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0785B1 - 벌크제품과유체를포장하기위한콘테이너 - Google Patents

벌크제품과유체를포장하기위한콘테이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0785B1
KR0170785B1 KR1019910003715A KR910003715A KR0170785B1 KR 0170785 B1 KR0170785 B1 KR 0170785B1 KR 1019910003715 A KR1019910003715 A KR 1019910003715A KR 910003715 A KR910003715 A KR 910003715A KR 0170785 B1 KR0170785 B1 KR 01707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ircle
small
length
inscribed cir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037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6585A (ko
Inventor
안토니우스 마리아 브츠 제라루더스
Original Assignee
안토니우스 마리아 브츠 제라루더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토니우스 마리아 브츠 제라루더스 filed Critical 안토니우스 마리아 브츠 제라루더스
Publication of KR9100165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65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07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078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65D77/06Liquids or semi-liquids or other materials or articles enclosed in flexible containers disposed within rigid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1612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 B65D88/1631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with shape keeping flexible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Cosmetics (AREA)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 Bag Frame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Transition And Organic Metals Composition Catalysts For Addition Polymerization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 Buffer Packaging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 Lubric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쪽 선단이 밀폐될 수 있는 외피와, 이 외피의 원주에 대해 서로 떨어져 있는 4개의 점에서 외피와 연결되어 있으면서 형성하고자 하는 콘테이너 노피의 30 내지 100%의 길이를 갖는 내막으로 이루어진 벌크제품과 유체를 포장하기 위한 콘테이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밑부분과 이에 평행한 단면을 갖고 사각형에서 벗어난 장방형으로 된 블럭형태의 콘테이너를 얻기 위하여 장방형을 출발점으로 하여 원하는 외부크기를 갖고 장방형의 양쪽 장측면과는 접촉하되 장방형의 한쪽 단측면과는 접촉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내접원을 갖는다. 그리고, 제1라인은 장측면과 평행하게 확장되어 있으면서 내접원의 중심을 통과하게 되며, 제2라인은 단측면과 평행하게 확장되어 있으면서 내접원의 중심을 통과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의 라인들은 장방형의 직각교점들중 하나와 일치하는 직각교점을 갖는 소장방형으로 상기 장방형을 분리시킨다. 이등분선은 상기의 일치된 각각의 직각교점에서부터 장방형의 안쪽으로 설정되어 있다. 각각의 이등분선은 소형원의 중심을 통과하게 되고, 각각의 소형원은 그에 상당하는 이등분선이 설정되어지는 직각교점에서 만나게 되는 장측면과 단측면에 접촉하게 된다. 상기 소형원과 내접원의 교차점은 외피가 내막과 연결되는 점을 한정하게 된다. 이러한 교차점은 소형원의 중심에 놓여 있는 이등분선을 갖는 소장방형의 바깥쪽에 설정되지 않게 된다. 외피의 외부 원주길이는 소형원이 내접원과 교차하는 점들 사이에 있는 4개의 소형원에 있는 4개의 원호길이의 합과 내접원이 겹쳐져 있지 않는 내막의 외부 원주부위길이의 합이 된다.

Description

벌크제품 및 유체를 포장하기 위한 콘테이너
제1도 내지 제1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콘테이너의 수평단면도이고,
제15도는 제4도에 따른 콘테이너의 사시도이며,
제16도는 서로 연결되어 제4도의 콘테이너를 형성시키게 되는 4개 시이트부재의 평면도이고,
제17도는 서로 연결되어 제4도의 콘테이너를 형성시키게 되는 2개 시이트부재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은 벌크제품과 유체를 포장하기 위한 콘테이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양쪽 선단이 밀폐될 수 있는 외피(外被)와, 이 외피의 원주에 대해 서로 떨어져 있는 4개의 점에서 외피와 연결되어 있으면서 형성하고자 하는 콘테이너 높이의 30 내지 100%의 길이를 갖는 내막(內膜)으로 이루어진 벌크제품과 유체를 포장하기 위한 콘테이너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콘테이너에 대해선 EP-A-247696에 기재되어 있다. 이 기술에서는 외피에 연결되어 있는 내막을 제공하여 치수적으로 매우 안정하고, 상당히 높은 저장강도를 갖는 콘테이너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이러한 특별한 특성은 내막에서 원주방향으로 발생되는 인장력이 저장력으로 흡수되도록 변형을 주었기 때문이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콘테이너는 근본적으로 사각형의 밑면을 갖게 되지만 실제로 사각형을 벗어난 장방형의 밑면을 갖는 콘테이너가 절실히 요구되어 왔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콘테이너의 특성과 사각형밑면을 조합시킨 사각형을 벗어난 장방형의 밑면을 갖는 콘테이너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밑부분과 이에 평행한 단면을 갖고 사각형에서 벗어난 장방형으로 된 블럭형태의 콘테이너를 얻기 위하여, 장방형을 출발점으로 하여 원하는 외부크기를 갖고 장방형의 양쪽 장측면과는 접촉하되 장방형의 한쪽 단측면과는 접촉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내접원을 가지며 장측면과 평행하게 확장되어 있으면서 내접원의 중심을 통과하게 되는 제1라인과 단측면과 평행하게 확장되어 있으면서 내접원의 중심을 통과하게 되는 제2라인을 갖되 여기서 제1라인과 제2라인에 의해 장방형의 직각교점들중 하나와 일치하는 직각교점을 갖는 소장방형으로 상기 장방형이 분리되며, 상기의 일치된 각각의 직각교점에서 부터 장방형의 안쪽으로 설정된 각각의 이등분선이 소형원의 중심을 통과하게 되고, 각각의 소형원은 그에 상당하는 이등분선이 설정되어지는 직각교점에서 만나게 되는 장측면과 단측면에 접촉하게 되며, 외피와 내막이 연결되는 점으로 한정되는 소형원과 내접원의 교점이 소형원의 중시에 놓이게 되는 이등분선을 갖는 소장방형의 바깥쪽에 설정되어 있지 않고, 소형원이 내접원과 교차하는 점들 사이에 있는 4개의 소형원에 있는 4개의 원호길이의 합과 내접원이 겹쳐져 있지 않는 내막의 외부 원주부위길이의 합을 외피의 원주길이로 하여서 되는 벌크제품과 유체를 포장하는 콘테이너임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형상을 위해 사각형의 콘테이너에서 부터 출발하여 가상적으로 둘로 나누고 하나나 두부분을 일정거리 이상으로 왼쪽이나 오른쪽으로 이동시키면 근본적으로 장방형의 콘테이너가 안출되게 된다. 여기서 새로운 중심을 설정하여 외피로 한정되는 2개의 각도를 갖는 격실을 구성하고 격실은 근본적으로 수지방향의 힘이 외피의 부위로 원주방향에서 발생되는 힘을 다시 흡수하게 되는 원의 배열을 보이게 된다. 이러한 배열을 위해서 원호의 형태를 가정할 수 있다. 제1라인의 방향에서 바깥쪽으로 직각격실을 이동시키고 그들을 확장시키므로서, 사각형 외피의 반대편에 배열된 2개의 측면이 확장되게 되고 근본적으로 사각형의 콘테이너를 기초로하는 기본원리를 사용하여 원하는 장방형의 외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것은 저장강도와 아주 높은 치수안정성, 특히 측면팽창을 억제시켜주게 된다.
지금까지 설명한 기존의 사각형 콘테이너에서와 같이, 내막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즉, 자유흐름물질의 경우에 내막의 원주길이가 내접원의 원주길이와 같게 되고, 유체인 경우에는 내막의 원주길이가 소형원과 내접원의 교차점 사이에 있는 4개의 길이의 합과 내접원이 두개의 인접된 소형원과 교차하는 점 사이에 있는 4개의 내접원의 원호길이의 합과 같게 된다.
장방형에 의하여, 내막의 원주길이는 두 장측면과 단측면중 하나와 접촉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소형원으로 덮혀져 있지 않은 내접원의 원주길이의 합에 상기 내접원과 겹쳐져 있지 않는 소형원의 원주길이의 합을 더한 것과 같게 될 수 있다. 여기서, 외피뿐만 아니라 내막도 마찬가지로 가상적으로 둘로 나누어진다. 이 개념은 장방형의 대칭축인 짧은 축에서 서로 교차하게 되는 2개의 내접원이 존재하는 구현예를 가장 명확히 설명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교차점은 콘테이너가 완전히 채워진 상태에서 짧은 대칭축을 따라 확장된 벽면부재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게 된다.
더욱 가능한 것은 원래의 한조각 실린더개념을 유지하는 것이지만 동시에 장방형은 제1라인의 위치에서 고려해 볼 때 내막의 외부 원주길이는 하나의 단측면과 많아야 하나의 장측면과 접하게 되는 적어도 하나의 내부원과 겹쳐지지 않는 내접원의 원주길이의 합에 내접원과 겹쳐지지 않는 내부원 또는 내부원들의 원주길이를 합한 것과 같다.
직각격실은 여러가지 방법으로 만들 수 있으므로 각각의 소형원이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쌍을 이루는 소형원들은 제1라인에 대해 같은 직경을 가지거나 모든 소형원들이 같은 직경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형원과 내막의 교차점은 그에 상당하는 소형원이 있는 소장방형의 내부에 있게 된다. 대부분의 경우에 인접하는 두개의 소형원의 중심은 제1라인의 반대측면에 위치하고 그들의 직경은 같다. 그리고, 소형원과 내접원의 교차점중 하나는 제1라인에 있게 된다. 그 이외의 교점은 소장방형내에 위치하게 된다.
장방형내에서 내접원의 위치는 완전히 채워진 상태에서 콘테이너의 원하는 외피형태와 장방형의 장측면과 단측면의 비율등에 따라 장방형의 한 단측면과 접촉하는 위치에서 장방형의 다른 단측면과 접촉하는 위치까지 변화시킬 수 있다. 콘테이너의 대칭을 최대화하기 위해서는 내접원의 중심이 장방형의 대각선의 교점에 위치하거나 소형원의 직경이 모두 같거나하는 방법으로 내접원이 장방형의 두개의 단측면 모두에 접촉하지 않아야 한다.
본 발명의 원리를 더 설명한다면, 2개의 인접된 소형원의 중심이 제1라인의 반대측면에 있고, 외피는 장방형의 단측면과 접하고 그와 관련된 두개의 인접된 소형원과 접하거나 교차하게 되는 부가된 원의 일부인 부가된 원호에 의하여 정의된다. 최대한으로 대칭을 이루는 콘테이너, 예를들면, 제1라인에 대한 유리대칭인 콘테이너는 두개의 인접된 소형원의 직경을 같게 하고 부가된 원의 중심이 제1라인에 위치하게 될 때 얻어지게 된다. 본 발명의 기본원리를 사용하여 하나 또는 2개의 원호를 부가함으로서 장방형에 훨씬 더 접근시킬 수 있어 자연적으로 매우 높은 치수안정성과 저장강도를 유지시킬 수 있다. 사용되는 물질과 제조비용에 따라서 각 경우에 그러한 원호를 부가시키는 것이 실제로 유용한지 아닌지를 결정하여야 한다.
또한, 장방형으로 가장 가까운 접근은 두개의 내접원이 존재할 때 장방형의 짧은 대칭축에서 서로 교차하여 그 교차점이 상기 콘테이너가 완전히 채워진 상태일때 짧은 대칭축을 따라 연장된 벽면에 서로 관려될 때 본 발명의 따른 구현예가 얻어지게 된다.
외피와 내막에 방해를 주지 않는 연속된 원주를 갖게 할 때, 이것은 외피와 내막이 원호를 팽창시키므로서 겹쳐지지 않게 되는 내막의 외부 원주부위를 따라 표면 대 표면으로 체결시키면 된다. 더우기, 이 구현예에서 내막을 그물망으로 할 수도 있다.
외피와 내막을 둘다 포장하고자 하는 물질에 대해 불투과성의 물질로 만드는 것은 포장물질에 대한 경제적인 측면에서 바람직하며, 외피나 내막원호를 팽창시키므로서 겹쳐지지 않게 되는 내막의 외부 원주부위를 따라 생략되게 된다.
이러한 콘테이너는 형성하고자 하는 콘테이너의 높이와 같은 가로크기를 갖는 시이트로 이루어진 4개의 부품으로 만들때 아주 간단한 방식으로 실현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제1, 제2, 제3 및 제4 부품은 제1, 제2, 제3 및 제4 소장방형으로 외피 및 내막의 길이와 같은 길이를 가지며, 이 부품들은 뒤로 젖혀지는 시이트부위와 소장방형의 내막의 길이와 같은 길이를 가지는 뒤로 젖혀지지 않는 시이트부위로 되어 있고, 뒤로 젖혀지는 부위는 내접원과 소형원의 원하는 교차점에서 뒤로 젖혀지지 않은 부위에 고정되게 된다. 그리고 뒤로 젖혀진 시이트의 길이는 부착된 두점사이를 교차점사이에 있는 소형원의 원호길이와 같게 한다. 그리고 상기 4개의 부품은 모두 콘테이너의 높이가 되며, 한쌍의 뒤로 젖혀진 라인과 뒤로 젖혀지지 않은 한쌍의 선단이 고정되게 서로 연결된다.
또한 2개의 부품으로도 제조가 가능한데, 이때 이부분은 형성시키고자 하는 콘테이너의 높이와 같은 가로크기를 가지며, 인접된 소장방형에서 외피와 내막의 길이와 같은 길이를 가지는 한 부분과 나머지 두개의 소장방형에서의 외피와 내막의 길이와 같은 길이를 가지는 다른 부분으로 되어 있는 시이트로 이루어져 있되 그의 양쪽 선단에서는 뒤로 겹쳐진 시이트부위가 있고 뒤로 젖혀지지 않은 부위는 그에 상당하는 소장방형의 내막의 길이와 같은 길이를 가지며, 뒤로 젖혀진 부위는 내접원과 소형원의 원하는 교차점에서 뒤로 젖혀지지 않은 부위에 고정되어 있고 뒤로 젖혀진 부위는 부착된 두점사이를 교차점사이에 있는 소형원의 원호길이와 같으며, 상기 두 부품점은 콘테이너의 전 높이를 통해서 각각 다른 한쌍의 뒤로 겹쳐지는 라인에 고정되게 서로 연결되게 된다.
비록 앞에서 언급한 구조는 주로 단일의 실린더형 내막과 4개의 팽창원호로 된 콘테이너에 대한 것이며, 각각의 한쪽 선단은 제1라인에 위치한다. 본 발명에 따른 콘테이너의 다른 배열은 그 형상과 사용되어지는 시이트의 길이를 비교적 간단히 조정하므로서 실현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제1도에서, 장방형의 경계선을 갖는 콘테이너는 2개의 장측면(1a)과 2개의 단측면(1b)을 갖는 장방형(1)으로 표시되어 있으며, 장방형(1)의 내부에는 하나의 내접원(2)이 제공되어 있다. 이 내접원(2)은 그 직경이 단측면(1b)의 길이와 같으며, 양쪽의 장측면(1a)과 접하고 있다. 그리고, 장방형(1)의 직각교점(3a-3d)에서부터 이등분선(4a-4d)이 표시되어 있는데, 동일한 단측면(1b)상에서 출발하는 한쌍의 이등분선(4a와 4b, 4c와 4d)은 장측면(1a)과 나란하게 표시되어 있는 내접원(2)의 축(2a)상에서 서로 교차하게 된다. 이 축(2a)상에서의 이등분선(4a,4b)의 교차점과 다른 이등분선(4c,4d)의 교차점간의 거리는 장측면(1a)과 단측면(1b)의 길이의 차(差)와 언제나 같으며, 이때 단측면(1b)과 나란하게 되어 있는 내접원(2)의 축(2b)은 상기 교차점들의 사이나 극단적인 경우에는 한 교차점에서 직각으로 축(2a)을 교차하게 될 것이다. 축의 교차점은 내접원(2)이 한쪽 단측면(1b)에 접할때에는 한계를 지울 수 없게 된다. 상기의 축(2a, 2b)은 장방형(1)을 다시 4개의 소(小)장방형으로 분리시키게 되고, 이 소장방형은 각각 장방형(1)에 있는 직각교점(3a-3d)과 이등분선(4a-4b)을 하나씩 포함하게 된다. 상기 이등분선(4a-4d)들은 또 다른 소형원(5a-5d)의 중심선상에 있게 되며, 이 소형원(5a-5d)들은 이등분선(4a-4d)이 출발하게 되는 직각교점(3a-3d)을 형성하는 장측면(1a)과 단측면(1b)과 접하게 된다. 그리고, 비록 소형원(5a-5d)의 중심선으로 되어 있는 이등분선을 포함하는 소장방형내에 소형원(5a-5d)의 중심선으로 되어 있는 이등분선을 포함하는 소장방형내에 소형원(5a-5d)과 내접원(2)의 교차점이 놓여 있거나 하나의 교차점이 소장방형내에 그리고 다른 교차점이 축(2a)상에 있을 수 있지만 소형원(5a-5d)의 직경은 서로 독립되어 있으면서 넓은 여백 내에서 임의로 선택될 수 있다.
지금까지 콘테이너의 구조적인 배치에 대해 기술하였는데, 콘테이너 자체는 완전히 팽창된 상태의 내막(內膜)과 외피(外被)로 이루어져 있다. 내막은 실린더형태로서 상기의 내접원(2)과 동일한 단면을 가진다고 볼 수 있고, 외피는 내접원(2)의 바깥쪽에 위치하고 있는 것과 같은 4개의 소형원(5a-5d)의 부위에 상당하는 원호(圓弧)형태로서 4개의 벌지(bulge)형상을 하고 있는데, 여기서 원호사이에 있는 내피의 외부 원주에 대해서는 다음에 설명하기로 하고 이들에 대한 단면과 완전히 팽창된 상태를 제1도를 통해 보면 굵게 표시한 선이 바로 콘테이너를 구성하는 부위이다.
제1도에서, 축(2b)은 단측면(1b)에 대해 대칭적으로 설정되어 있으며, 더 정확하게는 이등분선(4a-4d)과 축(2a)과의 두교점의 중간을 지나가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축간의 교차점은 두교차점(이등분선과 축과의 교차점)사이의 어느 위치에 설정할 수도 있다. 첨부도면 제2도에 예시한 바와 같이 중앙점의 변화를 보면, 축(12b)이 이등분선(14c-14d)의 교차점보다는 이등분선(14a-14b)의 교차점에 더 가까운 지점에서 축(12a)과 교차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첨부도면 제2도는 소형원(15a-15d)의 위치와 형태면에서 제1도와 다르다. 여기서, 소형원(15a-15d)은 직경이 같으며, 이들의 중심은 이등분선(14a,14b)상에 위치하게 되고, 두 소형원(15a 15b)은 모두 축(12a)상의 같은 점에서 내접원(12)과 교차하게 된다. 그리고, 소형원(15c,15d)은 비록 소형원(15a,15b)의 직경보다 작으면서 서로 같은 직경을 갖고 있지만 유사한 위치에 있다. 첨부도면 제1도에서와 같이 다른 도면에서도 실제의 콘테이너의 벽면은 굵은 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한편, 제3도에는 서로 같은 4개의 소형원(25a-25d)이 표시되어 있는데, 여기서 이등분선(24a-24d)과 축(22a)과의 교차점에 대한 축(22b)의 위치가 제2도와 똑같기 때문에 소형원(25a,25b)은 축(22a)과 떨어진 지점과 그 자체가 속한 소장방형의 내부에서 내접원(22)과 교차하게 된다.
첨부도면 제4도는 4개의 같은 소형원(35a-35d)이 사용되고 있고 제1도와 같이 축(32b)이 2개의 단측면(31b)에 대해 대칭되는 위치에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균형이 최대로 유지된 장방형의 콘테이너가 얻어지게 된다.
제4도에 따른 대칭형의 콘테이너를 변형시킨 것이 제5도이다. 여기서, 소형원(45a-45d)의 직경은 제4도와 같으나, 장측면(41a)의 길이가 제4도의 장측면(31a)의 길이보다 작게 되어 있다. 앞에서도 설명했듯이 이로 인해 소형원(45a-45d)과 내접원(42)과의 교차점이 더이상 축(42a)과 일치하지 않게 된다.
제6도는 축(52a,52b)의 교차점이 이등분선(54a,54b)의 교차점과 일치하고 있음을 보여 주고 있으며, 그로 인해 내접원(52)이 단측면(51b)과 접촉하게 된다.
한편, 제7도는 제6도와 구조적인 면에서 비교하여 나타낸 구현예이지만 이 구현예는 특히 유체를 포장하고자 하는데 적합하다. 유체는 압력을 균일하고도 곧 바로 전달한다는 사실 때문에 내막의 형태를 실린더형에서 벗어나게 할 수 있다. 즉, 적어도 한쪽 측면에 있는 유체를 벽면부위의 다른쪽 측면에 있는 유체로 전달되게 한다면 콘테이너의 벽면부위는 양쪽 측면에 포장된 유체와 접촉하게 된다. 제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막의 부위가 외피의 원호를 팽창시켜서 덮어 놓은 것과 같이 된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외부원주에 있는 여러개의 원호배열을 정하게 되는 콘테이너의 위치를 내접원(62)과 소형원(65a-65d)의 교차점의 부위로 유지시킨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소형원(65a-65d)과 내접원(62)과의 두교차점은 편평하고, 똑바른 벽면부위(66a-66d)로 서로 연결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벽면부위는 내접원(62)의 반경과 같은 반경을 가지는 원호부위를 서로 연결하게 된다.
첨부도면 제8도는 제5도와 비교하여 나타낸 구현예이지만 이 구현예는 특히 유체를 포장하기 위해 배열을 다시 한 것이다. 여기서, 자유흐르물질인 경우에는 유체의 경우와 같은 상태가 일어날 수 있으며, 특히 내막을 그물망으로 만든 겨우에는 콘테이너의 외피안에 포장된 물질이 한쪽 격실에서 다른쪽 격실로 쉽게 이동되게 된다.
유체를 포장하기 위한 세번째 구현예가 제9도에 나타나 있는 바, 이 구현예는 제4도와 비교하여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콘테이너는 어떤 정확한 정사각형의 각도를 포함하고 있는 것은 아니지만 소형원의 반경이 작을수록 정사각형의 각도에 더 가깝게 접근하게 된다. 그렇지만, 소형원의 반경이 점점 감소함에 따라 장방형의 단측면상에 있는 두개의 소형원간의 스페이스는 작아지게 된다. 소형원을 비교적 작게 선택을 하고 자유로운 중간스페이스를 가능한한 넓게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10도의 구현예가 선택될 수 있다. 이 구현예에서 외피는 부가된 2개의 원(77a 또는 77b)을 포함하도록 확장되어 있는데, 이 원호는 각각 단측면(71b)과 접촉되어 있으며, 소형원(75a-75b 또는 75c-75d)과 같은 점에서 내접원(72)과 교차하게 된다. 이 구현예에서 부가된 원(77a,77b)의 중심은 축(72a)상에 있게 되며, 직경은 서로 같다. 이것은 서로 비슷한 4개의 소형원(75a-75d)을 사용한 결과이다. 상기의 4개의 소형원이 서로 다를때는 부가된 소형원의 직경은 서로 다를 수도 있고 또는 그들의 중심이 더 이상 축(72a)상에 위치하지 않을 수도 있다.
콘테이너의 폭을 보다 길게 하고자 계획할때는 즉, 장방형의 장측면을 장방형의 단측면에 대해 두배 이상으로 하고자 할때는 첨부도면 제11도의 구현예가 선택될 수 있다. 이 구현예는 확장된 내막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출발점은 3개의 내접원(82,82', 82″)을 갖는 장방형(81)이며, 이 내접원들은 모두 장방형의 장측면(81a)과 접촉하게 된다. 이때 내접원(82)은 장방형의 두 단측면(81b)의 대칭위치에 있고, 다른 내접원(82')은 장방형의 한쪽 단측면(81b)과 접촉되어 있으며, 또 다른 내접원(82″)은 장방형의 다른쪽 단측면(81b)과 접촉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장방형(81)의 직각교점(83a-83b)에서 부터 이등분선(84a-84b)이 설정되어 있고, 그 중심은 소혀원(85a-85d)에 위치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소형원(85a-85d)은 그것에 인접되어 있는 장방형의 단측면과 장측면에 접촉되어 있다. 상술한 구현예들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 구현예에서도 내접원(82'및/또는 82")을 반드시 장방형의 단측면과 접촉되지 않고 스페이스가 있게 할 수도 있다. 이때 하나나 그 이상으로 부가된 내접원들이 긴 콘테이너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첨부도면 제12도의 구현예는 내막이 2개의 내접원(92,92')의 원호로 형성된 것을 보여주는 것으로서, 여기서, 상기의 내접원들은 각각 장방형의 양쪽 장측면(91a)과 접촉되어 있으면서 장방형의 한쪽 단측면(91b)과 각각 접촉되어 있다. 이 구현예에서도 상기 구현예들과 같이 내접원(92 및/또는 92')이 인접되어 있는 장방형의 단측면과 반드시 접촉되어 있을 필요는 없다. 콘테이너의 내막이 적절히 원하는 방식으로 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두 내접원(92,92')의 교차점이 그들 위치에 있어야 한다. 즉 이것은 축(92b)을 따라 확장되어 있고 내접원(92,92')의 두 교차점(92c,92d)을 연결하고 있는 중앙평면벽막(98)에 의하여 제공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중앙평면벽막(98)에는 통로가 있을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소형원(95a-95d)은 장방형(91)의 구석진 부분에 다시 있게 된다.
첨부도면 제13도는 내막을 더 확장시킬 수 있음을 예시한 구현예로서, 내접원(102)에 덧붙혀서 또 다른 내부원(109a,109b)이 장방형(101)안에 제공되어 있다. 상기 내부원은 각각 장방형의 단측면(101b)에 접촉되어 있으며, 내접원(102)보다 작은 직경을 갖고 있다. 그리고 제13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부원(109a,109b)의 직경은 반드시 서로 동일할 필요도 없지만 그의 중심이 축(102a)상에 있지 않아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장방형(101)의 안쪽에 4개의 소형원(105a-105d)이 다시 제공되게 된다. 상기 제13도를 제1도와 비교하여 보면 내부원(109a,109b)의 사용을 통해서 콘테이너의 외피는 원하는 장방형에 보다 가깝게 접근하게 되지만 콘테이너의 제조시 더 복잡한 경향이 있고, 요구되는 재질의 양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대부분 어떤 콘테이너를 선택하느냐에 따라 비용이 결정되게 된다. 한편, 첨부도면 제14도는 제10도와 제13도가 조합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 구현예에서는 축(112a)의 반대쪽에 있는 두개의 소형원(115a와 115b 또는 115c와 115d)간의 스페이스는 제10도와 같은 방식으로 부가된 원(117a 또는 117b)의 원호로 채워지게 된다. 하지만 이들 부가된 원들은 제13도의 구현예에서 사용된 것과 같이 내부원의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벽면 부위를 내부원의 원호로 하는 제13도와 같은 경우 대신에 이 구현예에서는 부가된 원(117a 또는 117b)과 소형원(115a, 115b 또는 115c, 115d)과의 교차점에서 그에 상당하는 소형원의 원호가 내막까지 이어진 것이 콘테이너의 벽면이다.
정확한 장방형(111)에 보다 근접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원리를 보다 더 상세하게 해야 되는바, 즉, 첫번째 4개의 원과 같이 장방형의 단측면과 장측면에 접촉하는 제2그룹의 소혀원(115a'-115d')을 4개 구성시켜야 한다. 이 소형원의 중심은 장방형(111)의 장측면과 단측면이 만나는 장방형(111)의 직각교점에서 출발하는 이등분선상에 있게 된다. 제2그룹의 4개의 소형원(115a'-115d')의 직경은 제1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교적 작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2그룹의 소형원(115a'-115d')은 이론적으로 중요하지 않을 수도 있다. 따라서, 유체를 포장할 때 아주 간단한 방식으로 달성될 수 있게 된다. 더우기, 제2그룹의 소형원(115a'-115d')은 예를들면, 콘테이너를 채울때 열려져 있는 콘테이너를 유지시키기 위한 적층프레임이나 보조프레임의 로드(rod)나 바아(bar)의 설치를 위해서 그 스페이스에 제공될 수 있다.
제15도는 제4도의 구현예에 따른 콘테이너의 사시도로서 콘테이너가 완전히 채워져 있는 상태를 가정하여 나타낸 것이다. 즉, 이 콘테이너는 제4도에서의 내접원(32)에 해당하는 원형단면을 갖는 실린더형의 내막(132)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이 내막(132)에는 본 발명에 따라 제4도에서 소형원(35a-35d)에 관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원호형상의 4개의 팽창벽면부위(135a-135d)가 있다. 벽면부위(135a-135d)는 장방형이면서 수평단면을 갖는 직각블럭(131)의 측면과 접촉하게 된다.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콘테이너는 완전히 채워진 상태에서 다른 것도 있지만 측벽이 팽창되지 않는다는데 있다. 이 의미는 완전히 채워진 콘테이너를 인게이싱 박스(encasing box), 백(bag) 또는 바구니(crate)로 완전히 채워진 콘테이너를 옮길때 아무런 문제가 없다는 것이다. 여기서 박스, 백 또는 바구니의 내부크기는 적어도 상기와 같은 직각블럭(131)형상에 상당하는 크기를 갖는 것들이다. 따라서, 이러한 콘테이너는 그 속이 채워지기 전에 상기와 같은 박스, 백 또는 바구니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의 인케이싱 박스, 백 또는 바구니 이외의 수단으로 콘테이너의 상단이나 하단을 밀폐시키기 위해서는 외피에 부착될 수 있는 포장재가 제공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내막보다 외피를 길게 만들수도 있고, 하단과 상단에서 내막에까지 확장될 수 있게 외피를 설치할 수도 있는데 이 부위는 안쪽으로 겹쳐질 수 있게 해야 되고, 임의로 고정시켜 콘테이너의 덮게 및/또는 밑면의 역할을 할 수 있어야 한다.
제16도와 제17도는 제15도의 콘테이너를 이해할 수 있는 두가지 방법을 예시한 것으로서, 제16도를 보면, 출발점이 4개의 시이트이며, 원리적으로 보면, 각각 내막(132)을 4등분한 원주길이와 벽면부위(135a-135d)중 하나의 원호길이를 동시에 갖는다. 임의의 선단부(136)를 출발점으로 하여 이 시이트는 내막(132)의 4등분된 원주길이 이후에 뒤로 젖혀지게 되므로 젖힘라인(137)이 형성되게 된다. 이 뒤로 젖혀지는 부위는 보조적인 구조를 나타낸 도면인 제4도를 사용하여서 결정된 점에 위치하는 라인(138)을 따라 시이트의 다른 부위에 고정되게 된다. 이와 관련된 점은 소형원(35a-35d)과 장방형의 장측면(31a) 가까이에 있는 내접원(32)과의 교차점이 된다. 따라서, 이렇게 처리된 시이트는 제16도에서와 같이 서로 상대되는 부위에 놓이게 되며, 그 후 한쌍의 겹침라인(137)과 한쌍의 임의의 선단부(136)를 서로 고정시키는 수단에 의해 콘테이너가 형성되게 된다.
한편, 제17도에서는 젖힘라인(139)의 형성을 위해 뒤로 젖혀지게 되는 각 시이트는 2개의 임의의 선단부와 제16도에서의 부호 138에 상당하는 점에 고정되게 되는 임의의 선단부를 갖는 2개의 시이트로 시작된다. 여기서, 콘테이너는 한쌍의 젖힘라인(139)의 교차에 의하여 완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내에서 여러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므로 본 발명은 첨부도면 제1도 내지 제14도의 구현예에 국한하지 않으며, 지금까지 설명된 것과 다른 것들이 조합 및 결합될 수도 있다. 특히 제16도와 제1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콘테이너를 얻기 위한 실현가능한 형태가 예시된 방법으로만 제시되게 되고, 어떠한 방법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지는 못한다.

Claims (19)

  1. 양쪽 선단부가 밀폐될 수 있는 외피와, 이 외피의 원주에 대해 서로 떨어져 있는 적어도 4개의 점에서 상기 외피와 연결되면서 형성시키고자 하는 콘테이너 높이의 30 내지 100%에 해당하는 길이를 갖는 내막으로 이루어진 콘테이너에 있어서, 밑부분과 이에 평행한 단면을 갖고 사각형에서 벗어난 장방형으로 된 블럭 형태의 콘테이너를 얻기 위하여 장방형을 출발점으로 하여 원하는 외부 크기를 갖고 장방형의 양쪽 장측면과는 접촉되어 있되 장방형의 한쪽 단측면과는 접촉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내접원을 가지며, 장측면과 평행하게 확장되어 있으면서 내접원의 중심을 통과하게 되는 제1라인과 단측면과 평행하게 확장되어 있으면서 내접원의 중심을 통과하게 되는 제2라인을 갖되 여기서 제1라인과 제2라인에 의해 장방형이 직각 교점들 중 하나와 일치하는 직각 교점을 갖는 소장방형으로 상기 장방형이 각각 분리되며, 상기의 일치된 각각의 직각 교점에서부터 장방형의 안쪽으로 설정된 각각의 이등분선이 소형원의 중심을 통과하게 되고, 각각의 소형원은 그에 상당하는 이등분선이 설정되어지는 직각 교점에서 만나게 되는 장측면과 단측면에 접촉하게 되며, 외피와 내막이 연결되는 점으로 한정되는 소형원과 내접원의 교점이 소형원의 중심에 놓이게 되는 이등분선을 갖는 소장방형의 바깥쪽에 설정되어 있지 않고, 소형원이 내접원과 교차하는 점들 사이에 있는 4개의 소형원에 있는 4개의 원호 길이의 합과 내접원이 겹쳐져 있지 않는 내막의 외부 원주 부위 길이의 합을 외피의 원주 길이로 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크 제품과 유체를 포장하기 위한 콘테이너.
  2. 제1항에 있어서, 내막의 외부 원주의 길이는 내접원의 원주 길이와 같음을 특징으로 하는 벌크 제품과 유체를 포장하기 위한 콘테이너.
  3. 제1항에 있어서, 내막이 외부 원주의 길이는 각 소형원과 내접원간의 한쌍의 교차점 사이에 있는 4부분의 길이의 합과 내접원과 한쌍의 인접된 소형원의 교차점 사이에 있는 내접원 원호의 짧은 4부분의 길이의 합과 같음을 특징으로 하는 벌크제품과 유체를 포장하기 위한 콘테이너.
  4. 제1항에 있어서, 내막의 외부 원주의 길이는 장측면과 단측면 중 하나와 접촉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소형원과 겹쳐져 있지 않은 내접원의 원주 길이의 합에 상기 내접원과 겹쳐져 있지 않은 또 다른 내접원의 원주 길이의 합을 더한 것과 같음을 특징으로 하는 벌크 제품과 유체를 포장하기 위한 콘테이너.
  5. 제1항에 있어서, 내막의 외부 원주의 길이는 장측면 하나와 많아야 하나의 단측면과 접촉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내부원과 겹쳐져 있지 않은 내접원의 원주 길이의 합에 상기 내접원과 겹쳐져 있지 않은 내부원 또는 내부원들의 원주 길이의 합을 더한 것과 같음을 특징으로 하는 벌크 제품과 유체를 포장하기 위한 콘테이너.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2개의 인접된 소형원은 그 중심들이 제1라인의 반대 측면에 있으며, 서로 같은 직경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벌크 제품과 유체를 포장하기 위한 콘테이너.
  7. 제6항에 있어서, 나머지 2개의 인접된 소형원은 그 중심이 제1라인의 반대측면에 있으며, 서로 같은 직경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벌크 제품과 유체를 포장하기 위한 콘테이너.
  8.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모든 소형원은 같은 직경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벌크 제품과 유체를 포장하기 위한 콘테이너.
  9.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2개의 인접된 소형원은 그 중심이 제1라인의 반대측면에 있고, 같은 직경을 가지며, 인접된 소형원과 내접원의 교차점 중 하나는 제1라인에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벌크 제품과 유체를 포장하기 위한 콘테이너.
  10.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내접원은 장방형의 한쪽 단측면은 물론 다른쪽 단측면과도 접촉되어 있지 않음을 특징으로 하는 벌크 제품과 유체를 포장하기 위한 콘테이너.
  11.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내접원의 중심은 장방형의 대각선의 교차점임을 특징으로 하는 벌크제품과 유체를 포장하기 위한 콘테이너.
  12.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인접된 소형원은 그 중심이 제1라인의 반대측면에 위치하며, 외피는 장방형의 인접된 단측면과 접촉하고 두개의 인접된 소형원과 접촉 또는 교차하는 부가된 원의 일부인 원호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벌크 제품과 유체를 포장하기 위한 콘테이너.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의 인접된 소형원은 같은 직경을 가지며, 부가된 원의 중심은 제1라인에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벌크 제품과 유체를 포장하기 위한 콘테이너.
  14.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2개의 내접원은 장방형의 짧은 대칭축 상에서 교차하고, 그 교차점은 콘테이너가 완전히 채워질 때 짧은 대칭축을 따라 확장되는 벽면 부위에 의해 서로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벌크 제품과 유체를 포장하기 위한 콘테이너.
  15.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외피와 내막은 원호의 팽창에 의하여 겹쳐지지 않게 되는 내막의 외부 원주 부위를 따라 표면대 표면이 접촉됨을 특징으로 하는 벌크 제품과 유체를 포장하기 위한 콘테이너.
  16. 제15항에 있어서, 내막은 그물망으로 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벌크 제품과 유체를 포장하기 위한 콘테이너.
  1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외피 또는 내막은 원호의 팽창에 의해 겹쳐지지 않는 내막의 외부 원주 부위를 따라 생략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벌크 제품과 유체를 포장하기 위한 콘테이너.
  1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콘테이너는 형성하고자 하는 콘테이너의 높이와 같은 가로 길이를 갖는 시이트로 이루어진 4개의 부품으로 만들어지되 제1,제2,제3 및 제4부품은 제1,제2,제3 및 제4소장방형에서의 외피 및 내막의 길이와 같은 길이를 가지며, 뒤로 젖혀지는 시이트 부위와 소장방형의 내막의 길이와 같은 길이를 가지는 뒤로 젖혀지지 않는 시이트 부위로 되어 있고, 뒤로 젖혀지는 부위는 내접원과 소형원의 원하는 교차점에서 뒤로 젖혀지지 않는 부위에 고정되며, 뒤로 젖혀진 시이트의 길이는 부착된 두점 사이를 교차점 사이에 있는 소형원의 원호 길이와 같고, 상기 4개의 부품 모두 콘테이너의 높이가 되면서 한쌍의 뒤로 젖혀진 라인과 뒤로 젖혀지지 않은 한쌍의 선단이 고정되게 서로 연결시켜서 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벌크 제품과 유체를 포장하기 위한 콘테이너.
  1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콘테이너는 형성하고자 하는 콘테이너의 높이와 같은 가로 크기를 가지는 시이트인 2개의 부품으로 만들어지되 그중 하나는 인접하는 소장방형에서 외피와 내막의 길이와 같은 길이를 가지며, 다른 하나는 나머지 두개의 소장방형에서의 외피와 내막의 길이와 같은 길이를 가지게 되고, 양쪽 선단에서 뒤로 젖혀지는 부위와 소장방형의 내막의 길이와 같은 길이를 가지는 뒤로 젖혀지지 않는 부위가 있으며, 뒤로 젖혀진 부위는 내접원과 소형원의 원하는 교차점에서 뒤로 젖혀지지 않은 부위에 고정되어 있고, 부착되어 있는 두점 사이에 있는 뒤로 젖혀진 시이트 부위의 길이는 상기 교차점 사이에 있는 소형원의 원호 길이와 같으며, 상기 두 부품은 콘테이너의 전체 높이인 각각 다른 한쌍의 뒤로 젖혀진 라인을 고정시켜서 된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크 제품과 유체를 포장하기 위한 콘테이너.
KR1019910003715A 1990-03-09 1991-03-08 벌크제품과유체를포장하기위한콘테이너 KR01707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L9000552 1990-03-09
NL9000552A NL9000552A (nl) 1990-03-09 1990-03-09 Verpakkingsmiddel voor bulkgoed, fluida en dergelijk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6585A KR910016585A (ko) 1991-11-05
KR0170785B1 true KR0170785B1 (ko) 1999-03-30

Family

ID=19856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3715A KR0170785B1 (ko) 1990-03-09 1991-03-08 벌크제품과유체를포장하기위한콘테이너

Country Status (21)

Country Link
US (1) US5407090A (ko)
EP (1) EP0445895B1 (ko)
JP (1) JP3073246B2 (ko)
KR (1) KR0170785B1 (ko)
AT (1) ATE91474T1 (ko)
AU (1) AU637196B2 (ko)
BR (1) BR9100918A (ko)
CA (1) CA2037482C (ko)
DE (1) DE69100164T2 (ko)
DK (1) DK0445895T3 (ko)
ES (1) ES2043425T3 (ko)
FI (1) FI102263B1 (ko)
IE (1) IE65419B1 (ko)
IL (1) IL97443A (ko)
NL (1) NL9000552A (ko)
NO (1) NO304105B1 (ko)
NZ (1) NZ237312A (ko)
PT (1) PT96975B (ko)
RU (1) RU1836261C (ko)
TR (1) TR26909A (ko)
ZA (1) ZA91156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9200130A (nl) * 1992-01-23 1993-08-16 Boots Gerardus A M Verpakkingsmiddel met een relatief stijf, vormvast steunframe en een daarin aangebracht flexibel hulsdeel.
IL112028A (en) * 1993-12-27 1998-01-04 Nampak Products Flexible bulk container
US5562227A (en) * 1995-07-31 1996-10-08 Honshu Paper Co., Ltd. Anti-bulging bag-in-box
GB9524766D0 (en) * 1995-12-04 1996-02-07 Stone Michael G A container
US5871148A (en) * 1996-02-05 1999-02-16 Hafer; Harold Franklin Bulk box container with supporting side beams
US6004035A (en) * 1996-02-05 1999-12-21 Hafer; Harold Franklin Flexible bulk container with supporting side beams
GB9615271D0 (en) * 1996-07-20 1996-09-04 Lesac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bags from flexible plastics sheet
CA2260588C (en) 1999-02-02 2003-12-23 William Shackleton Flexible container with internal baffles
US6240709B1 (en) * 1999-07-20 2001-06-05 Linpac, Inc. Collapsible bag for stacking and method thereof
TR200102886A2 (tr) * 2001-10-08 2002-10-21 Sunjüt Suni̇ Jüt Sanayi̇ Ve Ti̇c. A. Ş. Çuval kompaktlığı için ağ-esaslı köşebentler.
WO2003066457A2 (en) 2002-02-07 2003-08-14 Scholle Corporation An internal brace for a standup flexible container
DE602004004051T2 (de) * 2003-09-04 2007-08-16 Millipore Corp., Billerica Stützsystem für beutel
BE1017178A3 (nl) * 2004-11-18 2008-04-01 Combes Trading Nv Containerzak.
US8196747B2 (en) * 2005-12-06 2012-06-1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End cap packaging material, packaging and method for protecting products against damage
KR100678622B1 (ko) * 2006-03-24 2007-02-06 제일산업 주식회사 분체류를 수납하기 위한 컨테이너 백
US20130255148A1 (en) * 2012-04-02 2013-10-03 Barry D. Setzer Above-ground planting beds
US8845192B1 (en) 2012-10-08 2014-09-30 Robert Bayliss Rigid reclosure on flexible packaging
WO2015069855A1 (en) * 2013-11-06 2015-05-1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ntainers having a product volume and a stand-off structure coupled thereto
US9896253B2 (en) 2015-04-10 2018-02-2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Flexible containers with reinforcing seals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2091A (en) * 1915-09-11 1916-07-25 Edward M Miller Basket.
US2516100A (en) * 1945-10-06 1950-07-25 Chicago Bridge & Iron Co Method of welding laminated plates
GB1050954A (ko) * 1963-02-15 1966-12-14
US3221872A (en) * 1963-11-07 1965-12-07 Harry G Wood Package assembly and cushion
GB1470977A (en) * 1973-08-07 1977-04-21 Ici Ltd Container
FR2290367A1 (fr) * 1974-11-08 1976-06-04 Gatserelia Michel Capacites oblongues a bases spheriques
NL8601365A (nl) * 1986-05-28 1987-12-16 Boots Gerardus A M Verpakkingsmiddel voor stortgoederen, poeders, korrels en dergelijke.
NL8700063A (nl) * 1987-01-13 1988-08-01 Boots Gerardus A M Verpakkingsmiddel voor bulkgoed, fluida en dergelijke materialen.
NL8702331A (nl) * 1987-09-30 1989-04-17 Boots Gerardus A M Verpakkingsmiddel voor fluida, vaste stoffen met vloeieigenschappen of dergelijke.
NL8801523A (nl) * 1988-06-15 1990-01-02 Boots Gerardus A M Verpakkingsmiddel met een steunframe uit een relatief stijf, vormvast materiaal en velvormig verpakkingsmateriaal.
FI892756A (fi) * 1989-06-06 1990-12-07 Boots Gerardus A M Foerpackning foer transport och lagring av massagods.
FR2658170B1 (fr) * 1990-02-09 1992-05-29 Rosenlew Sa Conteneur souple pour un materiau fluid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637196B2 (en) 1993-05-20
BR9100918A (pt) 1991-11-05
PT96975A (pt) 1993-03-31
ATE91474T1 (de) 1993-07-15
NO304105B1 (no) 1998-10-26
ZA911560B (en) 1992-03-25
IE65419B1 (en) 1995-10-18
FI911120A (fi) 1991-09-10
DE69100164T2 (de) 1993-10-28
JPH05213389A (ja) 1993-08-24
TR26909A (tr) 1994-08-22
IL97443A (en) 1993-07-08
CA2037482A1 (en) 1991-09-10
PT96975B (pt) 1998-07-31
IL97443A0 (en) 1992-06-21
FI911120A0 (fi) 1991-03-06
FI102263B (fi) 1998-11-13
DE69100164D1 (de) 1993-08-19
ES2043425T3 (es) 1993-12-16
CA2037482C (en) 2002-12-24
US5407090A (en) 1995-04-18
FI102263B1 (fi) 1998-11-13
DK0445895T3 (da) 1994-01-03
RU1836261C (ru) 1993-08-23
NO910927D0 (no) 1991-03-08
NZ237312A (en) 1993-10-26
JP3073246B2 (ja) 2000-08-07
NL9000552A (nl) 1991-10-01
AU7207191A (en) 1991-09-19
KR910016585A (ko) 1991-11-05
EP0445895A1 (en) 1991-09-11
IE910782A1 (en) 1991-09-11
EP0445895B1 (en) 1993-07-14
NO910927L (no) 1991-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70785B1 (ko) 벌크제품과유체를포장하기위한콘테이너
JP2788028B2 (ja) 自由流動性流体などの材料のための容器
US3785545A (en) Collapsible multi-compartment container
EP0279770A2 (en) A package of enwrapped articles
RU2065826C1 (ru) Контейнер для сыпучих, жидких и других материалов
JPH0772591A (ja) ロール状の感光性材料用のケース内で使用する折り畳み自在の部材と、ロール状の感光性材料をケース内で保持する方法
US5282567A (en) Transport and display carton
EP0864508B1 (en) Container of flexible material, particularly for liquid, viscous or granular products
JP2005104468A (ja) 包装袋
JP2005022741A (ja) スタンディングパウチ
JP5019608B2 (ja) 食品入り密封袋を収容するための紙製の外装箱
JPH11105934A (ja) 包装用緩衝材
JP3041500B2 (ja) 梱包箱用組立式緩衝体
JP2009078818A (ja) 包装容器用中仕切り
JPH0754114Y2 (ja) 袋状容器
JPH0224734Y2 (ko)
JP2930322B2 (ja) コンテナー
JP2023132880A (ja) 包装袋
BE1009549A6 (nl) Een container of verpakking voor bulk- of stortgoederen, vloeistoffen, poeders, pasta's en gelijkaardige materialen.
JPH10236579A (ja) フレキシブルコンテナ
JP2569710Y2 (ja) 包装箱
JP2761841B2 (ja) 個包品収納用の紙箱
JP2001158441A (ja) 自立性包装袋
JP3071034U (ja) 紙製容器
JP2010168109A (ja) パウチ包装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13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