크젯 방식에 의해 잉크 수용층에 미치러 부분에 잉크 소적을 도포하여 미처리 부분을 착색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지며, 잉크 수용층이 (a)하기 일반식(I)로 표시되는 구조 단위를 갖는 단량체의 단독중합체 또는 1종 이상의 다른 비닐 단량체와의 공중합체 및 (b)광유도 개시제로 이루어진 것인, 잉크젯 방식에 의해 기판 상에 색소를 배열시킴으로써 컬러 필터를 제조되는 방법이 제공된다.
식 중,
R₁은 수소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R₂ 및 R₃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5의 알킬기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한 제조 방법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제조된 컬러 필터가 제공된다.
그 밖에도,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한 컬러 필터, 이 컬러 필터와 대향으로 제공된 기판, 및 컬러 필터와 기판 사이의 공간에 봉입된 액정 조성물로 이루어진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한 컬러 필터, 이 컬러 필터와 대향으로 제공되며 차광부를 갖춘 기판, 및 컬러 필터와 기판 사이의 공간에 봉입된 액정 조성물로 이루어진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이 제공된다.
덧붙여,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한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중 어느 하나를 장착한 정보 처리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태양을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 기재한다.
제1A내지 제1E도는 본 발명에 따른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용 컬러 필터의 제조 공정을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용 컬러 필터의 구성예를 보여준다.
본 발명에서, 일반적으로 유리 기판이 기판으로서 사용된다. 그러나, 기판은 투명성 및 기계적 강도와 같은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용 필터에 요구되는 성질을 갖는 한, 상기 유리 기판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1A도는 차광부(2)으로서 블랙 매트릭스를 형성시킨 유리 기판(1)을 나타낸다.
제1A도에서, 부호(7)은 블랙 매트릭스 및 픽셀로 한정되는 투광부 또는 개구부(aperture)를 나타낸다.
이어서, 기재될,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식(I)로 표시되는 구조 단위를 갖는 중합체 함유 조성물은 먼저 블랙 매트릭스를 형성시킨 기판 상에 도포하고, 필요할 경우 프리베이킹하여 잉크 수용층(3)을 형성시킨다(제1B도).
블랙 매트릭스의 형성 재료는 금속 또는 수지일 수 있다. 단독중합체 또는 1종 이상의 다른 비닐 단량체와의 공중합체의 임의의 단량체는 하기 일반식(I)로 표시되는 구조 단위를 갖는다.
(I)
식 중,
R₁은 수소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R₂ 및 R₃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5의 알킬기이다.
일반식(I)로 표시되는 구조 단위를 갖는 단량체의 특정 예로는 N,N-디메틸올 아크릴아미드, N,N-디메톡시메틸아크릴아미드, N,N-디에톡시메틸아크릴아미드, N,N-디메틸올메타크릴아미드, N,N-디메톡시메틸메타크릴아미드 및 N,N-디에톡시메틸메타크릴아미드를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단량체는 단독 중합하거나 또는 1종 이상의 다른 비닐 단량체와 공중합한다. 이들 단량체는 친수성 단량체로 취급한다.
친수성 단량체로서 다른 비닐 단량체의 예로는 카르복실기 함유 비닐 단량체, 예를 들면 아크릴산 및 메타크릴산, 히드록시기 함유 비닐 단량체, 예를 들면 히드록시메틸 메타크릴레이트, 히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히드록시메틸 아크릴레이트 및 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 및 이외에 아크릴아미드, 메타크릴아미드, 아크릴로니트릴, 알릴아민 및 비닐아만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단량체가 이들 단체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중합체 중의 친수성 단량체로서 일반식(I)의 단량체의 함량은 5내지 100중량%,특히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0 중량%이다.
소수성 단량체로서 다른 비닐 단량체의 예로는 아크릴산 에스테르, 예를 들면 메틸 아크릴레이트 및 에틸 아크릴레이트,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예를 들면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에틸 메타크릴레이트, 스티렌, a-메틸스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및 비닐 프로피오네이트를 들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단량체가 이들 단량체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상기 중합체는 잉크에 대한 친화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잉크는 비록 잉크가 잉크 수용층 상에 소량으로 도포된다 할지라도, 잉크 수용층에 걸쳐 균일하게 퍼지기 쉬워서 색 블균일성 및 블랭크 영역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중합체는 내열성 및 내용매성이 우수하여, 상기 중합체로 형성된 잉크 수용층 상에서 ITO필름이 균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블랙 매트릭스가 잉크 수용층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잉크가 소량으로 도포되는 경우, 잉크로 도포된 잉크 수용층의 팽윤이 방지될 수 있어 잉크로 도포된 잉크 수용층의 표면 평활도가 양호해진다.
다음에 기재하는 바와 같이, 상이한 색상의 인접 잉크 간에 혼색이 발생할 수 있는 경우, 예를 들면 도포되는 잉크의 양이 증가되는 경우에는 잉크의 도포에 앞서 잉크 수용층의 일부를 경화(set)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경우에도, 상기 중합체를 사용함으로써 잉크 수용층의 경화부 및 비경화부 간의 잉크 흡수력에서 현저한 차이가 발생하므로, 서로 다른 색상의 잉크들 간의 혼색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바람직하게는 102에서 107의 범위 내이다.
공중합체 중의 일반식(I)의 구조 단위를 갖는 단량체를 포함한 친수성 단량체의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5 내지 95 중량%,보다 바람직하게는 7 내지 90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10내지 85 중량%이다.
상기 잉크 수용층을 형성하기 위해 스핀코팅, 롤 코팅 바 코팅, 분무 코팅, 또는 첨지 코팅과 같은 코팅법을 사용할 수 있다.
잉크-젯 헤드(5)를 사용하여, R, G 및 B 색의 잉크를 개구부(픽셀)내에 도포하고, 필요할 경우 건조시킨다(제1C도).
착색된 잉크 수용층은 열처리하여 경화시키고(제1D도), 필요할 경우 그 위에 보호층을 형성함으로써 컬러 필터를 제조한다(제1E도).
제2A도 내지 2F도는 픽셀간의 혼색을 방지하기 위해 차단벽을 형성시킨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 태양에 따른 제조 공정이다.
이 태양에서, 수성 잉크 흡수성이 양호하며, 광조사 또는 광조사와 열처리로 처리한 부분에서는 잉크 흡수성이 저하되는 조성물을 잉크 수용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로서 사용한다.
상기 조성물로서, 일반식(I)로 표시되는 단량체 및 광유도 개시제로 이루어진 중합체의 혼합물을 사용한다.
광유도 개시제로서, 바람직하게는 할로겐화 트리아진 화합물, 디페닐요오도늄염 유도체 및 트리페닐술포늄 염 유도체를 사용할 수 있다.
할로겐화 트리아진 화합물로서, 하기 일반식(II)로 표시되는 트리아진 고리 중에 트리할로메틸기가 도입된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식 중,
Z는 할로겐이고,
Y는 CZ₃(여기서, Z은 할로겐임),페닐 할로겐화 페닐,
(식 중, R7은 탄소 원자수 1내지 5인 알킬기이되, 단 상기 1개의 기 중에 2개 이상의 R기가 존재하는 경우, 이들은 서로 상이할 수 있음)이다.
그의 특정예로는 2-(p-메톡시페닐)-4,6-비스(트리클로로메틸)-s-트리아진, 2-스티릴-4,6-비스(트리클로로메틸)-s-트리아진, 2-(p-메톡시스티릴)-4,6-비스(트리클로로메틸)-s-트리아진 및 2-페닐-4,6-비스(트리콜로로메틸)-s-트리아진을 들 수 있다.
디페닐요오도늄 염 유도체로서, 하기 일반식(III)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식 중, R₄ 및 R5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탄소 원자수 1내지 5의 알콕시기또는 t-부틸기이고, X­은BF4­, PF6­, SbF6­또는 CF3SO63 ­이다.
그의 특징예로는 디페닐요오드늄 헥사플루오로안티모네이트, 디페닐요오도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디페닐요오도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디페닐도요도늄 트리플레이트 및 이들의 유도체를 들 수 있다.
그러나, 요오도늄 염 유도체는 이들 화합물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트리페닐술포늄 염 유도체로서, 하기 일반식(IV)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식 중,
R6는 수소, 탄소 원자수 1 내지 5의 알콕실기, 탄소 원자수 1 내지 5의 알킬기,또는 불소이고, X­상기한 바와 동일하다.
그의 특정예로는 트리페닐술포늄 헥사플루오로안티모네이트, 트리페닐술포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트라페닐술포늄 헥사플루토로포스페이트, 트리페닐술포늄 트리플레이트 및 이들의 유도체를 들 수 있다. 그러나, 술포늄 염 유도체는 이들 화합물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광유도 개시제 (b)는 중합체 (a) 100중량부 당 0.01 내지 1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5 중량부의 비율로 포함된다.
페릴렌, 안트라센 또는 페노티아진과 같은 화합물을 조성물의 감광제로 첨가할 수 있다.
제2B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조성물을 기 판상에 도포하고, 필요할 경우 프리베이킹하여 잉크 수용층(3)을 형성한다.
이어서, 잉크 수용층(3)은 광마스크(4)를 사용하여 차광부인 블랙 매트릭스(2)부에서 패턴 노광시켜, 노광부에서의 잉크 수용층(3)의 잉크 흡수성을 저하시킨다(제2C도).
그다음, 잉크 수용층의 비노광부를 잉크-젯 헤드(5)를 사용하여 R, G 및 B 색 잉크로 착색시킨다(제2D도). 도포된 잉크는 필요에 따라 건조시킨다. 잉크 흡수성이 저하된 잉크 수용층부(경화부)는 차단벽으로서 가능하여, 상이한 색상의 잉크들의 혼색을 방지한다.
컬러 필터의 블랭크 영역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매트릭스(2)에 의해 한정되는 개구보다 더 넓은 영역을 착색하여, 블랙 매트릭스의 차광 폭보다 더 좁은 개구부를 갖는 마스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패턴 노광에 사용되는 광마스크(4)로서, 실질적으로 블랙 매트릭스(2)에 대응하는 차단벽 형성부(8)에서 잉크 수용층(3)의 잉크 흡수성을 저하시키기 위해서 개구(90)을 갖는 광마스크를 사용한다. 이 경우, 블랙 매트릭스(2)를 연결하는 부분에서 블랭크 영역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약간 과량으로 잉크를 토출시킬 필요성이 있다는 점에서, 블랙 매트릭스(2)의 폭 X보다 더 좁은 개구폭 Y을 갖는 마스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형성되는 차단별(8)의 폭을 블랙 매트릭스(2)의 폭에 비하여 협소하세 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X 대 Y의 비는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0.95,특히 0.1 내지 0.9이다.
제3A도 및 제3B도는 패턴 노광을 각각 스트라트프 형태 및 매트릭스 형태로 수행한 본 발명에 따른 컬러 필터의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패턴 노광은 제3A에서 예시한 바와 같은 스트라이프 형태 또는 제3B도에서 예시한 같은 매트릭스 형태로 수행할 수 있다.
스타라이프 형태의 패턴 노광은 스트라이프형의 착색 패턴을 갖는 컬러 필터의 제조에 적합한 반면, 매트릭스 형태의 패턴 노광은 매트릭스형의 착색 패턴을 갖는 컬러 필터의 제조에 적합하다.
제4A도 내지 4F도는 블랙 매트릭스가 컬러 필터 기판의 대향 기판 상에 제공된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사용되는 컬러 필터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블랙 매트릭스를 컬러 필터의 전면이 아니라, 대향 기판에 제공하는 방법은 개구 효율을 향상시키는 방법으로서 유용하다.
광조사 또는 광조사와 열처리에 의해 노광부에서의 잉크 흡수성이 저하되는 조성물을 제4A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유리 기판(1) 상에 도포하고, 필요할 경우 프리베이킹하여, 광조사 또는 광조사와 열처리에 의해 노광부에서 잉크 흡수성이 저하되는 잉크 수용층(3)을 형성시킨다(제4B도).
이어서, 광마스크(4)를 사용하여 패턴 노광을 수행함으로써, 노광부에서 잉크수용층(3)의 잉크 흡수성을 저하시킨다(제4C도).
그다음, 잉크 수용층(3)의 비노광부를 잉크-젯 헤드(5)를 사용하여 R, G 및 B의 각 색상의 잉크로 착색시킨다(제4D도). 도포된 잉크는 필요할 경우 건조시킨다.
블랭크 영역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서, 각 차단벽(8)의 폭을 대향 기판 상에 제공된 블랙 매트릭TM(도사하지 않음)의 폭보다 더 좁게하는 것이 중요하다.
착색용 잉크로서, 염료 잉크 및 안료 잉크 모두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액상 잉크 및 고상 잉크 모두가 사용될 수 있다.
잉크젯 시스템으로서, 에너지 발생 소사로서 전열 컨버터를 이용하는 버블젯형, 압전 소자 등을 이용하는 피에조젯형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착색부 및 착색 패턴은 임의적으로 예비 경화할 수 있다. 블랙 매트릭스는 잉크 수용층을 형성한 후 또는 어떠한 특정한 문제없이 착색시킨 후에, 광조사 또는 광조사와 열처리에 의해 노광부에서 잉크 흡수성이 저하되는 잉크 수용층 상에 형성시킬 수 있다.
이들의 형태는 상기 태양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블랙 매트릭스를 형성하는 방법으로서, 스퍼터링 또는 중착에 의해 기판 상에 급속막을 형성하고, 이 막을 사진평판술에 의해 피턴화하거나, 블랙 감광성 수지를 패턴화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어서, 착색된 잉크 수용층은 광조사 및 (또는)열처리를 수행하여 경화시키고 (제2E도 또는 4E도), 필요할 경우 잉크 수용층 상에 보호층(6)을 형성시켜 컬러 필터를 얻는다. 보호층으로서, 광경화형, 열경화형 또는 광- 및 열경화형의 수지 재료 또는 중착, 스퍼터링 등으로 형성시킨 무기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컬러 필터에 사용되기에 충분한 투명도를 갖고, 이어지는 ITO 형성 공정, 배향 필름 형성 공정 등을 견디는 한, 어떠한 물질도 사용할 수 있다.
제5도 및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르는 컬러 필터가 포함된 TFT컬러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의 단면을 설명한다. 이의 형태는 이들 양태로 제한되지 않는다.
컬러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은 일반적으로 컬러 필터 기판(1) 및 컬러 필터 기판(1)의 대향 기판(14)를 결합시키고, 이들 사이의 공간에 액정 화합물(12)를 충전시킴으로써 형성시킨다. TFT(도시하지 않음) 및 투명한 픽셀 전극(13)은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의 한 기판(14)의 내부에 매트릭스 형태로 형성시킨다.
컬러 필터(9)는 다른 기판(1)의 내부에 픽셀 전극(13)의 대향 위치에 R, G 및 B색상의 착색 물질이 배열되도록 배치한다.
투명한 대향(또는 공동) 전극(10)은 컬러 필터(9) 상에 걸쳐 형성시킨다.
블랙 매트릭스는 일반적으로 컬러 필터 기판의 전면 상에 형성시키지만(제5도), 배열상 BM 형의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에서는 대향 TFT 기판의 전면 상에 형성시킨다(제6조). 양쪽 기판의 표면 내부에 배향 필름(11)을 더 형성시킨다.
이들 필름을 마찰(rubbing) 처리하여 고정된 방향으로 액정 분자를 배향시킬 수 있다.
편광판(15)을 양 유리 기판의 외부 표면에 결합시킨다. 액정 화합물(12)을 이들 유리 기판 사이의 공간(약 2 내지 5 ㎛)에 충전시킨다.
후광(16)으로서, 일반적으로 형광 램프와 산란판(둘 다 도시하지 않음)을 함께 사용한다. 액정 화합물은 후광으로부터 광선의 투과성을 변화시키는 셔터로서 작용하여 디스플레이 되도록 한다.
부호(3), (6), (7) 및 (8)은 제2A 내지 2F에서와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상기와 같은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이 정보 처리 장치에 적용된 양태가 제7 내지 9도를 참고로 하여 기술된다.
제7도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이 워드 프로세서, 개인용 컴퓨터, 팩시밀리 단말기 및 복사기로서의 기능을 갖는 정보 처리 장치에 적용되는 경우의 도식적 구조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제7도에서, 부호(1801)은 전체 장치를 조절하는 기능을 하는 제어부를 나타낸다. 제어부(1801)은 마이크로프로세서와 같은 CPU, 및 여러 가지 I/0포트가 구비되어 있으며, 출력 제어 신호, 데이터 신호 등을 각 단위로 출력하고, 각 단위로부터의 입력 제어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입력하여, 이에 의해 제어한다. 부호(1802)는 디스플레이부를 나타낸다. 여러 가지 메뉴, 서류 정보 및 화상 데이터가 화상 판독기(1807)등에 의해 판독되어 표시 스크린 상에 나타난다. 부호(1803)은 감압식 투명 접촉 패널을 나타내는데, 이는 디스플레이기(1802)상에 제공된다. 아이템 입력, 좌표 위치 입력 등은 손가락 등으로 접촉 패널(1803)의 표면을 누름으로써 디스플레이기(1802)상에서 수행될 수 있다.
부호(1804)는 작곡가 등에 의해 작업되는 음악 정보가 기억부(1810) 및 외부 기억 장치(1812)에 디지털 데이터로 저장되고 이들 기억 장치로부터 판독되어 FM(주파수 변환)을 변환시키는 FM 음향원부를 나타낸다.
FM 음향원부(1804)로부터의 전자 신호는 스피커부(1805)에 의해 오디오 음향으로 전환된다. 프린터부(1806)를 워드 프로세서, 개인용 컴퓨터, 픽시밀리 단말기 및 복사기용 출력 단말기로 사용한다.
부호(1807)은 원래 데이터를 광전자식으로 판독하여 이들은 입력하는 기능을 하는 화상 판독부를 나타낸다. 화상 판독부 (1807)는 원본을 송부하는 과정중 제공되어 팩시밀리 정보 , 복사물 및 기타 여러 가지 원본 서류를 판독하는 역할을 한다.
부호(1808)는 팩시밀리(FAX)의 성신-수신기부를 나타내는데, 이를 화상 판독기(1807)에 의해 판독된 원본 서류 데이터의 팩시밀리 송신을 수행하고, 이들의 암호를 해독하기 위하여 제공된 팩시밀리 시그날을 수신한다. 송신-수신기는 외부 인터페이스 기능을 갖는다.
부호(1809)는 통상의 전화 기능 및 자동 응답 기능과 같은 여러 가지 전화 기능을 갖는 전화부를 나타낸다.
부포(1810)은 시스템 프로그램 및 관리 프로그램, 문자 폰트, 사전 등을 저장하는 ROM, 응용프로그램, 및 외부 기억 장치(1812), 비데오 RAM 등으로부터 부하된 서류 정보와 같은 응용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기억부를 나타낸다.
부호(1811)는 서류 정보 및 여러 가지 명령 등을 입력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키보드부이다. 부호(1812)는 저장 매체로서 플로피 디스크 및 하드 디스크를 사용하는 외부 기억 장치를 나타낸다.
상기 외부 기억장치(1812)에는 서류 정보, 음악 또는 오디오 정보, 사용자 응용 프로그램 등이 저장된다.
제8도는 제7도의 정보 처리 장치의 대표적인 조감도이다.
제8도에서, 부호(1901)는 상기한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의 사용을 좋게하고 여러 가지 메뉴, 그래픽 정보, 서류 정보 등을 표시하는 역할을 하는 평면 패널 디스플레이를 나타낸다.
좌표 입력, 아이템-특화 입력 등은 손가락 등으로 디스플레이기(1901)상의 접촉 패널(1803)의 표면을 누름으로써 수행할 수 있다.
부호(1902)는 처리 장치가 전화기로서 작용할 때 사용되는 수화기를 나타낸다.
키보드(1903)는 코드를 통해 주체와 분리가능하게 연결되어 여러 가지 서류 기능 및 여러 가지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여러 가지 기능키(1904) 등이 상기 키보드(1903)에 제공된다. 부호(1905)는 외부 기억 장치 (1812) 내로의 플로피 디스크의 삽입구를 나타낸다.
부호(1906)은 화상 판독부(1807)에 의해 판독될 원본 서류가 높여지는 종이판을 나타낸다. 판독된 서류는 처리 장치의 후면으로 배출된다. 수신된 팩시밀리 정보 등은 잉크-젯 프린터(1907)에 의해 인쇄된다.
정보 처리 장치가 개인용 컴퓨터 또는 워드 프로세서로서 작용하는 경우, 키보드부(1811)로부터 입력된 여러 가지 종류의 정보가 소정의 프로그램에 따라서 제어부(1801)에서 처리되어 화상으로서 프린터부(1806)로 출력된다.
정보 처리 장치가 팩시밀리 단말기용 수신기로서 작용하는 경우, 전화선을 통해 FAX의 송신-수신기부(1808)로부터 입력된 팩시밀리 정보는 소정의 프로그램에 따라서 제어부(1801)에서 수신용으로 처리되어 프린터부(1806)에서 수신된 화상으로서 출력된다.
정보 처리 장치가 복사기로서 작용하는 경우, 원본 서류는 화상 판독부(1807)에 의해 판독되고, 판독은 원본 서류 데이터는 제어부(1801)를 통하여 프린터부(1806)로 복사 화상으로 출력된다.
정보 처리 장치가 팩시밀리 단말기용 송신기로서 작용하는 경우, 화상 판독부(1807)에 의해 판독된 원본 데이터는 소정의 프로그램에 따라서 제어부(1801)에서 송신용으로 처리된 다음 FAX의 송신-수신기부(1808)를 통하여 전화선으로 송신된다.
정보 처리 장치는 제9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잉크젯 프린터가 주체에 내장되어 있는 통합 장치일 수 있다.
이 경우, 휴대 가능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제9도에서, 제8도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부분에 유사한 부호를 부여하였다.
제10도는 제2도 및 제4도에 나타낸 컬러 필터를 생산하는 생산 장치의 구조를 설명한다. 제10도에서, 생산 장치(20)는 도시하지 않은 프레임상에 위치하며 도면중에 X 및 Y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XY 테이블이 장착되어 있고 XY 테이블(22)상에 지지용부재 (도시하지 않음)를 통하여 프레임에 잉크-젯 헤드 IJH가 고정되어 있다.
XY 테이블(22)상에, 유리기판(21)을 위치시키고, 이 위에 차광 격자(블랙 매트릭스) (10b) 및 착색할 부분을 위치시켰다. 잉크-젯 헤드 IJH는 적색 잉크를 토출하는 헤드에는 적색 잉크용 헤드(120a), 녹색 잉크를 토출하는 헤드에는 녹색 잉크용 헤드(120b) 및 청색 잉크를 토출하는 헤드에는 청색 잉크용(120c)를 장착하였다. 이들 헤드(120a), (120b) 및 (120c)는 이들의 상응하는 잉크를 독립적으로 토출시킬 수 있도록 조립한다.
상기 조립된 생산 장치(20)에서, R, G 또는 B 색 잉크는 유리 기판(21)상의 목적하는 차광 격자(10b)의 프레임에서 토출되는데, 이때 XY 테이블(22)은 잉크-젯 헤드 IJH에 대해 XY 방향으로 이동하여 차광 격자의 각 프레임내에서 유리 기판을 착색시켜 컬러 필터를 완성시킨다.
제11도는 제10도의 생산 장치(20)에서 생산 제어기의 구조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제11도에서, 부호(31)는 생산 제어기의 입-출력 수단인 지시 펜던트(teaching pendent)를 나타내고, (32)는 토출 정보 등의 결과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부를 나타내며,(33)은 토출 패턴과 같은 각 토출 조건을 세팅하는 세팅 부위를 나타낸다.
부호(34)는 컬러 필터를 위한 생산 장치(20)를 제어하는 제어기는 나타내고, (35)는 데이터를 지시 펜던트(31)로 운송하도록 제공되는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며, (36)은 생산 장치(20)의 트랙 플래닝(track planning)의 단계 제어 및 연산을 수행하기 위해 제공되는 CPU를 나타내고, (37)은 CPU를 작동시키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을 저정하는 ROM을 나타내며, (38)은 토출 조건과 같은 데이터를 저장하는 RAM을 나타내고, (40)은 본 양태에 있어서 특히 중요한 부분으로서, 색소의 토출 패턴을 조절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토출 제어부를 나타낸다. 토출 제어부는 토출-개시 지점, 토출 간격 및 토출 횟수를 조절하는 토출-시간 제어부(43) 및 필터 부재 중 도트의 크기를 조절하는 토출-양 제어부(44)로 이루어져 있다. 부호(41)는 생산 장치(20)의 단계를 위한 제어부를 나타낸다. 부호(20)는 제어기(34)에 연결되어 있는 생산 장치를 나타내며 이는 그의 지시에 따라 작동한다. 본 발명은 이후 다음 실시예에 의해 더욱 상세하게 기술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1]
N,N-디메틸올아크릴아미드,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히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의 삼중합체(단량체의 조성비 = 25:30:45, 분자량 : 약 8.000)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을, 제1A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블랙 매트릭스(2)를 형성시킨 유리 기재 상에서 스핀 코팅으로 두께가 1㎛가 되도록 도포하고, 70 ℃에서 10분간 프리베이킹하여 잉크 수용층(3)을 형성시켰다.
잉크젯 헤드(5)를 사용하여, 잉크 수용층을 R, G 및 B 색의 염료 잉크로 매트릭스 패턴 상에서 착색시켰다. 이렇게 도포한 잉크를 90℃에서 5분간 건조시켰다. 이어서 잉크 수용층을 200℃에서 60 분간 열처리에 의해 경화시켜 본 발명에 따른 컬러 필터를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한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용 컬러 필터를 광학 현미경을 통해 관찰하였다. 그 결과, 색 불균일성 및 블랭크 영역과 같은 결점은 관찰되지 않았다.
[실시예2]
(a) 실시예 1에서 사용하는 것과 동일한 삼중합체 10 중량부 및 (b) 하기 구조식의 할로겐화 트리아진 화합물(상품명 : TAZ-10,미도리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Midori Kaguku K.K)제품) 0.5 중량부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을, 제2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랙 매트릭스(2)가 형성되어 있는 유리 기재 상에서 스핀 코팅으로 두께가 1㎛가 되도록 도포하고, 70℃에서 10분간 프리베이킹하여 잉크 수용층(3)을 형성시켰다.
블랙 매트릭스(2)상의 잉크 수용층부를 블랙 매트릭스(2)의 폭 보다 좁은 개구를 갖는 광마스크(4)를 통해 심부 UV 선으로 100 mJ/㎠ 의 에너지 양에서 패턴 노광시켰다. 상기 노광된 잉크 수용층을 110 ℃에서 60초간 열처리하였다. 잉크젯 헤드(5)를 사용하여, 잉크 수용층의 개구부를 R, G 및 B 색의 염료 잉크로 매트릭스 패턴 상에서 착색시켰다. 상기 도포된 잉크를 90 ℃에서 5 분간 건조시켰다. 계속해서, 잉크 수용층을 200 ℃에서 60분간 열처리에 의해 경화시켜 본 발명에 따른 컬러 필터를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한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용 컬러 필터를 광학 현미경을 통하여 관찰하였다. 그 결과, 혼색, 색 불균일성 및 블랭크 영역과 같은 결함은 관찰되지 않았다.
이 컬러 필터를 사용하여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조하였다. 상기 패널을 작동시키면 고선명도의 컬러 화상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실시예3 내지10]
하기 표 1에 이들의 대응하는 각 조성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본 발명에 따른 컬러 필터를 제조하였다.
그 결과, 실시 예2에서 성취된 것과 동일한 효과가 인식되었다.
[실시예11]
실시예 2에서 얻은 착색 기판 상에서 스핀 코팅에 의해 2액형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도포하여 두께 1 ㎛인 막을 형성시키고, 이를 90 ℃에서 30분간 프리페이킹하여 제2 수지층을 형성하였다. 이어서 제2 수지층을 230 ℃에서 30분간 열처리에 의해 경화시켜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용 컬러 필터를 제조하였다. 이어서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용 컬러 필터를 광학 현미경을 통해 관찰하였다. 그 결과, 혼색, 색 불균일성 및 블랭크 영역과 같은 결함은 관찰되지 않았다.
이 컬러 필터를 사용하여 제5도에 설명된 것과 같은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조하였다. 이 패널을 작동시키면 고선명도의 컬러 화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실시예12]
(a) 실시예 2에 사용된 것과 동일한 삼중합체 10 중량부 및 (b) 하기 구조식을 갖는 디페닐요오드늄 트리플레이트 (상품명 : DIP-105 미도리 가가꾸 가부시끼 가이샤 제품) 0.2 중량부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을, 제2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랙 매트릭스를 형성시킨 유리 기판 상에서 스핀 코팅에 의해 도포하여 두께 1 ㎛인 막을 형성시키고, 이를 70 ℃에서 10분간 프리베이킹하여 잉크 수용층(3)을 형성시켰다.
이어서 블랙 매트릭스(2) 상의 잉크 수용층부를 블랙 매트릭스(2)의 폭보다 좁은 개구를 갖는 광마스크(4)를 통하여 신부 UV선에 의해 50 mJ/㎠의 에너지 양으로 패턴 노광시켰다. 이렇게 노광시킨 잉크 수용층을 110 ℃에서 60초간 열처리하였다. 잉크-젯 헤드(5)를 사용하여, 잉크 수용층의 개구부를 R, G 및 B 색 염료 잉크로 매트릭스 패턴 상에서 착색시켰다. 이렇게 도포한 잉크를 90 ℃에서 5분간 건조시켰다. 이어서 잉크 수용층을 200 ℃에서 1시간 동안 열처리에 의해 경화시켜 본 발명에 따른 컬러 필터를 제조하였다. 이렇게 하여 제조한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용 컬러 필터를 광학 현미경을 통해 관찰하였다. 그 결과, 혼색, 색불균일성 및 블랭크 영역과 같은 결함은 관철되지 않았다. 이 컬러 필터를 사용하여 제5도에 설명된 것과 같은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조하였다. 이 패널을 작동시키면 고선명도의 컬러 화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실시예13 내지20]
하기 표2에 나타난 대응하는 각 조성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2와 동일한 방법으로 본 발명에 따른 컬러 필터를 제조하였다.
그 결과, 실시예 12에서 달성한 것과 동일한 효과가 나타났다.
[실시예21]
2액형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실시예 12에서 얻은 착색된 기판 상에서 스핀코팅으로 도포하여 두께 1 ㎛인 막을 얻고, 이를 90 ℃에서 30분간 프리베이킹하여 제2 수지층을 형성시켰다. 이어서 제2 수지층을 230 ℃에서 30분간 열처리에 의해 경화시켜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용 컬러 필터를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한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용 컬러 필터를 광학 현미경을 통해 관찰하였다. 그 결과, 혼색, 색 불균일성 및 블랭크 영역과 같은 결함은 관찰되지 않았다. 이 컬러 필터를 사용하여 제5도에 도시된 것과 같은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조하였다. 이 패널을 작동시키면 고선명도의 컬러 화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실시예22]
(a) 실시예 2에 사용된 것과 동일한 삼중합체 10중량부 및 (b)하기 구조식을 갖는 트리페닐술포늄 트리플레이트 (상품명 : TPS-105, 미도리 가가꾸 가부시끼 가이샤 제품)0.2 중량부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을 제2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랙 매트릭스(2)를 형성시킨 유리 기판 상에서 스핀 코팅에 의해 도포하여 두께 1 ㎛인 막을 얻고, 이를 70 ℃에서 10분간 프리베이킹하여 잉크 수용층(3)을 형성시켰다.
이어서 블랙릭스(2) 상의 잉크 수용층부를 블랙 매트릭스(2)의 폭보다 좁은 개구를 갖는 광마스크(4)를 통하여 심부 UV 선에 의해 120 mJ/㎠의 에너지 양으로 패턴 노광시켰다. 이렇게 노광시킨 잉크 수용층을 110 ℃60초간 열처리하였다. 잉크-젯 헤드(5)를 사용하여, 잉크 수용층의 개구부를 R, G 및 B 색 염료 잉크로 매트릭스 패턴 상에서 착색시켰다. 이어서, 도포한 잉크를 90 ℃에서 5분간 건조시켰다. 이어서 잉크 수용층을 200 ℃에서 1시간 동안 열첼의해 경화시켜 본 발명에 따른 컬러 필터를 제조하였다.
이렇게 하여 제조한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용 컬러 필터를 광학 현미경을 통해 관찰하였다. 그 결과, 혼색, 색 불균일성 및 블랭크 영역과 같은 결함은 관찰되지 않았다.
이 컬러 필터를 사용하여 제5도에 도시된 것과 같은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조하였다. 이 패널을 작동시키면 고선명도의 컬러 화상을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실시예23 내지30]
하기 표3에 나타낸 대응하는 각 조성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2와 동일한 방법으로 본 발명에 따른 컬러 필터를 제조하였다.
그 결과, 실시예 22에서 성취한 것과 동일한 효과가 인식되었다.
[실시예31]
2액형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실시예 22에서 얻은 착색 기판 상에서 스핀 코팅에 의해 도포하여 두께 ㎛인 막을 얻고, 이를 90 ℃에서 30분간 프리베이킹하여 제2 수지층을 형성시켰다. 이어서 제2 수지층을 230 ℃에서 30분간 열처리에 의해 경화시켜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용 컬러 필터를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한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용 컬러 필터를 광학 현미경을 통해 관찰하였다. 그 결과, 혼색, 불균일성 및 블랭크 영역과 같은 결함은 관철되지 않았다.
이 컬러 필터를 사용하여 제 5도에 도시된 것과 같은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조하였다. 이 패널을 작동시키면 고선명도의 컬러 화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실시예32]
실시예 2에 따른 조성물을 제4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리 기판(1) 상에 도포하여 잉크 수용층(3)을 형성시켰다.
이렇게 형성시킨 잉크 수용층(3)을 광마스크(4)를 사용하여 잉크 수용층의 전면으로부터 심부 UV선에 의해 100 mJ/㎠의 에너지 양으로 패턴 노광시켜 노광부에서 잉크 수용층의 잉크 흡수성을 저하시켰다.
이어서 잉크-젯 헤드(5)를 사용하여, 잉크 수용층의 비노광부를 R, G 및 B 색 잉크 염료로 매트릭스 패턴 상에서 착색시켰다. 이어서 도포한 잉크를 90 ℃에서 5분간 건조시켰다. 이어서 잉크 수용층을 200 ℃에서 1시간 동안 열처리하였다.
이어서 보호층(6)을 실시예 1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형성시켜,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용 컬러 필터를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한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용 컬러 필터를 광학 현미경을 통해 관찰 하였다. 그 결과, 색혼합, 색 블균일성 및 블랭크 영역과 같은 결함을 관찰되지 않았다.
컬러 필터를 사용하여 제6도에 도시된 것과 같은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조하였다.
이 패널을 작동시키면 고선명도의 컬러 화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실시예33]
실시예 12에 따른 조성물을 제4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리 기판(1) 상에 도포하여 잉크 수용층(3)을 형성시켰다. 이렇게 형성시킨 잉크 수용층(3)을 광마스크(4)를 사용하여 잉크 수용층의 전면으로부터 심부 UV선에 의해 250 mJ/㎠의 에너지 양으로 패턴 노광시켜 노광부에서 잉크 수용층의 잉크 흡수성을 저하시켰다.
이어서 잉크-젯 헤드(5)를 사용하여, 잉크 수용층의 비노광부를 R, G 및 B 색잉크 염료로 매트릭스 패턴 상에서 착색시켰다. 이어서 도포한 잉크를 90 ℃에서 5분간 건조시켰다. 이서서 잉크 수용층을 200 ℃에서 1시간 동안 열처리하였다.
이어서 실시예 2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보호층(6)을 형성시켜,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용 컬러 필터를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한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용 컬러 필터를 광학 현미경을 통해 관찰하였다. 그 결과, 혼색, 색 불균일성 및 블랭크 영역과 같은 결함은관찰되지 않았다.
컬러 필터를 사용하여 제6도에 도시된 것과 같은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조하였다. 이 패널을 작동시키면 고선명도의 컬러 화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실시예34]
실시예 22에 따른 조성물을 제4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리 기판(1) 상에 도포하여 잉크 수용층(3)을 형성시켰다. 이렇게 형성시킨 잉크 수용층(3)을 광마스크(4)를 사용하여 잉크 수용층의 전면으로부 심부UV 선에 의해 120 mJ/㎠의 에너지 양으로 패턴 노광시켜 노광부에서 잉크 수용층의 잉크 흡수성을 저하시켰다.
이어서 잉크-젯 헤드(5)를 사용하여, 잉크 수용층의 비노광부를 R, G 및 B 색 잉크 염료로 매트릭스 패턴 상에서 착색시켰다. 이어서 도포한 잉크를 90 ℃에서 5분간 건조시켰다. 이어서 잉크 수용층을 200 ℃에서 1시간 동안 열처리하였다. 이어서 실시예 21과 동일한 방법으로 보호층(6)을 형성시켜,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용 컬러 필터를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한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용 컬러 필터를 광학 현미경을 통해 관찰하였다. 그 결과, 혼색, 색 불균일성 및 블랭크 영역과 같은 결함은 관찰되지 않았다.
컬러 필터를 사용하여 제6도에 도시된 것과 같은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조하였다. 이 패널을 작동시키면 고선명도의 컬러 화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실시예35]
(a) N,N-디메틸올아크릴아미드,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히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삼중합체 (단량체의 조성비 = 20:30:50) 10중량부 및 (b)트리페닐술포늄 트리플레이트 (상품명 : TPS-105, 미도리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제품) 0.2부를 함유하고, 양호한 수성 잉크 흡수성을 가지며, 광조사 및 열처리에 의해 노광부에서의 잉크 흡수성이 저하되는 조성물을 제조하여, 블랙 매트릭스를 형성시킨 유리 기판 상에서 스핀 코팅으로 도포하고, 70 ℃에서 10분간 프리베이킹하여, 광조사 및 열처리에 의해 노광부에서 잉크 흡수성이 저하되는 수용층을 형성시켰다. 이 때, 코팅막의 두께는 1 ㎛였다.
이어서 블랙 매트릭스 상의 잉크 수용층부를 블랙 매트릭스의 폭 (X, 40 ㎛)보다 좁은 개구부 (Y, 30 ㎛)를 갖는 광마스크를 통하여 심부 UV선으로 200 mJ/㎠의 에너지 양으로 패턴 노광시켰다. 이렇게 노광시킨 잉크 수용층을 100 ℃로 가열된 고온의 기판 상에서 1분간 추가 열처리하여, 노광부의 잉크 흡수성을 저하시켰다.
잉크-젯 프린터를 사용하여, 잉크 수용층의 개구부를 R, G 및 B 색 염료 잉크로 매트릭스 패턴 상에서 착색시켰다. 이어서 도포한 잉크를 90 ℃에서 5분간 건조시켰다. 이어서 잉크 수용층을 230 ℃에서 1시가 동안 열처리하여 착색된 잉크 수용층을 경화시킴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컬러 필터를 제조하였다. 또한, X에 대한 Y의 비율은 0.75였다.
이렇게 제조한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용 컬러 필터를 광학 현미경을 통해 관찰하였다. 그 결과, 혼색, 색 불균일성 및 블랭크 영역과 같은 결함은 관찰되지 않았다.
[실시예36]
실시예 35의 잉크 수용층의 성분 (a)의 N,N-디메틸올아크릴아미드,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히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삼중합체의 단량체의 조성비를 5:90:5로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5와 정확히 동일한 방법으로 본 발명에 따른 컬러 필터를 제조하였다.
[실시예37]
실시예 35의 잉크 수용층의 성분 (a)의 N,N-디메틸올아크릴아미드,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히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삼중합체의 단량체의 조성비를 40:15:40로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5와 정확히 동일한 방법으로 본 발명에 따른 컬러 필터를 제조하였다.
[실시예38]
실시예 35의 잉크 수용층의 성분 (a)의 N,N-디메틸올아크릴아미드,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히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삼중합체를 N,N-디메틸올아크릴아미드 및 메틸 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공중합체 (단량체의 조성비 = 50:50)로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5와 정확히 동일한 방법으로 본 발명에 따른 컬러 필터를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한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용 컬러 필터를 광학 현미경을 통해 관찰하였다. 그 결과, 혼색, 색 불균일성 및 블랭크 영역과 같은 결함은 관철되지 않았다.
[실시예39]
실시예 35의 잉크 수용층의 성분(a)의 N,N-디메틸아크릴아미드,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히드록시테틸 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삼중합체를 N,N-디메틸올아크릴아미드, 스티렌 및 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삼중합체 (단량체의 조성비 = 10:40:50)의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5와 정확히 동일한 방법으로 본 발명에 따른 컬러 필터를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한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용 컬러 필터를 광학 현미경을 통해 관찰하였다. 그 결과, 혼색, 색 불균일성 및 블랭크 영역과 같은 결함은 관철되지 않았다.
[실시예40]
실시예 35의 잉크 수용층의 성분 (a)의 N,N-디메틸올아크릴아미드,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히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삼중합체를 N,N-디메틸올아크릴아미드,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아크릴산 및 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사중합체 (단량체의 조성비 =20:40:35:5)로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5와 정확히 동일한 방법으로 본 발명에 따른 컬러 필터를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한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용 컬러 필터를 광학 현미경을 통해 관찰하였다. 그 결과, 혼색, 색 불균일성 및 블랭크 영역과 같은 결함은 관철되지 않았다.
[실시예41]
이액형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실시예 35에서 얻은 착색 기판 상에서 스핀코팅으로 도포하여 두께 1 ㎛인 코팅막을 형성시키고, 90 ℃에서 30분간 프리베이킹하여 제2 수지층을 형성시켰다. 이어서 제2 수지층을 230 ℃에서 30분간 열처리에 의해 경화시켜,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용 컬러 필터를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한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용 컬러 필터를 광학 현미경을 통하여 관찰하였다. 그 결과, 혼색, 색 불균일성 및 블랭크 영역과 같은 결함은 관찰되지 않았다.
[실시예42]
(a) N,N-디메틸올아크릴아미드,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히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삼중합체 (단량체의 조성비 = 20:30:50:) 10 중량부 및 (b)트리페닐술포늄 트리플레이트 (상품명 : TSP-105, 미도리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제품)0.2 중량부를 함유하고, 양호한 수성 잉크 흡수성을 가지며, 광조사 및 열처리에 의해 노광부에서의 잉크 흡수성이 저하되는 조성물을 제조하여, 이를 블랙 매트릭스를 형성시킨 유리 기판 상에서 스핀 코팅으로 도포하고, 70 ℃에서 10분간 프리베이킹하여 잉크 수용층을 형성시킨 후 광조사 및 열처리에 의해 노광부에서 잉크 흡수성을 저하시켰다.이 때, 코팅막의 두께는 1 ㎛였다.
이어서 블랙 매트릭스 상의 잉크 수용충부를 대향 기판 위에 형서된 블랙 매트릭스의 폭 (X, 20 ㎛)보다 좁은 개구 (Y, 12 ㎛)를 갖는 광마스크를 통하여 심부 UV선에 의해 200 mJ/㎠의 에너지 양으로 패턴 노광시켰다. 이렇게 노광시킨 잉크 수용층을 100 ℃로 가열된 고온의 기판 상에서 1분간 추가 열처리하여, 노광부의 잉크 흡수성을 저하시켰다. 잉크-젯 프린터를 사용하여, 잉크 수용층의 개구부를 R, G 및 B 색 염료 잉크로 매트릭스 패턴 상에서 착색시켰다. 이어서 도포한 잉크를 90 ℃에서 5분간 건조시켰다.
이어서 잉크 수용층을 230 ℃에서 1시간 동안 열처리하여 착색된 잉크 수용층을 경화시킴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컬러 필터를 제조하였다. 또한, X에 대한 Y의 비율은 0.6이었다.
[실시예43]
실시예 35의 잉크 수용층의 성분 (a)의 N,N-디메틸올아크릴아미드,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히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삼중함체 대신 N,N-디메톡시메틸아크릴아미드 및 메틸 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공중합체 (단량체의 조성비 = 40:60)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5와 정확히 동일한 방법으로 본 발명에 따른 컬러 필터를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한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용 컬러 필터를 광학 현미경을 통해 관찰하였다.
그 결과, 혼색, 색 불균일성 및 블랭크 영역과 같은 결함은 관찰되지 않았다.
본 발명에 따른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용 컬러 필터의 제조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내열성 및 내용매성이 우수하고, 혼색, 색불균일성 및 블랭크 영역과 같은 결함이 없이 평활도에 있어서 우수하고, 따라서 신뢰성이 높은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용 컬러 필터를 경제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태양이라고 생각되는 것에 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기재된 실시태양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오히려, 본 발명은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의 본질과 범위 내에 포함되는 각종 변형 및 동등한 재배열을 포함하기 위한 것이다.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의 이러한 모든 변형 및 동등한 구조물 및 기능물을 포함하도록 가장 광범위한 해설에 따라야 한다.

Claims (31)

  1. 투광부를 갖춘 기판, 및 이 기판 상에 제공되고 기판의 투광부 상에 착색된 투광부를 갖춘 잉크 수용층으로 이루어지며, 잉크 수용층이 하기 일반식(I)로 표시되는 구조 단위를 갖는 단량체의 단독중합체 또는 1종 이상의 다른 비닐 단랑체와기 공중합체로 이우어진 것은 컬러 필터.
    식 중, R₁은 소수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R₂ 및 R₃는 서로 독립적으로 소수, 또는 탄소 원자수 1내지 5의 알킬기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일반식(I)로 표시되는 단량체가 N,N-디메틸올아크릴아미드, N,N-디메톡시메틸아크릴아미트, N,N-디에톡시메틸아크릴아미드, N,N-디메틸올메타크릴아미드, N,N-디메톡시메틸메타크릴아미드 및 N,N-디에톡시메틸타크아미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인 컬러 필터.
  3. 제1항에 있어서, 다른 비닐 단량체가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메틸 아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에틸 메타크릴레이트, 히드록시메틸 메타크릴레이트, 히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히드록시메틸 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 스티렌, a -메틸스티렌, 아크릴아미드, 메타크릴아미드, 아크릴로니트릴, 알릴아민, 비닐아민, 비닐 아세테이트 및 비닐 프로피오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인 컬러 필터.
  4. 제1항에 있어서, 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2에서 107범위 내인 컬러 필터.
  5. 제1항에 있어서, 중합체 내 친수성 단량체 성분이 5 내지 95 중량% 의 양으로 함유된 컬러 필터.
  6. 제1항에 있어서, 기판이 투광부와 차광부를 가지며, 잉크 수용층이 기판 상에 제공된 컬러 필터.
  7. 제6항에 있어서, 착색된 잉크 수용층의 면적이 기판의 투광부의 면적보다 큰 컬러 필터.
  8. 제7항에 있어서, 차광부 상의 잉크 수용층의 일부가 착색된 컬러 필터.
  9. (1) 기판 상에 잉크 수용층을 제공하는 단계; (2) 잉크젯 방식에 의해 수용층에 잉크 소적을 도포하여 잉크 수용층을 착색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지며, 잉크 수용층이 하기 일반식(I)로 표시되는 구조 단위를 갖는 단량체의 단독 중합체 또는 1종 이상의 다른 비닐 단량체와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것인, 잉크젯 방식에 의해 기판 상에 색소를 배열시킴으로써 컬러 필터를 제조하는 방법.
    식 중, R₁은 수소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R₂및 R₃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탄소 원자수 1내지 5의 알킬기이다.
  10. 제9항에 있어서, 일반식(I)로 표시되는 단량체가 N,N-디메틸올아크릴아미드, N,N-디메톡시메틸아크릴아미드, N,N-디에톡시메틸아크릴아미드, N,N-디메틸올메타크릴아미드, N,N-디메톡시메틸메타크릴아미드 및 N,N-디에톡시메틸메타크릴아므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인 제조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다른 비닐 단량체가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메틸 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에틸 메타크릴레이트, 히드록시메틸 메타크릴레이트, 히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히드록시메틸 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 스티렌, a -메틸스티렌, 아크릴아미드, 메타크릴아미드, 아크릴로니트릴, 알릴아민, 비닐아닌, 비닐 아세테이트 및 비닐 프로피오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인 제조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2에서 107범위 내인 제조 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중합체 내 친수성 단량체 성분이 5 내지 95 중량%의 양으로 함유된 제조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기판이 투광부와 차광부를 가진 것인 제조 방법.
  15. 제9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컬러 필터.
  16. (1) 기판 상에, 수성 잉크 흡수성이 양호하며, 광조사 또는 광조사와 열처리에 의해 처리된 부분에서는 잉크 흡수성이 저하되는 조성물을 함유한 잉크 수용층을 제공하는 단계. (2) 잉크 수용층의 일부를 광조사 또는 광보사와 열처리하여 잉크 수용층의 잉크 흡수성에 부분적으로 처하시키는 닫계; 및 (3) 잉크젯 방식에 의해 잉크 수용층의 미처리 부분에 잉크 소적을 도포하여 미처리 부분을 착색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지며, 잉크 수용층이 (a)하기 일반식 (I)로 표시되는 구조 단위를 갖는 단량체의 단독중합체 또는 1종 이상의 다른 비닐 단량체와의 공중합체 및 (b)광유도 개시제로 이루어진 것인, 잉크젯 방식에 의해 기판 상에 색소를 배열시킴으로써 컬러 필터를 제조하는 방법.
    식 중, R₁은 수소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R₂및 R3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5의 알킬기이다.
  17. 제16항에 있어서, 일반식 (I)로 표시되는 단량체가 N,N-디메틸올아크릴아미드, N,N-디메톡시메틸아크릴아미드, N,N-디에톡시메틸아크릴아미드, N,N-디메틸올메타크릴아미드, N,N-디메톡시메틸메타크릴아미드 및 N,N-디에톡시메틸메타크릴아미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인 제조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다른 비닐 단량체가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에틸 메타크릴레이트, 히드록시케틸 메타크릴레이트, 히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히드록시메틸 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 스티렌, a-메틸스티렌, 아크릴아미드, 메타크릴아미드, 아크릴로니트릴, 알릴아민, 비닐아민, 비닐 아세테이트 및 비닐 프로피오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인 제조 방법.
  19. 제16항에 있어서, 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²에서 10 범위 내인 제조 방법.
  20. 제16항에 있어서, 중합체 내 친수성 단량체 성분이 5 내지 95 중량%의 양으로 함유된 제조 방법.
  21. 제16항에 있어서, 광유도 개시제가 할로겐화 트리아진 화합물, 디페닐요오드늄 염 유도체 및 트리페닐스포늄 염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인 제조 방법.
  22. 제21항에서 있어서, 디페닐요오도늄 염 유도체가 하기 일반식(III)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제조 방법.
    식 중,
    R4및 R5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탄소 원자수 1 내지 5의 알콕시기 또는 t-부틸기이고, X­는 BF4 ­, PF6 ­, SbF6 ­, CF3SO3 ­이다.
  23. 제21항에 있어서, 트리페닐술포늄 염 유도체가 하기 일반식(IV)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제조 방법.
    식 중, R6는 수소, 탄소 원자수 1 내지 5의 알콕시기, 탄소 원자수 1 내지 5의 알킬기,또는 불소이고, X ̄는 상기 제22항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24. 제16항에 있어서, 기판이 투광부와 차광부를 가진 것인 제조 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차광부 상의 잉크 수용층의 일부분을 광조사하여 잉크 수용층의 잉크 흡수성을 저하시키는 제조 방법.
  26. 제16항에 있어서, 광유도 개시제(b)가 중합체 (a) 100 중량부 당 0.01내지 10 중량부의 비율로 함유되는 제조 방법.
  27. 제16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컬러 필터.
  28. 제6항에 따른 컬러 필터, 이 컬러 필터와 대향으로 제공된 기판, 및 컬러 필터와 기판 시아의 공간에 봉입된 액정 조성물로 이루어진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29. 제1항에 따른 컬러 필터, 이 컬러 필터와 대향으로 제공되며 차광부를 갖춘 기판, 및 컬러 필터와 기판 사이의 공간에 봉입된 액정 조성물로 이루어진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30. 제28항에 따른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을 장착한 정보 처리 장치.
  31. 제29항에 따른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을 장착한 정보 처리 장치.
KR1019950033427A 1994-09-30 1995-09-30 컬러 필터, 그의 제조 방법,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패널이 장착된 정보 처리 장치 KR01754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4-237096 1994-09-30
JP23709694 1994-09-30
JP94-319991 1994-12-22
JP31999194 1994-12-22
JP95-247970 1995-09-26
JP24797095A JPH08227011A (ja) 1994-09-30 1995-09-26 カラーフィルタ、その製造方法、液晶パネル、及びこれを備えた情報処理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1515A KR960011515A (ko) 1996-04-20
KR0175420B1 true KR0175420B1 (ko) 1999-03-20

Family

ID=27332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33427A KR0175420B1 (ko) 1994-09-30 1995-09-30 컬러 필터, 그의 제조 방법,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패널이 장착된 정보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716739A (ko)
EP (1) EP0704722B1 (ko)
JP (1) JPH08227011A (ko)
KR (1) KR0175420B1 (ko)
DE (1) DE69529197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63072B2 (ja) * 1996-09-30 1999-10-12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及び装置及びカラーフィルタ及び表示装置及びこの表示装置を備えた装置
US6164746A (en) * 1993-09-24 2000-12-26 Canon Kabushiki Kaisha Ink-jet printer method and apparatus, color filter, display device, apparatus having display device, ink-jet head unit adjusting device and method, and ink-jet head unit
US6686104B1 (en) 1993-11-24 2004-02-03 Canon Kabushiki Kaisha Color filter, method for manufacturing it, and liquid crystal panel
EP0665449B1 (en) 1994-01-28 2001-10-24 Canon Kabushiki Kaisha Color filter, production process thereof, and liquid crystal panel
JP3014923B2 (ja) * 1994-06-24 2000-02-28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ラーフィルター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そのフィルター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US6582048B1 (en) 1996-09-30 2003-06-24 Canon Kabushiki Kaisha Ink-jet print method and apparatus, color filter, display device, apparatus having display device, ink-jet head unit adjusting device and method, and ink-jet head unit
JP3115549B2 (ja) * 1996-09-30 2000-12-11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及び記録方法及び補助部材及びインクジェットヘッド及び反り調整方法
JP2978459B2 (ja) 1996-09-30 1999-11-15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ラーフィルタ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及びカラーフィルタ及び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を備えた装置
US5948577A (en) * 1997-06-02 1999-09-07 Canon Kabushiki Kaisha Color filter substrat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color filter substrate
JPH10332925A (ja) * 1997-06-02 1998-12-18 Canon Inc カラーフィルタ基板とその製造方法、該基板を用いた液晶素子
JPH112716A (ja) 1997-06-13 1999-01-06 Canon Inc カラーフィルタ、これを用いた液晶素子及びこれらの製造方法、並びに該製造方法に用いられるインクジェット用インク
JP2000009916A (ja) 1998-06-18 2000-01-14 Canon Inc カラーフィルタ、液晶パネル、コンピュータ及びカラーフィルタの製造方法
JP4377984B2 (ja) 1999-03-10 2009-12-02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ラーフィルタとその製造方法、該カラーフィルタを用いた液晶素子
EP1072927B1 (en) * 1999-07-29 2005-04-27 Canon Kabushiki Kaisha Colour filter for a liquid crystal panel and process for producing it
WO2001045957A1 (fr) * 1999-12-21 2001-06-28 Citizen Watch Co., Ltd. Element de reception d'encre et procede d'impression
US7011529B2 (en) * 2004-03-01 2006-03-14 Anritsu Company Hermetic glass bead assembly having high frequency compensation
US20050255253A1 (en) * 2004-05-13 2005-11-17 White John M Apparatus and methods for curing ink on a substrate using an electron beam
US20060109296A1 (en) * 2004-11-04 2006-05-25 Bassam Shamoun Methods and apparatus for inkjet printing color filters for displays
US7625063B2 (en) * 2004-11-04 2009-12-01 Applied Materials,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an inkjet head support having an inkjet head capable of independent lateral movement
US20070042113A1 (en) * 2004-11-04 2007-02-22 Applied Material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inkjet printing color filters for displays using pattern data
US20060093751A1 (en) * 2004-11-04 2006-05-04 Applied Materials, Inc. System and methods for inkjet printing for flat panel displays
US20060092218A1 (en) * 2004-11-04 2006-05-04 Applied Material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inkjet printing
US7413272B2 (en) * 2004-11-04 2008-08-19 Applied Material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precision control of print head assemblies
US20060159843A1 (en) * 2005-01-18 2006-07-20 Applied Materials, Inc. Method of substrate treatment for manufacturing of color filters by inkjet printing systems
WO2006077858A1 (ja) * 2005-01-18 2006-07-27 Oji Paper Co., Ltd. 光沢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紙
US20060185587A1 (en) * 2005-02-18 2006-08-24 Applied Material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reducing ink conglomerates during inkjet printing for flat panel display manufacturing
US20070015847A1 (en) * 2005-07-15 2007-01-18 Applied Materials, Inc. Red printing ink for color filter applications
US7460267B2 (en) * 2005-07-15 2008-12-02 Applied Materials, Inc. Green printing ink for color filter applications
US7544723B2 (en) * 2005-07-15 2009-06-09 Applied Materials, Inc. Blue printing ink for color filter applications
TWI318685B (en) * 2005-07-28 2009-12-21 Applied Material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current inkjet printing and defect inspection
US20070070132A1 (en) * 2005-09-27 2007-03-29 Fan-Cheung Sze Inkjet delivery module
US20070076040A1 (en) * 2005-09-29 2007-04-05 Applied Material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inkjet nozzle calibration
US20080018677A1 (en) * 2005-09-29 2008-01-24 White John M Methods and apparatus for inkjet print head cleaning using an inflatable bladder
US7611217B2 (en) * 2005-09-29 2009-11-03 Applied Materials, Inc. Methods and systems for inkjet drop positioning
US20070070109A1 (en) * 2005-09-29 2007-03-29 White John M Methods and systems for calibration of inkjet drop positioning
US20070068560A1 (en) * 2005-09-29 2007-03-29 Quanyuan Shang Methods and apparatus for inkjet print head cleaning
US7923057B2 (en) * 2006-02-07 2011-04-12 Applied Material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reducing irregularities in color filters
US20070263026A1 (en) * 2006-04-29 2007-11-15 Quanyuan Shang Methods and apparatus for maintaining inkjet print heads using parking structures
US20070252863A1 (en) * 2006-04-29 2007-11-01 Lizhong Sun Methods and apparatus for maintaining inkjet print heads using parking structures with spray mechanisms
US20070256709A1 (en) * 2006-04-29 2007-11-08 Quanyuan Shang Methods and apparatus for operating an inkjet printing system
US20080024532A1 (en) * 2006-07-26 2008-01-31 Si-Kyoung Kim Methods and apparatus for inkjet printing system maintenance
US20080022885A1 (en) * 2006-07-27 2008-01-31 Applied Materials, Inc. Inks for display device manufacturing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and using the same
WO2008013902A2 (en) * 2006-07-28 2008-01-31 Applied Material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improved manufacturing of color filters
US20080030562A1 (en) * 2006-08-02 2008-02-07 Applied Material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improved ink for inkjet printing
US7803420B2 (en) * 2006-12-01 2010-09-28 Applied Material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inkjetting spacers in a flat panel display
US20080204501A1 (en) * 2006-12-01 2008-08-28 Shinichi Kurita Inkjet print head pressure regulator
US7857413B2 (en) 2007-03-01 2010-12-28 Applied Material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nd testing jetting stability in inkjet print heads
US7637587B2 (en) * 2007-08-29 2009-12-29 Applied Materials, Inc. System and method for reliability testing and troubleshooting inkjet printers
KR100959187B1 (ko) 2007-10-18 2010-05-24 제일모직주식회사 컬러필터용 잉크 조성물, 이를 이용한 컬러필터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컬러필터
JP6277806B2 (ja) * 2013-06-05 2018-02-14 株式会社リコー インク
JP6086618B2 (ja) * 2015-02-13 2017-03-0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感活性光線性又は感放射線性樹脂組成物、及びレジスト膜
KR102291053B1 (ko) 2020-07-10 2021-08-20 권민경 튀김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1127227A (en) * 1977-10-03 1982-07-06 Ichiro Endo Liquid jet recording process and apparatus therefor
JPS5936879B2 (ja) * 1977-10-14 1984-09-06 キヤノン株式会社 熱転写記録用媒体
US4330787A (en) * 1978-10-31 1982-05-18 Canon Kabushiki Kaisha Liquid jet recording device
US4345262A (en) * 1979-02-19 1982-08-17 Canon Kabushiki Kaisha Ink jet recording method
US4463359A (en) * 1979-04-02 1984-07-31 Canon Kabushiki Kaisha Droplet generat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US4313124A (en) * 1979-05-18 1982-01-26 Canon Kabushiki Kaisha Liquid jet recording process and liquid jet recording head
US4388128A (en) * 1980-03-17 1983-06-1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Solid-state color-image sensor and process for fabricating the same
US4558333A (en) * 1981-07-09 1985-12-10 Canon Kabushiki Kaisha Liquid jet recording head
JPS5975205A (ja) 1982-10-25 1984-04-27 Seiko Epson Corp カラ−フイルタの製造方法
JPS59123670A (ja) * 1982-12-28 1984-07-17 Canon Inc インクジエツトヘツド
JPS59138461A (ja) * 1983-01-28 1984-08-08 Canon Inc 液体噴射記録装置
US4698113A (en) * 1983-08-11 1987-10-06 Matsushita Electric Method of curing photocurable and heat-curable compositions and a method of adhering members to each other by using them
JPS6071260A (ja) * 1983-09-28 1985-04-23 Erumu:Kk 記録装置
JPS6177014A (ja) * 1984-09-25 1986-04-19 Seikosha Co Ltd カラ−フイルタの製造方法
US4864324A (en) * 1986-08-13 1989-09-05 Canon Kabushiki Kaisha Color image forming method and ink used therefor
US4995705A (en) * 1986-12-17 1991-02-26 Canon Kabushiki Kaisha Device, method and apparatus for optical modulation using ferroelectric polymer liquid crystals
JP2739315B2 (ja) * 1987-01-23 1998-04-15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ラーフィルターおよびカラー液晶素子
JPS63235901A (ja) 1987-03-24 1988-09-30 Fujitsu Ltd カラ−フイルタの形成方法
JPH0721562B2 (ja) * 1987-05-14 1995-03-08 凸版印刷株式会社 カラ−フイルタ
JPS63294503A (ja) * 1987-05-27 1988-12-01 Fujitsu Ltd カラ−フィルタの製造方法
JP2637469B2 (ja) * 1987-06-04 1997-08-06 キヤノン株式会社 高分子液晶素子
US4981614A (en) * 1987-09-21 1991-01-01 Canon Kabushiki Kaisha Solid solution
JP2597626B2 (ja) * 1988-02-26 1997-04-09 株式会社東芝 カラーフィルター基板、カラーフィルター基板の製造方法およびカラーフィルター基板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JPH01235903A (ja) * 1988-03-16 1989-09-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カラーフイルターの製造方法
US5011623A (en) * 1988-07-20 1991-04-30 Canon Kabushiki Kaisha Nonlinear optical material and nonlinear optical device
ATE107235T1 (de) * 1988-11-02 1994-07-15 Canon Kk Tintenstrahl-aufzeichnungssystem und aufzeichnungsverfahren unter verwendung desselben.
EP0368260B1 (en) * 1988-11-10 1995-01-18 Kabushiki Kaisha Toshib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color filter for use with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king the color filter
DE68922470T2 (de) * 1988-11-26 1995-09-07 Toppan Printing Co Ltd Farbfilter für eine Vielfarben-Flüssigkristallanzeigetafel.
JPH02173703A (ja) * 1988-12-27 1990-07-05 Seiko Epson Corp カラーフィルタの製造方法
JPH02228605A (ja) * 1989-02-28 1990-09-11 Fujitsu Ltd カラーフィルタの製造方法
US5096801A (en) * 1989-04-03 1992-03-17 Fuji Photo Film Co., Ltd. Color image recording method
GB8912486D0 (en) * 1989-05-31 1989-07-19 Kodak Ltd Method of making grid lines for thermally-transferred colour filter array element
JP2513902B2 (ja) * 1989-06-02 1996-07-10 東レ株式会社 表面多孔質フィルム
JPH0310220A (ja) * 1989-06-07 1991-01-17 Fujitsu Ltd 液晶表示装置
DE69132630T2 (de) * 1990-06-20 2002-02-07 Dainippon Printing Co Ltd Farbfilter und dessen herstellungsverfahren
JP3172167B2 (ja) * 1990-07-12 2001-06-0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
CA2072112C (en) * 1990-08-31 1999-09-21 Seiichirou Yokoyama Color filters, their production process, color liquid crystal panels and method of driving the panels
US5079214A (en) * 1990-10-11 1992-01-07 Eastman Kodak Company Patterned receiver for color filter array
JPH04317007A (ja) * 1991-04-16 1992-11-09 Dainippon Printing Co Ltd カラーフィルタの製造方法
JPH04349401A (ja) * 1991-05-28 1992-12-03 Dainippon Printing Co Ltd カラーフィルタの製造方法
US5250121A (en) * 1991-09-26 1993-10-05 Canon Kabushiki Kaisha Ink-jet textile printing ink and ink-jet textile printing process
US5418094A (en) * 1991-12-17 1995-05-23 Fuji Photo Film Co., Ltd. Method for forming a light shielding pattern
JPH05173010A (ja) * 1991-12-20 1993-07-13 Toray Ind Inc カラ−フィルタ
CA2087110A1 (en) * 1992-01-14 1993-07-15 Hiroshi Tsushima Method of forming color pattern
JPH05288913A (ja) * 1992-04-10 1993-11-05 Konica Corp カラーフィルターの製造方法
WO1993024240A1 (en) * 1992-06-01 1993-12-09 Advanced Technology Incubator, Inc. Light influencing element for high resolution optical systems and method of making same
US5340619A (en) * 1993-10-18 1994-08-23 Brewer Science, Inc. Method of manufacturing a color filter array
TW417034B (en) * 1993-11-24 2001-01-01 Canon Kk Color filter, method for manufacturing it, and liquid crystal pan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1515A (ko) 1996-04-20
EP0704722A2 (en) 1996-04-03
DE69529197T2 (de) 2003-05-15
US5716739A (en) 1998-02-10
EP0704722B1 (en) 2002-12-18
DE69529197D1 (de) 2003-01-30
JPH08227011A (ja) 1996-09-03
EP0704722A3 (en) 1996-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75420B1 (ko) 컬러 필터, 그의 제조 방법,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패널이 장착된 정보 처리 장치
EP0703471B1 (en) Color filter, production process thereof, and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equipped with the color filter
EP0655647B1 (en) Method of manufacture of a colour filter and a liquid crystal panel
US5847723A (en) Ink-jet printing method and apparatus,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color filter
US5948577A (en) Color filter substrat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color filter substrate
EP0895101B1 (en) Color-filter manufacturing method, color filter, display apparatus, and apparatus including the display apparatus
JP2000089017A (ja) カラーフィルタとその製造方法、製造装置、該カラーフィルタを用いた液晶素子
EP0702250B1 (en) Production process of color filter, color filter obtained thereby and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using the color filter
JPH11343437A (ja) インク、カラ―フィルタ、液晶パネル、コンピュ―タ及びカラ―フィルタの製造方法
JP2003066218A (ja) カラーフィルタの欠陥修復方法
JPH08327811A (ja) カラーフィルタ用インク、カラーフィルタ、カラーフィルタの製造方法および液晶パネル
JPH08327998A (ja) カラーフィルタ用インク、カラーフィルタ、カラーフィルタの製造方法および液晶パネル
JPH08230314A (ja) カラーフィルタの製造方法、カラーフィルタ及びこれを用いた液晶パネル
JP2001235613A (ja) カラーフィルタとその製造方法、該カラーフィルタを用いた液晶素子
JP2002212471A (ja) インク、カラーフィルターとその製造方法、液晶パネル、コンピュータ及び画像表示デバイス
JP2001109003A (ja) スペーサー付カラーフィルタとその製造方法、該カラーフィルタを用いた液晶素子
JP2003043238A (ja) カラーフィルタとその製造方法、該カラーフィルタを用いた液晶素子
JPH1152124A (ja) カラーフィルタ基板、こ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及びカラーフィルタ基板の製造方法
JPH08271715A (ja) カラーフィル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液晶表示装置
JPH08327812A (ja) カラーフィルタ用インク、カラーフィルタ、カラーフィルタの製造方法および液晶パネル
JPH095730A (ja) ブラックマトリクス基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1108814A (ja) スペーサー付カラーフィルタとその製造方法、該カラーフィルタを用いた液晶素子
JP2001108813A (ja) スペーサー付カラーフィルタとその製造方法、該カラーフィルタを用いた液晶素子
JPH0971744A (ja) カラーフィルタ用インク、カラーフィルタ、及び同フィルタを組込んだ液晶パネル
JPH11343438A (ja) インク、カラ―フィルタ、液晶パネル、コンピュ―タ及びカラ―フィルタ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02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