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1684B1 - 밀봉형 접촉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밀봉형 접촉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1684B1
KR0171684B1 KR1019950020423A KR19950020423A KR0171684B1 KR 0171684 B1 KR0171684 B1 KR 0171684B1 KR 1019950020423 A KR1019950020423 A KR 1019950020423A KR 19950020423 A KR19950020423 A KR 19950020423A KR 0171684 B1 KR0171684 B1 KR 01716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contact
fixed
contact portion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204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9360A (ko
Inventor
히데키 기시
다케히코 도구치
다카아키 즈자와
리이치 우오토메
Original Assignee
이마이 기요스케
마츠시다 텐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293521A external-priority patent/JP302449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293523A external-priority patent/JP2985693B2/ja
Application filed by 이마이 기요스케, 마츠시다 텐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마이 기요스케
Publication of KR9600193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93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16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168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6Magnetic circuit arrangements
    • H01H50/18Movable parts of magnetic circuits, e.g. armature
    • H01H50/32Latching movable parts mechanically
    • H01H50/326Latching movable parts mechanically with manual intervention, e.g. for testing, resetting or mode sel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02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64Protective enclosures, baffle plates, or screens for contacts
    • H01H1/66Contacts sealed in an evacuated or gas-filled envelope, e.g. magnetic dry-reed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64Driving arrangements between movable part of magnetic circuit and contact
    • H01H50/641Driving arrangements between movable part of magnetic circuit and contact intermediate part performing a rectilinear mov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32Driving mechanisms, i.e. for transmitting driving force to the contacts
    • H01H2003/323Driving mechanisms, i.e. for transmitting driving force to the contacts the mechanisms being adjust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02Bases; Casings; Covers
    • H01H50/023Details concerning sealing, e.g. sealing casing with resin
    • H01H2050/025Details concerning sealing, e.g. sealing casing with resin containing inert or dielectric gasses, e.g. SF6, for arc prevention or arc extin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02Bases; Casings; Covers
    • H01H2050/028Means to improve the overall withstanding voltage, e.g. creepage dist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30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arc between current-carrying parts
    • H01H9/44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arc between current-carrying parts using blow-out magnet
    • H01H9/443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arc between current-carrying parts using blow-out magnet using permanent magne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tacts (AREA)

Abstract

밀봉형 접촉 디바이스는 그안에 전극을 수용하고 바람직하게 수소로 주로 구성된 가스를 밀봉하기 위해 벨로스와 더불어 가스가 새지 않는 공간을 내부에 형성하고 있는 밀봉용기와, 서로 닿거나 떨어지는 고정전극과 가동전극을 포함하는 전극과, 상기 고정전극과 닿는 방향으로 상기 가동전극을 가압하는 접촉압력스프링과, 상기 고정전극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가동전극을 가압하는 복원스프링과, 일단은 밀봉용기로부터 돌출되고 다른 일단은 상기 가동전극에 연결된 가동축을 가지고 있는 밀봉형 접촉부와; 상기 두 전극이 닿는 방향으로 상기 가동축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력을 가동부에서 제공하는 구동부재와; 상기 밀봉형 접촉부의 가동축과 상기 구동부재의 가동부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가동축의 구동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부품을 가지고 있고, 상기 가동부에 연결되고, 상기 조절부품을 통해 상기 가동축에 연결된 연결부품을 포함하고 있는 전달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밀봉형 접촉 디바이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1구체적 실시예의 밀봉형 접촉 디바이스에 대한 분해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밀봉형 접촉 디바이스의 전달부재에 밀봉형 접촉부의 가동축과 구동부재의 가동부의 구동축이 연결된 상태를 보여주는 부분단면도.
제3도는 제1도의 밀봉형 접촉 디바이스의 가동축과 연결부품을 보여주는 부분사시도.
제4도는 제1도의 밀봉형 접촉 디바이스의 밀봉형 접촉부의 가동축과 전달부재의 연결상태를 보여주는 부분단면도.
제5도는 제1도의 밀봉형 접촉 디바이스의 단면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제2 구체적 실시예에서 밀봉형 접촉부의 가동축과 구동부재의 구동축이 전달부재에 연결된 상태를 보여주는 부분단면도.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3 구체적 실시예의 밀봉형 접촉부의 단면도.
제8도는 제7도의 밀봉형 접촉부에서 누락된 부분에 대한 평면도.
제9도는 제7도의 밀봉형 접촉부의 횡단면도.
제10도는 제7도의 밀봉형 접촉부의 가동축에 가동접촉기 홀더가 부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제11도는 제7도의 밀봉형 접촉부의 가동축에 부착된 가동접촉기 홀더의 사시도.
제12도는 제7도의 밀봉형 접촉부의 밀봉용기의 평면도.
제13도는 제12도의 밀봉용기의 XⅢ-XⅢ단면도.
제14a-14d도는 제7도의 밀봉형 접촉부에서 아아크가 발생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단면도.
제1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4 구체적 실시예의 밀봉형 접촉 디바이스의 단면도.
제16(a), 16(b)도는 제15도의 밀봉형 접촉 디바이스에 대한 동작설명도.
제17도는 제15도의 밀봉형 접촉 디바이스의 작동손잡이의 사시도.
제18도는 제15도의 밀봉형 접촉 디바이스의 작동손잡이의 측면도.
제19(a), 19(b)도는 제15도의 밀봉형 접촉 디바이스의 동작설명도.
제20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5 구체적 실시예에서의 작동손잡이의 부분사시도.
제21a, 21b도는 제20도의 작동손잡이의 동작설명도.
제2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6 구체적 실시예에서 이용된 용기의 부분사시도.
제23a, 23b도는 제22도의 밀봉형 접촉 디바이스의 부분단면도.
제2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7 구체적 실시예의 동작설명도.
제25도는 제24도의 밀봉형 디바이스의 동작설명도.
제26도는 제24도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동작설명도.
제27도는 제24도의 또다른 실시예에 대한 동작설명도.
제28도는 제14도 등의 제4 구체적 실시예에 이용된 실제구성의 분해사시도.
제29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8 구체적 실시예에서의 밀봉형 접촉부와 그 근접부분에 대한 부분단면도.
제30도는 제29도의 밀봉형 접촉 디바이스의 분해사시도.
제31도는 제29도의 밀봉형 접촉 디바이스의 하우징 덮개의 평면도.
제32도는 제29도의 밀봉형 접촉 디바이스의 하우징 덮개의 부분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A : 밀봉형 접촉부 BB : 구동부재
CC : 전달부재 DD : 하우징
[발명의 배경]
본 발명은 전력부하용 릴레이나 전자스위치 등에 적합한 밀봉형 접촉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의 설명]
종래 밀봉형 접촉 디바이스로는 일본국 특허공개번호 6-23164에 수록된 밀봉형 접촉 디바이스를 들 수 있다.
이 종래 밀봉형 접촉 디바이스는, 벨로스와 더불어 가스가 새지 않는 공간을 내부에 형성해서 접촉부 및 수소 또는 주로 수소로 이루어진 가스를 수용하기 위한 밀봉용기, 고정접촉부를 가진 고정전극, 이 고정전극의 고정접촉부와 닿거나 이 고정접촉부로부터 떨어지도록 제공된 가동접촉부를 가진 가동접촉기, 상기 가동접촉부가 상기 고정접촉부와 닿는 방향으로 상기 가동접촉기를 가압하기 위한 접촉압력스프링, 상기 가동접촉부가 상기 고정접촉부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가동접촉기를 가압하기 위한 복원스프링, 일단부분은 상기 밀봉용기로부터 돌출되고 다른 일단부분은 상기 가동접촉기에 연결된 가동축을 포함하고 있는 밀봉형 접촉부와 ; 가동철심(가동부)을 가지고 상기 가동접촉부가 고정접촉부와 닿는 방향으로 상기 가동축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재와; 상기 가동축의 구동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상기 구동부재의 구동력을 상기 가동축에 전달하기 위해 상기 자동축과 상기 가동부사이에 설치된 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전달부재로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 구성에서, 코일보빈상에 코일이 감긴 형태인 상기 구동부재는, 일단측에 가동축이 연결되고 상기 코일의 여자시 상기 코일보빈의 삽입홀내에서 축방향으로 가동하는 원기둥형의 가동코어와, 상기 코일보빈을 밖에서 감싼 요크와, 상기 요크에 부착된 요크판과, 일단이 상기 요크판의 중앙에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가동축을 위한 삽입홀을 가진 고정코어로 이루어진 전자디바이스로서, 상기 밀봉형 접촉부 2개와 함께 하우징안에 수용된다.
한편, 상기 전달부재는 평면현상이며, 일측부분이 축홀을 관통하여 다른 일측부분에 이웃한 막대형 회전축에 의해서 지지되어 있으며, 또 상기 두 일측부분에 관통홀이 형성되어 이 관통홀을 통해 조절수단의 조절판과 조절너트가 결합된다.
상기 조절핀과 조절너트에는 나사이음을 위한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밀봉형 접촉부의 가동축의 일단에 상기 조절핀이 닿도록 되어 있다.
이제, 상기 조절수단을 가지고 상기 가동축의 구동위치를 조절하는 순서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전달부재가 회전지지대의 역할을 하는 상태에서, 전자디바이스(구동부재)의 구동상태를 따라 움직이는 지그를 가지고 기설정된 위치까지 상기 이동축을 회전시킨다. 다음에, 가동접촉부가 고정접촉부에 닿을 때까지, 조절너트의 나사산을 따라 회전하도록 상기 조절핀을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로 돌린다.
이에따라 구동위치가 조절되게 가동축이 이동한다.
이러한 구성의 종래 밀봉형 접촉 디바이스에서, 전자디바이스인 구동부재의 가동축은, 전달부재를 밀기 위해, 코일의 여자로 가동코어가 고정코어에 흡착될 때 발생되는 구동력에 의해서 고정코어의 삽입홀을 통해 코일보빈의 축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와같이 구동부재의 가동축이 이동하면, 전달부재가 회전지지대의 역할을 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어 이 전달부재의 조절수단의 끝부분이 두밀봉형 접촉부의 가동축의 일단을 밀게 되어 밀봉용기의 가동접촉부가 고정접촉부에 닿게 된다.
한편, 코일의 여자가 해제되면, 주로 상기 밀봉형 접촉부의 복원스프링에 의해서 가동접촉부가 고정접촉부로부터 떨어지면서 원래의 상태로 복원된다.
이와같은 종래 밀봉형 접촉 디바이스에서는, 전달부재의 조절수단을 이용하여 가동축의 구동위치는 조절할 수 있지만, 고정접촉부에 가동접촉부가 닿는 방향으로의 가동축의 이동이 전달부재의 누름에 의해서 이루어지고 고정접촉부로부터 가동접촉부가 떨어지는 방향으로의 가동축의 이동이 주로 복원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복원시 상기 고정접촉부와 가동접촉부 사이에서 상기 복원력보다 센 접촉용접이 발생하게 되면, 원래의 상태로의 복원을 위해 고정접촉부로부터 가동접촉부가 떨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전달부재가 이동하더라도 가동접촉기와 결합된 가동축이 전달부재와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게 되며, 따라서 용접접촉이 떨어지지 않아 접촉특성이 약화되게 된다.
[발명의 요약]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함과 아울러, 접촉특성이 향상된 밀봉형 접촉 디바이스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에 따르면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그안에 전극을 수용하고 바람직하게 주로 수소로 구성된 가스를 밀봉시키기 위하여, 벨로스와 더불어 가스가 새지 않는 공간을 내부에 형성하고 있는 밀봉용기, 고정전극, 이 고정전극과 닿거나 이 고정전극으로부터 떨어지도록 제공된 가동전극, 가동전극이 상기 고정전극에 닿는 방향으로 상기 가동전극을 가압하기 위한 접촉압력스프링, 상기 가동전극이 고정전극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가동전극을 가압하기 위한 복원스프링, 일단은 상기 밀봉용기로부터 돌출되고 다른 일단은 상기 가동전극에 연결된 가동축을 포함하고 있는 밀봉형 접촉부와 ; 상기 밀봉형 접촉부의 가동축에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가동부를 포함하고 있는 구동부재와; 상기 구동부재의 구동력을 상기가동축에 전달하기 위해 상기 밀봉형 접촉부의 가동축과 상기 구동부재의 가동부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가동축에 대하여 구동위치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밀봉형 접촉부의 상기 가동축에 연결된 수단을 가지고 있는 전달부재로 구성되어 있는 밀봉형 접촉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전달부재에는 일부가 상기 구동부재의 가동부에 연결되고 다른 일부가 상기 밀봉형 접촉부의 가동축에 연결된 조절수단을 가지고 있는 연결부품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형 접촉디바이스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상기 구성에 따라, 상기 연결부품의 조절수단을 통해서 가동축의 구동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되고, 또 상기 연결부품을 통해 전달부재가 구동부재의 가동부에 연결됨에 따라 중량이 증가하기 때문에 접촉압력스프링과 복원스프링의 에너지로부터 변환된 운동에너지를 증가시킬 수 있게 되며, 따라서 가볍게 용접된 접촉이 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의 그밖의 다른 목적과 장점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여러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진행함에 따라 분명하게 드러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제 설명된 구체적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내에서 모든 변경이나 수정 등이 가능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
제1도 내지 제5도는 본 발명의 제1 구체적 실시예이다.
이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밀봉형 접촉 디바이스는 2개의 밀봉형 접촉부(AA), 구동부재(BB), 전달부재(CC) 및 하우징(DD)으로 구성된다.
밀봉형 접촉부(AA)는, 세라믹재료와 같은 내열재료로 일면이 개방된 박스모양으로 만들어진 용기몸체(2)에 의해서 가스가 새지 않는 공간이 내부에 형성된 밀봉용기(1)와, 주름이 형성된 얇은 금속튜브인 벨로스(3)와, 중앙에 관통홀(4a)이 그리고 적절한 위치에 통풍구(미도시)가 형성된 42 합금 등으로 만들어진 리드(4)와; 가스가 새지 않는 베어링을 가진 벨로스 지지대(미도시) 등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리드(4)에 형성된 상기 통풍구를 통해 주로 수소로 이루어진 가스가 일예로 약 2[atm]의 압력이 되도록 상기 내부의 공간에 주입되며, 주입된 후 통풍구는 밀봉된다.
또, 상기 리드(4)의 내면에는 아아크(arc)의 방전을 막기 위하여 세라믹재료와 같은 내열재료로 만들어진 평면절연판(미도시)이 설치된다.
밀봉형 접촉부(AA)는 한쌍의 고정전극(5)과, 이 한쌍의 고정전극(5)에 공통된 가동접촉기(6)와, 이 가동접촉기(6)에 연결된 가동축(7)을 또한 가지고 있다.
고정전극(5)은 구리나 구리합금을 이용하여 L자형태로 만들어지며, 이 L자형태의 고정전극(5)의 짧은 쪽이 동일한 재료로 만들어진 고정접촉부(5a)가 받치고 있다.
가동접촉기(6)는 구리나 구리합금으로 만들어지며, 상기 고정접촉부(5a)에 닿거나 고정접촉부(5a)로부터 떨어지도록 된 한쌍의 가동접촉부(6a)를 종축의 양단에 가지고 있으며, 이 가동접촉부(6a)는 가동접촉기(6)와 동일한 재료로 만들어진다.
가동축(7)은 원기둥 형상이며, 일단(7a)이 벨로스(3)와 리드(4)를 통해 밀봉용기(1)로부터 돌출되어 있고, 돌출된 상기 일단(7a)의 끝부분에 나사산(7b)이 형성되어 있다[제3도].
그리고, 상기 가동접촉부(6a)가 고정접촉부(5a)에 닿는 방향으로 가동접촉기(6)와 상기가동축(7)을 탄력적으로 가동시키기 위한 코일모양의 접촉압력 스프링(8)과, 이에 대해 상기 가동접촉부(6a)가 고정접촉부(5a)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가동접촉기(6)를 탄력적으로 가동시키기 위한 코일모양의 복원스프링(9)이 용기몸체(2) 안에 설치되어 있다.
또, 영구자석과 이 영구자석을 둘러싼 요크로 된 자기수단(미도시)이 상기 용기몸체(2)의 외면에 설치되어 상기 요크가 고정접촉부(5a)와 가동접촉부(6a)를 둘러싸게되며, 따라서 가동접촉부(6a)의 가동방향과 직각으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자장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접촉부(5a)와 가동접촉부(6a)가 자장하에 놓이게 된다.
다음에, 구동부재(BB)에 대해 설명한다.
구동부재(BB)는 전자디바이스로서, 코일보빈(11)상에 코일(10)이 감긴 형태이다.
구동부재(BB)와 가동부로서의 가동코어(12)가 원기둥형상으로 형성되어 축끝부분의 한쪽이 구동축(12a)의 일단에 연결되고, 코일(10)이 여자되면 축방향으로 가동할 수 있도록 상기 코일보빈(11)의 축 관통홀안에 설치된다.
중앙판 부분과 두 직립부분으로 이루어진 U자형의 요크(13)가 상기 코일(10)을 밖에서 둘러싸기 위해 설치되고, 상기 요크(13)의 상기 두 직립부분을 가로질러 요크판(14)이 설치된다.
상기 요크판(14)의 중앙홀에는 구동축(12a)의 통과를 위한 관통홀(15a)이 형성된 고정코어(15)가 설치된다.
또, 상기 구동축(12a)에는 전달부재(CC)(후술됨)의 두께에 해당하는 길이만큼 축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한쌍의 주변홈(12b)이 형성되어 있다.
이제, 전달부재(CC)에 대해 설명한다.
전달부재(CC)는 절연특성을 가지는 몰딩재료로 만들어지며, 이때 몰딩재료는 밀봉형 접촉부(AA)의 여러 스프링의 부하, 그리고 융착(후술됨)뿐만 아니라 구동부재(BB)의 흡인력으로 인해 변형 또는 손상되지 않아야 하며, 그리고 탄력과 인장력이 양호하고 무게도 가벼워야 한다.
또, 전달부재(CC)는 제1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직각 평행육면체의 형상이며, 상기 구동부재(BB)의 구동축(12a)이 통과할 수 있도록 중앙부분에 관통홀(16)이 형성되어 있다.
또, 전달부재(CC)는 보조스위치(18)의 레버(18a)를 누르기 위한 누름용 아암(17)을 가지고 있다. 이때, 레버(18a)를 누를 때 누름용 아암(17)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가능한한 줄이기 위해서, 상기 관통홀(16)의 내면과 상기 구동축(12a)의 외면사이의 간격을 최소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달부재(CC)의 양쪽에는 길이방향으로 긴 안내홀(19)이 형성되어 있다.
이 안내홀(19)은 길이방향의 두 끝부분과 밑부분에 개구부를 가지고 있으며, 특히 밑면의 개구부의 폭은 안쪽부분보다 더 좁게 되어 있다. 그리고 안내홀(19)의 안쪽에 관통홀(20)이 밀봉형 접촉부(AA)의 가동축(7)과 마주보는 위치에서 상기 전달부재(CC)의 윗면상에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안내홀(19)의 양쪽 개구부를 통해 길이방향을 따라 연결부품(21)이 삽입되어 상기 안내홀(19)의 안쪽에 설치된다. 이 연결부품(21)은 아랫부분의 직경보다 윗부분의 직경이 큰 리버형 원기둥모양으로 금속재료로 만들어진다.
상기 연결부품(21)은 안내홀(19)의 내면과 0.1∼0.2㎜의 갭을 둘 수 있는 정도의 크기를 가지기 때문에, 가동축(7)이 둘 이상이고 고정접촉부(5a)와 가동접촉부(6a)가 두쌍 이상이더라도, 가동축(7)의 구동위치, 하우징(DD)에 대한 밀봉형 접촉부(AA)의 설치경도 및 밀봉형 접촉부(AA)과 하우징(DD)의 몰딩정확도에 대한 차이는 별로 없게 된다.
이것은 가동축(7)과 전달부재(CC)가 대각선적으로 배치되는 상태에서는 코일(10)이 여자되어 전달부재(CC)가 전자기적으로 구동되더라도 상기 가동축(7)이 어느 방향으로도 가동하지 않기 때문이다.
밀봉형 접촉부(AA)의 가동축(7)의 베어링부분에서 마찰이 증가하게 되고, 가스누출을 막는 벨로스(3)에 손상이 야기되며, 종국적으로는 밀봉형 접촉 디바이스에 치명적인 손상을 입히게 된다.
그러나, 가동접촉기(6)가 강제적으로 가동하게 될 때에 가동축(7)이 초과이동하게 되므로 축방향의 간격을 최소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연결부품(21)은 축 관통홀을 가지고 있으며, 이 축관통홀의 내면의 윗부분 즉 큰 직경부분에 조절수단(22)을 이루는 나사산(21a)이 형성되어 있다.
나사산(21a)이 형성된 이 부분은 가동축(7)의 구동위치를 조절하는데 필요한 축길이를 가지며, 또 나사산(21a)은 충분한 장력강도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연결부품(21)의 작은 직경부분에는, 연결부품(21)을 회전시켜 가동축(7)에 대한 연결부품(21)의 연결위치나 구동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드라이버의 끝부분에 맞는 직경홈(21b)이 파여져 있다.
연결부품(21)은 금속재료 뿐만 아니라 금속과 유사한 강도의 재료로 만들어진다.
마지막으로, 하우징(DD)에 대해 설명한다.
이 하우징(DD)은 앞서 설명한 두 밀봉형 접촉부(AA), 구동부재(BB) 및 전달부재(CC)를 내부에 수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덮개(23)와 몸체(24)와 바닥판(25)으로 이루어져 있다.
덮개(23)는 바닥축에 개구부(23a)를 가지고 있는 박스모양이다.
몸체(24)는 직사각형의 튜브형상이며, 본 발명의 밀봉형 접촉 디바이스 전체를 고정하기 위한 나사이음용 홀(24a)을 각각 가진 4개의 연결아암이 두 대응하는 외부의 바닥측에 형성되어 있다.
또, 몸체(24)의 내부 윗부분은 수평분리부(24b)와 중앙의 수직분리부(24c)에 의해서 분리되어 있으며, 이 수직분리부(24c)의 중앙에 구동부재(BB)의 구동축(12a)의 윗부분을 지지하기 위한 저널홀(24d)이 형성되어 있고, 또 이 저널홀(24d)의 옆의 수평분리부(24b)상에 가동축(7)의 하단이 통과하는 관통홀(24e)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수직분리부(24c)에서 바닥개구부쪽으로 구동부재(BB)의 요크판(14)을 배치시키기에 적합한 위치에 2개의 수직돌기(24f)가 형성되어 있다.
4개 모서리 부근에 나사이음용 홀(25a)을 가진 하우징(DD)의 바닥판(25)은 몸체(24)의 바닥개구부에 설치된다.
상기의 밀봉형 접촉부(AA), 구동부재(BB), 전달부재(CC), 하우징(DD)을 조립하는 순서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하우징(DD)의 덮개(23)와 밀봉형 접촉부(AA)의 용기몸체(2) 사이에 탄성부품(28)을 끼워서 덮개(23) 안으로 밀봉형 접촉부(AA)를 조립한다.
다음에 나사, 판 스프링 또는 E링 등의 연결부재(미도시)를 가지고 상기 하우징(DD)의 덮개(23)와 몸체(24)를 결합시킨다.
구동부재(BB)의 구동축(12a)을 전달부재(CC)의 홀(16)에 끼운 다음에, 이 구동축(12a)과 전달부재(CC)가 분리되지 않게 E링과 같은 금속고정부품(26)을 전달부재(CC)의 위와 아래에서 상기 구동축(12a)의 두 홈(12b)에 각각 설치하고, 직경이 전달부재(CC)의 안내홀(19)의 바닥개구부의 직경보다 큰 연결부품(21)을 상기 안내홀(19)에 양측면을 통해 삽입한다.
그리고, 구동부재(BB)의 구동축(12a)의 상단부분을 하우징(DD)의 몸체(24)의 저널홀(24d)에 끼운 상태에서, 밀봉형 접촉부(AA)의 가동축(7)의 나사산(7b)과 연결부품(21)의 나사산(21a)이 나사이음되도록 상기 연결부품(21)을 축방향으로 돌려서 가동축(7)과 연결부품(21)을 결합시킨다.
이 상태에서, 하우징(DD)의 몸체(24)의 두 수직돌기(24f)를 기준으로 하여, 구동축(12a)을 지그(미도시)로 기설정위치까지 아래로 가동시키고, 고정접촉부(5a)와 가동접촉부(6a)가 닿을 때까지 연결부품(21)의 홈(21b)에 드라이버(미도시)를 대고 돌려서 가동축(7)의 구동위치를 조절해 준다.
이후 지그를 해체하고, 보조스위치(18)를 하우징(DD)에 부착하되, 전달부재(CC)의 누름용아암(17)이 이 보조스위치의 레버(18a)를 누를 수 있도록 부착한다.
그리고, 고정코어(15)를 포함한 요크판(14)을 먼저 수직돌기(24f)를 가지고 몸체(24)안으로 삽입시키고 나서 코일(10)이 감긴 코일보빈(11)과 요크(13)을 차례로 삽입시키고, 구동축(12a)에 형성된 계단부분(12c)을 이용하여 구동축(12a)에 가동코어(12)를 고정시킨다.
이어서, 요크(13)의 바닥면에 탄성스프링(27)을 설치해서 하우징(DD)의 몸체(24)안으로 구동부재(BB)를 밀어넣는다.
구동부재(BB)를 밀어넣은 후, 상기 탄성스프링(27)의 탄력을 이용하여 상기 하우징(DD)의 몸체(24)의 바닥개구부에 이 하우징(DD)의 바닥판(25)을 부착시키고, 몸체(24)의 홀(24a)과 나사(29)를 나사이음시켜서 밀봉형 접촉 디바이스에 대한 조립을 마친다.
이와같이 조립된 밀봉형 접촉 디바이스의 작용을 설명한다.
코일(10)이 여자되면, 가동코어(12)가 고정코어(15)에 밀착되어서 가동코어(12)의 가동축(12a)이 구동되어 구동력이 고정부품(26)을 통해 구동축(12a)과 결합된 전달부재(CC)에 전달된다.
복원스프링(9)의 탄성력보다 큰 상기 구동력은 전달부재(CC)의 연결부품(21)을 통해 가동축(7)의 끝부분(7a)에 전달되고, 이에따라 고정접촉부(5a)에 가동접촉기(6)의 가동접촉부(6a)가 닿게 된다.
동시에, 전달부재(CC)의 누름용 아암(17)이 보조스위치(18)의 레버(18a)를 눌러 보조스위치(18)를 작동시킴으로써 접촉압력스프링(8)의 탄성력이 가동축(7)에 부가적으로 작용하여 상기 가동축(7)을 밀게 된다.
한편, 구동부재(CC)의 코일(10)의 여자상태가 해제되면, 접촉압력스프링(8)의 힘을 극복한 복원력의 작용으로 밀봉형 접촉부(AA)의 가동접촉기(6)가 원래자리로 복원되어 가동접촉부(6a)가 고정접촉부(5a)로부터 떨어지며, 동시에 구동부재(BB)측에서도 가동코어(12)가 원래의 위치로 복원된다.
또, 보조스위치(18)의 레버(18a)에 대한 전달부재(CC)의 누름용 아암(17)의 누름이 해제되어 보조스위치(18)도 원래상태로 복원된다.
한편, 이러한 복원시 고정접촉부(5a)와 가동접촉부(6a) 사이에서 발생된 아아크는 자기수단(미도시)의 자장에 의해서 가동접촉기(6)의 양끝부분쪽으로 진행된다.
이러한 일련의 동작이 일어나는 중에, 연결부품(21)은 다음과 같은 식으로 작동한다.
먼저, 코일(10)이 여자되어 가동접촉부(6a)가 고정접촉부(5a)에 닿을 때까지는 복원스프링(9)에 의해서 그리고 가동접촉부(6a)가 고정접촉부(5a)에 닿은 후에는 복원스프링(9)과 접촉압력스프링(8)에 의해서, 연결부품(21)은 밀봉형 접촉부(AA)쪽으로 가동한다.
이 가동으로, 가동접촉부(6a)가 고정접촉부(5a)에 닿은 때에는 연결부품(21)은 전달부재(CC)와 일정한 위치관계로 있게 된다.
다음에, 융접 특히 과전류부하나 과도한 돌입전류 때문에 가동접촉부(6a)와 고정접촉부(5a) 사이에서 융해현상이 일어남에 따라 발생된 약한 융접을 극복하는 가동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고정접촉부(5a)와 가동접촉부(6a) 사이에서 융접이 발생함에 따라, 가동접촉부(6a)를 지지하는 가동접촉기(6)와 고정접촉부(5a)를 지지하는 고정전극(5)이 한 곳 또는 두곳에서 코일(10)이 여자상태로 존재하는 동안 융접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코일(10)의 여자상태가 해제되면, 복원스프링(9)의 복원력에 의해서 가동접촉기(6)는 원래의 위치로 복원하려 하겠지만, 고정전극에 융접이 되어 있음에 따라 복원되지 않으며, 가동축(7)은 단지 일시적으로 초과가동한 만큼만 복원된 후 정지하게 된다.
그러나 이때 연결부품(21)을 통해 전달부재(CC), 구동축(12a) 및 가동코어(12)와 간접적으로 가동축(7)이 연결되어 있고, 최대의 초과가동상태에서 초과이동이 없는 상태로 가동축(7)이 가동함에 따라 초과가동한 때에 스프링 부하 에너지로부터 변환된 운동에너지가 가동축이 전달부재(CC)에 연결되지 않고 단지 독립적으로 가동하는 종래 구성의 운동에너지의 10 내지 20배에 달하게 된다. 이는 전달부재(CC)의 중량정도는 안되지만 어느정도 중량이 증가했기 때문이다. 운동에너지의 증가량은 형상이나 재료에 따라 달라진다. 따라서, 서로 융접된 고정접촉부와 가동접촉부는 증가한 상기 운동에너지에 의해서 바로 떨어지게 된다.
제6도는 본 발명의 제2 구체적 실시예이다.
제1구체적 실시예는 두 가동축(7)을 가지는 두 폴에 대한 구성인데 반해, 이 제2구체적 실시예는 단일의 가동축을 가지는 단일의 폴에 대한 구성이다.
제1도 내지 제5도의 제1구체적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로 표기하였다.
이하, 제1도 내지 제5도의 제1구체적 실시예와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한다.
전달부재(CC)는 디스크형상이며, 이 디스크형상의 윗면에 안내홀(19)이 형성된다. 이 안내홀(19)은 윗부분의 폭과 바닥부분의 폭이 중간부분의 폭보다 좁다.
이러한 안내홀(19)내에 조절수단(22)을 가진 연결부품(21)이 설치되어 있다.
이 연결부품(21)은 전달부재(CC)와 가동축(7)을 결합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 연결부품(21)에는 나사이음부분을 형성되어 있어서 가동축(7)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구동부재(BB)의 구동축(12a)의 상단은 전달부재(CC)와 결합되고, 구동축(12a)의 하단에는 드라이버로 돌릴 수 있도록 직경홈(12d)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가동축(7)이 연결부품(21)을 통해 전달부재(CC)에 연결되는 때에 구동축(12a)은 가동축(7)과 동축상에 위치하게 된다.
이제, 제2구체적 실시예의 조립순서를 설명한다.
먼저, 전달부재(CC)의 측면을 통해 연결부품(21)을 전달부재(CC)의 안내홀(19)안으로 삽입해서 전달부재(CC)의 중앙부분에 위치시키고 접착제(30) 등으로 부착시킨 다음에, 전달부재(CC)를 적당히 회전시켜서 두 나사산(21a)(7b)을 통해 연결부품(21)과 가동축(7)을 나사 이음시킨다.
하우징(DD)에 전달부재(CC)를 기설정된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지그를 설치한 상태에서 구동축(12a)의 직경홈(12b)에 드라이버(미도시)를 대고 고정접촉부(5a)와 가동접촉부(6a)가 닿을 때까지 돌린다.
다음에, 상기 지그를 해체하고 상기 가동축(7)과 연결부품(21)을 접착제나 레이저용접 등으로 부착시킨다.
보조스위치(18)을 하우징(DD)에 부착하되, 전달부재(CC)의 누름용 아암(17)이 이 보조스위치의 레버(18a)를 누를 수 있도록 부착한다.
다음에, 고정코어(15)를 받치고 있는 요크판(14)을 고정기준이 되는 수직돌기(24f)를 가지고 몸체(24)의 바닥개구부에 먼저 고정시키고, 나사이음이나 접착을 통해 적당한 위치에서 가동코어(12)를 구동축(12a)에 설치한 다음에, 코일(10)이 감긴 코일보빈과 요크(13)를 조립해서 구동부재(BB)를 하우징(DD)의 몸체(24)안으로 밀어 넣는다.
이후, 나머지 부분에 대해서는 제1도 내지 제5도의 제1구체적 실시예와 동일한 순서로 조립하여 밀봉형 접촉 디바이스에 대한 조립을 마친다.
제1도 내지 제5도의 제1구체적 실시예 또는 제6도의 제2구체적 실시예에서는, 연결부품(21)의 조절수단(22)을 가지고 가동축(7)의 구동위치를 조절할 수 있으며, 또 이 가동축(7)이 연결부품(21)을 통해 가동코어(12)와 부착된 전달부재(CC)에 연결됨에 따라 중량이 늘어나서, 접촉압력스프링(8)과 복원스프링(9)의 에너지로부터 변환된 운동에너지가 더 커지게 되어 융접된 고정접촉부와 가동접촉부가 바로 떨어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 밀봉형 접촉 디바이스의 접촉특성은 향상된다.
한편, 제6도의 제2구체적 실시예는, 제1구체적 실시예와는 달리, 가동코어(12)와 가동축(7)이 동축상에서 있기 때문에 가동코어(12) 쪽에서 연결부품(21)의 방향을 조절할 수 없으며, 구동축(12a)의 직경홈(12d)에 드라이버(미도시)를 대서, 가동축(7)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나사이음부분이 형성된 상기 연결부품(21)을 지지하고 있는 전달부재(CC)를 돌림으로써 가동축(7)의 구동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제1도 내지 제5도의 제1구체적 실시예 또는 제6도의 제2구체적 실시예에서는, 가동축(7)의 구동위치를 조절해 주게 되면 가동축(7)과 연결부품(21)의 나사이음위치가 가동하게 되고 전달부재(CC)의 위치가 가동축(7)의 축방향으로 가동하게 되어 보조스위치(18)의 레버(18a)와 전달부재(CC)의 누름용 아암(17)의 위치관계가 변하게 되므로 종국적으로 보조스위치(18)의 부착위치를 수정해 줄 필요가 없게 된다.
또, 하나의 전극이 다른 전극으로부터 떨어질 때 발생한 아아크는 역방향으로 진행하게 됨에 따라 본 발명 밀봉형 접촉 디바이스의 접촉특성에 아무런 문제도 야기되지 않게 된다.
제7도 내지 제14도는 본 발명의 제3구체적 실시예이다.
이 실시예에서, 밀봉형 접촉부(AA)는 세라믹재료와 같은 내열재료로 만들어진 개구면을 가진 박스모양의 용기몸체(102)에 의해서 가스가 새지 않도록 된 공간이 형성된 밀봉용기(101)와, 주름진 얇은 금속튜브인 벨로스(103)와, 42합금 등으로 만들어지며 중앙에 관통홀(104a)과 적당한 위치에 통풍구(104b)를 가진 리드(104)와, 제1베어링(105)을 가진 벨로스지대(106)를 가지고 있다.
즉, 리드(104)는 상기 개구면을 막기 위해 상기 용기몸체(102)에 부착되며, 벨로스(103)의 일측은 가스가 누출되지 않게 리드(104)에 연결되어 벨로스 지지대(106)에 의해서 지지되고, 다른 일측은 가동축(110)(후술됨)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리드(104)의 내면에 아아크로부터 이 리드(104)를 보호하기 위하여 세라믹 재료와 같은 내열재료로 만들어진 평면절연판(107)이 설치된다.
이와같이 밀봉용기(101)내에 가스누출이 없도록 된 공간을 형성한 후, 주로 수소로 이루어진 가스를 통풍구(104b)를 통해 일예로 대략 2(atm)의 압력이 되도록 용기몸체(102)의 내부에 주입하고, 통풍구(104b)를 밀봉시킨다.
한쌍의 고정전극(108)은 구리나 구리합금재료로 만들어지며, 중앙부분에 플랜지(108a)를 그리고 일단에 고정접촉부(108b)를 가진 원기둥형상이고, 이들 고정접촉부(108b)는 고정전극(108)과 동일한 재료로 만들어진다.
또, 고정전극(108)의 다른 일단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상태로 용기몸체(102)의 홀(102a)을 통해 밖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들 고정전극(108)의 플랜지(108a)는 42합금 등으로 만들어진 플랜지부재(108d)를 통해 가스가 새지 않게 연결되어 있다.
가동접촉기(109)는 구리나 구리합금 판 부재로 만들어지며, 양쪽의 일측면상에 혼(horn) 형상의 가동접촉부(109a)가 형성되어 있다. 가동접촉부(109a)는 고정접촉부(108b)에 닿거나 고정접촉부(108b)로부터 떨어지기에 적절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또, 가동접촉부(109a)는 가동접촉기(109)와 동일한 재료로 만들어진다.
상기 가동접촉부(109)의 일측면(109b)상의 중앙에 관통홀(109c)을 가진 원형형상의 홈(109d)이 형성되어 있고, 이 홈(109d)의 내부모서리를 따라 한쌍의 홀(109e)이 형성되어 있다.
가동축(110)은 원기둥형상이며, 조립시 이 가동축(110)의 일단(110a)은 밀봉용기(101)로부터 돌출되고 다른 일단(110b)의 인접부분은 단차부(110c)의 형성을 위해 가늘어진다.
가동축(110)의 중앙부분 주위에는 원주홈(110d)이 형성되어 있고, 이 원주홈(110d)에 E링과 같은 플랜지형 부재(111)가 설치된다.
또, 이 가동축(110)의 일단(110a)은 제1베어링(105)의 관통홀(105a)을 관통하고 다른 일단(110d)은 제2베어링(118)(후술됨)의 관통홀(118a)을 관통함으로써 지지된다.
접촉압력스프링(112)은 코일형상이며, 접촉압력 스프링 프레임(113)(후술됨)의 외경보다 약간 큰 내경을 가지고 있다.
상기 접촉압력스프링 프레임(113)은 바닥면을 가진 실린더형상으로 상단 개구부측에 플랜지(113a)와 바닥부분에 관통홀(113b)을 가지고 있다.
또, 이 접촉압력스프링 프레임(113)은 벨로스(103)를 보호하는 역할도 한다.
디스크형의 가동접촉기 홀더(114)는 제10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중앙관통홀(114a)을 가지고 있으며, 이 디스크의 두께는 가동접촉기(109)의 홈(109d)의 두께와 동일하다.
가동접촉기 홀더(114)의 일측면(114b)상에는 직각으로 직립한 한쌍의 폴(114c)이 직경방향으로 마주보고 설치되어 있다.
이들 폴(114c)의 객수는 1개이상 3개 이하이다.
가동접촉기 홀더(114)는 가동접촉기(109)의 가동을 제한하게 된다[후술됨].
복원스프링(115)은 코일형상이며, 가동접촉부(109a)가 고정접촉부(108b)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가동접촉기(109)를 가동시키기 위해, 밀봉 용기(101)의 내부에 있는 리셉터클(116)의 일측면(116a)상에 설치된 오목부(116b)안에 설치된다.
이 리셉터클(116)와 고정접촉부(108) 사이에는 갭(116c)이 존재하며, 리셉터클(116)의 일측면(116a)상에는 홈(116d)이 형성되어 있다[제13도].
또, 복원스프링 프레임(117)이 세라믹재료와 같은 내열재료로 바닥면을 가진 실린더 형상으로 형성되며, 복원스프링(115)을 밖에서 감싸기 위하여 리셉터클(116)의 일측면(116a) 상에 설치된다.
이 복원스프링 프레임(117)은 가동축(110)의 일단(110b)을 통과한다.
제2베어링(118)은 관통홀(미도시)을 가지고 있으며, 이 제2베어링(118)은 복원스프링(115)에 의해서 가동축(110)의 축방향으로 가동하게 하고 그리고 리셉터클(116)의 오목부(116b)의 내부벽면에 의해서 상기 축방향에 직각으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한다.
다음에, 이동접촉기 홀더(114)를 가지고 이동접촉기(109)의 이동을 어떻게 제한하는지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동축(110)이 일단(110b)측으로부터 접촉압력스프링 프레임(113), 접촉압력스프링(112), 이동접촉기(109) 및 이동접촉기 홀더(114)를 통과한다.
그리고, 접촉압력스프링 프레임(113)이 이동축(110)에 고정된 플랜지형 부재(111)에 의해서 위치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접촉압력스프링 프레임(113)은 계단부분(110c)을 통해 이동접촉기 홀더(114)에 설치된다.
이동접촉기 홀더(114)는 일측면(114b)이 홈(109d)의 밑면에 닿고 다른 일측면(114d)이 이동접촉기(109)의 일측면(109b)과 배치되도록 이동접촉기(109)의 홈(109d)에 설치된다.
이때, 접촉압력스프링(112)은 이동접촉기(109)와 접촉압력 스프링 프레임(113)의 플랜지(113a) 사이에서 압축되도록 설치되며, 이동접촉기(109)는 고정접촉부(108b)에 이동접촉부(109a)이 닿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동축(110) 측에 설치된 이동접촉기 홀더(114)의 일측면(114b)에 의해서 이동이 제한된다.
자기수단(미도시)은 영구자석 및 이 영구자석을 고정시키는 요크로 이루어져 용기몸체(102)의 외면에 설치된다. 따라서 요크는 고정접촉부(108b)와 이동접촉부(109a)를 감싸게 된다.
이에 따라, 고정접촉부(108b)와 이동접촉부(109a)는 상기 자기수단이 형성해주는 자장하에 놓이게 되며 이 자장의 방향은 이동접촉부(109a)의 동작방향과 직각으로 교차하는 방향이다.
이제, 제3구체적 실시예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전자디바이스 등에 의해 이동축(110)의 일단(110a)이 구동하게 되면, 이동접촉기(109)의 이동접촉부(109a)가 고정접촉부(108b)에 닿게 되며, 이후에도 이동축(110)에 대한 구동이 지속되면, 이동접촉부(109a)가 이미 고정접촉부(108b)에 닿아 있는 상태이므로 이동접촉기(109)는 이동하지 않게 된다. 그러나 접촉압력스프링 프레임(113)이 이동하여 접촉압력스프링(112)을 누르게 되어 이동접촉부(109a)와 고정접촉부(108b) 사이에 접촉압력이 증가하게 된다.
한편, 이동축(110)의 일단(110a)에 대한 구동이 중단되면, 이동축(110)은 주로 복원스프링(115)의 스프링힘에 의해서 뒤로 밀리게 되어 원래상태로 복원된다.
복원시 고정접촉부(108b)와 이동접촉부(109a) 사이에서 발생된 아아크(AA')는 DC부하용스위치의 경우에 보통 이동접촉부(109a)의 양쪽 끝부분에 있는 혼부분쪽으로 자기수단(미도시)에 의해서 퍼지게 되면서 사라진다.
이때, 부하의 종류나 회로상태에 따라 전류가 평상시의 반대방향으로 흐를 수 있으며, 이에따라 복원시 고정접촉부(108b)와 이동접촉부(109a) 사이에서 발생된 아아크(AA')는 역방향의 로렌츠힘을 받게 되어 이동접촉기(109)의 중심부쪽으로 퍼지게 된다.
이러한 상태를 제14a도 내지 제14d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고정접촉부(108b)와 이동접촉부(109a)사이에서 제14a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아아크(AA')가 발생하게 되면, 이 아아크(AA')는 제14b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이동접촉기(109)의 일측면(109b)을 따라 진행하게 되고, 또 이동접촉기 홀더(114)의 다른 일측면(114d)을 따라 진행하게 되어, 종국적으로 두 아아크가 두 고정접촉부(108b) 사이에서 합쳐져서 진행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자기수단(미도시)에 의해서 아아크(AA')에 작용되는 로렌츠힘이 접촉방향으로 영향을 미치게 되어, 아아크(AA')는 제14d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갭(116c)의 가장 안쪽부분을 통해 리셉터클(116)의 홈(116d)의 안쪽모서리를 따라 진행하게 되며 따라서 아아크(AA')는 충분히 퍼지게 된다.
이와같이, 본 제3 구체적 실시예의 밀봉형 접촉 디바이스에서, 이동접촉부(109a)가 고정 접촉부(108b)로부터 떨어지는 반대방향으로 퍼지는 아아크(AA')는 고정전극(108)과 리셉터클(116) 사이에 있는 갭(116c)의 가장 안쪽부분을 따라 진행하게 되어, 아아크(AA')가 충분히 퍼지게 되고, 차단전류가 증가하여 접촉특성에 아무런 문제가 없게 된다.
또, 아아크(AA')가 리셉터클(116)의 일측면상에서 홈(116d)의 내부주변을 따라 충분히 퍼지게 되면, 차단전류가 증가하여 접촉특성에 아무런 문제가 없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아아크(AA')가 가동접촉기(109)의 일측면(1096)에 있는 홈(109d)내에 수용된 가동접촉기 홀더(114)를 따라 진행함에 따라, 아아크(AA')의 진행이 부드러워지게 되어 접촉특성에 아무런 문제가 없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리셉터클(116)의 일측면(116a)에는 홈(116d)이 형성되어 있는데, 아아크(AA')가 충분히 길게 진행하는한 그러한 홈(116d)은 형성되지 않게 된다.
또, 이 실시예에서는, 가동접촉기(109)에 홈(109d) 뿐만 아니라 리셉터클(116)와 고정 전극(108) 사이에 갭(116c)이 형성되어 있지만, 접촉특성이 아무런 문제가 없는 한 상기 홈(109d)과 갭(116c)중에서 하나는 필요없게 된다.
제15도는 본 발명의 제4 구체적 실시예이다.
이 실시예는 접촉부재를 포함하고 있는 밀봉형 접촉부(AA)와, 가동부재(12)를 가지고 있는 전자디바이스인 구동부재(BB)에 관한 것이다.
가동부재(12)는 가동코어와 이 가동코어에 연결된 구동축으로 되어 있고, 접촉부재의 접촉구동축에 연결된 절연몰딩레버(204)에 상기 구동축이 연결된다.
접촉부(AA), 구동부재(BB) 및 가동부재(12)는 하우징(201)(203)(209)안에 밀봉된다.
또, 제15도에는 축레버(200)(이하, '로크 레버'라 한다)가 설치되며, 이 로크레버(200)가 상하로 위치변화함으로써 구동축이 구동부재의 가동영역(실제로는 구동축의 가동영역)을 차지하게 된다.
이 로크 레버(200)의 끝부분은 입력신호의 인가로 가동부재(12)가 가동하더라도 이 가동부재(12)에 어떠한 영향도 미치지 않게 비접촉위치에 놓인다.
입력신호가 구동부재(BB)에 인가되면, 전자기적 흡인력에 의해서 구동부재(BB)의 가동부재(12)의 가동코어가 흡착되어 구동력이 가동부재(12)와 몰딩레버(204)와 접촉부(AA)내의 가동접촉부재에 전달되므로 가동접촉부가 고정접촉부에 닿게 된다.
로크 레버(200)를 누르면 이 로크 레버(200)의 끝부분이 가동부재(12)의 가동영역을 차지하여 가동부재(12)의 가동을 막게 되므로 가동접촉부는 고정접촉부에 닿지 않는다.
후에, 로크수단과 이 로크수단을 원래자리로 위치시키는 복원수단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제16도를 참조하여 가동영역안에서의 가동부재(12)의 동작을 설명한다.
로크 레버(200)로 가동부재(12)가 로크되지 않는 평상시에는 제16(a)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전자디바이스(구동부재)의 왕복거리(Y)와 동일한 또는 긴 가동부재(12)의 가동 영역(X)이 형성된다.
로크 레버(200)에 의해서 가동부재(12)가 로크되는 때에는 제16(b)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크 레버(200)가 가동부재(12)의 가동영역(X)을 차지하게 된다.
제17도와 제18도에는 로크 레버(200)의 실제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즉, 로크 레버(200)는 축(211), 로크 핀(212), 작동손잡이(213) 및 복원스프링(214)으로 되어, 제18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하우징부(201)안에 수용된다.
일반적으로, 로크 레버(200)의 상기 축(211)에는 전자디바이스에 의해서 강한 압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이 축(211)은 변형되지 않는 금속 일예로 비자성의 스테인레스 금속등으로 만들어진다.
그리고 상기 축(211)과 대등한 압력이 로크 핀(212)에 작용하므로, 로크 핀(212)도 금속으로 만든다.
작동손잡이(213)는 누르고 회전하기에 적합하면 되므로 자체 강도는 셀 필요가 없어 몰딩부품과 같은 절연부재로 만들면 안정성과 작용용이성의 측면에서 매우 바람직하다.
작동손잡이(213)의 형상은 특정모양에 한정되지 않으며, 단지 손가락으로 회전시키고 누르기에 적합하면 된다. 이때, 작동손잡이(213)를 크게 하면 회전토오크도 커져서 하우징부재 등에 손상을 입힐 우려가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그리고 작동손잡이(213)의 축(211)이 가동부재(12)에 닿기 전에 작동손잡이(213)가 하우징부재(201)에 바로 닿도록 작동손잡이(213)와 하우징부재(201)의 위치관계가 설정된다. 따라서 가동부재(12)가 밀리지 않게 된다.
복원스프링(214)은 축(211)을 내부에 수용한 다음에, 축(211)의 핀홀에 로크핀(212)을 삽입함으로써 축(211)에 설치된다.
하우징부재(201)의 홀은 축(211)과 로크 핀(212)이 통과하는 좁은 부분과 복원스프링(214)을 수용할 수 있는 넓은 부분으로 되어 있다.
로크 레버(200)가 눌리지 않는 평상시에 작동손잡이(213)는 복원스프링(214)의 복원력 때문에 하우징부재(201)보다 높은 위치에 있게 되며, 이 위치에서 로크 레버(200)가 정지상태로 있도록 로크 핀(212) 또는 다른 정지수단(215) 이 축(211)의 핀홀에 삽입된다.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로크 레버(200)는 로크된다[제19(a), (b)도].
먼저, 로크레버(200)의 작동손잡이(213)를 바닥면이 하우징부(201)에 닿을때까지 손가락으로 누르면, 축(211)의 끝부분과 로크 핀(212)이 가동부재(12)의 가동영역안에 놓이게 된다.
이때, 작동손잡이(213)를 일예로 반회전정도 돌리면, 로크 핀(212)이 하우징부재(201 또는 203)의 바닥면에 닿아 로크 레버(200)는 복원스프링(214)의 복원력을 극복하고 로크된다.
제20도는 본 발명의 제5구체적 실시예의 로크수단이다.
로크상태에서는 로크 핀(212)이 축(211)의 로크 상태 해제를 막게 된다.
그러나, 언로크(unlock)상태에서는 로크 핀(212)은 하우징부재(201)의 홀안에 위치하게 되고 대신에 다른 정지수단인 정지링(stop ring)(215)이 로크 레버(200)를 하우징에 고정시키게 된다.
이 정지링(215)은 E링이나 C링처럼 주위에서 구하기 쉬운 부품이고, 단지 복원스프링(214)의 복원력을 견디기에 적합하면 된다.
조립상태에서, 정지링(215)은 축(211)의 링부착홈(미도시)에 설치된다.
이 링부착홈은 로크 레버(200)가 하우징부재(203)의 홀안으로 충분히 들어왔을 때 하우징부재(203)의 바닥면 아래에 위치하게 되며, 이때 축(211)에 부착된다.
정지링(215)의 로크상태는 제21b도에 그리고 언로크상태는 제21a에 도시되어 있다. 정지링(215)의 수용을 위해 하우징부재(203)에 홀이 형성되어 있다.
제22도에 로크 레버(200)에 대한 다른 로크 수단이 도시되어 있으며, 이는 정지링(215)을 사용하는 대신에 하우징부재의 매칭홀을 이용하는 것이다.
하우징부재(201)(203)는 로크 레버(200)를 수용하기 위해 연결평면상에 매칭홀(201')(203')을 가지고 있으며, 이 매칭홀(201')(203')은 로크 레버(200)를 연결평면에 수직방향으로 매칭시키게 된다.
이 매칭홀(201')(203')은 로크 핀(212)을 통과시키기 위한 홈을 로크 레버(200)의 큰부분이 직경적으로 반대되게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홈은 하우징부재(201)(203) 사이에서 서로 직각으로 교차하게 되어 있다.
제23a도는 제22도에 대한 수직단면도이고, 제23b도는 제22도에 대한 횡단면도이다.
로크 레버(200)의 끝부분에 있는 로크 핀(212)을 통과시키기 위한 상기 홈은 하우징부재(201)과 하우징부재(203) 사이에서 직각으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조립시에는, 로크 레버(200)의 축(211)의 끝부분에 로크핀(212)외에 아무런 다른 로크수단도 부착되지 않는다.
로크 레버(200)는 제18도와 제19도의 경우와 유사하게 홀에 삽입되고 난후, 하우징부재(201)의 바닥면에 로크될 정도로 회전된다.
로크 핀(212)을 임시적으로 수용하는 얕은 홈이 하우징부재(201)의 바닥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이때, 하우징부재(203)에 하우징부재(201)에 대한 연결을 매칭시키기 위한 회전위치를 결정하기가 쉬워진다.
이와같이 하우징부재(203)는 하우징부재(201)에 연결되며, 로크 핀(212)이 하우징부재(203)에 형성된 핀 수용 홈에 수용된다. 따라서 로크 레버(200)는 복원스프링(214)의 복원력 때문에 하우징부재(201)에 대한 로크상태 해제가 되지 않는다.
가동부재(12)를 로크시킬 때, 로크 레버(200)는 홀안으로 밀어넣어지게 되고 동시에 하우징부재(203)의 바닥면에 로크될 때까지 회전되게 된다.
하우징부재(201)와 유사하게, 로크 핀(212)을 일시적으로 수용하기 위한 얕은 홈이 하우징부재(203)의 바닥면에 형성된다면 수동적인 회전매칭의 위치를 쉽게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로크 핀(212)의 수직방향에 있는 축은 가동부재(12)의 가동영역을 차지하고 있는 것에 대응한다.
로크상태 해제시, 로크 레버(200)는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며 하우징부재(203)의 바닥면에 로크된 로크핀(212)은 하우징부재(203)의 홀(203')과 일렬로 배열되게 되고, 핀은 복원스프링(214)의 복원력에 의해서 하우징부재(201)의 바닥면측으로 홀을 따라 복원된다.
로크 레버(200)의 로크 위치는 가동부재의 동작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에, 로크 핀(212)은 하우징부재(201) 또는 하우징부재(203)의 바닥면상에 로크된다.
제24도에는 본 발명의 제7구체적 실시예의 로크수단이 도시되어 있다.
하우징부재(203)의 가로 측벽에 로크 레버(EE)의 수용을 위한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어서 로크 레버(EE)가 이 삽입홈을 따라 이용하게 되면, 로크레버(EE)가 구동부재(BB)의 가동부재(12)의 수직가동영역을 차지하게 되고 이로써 수직가동영역이 조절하게 된다.
이때, 로크 레버(EE)의 접촉면과 가동부재(12)의 접촉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갭의 길이는 제로이상이지만, 두 가동접촉부와 고정접촉부 사이의 갭의 길이보다는 짧아야 한다.
이 실시예의 로크 레버(EE)에 대한 실제구성이 제25도에 도시되어 있다.
로크 레버(EE)는 절연수지재료로 만들어진 레버부(216)와, 고정용의 고정돌기(217)와, 복원수단인 스프링(218)과, 스프링(218)의 일단을 고정시키기 위한 하우징부재의 돌기(219)로 구성된다.
동작은 다음과 같다.
구동부재를 로크시키지 않는 평상시에는 로크 레버(EE)의 고정돌기(217)가 하우징부재의 외면에 위치되어 복원스프링(218)의 복원력에 의해서 항상 하우징몸체쪽으로 가동하려는 상태로 정지하고 있게 된다.
이때, 로크 레버(EE)의 레버부(216)의 끝부분은 구동부재의 가동부재(12)의 가동영역에 도달하지 않기 위해 고정된 상태이다.
다음에, 구동부재를 로크시키고자 할 때, 고정돌기(217)가 하우징부재안으로 들어갈 수 있도록 레버부(216)의 끝부분이 고정되는 동안에 고정돌기(217)가 하우징부재의 가로 측벽에 있는 홀을 관통함에 따라, 로크 레버(EE)는 하우징부재안으로 밀리게 된다.
다음에, 구동부재의 로크시, 레버부(216)의 끝부분에 고정된 상태에서, 고정돌기(217)가 하우징부재의 홀을 관통함에 따라 로크 레버(EE)는 하우징부재 안으로 밀리게 된다.
레버부(216)의 끝부분에 대한 고정상태가 해제되면, 제25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고정돌기(217)가 복원스프링(218)의 복원력에 의해서 하우징부재의 내벽으로부터 가동하여 하우징부재의 바깥면쪽으로 로크 레버(EE)가 가동하게 된다.
제26도는 제25도의 경우와 기본적인 구성면에서 동일하다.
하지만, 여기서는 구동부재의 가동축과 접촉구동축이 동일측상에 배열된다.
가동부재(12)의 중앙축(CC')의 위에 마련된 가동영역은 윗부분과 연결되기 때문에, 상기 중앙축(CC')의 위의 위치에서는 상기 가동영역을 조절할 수 없으며, 가동부재의 중앙축(CC') 측에서 몰딩 레버(204)를 가동영역안으로 가동시켜서 조절을 하게 된다.
이때, 레버부(216)의 끝부분은 중앙축(CC')과 닿지 않도록 모양이 수정되며, 중앙축(CC') 대신에 도면부호 216'로 나타낸 바와 같이 몰딩레버(204)와 닿게 된다.
제27a도 내지 제27d도는 제24도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로서, 레버부(216), 복원스프링(218) 및 스프링고정돌기(219)에 대한 구성은 이전의 실시예에 동일하지만, 하우징부재에 지지된 누름레버(220)에 의해서 레버부(216)의 가동이 이루어진다는 점이 다르다.
누름레버(220)는 레버부(216)를 가로방향으로 가동시키기 위해 로크수단에 의해서 기설정된 상하 위치에서 하우징부재에 로크가능하게 설치된다.
제25도와 27도에서는 레버부(26)의 끝부분모양과 가동부재(12)의 몰딩레버(204)의 모양과 조화시키고 일예로 레버부재(216)를 누름여부에 따라 로크 또는 언로크되게 된다.
제29도 내지 제32도는 본 발명의 다른 구체적 실시예이다.
이 구체적 실시예에서 밀봉형 접촉 디바이스는 밀봉형 접촉부(AA), 구동부재(BB) 및 하우징(DD)으로 구성된다.
밀봉형 접촉부(AA)는, 제29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면이 개방된 박스모양으로 세라믹제료와 같은 내열재료로 만들어진 용기몸체(302)에 의해서 내부에 가스가 새지 않는 공간이 형성된 밀봉용기(301)와, 주름진 얇은 금속튜브인 벨로스(303)와, 42-합금 등으로 만들어지며 중앙에 관통홀(304a)과 적절한 위치에 통풍구(304b)를 가진 리드(304)와, 베어링(305)을 가진 벨로스 홀더(306)를 구비하고 있다.
이때, 상기 용기몸체(302)의 내부에는 주로 수소로 이루어진 가스가 대략2[atm]의 압력이 되도록 상기 리드(304)의 통풍구(304b)를 통해 주입되며, 주입후 통풍구(304b)는 밀봉된다.
또, 상기 리드(304)를 아아크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리드(304)의 내면에 세리막재료와 같은 내열재료로 만들어진 평면절연판(307)이 설치된다.
그리고, 구리합금으로 원기둥형상으로 만들어진 고정전극(308)에 있어서, 고정접촉부(308a)를 받치고 있는 상기 고정전극(308)의 일단(308b)이 상기 밀봉용기(301)의 내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국부적으로 직경이 큰 고정전극(308)의 중앙부분(308c)이 42 합급 등으로 만들어진 연결부품(309)을 통해 밀봉용기(301)에 땜질 등으로 부착된다.
상기 고정접촉부(308a)는 고정전극(308)과 동일한 재료로 만들어진다.
또, 너트(310)와 와셔(311)로 고정된 고정전극(308)의 다른 일단(308e)이 밀봉용기(301)로부터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전극(308)의 중앙부분(308c)이 하우징(DD)과 밀봉용기(301)에 부착된다(후술됨).
상기 일단(308e)은 나사산이 형성된 단자(308d)이다.
가동접촉기(312)는 평판형상으로 구리합금에 의해서 만들어지며, 상기 고정접촉부(308a)에 닿거나 이 고정접촉부(308a)로부터 떨어지기에 적당한 양 끝부분에 한쌍의 가동접촉부(312a)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가동접촉부(312a)는 가동접촉기(312)와 동일한 재료로 만들어진다.
한편, 가동축(313)은 둥근 막대형상이며, 조립상태에서 밀봉용기(301)로부터 돌출된 가동축(313)의 일단(313a)은 베어링(305)에 의해서 지지되어 있고, 가동축(313)의 다른 일단(313b)은 베어링(314)에 의해서 지지되어 있다.
접촉압력스프링(315)은 코일형상이며, 실린더 형상인 접촉압력스프링 프레임(316)의 외경보다 약간 큰 내경을 가지고 있다.
접촉압력스프링 프레임(316)은 개구부에 플랜지(316a)와 바닥에 관통홀을 가지고 있다. 또, 이 접촉압력스프링 프레임(316)은 벨로스(303)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가동접촉기 홀더(317)는 관통홀을 가진 중앙부분의 양측에 두 다리부분이 설치되는 양분된 형상이다.
가동축(313)은 다른 일단(313b)이 접촉압력스프링 프레임(316)의 밑면과 가동접촉기 홀더(317)의 중앙부분에 각각 형성된 관통홀을 통해 관통하게 고정된다.
접촉압력스프링(315)은 가동접촉기(312)와 접촉압력스프링 프레임(316)의 플랜지(316a) 사이에 설치되며, 이에따라 가동접촉기(312)는 가동접촉부(312a)가 고정접촉부(308a)에 닿는 방향으로 가동할 수 있게 된다.
복원스프링(318)은 코일형상이며, 가동접촉부(312a)가 고정접촉부(308a)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가동접촉기(312)를 가동시키게 설치된다.
복원스프링 프레임(319)은 세라믹재료와 같은 내열재료로 만들어지고, 밑면을 가진 실린더 형상이며, 그리고 접촉부에 인접한 부분에 설치되어 복원스프링(318)을 감싸게 된다.
한편, 영구자석 및 이 영구자석을 고정시키는 요크로 이루어진 자기수단(미도시)이 용기몸체(302)의 외면에 설치된다. 이에따라 상기 요크가 고정접촉부(308a)와 가동접촉부(312a)를 둘러싸게 되어 고정접촉부(308a)와 가동접촉부(312a)가 가동접촉부(312a)의 가동방향과 직각으로 교차하는 방향을 갖는 자장하에 놓이게 된다.
다음에, 제30도를 참조하여 전자디바이스인 구동부재(BB)에 대해 설명한다.
제30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코일보빈(321)상에 코일(320)이 감기게 되고, 절연부재로 만들어진 구동축(322)의 일단(322a)은 코일보빈(321)에 감긴 상기 코일(320)의 여자시 코일보빈(321)의 관통홀내에서 축방향으로 가동할 수 있는 가동코어(미도시)와 나사이음된다.
그리고 요크(323)는 중앙부분과 두 대응부분을 가진 U자형으로, 상기 코일(320)을 둘러싸게 된다.
구동축(322)은 가동코어와 나사이음되는 때 가동축(313)의 일단(313a)과도 닿게 된다.
상기 요크(323)에 요크판(324)이 부착된다.
상기 요크(323)의 중앙에 고정코어(325)의 일단이 부착되며, 이 고정코어(325)는 구동축(322)을 삽입하기 위한 축홀(325a)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들 부재들을 지지하기 위해 지지스프링(326)이 설치된다.
이제, 하우징(DD)에 대해 설명한다.
이 하우징(DD)은 지금까지 설명한 밀봉형 접촉부(AA)와 구동부재(BB)를 함께 수용하게 된다.
덮개(327)는 개구면(327a)을 가진 박스모양이며, 이 덮개(327)의 상단의 바닥부분(327b)에 한쌍의 관통홀(327d)이 있고, 이 관통홀(327d)에 국부적인 노치(327c)가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호리병모양을 이루고 있다.
관통홀(327d)의 모서리를 따라 상기 개구면(327a)축에 원주형 돌기(327e)가 모서리의 약간 바깥쪽으로 형성되어 있다.
덮개(327)와 밀봉용기(301) 사이에는 밀봉용기(301)의 내성을 흡수하기 위해 탄성재료로 만들어진 캡슐 쿠션(328)이 설치되어 있다. 이 캡슐 쿠션(328)은 덮개(327)의 원주형 돌기(327e)와 연결되는 이음부분(329)[제29도]의 구실도 한다.
또, 캡슐 쿠션(328)은 덮개(327)의 관통홀(327d)과 마찬가지로 호리병모양의 중첩홀(328e)을 가지고 있다.
하우징(DD)의 몸체(330)는 직사각형 튜브형상이며, 대각선적으로 마주보는 두 위치에서 개구면측으로 홀(330a)이 형성된 돌기를 가지고 있다.
몸체(330)의 내부는 중앙분리부(330b)에 의해서 상하양분되어 있으며, 이 중앙분리부(330b)의 중앙에 가동축(313)이 관통하게 되는 관통홀(330c)이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DD)의 바닥판(331)에는 나사홀(331a)이 형성되며, 이 나사홀(331a)을 통해 나사(332)와 몸체(330)의 홀(330a)이외의 홀(미도시)이 나사이음된다.
다음에, 하우징(DD)에 고정전극(308)을 설치하는 순서를 설명한다.
먼저, 하우징(DD)의 덮개(327) 안으로 밀봉용기(301)를 조립하게 되는데, 이를 위해 상기 밀봉용기(301)로부터 돌출된 고정전극(308)을 캡슐쿠션(328)의 중첩홀(328e)과 덮개(327)의 관통홀(327d)에 차례로 끼운 다음에, 관통홀(327d)측의 노치(327c)를 통해 접착제를 붙인다. 접착이 이루어지는 접착부분(333)은 덮개(327)의 관통홀(327d)의 내부주변과 고정전극(308)의 중앙부분(308c)의 외부주변 사이이다[제29도].
이제, 이 구체적 실시예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구동부재(BB)의 코일(320)이 여자되어 가동코어가 고정코어(325)에 흡착되면, 가동코어와 나사이음된 구동축(322)이 위로 가동하여 가동축(313)의 일단(313a)을 구동하게 되므로 가동접촉기(312)의 가동접촉부(312a)가 고정접촉부(308a)에 닿게 된다.
코일(320)의 여자상태가 해제되면, 가동접촉기(312)는 접촉압력스프링(315)을 극복한 복원스프링(318)의 복원력에 의해 원래 위치로 복원되며, 따라서 고정접촉부(308a)로부터 가동접촉부(312a)가 떨어지게 된다.
가동코어도 지지스프링(326)에 닿을때까지 가동하여 원래 위치로 복원된다.
한편, 복원시 가동접촉부(312a)와 고정접촉부(308a)사이에서 발생되는 아아크는 자기수단의 자장에 의해서 가동접촉기(312)의 양측 끝부분으로 진행하여 없어지게 된다.
본 실시예의 밀봉형 접촉 디바이스에서는 고정전극(308)의 일단(308b)이 고정접촉부(308a)를 지지하고 있고 다른 일단(308e)이 단자(308d)로 이용되기 때문에, 필요한 부분의수를 줄일 수 있다.
그리고, 고정전극(308)이 접착된 접착부분(333) 때문에, 하우징(DD)안으로의 밀봉형 접촉부(AA) 수용시 원주형 돌기(327e)에 닿게 되는 이음부분(329)의 휨이 가능해 진다. 따라서 원주형 돌기(327e)와 이음부분(329) 사이의 밀착성이 향상되어 원주형 돌기(327e)를 통해 접착제가 누출되지 않게 된다.
또, 본 구체적 실시예에서는 탄성재료로 만들어진 캡슐쿠션(328)이 원주형돌기(327e)에 닿는 상기 이음부분(329)으로 이용되기 때문에 이 원주형 돌기(327e)의 끝부분을 유연하게 만들어도 된다. 또, 원주형 돌기(327e)를 고무로 만들어 상기 원주형 돌기(327e) 자체가 탄성을 갖게 된다면, 이음부분(329)으로서의 캡슐 쿠션(328)은 더 이상 필요하지 않게 된다.

Claims (12)

  1. 그 내부에 전극을 수용하고 가스를 밀봉하기 위하여, 벨로스와 함께 가스 밀폐 공간을 내부에 형성하고 있는 밀봉용기, 고정전극, 상기 고정전극과 접촉하거나 고정전극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제공된 가동전극, 상기 가동전극이 상기 고정전극과 접촉하는 방향으로 상기 가동전극을 가압하기 위한 접촉압력스프링, 상기 가동전극이 상기 고정전극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상기 가동전극을 가압하기 위한 복원스프링, 및 일단이 상기 밀봉용기로부터 돌출되고 다른 일단이 상기 가동전극에 연결된 가동축을 포함하고 있는 밀봉형 접촉부; 상기 밀봉형 접촉부의 상기 가동축에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가동부를 포함하고 있는 구동부재 및 상기 구동부재의 상기 구동력을 상기 가동축에 전달하기 위해 상기 밀봉형 접촉부의 상기 가동축과 상기 구동부재의 가동부사이에 설치된 전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전달부재는, 상기 가동축에 대하여 구동력 전달위치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밀봉형 접촉부의 가동축에 결합된 조절수단을 가지고 있고, 상기 전달부재는, 일부에 상기 구동부재의 상기 가동부가 연결되고, 다른 일부에 상기조절수단을 통해 상기 밀봉형 접촉부의 상기 가동축에 연결된 연결부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형 접촉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재의 가동부와 상기 밀봉형 접촉부의 상기 가동축은 동축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고, 상기 연결부품은 상기 가동축을 축으로 하여 회전가능한 나사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형 접촉 디바이스.
  3. 그 내부에 접촉부를 수용하고 적어도 수소로 주로 구성된 가스를 밀봉하기 위하여, 벨로스와 함께 가스 밀폐 공간을 내부에 형성하고 있는 밀봉용기; 고정접촉부가 각각 구비되어 있는 한쌍의 고정전극; 상기 고정접촉부와 각각 접촉하거나 고정접촉부로부터 각각 이격되는 한쌍의 가동접촉부가 구비되어 있는 가동접촉기; 상기가동접촉부가 상기 고정접촉부와 접촉하는 방향으로 상기 가동접촉기를 가압하는 전력압력스프링; 상기 가동접촉부가 상기 고정접촉부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상기 가동접촉기를 가압하는 복원스프링; 일측면에 상기 복원스프링을 수용하기 위한 오목부를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고정전극사이에 설치된 리셉터클; 및 구동되기 위해 일단이 상기 밀봉용기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가동접촉기에 연결된 가동축;을 포함하고, 갭이 상기 고정전극과 상기 리셉터클 사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형 접촉 디바이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에는 상기 일측면상의 오목부의 외측상에 홈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형 접촉 디바이스.
  5. 그 내부에 접촉부를 수용하고 적어도 수소로 주로 구성된 가스를 밀봉하기 위하여 벨로스와 함께 가스 밀폐 공간을 내부에 형성하고 있는 밀봉용기; 고정접촉부가 각각 구비되어 있는 한 쌍의 고정전극; 상기 고정접촉부와 각각 접촉하거나 고정접촉부로부터 각각 이격되는 한 쌍의 가동접촉부가 일측면상에 구비되어 있는 가동접촉기; 상기 가동접촉부가 상기 고정접촉부와 접촉하는 방향으로 상기 가동접촉기를 가압하는 접촉압력스프링; 상기 가동접촉부가 상기 고정접촉부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상기 가동접촉기를 가압하는 복원스프링; 구동되기 위해 일단이 상기 밀봉용기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가동접촉기에 연결된 가동축; 및 가동접촉부와 고정접촉부가 이격되어 있을 때, 상기 가동접촉부가 상기 고정접촉부와 접촉하는 방향으로 상기 가동접촉기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가동축에 고정된 조절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동접촉기에는 일측면상에 상기 일측면에 대하여 적어도 실질적으로 같은 높이로 상기 조절부재를 수용하기 위한 오목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형 접촉디바이스.
  6. 그 내부에 접촉부를 수용하고 적어도 수소로 주로 구성된 가스를 밀봉하기 위하여, 벨로스와 함께 가스 밀폐 공간을 내부에 형성하고 있는 밀봉용기, 일단에는 고정접촉부가 구비되어 있고 다른 일단에는 일체로 형성된 단자부를 가지고 있는 고정전극, 상기고정접촉부와 접촉하거나 고정접촉부로부터 이격되는 가동접촉부가 구비되어 있는 가동접촉기, 상기 가동접촉부가 상기 고정접촉부와 접촉하는 방향으로 상기 가동 접촉기를 가압하는 접촉압력스프링, 상기 가동접촉부가 상기 고정접촉부로 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상기 가동접촉기를 가압하는 복원스프링, 및 일단이 상기 밀봉용기로부터 돌출되고, 상기가동접촉기에 연결된 가동축을 포함하고 있는 밀봉형 접촉부; 상기 고정접촉부에 대하여 상기 가동접촉부를 접촉 및 이격시키기 위해 상기 가동축의 상기 돌출된 일단을 구동하는 구동부재; 및 그 안에 상기 밀봉형 접촉부와 구동부재를 수용하고 있고, 그 안에 접착제를 넣기 위한 접착부분이 구비되어 있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접착부분을 외부에서 둘러싸는 원주상 돌기와, 상기 밀봉형 접촉부가 상기 하우징에 수용될 때 상기 원주상 돌기와 접촉하고 또한 탄성을 가지는 연결부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형 접촉 디바이스.
  7. 그 내부에 접촉부를 수용하고 적어도 수소로 주로 구성된 가스를 밀봉하기 위하여, 벨로스와 함께 가스 밀폐 공간을 내부에 형성하고 있는 밀봉용기; 고정접촉부가 각각 구비되어 있는 한쌍의 고정전극; 상기 고정접촉부와 각각 접촉하거나 고정접촉부로부터 각각 이격되는 한쌍의 가동접촉부가 구비되어 있는 가동접촉기; 상기 가동접촉부가 상기 고정접촉부와 접촉하는 방향으로 상기 가동접촉기를 가압하는 접촉압력 스프링; 상기 가동접촉부가 상기 고정접촉부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상기 가동접촉기를 가압하는 복원스프링; 구동되기 위해 일단이 상기 밀봉용기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가동접촉기에 연결된 가동축; 상기 고정접촉부에 대하여 상기 가동접촉기의 가동접촉부를 접촉 및 이격시키기 위해 상기 가동축의 상기 돌출된 일단을 구동하는 구동부재; 및 최소한 상기 한 쌍의 고정전극, 상기 가동접촉기, 상기 접촉압력 스프링, 상기 복원스프링, 상기 가동축, 및 상기 구동부재를 내부에 수용하기 위한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디바이스는, 기설정된 범위만큼 한방향으로 변위될 때 상기 구동부재를 위해 형성된 가동공간을 차지한 상태로 상기 하우징에 로크되는 로크수단; 및 상기 변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로크수단을 복원시키기 위해, 상기 로크수단을 가압하는 복원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형 접촉 디바이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수단은 각각의 상기 접촉부가 접촉되거나 이격되는 방향과 동일방향으로 변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형 접촉 디바이스.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수단은 축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구동수단과 동축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형 접촉 디바이스.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변위를 일정범위로 제한함으로써 상기 로크수단을 복원할 때 상기 로크수단이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형 접촉 디바이스.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수단의 상기 변위방향은 상기 하우징의 구성부재들이 결합된 평면과 직각으로 교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형 접촉 디바이스.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수단의 상기 변위방향은 상기 로크수단이 변위하는 방향과 직각으로 교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형 접촉 디바이스.
KR1019950020423A 1994-11-28 1995-07-12 밀봉형 접촉 디바이스 KR01716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293521A JP3024497B2 (ja) 1994-11-28 1994-11-28 封止接点装置
JP29352294 1994-11-28
JP6293523A JP2985693B2 (ja) 1994-11-28 1994-11-28 封止接点装置
JP94-293523 1994-11-28
JP94-293521 1994-11-28
JP94-293522 1994-11-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9360A KR960019360A (ko) 1996-06-17
KR0171684B1 true KR0171684B1 (ko) 1999-03-30

Family

ID=27337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20423A KR0171684B1 (ko) 1994-11-28 1995-07-12 밀봉형 접촉 디바이스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680084A (ko)
EP (1) EP0715326B1 (ko)
KR (1) KR0171684B1 (ko)
DE (1) DE69520820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04242B1 (fr) * 2000-01-21 2002-04-12 Abb Control Sa Bloc auxiliaire a contact etanche
JP2002124158A (ja) * 2000-10-16 2002-04-26 Mitsubishi Electric Corp 開閉装置
US7923650B2 (en) * 2001-02-22 2011-04-12 General Electric Company Ganged auxiliary switch configuration for use in a molded case circuit breaker
WO2007060945A1 (ja) * 2005-11-25 2007-05-3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電磁開閉装置
CN1321430C (zh) * 2006-03-06 2007-06-13 通领科技集团有限公司 具有压力平衡自动补偿的接地故障断路器动作机构
DE202007015207U1 (de) * 2007-11-02 2008-01-31 Moeller Gmbh Betätigungselement
JP2011014313A (ja) 2009-06-30 2011-01-20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直流遮断器
WO2011115050A1 (ja) 2010-03-15 2011-09-22 オムロン株式会社 接点開閉装置
CN101984503B (zh) * 2010-10-29 2012-09-26 河北能华节能接触器制造有限公司 一种立式交流接触器
JP5829616B2 (ja) * 2010-11-01 2015-12-09 日本特殊陶業株式会社 継電器
CN103999177B (zh) * 2011-10-18 2017-11-14 吉加瓦有限责任公司 密闭式密封的手动断开器
JP5990028B2 (ja) * 2012-04-13 2016-09-07 富士電機機器制御株式会社 接点装置及びこれを使用した電磁開閉器
DE102012104992A1 (de) 2012-06-11 2013-12-12 Eaton Industries Gmbh Schaltgerät
DE102012222328B4 (de) * 2012-12-05 2021-06-02 Siemens Aktiengesellschaft Schaltgerät
DE102012112202A1 (de) 2012-12-13 2014-06-18 Eaton Electrical Ip Gmbh & Co. Kg Polaritätsunabhängiges Schaltgerät zum Führen und Trennen von Gleichströmen
FR2999778B1 (fr) * 2012-12-18 2015-01-02 Schneider Electric Ind Sas Procede de reglage de la course d'ecrasement des contacts electriques d'un bloc de coupure, bloc pour la mise en oeuvre dudit procede et dispositif de commutation comportant un tel bloc.
CN104091706B (zh) * 2014-07-29 2016-08-10 厦门宏发电力电器有限公司 一种继电器及其电弧防护结构
JP6176364B1 (ja) 2016-06-14 2017-08-09 富士電機機器制御株式会社 接点装置及びこれを使用した電磁接触器
DE102017220503B3 (de) * 2017-11-16 2019-01-17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Doppelt unterbrechender Schalter
WO2020184108A1 (ja) * 2019-03-12 2020-09-17 アルプスアルパイン株式会社 電磁駆動装置及び操作装置
EP4165668A4 (en) * 2020-06-16 2024-05-22 Gigavac Llc CONTACTOR WITH INTEGRATED DRIVE SHAFT AND YOKE
DE102022110496B4 (de) * 2022-04-29 2023-12-21 Tdk Electronics Ag Schaltvorrichtung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08143C (de) * 1932-10-05 1935-01-16 Siemens Schuckertwerke Akt Ges Aus Isolierpressstoff bestehendes Gehaeuse fuer Hebelschalter o. dgl.
US2856485A (en) * 1957-03-18 1958-10-14 Gen Electric Circuit controlling device
DE1109759B (de) * 1958-10-25 1961-06-29 Hugo Miebach G M B H Lichtbogenloeschkammer fuer elektrische Schaltgeraete mit Permanentblasmagneten
CA671520A (en) * 1959-08-07 1963-10-01 C. Wells Bruce Electrical interlock
DE1264581B (de) * 1960-07-01 1968-03-28 Jennings Radio Mfg Corp Durch einen Hubmagneten elektromagnetisch steuerbarer und elektromagnetisch entriegelbarer bistabiler elektrischer Schalter
FR1479467A (fr) * 1966-03-22 1967-05-05 Unelec Contacteur à double système de commande de fermeture
DE2813699C2 (de) * 1978-03-30 1986-08-28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Elektromagnetischer Schalter, insbesondere für Andrehvorrichtungen von Brennkraftmaschinen
DE3402836A1 (de) * 1984-01-27 1985-08-01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ünchen Elektromagnetisches schaltgeraet
FR2562321B1 (fr) * 1984-03-28 1986-08-01 Telemecanique Electrique Appareil electrique de commutation comprenant un capot de protection des contacts, etanche au gaz
JPS60164743U (ja) * 1984-04-11 1985-11-01 株式会社ボッシュオートモーティブ システム サ−モスイツチ
JPH0622087B2 (ja) * 1987-05-25 1994-03-23 松下電工株式会社 封止接点装置
DE69302228T2 (de) * 1992-06-25 1996-10-0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Gekapselte Kontaktanordnung
JPH0623164A (ja) 1992-07-07 1994-02-01 Janome Sewing Mach Co Ltd メモリーカードの着脱検出装置を備えたミシン
JP3063444B2 (ja) * 1993-01-29 2000-07-12 松下電工株式会社 封止接点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680084A (en) 1997-10-21
DE69520820D1 (de) 2001-06-07
EP0715326A2 (en) 1996-06-05
EP0715326B1 (en) 2001-05-02
KR960019360A (ko) 1996-06-17
DE69520820T2 (de) 2001-11-22
EP0715326A3 (en) 1997-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71684B1 (ko) 밀봉형 접촉 디바이스
EP2341521B1 (en) Sealed cased magnetic switch
US20130228552A1 (en) Electromagnetic contactor
EP3846195B1 (en) Direct current relay
JPH03502021A (ja) 双安定性磁気アクチュエーター及び遮断器
EP0577185B1 (en) Sealed contact unit
JP2005026183A (ja) 電磁開閉装置
JPH10326530A (ja) 封止接点装置
US2435484A (en) Electric contact device
KR102640509B1 (ko) 아크 경로 형성부 및 이를 포함하는 직류 릴레이
KR102640537B1 (ko) 아크 경로 형성부 및 이를 포함하는 직류 릴레이
JP2514163Y2 (ja) 電磁スイッチ
KR102531476B1 (ko) 가동 접촉자부 및 이를 포함하는 직류 릴레이
KR102640508B1 (ko) 아크 경로 형성부 및 이를 포함하는 직류 릴레이
JP3690009B2 (ja) 封止接点装置
JP3024497B2 (ja) 封止接点装置
JP3031141B2 (ja) 封止接点装置
KR102640507B1 (ko) 아크 경로 형성부 및 이를 포함하는 직류 릴레이
JPH11238443A (ja) 封止接点装置
KR20230072768A (ko) 아크 경로 형성부 및 이를 포함하는 직류 릴레이
KR20230072769A (ko) 아크 경로 형성부 및 이를 포함하는 직류 릴레이
JPH0426172B2 (ko)
KR20230167851A (ko) 고전압 릴레이
JPH07153340A (ja) 封止接点装置
KR20230072771A (ko) 아크 경로 형성부 및 이를 포함하는 직류 릴레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1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