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9136B1 - 제초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제초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9136B1
KR0169136B1 KR1019910018649A KR910018649A KR0169136B1 KR 0169136 B1 KR0169136 B1 KR 0169136B1 KR 1019910018649 A KR1019910018649 A KR 1019910018649A KR 910018649 A KR910018649 A KR 910018649A KR 0169136 B1 KR0169136 B1 KR 01691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und
name
compound represented
test
m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86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7530A (ko
Inventor
고이찌 스즈끼
유따 시라이
Original Assignee
나까이 다께오
닛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까이 다께오, 닛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나까이 다께오
Publication of KR9200075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75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91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91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not being member of a ring and having no bond to a carbon or hydrogen atom, e.g. derivatives of carbonic acid
    • A01N47/08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not being member of a ring and having no bond to a carbon or hydrogen atom, e.g. derivatives of carbonic acid the carbon atom having one or more single bonds to nitrogen atoms
    • A01N47/10Carbamic acid derivatives, i.e. containing the group —O—CO—N<; Thio analogues thereof
    • A01N47/12Carbamic acid derivatives, i.e. containing the group —O—CO—N<; Thio analogues thereof containing a —O—CO—N< group, or a thio analogue thereof, neither directly attached to a ring nor the nitrogen atom being a member of a heterocyclic r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 A01N37/18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containing the group —CO—N<, e.g. carboxylic acid amides or imides; Thio analogues thereof
    • A01N37/2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containing the group —CO—N<, e.g. carboxylic acid amides or imides; Thio analogues thereof the nitrogen atom being directly attached to an aromatic ring system, e.g. anilid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not being member of a ring and having no bond to a carbon or hydrogen atom, e.g. derivatives of carbonic acid
    • A01N47/08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not being member of a ring and having no bond to a carbon or hydrogen atom, e.g. derivatives of carbonic acid the carbon atom having one or more single bonds to nitrogen atoms
    • A01N47/28Ureas or thioureas containing the groups >N—CO—N< or >N—CS—N<
    • A01N47/36Ureas or thioureas containing the groups >N—CO—N< or >N—CS—N< containing the group >N—CO—N< directly attached to at least one heterocyclic ring; Thio analogues thereof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효 성분으로서(1) 및 (2)를 함유하고, (3)-(6)의 1종을 함유해도 좋은 논용 제초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혼합에 의하여 단제의 결점을 보완할 수 있을 뿐아니라, 사용량도 감소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제초제 조성물
본 발명은 2종류 또는 3종류의 공지의 제초제 활성 성분을 혼합함으로써 논에 있어서 유해한 잡초인 들피 또는 들피 및 각종 잡초를 효율적으로 방제하는 제초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하기에 기재한 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하, 화합물(1)로 기재함] 및 식(2)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하, 화합물 (2)로 기재함]은 이미 공지의 화합물이다. 예를 들면, 화합물(1)은 단제의 입제 또는 혼합 입제의 성분으로서 이미 실용적으로 사용되고 있고, 들피 등에 대한 토양 처리 효과가 우수하나, 이미 발생한 잡초에는 효과가 저하하며, 특히 2엽기 이상의 들피에는 효과가 뒤떨어진다.
한편, 화합물(2)도 혼합 입제의 성분으로서 실용적으로 사용되고 있고, 3엽기까지 생육이 진행된 들피에도 효과가 있으나, 한편 장기간의 토양 처리 효과에는 부족하다는 결점이 있다.
본 발명은, 하기 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하기 식(2)
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논용 제초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며, 또한 상기 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 상기 식(2)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하기 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하기 식(4)로 표시되는 화합물, 하기 식 (5)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하기 식(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중 1종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논용 제초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화합물(1)과 화합물 (2)를 혼합해서 사용하면 양 화합물의 들피에 대한 결점이 보완될 뿐 아니라, 양 제초제의 성분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들피 이외의 잡초에 효력을 갖는 식(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하, 화합물(3)으로 기재함], 식(4)로 표시되는 화합물[이하, 화합물(4)로 기재함], 식(5)로 표시되는 화합물[이하, 화합물(5)로 기재함] 또는 식(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하, 화합물(6)으로 기재함]을 화합물(1)과 화합물(2)와의 혼합물에 첨가해서 혼합함으로써, 장기간에 걸쳐 들피를 포함한 각종 논 잡초를 동시에 방제하는 것이 가능함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
본 발명에 있어서, 화합물(1)의 일반명은 프레틸라클로르 (pretilachlor), 화합물(2)의 일반명은 에스프로카르보(esprocarb), 화합물(3)의 일반명은 피라조술프론 에틸(pyrazosulfuron ethyl), 화합물(4)의 일반명은 벤술프론 메틸(bensulfuron methyl), 화합물(5)의 일반명은 시노술프론(cinosulfuron), 화합물(6)의 일반명은 이마조술프론(imazosulfuron, 시험명은 TH-913)이다.
또, 이들 외에 다음 성분을 첨가할 수도 있다.
피라졸레이트(pyrazolate/일반명), 피라족시펜(pyrazoxyfen/일반명), 벤조페납(benzofenap/일반명), 다이므론(dymron/일반명), 브로모부티드(bromobutide/일반명), 나프로아닐리드(naproanilide/일반명), 클로메프롭(clomeprop/일반명, 시험명은 MY-15), CNP(일반명), 클로메톡시닐(chlomethoxynil/일반명), 비페녹스(bifenox/일반명), 옥사디아존(oxadiazon/일반명), 메페나세트(mefenacet/일반명), 부타클로르(butachlor/일반명), 부테나클로르(butenachlor/일반명, 시험명은 KH-218), 디티오피르 (dithiopyr/일반명, 시험명은 MON-72), 벤푸레세이트(benfuresate/일반명, 시험명은 NS-112), 피리부티카르브(pyributicarb/일반명, 시험명은 TSH-888), 벤티오카르브(benthiocarb/일반명), 디메피페레이트(dimepiperate/일반명), 몰리네이트(molinate/일반명), 부타미포스(butamifos/일반명), 퀸클로락(quinclorac/일반명), 신메틸린(cinmethylin/일반명), 시메트린(simetryn/일반명), SAP (bensulide/일반명), 디메타메트린(dimethametryn/일반명), MCPA, MCPB, 2', 3' -디클로로-4-에톡시메톡시벤즈아닐리드(시험명은 HW-52), 1-(2-클로로벤질)-3-(α,α-디메틸벤질) 요소(시험명은 JC-940), N-[2'-(3'-메톡시)-티에닐메틸]-N-클로로아세틸-2,6-디메틸아닐리드(시험명은 NSK-850) 등이 열거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화합물(1)과 화합물(2)의 사용 비율은 각각의 제초제 성능이 실질적으로 손상되지 않는 범위에서 적당하게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합물(1) 1 중량부에 대해서, 화합물(2) 0.1-100 중량부의 범위,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1-20 중량부 범위의 사용 비율이 좋다.
상기의 이들 화합물에 또한 화합물(3)-(6)에서 선택한 1개 이상의 화합물을 적당하게 혼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합물(1) 1 중량부에 대해서, 화합물(3), 또는 화합물 (4), 또는 화합물(5) 또는 화합물(6) 0.001-10 중량부의 범위,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0.01-1 중량부 범위의 사용 비율이 좋다.
상기의 활성 성분 화합물을 함유하는 본 발명의 논용 제초 입제를 만들기 위해서는, 각종 조제류를 더 함유할 수 있고, 공지의 방법에 따라서 제제화할 수 있다.
조제류로서는, 에를 들면 각종 고체 담체, 각종 계면 활성제 등이 열거된다.
고체 담체로서는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카올리나이트, 몬모릴로나이트, 규조토, 벤토나이트, 활석, 점토, 탄산 칼슘, 황산 칼슘, 황산 암모늄 등이 열거되고, 계면 활성제로서는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알킬벤젠술폰산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아릴에테르, 리그닌 술폰산염, 알킬술포호박산염,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에스테르, 나프탈렌술폰산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아릴에테르 황산염, 알킬아민염, 트리폴리인산염 등이 열거된다.
이들 계면 활성제의 함유량은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본 발명의 입제 100 중량부에 대해서, 보통 0.05-20 중량부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또, 필요에 따라서, 에폭시화 대두유 등의 분해 방지제를 본 발명의 입제에 함유시켜도 좋다.
다음에, 본 발명 입제의 배합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기재하나, 본 발명은 이들 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의 부는 중량부를 의미한다.
[배합 실시예 1]
이상을 균일하게 혼합 분쇄해서, 소량의 물을 첨가해서 혼연하고, 압출 조립기로 조리하고, 조립 후 건조시켜서 입제를 얻었다.
또한, 상기의 DBSN은 도데실벤젠술폰산 나트륨을 의미하는 것으로 다음의 배합 실시예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배합 실시예 2]
이상을 균일하게 혼합 분쇄해서, 소량의 물을 첨가하여 혼연하고, 압출 조립기로 조립하고, 조립 후 건조시켜서 입제를 얻었다.
[배합 실시예 3]
이상을 균일하게 혼합 분쇄해서, 소량의 물을 첨가하여 혼연하고, 압출 조립기로 조립하고, 조립 후 건조시켜서 입제를 얻었다.
[배합 실시예 4]
이상을 균일하게 혼합 분쇄해서, 소량의 물을 첨가하여 혼연하고, 압출 조립기로 조립하고, 조립 후 건조시켜서 입제를 얻었다.
[배합 실시예 5]
이상을 균일하게 혼합 분쇄해서, 소량의 물을 첨가하여 혼연하고, 압출 조립기로 조립하고, 조립 후 건조시켜서 입제를 얻었다.
[배합 실시예 6]
이상을 균일하게 혼합 분쇄해서, 소량의 물을 첨가하여 혼연하고, 압출 조립기로 조립하고, 조립 후 건조시켜서 입제를 얻었다.
[배합 실시예 7]
이상을 균일하게 혼합 분쇄해서, 소량의 물을 첨가하여 혼연하고, 압출 조립기로 조립하고, 조립 후 건조시켜서 입제를 얻었다.
[배합 실시예 8]
이상을 균일하게 혼합 분쇄해서, 소량의 물을 첨가하여 혼연하고, 압출 조립기로 조립하고, 조립 후 건조시켜서 입제를 얻었다.
[배합 실시예 9]
이상을 균일하게 혼합 분쇄해서, 소량의 물을 첨가하여 혼연하고, 압출 조립기로 조립하고, 조립 후 건조시켜서 입제를 얻었다.
[대조 배합예 1]
이상을 균일하게 혼합 분쇄해서, 소량의 물을 첨가하여 혼연하고, 압출 조립기로 조립하고, 조립 후 건조시켜서 입제를 얻었다.
[대조 배합예 2]
이상을 균일하게 혼합 분쇄해서, 소량의 물을 첨가하여 혼연하고, 압출 조립기로 조립하고, 조립 후 건조시켜서 입제를 얻었다.
다음으로, 화합물(1)과 화합물(2)를 혼합한 경우에, 단제만으로의 효과에서 기대될 수 있는 것 이상의 효과를 나타낸 시험예를 나타낸다.
[시험예 1]
1/10000 아르의 플라스틱 포트에 논 토양을 채워서, 써레질한 다음, 들피(Echinochloa crus-galli)를 파종하였다. 수심을 4㎝로 보존하여, 파종 후 17일째, 들피의 3-3.5 엽기에 화합물(1) 및 화합물(2)의 수화제를 사용해서, 물로 소정 농도로 희석한 후, 그 수화제의 현탁액 1㎖를 수중에 적하하였다. 처리 후 27일째에 들피의 지상부 생 체중을 측정하고, 하기의 식에서 억제율(Eo)을 구했다.
Eo(%) =[1-(처리 구역의 생 체중/비처리 구역의 생 체중)] × 100
개개의 활성 화합물은 그 제초 활성에 각각 결점을 나타내는 경우가 많이 있으나, 그 경우 2종의 활성 화합물을 조합한 경우의 제초 활성이 그 2종 화합물의 각각 활성의 단순한 합계 (기대되는 활성) 보다도 커질 경우에 이를 상승 작용이라 한다. 2종 제초제의 특정 조합에 의해 기대되는 억제율 Ec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Colby S.R., 제초제 조합의 상승 및 길항 작용 반응의 계산 「Weed」, 제15권, 제20-22페이지 (1967년) 참조]
α: 제초제 A를 (a) ㎏/㏊ 양으로 처리했을 경우의 억제율,
β: 제초제 B를 (b) ㎏/㏊ 양으로 처리했을 경우 억제율,
Ec : 제초제 A를 (a) ㎏/㏊, 제초제 B를 (b) ㎏/㏊ 양으로 처리했을 경우에 기대되는 억제율.
즉, Eo가 Ec보다 크면, 제초제의 조합에 의한 활성은 상승 작용을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의 결과에서, 화합물(1)과 화합물(2)의 혼합은 기대치를 상회하는 효과를 나타내고, 들피에 대해서 상승적으로 작용하는 것이 명백하다.
[시험예 2]
옥외에 설치한 47×40×18㎝의 플라스틱 제품 콘테이너에 논 토양을 채워서, 써레질한 후, 4㎝의 침수 조건으로 하였다. 여기에, 들피(Echinochloacrus-galli), 물달개비(Monochoria vaginalis), 마디꽃(Rotala indica), 올챙이 고랭이(Scirpus juncoides)의 종자 및 올미(Sagittaria pygmaea), 너도방동산이(Cyperus serotinus)의 괴경을 심고, 또, 벼(Oryzasativa, rice) 6주된 어린 묘를 이식했다. 파종 후 3일째(발생 전) 및 14일째(들피 2.5-3.0엽기)에 배합예(2), (3)의 입제 및 대조 배합예 (1), (2)를 300g/아르 비율로 처리했다. 파종 후 45일째에, 다음 기준에 따라서 관찰 조사를 행하였다. 0은 영향 없음, 9는 완전 고사를 나타내는 10단계 평가이다.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시험예 3]
상기 시험예를 실증하기 위해 실제의 논에서 시험을 실시하였다. 논(토성 : 식토, 전체 탄소 함유율 : 4.2%, 수심 감소: 0.1 ㎝/일)에 물을 넣고, 트랙터로 써레질하여, 2일 후에 이양기로 벼의 어린 묘를 이식하였다. 플라스틱 제품의 시이트로 이를 2×4.5m씩의 구획으로 칸막이하여, 시험 구역을 설치하였다. 모낸 다음 6일째(들피 발생 전), 21일째(들피 2.1-2.6엽기)에 배합 실시예 3의 입제, 대조 배합예 1 및 대조 배합예 2의 입제, 각각 300g/아르를 손으로 균일하게 살포하였다. 각각의 시험은 2번 계속하여 실시되었다. 모낸 다음 47일째에 시험예 2와 동일한 기준으로 관찰 조사하였다.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광엽은 광엽 잡초(broad leaf weeds) 평가의 평균치를 나타낸다.

Claims (2)

  1. 하기 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하기 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논용 제초제 조성물.
  2. 제1항에 기재된 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식(2)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하기 식(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하기 식(4)로 표시되는 화합물, 하기 식(5)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하기 식(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중 1종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논용 제초제 조성물.
KR1019910018649A 1990-10-24 1991-10-23 제초제 조성물 KR01691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0-286743 1990-10-24
JP28674390 1990-10-24
JP286743/1990 1990-10-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7530A KR920007530A (ko) 1992-05-27
KR0169136B1 true KR0169136B1 (ko) 1999-01-15

Family

ID=17708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8649A KR0169136B1 (ko) 1990-10-24 1991-10-23 제초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6913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7530A (ko) 1992-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286059C2 (ru) Синергитическая гербицидная композиция, способ борьбы с нежелательной растительностью
CN109077059A (zh) 增效除草组合物
CZ20024140A3 (cs) Herbicidní prostředek, jeho použití a způsob hubení škodlivých rostlin
CZ20024139A3 (cs) Herbicidní prostředek a způsob hubení škodlivých rostlin
AU2006314792B2 (en) Aqueous herbicidal composition based on a suspension concentrate comprising herbicides and safener
EP0595842B1 (en) Herbicidal composition for paddy fields
KR0169136B1 (ko) 제초제 조성물
HU176584B (en) Herbicide preparation containing of active mateirals of two types
JPH05186306A (ja) 除草剤組成物
US4378990A (en) Herbicidal composition
KR950002851B1 (ko) 제초 조성물
JPS62185003A (ja) 除草組成物
JPH05139921A (ja) 有害生物防除用粒剤
JPH04257503A (ja) 除草剤組成物
KR920002305B1 (ko) 제초제 조성물
KR840000670B1 (ko) 제초제 조성물
WO2022023911A1 (en) Synergistic ternary herbicidal composition
JPS6351304A (ja) 除草剤組成物
JPH083005A (ja) 除草剤組成物
JPH10231226A (ja) 除草剤組成物
JPH03261704A (ja) 有害生物防除用粒剤
JPS62205003A (ja) 除草剤組成物
JP2001064105A (ja) 除草組成物
JPS5877804A (ja) 除草用組成物
JP2000119110A (ja) 除草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0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