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40000670B1 - 제초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제초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40000670B1
KR840000670B1 KR1019800004767A KR800004767A KR840000670B1 KR 840000670 B1 KR840000670 B1 KR 840000670B1 KR 1019800004767 A KR1019800004767 A KR 1019800004767A KR 800004767 A KR800004767 A KR 800004767A KR 840000670 B1 KR840000670 B1 KR 8400006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s
compound
rice
weeds
herbic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000047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3874A (ko
Inventor
요시오 다까자와
데루히꼬 도오야마
도시미 다나까
마사히로 사가끼바라
랑겔뤼데케 피터
Original Assignee
미쓰이도오아쓰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마쓰바야 세이이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이도오아쓰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마쓰바야 세이이찌 filed Critical 미쓰이도오아쓰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to KR10198000047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840000670B1/ko
Publication of KR8300038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38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400006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06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9/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aryloxy- or arylthio-aliphatic or cycloaliphatic compounds, containing the group or, e.g. phenoxyethylamine, phenylthio-acetonitrile, phenoxyacetone
    • A01N39/02Aryloxy-carboxylic acids; Derivatives thereof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초제 조성물
본 발명은 논에 사용하는 신규의 개량된 제초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종전에 일본에서 지금까지 사용되어 온 벼에 사용되어 온 제초제는 3개의 범주를 크게 분류할 수 있다. 즉 이들은 발아초기, 생육중간기 및 생육 후반기에 적용하는 제초제로 분류할 수 있으며, 전술한 발아초기 및 생웠중간기 사용의 제초제가 제초제총소비의 큰부분을 사용하고 있다. 생육초기 제초제의 전형적인 예로는 MO (2,4-6-트리클로로페닐 4'-니트로페닐에테르), X-52 (2,4-디클로로 페닐 3'-메톡시-4'-니트로페닐에테르)등이 있으며, 생육 중간기 제초제의 전형적인 예로는 Mamet[S-에틸-N,N-헥사메틸렌치올카바메이트와 2-메틸치오-4, 6-비스 (에틸아미노)-sym-트리아진의 혼합물], saturns [S-(4-클로로벤질)-N,N-디에틸카바메이트와 2-메틸치오-4, 6-비스(에틸아미노)-sym-트리아진의 혼합물]등이 있다. 이들 제초제중, 생육초기 제초제로 잡초의 발아전 및 발아 초기에 있어서 대단히 효과적이다. 그러나, 이들을 잡초의 발아후 늦게 사용하면, 이들의 제초효과는 현저하게 감소된다. 한편, 생육중간기 제초제는 잡초의 발아 초기에서 이들의 생육 기간에 걸쳐서 효과가 있다. 그러나, 이들은 벼의 이식후 바로 사용하면 벼에 큰 해를 주게된다. 그러므로, 이들의 투약은 벼가 어느정도 자란후에 사용해야 하며, 더구나, 통상의 제초제를 계속 투약하면, 어느 종류의 잡초(특히, 다년생잡초)는 요즈음에는 더욱 무성히 자라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반야드 그라스(에키노클로아크루스-갈리)를 포함하여 일년생 잡초뿐만 아니라 통상의 제초제로는 방제하기가 어려운 다년생잡초에 대하여도 큰 효과가 있는 광범위 제초제에 대한 요구가 열망되어 왔으면, 본 발명에 의하여 1회의 방제로 이러한 목적이 달성될 수 있고, 다량 또는 반복 방제에 기인하는 환경공해를 피할 수가 있고, 노동력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벼에 대하여 높은 선택성이 있고, 오랜시간에 걸쳐서 적절하게 방제할 수 있다.
본 발 명의 목적은 1회의 방제로 모든 종류의 잡초에 현저한 제초효과가 있는 수도용( ) 개량된 제초제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 다른 본 발명의 목적은 벼에는 전혀 안전하고, 일년생 및 다년생 잡초에 대단히 효과가 좋은 수도용 제초제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의하여, 다음의 활성성분을 함유하는 수도용 제초제조성물을 얻는다.
(a) 다음 일반 구조식의 α-(β-나프톡시) 프로피온산 유도체
Figure kpo00001
상기 식에서 R은 OCH3또는
Figure kpo00002
(여기에서 X는 수소 또는 할로겐 원자이다)기이다.
(b) 2-메틸치오-4, 6-비스(에틸아미노)-S-트리아진(이후 "MTET"라 한다) 및 (c) 다음 일반 구조식의 화합물
Figure kpo00003
상기 식에서 X는 할로겐원자이며, R1과 R3는 탄소수 1-4의 알킬기이며, R2는 탄소수 1-4의 알킬 또는 알콕시기이다.
본 발명의 제초제조성물에 함유된 모든 활성화합물은 공지이다. 특히, 일반 구조식(I) 화합물의 제초 효과는 일본 특허공고 제14077/71에 기술되어 있으며, MTET의 제초효과는 미국 특히 제2,909,420호에 그리고 일반 구조식(II) 화합물의 제초 효과는 독일 특허 제2,604,225호에 기술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각각의 화합물은 단독으로 사용하면 그 제초효과가 항상 만족할만 하지 못하며, 이 제초제에 효과적인 잡초의 종류는 제한되어 있고, 그 방제에 적합한 시기가 짧고, 벼에도 심한 피해를 자주 주곤 하였다.
예를 들면, 일반 구조식(I) 화합물은 광엽 일년생 잡초와 앨로우헤드(Sagittaria pygmaea)에는 현저한 효과가 있으나, 포아풀과 잡초인 반야드과라스(Echinochloa crus-galli)에 대하여는 효과가 없다. MTET는 반야드 그라스와 광엽 잡초에는 효과가 있으나, 다년초 잡초에 대한 제초효과는 만족스럽지 못하다. 방제시기에 따라서, MTET는 벼에 대하여 심한 피해를 주기 쉽다. 일반 구조식(II) 화합물은 상당히 성장한 반야드 그라스에는 현저한 제초효과가 있으나, 광엽 잡초에는 거의 효과가 없다. 따라서, 이들 활성 화합물들은 아주 우수한 특성을 가지고 있으나 이들을 단독으로 사용하여서는 모든 종류의 잡초를 방제하기는 불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초제 조성물에 함유된 활성 화합물은 상호 보완되고 상승효과를 가짐으로서 이들 단독으로는 방제가 어려운 잡초로 방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초제 조성물은 일년생 잡초뿐만 아니라, 사기타리아 퍼그마에아(Sagittaria pygmaea) , 스키르푸스 준코이데스(Scirpus juncoids), 알리스마 카나리쿠라륨(Alisma canaliculatum), 사기타리아 트리폴리아(Sagittaria trifolia), 시페루스 세로티누스(Cyperus serotinus) 및 에레오카리스 쿠로구와이(Eleocharis kuroguwai)와 같은 다년생 잡초에도 탁월한 방제효과가 있으며 이들 다년생 잡초는최근에 점점 더 무성해가고 있으며, 본 발명에 사용된 량 만큼의 각각의 활성화합물을 분리하여 사용하면 효과가 없다. 이러한 사실은 이들 3종의 화합물에 높은 상승효과가 있음을 명확히 나타내는 것이다. 더구나, 본 발명의 제초제 조성물은 벼의 이식 직후에서 생장기의 전기간에 걸쳐서 벼에는 해를 주지 않고, 높은 선택성을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의 제초제 조성물은 이들 3종의 활성화합물을 일정비율로 함유하고 있을 때에 특히 높은 상승효과를 나타내며, 이들의 혼합비는 비교적 넓은 범위로 변화시킬 수도 있다. 특히 MTET와 일반 구조식(II) 화합물은 일반 구조식(I) 화합물의 중량부다. 0.05-0.2부 (중량) 및 0.1-0.5부(중량)을 각각 사용하는 것이 적당하다. 더구나, 본 발명의 제초제 조성물은 이들 3종의 화합물의 총량을 아르당 10g이상을 사용하며, 아르당 20g 이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초제 조성물에 사용된 일반 구조식(I) 및 (II) 화합물의 전형적인 예로 다음과 같다.
Figure kpo00004
Figure kpo00005
본 발명의 제초제 조성물은 전술한 활성 화합물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활성 성분 1%(중량) 이상을 함유하고, 나머지는 불활성담체이다. 그 제초 효과는 본 제초제가 활성 성분의 합계가 1%(중량) 이상을 함유(10%(중량) 이상은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함)하는 입제로 제제화할때에 가장 좋은 효과를 나타낸다. 이 제제는 활성성분을 희석제(예,벤토나이트, 점토, 활석, 석회석 등)로 희석시킨 다음, 여기에 결합체(예 : 소디움리그노설포네이트, 폴리비닐알콜, 소디움알킬벤젠설포네이트 등)와 물을 가하고 연합한 후, 이 혼합물을 압출시킨 다음 압출물을 건조시키거나 ; 또는 활성화합물을 적당한 용매에 용해시키고,이 용액을 규조토 흑운모 등으로 된 과립에 균질하게 흡착시켜서 입제를 제조한다. 이들 입제는 손이나 또는 입제 살포기로 토양에 균일하게 살포할 수도 있으며, 헬리콥터로 공중살포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조체 조성물은 수화제 나분제로 제제화할 수도 있으며, 이들은 직접 또는 물에 희석시킨 후 살포할 수도 있다. 필요하면 본 발명의 제초제 조성물은 살충제, 살균제 또는 기타 제초제와 함께 사용할 수도 있으며, 또한 이들과 합하여 복합제제로 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다음의 실시예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며, 이들 실시예가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중, 모든 부는 중량부이다.
[실시예 1] (입제)
화합물 1 7부, MTET 1부, 화합물 A 3부, 벤토나이트 60부, 활석 25부, 소디움도덴실벤젠설포네이트 1부, 폴리옥시에틸렌알킬아릴에테르 1부 및 소디움리그노설포네이트 2부를 혼합하고, 여기에 적당량의 물을 가한다. 통상의 방법으로, 결과로 얻어진 혼합물을 연합한 다음, 과립기로 입제화하여 입제 100부를 얻는다.
[실시예 2] (입제)
화합물 2 10부, MTET 1.5부, 화합물 B 4부, 벤토나이트 50부, 활석 31.5부, 알킬나프탈렌설폰산 축합물 2부 및 디옥틸설포석시네이트 1부를 혼합하고, 여기에 적당량의 물을 가한다. 통상의 방법으로, 결과로 얻어진 혼합물을 연합한 다음, 과립기로 입제화하여 입제 100부를 얻는다.
[실시예 3] (입제)
화합물 3 8부, MTET 2부, 화합물 C 2부, 벤토나이트 55부, 점토 30.5부, 소디움알킬벤젠설포네이트 2부 및폴리비닐알콜 0.5부를 균질하게 분말화 및 혼합하고 여기에 적당량의 물을 가한다. 통상의 방법으로, 결과로 얻어진 혼합물을 연합한 다음, 과립기로 입제화하여 입제 100부를 얻는다.
[실시예 4] (분제)
화합물 2 5부, MTET 0.5부, 화합물 A 1부 및 규조토 및 점토 혼합물 93.5부를 혼합하고 분말화하여 분제 100부를 얻는다.
[실시예 5] (수화제)
화합물 1 50부, MTET 3부, 화합물 B 7부, 화이트 카본 8부, 규조토 37부, 소디움리그노설포네이트 3부 및 소디움도데실벤젠설포네이트 2부를 혼합하고 분말화하여 수화제 100부를 얻는다.
본 발명의 제초제 조성물의 효과는 다음의 평가실험으로 측정한다.
평가실험 1 (잡초의 발아초기 제초효과 실험)
일군의 1/2000아아르 용량의 와그너 포트에 각각 논흙 11씩을 넣고, 각각에 복합비료를 전토양층에 시비하여 N, P2O5및 K2O 각각 1g씩 함유토록 한다.적당량의 물을 가하고 토양을 충분히 교반하여 물에 잠긴 상태의 포트를 만든다.
각 포트에, 미리온실에서 재배한 벼(평균 2.5의 잎을 가진) 2쌍을 2cm 깊이로 이식한다. 다음에 에키노클로아크루스-갈리, 시페루스 디포미스, 모노코리아 바기나리스, 스키로푸스 준코이데스 및 알리스마 카나리쿠라튬의 종자를 여기에 심는다. 또한 사기타리아 피그마에아, 시페루스 세로토니스 및 엘레오카리스 쿠로구와이의 구조 및 에레오카리스 아시쿠라리스의 겨울눈을 여기에 이식한다. 이들 포토를 온실에 넣고 3cm 깊이로 물을 넣는다.
이식 3일 후 또는 잡초의 발아 직전에, 각 포트를 시험 다합물 또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입제화한 화합물의 특정량으로 처리한 후, 처리후 7일간은 1일 1cm 깊이의 비율로 물을 배수시킨다.
처리 1개월후, 포트에 대하여 잡초에 대한 제초효과와 벼에 대한 해독 효과를 조사한다. 그 결과는 표 1에 수록되여 있다.
[표 1]
Figure kpo00006
Figure kpo00007
평가실험 2 (잡초의 성장단계에서의 제초효과 실험)
일군이 50cm×50cm×50cm 크기의 콘크리트포트에 일년생 및 다년생수도 잡초 구근을 가지는 논흙 적당량을 넣고, 여기에 복합비료중 토양전체에 가하여, N, P2O5및 K2O 각 3g 씩을 함유토록 한다. 다음에 물을 가하여 물에 흙이 잠기도록 하고 각포트에 평균 2.5개의 잎을 가지는 벼 4쌍 포기를 적당한 간격으로 이식 17일 후 물에 잠긴 상태에서 각포트를 실험화합물 또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입제화한 실험화합물 특정량으로 처리한다.
처리 1개월 후, 각 포트에 대하여 잡초에 대한 제초효과와 벼에 대한 해독효과를 조사한다. 이렇게 얻어진 결과를 표 2에 수록되어 있다. 이 표에서 제초효과와 벼에 대한 해독효과는 표 1에서 기술한 것과 같은 방법으로 표기하였다.
실험기간 동안, 각 포트는 3cm의 깊이로 물을 넣었으며, 처리 후 7일간은 1일 1cm2의 비율로 물을 배수시켰다.
[표 2]
Figure kpo00008
Figure kpo00009
평가실험 3 (야외실험)
통상의 방법으로, 논의 잡초가 자라고 있는 논을 갈고, 시비 (N, P2O6및 K2O 각 1kg씩으로)한 후, 고르고 10cm2(2.5m×44m) 면적으로 구분한다. 다음에, 평균 2.5개의 잎을 가지는 벼의 모종을 카플씩 15cm의 간겨과 이 광폭 30cm로 이식한다. 이식후, 논에 3-5cm의 깊이로 물을 댄다. 잡초의 발아초기(이식 3일후)와 반야드 2파스가 3.0-또는 3.5-잎단계(이식 15일후)에서 각구분을 실험화합물 또는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입체화한 화합물을 살포한다. 대조로 시판용의 MO 입제-9와 Saturn S 입제를 사용한다.
각 구분은 화합물 살포 1개월 후 잔존하는 잡초의 양과, 화합물 살포 4개월 후 수확한 쌀의 수량을 조사한다. 이렇게 얻어진 결과는 표 3에 요약되어 있다.
[표 3]
Figure kpo00010
Figure kpo00011
본 발명의 제초제조성물에 의한 우수한 상승효과는 앞의 평가실험에서 보여준 결과를 근거로 충분히 평가될 수 있다. 그러나, 이들의 더욱 상세한 설명은 논에 전형적인 다년생 잡초로 선택된 부들(스키르푸스 준코이데스)에 관하여 행한 다음의 실험결과가 보여주고 있다.
통상으로, 3종의 제초제를 임의로 복잡한 것의 상호 작용은 다음의 식에 의하여 실험한다. [S. R 콜비 (Colby) "제초제조성물의 상승효과 및 길항효과의 계산", 잡초, 15, 20-22 (1973) 참조].
Figure kpo00012
상기식에서
X는 아아르당 제초제 A를 pg 양을 사용하여 생기는 방제 퍼센트.
Y는 아아르당 제초제 B를 qg량 사용하여 생기는 방제 퍼센트.
Z는 아아르당 제초제 C를 rg량 사용하는 방제 퍼센트.
E는 아아르당 제초제 A,B 및 C의 혼합물을 p,q 및 rg량을 각각 사용하여 생기는 방제 퍼센트에 대한 기대값방제 퍼센트에 대한 실측치가 상기식에서 계산된 기대값을 초과하면, 이 제초제 조성물은 상승효과를 가진 것이 상승효과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평가실험 4 (상승작용실험)]
일군이 1/10,000 아르용량의 포트에 각각 논흙 1kg씩 넣고, 복합비료를 전체흙에 N, P2O5및 K2O가 각각 0.3g씩 함유되도록 가한다. 각 포트에 일정량의 부들(스키르푸스 준코이데스)의 종자를 접종하고 토양으로 덮는다. 조용히 물을 적당량 가하여 흙이 물에 잠기도록 한다.
부들식물이 일정정도로 성장하면 각 포트를물에 잠긴 상태에서, 실험화합물 또는 실시예 5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수화제를 제제화한 화합물 일정량으로 처리한다.
처리 10일 후, 부들식물을 각 포트에서 뽑아서 풍건시킨다. 건조식물의 중량을 측정하나, 비처리 대조군의 중량과 비교하여 제초효과를 방제 퍼센트로 표현다. 이렇게 얻어진 결과는 표 4에 수록되어 있으며, 이표에서 실측치와 계산치는 0% (효과있음)로부터 100% (완전한 효과)까지 분포되어 있다.
[표 4]
Figure kpo00013
Figure kpo00014
상기 데이타에서 명확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초제 조성물은 벼이식직후 잡초이 발아전 또는 발아직후 및 발아후 늦게 하든가 어느때에 살포하여도 벼에는 해독이 없다. 더구나, 3종의 활성성분 각각을 단독으로 사용시에는 효과가 없는 양을 사용하여도 그 상승작용으로 인하여 1회의 투약으로 모든 종류의 잡초를 방제할 수 있고, 따라서 환경공해를 피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제초제 조성물은 현재까지통상으로 사용되어온 제초제에 비하여 대단히 우수하다.

Claims (1)

  1. 하기 일반식(I)의 α-(β-나프톡시)프로피온산유도체, 및 하기 일반식(I)의 화합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0.05~0.2 중량부의 2-메틸티오-4,6-비스(에틸아미노)-sym-트리아진 및 0.1~0.5중량부의 하기 일반식(II)의 화합물을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수도용 제초제 조성물
    Figure kpo00015
    상기식 중, R은 -OCH3또는
    Figure kpo00016
    (X는 수소 또는 할로겐원자임)이고, R1및 R3는 탄소수 1~4의 알킬기이며, R2는 탄소수 1~4의 알킬기 또는 알콕시기 이고 X는 할로겐원자이다.
KR1019800004767A 1980-12-15 1980-12-15 제초제 조성물 KR8400006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00004767A KR840000670B1 (ko) 1980-12-15 1980-12-15 제초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00004767A KR840000670B1 (ko) 1980-12-15 1980-12-15 제초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3874A KR830003874A (ko) 1983-06-30
KR840000670B1 true KR840000670B1 (ko) 1984-05-18

Family

ID=19218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00004767A KR840000670B1 (ko) 1980-12-15 1980-12-15 제초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4000067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3874A (ko) 1983-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U1131458A3 (ru) Гербицидна композици
KR840000670B1 (ko) 제초제 조성물
JPS58124707A (ja) 除草剤
KR920002304B1 (ko) 농업용 살균 조성물
EP0544782B1 (en) A herbicidal composition for paddy field
JP3014859B2 (ja) 農園芸用殺菌剤組成物
WO1997035481A1 (fr) Composition herbicide
JPH0419961B2 (ko)
KR950009519B1 (ko) 제초제 조성물
KR880001600B1 (ko) 제초성 조성물
KR800000648B1 (ko) 제초제 조성물
JPH0193503A (ja) 除草剤組成物
JPS6351304A (ja) 除草剤組成物
CN111296470A (zh) 一种含嗪吡嘧磺隆和环酯草醚的除草组合物及应用
JPS608204A (ja) 除草組成物
JPS58188804A (ja) 除草剤
JPS62263104A (ja) 除草剤
JPS62298505A (ja) 水田用除草剤組成物
JPS63179806A (ja) 除草剤組成物
JPH02174705A (ja) 水田用除草組成物
JPS61280405A (ja) 水稲用複合除草剤及び水田雑草の除草方法
JPH029805A (ja) 除草剤組成物
JPS63208503A (ja) 除草剤組成物
JPS5939805A (ja) 水田用除草剤組成物
JPS6030643B2 (ja) 水稲用選択性除草剤