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0036B1 - 인쇄장치 - Google Patents

인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0036B1
KR0170036B1 KR1019950001975A KR19950001975A KR0170036B1 KR 0170036 B1 KR0170036 B1 KR 0170036B1 KR 1019950001975 A KR1019950001975 A KR 1019950001975A KR 19950001975 A KR19950001975 A KR 19950001975A KR 0170036 B1 KR0170036 B1 KR 01700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plate
printing
print head
pap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19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3519A (ko
Inventor
히로유끼 하라다
Original Assignee
요시무라 시로
가부시끼 가이샤 세이꼬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시무라 시로, 가부시끼 가이샤 세이꼬샤 filed Critical 요시무라 시로
Publication of KR9500235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35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00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00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2Platens
    • B41J11/14Platen-shift mechanisms; Driving gear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20Platen adjustments for varying the strength of impression, for a varying number of papers, for wear or for alignment, or for print gap adjus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00Platen presses, i.e. presses in which printing is effected by at least one essentially-flat pressure-applying member co-operating with a flat type-bed
    • B41F1/04Platen presses, i.e. presses in which printing is effected by at least one essentially-flat pressure-applying member co-operating with a flat type-bed for mono-impression printing, e.g. on sheets
    • B41F1/06Platen presses, i.e. presses in which printing is effected by at least one essentially-flat pressure-applying member co-operating with a flat type-bed for mono-impression printing, e.g. on sheets with platen maintained parallel to bed during mov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mon Mechanisms (AREA)
  • Handling Of She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인쇄 장치는 중량이 크고 또한 정밀성을 요하는 기구부분을 고정으로 하고 구조를 간단히 해서 고속화를 가능으로 하고 인쇄품질을 양호하게 하기 위해서, 인쇄헤드(1)와 가압판(2)과 새에 용지 P를 안내해서 인쇄한다. 인쇄헤드를 지지하는 기대에 1쌍의 고정 프레임판(20)을 대향해서 부착하고 가압판(2)을 인쇄헤드(1)에 대해서 붙이고 떨어지게 하는 가압판 구동 수단(3)을 부착한다. 고정 프레임판(20)에 인쇄헤드를 탑재한 캐리어(7)를 인쇄방향에-안내하는 가이드 기둥(4)과 캐리어를 인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캐리어 구동 수단(5)과 인쇄헤드의 주위에서 가압판과 대향해서 그 선단이 인쇄헤드의 선단면 보다 가압판측으로 돌출하는 스톱퍼(6)를 고정한다. 가압판 구동수단(3)은 인쇄대기시에는 캡(22)에 의해 가압판을 하강시켜서 인쇄헤드(1)와의 간격을 인쇄시보다 넓게하고 인쇄시에는 압축 스프링(21)의 가세력으로 가압판을 상승시켜서 스톱퍼(6)와의 새에서 용지(P)를 끼어 고정한다.

Description

인쇄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개략구성을 도시하는 요부의 사시도.
제2도는 요부의 중앙 종단면도.
제3도(a) 및 제3도(b)는 인쇄 대기시의 상태를 도시하는 요부단면도.
제4도(a) 및 제4도(b)는 인쇄시의 상태를 도시하는 요부단면도.
제5도(a) 및 제5도(b)는 얇은 용지와 두꺼운 용지를 사용하여 인쇄할 때의 상태를 도시하는 요부단면도.
제6도는 캠의 변위, 가압판의 변위, 캐리어의 변위 및 홈센서의 작동을 도시하는 타임챠트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인쇄 헤드 1a : 인쇄 헤드의 선단면
2 : 가압판 3 : 가압판 구동장치
4 : 안내기둥 5 : 캐리어 구동수단
6 : 스톱퍼 7 : 캐리어
10 : 프레임 10a : 용지의 안내면
20 : 고정 프레임판 21 : 가압수단(압축-스프링)
22 : 가압판 이동수단(캠)
[산업상 이용분야]
본 발명은, 예를 들면 타임 레코더나, 타임 스템퍼등과 같은 소형 인쇄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동으로 삽입된 두께가 서로 다른 용지에 인쇄하는 인쇄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이와 같은 인쇄장치에는 예를 들면 시리얼 방식이 있고, 양질의 인쇄를 얻기 위해서는, 인쇄중에는 인쇄 헤드와 용지의 인쇄면과의 간격을 1㎜ 이하로 유지할 필요가 있고, 두께가 서로 다른 용지에 대해서도 이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타임 카드등의 용지를 사용자가 수동으로 삽입하는 것을 고려하면, 용지의 삽입이 간단하고, 인쇄중에 용지의 위치가 어긋나지 않도록 용지를 고정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이 때문에, 종래의 인쇄 장치에서는,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평 4-50253 호 공보에 기술된 바와 같이, 인쇄 헤드나 안내 기둥등의 기구부를 설치한 프레임판이 기대에 대하여 용지의 두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프레임판을 항시 기대측으로 견인하는 스프링을 팽팽하게 설치하여, 인쇄 헤드를 인쇄방향을 이동시키기 위한 캠 축에는 인쇄 헤드가 인쇄개시 위치를 향해서 이동할때에 프레임판이 스프링의 견인력에 대항하여 윗쪽을 밀어올려서 용지의 입구 통로를 넓히고, 또한 인쇄 동작시에는, 프레임판에 대하여 밀어올림을 풀어서 기대측으로 하강시킬 수 있는 캠 원판을 설치하고 있다. 또한, 프레임판에 고무 스톱퍼를 설치, 인쇄 헤드와 용지면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함과 동시에 용지를 누르고 있다.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종래의 인쇄 장치에서는, 인제쇄 헤드를 포함한 인쇄 기구부 전체를 이동시키는 구조이기 때문에, 인쇄 기구부 전체를 이동시키기위한 구조가 복잡해지고, 조립성이 악화된다. 또한, 이동하는 부분의 중량이 크기 때문에, 고속화사 곤란하고, 또한 이동용 모터도 출력이 큰 것이 필요하게 된다. 더우기, 인쇄 헤드등의 정밀한 기구 부분을 이동시키기 위한 비용이 상승하고, 인쇄 품질이 저하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목적은 중량이 크고 또한 정밀성을 요하는 기구 부분을 고정시켜 구조의 간단화를 꾀하고, 고속화를 가능하게 하며, 품질이 안정된 인쇄를 얻을 수 있게 하고, 저 비용을 저럼하게 하는데 있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인쇄 장치는, 인쇄 헤드와 가압판 사이로 용지를 안내하여 인쇄하는 인쇄 장치에 있어서, 인쇄 헤드를 지지하는 기대에는 1 쌍의 고정 프레임판이 대향하여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가압판을 인쇄 헤드에 대하여 붙이고 떨어지게 하는 가압판 구동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고정 프레임판에는 인쇄 헤드를 탑재한 캐리어를 인쇄 방향으로 안내하는 안내 기둥과, 캐리어를 인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캐리어 구동수단과, 인쇄 헤드의 주위에서 가압판과 대향하여 선단이 인쇄 헤드의 선단면 보다도 가압 판 측으로 대향하여 선단이 인쇄 헤드의 선단면 보다도 가압판 측으로 돌출하는 스톱퍼가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가압판 구동수단은, 인쇄 대기시에는 가압판과 인쇄 헤드의 간격을 인쇄시보다도 소정 간격을 넓게유지하고, 인쇄시에는 가압판과 스톱퍼 사이에서 용지를 끼워 고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가압판 구동수단은, 가압판을 인쇄 헤드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수단과, 상기 가압수단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가압판을 인쇄 헤드로부터 이반시키는 가압판 이동수단을 갖고 있고, 인쇄대기시에는 가압판 이동 수단에 의해 가압판과 인쇄 헤드의 간격을 인쇄시보다도 넓은 소정간격으로 유지하며, 인쇄시에는 가압수단의 가압력에 의해 가압판과 스톱퍼 사이에서 용지를 끼워 고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가압판 구동수단은 캐리어 구동수단의 구동력으로 회전하는 캠으로 구성되어도 좋다.
더욱이, 상기 기대에는, 용지의 안내면이 설치되어 있고, 가압판 구동수단은 인쇄대기시에 가압판을 안내면과 동일면 또는 안내면 보다도 인쇄 헤드로 부터 이반하는 위치로 변위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실시예]
제1도 및 제2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인쇄 장치,는 인쇄 헤드(1)와 가압판(2)사이에 용지 P를 안내하여 인쇄하는 장치이다. 먼저 인쇄 헤드(1)를 지지하는 기대(10)에는 1쌍의 고정 프레임판(20)이 소정 간격으로 대향하여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가압판(2)을 인쇄 헤드(1)에 대하여 붙이고 떨어지게 하는 후술하는 가압판 구동수단(3)이 설치되어 있다.
고정 프레임판(20)에는 안내기둥(4), 캐리어 구동수단(5)과, 스톱퍼(6)가 고정되어 있다.
먼저, 안내기둥(4)은, 인쇄 헤드(1)를 탑재한 캐리어(7)를 인쇄방향(제1도 좌우방향) (제2도 지면 직각방향)으로 안내하는 것이다. 안내기둥(4)은 캐리어에 설치된 베어링부(7a)를 관통하고, 캐리어(7)의 윗면에 설치된 결합부(7b)가 고정 프레임판(20)에 고정된 회전 스톱퍼재(8)를 접동하도록 수성되어, 인쇄 헤드(1)를 항항 바른 자세로 인쇄방향으로 안내한다.
캐리어(7)에는에는 리본 카세트(9)가 캐리어측의 요부(7c)로 리본 카세트 측으로부터 돌출되는 돌기(9a)를 결합시킴으로써 장착되어 있고, 리본 카세트로 부터 인출된 잉크리본(R)은 쇄 헤드(1)의 선단면(1a)과 가압판(2) 사이를 통과하도록 되어 있다.
캐리어(7)를 인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캐리어 구동수단(5)으로서, 원통형캠(13)에 의한 것을 도시하고 있다. 원통형 캠 (13)은 축(14)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고정 프레임판(20)에 선회 지지되어 있고, 외주에 나사형의 홈(13a)이 형성되어 잇다.
캐리어(7)는 캐리어로부터 돌출된 캠 종동부(도시되지 않음)가 홈(13a)에 끼워지고, 원통형 캠(13)의 회전에 의해 홈에서 규정된 왕복운동을 하도록 되어 있다. 원통형 캠(13)을 회전구동하기 위해, 축(14)의 고정 프레임판(20)으로부터 돌출단에 전달 치차(15)가 고정 설치되어, 모터(M)의 구동치차(16)의 회전이 감속치차(17)를 거쳐서 전달되도록 되어 있다.
스톱퍼(6)는 인쇄 헤드(1)의 선단면(1a)의 주위에서 가압판(2)과 대향하고 있고, 스톱퍼(6)의 선단(6a)이 인쇄 헤드의 선단면(1a)보다도 가압판(2)의 선단(6a)이 인쇄 헤드의 선단면(1a)보다도 가압판(2)쪽으로 돌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스톱퍼(6)를 소정위치로 고정하기 위해, 고정 프레임판(20)에 보(18, 18)가 설치되어 있되, 보 아랫면의 소정위치에 각각 2개의 스톱퍼(6)를 고정한 것이다. 스톱퍼의 재질은 고무등과 같이 가압판 상승시의 충격을 완화하고, 용지(P)를 누르는 고마찰계수의 탄성체를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인쇄 헤드(1) 주변에 설치된 복수의 스톱퍼(6)의 선단(6a)은 동일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이러한 면은 인쇄 헤드(1)의 선단면(1a)과 평행이며, 양면사이의 간격(g1)(제4도에 도시)은, 인쇄 헤드(1)의 성능에 대하여 가장 품질이 양호한 인쇄가 확보될 수 있는 인쇄시의 인쇄 헤드(1)와 용지(P)의 인쇄면의 각격과 일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인쇄헤드(1)의 대향하여 설치된 가압판(2)은 가압판 수용부재(19)에 의해 수용되고 있다. 가압판 수용 부재(19)면으로 부터 돌출되어 있는 각부의 상단부에 설치된 걸림 갈고리부(19a)가 가압판(2)에 설치된 걸림 갈고리부(2a)에 걸리게 함으로서 양자가 결합되어 있다.
가압판 구동수단(3)는 가압판(2)을 인쇄 헤드(1)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수단으로서의 압축 스프링(21)과 압축 스프잉(21)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가압판(2)을 인쇄 헤드(1)로부터 이반시키기 위한 가압판 이동수단으로써 캠(22)을 갖고 있다.
압축 스프링(21)은 기대(10)의 내벽 저면상에 원주형 안내부재(23)을 고정하고, 가압판 수용부재(19)의 하면에 원통형의 슬라이드부(19b)를 수직으로 설치하고, 슬라이드부(19b)의 중공부내에, 안내부재(23)의 돌출부가 헐겁게 끼워 맞추도록 되어 있다. 압축 스프링(21)은 슬라이드부(19b)를 중심으로 하여 프레임(10)의 내벽저면과, 가압판 수용부재(19)의 하면과의 사이에 압축상태로 부재사이에 넣어서 목적하는 모양으로 만들게 되어 있고, 가압판 수용부재(19)의 윗쪽방향으로 가압력을 부가한다.
또한, 캠(22)은 캠 축(24)으로 고착되어 있고, 산부(22a)와 완만한 경사평탄부(22b)가 급경사부(22c)에 의해 연속하는 형태를 갖고 있다. 캠축(24)의 일단은 프레임(10)에 설립된 지지판(25)(제3도에 도시)에, 또한 타단은 고정 프레임판(20)에 선회 지지되어 있고, 고정 프레임판(20)으로부터 돌출단에 고착된 치차(26)에, 캐리어 구동수단(5)과 동일 구동원인 모터(M)로부터의 구동력이, 전달치차(27)를 거쳐서 전달되는 것이다. 즉, 캠(22)은 원통캠(13)과 동기하여 회전 구동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캠(22)이 1 회전했을때 원통 캠(13)도 1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캠(22)은 가압판 수용부재(19)의 상면측에 배치하고, 인쇄 대기시에, 모터(M)의 구동력에 의해 캠축(24)이 회전하면, 캠의 산부(22a)가 가압판 수용부재(19)를 압축 스프링(21)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끌어내려서 가압판(2)를 하강시켜서, 인쇄 헤드(1)와 가압판(2)과의 간격을 인쇄시보다도 넓은 소정간격(g2)(제3도에 도시)으로 유지한다. 또한, 인쇄시에는 캠(22)에 의한 압축 스프링(21)의 압력이 해방되고, 압축스프링의 가압력에 의해 가압판(2)을 상승시키고, 가압판과 스톱퍼(6)사이에서 용지(P)를 끼워서 고정한다. 인쇄시에서는, 인쇄헤드(1)와 용지(P)의 인쇄면의 사이가 스톱퍼(6)의 선단면과 인쇄헤드(1)의 선단면(1a)의 간격(g1)과 일치한다.
제3도(a)와 같이, 인쇄헤드(1)등을 덮는 덮개체(28)와 기대(10)사이에는 용지(P)의 삽입구(29)가 설치되어 있다. 삽입구(29)의 내부의 기대 상면은 용지의 안내면(10a)으로 되어 있으며 용지(D)를 인쇄헤드(1)의 선단면(1a)과 가압판(2)과 새로 인도하는 것이다. 가압판 구동수단(3)은 인쇄 대기시에 캠의 산부(22a)가 가압판 수용부재(19)를 압축 스프링(21)의 가세력을 저항해서 눌러내려서 가압판(2)을 하강시킨 위치에서 가압판(2)을 용지의 안내면(10a)와 동일면이든가 또는 안내면(10a)보다 인쇄헤드(1)에서 이반하는 위치에 변위시킨 것이다.
가압판(2)을 좁혀 삽입구(29)에 대해서 안속측의 안내면(10a)에는 용지(P)가 삽입되어서 인쇄가능하다는 것을 검출하는 센서(30)가 배설되어 있다. 이 센서에는 반사형의 포토센서등이 사용된다.
다음에 제3도 및 제4도에 의해 가압판 구동수단(3)의 동작에 대해서 상세히 기술한다. 제3(a) 및 제3(b)도에는 인쇄 대기시의 가압판(2)의 위치가 도시되어 있으며 모터내의 구동력으로 캠축(24)이 회전구동되며 캠(22)이 회전해서 그것의 산부(22a)에 의해 가압판 수용부재(19)가 압축 스프링(21)의 가세력을 저항해서 하강하고 가압판(2)이 인쇄헤드(1)의 선단면(1a)에서 이반해서 인쇄시보다 넓은 간격(g2)을 유지하고 있는 상태이다.
또, 제4도(a) 및 제4도(b)에는 인쇄시의 가압판(2)의 위치가 도시되어 있으며 모터(M)의 구동력으로 캠축(24)이 회전 구동되며 캠(22)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해서 가압판 수용부재(19)에는 캠의 경사 평탄부(22b)가 소정의 간격(d)으로 대향하고 있다. 이 때문에 압축 스프링지(21)의 가세력이 가압판 수용부재(19)를 거쳐서 가압판(2)에 미치고 있으며 가압판(2)이 스톱퍼(6)의 선단에 탄력적으로 접하고 인쇄헤드(1)의 선단면(1a)과 가압판(2)과의 간격은 인쇄시의 좁은 간격(g1)로 된 상태이다.
제5도는 용지(P)가 인쇄헤드(1)와 가압판(2)와 새에 보내져서 인쇄시로 되었을 때의 인쇄헤드(1)의 선단면(1a)과 용지(P)의 인쇄면과의 간격이 용지(P)의 두께에 관계없이 일정간격(g1)인 것을 설명하고 있다. 즉, (a)에선 두께(t1)의 얇은 용지(P1)상에 인쇄하는 경우이며 가압판(2)은 인쇄시의 상승 위치에 있고 용지(P1)를 스톱퍼(6)와 새에서 끼어 고정하고 있다. 따라서 인쇄헤드(1)의 선단면(1a)과 용지(P1)의 인쇄면과 간격은 (g1)이다. 또, (D)에선 두께(t2)의 두꺼운 용지(P2)상에 인쇄하는 경우이며 가압판(2)은 인쇄시의 상승위치에 있고 용지(P2)를 스톱퍼(6)과 새에서 끼어 고정하고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도 인쇄헤드(1)의 선단면(1a)와 용지(P2)의 인쇄면과의 간격은 (g1)이며 용지의 두께에 관계없이 동일한 간격(g1)이 유지되어 있다.
제6도의 타임챠드도에는 원통 캠(13)및 가압판 이동수단인 캠(22)의 변위와 가압판(2)의 변위와 캐리어(7), 나아가 인쇄헤드(1)의 변위와 홈센서의 작동과의 관계를 도시하고 있다.
홈 포지션을 검출하는 홈센서(이하, H센서라고 한다)는 캐리어(7)에 부착한 도시생략의 검출편과 한쪽의 고정프레임판(20)에 부착한 투과형 코토센서로 구성되어 있으며 캐리어(7)가 홈포지션에 접근하면 암(dark) 레벨로 되어서 온으로 되며 캐리어(7)이 홈 포지션에서 떨어지면 명(bright) 레벨로 되어서 오프로 전한다.
우선, H 센서가 온의 상태이며 캐리어(7)의 홈 포지션에 위치할 때엔 제3(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캠(22)이 가압판 수용부재(19)에 접하고 이것을 눌러내리고 있으며 가압판(2)은 하강위치에 있다. 용지(P)가 공급되어서 센서(30)에 의해 용지(P)의 삽입이 검출되면 모터(M)가 구동되어서 원통 캠(13)이 회동하고 동시에 캠(22)도 회전한다.
원통 캠(13)의 회전에 의해 캐리어(7)가 보내지는데 홈(13a)의 형상에 의해서 회전각 50 도 까지는 캐리어(7)는 이동하지 않는다. 원통캠(13)이 회전각 50 도에서 210 도까지 회전하는 동안에 캐리어(7))가 리니어에 이동하고, 이 사이의 약 144°의 범위에서 인쇄 동작이 행해진다. 원통 캠(13)의 회전각이 약 60°로 되어서 캐리어(7)가 홈 포지션에서 떨어지면 H 센서는 캐리어(77)를 검출치 않게 되며 오프로 전한다.
또, 캠(22)의 회전에 의해 가압판 수용부재(19)와 접하는 산부(22a)의 위치가 이동해가면 가압판 수용부재(19)에 급경사부(22c)가 접하면 가압판 수용부재(19)는 압축 스프링(21)의 가세력으로 서서히 위쪽으로 이동을 시작하여 가압판(2)을 차차로 상승시킨다. 캠(22)의 회전각이 30°에서 60°에 이르면 가압판 수용부재(19)에 경사 평탄부(22b)의 가장 소경부가 대향하게 되며 가압판 수용부재(19)와 경사 평탄부(22b)와 새에 간격(d, 제4도(b))에 도시)이 생긴다.
그때, 압축 스프링(21)의 가세력에 의해서 가압판(2)이 상승한 위치로 된다. 위에 말했듯이 이때 캐리어(7)는 이동을 시작하고 있으므로 여기에서 인쇄 헤드(1)에 의한 인쇄가 행해진다.
인쇄가 끝나고 캠(22)의 회전각이 210°에 이르면 가압판 수용부재(19)가 캠의 경사 평탄부(22b)에 다시 접하게 되며 캠(22)의 회전과 더불어 압축 스프링(21)을 압축시키면서 차차로 가압판(2)을 하강시켜간다. 경사 평탄부(22b)의 경사는 완만하므로 가압판(2)의 하강 속도로 완만하다. 캠(22)의 회전각이 330°에 이르면 가압판(2)은 원래같이 하강위치에 되돌아간다.
원통 캠(13)의 회전각이 210°에서 220°에 이르는 동안은 홈(13a)에 의한 캐리어(7)의 이송방향이 반전하고 원통 캠(13)의 회전각이 220°에서 340°에 이르는 동안에 캐리어(7)가 홈포지션으로 향해서 보내지며 원통 캠(13)의 회전각이 약 330°로 되며 캐리어가 홈포지션에 접근하면 H 센서가 이것을 검출해서 온으로 전한다. 그후는 H 센서의 검출신호에 의거해서 소정시간 경과후에 모터 M 가 정해지고 이 정지 상태에서 캐리어(7)이 홈포지션에 위치하고 이때의 캠(22) 및 원통 캠(13)의 회전각은 360°로 된다.
캐리어(7)가 홈 포지션에 위치한 상태에선 가압판(2)이 하강위치에 있고 이 상태에서 용지P의 교환을 행하면 다음의 인쇄를 같은 사이클을 행할 수 있다.
가압판(2)의 상승위치에 있어서 가압판(2)의 ㅅ아면이 용지(P)를 거쳐서 스톱퍼(6)에 탄력적으로 접하는 것인데 슬라이드부(19b)와 가이드 부재(23)를 완만하게 끼워맞추고 있으므로 가압판(2)의 상면의 경사나 요동이 다소 있어도 가압판(2)은 용지(P)를 거쳐서 스톱퍼(6)에 균일하게 탄력적으로 접하고 가압판(2)과 스톱퍼(6)가 그 사이에서 용지(P)를 확실하게 끼어고정할 수 있다.
또, 스톱퍼(6)를 지지하는 보(18)는 가이드 기둥(4)과 같은 고정 프레임판(26)에 고정하고 있으므로 스톱퍼(6)선단과 가이드 기둥(4)에 의해 반송되는 인쇄(4) 헤드(1)의 인쇄 방향과의 평행도를 안정된 인쇄에 필요한 예컨대, 0.1㎜정도의 평행도로 유지하는 것은 조립 정밀도상에서 보아 비교적 용이하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서 가압판 이동수단은 도시한 캠(22)에 의한 것에 한하지 않으며 예컨대 캠(22)을 대신해서 소레노이드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가세수단은 압축 스프링(21)에 의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판스프링 등 다른 탄성체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캠(22)을 대신해서 링크나 스크류 등을 쓰고 이것을 모터로 구동해서 가압판(2)을 이용하고 모터의 부하가 소정치를 넘은 곳에서 가압판(2)을 이용하고 모터의 부하가 소정치를 넘은 곳에서 모터를 정지하게 해서 가압판(2)과 스톱퍼(6)와 새에서 용지(P)를 끼어 고정토록해도 좋다. 이경우, 링크등을 구동하는 수단은 모터에 한하지 않으며 에어실린더등도 적용가능하다.
또, 스톱퍼(6)를 금속등의 비탄성체로 구성하고 가압판(2)의 표면을 고무 등의 탄성체로 구성케 해도 좋다.
또, 인팩트식의 인쇄헤드를 사용한 경우에 한하지 않고 잉크 제트식 등 다른 인쇄헤드를 사용한 경우에도 적용가능하다.
또, 손으로 급지하는 경우에 한하지 않고 자동 급지기구를 설치하고 자동급지 동작에 대응시켜서 가압판(2)을 이동시키게 해도 좋다.
[발명의 효과]
이상에서 설명했듯이 본 발명의 인쇄 장치는 경량의 가압판만을 인쇄헤드에 대해서 접지시키게 하고 있으므로 중량이 크고 또한 정밀성을 요하는 기구부분을 고정화할 수 있고 구조가 간단해지면 인쇄속도를 고속화 할 수 있다. 스톱퍼를 인쇄헤드의 선단면 보다 가압판측으로 돌출시키고 있으며 용지는 그 두께에 무관하며, 즉, 두꺼운 용지여도 얇은 용지여도 그 인쇄면이 스톱퍼에 눌러붙어진 위치에서 고정되므로 인쇄헤드와 인쇄면과의 간격은 스톱퍼의 돌출량을 가장 바람직한 인쇄조건을 감안해서 설정하므로서 최적의 간격으로 하는 것이 용이해지며 양호한 인쇄품질의 인쇄가 안정되어 가능하다. 게다가 구성이 간단하므로 저가로 제공할 수 있다. 가압판은 인쇄대기시에 인쇄헤드와의 간격이 넓으므로 용지의 삽입이 용이하고 용지를 손상하는 일이 없다. 또, 가압판은 인쇄시에는 스톱퍼와의 사이에서 용지를 끼어 고정하므로서 인쇄중에 용지가 어긋나는 일이 없고 균일한 양질의 인쇄가 된다. 기대에 용지의 안내면을 두고, 인쇄대기시에 가압판을 안내면과 동일면 또는 더욱 하강한 위치에 변위시키면 용지를 가압판에 걸리지 않게 확실하게 삽입할 수 있다.

Claims (4)

  1. 인쇄헤드와 가압판 사이에 용지를 안내하여 인쇄하는 인쇄장치에 있어서, 상기 인쇄헤드를 지지하는 기대에는, 1쌍의 고정 프레임판이 대향하여 설칙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가압판을 상기 인쇄헤드에 대하여 붙이고 떨어지게 하는 가압판 구동수단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고정 프레임판에는 인쇄헤드를 장착한 캐리어를 인쇄방향으로 안내하는 안내기둥과, 캐리어를 인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캐리어 구동수단과, 인쇄헤드와 주위에서 가압판과 대향하여 그 선단이 인쇄헤드의 선단면보다도 가압판측으로 돌출하는 스톱퍼가 고정되어 있고, 상기 가압판 구동수단은, 인쇄 대기시에는 가압판과 인쇄헤드의 간격을 인쇄시보다도 넓은 소정 간격으로 유지하고, 인쇄시에는 가압판과 스톱퍼 사이에서 용지를 끼워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판 구동수단은, 가압판을 인쇄헤드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수단과, 가압수단의 가압력에 대향하여 가압판을 인쇄헤드로부터 이반시키는 가압판 이동수단을 갖고, 인쇄대기시에는 가압판 이동수단에 의해 가압판과 인쇄헤드의 간격을 인쇄시 보다도 넓은 소정간격을 유지하며, 인쇄시에는 가압수단이 가압력에 의해 가압판과 스톱퍼 사이에서 용지를 끼워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판 이동수단은, 상기 캐리어 구동수단의 구동력으로 회전하는 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대에는 용지의 안내면이 설치되어 있고, 가압판 구동수단은 인쇄대기에 가압판을 안내면과 동일면 또는 안내면 보다도 인쇄헤드로부터 이반하는 위치로 변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
KR1019950001975A 1994-01-28 1995-01-27 인쇄장치 KR01700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4-8453 1994-01-28
JP6008453A JP2791350B2 (ja) 1994-01-28 1994-01-28 印字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3519A KR950023519A (ko) 1995-08-18
KR0170036B1 true KR0170036B1 (ko) 1999-03-30

Family

ID=11693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1975A KR0170036B1 (ko) 1994-01-28 1995-01-27 인쇄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547292A (ko)
JP (1) JP2791350B2 (ko)
KR (1) KR0170036B1 (ko)
DE (1) DE19502433B4 (ko)
GB (1) GB2285955B (ko)
SG (1) SG5223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7405B1 (ko) * 2008-11-25 2012-02-29 엘지엔시스(주) 자동화기기의 용지프린팅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자동화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13674A (en) * 1994-10-06 1998-02-03 Pfu Limited Paper feed method and apparatus for a printer
US5797687A (en) * 1997-03-11 1998-08-25 Hewlett-Packard Company Paper stacker activation for printer input/output
US5730537A (en) * 1997-03-13 1998-03-24 Hewlett-Packard Company Print media handling and ejection system
JP3488366B2 (ja) * 1997-07-18 2004-01-19 スター精密株式会社 プリンタ
DE69922718T2 (de) * 1998-02-12 2005-12-15 Seiko Epson Corp. Schreibträgermechanismus, Druckgerät mit diesem Schreibträgermechanismus und Verfahren zur Steuerung des Druckgerätes
DE10114530A1 (de) 2001-03-21 2002-10-02 Francotyp Postalia Ag Frankiermaschine mit Klemmeinrichtung für ein Poststück
DE10114541A1 (de) 2001-03-21 2002-10-02 Francotyp Postalia Ag Vorrichtung zum Drucken
US6736557B2 (en) 2002-09-05 2004-05-18 Lexmark International, Inc. Printhead gap adjustment mechanism for an imaging apparatus
KR101322883B1 (ko) * 2005-05-30 2013-10-29 아그파 그래픽스 엔브이 인쇄 유니트에 해제가능하게 죄인 인쇄 테이블을 구비한인쇄 시스템
JP6508720B2 (ja) * 2015-08-31 2019-05-08 セイコー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印字ユニット及びプリンタ
JP6694337B2 (ja) 2016-06-22 2020-05-13 セイコー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印字ユニット及びプリンタ
JP6920845B2 (ja) * 2017-03-23 2021-08-18 キヤノンファインテックニスカ株式会社 記録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433046A (en) * 1972-05-03 1976-04-22 Bunker Ramo Printer having document thickness compensating device
AT361514B (de) * 1974-12-03 1981-03-10 Adrema Pitney Bowes Gmbh Adressendruckmaschine
DE2843750C2 (de) * 1978-10-06 1985-03-21 Pitney Bowes Deutschland Gmbh, 6148 Heppenheim Adressendruckmaschine
DE2551161A1 (de) * 1975-11-14 1977-05-26 Anker Werke Ag Mehrteiliges druckwiderlager
JPS5677177A (en) * 1979-11-28 1981-06-25 Hitachi Ltd Platen mechanism of typing apparatus
JPS5896581A (ja) * 1981-12-04 1983-06-08 Fujitsu Ltd プリンタ装置
JPS58203072A (ja) * 1982-05-21 1983-11-26 Nec Corp シリアルプリンタ
JPH0692187B2 (ja) * 1986-01-30 1994-11-16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押圧力調整機能を備えたスタンパ−
JPH07382B2 (ja) * 1986-02-17 1995-01-11 富士通株式会社 プリンタのプラテン位置調整機構
GB2213771B (en) * 1987-12-17 1992-06-03 Pitney Bowes Inc Platen module for a modular mailing machine
JPH02145375A (ja) * 1988-11-28 1990-06-04 Sony Corp サーマルプリンタ
JPH02258380A (ja) * 1989-03-31 1990-10-19 Oki Electric Ind Co Ltd プリンタ
JP2541457Y2 (ja) * 1990-08-31 1997-07-16 アマノ株式会社 印字装置
JPH082675B2 (ja) * 1991-01-31 1996-01-17 株式会社テック 印字装置
DE4107899A1 (de) * 1991-03-12 1992-09-17 Siemens Nixdorf Inf Syst Transportvorrichtung fuer abschnitte eines aufzeichnungstraegers aus einem schreibwerk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7405B1 (ko) * 2008-11-25 2012-02-29 엘지엔시스(주) 자동화기기의 용지프린팅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자동화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3519A (ko) 1995-08-18
DE19502433B4 (de) 2004-11-04
JP2791350B2 (ja) 1998-08-27
GB2285955A (en) 1995-08-02
SG52236A1 (en) 1998-09-28
JPH07214832A (ja) 1995-08-15
GB2285955B (en) 1998-02-18
US5547292A (en) 1996-08-20
GB9501345D0 (en) 1995-03-15
DE19502433A1 (de) 1995-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70036B1 (ko) 인쇄장치
US4611939A (en) Sheet feeding device for an impact-type printer
KR100342971B1 (ko) 프린터
KR940005321B1 (ko) 서어멀 프린터
JPH01101178A (ja) サーマル転写プリンタ
KR950007740B1 (ko) 프린터
US5266966A (en) Thermal printer having a thermal line head positioning mechanism
EP0953455B1 (en) Sheet feeding apparatus and method
US4630950A (en) Paper bail for a printer and associated methods of operation thereof
US4768894A (en) Thermal printer having a flat platen support mechanism
US7940428B2 (en) Image generating apparatus
JPS62187063A (ja) プリンタのヘツド間隙自動調整機構
JPH03199069A (ja) ラインサーマルプリンタにおけるプラテン支持装置
JPS63135265A (ja) 電子写真記録装置の印字ヘツド取付構造
US20020030731A1 (en) Thermal printer
EP3984759A1 (en) Tension applying device, sheet conveyance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EP0764544B1 (en) Positioning device for a document processing device
CN1784697A (zh) 打印机
JPS61295061A (ja) 印字装置
KR0158877B1 (ko) 프린터의 인자헤드위치 결정장치
JPS5935471Y2 (ja) 媒体走行時の斜行防止機構
JP5720143B2 (ja) ヘッド位置調整機構及び画像形成装置
JPH0494953A (ja) プリンタの印字機構部
JP2624180B2 (ja) 熱転写プリンタ
JP2531352Y2 (ja) プリンタの駆動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5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3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